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194B1 - 기지국 및 그것의 신호 전송 제어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지국 및 그것의 신호 전송 제어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194B1
KR102110194B1 KR1020150179917A KR20150179917A KR102110194B1 KR 102110194 B1 KR102110194 B1 KR 102110194B1 KR 1020150179917 A KR1020150179917 A KR 1020150179917A KR 20150179917 A KR20150179917 A KR 20150179917A KR 102110194 B1 KR102110194 B1 KR 102110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base station
signal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2465A (ko
Inventor
박지수
김준우
박윤옥
방승재
이용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984,077 priority Critical patent/US9641230B2/en
Publication of KR20160082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다중 빔 영역으로 다중 빔을 전송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빔 영역으로 전송되는 상기 다중 빔을 통한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여부 및 전송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여부, 상기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구간 및 상기 다중 빔에 접속된 단말을 대상으로 접속 빔의 변경을 유도하는 유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상기 다중 빔 영역 또는 상기 다중 빔으로 하향링크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신호 전송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링크 제어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지국 및 그것의 신호 전송 제어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BASE STATION AND SIGNAL TRANSMITTING CONTROL METHOD OF THE SAM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기지국 및 그것의 신호 전송 제어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속 데이터 전송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빔포밍(beamforming) 기술이 고려되고 있다. 빔포밍 기술은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빔 패턴을 만드는 기술로서 안테나에 공급하는 전력이나 위상을 제어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최대 전력을 공급한다. 즉, 빔포밍 안테나(beamforming antenna) 기술은 송출된 신호의 에너지가 특정 방향으로 집중적으로 전달되도록 다중 안테나를 구현하는 기술로서, 빔포밍을 통하여 높은 신호대잡음간섭비(Signal-to-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INR)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고속 데이터 전송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네트워크의 용량의 증대와 빔포밍 안테나 기술이 적용된 각종 기지국의 증설은 빔포밍 신호 간 또는 이웃하는 셀의 빔 신호 간 간섭을 증가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무선 신호의 송출에 따른 전력소비를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은 단말의 접속 여부 또는 접속된 단말의 상태, 트래픽 사용량에 상관없이 송신측과 수신측이 모두 알고 있는 신호를 주기적 및/또는 의무적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주기적 및/또는 의무적인 필요로 전송되는 신호에는 참조신호(reference signal)라 불리는 파일럿(pilot) 신호와 하향링크 제어신호 등이 있다. 그러나, 접속된 단말의 부재 혹은 특정 무선 구간에 전송할 데이터의 부재 등으로 인해 하향링크로 전송할 정보가 불필요할 수 있는 구간에 특정 하향링크 제어신호나 참조신호 등의 전송이 불필요한 경우에도 주기적 또는 의무적으로 하향링크 제어신호가 전송됨으로써 기지국의 전력 소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한 셀 내 다른 빔 신호나 이웃하는 셀의 빔 신호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특정 빔 영역에 대해 참조신호나 하향링크 제어신호 전송에 요구되는 불필요한 신호 송출을 중단시킴으로써 이웃하는 빔 영역에 접속한 단말이 수신한 하향링크 신호에 대한 빔 간 신호간섭을 줄이고 기지국의 송출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다중 빔 영역으로 다중 빔을 전송하는 기지국 및 그것의 신호 전송 제어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다중 빔 영역으로 다중 빔을 전송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빔 영역으로 전송되는 상기 다중 빔을 통한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여부 및 전송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여부, 상기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구간 및 상기 다중 빔에 접속된 단말을 대상으로 접속 빔의 변경을 유도하는 유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상기 다중 빔 영역 또는 상기 다중 빔으로 하향링크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신호 전송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링크 제어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중 빔은 개별 빔, 그룹 빔, 또는 상기 개별 빔 및 그룹 빔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개별 빔, 그룹 빔, 또는 상기 개별 빔 및 그룹 빔의 전송 여부 및 전송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방송 채널 또는 멀티 캐스트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전송 제어 정보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전송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신호는 하향링크 제어채널 신호 및 기준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일부 시간 구간동안 상기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일부 주파수 구간동안 상기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신호 전송 제어방법은 다중 빔 영역으로 다중 빔을 전송하는 기지국의 신호 전송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중 빔 영역으로 전송되는 상기 다중 빔을 통한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여부 및 전송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여부, 상기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구간 및 상기 다중 빔에 접속된 단말을 대상으로 접속 빔의 변경을 유도하는 유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상기 다중 빔 영역 또는 상기 다중 빔으로 하향링크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전송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링크 제어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상기 다중 빔 영역 또는 상기 다중 빔으로 하향링크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방송 채널 또는 멀티 캐스트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중 빔 영역으로 전송되는 상기 다중 빔을 통한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여부 및 전송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중 빔 영역 또는 다중 빔 각각에 접속한 단말의 유무, 상기 다중 빔 영역 또는 다중 빔 각각에 접속한 단말의 상태, 상기 다중 빔 영역 각각의 트래픽 및 상기 다중 빔 영역 또는 다중 빔 간의 간섭 발생 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타겟 전송 영역 또는 타겟 전송 빔을 더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전송 