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564B1 -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 및 광학 농도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 및 광학 농도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564B1
KR102106564B1 KR1020187027737A KR20187027737A KR102106564B1 KR 102106564 B1 KR102106564 B1 KR 102106564B1 KR 1020187027737 A KR1020187027737 A KR 1020187027737A KR 20187027737 A KR20187027737 A KR 20187027737A KR 102106564 B1 KR102106564 B1 KR 102106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density
hole
solution
outer cover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6395A (ko
Inventor
이-쉰 쿠
Original Assignee
동구안 쳉양 일렉트로닉 메커니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구안 쳉양 일렉트로닉 메커니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동구안 쳉양 일렉트로닉 메커니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16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1/03Cuvette constructions
    • G01N21/05Flow-through cuv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75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015/069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1/03Cuvette constructions
    • G01N21/05Flow-through cuvettes
    • G01N2021/054Bubble trap; Debubb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2Mechanical
    • G01N2201/021Special mounting in general
    • G01N2201/0216Vehicle bor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2Mechanical
    • G01N2201/022Ca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Optical Measuring Cells (AREA)

Abstract

본 출원에서 개시한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는 외부 커버 및 상기 외부 커버의 내측에 감입 장착된 기포 막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커버에는 대류홀이 개구되고; 상기 기포 막이부에는 액체 유입홀이 개구된다. 상기 보호케이스를 포함하는 광학 농도 측정 장치를 더 개시한다. 보호케이스를 배치하여 센서 본체를 보호함으로써, 한 방면으로는 센서 본체가 충돌 또는 압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센서 본체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고, 다른 한 방면으로는 보호케이스 내측의 측정될 용액을 정지에 접근하도록 하여 측정 결과의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외부 커버의 외측에 기공 막이판을 배치함으로써 측정될 용액이 주입 과정에서 측정 영역에 직접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먼지 등 오염물이 측정 영역 내로 진입하여 측정 결과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므로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Description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 및 광학 농도 측정 장치
본 출원은 센서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어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 및 광학 농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소(urea) 또는 요소 기반 용액은 일반적으로 차량에 응용되어 배기가스 배출을 줄인다. 예를 들어, 일부 디젤 차량은 연료 탱크와 분리된 요소 탱크를 포함하며, 해당 요소 탱크는 차량용 요소 용액과 같은 작용유(working fluid)를 휴대하기 위한 것이다. 차량용 요소 용액은 요소 탱크에 저장되고, 차량의 배기가스에 분사되어 질소 산화물을 기본적으로 질소 원소와 물로 전환시키므로 차량의 유해한 배출을 줄인다.
국가 IV급 기준 및 그 이상의 배출 기준을 전면적으로 실시함에 따라, 모든 중형 상용차에는 반드시 선택적 촉매 감소 기술(Selective Catalyst Reduction, SCR) 시스템 또는 이와 동등한 배기가스 저감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며, 현재 대부분의 자동차 공장은 SCR 시스템을 우선으로 선택하므로 반드시 요소를 사용해야 한다. 차량용 요소 용액은 일정한 농도 범위를 확보하여야만 산화물을 질소와 물로 완전히 전환할 수 있으며, 농도가 너무 높으면 NH3의 2차 오염을 초래할 수 있고, 농도가 너무 낮으면 배출 요구에 만족할 수 없으며, 수돗물이나 해수를 사용하거나 또는 디젤유 등 기타 용매를 잘못 사용하면 값 비싼 배기가스 처리시스템이 파손될 수도 있다. 배출가스 자기진단(on-board diagnostics, OBD) 시스템의 강제 실행에 따라, 배출이 기준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요소 품질 농도가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차량의 비틀림이 제한되거나 심지어 차량의 시동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국외의 유로 6 배기가스 규제기준의 실시에 따라 질량 센서는 강제적인 설치 부재로 되었다. 상기 내용에 기반하면 요소 용액 중의 요소의 농도 검출의 정확성은 매우 중요하다.
