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838B1 - 외장 유리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외장 유리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838B1
KR102107838B1 KR1020190100103A KR20190100103A KR102107838B1 KR 102107838 B1 KR102107838 B1 KR 102107838B1 KR 1020190100103 A KR1020190100103 A KR 1020190100103A KR 20190100103 A KR20190100103 A KR 20190100103A KR 102107838 B1 KR102107838 B1 KR 102107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molding
unit
passage
pip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강민
Original Assignee
송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강민 filed Critical 송강민
Priority to KR1020190100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04F13/0807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 받침대 구조체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부면의 양 끝단에는 홈이 형성되며, 실외기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실외기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대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장 유리 시공 방법 {Method for constructing exterior glass}
본 발명은 외장 유리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외벽에 블록 형태의 단위 유리를 연속적으로 배열한 유리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외장 유리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층건물의 외벽 마감방식은 의장, 구조, 시공면 등에서의 잇점을 최대로 살려 커튼-월(Curtainwall)방식을 중심으로 한 전면 혹은 부면 유리건물들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건물들은 대부분 유리 자체가 경쾌하고 아름다운 외관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도시 미관을 한층 깨끗하고 생동감 있게 해준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벽용으로 사용되는 복층(단판,접합) 또는 단판, 복층 조합유리인 단열, 방범 등 다양한 복합기능 유리를 벽면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종래에 사용했던 방법은 건축 구조물의 콘크리트 외벽에 일정간격으로 종횡으로 배치된 사각형상의 프레임의 전면 중앙부에 지지단을 돌설하고, 이의 상면에는 복층유리가 받침판과 접착제를 사용하여 복층유리의 사이에 고정한 간격 유지판을 매개로 수직으로 입설되며, 복층유리의 내면과 프레임의 전면 사이에는 위치 고정시 사용되는 테이프와 부착력이 강한 구조용 코킹을 유입하여 복층유리를프레임에 단단히 부착 고정하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프레임에 종횡으로 여러개 부착된 복층유리의 끝단 사이에는 방수용 코킹을 유입하므로서 시공을 완료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시공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층유리를 프레임에 고정할때 여러가지 부재가 사용되므로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고, 특히 구조용 코킹을 프레임과 복층유리 사이에 전체적으로 골고루 유입하는 작업이 상당히 힘들게 되어 작업시간이 상당히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조용 코킹으로 프레임과 복층유리를 단단히 결착하게 되면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온도에 대응하지 못하게 되므로 복층유리의 수축과 팽창으로 복층유리가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변형되어 건물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14645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0740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유리 벽체 시공 과정에서 소요되는 자재를 절감시키면서도 안전하고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외장 유리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시공 후에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건물 외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유리벽체의 돌출 정도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감소시켜 시공된 유리벽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외장 유리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유리 시공 방법은, 사각 파이프를 이용하여 파이프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이프 구조체에 단위 유리를 설치하여 건물 외벽에 복수의 단위 유리가 2차원 배열된 유리벽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각 파이프를 이용하여 파이프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각 파이프를 지면과 수직한 방향인 세로 방향으로 설치하되, 지면과 수평한 방향인 가로 방향을 따라 상기 단위 유리의 너비와 동일한 간격마다 설치하여 파이프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기 파이프 구조체에 단위 유리를 설치하여 건물 외벽에 복수의 단위 유리가 2차원 배열된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파이프 구조체의 하변과, 상기 파이프 구조체의 양 측변 중 제1 측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면이 ㄷ형상인 ㄷ몰딩을 상기 파이프 구조체의 전면부에 설치하여 ㄴ자 형태의 하부 프레임을 몰딩 시공하는 단계;
상기 하부 프레임 및 단면이 H형상인 H몰딩을 이용하여 상기 단위 유리를 상기 하부 프레임에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복수의 상기 단위 유리를 2차원 배열 설치하는 단위 유리 시공 단계; 및
상기 파이프 구조체의 상변과, 상기 제1 측변과 마주보는 제2 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ㄱ자 형태의 상부 프레임을 상기 ㄷ몰딩을 상기 H몰딩 및 상기 ㄷ몰딩이 끼워지지 않은 단위 유리에 몰딩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유리 시공 단계는,
상기 유리 시공 단계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에 제1 단위 유리를 끼움 결합하여 상기 단위 유리의 네 변 중 하변과 제1 측변이 상기 ㄷ몰딩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위 유리의 제2 측변에 제1 H몰딩을 세로 방향으로 끼움 결합하고, 상기 제1 단위 유리가 끼워지지 않은 상기 제1 H몰딩면에 제2 단위 유리의 제1 측변을 끼움 결합하고, 상기 제2 단위 유리의 제2 측변에 제2 H몰딩을 세로 방향으로 끼움 결합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변 부분에 복수의 상기 단위 유리를 연속적으로 설치한 후,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변 부분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단위 유리의 상변에 상기 H몰딩을 가로 방향으로 끼움 결합하는 가로방향 유리 설치 공정을 상기 하부 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반복 수행하여 복수의 상기 단위 유리를 2차원 배열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외장 유리 시공 방법은,
