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052B1 - DB 장애를 대비한 적응적 Io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IoT 플랫폼 장치 - Google Patents

DB 장애를 대비한 적응적 Io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IoT 플랫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052B1
KR102108052B1 KR1020180151834A KR20180151834A KR102108052B1 KR 102108052 B1 KR102108052 B1 KR 102108052B1 KR 1020180151834 A KR1020180151834 A KR 1020180151834A KR 20180151834 A KR20180151834 A KR 20180151834A KR 102108052 B1 KR102108052 B1 KR 102108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information
database
profile inform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래
김지현
조규성
오인규
Original Assignee
(주)엔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텔스 filed Critical (주)엔텔스
Priority to KR1020180151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06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is distributed, e.g. networked systems, clusters, multiprocesso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34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is a storage system, e.g. DASD based or network ba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DB 장애를 대비한 적응적 IoT 서비스 제공 방법은 IoT 플랫폼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IoT 플랫폼이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IoT 플랫폼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IoT 플랫폼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가능한 경우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장애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근이 안 되는 경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상기 IoT 플랫폼이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읽고,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IoT 플랫폼이 상기 서비스 데이터 생성과정에서 생성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제2 프로파일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IoT 플랫폼은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의 동작 중에 계속 상기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Description

DB 장애를 대비한 적응적 Io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IoT 플랫폼 장치{ADAPTIVE IoT SERVICE PROVIDING METHOD AGAINST DATABASE FAILURE AND IoT PLATFORM APPARATUS}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Io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IoT 플랫폼에 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데이터베이스 오류에 대비한 적응적 Io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IoT 플랫폼에 에 관한 것이다.
IoT 플랫폼은 IoT 디바이스와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하여 일정한 IoT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부분의 서버 플랫폼 환경은 이중화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IoT 플랫폼이 데이터베이스 장애 혹은 네트워크 이상 등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지 못하는 경우, IoT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은 서비스를 제공받기 어렵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06074호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데이터베이스 장애 등이 발생한 경우에도 끊김없이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IoT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DB 장애를 대비한 적응적 IoT 서비스 제공 방법은 IoT 플랫폼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IoT 플랫폼이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IoT 플랫폼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IoT 플랫폼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가능한 경우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장애로 상기 데이터베이스 접근이 안 되는 경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상기 IoT 플랫폼이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읽고,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IoT 플랫폼이 상기 서비스 데이터 생성과정에서 생성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제2 프로파일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IoT 플랫폼은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의 동작 중에 계속 상기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IoT 플랫폼 장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제1 프로파일 정보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장치,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 및 IoT 플랫폼 제어를 위한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가능한 경우 제1 모드로 IoT 플랫폼이 동작하게 제어하고, 장애로 상기 데이터베이스 접근이 안 되는 경우 제2 모드로 IoT 플랫폼이 동작하게 제어하는 연산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연산 장치는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의 동작 중에 계속 상기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읽고,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 데이터 생성과정에서 생성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제2 프로파일 정보로 갱신한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데이터베이스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이중화되지 않은 싱글 구조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도 중단 없이 IoT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즉,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별도의 장비가 큰 비용 없이 중단 없는 IoT 서비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이중화로 구조와 관계없이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중단 없이 IoT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IoT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예이다.
도 2는 정상 상태에서 IoT 플랫폼의 동작에 대한 예이다.
도 3은 장애 상태에서 IoT 플랫폼의 동작 전환에 대한 예이다.
도 4는 장애 상태에서 IoT 플랫폼의 동작에 대한 예이다.
도 5는 장애가 복구된 상태에서 IoT 플랫폼의 동작에 대한 예이다.
도 6은 IoT 플랫폼 장치의 구성에 대한 예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하는 객체 내지 용어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IoT 디바이스는 IoT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IoT 디바이스는 센서를 통해 주변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는 IoT 디바이스는 주변 장치로부터 일정한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IoT 디바이스는 CCTV, 온도 감지 장치, 화재 발생 감지 장치, 홈 네트워크 장치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장치는 IoT 서비스를 제공받는 장치를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은 특정 지점(영역)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센싱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 기기 또는 PC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IoT 서비스는 IoT 디바이스가 수집한 정보 또는 IoT 디바이스 수집한 정보를 가공하여 생성한 새로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예컨대, IoT 서비스는 날씨 정보 제공, 미세먼지 정보 제공, 환자 모니터링, 보안 서비스, 가전 제품 제어 등일 수 있다.
