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786B1 - Fireproof screen shutter - Google Patents

Fireproof screen shut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786B1
KR102106786B1 KR1020180094345A KR20180094345A KR102106786B1 KR 102106786 B1 KR102106786 B1 KR 102106786B1 KR 1020180094345 A KR1020180094345 A KR 1020180094345A KR 20180094345 A KR20180094345 A KR 20180094345A KR 102106786 B1 KR102106786 B1 KR 102106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mergency door
door
exit
mai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3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18924A (en
Inventor
위종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일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일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일기업
Priority to KR1020180094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786B1/en
Publication of KR20200018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9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7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는, 비상구가 형성되는 메인 스크린; 상기 비상구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에 결합되어 상기 비상구를 차단하는 제1 비상문; 상기 메인 스크린의 일면에 마련되되 상기 비상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비상구 및 상기 제1 비상문을 덮는 제2 비상문; 및 상기 메인 스크린의 타면에 마련되되 상기 비상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비상구 및 상기 제1 비상문을 덮는 제3 비상문; 을 포함할 수 있다.Fire screen shu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creen is formed emergency exit; A first emergency door coupled to the emergency exit on the left or right side to block the emergency exit; A second emergency doo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screen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mergency exit door to cover the emergency exit door and the first emergency exit door; And a third emergency door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screen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mergency exit to cover the emergency exit and the first emergency door. It may include.

Description

방화 스크린 셔터{FIREPROOF SCREEN SHUTTER}Fireproof screen shutter {FIREPROOF SCREEN SHUTTER}

본 발명은 방화 스크린 셔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 스크린과 비상문 사이로 화기 또는 연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화 스크린 셔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screen shut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 screen shutter that can prevent fire or smoke from leaking between the fire screen and the emergency door.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의 방화 스크린 셔터는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작동되어 화재 현장을 폐쇄하여 화재 현장과 안전 지역과 분리함으로써 건물의 연소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In general, a fire screen shutter inside a building is automatically operated in the event of a fire to close the fire site and separate it from the fire site and the safety area to prevent combustion and spread of the building.

한편, 방화 스크린에는 비상구가 설치되고, 비상구를 개폐하기 위한 비상문이 설치된다. 비상문은 방화 스크린에 의해 폐쇄된 화재 현장에서 대피 공간으로 미처 피하지 못한 사람들이 화재 현장으로부터 안전 지역으로 안전하게 빠져 나오도록 하기 위한 것임과 동시에 사람이 대피한 후에는 비상문은 재빠르게 닫혀야 하고, 화재시, 비상문은 닫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Meanwhile, an emergency exit is installed on the fire screen, and an emergency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mergency exit is installed. The emergency doors are intended to ensure that those who have not escaped from the fire site closed by the fire screen to the evacuation area safely escape from the fire site to the safe area, and at the same time, the emergency doors must be closed quickly after a person evacuates. In case of fire, the emergency door must be kept closed.

그러나, 종래 방화 스크린의 경우에는 화재시 발생한 열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방화 스크린 또는 비상문에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방화 스크린 또는 비상문에 출렁거림 또는 비틀림이 발생되거나 비상문과 방화 스크린의 틈새가 벌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필요 시에 비상문이 느리게 닫히거나 완벽하게 닫히지 못하여서 비상문과 방화 스크린 사이로 연기, 유독가스, 화염 등이 새어 나와 사람들의 대피 공간으로 퍼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fire screen, since the air heated by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fire exerts pressure on the fire screen or the emergency door, the fire screen or the emergency door may be swaying or twisting, or the gap between the emergency door and the fire screen may open. Because of th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smoke, toxic gases, flames, etc. leak out between the emergency door and the fire screen, and spread to the evacuation space of people because the emergency door is closed slowly or not completely closed when necessar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상문을 무거운 소재로 사용하거나 방화 스크린과 비상문의 하단에 무게를 달아 잘 닫히도록 함과 동시에 방화 스크린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emergency door is used as a heavy material or weight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fire screen and the emergency door to close it well,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no gap between the fire screen.

그러나, 비상문을 무겁게 하면 잘 닫히거나 방화 스크린과의 틈이 발생하지 않을 수는 있지만, 비상문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 짐에 따라서 사람들이 화재 발생시 피난 방향으로 쉽게 밀고 나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f the emergency door is heavy, it may not close well or a gap with the fire screen may occur, but as the weight of the emergency door itself becomes heavy, it is difficult for people to easily push in the evacuation direction when a fire occurs.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38994호 (발명의 명칭: 방화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방화 스크린 셔터, 등록일: 2016.07.06.)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related prior art documents include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38994 (Invention name: Fire Screen and Fire Screen Shutter using the same) , Registration date: 2016.07.06.)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문의 닫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고, 비상문과 메인 스크린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방화 스크린셔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retardant screen shutter capable of continuously maintaining the closed state of the emergency door and preventing a gap between the emergency door and the main scree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비상구가 형성되는 메인 스크린; 상기 비상구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에 결합되어 상기 비상구를 차단하는 제1 비상문; 상기 메인 스크린의 일면에 마련되되 상기 비상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비상구 및 상기 제1 비상문을 덮는 제2 비상문; 및 상기 메인 스크린의 타면에 마련되되 상기 비상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비상구 및 상기 제1 비상문을 덮는 제3 비상문; 을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셔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above object i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creen is formed emergency exit; A first emergency door coupled to the emergency exit on the left or right side to block the emergency exit; A second emergency doo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screen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mergency exit door to cover the emergency exit door and the first emergency exit door; And a third emergency door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screen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mergency exit to cover the emergency exit and the first emergency door. It can be achieved by a fire screen shutter comprising a.

상기 비상구의 상측에는 상기 비상구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비상구의 상부에 마련되며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고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재를 통과하여 관통한 후에 상기 제1 비상문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비상문의 열림 상태 또는 닫힘 상태에 따라 길이가 신축되는 연결와이어; 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upper side of the emergency exit, an opening / clos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mergency exit is provided, and the opening / closing unit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emergency exit, and a support member formed inside is hollow;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emergency door after passing through the support member is connected to the length of the extension wire according to the open or closed state of the first emergency door; It may include.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하거나 덮는 고정부재가 상기 비상구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메인 스크린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A fixing member for fixing or covering the support member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emergency exit, and the fixing member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in screen.

상기 연결와이어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끝단이 꺾여서 상기 지지부재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wire may be fixed by being hooked to the support member by bending the end through the support member.

상기 제1 비상문은 상기 비상구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결합되는 좌측 제1 비상문 및 우측 제1 비상문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좌측 제1 비상문 및 상기 우측 제1 비상문의 상부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좌측 제1 비상문의 상부에 마련된 상기 개폐부 또는 상기 연결와이어는 상기 우측 제1 비상문과 연결되고, 상기 우측 제1 비상문의 상부에 마련된 상기 개폐부 또는 상기 연결와이어는 상기 좌측 제1 비상문과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emergency door includes a left first emergency door and a right first emergency door that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mergency exi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s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respectively. It is provided, and the opening or closing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emergency door on the left is connected to the first emergency door on the right side, and the opening or closing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emergency door on the right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emergency door on the left side. Can be connected.

