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972B1 - 슈퍼칠링 물품 운송시스템 - Google Patents

슈퍼칠링 물품 운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972B1
KR102106972B1 KR1020190152838A KR20190152838A KR102106972B1 KR 102106972 B1 KR102106972 B1 KR 102106972B1 KR 1020190152838 A KR1020190152838 A KR 1020190152838A KR 20190152838 A KR20190152838 A KR 20190152838A KR 102106972 B1 KR102106972 B1 KR 102106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voltage
storage space
voltage transformer
refrigerant
col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수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로지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로지스
Priority to KR1020190152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03Transport cont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3Air curtain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6L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퍼칠링 물품 운송시스템은 최소한 하나 이상의 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선반에 물품을 보관하여 운송할 수 있는 보관공간;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내부에 상기 보관공간을 구성하는 벽체부; 상기 보관공간에 냉기를 제공하는 냉기제공부; 상기 벽체부의 외벽에 형성되며, 상기 보관공간의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이 얼지 않는 과냉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전압의 전원을 생성하는 고전압트랜스; 상기 고전압트랜스에서 생성된 고전압의 전원을 상기 물품이 보관된 보관공간에 전달하는 고전압 출력케이블; 및 상기 벽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전압트랜스에 의하여 제공되는 고전압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차폐처리하는 차폐처리부; 상기 벽체부에 형성되는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가 오픈되었을 때 외기가 상기 보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에어커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슈퍼칠링 물품 운송시스템 {SUPERCHILLING PRODUCTS DELIVERY SYSTEM}
본 발명은 슈퍼칠링 물품 운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공간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이 얼지 않고 과냉각 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해서, 고전압의 전원을 제공하여 물품을 과냉각 상태로 운송하는 슈퍼칠링 물품 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냉각(슈퍼칠링, SUPERCHILLING)이란, 용융체 또는 고체가 평형상태에서의 상전이 온도 이하까지 냉각되어도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현상을 의미한다. 물질에는 각각 그때의 온도에 따른 안정상태가 있어서, 온도를 서서히 변화시켜 가면 이에 따라 그 물질의 구성원자가 각 온도에서 안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온도의 변화를 따라갈 수가 있다. 그러나 온도가 갑자기 변하면 구성원자가 각 온도에 따른 안정상태로 변화할 만한 여유가 없기 때문에, 출발점 온도에서의 안정 상태를 그대로 지니거나, 또는 일부분이 종점 온도에서의 상태로 변화하다가 마는 현상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물을 서서히 냉각하면, 0℃ 이하의 온도가 되어도 일시적으로 응고하지 않는다. 그러나, 물체가 과냉각상태로 되면 일종의 준안정 상태가 되어, 사소한 자극에 의해서도 그 불안정한 평형상태가 깨져서 보다 안정된 상태로 옮아가기 쉽다. 즉, 과냉각된 액체에 그 물질의 작은 조각을 투입하거나, 액체를 갑자기 흔들면 즉시 응고하기 시작하여 액체의 온도가 응고점까지 올라가고, 그 온도에서 안정된 평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채소류나, 과일류 및 육류 등이나 식음료 등의 식품을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여, 신선함을 유지하고 있다. 이럴 경우, 이들 식품은 물과 같은 액체 성분을 포함하게 되며, 이 액체 성분이 상전이 온도 이하에서 냉각되면, 어느 순간이 지나면 고체 성분으로 전이가 이루어진다.
물과 같은 수납물을 단시간 동안 과냉각 상태로 보전할 수는 있으나, 수분이 함유된 식품에서 수분이 동결되는 경우 식품의 질 식품의 장기 보관 면에서 과냉각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2003-0038999에서는 냉장고를 개시하고 있으며, 냉장고의 본체는 냉동실, 냉장실, 냉장실의 하부에 형성되는 특선실, 냉동실 및 냉장실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각각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냉동실 도어 및 냉장실 도어를 구비한다.
특선실은 어육류 등 부패하기 쉬운 식품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어육류 등을 냉동실에 보관하는 경우, 조리 시에 냉동된 식품을 해동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공간이다.
그러나 종래의 냉장고가 구비하는 특선실은 냉장실에 비해서 낮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으나, 냉동실에 비해서 높은 온도이므로, 어육류 등을 장기간 보관하고 운송하기에는 부적절했다. 따라서, 어육류를 십수시간 이상 보관하고 운송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냉동실을 이용해야 하므로, 여전히 해동에 따른 불편이 있었다.
