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276B1 -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276B1
KR102109276B1 KR1020180129063A KR20180129063A KR102109276B1 KR 102109276 B1 KR102109276 B1 KR 102109276B1 KR 1020180129063 A KR1020180129063 A KR 1020180129063A KR 20180129063 A KR20180129063 A KR 20180129063A KR 102109276 B1 KR102109276 B1 KR 102109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adjustment member
fixed
shaf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7069A (ko
Inventor
김채연
Original Assignee
김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채연 filed Critical 김채연
Priority to KR1020180129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2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7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7Cellular screens, e.g. box or honeycomb-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이나 창의 상측에 블라인드의 고정을 위한 고정바가 설치되고, 고정축의 내부에는 스크린의 상부 위치 조절을 위한 제1상부조절부재 및 제2상부조절부재가 간격을 두고 위치되며, 또한 스크린의 하부 위치 조절을 위한 제1하부조절부재와 제2하부조절부재가 위치될 수 있으며, 상부조절부재와 하부조절부재는 반복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져 문이나 창을 가릴 때 가림을 위한 스크린부의 위치 조절이 용이하고 스크린부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상하측의 선택적 차단 기능을 갖는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Dual semi-automatic blinds}
본 발명은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이나 창의 상측에 블라인드의 고정을 위한 고정바가 설치되고, 고정축의 내부에는 스크린의 상부 위치 조절을 위한 제1상부조절부재 및 제2상부조절부재가 간격을 두고 위치되며, 또한 스크린의 하부 위치 조절을 위한 제1하부조절부재와 제2하부조절부재가 위치될 수 있으며, 상부조절부재와 하부조절부재는 반복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져 문이나 창을 가릴 때 가림을 위한 스크린부의 위치 조절이 용이하고 스크린부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상하측의 선택적 차단 기능을 갖는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은 건물의 창이나 출입구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의 조절, 외부 시선의 차단, 방음, 방서, 방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인테리어 소품이다.
또한, 커튼은 상술한 실용적인 목적 이외에도 벽이나 유리에서 느껴지는 단단하고 차가운 느낌을 부드럽고 따뜻하게 바꿔 인테리어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을 더 갖는다.
이러한 커튼은 개폐 동작에 따라 좌우로 개폐되는 방식과 상하로 개폐되는 방식으로 구분되는데, 이와 같은 구분은 일반적이고 개괄적인 구분일 뿐 실상에서 커튼은 블라인드(blind), 버티컬(vertical), 스크린(screen), 로만셰이드(roman shade) 등으로 분류되며, 현재는 상술한 명칭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블라인드, 특히 롤 블라인드는 일측에 결합된 체인을 당기는 방향에 따라 롤 형태로 감긴 스크린이 펴지거나 감겨 빛을 차단하거나 빛을 받아들이게 된다.
또한, 다른 형태로 절첩식 블라인드는 다수의 블라인드편(블레이드)이 절첩가능하게 줄에 의해 고정되어 줄(와이어)을 당기는 방향에 따라 상하로 접어지거나 펼쳐지면서 빛을 차단하거나 빛을 받아들이게 된다.
이러한 블라인드는 통상 창문의 최상단 부분인 천장에 고정된 상단봉과, 상단봉에 결합되어 하부로 일정 길이 연결된 다수의 와이어와, 와이어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 다수의 블레이드와, 와이어의 최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어 블레이드가 쉽게 하강할 수 있도록 일정 무게를 갖는 하단봉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 블라인드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창문의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다수의 블레이드를 내림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영향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 블라인드는 외부로부터 열을 적게 받도록 함으로써 냉방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경제적 측면도 고려하고 있다.