IoT 플랫폼은 IoT 디바이스가 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IoT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객체이다. 이하 IoT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서비스 데이터라고 명명한다. IoT 플랫폼은 엄밀하게 하나의 물리적인 장치가 아닐 수 있다. IoT 플랫폼은 서버와 같은 장치에 구현될 수 있다.
IoT 플랫폼이 직접 사용자 단말에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별도의 서비스 서버가 IoT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IoT 플랫폼은 서비스 데이터 또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초기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에 전달한다. 서비스 서버는 서비스 데이터 또는 초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IoT 서비스 시스템(100)에 대한 예이다. IoT 서비스 시스템(100)은 IoT 디바이스(110), IoT 플랫폼 장치(120) 및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한다. IoT 서비스 시스템(100)은 서비스 서버(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110)는 일정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생성한다. 도 1은 3개의 IoT 디바이스(111, 112, 113)를 예로 도시하였다. IoT 디바이스(110)가 수집 내지 생성한 데이터를 센싱 데이터라고 명명한다. 센싱 데이터는 다양한 유형 중 어느 하나, 또는 서로 다른 유형의 복수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IoT 플랫폼 장치(120)는 센싱 데이터를 기준으로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한다. IoT 플랫폼 장치(120)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한다. IoT 플랫폼 장치(120)는 서비스 데이터를 IoT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5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IoT 플랫폼 장치(120)는 서비스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4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IoT 디바이스(110)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한다. 프로파일 정보는 IoT 디바이스(110)의 식별자, 수집 데이터 정보,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푸시(Push) 주소 및 단말 제어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 데이터 정보는 IoT 디바이스(110)가 수집하는 센싱 데이터의 유형, 센싱 데이터 중 서비스 데이터 생성에 이용할 특정 데이터의 식별자, 센싱 데이터 중 서비스 데이터 생성에 이용한 특정 조건(시간, 환경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푸시 주소는 IoT 서비스 데이터 전송 또는 IoT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전 정보를 전송할 대상의 주소를 의미한다.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푸시 주소는 서비스 서버(140)의 주소, 사용자 단말(50)의 주소 또는 푸시 데이터를 전달할 네트워크 객체(라우터, 게이트웨이 등)의 주소일 수도 있다. 단말 제어 주소는 사용자 단말 제어를 위한 주소이다. 단말 제어 주소는 사용자 단말(50)의 주소, 서비스 서버(140)의 주소 또는 제어 명령을 중계하는 네트워크 객체의 주소일 수도 있다. 여기서 주소는 URL, URI, IP 등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130)는 IoT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IoT 플랫폼 장치(120)는 생성한 서비스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전달하여 관리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40)는 서비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50)에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객체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에서 IoT 플랫폼(200)의 동작을 설명한다. IoT 플랫폼(20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을 중심으로 기재하였다. IoT 플랫폼(200)은 데이터 처리부(210), 저장매체(220) 및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부(230)를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한다. 저장매체(220)는 서비스 데이터 생성 과정에 필요한 정보 내지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매체(220)는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부(230)는 데이터베이스(13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모니터링한다.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부(230)는 모니터링 결과(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데이터 처리부(210)에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부(230)는 데이터베이스(13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지를 확인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부(230)가 획득하는 정보를 상태 정보라고 명명한다. 상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30)의 장애 여부를 알려준다. 데이터베이스(130)의 장애는 데이터베이스(130) 자체의 오동작, 데이터베이스(130) 고장, IoT 플랫폼(200)과 데이터베이스(130) 사이의 네트워크 오류 또는 IoT 플랫폼(200)의 통신 장치 고장 등으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동작 모드를 선택하여 동작한다. 이하 구체적인 IoT 플랫폼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데이터베이스(130)의 상태는 정상 상태 또는 장애 상태라고 가정한다. 정상 상태는 IoT 플랫폼(200)이 데이터베이스(130)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검색 및 추출할 수 있는 상태이다. 장애 상태는 IoT 플랫폼(200)이 데이터베이스(130)에 접근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장애 상태는 장치의 고장 또는 네트워크 장애로 기인한다.