대한민국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3899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공간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이 얼지 않고 과냉각 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해서, 고전압의 전원을 제공하여 물품을 과냉각 상태로 운송하는 슈퍼칠링 물품 운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퍼칠링 물품 운송시스템은 최소한 하나 이상의 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선반에 물품을 보관하여 운송할 수 있는 보관공간;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내부에 상기 보관공간을 구성하는 벽체부; 상기 보관공간에 냉기를 제공하는 냉기제공부; 상기 벽체부의 외벽에 형성되며, 상기 보관공간의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이 얼지 않는 과냉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전압의 전원을 생성하는 고전압트랜스; 상기 고전압트랜스에서 생성된 고전압의 전원을 상기 물품이 보관된 보관공간에 전달하는 고전압 출력케이블; 및 상기 벽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전압트랜스에 의하여 제공되는 고전압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차폐처리하는 차폐처리부; 상기 벽체부에 형성되는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가 오픈되었을 때 외기가 상기 보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에어커튼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냉기제공부는, 냉매가 순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냉매배관 및 냉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냉각기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전압트랜스에서 생성되는 고전압은 600V 내지 7,000V의 교류 전압이고, 상기 고전압트랜스에서 출력되는 전류값은 1 내지 5mA이며, 상기 고전압트랜스는 과부하 또는 과전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회로 및 상기 도어부가 열리는 경우에는, 상기 고전압트랜스에서 생성되는 고전압을 차단하는 안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제공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고전압트랜스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220V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220V의 전원을 공급받아 110V로 전압을 하강시킨 후에 사용하며, 상기 냉기제공부는, 상기 냉매의 열을 흡수하여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저온저압 상태의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 및 기체상태의 냉매로 압축시키는 냉매압축기 및 상기 냉매압축기를 통과한 고온고압 및 기체상태의 냉매로부터 열을 내보내고 액체상태로 응축시키는 응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부는 복합재료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합재료 시트는 캐리어 필름, 매트릭스 수지 도포층, 강화섬유층을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형성한 뒤 가열 및 가압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부는 샌드위치 패널 구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샌드위치 패널 구성물은 샌드위치 패널 및 상기 샌드위치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된 비구조용 바닥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부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은 기재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상기 기재수지에 도입된 말레인산무수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부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10 내지 20 중량부; 무기필러 10 내지 30 중량부; 및 폴리올레핀에 분산된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수지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공간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이 얼지 않고 과냉각 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해서, 고전압의 전원을 제공하여 물품을 과냉각 상태로 운송하는 슈퍼칠링 물품 운송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물품 운송시스템의 외부를 앞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물품 운송시스템의 외부를 뒤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물품 운송시스템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물품 운송시스템의 벽체부의 구성에 대한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의한 물품 운송시스템의 벽체부의 구성에 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물품 운송시스템의 외부를 앞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물품 운송시스템의 외부를 뒤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물품 운송시스템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퍼칠링 물품 운송시스템은 최소한 하나 이상의 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선반에 물품을 보관하여 운송할 수 있는 보관공간,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내부에 상기 보관공간을 구성하는 벽체부를 포함한다.
보관공간 내부의 선반은 물품을 보관하는 곳으로서, 후술하는 냉기제공부로부터 냉기를 제공받아 물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곳이다. 물품은 육류, 어류 및 채소등과 같이 냉장을 요하는 신선제품에 적합하며, 특히 활어를 필렛 형태로 가공하여 보관하는 경우에 최적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슈퍼칠링 물품 운송시스템은 상기 보관공간에 냉기를 제공하는 냉기제공부를 포함한다. 냉기제공부는 냉매가 순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냉매배관 및 냉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냉각기팬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슈퍼칠링 물품 운송시스템은 상기 벽체부의 외벽에 형성되며, 상기 보관공간의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이 얼지 않는 과냉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전압의 전원을 생성하는 고전압트랜스, 상기 고전압트랜스에서 생성된 고전압의 전원을 상기 물품이 보관된 보관공간에 전달하는 고전압 출력케이블 및 상기 벽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전압트랜스에 의하여 제공되는 고전압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차폐처리하는 차폐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전압트랜스에서 생성되는 고전압은 600V 내지 7,000V의 교류 전압이고, 상기 고전압트랜스에서 출력되는 전류값은 1 내지 5mA이며, 상기 고전압트랜스는 과부하 또는 과전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회로를 더 포함한다.