더욱이, 블라인드에 요구되는 성능은 직사광선이나 외부시선을 차단하면서도 통풍이나 간접광선, 안쪽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시야확보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필요하지 않을 때는 쉽게 철거, 이동할 수 있는 것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블라인드는 그 작동이 창문의 상부에서부터 그 아래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아파트의 저층 거주자의 경우 주변의 보행자로부터의 시선을 차단하거나 맞은편 아파트의 고층에서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블라인드를 작동시키는데, 이 경우 거실 전체가 외부로부터 차단함으로써 거주자는 조망권 및 일조권을 잃게 되는 것은 물론 통풍 가능성도 차단되는 단점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블라인드 혹은 커튼의 상측 및 하측 일정부분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블라인드가 개시되었으나, 블라인드의 양측에 구비된 하방 이동줄과 상방 이동줄을 움직여 작동시키도록 이루어져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안전사고에 대한 위험성도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8677호(2011.07.06.), 이중 블라인드 시트의 승강중 개폐가 가능한 블라인드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문이나 창의 상측에 블라인드의 고정을 위한 고정바가 설치되고, 고정축의 내부에는 스크린의 상부 위치 조절을 위한 제1상부조절부재 및 제2상부조절부재가 간격을 두고 위치되며, 또한 스크린의 하부 위치 조절을 위한 제1하부조절부재와 제2하부조절부재가 위치될 수 있으며, 상부조절부재와 하부조절부재는 반복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져 문이나 창을 가릴 때 가림을 위한 스크린부의 위치 조절이 용이하고 스크린부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상하측의 선택적 차단 기능을 갖는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는 상단에서 반자동으로 내려와 원하는 곳의 시야 확보는 물론, 가릴 수 있는 부분을 원하는대로 가릴 수 있는 반자동 듀얼 블라인드로서, 지금까지는 양쪽 줄을 사용하였다면 줄 하나로 반자동 구현이 가능하여 블라인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가림과 시야 확보'라는 두 가지 핵심을 맘 편하게 원하는데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블라인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문 혹은 창의 양쪽 벽체에 고정되는 블라인드하우징; 절첩가능한 원단과, 원단의 상단을 고정하는 상단프레임과, 원단의 하단을 고정하는 하단프레임을 구비한 블라인드스크린;을 포함하되, 상기 블라인드하우징에 내장되는 회전구; 상기 회전구와 간격을 두고 순차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조절부재 및 하부조절부재; 상기 블라인드하우징의 회전구 대향측에 고정되어 상기 하단프레임을 임의 위치로 고정하는 하부조절스토퍼; 일단은 상기 회전구에 고정되어 회전구의 회전방향과 연동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조절부재를 구속하도록 관통되고 상기 하부조절부재는 헛돌게 관통된 후 자유단 상태로 유지되는 사각바 형태의 제1샤프트; 일단은 상기 하부조절스토퍼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하부조절부재를 구속하도록 관통되고 상기 상부조절부재는 헛돌게 관통된 후 자유단 상태로 유지되는 사각바 형태의 제2샤프트; 상기 상부조절부재 속에 권취되고, 상기 상단프레임에 결속된 상부조절줄; 및 상기 하부조절부재 속에 권취되고, 상기 하단프레임에 결속된 하부조절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회전구는 상기 블라인드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된 원통형상의 회전구몸체와, 상기 회전구몸체의 일단에 끼워져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에 감겨 당기는 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자의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볼형 조절줄로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조절부재는 한 쌍의 판이 다수의 리브에 의해 연결되어 외형상 사각형상을 갖는 상부조절부재바디와, 상기 상부조절부재바디의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빈통공과, 상기 빈통공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드럼축공과, 상기 드럼축공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상부조절부재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축공에는 제1샤프트가 끼워져 구속되며, 상기 빈통공에는 제2샤프트가 끼워져 헛돌게 구성되고, 상기 상부조절부재드럼의 둘레에는 상부조절줄이 감긴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조절부재는 한 쌍의 판이 다수의 리브에 의해 연결되어 외형상 사각형상을 갖는 하부조절부재바디와, 상기 하부조절부재바디의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빈통공과, 상기 빈통공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드럼축공과, 상기 드럼축공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하부조절부재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축공에는 제2샤프트가 끼워져 구속되며, 상기 빈통공에는 제1샤프트가 끼워져 헛돌게 구성되고, 상기 하부조절부재드럼의 둘레에는 하부조절줄이 감긴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조절스토퍼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조립되어 내부에 공간을 만드는 제2케이스와, 상기 제1,2케이스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스프링권취드럼과, 상기 스프링권취드럼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스프링권취드럼에 일단이 감기는 판형 스파이어럴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제1케이스의 내부에는 대경코일수납부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대경코일수납부의 인접측에는 스프링보스가 돌출되고; 상기 제2케이스에는 상기 대경코일수납부의 원중심과 일직선상의 위치에 사각형상의 제2샤프트조립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스프링보스와 일직선상의 위치에 스프링축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권취드럼의 일측면 중심에는 상기 제2샤프트조립공과 일직선상에 사각형상의 제2샤프트조립홈이 일정깊이 요입 형성되고, 둘레면인 드럼면의 일부는 절개되어 직경방향으로 관통된 스프링끼움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끼움슬릿 상에는 스프링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권취드럼의 타측면에는 일정길이 돌출된 원통형상의 소경코일압착부가 돌기 형태로 돌출되며; 상기 제1,2케이스 내부에는 각각 소경코일압착부에 끼워진 후 일단이 고정되는 소경코일과, 대경코일수납부에 삽입된 후 일단이 고정되는 대경코일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내장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하우징은 블라인드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블라인드고정부재는 블라인드하우징의 양단에 체결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의 단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벽체에 밀착고정되는 밀착노브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하단프레임은 원단을 고정하는 원단바고정홈과 대칭되게 하단프레임의 하부에 보조원단바삽입홈을 더 형성하고, 상기 보조원단바삽입홈에는 보조원단바가 삽입되며, 상기 보조원단바에는 상하로 접철되는 보조원단이 더 고정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보조원단바는 상기 하단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반자동으로 동작되므로 조작이 쉽고 용이하다.
