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8924A - Fireproof screen shutter - Google Patents
Fireproof screen shut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18924A KR20200018924A KR1020180094345A KR20180094345A KR20200018924A KR 20200018924 A KR20200018924 A KR 20200018924A KR 1020180094345 A KR1020180094345 A KR 1020180094345A KR 20180094345 A KR20180094345 A KR 20180094345A KR 20200018924 A KR20200018924 A KR 202000189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mergency
- emergency door
- door
- exit
- main scree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화 스크린 셔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 스크린과 비상문 사이로 화기 또는 연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화 스크린 셔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screen shut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 screen shutter that can prevent fire or smoke from leaking between the fire screen and the emergency door.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의 방화 스크린 셔터는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작동되어 화재 현장을 폐쇄하여 화재 현장과 안전 지역과 분리함으로써 건물의 연소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In general, fire screen shutters inside a building are operated automatically in the event of a fire and are used to close the fire site and separate it from the fire site and the safety area, thereby preventing the building from burning and spreading.
한편, 방화 스크린에는 비상구가 설치되고, 비상구를 개폐하기 위한 비상문이 설치된다. 비상문은 방화 스크린에 의해 폐쇄된 화재 현장에서 대피 공간으로 미처 피하지 못한 사람들이 화재 현장으로부터 안전 지역으로 안전하게 빠져 나오도록 하기 위한 것임과 동시에 사람이 대피한 후에는 비상문은 재빠르게 닫혀야 하고, 화재시, 비상문은 닫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Meanwhile, an emergency exit is installed on the fire screen, and an emergency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mergency exit is installed. Emergency doors are intended to ensure that those who have not escaped to the evacuation area at the fire site closed by the fire screens can safely exit from the fire site to the safety area, and at the same time, the emergency doors must close quickly after the evacuation. In case of fire, emergency doors are to remain closed.
그러나, 종래 방화 스크린의 경우에는 화재시 발생한 열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방화 스크린 또는 비상문에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방화 스크린 또는 비상문에 출렁거림 또는 비틀림이 발생되거나 비상문과 방화 스크린의 틈새가 벌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필요 시에 비상문이 느리게 닫히거나 완벽하게 닫히지 못하여서 비상문과 방화 스크린 사이로 연기, 유독가스, 화염 등이 새어 나와 사람들의 대피 공간으로 퍼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fire screen, the air heated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fire pressurizes the fire screen or the emergency door, so that the fire screen or the emergency door may be slumped or twisted, or the gap between the emergency door and the fire screen may be opened. If this is the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mergency door is not closed slowly or completely closed when necessary, so that smoke, toxic gas, flames, etc. leak between the emergency door and the fire screen and spread to the evacuation space of the peopl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상문을 무거운 소재로 사용하거나 방화 스크린과 비상문의 하단에 무게를 달아 잘 닫히도록 함과 동시에 방화 스크린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emergency door is used as a heavy material or weighed at the bottom of the fire screen and the emergency door to be closed well,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no gap between the fire screen.
그러나, 비상문을 무겁게 하면 잘 닫히거나 방화 스크린과의 틈이 발생하지 않을 수는 있지만, 비상문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 짐에 따라서 사람들이 화재 발생시 피난 방향으로 쉽게 밀고 나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f the emergency door is heavy, the door may not be closed well or a gap with the fire screen may occur, but the weight of the emergency door itself is heavy, so that it is difficult for people to easily push in the evacuation direction when a fire occurs.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38994호 (발명의 명칭: 방화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방화 스크린 셔터, 등록일: 2016.07.06.)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applicant has been proposed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s related prior art document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638994 (Invention: fire screen and fire screen shutter using the same) , Registration date: 2016.07.06.)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문의 닫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고, 비상문과 메인 스크린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방화 스크린셔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screen shutter capable of continuously maintaining a closed state of an emergency door and preventing a gap between an emergency door and a main scree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other task that i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비상구가 형성되는 메인 스크린; 상기 비상구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에 결합되어 상기 비상구를 차단하는 제1 비상문; 상기 메인 스크린의 일면에 마련되되 상기 비상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비상구 및 상기 제1 비상문을 덮는 제2 비상문; 및 상기 메인 스크린의 타면에 마련되되 상기 비상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비상구 및 상기 제1 비상문을 덮는 제3 비상문; 을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셔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exit is formed a main screen; A first emergency door coupled to a left side or a right side of the emergency exit to block the emergency exit; A second emergency doo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screen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mergency exit to cover the emergency exit and the first emergency door; And a third emergency door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screen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mergency exit to cover the emergency exit and the first emergency door. It can be achieved by a fire screen shutter comprising a.
상기 비상구의 상측에는 상기 비상구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비상구의 상부에 마련되며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고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재를 통과하여 관통한 후에 상기 제1 비상문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비상문의 열림 상태 또는 닫힘 상태에 따라 길이가 신축되는 연결와이어; 를 포함할 수 있다.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mergency exit is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emergency exi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emergency exit and has a hollow inside; And a connecting wire having the other end fixed to the support member and having one end penetrated through the support member and connected to the first emergency door, the length of which is stretched according to the open or closed state of the first emergency door. It may include.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하거나 덮는 고정부재가 상기 비상구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메인 스크린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A fixing member for fixing or covering the supporting member is provided above the emergency exit, and the fixing member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in screen.
