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083B1 - 부유공기 및 물체표면의 세정 및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부유공기 및 물체표면의 세정 및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083B1
KR102107083B1 KR1020197024493A KR20197024493A KR102107083B1 KR 102107083 B1 KR102107083 B1 KR 102107083B1 KR 1020197024493 A KR1020197024493 A KR 1020197024493A KR 20197024493 A KR20197024493 A KR 20197024493A KR 102107083 B1 KR102107083 B1 KR 102107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air
titanium dioxide
air passage
o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궈동 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1569356.1A external-priority patent/CN109908390A/zh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리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25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8Hydrogen perox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F24F8/26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usin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2Piezo or ultrasonic elements for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1Use of hydrogen peroxide, liquid and vaporo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 F24F2003/166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및 물체 표면의 세정 및 소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존, 과산화수소, 히드록실라디칼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에 대해 소독 해독 정화하고 동시에 라돈가스를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에는 펠티어 구조의 응결 장치가 설치되었을 뿐만 아니라, 방전에 의해 오존을 발생시키는 장치 및 이산화티타늄의 물리적 환경을 형성하는 자외선 램프와 이산화티타늄 프라이머가 더 구비된다. 동시에 카트리지가 더 구비되며, 초음파에 의해 카트리지 중의 물, 과산화수소, 산소와 같은 액체를 전기분해하여 추가적으로 히드록실라디칼을 생성한다.

Description

부유공기 및 물체표면의 세정 및 살균 장치
본 발명은 오존, 과산화수소, 히드록실라디칼 및 라돈 제거 기능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에 대해 세정하고 소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 공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실외 공간과의 공간 교환이 비교적 적고 실내 환경 자체에 자연 정화 능력이 부족하며 실내 장식, 에어컨 등의 보편적인 사용 및 사람들의 일상 생활로 인해 오염 물질이 실내 공간으로 지속적으로 배출되며, 주로 휘발성 유기물, 고체 입자성 부유물질(suspended particulate matter)과 에어로졸 등이 있는데, 여기서 주요한 오염물질은 포름알데히드 및 벤젠 계열이 포함된다.
중국의 일부 지역의 지면 구성 구조에는 대량의 라돈이 함유된다. 라돈은 주변의 다른 물질과 상호 작용하지 않는 불활성 가스이므로 일부 222Rn 원자는 그 생성 장소를 떠나 원자 사이 또는 돌 결정립 사이의 틈을 통해 다른 장소로 확산된다. 222Rn 자체는 여전히 반감기가 3.82일인 a방사성 물질이므로 붕괴되기 전에 비교적 먼 곳으로 확산될 충분한 시간이 있으며, 여기서 일부는 돌에서 방출되어 주변 공기로 퍼짐으로써 방사성 붕괴가 공기 중에서 진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오염물의 존재는 사람으로 하여금 불편한 느낌을 받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신체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 현재 실내 공기 정화 및 소독 방법은 주로 단순한 기계 흡착, 정전기, 화학적(또는 물리적) 흡착, 음이온 및 광 촉매 등을 사용하며, 단순한 기계적 흡착 및 정전기에 의한 먼지 제거는 정화 효과에 있어 제한적이고, 주로 부유된 입자 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며 유기 오염에 대한 정화 정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점차 도태되고 있다. 다른 기술을 적용한 제품도 각각 장단점이 있는바, 각각의 상이한 오염물질과 상이한 고객 요구 사항에 적용되는데, 예를 들어, 흡착식 정화기는 선택된 흡착 물질의 특징에 따라 특정 또는 대부분의 유기 오염 물질을 흡착할 수 있지만, 흡착 재료의 포화 문제가 존재하여 재료를 재생 및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음이온은 유기물의 분해에 유리하여 기본적으로 무해한 이산화탄소, 물 및 기타 무기물질을 형성하도록 하지만, 반응 과정에서의 생성물 또한 어느 정도로 인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세균 바이러스 및 화학 오염물질에 대한 제어 능력도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상술한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 중의 라돈을 동시에 제거하기 어렵다. 따라서 나날이 향상해가는 생활 수준에 따라, 새로운 기능이 보다 많고, 효과가 보다 좋으며, 생산 비용이 보다 낮고, 사용이 보다 간편한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사람들의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어떠한 살균 원리의 기초는 모두 산화 미생물의 기본 부분이며 생존이 불가능하게 한다. 히드록실라디칼은 자연에서 산화성이 가장 강하지만 인체에 무해한 산화물질이다. 히드록실라디칼은 매우 안전한 조건에서 먼지 입자에 부착되어 함유되어 있는 미생물을 분해하고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습한 환경에서는 이러한 입자와 분해 물질의 침전에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의 공기 및 물체 표면의 세정 및 소독 장치는 송풍기와 같은 장치를 통해 외부 가스를 장치 내부로 흡입하고, 메인 가스 통로를 경유하여 펠티어 응결 구조로 진입시키며, 공기 중의 수증기를 응결시킴으로써 그 위에 흡착된 라돈을 제거한다. 이후, 응결 장치로부터 방출된 가스는 다시 메인 공기 통로에 진입하여 히드록실라디칼 생성 구조로 진입하고, 최종 대량의 히드록실라디칼을 외부 공기로 배출하여 공기에 대해 세정하고 소독한다.
