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878B1 - 걷기 또는 달리기 중 부하를 운반할 수 있게 하는 외골격 구조물용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걷기 또는 달리기 중 부하를 운반할 수 있게 하는 외골격 구조물용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878B1
KR102109878B1 KR1020197022110A KR20197022110A KR102109878B1 KR 102109878 B1 KR102109878 B1 KR 102109878B1 KR 1020197022110 A KR1020197022110 A KR 1020197022110A KR 20197022110 A KR20197022110 A KR 20197022110A KR 102109878 B1 KR102109878 B1 KR 102109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cable
input part
support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564A (ko
Inventor
카티아 빌로도
프란시스코 수시
나타니엘 조소
조나탄 밥티스타
조르단 그르니에
Original Assignee
사프란 일렉트로닉스 & 디펜스
비-테미아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프란 일렉트로닉스 & 디펜스, 비-테미아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사프란 일렉트로닉스 & 디펜스
Publication of KR20190118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cables, chains or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articulated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6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flexible members, e.g. an endless flexibl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Pelvis hold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Manipulator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골격 구조물용 연결 장치(7)로, 지지체(7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입력 피스(72) 및 전달 장치(73)를 포함하고, 전달 장치는, 입력 피스(72)를 제1 회전 방향(D)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부하가 입력 피스(72)에 가해질 때, 전달 장치가 제1 연결 링크(74)를 선회시키려고 하는 힘을 제1 연결 링크(74)로 전달하여 제1 기계식 다리 조립체(3)로 부하를 전달하며 제2 기계식 다리 조립체(4)로부터는 부하를 제거하도록, 그리고 입력 피스(72)를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E)으로 선회시키려고 하는 부하가 입력 피스(72)에 가해질 때, 전달 장치가 제2 연결 링크(75)를 선회시키려고 하는 힘을 제2 연결 링크(75)로 전달하여 제2 기계식 다리 조립체(4)로 부하를 전달하며 제1 기계식 다리 조립체(3)로부터는 부하를 제거하도록 배열되는,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걷기 또는 달리기 중 부하를 운반할 수 있게 하는 외골격 구조물용 연결 장치
본 발명은 외골격 구조물용 연결 장치 및 이러한 유형의 장치를 포함하는 외골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군사 분야에 있어서, 보병은 현재 장비들을 운반할 수 있게 하는 백팩들을 갖추고 있다. 보병들이 장기간의 임무를 수행할 때, 백팩의 질량은 50킬로그램에 달할 수 있다. 백팩의 질량은 보병의 이동성을 매우 감소시킬 수 있고 보다 큰 대사 출력(metabolic output)을 야기한다.
더욱이 백팩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어깨 위에 또는 힙 위에 받쳐지는데, 이는 어깨에서의 근골격계 문제, 피부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거나 혹은 신경 압박으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쓰라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현재의 해결책들은 백팩의 질량을 스트랩들에 의해서는 어깨들에 그리고 복부 벨트에 의해서는 힙들에 분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책들은 사용자가 백팩의 질량으로부터 완전히 해방되게 하지는 않는다.
근력 보조용 외골격들은 인간 골격의 구조를 복제하여 인체의 신체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기계적 구조물들이다.
백팩의 질량을 지면에 받칠 수 있게 하는 특정한 외골격 구조물들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공지의 외골격 구조물들(때때로 "보행 로봇들"이라고도 함)은 매우 상당한 부피를 가지며 사용자의 이동성을 감소시킨다.
특히, 이러한 외골격 구조물들에 있어서, 백팩의 부하는 사용자의 다리들을 따라 지면까지 연장하는 외골격의 하측 부분에 받쳐진다. 결과적으로 이 부하는 걸을 때, 특히 사용자가 그의 발을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이동시킬 때 사용자의 발들의 이동에 반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신체의 하부 파트의 이동성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사용자에게서 그의 백팩 질량의 상당 부분을 덜어줄 수 있는 해결책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은,
외골격 구조물용 연결 장치로,
- 허리 벨트에 부착되도록 의도된 지지체,
- 지지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골격 구조물의 기계식 등 조립체에 연결될 수 있는 입력 파트,
- 전달 장치,
- 지지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연결 링크로, 전달 장치에 의해 입력 장치에 연결되는 제1 단부 및 외골격 구조물의 제1 기계식 다리 조립체의 제1 힙 조인트에 연결될 수 있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제1 연결 링크, 및
- 지지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연결 링크로, 전달 장치에 의해 입력 파트에 연결되는 제1 단부 및 외골격 구조물의 제2 기계식 다리 조립체의 제2 힙 조인트에 연결될 수 있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제2 연결 링크를 포함하고,
전달 장치가,
- 입력 파트를 지지체에 대해 제1 회전 방향으로 선회시키려고 하는 부하가 입력 파트에 가해질 때, 전달 장치는 제1 연결 링크를 선회시키려고 하는 힘을 제1 연결 링크로 전달하여, 제1 기계식 다리 조립체로 부하를 전달하며 제2 기계식 다리 조립체의 부하는 제거하고, 그리고
- 입력 파트를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부하가 입력 파트에 가해질 때, 전달 장치는 제2 연결 링크를 선회시키려고 하는 힘을 제2 연결 링크에 전달하여, 제2 기계식 다리 조립체로 부하를 전달하여 제1 기계식 다리 조립체의 부하는 제거하도록 배열되는 연결 장치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달성된다.