상기 연결와이어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끝단이 꺾여서 상기 지지부재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wire may be fixed to the support member by passing through the support member and being bent at the end.
상기 제1 비상문은 상기 비상구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결합되는 좌측 제1 비상문 및 우측 제1 비상문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좌측 제1 비상문 및 상기 우측 제1 비상문의 상부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좌측 제1 비상문의 상부에 마련된 상기 개폐부 또는 상기 연결와이어는 상기 우측 제1 비상문과 연결되고, 상기 우측 제1 비상문의 상부에 마련된 상기 개폐부 또는 상기 연결와이어는 상기 좌측 제1 비상문과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emergency door includes a left first emergency door and a right first emergency door coupled to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mergency exit, respectively,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located on an upper side of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respectively.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r the connection wire provided on the upper left first emergency door is connected to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r the connecting wire provided on the upper right first emergency door is connected to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Can be connected.
상기 연결와이어 중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코일 스프링 형태로 감겨 있거나 코일 스프링 일 수 있다. A portion of the connection wire positioned inside the support member may be wound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or may be a coil spring.
상기 좌측 제1 비상문 및 상기 우측 제1 지상문의 모서리부에는 상기 연결와이어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고리부가 마련되고, 상기 고리부에는 금속 재질의 보강부가 마련될 수 있다. An edge portion of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and the right first ground door may be provided with a ring portion to which one end of the connection wire is connected, and the r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metal reinforcement portion.
상기 좌측 제1 비상문 및 상기 우측 제1 비상문의 폭방향 양단 중 어느 일단은 상기 비상구의 폭 방향 가운데 지점에서 서로 맞닿고, 상기 좌측 제1 비상문 및 상기 우측 제1 비상문의 폭방향 양단 중 타단은 상기 비상구의 폭방향 좌우양단을 지나서 상기 메인 스크린과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width direction ends of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abuts each other at a center poi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mergency exit, and the other end of the width direction ends of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It may be coupled to the main screen past the width direction left and right ends of the emergency exit.
상기 메인 스크린과 상기 제2 비상문 및 상기 메인 스크린과 상기 제3 비상문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 스크린의 하단부, 상기 제1 비상문의 하단부 및 상기 제3 비상문의 하단부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a gap between the main screen and the second emergency door and the main screen and the third emergency door, a lower end of the main screen, a lower end of the first emergency door, and a lower end of the third emergency door may be provided. One or more binding members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방화 스크린 셔터는, 비상구를 차단하는 비상문을 제1 비상문, 제2 비상문 및 제3 비상문의 3중으로 구성함에 따라 비상구와 메인 스크린 또는 비상문과 메인 스크린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재 현장에서 피난 방향 쪽으로 화기나 연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re prevention screen shu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triple the emergency door blocking the emergency exit into the first emergency door, the second emergency door and the third emergency door so that no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emergency exit and the main screen or the emergency door and the main screen.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fire or smoke from leaking out of the fire in the evacuation dir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방화 스크린 셔터의 제1 비상문, 제2 비상문 및 제3 비상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 에 도시한 제2 비상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2 비상문을 제거하고 제1 비상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제2 비상문을 제거하고 제1 비상문 및 제3 비상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방화 스크린 셔터의 저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prevention screen shu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first emergency door, a second emergency door and a third emergency door of the fire screen shutter shown in FIG. 1 are opened.