상기 사각 파이프를 이용하여 파이프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H몰딩 및 상기 ㄷ몰딩의 표면에 자외선으로부터 여기(exite)되어 적색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다운컨버전(down conversion) 형광체 분말을 분사하여 흡착시키는 전처리 단계; 및
상기 사각 파이프를 이용하여 파이프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파이프 구조체의 전면에 돌출 조절부 및 비틀림 방지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틀림 방지부는 상기 H몰딩이 교차하는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돌출 조절부는 상기 비틀림 방지부가 설치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돌출 조절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H몰딩에 접촉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파이프 구조체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상부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이 상부에 형성하며, 상기 유리벽체가 건물 외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의 삽입 깊이가 다단으로 조절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상부 본체; 상기 상부 본체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안착홈의 벽면을 따라 이동된 후 상기 상부 본체가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체결되는 체결 돌기; 및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안착홈을 따라 하강하다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상기 상부 본체의 상부 외주면을 일주하고 연장 설치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체결 돌기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의 벽면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통로; 상기 체결 돌기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통로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평 통로; 상기 체결 돌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평 통로의 말단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체결 통로; 상기 체결 돌기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통로의 하측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평 통로; 및 상기 체결 돌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수평 통로의 말단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체결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 통로는, 상기 제1 수평 통로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던 상기 체결 돌기가 하강된 후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수평 통로의 말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강 통로; 상기 하강 통로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 벽면에 함몰 형성되는 설치홈에 설치되며, 상기 하강 통로로 노출된 전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설치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설치홈에 삽입된 후단이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체결 돌기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하강하면 상기 탄성체 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체결 돌기가 상기 경사면을 통과하여 상기 하강 통로의 하측 공간에 안착되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경사면이 상기 설치홈으로부터 다시 노출되어 전단 하측면으로 상기 체결 돌기의 상측을 체결하는 체결구; 및 상기 하강 통로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하강 통로의 하측 바닥면에 설치되는 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체결 돌기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탄성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비틀림 방지부는,
상기 파이프 구조체에 설치되는 하부캡; 상기 하부캡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H몰딩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상기 H몰딩의 후면부를 지지하는 상부캡; 및 상기 하부캡과 상기 상부캡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캡을 상기 하부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캡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캡 본체, 및 상기 지지기둥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캡 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상기 지지기둥의 하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캡은,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기둥은, 중심각이 직각인 원호 형상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4 개의 기둥모듈이 서로 연결 설치되어 원기둥 형태를 형성하며, 하부가 상기 하부 안착홈에 삽입되고, 상부가 상기 상부 안착홈에 삽입되며,
상기 기둥모듈은, 중심각이 직각인 원호 형상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모듈 본체; 상기 모듈 본체의 일측 평면에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모듈 본체의 다른 일측 평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의 상측으로부터 삽입 체결되는 슬라이딩 돌기; 상기 모듈 본체의 다른 일측 평면에 상기 슬라이딩 돌기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하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다른 모듈 본체의 슬라이딩 돌기가 삽입 체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홈; 상기 모듈 본체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안착홈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지지 돌기; 및 상기 모듈 본체의 상측에 안착된 상기 상부캡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돌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캡은, 상기 하부 안착홈에 대응하는 형상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탄성체가 하측면에 설치되는 지지 원판; 및 상기 하부 안착홈에 대응하는 형상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원판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측에 