도 2는 정상 상태에서 IoT 플랫폼(200)의 동작에 대한 예이다. 정상 상태에서 IoT 플랫폼(200)은 제1 모드로 동작한다. 제1 모드에서 IoT 플랫폼(200)은 데이터베이스(130)를 이용하여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2에서 IoT 플랫폼(200)은 사용자 단말 또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일정한 서비스 요청을 받은 상태라고 가정한다. 또 IoT 플랫폼(200)은 IoT 디바이스로부터 일정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부(230)는 데이터베이스(130)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부(230)는 데이터베이스(130)와의 통신 채널이 정상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부(230)는 데이터베이스(130)에 확인 신호를 전달하고,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부(230)는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현재 데이터베이스(130)는 정상 상태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부(230)는 데이터 처리부(210)에 정상 상태를 보고(정상 보고)할 수 있다. 또는 정상 상태인 경우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부(230)는 별도의 보고를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파일 정보는 IoT 디바이스(110)의 식별자, 수집 데이터 정보,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푸시(Push) 주소 및 단말 제어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수신한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매체(220)에 저장한다. 저장매체(220)는 플래시 메모리 기반 저장 장치, 하드디스크 기반 저장 장치 등일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데이터 처리부(210)가 저장매체(220)에 저장하는 프로파일 정보를 이하 제1 프로파일 정보라고 명명한다.
한편 데이터베이스(130)는 종전 프로파일 정보를 갱신하거나, 갱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파일 정보 갱신은 IoT 서비스 사업자 또는 IoT 디바이스 관리자가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처리부(210)는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갱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한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저장매체(220)에 저장된 프로파일 정보를 갱신한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수신한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한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생성한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매체(220)에 저장할 수 있다.
IoT 플랫폼(200)은 서비스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또는 서비스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장애 상태에서 IoT 플랫폼(200)의 동작 전환에 대한 예이다. 장애 상태에서 IoT 플랫폼(200)은 제2 모드로 동작한다. 도 3은 장애 상태에서 IoT 플랫폼(200)이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에 대한 예이다. 도 3에서 IoT 플랫폼(200)은 사용자 단말 또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일정한 서비스 요청을 받은 상태라고 가정한다. 또 IoT 플랫폼(200)은 IoT 디바이스로부터 일정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부(230)는 데이터베이스(130)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현재 데이터베이스(130)는 장애 상태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부(230)는 데이터 처리부(210)에 장애 상태를 보고(장애 보고)할 수 있다. 도 3에서 경로에 표시한 X는 IoT 플랫폼(200)이 데이터베이스(130)에 접근하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이 경우 IoT 플랫폼(200)은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동작을 전환한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저장매체(220)에 저장된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읽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로파일 정보는 IoT 디바이스(110)의 식별자, 수집 데이터 정보,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푸시(Push) 주소 및 단말 제어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저장매체(220)로부터 획득한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한다. 아래 도 4에서 제2 모드에서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장애 상태에서 IoT 플랫폼(200)의 동작에 대한 예이다. 장애 상태에서 IoT 플랫폼(200)은 제2 모드로 동작한다. 도 4에서 IoT 플랫폼(200)은 사용자 단말 또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일정한 서비스 요청을 받은 상태라고 가정한다. 또 IoT 플랫폼(200)은 IoT 디바이스로부터 일정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저장매체(220)로부터 획득한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생성한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매체(2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 데이터 처리부(210)는 사용자 데이터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다른 정보 내지 부가 정보를 저장매체(220)에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제2 모드에서 생성한 데이터 내지 정보를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서비스 데이터 생성 과정에서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할 푸시 주소, 서비스 데이터를 전달할 단말의 식별자 리스트, IoT 디바이스가 수집할 센싱 데이터의 종류, IoT 디바이스가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시기, IoT 디바이스가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규칙 및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새롭게 정의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규칙은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조건(에너지 상태, 환경 요인 등), 센싱 데이터 수집 대상, 전송할 센싱 데이터의 필터링 조건 등을 포함한다. 제2 모드에서 서비스 데이터 생성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임시 정보라고 명명한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서비스 데이터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임시 정보 내지 갱신되는 정보를 프로파일 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새로운 정보가 반영(추가 내지 덮어쓰기)된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매체(220)에 저장한다. 변이 과정에서 변경된 또는 갱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제2 프로파일 정보라고 명명한다. 도 4는 데이터 처리부(210)가 임시 정보 등을 이용하여 프로파일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도시하였다.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제2 프로파일 정보로 변경하기 위한 정보를 업데이트 정보라고 표시하였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제2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제2 프로파일 정보 및/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매체(220)에 저장할 수 있다.