3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second emergency door shown in FIG. 1 is opened.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emergency door is opened after removing the second emergency door shown in FIG. 3.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emergency door and the third emergency door are opened after removing the second emergency door shown in FIG. 3.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bottom of the fire screen shutter shown in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It is noted that the figures are schematic and not drawn to scale. The relative dimensions and ratios of the parts in the figures have been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figures and any dimensions are merely exemplary and not limiting.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represent similar features in the same structures, elements or parts that appear in more than one figur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illustrate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rawings are expected. Thus,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 of the illustrated region, but includes, for example, modification of the form by manufact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100)를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100)는 비상구(114)가 형성되는 메인 스크린(110), 비상구(114)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에 결합되어 비상구(114)를 차단하는 제1 비상문(130); 메인 스크린(110)의 일면에 마련되되 비상구(114)의 상부에 결합되어 비상구(114) 및 제1 비상문(130)을 덮는 제2 비상문(120); 및 메인 스크린(110)의 타면에 마련되되 비상구(114)의 상부에 결합되어 비상구(114) 및 제1 비상문(130)을 덮는 제3 비상문(140)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6, th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스크린(110)은 건물 등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화재 지역을 차단하여 화기, 연기 등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1 to 5, the
메인 스크린(110)의 상단은 샤프트(112)에 연결되어 있고, 샤프트(112)가 회전함에 따라 메인 스크린(110)은 샤프트(112)에 권취되어 필요한 경우 하측 방향으로 내려가거나 상측 방향으로 올라갈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메인 스크린(110)은 모터 등과 같은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샤프트(112)에 감기거나 샤프트(112)로부터 풀려질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이러한 메인 스크린(110)은 특수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 섬유 직포, 실리카 클로스(silica cloth) 또는 카본 섬유 등을 함유한 내화 또는 불연 스크린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메인 스크린(110)의 하단부에는 제1 웨이트부재(116)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웨이트부재(116)는 메인 스크린(110)이 샤프트(110)에 권취되어 승강할 때 뒤틀리거나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후술할 제2 비상문(120) 및 제3 비상문(140)과의 결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스크린(110)에 하강할 때 제1 웨이트부재(116)의 무게 때문에 메인 스크린(110)이 빠르게 하강할 수 있으며, 메인 스크린(110)이 승강할 때 메인 스크린(110)의 하단은 제1 웨이트부재(116)의 무게 때문에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할 수 있다.The
참고로, 제1 웨이트부재(116)는 어느 정도의 무게를 가지는 쇠 막대 또는 평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비상문(120) 및 제3 비상문(140)의 하단이 메인 스크린(1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자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reference, the
여기서, 메인 스크린(110)에는 사람들이 편리하게 화재 지역을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피난 통로인 비상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Here, an
비상구(114)는 메인 스크린(110)의 하단에서부터 어느 상단부분까지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상구(114)는 소방법 또는 건축법 등의 관련 규정 또는 시험 규격을 만족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한편, 화재 발생시에 메인 스크린(110)에 형성된 비상구(114)를 통해서 연기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상구(114)는 막혀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화재 발생시에는 비상구(114)는 막혀 있어야 하고, 사람들이 화재 발생지역에서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할 경우에는 비상구(114)를 개방할 수 있어야 하되 비상구(114)를 통해서 사람이 대피한 이후에 비상구(114)는 닫힌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즉, 사람이 비상구(114)를 통해서 탈출 또는 대피한 후에 비상구(114)가 열려 있으면, 비상구(114)를 통해서 연기 또는 불이 확산될 수 있기 때문에 사람이 통과한 후에 비상구(114)는 반드시 닫혀 있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방화 셔터(100)의 메인 스크린(110)에 형성된 비상구(114)는 제1 비상문(130), 제2 비상문(120) 및 제3 비상문(140)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즉, 제1 비상문(130), 제2 비상문(120) 및 제3 비상문(140)은 비상구(114)의 도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Here, the
참고로, 하기에서 설명하는 메인 스크린(110)의 일면은 화재 지역과 맞닿아 있는 부분을 의미하고, 메인 스크린(110)의 타면은 안전 지역과 맞닿아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메인 스크린(110)의 일면은 화재 지역, 메인 스크린(110)의 타면은 안전 지역일 수 있다. For reference, one surface of th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제1 비상문(130)은 비상구(114)를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비상문(130)은 메인 스크린(110)의 일면에 마련되되 비상구(114)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에 결합되어 비상구(114)를 차단할 수 있다. 1 to 5, first, the
제1 비상문(130)은 비상구(114)의 폭방향 좌우 양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으로 마련된 제1 비상문(130)중 어느 하나는 비상구(114)의 폭방향 좌측에 결합되고 한 쌍으로 마련된 제1 비상문(130) 중 다른 하나는 비상구(114)의 폭방향 우측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비상구(114)의 좌측에 결합된 제1 비상문(130)을 좌측 제1 비상문(130a)이라 하고, 비상구(114)의 우측에 결합된 제1 비상문(130)을 우측 제1 비상문(130b)이라 한다. The