고전압트랜스는 수납공간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이 얼지 않고 과냉각상태로 유지되게 하기 위해서, 고전압의 교류 전원을 제공한다. 이 때 출력 전류값은 2.5mA인 것이 바람직하며, 주파수는 60Hz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원값은 수납공간 내부에 고주파 전원을 공급하게 되어 수납공간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 특히 육류, 어류, 채소 및 필렛과 같은 신선제품이 포함하고 있는 내부의 수분이 얼지 않고 계속해서 분자운동을 하게 만들어 최종적으로 물품이 얼지않고 과냉각 상태를 유지하여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고전압트랜스에서 생성된 전원은 고전압 출력케이블을 통하여 수납공간까지 고전압의 전원을 제공하게 되며, 이러한 고전압이 물품 보관 시스템의 외부로 유출되면 사용자에게 위험을 줄 수 있으므로, 물품 보관 시스템 전체를 고전압을 차폐할 수 있는 차폐처리부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차폐처리부는 벽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슈퍼칠링 물품 운송시스템은 상기 벽체부에 형성되는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가 오픈되었을 때 외기가 상기 보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에어커튼부를 포함한다.
도어부가 열리는 경우에는, 상기 고전압트랜스에서 생성되는 고전압을 차단하는 안전장치를 더 포함한다. 도어가 열리면 내부의 고전압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위험을 미리 방지하기 위해서, 도어부가 열리는 것을 감지하여 도어부가 열리기 전 또는 최소한 도어가 열림과 동시에 고전압을 차단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다. 이 때, 도어가 열리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기제공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고전압트랜스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220V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220V의 전원을 공급받아 110V로 전압을 하강시킨 후에 사용하며, 상기 냉기제공부는, 상기 냉매의 열을 흡수하여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저온저압 상태의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 및 기체상태의 냉매로 압축시키는 냉매압축기 및 상기 냉매압축기를 통과한 고온고압 및 기체상태의 냉매로부터 열을 내보내고 액체상태로 응축시키는 응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 모두 기존의 설비를 이용하기 위하여 상용전압인 220V를 제공받는 것은 동일하지만, 제2 제어부의 경우 고전압트랜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220V의 전원을 110V로 하강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때 제1 제어부와 제2 제어부는 하나의 제어부로 구성할 수 있으나, 하나의 제어부 내에서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분리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물품 운송시스템의 벽체부의 구성에 대한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의한 물품 운송시스템의 벽체부의 구성에 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벽체부의 구성이 특정 물질 또는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물품 운송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운송시스템에 최적화된 벽체부의 구성을 4개의 실시예로 제시하였으며, 각각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1
벽체부는 복합재료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합재료 시트는 캐리어 필름, 매트릭스 수지 도포층, 강화섬유층을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형성한 뒤 가열 및 가압하여 형성한다.
상기 가열 및 가압에 의하여 상기 매트상기 가열 및 가압에 의하여 상기 매트릭스 수지 도포층의 반응성 또는 흐름성이 조절되어 상기 캐리어 필름의 반대면에 위치한 상기 강화섬유층의 수직 구조 중 일부까지만 매트릭스 수지의 함침이 일어나고 그 외의 영역은 매트릭스 수지에 의한 함침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상기 강화섬유층이 매트릭스 수지 함침 영역과 상기 매트릭스 수지 함침 영역 외의 상부에 매트릭스 수지 비함침 영역의 2중층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매트릭스 수지 함침 영역은 강화섬유층 외부 또는 강화섬유층 사이의 매트릭스 수지층, 매트릭스 수지가 완전히 함침된 강화섬유층 및 최상층 강화섬유층의 매트릭스 수지 함침부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트릭스 수지는 고분자 수지 단량체를 고분자 중합 촉매와 함께 분말 상태로 상기 캐리어 필름에 도포한 뒤 가열 및 가압에 의해 중합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강화섬유층과 일체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강화섬유는 상기 캐리어 필름의 일측에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매트릭스 수지는 상기 복수의 강화섬유층 최하부에 도포하거나 상기 복수의 강화섬유층 사이에 각각 도포되며, 상기 매트릭스 수지 도포층을 최상부의 강화섬유를 기준으로 하부면 방향으로만 산포시킨 상태에서 가열 및 가압하여 최상부의 강화섬유층의 소정 깊이까지만 용융 또는 중합되어 함침되고 상기 최상부의 강화섬유층의 반대편 표면에 해당하는 상부면까지는 함침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분자 수지 단량체는 열가소성 고분자의 단량체 및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분말 상태의 수지로서 가열 처리에 의해 상기 분말이 용융되어 상기 강화섬유에 함침되도록 한 후 열중합되는 방법에 의해 상기 최상층 강화섬유층의 하부면 방향에 수지 함침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2
상기 벽체부는 샌드위치 패널 구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샌드위치 패널 구성물은 샌드위치 패널 및 상기 샌드위치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된 비구조용 바닥재로 구성된다.
