KR102111395B1 - Steam supply device for making bakery and confectionery - Google Patents

Steam supply device for making bakery and confection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395B1
KR102111395B1 KR1020200001366A KR20200001366A KR102111395B1 KR 102111395 B1 KR102111395 B1 KR 102111395B1 KR 1020200001366 A KR1020200001366 A KR 1020200001366A KR 20200001366 A KR20200001366 A KR 20200001366A KR 102111395 B1 KR102111395 B1 KR 102111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n
conditioner
housing
module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3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영태
Original Assignee
최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태 filed Critical 최영태
Priority to KR1020200001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39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3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40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0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arrangements
    • A21B1/36Ovens heated directly by hot fluid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Abstract

An apparatus for confectionery and bakery comprising a steam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oven for baking bread by applying heat; and a conditioner installed under the oven to cold store, thaw, or ferment a dough, or warm bread baked in the ove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product high-quality bread by comprising the steam container for confectionery and bakery which can uniformly supply steam to the entire oven.

Description

제과제빵용 스팀통{STEAM SUPPLY DEVICE FOR MAKING BAKERY AND CONFECTIONERY}Steam container for confectionery and baking {STEAM SUPPLY DEVICE FOR MAKING BAKERY AND CONFECTIONERY}

본 발명은 제과제빵용 스팀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븐 내부에 전체적으로 스팀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스팀통을 포함하여 고품질의 과자, 빵을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븐, 컨디셔너 등을 하나의 장치에 적절히 조합시킨 스팀통을 포함하는 제과제빵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 container for confectionery and bakery, and more specifically, not only can easily produce high-quality confectionery, bread, including a steam container that can uniformly supply steam to the entire oven, but also an oven, a conditioner, etc. It relates to a confectionery and bakery apparatus comprising a steam bin that is properly combined in one device.

일반적으로 제과제빵용 오븐으로는 효모가 함유된 일반적인 과자 또는 빵을 굽기 위해서는 데크 오븐(deck oven)이 사용되고, 효모가 미량 사용되는 바게트 빵이나 페이스트리 빵 등을 굽기 위해서는 컨벡션 오븐(convection oven)이 사용된다. 그리고, 많은 양의 빵을 단시간에 신속히 만들기 위해서 빵 반죽을 인위적으로 발효시키는 컨디셔너가 사용된다.In general, as a baking oven, a deck oven is used to bake general confectionery or bread containing yeast, and a convection oven is used to bake baguette bread or pastry bread, which uses a small amount of yeast. do. And, in order to make a large amount of bread quickly in a short time, a conditioner that artificially ferments the bread dough is used.

일반적으로 제과제빵용 장치는 오븐, 컨디셔너, 발효기 등을 통해 해동 및 숙성된 생지를 자연대류 방식으로 구워 빵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이미 다양한 형태의 제과제빵용 장치가 국내외에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양질의 과자 또는 빵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오븐 조작능력을 갖춘 숙련된 기술자가 있어야 한다.In general, a device for confectionery and bakery is a device for baking bread that has been thawed and matured through an oven, conditioner, fermenter, etc. in a natural convection method, and various types of devices for confectionery bakery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at home and abroad. However, in order to produce good quality confectionery or bread, it is necessary to have a skilled technician with a high degree of oven operation.

특히, 맛과 향기는 물론 색상과 모양이 뛰어난 고품질의 과자나 빵을 구워내기 위해서는 오븐의 사용시에 습도와 온도 및 시간 등에 대한 다양한 조건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켜야 하기 때문에 고도로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한 것이다. 최근 변해가는 식생활에 따라 빵의 소비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기 위해 소규모의 제과제빵점포가 크게 늘어나고 있으나 숙련된 기술자의 부족으로 인해 맛과 향기는 물론 색상이 뛰어난 고품질의 과자 또는 빵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왔다.In particular, in order to bake high-quality confectionery or bread with excellent color and shape as well as taste and aroma, it is necessary to have a highly skilled technician becaus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various conditions such as humidity, temperature, and time when using the oven. . Recently, the consumption of bread is rapidly increasing according to the changing diet, and small-scale confectionery and bakery stores are increasing to meet this trend.However, due to the lack of skilled technicians, high-quality confectionery or bread with excellent taste and aroma and color is excellent. There has been a limit to providing to consumers.

한국공개특허 제 10-2011-002804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28047

본 발명은 스팀통을 포함하는 제과제빵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븐 내부에 전체적으로 스팀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스팀통을 포함하여 고품질의 과자, 빵을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븐, 컨디셔너 등을 하나의 장치에 적절히 조합시킨 스팀통을 포함하는 제과제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fectionery and bakery device including a steam container, as well as to easily produce high-quality confectionery, bread, including a steam container that can uniformly supply steam throughout the oven, oven, conditioner, etc.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fectionery bakery device comprising a steam container properly combined in one devic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통을 포함하는 제과제빵장치는, 열을 가하여 빵을 구워내는 오븐; 및 상기 오븐의 하부에 설치되어 반죽을 냉동보관, 해동 또는 발효시키거나 상기 오븐에서 구워진 빵을 온장하는 컨디셔너를 포함한다.A confectionery bakery apparatus including a steam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ven for baking bread by applying heat; And a conditioner installed under the oven to store, freeze, thaw or ferment the dough, or warm the bread baked in the ove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븐은, 일측이 개구된 오븐 본체; 상기 오븐 본체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븐 도어; 상기 오븐 본체 내부의 베이킹 실 상부에 배치되어 열을 공급하는 상부 히터; 상기 베이킹 실 하부에 배치되어 스팀을 제공하는 스팀통을 포함하고, 상기 스팀통은, 상기 베이킹 실 하부에 배치되며, 내주면에 물을 수용하는 스팀통본체; 상기 스팀통본체와 연결 형성되어 물을 공급하며, 물의 공급을 단속하여 상기 오븐 내부의 습도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소정 개수의 노즐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노즐을 통해 공급된 물이 분무되는 급수 파이프; 상기 스팀통본체와 연결 형성되어 상기 스팀통본체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 파이프; 상기 스팀통본체 하부에 배치되어 열을 공급하는 하부 히터; 상기 하부 히터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히터의 열이 상기 스팀통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부재; 및 상기 스팀통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히터로부터의 열과 상기 스팀통에 의해 발생된 스팀이 상기 베이킹 실로 분산되어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관통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분산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상기 컨디셔너는, 일측이 개구된 컨디셔너 본체; 상기 컨디셔너 본체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컨디셔너 도어; 상기 컨디셔너 내부에 열기를 공급하는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모듈; 반죽 또는 빵을 담은 선반을 수용하는 수용모듈; 상기 열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된 열기를 순환시키는 열기순환모듈; 및 상기 열공급모듈, 상기 수용모듈 및 상기 열기순환모듈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어 열변화에 대응하는 동시에 진동을 저감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열기순환모듈은 상기 컨디셔너 내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는 상부덕트; 상기 컨디셔너 내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덕트의 내부 공기를 토출하는 하부덕트; 및 상기 상부덕트와 상기 하부덕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덕트의 내부 공기를 토출하는 중앙덕트; 상기 하부덕트 내부 및 상기 중앙덕트 내부 중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이물질 유입방지를 위한 필터; 상기 열기순환모듈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팬; 상기 필터의 적어도 일영역에 형성되는 공기질 측정기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지지부는 다른 물체의 표면에 접촉되는 복수 개의 볼; 탄성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볼이 안착될 수 있는 볼안착공이 형성되는 전면판; 및 상기 전면판의 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볼이 전면판의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면판;을 포함하되, 상기 후면판의 전면에는 상기 볼이 부분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볼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측은 경사면이 형성되어, 진동 또는 열변형에 의해 상기 고정지지부의 양 모서리가 벤딩되더라도 상기 전면판과 상기 볼이 다른 물체의 표면에 지면이나 구조물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오븐 및 상기 컨디셔너는 하나의 메인공급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메인공급선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어 사용전력을 측정하는 사용전력 측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전력 측정장치는, 상기 오븐 및 상기 컨디셔너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메인공급선의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모듈; 상기 오븐 및 상기 컨디셔너 각각이 상기 메인공급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메인공급선의 전류 변화 패턴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및 상기 오븐 및 상기 컨디셔너 각각이 상기 메인공급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경우, 상기 측정모듈을 통해 감지된 전류 변화와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오븐 및 상기 컨디셔너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를 판별하는 판단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감지된 전류 변화를 주파수 변환한 결과에 기초하여, 소정 주파수 구간의 전류 변화 기울기 및 소정 전류 크기에 대응하는 오프셋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추출된 값을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오븐 및 상기 컨디셔너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를 판별하고,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메인공급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류의 중심 주파수를 고려하여 결정된 상기 소정 주파수 구간의 전류 변화 기울기와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오븐 및 상기 컨디셔너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를 판별하고,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오븐 및 상기 컨디셔너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의 동작 시간 및 단위시간당 사용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오븐 및 상기 컨디셔너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가 사용한 전력량을 계산하고, 상기 급수 파이프 또는 상기 배수파이프 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는 와류 발생 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와류 발생 배관은 유체가 흐르는 와류 배관; 및 상기 와류 배관 내부의 일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의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류 발생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날개; 및 상기 와류 배관의 내면에 접하고, 상기 나선형 날개가 고정 결합되는 둘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 파이프 또는 상기 배수파이프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븐 또는 상기 컨디셔너의 내부에는 열풍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풍기는 바람을 일으키는 팬;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구동모터; 상기 팬으로부터 유동되는 공기의 온도를 높이는 열선코일; 상기 팬과 상기 팬구동모터와 상기 열선코일을 수용하는 본체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열풍기는, 상기 팬에 공기가 공급되는 상기 본체하우징의 흡입구에 결합되며, 상기 펜에 공급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걸러주는 제1필터; 상기 본체하우징의 단면 크기의 중공관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하우징의 외부에 상기 중공관의 일측이 결합되며, 그 타측은 상기 중공관 외주면에 중심방향으로 고정돌기가 돌출된 것을 포함하는 이동하우징; 상기 이동하우징의 상기 고정돌기가 위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안착되며, 상기 본체하우징에서 발생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한번 더 걸러주는 제2필터; 상기 이동하우징의 상기 본체하우징이 위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용자의 신체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굴곡되며, 상기 이동하우징이 위치된 측의 반대 측의 종단에 각각이 회동가능하여 바람의 양을 조절하는 다수개의 날개부가 결합된 것을 포함하는 돌출하우징; 상기 이동하우징을 상기 본체하우징으로부터 전진 및 후퇴되도록 상대 이동시키는 유동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동부재는, 상기 이동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일자형으로 배치된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원형의 제2기어; 상기 제2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제2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돌출하우징의 상기 날개부가 위치된 측의 종단 일면에 고리형상의 램프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램프고리에 결합되며, 상기 오븐 또는 상기 컨디셔너의 내부 공기를 소독하는 자외선램프; 상기 회전모터를 정회전시켜 상기 이동하우징을 상기 본체하우징으로부터 전진시켜 상기 돌출하우징을 상기 본체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커나, 상기 회전모터를 역회전시켜 상기 돌출하우징을 후퇴시켜 상기 돌출하우징이 상기 본체하우징과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열풍제어모듈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oven, the oven body has one side open; An oven door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an opening of the oven body; An upper heater disposed above the baking chamber inside the oven body to supply heat; A steam cylinder disposed under the baking chamber to provide steam, the steam cylinder being disposed under the baking chamber and receiving water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olenoid valve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team cylinder to supply water, and to control the humidity inside the oven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water,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nozzle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and supplied through the nozzle Water supply pipe to which the sprayed water is sprayed; A drain pipe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steam cylinder to discharge water inside the steam cylinder; A lower heater disposed under the steam cylinder to supply heat; An insulating member disposed under the lower heater and preventing heat from the lower heater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eam cylinder; And a distribution plate that is disposed on the steam cylinder main body and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erforated so that heat from the lower heater and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cylinder are distributed and uniformly supplied to the baking chamber. The conditioner may include: a conditioner body having one side opened; A conditioner door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an opening of the conditioner body; A heat supply module that supplies heat to supply heat to the interior of the conditioner; A receiving module accommodating a shelf containing dough or bread; A hot air circulation module circulating hot air supplied from the heat supply module; And a fixed support formed in at least one region of the heat supply module, the receiving module, and the hot air circulation module to reduce vibration while simultaneously responding to heat change, wherein the hot air circulation module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conditioner, An upper duct that introduces the upper air into the interior; A lower duct formed at a lower portion inside the conditioner and discharging the internal air of the upper duct; And a central duct formed between the upper duct and the lower duct to discharge internal air of the upper duct. A filter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inside of the lower duct and the inside of the central duct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A suction fan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hot air circulation module; It is formed of an air quality meter formed on at least one area of the filter, the fixed support is a plurality of ball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nother object; A front plat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having a ball seating hole on which the ball can be seated; And a back plat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late and prevents the ball from falling off the rear side of the front plate, wherein a ball seating groov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 plate to partially seat the ball. At least one edge side of the front plate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so that even if both edges of the fixed support are bent by vibration or thermal deformation, the front plate and the ball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or structure on the surface of another object. Maintaining, the oven and the conditioner receiving power from one main supply line, and further comprising a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device formed on at least one area of the main supply line to measure power consumption, and the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device, A measuring module measuring a current of the main supply line supplying power to the oven and the conditioner;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data indicating a current change pattern of the main supply line when each of the oven and the conditioner oper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supply line; And when each of the oven and the conditioner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supply line, determining the current change detected through the measurement module and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from among the oven and the conditioner. A determination module, and the determination module, based on a result of the frequency conversion of the sensed current change, extracts at least one of an offset frequency corresponding to a current change slope and a predetermined current magnitude in a predetermined frequency section, and an extracted value By comparing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with the electronic device operating among the oven and the conditioner, and the determination module, the current of the predetermined frequency section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enter frequency of the current supplied through the main supply line Change gradient and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The electronic device operating among the oven and the conditioner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air conditioners, and the determination module is based on the operating time and the amount of power used per unit time of the electronic device operating among the oven and the conditioner, and the oven and the conditioner. Calculating the amount of power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operating in the middle, and further includes a vortex-generating piping formed in at least one region inside the water supply pipe or the drainage pipe, wherein the vortex-generating piping includes: a vortex piping through which fluid flows; And a vortex generating unit disposed in an area inside the vortex pipe to generate vortex of the fluid, wherein the vortex generating unit comprises: at least one helical wing coupled around a rotation axis; And a circumferential por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ortex pipe, the helical blade being fixedly coupled, and further comprising a debris removal device formed in at least one region of the water supply pipe or the drain pipe, inside the oven or the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a hot air fan, the hot air fan for generating wind; A fan driving motor that rotates the fan; A heating coil that increases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from the fan; A main body housing that accommodates the fan, the fan driving motor, and the hot wire coil, and the hot air fan is coupled to a suction port of the body housing through which air is supplied to the fan, and foreign matter contained in air supplied to the pen A first filter that filters back; A hollow tube having a cross-sectional size of the main body housing is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hollow tube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moving housing including a fixed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center direction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tube; A second filter which is inser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moving housing is located, seated on the fixing protrusion, and filter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air generated in the body housing once more; The body housing of the movable housing exte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dy housing is located, and is b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ser's body is located, and each of the movable housing is rotatable to the end of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where the movable housing is located, thereby amount of wind Protruding hous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wing parts to adjust the; Further comprising a flow member for moving the moving housing relative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from the main body housing, the flow member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housing, the first first arranged in a long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housing Gear; A circular second gear gear-engaged with the first gear; A rotating shaft coupled to the second gear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second gear; A rotating motor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An ultraviolet lamp that forms a ring-shaped lamp ring on one end surface of the side where the wing portion of the protruding housing is located, is coupled to the lamp ring, and sterilizes the air inside the oven or the conditioner; The rotating motor is rotated forward to move the moving housing from the main body housing to move the protruding housing away from the main body housing, or the rotating motor is reversely rotated to retract the protruding housing so that the protruding housing is the main body. It includes a hot air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o move to move closer to the hous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물질 제거장치는, 일 단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다른 단부에 유입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너비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결합되며, 상기 이동부의 상기 왕복 운동과 연동하여 탄성 운동하는 탄성부로 형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having an outlet formed at one end and an inlet formed at the other end; A moving part disposed inside the body part and reciprocat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art; And an elastic part coupled to the moving part and elastically moving in conjunction with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moving par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오븐 내부에 전체적으로 스팀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제과제빵용 스팀통을 포함하여 고품질의 빵을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븐, 컨디셔너 등을 하나의 장치에 적절히 조합시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easily producing high-quality bread, including a confectionery baker's steam bucket that can uniformly supply steam throughout the oven, an oven, conditioner, etc. are suitably combined in one device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통을 포함하는 제과제빵장치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과제빵용 스팀통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디셔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디셔너의 열기순환모듈의 내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를 도시한다.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의 일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전력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전력 측정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 발생 배관을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 파이프 또는 배수 파이프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풍기를 도시한다.
Figure 1 shows a confectionery bakery apparatus including a steam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show an ov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steam container for confectionery ba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 hot air circulation module of a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fixed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show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fixed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pparatus for measuring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ower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llustrates a vortex generating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shows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water supply pipe or a drainage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show a hot air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illustrate, by way of exampl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xamples are described in detail enough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th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properties described herei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plac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can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ppropriate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rang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In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several aspect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통을 포함하는 제과제빵장치를 도시한다. Figure 1 shows a confectionery bakery apparatus including a steam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통을 포함하는 제과제빵장치(10)는 오븐(100) 및 컨디셔너(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bakery baking apparatus 10 including a steam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ven 100 and a conditioner 200.