제2 비상문(120) 및 제3 비상문(140)과 달리 제1 비상문(130)은 비상구(114)의 상단에 연결되지 않고 비상구(114)의 폭방향 좌우 양단에 연결되어 있다.Unlike the
비상구(114)의 폭방향 양단에 연결되지 않은 좌측 제1 비상문(130a) 및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비고정 단부는 비상구(114)의 폭방향 가운데 지점에서 서로 맞닿거나 약간 겹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좌측 제1 비상문(130a) 및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비고정 단부가 서로 맞닿거나 겹치기 때문에 비고정 단부의 사이에는 틈이 거의 없다. The non-fixed ends of the left
상기한 바와 같이, 좌측 제1 비상문(130a) 및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비고정 단부가 중첩되게 구현하여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 사이에 틈이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화재 발생시 사람들이 제1 비상문(130)을 열고 안전 지역으로 대피하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고 중첩된 부분의 두께가 다른 부분 보다 크기 때문에 제1 비상문(130)의 양면에 위치하는 제2 비상문(120) 및 제3 비상문(140)이 제1 비상문(130)에 밀착되지 못할 수는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non-fixed ends of the left
좌측 제1 비상문(130a) 및 우측 제1 비상문(130b)은 크기 및 형태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좌측 제1 비상문(130a) 및 우측 제1 비상문(130b) 중 어느 하나를 쉽게 열 수 있기 때문에 제1 비상문(130)을 여닫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또한, 좌측 제1 비상문(130a) 및 우측 제1비상문(130b)의 비고정 단부가 비상구(114)의 폭방향 가운데 지점에서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좌측 제1 비상문(130a)의 좌측단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우측단은 비상구(114)의 폭방향 좌우 양단 보다 길게 형성하여 메인 스크린(110)의 일부분과 겹쳐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측 제1 비상문(130a) 및 우측 제1 비상문(130b)은 비상구(114)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마련되되, 좌측 제1 비상문(130a)의 좌측단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우측단은 비상구(114)의 폭방향 좌우 양단 보다는 크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좌측 제1 비상문(130a)의 좌측단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우측단이 비상구(114)의 폭방향 좌우양단과 맞닿는 길이로 형성되면 비상구(114)의 폭방향 좌우 양단과 제1 비상문(130) 사이의 틈새가 생길 수 있고 제1 비상문(130)을 메인 스크린(110) 즉, 비상구(114)의 폭방향 좌우 양단에 결합할 수도 없게 된다.Further, the left ends and the right sides of the left
제1 비상문(130)은 좌측 제1 비상문(130a) 및 우측 제1비상문(130b)의 비고정 단부가 비상구(114)의 폭방향 가운데 지점에서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좌측 제1 비상문(130a)의 좌측단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우측단이 비상구(114)의 폭방향 좌우양단을 지나서 메인 스크린(110)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좌측 제1 비상문(130a)의 좌측단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우측단은 메인 스크린(110)과 박음질됨으로써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비상문(130)의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이 비상구(114)의 폭방향 좌우 양측에 결합되기 때문에 제1 비상문(130)은 비상구(114)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즉, 좌측 제1 비상문(130a)은 좌측 방향으로 개폐되고 우측 제1 비상문(130b)은 우측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The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비상문(130)을 열고 사람이 대피한 후에는 제1 비상문(130)이 닫혀야 하기 때문에 제1 비상문(130)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131)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비상문(130)은 비상구(114)의 상측에 마련되는 개폐부(131)에 의해 비상구(114)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이러한 개폐부(131)는 지지부재(133) 및 연결와이어(132)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131)는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상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지지부재(133)는 연결와이어(132)가 삽입되며 삽입된 연결와이어(132)를 메인 스크린(110)에 대해 고정하거나 지지하는 부분이다. 지지부재(133)는 내부가 중공인 관의 형태로 비상구(114)의 상부 즉,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상부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와이어(132)는 지지부재(133)의 내부에 삽입되고 연결와이어(132)의 어느 일단이 지지부재(133)의 일단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재(133)가 너무 크거나 무거운 소재로 마련될 경우에는 메인 스크린(110)의 일면에 마련되는 지지부재(133)가 메인 스크린(110)으로부터 탈락되거나 메인 스크린(110)에 대해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고 메인 스크린(110)이 권취될 때 균일한 형태로 권취될 수 없다. The
연결와이어(132)는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즉, 사람이 비상구(114)를 통과한 후에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은 연결와이어(132)에 의해서 다시 닫히고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와이어(132)는 좌측 제1 비상문(130a) 또는 우측 제1 비상문(130b)이 열리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사람이 비상구(114)를 통과한 후에는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이 닫히도록 해야 한다.The
지지부재(133)에 삽입된 연결와이어(132)의 일단은 지지부재(133)에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부재(133)를 통과한 후에 제1 비상문(130)과 연결되어 제1 비상문(130)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킨다. 여기서, 연결와이어(132)는 와이어(wire)의 형태로 마련되되, 제1 비상문(130)의 열림 또는 닫힘 여부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으므로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부재 또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e end of the
예를 들면, 제1 비상문(130)이 열림 상태가 되면 연결와이어(132)는 제1 비상문(130)에 의해 당겨져서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반대로, 제1 비상문(130)이 닫힘 상태가 되면 연결와이어(132)는 길이가 줄어들면서 최초의 상태로 복원되어 최초의 길이를 유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와이어(132)는 그 일단부가 제1 비상문(130)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지지부재(133)를 통과한 후에 지지부재(133)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133)에 걸려 고정된 연결와이어(132)의 타단부는 그 끝을 꺾어서 지지부재(133)에 걸게 되고, 그 꺾인 부분이 지지부재(133)의 끝단부에 걸려서 연결와이어(132)가 고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5, the