상기 샌드위치 패널은, 발포체 층, 상기 발포체 층의 양면에 적층된 하니콤 구조체 층, 상기 하니콤 구조체 층상에 적층된 섬유강화 복합재료 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발포체 층과 하니콤 구조체 층 사이, 상기 하니콤 구조체 층과 섬유강화 복합재료 층 사이 및 상기 샌드위치 패널을 구성하는 섬유강화 복합재료 층과 비구조용 바닥재 사이 모두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섬유강화 복합재료 층은 시트 형태로서,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케톤, 카프로락탐 및 싸이클릭 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강화섬유에 도포, 함침 및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되며, 상기 발포체는 밀도가 20~200kg/㎥이고, 상기 하니콤 구조체는 압축강도가 2.0 내지 3.0Mpa이고, 밀도가 50 내지 150kg/㎥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3
상기 벽체부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은 기재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상기 기재수지에 도입된 말레인산무수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단독 또는 폴리아미드계와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혼련물을 포함하는 기재 수지, 상기 기재 수지에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상기 아크릴산과 상기 메타크릴산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기능성 단량체,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중합개시제를 흡수시킨 후 중합시켜 얻어진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상기 기재 수지에 도입된 말레인산무수물을 포함하며, 상기 기재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4.0 내지 63.2 중량부가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4
상기 벽체부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10 내지 20 중량부; 무기필러 10 내지 30 중량부; 및 폴리올레핀에 분산된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수지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레올레핀에 분산된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수지는, 폴리올레핀에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극성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중합개시제를 흡수시킨 후 중합시켜 얻어진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 또는 에틸렌/프로필렌/α-올레핀 터폴리머이거나 용융지수가 20 내지 40g/10분(2.16kg, 230℃)인 프포필렌/에틸렌 블록 코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 삼원 공중합체 고무 또는 에틸렌-옥텐 코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보관공간
11 : 선반
20 : 벽체부
21 : 매트릭스 수지 함침부
22 : 강화섬유층 외부 또는 강화섬유층 사이의 매트릭스 수지층
23 : 매트릭스 수지가 완전히 함침된 강화섬유층
24 : 최상층 강화섬유층의 맥트릭스 수지 함침부
25 : 매트릭스 수지 비함침부
26 : 발포체 층
27 : 하니콤 구조체 층
28 : 섬유강화 복합재료 층
29 : 비구조용 바닥재
30 : 접착층
40 : 냉기제공부
50 : 고전압 트랜스
60 : 고전압 출력케이블
70 : 차폐처리부
80 : 도어부
90 : 에어커튼부
100 : 슈퍼칠링 물품 운송시스템

Claims (7)

  1. 최소한 하나 이상의 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선반에 물품을 보관하여 운송할 수 있는 보관공간;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내부에 상기 보관공간을 구성하는 벽체부;
    상기 보관공간에 냉기를 제공하는 냉기제공부;
    상기 벽체부의 외벽에 형성되며, 상기 보관공간의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이 얼지 않는 과냉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전압의 전원을 생성하는 고전압트랜스;
    상기 고전압트랜스에서 생성된 고전압의 전원을 상기 물품이 보관된 보관공간에 전달하는 고전압 출력케이블;및
    상기 벽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전압트랜스에 의하여 제공되는 고전압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차폐처리하는 차폐처리부;
    상기 벽체부에 형성되는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가 오픈되었을 때 외기가 상기 보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에어커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기제공부는,
    냉매가 순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냉매배관 및
    냉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냉각기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전압트랜스에서 생성되는 고전압은 600V 내지 7,000V의 교류 전압이고,
    상기 고전압트랜스에서 출력되는 전류값은 1 내지 5mA이며,
    상기 고전압트랜스는 과부하 또는 과전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회로 및
    상기 도어부가 열리는 경우에는, 상기 고전압트랜스에서 생성되는 고전압을 차단하는 안전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기제공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고전압트랜스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220V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220V의 전원을 공급받아 110V로 전압을 하강시킨 후에 사용하며,
    상기 냉기제공부는,
    상기 냉매의 열을 흡수하여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저온저압 상태의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 및 기체상태의 냉매로 압축시키는 냉매압축기 및
    상기 냉매압축기를 통과한 고온고압 및 기체상태의 냉매로부터 열을 내보내고 액체상태로 응축시키는 응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칠링 물품 운송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는 복합재료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합재료 시트는
    캐리어 필름, 매트릭스 수지 도포층, 강화섬유층을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형성한 뒤 가열 및 가압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칠링 물품 운송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는 샌드위치 패널 구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샌드위치 패널 구성물은
    샌드위치 패널 및 상기 샌드위치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된 비구조용 바닥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칠링 물품 운송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은
    기재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상기 기재수지에 도입된 말레인산무수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칠링 물품 운송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10 내지 20 중량부;
    무기필러 10 내지 30 중량부; 및
    폴리올레핀에 분산된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수지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칠링 물품 운송시스템.