본 발명의 공기 및 물체 표면의 세정 및 소독 장치에 있어서, 히드록실라디칼 생성 구조는 메인 가스 통로를 통해 오존 발생기, 카트리지(1), 카트리지(2)에 연결되고 또한 대응되는 전기회로가 설치되어 온존 발생기와 카트리지 상의 압전 박막 및 무화 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며, 동시에 상기 통로에서 이산화티타늄 물리적 환경을 형성하기 위한 자외선 램프 및 이산화티타늄 프라이머가 설치되어, 공기 통로 중의 혼합 가스가 물리화학 반응을 진행하도록 하며, 이로써 여러 번 히드록실라디칼을 얻어 마지막에 카트리지(2)의 덮개 및 위에 설치된 무화 유닛을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의 공기 및 물체 표면의 세정 및 소독 장치는 다중 기술의 조합에 기반하여 공기를 세정하고 소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은 LED/UV 등을 포함하는 광촉매 유닛 및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초음파 분해 유닛; 및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존 발생기를 가지되, 발생기는 승압 회로를 포함하고 팬/송풍기를 통해 오존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오존을 전이시켜 이를 연속적으로 공기 통로에 보내며,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중의 액체의 미분화를 무화 및 추진하기 위한 압전 박막을 구비하는 히드록실라디칼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른 오존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오존과 카트리지 중의 H2O2는 혼합 통로 중에 혼합되며 양자는 반응하여 히드록실라디칼을 생성한다. 카트리지(1) 내에는 탈이온수와 과산화수소가 포함되며, 최종적으로 H2O, H2O2 및 O2를 생성하고, 카트리지(1) 내의 가스는 카트리지(1) 상부의 벤투리 통로를 통과하여 벤투리 효과에 기반하여 혼합 통로로 끌려와, 혼합 통로 중의 오존 등 가스와 더 반응하여 히드록실라디칼의 수량을 더 증가시킨다.
혼합 통로 내의 H2O, H2O2 및 O2는 상기 통로 상에 코팅된 TiO2와 화학 반응을 발생한다. 동시에 LED등에 의해 생성된 자외선은 통로 내의 상기 가스에 대해 자외선 복사를 진행함과 동시에 카트리지(1) 중의 H2O, H2O2 및 O2와도 계속하여 반응하며, 또한 벤투리 효과를 통해 혼합 통로로 휴대됨으로써 히드록실라디칼의 수량을 더 증가시킨다.
라디칼과 히드록실라디칼은 카트리지(2)를 통해 무화된 후 외부 밀폐된 공간 중에 방출되어 상기 밀폐 공간의 공기 중 및 환경 물체 표면의 병원체를 제거하고 침전시킨다.
본 발명의 히드록실라디칼 생성 장치는 프로펠러 팬에서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에 연결되는 송풍기를 포함하며, 주요 기류 통로는 오존을 보유하고, 통로 구조를 이용하여 벤투리 효과를 형성하며 또한 카트리지(1) 내부의 수증기, 과산화수소, 산소를 선도하여 주요 혼합 통로 영역(또는 반응실로 칭함)에 진입시켜 UV LED/등과 이산화티타늄이 코팅된 채널에서 벤투리 반응을 발생시킨다.