안착된 상기 기둥모듈을 상기 하부 안착홈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측면의 각 사방에 바퀴가 설치되는 회전 원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유리를 지지하는 파이프 구조체가 세로 방향으로만 형성되기 때문에, 파이프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비용이 감소되고 시공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H몰딩을 단위 유리 사이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유리벽체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H몰딩 및 ㄷ몰딩의 표면에 흡착된 다운컨버전 형광체 분말로 인하여 유리벽체의 내외부로 광이 조사되는 경우 단위 유리 뿐만 아니라 단위 유리를 고정하는 몰딩부에서도 광이 방출되어 유리벽체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돌출 조절부에 의해 시공 후에도 유리벽체의 돌출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방지부에 의해 이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감소시켜 유리벽체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유리 시공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외장 유리 시공 방법에 따라 유리벽체를 시공하는 구체적인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도 10의 돌출 조절부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도 10의 비틀림 방지부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 받침대 구조체를 구성하는 받침대 본체의 개략적인 구조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외장 유리 시공 방법에 따라 유리벽체를 시공하는 구체적인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유리 시공 방법은 사각 파이프를 이용하여 파이프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S11) 및 파이프 구조체에 단위 유리를 설치하여 건물 외벽에 복수의 단위 유리가 2차원 배열된 유리벽체를 형성하는 단계(S12~S15)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구조체 형성 단계(S11)에서는 아연 및 흑관 재질의 사각 파이프를 지면과 수직한 방향인 세로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외장 유리 시공 방법은, 유리 시공 하고자 하는 건물 외관에 사각 파이프를 교차하여 유리 및 기타 소재 규격에 맞게 용접하여 유리를 지지 할 수 있는 틀을 형성하고, 형성된 각 파이프에 유리를 고정 시킬 수 있는 유리 고리를 붙히고, 리콘이 마르기까지의 유리 고정을 위한 노튼 테이프를 부착하여 유리를 고정하고, 판유리를 시공 환경에 맞게 재단하여 유리 재단선과 재단선 사이 실리콘 시공을 위한 테이핑 작업을 한 후 실리콘을 시공하며, 실리콘이 굳으면 테이프를 제거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때, 종래 기술에 따르면 유리를 지지하기 위한 사각 파이프가 가로와 세로 형태로 교차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며, 유리에 도포되는 실리콘이 노출되는 경우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외장 유리 시공 방법에 따르면 유리를 지지하는 파이프 구조체가 세로 방향으로만 형성되기 때문에, 파이프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비용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후술하겠지만 H몰딩을 단위 유리 사이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실리콘 공정이 불필요하여 실리콘 경화에 소요되는 대기 시간이 생략될 수 있어 시공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구조체 형성 단계(S1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각 파이프를 지면과 수직한 방향인 세로 방향으로만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때 설치 간격은 지면과 수평한 방향인 가로 방향을 따라 단위 유리의 너비(w)와 동일한 간격마다 설치하여 파이프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에 따라 파이프 구조체가 형성되면, 형성된 파이프 구조체에 기반하여 블록 형태의 단위 유리를 2차원 배열 설치하여 유리벽체를 형성하는 시공 공정(S12~S15)이 수행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유리벽체 시공 공정(S12~S15)은 블록 형태로 제단된 단위 유리를 H몰딩 및 ㄷ몰딩에 끼움 결합하여 복수의 단위 유리가 2차원 배열된 유리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몰딩은 바닥면을 중심으로 전면과 후면이 돌출된 ㄷ자 또는 U자 형상의 몰딩부재로, 전면 돌출면은 후면 돌출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ㄷ몰딩은 후면부가 건물 외벽쪽으로 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사람들에게 노출되는 면적은 최소화하면서도 단위 유리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H몰딩은 몰딩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 단이 돌출 형성된 단면이 H형상의 몰딩부재이다. 후술하겠지만, H몰딩은 단위 유리의 길이 형태로 마련되거나, 파이프 프레임의 윗변 또는 아랫변의 길이만큼의 길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계속해서, 유리 벽체 시공 공정(S12~S15)은, 하부 프레임 설치 단계(S12), 단위 유리 시공 단계(S13, S14) 및 상부 프레임 설치 단계(S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하부 프레임 설치 단계(S12)에서는 파이프 구조체의 하변과, 파이프 구조체의 양 측변 중 제1 측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면이 ㄷ형상인 ㄷ몰딩을 파이프 구조체의 전면부에 설치하여 ㄴ자 형태의 하부 프레임을 몰딩 시공하는 것이다.
즉, 하부 프레임은 파이프 구조체의 전체 구조 중 좌변(또는 우변)과 하변 부분에만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부 프레임이 파이프 구조체의 하변 및 좌변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공 환경에 따라 파이프 구조체의 하변 및 우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단위 유리 시공 단계(S13, S14)에서는 하부 프레임 및 단면이 H형상인 H몰딩을 이용하여 단위 유리를 하부 프레임에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복수의 단위 유리를 2차원 배열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위 유리 시공 단계(S13, S14)는 가로 방향 시공 단계(S13) 및 세로 방향 시공 단계(S1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가로 방향 시공 단계(S13)에서는 ㄴ자 형상의 하부 프레임에 단위 유리를 가로 방향으로 하나씩 끼우게 되며, 최초에는 하부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에 제1 단위 유리를 끼움 결합하게 된다(도 5 참조). 이러한 경우 제1 단위 유리는 제1 측변(좌변)과 하변이 하부 프레임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단위 유리의 제2 측변(우변)에 제1 H몰딩을 세로 방향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다(도 6 참조). 