관련기술에서는, 광을 방출하고 해당 광을 내부 챔버로 전송하도록 액체 용액 내에 배치된 내부 챔버에 조작 가능하게 결합된 광원; 상기 내부 챔버로부터 상기 광의 적어도 일부분을 접수하도록 상기 내부 챔버에 조작 가능하게 결합된 광 검출기;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과 상기 광 검출기가 접수한 광의 일부분에 기반하여 상기 액체 용액의 농도 또는 질량을 결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액체 측정 센서를 개시하였다.
상기 액체 측정 센서는 요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지만, 해당 기술방안은 요소 농도 측정 과정에서 측정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제거할 수 없으며, 예를 들어, 해당 기술방안은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를 미리 제거할 수 없고, 만일 측정될 용액에 기포가 섞이면 요소 농도의 측정 정밀도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상기 기술방안을 통해 얻은 요소 농도의 측정 결과는 신뢰성이 낮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센서 본체가 충돌 또는 압축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센서 본체를 보호하여, 센서 본체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는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호케이스 내측의 측정될 용액을 정지에 접근하도록 하여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센서 본체를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센서 본체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는 동시에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광학 농도 측정 장치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의 기술방안을 채택할 수 있다:
한 방면으로, 외부 커버 및 상기 외부 커버의 내측에 감입 장착된 기포 막이부(bubble isolation shield)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커버에는 대류홀(convection hole)이 개구되고;
상기 기포 막이부에는 액체 유입홀(liquid intake hole)이 개구되는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외부 커버와 기포 막이부는 모두 비투광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보호케이스를 배치하여 센서 본체가 충돌 또는 압축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센서 본체를 보호하여, 센서 본체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의 기술방안으로서, 기공 막이판(air hole baffle plate)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커버에는 제1배기홀이 개구되고, 상기 기공 막이판은 상기 제1배기홀을 가리며, 상기 기공 막이판과 상기 제1배기홀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한다.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는 중간 고정 프레임, 상부 고정 브래킷, 하부 고정 브래킷 및 고정 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의 일단에는 상기 외부 커버와 기포 막이부가 장착되고,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 링이 장착되며,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의 외측에는 상기 상부 고정 브래킷과 상기 하부 고정 브래킷이 슬리빙 된다. 상기 기포 막이부와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는 측정될 용액의 측정 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기공 막이판은 상기 상부 고정 브래킷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기공 막이판은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기공 막이판은 상기 외부 커버에 고정될 수 있다.
제1배기홀의 외측에 기공 막이판을 배치함으로써 측정될 용액이 제1배기홀로부터 측정 영역에 직접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먼지 등 오염물이 제1배기홀로부터 측정 영역 내로 진입하여 측정 결과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므로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의 기술방안으로서, 상기 기포 막이부에는 제2배기홀이 개구되고, 상기 제1배기홀과 상기 제2배기홀은 연통된다.
상기 제1배기홀의 중심 축선과 상기 제2배기홀의 중심 축선은 동일한 직선일 수 있다.
연통되는 상기 제1배기홀과 상기 제2배기홀을 개구함으로써 측정 영역이 외부와 공기 대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측정될 용액이 측정 영역으로 진입하도록 확보할 수 있다.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의 기술방안으로서, 상기 대류홀과 상기 액체 유입홀 사이에는 배리어(barrier)가 배치되고, 측정될 용액은 상기 대류홀로부터 상기 배리어를 에돌아 상기 액체 유입홀에 도달한다.
상기 배리어를 배치하되 측정될 용액이 배리어를 에돌아야만 액체 유입홀에 도달하도록 상기 배리어를 상기 대류홀과 상기 액체 유입홀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를 액체와 효과적으로 분리시켜 측정 영역에 진입한 측정 용액에 기포가 없도록 확보할 수 있다.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의 기술방안으로서, 상기 외부 커버에는 두 개의 상기 대류홀이 개구되고, 상기 배리어는 두 개의 분리판을 포함하며, 상기 액체 유입홀은 두 개의 상기 분리판 사이에 개구되고, 두 개의 상기 대류홀은 각각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의 외측에 배치된다.