오븐(100)은 내부에 반죽 등의 재료를 수용한 후, 열을 가하여 빵을 구워낼 수 있다. 오븐(100)은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오븐(100)을 수직으로 배치하거나 수평으로도 배치할 수 있다. After the oven 100 accommodates materials such as dough therein, the oven 100 may bake bread by applying heat. A plurality of ovens 100 may be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is case, a plurality of ovens 100 may be vertically or horizontally arranged.

컨디셔너(200)는 오븐(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반죽을 냉동보관, 해동 또는 발효시킬 수 있다. 또한, 오븐(100)에서 구워진 빵을 온장할 수도 있다. 컨디셔너(200)는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컨디셔너(200)을 수직으로 배치하거나 수평으로도 배치할 수 있다. 컨디셔너(200)의 하부에는 바퀴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바퀴를 이용하여 스팀통을 포함하는 제과제빵장치(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오븐(100)과 컨디셔너(200)는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오븐(100)과 컨디셔너(200)의 상하 위치도 변경할 수 있다.The conditioner 20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oven 100 to store, freeze, thaw or ferment the dough. In addition, bread baked in the oven 100 may be warmed. A plurality of conditioners 200 may be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conditioners 200 may be vertically or horizontally disposed. Wheels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nditioner 200, and the wheels may be used to facilitate movement of the confectionery and bakery apparatus 10 including a steam container.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oven 100 and the conditioner 200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e, and the up and down positions of the oven 100 and the conditioner 200 may also be changed.

또한, 도 1에는 오븐(100)과 컨디셔너(200)가 구비된 스팀통을 포함하는 제과제빵장치(10)를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양한 제과제빵장치 구성들을 부가하여 스팀통을 포함하는 제과제빵장치(10)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FIG. 1 shows a confectionery baker 10 including an oven 100 and a steamer equipped with a conditioner 20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various confectionery bakery devices are added to include a steamer. Confectionery bakery device 10 can be implemented.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을 도시한다.2 and 3 show an ov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100)은 본체(110), 오븐 도어(120), 상부히터(130) 및 스팀통(140)를 포함한다.2 and 3, the ove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n oven door 120, an upper heater 130 and a steam container 140.

오븐 본체(110)는 내부에 베이킹 실(111)이 형성되며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오븐 본체(110) 내주면의 측면에는 반죽 등을 수용할 수 있는 트레이(t)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모듈(112)이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쌍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oven body 110 has a baking chamber 111 formed therein and one side is formed in an open shape. On the side surfa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ven body 110, a plurality of mounting modules 112 capable of mounting a tray t for accommodating dough or the like may be formed to be pair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오븐 도어(120)는 오븐 본체(110)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가 빵의 제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한 내열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The oven door 120 is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the opening of the oven body 110, and at least one region may be formed of transparent heat-resistant glass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manufacturing state of the bread.

상부히터(130)는 오븐 본체(110) 내부의 베이킹 실(111) 상부에 배치되어 베이킹 실(111) 내부로 열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오븐(100)은 후술할 하부히터를 포함하여 베이킹 실(111) 상부 및 하부에 히터를 2개 둠으로써, 베이킹 실(111) 상하부의 온도차를 최소화 할 수 있어, 품질 높은 빵을 생산할 수 있다. The upper heater 130 is disposed on the baking chamber 111 inside the oven body 110 to supply heat to the baking chamber 111. The ove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two heaters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king chamber 111, including the lower heater to be described later, can minimiz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king chamber 111, thereby producing high quality bread. Can be.

스팀통(140)는 베이킹 실(111) 하부에 배치되어 반죽에 스팀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그 구성으로 하부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am container 140 is disposed under the baking chamber 111 to provide steam to the dough. As described above, the steam container 140 may include a lower heat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통을 도시한다.4 shows a steam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통(140)는 스팀통본체(141), 급수 파이프(142), 배수 파이프(143), 하부히터(144), 단열부재(145) 및 분산용 플레이트(146)를 포함할 수 있다.4, the steam cylinder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am cylinder body 141, a water supply pipe 142, a drain pipe 143, a lower heater 144, a heat insulating member 145, and Dispersion plate 146 may be included.

스팀통본체(141)는 베이킹 실(111) 하부에 배치되며, 내주면에 물을 수용한다. 스팀통본체(141)에는 분산용 플레이트(146)를 지지하고 내주면의 물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141-1)가 내주면 하부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steam cylinder body 141 is disposed under the baking chamber 111 and accommodates water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guide member 141-1 for supporting the dispersion plate 146 and guiding the movement of water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protrud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am cylinder body 141.