제어 정보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전송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신호는 하향링크 제어채널 신호 및 기준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전송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링크 제어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일부 시간 구간동안 상기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전송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링크 제어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일부 주파수 구간동안 상기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중 빔 영역으로 전송되는 다중 빔을 통한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여부, 상기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구간 및 상기 다중 빔에 접속된 단말을 대상으로 접속 빔의 변경을 유도하는 유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신호 전송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링크 제어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기지국, 및 상기 신호 전송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하향링크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일부 시간 구간동안 또는 일부 주파수 구간동안 상기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이 중단되는 경우 채널측정 또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자원블록을 포함하는 수신 신호에 대한 복조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신호 전송 제어 정보에 포함된 상기 유도 정보에 응답하여 접속 중인 빔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도 정보는 접속 빔의 변경을 유도할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접속을 변경할 타겟 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전송 제어 정보는 빔간 신호측정 요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빔간 신호측정 요청에 응답하여 현재 접속한 빔에 이웃한 빔의 채널을 측정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채널 측정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및 그것의 신호 전송 제어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에 따르면 하향링크 제어신호 전송에 요구되는 불필요한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동일 셀 내의 빔 간 신호간섭, 이웃하는 셀로부터 야기되는 빔 간 신호간섭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다중 빔 전송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다중 빔을 통해 전송되는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제어신호들의 전송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다중 빔으로의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제어 동작을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다중 빔으로의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제어 동작을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셀 경계 영역에서의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제어 동작을 보여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신호 전송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신호 전송 제어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User Equipment, UE)은 사용자 터미널(user terminal, UT),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어드번스드 이동국(Advanced 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어드번스드 이동국,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e노드B(eNode B, eN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중계국(Relay Station, RS), 이동 멀티홉 중계국(Mobile Multihop Relay Station, MM RS), 이동 멀티홉 중계국 지원 기지국(MMR-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B, 송수신 기지국, 중계국, MM RS,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의 유형은 셀의 형태에 따라 매크로(Macro) 셀, 원격무선(remote radio head, RRH) 셀, 피코(Pico) 셀, 마이크로(Micro) 셀, 펨토(Femto) 셀 등의 기지국 등을 지칭할 수 있으며, 일부 혹은 전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3GPP LTE(Long-Term Evolution) 시스템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정의에 대응되는 모든 다른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다중 빔 전송 구조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다중 빔 영역(빔 영역 그룹A, 빔 영역 그룹B, 빔 영역 그룹C)으로 다중 빔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공간분할다중접속(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SDMA) 방식으로 복수의 빔 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빔 신호를 섹터 또는 셀 내에서 다중화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다중 안테나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안테나 그룹A, 안테나 그룹B, 및 안테나 그룹C를 포함하는 다중 안테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기지국은 3개의 섹터(섹터A, 섹터B, 섹터C)를 기준으로 각 섹터 당 16개의 빔 영역을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빔 영역 그룹A는 4개의 빔 영역을, 빔 영역 그룹B 및 C는 각각 6개의 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빔 영역 그룹 A는 기지국과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빔 영역 그룹 B는 그 보다 먼 거리에 위치하고, 빔 영역 그룹 C는 기지국과 가장 거리가 먼 셀 경계(edge)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의 각 안테나에서 전송되는 빔은 각 빔 영역에 분할 및 맵핑(mapping)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그룹A에서 전송된 빔은 다수의 빔 영역으로 구성된 빔 영역 그룹A에 맵핑될 수 있고, 안테나 그룹B 및 C에서 각각 전송된 빔은 각각 빔 영역 그룹 B와 C로 맵핑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다중 빔을 통해 전송되는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다중 빔을 통해 전송되는 하나의 무선 프레임(이하에서, '프레임'으로 칭함)은 10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LTE-TDD 방식의 경우 각 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로 구성되며, LTE-FDD 방식의 경우 각 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로 구성될 수 있다. 다중 빔을 통해 전송되는 프레임의 구조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프레임 및/또는 서브프레임은 시간 축으로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볼과 주파수 축으로 적어도 하나의 서브캐리어(subcarrier)로 구성되는 자원요소(RE)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빔을 통해 전송되는 프레임은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신호는 예를 들어, 하향링크 동기신호(DSS), 하향링크 제어채널(DCCH), 방송채널(BCH), 및 기준신호(RS)를 포함할 수 있다.