송풍기는, 공기 배출구와 공기 흡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그 설계는 기류가 카트리지(2)로부터의 무화 부분과 접촉하기 이전에 효과적인 물리화학 반응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초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및 팬, 오존 발생기의 전원과 같은 전동이 필요한 다양한 기능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전자 회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라돈을 제거하는 공기 정화 소독 장치는 펠티어 응결 구조를 가진다. 메인 가스 통로를 통해 펠티어 응결 구조에 진입하여 얻은 응결에 의한 물방울에서, 상기 일부 물방울은 대량의 라돈에 의존하여 통기가 되지 않는 다공성 해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은 펠티어 응결 구조와 히드록실라디칼 생성 구조를 결합하여 공기 중에서 수증기에 용해되는 유해물질 라돈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량의 히드록실라디칼을 생성하여, 공기에 대한 전면적인 정화를 구현하고 또한 장치 부근에 따뜻한 기류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장치는 가정, 호텔, 사무실 건물, 병원 수술실, 병동, 열차 객실, 원양화물선, 군용 잠수함, 함정, 항공 모함, 전투 준비 갱도, 야전 병원 피난처, 자동차 등의 밀폐 공간의 공기 및 물체 표면을 세정하고 소독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카트리지(1)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카트리지(2)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장치 위치도이다.
본 발명은 자외선을 결합하여 과산화수소 및 탈이온수를 함유하는 2 개의 카트리지의 내용물을 복사하고, 히드록실라디칼을 생성할 수 있는 물질과 상호작용하여 물리 화학적 연쇄반응을 발생시키고자 한다.
낮은 전기 전도 및 초음파 용해는 3가지 효능(물 분자를 분해하고, 키틴 공명을 생성하며, 물입자를 세분화하여 냉증기를 생성)이 있으며, 기류가 카트리지와 필터를 통과할 경우, 그 내용물의 혼합과 추출을 촉진하고 벤투리 효과를 생성하여, 그 내용물이 기류에 의해 이산화티타늄 통로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과정에서 이에 포함된 히드록실라디칼, 물, 산소, 과산화수소와 오존은 분리되고 공기중에 방출되어 주변 환경에 대해 소독하고 세정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여기서, 키틴 공명의 주파수는 키틴 외골격의 진드기와 공명하도록 하여 진드기를 죽이는데 적합하다.
아래에 도면과 실시예를 결부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정화 장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하기 부분으로 더 구성된다. 1, 팬/송풍기; 2, 오존 발생 장치 및 전기회로; 3, 카트리지(1); 4, 혼합 통로; 5, 카트리지(2); 6, 덮개; 7, 벤투리 통로; 8, 메인 공기 통로; 9, UV/LED등; 10, 펠티어 구조의 응결 장치; 11, 액체; 12, 흡입칩.
본 정화 장치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은 표1에 표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히드록실라디칼 생성 구조 및 그중에 설치된 펠티어 응결 구조의 결합을 포함한다. 장치는 프로펠러 팬에서 외부로터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에 연결되는 팬/송풍기(1)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는 팬/송풍기에 의해 메인 공기 통로(8)에 진입하여, 먼저 펠티어 구조의 응결 장치(10)를 통과한다.
펠티어 구조의 응결 장치는 중간에 위치한 펠티어(열전소자)를 구비하며 또한 전기를 공급하는 회로를 가진다. 전류가 펠티어(열전소자)를 흐를 때, 그 양측에 방열과 흡열을 발생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펠티어(열전소자) 좌우측 사이에 메인공기 통로가 결합되어 펠티어(열전소자) 좌측에는 흡열로 인하여 메인공기 통로의 기류중 수증기가 응결됨과 동시에 펠티어(열전소자)와는 통기가 되지 않는 다공성 해면(스펀지)이 포함된 하나의 수집 장치를 구비하여 응결 후의 물방울을 수집한다.
