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717B1 - 건전지 홀더 - Google Patents

건전지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717B1
KR102107717B1 KR1020180054859A KR20180054859A KR102107717B1 KR 102107717 B1 KR102107717 B1 KR 102107717B1 KR 1020180054859 A KR1020180054859 A KR 1020180054859A KR 20180054859 A KR20180054859 A KR 20180054859A KR 102107717 B1 KR102107717 B1 KR 102107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guide
electrode
flow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8679A (ko
Inventor
백승일
Original Assignee
백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일 filed Critical 백승일
Priority to KR1020180054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717B1/ko
Publication of KR20180058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5
    • H01M2/105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6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공구를 요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1-2회의 조작 만으로 건전지를 착탈 가능한 건전지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건전지 수납 영역 및 나사 홀을 구비하는 하우징에 형성되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유동 전극과 고정 전극 및 나사산이 형성되는 지지축 및 지지축의 종단에 회전판이 연결되어 형성되며, 지지축은 나사 홀과 나사 결합되어 회전판의 회전 방향에 따라 나사 홀을 따라 회동하여 고정 전극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고, 회전판은 하우징 외주연에 노출되는 회전 밀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전지 홀더{Battery holder}
본 발명은 건전지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탈부착이 쉽고 간편하며,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공구를 요하지 않고도 배터리를 탈부착 가능한 건전지 홀더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전지 홀더는 양극(+)과 음극(-) 한 쌍의 전극을 건전지 개수에 맞게 구비하며, 음극은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스프링은 탄성을 이용하여 건전지를 건전지 홀더에 고정하면서 건전지의 전극 역할을 겸하고 있다. 그러나, 건전지가 건전지 홀더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건전지 홀더의 크기는 건전지 크기와 유사하게 제작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건전지 홀더는 아래의 각 호에 따른 문제점을 유발한다.
1) 건전지 홀더의 크기가 건전지 크기와 유사하므로, 사용자가 건전지를 장착하기 어렵고,
2) 건전지 홀더에 장착된 건전지를 쉽게 탈착하기도 어렵다.
3) 건전지가 건전지 홀더에 복수 개 어레이 수납되는 경우, 건전지 사이에 공간을 주어 건전지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있으나, 이는 건전지 홀더의 크기 증가, 및 사출 비용 증가로 이어진다.
4) 건전지의 탈착을 위해 건전지 홀더 내에 탈착끈을 설치하여, 건전지의 탈착 편의성을 높이는 방안이 있으나, 건전지가 수직하게 적층 구조를 이룰 경우, 탈착끈이 중력에 의해 배터리 홀더 내부에 파묻히거나 배터리 홀더를 이탈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중국 공개특허 제201310572730는 건전지의 쉬운 탈 부착과 접촉불량을 개선하기 위해 건전지 홀더를 수납하는 하우징에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나사를 돌림으로써 건전지와 전극을 조이는 배터리 홀더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공개특허 제201310572730은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로 나사를 조이고 풀어야 하므로 건전지의 탈부착이 불편하고,
건전지 하나당 나사 구조물이 하나씩 배열되어야 하므로, 하우징에 수납되는 건전지의 개수가 많은 경우, 건전지 탈부착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늘어난다.
만일, 전자제품 내부에 수납해야 할 건전지가 6개인 경우, 모두 6개의 나사를 조이거나 풀어서 건전지를 고정 또는 교체해야 하며, 각 건전지가 적당한 텐션을 가지면서 배터리 홀더에 고정해야 하므로, 건전지 착탈에 주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쉽게 손으로 건전지를 착탈 가능한 건전지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전지 개수와 관계없이 1-2회의 조작으로 전체 건전지를 착탈할 수 있는 건전지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 탈착이 용이하여 기존의 탈착끈이 필요치 않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건전지 수납 영역 및 나사 홀을 구비하는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유동 전극과 고정 전극; 및 나사산이 형성되는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의 종단에 회전판이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은 상기 나사 홀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나사 홀을 따라 회동하여 상기 고정 전극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하우징 외주연에 노출되는 회전 밀대;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건전지 수납 영역 및 통공을 구비하는 하우징의 내측면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통공에 설치되는 버튼; 상기 버튼에 의해 배터리의 전극을 향해 이동하는 유동 전극; 장홈을 구비하는 제1가이드 및 제2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2가이드는 시점과 종점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갖는 유도 홈을 따라 형성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의 일측 종단에는 상기 제1가이드를 향하는 걸림 홈이 구비되는 유동판 가이드; 및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제1돌기와 제2돌기가 상기 유동판 가이드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각각은 상기 장홈과 상기 유도 홈에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판;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이 제1방향을 향할 때, 상기 유동판은 상기 유로를 따라 상기 걸림 홈에 안착되어 상기 건전지가 고정되고, 상기 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이 제2방향을 향할 때, 상기 유동판은 상기 걸림 홈에서 이탈되어 상기 건전지가 탈착되는 건전지 홀더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공구를 요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건전지를 착탈할 수 있다.