하향링크 동기신호(DSS)는 특정 빔 영역 또는 특정 빔에 접속된 단말의 하향링크 프레임의 동기를 위한 제어정보이며, 역할에 따라 프라이머리(primary) 또는 세컨더리(secondary)로 구분될 수 있다. 방송채널(BCH)은 신호 전송 제어 정보(SI, system information)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통해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정보가 단말에 전달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채널(DCCH)은 제어 채널 영역이나 포맷을 구분하는 포맷제어채널,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의 자원할당을 목적으로 하는 자원할당제어채널, 상향링크 HARQ 데이터에 대한 HARQ의 지시자인 피드백 정보(Ack 또는 Nack)를 제공하는 HARQ 제어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신호(RS)는 모든 단말들에게 공통으로 제공되는 기준신호(예를 들어, 공통기준신호, Common_RS)와 특정 단말 또는 단말 그룹에게 데이터 자원블록(RB) 전송시 데이터 복조를 위해 함께 제공되는 기준신호(예를 들어, 단말기준신호, UE_RS), 각 다중 빔 영역 내에 접속한 단말들에게 제공되는 빔기준신호(예를 들어, Beam_RS)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기준신호(Common_RS)는 특정 셀 또는 특정 빔으로 전송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코히어런트 복조(coherent demodulation)와 채널품질 추정에 이용되며, 단말기준신호(UE_RS)는 데이터 자원블록(RB)의 복조와 채널품질 추정에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BS)이 예시적으로 섹터C에서 빔 영역 그룹들로 다중 빔을 전송하는 경우가 도시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BS)은 각 빔을 통해 단말(UE)와 통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중 빔 영역으로 전송되는 다중 빔을 통한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여부 및 전송 구간을 결정하고,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여부, 전송 구간 및 다중 빔에 접속된 단말을 대상으로 접속 빔의 변경을 유도하는 유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제어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0)이 설명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0)은 결정부(110), 신호 전송 제어 정보 생성부(120), 통신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정부(110)는 다중 빔 영역으로 전송되는 다중 빔을 통한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여부 및 전송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 빔은 개별 빔, 그룹 빔, 또는 개별 빔 및 그룹 빔으로 구성될 수 있고, 결정부(110)는 개별 빔, 그룹 빔, 또는 개별 빔 및 그룹 빔 각각의 전송 여부 및 전송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결정부(110)는 다중 빔 영역 중에서 타겟 전송 영역 또는 타겟 전송 빔을 더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타겟 전송 영역은 기지국(100)이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타겟으로 결정한 빔 영역을 의미할 수 있고, 타겟 전송 빔은 기지국(100)이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타겟으로 결정한 빔을 의미할 수 있다.