IoT 플랫폼(200)은 서비스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또는 서비스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장애가 복구된 상태에서 IoT 플랫폼(200)의 동작에 대한 예이다. 도 5는 장애 상태에서 장애가 복구된 경우의 IoT 플랫폼(200) 동작에 대한 예이다. 장애 상태가 정상 상태로 복구된 경우 IoT 플랫폼(200)은 다시 제1 모드로 동작한다. 도 5에서 IoT 플랫폼(200)은 사용자 단말 또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일정한 서비스 요청을 받은 상태라고 가정한다. 또 IoT 플랫폼(200)은 IoT 디바이스로부터 일정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부(230)는 데이터베이스(130)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장애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복구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부(230)는 데이터 처리부(210)에 정상 상태를 보고(정상 보고)한다.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부(230)는 반드시 정상 상태를 데이터 처리부(210)에 보고해야 한다.
이 경우 IoT 플랫폼(200)은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동작을 전환한다.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 또는 모드를 전환하기 전에 IoT 플랫폼(200)은 일정한 동작을 수행한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제2 모드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저장매체(200)에서 읽는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제2 모드에서 서비스 데이터 생성 과정에서 새롭게 생성된 정보를 읽는다. 예컨대, 데이터 처리부(210)는 제2 프로파일 정보, 서비스 데이터 및 임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읽는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제2 프로파일 정보, 서비스 데이터 및 임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전달한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종래 저장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130)는 특정 IoT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를 제2 프로파일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처리부(210)는 저장매체(220)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할 수도 있다. 예컨대, 데이터 처리부(210)는 저장매체(220)에 저장된 제2 프로파일 정보, 서비스 데이터 및 임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삭제할 수 있다.
이제 IoT 플랫폼(200)은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동작을 전환한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하는 프로파일 정보는 전술한 제2 프로파일 정보 또는 제2 프로파일 정보를 갱신한 새로운 프로파일 정보일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수신한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매체(220)에 저장한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수신한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한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생성한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매체(220)에 저장할 수 있다. IoT 플랫폼(200)은 서비스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또는 서비스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IoT 플랫폼 장치(300)의 구성에 대한 예이다. IoT 플랫폼 장치(300)는 IoT 플랫폼이 설치되는 장치이다. IoT 플랫폼 장치(300)는 도 1의 IoT 플랫폼 장치(120)과 동일한 객체일 수 있다. IoT 플랫폼 장치(300)는 네트워크상의 서버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IoT 플랫폼 장치(300)는 저장 장치(310), 메모리(320), 연산장치(330), 인터페이스 장치(340) 및 통신 장치(3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350)는 네트워크를 통해 일정한 정보를 수신하고 전송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통신 장치(350)는 외부 객체로부터 패킷을 수신하고, 송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350)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통신 장치(350)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350)는 IoT 디바이스가 수집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 장치(510)는 제1 프로파일 정보 및 IoT 플랫폼 제어를 위한 코드(프로그램)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장치(510)는 IoT 플랫폼 장치(3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내지 소스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장치(510)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장치(510)는 생성한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장치(510)는 서비스 데이터 생성과정에서 산출되는 임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장치(510)는 제1 프로파일 정보를 갱신한 제2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IoT 플랫폼 장치(300)가 수신한 데이터, 서비스 데이터, 서비스 데이터 생성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 등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340)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일정한 명령을 입력받는 장치이다. 인터페이스 장치(340)는 외부 입력장치로부터 일정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340)는 물리적으로 연결된 외부 저장 장치로부터 IoT 플랫폼 장치(300)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 내지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연산장치(330)는 메모리(320) 또는 저장장치(310)에 대한 데이터 저장을 제어한다. 예컨대, 연산장치(330)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장치(310)에 저장할 수 있다. 연산장치(330)는 데이터베이스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연산장치(330)는 통신장치(31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연산장치(330)는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정상 상태 또는 장애 상태 중 하나로 진단할 수 있다. 연산장치(330)는 정상 상태에서 IoT 플랫폼 장치(300)가 제1 모드로 동작하게 제어한다. 연산장치(330)는 장애 상태에서 IoT 플랫폼 장치(300)가 제2 모드로 동작하게 제어한다. 연산장치(330)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일정한 연산을 처리하는 프로세서, AP, 프로그램이 임베디드된 칩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연산장치(330)는 제1 모드에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장치(310)에 저장한다. 연산장치(330)는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한다. 연산장치(330)는 서비스 데이터를 통신장치(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 또는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게 한다.