급수 파이프(142)는 스팀통본체(141)와 연결 형성되어 물을 공급하며, 물의 공급을 단속하여 상기 오븐 내부의 습도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소정 개수의 노즐(142-1)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노즐을 통해 공급된 물이 분무된다.The water supply pipe 142 is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steam cylinder main body 141 to supply water, and a solenoid valve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humidity inside the oven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water is formed,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nozzl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42-1)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nozzle is sprayed.

배수 파이프(143)는 스팀통본체(141)와 연결 형성되어 스팀통본체(141) 내부의 물을 배출한다. 급수 파이프(142) 및 배수 파이프(143)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후술할 와류 발생 배관 또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ain pipe 143 is connected to the steam cylinder body 141 to discharge water inside the steam cylinder body 141. At least one area of the water supply pipe 142 and the drainage pipe 143 may further include a vortex-generating pipe or a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하부히터(144)는 스팀통본체 하부에 배치되어 열을 공급하다. 본 발명의 오븐(100)은 스팀통본체(141) 근처에 하부히터(144)를 배치함으로써, 스팀 발생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상술한 상부히터(130)와 함께 구성되어 오븐(100)의 열 공급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lower heater 144 is disposed under the steam cylinder body to supply heat. Ove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with the lower heater 144 near the steam cylinder main body 141 to increase the steam generation effect and is configured together with the upper heater 130 described above, the heat supply efficiency of the oven 100 Can increase.

단열부재(145)는 하부히터(144)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부히터(144)의 열이 스팀통(140)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단열부재(145)는 세라믹 소재 등 열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열부재(145)를 둠으로써 하부히터(144)의 열이 하부의 컨디셔너(200)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heat insulating member 145 is disposed under the lower heater 144 and prevents heat from the lower heater 144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eam container 140. The heat insulating member 145 may be formed of a structure that blocks heat, such as a ceramic material, and prevents heat from the lower heater 144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lower conditioner 200 or the outside by placing the heat insulating member 145. Can be.

분산용 플레이트(146)는 스팀통본체(141)의 상부에 배치되며, 하부히터(144)로부터의 열과 스팀통(140)에 의해 발생된 스팀이 베이킹 실(111)로 분산되어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관통구멍(146-1)이 천공되어 있다.The dispersing plate 146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eam cylinder body 141, and heat generated from the lower heater 144 and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cylinder 140 are distributed to the baking chamber 111 to be uniformly supplie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46-1 are perforated so as to be possibl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디셔너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디셔너의 열기순환모듈의 내부 사시도를 도시한다.Figure 5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hot air circulation module of the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디셔너(200)는 컨디셔너 본체(210), 컨디셔너 도어(220), 열공급모듈(230), 수용모듈(240), 열기순환모듈(300) 및 고정지지부(400)를 포함한다.5 and 6, the condition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ditioner body 210, a conditioner door 220, a heat supply module 230, a receiving module 240, a hot air circulation module ( 300) and a fixed support 400.

컨디셔너 본체(2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컨디셔너 도어(220)는 컨디셔너 본체(201)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어도 일 영역이 내열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열공급모듈은 컨디셔너(200) 내부에 열기를 공급한다. 열공급모듈(230)은 뜨거운 공기를 컨디셔너(200) 내부로 불어넣거나 열선등을 포함하여 컨디셔너(200) 내부에 열기를 공급할 수 있다. 수용모듈(240)은 반죽 또는 빵을 담은 선반을 수용하며,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쌍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열기순환모듈(300)은 열공급모듈(230)로부터 공급된 열기를 순환시킨다.The conditioner body 210 has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one side is formed in an open shape. The conditioner door 220 is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the opening of the conditioner body 201, and at least one region may be formed of heat-resistant glass. The heat supply module supplies heat to the interior of the conditioner 200. The heat supply module 230 may blow hot air into the conditioner 200 or supply heat to the inside of the conditioner 200 including a heating wire. The receiving module 240 accommodates a shelf containing dough or bread, and may be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them are pair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hot air circulation module 300 circulates hot air supplied from the heat supply module 230.

고정지지부(400)는 열공급모듈(230), 수용모듈(240) 및 열기순환모듈(300)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어 열변화에 대응하는 동시에 진동을 저감한다. 고정지지부(400)는 열공급모듈(230) 또는 수용모듈(240), 열기순환모듈(300) 구성들이 다른 구성들과 결합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열에 의해 구성끼리의 결합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각 구성간의 결합을 더욱 공고히 하는 구성이다.The fixed support 400 is formed in at least one region of the heat supply module 230, the receiving module 240, and the hot air circulation module 300 to respond to heat changes and reduce vibration. The fixed support 400 is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heat supply module 230 or the receiving module 240 and the hot air circulation module 300 are combined with other components to prevent weakening of the coupling between the components due to heat, and each It is a structure that strengthens the bonding between the structures.

열기순환모듈(300)는 컨디셔너(200) 내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는 상부덕트(331), 컨디셔너(200) 내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부덕트(331)의 내부 공기를 토출하는 하부덕트(332) 및 상부덕트(331)와 하부덕트(332) 사이에 형성되어, 상부덕트(331)의 내부 공기를 토출하는 중앙덕트(333), 하부덕트(332) 내부 및 중앙덕트(333) 내부 중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이물질 유입방지를 위한 필터(334), 열기순환부(330)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팬(335) 및 필터(334)의 적어도 일영역에 형성되는 공기질 측정기(336)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t air circulation module 300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conditioner 200, and is formed on the upper duct 331 that flows the upper air therein, and on the lower portion inside the conditioner 200, and inside the upper duct 331. It is formed between the lower duct 332 and the upper duct 331 and the lower duct 332 for discharging air, inside the central duct 333, the lower duct 332 for discharging the internal air of the upper duct 331, and It is formed in at least one area of the inside of the central duct 333 and the filter 334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s from flowing into the suction fan 335 and the filter 334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hot air circulation unit 330. It can be formed by the air quality meter 336 is formed.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부덕트(331)는 열공급모듈(230) 근처에 위치하여 열공급모듈(230)에서 토출된 열기나 건조바람을 유입한다. 이때 흡입팬(335)을 구동시킴으로써 유입되는 열기나 건조바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중앙덕트(333) 및 하부덕트(332)에 열기나 건조바람을 보냄으로써 컨디셔너(200) 내부의 열효율성 및 재료의 품질을 균질하게 할 수 있다.5 and 6, the upper duct 331 is located near the heat supply module 230 to flow hot air or dry wind discharged from the heat supply module 230. At this time, by driving the suction fan 335,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heat or dry wind flowing in. Thereafter, by sending heat or dry wind to the central duct 333 and the lower duct 332, the thermal efficiency inside the conditioner 200 and the quality of the material can be homogenized.

공기질 측정기(336)는 제 1 표시창 및 제 2 표시창을 포함하는 본체, 제 1 표시창에 형성된 제 1 공기질 표시부재 및 제 2 표시창에 형성된 제 1 공기질 표시부재를 포함한다. 제 1 공기질 표시부재는 공기 중 미세 입자 수준이 설정된 수치보다 높은 경우 시각적으로 일정한 변화율을 가지되, 그 변화율은 상기 제 2 공기질 표시부재의 변화율보다 크다. 또한, 제 1 공기질 표시부재는 대전 부직포를 포함하고, 제 2 공기질 표시부재는 비대전 부직포를 포함한다.The air quality meter 336 includes a body including a first display window and a second display window, a first air quality display member formed in the first display window, and a first air quality display member formed in the second display window. The first air quality display member has a visually constant rate of change when the level of fine particles in the air is higher than a set value, but the rate of change is greater than the rate of change of the second air quality display member. In addition, the first air quality display member includes a charged non-woven fabric, and the second air quality display member includes a non-charged non-woven fabric.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를 도시하고,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의 일부 단면도를 도시한다.7 shows a fixed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and 9 show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xed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400)는 볼(410), 전면판(420) 및 후면판(430)으로 형성될 수 있다.7 to 9, the fixed suppor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ball 410, a front plate 420 and a back plate 430.

볼(410)은 회전식 접촉부재로서 복수 개로 형성되며 다른 물체의 표면에 접촉된다. 볼(410)은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볼(410)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볼(141)의 개수와 위치는 임의로 변경이 가능하다. 볼(410)은 고온고압에도 탄성을 유지하는 탄성소재로 형성된다. The ball 410 is formed as a plurality of rotary contact members and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nother object. The ball 410 may use balls 410 of various sizes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and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balls 141 may be arbitrarily changed. The ball 41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at maintains elasticity even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전면판(420)은 탄성의 재질로 형성되며 볼(410)이 안착될 수 있는 볼안착공이 형성된다. 전면판(420)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측은 경사면이 형성되어, 진동 또는 열변형에 의해 상기 고정지지부의 양 모서리가 벤딩되더라도 상기 전면판과 상기 볼이 다른 물체의 표면에 지면이나 구조물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전면판(420)에는 회전식 접촉부재인 볼(410)이 안착될 수 있는 볼안착공(421)이 형성된다. 볼안착공(421)은 전면판(420)을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볼(4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면판(420)의 후면에서 전면방향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경사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볼(410)의 일부는 전면판(42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면판(420)의 적어도 일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ront plate 42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ball seating hole through which the ball 410 is seated is formed. At least one edge side of the front plate 420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so that even if both edges of the fixed support portion are bent due to vibration or thermal deformation, the front plate and the ball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or structure on the surface of another object. To maintain. The front plate 420 is formed with a ball seating hole 421 on which the ball 410, which is a rotary contact member, can be seated. The ball seating hole 421 is formed through the front plate 420 and is formed in an inclined funnel shape in which the diameter is reduced in the front direction from the rear side of the front plate 420 to prevent the ball 410 from coming off. Therefore, a part of the ball 410 is made of a structur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front plate 420. At least one region of the front plate 42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compared to other regions.

후면판(430)은 전면판(420)의 후면에 밀착되어 볼(410)이 전면판(420)의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다. 후면판(430)의 전면에는 볼(410)이 부분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볼안착홈(43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전면판(420)과 후면판(430)이 일체로 조립된 경우 볼(410)이 전면판(420)과 후면판(430)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The back plate 4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ide of the front plate 420 to prevent the ball 4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ar side of the front plate 420. A ball seating groove 431 in which the ball 410 is partially seated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 plate 430. When the front plate 420 and the back plate 430 are integrally assembled by such a structure, the ball 410 is stably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plate 420 and the back plate 430.

체결구(44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체결수단일 수 있으며, 볼트와 같은 다양한 결합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체결구(440)를 통해 다른 물체나 구조물에 고정지지부(400)가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체결구(440)의 형태 및 위치는 임의로 변경이 가능하다.The fastener 440 may be a commonly used fastening means, and may be combined with various coupling members such as bolts. Through the fastener 440, the fixed support 400 can be securely fixed to another object or structure.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fastener 440 can be arbitrarily changed.