걷기 사이클 중에, 외골격 구조물의 기계식 다리 조립체들은 교대로 지면과 접촉한다. 제안된 연결 장치는 백팩의 무게에 의해 발생되는 부하가 지면과 접촉하는 기계식 다리 조립체에 전달되게 하고 지면과 접촉하지 않는 기계식 다리 조립체에는 부하가 덜어지게 할 수 있다.
정확하게는, 각각의 기계식 다리 조립체에 대해,
- 발이 지면과 접촉하고 있는 시기에 대응하는 서 있는 단계 중에는 부하가 기계식 다리 조립체에 의해 지면으로 전달되고,
- 발이 더 이상 지면과 접촉하지 않는 흔들림(oscillation) 단계 중에, 기계식 다리 조립체가 백팩에 의해 발생되는 부하를 받지 않고 이에 따라 흔들리는 발은 자유롭게 움직인다.
더욱이, 사용자가 정지한 상태로 서 있을 때, 외골격 구조물의 기계식 다리 조립체들은 동시에 지면과 접촉하고 있다. 제안된 연결 장치는 백팩에 의해 발생되는 부하가 기계식 다리 조립체들 둘 다에 분산되어서 나누어지게 한다.
연결 장치는 또한 아래와 같은 피처들을 구비할 수 있다.
- 입력 파트가 지지체에 대해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다.
- 입력 파트가 슬라이더 및 슬라이더 내부에서 활주할 수 있고 슬라이더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원통형 핀에 의해 지지체에 대해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다.
- 입력 파트가 전달 장치에 의해 제1 연결 링크에 연결되는 하나의 단부를 구비하는 제1 브랜치 및 전달 장치에 의해 제2 연결 링크에 연결되는 하나의 단부를 구비하는 제2 브랜치를 구비한다.
- 전달 장치가 풀리 및 케이블 장치이다.
- 전달 장치가 입력 파트를 제1 연결 링크의 제1 단부에 연결하는 제1 케이블 및 입력 파트를 제2 연결 링크의 제1 단부에 연결하는 제2 케이블을 포함한다.
- 장치가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풀리를 포함하고, 제1 케이블이 입력 파트를 제1 연결 링크의 제1 단부에 연결하면서 제1 풀리의 원주면에 지지된다.
- 장치가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풀리를 포함하고, 제2 케이블이 입력 파트를 제2 연결 링크의 제1 단부에 연결하면서 제2 풀리의 원주면에 지지된다.
- 제1 풀리 및 제2 풀리의 회전 축선이 일치한다.
- 전달 장치가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풀리, 입력 파트를 제1 풀리에 연결하는 제1 케이블 및 제1 풀리를 제1 연결 링크의 제1 단부에 연결하는 제3 케이블을 포함한다.
- 제1 케이블은 제1 풀리의 제1 원주면에 지지되고, 제3 케이블은 제1 풀리의 제3 원주면에 지지되되, 제3 원주면의 반경이 제1 원주면의 반경보다 작다.
- 전달 장치가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풀리, 입력 파트를 제2 풀리에 연결하는 제2 케이블 및 제2 풀리를 제2 연결 링크의 제1 단부에 연결하는 제4 케이블을 포함한다.
- 제2 케이블은 제2 풀리의 제2 원주면에 지지되고 제4 케이블은 제2 풀리의 제4 원주면에 지지되되, 제4 원주면의 반경이 제2 원주면의 반경보다 작다.
- 제1 풀리 및/또는 제2 풀리의 회전 축선이 제1 연결 링크 및/또는 제2 연결 링크의 회전 축선과 일치한다.
본 발명은 또한 외골격 구조물로,
- 사용자의 허리를 둘러쌀 수 있는 허리 벨트,
- 사용자의 제1 다리를 따라 연장할 수 있는 제1 기계식 다리 조립체,
- 사용자의 제2 다리를 따라 연장할 수 있는 제2 기계식 다리 조립체,
- 부하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자의 등을 따라 연장할 수 있는 기계식 등 조립체,
- 앞에서 한정된 연결 장치를 포함하되, 연결 장치의 입력 파트가 등 구조물에 연결되고, 지지체는 허리 벨트에 부착되고, 제1 연결 링크는 제1 힙 조인트를 통해 제1 기계식 다리 조립체에 연결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제2 연결 링크는 제2 힙 조인트를 통해 제2 기계식 다리 조립체에 연결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외골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순전히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이며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읽어야만 하는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이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외골격 구조물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외골격 구조물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연결 장치의 작동을 도식적인 윤곽으로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서, 외골격 구조물은 허리 벨트(2), 제1 기계식 다리 조립체(3), 제2 기계식 다리 조립체(4) 및 기계식 등 조립체(5)를 포함한다.
허리 벨트(2)는 사용자의 허리를 둘러쌀 수 있다. 허리 벨트는 사용자의 허리 둘레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힙들 위에 지지된다. 허리 벨트는 외골격 구조물의 각기 다른 액추에이터들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하는 배터리 및 각기 다른 액추에이터들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된 제어 유닛을 지지할 수 있다. 배터리와 제어 유닛은 허리 벨트에 부착된다.
