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220B1 -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220B1
KR102110220B1 KR1020200004495A KR20200004495A KR102110220B1 KR 102110220 B1 KR102110220 B1 KR 102110220B1 KR 1020200004495 A KR1020200004495 A KR 1020200004495A KR 20200004495 A KR20200004495 A KR 20200004495A KR 102110220 B1 KR102110220 B1 KR 102110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agent
encapsulant
sealing
heat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씨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씨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씨에이
Priority to KR1020200004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2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241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hot packs, hot compresses, cooling pads, e.g. heaters or refrig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8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ays of manufacturing heating or cooling devices for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핫팩 제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대; 상기 작업대 상에 제 1 봉지재가 공급되도록 하는 제 1 봉지재공급부; 상기 작업대 상의 제 1 봉지재 상에 입상물에 해당하는 발열제를 전후 및 폭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영역에 셋팅되도록 공급하는 발열제공급부; 상기 발열제공급부에 의해 상기 제 1 봉지재 상에 다수로 셋팅된 발열제를 덮도록 제 2 봉지재를 공급하는 제 2 봉지재공급부; 상기 제 1 및 제 2 봉지재 사이에 셋팅된 발열제 사이를 가압하여 상기 1 및 제 2 봉지재를 접합시켜서 발열제가 수용된 파우치를 형성하도록 하는 실링부; 및 상기 발열제공급부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셋팅된 발열제 사이의 흩트러진 발열제 부스러기를 에어의 분사에 의해 제거하는 에어분사부; 를 포함하도록 한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열제의 셋팅 영역 사이에 에어의 분사로 인해 발열제의 부스러기가 잔존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봉지재 상에 발열제를 셋팅시, 발열제가 셋팅된 영역에 집중되도록 물리적으로 가이드함으로써, 봉지재 상의 발열제 흩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점들로 인해, 발열제에 대한 봉지재의 실링시, 실링 영역에 대한 발열제의 부스러기가 존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실링 품질이 뛰어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밀폐율이 우수하도록 할 수 있고, 생산속도의 증대가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Hot pack manufacturing apparatus for improving sealing quality and sealing rate}
본 발명은 핫팩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봉지재 상에 발열제를 셋팅시, 셋팅된 발열제 사이에 에어의 분사로 인해 발열제의 부스러기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고, 발열제가 셋팅된 영역에 집중되도록 물리적으로 가이드함으로써, 봉지재 상의 발열제 흩트러짐을 방지하는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핫팩(Hot Pack)은 내부 발열제의 화학 작용에 의해 스스로 발열하여, 추운 겨울에 사용자의 신체(특히, 손이나 발 등)를 따뜻하게 해주는 일종의 휴대용 제품을 말한다.
이러한 핫팩은 철분, 활성탄, 수분흡수제, 소금, 수분 흡수제 등이 일정 비율로 혼합된 발열제, 발열제를 내포할 수 있는 부직포, 그리고 부직포 내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외부 포장재로 구성된다.
이때, 외부 포장재는 외부 공기가 차단되어 발열제가 안정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지만, 외부 포장 상태에서 발열제를 내포한 부직포가 외부로 노출되면, 부직포 사이로 공기가 발열제 내로 유입되면서 비활성 상태인 철분과 수분이 반응하여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철이 산화되면서 발열 반응이 일어나 일정시간 동안 따뜻한 온도가 유지된다. 이때, 소금은 철이 녹스는데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활성탄은 외부 공기를 빠른 속도로 흡수하여 철과 공기와 반응하는 것을 촉진한다.
이와 같은 핫팩의 제조장치와 관련되는 종래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903413호의 "발열제의 공기노출을 차단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발열시간이 길고 발열강도가 우수한 고품질 핫팩의 제조시스템"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제1 가압롤러가 구비되어 제1 부직포롤에서 권출되는 부직포의 일면에 제1 필름롤에서 권출되는 다공질 필름지를 접합하여 하층 봉지재를 제조하고, 관통핀이 외주면에 형성된 핀롤러가 구비되어 제조한 하층 봉지재에 핀홀을 형성하는 하층 봉지재 생성부; 제2 가압롤러가 구비되어 제2 부직포롤에서 권출되는 부직포의 일면에 제2 필름롤에서 권출되는 다공질 필름지를 접합하여 상층 봉지재를 제조하는 상층 봉지재 생성부; 철분, 활성탄, 질석, 식염, 흡습성 수지 및 물을 혼합하여 발열제 혼합물을 제조하며, 제조한 발열제 혼합물을 하층 봉지재의 타면에 배출하는 배출부가 구비된 혼합부; 상기 하층 봉지재 및 상층 봉지재를 접합시키면서 상기 발열제 혼합물을 가압하여 파우치를 생성하는 파우치 생성부; 상기 파우치 생성부에서 생성된 파우치를 절단하여 핫팩을 제조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층 봉지재 생성부 및 상층 봉지재 생성부는 에탄올아민 또는 디에탄올아민 기체를 상기 하층 봉지재 및 상층 봉지재에 각각 분무코팅할 수 있는 코팅부를 포함한다.
