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133B1 -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 및 이를 구비한 변기 - Google Patents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 및 이를 구비한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133B1
KR102111133B1 KR1020180075150A KR20180075150A KR102111133B1 KR 102111133 B1 KR102111133 B1 KR 102111133B1 KR 1020180075150 A KR1020180075150 A KR 1020180075150A KR 20180075150 A KR20180075150 A KR 20180075150A KR 102111133 B1 KR102111133 B1 KR 102111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aving
toilet
water tank
tan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071A (ko
Inventor
최현수
Original Assignee
최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수 filed Critical 최현수
Priority to KR1020180075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133B1/ko
Priority to PCT/KR2018/014591 priority patent/WO2020004731A1/ko
Publication of KR20200002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1Shape or selection of material for flushing cisterns
    • E03D1/012Details of shape of cisterns, e.g. for connecting to wall, for supporting or connecting flushing-device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 수조 내부에 저장되는 물을 절약하면서, 적은 양의 세정제로 장시간 세정 효과를 얻기 위한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 및 이를 구비한 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는 변기 본체에 물을 공급하는 배수부와, 저장되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구비한 수조 본체, 수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급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변기 본체에 구비되는 물을 일정 수위로 유지시키는 오버플로우관, 수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세정제를 구비하여 오버플로우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일부를 전달받아 세정제와 혼합되고, 오버플로우되면서 세정제와 혼합된 물을 수조 본체로 유입시키는 절수부, 급수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오버플로우관 및 절수부으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 및 이를 구비한 변기{Toilet water tank for water-saving washing and toilet bowl with the water tank}
본 발명은 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 수조 내부에 저장되는 물을 절약하면서, 적은 양의 세정제로 장시간 세정 효과를 얻기 위한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 및 이를 구비한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세식 변기는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어 있고 배설물이 일시 저장되는 변기 본체와, 변기 본체의 상부 일 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회동 가능하며 사용자의 신체가 접하게 되는 좌대와, 좌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하로 회동하는 덮개, 및 상기 변기 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변기 세척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수조로 구성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용변을 마친 후 수조의 측면에 돌출 구비된 작동 레버를 작동시키면 수조내부에 설치된 패킹부가 개방되어 수조에 저장된 세척수의 전부가 변기 본체 내로 배출되면 이의 수압차이에 따른 사이펀(siphon) 원리에 의해 변기 몸체 내부의 용변을 순간 흡입하여 배출하고, 세척수가 배출된 수조에는 다시 새로운 세척수가 공급되어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변기의 물 사용량을 살펴보면, 4인가족 기준으로 9리터씩 4인 가족이 2번 사용시 72리터, 3번씩 쓰면 108리터나 사용되며 집안에 어른이 있거나, 어린애가 있거나 하면 약 150리터 이상 변기물이 소모되며, 이런 식으로 30일간 변기를 사용하게 되면 물 사용량은 약 3톤이고, 1년동안 쓰게 되면 약 39톤 정도를 사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일반 가정은 물론 사무실이나, 공공장소 등에 설치되는 수세식 양변기에서의 물 사용량을 절감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수세식 양변기의 수조에는 일정한 양의 물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세균 등의 번식의 유려가 있고, 변기 본체 내부 또한 사용자의 용변에 의하여 악취 및 세균 번식의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에 세정제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고체로 된 세정제를 수조 내부에 투입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조 내부에 세정제를 투입하는 방법은 수조 내의 물에 직접적으로 세정제를 첨가하기 때문에, 세정제의 효과가 빨리 사라지거나 이용 시간이 매우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변기 수조 내부에 저장되는 물을 절약하면서, 적은 양의 세정제로 장시간 세정 효과를 얻기 위한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 및 이를 구비한 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는 변기 본체에 물을 공급하는 배수부와, 저장되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구비한 수조 본체, 상기 수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상기 변기 본체에 구비되는 물을 일정 수위로 유지시키는 오버플로우관, 상기 수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세정제를 구비하여 상기 오버플로우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일부를 전달받아 상기 세정제와 혼합되고, 오버플로우되면서 상기 세정제와 혼합된 물을 상기 수조 본체로 유입시키는 절수부, 상기 급수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오버플로우관 및 절수통으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에 있어서, 상기 절수부는 상기 급수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절수통, 상기 절수통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절수통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부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외측부에 물 주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물 주입구를 통해 물이 주입되어, 상기 절수통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부는 하부면의 일측에 상기 수조 본체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볼트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는 제1 호스, 상기 제1 호스와 연결되어 일측이 상기 오버플로우 관과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절수부와 연결되는 T형 관, 상기 T형 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호스, 상기 제2 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절수통으로 안내하는 L형 관, 상기 L형 관에 연결되어 상기 절수통과 연결되는 주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은 내부면에 