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203B1 - 타워형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타워형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203B1
KR102255203B1 KR1020200180381A KR20200180381A KR102255203B1 KR 102255203 B1 KR102255203 B1 KR 102255203B1 KR 1020200180381 A KR1020200180381 A KR 1020200180381A KR 20200180381 A KR20200180381 A KR 20200180381A KR 102255203 B1 KR102255203 B1 KR 102255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ifier
air
filter
fan
tower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기화
Original Assignee
(주)한동생활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동생활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주)한동생활과학연구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01D46/004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by using v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B01D46/0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36Reducing noise or vibration e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88Replacing filter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워형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염도가 높은 경우에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로 정화하고 팬을 이용하여 배출하는 타워형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염센서로 공기 오염이 심한 장소나 방향을 파악하고 정화기의 공기 흡입구나 배출구를 오염이 심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공기를 흡배출할 수 있어 오염이 심한 곳을 신속하게 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정화기를 다단으로 모듈식으로 설치할 수 있어 공기 오염의 정도에 따라 정화 용량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타워형 공기정화장치{A TOWER TYPE AIR PURIFIER}
본 발명은 타워형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염도가 높은 경우에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로 정화하고 팬을 이용하여 배출하는 타워형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타워형 공기정화장치는 실내외에 설치되어 실내외 공기를 정화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실내외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흡입된 실내외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필터링된 실내외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 타워형 공기정화장치에 관련된 선행기술을 일예로 들면, 특허문헌 1 타워형 공기정화장치 및 이의 공기정화 방법은 대기오염 측정정보에 따라 공기정화 알고리즘을 마련하여 송풍기, 안개 분사기, 이온 방사기, 세정수 분사기 및 흡착 브러시의 가동을 최적화 제어하고, 흡입되는 대량의 공기를 빠르게 정화한다.
특허문헌 2 세정수 정화유닛을 이용한 폐수 배출이 없는 백연 및 오염물질 제거용 스크러버는 오염물질이 함유된 공기에, 고전압 장전에 의해 생성되는 전계전자에너지를 인가하여 해리, 이온화, 여기, 산화, 환원반응 등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오염물질 분자의 공유결합을 분해하여 친유성 혼합물, 소수성 오염물질을 분해하여 제거하고, 세정수에 수중 방전방식으로 매우 높은 전계전자에너지를 인가하여 세정수를 미세물분자로 해리하고, 미세물분자를 소수성 오염물질이 제거된 오염공기에 분사하여 세정수와 오염공기와의 접촉으로 오염공기중 친수성 오염물질을 흡수한다.
종래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하지만, 실내 또는 실외의 넓은 공간에서 국부 오염에 빠르게 대응하지 못하고, 공기 순환로를 형성하지 않고, 일방향 공기 정화로를 형성해서 정화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60432호 타워형 공기정화장치 및 이의 공기정화 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0-1535247호 세정수 정화유닛을 이용한 폐수 배출이 없는 백연 및 오염물질 제거용 스크러버
본 발명은 정화기가 공기 오염이 심한 장소나 부위를 신속하게 정화시키는 타워형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기 오염의 정도에 따라 정화 용량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타워형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필터의 교환주기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타워형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기 정화와 더불어 인체에 무해한 방법으로 공기 살균이 가능한 타워형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타워형 공기정화장치는
정화기(10)가 모듈식으로 다층으로 적층되고, 다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별 정화기(10)에 회전부(20)가 구성되어 회전부(20) 제어로 정화기(10)가 회전하여 정화기(10)의 흡입구(11) 또는 배출구(12)의 위치가 조절되고, 상기 정화기(10)는,