한편, 종래 기술 뿐만 아니라, 기존의 핫팩 제조장치에서 발열제는 흐트러질 경우 실링 품질을 저하시킴과 아울러, 밀폐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호퍼에 발열제를 채운 상태에서 실린더에 의해 호퍼가 전진시 하부의 각 홀에 발열제(2)를 낙하시킴으로써 봉지재(1) 상에 발열제(2)을 셋팅하게 되는데, 호퍼의 이동시, 특히 다수의 피치로 이동시, 봉지재(1) 상에서 발열제(2)가 흐트러져서 발열제(2)의 셋팅 영역 사이에 부스러기(2a)가 잔존하고, 이로 인해 프레스실링구간(3)에서 부스러기(2a)에 의한 실링불량이 발생한다. 이러한 실링불량은 밀폐율을 저하시킴으로써, 이의 개선을 위해 생산속도를 낮추도록 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핫팩을 사용시 실링 불량으로 인해 터짐을 유발하여, 품질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봉지재 상에 발열제를 셋팅시, 발열제의 셋팅 영역 사이에 에어의 분사로 인해 발열제의 부스러기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고, 발열제가 셋팅된 영역에 집중되도록 물리적으로 가이드함으로써, 봉지재 상의 발열제 흩트러짐을 방지하며, 이러한 점들로 인해, 발열제에 대한 봉지재의 실링시, 실링 영역에 대한 발열제의 부스러기가 존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실링 품질이 뛰어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밀폐율이 우수하도록 하고, 생산속도의 증대가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고품질의 핫팩 제품의 생산을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핫팩 제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대; 상기 작업대 상에 제 1 봉지재가 공급되도록 하는 제 1 봉지재공급부; 상기 작업대 상의 제 1 봉지재 상에 입상물에 해당하는 발열제를 전후 및 폭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영역에 셋팅되도록 공급하는 발열제공급부; 상기 발열제공급부에 의해 상기 제 1 봉지재 상에 다수로 셋팅된 발열제를 덮도록 제 2 봉지재를 공급하는 제 2 봉지재공급부; 상기 제 1 및 제 2 봉지재 사이에 셋팅된 발열제 사이를 가압하여 상기 1 및 제 2 봉지재를 접합시켜서 발열제가 수용된 파우치를 형성하도록 하는 실링부; 및 상기 발열제공급부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셋팅된 발열제 사이의 흩트러진 발열제 부스러기를 에어의 분사에 의해 제거하는 에어분사부; 를 포함하는,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발열제공급부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셋팅된 발열제가 통과하면서 모아지도록 가이드하는 발열제집중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분사부는, 상기 제 1 봉지재 상에서 폭방향으로 위치하는 노즐설치부재; 상기 노즐설치부재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셋팅된 발열제 각각에 대응하도록 다수로 설치되는 노즐브라켓; 및 상기 노즐브라켓마다 각각 고정되고, 각각에 폭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사홀이 하방으로 에어를 분사되도록 마련되는 에어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제공급부는, 상기 제 1 봉지재 상에 수평되게 위치하고, 발열제가 통과하여 원하는 형태로 셋팅되도록 하는 공급구가 마련되는 셋팅플레이트; 상기 셋팅플레이트의 승강을 가이드하도록 설치되는 승강가이드; 상기 셋팅플레이트에 수평되게 설치되는 수평가이드; 상기 수평가이드에 가이드되어 상기 셋팅플레이트 상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 채워지는 발열제를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호퍼; 상기 셋팅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가 상기 셋팅플레이트 상에서 전후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발열제를 상기 공급구를 통해서 상기 제 1 봉지재 상에 원하는 형태로 셋팅되도록 한 후 복귀되도록 하는 수평이송부; 및 상기 셋팅플레이트를 하강시켜서 상기 공급구를 통해 상기 제 1 봉지재 상에 상기 발열체를 셋팅한 후, 상기 셋팅플레이트를 상승시켜서 상기 제 1 봉지재가 상기 셋팅된 발열제와 함께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분사부는, 상기 셋팅플레이트에 함께 승강하도록 연결되는 상기 노즐설치부재에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승강축; 상기 승강축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축의 하강시 접촉하는 휠을 가지는 레버의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에어노즐에 에어가 공급되도록 개방되는 밸브;를 더 할 수 있다.