복수의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은 상기 절수통의 측벽에 배치되며, 상기 L형 관으로부터 상기 절수통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는 변기 본체, 상기 변기 본체에 물을 공급하는 배수부와, 저장되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구비한 수조 본체, 상기 수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상기 변기 본체에 구비되는 물을 일정 수위로 유지시키는 오버플로우관, 상기 수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세정제를 구비하여 상기 오버플로우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일부를 전달받아 상기 세정제와 혼합되고, 오버플로우되면서 상기 세정제와 혼합된 물을 상기 수조 본체로 유입시키는 절수부, 상기 급수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오버플로우관 및 절수통으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는 수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세정제를 구비하여 오버플로우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일부를 전달받아 세정제와 혼합되고, 오버플로우되면서 세정제와 혼합된 물을 수조 본체로 유입시키는 절수부를 구비하여, 수조 본체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부피를 줄여주면서 일정한 양의 세정제를 수조 본체 내부에 저장되는 물에 공급하기 때문에, 물을 절약하면서, 적은 양의 세정제로 장시간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 수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 수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300)는 변기 본체(100) 및 수조(200)를 포함한다.
변기 본체(100)는 내부에 수조(200)로부터 공급되는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어 있고, 배설물이 일시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변기 본체(100)는 상면이 개방되고,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좌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착석함과 동시에 배변이 수용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좌대는 사용자가 배변을 위해 착석할 때 엉덩이의 받침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변기 본체(100)의 상부면 테두리 모양을 따라 곡선 형태의 띠 형태로 이루어지며 중심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수조(200)는 변기 본체(100)의 후방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등받이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변기 본체(100)에 수용된 배변을 흡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고, 변기 본체(100)에 저장되는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수조(200)는 수조 본체(30), 오버플로우관(40), 절수부(50) 및 전달부(60)를 포함한다.
수조 본체(30)는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가지며, 급수부(10)와 배수부(20)가 포함되어 형성된다. 여기 급수부(10)는 수조 본체(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수조 본체(30) 내부 및 오버플로우관(40), 절수부(5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배수부(20)는 도시되지는 않지만,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조작부는 물을 배수하기 위해 배수부(20)를 개방시키고, 레버와 연결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레버를 누르면 연결끈이 당겨지고, 연결끈과 연결된 레버 조작에 의해 수조 본체(30)의 배수관을 개방함과 동시에 수조 본체(30) 내부의 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배수부(20)는 물이 잘 배수되도록 수조 본체(30) 저면에 위치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관(40)은 수조 본체(30) 내부에 구비되어 급수부(10)로부터 전달부(60)를 통해 물을 공급받으며, 변기 본체(100)에 구비되는 물을 이정 수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오버플로우관(40)은 수조 본체(30)의 배수부(20)의 고장 또는 급수부(10)의 고장에 의해 수조 본체(30) 내부의 물이 일정 수위를 넘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오버플로우관(40)은 수조 본체(30)의 바닥면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수조 본체(30)의 물이 일정량을 넘게되면 오버플로우 되면서 변기 본체 (100) 쪽으로 물이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절수부(50)는 수조 본체(30) 내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세정제를 구비하여 오버플로우관(40)으로 유입되는 물의 일부를 전달받아 세정제와 혼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절수부(50)는 지속적으로 물을 전달받고 물이 수용공간을 넘어 오버플로우되면서 세정제와 혼합된 물을 수조 본체(30)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절수부(50)는 절수통(51) 및 유동 방지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절수통(51)은 전달부(60)를 통해 급수부(10)로부터 오버플로우관(40)으로 공급되는 물의 일부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절수통(51)은 내부에 물과 혼합되는 세정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정제는 고체 세정제 또는 액체 세정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절수통(51)은 수조 본체(30)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수조 본체(30)의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으며, 수조 본체(30) 내부에서 일정 부피를 차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동 방지부(52)는 절수통(51)의 하부에 구비되어 절수통(5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 방지부(52)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외측부에 물 주입구(51b)가 형성되어, 물 주입구(51b)를 통해 물이 주입되어 절수통(5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유동 방지부(52)는 추 형태로 형성되어 절수통(51)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유동 방지부(52)는 하부면의 일측에 수조 본체(3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볼트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홈(51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조 본체(3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볼트의 위치는 규격화 되어 있기 때문에, 규격화 된 사이즈데로 볼트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유동 방지부(52)는 걸림홈(51a)에 의해 수조 본체(30)의 볼트에 걸림 결합되어 절수통(5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전달부(60)는 급수부(1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오버플로우관(40)과 절수부(5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전달부(60)는 제1 호스(61), T형 관(62), 제2 호스(63), L형 관(64) 및 주입관(6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호스(61)는 급수부(10)로부터 오버플로우관(40)까지 연장 형성되어, 급수부(1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오버플로우관(40)까지 이동시킨다. 이러한 제1 호스(61)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관이 될 수 있다.