또한, 1-2회의 조작으로 하우징에 수납된 전체 건전지를 탈거하거나, 또는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배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회전 밀대 지지부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회전 밀대에 대한 상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건전지 홀더 커버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유동 전극의 일 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가 제품에 적용된 일 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밀대의 상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8의 d5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건전지 홀더 커버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유동 전극과 지지대의 결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막대 밀대와 가이드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가이드의 상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과 도 18은 본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제2가이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언급되는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는 건전지를 필요로하는 전자제품, 전기제품 및 기타 생활용품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건전지를 필요로 하는 전자제품, 전기제품 및 기타 생활용품을 "제품"이라 통칭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언급되는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하우징(Housing)은 건전지를 필요로하는 제품의 하우징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언급되는 수납 영역은 건전지를 필요로하는 제품에서 건전지 삽입을 위해 마련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통상 상기한 수납 영역은 제품 내에 건전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므로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언급되는 건전지는 1차 전지 또는 충전 가능한 2차 전지일 수 있으며, 원통형 사각형 및 기타 다양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건전지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원통형 건전지를 중심으로 도시하고 설명하며, 원통형 건전지로는 AA 사이즈, AAA 사이즈, 18650 사이즈, 및 기타 원통 구조를 갖는 다양한 건전지가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 대한 배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회전 밀대 지지부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는 회전 밀대에 대한 상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는 배터리 홀더 커버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6은 유동 전극의 일 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가 제품에 적용된 일 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는 제품에 마련되는 수납 영역(101)에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의 부품 중 회전 밀대(102)나 회전밀대 지지부(105)는 하우징 외측에 노출되고 나머지는 하우징 내부에 마련된다. 이는 회전 밀대(102)가 하우징 외측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회전 밀대(102)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따른다.
회전 밀대 지지부(105)는 하우징(1)과 회전 밀대(102) 사이에 마련되며, 중심부엔 나사 홀(105a)이 형성되어 회전 밀대(102)의 축을 지지한다.
하우징(1)의 두께가 회전 밀대(102)의 축을 지지할 만큼 두꺼운 경우, 회전밀대 지지부(105)가 별도로 필요치 않다. 하우징(1)에 나사 홀을 형성하고, 나사 홀을 회전 밀대(102)의 지지축과 체결할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1)의 두께가 나사산을 형성하고, 지지축을 지탱할 만큼 두껍지 않은 경우, 도시된 회전 밀대 지지부(105)가 필요한 것으로, 회전 밀대 지지부(105)는 하우징(1)의 두께에 따라 존재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하우징(1) 내측으로는 수납 영역(101), 가이드(103), 고정 전극(106) 및 유동 전극(107)이 배치된다.
가이드(103)는 유동 전극(107)이 수납 영역(101)을 이탈하지 않도록 제한한다. 가이드(103)는 수납 영역(101)의 테두리에서 수납 영역(101)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전극(106)은 배터리(5)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금속판 또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판 또는 스프링으로 전극이 형성되는 경우, 배터리(5)의 전극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유동 전극(107)은 배터리(5)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금속판 또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유동 전극(107)은 회전 밀대(102)에 의해 수납 영역(101) 내에서 D1 방향 또는 D2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유동 전극(107)은 가이드(103)에 의해 유동 방향이 제한되어 수납 영역(101)을 이탈하지 않는다.
도 3은 회전 밀대 지지부(105)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 밀대 지지부(105)는 하우징(101)의 외주연에서 돌출되는 구조물로서, 중심부에는 지지 홀(105a)이 마련된다.