상기 연결와이어 중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코일 스프링 형태로 감겨 있거나 코일 스프링 일 수 있다. A portion of the connection wire located inside the support member may be wound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or may be a coil spring.

상기 좌측 제1 비상문 및 상기 우측 제1 지상문의 모서리부에는 상기 연결와이어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고리부가 마련되고, 상기 고리부에는 금속 재질의 보강부가 마련될 수 있다. A corner portion of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and the right first ground door may be provided with a ring portion to which one end of the connecting wire is connected, and a metal reinforcement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ring portion.

상기 좌측 제1 비상문 및 상기 우측 제1 비상문의 폭방향 양단 중 어느 일단은 상기 비상구의 폭 방향 가운데 지점에서 서로 맞닿고, 상기 좌측 제1 비상문 및 상기 우측 제1 비상문의 폭방향 양단 중 타단은 상기 비상구의 폭방향 좌우양단을 지나서 상기 메인 스크린과 결합될 수 있다.Either end of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and both ends of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abuts each other at a point in the middl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emergency exit, and the other end of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has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Can be combined with the main screen across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emergency exit.

상기 메인 스크린과 상기 제2 비상문 및 상기 메인 스크린과 상기 제3 비상문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 스크린의 하단부, 상기 제1 비상문의 하단부 및 상기 제3 비상문의 하단부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At least each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screen, the lower end of the first emergency door and the lower end of the third emergency door to prevent a gap between the main screen and the second emergency door and the main screen and the third emergency door from occurring. One or more binding members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방화 스크린 셔터는, 비상구를 차단하는 비상문을 제1 비상문, 제2 비상문 및 제3 비상문의 3중으로 구성함에 따라 비상구와 메인 스크린 또는 비상문과 메인 스크린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재 현장에서 피난 방향 쪽으로 화기나 연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re screen shu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emergency door blocking the emergency exit is composed of a triple of the first emergency door, the second emergency door, and the third emergency door so that a gap does not occur between the emergency exit and the main screen or the emergency door and the main screen.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fire or smoke from escaping from the fire site toward the evacuation dir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방화 스크린 셔터의 제1 비상문, 제2 비상문 및 제3 비상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 에 도시한 제2 비상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2 비상문을 제거하고 제1 비상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제2 비상문을 제거하고 제1 비상문 및 제3 비상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방화 스크린 셔터의 저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screen shu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emergency door, the second emergency door, and the third emergency door of the fire screen shutter shown in FIG. 1 are opened.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emergency door shown in FIG. 1 is opene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emergency door shown in FIG. 3 is removed and the first emergency door is opened.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emergency door and the third emergency door are removed after removing the second emergency door shown in FIG. 3.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e screen shutter shown in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It is noted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not drawn to scale. The relative dimensions and proportions of the parts in the figures are shown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drawings, and any dimension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not limiting.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similar features in the same structures, elements, or parts appearing in two or more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represent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rawings are expected. Therefore,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form of the illustrated area, and includes, for example, modification of the form by manufactur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100)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fire screen shut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100)는 비상구(114)가 형성되는 메인 스크린(110), 비상구(114)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에 결합되어 비상구(114)를 차단하는 제1 비상문(130); 메인 스크린(110)의 일면에 마련되되 비상구(114)의 상부에 결합되어 비상구(114) 및 제1 비상문(130)을 덮는 제2 비상문(120); 및 메인 스크린(110)의 타면에 마련되되 비상구(114)의 상부에 결합되어 비상구(114) 및 제1 비상문(130)을 덮는 제3 비상문(140)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6, the fire screen shut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main screen 110 and the emergency exit 114 on which the emergency exit 114 is formed. A first emergency door 130 blocking 114; A second emergency door 120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screen 110 an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mergency exit 114 to cover the emergency exit 114 and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And a third emergency door 140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screen 110 an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mergency exit 114 to cover the emergency exit 114 and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스크린(110)은 건물 등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화재 지역을 차단하여 화기, 연기 등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1 to 5, the main screen 110 is installed in a building or the like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smoke, etc. by blocking the fire area when a fire occurs.

메인 스크린(110)의 상단은 샤프트(112)에 연결되어 있고, 샤프트(112)가 회전함에 따라 메인 스크린(110)은 샤프트(112)에 권취되어 필요한 경우 하측 방향으로 내려가거나 상측 방향으로 올라갈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메인 스크린(110)은 모터 등과 같은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샤프트(112)에 감기거나 샤프트(112)로부터 풀려질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main screen 110 is connected to the shaft 112, and as the shaft 112 rotates, the main screen 110 is wound on the shaft 112 and, if necessary, can be lowered downward or raised upward. have. For referenc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ain screen 110 may be wound on the shaft 112 or released from the shaft 112 by a separate driving means such as a motor.

이러한 메인 스크린(110)은 특수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 섬유 직포, 실리카 클로스(silica cloth) 또는 카본 섬유 등을 함유한 내화 또는 불연 스크린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main screen 110 may be made of a special material.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as a fireproof or non-combustible screen containing glass fiber woven fabric, silica cloth or carbon fiber.

메인 스크린(110)의 하단부에는 제1 웨이트부재(116)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웨이트부재(116)는 메인 스크린(110)이 샤프트(110)에 권취되어 승강할 때 뒤틀리거나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후술할 제2 비상문(120) 및 제3 비상문(140)과의 결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스크린(110)에 하강할 때 제1 웨이트부재(116)의 무게 때문에 메인 스크린(110)이 빠르게 하강할 수 있으며, 메인 스크린(110)이 승강할 때 메인 스크린(110)의 하단은 제1 웨이트부재(116)의 무게 때문에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할 수 있다.A first weight member 116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screen 110. The first weight member 116 prevents the main screen 110 from being twisted or disturbed when the shaft 110 is wound up and down, and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and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facilitate the binding. In addition, when descending to the main screen 110, the weight of the first weight member 116 may cause the main screen 110 to descend quickly, and when the main screen 110 is elevated, the bottom of the main screen 110 is Due to the weight of the first weight member 116, it is possible to elevate while maintaining a horizontal state.

참고로, 제1 웨이트부재(116)는 어느 정도의 무게를 가지는 쇠 막대 또는 평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비상문(120) 및 제3 비상문(140)의 하단이 메인 스크린(1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자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reference, the first weight member 116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metal rod or a flat iron having a certain weight, and the lower ends of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and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magnetism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screen 110.

여기서, 메인 스크린(110)에는 사람들이 편리하게 화재 지역을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피난 통로인 비상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main screen 110 may be formed with an emergency exit 114, which is an evacuation passage for people to conveniently escape the fire zone.