둘째, 설치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는다.
셋째, 가림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효용성이 크다.
넷째, 앵커링을 포함한 고정용 못을 박지 않고도 설치할 수 있어 벽이나 틀을 손상하지 않는다.
다섯째, 설치가 쉽고 용이하여 이동설치가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를 구성하는 제1상부조절부재와 제1하부조절부재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를 구성하는 하부조절스토퍼의 예시적인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의 일 사용예를 보인 예시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의 다른 사용예를 보인 예시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의 사용예를 측단면으로 처리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를 구성하는 블라인드고정부재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를 구성하는 하단프레임의 변형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의 다른 예를 보인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하우징(100)과, 블라인드스크린(2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블라인드하우징(100)은 다양한 외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블라인드하우징(100)의 내부는 비어 있고, 하부에는 다수의 작동줄(Driving string)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폭의 슬릿(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라인드하우징(100)은 블라인드고정부재(300)를 통해 창문이 설치된 벽체 혹은 문이 설치된 벽체 혹은 프레임 등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블라인드고정부재(300)도 공지된 볼트체결형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특화된 블라인드고정부재(30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회전구(110)와, 제1상부조절부재(120)와, 제1하부조절부재(130)와, 제2상부조절부재(140)와, 제2하부조절부재(150) 및 하부조절스토퍼(160)가 간격을 두고 순차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 블라인드스크린(200)은 상단프레임(210)과 하단프레임(220) 및 상기 상단프레임(210)과 하단프레임(220)을 연결하면서 접어질 수 있는 절첩식 원단(2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절첩식 원단(230)은 다수의 블레이드일 수 있으며, 도 6의 예시와 같이 접어질 수 있는 형태면 족하다.
즉, 도 6의 예시와 같은 형태로 접어질 수도 있고, 그 이외의 형태로도 접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회전구(110)는 통상적으로 버티칼을 열고 닫을 때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데, 상기 블라인드하우징(100)의 내부에 고정된 원통형상의 회전구몸체(112)와, 상기 회전구몸체(112)의 일단에 끼워져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자(114)와, 상기 회전자(114)에 감겨 당기는 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자(114)의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볼형 조절줄(116)을 포함한다.
때문에, 상기 볼형 조절줄(116)은 회전자(114)의 직경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양단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환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볼형 조절줄(116)의 앞쪽을 잡아 당기게 되면 회전자(11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뒷쪽을 잡아 당기게 되면 회전자(11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블라인드하우징(100)의 내부에는 한 쌍의 제1,2샤프트(S1,S2)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데, 이들 제1,2샤프트(S1,S2)는 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사각바 형태이다.
이 중에서, 상기 제1샤프트(S1)의 일단은 상기 회전구몸체(112)의 타단을 통해 내부로 진입한 후 상기 회전자(114)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회전자(114)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샤프트(S1)의 타단은 고정됨없이 자유단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제2샤프트(S2)의 일단은 상기 하부조절스토퍼(160)에 끼워져 고정되고, 타단은 반대방향으로 배열된 후 이 역시 구속됨없이 자유단 상태로 유지된다.