상기 발열제집중가이드는, 상기 제 1 봉지재 상에 폭방향을 따라 다수의 쌍이 나란하도록 수직되게 배치됨으로써, 쌍을 이루는 각각의 사이에 상기 셋팅된 발열체가 통과하면서 모아지도록 가이드하고, 쌍을 이루는 각각의 전단에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확대되도록 진입경사부가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쌍을 이루는 각각의 사이에 상기 에어분사부의 에어노즐 각각이 승강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 각각이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봉지재 상에 폭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연결부재; 상기 가이드 측에 수직되게 각각 설치되는 수직축; 상기 수직축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어링부재; 및 상기 베어링부재를 상기 가이드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가 자중에 의해 상기 수직축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제 1 봉지재 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에 의하면, 발열제의 셋팅 영역 사이에 에어의 분사로 인해 발열제의 부스러기가 잔존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봉지재 상에 발열제를 셋팅시, 발열제가 셋팅된 영역에 집중되도록 물리적으로 가이드함으로써, 봉지재 상의 발열제 흩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들로 인해, 발열제에 대한 봉지재의 실링시, 실링 영역에 대한 발열제의 부스러기가 존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실링 품질이 뛰어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밀폐율이 우수하도록 할 수 있고, 생산속도의 증대가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품질의 핫팩 제품의 생산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핫팩 제조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에서 발열제집중가이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에서 발열제집중가이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에서 에어분사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에서 에어분사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100)는 작업대(110), 제 1 봉지재공급부(120), 발열제공급부(130), 제 2 봉지재공급부(140), 실링부(150) 및 에어분사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대(110)는 핫팩 제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데, 작업 장소를 제공하기 위한 상판과, 이러한 상판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봉지재공급부(120)는 작업대(110) 상에 제 1 봉지재(21)가 공급되도록 한다. 제 1 봉지재공급부(120)는 제 1 봉지재(21)가 후방의 실링부(150)와 후술하게 될 커팅부(160)를 통과하도록 이송시키는데, 예컨대 제 1 봉지재(21)가 권취되는 귄취롤(121)과, 권취롤(121)로부터 풀리는 제 1 봉지재(21)를 작업대(110) 상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다수의 롤러(122)와, 제 1 봉지재(21)가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제공급부(130)는 작업대(110) 상의 제 1 봉지재(21) 상에 입상물에 해당하는 발열제를 전후 및 폭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영역에 셋팅되도록 공급하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발열제공급부(130)에 의해 공급되어 셋팅되는 발열제가 제 1 봉지재(21) 상에 폭방향으로 3개로 배열되나, 이에 반드시 한하지 않고, 3개 이외에도 다양한 개수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발열제는 예컨대, 철분, 활성탄, 질석, 식염, 흡습성 수지 및 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여기서, 철분은 공기 중의 수소 및 산소와 산화 반응하여 열을 발산시키는 발열성 성분에 해당된다. 활성탄은 핫팩의 발열시간에 영향을 주는 물질로서, 넓은 비표면적을 제공하여 공기 중에 수소 및 산소를 효과적으로 포집하고, 수소, 산소 및 철분과 산화 반응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흡습성 수지는 물을 흡수하여 과립형 입자를 형성하는 물질로서, 흡습성 수지에 포함된 물이 철분과 배합된 순간부터 산소와 함께 반응하여 철분을 산화시키는 역할을 하여,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흡습성 수지는 통상적인 다양한 고분자를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발열제는 철분의 산화 반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약산염, 메타규산염 등의 수소 발생 억제제, 증점제, 부형제, 계면활성제 등을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열제는 상기한 조성물의 