도 7을 참조하면 고정지지부(400)는 하부면, 즉 지면이나 구조물과 직접 맞닿는 전면판(420)의 형상에 기술적 특징이 있으며, 전면판(420)에는 수평면과 경사면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fixed support 400 has technical features in the shape of the lower surface, that is, the front plate 420 directly contacting the ground or the structure, and the horizontal and inclined surfaces are formed in the front plate 420.

수평면은 고정지지부(400)의 중앙에 형성되는데, 지면이나 설치될 구조물과 평행하도록 평평한 형상을 이룬다. 수평면은 체결구(440)와 인접한 구역에 해당하기 때문에 고정지지부(400)의 가장 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동이나 열로 인한 변형이 크게 발생하지 않고 체결구(440)와 인접해 있기 때문에 의해 온도가 상승해도 지면이나 구조물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horizontal surfac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xed support 400, and forms a flat shape parallel to the ground or the structure to be installed. Since the horizontal surface corresponds to the area adjacent to the fastener 440,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by the fact that the deformation due to vibration or heat does not occur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edge of the fixed support 400 and is adjacent to the fastener 440. This is because it can maintain a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or the structure even if it is.

한편, 경사면은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데, 전면판(420)의 각 모서리 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경사면은 고정지지부(400)가 사각형인 경우 마주보는 각 모서리 측으로 경사를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진동이나 열로 인하여 변형이 발생하면 고정지지부(400)의 가장자리 특히, 양측 모서리 부분의 변형량이 가장 크기 때문에 변형을 고려하여 변형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분에 경사면을 형성시킨 것이다. 따라서, 지면이나 구조물에 접촉되는 고정지지부(400)의 전면판(420)은 열변형이 발생하여 양측 모서리 부분이 벤딩되더라도 경사면과 수평면은 연결된 구조물이나 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진동이나 열로 인한 변형 시에도 전면판(420)이 강하게 밀착되어 상호 간에 마찰력이 증가하므로 결합물과 단단히 고정되며 이로 인해 진동특성이 크게 변하지 않아 진동이 감소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Meanwhile, the inclined surface has an inclined shape, and is inclined toward each corner of the front plate 420. That is, the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with an inclination toward each corner facing each other when the fixed support 400 is a square. This is because when the deformation occurs due to vibration or heat, since the deformation amount of the edge of the fixed support 400, in particular, the edges of both sides is the largest, the slope is formed in the area where deformation occurs most in consideration of deformation. Thus, even if the front plate 420 of the fixed support 400 contacting the ground or the structure is thermally deformed and both corner portions are bent,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horizontal surface can remain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nected structure or ground. That is, even when deformed due to vibration or heat, the front plate 420 is tightly adher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rictional force increases with each other, so that the vibration is reduced because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are not significantly chang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전력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pparatus for measuring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전력 측정장치(900)는 메인공급선(A)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함으로써 어떤 전자장치가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하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사용전력 측정장치(900)는 메인공급선(A)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븐(100) 및 컨디셔너(200)는 하나의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used power measuring device 900 may determine which electronic device oper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supply line A by sensing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ain supply line A. The power measuring device 900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region of the main supply line (A). In one embodiment, the oven 100 and the conditioner 200 may be formed to receive power from one main supply line (A).

메인공급선(A)은 복수 개의 전자장치들(예, 오븐(100), 컨디셔너(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공급선(A)에는 오븐(100), 컨디셔너(200)들과 연결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연결 지점(x, y)이 존재할 수 있다. 메인공급선(A)은 멀티탭 또는 복수 개의 전자장치들이 연결되는 다양한 형태의 전원선일 수 있다.The main supply line A may mean a power supply line that supplies power to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eg, the oven 100 and the conditioner 200). In one embodiment, the main supply line (A) may have a plurality of connection points (x, y)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oven 100, the conditioners 200. The main supply line (A) may be a power strip of various types in which multiple tabs or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re connected.

본 발명의 사용전력 측정장치(900)는, 복수 개의 전자장치(예, 오븐(100), 컨디셔너(200))각각에 별도의 센서를 설치하지 않아도 전자장치들의 동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메인공급선(A)에 흐르는 전류 변화만을 감지하여 복수의 전자장치들의 동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apparatus 900 for measuring power consum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whether or not the electronic devices are operated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sensor in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eg, the oven 100 and the conditioner 200). 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re operating by sensing only a current change flowing in the main supply line (A).

일 실시예에서, 사용전력 측정장치(900)는 메인공급선(A)에 형성된 전류 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한 전류를 바탕으로 시간 영역 및/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메인공급선(A)의 전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 결과를 기초로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하는 전자장치들를 판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들(예, 오븐(100), 컨디셔너(200)) 각각의 고유의 전력 특성을 미리 파악하고, 각 전자장치의 접점인 모선에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각 전자장치의 동작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전자장치의 고유의 전력 특성은, 전자장치가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메인공급선(A)의 전류 변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유 전력 특성은, 전력이 공급되는 순간의 과도 상태의 전류 변화 형태와 위상 잡음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 잡음은 전자 디바이스에게 인가되는 전류의 주파수 주성분의 주변에서 형성된다. 전류의 주파수 주성분이란, 전류 값이 피크값을 나타내는 주파수에 대응하는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위상 잡음을 주요 사양으로 갖는 회로는 발진회로(Oscillator)가 있으며, 발진회로에서는 '위상잡음'을 고유 명사화하여 중심 주파수에서 특정 주파수 대략(Off-Set Frequency)까지의 전압 비율로 정의한다. 중심 주파수는, 전류 값이 피크값을 나타내는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d power measuring device 900 changes the current of the main supply line A in the time domain and / or the frequency domain based on the current sensed through the current sensor (not shown) formed in the main supply line A Can b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electronic devices that operat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supply line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que power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s (eg, the oven 100 and the conditioner 200) are identified in advance, and sensors are installed on a bus bar that is a contact point of each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an be determined. The inherent power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current change pattern of the main supply line (A) when the electronic device oper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supply line (A). For example, the intrinsic power characteristic may include a phase change and a phase noise in a transient state at the moment when power is supplied. Phase noise is formed around the frequency principal component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The frequency main component of the current may mean a component corresponding to a frequency whose current value represents a peak value. A circuit having phase noise as a main specification includes an oscillator, and in the oscillation circuit, 'phase noise' is a proper noun and is defined as a voltage ratio from a center frequency to a specific frequency (off-set frequency). The center frequency may mean a frequency at which a current value represents a peak valu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심 주파수 주변의 주파수 성분을 전자 디바이스의 고유 전력 특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전력 측정장치(900)가 전자장치의 동작을 감지함에 있어서, 중심 주파수 주변의 주파수 성분만을 추출해서 구별하는 위상 잡음 분석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노이즈에 의한 왜곡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frequency component around a center frequency may be used as a natural power characteristic of an electronic device. When the power consumption measuring apparatus 9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tects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t is possible to reduce distortion caused by noise by using a phase noise analysis method that extracts and distinguishes only the frequency components around the center frequency.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전자장치(예, 오븐(100), 컨디셔너(200)) 각각에 센서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전자장치들이 연결되는 메인공급선(A)에 설치된 센서만을 이용하여 어떤 전자 디바이스가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대략적인 전기 사용량을 계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for example, the oven 100 and the conditioner 200) are not provided with sensors, each electronic device uses only sensors installed on the main supply line A to which the electronic devices are connected. By determining whether it work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approximate amount of electricity used.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전력 측정장치(9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ower measuring apparatus 9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전력 측정장치(900)는 측정모듈(910), 저장모듈(920) 및 판단모듈(93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apparatus for measuring power consumption 900 may include a measurement module 910, a storage module 920, and a determination module 930.

측정모듈(910)는 오븐(100) 및 컨디셔너(200)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공급선(A)의 전류를 측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모듈(910)은 큰 전류를 견딜 수 있어야 하고, 설치가 용이해야 한다. 따라서, 측정모듈(910)는 로고스키 코일(Rogowski Coil), 홀 센서(Hall Senso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모듈(910)는 각 전자장치의 전류 변화만을 보다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그 출력단에 캐패시터가 접지 방향으로 션트(Shunt) 연결될 수 있다. 캐패시터의 임피던스(Z)는 Z= 1/jwC 이므로 고주파에서는 접지(Ground)와 유사하게 작용하여 전압이 작아지며, 저주파에서의 전압만 측정될 수 있다. 이때,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capacitance)가 너무 큰 경우, 전류 변화 모서리의 급격한 변화, 즉, 고주파 성분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적절한 캐패시터의 선택이 필요하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캐피시터는 메인공급선(A)에 연결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들 중 전류 변화 모서리의 변화가 가장 큰 전자 디바이스, 즉, 피크 전류가 가장 명확히 구별되는 전자 디바이스의 전류 변화를 확인하기에 적합한 캐피시터를 선택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module 910 measures the current of the main supply line A that supplies power to the oven 100 and the conditioner 200. The measurement module 9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should be able to withstand a large current and should be easy to install. Therefore, the measurement module 910 may be a Rogowski coil, a Hall sensor, or the lik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asurement module 910 may be connected to a shunt (Shunt) of the capacitor to the output terminal in order to more clearly distinguish the current change of each electronic device. Since the impedance (Z) of the capacitor is Z = 1 / jwC, the voltage decreases by acting similar to the ground at high frequencies, and only the voltage at low frequencies can be measured. At this time, if 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is too large, it is necessary to select an appropriate capacitor since the rapid change of the current change edge, that is,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cannot be confirmed. Therefore, in one embodiment, the capacitor identifies the current change of the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change of the current change edge is the largest among the electronic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main supply line (A), 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peak current is most clearly distinguished. A suitable capacitor can be selected.

저장모듈(920)은 오븐(100), 컨디셔너(200) 각각이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경우에 메인공급선(A)의 전류 변화 패턴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모듈(920)은 각 전자장치가 메인공급선(A)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경우 또는 메인공급선(A)에 연결된 전자장치의 전원(예: 오븐(100), 컨디셔너(200))이 ON되는 경우, 메인공급선(A)의 전류 변화 패턴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모듈(920)은, 오븐(100), 컨디셔너(200) 각각이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경우에 메인공급선(A)의 전류 변화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저장하거나, 전류 변화 패턴을 나타내는 특징값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모듈(920)은 주파수 영역에서 고유의 전류 변화 패턴을 나타내는 특징값으로서 소정 주파수 구간의 전류 변화 기울기, 소정 전류 크기에 대응하는 오프셋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예를들어, 저장모듈(920)은 시간 영역에서 고유의 전류 변화 패턴을 나타내는 특징값으로서 피크 전류와 정격 전류의비율, 정격 전류, 및 감지된 전류 변화가 안정화되는 시간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학습 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저장될 수도 있고,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저장모듈(920)은 전자장치가 사용한 전력량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저장모듈(920)는, 각 전자장치의 정격 전류, 정격 전압, 및 정격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모듈(920)은 각 전자장치가 단위 시간동안 사용하는 전력량을 저장함으로써, 각 전자장치가 동작한 시간에 기초하여 각 전자장치가 사용한 전력량 및 복수의 전자장치들(예: 오븐(100), 컨디셔너(200))이 사용한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The storage module 920 may store data indicating a current change pattern of the main supply line A when the oven 100 and the conditioner 200 each operat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supply line A. That is, the storage module 920 is turned on when each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main supply line (A) or operated, or power of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main supply line (A) (for example, the oven 100, the conditioner 200) is turned on. If possible, data representing the current change pattern of the main supply line A may be stored. For example, the storage module 920 stores a graph showing a current change pattern of the main supply line A when the oven 100 and the conditioner 200 each operat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supply line A Alternatively, a characteristic value representing a current change pattern can be stored. For example, the storage module 920 may store at least one of a current change slope in a predetermined frequency section and an offset frequency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urrent size as a characteristic value representing a unique current change pattern in the frequency domain. Alternatively, for example, the storage module 920 stores at least one of a ratio of a peak current to a rated current, a rated current, and a time when the sensed current change stabilizes as a characteristic value representing a unique current change pattern in the time domain. Can be. Such data may be stored by learning or user input, or may be received and stored from an external device. Further, the storage module 920 may store information necessary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power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the storage module 920 may store at least one of rated current, rated voltage, and rated power of each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the storage module 920 stores the amount of power used by each electronic device for a unit time, so that the amount of power used by each electronic device and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eg, oven) (100), the conditioner 200 may measure the amount of power used.