즉, 제1,2샤프트(S1,S2)는 서로 반대단이 각각 구속되고, 또한 서로 반대단이 각각 자유단상태로 유지된다.
아울러, 상기 제1상부조절부재(120)와 제2상부조절부재(140)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하부조절부재(130)와 제2하부조절부재(150)는 각각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하 설명은 제1상부조절부재(120)와 제1하부조절부재(130)만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따르면, 상기 제1상부조절부재(120)는 한 쌍의 판이 다수의 리브에 의해 연결되어 외형상 사각형상을 갖는 상부조절부재바디(122)와, 상기 상부조절부재바디(122)의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빈통공(PAS)과, 상기 빈통공(PAS)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드럼축공(DRH)과, 상기 드럼축공(DRH)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상부조절부재드럼(124)과, 상기 상부조절부재드럼(124)의 둘레에 감기고 단부는 상기 블라인드스크린(200)의 상단프레임(210)에 고정된 상부조절줄(126)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샤프트(S1)는 상기 상부조절부재드럼(124)의 축을 관통하여 상호 물림가능하게 조립되며, 드럼축공(DRH)은 상 하부조절줄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조절부재드럼(124)의 축에는 상기 제1샤프트(S1)의 사각 형상에 맞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샤프트(S1)를 끼우게 되면 각진 부분(사각) 때문에 서로 맞물리게 되어 제1샤프트(S1)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상부조절부재드럼(124)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샤프트(S2)는 상기 빈통공(PAS)을 관통하여 배열되는데, 상기 빈통공(PAS)은 제2샤프트(S2)가 헛돌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상부조절부재드럼(124)은 제1샤프트(S1) 하고만 결합되도록 하부조절부재바디(132)의 일측에만 구비되며, 제2샤프트(S2)는 통과하게 되어 헛돌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하부조절부재(130)도 앞서 설명한 제1상부조절부재(120)와 구조적으로 유사하지만, 빈통공(PAS)과 드럼축공(DRH)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 있는 구조이다.
이를 테면, 상기 제1하부조절부재(130)도 한 쌍의 판이 다수의 리브에 의해 연결되어 외형상 사각형상을 갖는 하부조절부재바디(132)와, 상기 하부조절부재바디(132)의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빈통공(PAS)과, 상기 빈통공(PAS)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드럼축공(DRH)과, 상기 드럼축공(DRH)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하부조절부재드럼(134)과, 상기 하부조절부재드럼(134)의 둘레에 감기고 단부는 상기 블라인드스크린(200)의 하단프레임(220)에 고정된 하부조절줄(136)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샤프트(S2)는 상기 하부조절부재드럼(134)의 축을 관통하여 상호 물림가능하게 조립된다.
즉, 상기 하부조절부재드럼(134)의 축에는 상기 제2샤프트(S2)의 사각 형상에 맞는 드럼축공(DRH)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샤프트(S2)를 끼우게 되면 각진 부분(사각) 때문에 서로 맞물리게 되어 제2샤프트(S2)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하부조절부재드럼(134)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샤프트(S1)는 상기 빈통공(PAS)을 관통하여 배열되는데, 상기 빈통공(PAS)은 제1샤프트(S1)가 헛돌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하부조절부재드럼(134)은 제2샤프트(S2) 하고만 결합되도록 하부조절부재바디(132)의 일측에만 구비되며, 제1샤프트(S1)는 빈통공(PAS)를 통과하여 헛돌도록 구성된다.
이때, 블라인드스크린(200)의 평형을 유지하면서 원활한 동작을 위해 제1상부조절부재(120) 및 제1하부조절부재(130)와 동일한 구조의 제2상부조절부재(140)와 제2하부조절부재(150)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의 사용예에서와 같이, 볼형 조절줄(116)을 당겨 회전구(1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구(110)에는 오로지 제1샤프트(S1)만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1샤프트(S1)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부조절줄(126)을 풀게 된다.
그러면, 블라인드스크린(200)의 자중에 의해 블라인드스크린(200)이 하강하는데, 이때 하단프레임(220)은 그대로 움직이지 않고 위치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단프레임(210)만 하강하게 되고, 볼형조절줄(116)의 다른 쪽을 당기면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반대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가릴 수 있는 가림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반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인데, 회전구(1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단프레임(210)만 상승하게 된다.