두 개의 상기 대류홀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외부 커버의 내측 및 외측을 효과적으로 대류 유통시켜, 측정될 용액이 상기 외부 커버 내로 신속하게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두 개의 상기 대류홀을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의 외측에 각각 배치하여 상기 분리판이 상기 대류홀 및 상기 액체 유입홀을 효과적으로 이격시키도록 함으로써,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가 더 효과적으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의 기술방안으로서,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은 "八" 자형으로 분포된다.
상기 분리판을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가 상기 분리판을 따라 더 용이하게 부상 및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의 기술방안으로서,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은 각각 제1분리판과 제2분리판이며, 상기 액체 유입홀은 상기 제1분리판과 상기 제2분리판 사이의 거리가 큰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액체 유입홀은 상기 제2분리판에 근접한다.
작동 상태에서 상기 제1분리판은 상기 제2분리판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기술방안은 상기 액체 유입홀을 상기 제2분리판에 근접한 위치, 즉 상기 액체 유입홀을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하여,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가 상기 액체 유입홀로부터 측정 영역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의 기술방안으로서, 상기 외부 커버는 개구단과 밀봉단을 구비하고, 상기 대류홀은 상기 외부 커버의 밀봉단의 둘레부에 배치되며, 상기 기포 막이부는 개방단과 폐쇄단을 구비하고, 상기 배리어와 액체 유입홀은 모두 상기 기포 막이부의 폐쇄단에 배치되며, 상기 기포 막이부의 폐쇄단과 상기 외부 커버의 밀봉단 사이에는 기포 분리 챔버가 형성된다.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의 기술방안으로서, 상기 기포 막이부는 탄성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상기 기포 막이부는 러버(rubber)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탄성소재를 사용하여 기포 막이부를 제조함으로써 결빙으로 인한 측정 용액의 작용력을 완충하여, 측정 용액의 결빙으로 인한 작용력이 제품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한 방면으로, 상기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를 포함하는 광학 농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해당 광학 농도 측정 장치는 요소 용액 중의 요소의 농도를 검출하도록 배치된다.
광학 농도 측정 장치의 기술방안으로서, 센서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 본체에는 수평방향으로 개구된 측정 갭(testing gap)이 배치된다.
상기 센서 본체는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센서 본체의 수평측 벽에 측정 갭을 배치함으로써,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가 측정 갭을 따라 더 용이하게 부상 및 배출되며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를 제거하여 측정 결과의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 실시예의 효과는 아래와 같다:
(1) 센서 본체가 충돌 또는 압축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센서 본체를 보호하여, 센서 본체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는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
(2) 보호케이스 내측의 측정될 용액을 정지에 접근하도록 하여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
(3) 측정될 용액이 분리판을 에돌아야만 액체 유입홀에 도달하도록 액체 유입홀을 두 개의 분리판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를 액체와 효과적으로 분리시켜 측정 영역에 진입한 측정 용액에 기포가 없도록 확보하는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
(4) 제1배기홀의 외측에 기공 막이판을 배치함으로써 측정될 용액이 제1배기홀에서 측정 영역에 직접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먼지 등 오염물이 제1배기홀로부터 측정 영역 내로 진입하여 측정 결과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므로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
(5) 탄성소재를 사용하여 기포 막이부를 제조함으로써 기포 막이부가 결빙으로 인한 측정 용액의 작용력을 완충하여, 측정 용액의 결빙으로 인한 작용력이 제품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는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
(6) 측정될 용액이 분리판을 에돌아야만 액체 유입홀에 도달하도록 보호케이스 내에 분리판을 배치함으로써,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를 액체와 효과적으로 분리시켜 측정에 사용되는 측정 용액에 기포가 없도록 확보하여 측정될 용액 농도의 측정 결과의 정밀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광학 농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7) 센서 본체의 수평측 벽에 측정 갭을 배치함으로써,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가 측정 갭을 따라 더 용이하게 부상 및 배출될 수 있으며,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를 제거하여 측정 결과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광학 농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아래에서는 첨부도면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광학 농도 측정 장치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기포 막이부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센서 본체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4는 실시예 2에 따른 광학 농도 측정 장치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5는 실시예 2에 따른 기포 막이부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센서 본체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7은 실시예 3에 따른 광학 농도 측정 장치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8은 실시예 3에 따른 기포 막이부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9는 실시예 3에 따른 센서 본체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4에 따른 광학 농도 측정 장치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4에 따른 기포 막이부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4에 따른 센서 본체의 측면 개략도이다.