비상구(114)는 메인 스크린(110)의 하단에서부터 어느 상단부분까지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상구(114)는 소방법 또는 건축법 등의 관련 규정 또는 시험 규격을 만족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Emergency exit 114 may be provided from the bottom of the main screen 110 to any top portion. In general, the emergency exit 114 is preferably formed to a size that satisfies the relevant regulations or test standards such as the Fire Act or the Construction Act.

한편, 화재 발생시에 메인 스크린(110)에 형성된 비상구(114)를 통해서 연기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상구(114)는 막혀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화재 발생시에는 비상구(114)는 막혀 있어야 하고, 사람들이 화재 발생지역에서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할 경우에는 비상구(114)를 개방할 수 있어야 하되 비상구(114)를 통해서 사람이 대피한 이후에 비상구(114)는 닫힌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즉, 사람이 비상구(114)를 통해서 탈출 또는 대피한 후에 비상구(114)가 열려 있으면, 비상구(114)를 통해서 연기 또는 불이 확산될 수 있기 때문에 사람이 통과한 후에 비상구(114)는 반드시 닫혀 있어야 한다.Meanwhile, in order to prevent smoke or the like from spreading through the emergency exit 114 formed on the main screen 110 in the event of a fire, the emergency exit 114 must be blocked. In other words, in the event of a fire, the emergency exit 114 should be blocked, and when people evacuate from the fire-prone area to a safe area, the emergency exit 114 must be open, but after a person evacuates through the emergency exit 114 Emergency exit 114 should remain closed. That is, if the emergency exit 114 is open after a person escapes or evacuates through the emergency exit 114, since the smoke or fire may spread through the emergency exit 114, the emergency exit 114 must be closed after the person passes. It should b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방화 셔터(100)의 메인 스크린(110)에 형성된 비상구(114)는 제1 비상문(130), 제2 비상문(120) 및 제3 비상문(140)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즉, 제1 비상문(130), 제2 비상문(120) 및 제3 비상문(140)은 비상구(114)의 도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Here, the emergency exit 114 formed on the main screen 110 of the screen fire shut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mergency door 130, a second emergency door 120 and a third emergency door ( 140) can be opened or closed. That is,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and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may serve as a door of the emergency exit 114.

참고로, 하기에서 설명하는 메인 스크린(110)의 일면은 화재 지역과 맞닿아 있는 부분을 의미하고, 메인 스크린(110)의 타면은 안전 지역과 맞닿아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메인 스크린(110)의 일면은 화재 지역, 메인 스크린(110)의 타면은 안전 지역일 수 있다. For reference, one surface of the main screen 110 described below mean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ire area,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screen 110 mean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afety area. In other words, one surface of the main screen 110 may be a fire area,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screen 110 may be a safety area.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제1 비상문(130)은 비상구(114)를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비상문(130)은 메인 스크린(110)의 일면에 마련되되 비상구(114)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에 결합되어 비상구(114)를 차단할 수 있다. 1 to 5, first,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may block the emergency exit 114. In other words,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screen 110 but is coupled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emergency exit 114 to block the emergency exit 114.

제1 비상문(130)은 비상구(114)의 폭방향 좌우 양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으로 마련된 제1 비상문(130)중 어느 하나는 비상구(114)의 폭방향 좌측에 결합되고 한 쌍으로 마련된 제1 비상문(130) 중 다른 하나는 비상구(114)의 폭방향 우측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비상구(114)의 좌측에 결합된 제1 비상문(130)을 좌측 제1 비상문(130a)이라 하고, 비상구(114)의 우측에 결합된 제1 비상문(130)을 우측 제1 비상문(130b)이라 한다.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emergency exit 114 in the width direction. One of the first emergency doors 130 provided in a pair is coupled to the lef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mergency exit 114, and the other of the first emergency doors 130 provided in a pair is provided in the width right side of the emergency exit 114. Can be combined. He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emergency exit 114 is referred to as a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and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emergency exit 114. ) Is referred to as the first emergency door 130b on the right.

제2 비상문(120) 및 제3 비상문(140)과 달리 제1 비상문(130)은 비상구(114)의 상단에 연결되지 않고 비상구(114)의 폭방향 좌우 양단에 연결되어 있다.Unlike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and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is not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emergency exit 114 but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emergency exit 114 in the width direction.

비상구(114)의 폭방향 양단에 연결되지 않은 좌측 제1 비상문(130a) 및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비고정 단부는 비상구(114)의 폭방향 가운데 지점에서 서로 맞닿거나 약간 겹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좌측 제1 비상문(130a) 및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비고정 단부가 서로 맞닿거나 겹치기 때문에 비고정 단부의 사이에는 틈이 거의 없다. The unfixed ends of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0b that are not connected to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mergency exit 114 contact or slightly overlap each other at a central poi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mergency exit 114. Can be prepared. Since the non-fixed ends of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0b contact or overlap with each other, there is little gap between the non-fixed ends.

상기한 바와 같이, 좌측 제1 비상문(130a) 및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비고정 단부가 중첩되게 구현하여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 사이에 틈이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화재 발생시 사람들이 제1 비상문(130)을 열고 안전 지역으로 대피하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고 중첩된 부분의 두께가 다른 부분 보다 크기 때문에 제1 비상문(130)의 양면에 위치하는 제2 비상문(120) 및 제3 비상문(140)이 제1 비상문(130)에 밀착되지 못할 수는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non-fixed ends of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0b are implemented to overlap, so that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0b are disposed. A gap may not be formed. In this case, in the event of a fire, it may be cumbersome for people to open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and evacuate to a safe area, and the thickness of the overlapped portion is greater than that of the other emergency door 130 ),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and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may not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좌측 제1 비상문(130a) 및 우측 제1 비상문(130b)은 크기 및 형태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좌측 제1 비상문(130a) 및 우측 제1 비상문(130b) 중 어느 하나를 쉽게 열 수 있기 때문에 제1 비상문(130)을 여닫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0b are preferably formed in the same size and shape. Accordingly, it may be convenient to open and close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because any one of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0b can be easily opened.

또한, 좌측 제1 비상문(130a) 및 우측 제1비상문(130b)의 비고정 단부가 비상구(114)의 폭방향 가운데 지점에서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좌측 제1 비상문(130a)의 좌측단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우측단은 비상구(114)의 폭방향 좌우 양단 보다 길게 형성하여 메인 스크린(110)의 일부분과 겹쳐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측 제1 비상문(130a) 및 우측 제1 비상문(130b)은 비상구(114)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마련되되, 좌측 제1 비상문(130a)의 좌측단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우측단은 비상구(114)의 폭방향 좌우 양단 보다는 크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좌측 제1 비상문(130a)의 좌측단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우측단이 비상구(114)의 폭방향 좌우양단과 맞닿는 길이로 형성되면 비상구(114)의 폭방향 좌우 양단과 제1 비상문(130) 사이의 틈새가 생길 수 있고 제1 비상문(130)을 메인 스크린(110) 즉, 비상구(114)의 폭방향 좌우 양단에 결합할 수도 없게 된다.In addition,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of the first emergency door 130a on the left while the non-fixed ends of the first emergency door 130a on the left and the first emergency door 130b on the righ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center poi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mergency exit 114. It is preferable that the right end of the first emergency door 130b is formed to be longer than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mergency exit 114 so as to overlap a part of the main screen 110. For example,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0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at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emergency exit 114, but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of the first emergency door 130b on the right are preferably provided larger tha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emergency exit 114 in the width direction. If the left end of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and the right end of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0b are formed to have a length in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emergency exit 114,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emergency exit 114 and A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emergency doors 130 and the first emergency doors 130 may not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main screen 110, that is, the emergency exit 114.