즉, 볼형 조절줄(116)의 조작으로 움직이는 것은 상단프레임(210)이며, 이때 하단프레임(220)은 고정된 위치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때문에, 하단프레임(220)을 적정 위치에 배치시켜 둔 상태에서 상단프레임(210)만 움직여 사용자가 원하는 가림위치만 가릴 수 있다.
반면에, 후술되는 하부조절스토퍼(160)는 판형상의 스파이어럴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되 특수한 형상의 스프링에 의해 항상 위치가 고정되게 되어 있어 사용자가 하단프레임(220)을 손으로 잡고 밀어 올리거나 당겨 내리게 되면 원활하게 움직이되, 밀어올린 위치 혹은 당겨 내린 위치에 항상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가림위치까지 하단프레임(220)을 올리거나 내려 배치한 상태에서 상단프레임(210)을 조절하여 가림폭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는 상단프레임(210)과 하단프레임(220)이 각각 별개로 움직이는 듀얼 구조이며, 하단프레임(220)의 위치 고정이 반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실상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를 구현하게 된다.
그럼, 하부조절스토퍼(16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부조절스토퍼(160)는 도 3의 예시와 같이, 제1케이스(1610)와, 상기 제1케이스(1610)에 조립되어 내부에 공간을 만드는 제2케이스(1620)와, 상기 제1,2케이스(1610,162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스프링권취드럼(1630)과, 상기 스프링권취드럼(1630)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스프링권취드럼(1630)에 감기는 판형 스파이어럴스프링(164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케이스(1610)의 내부에는 대경코일수납부(1612)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대경코일수납부(1612)의 인접측에는 스프링보스(1614)가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2케이스(1620)에는 상기 대경코일수납부(1612)의 원중심과 일직선상의 위치에 사각형상의 제2샤프트조립공(1622)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스프링보스(1614)와 일직선상의 위치에 스프링축공(1624)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권취드럼(1630)의 일측면 중심에는 상기 제2샤프트조립공(1622)과 일직선상에 사각형상의 제2샤프트조립홈(1634)이 일정깊이 요입 형성되고, 둘레면인 드럼면의 일부는 절개되어 직경방향으로 관통된 스프링끼움슬릿(1634)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끼움슬릿(1634) 상에는 스프링고정홈(1636)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권취드럼(1630)의 타측면에는 일정길이 돌출된 원통형상의 소경코일압착부(1638)가 돌기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판형 스파이어럴스프링(1640)의 일단에는 스프링고정공(1642)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2케이스(1610,1620) 내부에는 소경코일(1650)과 대경코일(1660)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내장된다.
그리하여, 소경코일(1650)은 상기 소경코일압착부(1638)에 끼워진 후 일단이 상기 소경코일압착부(1638)에 고정되고, 대경코일(1660)은 상기 대경코일수납부(1612)에 삽입된 후 단부가 대경코일수납부(1612)에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제2샤프트조립홈(1632)에는 제2샤프트(S2)의 단부가 제2샤프트조립공(1622)을 관통한 다음 끼워져 고정되고, 소경코일압축부(1638)의 측단면 중심에서 돌출된 축부(SF)는 상기 대경코일수납부(1612)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다.
따라서, 제2샤프트(S2)가 회전되면 상기 스프링권취드럼(1630)이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판형 스파이어럴스프링(1640)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축(미도시)이 스프링축공(1624)과 판형 스파이어럴스프링(1640)의 중심을 관통한 후 스프링보스(1614)에 고정되고, 판형 스파이어럴스프링(1640)은 상기 스프링보스(1614)에 끼워진 상태에서 축고정되므로 이 또한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판형 스파이어럴스프링(1640)의 권취된 안쪽 단부는 스프링보스(1614)에 고정되고, 스프링고정공(1642)이 형성된 바깥쪽 단부는 스프링권취드럼(1630)의 드럼면에 반회전정도 감긴 후 절곡되어 스프링끼움슬릿(1634)에 끼워지고, 그런 다음 스프링고정홈(1636)에서 별도의 고정부재가 스프링고정공(1642)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스프링권취드럼(1630)은 항상 상기 판형 스파이어럴스프링(1640)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하단프레임(220)을 잡고 블라인드스크린(200)를 당겨 내리면 하부조절줄(136)이 당겨지므로 제2샤프트(S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제2샤프트(S2)의 단부가 스프링권취드럼(16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판형 스파이어럴스프링(1640)은 스프링권취드럼(1630)의 드럼면에 감기면서 탄성복귀력을 축적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 소경코일(1650)과 대경코일(166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풀어지게, 즉 코일경이 커지게 설계되어 있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코일경이 작아지게 설계되어 있다.