제1 기계식 다리 조립체(3)는 사용자의 제1 하부 멤버(우측 다리)를 따라 연장한다. 제1 기계식 다리 조립체(3)는 제1 하부 멤버에 부착되어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제1 하부 멤버의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제2 기계식 다리 조립체(4)는 사용자의 제2 하부 멤버(좌측 다리)를 따라 연장한다. 제2 기계식 다리 조립체(4)는 제2 하부 멤버에 부착되어 걷기 도는 달리기 중에 제2 하부 멤버의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제1 기계식 다리 조립체(3) 및 제2 기계식 다리 조립체(4)가 서로 대칭이라는 것에 유의하자. 따라서 이 조립체들(3, 4)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을 포함한다.
제1 기계식 조립체(3)는 제1 대퇴부 파트(31), 제1 정강이 파트(32) 및 제1 발 파트(33)를 포함한다.
제1 대퇴부 파트(31)는 사용자의 제1 허벅지(우측 허벅지)를 따라 연장하도록 의도된 제1 대퇴부 세그먼트(311) 및 사용자의 제1 허벅지를 둘러싸서 대퇴부 세그먼트(311)를 제1 허벅지에 부착시킬 수 있는 부착 스트랩(312)들을 포함한다.
제1 정강이 파트(32)는 사용자의 제1 정강이(우측 정강이)를 따라 연장하도록 의도된 제1 정강이 세그먼트(321) 및 사용자의 제1 정강이를 둘러싸서 정강이 세그먼트(321)를 제1 정강이에 부착시킬 수 있는 부착 스트랩(322)들을 포함한다.
제1 발 파트(33)는 사용자의 제1 신발(35)에, 예를 들어 신발(37)의 솔(351)에 부착된다. 제1 발 파트(33)는 스크루들에 의해 솔(371)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대퇴부 세그먼트(311)는 제1 힙 조인트(34)에 의해 허리 벨트(2)에 연결되는 제1 단부(313) 및 제1 무릎 조인트(35)에 의해 제1 정강이 세그먼트(321)에 연결되는 제2 단부(314)를 포함한다.
제1 정강이 세그먼트(321)는 제1 무릎 조인트(36)에 의해 제1 대퇴부 세그먼트(311)에 연결되는 제1 단부(323) 및 제1 발목 조인트(36)에 의해 제1 발 파트(33)에 연결되는 제2 단부(324)를 포함한다.
제2 기계식 조립체(4)는 제1 기계식 조립체(3)와 대칭이다.
제2 기계식 조립체(4)는 또한 제2 대퇴부 파트(41), 제2 정강이 파트(42) 및 제2 발 파트(43)를 포함한다.
제2 대퇴부 파트(41)는 사용자의 제2 허벅지(좌측 허벅지)를 따라 연장하도록 의도된 제2 대퇴부 세그먼트(411) 및 사용자의 제2 허벅지를 둘러싸서 대퇴부 세그먼트(411)를 제2 허벅지에 부착시킬 수 있는 부착 스트랩(412)들을 포함한다.
제2 정강이 파트(42)는 사용자의 제2 정강이(좌측 정강이)를 따라 연장하도록 의도된 제2 정강이 세그먼트(421) 및 사용자의 제2 정강이를 둘러싸서 정강이 세그먼트(421)를 제2 정강이에 부착시킬 수 있는 부착 스트랩(422)들을 포함한다.
제2 발 파트(43)는 사용자의 제2 신발(47)에, 예를 들어 신발(47)의 솔(471)에 부착된다. 제2 발 파트(43)는 스크루들에 의해 솔(471)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대퇴부 세그먼트(411)는 제2 힙 조인트(44)에 의해 허리 벨트(2)에 연결되는 제1 단부(413) 및 제2 무릎 조인트(45)에 의해 제2 정강이 세그먼트(421)에 연결되는 제2 단부(414)를 포함한다.
제2 정강이 세그먼트(421)는 제2 무릎 조인트(45)에 의해 제2 대퇴부 세그먼트(411)에 연결되는 제1 단부(423) 및 발목 조인트(36)에 의해 제2 발 파트(43)에 연결되는 제2 단부(424)를 포함한다.
힙 조인트들(33, 44) 및 무릎 조인트들(35, 45)은 힙 또는 무릎의 굴곡 또는 신장 운동 중에 사용자를 보조할 수 있게 하는 액추에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식 등 조립체(5(도 2에 도시됨)는 부하(6), 예를 들어 백팩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자의 등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외골격 구조물(1)은 기계식 등 조립체(5)를 허리 벨트(1) 및 기계식 다리 조립체들(3, 4)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연결 장치(7)를 또한 포함한다.
부하(6)가 기계식 등 조립체(5)에 부착될 때, 부하(6)는 허리 벨트(2) 및 기계식 다리 조립체들(3, 4)을 거쳐 지면으로 전달된다.
도 2 및 도 3은 기계식 등 조립체(5)를 허리 벨트(2) 및 기계식 다리 조립체들(3, 4)에 연결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7)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연결 장치(7)는 지지체(71), 입력 파트(72), 전달 장치(73), 제1 연결 링크(74) 및 제2 연결 링크(75)를 포함한다.
지지체(71)는 허리 벨트(2)에 부착된다.