제1 비상문(130)은 좌측 제1 비상문(130a) 및 우측 제1비상문(130b)의 비고정 단부가 비상구(114)의 폭방향 가운데 지점에서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좌측 제1 비상문(130a)의 좌측단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우측단이 비상구(114)의 폭방향 좌우양단을 지나서 메인 스크린(110)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좌측 제1 비상문(130a)의 좌측단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우측단은 메인 스크린(110)과 박음질됨으로써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비상문(130)의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이 비상구(114)의 폭방향 좌우 양측에 결합되기 때문에 제1 비상문(130)은 비상구(114)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즉, 좌측 제1 비상문(130a)은 좌측 방향으로 개폐되고 우측 제1 비상문(130b)은 우측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The first emergency door 130 is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and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b) when the non-fixed ends of the first emergency door (130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center poi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mergency exit (114) The left end of the 130a) and the right end of the first emergency door 130b may be combined with the main screen 110 through both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emergency exit 114 in the width direction. That is, the left end of the first emergency door 130a on the left and the right end of the first emergency door 130b on the right side can be fixed by being locked with the main screen 11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first emergency door 130a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and the first first emergency door 130b on the right side are coupled to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mergency exit 114,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is It may be opened or clos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based on the center of the emergency exit 114. That is,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may be opened and closed in the left direction,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0b may be opened and closed in the right direction.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비상문(130)을 열고 사람이 대피한 후에는 제1 비상문(130)이 닫혀야 하기 때문에 제1 비상문(130)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131)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비상문(130)은 비상구(114)의 상측에 마련되는 개폐부(131)에 의해 비상구(114)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Meanwhile, since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must be closed after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is opened and a person evacuates 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 / closing unit 13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is separately provided. Can be prepared. In other words,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may open or close the emergency exit 114 by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31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emergency exit 114.

이러한 개폐부(131)는 지지부재(133) 및 연결와이어(132)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131)는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상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31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133 and a connection wire 132. The opening / closing unit 131 may be provided on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0b, respectively.

지지부재(133)는 연결와이어(132)가 삽입되며 삽입된 연결와이어(132)를 메인 스크린(110)에 대해 고정하거나 지지하는 부분이다. 지지부재(133)는 내부가 중공인 관의 형태로 비상구(114)의 상부 즉,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상부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와이어(132)는 지지부재(133)의 내부에 삽입되고 연결와이어(132)의 어느 일단이 지지부재(133)의 일단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재(133)가 너무 크거나 무거운 소재로 마련될 경우에는 메인 스크린(110)의 일면에 마련되는 지지부재(133)가 메인 스크린(110)으로부터 탈락되거나 메인 스크린(110)에 대해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고 메인 스크린(110)이 권취될 때 균일한 형태로 권취될 수 없다. The support member 133 is a portion in which the connection wire 132 is inserted, and the inserted connection wire 132 is fixed or supported relative to the main screen 110. The support member 133 may be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emergency exit 114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that is, on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and on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0b, respectively. Here, the connection wire 132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member 133 and any one end of the connection wire 132 may be fixed to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133. When the support member 133 is provided with a material that is too large or heavy, the support member 133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screen 110 is dropped from the main screen 110 or stably coupled to the main screen 110 It can be difficult to be and cannot be wound in a uniform shape when the main screen 110 is wound.

연결와이어(132)는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즉, 사람이 비상구(114)를 통과한 후에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은 연결와이어(132)에 의해서 다시 닫히고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와이어(132)는 좌측 제1 비상문(130a) 또는 우측 제1 비상문(130b)이 열리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사람이 비상구(114)를 통과한 후에는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이 닫히도록 해야 한다.The connecting wire 132 is a portion for maintaining the closed state of the first emergency door 130a on the left and the first emergency door 130b on the right. That is, after a person passes through the emergency exit 114,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0b are closed and closed again by the connection wire 132. In this way, the connecting wire 132 is a first emergency door (left) after a person passes through the emergency exit 114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opening of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or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0b. 130a) and the first emergency door 130b on the right should be closed.

지지부재(133)에 삽입된 연결와이어(132)의 일단은 지지부재(133)에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부재(133)를 통과한 후에 제1 비상문(130)과 연결되어 제1 비상문(130)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킨다. 여기서, 연결와이어(132)는 와이어(wire)의 형태로 마련되되, 제1 비상문(130)의 열림 또는 닫힘 여부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으므로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부재 또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e end of the connecting wire 132 inserted into the support member 133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133,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after passing through the support member 133, and the first emergency door ( 130)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Here, the connection wire 132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wire, but the length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depending on whether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is opened or closed, so that it is formed in a member or form having a certain degree of elasticity It is desirable to be.

예를 들면, 제1 비상문(130)이 열림 상태가 되면 연결와이어(132)는 제1 비상문(130)에 의해 당겨져서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반대로, 제1 비상문(130)이 닫힘 상태가 되면 연결와이어(132)는 길이가 줄어들면서 최초의 상태로 복원되어 최초의 길이를 유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is in an open state, the connection wire 132 may be pulled by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to increase the length. Conversely, when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is in a closed state, the connection wire 132 may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while decreasing in length to maintain the initial length.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와이어(132)는 그 일단부가 제1 비상문(130)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지지부재(133)를 통과한 후에 지지부재(133)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133)에 걸려 고정된 연결와이어(132)의 타단부는 그 끝을 꺾어서 지지부재(133)에 걸게 되고, 그 꺾인 부분이 지지부재(133)의 끝단부에 걸려서 연결와이어(132)가 고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s 1 to 5, the connecting wire 132 is connected to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133 after passing through the support member 133 Can be.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wire 132 fixed to the support member 133 is bent to the end to be hooked to the support member 133, and the bent portion is hooked to the end of the support member 133 to connect the wire ( 132) can be fixed.

한편, 지지부재(133)는 고정부재(134)에 의해 비상구(114)의 상부 즉,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134)는 메인 스크린(110) 및 제1 비상문(130)과 동일한 소재로 마련되어 지지부재(133)를 덮을 수 있다. 고정부재(134)에 의해 지지부재(133)가 덮이기 때문에 지지부재(133)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시 화기에 의해 지지부재(133)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고정부재(134)가 막을 수 있다. Meanwhile, the support member 133 may b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emergency exit 114 by the fixing member 134, that is, the upper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and the upper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0b. The fixing member 134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in screen 110 and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to cover the support member 133. Since the supporting member 133 is covered by the fixing member 134, the supporting member 133 is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supporting member 133 is damaged or damaged by a fire in case of fire. Can be prevented.