때문에, 스프링권취드럼(16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소경코일압착부(1638)에 끼워져 있는 소경코일(1650)은 코일경이 커져 소경코일압착부(1638)에 대해 헐거워지지만, 대경코일(1660)은 코일경이 커지면서 대경코일수납부(1612) 내부에 꽉차게 되어 스프링권취드럼(1630)의 회전을 방해하게 된다.
이때, 기본적으로 상기 대경코일(1660)의 코일경이 커지더라도 대경코일(1660)의 원래 코일경, 즉 힘을 받지 않았을 때 코일경 보다는 작게 설계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코일경이 커져 대경코일수납부(1612)에 꽉 차 고정되더라도 당겼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원래 코일경으로 되돌아가려는 성질 때문에 고정상태가 풀려 버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기 조립시 대경코일(1660)의 코일경을 작게 하여 삽입 설치해야 한다.
그러면, 대경코일(1660)은 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전했을 때, 즉 하단프레임(220)을 최대로 하강시켰을 때 원래 코일경을 갖도록 하여 풀리려고하는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다.
결국, 하단프레임(220)을 임의 위치까지 당겨 내렸을 때 대경코일(1660)이 코일경이 커지면서 대경코일수납부(1612)에 꽉 차 사용자가 당긴 것을 놓더라도 대경코일(1660)의 압박력이 판형 스파이어럴스프링(1640)의 탄성복귀력보다 더 커 판형 스파이어럴스프링(1640)은 탄성복귀되지 못하고 인출된 상태 그대로를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하단프레임(220)을 살짝 밀어 올리게 되면 힘의 균형이 깨지면서 판형 스파이어럴스프링(1640)의 탄성복귀력이 더 커져 스프링권취드럼(163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탄성복귀력에 의해 하단프레임(220)의 들어 올림이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된다.
그러다가, 소경코일압착부(1638)에 끼워져 있고 그 단부가 소경코일압착부(1638)에 고정되어 있는 소경코일(1650)은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그 코일경이 점점 작아지면서 소경코일압착부(1638)를 상당한 힘으로 압박하게 된다.
때문에, 사용자가 어느 지점까지 상승시킨 후 밀어 올렸던 것을 놓더라도 소경코일(1650)의 압박력이 판형 스파이어럴스프링(1640)의 탄성복귀력보다 더 커 판형 스파이어럴스프링(1640)은 탄성복귀되지 못하고 그 상태 그대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조절스토퍼(160)는 사용자가 하단프레임(220)의 위치를 임의 조절하기 쉽도록 안내하게 된다.