한편, 지지부재(133)는 고정부재(134)에 의해 비상구(114)의 상부 즉,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134)는 메인 스크린(110) 및 제1 비상문(130)과 동일한 소재로 마련되어 지지부재(133)를 덮을 수 있다. 고정부재(134)에 의해 지지부재(133)가 덮이기 때문에 지지부재(133)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시 화기에 의해 지지부재(133)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고정부재(134)가 막을 수 있다. Meanwhile, the
고정부재(134)는 지지부재(133)를 덮을 뿐만 아니라 지지부재(133)를 고정하는 부재이다. 꺾여서 지지부재(133)의 고정되는 연결와이어(132)의 타단부는 고정부재(134)에도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결와이어(132)의 꺾인 타단부가 고정부재(134)과 지지부재(133)의 길이방향 일단에 동시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ixing
연결와이어(132)는 좌측 제1 비상문(130a) 또는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개폐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거나 원래의 길이로 줄어드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연결와이어(132)는 2가지 형태로 마련되거나 2개의 부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와이어(132) 중 지지부재(133)의 내부에 있는 부분은 코일 스프링 형태를 가지거나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되고, 지지부재(133)의 외부로 노출되어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에 연결되는 부분은 통상의 와이어 형태를 가지거나 와이어로 마련될 수 있다.The
한편, 개폐부(131)도 상술한 제1 비상문(130)과 마찬가지로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개폐부(131)는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상부에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and
구체적으로, 한 쌍의 개폐부(131) 중에서 좌측 제1 비상문(130a)의 상부에 위치된 개폐부(131)는 제1 비상문(130) 중 우측 제1 비상문(130b)과 연결되고,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상부에 위치된 개폐부(131)는 제1 비상문(130) 중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한 쌍의 개폐부(131) 중 어느 하나는 한 쌍의 제1 비상문(130) 중 서로 엇갈린 위치에 있는 어느 하나의 제1 비상문(130)과 연결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opening and
한 쌍의 제1 비상문(130) 즉,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은 각각 한 쌍의 개폐부(131) 중 우측 상부에 마련된 개폐부(131)와 좌측 상부에 마련된 개폐부(131)에 의해 비상구(114)를 기준으로 각각 좌측 또는 우측으로 비상구(114)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한 쌍의 제1 비상문(130)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여닫는 여닫이 형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재 현장에서 안전 지역으로 대피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후술할 제2 비상문(120)을 상측으로 젖힌 후에 한 쌍의 제1 비상문(130) 중 적어도 하나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어 젖혀서 비상구(114)를 개방한 후에 후술할 제3 비상문(140)을 상측으로 젖힌 후에 비상구(114)를 통해 안전 지역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The pair of
또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한 쌍의 제1 비상문(130), 즉 좌측 제1 비상문(130a) 및 우측 제1 비상문(130b) 각각에는 모서리부(137)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모서리부(137)는 한 쌍의 제1 비상문(130)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제1 비상문(130)이 맞닿는 부분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만약, 한 쌍의 제1 비상문(130)에 모서리부(137)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한 쌍의 제1 비상문(130)의 일부분이 서로 중첩되어 열고 닫는 것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1 to 5, an
한편, 한 쌍의 제1 비상문(130)의 모서리부(137)에는 고리부(135)가 마련될 수 있다. 고리부(135)에는 연결와이어(132)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리부(135)에는 금속 재질의 보강부 또는 아일렛(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고리부(135)에 보강부 또는 아일렛(eyelet)이 마련됨에 따라 제1 비상문(130)과 연결와이어(132)의 연결을 더욱 안정적으로 할 수 있고, 고리부(135)가 찢어지는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a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2 비상문(120)은 메인 스크린(110)의 일면에서 비상구(114) 및 제1 비상문(130)을 덮는 부재이다. 제2 비상문(120)은 메인 스크린(110)의 일면에 마련되되 비상구(114)의 상부에 결합되어 비상구(114) 및 제1 비상문(130)을 덮음으로써 비상구(114)와 제1 비상문(130) 사이의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비상문(120)은 비상구(114)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비상문(120)과 제3 비상문(140)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 to 5, the
제2 비상문(120)이 비상구(114) 보다 크기 때문에 비상구(114)의 폭방향 좌우 양단을 지나서 제2 비상문(120)의 폭방향 좌우 양단이 위치하게 된다. 즉, 제2 비상문(120)이 폭방향 좌우 양단은 비상구(114)의 폭방향 좌우 양단을 지나서 메인 스크린(110)의 일면 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비상문(120)의 폭방향 좌우 양단이 메인 스크린(110)의 일면에 놓인 상태에서 제2 비상문(120)의 좌우 양단과 메인 스크린(110) 사이에 틈새가 생기게 되면, 그 틈새를 통해서 연기나 불이 스며들 수 있다. 하지만, 연기 등이 그 틈새로 스며들어도 제1 비상문(130)에 의해서 비상구(114)가 닫힌 상태이기 때문에 연기 등이 메인 스크린(110)이 타면 쪽 즉, 안전지대 쪽으로 퍼져 나가지 못한다.Since the
여기서, 제2 비상문(120)은 전술한 제1 비상문(130)과는 다르게 비상구(114)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이 제2 비상문(120)을 열고 비상구(114)를 빠져 나가기 위해서 제2 비상문(120)을 위로 들고 젖혀야 비상구(114)로 빠져나갈 수 있다. Here, the
사람들이 빠져나간 후에는 제2 비상문(120)의 원래의 상태 또는 위치로 복원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2 비상문(120)의 하단부에는 제1 결속부재(124)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결속 부재(124)는 자성을 가지는 소재 또는 자석(magnetic)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비상문(120)의 하단부에 마련된 제1 결속부재(124)는 메인 스크린(110)에 마련된 제1 웨이트부재(116)에 결합되어 제2 비상문(120)과 메인 스크린(110)과의 밀착 상태를 유지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비상문(120)과 메인 스크린(110)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제2 비상문(120)과 메인 스크린(110) 사이의 틈을 통해 화기나 연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fter people exit, they must be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or location of the