결정부(110)는 다중 빔 영역 또는 다중 빔 각각에 접속한 단말의 유무, 다중 빔 영역 또는 다중 빔 각각에 접속한 단말의 상태, 다중 빔 영역 각각의 트래픽 및 다중 빔 영역 또는 다중 빔 간의 간섭 발생 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타겟 전송 영역 또는 타겟 전송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부(110)는 접속한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빔 영역을 타겟 전송 영역으로, 접속한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빔을 타겟 전송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부(110)는 접속한 단말이 유휴 상태(또는 슬립 상태)인 빔 영역을 타겟 전송 영역으로, 접속한 단말이 단말이 유휴 상태(또는 슬립 상태)인 빔을 타겟 전송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부(110)는 트래픽이 소정 기준값 이하인 빔 영역을 타겟 전송 영역으로, 트래픽이 소정 기준값 이하인 빔을 타겟 전송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부(110)는 서로 간섭이 발생하는 빔 영역을 타겟 전송 영역으로, 서로 간섭이 발생하는 빔을 타겟 전송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신호 전송 제어 정보 생성부(120)는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여부,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구간 및 다중 빔에 접속된 단말을 대상으로 접속 빔의 변경을 유도하는 유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 전송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전송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전송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신호 중 적어도 일부의 전송이 중단되는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전송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전송구간 정보는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신호는 하향링크 제어채널(DCCH) 정보 및 기준신호(RS)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전송 제어 정보는 결정부(110)에 의해 결정된 타겟 전송 영역 또는 타겟 전송 빔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빔 영역 또는 빔 그룹 영역에 접속한 단말은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전송 제어 정보가 수신될 것임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전송 제어 정보는 빔간 신호측정 요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UE)은 상기 빔간 신호측정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UE)이 현재 접속한 빔에 이웃한 빔의 채널 측정을 수행하고, 기지국(100)으로 채널 측정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상기 다중 빔 영역 또는 상기 다중 빔으로 하향링크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30)는 다중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방송 채널(BCH) 또는 멀티 캐스트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하향링크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브로드캐스트 방식 또는 유니캐스트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하향링크 전송할 수 있다. 하향링크를 통해 통신부(130)로부터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UE)은 상기 신호 전송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신호 전송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링크 제어 신호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하향링크 제어신호들(예를 들어, 하향링크 동기신호(DSS), 하향링크 제어채널(DCCH), 방송채널(BCH), 및 기준신호(RS)) 중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DCCH) 정보 및 기준신호(RS)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단말(UE)은 상술한 하향링크 제어신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송이 중단되는 경우 채널측정 또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자원블록을 포함하는 수신 신호에 대한 복조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단말(UE)의 측면에서도 불필요한 동작을 줄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하향링크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일부 시간 구간 동안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하향링크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일부 주파수 구간 동안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이는 이하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제어부(140)는 다중 빔에 접속된 단말을 대상으로 접속 빔의 변경을 유도하는 유도 정보를 기초로 하향링크 제어 신호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유도 정보는 접속 빔의 변경을 유도할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접속을 변경할 타겟 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UE)은 신호 제어 정보에 포함된 유도 정보에 응답하여 접속 중인 빔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 정보는 단말들 대부분이 특정 빔(예를 들어, 제 1 빔)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다른 빔(예를 들어, 제 2 빔)에 접속된 단말을 상기 특정 빔으로 접속 빔을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40)는 상기 유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빔(예를 들어, 제 2 빔)을 통한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0)은 다중 빔 영역으로 전송되는 다중 빔을 통한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여부 및 전송 구간, 다중 빔에 접속된 단말을 대상으로 접속 빔의 변경을 유도하는 유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을 제어함으로써 하향링크 제어신호 전송에 요구되는 불필요한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동일 셀 내의 빔 간 신호간섭, 이웃하는 셀로부터 야기되는 빔 간 신호간섭, 중첩된 형태의 피코 셀(pico cell), 펨토 셀(femto cell), 마이크로 셀(micro cell), 중계국 셀(relay cell), 원격무선파이헤드(remote radio & PHY head, RRPH) 등에 의해 송출되는 빔 간의 신호 간섭의 영향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즉,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접속된 단말의 존재 유무에 상관없이, 또는 단말의 유휴 상태, 슬립 상태 등의 접속 상태와 상관없이 일정시간 단말로 전송할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하향링크 제어채널(DCCH) 정보와 파일럿 등으로 구성된 공통기준신호(Common_RS)가 프레임/서브프레임마다 단말로 전송되고, 프리앰블 등의 하향링크 동기신호(DSS)가 프레임/서브프레임마다 단말로 전송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0)은 단말로 전송할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하향링크 제어신호 중 적어도 일부의 전송을 중단함으로써 소모 전력을 줄이고, 빔 간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다중 전송 빔으로의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제어 동작을 보여준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시간 영역에서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제어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도시된다.