혼합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발열 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발열제공급부(130)는 제 1 봉지재(21) 상에 수평되게 위치하고, 발열제가 통과하여 원하는 형태로 셋팅되도록 하는 공급구(131a)가 마련되는 셋팅플레이트(131)와, 셋팅플레이트(131)의 승강을 가이드하도록 설치되는 승강가이드(132)와, 셋팅플레이트(131)에 수평되게 설치되는 수평가이드(133)와, 수평가이드(133)에 가이드되어 셋팅플레이트(131) 상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 채워지는 발열제를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호퍼(134)와, 셋팅플레이트(131)에 설치되어, 호퍼(134)가 셋팅플레이트(131) 상에서 전후로 이동함으로써 발열제를 공급구(131a)를 통해서 제 1 봉지재(21) 상에 원하는 형태로 셋팅되도록 한 후 복귀되도록 하는 수평이송부(135)와, 셋팅플레이트(131)를 하강시켜서 공급구(131a)를 통해 제 1 봉지재(21) 상에 발열체를 셋팅한 후, 셋팅플레이트(131)를 상승시켜서 제 1 봉지재(131)가 셋팅된 발열체(120)와 함께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구동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셋팅플레이트(131)는 프레임(131b)에 의해 승강가이드(132)에 결합될 수 있다. 승강가이드(132)는 예컨대 수직축으로 이루어져서 작업대(110)에 마련되는 볼베어링부재 등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수평이송부(135)는 모터나 그 밖의 다양한 액추에이터에 의해 호퍼(134)를 수평 이송시킬 수 있는데, 예컨대 본 실시례에서처럼 공압 또는 유압 등으로 동작하는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고, 실린더브라켓(135a)에 의해 셋팅플레이트(131)에 수평되게 설치될 수 있고, 피스톤로드의 끝단이 호퍼(134)에 고정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136)는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거나, 리니어모터의 직선 운동을 이용하거나, 실린더의 왕복 운동을 이용함으로써, 셋팅플레이트(131)가 승강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 봉지재공급부(140)는 발열제공급부(130)에 의해 제 1 봉지재(21) 상에 다수로 셋팅된 발열제(10)를 덮도록 제 2 봉지재(22)를 공급하도록 한다. 즉, 제 2 봉지재공급부(140)는 제 1 봉지재(21)와 함께 제 2 봉지재(22)를 후방의 실링부(150)와 후술하게 될 커팅부(160)를 통과하도록 이송시키는데, 예컨대 제 2 봉지재(22)가 권취되는 귄취롤(141)과, 권취롤(141)로부터 풀리는 제 2 봉지재(22)를 작업대(110) 상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다수의 롤러(142)와, 제 2 봉지재(22)가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봉지재(21,22)는 일례로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는데, 부직포는 예컨대, 스펀본드 부직포(spun-bonded non-woven fabric), 스펀레이스 부직포(spunlace nonwoven fabric), 멜트블로운 부직포(melt-blown non-woven fabric), 접합 부직포(thermally bonded nonwoven fabric) 등을 포함하는 습식 부직포(wet-laid non-woven fabric)를 사용하거나, 건식적층(dry laying), 니들펀칭(needle punching), 스테치본드(stich bond), 케미칼본드(chemical bond) 등의 건식 부직포(drylaid non-woven fabric)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봉지재(21,22)는 부직포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반드시 한하는 것은 아니며, 발열제에 의한 발열에 의해 핫팩으로서 기능하기 위한 다양한 봉지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링부(150)는 제 1 및 제 2 봉지재(21,22) 사이에 셋팅된 발열제(10) 사이를 가압하여 1 및 제 2 봉지재(21,22)를 접합시켜서 발열제가 수용된 파우치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실링부(150)는 제 1 봉지재(21)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가압부(151)와, 하측가압부(151)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가압부(152)와, 상측가압부(152)가 승강하도록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153)와, 상측가압부(152)를 하측가압부(151) 측으로 하강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 봉지재(21,22)에 대한 실링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링구동부(154)를 포함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의 실링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 도 4,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에어분사부(180)는 발열제공급부(130)의 후단에 설치되고, 셋팅된 발열제(10) 사이의 흩트러진 발열제 부스러기(11)를 에어의 분사에 의해 제거하도록 한다.