오염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13) 또는 자외선 램프(17, 51) 중에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공기정화수단; 및 상기 필터(13)를 통한 공기 흡입 또는 배출구(12)의 공기 배출의 공기 순환을 발생하는 팬(1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20)는, 상층의 정화기에 설치되는 고정축(21); 하층의 정화기에 설치되는 원통기어(22); 상층의 정화기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4); 상기 구동모터(24)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톱니(23)를 포함하고,
상층의 정화기(10)에 설치되는 고정축(21)은 하측 정화기(10)에 설치되는 원통기어(22)의 삽입홈(25)에 설치되고, 이때 상기 구동 톱니(23)가 원통기어(22)의 원주방향 톱니와 맞물리며,
상기 구동 톱니(23)를 회전시켜 각층의 정화기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고, 상기 정화기(10)의 흡입구(11) 또는 배출구(12)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특정 위치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오염센서(30)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센서(30)는, 측정된 오염 정도와 측정 위치를 공기정화장치의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외부 순환팬(40)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팬(40)은, 상기 공기정화장치와 연동하여 공기순환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덮개(16)는 상기 필터(13) 또는 자외선 램프(17, 51) 교체시 개폐되며, 상기 필터(13)는 길이가 긴 필터(13)가 접이 구조를 취하며, 주름을 통해 대면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출 유도판(15)에는 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배출구(12)로 유도하는 배출 유도날개(151)가 형성되어 팬의 배출공기가 배출구(12)로 배출되는 것을 용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13)의 전후방에는 자외선램프(17)가 설치되고, 상기 자외선램프(17)는 필터(13) 전단에서 100~280nm 파장의 자외선을 출력하여 살균하고, 필터(13) 후단에서 100~121nm 파장의 자외선을 출력하여 공기를 이온화해서 살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오염센서로 공기 오염이 심한 장소나 방향을 파악하고 정화기의 공기 흡입구나 배출구를 오염이 심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공기를 흡배출할 수 있어 오염이 심한 곳을 신속하게 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정화기를 다단으로 모듈식으로 설치할 수 있어 공기 오염의 정도에 따라 정화 용량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차압센서를 이용하여 필터 막힘을 감지하여 필터의 교환주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한 개폐가 가능한 덮개(16)를 구비하여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필터 전방과 후방에 자외선램프를 설치하여 자외선으로 필터 살균 및 공기 살균을 함으로써 공기 정화와 더불어 인체에 무해한 방법으로 공기 살균이 가능한 타워형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타워형 공기정화장치 및 이의 공기정화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세정수 정화유닛을 이용한 폐수 배출이 없는 백연 및 오염물질 제거용 스크러버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타워형 공기정화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타워형 공기정화장치의 회전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타워형 공기정화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층별 공기 순환 방향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공기정화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포함된 구성은 개별 또는 복합 결합 구성되어 동작한다.
공기정화장치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하고, 깨끗한 공기를 배출한다. 실내 또는 실외에 존재하는 오염된 공기의 오염 정도는 도 3과 같이, 오염센서(30)에 의해 측정되고, 오염 정도와 측정 위치가 공기정화장치에 전달되고, 공기정화장치는 도 4와 같이, 수신된 오염 정도와 측정 위치에 따라 흡입구(11) 또는 배출구(12)를 회전 위치시키고, 팬(14)을 구동하여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를 측정 위치로 배출한다. 공기정화장치는 외부에 설치된 순환팬(40)과 연동하여 공기 순환을 조절하고, 빌딩, 주차장, 로비와 같은 넓은 실내 공간에서 공기 순환을 통해 전체 실내에서 국부 오염을 해소한다.
공기정화장치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기(10)가 모듈식으로 다층으로 적층되고, 층별 정화기(10) 사이의 회전부(20)를 통해 정화기(10)가 회전하여 공기를 정화한다.
도 5와 같이 정화기(10)는 흡입구(11), 배출구(12), 필터(13), 팬(14), 덮개(16), 자외선 램프(17), 챔버(50), 챔버 자외선 램프(51), 격판(52), 배출 유도판(15)를 포함하고, 공기정화장치 주변에는 오염센서(30), 순환팬(40)이 구성된다. 공기정화장치는 회전부(20)를 제어하여 정화기의 흡입구(11) 또는 배출구(12)의 위치를 조절하고, 외부 순환팬(40)과 연동하여 공기 순환로를 형성한다. 공기 순환로는 대류 현상을 이용하며, 정화기 흡입구(11) 또는 배출구(12)의 방향이 층 사이에 쌍을 이룬다.