신호 전송 제어 정보(N1)는 하향링크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전송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전송 제어 정보(N1)는 하향링크 제어신호 중 적어도 일부의 전송이 중단되는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전송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전송구간 정보는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인덱스(2 및 3)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전송 제어 정보에 프레임 인덱스 또는 서브프레임 인덱스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프레임 및 서브프레임 단위의 개수 또는 해당 프레임 및 서브프레임의 위치로 표현될 수 있으며, 서브프레임 지시 정보는 다수의 서브프레임이 하나의 프레임 단위로 구성되는 경우, 전송 제어구간 내의 하나의 프레임에서 실제 전송 중단이 이루어지는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 또는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신호 전송 제어 정보(N1)에 기초하여 인덱스 2 및 3에 대응되는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전부 또는 일부 시간 구간에서 하향링크 제어신호 중 적어도 일부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도 5에서, 불연속 전송 프레임1은 신호 전송 제어 정보(N1)에 따라 하향링크 제어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구간을 의미하고, 정상프레임은 하향링크 제어신호 및 데이터 트래픽이 정상적으로 전송되는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특정 빔의 하향링크 제어신호 중 적어도 일부의 전송 중단을 통해, 하향링크 동기신호(DSS)와 방송채널(BCH)을 제외한 신호 전송이 없는 일정 시간 구간에 물리계층(PHY)을 포함하는 변조 장치들과 RF 송출 장치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동일 셀 내의 빔 간 간섭을 줄이고, 이웃하는 또는 중첩된 셀로부터의 빔 간 간섭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해당 빔의 송신 장치에 대한 전력 소비를 줄임으로써 무선통신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에서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제어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도시된다.
신호 전송 제어 정보(N2)는 하향링크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전송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전송 제어 정보(N2)는 하향링크 제어신호 중 적어도 일부의 전송이 중단되는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전송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신호 전송 제어 정보(N2)에 기초하여 인덱스 2 및 3에 대응되는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전부 또는 일부 주파수 구간에서 하향링크 제어신호 중 적어도 일부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즉,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적어도 일부의 전송이 중단되는 프레임 혹은 서브프레임은 인덱스 2번과 3번이고, 해당 프레임 혹은 서브프레임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특정 무선자원블록(예를 들어, 0,1,2,3,4,5,6,7 번 무선자원블록, 불연속 전송 프레임2)에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적어도 일부의 전송이 중단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인덱스 0번 및 1번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은 데이터 트래픽 및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무선 구간(즉, 정상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다중 전송 빔으로의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제어 동작을 보여준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0)은 인접한 전송 빔의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100)은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구간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전송 구간을 설정하는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인접한 전송 빔들에 접속한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m 번째 전송 빔의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제어 구간과 m+1 번째 전송 빔의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제어 구간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설정하는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0)은 n 번째 전송 빔과 인접한 n+1 번째 전송 빔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각 빔마다 시간 영역의 전송 제어구간이 동일하더라도 주파수 영역에서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제어구간을 달리 설정함으로써 빔 간 신호간섭을 줄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셀 경계 영역에서의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제어 동작을 보여준다.