펠티어 우측에는 방열로 인하여 대량의 열량이 발생하여 뜨거운 공기가 흐르므로, 다른 팬을 사용하여 상기 장치 밖으로 내보내어 장치 주변의 공기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장치는 카트리지(1), 카트리지(2)인 2개의 카트리지를 구비하며, 그 내부에는 용액이 있고, 바람직하게 과산화수(과산화수소수)와 낮은 전기 전도율을 갖는 탈이온수이며, 탄산염 또는 탄산수소염을 포함하지 않는다.
오존은 오존 발생 장치 및 전기회로(2)에 의해 발생되며, 그 내부에는 세라믹 전극과 승압 회로가 구비된다. 통로 내부에서 발생된 오존량은 승압 회로를 조절하는 활성화 시간 및 전극(전극 영역)에 고정된 스프레이 노즐 직경에 의해 제어되어 오존을 포획하고 최적 표준 수요량에 부합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오존이 발생된 이후, 오존은 팬(1)의 구동에 의해 중앙 통로를 통과한다. 또한, 장치 구조에 기반하여 생성된 벤투리 효과의 부분 가스는 카트리지(1)에 흡입될 수 있다. 카트리지(1)는 내용물 과산화수소, 수증기, 및 산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오존 가스는 상기 내용물과 혼합하여 반응이 발생되어 산소, 오존 자유 라디칼 O°, H° 및 OH°를 갖는 가스 성분으로 된다.
카트리지(1)에서 생성된 가스는 메인 공기 통로 중의 공기 및 오존과 함께 혼합 통로(4)에 진입하며, 상기 혼합 통로에는 이산화티타늄이 코팅되고, 이 경우 메인 공기 통로 상부의 UV/LED등(9)은 상기 혼합 통로를 조사하여 보다 많은 히드록실라디칼을 생성하도록 유발한다. 주요 통로 영역의 가스는 벤투리 효과를 경유하여 카트리지(2)에 보내지며, 카트리지(2) 중의 가스와 함께 카트리지(2)의 최상부 음파 분해 무화 장치를 경유하여 외부 공기 중에 배출된다.
카트리지(2)에도 탈이온수와 과산화수소의 액체 내용물이 포함되며, 여기서 생성된 O2는 벤투리 반응에 의한 기류에 의해 오존, 과산화수소수와 특정 공간에서 충분하게 반응하며, 동시에 카트리지(2) 내에 무화 가능한 초음파를 증가시켜 압전 센서(전기가 기계 에너지로 전환됨)를 생성하였으며, 이를 카트리지(2)의 최상부에 놓아, 카트리지(2)의 최상부에는 이산화티타늄이 코팅된다. 알 수 있다시피, 카트리지(2)에서 최종 혼합 가스도 보다 많은 히드록실라디칼을 생성할 것이다.
카트리지(2)는 압전 박막을 구비하며, 압전 박막의 초음파가 카트리지(2)로 전달될 때, 그 내용물 액체는 세라믹 코어에 의해 흡수되고, 물리 화학적 반응에 의해 생성되어, 초음파에 의해 분해되어 초음파 분해로 된다. 산화성이 높은 환경에서 히드록실라디칼 OH°/H°로 이온화된다.
카트리지(2)의 압전 박막의 초음파 생성 부분은 카트리지(2) 상부의 하우징을 통해 음파 분해가 진행되는 진동을 공급한다. 따라서, 전원 회로 및 다른 하나의 음파 해석 주파수의 발진기로 구성된 전기 부분을 더 구비하고, 진동 주파수는 공명을 생성하여 진드기 제거에 유리하기 위해 키틴 주파수와 일치할 수 있다.
카트리지(2)는 모세혈관 작용에 의해 카트리지(2) 내의 액체를 압전 박막의 흡입 부분으로 포획하고 “펌핑”하기 위한 흡입칩(12)을 더 가진다. 바람직하게, 셀룰로오스 칩에 액체 내용물을 추출한다.
압전 박막은 15 Khz와 10 MHz 사이의 주파수를 가지며, 초음파를 분해하고, 키틴과의 공명을 통해 곰팡이, 효모의 골격을 약화시켜 상기 유해물질을 제거하며, 카트리지(2)로부터의 액체를 무화(atomization)하는 3가지 작용을 가진다.