오염센서(30)는 넓은 실내 공간 또는 실외의 설치 위치에서 오염 정도를 측정하고, 공기정화장치로 오염 정도와 측정 위치를 전송해서 공기정화장치가 오염센서(30)로부터 수신된 오염 정도와 측정 위치에 따라 공기 정화 동작을 제어한다. 공기정화장치는 오염센서(30)의 정보를 이용하여 흡입구(11) 또는 배출구(12)의 위치를 제어하고, 외부 순환팬(40)과 연동하여 공기 순환로를 형성하고, 필터(13)와 팬(14)을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를 측정 위치로 배출한다.
또한, 공기정화장치는 오염센서(30)의 정보를 이용하여 정화기(10)의 팬(14)의 회전 속도나 외부 순환팬(40)의 회전 속도를 공기 오염정도에 따라 조절하여 단기간에 공기 오염을 제거하도록 한다.
공기정화장치는 정화기(10)가 다층을 이루고, 층별 정화기(10) 사이에 회전부(20)가 구성되어 회전부(20) 제어로 정화기(10)의 흡입구(11) 또는 배출구(12)의 위치가 조절되고, 정화기(10)는 오염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13); 필터(13)를 통한 공기 흡입 또는 배출구(12)의 공기 배출의 공기 순환을 발생하는 팬(14); 및 팬(14)을 통과한 공기의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 유도판(15);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 유도판(15)에는 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배출구(12)로 유도하는 배출 유도날개(151)가 형성되어 팬의 배출공기가 배출구(12)로 배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13)와 상기 팬(14) 사이에 챔버(50)가 형성되고 챔버(50)에 공기 살균을 위한 챔버 자외선 램프(51)가 추가될 수 있다. 여기서 챔버 자외선 램프(51)는 살균 효과가 높은 100~280nm 파장 또는 100~121nm 파장의 자외선을 출력하도록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정화기(10)는 필터(13) 대신에 자외선 램프(17)만 구비하도록 할 수 있고, 각층의 정화기(10)는 자외선 램프(17)만 구비한 정화기(10), 필터(13) 및 자외선 램프(17)를 구비한 정화기(10), 필터(13)와 자외선 램프(17)와 챔버 자외선 램프(51)를 구비한 정화기(10), 자외선 램프(17)와 챔버 자외선 램프(51)를 구비한 정화기(10)를 각 층별로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즉, 각층별로 필터(13), 자외선 램프(17), 챔버 자외선 램프(51)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도록 정화기(10)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램프(17)도 살균 효과가 높은 100~280nm 파장 또는 100~121nm 파장의 자외선을 출력하도록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필터(13)에 광촉매 처리를 하여 상기 자외선 램프(17)의 살균 효율을 높이고 탈취의 효과와 유기물분해 효과를 갖도록 하여 신선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램프(17)나 챔버 자외선 램프(51)에서 방출되는 소정 크기 이상의 광에너지가 광촉매에 조사되면 원자가전자대(Valence Band)의 전자가 전도대(Conduction Band)에 전이되어 전자(e - )와 정공(h- )이 생성된다. 이러한 전자와 정공은 매우 강한 산화력과 환원력을 가지고 있므므로 공기 중의 수증기(H2O)나 산소(O2 )등과 반응하여 OH라디칼, H라디칼, 슈퍼옥사이드엔아이온(O2-) 등의 활성산소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라디칼들은 다른 성분과 강한 결합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냄새물질의 결합을 파괴하게 되어 탈취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OH라디칼은 냄새를 유발하는 유기물의 결합을 깨고 직접 결합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수증기와 이산화탄소가 남게 되므로 냄새성분이 제거된다.