판단모듈(930)은 오븐(100), 컨디셔너(200) 각각이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경우, 측정모듈(910)을 통해 감지된 전류 변화와 저장모듈(9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오븐(100), 컨디셔너(200)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를 판별할 수 있다. 판단모듈(930)은 사용전력 측정장치(9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단모듈(930)은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하는 전자장치들(예: 오븐(100), 컨디셔너(200))을 판별하는 과정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판단모듈(930)은 복수의 전자장치들이 사용한 전력량을 측정하는 과정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module 930 is stored in the current change and the storage module 920 detected through the measurement module 910, when each of the oven 100 and the conditioner 200 oper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supply line A By comparing the data, an electronic device operating among the oven 100 and the conditioner 200 may be determined. The determination module 93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used power measuring device 9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etermination module 9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rocess of determining electronic devices (eg, the oven 100, the conditioner 200) that oper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supply line (A). Can play a role. Also, the determination module 930 may serve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rocess of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used by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단모듈(930)은 사용전력 측정장치(900)가 측정모듈(910)를 이용하여 메인공급선(A)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류를 바탕으로 시간 영역 및/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메인공급선(A)의 전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판단모듈(930)은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하는 전자장치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판단모듈(930)은 판별된 전자장치의 동작 시간 및 판별된 전자장치가 단위 시간동안 사용하는 전력량에 기초하여, 판별된 전자장치가 사용한 전력량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장치가 사용한 전력량은, 전자장치의 동작 시간에 전자장치가 단위 시간동안 사용하는 전력량을 곱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termination module 930 detect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ain supply line (A) by the power measurement device 900 using the measurement module 910, and based on the sensed current, the time domain and / or Alternatively, the current change of the main supply line A in the frequency domain can be analyzed. The determination module 930 may determine an electronic device that oper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supply line A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lso, the determination module 930 may determine the amount of power used by the determined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determined operation tim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amount of power used by the determined electronic device for a unit time. The amount of power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operation time of the electronic device by the amount of power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for a unit time.

또한, 판단모듈(930)은 소정 시간동안 측정된 각 전자정치사용한 전력량을 누적함으로써, 복수의 전자장치들(예: 오븐(100), 컨디셔너(200))이 사용한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판단모듈(930)은 소정 시간동안 측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가 사용한 전력량을 저장모듈(920)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module 930 may measure the amount of power used by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for example, the oven 100, the conditioner 200) by accumulating the amount of power used for each electronic politics measur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determination module 930 may store the amount of power used by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measur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storage module 920.

판단모듈(930)은 전자장치가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하는 경우, 측정모듈(910)를 통해 감지된 전류 변화와 저장모듈(9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판단모듈(930)은 감지된 전류 변화와 저장모듈(9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전자장치들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를 판별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module 930 may compare the current change detected through the measurement module 910 with data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920 when the electronic device oper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supply line A. The determination module 930 may determine the electronic device operating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by comparing the sensed current change with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920.

판단모듈(930)은 전자장치가 메인공급선(A)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순간의 과도 상태의 전류 변화를 기초로, 동작하기 시작한 전자 디바이스를 판별할 수 있다. 판단모듈(930)은 메인공급선(A) 통해 공급되는 전류가 제1 정상 상태로부터 제2 정상 상태로 변하는 과도 상태의 전류 변화와 저장모듈(9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전자장치들 중에서 동작하고 있는 전자장치를 판별할 수 있다. 제1 정상 상태는, 전자장치가 메인공급선(A)에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전자장치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정상 상태는, 전자장치가 메인공급선(A)에 연결되거나 전자장치의 전원이 켜지고 소정 시간이 지난 후의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module 930 may determine an electronic device that has started to operate based on a change in a transient state at the moment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main supply line A and operates. The determination module 930 compares the current change in the transient state in which the current supplied through the main supply line (A) changes from the first normal state to the second normal state and data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920, and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electronic device is operating. The first normal state may correspond to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connected to the main supply line (A) or the electronic device is turned off. The second normal state may correspond to a state after the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main supply line (A) or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is turned on.

일 예로서, 판단모듈(930)은 메인공급선(A)을 통해 공급되는 전류의 중심 주파수를 고려하여 결정된 소정 주파수 구간의 전류 변화 기울기를 추출할 수 있다. 판단모듈(930)은, 상기 감지된 전류 변화를 주파수 변환한 결과에 기초하여, 소정 주파수 구간의 전류 변화 기울기 및 소정 전류 크기에 대응하는 오프셋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추출된 값을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분리모듈, 상기 절단모듈, 상기 절단이송모듈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판단모듈(930)은, 메인공급선(A)을 통해 공급되는 전류의 중심 주파수를 고려하여 결정된 상기 소정 주파수 구간의 전류 변화 기울기와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분리모듈, 절단모듈, 상기 절단이송모듈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판단모듈(930)은, 오븐(100) 및 컨디셔너(200)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의 동작 시간 및 단위시간당 사용전력량에 기초하여, 오븐(100) 및 컨디셔너(200)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가 사용한 전력량을 계산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determination module 930 may extract a slope of a current change in a predetermined frequency se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enter frequency of the current supplied through the main supply line (A). The determination module 930 extracts at least one of a slope of a current change in a predetermined frequency section and an offset frequency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urrent size based on a result of frequency conversion of the detected current change, and stores the extracted value An electronic device operating among the separation module, the cutting module, and the cutting and transferring module can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data stored in the module. Also, the determination module 930 compares the slope of the current change in the predetermined frequency section and data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by considering the center frequency of the current supplied through the main supply line (A) to separate the module, the cutting module, An electronic device operating among the cut transfer modules may be identified.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module 930, the electronic device operating in the oven 100 and the conditioner 200, based on the operating time and the amount of power used per unit time of the electronic device operating in the oven 100 and the conditioner 200 The amount of power used can be calculate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 발생 배관을 도시한다.12 illustrates a vortex generating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와류 발생 배관(700)은 유입되는 유체에 나선형 흐름(즉, 와류)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 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유입되는 유체에 나선형 흐름을 발생시킴으로써,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 내에서 유체가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선형 흐름에 의해 유체의 이동 경로가 길어짐으로써 스케일 제거 효과, 압축 공기의 잔수 등의 제거 효과 등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vortex generating pipe 700 is for forming a helical flow (ie, vortex) in the inflowing fluid, and is formed in at least one region inside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age pipe 143, and the inflow By generating a helical flow in the fluid to be made, it is possible to make the fluid function more effectively in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age pipe 143. For example, as the flow path of the fluid becomes longer due to the helical flow, the effect of descaling and the effect of removing compressed air and the like can be further improved.

와류 발생 배관(700)은 와류 배관(710) 및 와류 발생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vortex generating pipe 700 may include a vortex pipe 710 and a vortex generating portion 720.

와류 배관(710)은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 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유체가 흐르는 공간 및 와류 발생부(72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와류 배관(710)은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의 다른 배관들과 탈착 결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양 단부 내측에 나사선(714, 714')이 형성되어, 일 실시예에서는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과 탈착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The vortex piping 710 is formed in at least one region inside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age pipe 143, and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a fluid flows and a space in which the vortex generator 720 is disposed. The vortex pipe 71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other pipes of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age pipe 143, and for this purpose, threads 714 and 714 'are formed inside both ends, in one embodiment I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pipe 142 or the drain pipe 143.

와류 발생부(720)는, 와류 배관(710) 내부의 일 영역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날개(722) 및 둘레부(7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나선형 날개(722)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가 결합하여 유체가 흐를 때 회전하면서 유체의 나선형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둘레부(724)는 와류 배관(710)의 내면에 접하고, 나선형 날개(722)의 외측 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둘레부(724)를 통해 나선형 날개(722)의 회전 시, 나선형 날개(722)와 와류 배관(710) 내측면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이나 충격을 경감 또는 제거할 수 있다.The vortex generator 720 is disposed in an area inside the vortex pipe 710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spiral blade 722 and a circumference 724. Here, the spiral blades 722 may generate at least one of the helical flows of the fluid while rotating when the fluid flows by combining at least one around the rotation axis. In addition, the circumferential portion 724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ortex pipe 710, the outer end of the spiral wing 722 may be coupled. When the spiral blade 722 is rotated through the circumferential portion 724, friction or impact that may occur between the spiral blade 72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vortex pipe 710 may be reduced or eliminated.

이를 위해 둘레부(724)는 둘레부(724)가 접하는 와류 배관(710)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o this end, the circumferential portion 724 preferably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ortex pipe 710 that the circumferential portion 724 contac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와류 배관(710) 중 와류 발생부(720)와 인접한(예를 들어, 와류 발생부(720) 전단의) 와류 배관(710)의 관로(712)는 와류 발생부(720)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체의 흐름을 보다 집중화하여 유체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키고, 나선형 날개(722)의 중앙 영역에 유체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빠른 유체의 나선형 흐름을 형성 및 촉진시키고, 특히, 나선형 날개(722)의 (중앙 영역을 제외한) 주변 영역으로 유체가 흐르는 경우, 상기 유체와 나선형 날개(722)와의 접촉 기회가 줄어들어 유체 흐름이 형성되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uit 712 of the vortex pipe 710 adjacent to the vortex generator 720 (for example, before the vortex generator 720) 712 of the vortex pipe 710 goes toward the vortex generator 720 It can be formed to have a small cross-sectional area. That is, the flow of the fluid may be more concentrated to increase the speed of movement of the fluid, and allow the fluid to flow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spiral blade 722. This creates and promotes faster helical flow of fluid, and in particular, when fluid flows to the peripheral region (except the central region) of the spiral blade 722, the chance of contact between the fluid and the spiral blade 722 decreases,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flow is not formed.