도 8을 참조하면, 각 기지국(BS1, BS2)은 셀 경계의 빔 영역(예를 들어, 도 1에서 빔 영역 그룹A)에 위치한 빔을 통해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각 기지국의 셀 경계 빔 영역에 위치한 모든 또는 특정 단말에 전달할 수 있는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간 셀 경계 빔 영역에서 협업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제어 구간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접속망 제어 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망 제어 장치는 기지국에 탑재될 수도 있고 게이트웨이 등의 네트워크 장치에 탑재될 수 있으며, 또는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접속망 제어 장치는 다수의 기지국과 협력을 통해 각 기지국의 셀 경계의 빔영역에서 각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의 수, 단말의 접속 상태, 트래픽 부하량 등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간에 서로 이웃하는 기지국인지, 피코 셀, 중계국 셀, 펨토 셀 기지국 등의 중첩된 기지국인지 등 기지국의 유형과 각 기지국의 위치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접속망 제어 장치는 수집한 정보를 통해 셀 경계의 빔영역에서 각 기지국이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인지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접속망 제어 장치는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제어 동작 수행이 가능한 기지국들과 그렇지 않은 기지국 간에 신호 간섭을 줄이고 불필요한 무선 신호의 송신 전력을 줄이기 위해 하향링크 제어신호 전송 제어 구간 등을 결정하고, 해당 기지국들에게 하향링크 제어신호 전송 제어를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접속망 제어 장치로부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은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셀 경계의 빔영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전송하고,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중단 구간 및 실제 전송 중단이 이루어지는 소정의 일정 시간 동안 또는 소정의 일정 주파수 구간에 전송회로소자를 포함한 전송 장치, RF 장치 등의 무선 신호 송출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고, 하향링크의 무선 신호를 중단하여 무선 송신 장치의 전력 부하를 줄이고 기지국 간 신호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신호 전송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신호 전송방법은 다중 빔 영역으로 전송되는 다중 빔을 통한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여부 및 전송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S110),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여부,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구간 및 다중 빔에 접속된 단말을 대상으로 접속 빔의 변경을 유도하는 유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20),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상기 다중 빔 영역 또는 상기 다중 빔으로 하향링크 전송하는 단계(S130), 및 신호 전송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링크 제어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술한 S110 단계 내지 S140 단계가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결정부(110)는 다중 빔 영역으로 전송되는 다중 빔을 통한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여부 및 전송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S110). 예를 들어, 다중 빔은 개별 빔, 그룹 빔, 또는 개별 빔 및 그룹 빔으로 구성될 수 있고, 결정부(110)는 개별 빔, 그룹 빔, 또는 개별 빔 및 그룹 빔 각각의 전송 여부 및 전송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결정부(110)는 다중 빔 영역 중에서 타겟 전송 영역 또는 타겟 전송 빔을 더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타겟 전송 영역은 기지국(100)이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타겟으로 결정한 빔 영역을 의미할 수 있고, 타겟 전송 빔은 기지국(100)이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타겟으로 결정한 빔을 의미할 수 있다.
결정부(110)는 다중 빔 영역 또는 다중 빔 각각에 접속한 단말의 유무, 다중 빔 영역 또는 다중 빔 각각에 접속한 단말의 상태, 다중 빔 영역 각각의 트래픽 및 다중 빔 영역 또는 다중 빔 간의 간섭 발생 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타겟 전송 영역 또는 타겟 전송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신호 전송 제어 정보 생성부(120)는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여부,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구간 및 다중 빔에 접속된 단말을 대상으로 접속 빔의 변경을 유도하는 유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20). 신호 전송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전송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전송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신호 중 적어도 일부의 전송이 중단되는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전송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전송구간 정보는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상기 다중 빔 영역 또는 상기 다중 빔으로 하향링크 전송할 수 있다(S130). 통신부(130)는 브로드캐스트 방식 또는 유니캐스트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 전송 제어 정보를 하향링크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신호 전송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링크 제어 신호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S140).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하향링크 제어신호들(예를 들어, 하향링크 동기신호(DSS), 하향링크 제어채널(DCCH), 방송채널(BCH), 및 기준신호(RS)) 중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DCCH) 정보 및 기준신호(RS)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하향링크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일부 시간 구간 동안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하향링크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일부 주파수 구간 동안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다중 빔에 접속된 단말을 대상으로 접속 빔의 변경을 유도하는 유도 정보를 기초로 하향링크 제어 신호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 정보는 단말들 대부분이 특정 빔(예를 들어, 제 1 빔)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다른 빔(예를 들어, 제 2 빔)에 접속된 단말을 상기 특정 빔으로 접속 빔을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40)는 상기 유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빔(예를 들어, 제 2 빔)을 통한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신호 전송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기지국
110: 결정부
120: 신호 전송 제어 정보 생성부
130: 통신부
140: 제어부
1000: 컴퓨팅 시스템
1100: 프로세서
1200: 시스템 버스
1300: 메모리
1310: ROM
1320: RAM
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장치
15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장치
1600: 스토리지
17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Claims (20)