회전 밀대 지지부(105)의 중심부에는 나사 홀(105a)이 형성되고, 나사 홀(105a)의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도 4는 회전 밀대 지지부에 대한 상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회전 밀대(102)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102a)과 지지축(102c)으로 구성되거나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102a), 패드(102b) 및 지지축(102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판(102a)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는데 이용된다. 회전판(102a)은 원형, 다각형, 원통형 및 기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노브(knob) 형상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지지축(102c)은 회전판(102a)에 연결되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전극(107)을 직접 푸시(push) 하거나, 또는 패드(102b)와 연결되어 패드(102b)를 통해 유동 전극(107)을 푸시(push)할 수도 있다. 지지축(102c)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 밀대 지지부(105) 측의 나사 홀(105a)에 체결된다.
즉, 회전 밀대(102)는 지지축(102c)에 의해 하우징(1)에 거치 및 회동할 수 있다.
지지축(102c)이 패드(102c)와 연결되는 경우(도 4의 (b)) 지지축(102c)의 종단은 패드(102b)에 나사 결합된다. 이 경우, 패드(102b)의 내주연에도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한 회전 밀대(102)가 나사 홀(105a)을 통해 하우징(1)에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 밀대(102)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회전 밀대(102)는 D1 방향 또는 D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회전 밀대(102)는 고정 전극(106)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는 것이다.
회전 밀대(102)의 종단인 패드(102b)는 유동 전극(107)과 이웃하게 위치하므로, 회전 밀대(102)가 D1 방향으로 전진하면, 이에 연동되어 배터리(5)를 D1 방향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배터리(5)의 두 전극(+ 전극 또는 - 전극) 사이의 거리를 감소하고, 배터리는 고정 전극(106) 및 유동 전극(107)과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반면, 배터리(5)를 수납 영역(101)에서 탈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회전 밀대(102)를 D2 방향으로 후퇴시킨다. 회전 밀대(102)가 D2 방향으로 후퇴하면, 배터리(5)에 가해지는 스프링의 장력이 감소하므로 배터리(5)가 수납 영역(101)에서 쉽게 탈거될 수 있다.
도 5는 배터리 커버(200)의 일 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배터리(5) 교체 후, 배터리 커버(200)를 하우징(1)에 체결하여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배터리 커버(200)는 일 측에 체결 홀(202)이 형성되고, 체결 홀(202)은 볼트(bolt)에 의해 하우징(1) 측 홀(204)에 나사 결합되어 배터리 커버(200)를 하우징(1)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예시된 배터리 커버(200)는 일 예일 뿐이며, 굳이 나사체결 방식에 의하지 않고도 다양한 방식으로 배터리 커버를 구현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이 예시된 배터리 커버(200)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도 6은 유동 전극의 일 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극(107)은 전극판(107c)이 전극 지지부(107a)에 의해 고정되고, 전극판(107d)이 전극 지지부(107b)에 의해 고정된다.
전극판(107c)에는 판상의 전극(107c1)과 스프링 형상의 전극(107c2)이 마련되며, 전극(107c1)은 건전지(5)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전극(107c2)은 건전지(5)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극(107d2)은 건전지(5)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전극(107d1)은 건전지(5)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두 전극판(107c, 107d)은 비 전도성 재질(예컨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극 지지부(107a, 107b)에 의해 끼움 결합되어 고정된다. 전극 지지부(107a, 107b)는 단일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며, 회전 밀대(102)에 의한 푸시(Push) 압력이 제거되면 전극을 형성하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유동 전극(107)은 회전 밀대(10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통해 설명된 유동 전극(107)은 고정 전극(106)과 그 구조가 동일하다. 다만, 고정 전극(106)은 유동 전극(107) 대비 건전지(5)의 배치 방향에 역순이므로, 전극의 상대적 높이 관계가 유동 전극(107)과 반대인 점에서 차별점을 갖는다.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된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가 실제 제품에 적용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하우징(1)의 내부 일 영역에 구현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9는 밀대의 상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0은 도 8의 d5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1은 건전지 홀더 커버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와 그 형상이 유사하되, 다만 밀대(202)의 구조와 밀대를 고정하는 방식에서 차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그 형상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7의 참조부호를 인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는 사용자가 밀대(202)를 D1 방향으로 움직일 때, 유동 전극(207)이 고정 전극(206) 방향으로 밀려 건전지(5)의 전극과 전기적인 접촉을 이루고, 사용자가 밀대(202)의 고정장치를 풀어주면, 유동 전극(207) 및 고정 전극(206) 측에 마련되는 스프링 형상의 전극이 갖는 탄성에 의해 회전 밀대(202)가 D2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유동 전극(207)과 고정 전극(206)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건전지(5)를 탈착하기 용이한 상태가 된다.