따라서, 제1 단위 유리는 상변을 제외한 나머지 변들이 하부 프레임 및 H몰딩에 의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 유리의 오른쪽에 설치된 제1 H몰딩과 하부 프레임이 이루는 모서리에 제2 단위 유리를 끼움 설치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한 상술한 공정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하부 프레임의 하변을 따라 복수의 단위 유리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제1 단위 유리가 끼워지지 않은 제1 H몰딩면(우측면)에 제2 단위 유리의 좌변을 끼움 결합하고, 제2 단위 유리의 우변쪽에 제2 H몰딩을 세로 방향으로 끼움 결합하며, 이와 같은 시공 공정을 반복하여 하부 프레임의 하변 부분에 복수의 상기 단위 유리를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하부 프레임의 하변 부분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단위 유리의 상변에 상기 H몰딩을 가로 방향으로 끼움 결합하는 것으로 가로 방향 시공 단계(S13)가 마무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위 유리를 ㄷ몰딩(하부 프레임)과 H몰딩에 끼우게 되면 상변을 제외한 나머지 변들은 모두 몰딩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단위 유리의 상변을 공통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파이프 프레임의 가로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제단된 H몰딩을 가로 방향으로 끼움 설치함으로써, 단위 유리의 모든 변들이 몰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세로 방향 시공 단계(S14)에서는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H몰딩의 하변을 기준으로 상술한 가로 방향 시공 단계(13)를 반복 수행함으로써, 하부 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가로 방향 시공 단계(13)에 따라 복수의 단위 유리를 2차원 형태로 배열 설치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 설치 단계(S15)에서는 파이프 구조체의 상변과, 상기 제1 측변과 마주보는 제2 측변(우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ㄱ자 형태의 상부 프레임(ㄷ몰딩)을 단위 유리들로 구성된 유리 구조체의 상변 및 우변에 끼움 설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장 유리 설치 방법에 따른 시공 공정을 마무리하게 된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외장 유리 설치 방법은 전처리 단계 및 돌출 조절부와 비틀림 방지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 단계는 사각 파이프를 이용하여 파이프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S11) 이전에 수행되는 것으로, 시공 과정에서 요구되는 크기에 적합하도록 판유리를 제단하여 복수의 단위 유리들로 분할하고, ㄷ몰딩을 이용하여 ㄴ자 형태의 하부 프레임과 ㄱ자 형태의 상부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H몰딩을 단위 유리의 변의 길이만큼 제단하여 세로 방향으로 설치될 H몰딩을 제작하고, 이와 동시에 하부 프레임의 하변 길이만큼 제단하여 가로 방향으로 설치될 H몰딩을 제작할 수 있다.
특히, 전처리 단계에서는 상술한 과정에 의해 제작된 ㄷ몰딩(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과 H몰딩의 표면에 다운컨버전(down conversion) 형광체 분말을 분사하여 흡착시킬 수 있다.
다운컨버전(down conversion) 형광체는 자외선으로부터 여기(exite)되어 적색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로, 높은 에너지 파장을 갖는 빛(광자)을 흡수하여 낮은 에너지 파장을 갖는 빛을 발산하는 광자와 매체 간의 상호 작용을 의미한다. 즉, 다운컨버전 형광체는 광이 조사되면 광원 중 높은 에너지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흡수하며, 흡수된 자외선으로부터 여기(excite)되어 자외선보다 낮은 에너지 파장을 갖는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형광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운컨버전 형광체는 무기물 형태의 세라믹 형광체 또는 유기물 형광체 소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무기물 형태의 세라믹 형광체는 Y2O2S:Eu 형광체 또는 Y2O3:Eu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 본체(10)는 Y2O2S:Eu 형광체 또는 Y2O3:Eu 형광체 중 어느 하나의 다운컨버전 형광체가 분말 형태로 함유된 안료가 도포될 수 있다.
Y2O2S:Eu 세라믹 형광체는 Y2O2S에 유로퓸(Eu)이 활성제로서 도핑(doping)된 구조체이다. Y2O2S:Eu 세라믹 형광체 분말은 약 220~400nm 파장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적색 가시광선(630nm = 1.97eV) 및 적외선(713nm = 1.74eV)을 발산하는 다운컨버전 형광체이다. 그리고, Y2O3:Eu 세라믹 형광체 분말은 삼산화이트륨(Y2O3)에 유로퓸(Eu)이 활성제로서 도핑된 구조체이다. 특히, Y2O2S:Eu 세라믹 형광체 분말은 형광체에 포함된 유황(S)성분으로 인해 항 박테리아 및 소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무기 세라믹 형광체 분말은 약 360nm 파장의 빛을 매우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흡수된 자외선으로부터 여기(excite)되어 약 630nm의 주 발광파장(적색 가시광선)뿐만 아니라 장파장인 713nm 파장(적외선)도 함께 발광함으로써, 적외선 발산 효과가 뛰어나다.
한편, 유기물 형광체는 PPV(Poly(1,4-phenylene vinylene)), Poly(thiophenes), Poly(2,5-pyridinevinylene), PFO(Polyfluorenes), BODIPY (boron-dipyrromethene) fluorophore, dithienotropylium, ABPX(aminobenzopyrano-xanthene)의 유도구조 및 PPV로부터 유도된 MEH-PPV(poly(2-methhoxy-5-(2-ethylhexyloxy)-1,4-pheneylenevinylene)) 및 MDMO-PPV(Poly[2-methoxy-5-(3
Figure 112019083881675-pat00001
,7′'-dimethyloctyloxy)-1,4-phenylenevinylen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하지만, 형광체의 종류는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색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을 발광하는 다양한 유기물질 또는 무기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따른 외장 유리 시공 방법에 사용되는 ㄷ몰딩 및 H몰딩으의 표면에는 유기물 형광체 또는 무기물 형광체 중 어느 하나의 다운컨버전 형광체가 분말 형태로 함유된 안료가 노출면에 도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료에 함유된 Y2O2S:Eu 세라믹 형광체 분말 또는 Y2O3:Eu 세라믹 형광체 분말은 비교적 높은 에너지 파장인 자외선을 흡수하여 비교적 낮은 에너지 파장인 적색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외장 유리 시공 방법에 따라 시공된 유리벽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광원을 조사하게 되면, 단위 유리를 통해 광의 산란, 반사, 투과 등의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광이 투과되지 않은 몰딩 영역에서도 안료에 포함된 다운컨버전 형광체가 자외선을 흡수하여 적색 가시광선을 방출함으로써, 종래의 외장유리벽체에서는 제공할 수 없었던 새로운 시각적 효과를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돌출 조절부와 비틀림 방지부를 설치하는 단계는 사각 파이프를 이용하여 파이프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S11)와 단위 유리 시공 단계(S12~) 사이에 수행되는 것으로, 파이프 구조체의 전면에 돌출 조절부 및 비틀림 방지부를 설치하는 공정일 수 있다.