또한 OH라디칼은 미생물을 살균시키는 강한 산화력을 갖고 있으므로 살균작용을 하게 된다. 즉 알레르겐이나 미생물은 아미노산이 폴리펩티드결합한 단백질이 주성분이고, OH라디칼은 이러한 아미노산의 폴리펩티드결합을 파괴함으로써 단백질을 변성시킨다. 따라서 알레르겐이 분해되고, 미생물이 살균되게 되며, 또한 전자나 정공이 유기물과 직접 결합하여 유기물의 결합을 깨는 반응을 하면서 결국 수증기와 이산화탄소가 남게 되어 탈취작용을 하게 된다. 결국 광촉매를 이용하면 상기와 같은 원리로 살균, 탈취 및 알레르겐 분해작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필터(13)의 광촉매 처리는 산화티타늄 광촉매를 유기도료와 혼합한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며, 상기 필터(13)에 코팅된 산화티타늄(TiO2)의 자정 작용에 의해 재생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자외선 램프(17)나 챔버 자외선 램프(51)에서 발생하는 자외선광에 의해 밴드갭 에너지(bandgap energy) 이상의 빛에너지가 조사되어 광여기되면 히드록시 라디칼(hydroxyl radical)과 음이온 산소가 생성되고 이 히드록시 라디칼의 산화력에 의해 오염물질이 분해된다.
공기정화장치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특정 위치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오염센서(30)를 포함하고, 오염센서(30)는 측정된 오염 정도와 측정 위치를 공기정화장치로 전송한다. 공기정화장치는 외부 순환팬(40)을 포함하고, 순환팬(40)은 공기정화장치와 연동하여 공기순환로를 형성한다.
회전부(20)는 도 4와 같이, 상층의 정화기에 설치되는 고정축(21); 하층의 정화기에 설치되는 원통기어(22); 상층의 정화기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4);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톱니(23)를 포함한다.
상층의 정화기(10)에 설치되는 고정축(21)은 하측 정화기(10)에 설치되는 원통기어(22)의 삽입홈(25)에 설치되고, 이때 상기 구동 톱니(23)가 원통기어(22)의 원주방향 톱니와 맞물린다.
이후에 상층 정화기(10)의 구동모터(24)가 회전하면 구동 톱니(23)가 원통기어(22)의 원주방향 톱니와 맞물리어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원주 이동에 의하여 상층의 정화기(10)가 하층의 정화기(10)에 대하여 회전하게 되어 상층 정화기(10)의 흡입구(11) 또는 배출구(12)의 위치가 조절된다.
각 정화기(10)는 바람직하게는 흡입구(11)를 350도 회전시킨 후 다시 반대 방향으로 350도 회전시켜 요동 운동시키는 것이 각 정화기(10)의 구동모터나 팬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이 꼬이지 않게 처리하는 것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각층의 정화기(10)의 구동모터나 팬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은 기단(5)에 설치되고, 기단(5)으로부터 전력선이 상기 회전부의 고정축(21) 및 원통기어(22) 내부를 통해 각층의 정화기에 설치된 구동모터나 팬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각층의 정화기에 배터리를 설치하여 각층의 정화기에 설치된 구동모터나 팬을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회전부는 각층의 정화기를 필요에 따라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에도 각층의 정화기를 독립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공기정화장치의 정화기는 모든 층의 정화기(10)가 상기 회전부(20)없이 고정되게 설치되거나, 일 층의 정화기(10)만 회전부(20)에 의해 회전되고 나머지 층의 정화기(10)들은 회전부(20)없이 고정되거나, 층별로 어느 정화기(10)는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고 다른 정화기(10)는 고정되거나, 모든 층의 정화기(10)가 독립적으로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공기정화장치의 기단(5)에는 제어부(100)가 위치하여 각층의 정화기에 설치된 팬(14), 구동모터(24), 각종 센서, 자외선 램프와 근거리 통신방법으로 송수신하여 속도나 회전각 등을 제어한다.
덮개(16)는 필터(13) 또는 상기 자외선 램프(17)나 챔버 자외선 램프(51) 교체시 개폐되며, 필터(13)는 길이가 긴 필터(13)가 접이 구조를 취하며, 주름을 통해 대면적을 이룬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14)은 공기를 순환시키며, 팬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배출 유도판(15)의 배출유도날개(151)로 유도되어 외측의 배출구(12)로 배출된다.