수납 영역(201)에는 가이드(203), 탈착 홈(208), 유동 전극(207) 및 고정 전극(206)이 배치된다.
여기서, 가이드(203)은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된 제1실시예의 참조부호 103에 해당하고, 유동 전극(207)은 제1실시예의 참조부호 107에 해당하며, 고정 전극(206)은 제1실시예의 참조부호 106에 해당한다. 이들 구성에 대한 구조와 그에 대한 설명은 제1실시예의 것을 준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는 밀대의 상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밀대(202)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판(202a)과 지지축(202c)으로 구성되거나,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판(202a), 지지축(202c) 및 패드(202b)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의 (a)는 사용자가 누름판(202a)을 누르면 그 힘이 지지축(202c)에 전달되고, 지지축(202c)이 유동 전극(207)을 고정 전극(206) 방향으로 밀고, 도 9의 (b)는 사용자가 누름판(202a)을 누르면 지지축(202c)을 통해 패드(202b)에 사용자가 가한 힘이 가해지며, 패드(202b)가 유동 전극(207)을 고정 전극(206) 방향으로 민다.
여기서, 누름판(202a)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 편의를 위해 노브(knob)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지지축(202c)은 하우징에 형성되는 통공에 의해 밀대(202)를 지지하며, 사용자가 가한 힘을 종단에 패드(202b)에 전달하거나 또는 유동 전극(207)에 직접 전달할 수 있한다. 유동 전극(207)에 전달된 사용자의 힘은 유동 전극(207)을 고정 전극(206) 방향으로 밀고, 이때, 수납 영역(201)에 수납된 건전지(5)는 압착된다.
이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커버(400)를 닫으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00)에 형성되는 멈치(401)가 유동 전극(207) 또는 패드(202b)의 움직임을 폐쇄한다.
이후, 사용자는 커버(400)에 형성되는 체결 홀(402)과 하우징 측 체결 홀(403)을 볼트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건전지 수납영역(101)에 건전지(5)를 삽입 후, 커버(400)를 닫아 건전지(5)를 고정하고 있다.
커버(400)를 닫아 건전지(5)를 고정하는 방법에 더하여, 본 출원인은 커버(400)를 닫아 건전지(5)를 고정하는 절차를 생략하고 사용자가 하우징(1)을 일 방향으로 기울여서 건전지를 장착 또는 탈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건전지(5)를 고정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이는 도 12 및 이후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하고, 도 13은 도 12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유동 전극과 막대 밀대의 결합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5는 막대 밀대와 가이드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가이드의 상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7과 도 18은 본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제2가이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먼저, 도 12를 살펴보면,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는 건전지(5)가 장착된 후, 아래의 각 호에 따른 과정을 통해 건전지를 장착한다.
- 아 래 -
1) 버튼(510)을 "F" 방향으로 누른 후 누른 상태를 유지한다.
2) R2 방향으로 하우징(1)을 기울인다.
1)과 2)의 과정을 통해 건전지(5)는 하우징(1)에 장착된다.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는 사용자가 버튼(510)을 "F"방향으로 누를 때, 유동 전극(501a)이 D6 방향으로 이동하며, 유동 전극(501a)이 D6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건전지(5)를 고정전극(501b)에 밀착시킨다.
하우징(1)에 장착된 건전지를 탈착할 때는, 하기의 각 호에 따른 절차에 따라 건전지(5)를 탈착한다.
- 하 기 -
3) 버튼을 "F"방향으로 누른 후, 누른 상태를 유지한다.
4) R1 방향으로 하우징을 기울인다.