한편, 와류 배관(710)의 나사선(714, 714')은 내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하되, 와류 발생부(720)에 인접하여 형성함으로써, 와류 발생부(720), 특히 와류 발생부(720)의 둘레부(724)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유체의 흐름에 따라 와류 발생부(720)가 회전하는 것과 동시에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와류 발생부(720)가 이동함으로써 배관 내에서 의도하지 않은 충격이나 의도하지 않은 와류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나사선(714, 714')을 통해 이러한 와류 발생부(72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hreads 714, 714 'of the vortex pipe 710 protrude to the insid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are formed adjacent to the vortex generator 720, so that the vortex generator 720, in particular, the vortex generator 720 ) Can limit movement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724. That is, the vortex generator 720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he fluid, and at the same time, the vortex generator 720 moves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thereby causing an unintended shock or unintended vortex in the pipe. However, it is possible to prevent movement of the vortex generator 720 through the threads 714 and 714 '.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 파이프 또는 배수 파이프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다.13 shows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water supply pipe or a drainage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는 적어도 일 영역에 이물질 제거장치(8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물질 제거장치(800)는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13,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age pipe 14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oreign material removing device 800 in at least one area, and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device 800 )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age pipe 143.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 내부에는 슬러지나 스케일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슬러지나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하여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이물질 제거장치(8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 제거장치(800)는 이물질 제거장치(800)는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될 수 있어, 관리자가 스케일이나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이물질 제거장치(800)를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 외부에서 작동시킬 수 있다. 특히, 이물질 제거장치(800)가 형성되는 곳의 챔버케이스(211a) 외주면의 적어도 일 영역을 투명한 재질로 형성시킴으로써,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 내부에 스케일이 형성되고 있는 상태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ludge or scale may be formed inside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 pipe 143, and in order to remove the sludge or scale, a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at least one area of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 pipe 143) 800) may be combined.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device 800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age pipe 143, so that the administrator removes the foreign substance to remove scale or sludge. Can be operated outside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age pipe 143. Particularly, by forming at least one area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amber case 211a where the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800 is formed from a transparent material, a state in which the scale is formed in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age pipe 143 is formed. You can make it visible to the user.

이물질 제거장치(800)는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의 일 영역에 설치되어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와 연통되며,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 내부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장치(800)는 스케일 또는 다른 잔여물로 인해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의 직경이 좁아진 경우, 스케일을 제거함으로써, 역류 현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에 복수 개의 이물질 제거장치(800)가 형성될 수 있다. The debris removal device 800 is installed in one area of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age pipe 143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age pipe 143, and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age pipe 143 The scale formed inside can be removed. When the diameter of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age pipe 143 is narrowed due to the scale or other residues,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device 800 can prevent the backflow phenomenon and the like by removing the scal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plurality of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s 800 may be formed in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age pipe 143.

이물질 제거장치(8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810), 이동부(820) 및 탄성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3, the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800 may include a body part 810, a moving part 820, and an elastic part 830.

도 13의 (a)를 참조하면, 본체부(810)는 일 단부에 배출구(811)가 형성되며, 다른 단부에 유입구(8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810)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이동부(820) 및 탄성부(830)를 수용할 수 있다. 배출구(811)는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와 결합 및 연통될 수 있으며, 이동부(820)는 배출구(811)를 거쳐 배관 내부로 출입할 수 있다. 도 13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출구(81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구(811)에 형성된 구멍의 지름의 크기와 이동부(820)의 지름의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부(820)가 배출구를 통해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 내부로 왕복 운동을 하더라도 배관 내부의 유체가 본체부(81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유입구(812)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기 전에는 본체부 외부에 위치하는 이동부(820)가 본체부(810) 내부로 유입되는 곳이다. 도 13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입구(812)에는 턱이 형성되 어 이동부(820)의 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13, the main body 810 may have an outlet 811 formed at one end and an inlet 812 formed at the other end. In addition,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810 to accommodate the moving part 820 and the elastic part 830. The outlet 811 may be coupled and communicated with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 pipe 143, and the moving part 820 may enter and exit the pipe through the outlet 811. As shown in (a) of Figure 13, the outlet 811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size of the diameter of the hole formed in the outlet 811 and the size of the diameter of the moving portion 820 to be the same Can be. Through this, even if the moving part 820 reciprocates into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age pipe 143 through the outlet, fluid inside the pipe may not be introduced into the body part 810. The inlet 812 is a place where the moving part 820 located outside the body part flows into the body part 810 before the user applies a force. 13 (a), a jaw is formed in the inlet 812 to limi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moving part 820.

이동부(820)는 본체부(810) 내부에 배치되어, 본체부(810)의 너비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동부(820) 외주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걸림턱(8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턱(821)과 탄성부(830)가 결합됨으로써, 이동부(820)와 탄성부(830)는 서로 연동될 수 있다. 또한, 걸림턱(821)은 본체부(810)의 배출구(811)에 걸림으로써,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 내부로 삽입되는 이동부(820)의 길이를 일정 길이로 조절할 수 있다.The moving part 820 is disposed inside the body part 810, and may reciprocat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art 810. As illustrated in FIG. 13, a locking jaw 821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reg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part 820, and the locking jaw 821 and the elastic part 830 may be combined to move the moving part 820. And the elastic part 830 may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by engaging the outlet 811 of the main body portion 810, the locking jaw 821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moving portion 820 inserted into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age pipe 143 to a certain length. have.

또한,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동부(820)의 양 끝단 중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 내부와 연결되는 끝단에는 스케일 제거판(8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반대 끝단에는 사용자의 힘을 받는 가압부(823)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823)는 사용자의 힘을 충분히 전달받기 위하여 표면적이 넓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압부(823)는 소변기의 누름 버튼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3, a scale removing plate 822 may be formed at an e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age pipe 143 among both ends of the moving part 820, and the opposite end The pressurizing portion 823 receiving the user's force may be formed. The pressing portion 823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large surface area in order to sufficiently receive the user's power. In one embodiment, the pressing portion 823 may be formed in a form similar to a push button of the urinal, and through this, even a general person who is not an expert can easily operate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스케일 제거판(822)은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 내부에 형성된 스케일과 직접 맞닿는 부분으로써,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적이 넓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 내부에 스케일이 넓게 형성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스케일 제거판(822)은 실시예에 따라 브러쉬 형태, 송곳 형태, 넓은 표면적을 가진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 등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스케일 제거판(822)이 형성될 수 있다.The scale removing plate 822 is a portion in direct contact with the scale formed inside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age pipe 143, and as shown in FIG. 13, may have a large surface area. Through this, even when the scale is widely formed inside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age pipe 143, the scale can be easily removed. However, this is an exemplary form, and the scale removing plate 822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of the scale removing plate 822 according to embodiments such as a brush shape, an awl shape, and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having a large surface area. Can be.

일 실시예에서, 스케일 제거판(823)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동부(820)의 일 단부가 스케일 제거판(823)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cale removing plate 823 may be omitted, and in this case, one end of the moving part 820 may serve as the scale removing plate 823.

탄성부(830)는 이동부(820)와 결합되며, 이동부(820)의 왕복 운동과 연동하여 탄성 운동할 수 있다. 탄성부(830)는 이동부(820)를 일정 위치로 유지시켜 주는 구성으로서,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부(830)는 외력이 가해졌을 때, 수축되면서 이동부(820)의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 내부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귀함에 따라 이동부(820)를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탄성부(830)는 도 13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고무 또는 실리콘 등 변형 및 복원력이 우수한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astic portion 830 is coupled to the moving portion 820, and may perform elastic movement in conjunction with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moving portion 820. The elastic part 830 is a configuration that maintains the moving part 820 in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may be formed of an elastic body. That is,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elastic part 830 enables movement of the moving part 820 into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age pipe 143 while being contracted, and returns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ccordingly, the moving unit 820 is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The elastic portion 830 may be formed of a spring, as shown in (b) of FIG. 13, but this is an example, and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having excellent deformation and resilience, such as rubber or silic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일 실시예에서, 이물질 제거장치(800)는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로부터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는 이물질 제거장치(800)와 결합되는 결합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 제거장치(800)는 나사홈(미도시)을 형성시킨 후, 평상시에는 마개를 이용하여 결합부(미도시)를 차폐하다가,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 내의 스케일을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결합부(800)에 결합시킨 후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ebris removal device 800 may be removable from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age pipe 143. To this end,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age pipe 143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part (not shown) coupled with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800. For example, after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800 forms a screw groove (not shown), the coupling part (not shown) is usually shielded using a stopper, and then in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 pipe 143 When removing the scale, the user can remove the scale after the foreign matter remov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8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8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먼저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 내에 스케일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800)의 가압부(823)를 눌러주면, 스케일 제거판(822)이 스케일을 밀어내면서 스케일을 급수 파이프(142) 또는 배수 파이프(143) 내벽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떼어낼 수 있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debris removal device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shown in Figure 13 (a), a scale may occur in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the drain pipe 143. Next, as shown in Figure 13 (b),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portion 823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device 8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ale removing plate 822 pushes the scale while supplying the scale to the water supply pipe 142 or drain pipe 143 can be effectively removed from the inner wall.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풍기를 도시한다.14 and 15 show a hot air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통을 포함하는 제과제빵장치(10)는 오븐(100) 또는 컨디셔너(200)의 내부에 열풍기(1)를 더 포함한다. 열풍기(1)는 스티통(140)에서 발생하여 수직으로 상승하는 스팀을 오븐(100)의 좌우 수평방향으로 분산시키는 구성으로서 열풍기(1)를 통해, 스팀을 오븐(100) 전체에 고르게 퍼트릴 수 있다. 또한, 열풍기(1)는 컨디셔너(200) 내부에도 설치되어, 열공급모듈(230)의 열기를 좌우 수평방향 또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열기를 컨디셔너(200) 전체에 골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열풍기(1)는 오븐(100) 또는 컨디셔너(200) 내부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The confectionery bakery apparatus 10 including a steam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ot air fan 1 inside the oven 100 or the conditioner 200. The hot air blower 1 is configured to disperse vertically rising steam generated in the stippler 140 in the horizont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f the oven 100. Through the hot air blower 1, the steam is evenly spread throughout the oven 100. Can be. In addition, the hot air fan (1) is also installed inside the conditioner 200, it is possible to disperse the heat of the heat supply module 2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up and down vertical direction, through which the heat is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nditioner 200 Can be. A plurality of hot air blowers 1 may be formed inside the oven 100 or the conditioner 2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풍기(1)는 본체하우징(10)과, 제1필터(20)와, 이동하우징(30)과, 제2필터(40)와, 돌출하우징(50)과, 유동부재(60)를 포함한다. 본체하우징(10)은 팬(11)과, 팬구동모터(13)와, 열선코일(15)을 포함하고 있다.The hot air blow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ousing 10, a first filter 20, a moving housing 30, a second filter 40, a protruding housing 50, and a flow. It includes a member (60). The body housing 10 includes a fan 11, a fan driving motor 13, and a heating coil 15.