연산장치(330)는 제2 모드에서 저장장치(310)에서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읽어온다. 연산장치(330)는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한다. 연산장치(330)는 서비스 데이터를 통신장치(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 또는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게 한다.
연산장치(330)는 제2 모드에서 서비스 데이터 생성과정에서 생성된 임시 정보 등을 이용하여 저장장치(310)에 저장된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제2 프로파일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연산장치(330)는 제2 모드 동작에서 제1 모드로 동작이 전환되는 경우, 제2 모드에서 생성한 제2 프로파일 정보, 서비스 데이터 및 임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신장치(31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게 한다. 연산장치(330)는 IoT 플랫폼이 제2 모드 동작에서 제1 모드로 동작이 전환되는 경우, 저장장치(310)에 저장한 정보(예컨대, 제2 프로파일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IoT 서비스 제공 방법, IoT 플랫폼 장치의 동작 또는 IoT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례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전술한 기술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전술한 기술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례는 모두 전술한 기술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50 : 사용자 단말
100 : IoT 서비스 시스템
110, 111, 112, 113 : IoT 디바이스
120 : IoT 플랫폼 장치
130 : 데이터베이스
140 : 서비스 서버
300 : IoT 플랫폼 장치
310 : 저장장치
320 : 메모리
330 : 연산장치
340 : 인터페이스장치
350 : 통신장치

Claims (15)

  1. IoT 플랫폼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IoT 플랫폼이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IoT 플랫폼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IoT 플랫폼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가능한 경우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장애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근이 안 되는 경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상기 IoT 플랫폼이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읽고,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IoT 플랫폼이 상기 서비스 데이터 생성과정에서 생성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제2 프로파일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IoT 플랫폼은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의 동작 중에 계속 상기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 및 상기 제2 프로파일 정보는 IoT 서비스를 위한 대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는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할 푸시 주소,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전달할 단말의 식별자 리스트, 상기 IoT 디바이스가 수집할 센싱 데이터의 종류, 상기 IoT 디바이스가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시기, 상기 IoT 디바이스가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규칙 및 상기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정보 집합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DB 장애를 대비한 적응적 IoT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는 상기 IoT 디바이스의 식별자, 수집 데이터 정보,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푸시(Push) 주소 및 단말 제어 주소를 포함하는 DB 장애를 대비한 적응적 IoT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플랫폼이 상기 제2 모드 동작 이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근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제2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B 장애를 대비한 적응적 IoT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내부 장애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전달하는 네트워크의 장애인 DB 장애를 대비한 적응적 IoT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플랫폼이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한 IoT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식별한 IoT 디바이스에 대한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DB 장애를 대비한 적응적 IoT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플랫폼이 상기 제2 모드 동작 중에 상기 제1 모드로 동작이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한 상기 제2 프로파일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B 장애를 대비한 적응적 IoT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플랫폼이 상기 제2 모드 동작 이후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프로파일 정보에 대한 갱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갱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B 장애를 대비한 적응적 IoT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플랫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중 변경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제2 프로파일 정보를 생성하는 DB 장애를 대비한 적응적 IoT 서비스 제공 방법.