카트리지(2)의 최상부에는 UV/LED등(9)이 더 구비된다.
카트리지(1)도 카트리지(2)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위치에 흡입칩, 압전 박막을 가지거나 마찬가지로 TiO2가 코팅되고 또한 UV/LED등(9)을 이용하여 조사한다. 2개의 카트리지가 독립적으로 가스를 생성하는 조건, 즉 H2O2+H2O+O3+O2를 갖는데 편의하다.
이러한 자유 라디칼은 OH° 라디칼 또는 히드록실라디칼 및 오존 분해 작용에 의한 라디칼과 같은 잔여의 자유 라디칼 중에 첨가되어 반응성 반응물 조건을 얻는다. 기류 및 < 390 nm의 자외선을 통해, 증발수, 산화수, 오존 및 산소가 이산화티타늄이 코팅된 혼합 통로(4)를 통해 마지막에 공기 중에 분산되어 생성한 히드록실라디칼은 다양한 이온과 함께 공기 중에서 될 수 있는 한 혼합되어 음이온을 분산시키는데 이는 기기 내부의 층류 기류의 추진으로 모방한 소독이다.
바람직한 실시사례에서, 메인 공기 통로(8)를 통해 오존을 구동시키는 기류가 존재하며, 이는 벤투리 효과를 통해 카트리지(1)로부터 추출된 수증기, 산소 및 과산화수소와 합쳐져 혼합 통로(4)에 첨가되고, 상기 혼합 통로는 이산화티타늄 TiO2로 코팅됨과 동시에 혼합 통로의 입구에서 LED/UV등(9)을 구비하며, 이 빛을 혼합 통로에 비추어 혼합 통로가 보다 많은 히드록실라디칼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혼합 통로에 의해 생성된 가스는 카트리지(2)의 무화 물리화학적 반응과 혼합되고, 카트리지(2)는 LED/UV등을 구비하며, 이때의 혼합 가스에 대해 조사함과 동시에 카트리지(2)의 말단에 TiO2를 코팅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및 물체 표면의 세정 및 소독 장치는 상기 UV 파장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 또는 광학 검출 장치를 포함한다. 이것이 가질 수 있는 파장은 표1에 표시된 바와 같이, 254 nm, 190 nm일 수 있거나 242 nm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및 물체 표면의 세정 및 소독 장치는 카트리지(1), 카트리지(2)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가진다. 이러한 카트리지는 장치 본체 중에 삽입 및 안착시킬 수 있고 또한 전원 연결을 제공하여 음파 분해 및 무화의 압전 박막을 제조하는 전기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논리적으로, 모든 코로나 효과에서 모두 고압으로부터 오존이 발생되는 1대의 음이온이 존재하나, 100,000 pcs/cc에서 10,000,000 pcs/cc로 제어되는 경우, 오존이 5 cm 배출거리에서 0.001 ppm에서 0.05 ppm으로 제어되도록 공기 유속을 추진하는 추진기, 및 벤투리 튜브, 혼합 반응 및 배출 파이프라인을 통해 배출되며, 히드록실라디칼을 1000,000으로부터 20,000,000 pcs/cc 사이에서 제어한다.
본 장치에 있어서, 오존 발생기와 5 cm 떨어진 거리에서, 오존량은 0.0001 g ~ 0.5 g이며, H2O2의 증발량은 0.001 g ~ 0.5 g 범위 내에서 제어되며, 히드록실라디칼 농도는 500,000 개/cc - 20,000,000 개/cc이다.
현재 과산화수소가 1.4 mg/m3(1 ppm)의 표준 제한값(WEL)으로 설정된 것에 감안하여, 히드록실라디칼 수준의 당량은 (1.4 mg/m3)/(34 g/mol)=0.0000411 mol/m3이다.