3)과 4)의 절차에 따라 건전지(5)를 고정 전극(501b)에 밀착했던 유동 전극(501a)은 D5 방향으로 후퇴하면서 건전지(5)에 대한 밀착 상태를 해제하며, 사용자가 건전지(5)를 하우징(1)에서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는 버튼(510), 유동 전극(501a), 고정 전극(501b), 커버(502), 유동판(504), 제1가이드(503), 제2가이드(505), 서브 가이드(507, 508), 지지대(50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버튼(510)은 버튼 몸체(512), 버튼 헤드(511), 및 버튼 고정부(513)를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러질 때, 유동 전극(501a)을 "F" 방향으로 푸시(Push)한다.
도 13의 실시예에서, 버튼(510)은 버튼 몸체(512), 버튼 헤드(511) 및 버튼 고정부(513)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버튼(510)은 버튼 몸체(512)와 버튼 헤드(511) 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버튼 몸체(512)가 직접 유동 전극(501a)을 푸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가이드(503), 제2가이드(505), 및 서브 가이드(507, 508)는 하우징(1)의 내측 일 면에 형성되며, 각각은 장 홈이 형성되어 돌기를 구비하는 유동판(504)과 암수 결합된다. 이에 따라, 유동판(504)은 제1가이드(503), 제2가이드(505) 및 서브 가이드(507, 508)에 형성되는 장홈을 따라 D5 방향 또는 D6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커버(502)는 제1가이드(503), 제2가이드(505) 및 서브 가이드(507, 508) 및 유동판(504)을 배터리(5)와 격리하며, 지지대(509)를 관통시키는 관통홀(503a)을 구비한다. 커버(502)는, 하우징(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유동판(504)과 건전지(5)를 분리하고, 유동판(504) 및 막대 밀대(504a)가 하우징(1)의 내측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억제할 수 있다.
고정 전극(501b)은 건전지(5)의 전극과 접촉되나 고정된 것으로, 건전지(5)의 개수에 따라 양(+)전극과 음(-)전극이 교차 형성될 수 있다. 유동 전극(501a)은 막대 밀대(504a)와 체결된다. 유동 전극(501a)과 지지대(509)와 체결 형태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유동 전극과 막대 밀대의 결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유동 전극(501a)은 지지대(509)가 마주하는 면에 지지대(509)와 결합하기 위한 지지 홈(501a)을 구비한다.
지지대(509)는 지지 홈(501a)에 삽입 및 고정되며, 버튼(510)에 "F" 방향 힘이 가해지면 버튼(510) - 유동 전극(501a) - 지지대(509)의 순서로 힘이 가해진다. 이때, 지지대(509)는 D6 방향으로 이동하며, 지지대(509)와 연결되는 유동판(504)또한 D6 방향으로 전진하여 배터리(5)를 고정 전극(501b) 방향으로 밀착한다.
도 15는 막대 밀대와 가이드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유동판(504)에서 연장 형성되는 막대 밀대(504a)는 제1가이드(503)과 제2가이드(505)에 안착하기 위한 제1돌기(504c)와 제2돌기(504b)를 구비한다. 제1돌기(504c)는 제1가이드(503)에 형성되는 장홈(503a)에서 유동하고, 제2돌기(504b)는 제2가이드(505)에 형성되는 장홈(505a)에서 유동한다.
제2가이드(505)의 장홈(505a)은 제1가이드(503)의 장홈(503a)과는 달리 곡률반경을 가지고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일측 종단에는 걸림 홈(505b)이 형성된다. 걸림 홈(505b)은,
5) 사용자가 버튼(510)에 가하는 F 방향 힘에 의해 유동판(504)이 이동하고,
6) 유동판(504)과 연결된 막대 밀대(504a)가 장홈(505a)을 따라 이동하며,
7) 사용자가 도 12에 도시된 하우징(1)을 R2 방향으로 기울여두면 걸림 홈(505b)에 제2돌기(504b)가 걸림 홈(505b)에 안착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버튼(510)에 힘을 가할 때, 또는 가한 직후 하우징(1)을 R2 방향으로 기울여서 제2돌기(504b)가 걸림 홈(505b)에 안착시킬 수 있다.