한편, 제2 비상문(120)은 상술한 제1 비상문(130)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비상문(120)도 뒤틀리거나 휘어질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단부에 제2 웨이트부재(126)가 마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제2 웨이트부재(126)는 어느 정도의 무게를 가지는 금속 소재로 마련되기 때문에 제2 웨이트부재(126)는 제2 비상문(120)이 비틀리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제2 비상문(120)이 메인 스크린(110)과 제1 비상문(130)에 대해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비상구(114)를 통과하기 위해 제2 비상문(120)을 위로 젖혀서 통과한 후에는 제2 웨이트부재(126)의 무게 때문에 제2 비상문(120)이 아래로 떨어지면서 제2 비상문(120)이 비상구(114)를 폐쇄하게 된다. 참고로, 제2 웨이트부재(126)가 자성이 있는 소재로 마련될 경우에는 제1 결속부재(124)가 없이도 제2 비상문(120)과 메인 스크린(110)과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제2 비상문(120)의 하단부에 제1 결속부재(124)를 마련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Since th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3 비상문(140)은 비상구(114) 및 제1 비상문(130)을 덮기 위한 부재이다. 이러한 제3 비상문(140)은 메인 스크린(110)의 타면에 마련되되 비상구(114)의 상부에 결합되어 비상구(114) 및 제1 비상문(130)을 덮음으로써 비상구(114)와 제1 비상문(130)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to 5, the
제3 비상문(140)의 하단부에도 상술한 제2 비상문(120)과 같은 위치에 제2 결속부재(144)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결속부재(144)는 자성을 띄는 소재 또는 자석(magnetic)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3 비상문(140)의 하단부에 마련된 제2 결속부재(144)는 메인 스크린(110)의 하단부에 마련된 제1 웨이트부재(116)와 결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비상문(140)과 메인 스크린(110)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제3 비상문(140)과 메인 스크린(110) 사이를 통해 화재 현장의 화기나 연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econd
또한, 제3 비상문(140)의 하단부에도 제3 웨이트부재(146)가 마련될 수 있다. 제3 웨이트부재(146)는 제3 비상문(140)이 비틀리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제3 비상문(140)이 메인 스크린(110)과 제1 비상문(130)에 대해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비상구(114)를 통과하기 위해 제3 비상문(140)을 위로 젖혀서 통과한 후에는 제3 웨이트부재(146)의 무게 때문에 제3 비상문(140)이 아래로 떨어지면서 제3 비상문(140)이 비상구(114)를 폐쇄하게 된다. 참고로, 제3 웨이트부재(146)가 자성이 있는 소재로 마련될 경우에는 제3 비상문(140)의 하단부에 제2 결속부재(144)를 마련하지 않더라도 제3 비상문(140)의 하단부에 마련된 제3 웨이트부재(146)에 의해 메인 스크린(110)과 안정적으로 결속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즉, 제2 비상문(120)은 메인 스크린(110)의 일면에 마련되어 제1 비상문(130)의 일면을 덮고, 제3 비상문(140)을 메인 스크린(110)의 타면에 마련되어 제1 비상문(130)의 타면을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상구(114)는 제1 비상문(130)에 의해 1차적으로 차단되고, 제2 비상문(120)에 의해 2차로, 제3 비상문에 의해 3차로 차단될 수 있다. That is, the
한편, 화재 발생시 비상구(114)를 통해 안전 지역으로 대피할 경우에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제2 비상문(120)을 상측으로 젖힌 다음 제1 비상문(13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열고, 제3 비상문(140)을 상측으로 젖혀 올린 후 비상구(114)를 통과하면 된다. 이때, 제1 비상문(130), 제2 비상문(120) 및 제3 비상문(14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 스크린(110)과 같이 실리카 섬유 또는 화이버 글라스와 같은 내열성 섬유(fiber)로 마련되기 때문에 무게가 무겁지 않아서 사람들이 화재 현장에서 제2 비상문(120), 제1 비상문(130) 및 제3 비상문(140)을 차례대로 젖히고 안전 지역으로 대피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evacuating to a safety area through the
비상구(114)를 통과할 때, 피난자(사람)는 제1 비상문(130)의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좌우로 밀어 제치면서 비상구(114)를 통과하게 된다. 예를 들어, 피난자가 좌측 제1 비상문(130a)을 좌측으로 밀어 제치게 되면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상부에 마련된 연결와이어(132)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비상구(114)에 탈출 공간이 생기게 되고, 피난자가 그 탈출 공간을 통해서 비상구(114)를 통과한 후에는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상부에 마련된 연결와이어(132)의 길이가 줄어들면서 좌측 제1 비상문(130a)이 우측으로 움직여 비상구(114)가 닫히게 된다. 피난자가 우측 제1 비상문(130b)을 우측으로 밀어 제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반대로 작동하게 된다. When passing through the
또한, 경우에 따라서 피난자는 양손으로 제1 비상문(130)의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을 모두 밀어 제치면서 탈출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1 비상문(130)의 좌측 제1 비상문(130a)과 우측 제1 비상문(130b)의 개폐 동작도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In some cases, the evacuator may escape by pushing both the left
참고로, 제2 비상문(120), 제1 비상문(130) 및 제3 비상문(140)을 차례로 젖히고 화재 현장에서 안전지역으로 대피한 후에는 제1 비상문(130)의 개폐부(131), 제2 비상문(120)의 제2 웨이트부재(126) 및 제3 비상문(140)의 제3 웨이트부재(146)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2 비상문(120), 제1 비상문(130) 및 제3 비상문(140)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와서 비상구(114)를 3중으로 차단할 수 있다. For reference, after the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셔터(100)는 비상구(114)를 차단하는 비상문을 제1 비상문(130), 제2 비상문(120), 제3 비상문(130)의 3중으로 구성함에 따라 비상구(114)와 메인 스크린(110)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재 현장에서 발생된 화기나 연기를 피난 방향 쪽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is is mere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all of the claims below, as well as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방화 스크린 셔터
110: 메인 스크린
114: 비상구
116: 제1 웨이트부재
120: 제2 비상문
124: 제1 결속부재
126: 제2 웨이트부재
130: 제1 비상문
130a: 좌측 제1 비상문
130b: 우측 제1 비상문
131: 개폐부
132: 연결와이어
133: 지지부재
134: 고정부재