KR1020190152838A 2019-11-26 2019-11-26 슈퍼칠링 물품 운송시스템 KR102106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838A KR102106972B1 (ko) 2019-11-26 2019-11-26 슈퍼칠링 물품 운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838A KR102106972B1 (ko) 2019-11-26 2019-11-26 슈퍼칠링 물품 운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972B1 true KR102106972B1 (ko) 2020-05-06

Family

ID=70737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838A KR102106972B1 (ko) 2019-11-26 2019-11-26 슈퍼칠링 물품 운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97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150A (ko) * 1998-07-30 2000-02-15 구자홍 냉장고의 전원제어장치
KR20000034726A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홈바룸의 에어커튼 장치
KR20030038999A (ko) 2001-11-09 2003-05-1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
KR20100082259A (ko) * 2009-01-08 201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냉각 시스템
KR20120063623A (ko) * 2010-12-08 2012-06-18 (주)선일금속 대형 냉동 냉장고
KR20150090068A (ko) * 2012-11-28 2015-08-05 리켄 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조 디자인을 가지는 물품
KR20190012417A (ko) * 2017-07-27 2019-02-11 주식회사 엑시아머티리얼스 수지 결합을 통한 비대칭 복합재료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비대칭 복합재료 시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150A (ko) * 1998-07-30 2000-02-15 구자홍 냉장고의 전원제어장치
KR20000034726A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홈바룸의 에어커튼 장치
KR20030038999A (ko) 2001-11-09 2003-05-1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
KR20100082259A (ko) * 2009-01-08 201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냉각 시스템
KR20120063623A (ko) * 2010-12-08 2012-06-18 (주)선일금속 대형 냉동 냉장고
KR20150090068A (ko) * 2012-11-28 2015-08-05 리켄 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조 디자인을 가지는 물품
KR20190012417A (ko) * 2017-07-27 2019-02-11 주식회사 엑시아머티리얼스 수지 결합을 통한 비대칭 복합재료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비대칭 복합재료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8810B2 (en) Eco-friendly ice pack to be easily separated and discharged
US7297384B2 (en) Metallized heat resistant material with thermal barrier
CN106813440B (zh) 冰箱
KR101389531B1 (ko) 열전소자가 적용된 농식품 수배송 장치
CN105546905A (zh) 冷藏冷冻装置及其冷冻方法
KR102106972B1 (ko) 슈퍼칠링 물품 운송시스템
CN109282543A (zh) 冷却系统溢流防止工具
JP4879209B2 (ja) 冷蔵庫
JP2012021691A (ja) 冷蔵庫
US20080032077A1 (en) Metallized heat resistant material with thermal barrier
KR200396806Y1 (ko) 보냉백
JP2007278647A (ja) 冷却貯蔵庫
WO2020046884A1 (en) Modified dry ice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rving perishable items within a single holding volume
CN103692950A (zh) 盘管蒸发式移动冷柜
WO2007042162A1 (en) Refrigerator vehicle and process for distributing food products
CN212057863U (zh) 一种冷冻食品冷藏转运箱
KR102142706B1 (ko) 신선제품 운송을 위한 슈퍼칠링 물품 보관시스템
KR101411601B1 (ko) 식료품용 아이스 팩
US9915466B1 (en) Cold compartment temperature stabilization in refrigerators and freezers
CN108700362A (zh) 具有辐射供热装置的制冷器具
CN103738608A (zh) 风冷式移动冷柜
KR102111549B1 (ko) 진공단열패널을 활용한 컨테이너
KR102511239B1 (ko) 냉장고
US20240142165A1 (en) Appliance mounting system
CN210197817U (zh) 一种具有减震防护功能的便携式冷藏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