돌출 조절부는 본 발명에 따라 시공된 유리벽체를 건물 외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부재이고, 비틀림 방지부는 평상시에는 바람 등의 영향으로 인해 유리벽체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돌출 조절부에 의해 유리벽체가 돌출되거나 건물 외벽쪽으로 들어갈 때 발생되는 충격을 감소시켜 유리벽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틀림 방지부(400)는 상기 H몰딩이 교차하는 지점에 대응되는 파이프 위치에 설치되고, 돌출 조절부(500)는 비틀림 방지부가 설치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특히, 돌출 조절부(500)는 파이프 전면에 설치되어, 설치된 위치에서 접촉된 H몰딩의 지지 높이(돌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의 길이가 다단으로 조절되는 구성이다.
유리벽체의 시공 후 필요에 따라 유리벽체의 위치를 조정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외장 유리 시공 방법에서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돌출 조절부(500)가 설치되어 있으며, 돌출 조절부(500)의 돌출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유리벽체를 건물 외벽으로부터 멀어지게 돌출시키거나 건물 외벽쪽으로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유리벽체의 이동 과정에 따라 특정 몰딩 영역이 다른 몰딩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돌출될거나 덜 돌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유리벽체가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돌출 조절부(500)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유리벽체가 건물 외벽과 평행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돌출 조절부와 비틀림 방지부를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각각의 돌출 조절부로 전달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감지부와, 압력 감지부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실외기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각각의 돌출 조절부(500)를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해당 단계에서는, 돌출 조절부와 파이프 사이에 압력 감지부를 설치하고, 각각의 돌출 조절부 및 압력 감지부를 제어부와 전기적 및 회로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는 파이프에 설치된 복수의 돌출 조절부(500) 각각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각각의 압력 감지부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복수의 압력값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돌출 조절부(500) 및 압력 센서가 네 개 설치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제어부는 네 개의 압력값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값보다 큰 압력값을 전송한 압력 센서측에 위치한 돌출 조절부(500)의 높이를 현재 높이보다 상승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네 개의 돌출 조절부(500)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재수신하고, 모든 압력값이 동일한 수치를 가질때까지 상술한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특정 돌출 조절부(500)가 최대 높이까지 상승한 것으로 확인되면, 가장 작은 압력값을 나타내는 돌출 조절부(500)가 하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돌출 조절부(5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돌출 조절부(500)는, 파이프 구조체에 설치되어 H몰딩을 지지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H몰딩의 지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의 길이가 다단으로 조절된다.
즉, 돌출 조절부(500)는, 후술하는 하부 프레임(520)에 삽입되는 상부 프레임(510)의 깊이를 조절함에 따라 지지높이를 t1, t2 또는 t3(t1 > t2 > t3)로 조절함으로써 H몰딩의 돌출 정도를 다수 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돌출 조절부(500)는, 상부 프레임(510) 및 하부 프레임(520)을 포함한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상부 프레임(510) 및 하부 프레임(520)은 ㄷ몰딩으로 형성된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과는 다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즉, 도면부호가 표시된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은 돌출 조절부(500)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이고, 도면부호가 표기되지 않은 상부 프레임은 ㄷ몰딩으로 형성된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의미한다.
상부 프레임(51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파이프에 접촉되어 연결부재(20)를 지지하며, 하부 프레임(520)의 안착홈(530)에 다단으로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프레임(510)은, 상부 본체(511), 체결 돌기(512) 및 걸림턱(513)을 포함한다.
상부 본체(511)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홈(530)에 삽입되며, 하부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체결 돌기(512)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부 외주면을 따라 걸림턱(513)이 연장 형성된다.
체결 돌기(512)는, 상부 본체(511)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며, 안착홈(530)의 벽면을 따라 이동된 후 상부 본체(511)가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체결된다.
걸림턱(513)은, 상부 본체(511)가 안착홈(530)을 따라 하강하다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도 13의 (c)의 경우) 상부 본체(511)의 상부 외주면을 일주하고 연장 설치된다.
하부 프레임(520)은, 수평 프레임(25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에 상부 프레임(5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510)의 하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530)이 상부에 형성하며, 상부 프레임(510)의 지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안착홈(530)에 삽입되는 상부 프레임(510)의 삽입 깊이가 다단(도 8의 (a), (b) 또는 (c)의 경우)으로 조절된다.