5) 내지 7)의 과정에 따라 막대 밀대(504a)가 걸림 홈(505b)에 안착된 후, 걸림 홈(505b)에 안착된 막대 밀대(504a)를 걸림 해제하기 위해서는 하우징(1)을 기울여야 한다. 이는 아래의 표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Figure 112018047055116-pat00001
표 1은 하우징(1)을 기울이는 방향에 따라 막대 밀대(504a)와 걸림 홈(505b)의 체결 및 체결 해제 방식을 나타낸다.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는 하우징(1)을 어느 방향으로 기울이느냐에 따라 제2돌기(504b)가 걸림 홈(505b)에 체결되는지, 또는 체결 해제되는지가 결정된다. 이때, 제2돌기(504b)를 걸림 홈(505b)에 체결하거나 또는 체결 해제 하기 위해서는 제2돌기(504b)가 걸림 홈(505b) 부근에 위치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버튼(510)을 눌러, 제2돌기(504b)가 걸림 홈(505b) 부근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를 참조하여 표 1을 설명하면,
먼저,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중심선(Rf)을 기준으로 R1 방향으로 기울이면 제2돌기(504b)는 Fs 방향으로 치우치며, 이때, 제2돌기(504b)는 걸림 홈(505b)에서 이탈된다.
다음으로,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중심선(Rf)을 기준으로 R2 방향으로 기울이면, 제2돌기(504b)는 Fb 방향으로 치우치며, 이때, 제2돌기(504b)는 걸림 홈(505b)에 안착된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가이드의 상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는 6개의 돌기(504b 내지 504g)를 구비하는 유동판(504)과, 제1가이드(503), 제2가이드(505)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서브 가이드(507, 50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503)와 제2가이드(505)의 구조는 도 16을 통해 설명되었는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서브 가이드(507, 508)는 제1가이드(503)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며 제1가이드(503)와 평행을 이룬다. 유동판(504)에 형성되는 돌기(504b 내지 504g)의 수를 늘리고, 제1가이드(503)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함으로써 제1가이드(503) 및 제2가이드(505)에서 유동판(504)이 안정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7과 도 18은 본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제2가이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먼저, 도 17에 따른 제2가이드(602-1)는 유도 홈(602b)의 단면 형상이 삼각형을 이루며, 유도 홈(602b)의 단면이 삼각형을 이룰 때, 유도 홈(602b)을 따라 유동하는 돌기(605b)는 유도 홈(602b)의 시작점(P1)에서 변곡점(P2)을 경유하여 진행 방향이 바뀌면서 종점(P3)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605b)와 연결되는 막대 밀대(605-1) 또한 돌기(605b)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유도 홈(602b)을 유동한다.
다음으로, 도 18에 따른 제2가이드(602-2)는 유도 홈(602c)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을 이루며, 유도 홈(602c)의 단면이 사각형을 이룰 때, 유도 홈(602c)을 따라 유동하는 돌기(605b)는 유도 홈(602c)의 시작점(P1)에서 변곡점(P2)을 경유하여 진행 방향이 바뀌면서 종점(P3)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605b)와 연결되는 막대 밀대(605-2) 또한 돌기(605b)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유도 홈(602c)을 유동한다.
도 17과 도 18에서는 제2가이드(602-1, 602-2)의 단면 형상이 삼각형 또는 사각형인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제2가이드(602-1, 602-2)의 단면 형상은 오각형, 육각형 또는 그 이상의 다각형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101 : 수납 영역 102 : 회전 밀대
103 : 가이드 105 : 회전 밀대 지지부
106 : 고정 전극 107 : 유동 전극

Claims (9)

  1. 건전지 수납 영역 및 나사 홀을 구비하는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유동 전극과 고정 전극; 및
    나사산이 형성되는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의 종단에 회전판이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은 상기 나사 홀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나사 홀을 따라 회동하여 상기 고정 전극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하우징 외주연에 노출되는 회전 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전극이 상기 수납 영역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납 영역의 테두리에서 상기 수납 영역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홀더.