T형 관(62)은 제1 호스(61)와 연결되어 일측이 오버플로우관(40)과 연결되며, 타측이 절수부(5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T형 관(62)은 제1 호스(61)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오버플로우관(40)과 절수부(50)로 분할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호스(63)는 T형 관(62)과 연결되어, T형 관(62)으로부터 절수부(50)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호스(63)는 오버플로우관(40)을 거쳐 급수부(1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절수부(50)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L형 관(64)은 일측이 제2 호스(63)와 연결되고 타측이 주입관(65)과 연결되어, 제2 호스(63)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절수부(50) 방향으로 안내해 줄 수 있다.
주입관(65)은 L형 관(64)에 연결되어, L형 관(64)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절수부(50)로 주입할 수 있다. 이러한 주입관(65)은 절수통(51)의 내측벽에 배치될 수 있으며, L형 관(64)으로부터 절수통(51)의 하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주입관(65)은 절수통(51)의 높이에 대하여 중심부보다 더 하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입관(65)은 급수부(10)로부터 주입되는 물을 주입하면서, 절수통(51)의 하부에 침체되어 있는 세정제를 섞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주입관(65)은 내부면에 복수의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입관(65)은 주름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해 물의 공급이 멈추었을 때,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비교예와 비교한 실험 결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의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와, 비교예에 따른 변기의 세정제 사용 시간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15명 사용시 3명 사용시
비교예 15 ~ 20일 30 ~ 40일
실시예 50 ~ 60일 80 ~ 90일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동일한 세정제를 수조 본체 내부에 직접 투입하였다.
실험 결과, 성인 15명이 사용시에 비교예의 경우 15 ~ 20일 사이에 세정제의 효과가 완전히 사라진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시예의 경우 50 ~ 60일 사이에 세정제의 효과가 서서히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인 3명이 사용시에 비교예의 경우 30 ~ 40일 사이에 세정제의 효과가 완전히 사라진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시예의 경우 80 ~ 90일 사이에 세정제의 효과가 서서히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절수부를 구비함에 따른 물 절약과 관련하여, 절수통이 2L라고 가정하였을때, 하루 10번 사용할 경우, 20L를 절약할 수 있고, 하루 20L를 절약한다고 가정하면 30일을 사용할 경우, 600L 1년일 경우 7300L를 절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는 수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세정제를 구비하여 오버플로우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일부를 전달받아 세정제와 혼합되고, 오버플로우되면서 세정제와 혼합된 물을 수조 본체로 유입시키는 절수부를 구비하여, 수조 본체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부피를 줄여주면서 일정한 양의 세정제를 수조 본체 내부에 저장되는 물에 공급하기 때문에, 물을 절약하면서, 적은 양의 세정제로 장시간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10 : 급수부 20 : 배수부
30 : 수조 본체 40 : 오버플로우관
50 : 절수부 51 : 절수통
52 : 유동 방지부 52a : 걸림홈
52b : 물 주입구 60 : 전달부
61 : 제1 호스 62 : T형 관
63 : 제2 호스 64 : L형 관
65 : 유입관 100 : 변기 본체
200 : 수조

Claims (8)

  1. 변기 본체에 물을 공급하는 배수부와, 저장되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구비한 수조 본체;
    상기 수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상기 변기 본체에 구비되는 물을 일정 수위로 유지시키는 오버플로우관;
    상기 수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세정제를 구비하여 상기 오버플로우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일부를 전달받아 상기 세정제와 혼합되고, 오버플로우되면서 상기 세정제와 혼합된 물을 상기 수조 본체로 유입시키는 절수부;
    상기 급수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오버플로우관 및 절수부로 전달하는 전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는 제1 호스;
    상기 제1 호스와 연결되어 일측이 상기 오버플로우 관과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절수부와 연결되는 T형 관;
    상기 T형 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호스;
    상기 제2 호스와 연결되어, 제2 호스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절수부로 안내하는 L형 관;
    상기 L형 관에 연결되어, 상기 L형 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절수부로 주입하고, 내부면에 복수의 주름이 형성되며, 상기 절수부의 내측벽에 배치되며, 상기 L형 관으로부터 상기 절수부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주입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수부는,
    상기 급수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절수통;