도 12은 도 11의 하부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하부 프레임(520)은, 수직 통로(521), 제1 수평 통로(522), 제1 체결 통로(523), 제2 수평 통로(524) 및 제2 체결 통로(525)를 포함한다.
수직 통로(521)는, 체결 돌기(512)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안착홈(530)의 벽면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중간 부분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제1 수평 통로(522)가 연장 형성되며, 하측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제2 수평 통로(524)가 연장 형성된다.
제1 수평 통로(522)는, 체결 돌기(512)가 수직 통로(521)를 따라 하강하다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통로(521)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말단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제1 체결 통로(523)가 연장 형성된다.
제1 체결 통로(523)는, 체결 돌기(51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수평 통로(522)의 말단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체결 통로(523)는, 하강 통로(5231), 체결구(5232) 및 탄성 지지판(5235)을 포함한다.
하강 통로(5231)는, 제1 수평 통로(522)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던 체결 돌기(512)가 하강된 후 하부 공간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수평 통로(522)의 말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체결구(5232)는, 하강 통로(5231)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 벽면에 함몰 형성되는 설치홈(5233)에 설치되며, 하강 통로(5231)로 노출된 전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설치홈(523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며, 설치홈(5233)에 삽입된 후단이 탄성체(5234)에 의해 지지되어 체결 돌기(512)가 경사면을 따라 하강하면 탄성체(5234) 방향으로 이동된 후(도 13의 (a)의 경우) 체결 돌기(512)가 경사면을 통과하여 하강 통로(5231)의 하측 공간에 안착되면 탄성체(5234)의 탄성력에 의해 경사면이 설치홈(5233)으로부터 다시 노출되어 전단 하측면으로 체결 돌기(512)의 상측을 체결(도 13의 (b)의 경우)한다.
탄성 지지판(5235)은, 하강 통로(5231)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며, 하강 통로(5231)의 하측 바닥면에 설치되는 탄성체(5236)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측에 안착되는 체결 돌기(512)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제2 수평 통로(524)는, 체결 돌기(512)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통로(521)의 하측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체결 통로(525)는, 체결 돌기(51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2 수평 통로(524)의 말단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2 수평 통로(524)와 제2 체결 통로(525)는, 제1 수평 통로(522)와 제1 체결 통로(52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즉, 체결 돌기(512)가 제1 체결 통로(523)에 안착되는 경우에는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510)의 지지 높이가 t1이 되고, 체결 돌기(512)가 제2 체결 통로(525)에 안착되는 경우에는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510)의 지지 높이가 t2이 됨에 따라 지지 높이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0의 비틀림 방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비틀림 방지부(400)는, 파이프 구조체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H몰딩을 지지하며, H몰딩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출 조절부(500)의 높이 변화 과정에서 H몰딩이 최초 설치 위치로부터 이탈되거나 돌출 과정에서 뒤틀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캡(410), 상부캡(420) 및 지지기둥(430)을 포함한다.
하부캡(41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캡 본체(411), 및 지지기둥(430)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캡 본체(411)의 상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지지기둥(430)의 하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412)을 포함하며,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부캡(42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본체(421), 지지기둥(430)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본체(421)의 하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지지기둥(430)의 상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422)이 형성되며, 하부캡(41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연결부재(2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기둥(43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캡(410)과 상부캡(4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캡(420)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비틀림 방지부(400)의 지지기둥(430)은, 4 개의 모듈이 서로 연결 설치되어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데, 각각의 모듈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 및 상부가 하부캡(410) 또는 상부캡(420)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다.
도 16은 도 15의 지지기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지지기둥(430)은, 중심각이 직각인 원호 형상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4 개의 기둥모듈(431a, 431b, 431c 및 431d)이 서로 연결 설치되어 원기둥 형태를 형성하며, 하부가 하부 안착홈(412)에 삽입되고, 상부가 상부 안착홈(422)에 삽입된다.
여기서, 각각의 기둥모듈(431a, 431b, 431c 및 431d)은, 모듈 본체(4311), 슬라이딩 돌기(4312), 슬라이딩 홈(4313), 지지 돌기(4314) 및 바퀴(4315)를 포함한다.
모듈 본체(4311)는, 중심각이 직각인 원호 형상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 평면에 슬라이딩 돌기(4312)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 평면에 슬라이딩 홈(4313)가 형성된다.
슬라이딩 돌기(4312)는, 모듈 본체(4311)의 일측 평면에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모듈 본체(4311)의 다른 일측 평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4313)의 상측으로부터 삽입 체결된다.