  3. 삭제
  4. 삭제
  5. 건전지 수납 영역 및 통공을 구비하는 하우징의 내측면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통공에 설치되는 버튼;
    상기 버튼에 의해 배터리의 전극을 향해 이동하는 유동 전극;
    장홈을 구비하는 제1가이드 및 제2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2가이드는 시점과 종점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갖는 유도 홈을 따라 형성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의 일측 종단에는 상기 제1가이드를 향하는 걸림 홈이 구비되는 유동판 가이드; 및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제1돌기와 제2돌기가 상기 유동판 가이드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각각은 상기 장홈과 상기 유도 홈에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판;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이 제1방향을 향할 때, 상기 유동판은 상기 유로를 따라 상기 걸림 홈에 안착되어 상기 건전지가 고정되고,
    상기 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이 제2방향을 향할 때, 상기 유동판은 상기 걸림 홈에서 이탈되어 상기 건전지가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홀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와 평행을 이루며 상기 제1가이드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서브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판은,
    판 형상이며, 상기 제1가이드, 상기 제2가이드 및 상기 서브가이드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홀더.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판은,
    상기 유동 전극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 전극은, 상기 지지대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지지대 수납을 위한 지지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홀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판을 상기 배터리와 격리하고, 상기 지지대를 관통시키는 관통 홀을 구비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홀더.
KR1020180054859A 2018-05-14 2018-05-14 건전지 홀더 KR102107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859A KR102107717B1 (ko) 2018-05-14 2018-05-14 건전지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859A KR102107717B1 (ko) 2018-05-14 2018-05-14 건전지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679A KR20180058679A (ko) 2018-06-01
KR102107717B1 true KR102107717B1 (ko) 2020-05-07

Family

ID=62635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859A KR102107717B1 (ko) 2018-05-14 2018-05-14 건전지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7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9673A1 (fr) * 2022-09-14 2024-03-15 Safran Aircraft Engines Pack de batteries pour alimenter un appareil de télémes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135B1 (ko) 2020-02-06 2020-08-10 김동혁 건전지 홀더
KR20220080622A (ko) * 2020-12-07 2022-06-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전원 시스템, 및 자동차
KR20230105448A (ko) * 2022-01-04 2023-07-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회전 핸들과 스프링을 이용한 배터리 팩 고정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306Y1 (ko) 2001-05-28 2001-11-16 현 우 조 시각장애인용 핸드체크기
JP2007324032A (ja) * 2006-06-02 2007-12-13 Nec Network & Sensor Systems Ltd 電池収納ケース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9120B2 (ja) * 1994-10-28 1998-10-08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の電池取付装置
JP2994264B2 (ja) * 1996-07-12 1999-12-27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の電池パック保持着脱構造
KR101417806B1 (ko) * 2007-10-26 2014-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의 배터리 탈착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306Y1 (ko) 2001-05-28 2001-11-16 현 우 조 시각장애인용 핸드체크기
JP2007324032A (ja) * 2006-06-02 2007-12-13 Nec Network & Sensor Systems Ltd 電池収納ケー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9673A1 (fr) * 2022-09-14 2024-03-15 Safran Aircraft Engines Pack de batteries pour alimenter un appareil de téléme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679A (ko) 2018-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7717B1 (ko) 건전지 홀더
US20170087658A1 (en) Welding Electrode Holder
US20180362062A1 (en) Universal coupling devices
US8161848B2 (en) Screwdriver with changeable head
US10197083B2 (en) Low profile connection pin for audio system
US3293528A (en) Holder for battery-operated driving unit
US2399644A (en) Electric plug clamp
US11483954B2 (en) Shovel handle connecting device
US8363396B2 (en) Position-shifting structure
US6374496B1 (en) Structure art design knife
CN108493367B (zh) 一种快速更换灯具电池的快拆结构
US11478891B2 (en) Knife sharpening device
US9980736B2 (en) Detachable medical electric tool
US5515755A (en) Insulated fastener retainer for fastener driver
US3074156A (en) Watch crystal removing and replacing tool
US3799226A (en) Multiple blade tool
US8418842B2 (en) Oblong object holder
US20170197307A1 (en) Paint brush and a clamping and locating device used in the same
CN204045848U (zh) 线缆连接器的切换结构
WO2018040886A1 (zh) 一种海运冷藏集装箱用工业插头
CN217406059U (zh) 一种具有多重紧固功能的电缆固定夹
US11110586B2 (en) Multi-functional tool structure
WO2007098785A1 (en) Appliances with battery packs
CN220015794U (zh) 一种用于家电的组合螺钉
US1008535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lock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