입력 파트(72)는 기계식 등 조립체(5)에 연결된다. 입력 파트(72)는 슬라이더(711) 및 슬라이드 내부에서 활주 가능하며 슬라이더(711)에 대해 회전되는 원통형 핀(721)에 의해 지지체(71)에 대해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다. 정확하게는, 핀(721)은 입력 파트(72)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슬라이더(711)는 지지체(71)에 고정되게 장착된다. 이에 따라 핀(721)과 슬라이더(711)는 사용자가 서 있는 자세를 유지할 때 입력 파트(72)가 지지체(71)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병진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핀(721) 및 슬라이더(711)는 또한 입력 파트(72)가 지지체(71)에 대해 사용자의 시상 축선(sagittal axis)과 평행한 회전 축선을 따라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입력 파트(72)는 제1 브랜치(722) 및 제2 브랜치(723)를 구비하는 대체로 U자 형상을 갖는다. 제1 브랜치(722)는 제1 단부(724)를 구비하고, 제2 브랜치(723)는 제2 단부(725)를 구비한다.
전달 장치(73)는 제1 풀리(76), 제2 풀리(77), 제1 케이블(78) 및 제2 케이블(79)을 포함한다.
제1 풀리(76)는 지지체(71) 위에 제1 회전 축선(763)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풀리(76)는 제1 원주면(762)을 구비하는 제1 휠(761)을 포함한다. 제1 원주면(762)은 제1 케이블(78)을 수용하고 안내하기 위한 제1 리세스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풀리(77)도 또한 지지체(71) 위에 제2 회전 축선(773)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 풀리(77)는 제2 원주면(772)을 구비하는 제2 휠(771)을 포함한다. 제2 원주면(772)은 제2 케이블(79)을 수용하고 안내하기 위한 제2 리세스를 구비할 수 있다.
두 개의 풀리(76, 77)는 나란히 그리고 서로 다르고 평행한 회전 축선들(763, 773)을 구비면서 배치될 수 있거나, 혹은 회전 축선들(763, 773)이 일치하면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 링크(74)는 지지체(71) 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연결 링크(74)는 사용자의 제1 힙 관절(우측 힙 관절)의 내전/외전 축선과 일치하는 회전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연결 링크(74)는 전달 장치(73)에 의해 입력 파트(72)에 연결되는 제1 단부(741) 및 제1 기계식 다리 조립체(3)의 제1 힙 조인트(34)에 연결되는 제2 단부(742)를 구비한다.
제2 연결 로드(75)는 지지체(7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연결 링크(75)는 제1 연결 링크(74)의 회전 축선(743)과 평행하고 사용자의 제2 힙 관절(좌측 힙 관절)의 내전/외전 축선과 일치하는 회전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 연결 링크(75)는 전달 장치(73)에 의해 입력 파트(72)에 연결되는 제1 단부(751) 및 제2 기계식 다리 조립체(40의 제2 힙 조인트(44)에 연결되는 제2 단부(752)를 구비한다.
제1 케이블(78)은 입력 파트(72)를 제1 연결 링크(74)에 연결하며, 제1 풀리(76)의 원주면(762)에 지지된다. 정확하게는, 제1 케이블(78)은 입력 파트(72)의 제1 단부(724)에 연결되는 제1 단부(781) 및 제1 연결 링크(74)의 제1 단부(741)에 부착되는 제2 단부(782)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제2 케이블(79)은 입력 파트(72)를 제2 연결 링크(75)에 연결하며, 제2 풀리(77)의 원주면(771)에 지지된다. 정확하게는, 제2 케이블(79)은 입력 파트(72)의 제2 단부(725)에 연결되는 제1 단부(791) 및 제2 연결 링크(75)의 제1 단부(751)에 부착되는 제2 단부(792)를 구비한다.
또한,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연결 링크(74, 75)는 관절 세그먼트들(84, 85)에 의해 각각의 기계식 다리 조립체(3, 4)에 연결될 수 있다. 정확하게는, 제1 세그먼트(84)가 피벗 연결부(843)에 의해 관절식으로 연결된 두 개의 세그먼트 부분(841, 842)을 포함하고, 피벗 연결부는 세그먼트 부분들이 수직 축선 둘레로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마찬가지로, 제2 세그먼트(85)는 피벗 연결부(853)에 의해 관절식으로 연결된 두 개의 세그먼트 부분(851, 852)을 포함하고, 피벗 연결부는 세그먼트 부분들이 수직 축선 둘레로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한다. 피벗 연결부들(843, 853)은 사용자의 힙들의 내측 및 외측 회전 운동들을 수용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연결 장치(7)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다.
연결 장치(7)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사용자가 정지된 자세에서 두 다리로 서 있을 때, 기계식 등 조립체(5)에 의해 지지되는 부하(6)의 무게는 입력 파트(72)로 전달된다(화살표 A). 무게는 제1 케이블(78) 및 제2 케이블(79)에 장력을 가하는 효과를 갖는다. 제1 케이블(78)에 가해지는 장력은 제2 케이블(79)에 가해지는 장력과 동일하다. 이 장력은 부하의 절반과 같다.
결과적으로, 제1 케이블(78)은 제1 연결 링크(74)를 제1 회전 방향(화살표 B)으로 선회시키려고 하는 제1 힘을 제1 연결 링크(74)에 가한다.
마찬가지로, 제2 케이블(79)은 제2 연결 링크(75)를 제2 회전 방향(화살표 C)으로 선회시키려고 하는 제2 힘을 제2 연결 링크(75)에 가한다.