135: 고리부
137: 모서리부
140: 제3 비상문
144: 제2 결속부재
146: 제3 웨이트부재100: fireproof screen shutter
110: home screen
114: emergency exit
116: first weight member
120: second emergency door
124: first binding member
126: second weight member
130: First Emergency Door
130a: left first emergency door
130b: right first emergency door
131: opening and closing part
132: connection wire
133: support member
134: fixing member
135: ring portion
137: corner
140: third emergency door
144: second binding member
146: third weight member
Claims (9)
상기 비상구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에 결합되어 상기 비상구를 차단하는 제1 비상문;
상기 메인 스크린의 일면에 마련되되 상기 비상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비상구 및 상기 제1 비상문을 덮는 제2 비상문; 및
상기 메인 스크린의 타면에 마련되되 상기 비상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비상구 및 상기 제1 비상문을 덮는 제3 비상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A main screen on which an emergency exit is formed;
A first emergency door coupled to a left side or a right side of the emergency exit to block the emergency exit;
A second emergency doo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screen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mergency exit to cover the emergency exit and the first emergency door; And
A third emergency door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screen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mergency exit to cover the emergency exit and the first emergency door;
Fire screen shutter comprising a.
상기 비상구의 상측에는 상기 비상구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비상구의 상부에 마련되며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고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비상문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비상문의 열림 상태 또는 닫힘 상태에 따라 길이가 신축되는 연결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mergency exi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emergency exit,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 support member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emergency exit and formed in a hollow; And
A connection wire fixed to the support member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emergency door through the support member and having a length stretched according to an open state or a closed state of the first emergency door; Fire screen shutter.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하거나 덮는 고정부재가 상기 비상구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메인 스크린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The method of claim 2,
Fixing member for fixing or covering the support member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emergency exit,
The fixing member is a fire screen shutt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in screen.
상기 연결와이어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끝단이 꺾여서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상기 고정부재의 길이방향 일단에 걸려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wire penetrates through the support member and is bent at an end thereof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wire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or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member.
상기 제1 비상문은 상기 비상구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결합되는 좌측 제1 비상문 및 우측 제1 비상문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좌측 제1 비상문 및 상기 우측 제1 비상문의 상부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좌측 제1 비상문의 상부에 마련된 상기 개폐부 또는 상기 연결와이어는 상기 우측 제1 비상문과 연결되고, 상기 우측 제1 비상문의 상부에 마련된 상기 개폐부 또는 상기 연결와이어는 상기 좌측 제1 비상문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emergency door includes a left first emergency door and a right first emergency door respectively coupled to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mergency exit,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s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The opening part or the connection wire provided on the upper left first emergency door is connected to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and the opening part or the connection wire provided on the upper right first emergency door is connected to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Fire prevention screen shutter characterized by.
상기 연결와이어 중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코일 스프링 형태로 감겨 있거나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The method of claim 5,
And a portion of the connection wire located inside the support member is wound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or is a coil spring.
상기 좌측 제1 비상문 및 상기 우측 제1 비상문의 모서리부에는 상기 연결와이어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고리부가 마련되고,
상기 고리부에는 금속 재질의 보강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The method of claim 6,
Corner portions of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are provided with a ring portion to which one end of the connection wire is connected,
Fire prevention screen shut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reinforcement of a metallic material.