아래에서는 도면을 결합하면서 실시형태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는 외부 커버(1) 및 상기 외부 커버(1)의 내측에 감입 장착된 기포 막이부(2)를 포함하고; 중간 고정 프레임(3), 상부 고정 브래킷(4), 하부 고정 브래킷(5) 및 고정 링(6)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3)의 일단에는 상기 외부 커버(1)와 기포 막이부(2)가 장착되고,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3)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 링(6)이 장착되며,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3)의 외측에는 상기 상부 고정 브래킷(4)과 상기 하부 고정 브래킷(5)이 슬리빙 된다. 상기 기포 막이부(2)와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3)의 내부 공간에는 측정될 용액의 측정 영역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커버(1)에는 대류홀(11)이 개구되고; 상기 기포 막이부(2)에는 액체 유입홀(23)이 개구되며; 상기 대류홀(11)과 상기 액체 유입홀(23) 사이에는 배리어(barrier)가 배치되고, 측정될 용액은 상기 대류홀(11)로부터 상기 배리어를 에돌아 상기 액체 유입홀(23)에 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커버(1)에는 두 개의 대류홀(11)이 개구되고, 상기 배리어는 두 개의 분리판을 포함하며, 상기 액체 유입홀(23) 및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은 모두 상기 기포 막이부(2)에 배치되며, 상기 액체 유입홀(23)은 두 개의 상기 분리판 사이에 개구되고, 두 개의 상기 대류홀(11)은 각각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의 외측에 배치된다.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외부 커버(1)의 내벽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커버(1)는 개구단과 밀봉단을 구비하며, 상기 대류홀(11)은 상기 외부 커버(1)의 밀봉단의 둘레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포 막이부(2)는 개방단과 폐쇄단을 구비하며, 상기 배리어와 액체 유입홀(23)은 모두 상기 기포 막이부(2)의 폐쇄단에 배치되고, 상기 기포 막이부(2)의 폐쇄단과 상기 외부 커버(1)의 밀봉단 사이에는 기포 분리 챔버가 형성된다.
두 개의 상기 대류홀(11)을 배치하여 상기 외부 커버(1)의 내측 및 외측을 효과적으로 대류 유통시켜, 측정될 용액이 상기 외부 커버(1) 내의 기포 분리 챔버로 신속하게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을 배치하고, 측정될 용액이 분리판을 에돌아야만 액체 유입홀(23)에 도달하도록 상기 액체 유입홀(23)을 두 개의 상기 분리판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를 액체와 효과적으로 분리시켜 측정 영역에 진입한 측정 용액에 기포가 없도록 확보한다. 두 개의 상기 대류홀(11)을 각각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의 외측에 배치하여 상기 분리판이 상기 대류홀(11) 및 상기 액체 유입홀(23을 효과적으로 이격시키도록 함으로써,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가 더 효과적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은 "八" 자형으로 분포된다. 상기 분리판을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가 상기 분리판을 따라 더 용이하게 부상(flotation) 및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은 각각 제1분리판(21)과 제2분리판(22)이며, 상기 액체 유입홀(23)은 상기 제1분리판(21)과 상기 제2분리판(22) 사이의 거리가 큰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액체 유입홀(23)은 상기 제2분리판(22)에 근접한다. 작동 상태에서 상기 제1분리판(21)은 상기 제2분리판(22)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기술방안은 상기 액체 유입홀(23)을 상기 제2분리판(22)에 근접한 위치, 즉 상기 액체 유입홀(23)을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하여,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가 상기 액체 유입홀(23)로부터 측정 영역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커버(1)는 비투광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상기 기포 막이부(2)는 비투광 탄성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탄성소재를 사용하여 기포 막이부(2)를 제조함으로써 결빙으로 인한 측정 용액의 작용력을 완충하여, 측정 용액의 결빙으로 인한 작용력이 제품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포 막이부(2)는 러버(rubber)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커버(1)에는 제1배기홀(12)이 개구되고, 상기 기포 막이부(2)에는 제2배기홀(24)이 개구 되며, 상기 제1배기홀(12)과 상기 제2배기홀(24)은 연통된다. 