팬(11)은 바람을 일으키는 부위이며, 팬구동모터(13)는 상기 팬(11)을 회전시키는 것이며, 상기 열선코일(15)은 상기 팬(11)으로부터 유동되는 공기의 온도를 높이는 구성이다. 본체하우징(10)의 외부에 팬(11)으로 흡입되는 양측의 공기 흡입구(19)에 그 형상에 맞게 필터안착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제1필터(20)는 상기 필터안착홈(17)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본체하우징(10)의 양측에 형성된 필터안착홈(17)에 결합되어 팬(11)으로 공급되는 외부의 공기 중에 이물질 등을 걸러낸다. 제1필터(2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기정화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동하우징(30)은 본체하우징(10)의 단면 크기의 중공관이 형성되어 본체하우징(10)의 외부에 중공관의 일측이 결합되며, 그 타측은 중공관 외주면에 중심방향으로 고정돌기(31)가 돌출된다. 제2필터(40)는 이동하우징(30)의 고정돌기(31)가 위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돌기(31)에 안착되며, 제1필터(20)에 의하여 한번 걸러진 외부공기를 한번 더 걸러주어 인체에 이물질 등이 제거된 깨끗한 열풍을 공급 가능하게 한다. 돌출하우징(50)은 이동하우징(30)의 본체하우징(10)이 위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용자의 신체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굴곡되며, 이동하우징(30)이 위치된 측의 반대 측의 종단에 각각이 회동가능하여 바람의 양을 조절하는 다수개의 날개부(51)가 결합된 것을 포함한다. 날개부(51)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에어컨이나 온풍기의 출구에 부착된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날개의 형상을 가지며, 각각이 회동가능하여 열풍의 방향과 양을 조절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돌출하우징(50)의 날개부(51)가 위치된 측의 종단 일면에 고리형상의 램프고리(53)를 형성하고, 램프고리(53)에 자외선램프(70)를 더 구비하여 결합시켜 오븐(100) 또는 컨디셔너(200)의 내부 공기를 소독한다. The fan 11 is a portion that causes wind, and the fan driving motor 13 rotates the fan 11, and the heating coil 15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air flowing from the fan 11 . Filter seating grooves 17 are formed in the air intakes 19 on both sides of the body housing 10 to be sucked into the fan 11 to suit its shape. The first filter 2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lter seating groove 17, and is coupled to the filter seating grooves 17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housing 10, and in the outside air supplied to the fan 11 It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The first filter 20 may be a commonly used air purification filter. The movable housing 30 is formed with a hollow tube having a cross-sectional size of the main body housing 10, so that one side of the hollow tube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10, and the other side of the hollow tube is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tube 31 ) Is protruding. The second filter 40 is inser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31 of the moving housing 30 is located and seated on the fixing protrusion 31, and the outside air filtered once by the first filter 20 By filtering once more, it is possible to supply clean hot air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to the human body. The protruding housing 50 exte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housing 10 of the moving housing 30 is located, bend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s body is located, and is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moving housing 30 is located. Each end is rotatable at the end of the sid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wing parts 51 that control the amount of wind. The wing portion 51 has a shape of a wind direction adjustment blade that controls the direction of the wind attached to the outlet of a generally used air conditioner or a warm air fan, and each can be rotated to control the direction and amount of hot air. Then, the annular lamp ring 53 is formed on one end surface of the side where the wing part 51 of the protruding housing 50 is located, and the lamp ring 53 is further provided with an ultraviolet lamp 70 to be coupled to it. The inside air of the oven 100 or the conditioner 200 is disinfected.

유동부재(60)는 이동하우징(30)을 본체하우징(10)으로부터 전진 및 후퇴되도록 상대 이동시키는 것으로, 제1기어(61)와, 제2기어(62)와, 회전축(63)과, 회전모터(64)와, 제어부(65)를 포함한다. 제1기어(61)는 이동하우징(30)의 상부에 결합되며, 이동하우징(3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일자형으로 배치된다. 제2기어(62)는 제1기어(61)와 기어 결합되며, 원형의 형상을 가진다. 회전축(63)은 제2기어(62)와 수직결합되며, 상기 제2기어(62)와 함께 회전한다. 회전모터(64)는 회전축(63)과 결합하여, 회전축(63)을 회전시킨다.The flow member 60 moves relative to the moving housing 30 so as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main housing 10, the first gear 61, the second gear 62, the rotating shaft 63, and the rotation A motor 64 and a control unit 65 are included. The first gear 61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housing 30, and is disposed in a long straight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housing 30. The second gear 62 is geared with the first gear 61 and has a circular shape. The rotating shaft 63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second gear 62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second gear 62. The rotating motor 64 is combined with the rotating shaft 63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63.

열풍제어모듈(65)은 회전모터(64)를 정회전시켜 이동하우징(30)을 상기 본체하우징(10)으로부터 전진시켜 돌출하우징(50)을 본체하우징(1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커나, 회전모터(64)를 역회전시켜 돌출하우징(50)을 후퇴시켜 돌출하우징(50)이 본체하우징(10)과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The hot air control module 65 rotates the rotating motor 64 forward to move the moving housing 30 from the main body housing 10 to move the protruding housing 50 away from the main body housing 10, or rotate By rotating the motor 64 reversely, the protruding housing 50 is retracted so that the protruding housing 50 is moved to move closer to the main housing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통을 포함하는 제과제빵장치(10)는 열풍기(1) 및 분산용 플레이트(146)를 포함하여 스팀을 오븐(100) 내부에 더욱 고르게 분산할 수 있다. 또한, 컨디셔너(200)의 경우에도 열풍기(1) 및 열기순환모듈(300)을 포함하여 열기를 컨디셔너(200) 내부에 더욱 고르게 분산할 수 있다.The confectionery and bakery apparatus 10 including a steam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distribute the steam evenly inside the oven 100 including the hot air fan 1 and the dispersing plate 146.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the conditioner 200, the hot air can be more evenly distributed inside the conditioner 200, including the hot air fan 1 and the hot air circulation module 300.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Will be able to.

10: 스팀통을 포함하는 제과제빵장치
100: 오븐
200: 컨디셔너
300: 열기순환모듈
400: 고정지지부
700: 와류 발생 배관
800: 이물질 제거장치
900: 사용전략 측정장치
10: confectionery bakery apparatus including a steam container
100: oven
200: conditioner
300: hot air circulation module
400: fixed support
700: vortex generating piping
800: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900: use strategy measuring device

Claims (2)

열을 가하여 빵을 구워내는 오븐; 및
상기 오븐의 하부에 설치되어 반죽을 냉동보관, 해동 또는 발효시키거나 상기 오븐에서 구워진 빵을 온장하는 컨디셔너를 포함하고,
상기 오븐은,
일측이 개구된 오븐 본체; 상기 오븐 본체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븐 도어; 상기 오븐 본체 내부의 베이킹 실 상부에 배치되어 열을 공급하는 상부 히터; 상기 베이킹 실 하부에 배치되어 스팀을 제공하는 스팀통을 포함하고,
상기 스팀통은,
상기 베이킹 실 하부에 배치되며, 내주면에 물을 수용하는 스팀통본체; 상기 스팀통본체와 연결 형성되어 물을 공급하며, 물의 공급을 단속하여 상기 오븐 내부의 습도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소정 개수의 노즐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노즐을 통해 공급된 물이 분무되는 급수 파이프; 상기 스팀통본체와 연결 형성되어 상기 스팀통본체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 파이프; 상기 스팀통본체 하부에 배치되어 열을 공급하는 하부 히터; 상기 하부 히터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히터의 열이 상기 스팀통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부재; 및 상기 스팀통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히터로부터의 열과 상기 스팀통에 의해 발생된 스팀이 상기 베이킹 실로 분산되어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관통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분산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컨디셔너는,
일측이 개구된 컨디셔너 본체; 상기 컨디셔너 본체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컨디셔너 도어; 상기 컨디셔너 내부에 열기를 공급하는 열공급모듈; 반죽 또는 빵을 담은 선반을 수용하는 수용모듈; 상기 열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된 열기를 순환시키는 열기순환모듈; 및 상기 열공급모듈, 상기 수용모듈 및 상기 열기순환모듈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어 열변화에 대응하는 동시에 진동을 저감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열기순환모듈은 상기 컨디셔너 내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는 상부덕트; 상기 컨디셔너 내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덕트의 내부 공기를 토출하는 하부덕트; 및 상기 상부덕트와 상기 하부덕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덕트의 내부 공기를 토출하는 중앙덕트; 상기 하부덕트 내부 및 상기 중앙덕트 내부 중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이물질 유입방지를 위한 필터; 상기 열기순환모듈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팬; 상기 필터의 적어도 일영역에 형성되는 공기질 측정기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지지부는 다른 물체의 표면에 접촉되는 복수 개의 볼; 탄성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볼이 안착될 수 있는 볼안착공이 형성되는 전면판; 및 상기 전면판의 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볼이 전면판의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면판;을 포함하되, 상기 후면판의 전면에는 상기 볼이 부분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볼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측은 경사면이 형성되어, 진동 또는 열변형에 의해 상기 고정지지부의 양 모서리가 벤딩되더라도 상기 전면판과 상기 볼이 다른 물체의 표면에 지면이나 구조물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오븐 및 상기 컨디셔너는 하나의 메인공급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메인공급선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어 사용전력을 측정하는 사용전력 측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전력 측정장치는,
상기 오븐 및 상기 컨디셔너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메인공급선의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모듈; 상기 오븐 및 상기 컨디셔너 각각이 상기 메인공급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메인공급선의 전류 변화 패턴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및 상기 오븐 및 상기 컨디셔너 각각이 상기 메인공급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경우, 상기 측정모듈을 통해 감지된 전류 변화와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오븐 및 상기 컨디셔너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를 판별하는 판단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감지된 전류 변화를 주파수 변환한 결과에 기초하여, 소정 주파수 구간의 전류 변화 기울기 및 소정 전류 크기에 대응하는 오프셋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추출된 값을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오븐 및 상기 컨디셔너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를 판별하고,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메인공급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류의 중심 주파수를 고려하여 결정된 상기 소정 주파수 구간의 전류 변화 기울기와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오븐 및 상기 컨디셔너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를 판별하고,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오븐 및 상기 컨디셔너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의 동작 시간 및 단위시간당 사용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오븐 및 상기 컨디셔너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가 사용한 전력량을 계산하고,
상기 급수 파이프 또는 상기 배수파이프 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는 와류 발생 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와류 발생 배관은 유체가 흐르는 와류 배관; 및 상기 와류 배관 내부의 일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의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류 발생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날개; 및 상기 와류 배관의 내면에 접하고, 상기 나선형 날개가 고정 결합되는 둘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 파이프 또는 상기 배수파이프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븐 또는 상기 컨디셔너의 내부에는 열풍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풍기는 바람을 일으키는 팬;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구동모터; 상기 팬으로부터 유동되는 공기의 온도를 높이는 열선코일; 및 상기 팬과 상기 팬구동모터와 상기 열선코일을 수용하는 본체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열풍기는, 상기 팬에 공기가 공급되는 상기 본체하우징의 흡입구에 결합되며, 상기 팬에 공급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걸러주는 제1필터; 상기 본체하우징의 단면 크기의 중공관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하우징의 외부에 상기 중공관의 일측이 결합되며, 그 타측은 상기 중공관 외주면에 중심방향으로 고정돌기가 돌출된 것을 포함하는 이동하우징; 상기 이동하우징의 상기 고정돌기가 위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안착되며, 상기 본체하우징에서 발생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한번 더 걸러주는 제2필터; 상기 이동하우징의 상기 본체하우징이 위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용자의 신체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굴곡되며, 상기 이동하우징이 위치된 측의 반대 측의 종단에 각각이 회동가능하여 바람의 양을 조절하는 다수개의 날개부가 결합된 것을 포함하는 돌출하우징; 상기 이동하우징을 상기 본체하우징으로부터 전진 및 후퇴되도록 상대 이동시키는 유동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동부재는,
상기 이동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일자형으로 배치된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원형의 제2기어; 상기 제2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제2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돌출하우징의 상기 날개부가 위치된 측의 종단 일면에 고리형상의 램프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램프고리에 결합되며, 상기 오븐 또는 상기 컨디셔너의 내부 공기를 소독하는 자외선램프; 상기 회전모터를 정회전시켜 상기 이동하우징을 상기 본체하우징으로부터 전진시켜 상기 돌출하우징을 상기 본체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커나, 상기 회전모터를 역회전시켜 상기 돌출하우징을 후퇴시켜 상기 돌출하우징이 상기 본체하우징과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열풍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스팀통을 포함하는 제과제빵장치.