상기 좌측 제1 비상문 및 상기 우측 제1비상문의 폭방향 양단 중 어느 일단은 상기 비상구의 폭방향 가운데 지점에서 서로 맞닿고, 상기 좌측 제1 비상문및 상기 우측 제1 비상문의 폭방향 양단 중 타단은 상기 비상구의 폭방향 좌우양단을 지나서 상기 메인 스크린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The method of claim 5,
One end of the width direction ends of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abuts each other at a center poi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mergency exit, and the other end of the width direction ends of the left first emergency door and the right first emergency door. The fire screen shutte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main screen past the width direction left and right ends of the emergency exit.
상기 메인 스크린과 상기 제2 비상문 및 상기 메인 스크린과 상기 제3 비상문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 스크린의 하단부, 상기 제1 비상문의 하단부 및 상기 제3 비상문의 하단부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In order to prevent a gap between the main screen and the second emergency door and the main screen and the third emergency door, a lower end of the main screen, a lower end of the first emergency door, and a lower end of the third emergency door may be provided. Fire screen shutt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binding member is provid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4345A KR102106786B1 (en) | 2018-08-13 | 2018-08-13 | Fireproof screen shut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4345A KR102106786B1 (en) | 2018-08-13 | 2018-08-13 | Fireproof screen shut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8924A true KR20200018924A (en) | 2020-02-21 |
KR102106786B1 KR102106786B1 (en) | 2020-05-06 |
Family
ID=69670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4345A KR102106786B1 (en) | 2018-08-13 | 2018-08-13 | Fireproof screen shut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678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2035B1 (en) * | 2023-04-04 | 2024-02-01 | 주식회사 선일기업 | Wall-through screen fireproof shutt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14521A (en) * | 2000-05-11 | 2001-11-13 | Unitika Glass Fiber Co Ltd | Screen shutter for fire limit |
KR20090110530A (en) * | 2008-04-18 | 2009-10-22 | 임흥순 | Fireproof Screen Shutter with New Emergency Exit Structure |
KR100980382B1 (en) * | 2009-07-10 | 2010-09-07 | (주) 신진도아스 | Fireproof screen shutter having triple exit door |
KR20120020214A (en) * | 2010-08-27 | 2012-03-08 | 동락산업 주식회사 | Integrally formed screen fireproof shutter |
-
2018
- 2018-08-13 KR KR1020180094345A patent/KR10210678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14521A (en) * | 2000-05-11 | 2001-11-13 | Unitika Glass Fiber Co Ltd | Screen shutter for fire limit |
KR20090110530A (en) * | 2008-04-18 | 2009-10-22 | 임흥순 | Fireproof Screen Shutter with New Emergency Exit Structure |
KR100980382B1 (en) * | 2009-07-10 | 2010-09-07 | (주) 신진도아스 | Fireproof screen shutter having triple exit door |
KR20120020214A (en) * | 2010-08-27 | 2012-03-08 | 동락산업 주식회사 | Integrally formed screen fireproof shutt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2035B1 (en) * | 2023-04-04 | 2024-02-01 | 주식회사 선일기업 | Wall-through screen fireproof shut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6786B1 (en) | 2020-05-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104011B2 (en) | Fireproof or smokeproof fireproof shutter | |
TWI429466B (en) | Insulated fire shutter | |
KR100842219B1 (en) | The structure of emergency door for of screen shutter for fire proofing | |
KR101348122B1 (en) | Screen shutter device | |
KR20200018924A (en) | Fireproof screen shutter | |
KR101757466B1 (en) |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emergency door for fireproof screen shutter | |
KR101742044B1 (en) | Fireproof screen shutter | |
KR100980382B1 (en) | Fireproof screen shutter having triple exit door | |
KR100789767B1 (en) | The sealing structure and self closing for emergency door for of screen shutter for fire proofing | |
KR101464627B1 (en) | Threshold rise-fall apparatus for fire prevention door | |
JP4789763B2 (en) | Walk-through fireproof screen | |
KR20200143118A (en) | Fire door shutter | |
KR101995687B1 (en) | Non-threshold fireproof screen shutter | |
KR200411903Y1 (en) | Fireproof screen shutter | |
JP2001087406A (en) | Fireproof/smokeproof shutter | |
KR100987888B1 (en) | Screen shutter for fire prevention | |
KR100993102B1 (en) | Screen shutter for fire prevention | |
KR101438052B1 (en) | An articulated fireproof screen shutter | |
KR100980372B1 (en) | Fireproof screen shutter with exit door having locking parts | |
KR20110064803A (en) | Fixing structure of exit for fireproof screen shutter | |
JP3102376B2 (en) | Fire protection screen device | |
KR102656680B1 (en) | Looped surface type fireproof screen shutter | |
KR101386714B1 (en) | Guide system for protection of screen moving | |
KR101496969B1 (en) | The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for building | |
KR100963500B1 (en) | Firestop screen with built in exit do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