슬라이딩 홈(4313)은, 모듈 본체(4311)의 다른 일측 평면에 슬라이딩 돌기(431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하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다른 모듈 본체(4311)의 슬라이딩 돌기(4312)가 삽입 체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지지 돌기(4314)는, 모듈 본체(431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부 안착홈(421)의 상측면을 지지하며, 상부에 바퀴(4315)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바퀴(4315)는, 모듈 본체(4311)의 상측에 안착된 상부캡(4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 돌기(4314)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바퀴(4315a, 4315b, 4315c 및 4315d)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안착된 상부캡(4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일측면이 지지기둥(430)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기둥(430)은, 상부캡(420)의 일측에만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해당 일측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기둥모듈(431a, 431b, 431c 또는 431d)만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른 경사면을 형성하는 상부캡(420)을 이용하여 상부캡(420)의 상측에 안착되는 물체를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8은 도 17의 하부캡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하부캡(410)은, 캡 본체(411), 하부 안착홈(412), 지지 원판(413) 및 회전 원판(415)을 포함한다. 여기서, 캡 본체(411) 및 하부 안착홈(412)은, 도 15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지지 원판(413)은, 하부 안착홈(412)에 대응하는 형상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회전 원판(415)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탄성체(414)가 하측면에 설치된다.
회전 원판(415)은, 하부 안착홈(412)에 대응하는 형상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원판(413)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측에 안착된 기둥모듈(431)을 하부 안착홈(412)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측면의 각 사방에 바퀴(416)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부캡(410)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각의 화살표와 같이 승강 또는 하강, 회전함에 따라 회전 원판(415)의 상측에 안착되는 지지기둥(430)이 비틀림에 따라 회전하에 되어 비틀림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기둥(430)을 지지하는 지지 원판(413)을 통해 지지기둥(43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쇄시킴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에 따른 파손 역시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외장 유리 시공 방법에 있어서,
    사각 파이프를 이용하여 파이프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이프 구조체에 단위 유리를 설치하여 건물 외벽에 복수의 단위 유리가 2차원 배열된 유리벽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각 파이프를 이용하여 파이프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각 파이프를 지면과 수직한 방향인 세로 방향으로 설치하되, 지면과 수평한 방향인 가로 방향을 따라 상기 단위 유리의 너비와 동일한 간격마다 설치하여 파이프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기 파이프 구조체에 단위 유리를 설치하여 건물 외벽에 복수의 단위 유리가 2차원 배열된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파이프 구조체의 하변과, 상기 파이프 구조체의 양 측변 중 제1 측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면이 ㄷ형상인 ㄷ몰딩을 상기 파이프 구조체의 전면부에 설치하여 ㄴ자 형태의 하부 프레임을 몰딩 시공하는 단계;
    상기 하부 프레임 및 단면이 H형상인 H몰딩을 이용하여 상기 단위 유리를 상기 하부 프레임에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복수의 상기 단위 유리를 2차원 배열 설치하는 단위 유리 시공 단계; 및
    상기 파이프 구조체의 상변과, 상기 제1 측변과 마주보는 제2 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상기 ㄷ몰딩을 상기 H몰딩 및 상기 ㄷ몰딩이 끼워지지 않은 단위 유리에 설치하여 상부 프레임을 몰딩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유리 시공 단계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에 제1 단위 유리를 끼움 결합하여 상기 단위 유리의 네 변 중 하변과 제1 측변이 상기 ㄷ몰딩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위 유리의 제2 측변에 제1 H몰딩을 세로 방향으로 끼움 결합하고, 상기 제1 단위 유리가 끼워지지 않은 상기 제1 H몰딩면에 제2 단위 유리의 제1 측변을 끼움 결합하고, 상기 제2 단위 유리의 제2 측변에 제2 H몰딩을 세로 방향으로 끼움 결합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변 부분에 복수의 상기 단위 유리를 연속적으로 설치한 후,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변 부분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단위 유리의 상변에 상기 H몰딩을 가로 방향으로 끼움 결합하는 가로방향 유리 설치 공정을 상기 하부 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반복 수행하여 복수의 상기 단위 유리를 2차원 배열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외장 유리 시공 방법은,
    상기 사각 파이프를 이용하여 파이프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H몰딩 및 상기 ㄷ몰딩의 표면에 자외선으로부터 여기(exite)되어 적색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다운컨버전(down conversion) 형광체 분말을 분사하여 흡착시키는 전처리 단계; 및
    상기 사각 파이프를 이용하여 파이프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파이프 구조체의 전면에 돌출 조절부 및 비틀림 방지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틀림 방지부는 상기 H몰딩이 교차하는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돌출 조절부는 상기 비틀림 방지부가 설치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돌출 조절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H몰딩에 접촉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파이프 구조체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상부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이 상부에 형성하며, 상기 유리벽체가 건물 외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의 삽입 깊이가 다단으로 조절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상부 본체; 상기 상부 본체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안착홈의 벽면을 따라 이동된 후 상기 상부 본체가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체결되는 체결 돌기; 및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안착홈을 따라 하강하다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상기 상부 본체의 상부 외주면을 일주하고 연장 설치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체결 돌기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의 벽면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통로; 상기 체결 돌기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통로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평 통로; 상기 체결 돌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평 통로의 말단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체결 통로; 상기 체결 돌기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통로의 하측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평 통로; 및 상기 체결 돌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수평 