Oven to bake bread by heating; And
It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ven and includes a conditioner to freeze, thaw or ferment the dough or to warm the bread baked in the oven,
The oven,
An oven body having one side opened; An oven door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an opening of the oven body; An upper heater disposed above the baking chamber inside the oven body to supply heat; It is disposed under the baking chamber and includes a steam container to provide steam,
The steam barrel,
A steam cylinder body disposed under the baking chamber and receiving water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olenoid valve is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steam cylinder to supply water, and controls the humidity inside the oven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water,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nozzle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and supplied through the nozzle Water supply pipe to which the sprayed water is sprayed; A drain pipe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steam cylinder to discharge water inside the steam cylinder; A lower heater disposed under the steam cylinder to supply heat; An insulating member disposed under the lower heater and preventing heat from the lower heater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eam cylinder; And a distribution plate that is disposed on the steam cylinder body and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erforated so that heat from the lower heater and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cylinder are distributed and uniformly supplied to the baking chamber. And
The conditioner,
A conditioner body having one side opened; A conditioner door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an opening of the conditioner body; A heat supply module supplying heat to the interior of the conditioner; A receiving module accommodating a shelf containing dough or bread; A hot air circulation module circulating hot air supplied from the heat supply module; And it is formed in at least one area of the heat supply module, the receiving module and the hot air circulation module includes a fixed support for reducing the vibration while responding to heat changes,
The hot air circulation module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conditioner, the upper duct for introducing the air of the upper into the interior; A lower duct formed at a lower portion inside the conditioner and discharging the internal air of the upper duct; And a central duct formed between the upper duct and the lower duct to discharge internal air of the upper duct. A filter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inside of the lower duct and the inside of the central duct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A suction fan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hot air circulation module; It is formed of an air quality meter formed in at least one area of the filter,
The fixed support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alls contacting the surface of another object; A front plat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having a ball seating hole on which the ball can be seated; And a rear plat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late and prevents the ball from coming off the rear side of the front plate, wherein a ball seating groov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plate to partially seat the ball. , At least one edge side of the front plate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so that even if both edges of the fixed support are bent by vibration or thermal deformation, the front plate and the ball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or structure on the surface of another object. Maintain,
The oven and the conditioner are supplied with power from one main supply line, further comprising a power measurement device that is formed in at least one area of the main supply line to measure the power consumption,
The used power measuring device,
A measuring module measuring a current of the main supply line supplying power to the oven and the conditioner;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data representing a current change pattern of the main supply line when each of the oven and the conditioner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supply line; And when each of the oven and the conditioner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supply line, determining a current change detected through the measurement module and data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from among the oven and the conditioner. Includes a judgment module,
The determination module extracts at least one of a slope of a current change in a predetermined frequency section and an offset frequency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urrent size based on a result of frequency conversion of the sensed current change, and extracts the extracted value to the storage module By comparing with the stored data to determine the electronic device operating among the oven and the conditioner,
The determination module determines an electronic device operating among the oven and the conditioner by comparing the current change slope of the predetermined frequency section and data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center frequency of the current supplied through the main supply line and,
The determination module calculates the amount of power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operating in the oven and the conditioner based on the operating time and the amount of power used per unit time of the electronic device operating in the oven and the conditioner,
The water supply pipe or the drain pipe further includes a vortex-generating piping formed in at least one region, wherein the vortex-generating piping includes a vortex piping through which fluid flows; And a vortex generating unit disposed in an area inside the vortex pipe to generate vortex of the fluid, wherein the vortex generating unit comprises: at least one spiral wing coupled around a rotation axis; And a circumferential por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ortex pipe and fixedly coupled to the spiral blade,
Further comprising a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formed in at least one area of the water supply pipe or the drainage pipe,
The oven or the inside of the conditioner further includes a hot air fan,
The fan is a fan that causes wind; A fan driving motor that rotates the fan; A heating coil that increases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from the fan; And a body housing accommodating the fan, the fan driving motor, and the heating coil,
The hot air fan is coupled to an inlet of the main housing in which air is supplied to the fan, and includes a first filter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supplied to the fan; A hollow tube having a cross-sectional size of the main body housing is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hollow tube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moving housing including a fixed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center direction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tube; A second filter which is inser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ed protrusion of the moving housing is located, seated on the fixed protrusion, and filter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air generated in the main housing once more; The body housing of the movable housing exte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dy housing is located, and is b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ser's body is located, and each of the movable housing is rotatable to the end of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where the movable housing is located, and thus the amount of wind Protruding hous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wing parts to adjust the; Further comprising a flow member for moving the moving housing relativ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body housing,
The flow member,
A first gea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housing and arranged in a straight shape in a lengthwise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able housing; A circular second gear gear-engaged with the first gear; A rotating shaft coupled to the second gear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second gear; A rotating motor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An ultraviolet lamp forming an annular lamp ring on one end surface of a side where the wing portion of the protruding housing is located, coupled to the lamp ring, and disinfecting the air inside the oven or the conditioner; The rotating motor is rotated forward to move the moving housing away from the main body housing to move the protruding housing away from the main body housing, or by reversing the rotating motor to retract the protruding housing so that the protruding housing is the main body. Confectionery bakery apparatus comprising a steam barrel, including a hot air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o move to move closer to the housing.



삭제delete
KR1020200001366A 2020-01-06 2020-01-06 Steam supply device for making bakery and confectionery KR1021113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366A KR102111395B1 (en) 2020-01-06 2020-01-06 Steam supply device for making bakery and confection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366A KR102111395B1 (en) 2020-01-06 2020-01-06 Steam supply device for making bakery and confection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395B1 true KR102111395B1 (en) 2020-05-15

Family

ID=70678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366A KR102111395B1 (en) 2020-01-06 2020-01-06 Steam supply device for making bakery and confection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39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709B1 (en) * 2020-06-25 2020-12-01 (주)대흥소프트밀 Inverter dough conditioner
KR20220129170A (en) * 2021-03-16 2022-09-23 주식회사 빨간화덕푸드 Oven system for baking pizza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243Y1 (en) * 2002-03-28 2002-06-20 김영식 Combination type baking machine
KR20050091844A (en) * 2004-03-11 2005-09-15 김대인 Oven with apparatus for generating steam
KR200423288Y1 (en) * 2006-04-01 2006-08-04 김종우 Hot air generator using for bidet
KR20070025799A (en) * 2005-09-05 2007-03-08 대영이앤비 주식회사 Water supply apparatus of a bakery conditioner
KR20080000399U (en) * 2006-10-02 2008-04-08 김영모 divisible oven and dough conditioner
KR20110028047A (en) 2009-09-11 2011-03-17 한상영 An oven with a built-in steam supply device for making bakery
KR20160000948U (en) * 2014-09-15 2016-03-23 주식회사 글로벌신우 Bread-baking oven assembly having fermenter and rack case
KR101833417B1 (en) * 2016-09-13 2018-03-02 연암공과대학교산학협력단 Motor supporting structure for reducing vibration by thermal stain
KR101915565B1 (en) * 2018-04-30 2018-11-06 영남이공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apparatus for sensing operation of electroninc devic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243Y1 (en) * 2002-03-28 2002-06-20 김영식 Combination type baking machine
KR20050091844A (en) * 2004-03-11 2005-09-15 김대인 Oven with apparatus for generating steam
KR20070025799A (en) * 2005-09-05 2007-03-08 대영이앤비 주식회사 Water supply apparatus of a bakery conditioner
KR200423288Y1 (en) * 2006-04-01 2006-08-04 김종우 Hot air generator using for bidet
KR20080000399U (en) * 2006-10-02 2008-04-08 김영모 divisible oven and dough conditioner
KR20110028047A (en) 2009-09-11 2011-03-17 한상영 An oven with a built-in steam supply device for making bakery
KR20160000948U (en) * 2014-09-15 2016-03-23 주식회사 글로벌신우 Bread-baking oven assembly having fermenter and rack case
KR101833417B1 (en) * 2016-09-13 2018-03-02 연암공과대학교산학협력단 Motor supporting structure for reducing vibration by thermal stain
KR101915565B1 (en) * 2018-04-30 2018-11-06 영남이공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apparatus for sensing operation of electroninc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709B1 (en) * 2020-06-25 2020-12-01 (주)대흥소프트밀 Inverter dough conditioner
KR20220129170A (en) * 2021-03-16 2022-09-23 주식회사 빨간화덕푸드 Oven system for baking pizza
KR102626694B1 (en) 2021-03-16 2024-01-18 주식회사 빨간화덕푸드 Oven system for baking pizz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1395B1 (en) Steam supply device for making bakery and confectionery
JP6220472B2 (en) Electrical equipment
CN110115516B (en) Multi-zone oven with variable volume steam assisted cooking zone
US8029274B2 (en) Convection oven with laminar airflow and method
US8042458B2 (en) Heating cooker and tray therefor
CN108139079A (en) For controlling the method for humidity and household appliance
CN112584727A (en)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10115514A (en) Cleaning systems for multi-region oven
CN213097546U (en) Baking oven
CN106958879A (en) Mobile air conditioner and its air-out pleasant climate method
WO2006085317A2 (en) Combination heating and steaming oven
CN205358155U (en) Automatic roasted seeds and nuts device
CN105378388B (en) Heating device
US7100596B2 (en) Forced convection gas oven
JP3218283B2 (en) Steam exhaust device
CN112021958A (en) Kitchen equipment and steaming, baking and washing integrated machine
CN216135641U (en) Steaming and roasting appliance
CN205162837U (en) Take oven of fume extractor
CN218791852U (en) Heat reflection heating type smokeless baking tray
CN209932476U (en) Energy-saving electric oven capable of performing heated air circulation
CN212438327U (en) Kitchen equipment and steaming, baking and washing integrated machine
CN215597491U (en) Vertical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CN112998515A (en) Steaming and baking applian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of steaming and baking appliance
KR200359931Y1 (en) Apparatus for supplying stem in convection oven
US20220299211A1 (en) Oven Providing Surge Mode Clea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