필터(13)의 전방과 후방에는 자외선램프(17)가 설치되고, 필터 전방의 자외선램프(17)는 100~280nm 파장의 자외선을 출력하여 공기 및 필터를 살균하고, 필터(13) 후방의 자외선램프(17)는 100~121nm 파장의 자외선을 출력하여 공기를 이온화해서 살균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각 정화기에는 필터(13)의 막힘을 감지하는 차압센서가 설치되어 장기간 사용으로 필터가 막히게 되면 이를 제어부로 통지하여 정화기 자체에 설치되는 경보장치를 작동시키고 또한 관리서버나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통지한다.
본 발명에서 순환팬(40)은 천장이나 기둥에 설치될 수 있고, 일단 회전축을 이용하여 회전해서 공기정화장치와 연동하여 공기 순환로를 형성한다.
공기정화장치는 오염센서(30)의 오염 정도와 측정 위치에 따라 다층 정화기(10)의 층별 공기 순환 방향을 조절하고, 순환 공기량에 따라 팬 속도, 순환팬 속도를 조절한다. 다층 정화기(10)의 층별 공기 순환 방향(50)은 도 6과 같이, 대류 현상을 이용하고, 실내 또는 실외 넓은 공간에서 대류 순환을 통한 층별 공기 순환을 형성한다. 공기정화장치는 순환 공기량에 따라 팬 속도, 순환팬 속도를 조절해서 실내 또는 실외 공간에서 공기 정화 성능을 높인다.
공기정화장치는 빌딩, 대형 주차장, 로비, 지하철역, 지하상가 등의 실내 공간 또는 공기 흐름이 정체된 도시, 빌딩, 아파트 단지, 미세먼지 대피처 등의 실외에 설치되어 오염된 공기를 흡입해서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를 오염 위치로 배출하여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된 공간에서 깨끗한 공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정화기
11: 흡입구
12: 배출구
13: 필터
14: 팬
15: 유도구
16: 덮개
17: 자외선램프
20: 회전부
21: 고정축
22: 원형 톱니
23: 구동 톱니
30: 오염센서
40: 순환팬
50: 챔버
51: 챔버 자외선 램프
52: 격판

Claims (5)

  1. 정화기(10)가 모듈식으로 다층으로 적층되고,
    다층 중 적어도 하나의 정화기(10) 층 사이에 회전부(20)가 구성되어
    실내외 오염센서(30)의 오염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공기정화장치의 흡입구(11) 또는 배출구(12)의 방향을 제어하는 회전부(20)의 제어로 정화기(10)의 흡입구(11) 또는 배출구(12)의 위치가 조절되고,
    상기 정화기(10)는,
    오염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13) 또는 자외선 램프(17, 51) 중에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공기정화수단; 및
    상기 필터(13)를 통한 공기 흡입 또는 배출구(12)의 공기 배출의 공기 순환을 발생하는 팬(14); 을 포함하는 타워형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20)는,
    상층의 정화기에 설치되는 고정축(21);
    하층의 정화기에 설치되는 원통기어(22);
    상층의 정화기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4);
    상기 구동모터(24)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톱니(23)를 포함하고,
    상층의 정화기(10)에 설치되는 고정축(21)은 하층 정화기(10)에 설치되는 원통기어(22)의 삽입홈(25)에 설치되고, 이때 상기 구동 톱니(23)가 원통기어(22)의 원주방향 톱니와 맞물리며,
    상기 구동 톱니(23)를 회전시켜 상층의 정화기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여 상기 상층의 정화기(10)의 흡입구(11) 또는 배출구(12)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공기정화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덮개(16)는 상기 필터(13) 또는 자외선 램프(17, 51) 교체시 개폐되며,
    상기 필터(13)는 길이가 긴 필터(13)가 접이 구조를 취하며, 주름을 통해 대면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공기정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기(10)는 상기 팬(14)을 통과한 공기의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 유도판(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유도판(15)에는 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배출구(12)로 유도하는 배출 유도날개(151)가 형성되어 팬의 배출공기가 배출구(12)로 배출되는 것을 용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공기정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3)의 전후방에는 자외선램프(17)가 설치되고, 상기 자외선램프(17)는 필터(13) 전방에서 100~280nm 파장의 자외선을 출력하여 살균하고, 필터(13) 후방에서 100~121nm 파장의 자외선을 출력하여 공기를 이온화해서 살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공기정화장치.