  1.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기지국과 단말 간의 통신을 위한 자원들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자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에서 기준 신호의 전송이 비활성화되는 것을 지시하는 비활성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정보 요소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자원들 중에서 상기 기준 신호의 전송이 비활성화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자원들에서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기준 신호의 전송이 비활성화되는 시간 영역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요소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기준 신호의 전송이 비활성화되는 주파수 영역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요소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기준 신호의 전송이 활성화되는 것을 지시하는 활성화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다중 빔들의 전송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비활성화 정보는 다중 빔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빔들을 위해 설정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의 전송이 비활성화되는 자원은 상기 다중 빔들 중 이웃한 빔들에서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기준 신호의 전송이 비활성화되는 자원에서 상기 단말에 전송되지 않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8.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과 기지국 간의 통신을 위한 자원들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자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에서 기준 신호의 전송이 비활성화되는 것을 지시하는 비활성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요소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자원들 중에서 상기 기준 신호의 전송이 비활성화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자원들에서 상기 기준 신호의 수신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신호의 전송이 비활성화되는 자원에서 상기 기준 신호의 수신을 위한 동작은 수행되지 않는, 단말의 동작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기준 신호의 전송이 비활성화되는 시간 영역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요소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기준 신호의 전송이 비활성화되는 주파수 영역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요소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기준 신호의 전송이 활성화되는 것을 지시하는 활성화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다중 빔들의 전송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비활성화 정보는 다중 빔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빔들을 위해 설정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의 전송이 비활성화되는 자원은 상기 다중 빔들 중 이웃한 빔들에서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50179917A 2014-12-30 2015-12-16 기지국 및 그것의 신호 전송 제어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110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84,077 US9641230B2 (en) 2014-12-30 2015-12-30 Base station and signal transmitting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054 2014-12-30
KR20140193054 2014-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465A KR20160082465A (ko) 2016-07-08
KR102110194B1 true KR102110194B1 (ko) 2020-05-13

Family

ID=56504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917A KR102110194B1 (ko) 2014-12-30 2015-12-16 기지국 및 그것의 신호 전송 제어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1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6921A1 (ko) * 2016-07-21 2018-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 간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1438054B2 (en) 2016-08-11 2022-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antenna or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forming technique
CN110050497B (zh) 2016-11-04 2023-12-08 Lg电子株式会社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下行链路信道接收的方法及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5927A (ko) * 2010-08-13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처리 방법
KR102114908B1 (ko) * 2012-05-25 2020-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465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1230B2 (en) Base station and signal transmitting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5065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transmissions in a wireless network
US10498508B2 (en) Device, network,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with fast adapti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EP3682557B1 (en) Beam selection in millimeter wave systems
TWI827635B (zh) 用於隨機存取程序的先聽後說(lbt)模式
US10098060B2 (en) Device, network, and method of cell discovery
US9930626B2 (en) Device, network,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with dynamic adaptation
EP2696645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US99237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 band full duplex communication in radio network
EP3681055B1 (en) Beam pair link selection
JP6423592B2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15552959A (zh) 基于空间关系来调适周期性配置
KR102110194B1 (ko) 기지국 및 그것의 신호 전송 제어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US107986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link transmitting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72101B1 (ko) 단말, 상향링크 채널 추정 방법 및 통신 시스템
US9357531B2 (en) Radio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WO2012026602A1 (ja) 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KR2023009779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240054208A (ko) 통신 시스템에서 trp의 동적 온-오프의 방법 및 장치
KR20150045987A (ko) 사운딩 참조 신호 생성 방법,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기지국
KR20240005649A (ko) 무선 자원 할당과 사용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52940A (ko) 다중 trp 기반의 신호 전송 및 빔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8575532A (zh) 用于多功率管理最大功率降低(p-mpr)报告的媒体接入控制(mac)控制元素(ce)设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