수치 계산 결과, 0.0000411 mol/m3×6.23×1023=2.56×1019 분자/m3이다. 각각의 과산화수소 분자가 2개의 자유 라디칼(1)을 생성하면, 2.56×1019×2=5.12×1019/m3이며 5.12×1013/ml의 자유 라디칼 최대 생성 가능한 량에 해당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서 내부 가스와 과산화수소의 반응에 따라 계산하여 생성된 자유 라디칼을 계산하면, (0.008 mols)×(6.023×1023)×2=9.63×1021이며, 60일 내에 장치가 연속하여 작동하는 것에 감안하면 평균 매일 1.6×1020 개 자유 라디칼을 얻는다.
내부 작동 영역이 300 m3이면, 매일 생성된 자유 라디칼은 1.6×1020/300 m3=5.33×10-17 개 자유 라디칼/일/m3이며 매일 5.33×1011/ml 자유 라디칼에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된 정화 및 히드록실라디칼 생성 장치는 O°, H° 및 OH°의 자유 라디칼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유 라디칼은 상이한 반응에 의해 생성되어 실내의 비교적 큰 공간의 소독 및 세정을 커버한다. 본원 발명의 장치를 통해 최대량의 자유 라디칼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최대 한도로 공기 중의 라돈을 제거함으로써 공기와 표면에 대해 충분하게 정화 및 소독하고 또한 공기를 가열하여 편안한 생활 조건을 구현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 또한 첨부된 도면에서 도시된 정밀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과 변화를 진행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된다.
반응물 및 반응물 조합의 결과
hv TiO2 + 387 nm O3 O2 초음파 분해 H+
H2O2 2OH°254nm 2OH° OH°+O2+HO2° OH°+H° H2O2 안정
H2O 190nmH°+OH° H2O2 OH°+O2+HO2° H2O2 OH°+H° H2O2 H2O 안정(Acid)
O3 O2+O° O2 O2+OH° O3 안정(Acid)
O2 O°+O°<242nm H2O2 O3 O°+O° HO2°
TiO2 Wet2OH° H2O2 O°+O2

Claims (14)

  1. 공기 및 물체 표면의 소독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프로펠러 팬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에 연결되어 있는 송풍기가 구비되고,
    상기 송풍기에 의해 공기가 진입하는 메인 공기통로;
    상기 메인 공기 통로에 연통되고, 상기 메인 공기 통로에 진입되는 공기가 진입되어 응결되는 펠티어 구조의 응결 장치;
    상기 펠티어 구조의 응결 장치를 통과한 공기는 오존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공기 통로와 연통되어 구비된 오존 발생장치;
    상기 오존 발생장치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메인 공기 통로와 연결된 카트리지(1)를 통해 생성되는 가스를 벤투리 효과를 통해 이산화티타늄이 코팅된 혼합 영역에 운반하여 메인 공기 통로 중의 가스와 혼합 영역에서 혼합시키는 벤투리 통로;
    상기 메인 공기 통로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혼합 영역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 및
    상기 혼합 영역에서 자외선 램프와 이산화티타늄 프라이머를 통해 형성된 이산화티타늄의 물리적 환경에서 반응을 발생시켜 히드록실라디칼을 얻으며, 혼합 영역의 가스는 벤투리 효과를 통해 카트리지(2)에 진입하며 카트리지(2)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카트리지(1) 및 카트리지(2) 최상부에 압전 박막을 구비되는 동시에 이산화티타늄이 코팅되어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조사하고, 상기 압전 박막은 15 Khz와 10 MHz 사이의 주파수를 가지며, 음파를 분해하고, 키틴과의 공명을 통해 곰팡이, 효모의 골격을 약화시켜 유해물질을 제거하며, 카트리지(2)로부터의 액체를 무화(atomization)하는 3가지 작용을 하는 공기 및 물체 표면의 소독을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1) 및 카트리지(2)의 내부 용액은 과산화수 및 낮은 전기 전도율을 갖는 탈이온수이며, 탄산염 또는 탄산수소염을 포함하지 않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의 파장을 390 nm보다 작게 조정하도록, 상기 자외선 램프의 파장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 또는 광학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1) 및 카트리지(2)를 장치 본체 내에 삽입 및 안착시킬 수 있고 상기 카트리지(1) 및 카트리지(2)에는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카트리지(1) 및 카트리지(2)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펠티어 구조의 응결 장치는 수집 장치를 구비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장치는 통기가 되지 않는 다공성 해면이 포함된 장치.