  9. 데이터베이스로부터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제1 프로파일 정보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장치: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 및 IoT 플랫폼 제어를 위한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가능한 경우 제1 모드로 IoT 플랫폼이 동작하게 제어하고, 장애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근이 안 되는 경우 제2 모드로 IoT 플랫폼이 동작하게 제어하는 연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연산 장치는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의 동작 중에 계속 상기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읽고,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 데이터 생성과정에서 생성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제2 프로파일 정보로 갱신하고,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 및 상기 제2 프로파일 정보는 IoT 서비스를 위한 대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는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할 푸시 주소,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전달할 단말의 식별자 리스트, 상기 IoT 디바이스가 수집할 센싱 데이터의 종류, 상기 IoT 디바이스가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시기, 상기 IoT 디바이스가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규칙 및 상기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정보 집합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IoT 플랫폼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는 상기 IoT 디바이스의 식별자, 수집 데이터 정보,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푸시(Push) 주소 및 단말 제어 주소를 포함하는 IoT 플랫폼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장치는 상기 제2 모드 동작 이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근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제2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IoT 플랫폼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장치는 상기 IoT 플랫폼이 상기 제2 모드 동작 중에 상기 제1 모드로 동작이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한 상기 제2 프로파일 정보를 삭제하는 IoT 플랫폼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장치는 상기 IoT 플랫폼이 상기 제2 모드 동작 이후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프로파일 정보에 대한 갱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갱신된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IoT 플랫폼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중 변경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제2 프로파일 정보를 생성하는 IoT 플랫폼 장치.
  15. 컴퓨터에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DB 장애를 대비한 적응적 IoT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80151834A 2018-11-30 2018-11-30 DB 장애를 대비한 적응적 Io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IoT 플랫폼 장치 KR102108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834A KR102108052B1 (ko) 2018-11-30 2018-11-30 DB 장애를 대비한 적응적 Io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IoT 플랫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834A KR102108052B1 (ko) 2018-11-30 2018-11-30 DB 장애를 대비한 적응적 Io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IoT 플랫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052B1 true KR102108052B1 (ko) 2020-05-28

Family

ID=70920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834A KR102108052B1 (ko) 2018-11-30 2018-11-30 DB 장애를 대비한 적응적 Io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IoT 플랫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0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9355A (ko) * 2015-12-10 2017-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7164446A1 (ko) * 2016-03-25 2017-09-28 주식회사 핸디소프트 IoT 기반의 센서 데이터 분석 및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88947B1 (ko) * 2017-12-05 2018-08-16 (주)안세기술 모바일 플랫폼 기반 해상 운항정보제공장치 및 방법
KR101906074B1 (ko) 2017-11-15 2018-10-08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IoT 디바이스 운용 플랫폼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9355A (ko) * 2015-12-10 2017-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7164446A1 (ko) * 2016-03-25 2017-09-28 주식회사 핸디소프트 IoT 기반의 센서 데이터 분석 및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06074B1 (ko) 2017-11-15 2018-10-08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IoT 디바이스 운용 플랫폼 시스템
KR101888947B1 (ko) * 2017-12-05 2018-08-16 (주)안세기술 모바일 플랫폼 기반 해상 운항정보제공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7081C (zh) 检查和修复网络配置的方法和系统
US7085954B2 (en) Storage system performing remote copying bypassing controller
US20050268147A1 (en) Fault recovery method in a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storage systems
WO2012151674A1 (en) Data analysis system
US20110173504A1 (en) Communication system, a communication method and a program thereof
JP5617304B2 (ja) スイッチング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障害通知制御プログラム
CN112764956A (zh) 数据库的异常处理系统、数据库的异常处理方法及装置
CN107888405B (zh) 管理设备和信息处理系统
CN111342986A (zh) 分布式节点管理方法及装置、分布式系统、存储介质
KR102108052B1 (ko) DB 장애를 대비한 적응적 Io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IoT 플랫폼 장치
JP2006146600A (ja) 動作監視サーバ、端末装置及び動作監視システム
CN101681362B (zh) 存储优化方法
JP6555721B2 (ja) 障害復旧システム及び方法
US11153769B2 (en) Network fault discovery
JP2012168907A (ja) 相互監視システム
CN111309515A (zh) 一种容灾控制方法、装置及系统
Al Maruf et al. A timing-based framework for designing resilient cyber-physical systems under safety constraint
CN113440784A (zh) 防火系统
CN109918270B (zh) 多服务器系统、侦错方法、系统及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2711518A (zh) 一种日志上传方法和装置
KR101694978B1 (ko) 네트워크 선택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099553B1 (ko) 자체 관리 기반의 무인포스단말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65749B1 (ko) 클라우드 저하 모드에서 지속적인 디바이스 동작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7395961B2 (ja) 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管理プログラム
CN113312234B (zh) 一种健康检测的优化方法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