따라서 제1 연결 링크(74)는 제1 힘을 제1 기계식 다리 조립체(3)로 전달하고, 제2 연결 링크(75)는 제2 힘을 제2 기계식 다리 조립체(4)로 전달한다. 제1 힘은 제2 힘과 동일하고, 이에 따라 두 개의 기계식 다리 조립체(3, 4)는 부하의 절반과 같은, 동일한 지지력을 지지한다.
사용자가 걷고 있는 동안, 사용자는 그의 제1 다리(우측 다리) 및 제2 다리(좌측 다리)로 그 자신을 교대로 지지하는데, 이는 입력 파트(72)에 그 회전 축선 둘레로의 약간의 흔들림을 초래한다.
걷기 사이클의 제1 단계 중에, 사용자가 제1 다리로 지탱하고 있을 때, 입력 파트(72)는 지지체 파트(71)에 대해 그 회전 축선 둘레로 제1 회전 방향(화살표 D)으로 선회하려고 한다.
입력 파트(72)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은 제1 케이블(78)을 신장시키고 제2 케이블(79)은 이완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달리 말하면, 제1 케이블(78)의 장력이 제2 케이블(79)의 장력보다 크다. 제1 케이블(78)은 제1 연결 링크(74)를 지지체 파트(71)에 대해 그 회전 축선(743) 둘레로 제1 회전 방향(화살표 B)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을 제1 연결 링크(74)에 전달한다. 이는 기계식 등 조립체(5)에 가해지는 부하 전부가 제1 연결 링크(74)에 의해 제1 힙 조인트(34)를 거쳐 제1 기계식 다리 조립체(3)로 전달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반대로, 제2 기계식 다리 조립체(4)로 전달되는 부하 부분은 크게 감소되며, 이는 사용자가 과도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그의 제2 다리를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릴 수 있게 한다.
걷기 사이클의 제2 단계 중에, 사용자가 제2 다리로 지탱하고 있을 때, 입력 파트(72)는 지지체 파트(71)에 대해 그 회전 축선 둘레로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화살표 E)으로 선회하려고 한다.
입력 파트(72)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은 제2 케이블(79)을 신장시키고 제1 케이블(78)을 이완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달리 말하면, 제2 케이블(79)의 장력이 제1 케이블(78)의 장력보다 크다. 제2 케이블(79)은 제2 연결 링크(75)를 그 회전 축선(753) 둘레로 제2 회전 방향(화살표 C)지지체 파트(71)에 대해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을 제2 연결 링크(79)에 전달한다. 이는 기계식 등 조립체(5)에 다해지는 부하 전부가 제2 연결 링크(75)에 의해 제2 힙 조인트(44)를 거쳐 제2 기계식 다리 조립체(4)로 전달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반대로, 제1 기계식 다리 조립체(3)로 전달되는 부하 부분은 크게 감소되며, 이는 사용자가 과도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그의 제1 다리를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릴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걷기 사이클 중에, 부하는 제1 기계식 다리 조립체(3) 및 제2 기계식 다리 조립체(4)에 교대로 전달된다. 제안된 연결 장치 덕분에, 부하는 항상 지면과 접촉하고 있는 기계식 다리 조립체(3 또는 4)로 전달된다. 다른 기계식 다리 조립체는 단지 부하의 감소된 부분만을 지지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응하는 다리를 용이하게 들어 올릴 수 있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7)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제1 실시예와 같이, 연결 장치(7)는 지지체(71), 입력 파트(72), 전달 장치(73), 제1 연결 링크(74) 및 제2 연결 링크(75)를 포함한다.
지지체(71)는 허리 벨트(2)에 부착된다.
입력 파트(72)는 기계식 등 조립체(5)에 연결된다. 입력 파트(72)는 슬라이더(711) 및 슬라이더(711) 내부에서 활주 가능하며 슬라이더(711)에 대해 회전되는 핀(712)에 의해 지지체(71)에 대해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 실시예에서, 입력 파트(72)가 제1 브랜치(722) 및 제2 브랜치(723)를 구비하는 대체로 역 T자 형상을 갖는다. 제1 브랜치(722)는 제1 단부(724)를 구비하고, 제2 브랜치(723)는 제2 단부(725)를 구비한다.
전달 장치(73)는 제1 풀리(76), 제2 풀리(77), 제3 풀리(86), 제4 풀리(87), 제1 케이블(78), 제2 케이블(79), 제3 케이블(88) 및 제4 케이블(89)을 포함한다.
제1 풀리(76)는 지지체(71) 위에 제1 회전 축선(763)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풀리(76)는 반경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원주면(762, 764)을 구비하는 제1 휠을 포함한다. 원주면(764)의 반경은 원주면(762)의 반경보다 작다. 원주면(762)은 제1 케이블(78)을 수용하고 안내하기 위한 리세스를 구비할 수 있다. 원주면(764)은 제3 케이블(88)을 수용하고 안내하기 위한 리세스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풀리(77)도 또한 지지체(71) 위에 제2 회전 축선(773)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 풀리(77)는 역시 두 개의 원주면(772, 774)을 구비하는 제2 휠(771)을 포함한다. 제2 원주면(774)의 반경은 원주면(772)의 반경보다 작다. 원주면(772)은 제2 케이블(78)을 수용하고 안내하기 위한 리세스를 구비할 수 있다. 제4 원주면(764)은 제4 케이블(89)을 수용하고 안내하기 위한 리세스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연결 링크(74)는 지지체(7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정확하게는, 제1 연결 링크는 제1 풀리(76)의 회전 축선(763)과 일치하는 회전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연결 링크(74)는 전달 장치(73)에 의해 입력 파트(72)에 연결되는 제1 단부(741) 및 제1 기계식 다리 조립체(3)의 제1 힙 조인트(34)에 연결되는 제2 단부(742)를 포함한다.