KR1020200180381A 2020-09-10 2020-12-22 타워형 공기정화장치 KR1022552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15868 2020-09-10
KR1020200115868 2020-09-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203B1 true KR102255203B1 (ko) 2021-05-24

Family

ID=757433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872A KR102242495B1 (ko) 2020-09-10 2020-11-17 타워형 공기정화장치
KR1020200180381A KR102255203B1 (ko) 2020-09-10 2020-12-22 타워형 공기정화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872A KR102242495B1 (ko) 2020-09-10 2020-11-17 타워형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424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6137A (ko) * 2011-06-08 2012-12-1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
KR101535247B1 (ko) 2013-10-16 2015-07-30 운해이엔씨(주) 세정수 정화유닛을 이용한 폐수 배출이 없는 백연 및 오염물질 제거용 스크러버
KR20160097816A (ko) * 2015-02-10 2016-08-18 브이케이테크(주) 공기살균정화장치
KR102060432B1 (ko) 2019-03-10 2019-12-30 김현민 타워형 공기정화장치 및 이의 공기정화 방법
KR20200012332A (ko) * 2018-07-27 2020-02-05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모듈형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7835A (ja) * 2009-03-27 2010-10-14 Panasonic Corp 室内用集塵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101144601B1 (ko) * 2010-03-16 2012-05-14 (주) 리드제넥스 금속산화물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용 유닛
KR20200032875A (ko) *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에이큐케이 실시간 실내 공기 케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6137A (ko) * 2011-06-08 2012-12-1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
KR101535247B1 (ko) 2013-10-16 2015-07-30 운해이엔씨(주) 세정수 정화유닛을 이용한 폐수 배출이 없는 백연 및 오염물질 제거용 스크러버
KR20160097816A (ko) * 2015-02-10 2016-08-18 브이케이테크(주) 공기살균정화장치
KR20200012332A (ko) * 2018-07-27 2020-02-05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모듈형 공기청정기
KR102060432B1 (ko) 2019-03-10 2019-12-30 김현민 타워형 공기정화장치 및 이의 공기정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495B1 (ko) 202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5362B2 (en) High intensity air purifier
KR102160799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출입관리 시스템
KR102191144B1 (ko) 미세먼지제거, 세균 및 바이러스 살균, 습도조절, 산소 및 음이온 발생 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공기정화장치
JP3769595B2 (ja) 殺菌・脱臭手段を備えた空調装置
JP3924589B2 (ja) 空気清浄機
JP3516380B2 (ja) 空気清浄装置
JP3091733B2 (ja) 殺菌脱臭装置
CN211650569U (zh) 一种壁挂式空气消毒器
JP2006198142A (ja) 脱臭装置
CN112594842A (zh) 基于过滤、杀菌和催化多元化组合的空气净化方法及装置
CN211514085U (zh) 一种负离子光触媒空气净化装置
JP2008228597A (ja) 感染防止隔離装置
CN2621047Y (zh) 空气消毒净化器
KR102255203B1 (ko) 타워형 공기정화장치
JP2008183326A (ja) 脱臭装置
CN101204591A (zh) 一种室内空气污染快速治理装置
KR200357824Y1 (ko) 공기살균기
KR20030027362A (ko) 공기정화기
KR20050020065A (ko) 공기정화기
KR20230114761A (ko) 자외선 공기살균기
KR20050035921A (ko) 공기 정화 살균 방법과 장치
KR20210130878A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KR200262735Y1 (ko) 공기정화기
KR200353057Y1 (ko) 공기조화기용 살균 탈취 소독 장치 및 이 장치가 설치된공기조화기
JP7406855B2 (ja) 空気清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