에어분사부(180)는 제 1 봉지재(21) 상에서 폭방향으로 위치하는 노즐설치부재(181)와, 노즐설치부재(181)에 길이방향을 따라 셋팅된 발열제(10) 각각에 대응하도록 다수로 설치되는 노즐브라켓(182)과, 노즐브라켓(182)마다 각각 고정되고, 각각에 폭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사홀(183a)이 하방으로 에어를 분사되도록 마련되는 에어노즐(18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분사부(180)는 호퍼(134)가 셋팅플레이트(131)와 함께 하강하여 발열제를 셋팅시, 제 1 봉지재(21)의 이송이 정지되는 것을 감안하여, 셋팅플레이트(131)와 함께 승강하고, 하강시 에어를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셋팅플레이트(131)에 함께 승강하도록 연결되는 노즐설치부재(181)에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승강축(184)과, 승강축(184)의 하측에 설치되고, 승강축(184)의 하강시 접촉하는 휠(185b)을 가지는 레버(185a)의 누름 동작에 의해 에어노즐(183)에 에어공급부(미도시)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도록 개방되는 밸브(1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노즐설치부재(181)는 에어분사부(180)의 프레임(131b)에 연결되기 위한 결합부(181a)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밸브(185)는 예컨대 레버타입의 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승강축(184)의 누름에 의해 동작함으로써, 에어노즐(180)이 하강시에만 에어를 공급받아 분사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100)는 발열제공급부(130)의 후단에 설치되고, 셋팅된 발열제(10)가 통과하면서 모아지도록 가이드하는 발열제집중가이드(17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서, 실링부(150)의 후단에 설치되어 실링에 의해 형성되는 파우치를 커팅에 의해 분리하도록 하는 커팅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발열제집중가이드(170)는 제 1 봉지재(21) 상에 폭방향을 따라 다수의 쌍이 나란하도록 수직되게 배치됨으로써, 쌍을 이루는 각각의 사이에 셋팅된 발열체(10)가 통과하면서 모아지도록 가이드하고, 쌍을 이루는 각각의 전단에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확대되도록 진입경사부(171a)가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셋팅된 발열체(10)의 진입과 모아짐이 용이하도록 가이드하며, 쌍을 이루는 각각의 사이에 에어분사부(180)의 에어노즐(183) 각각이 승강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171)와, 가이드(171) 각각이 연결되도록 제 1 봉지재(21) 상에 폭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연결부재(172)와, 가이드(171) 측에 수직되게 각각 설치되는 수직축(173)과, 수직축(173)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어링부재(174)와, 베어링부재(174)를 가이드(171)에 고정시킴으로써, 가이드(171)가 자중에 의해 수직축(173)을 따라 하강하여 제 1 봉지재(21) 상에 항상 위치하도록 하는 고정부재(175)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분사부(180)의 에어노즐(183)은 가이드(171) 사이에서 승강하면서 하강시 셋팅된 발열제(10) 사이에 에어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가이드(171)가 칸막이 역할을 하게 되어, 셋팅된 발열제(10) 사이에 흩트러진 발열제 부스러기(11)의 제거 효과가 뛰어나도록 한다.