제2 연결 링크(74)는 지지체(7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정확하게는, 제2 연결 링크(75)는 제2 풀리(77)의 회전 축선과 일치하는 회전 축선(753)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 연결 링크(75)는 전달 장치(73)에 의해 입력 파트(72)에 연결되는 제1 단부(751) 및 제2 기계식 다리 조립체(4)의 제2 힙 조인트(44)에 연결되는 제2 단부(752)를 구비한다.
제1 케이블(78)은 입력 파트(72)를 제1 풀리(76)에 연결하며, 제1 풀리(76)의 원주면(762)에 지지된다. 제3 케이블(88)은 제1 풀리를 제1 연결 링크(74)에 연결하며, 제1 풀리(76)의 원주면(764) 및 제3 풀리(86)의 원주면(828)에 지지된다.
정확하게는, 제1 케이블(78)은 입력 파트(72)의 제1 단부(724)에 부착되는 제1 단부(781) 및 제1 풀리(76)의 제1 원주면(762)에 부착되는 제2 단부(782)를 구비한다.
제3 케이블(88)은 제1 풀리(76)의 원주면(76)에 부착되는 제1 단부(881) 및 제1 연결 링크(74)의 제1 단부(741)에 부착되는 제2 단부(882)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제2 케이블(79)은 입력 파트(72)를 제2 풀리(77)에 연결하며, 제2 풀리(77)의 원주면(772)에 지지된다. 제4 케이블(89)은 제2 풀리(77)를 제2 연결 링크(75)에 연결하며, 제2 풀리(77)의 원주면(774) 및 제4 풀리(87)의 원주면(872)에 지지된다.
정확하게는, 제2 케이블(79)은 입력 파트(72)의 제2 단부(725)에 부착되는 제1 단부(791) 및 제2 풀리(77)의 원주면(772)에 부착되는 제2 단부(792)를 포함한다.
제4 케이블(89)은 제2 풀리(77)의 원주면(774)에 부착되는 제1 단부(891) 및 제2 연결 링크(75)의 제1 단부(751)에 부착되는 제2 단부(892)를 구비한다.
각각의 풀리(76)(각각 77)는 반경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원주면(762, 764)(각각 772, 774)을 구비하는데, 전달 장치(73)는 제1 케이블(78)(각각 제2 케이블(88))에 의해 가해져 제3 케이블(88)(각각 제4 케이블(89))로 전달되는 장력이 배가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 형태는 특히 간소한 전달 장치(73)가 얻어질 수 있게 한다.
작동 시, 입력 파트(72)의 제1 회전 방향(화살표 D)으로의 회전은 제1 케이블(78)이 신장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제1 케이블(78)은 제1 풀리(76)를 지지체 파트(71)에 대해 회전 축선(763) 둘레로 제1 회전 방향(화살표 B)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을 제1 풀리(76)에 전달한다.
제1 풀리(76)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은 제3 케이블(88)이 제1 풀리(76) 둘레에 권취되게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원주면(764)의 반경이 원주면(62)의 반경보다 작으므로, 제3 케이블(88)에 전달되는 장력은 제1 케이블(78)에 의해 가해지는 장력보다 크다.
반대로, 입력 파트(72)의 제2 회전 방향(화살표 E)으로의 회전은 제2 케이블(79)이 신장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제2 케이블(79)은 제2풀리(77) 지지체 파트(71)에 대해 회전 축선(773) 둘레로 제2 회전 방향(화살표 C)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을 제2 풀리(77)에 전달한다.
제2 풀리(77)의 제2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은 제4 케이블(89)이 제2 풀리(77) 둘레에 권취되게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원주면(774)의 반경이 원주면(772)의 반경보다 작으므로, 제4 케이블(89)에 전달되는 장력은 제2 케이블(79)에 의해 가해지는 장력보다 크다.
제1 실시예와 같이, 걷기 사이클 중에, 부하는 제1 기계식 다리 조립체(3) 및 제2 기계식 다리 조립체(4)에 교대로 전달된다. 제안된 연결 장치(7) 덕분에, 부하는 항상 지면과 접촉하고 있는 기계식 다리 조립체(3, 4)로 전달된다. 다른 기계식 다리 조립체는 부하의 감소된 부분만을 지지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응하는 다리를 용이하게 들어 올릴 수 있다.