  11. 삭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펠티어 구조의 응결 장치 부근에서 뜨거운 기류를 얻어 다른 팬을 통해 상기 기류를 장치로부터 내보내어 장치 주변의 공기 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박막의 주파수는 진드기의 키틴 외골격의 진동 주파수와 공명을 일으켜 진드기를 소멸시키는 장치.
KR1020197024493A 2018-12-21 2019-01-09 부유공기 및 물체표면의 세정 및 살균 장치 KR102107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569356.1 2018-12-21
CN201811569356.1A CN109908390A (zh) 2018-12-21 2018-12-21 一种清洁和消毒空气和物体表面的装置
PCT/CN2019/070960 WO2020124706A1 (zh) 2018-12-21 2019-01-09 一种清洁和消毒空气和物体表面的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083B1 true KR102107083B1 (ko) 2020-05-13

Family

ID=70730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493A KR102107083B1 (ko) 2018-12-21 2019-01-09 부유공기 및 물체표면의 세정 및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0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250B1 (ko) * 2021-01-28 2021-12-08 바이러스킬러 주식회사 살균 정화 기능을 갖는 압전 촉매
KR102376659B1 (ko) * 2021-08-24 2022-03-21 주식회사 웰리스 공기살균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304B1 (ko) * 2003-12-10 2007-07-18 스테리스 인코퍼레이티드 오존 강화형 기화 과산화수소 정화 방법 및 장치
KR20110102586A (ko) * 2010-03-11 2011-09-19 노태호 냉난방 겸용 공기살균정화기
KR101708799B1 (ko) * 2016-07-21 2017-02-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히드록실 라디칼을 이용한 살균 정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304B1 (ko) * 2003-12-10 2007-07-18 스테리스 인코퍼레이티드 오존 강화형 기화 과산화수소 정화 방법 및 장치
KR20110102586A (ko) * 2010-03-11 2011-09-19 노태호 냉난방 겸용 공기살균정화기
KR101708799B1 (ko) * 2016-07-21 2017-02-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히드록실 라디칼을 이용한 살균 정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250B1 (ko) * 2021-01-28 2021-12-08 바이러스킬러 주식회사 살균 정화 기능을 갖는 압전 촉매
KR102376659B1 (ko) * 2021-08-24 2022-03-21 주식회사 웰리스 공기살균장치
WO2023027234A1 (ko) * 2021-08-24 2023-03-02 주식회사 웰리스 공기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99322A1 (en) Device for cleaning and sterilizing air and object surfaces
KR102094915B1 (ko) 공기살균장치
KR101206360B1 (ko) 화학 작용제 또는 생물학 작용제의 처리장치 및 방법
US8968576B2 (en) Nebulizing treatment method
JP2008516652A (ja) 周囲空気を滅菌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070212273A1 (en) Biotower eradicator
KR102107083B1 (ko) 부유공기 및 물체표면의 세정 및 살균 장치
WO2012103010A1 (en) Cleansing system using ozone and nebulized fluids
US20230355823A1 (en) Device for generating hydroxyl radicals
CN111298182B (zh) 空气循环消毒杀菌方法
KR20150061810A (ko) Uv led를 구비한 가습 공기청정기
US20120189490A1 (en) Cleansing system using ozone and nebulized fluids
CN109908391A (zh) 一种羟基自由基产生装置
CN101204591A (zh) 一种室内空气污染快速治理装置
KR20030027362A (ko) 공기정화기
KR102575939B1 (ko) 살균혼합공기 확산공급장치
KR20010081486A (ko) 산소를 발생하는 공기정화기
JP2004180895A (ja) 空気浄化装置
KR200262735Y1 (ko) 공기정화기
CN209759027U (zh) 一种用于羟基自由基产生装置的臭氧发生器
JP2004166742A (ja) オゾン薫蒸装置
JP2004121811A (ja) 消臭殺菌健康空調装置
KR102651073B1 (ko) 신선 공기 공급기
KR102630040B1 (ko) 대면적 공기살균이 가능한 알에프 플라즈마장치
KR102255203B1 (ko) 타워형 공기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