통로의 말단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체결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 통로는, 상기 제1 수평 통로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던 상기 체결 돌기가 하강된 후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수평 통로의 말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강 통로; 상기 하강 통로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 벽면에 함몰 형성되는 설치홈에 설치되며, 상기 하강 통로로 노출된 전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설치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설치홈에 삽입된 후단이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체결 돌기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하강하면 상기 탄성체 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체결 돌기가 상기 경사면을 통과하여 상기 하강 통로의 하측 공간에 안착되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경사면이 상기 설치홈으로부터 다시 노출되어 전단 하측면으로 상기 체결 돌기의 상측을 체결하는 체결구; 및 상기 하강 통로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하강 통로의 하측 바닥면에 설치되는 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체결 돌기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탄성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비틀림 방지부는,
    상기 파이프 구조체에 설치되는 하부캡; 상기 하부캡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H몰딩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상기 H몰딩의 후면부를 지지하는 상부캡; 및 상기 하부캡과 상기 상부캡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캡을 상기 하부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캡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캡 본체, 및 상기 지지기둥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캡 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상기 지지기둥의 하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캡은,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기둥은, 중심각이 직각인 원호 형상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4 개의 기둥모듈이 서로 연결 설치되어 원기둥 형태를 형성하며, 하부가 상기 하부 안착홈에 삽입되고, 상부가 상기 상부 안착홈에 삽입되며,
    상기 기둥모듈은, 중심각이 직각인 원호 형상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모듈 본체; 상기 모듈 본체의 일측 평면에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모듈 본체의 다른 일측 평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의 상측으로부터 삽입 체결되는 슬라이딩 돌기; 상기 모듈 본체의 다른 일측 평면에 상기 슬라이딩 돌기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하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다른 모듈 본체의 슬라이딩 돌기가 삽입 체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홈; 상기 모듈 본체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안착홈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지지 돌기; 및 상기 모듈 본체의 상측에 안착된 상기 상부캡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돌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캡은, 상기 하부 안착홈에 대응하는 형상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탄성체가 하측면에 설치되는 지지 원판; 및 상기 하부 안착홈에 대응하는 형상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원판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측에 안착된 상기 기둥모듈을 상기 하부 안착홈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측면의 각 사방에 바퀴가 설치되는 회전 원판;을 더 포함하는, 외장 유리 시공 방법.
  2. 삭제
KR1020190100103A 2019-08-16 2019-08-16 외장 유리 시공 방법 KR102107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103A KR102107838B1 (ko) 2019-08-16 2019-08-16 외장 유리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103A KR102107838B1 (ko) 2019-08-16 2019-08-16 외장 유리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838B1 true KR102107838B1 (ko) 2020-05-07

Family

ID=70733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103A KR102107838B1 (ko) 2019-08-16 2019-08-16 외장 유리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8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645B1 (ko) 2010-09-08 2011-02-16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케이블을 이용한 건물 외벽용 외장유리 지지장치
KR101215934B1 (ko) * 2012-04-12 2012-12-27 신일건업 주식회사 건축용 몰딩장치
KR20190007404A (ko) 2018-12-27 2019-01-22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외장유리의 볼트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645B1 (ko) 2010-09-08 2011-02-16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케이블을 이용한 건물 외벽용 외장유리 지지장치
KR101215934B1 (ko) * 2012-04-12 2012-12-27 신일건업 주식회사 건축용 몰딩장치
KR20190007404A (ko) 2018-12-27 2019-01-22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외장유리의 볼트 체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37609A1 (en) Curtain Wall System and Method
CN104769203B (zh) 用于在设计成容纳较厚ig窗单元的窗框架中安装真空绝缘玻璃(vig)窗单元的隔离片系统
CN104660163B (zh) 隔热的太阳能电池结构及其制造方法
US8109051B2 (en) Insulating corrective lens system for aftermarket windows
JP2006524761A5 (ko)
KR102107838B1 (ko) 외장 유리 시공 방법
KR101137228B1 (ko) 건물 외벽용 유리 보강장치
KR20100056084A (ko) ㄷ홈 스페이스 프레임을 내장한 유니트 복층패널
KR101586208B1 (ko) 투광형 박막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회전형 이중외피 시스템
US20210087871A1 (en) Double-glazing systems with retroreflectivity properties
KR100666589B1 (ko) 초단열 및 다중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구조물의 바닥시스템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613283B1 (ko) 차열 방화 유리 제조 방법
AU2016316448B2 (en) Component made of hollow glass blocks
US20050138889A1 (en) Curtain wall system with enhanced resistance to blast forces
CN102664201B (zh) 一种玻充中空太阳能电池薄膜组件
US20190013770A1 (en) Road surface power generation assembly
KR102062119B1 (ko) 실외기 받침대 구조체
KR101619180B1 (ko)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창호용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CN105429566A (zh) 太阳能隔热玻璃块
US10119326B1 (en) Load bearing spacer for skylight installations
KR101338594B1 (ko) 인터락킹 방식을 이용한 커튼월 설치방법
WO1998056727A1 (fr) Laminat comprenant un materiau fonctionnel et procede de fabrication
JP3078174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
KR20170018567A (ko) 면 난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N215632446U (zh) 窗户密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