Claims (15)

  1. 외골격 구조물용 연결 장치(7)로,
    - 허리 벨트(2)에 부착되도록 의도된 지지체(71),
    - 지지체(7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골격 구조물의 기계식 등 조립체(5)에 연결될 수 있는 입력 파트(72),
    - 전달 장치(73),
    - 지지체(7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연결 링크(74)로, 전달 장치(73)에 의해 입력 파트(72)에 연결되는 제1 단부(741) 및 외골격 구조물의 제1 기계식 다리 조립체(3)의 제1 힙 조인트(34)에 연결될 수 있는 제2 단부(742)를 구비하는 제1 연결 링크(74), 및
    - 지지체(7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연결 링크(75)로, 전달 장치(73)에 의해 입력 파트(72)에 연결되는 제1 단부(751) 및 외골격 구조물의 제2 기계식 다리 조립체(4)의 제2 힙 조인트(44)에 연결될 수 있는 제2 단부(752)를 구비하는 제2 연결 링크(75)를 포함하고,
    전달 장치(73)가,
    - 입력 파트(72)를 지지체(71)에 대해 제1 회전 방향(D)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부하가 입력 파트(72)에 가해질 때, 전달 장치는 제1 연결 링크(74)를 선회시키려고 하는 힘을 제1 연결 링크(74)로 전달하여, 제1 기계식 다리 조립체(3)로 부하를 전달하며 제2 기계식 다리 조립체(4)의 부하는 제거하고, 그리고
    - 입력 파트(72)를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지지체에 대해 제2 회전 방향(E)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부하가 입력 파트(72)에 가해질 때, 전달 장치(73)는 제2 연결 링크(75)를 선회시키려고 하는 힘을 제2 연결 링크(75)에 전달하여, 제2 기계식 다리 조립체(5)로 부하를 전달하며 제1 기계식 다리 조립체(3)의 부하는 제거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입력 파트(72)가 지지체(71)에 대해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입력 파트(72)가 슬라이더(711) 및 슬라이더(711) 내부에서 활주할 수 있고 슬라이더(71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원통형 핀(721)에 의해 지지체(71)에 대해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입력 파트(72)가 전달 장치(73)에 의해 제1 연결 링크(74)에 연결되는 하나의 단부(724)를 구비하는 제1 브랜치(722) 및 전달 장치(73)에 의해 제2 연결 링크(75)에 연결되는 하나의 단부(725)를 구비하는 제2 브랜치(7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전달 장치(73)가 풀리(76-77) 및 케이블(78-79)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달 장치(73)가 입력 파트(72)를 제1 연결 링크(74)의 제1 단부(741)에 연결하는 제1 케이블(78) 및 입력 파트(72)를 제2 연결 링크(75)의 제1 단부(751)에 연결하는 제2 케이블(7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지지체(7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풀리(76)를 포함하고, 제1 케이블(78)이 입력 파트(72)를 제1 연결 링크(74)의 제1 단부(741)에 연결하면서 제1 풀리(76)의 원주면(761)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지지체(7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풀리(77)를 포함하고, 제2 케이블(79)이 입력 파트(72)를 제2 연결 링크(75)에 연결하면서 제2 풀리(77)의 원주면(771)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1 풀리(76) 및 제2 풀리(77)의 회전 축선이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달 장치(73)가 지지체(7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풀리(76), 입력 파트(72)를 제1 풀리(76)에 연결하는 제1 케이블(78) 및 제1 풀리(77)를 제1 연결 링크(74)의 제1 단부(741)에 연결하는 제3 케이블(8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1 케이블(78)은 제1 풀리(76)의 제1 원주면(762)에 지지되고, 제3 케이블(88)은 제1 풀리(76)의 제3 원주면(764)에 지지되되, 제3 원주면(764)의 반경이 제1 원주면(762)의 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전달 장치(73)가 지지체(7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풀리(77), 입력 파트(72)를 제2 풀리(77)에 연결하는 제2 케이블(79) 및 제2 풀리(77)를 제2 연결 로드(75)의 제1 단부(751)에 연결하는 제4 케이블(8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제2 케이블(88)은 제2 풀리(77)의 제2 원주면(772)에 지지되고, 제4 케이블(89)은 제2 풀리(77)의 제4 원주면(774)에 지지되되, 제4 원주면(774)의 반경이 제2 원주면(772)의 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제1 풀리(76) 및/또는 제2 풀리(77)의 회전 축선(763, 773)이 제1 연결 링크(74) 및/또는 제2 연결 링크(75)의 회전 축선(743, 753)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5. 외골격 구조물(1)로,
    - 사용자의 허리를 둘러쌀 수 있는 허리 벨트(2),
    - 사용자의 제1 다리를 따라 연장할 수 있는 제1 기계식 다리 조립체(3),
    - 사용자의 제2 다리를 따라 연장할 수 있는 제2 기계식 다리 조립체(4),
    - 부하(6)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자의 등을 따라 연장할 수 있는 기계식 등 조립체(5), 및
    - 청구항 1에 따른 연결 장치(7)를 포함하되,
    연결 장치의 입력 파트(72)가 등 구조물(5)에 연결되고, 지지체(71)는 허리 벨트(2)에 부착되고, 제2 연결 링크는 제1 힙 조인트(34)를 통해 제1 기계식 다리 조립체(3)에 연결되는 제2 단부(742)를 구비하고, 제2 연결 링크(75)는 제2 힙 조인트(44)를 통해 제2 기계식 다리 조립체(4)에 연결되는 제2 단부(75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골격 구조물.