고정부재(134)는 지지부재(133)를 덮을 뿐만 아니라 지지부재(133)를 고정하는 부재이다. 꺾여서 지지부재(133)의 고정되는 연결와이어(132)의 타단부는 고정부재(134)에도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결와이어(132)의 꺾인 타단부가 고정부재(134)과 지지부재(133)의 길이방향 일단에 동시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134 is a member that not only covers the support member 133 but also fixes the support member 133.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wire 132 that is bent and fixed to the supporting member 133 is also formed to be caught in the fixing member 134. That is,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wire 132 may be provided to be simultaneously hung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member 134 and the supporting member 133.

연결와이어(132)는 좌측 제1 비상문(130a) 또는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개폐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거나 원래의 길이로 줄어드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연결와이어(132)는 2가지 형태로 마련되거나 2개의 부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와이어(132) 중 지지부재(133)의 내부에 있는 부분은 코일 스프링 형태를 가지거나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되고, 지지부재(133)의 외부로 노출되어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에 연결되는 부분은 통상의 와이어 형태를 가지거나 와이어로 마련될 수 있다.The connecting wire 132 is preferably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length increases or decreases to the original length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or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0b. To this end, the connection wire 132 may be provided in two forms or may be provided in two parts.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connection wire 132 inside the support member 133 has a coil spring shape or is provided as a coil spring,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member 133 to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 And the part connected to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0b may have a common wire shape or be provided with a wire.

한편, 개폐부(131)도 상술한 제1 비상문(130)과 마찬가지로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개폐부(131)는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상부에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the opening / closing unit 131 may also be provided in a pair, like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described above. That is, the opening / closing unit 131 may be provided as a pair on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0b,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한 쌍의 개폐부(131) 중에서 좌측 제1 비상문(130a)의 상부에 위치된 개폐부(131)는 제1 비상문(130) 중 우측 제1 비상문(130b)과 연결되고,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상부에 위치된 개폐부(131)는 제1 비상문(130) 중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한 쌍의 개폐부(131) 중 어느 하나는 한 쌍의 제1 비상문(130) 중 서로 엇갈린 위치에 있는 어느 하나의 제1 비상문(130)과 연결될 수 있다. Specifically, among the pair of opening and closing parts 131,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31 located above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is connected to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0b of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and the right side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131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emergency door 130b may be connected to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among the first emergency doors 130. In other words, any one of the pair of opening / closing parts 131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emergency doors 130 that are located at a staggered position among the pair of first emergency doors 130.

한 쌍의 제1 비상문(130) 즉,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은 각각 한 쌍의 개폐부(131) 중 우측 상부에 마련된 개폐부(131)와 좌측 상부에 마련된 개폐부(131)에 의해 비상구(114)를 기준으로 각각 좌측 또는 우측으로 비상구(114)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한 쌍의 제1 비상문(130)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여닫는 여닫이 형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재 현장에서 안전 지역으로 대피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후술할 제2 비상문(120)을 상측으로 젖힌 후에 한 쌍의 제1 비상문(130) 중 적어도 하나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어 젖혀서 비상구(114)를 개방한 후에 후술할 제3 비상문(140)을 상측으로 젖힌 후에 비상구(114)를 통해 안전 지역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The pair of first emergency doors 130, that is,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0b, are provided in the upper and right portions of the pair of opening and closing portions 131, respectively. The emergency exit 114 may be opened or closed to the left or right, respectively, based on the emergency exit 114 by the opening / closing unit 131 provided in the. In other words, the pair of first emergency doors 130 may be provided in a casement type that opens or closes to the left or right. Accordingly, people who want to evacuate to a safe area at a fire site, after tilting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to be described later upward, push at least one of the pair of first emergency doors 130 to the left or right to move the emergency exit ( After opening 114),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tilted upward, and then, through the emergency exit 114, the safety zone may be exited.

또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한 쌍의 제1 비상문(130), 즉 좌측 제1 비상문(130a) 및 우측 제1 비상문(130b) 각각에는 모서리부(137)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모서리부(137)는 한 쌍의 제1 비상문(130)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제1 비상문(130)이 맞닿는 부분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만약, 한 쌍의 제1 비상문(130)에 모서리부(137)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한 쌍의 제1 비상문(130)의 일부분이 서로 중첩되어 열고 닫는 것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1 to 5, a pair of first emergency doors 130, that is, corners 137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0b. You can. In other words, the edge portion 137 is intended to facilitat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air of first emergency doors 130, and may be provided at portions where the pair of first emergency doors 130 abut. If a corner portion 137 is not formed in the pair of first emergency doors 130, it may be difficult to partially open and close a portion of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of the pair.

한편, 한 쌍의 제1 비상문(130)의 모서리부(137)에는 고리부(135)가 마련될 수 있다. 고리부(135)에는 연결와이어(132)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리부(135)에는 금속 재질의 보강부 또는 아일렛(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고리부(135)에 보강부 또는 아일렛(eyelet)이 마련됨에 따라 제1 비상문(130)과 연결와이어(132)의 연결을 더욱 안정적으로 할 수 있고, 고리부(135)가 찢어지는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a ring portion 135 may be provided at the edge portion 137 of the pair of first emergency doors 130. One end of the connecting wire 132 may be connected to the hook portion 135. For referenc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hook portion 135 may be provided with a reinforcement or eyelet (not shown) made of metal. As the reinforcing part or eyelet is provided in the ring part 135,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and the connection wire 132 may be more stably connected, and the ring part 135 may be torn. Damage can be prevented.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2 비상문(120)은 메인 스크린(110)의 일면에서 비상구(114) 및 제1 비상문(130)을 덮는 부재이다. 제2 비상문(120)은 메인 스크린(110)의 일면에 마련되되 비상구(114)의 상부에 결합되어 비상구(114) 및 제1 비상문(130)을 덮음으로써 비상구(114)와 제1 비상문(130) 사이의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비상문(120)은 비상구(114)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비상문(120)과 제3 비상문(140)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 to 5,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is a member that covers the emergency exit 114 and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on one surface of the main screen 110.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screen 110 but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mergency exit 114 to cover the emergency exit 114 and the first emergency exit 130, thereby allowing the emergency exit 114 and the first emergency A gap between the doors 130 can be prevented.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is preferably formed larger than the size of the emergency exit 114,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and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is preferably formed of the same size.