    상기 절수통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절수통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 방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부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외측부에 물 주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물 주입구를 통해 물이 주입되어, 상기 절수통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세정용 변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부는,
    하부면의 일측에 상기 수조 본체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볼트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변기 본체;
    상기 변기 본체에 물을 공급하는 배수부와, 저장되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구비한 수조 본체;
    상기 수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상기 변기 본체에 구비되는 물을 일정 수위로 유지시키는 오버플로우관;
    상기 수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세정제를 구비하여 상기 오버플로우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일부를 전달받아 상기 세정제와 혼합되고, 오버플로우되면서 상기 세정제와 혼합된 물을 상기 수조 본체로 유입시키는 절수부;
    상기 급수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오버플로우관 및 절수통으로 전달하는 전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는 제1 호스;
    상기 제1 호스와 연결되어 일측이 상기 오버플로우 관과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절수부와 연결되는 T형 관;
    상기 T형 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호스;
    상기 제2 호스와 연결되어, 제2 호스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절수통으로 안내하는 L형 관;
    상기 L형 관에 연결되어, 상기 L형 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절수부로 주입하고, 내부면에 복수의 주름이 형성되며, 상기 절수통의 내측벽에 배치되며, 상기 L형 관으로부터 상기 절수통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주입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KR1020180075150A 2018-06-29 2018-06-29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 및 이를 구비한 변기 KR102111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150A KR102111133B1 (ko) 2018-06-29 2018-06-29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 및 이를 구비한 변기
PCT/KR2018/014591 WO2020004731A1 (ko) 2018-06-29 2018-11-26 세정용 변기 수조 및 이를 구비한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150A KR102111133B1 (ko) 2018-06-29 2018-06-29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 및 이를 구비한 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071A KR20200002071A (ko) 2020-01-08
KR102111133B1 true KR102111133B1 (ko) 2020-06-08

Family

ID=69154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150A KR102111133B1 (ko) 2018-06-29 2018-06-29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 및 이를 구비한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1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902A (ko) 2021-09-17 2023-03-27 (주)원터치 케이블 트레이용 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4196A1 (en) * 2003-04-02 2004-10-07 Muderlak Kenneth J.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leaning a tank-style toile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430Y1 (ko) * 2009-01-05 2011-09-05 주식회사 중일테크 변기용 세정제 자동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4196A1 (en) * 2003-04-02 2004-10-07 Muderlak Kenneth J.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leaning a tank-style toil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071A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0295B2 (ja) 溢れ防止補助水槽を有する洋風便器
KR100483510B1 (ko) 분사펌프를 이용한 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WO2009001932A1 (ja) 水洗大便器
CN104995359A (zh) 灰水马桶
KR102111133B1 (ko) 절수 세정용 변기 수조 및 이를 구비한 변기
KR20180067571A (ko) 자체 세척 변기 조립체 및 시스템
US8024823B2 (en) Water conservation system
CN105507403A (zh) 一种全自动油封式马桶
JP2007314973A (ja) 洋風便器装置
CN205369432U (zh) 一种多功能节水水箱
KR20110015317A (ko) 슬라이딩 세면대가 부설되어 있는 양변기
JP2011208416A (ja) 水洗大便器
CN115427644A (zh) 超节水型坐便器
CN205954784U (zh) 一种具有泡沫防护功能的智能坐便器
KR200351198Y1 (ko) 공급수로를 갖는 거품 발생기가 장착된 비데
JP2019148146A (ja) 水洗大便器
CN103510606B (zh) 一种冲水泡沫便器
EP3321433A1 (en) Water-saving toilet bowl
CN217379133U (zh) 一种带发泡功能的低压冲洗系统及马桶
CN217679471U (zh) 一种发泡马桶
KR20020070732A (ko) 분사 회전형 개폐식 변기
CN214574408U (zh) 一种节水马桶
JP3097053U (ja) 用水回収保存分段給水装置を具えたトイレタンク
CN216766113U (zh) 一种基于坐便器的节水装置
KR20100012699A (ko) 세척장치가 구비된 세면수 재활용 양변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