KR1020197022110A 2016-12-29 2017-12-28 걷기 또는 달리기 중 부하를 운반할 수 있게 하는 외골격 구조물용 연결 장치 KR102109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63512A FR3061445B1 (fr) 2016-12-29 2016-12-29 Dispositif de liaison pour structure d'exosquelette facilitant le portage de charges pendant la marche ou la course
FR1663512 2016-12-29
PCT/EP2017/084744 WO2018122332A2 (fr) 2016-12-29 2017-12-28 Dispositif de liaison pour structure d'exosquelette facilitant le portage de charges pendant la marche ou la cour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564A KR20190118564A (ko) 2019-10-18
KR102109878B1 true KR102109878B1 (ko) 2020-05-12

Family

ID=59031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110A KR102109878B1 (ko) 2016-12-29 2017-12-28 걷기 또는 달리기 중 부하를 운반할 수 있게 하는 외골격 구조물용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020850B2 (ko)
EP (1) EP3562627B1 (ko)
JP (1) JP6719680B2 (ko)
KR (1) KR102109878B1 (ko)
CN (1) CN110300642B (ko)
AU (1) AU2017387839B2 (ko)
CA (1) CA3049093A1 (ko)
ES (1) ES2869623T3 (ko)
FR (1) FR3061445B1 (ko)
IL (1) IL267731B (ko)
WO (1) WO201812233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43359A1 (en) * 2014-03-31 2015-10-08 Parker-Hannifin Corporation Wearable robotic device
CN112334117A (zh) * 2018-10-09 2021-02-05 株式会社Uchida 步行辅助机构以及步行辅助装置
USD947388S1 (en) 2018-12-10 2022-03-29 Jtekt Corporation Motion assisting device
KR102279660B1 (ko) * 2020-03-05 2021-07-20 임석민 운반용 보행 보조장치
CN112451320B (zh) * 2020-11-25 2023-12-29 上海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减重支撑机构及包含其的下肢康复机器人
US20230301864A1 (en) * 2022-03-22 2023-09-28 David Barwick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gait of individuals with parkinson's disea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60620A1 (en) * 2005-01-18 2006-11-23 The Regents Of University Of California Lower extremity exoskeleton
US20160317340A1 (en) * 2014-12-18 2016-11-03 Ganesh Ram Jangir An improved belt system for body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3997A1 (en) * 2005-03-31 2007-05-3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Exoskeletons for running and walking
US8968222B2 (en) * 2008-12-18 2015-03-03 Ekso Bionics, Inc. Wearable material handling system
KR101572852B1 (ko) * 2010-01-06 2015-1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팔 보조 장치
WO2011127421A1 (en) * 2010-04-09 2011-10-13 Berkeley Bionics Exoskeleton load handling system and method of use
WO2011127471A1 (en) * 2010-04-09 2011-10-13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ortable load lifting system
JP5714874B2 (ja) * 2010-11-24 2015-05-0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装着型動作支援装置
FR2978690A1 (fr) * 2011-08-02 2013-02-08 Pierre Andre Davezac Exosquelette de levage et de portage de charges
FR2991224B1 (fr) * 2012-06-04 2014-06-27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Bras d`exosquelette a actionneur
US20160023350A1 (en) * 2013-03-15 2016-01-28 Springactive, Inc. Gravitational Load Support System
JP2015163180A (ja) * 2014-01-29 2015-09-10 国立大学法人 大分大学 腰部負担軽減具
CN204450526U (zh) * 2014-12-31 2015-07-08 浙江大学 一种气动肌肉驱动的外骨骼助力机构
CN205094945U (zh) * 2015-10-27 2016-03-23 朱培章 助力外骨骼
CN106181969B (zh) * 2016-08-23 2018-07-03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用于下肢助力外骨骼机器人上的被动平衡髋关节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60620A1 (en) * 2005-01-18 2006-11-23 The Regents Of University Of California Lower extremity exoskeleton
US20160317340A1 (en) * 2014-12-18 2016-11-03 Ganesh Ram Jangir An improved belt system for body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61445B1 (fr) 2019-05-24
US20200406449A1 (en) 2020-12-31
AU2017387839B2 (en) 2020-02-27
US11020850B2 (en) 2021-06-01
JP6719680B2 (ja) 2020-07-08
CN110300642A (zh) 2019-10-01
AU2017387839A1 (en) 2019-08-15
CA3049093A1 (fr) 2018-07-05
EP3562627B1 (fr) 2021-02-03
WO2018122332A2 (fr) 2018-07-05
JP2020503987A (ja) 2020-02-06
KR20190118564A (ko) 2019-10-18
IL267731A (en) 2019-08-29
IL267731B (en) 2020-06-30
CN110300642B (zh) 2020-06-19
ES2869623T3 (es) 2021-10-25
WO2018122332A3 (fr) 2018-08-23
EP3562627A2 (fr) 2019-11-06
FR3061445A1 (fr) 201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9878B1 (ko) 걷기 또는 달리기 중 부하를 운반할 수 있게 하는 외골격 구조물용 연결 장치
KR101961401B1 (ko) 외골격 구조물용 등 모듈
KR101953323B1 (ko) 사용자의 근력을 보조하는 모듈형 외골격 구조물
KR101945458B1 (ko) 사용자의 근력을 보조하는 외골격 구조물
KR101953324B1 (ko) 외골격 구조물용 어깨 모듈
KR102250260B1 (ko)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CA2992738C (en) Universal tensegrity joints for human exoskeleton
KR101961400B1 (ko) 외골격 구조물용 발 모듈
CN109070334B (zh) 包括背包支撑模块的模块化的外骨骼结构
JP6887570B6 (ja) 外骨格構造体
EP3083158A2 (en) Optimal design of a lower limb exoskeleton or orthosis
KR20210055032A (ko)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Liu et al. Mechanical design of a passive lower-limb exoskeleton for load-carrying assistance
JP2018079130A (ja) 歩行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