상기한 제 1 봉지재공급부(120), 발열제공급부(130), 제 2 봉지재공급부(140), 실링부(150), 에어분사부(180) 그리고, 커팅부(160) 등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르도록 구동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커팅부(160)는 제 1 및 제 2 봉지재(21,22)의 실링에 의해 형성되는 파우치의 하측에 위치하는 받침부(161)와, 받침부(161) 상의 파우치 상측에 위치하는 커터(162)와, 커터(162)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163)와, 커터(162)를 하강시킴으로써, 받침부(161)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파우치의 가장자리를 커팅하도록 하는 커팅구동부(164)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 반드시 한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커팅장치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에 따르면, 발열제의 셋팅 영역 사이에 에어의 분사로 인해 발열제의 부스러기가 잔존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봉지재 상에 발열제를 셋팅시, 발열제가 셋팅된 영역에 집중되도록 물리적으로 가이드함으로써, 봉지재 상의 발열제 흩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작용들로 인해, 발열제에 대한 봉지재의 실링시, 실링 영역에 대한 발열제의 부스러기가 존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실링 품질이 뛰어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밀폐율이 우수하도록 할 수 있고, 생산속도의 증대가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품질의 핫팩 제품의 생산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셋팅된 발열제 11 : 발열제 부스러기
21 : 제 1 봉지재 22 : 제 2 봉지재
110 : 작업대 120 : 제 1 봉지재공급부
121 : 권취롤 122 : 롤러
130 : 발열제공급부 131 : 셋팅플레이트
131a : 공급구 131b : 프레임
132 : 승강가이드 133 : 수평가이드
134 : 호퍼 135 : 수평이송부
135a : 실린더브라켓 136 : 승강구동부
140 : 제 2 봉지재공급부 141 : 권취롤
142 : 롤러 150 : 실링부
151 : 하측가압부 152 : 상부가압부
153 : 승강가이드 154 : 실링구동부
160 : 커킹부 161 : 받침부
162 : 커터 163 : 승강가이드
164 : 커팅구동부 170 : 발열제집중가이드
171 : 가이드 171a : 진입경사부
172 : 가이드연결부재 173 : 수직축
174 : 베어링부재 175 : 고정부재
180 : 에어분사부 181 : 노즐설치부재
181a : 결합부 182 : 노즐브라켓
183 : 에어노즐 183a : 분사홀
184 : 승강축 185 : 밸브
185a : 레버 185b : 휠

Claims (5)

  1. 핫팩 제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대;
    상기 작업대 상에 제 1 봉지재가 공급되도록 하는 제 1 봉지재공급부;
    상기 작업대 상의 제 1 봉지재 상에 입상물에 해당하는 발열제를 전후 및 폭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영역에 셋팅되도록 공급하는 발열제공급부;
    상기 발열제공급부에 의해 상기 제 1 봉지재 상에 다수로 셋팅된 발열제를 덮도록 제 2 봉지재를 공급하는 제 2 봉지재공급부;
    상기 제 1 및 제 2 봉지재 사이에 셋팅된 발열제 사이를 가압하여 상기 1 및 제 2 봉지재를 접합시켜서 발열제가 수용된 파우치를 형성하도록 하는 실링부; 및
    상기 발열제공급부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셋팅된 발열제 사이의 흩트러진 발열제 부스러기를 에어의 분사에 의해 제거하는 에어분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분사부는,
    상기 제 1 봉지재 상에서 폭방향으로 위치하는 노즐설치부재;
    상기 노즐설치부재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셋팅된 발열제 각각에 대응하도록 다수로 설치되는 노즐브라켓; 및
    상기 노즐브라켓마다 각각 고정되고, 각각에 폭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사홀이 하방으로 에어를 분사되도록 마련되는 에어노즐;
    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제공급부는,
    상기 제 1 봉지재 상에 수평되게 위치하고, 발열제가 통과하여 원하는 형태로 셋팅되도록 하는 공급구가 마련되는 셋팅플레이트;
    상기 셋팅플레이트의 승강을 가이드하도록 설치되는 승강가이드;
    상기 셋팅플레이트에 수평되게 설치되는 수평가이드;
    상기 수평가이드에 가이드되어 상기 셋팅플레이트 상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 채워지는 발열제를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호퍼;
    상기 셋팅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가 상기 셋팅플레이트 상에서 전후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발열제를 상기 공급구를 통해서 상기 제 1 봉지재 상에 원하는 형태로 셋팅되도록 한 후 복귀되도록 하는 수평이송부; 및
    상기 셋팅플레이트를 하강시켜서 상기 공급구를 통해 상기 제 1 봉지재 상에 상기 발열제를 셋팅한 후, 상기 셋팅플레이트를 상승시켜서 상기 제 1 봉지재가 상기 셋팅된 발열제와 함께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분사부는,
    상기 셋팅플레이트에 함께 승강하도록 연결되는 상기 노즐설치부재에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승강축; 및
    상기 승강축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축의 하강시 접촉하는 휠을 가지는 레버의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에어노즐에 에어가 공급되도록 개방되는 밸브;
    를 더 포함하는,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제공급부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셋팅된 발열제가 통과하면서 모아지도록 가이드하는 발열제집중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열제집중가이드는,