다른 한편, 도 7의 예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를 구성하는 블라인드고정부재(300)는 블라인드하우징(100)의 양단에 체결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고정볼트(310)와, 상기 고정볼트(310)의 단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벽체 등에 밀착되는 밀착노브(320)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별도의 앵커볼트나 고정브라켓 등을 구비하지 않고도 블라인드하우징(100)의 수평을 잡은 상태에서 밀착노브(320)를 돌려 밀착노브(320)가 벽체 등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아주 쉽고 빠르게 블라인드하우징(100)을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밀착노브(320)의 외측면에는 신축판(3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신축판(330)은 고무, 실리콘과 같은 것으로서 신축성을 가져 밀착력을 높임으로써 고정안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뿐만 아니라, 걸린 상태에서 쉽게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상기 밀착노브(320)의 외측면에는 요철부(340)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다른 한편, 도 8의 예시와 같이, 하단프레임(220)은 원단(230)을 고정하는 원단바고정홈(222)과 대응되게 하단프레임(220)의 하부에 보조원단바삽입홈(224)을 더 형성하고, 상기 보조원단바삽입홈(224)에는 보조원단바(226)를 삽입할 수 있게 하여 보조원단(228)을 더 설치함으로써 도 9와 같은 형태로 별도의 보조원단(228)을 더 설치한 후 묶음끈(STR)으로 가운데를 묶어 나비형태의 접이식 인테리어 효과를 더 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이러한 구조는 도 6에서도 설명하고 있는 바, 보조원단(228)을 착탈식으로 더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블라인드 구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예는 예컨대, T/T(TILT & TURN)창에 적합할 수 있다. 즉, T/T창의 경우 멀리언(Mullion)을 기준으로 상측은 개방할 수 있는 창이고, 하측은 개방할 수 없는 고정창일 수 있는데, 이때 기본형 본 발명 블라인드는 멀리언 상측까지만 설치하고, 고정창 부분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 9와 같은 형태로 설치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꼭 T/T창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정창과 슬라이딩창(혹은 개방가능한 창)이 병합된 예 혹은 개방가능한 창이라도 멀리언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있는 창 등에 모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8의 예와 같이 분리 조립할 수 있는 착탈식 외에도 보조원단바(226)를 하단프레임(220)에 처음부터 일체화시킨 일체형 구조로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블라인드하우징
110: 회전구
120: 제1상부조절부재
130: 제1하부조절부재
140: 제2상부조절부재
150: 제2하부조절부재
160: 하부조절스토퍼
200: 블라인드스크린
210: 상단프레임
220: 하단프레임
230: 원단
300: 블라인드고정부재

Claims (7)

  1. 문 혹은 창의 양쪽 벽체에 고정되는 블라인드하우징; 절첩가능한 원단과, 원단의 상단을 고정하는 상단프레임과, 원단의 하단을 고정하는 하단프레임을 구비한 블라인드스크린;을 포함하되,
    상기 블라인드하우징에 내장되는 회전구;
    상기 회전구와 간격을 두고 순차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조절부재 및 하부조절부재;
    상기 블라인드하우징의 회전구 대향측에 고정되어 상기 하단프레임을 임의 위치로 고정하는 하부조절스토퍼;
    일단은 상기 회전구에 고정되어 회전구의 회전방향과 연동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조절부재를 구속하도록 관통되고 상기 하부조절부재는 헛돌게 관통된 후 자유단 상태로 유지되는 사각바 형태의 제1샤프트;
    일단은 상기 하부조절스토퍼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하부조절부재를 구속하도록 관통되고 상기 상부조절부재는 헛돌게 관통된 후 자유단 상태로 유지되는 사각바 형태의 제2샤프트;
    상기 상부조절부재 속에 권취되고, 상기 상단프레임에 결속된 상부조절줄; 및
    상기 하부조절부재 속에 권취되고, 상기 하단프레임에 결속된 하부조절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조절스토퍼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조립되어 내부에 공간을 만드는 제2케이스와, 상기 제1,2케이스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스프링권취드럼과, 상기 스프링권취드럼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스프링권취드럼에 일단이 감기는 판형 스파이어럴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제1케이스의 내부에는 대경코일수납부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대경코일수납부의 인접측에는 스프링보스가 돌출되고;
    상기 제2케이스에는 상기 대경코일수납부의 원중심과 일직선상의 위치에 사각형상의 제2샤프트조립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스프링보스와 일직선상의 위치에 스프링축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권취드럼의 일측면 중심에는 상기 제2샤프트조립공과 일직선상에 사각형상의 제2샤프트조립홈이 일정깊이 요입 형성되고, 둘레면인 드럼면의 일부는 절개되어 직경방향으로 관통된 스프링끼움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끼움슬릿 상에는 스프링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권취드럼의 타측면에는 일정길이 돌출된 원통형상의 소경코일압착부가 돌기 형태로 돌출되며;