제2 비상문(120)이 비상구(114) 보다 크기 때문에 비상구(114)의 폭방향 좌우 양단을 지나서 제2 비상문(120)의 폭방향 좌우 양단이 위치하게 된다. 즉, 제2 비상문(120)이 폭방향 좌우 양단은 비상구(114)의 폭방향 좌우 양단을 지나서 메인 스크린(110)의 일면 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비상문(120)의 폭방향 좌우 양단이 메인 스크린(110)의 일면에 놓인 상태에서 제2 비상문(120)의 좌우 양단과 메인 스크린(110) 사이에 틈새가 생기게 되면, 그 틈새를 통해서 연기나 불이 스며들 수 있다. 하지만, 연기 등이 그 틈새로 스며들어도 제1 비상문(130)에 의해서 비상구(114)가 닫힌 상태이기 때문에 연기 등이 메인 스크린(110)이 타면 쪽 즉, 안전지대 쪽으로 퍼져 나가지 못한다.Since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is larger than the emergency exit 114, both ends of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are positioned pas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emergency exit 114 in the width direction. That is,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are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screen 110 by passing both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emergency exit 114 in the width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are plac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screen 110, a gap is form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and the main screen 110, Smoke or fire can seep through the gap. However, even if smoke penetrates into the gap, the emergency exit 114 is closed by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so that the smoke does not spread to the side of the main screen 110, that is, toward the safety zone.

여기서, 제2 비상문(120)은 전술한 제1 비상문(130)과는 다르게 비상구(114)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이 제2 비상문(120)을 열고 비상구(114)를 빠져 나가기 위해서 제2 비상문(120)을 위로 들고 젖혀야 비상구(114)로 빠져나갈 수 있다. Here, unlike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described above,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mergency exit 114. Accordingly, in order for the people to open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and lift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upward to exit the emergency exit 114, the emergency exit 114 may be escaped.

사람들이 빠져나간 후에는 제2 비상문(120)의 원래의 상태 또는 위치로 복원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2 비상문(120)의 하단부에는 제1 결속부재(124)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결속 부재(124)는 자성을 가지는 소재 또는 자석(magnetic)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비상문(120)의 하단부에 마련된 제1 결속부재(124)는 메인 스크린(110)에 마련된 제1 웨이트부재(116)에 결합되어 제2 비상문(120)과 메인 스크린(110)과의 밀착 상태를 유지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비상문(120)과 메인 스크린(110)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제2 비상문(120)과 메인 스크린(110) 사이의 틈을 통해 화기나 연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fter the people have exited, it must be restored to the original state or location of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To this end, a first binding member 124 may b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The first binding member 124 may be provided with a magnetic material or a magnet. The first binding member 124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is coupled to the first weight member 116 provided on the main screen 110 and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and the main screen 110 Can maintain a close contact state. Accordingly, 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a gap between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and the main screen 110, fire or smoke is leak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and the main screen 110. Can be prevented.

한편, 제2 비상문(120)은 상술한 제1 비상문(130)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비상문(120)도 뒤틀리거나 휘어질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단부에 제2 웨이트부재(126)가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may also be warped or bent, and a second weight member 126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o prevent this.

제2 웨이트부재(126)는 어느 정도의 무게를 가지는 금속 소재로 마련되기 때문에 제2 웨이트부재(126)는 제2 비상문(120)이 비틀리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제2 비상문(120)이 메인 스크린(110)과 제1 비상문(130)에 대해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비상구(114)를 통과하기 위해 제2 비상문(120)을 위로 젖혀서 통과한 후에는 제2 웨이트부재(126)의 무게 때문에 제2 비상문(120)이 아래로 떨어지면서 제2 비상문(120)이 비상구(114)를 폐쇄하게 된다. 참고로, 제2 웨이트부재(126)가 자성이 있는 소재로 마련될 경우에는 제1 결속부재(124)가 없이도 제2 비상문(120)과 메인 스크린(110)과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제2 비상문(120)의 하단부에 제1 결속부재(124)를 마련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Since the second weight member 126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certain weight, the second weight member 126 prevents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from being twisted or bent, and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The main screen 110 and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can be stably connected. In addition,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in order to pass through the emergency exit 114,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falls down due to the weight of the second weight member 126 and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will close the emergency exit 114. For reference, when the second weight member 126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and the main screen 110 can be stably connected without the first binding member 124. It may not be necessary to separately provide the first binding member 124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3 비상문(140)은 비상구(114) 및 제1 비상문(130)을 덮기 위한 부재이다. 이러한 제3 비상문(140)은 메인 스크린(110)의 타면에 마련되되 비상구(114)의 상부에 결합되어 비상구(114) 및 제1 비상문(130)을 덮음으로써 비상구(114)와 제1 비상문(130)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to 5,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is a member for covering the emergency exit 114 and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screen 110, but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mergency exit 114 to cover the emergency exit 114 and the first emergency exit 130, thereby allowing the emergency exit 114 and the first A gap between the emergency doors 130 may be prevented.

제3 비상문(140)의 하단부에도 상술한 제2 비상문(120)과 같은 위치에 제2 결속부재(144)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결속부재(144)는 자성을 띄는 소재 또는 자석(magnetic)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3 비상문(140)의 하단부에 마련된 제2 결속부재(144)는 메인 스크린(110)의 하단부에 마련된 제1 웨이트부재(116)와 결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비상문(140)과 메인 스크린(110)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제3 비상문(140)과 메인 스크린(110) 사이를 통해 화재 현장의 화기나 연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econd binding member 144 may be provid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described above in the lower end of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The second binding member 144 may be provided with a magnetic material or a magnet. The second binding member 144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may be bound to the first weight member 116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screen 110. Accordingly, 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a gap between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and the main screen 110, fire or smoke leaks from the fire site through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and the main screen 110. Can be prevented.

또한, 제3 비상문(140)의 하단부에도 제3 웨이트부재(146)가 마련될 수 있다. 제3 웨이트부재(146)는 제3 비상문(140)이 비틀리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제3 비상문(140)이 메인 스크린(110)과 제1 비상문(130)에 대해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비상구(114)를 통과하기 위해 제3 비상문(140)을 위로 젖혀서 통과한 후에는 제3 웨이트부재(146)의 무게 때문에 제3 비상문(140)이 아래로 떨어지면서 제3 비상문(140)이 비상구(114)를 폐쇄하게 된다. 참고로, 제3 웨이트부재(146)가 자성이 있는 소재로 마련될 경우에는 제3 비상문(140)의 하단부에 제2 결속부재(144)를 마련하지 않더라도 제3 비상문(140)의 하단부에 마련된 제3 웨이트부재(146)에 의해 메인 스크린(110)과 안정적으로 결속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third weight member 146 may also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The third weight member 146 prevents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from being twisted or bent, and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can be stably bound to the main screen 110 and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I can make it. In addition, after passing through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to pass through the emergency exit 114,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falls down due to the weight of the third weight member 146, and thus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140 will close the emergency exit 114. For reference, when the third weight member 146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even if the second binding member 144 is not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the lower end of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The third weight member 146 provided in the main screen 110 can be stably engaged.