    상기 제 1 봉지재 상에 폭방향을 따라 다수의 쌍이 나란하도록 수직되게 배치됨으로써, 쌍을 이루는 각각의 사이에 상기 셋팅된 발열체가 통과하면서 모아지도록 가이드하고, 쌍을 이루는 각각의 전단에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확대되도록 진입경사부가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쌍을 이루는 각각의 사이에 상기 에어분사부의 에어노즐 각각이 승강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 각각이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봉지재 상에 폭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연결부재;
    상기 가이드 측에 수직되게 각각 설치되는 수직축;
    상기 수직축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어링부재; 및
    상기 베어링부재를 상기 가이드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가 자중에 의해 상기 수직축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제 1 봉지재 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
KR1020200004495A 2020-01-13 2020-01-13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 KR102110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495A KR102110220B1 (ko) 2020-01-13 2020-01-13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495A KR102110220B1 (ko) 2020-01-13 2020-01-13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220B1 true KR102110220B1 (ko) 2020-06-08

Family

ID=71089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495A KR102110220B1 (ko) 2020-01-13 2020-01-13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2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032A (ko) * 2009-01-05 2010-07-14 (주)화성케미칼 수직포장기
KR101305217B1 (ko) * 2013-01-11 2013-09-12 주식회사 팜텍 파스형 붙이는 핫팩 제조장치
KR101633993B1 (ko) * 2014-10-10 2016-07-08 왕 중 김 수평식 핫 팩 포장 장치 및 방법
KR101871689B1 (ko) * 2017-07-18 2018-06-27 주식회사 핫앤핫 발열시간이 길고 발열강도가 우수한 고품질 핫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해 발열제의 공기노출을 차단하는 수단이 구비된 핫팩의 제조장치
KR101903413B1 (ko) * 2017-07-18 2018-11-22 주식회사 핫앤핫 발열제의 공기노출을 차단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발열시간이 길고 발열강도가 우수한 고품질 핫팩의 제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032A (ko) * 2009-01-05 2010-07-14 (주)화성케미칼 수직포장기
KR101305217B1 (ko) * 2013-01-11 2013-09-12 주식회사 팜텍 파스형 붙이는 핫팩 제조장치
KR101633993B1 (ko) * 2014-10-10 2016-07-08 왕 중 김 수평식 핫 팩 포장 장치 및 방법
KR101871689B1 (ko) * 2017-07-18 2018-06-27 주식회사 핫앤핫 발열시간이 길고 발열강도가 우수한 고품질 핫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해 발열제의 공기노출을 차단하는 수단이 구비된 핫팩의 제조장치
KR101903413B1 (ko) * 2017-07-18 2018-11-22 주식회사 핫앤핫 발열제의 공기노출을 차단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발열시간이 길고 발열강도가 우수한 고품질 핫팩의 제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27241B2 (ja) プリンタユニット及び3dプリンタ
JP2020137510A (ja) オプトメカトロニクスに基づく高級の生産装置
KR102110220B1 (ko) 실링 품질과 밀폐율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
JPH0618735B2 (ja) 積層板を連続的に製造するための装置
JP2021036857A (ja) 農薬撒布装置及びこれに適用されるノズル組立体
EP1871594B1 (en) Activator means for pre-applied adhesives
AU2002367560A1 (en) Modular floor covering edge treatment
US20180134431A1 (en) Sea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packaging
CN206587990U (zh) 一种自动点胶机
EP2233278B1 (en) Cloth bonding apparatus
KR102119893B1 (ko) 실링시 처짐 발생방지로 인한 품질을 향상시킨 핫팩 제조장치
US9528032B2 (en) Activator means for pre-applied adhesives
KR20090125926A (ko) 가구용 원판에의 마감재 도포장치
CN112921539A (zh) 用于高绒织物数码印花前处理的雾化喷淋上浆装置及方法
KR100853121B1 (ko) 인몰드 사출장치
EP1208259B1 (en) Modular floor covering edge treatment
CN107487653A (zh) 劳保服生产用布匹间歇传送装置
KR20020038221A (ko) 래들필러 자동투입장치
KR102357126B1 (ko) 자가발열 아이 마스크 팩 제조장치
JPH05220941A (ja) 洗浄ローラを洗剤で湿らすための装置
CN107338726A (zh) 一种同步铺装玻璃纤维和溶剂型粘结剂的撒布装置
CN206630903U (zh) 一种全自动多功能涂布机
KR20170009439A (ko) 화장재 충진장치
CN216638384U (zh) 一种tps防渗毯制毯机无尘切割机构
KR101883636B1 (ko) 인 사이드 스프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