    상기 제1,2케이스 내부에는 각각 소경코일압착부에 끼워진 후 일단이 고정되는 소경코일과, 대경코일수납부에 삽입된 후 일단이 고정되는 대경코일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는 상기 블라인드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된 원통형상의 회전구몸체와, 상기 회전구몸체의 일단에 끼워져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에 감겨 당기는 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자의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볼형 조절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조절부재는 한 쌍의 판이 다수의 리브에 의해 연결되어 외형상 사각형상을 갖는 상부조절부재바디와, 상기 상부조절부재바디의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빈통공과, 상기 빈통공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드럼축공과, 상기 드럼축공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상부조절부재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축공에는 제1샤프트가 끼워져 구속되며, 상기 빈통공에는 제2샤프트가 끼워져 헛돌게 구성되고, 상기 상부조절부재드럼의 둘레에는 상부조절줄이 감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조절부재는 한 쌍의 판이 다수의 리브에 의해 연결되어 외형상 사각형상을 갖는 하부조절부재바디와, 상기 하부조절부재바디의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빈통공과, 상기 빈통공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드럼축공과, 상기 드럼축공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하부조절부재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축공에는 제2샤프트가 끼워져 구속되며, 상기 빈통공에는 제1샤프트가 끼워져 헛돌게 구성되고, 상기 하부조절부재드럼의 둘레에는 하부조절줄이 감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하우징은 블라인드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블라인드고정부재는 블라인드하우징의 양단에 체결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의 단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벽체에 밀착고정되는 밀착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단프레임은 원단을 고정하는 원단바고정홈과 대칭되게 하단프레임의 하부에 보조원단바삽입홈을 더 형성하고, 상기 보조원단바삽입홈에는 보조원단바가 삽입되며, 상기 보조원단바에는 상하로 접철되는 보조원단이 더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
KR1020180129063A 2018-10-26 2018-10-26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 KR102109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063A KR102109276B1 (ko) 2018-10-26 2018-10-26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063A KR102109276B1 (ko) 2018-10-26 2018-10-26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069A KR20200047069A (ko) 2020-05-07
KR102109276B1 true KR102109276B1 (ko) 2020-05-11

Family

ID=70729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063A KR102109276B1 (ko) 2018-10-26 2018-10-26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2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216B1 (ko) * 2021-07-01 2024-04-26 (주)보라니 허니콤 블라인드
KR102437668B1 (ko) * 2022-05-27 2022-08-26 박희진 탑다운 바텀업 블라인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8391A (ja) * 2003-04-07 2004-11-04 Yukie Katsuta 間仕切り支柱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677B1 (ko) 2009-04-17 2011-07-12 (주)주원창호 이중 블라인드 시트의 승강중 개폐가 가능한 블라인드장치
US8365797B2 (en) * 2010-04-30 2013-02-05 Hunter Douglas Inc. Cord tension control for top down/bottom up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KR101928457B1 (ko) * 2017-03-07 2018-12-12 김대영 이종차폐부재를 적용한 롤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8391A (ja) * 2003-04-07 2004-11-04 Yukie Katsuta 間仕切り支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069A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0670B2 (en) Blind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reof
US6845802B1 (en) Selective tilting arrangement for a blind system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11208842B2 (en) Multifunctional dual roll blind having roll screen and roll screen used therefore
US20020053409A1 (en) Framed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
US7650922B2 (en) Window treatment for arch-shaped window
US20120012260A1 (en) Retractable shade assembly with adjustable side guides
US20030075285A1 (en) Framed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
JP2006522245A (ja) ベネシャン・ブラインド
KR102109276B1 (ko) 듀얼 반자동 블라인드
KR20110009062A (ko) 롤 블라인드용 스크린 및 그 롤 스크린을 갖는 다기능 이중 롤 블라인드
US20060151126A1 (en) Systems and mechanisms for use with double blinds and double shades
KR101236750B1 (ko) 롤 스크린 장치가 내장되게 한 시스템 창호
KR102031526B1 (ko) 스마트 프라이버시 버튼 블라인드
KR102077087B1 (ko) 태양광 차단 블라인드 방범 방충망틀
KR102642124B1 (ko) 장력 조절이 가능한 주름 방충망
KR200446420Y1 (ko) 베니션블라인드의 고정장치
KR100500716B1 (ko) 양방향 권취형 롤브라인드
US11549307B2 (en) Corded top down and cordless bottom up shade modification kit
KR20180111301A (ko) 롤 블라인드
KR200249676Y1 (ko) 건물 창문용 스크린 장치
KR100866614B1 (ko) 이중 롤 블라인드
KR100648098B1 (ko) 건축구조물 창문틀 구조
KR102049297B1 (ko) 방충망 일체형 차양장치
KR100577616B1 (ko) 셔터조립체
KR102156636B1 (ko) 다기능 이중 롤 블라인드에 사용되는 롤 스크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