즉, 제2 비상문(120)은 메인 스크린(110)의 일면에 마련되어 제1 비상문(130)의 일면을 덮고, 제3 비상문(140)을 메인 스크린(110)의 타면에 마련되어 제1 비상문(130)의 타면을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상구(114)는 제1 비상문(130)에 의해 1차적으로 차단되고, 제2 비상문(120)에 의해 2차로, 제3 비상문에 의해 3차로 차단될 수 있다. That is,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screen 110 to cover one surface of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screen 110, the first The other surface of the emergency door 130 may be covered. Accordingly, the emergency exit 114 may be primarily blocked by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secondly blocked by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and thirdly blocked by the third emergency door.

한편, 화재 발생시 비상구(114)를 통해 안전 지역으로 대피할 경우에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제2 비상문(120)을 상측으로 젖힌 다음 제1 비상문(13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열고, 제3 비상문(140)을 상측으로 젖혀 올린 후 비상구(114)를 통과하면 된다. 이때, 제1 비상문(130), 제2 비상문(120) 및 제3 비상문(14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 스크린(110)과 같이 실리카 섬유 또는 화이버 글라스와 같은 내열성 섬유(fiber)로 마련되기 때문에 무게가 무겁지 않아서 사람들이 화재 현장에서 제2 비상문(120), 제1 비상문(130) 및 제3 비상문(140)을 차례대로 젖히고 안전 지역으로 대피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evacuating to a safe area through the emergency exit 114 in the event of a fire, as shown in FIGS. 2 to 5, first flip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upward, and then turn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to the left. Or, open to the right, and raise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upward, and then pass through the emergency exit 114. At this time,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and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as described above, as the main screen 110, silica fiber or heat-resistant fiber (fiber) such as fiber glass Since the weight is not heavy because it is provided, it may be easy for people to turn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and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in turn at the fire site and evacuate to a safe area.

비상구(114)를 통과할 때, 피난자(사람)는 제1 비상문(130)의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좌우로 밀어 제치면서 비상구(114)를 통과하게 된다. 예를 들어, 피난자가 좌측 제1 비상문(130a)을 좌측으로 밀어 제치게 되면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상부에 마련된 연결와이어(132)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비상구(114)에 탈출 공간이 생기게 되고, 피난자가 그 탈출 공간을 통해서 비상구(114)를 통과한 후에는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상부에 마련된 연결와이어(132)의 길이가 줄어들면서 좌측 제1 비상문(130a)이 우측으로 움직여 비상구(114)가 닫히게 된다. 피난자가 우측 제1 비상문(130b)을 우측으로 밀어 제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반대로 작동하게 된다. When passing through the emergency exit 114, the evacuee (person) pushes at least one of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0b of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to the left and right to exit. (114). For example, when the evacuee pushes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to the left,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wire 132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0b increases and the escape space in the emergency exit 114 increases. This occurs, and after the evacuee passes through the emergency exit 114 through the escape space,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wire 132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emergency exit 130b on the right decreases, and the first emergency exit 130a on the left decreases. By moving to the right, the emergency exit 114 is closed. When the evacuee pushes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0b to the right, it operates in reverse.

또한, 경우에 따라서 피난자는 양손으로 제1 비상문(130)의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을 모두 밀어 제치면서 탈출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1 비상문(130)의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개폐 동작도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In addition, in some cases, the evacuee may escape by pushing both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0b of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with both hands, in this case, the first emergency door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a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0b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참고로, 제2 비상문(120), 제1 비상문(130) 및 제3 비상문(140)을 차례로 젖히고 화재 현장에서 안전지역으로 대피한 후에는 제1 비상문(130)의 개폐부(131), 제2 비상문(120)의 제2 웨이트부재(126) 및 제3 비상문(140)의 제3 웨이트부재(146)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2 비상문(120), 제1 비상문(130) 및 제3 비상문(140)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와서 비상구(114)를 3중으로 차단할 수 있다. For reference, after opening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and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in turn and evacuating to a safe area at the fire site,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131 of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the first emergency door (120) automatically by the second weight member 126 of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and the third weight member 146 of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130) and the third emergency door 140 may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to block the emergency exit 114 in three.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셔터(100)는 비상구(114)를 차단하는 비상문을 제1 비상문(130), 제2 비상문(120), 제3 비상문(130)의 3중으로 구성함에 따라 비상구(114)와 메인 스크린(110)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재 현장에서 발생된 화기나 연기를 피난 방향 쪽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ire screen shut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configuration is the first emergency door 130, the second emergency door 120, the third emergency door blocking the emergency exit 114 As it is composed of three layers of 130, the gap between the emergency exit 114 and the main screen 110 is prevented from leaking fire or smoke generated at the fire site toward the evacuation direc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the like,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which are provided only to help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all claims that are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described below, will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방화 스크린 셔터
110: 메인 스크린
114: 비상구
116: 제1 웨이트부재
120: 제2 비상문
124: 제1 결속부재
126: 제2 웨이트부재
130: 제1 비상문
130a: 좌측 제1 비상문
130b: 우측 제1 비상문
131: 개폐부
132: 연결와이어
133: 지지부재
134: 고정부재
135: 고리부
137: 모서리부
140: 제3 비상문
144: 제2 결속부재
146: 제3 웨이트부재
100: fire screen shutter
110: main screen
114: emergency exit
116: first weight member
120: second emergency door
124: first binding member
126: second weight member
130: first emergency door
130a: First emergency exit on the left
130b: First emergency door on the right
131: open and close
132: Connection wire
133: support member
134: fixing member
135: ring
137: corner
140: third emergency door
144: second binding member
146: third weight member

Claims (9)

비상구가 형성되는 메인 스크린; 상기 비상구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에 결합되어 상기 비상구를 차단하는 제1 비상문; 상기 메인 스크린의 일면에 마련되되 상기 비상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비상구 및 상기 제1 비상문을 덮는 제2 비상문; 및 상기 메인 스크린의 타면에 마련되되 상기 비상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비상구 및 상기 제1 비상문을 덮는 제3 비상문;을 포함하며,
상기 비상구의 상측에는 상기 비상구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비상구의 상부에 마련되며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고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비상문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비상문의 열림 상태 또는 닫힘 상태에 따라 길이가 신축되는 연결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비상문은 상기 비상구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박음질 결합되어 여닫이 형상으로 개폐되는 좌측 제1 비상문 및 우측 제1 비상문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제1 비상문 및 상기 우측 제1비상문의 폭방향 양단 중 어느 일단은 상기 비상구의 폭방향 가운데 지점에서 겹치지 않고 서로 맞닿게 배치되고, 상기 좌측 제1 비상문 및 상기 우측 제1 비상문의 폭방향 양단 중 타단은 상기 비상구의 폭방향 좌우양단을 지나서 상기 메인 스크린에 회전 가능하게 박음질 결합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좌측 제1 비상문 및 상기 우측 제1 비상문의 상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좌측 제1 비상문의 상측에 마련된 상기 개폐부의 상기 연결와이어는, 상기 비상구의 개폐시 상대적으로 작게 절곡되면서 신축이 용이하도록 상기 우측 제1 비상문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우측 제1 비상문의 상측에 마련된 상기 개폐부의 상기 연결와이어는, 상기 비상구의 개폐시 상대적으로 작게 절곡되면서 신축이 용이하도록 상기 좌측 제1 비상문의 상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비상문과 상기 제3 비상문의 상부는 상기 개폐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스크린에서 상기 개폐부보다 상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A main screen on which an emergency exit is formed; A first emergency door coupled to the emergency exit on the left or right side to block the emergency exit; A second emergency doo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screen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mergency exit door to cover the emergency exit door and the first emergency exit door; And a third emergency door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screen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mergency exit to cover the emergency exit and the first emergency door.
On the upper side of the emergency exit, an opening / closing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mergency exit is provide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the support member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mergency exit is formed inside the hollow;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emergency door through the support member is connected to the length of the extension wire according to the open or closed state of the first emergency door; includes,
The first emergency door includes a first emergency door on the left and a first emergency door on the right that are opened and closed in a cased shape by lock-stitching respective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mergency exit,
Either end of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and both ends of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are disposed to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overlapping at a central poi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mergency exit, and the width of the first left emergency door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The other end of the both ends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screen past the left and right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mergency exit,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emergency door on the left and the first emergency door on the right,
The connection wir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emergency door on the left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emergency door on the right side to facilitate expansion and contraction while being relatively small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emergency exit,
The connecting wi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emergency door on the right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emergency door on the left side to facilitate expansion and contraction while being relatively small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emergency exi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emergency door and the third emergency door is a fire screen shutt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n the main screen to cover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하거나 덮는 고정부재가 상기 비상구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메인 스크린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According to claim 1,
Fixing member for fixing or covering the support member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emergency exit,
The fixing member is a fire screen shutt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in scree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와이어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끝단이 꺾여서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상기 고정부재의 길이방향 일단에 걸려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According to claim 3,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wire is a fire screen shut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is bent through the support member is bent and fixed to the support member or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memb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와이어 중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코일 스프링 형태로 감겨 있거나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According to claim 1,
A portion of the connection wire located inside the support member is wound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or a fire screen shut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il spr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제1 비상문 및 상기 우측 제1 비상문의 모서리부에는 상기 연결와이어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고리부가 마련되고,
상기 고리부에는 금속 재질의 보강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The method of claim 6,
At the corners of the first emergency door on the left and the first emergency door on the right side, a ring part to which one end of the connection wire is connected is provided,
Fireproof screen shut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reinforcement of a metal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크린의 하단부에는 제1 웨이트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비상문의 하단부에는 제2 웨이트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3 비상문의 하단부에는 제3 웨이트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웨이트부재는 금속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웨이트부재 및 상기 제3 웨이트부재는, 상기 메인 스크린과 상기 제2 비상문 및 상기 메인 스크린과 상기 제3 비상문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웨이트부재에 결속되기 위한 자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weight member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main screen, a second weight member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emergency door, and a third weight member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third emergency door,
The first weight member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second weight member and the third weight member are magnets to be bound to the first weight member so that there is no gap between the main screen and the second emergency door and the main screen and the third emergency door. Fire screen shutt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크린의 하단부에는 제1 웨이트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비상문의 하단부에는 제2 웨이트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3 비상문의 하단부에는 제3 웨이트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비상문 및 상기 제3 비상문의 하단부에는, 상기 메인 스크린과 상기 제2 비상문 및 상기 메인 스크린과 상기 제3 비상문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웨이트부재에 결속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웨이트부재와 상기 제2 웨이트부재 및 상기 제3 웨이트부재는 금속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재는 자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weight member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main screen, a second weight member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emergency door, and a third weight member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third emergency door,
At least one of the second emergency door and the third emergency door, at least one of which is bound to the first weight member so that there is no gap between the main screen and the second emergency door and the main screen and the third emergency door. The above binding member is provided,
The first weight member, the second weight member and the third weight member are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binding member is a fire screen shutt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 magnet.
KR1020180094345A 2018-08-13 2018-08-13 Fireproof screen shutter KR1021067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345A KR102106786B1 (en) 2018-08-13 2018-08-13 Fireproof screen shu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345A KR102106786B1 (en) 2018-08-13 2018-08-13 Fireproof screen shut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924A KR20200018924A (en) 2020-02-21
KR102106786B1 true KR102106786B1 (en) 2020-05-06

Family

ID=69670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345A KR102106786B1 (en) 2018-08-13 2018-08-13 Fireproof screen shut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78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035B1 (en) * 2023-04-04 2024-02-01 주식회사 선일기업 Wall-through screen fireproof shut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521A (en) * 2000-05-11 2001-11-13 Unitika Glass Fiber Co Ltd Screen shutter for fire limit
KR100980382B1 (en) * 2009-07-10 2010-09-07 (주) 신진도아스 Fireproof screen shutter having triple exit do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0530A (en) * 2008-04-18 2009-10-22 임흥순 Fireproof Screen Shutter with New Emergency Exit Structure
KR20120020214A (en) * 2010-08-27 2012-03-08 동락산업 주식회사 Integrally formed screen fireproof shut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521A (en) * 2000-05-11 2001-11-13 Unitika Glass Fiber Co Ltd Screen shutter for fire limit
KR100980382B1 (en) * 2009-07-10 2010-09-07 (주) 신진도아스 Fireproof screen shutter having triple exit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924A (en) 2020-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85B1 (en) Eemergency escaping apparatus of a layer space
KR102106786B1 (en) Fireproof screen shutter
KR101757466B1 (e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emergency door for fireproof screen shutter
KR100789767B1 (en) The sealing structure and self closing for emergency door for of screen shutter for fire proofing
KR100980382B1 (en) Fireproof screen shutter having triple exit door
KR101464627B1 (en) Threshold rise-fall apparatus for fire prevention door
KR20200143118A (en) Fire door shutter
KR101995687B1 (en) Non-threshold fireproof screen shutter
JP4789763B2 (en) Walk-through fireproof screen
JP3740332B2 (en) Fire and smoke shutter
KR101171248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20110064803A (en) Fixing structure of exit for fireproof screen shutter
KR100987888B1 (en) Screen shutter for fire prevention
KR100993102B1 (en) Screen shutter for fire prevention
KR100980372B1 (en) Fireproof screen shutter with exit door having locking parts
KR101496969B1 (en) The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for building
JP3643611B2 (en) Retractable movable wall made of fireproof sheet
JP3102376B2 (en) Fire protection screen device
KR102636525B1 (en) Looped surface type fireproof screen shutter
KR100852390B1 (en) Device of screen for fire and smoke prevention
KR20110064811A (en) Sub bar structure of fire screen shutter
JPH11280356A (en) Fireproof and smokeproof shutter
KR102656680B1 (en) Looped surface type fireproof screen shutter
KR200154820Y1 (en) A fireproof shutter with emergency door
KR101757467B1 (e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clogging cloth for fireproof screen shu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