연통되는 상기 제1배기홀(12)과 상기 제2배기홀(24)을 개구함으로써 측정 영역이 외부와 공기 대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측정될 용액이 측정 영역으로 진입하도록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배기홀(12)의 중심 축선과 상기 제2배기홀(24)의 중심 축선은 동일한 직선이다.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는 기공 막이판(7)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공 막이판(7)은 상기 제1배기홀(12)을 가리며, 상기 기공 막이판(7)과 상기 제1배기홀(12)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한다. 제1배기홀(12)의 외측에 기공 막이판(7)을 배치함으로써 측정될 용액이 제1배기홀(12)로부터 측정 영역에 직접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먼지 등 오염물이 제1배기홀(12)로부터 측정 영역 내로 진입하여 측정 결과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므로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공 막이판(7)은 상기 상부 고정 브래킷(4)에 고정된다.
광학 농도 측정 장치는 상기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 및 센서 본체(8)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본체(8)는 상기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 본체(8)에는 수평방향으로 개구된 측정 갭(81)이 배치된다. 센서 본체(8)의 수평측 벽에 측정 갭(81)을 배치함으로써,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가 측정 갭(81)을 따라 더 용이하게 부상 및 배출될 수 있으며,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를 제거하여 측정 결과의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본체(8)는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3) 내에 장착된다. 상기 측정 갭(81)은 전체적으로 "V" 자형을 나타낸다. 상기 센서 본체(8)의 상기 측정 갭(81)의 개구 방향은 수평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측정 갭(81)의 측벽은 경사진다. 만일 측정될 용액에 제거되지 않은 기포가 남아있으면, 해당 기포는 상기 측정 갭(81)의 측벽을 따라 부상되어 상기 제2배기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는 제거된다.
측정 과정에서 측정될 용액은 상기 대류홀(11)로부터 상기 기포 분리 챔버로 진입할 수 있으나, 상기 기포 분리 챔버 내에서 상기 분리판의 저해로 인해 강제적으로 유동 방향이 변경되어 상기 액체 유입홀(23)에 직접 진입할 수 없으며, 상기 분리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분리판의 단부에 도달한 후, 상기 분리판의 저해를 벗어나 상기 액체 유입홀(23)의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기포 밀도가 작으므로, 이때 측정될 용액에 섞인 기포는 부상하여 측정 용액을 이탈하고, 기포가 제거된 측정될 용액은 상기 액체 유입홀(23)로부터 상기 측정 영역에 진입하며, 센서 본체(8)를 통해 측정될 용액에 대한 측정를 진행한다.
실시예 2: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는 외부 커버(1) 및 상기 외부 커버(1)의 내측에 감입 장착된 기포 막이부(2)를 포함하고; 중간 고정 프레임(3), 상부 고정 브래킷(4), 하부 고정 브래킷(5) 및 고정 링(6)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3)의 일단에는 상기 외부 커버(1)와 기포 막이부(2)가 장착되고,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3)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 링(6)이 장착되며,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3)의 외측에는 상기 상부 고정 브래킷(4)과 상기 하부 고정 브래킷(5)이 슬리빙 된다. 상기 기포 막이부(2)와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3)의 내부 공간에는 측정될 용액의 측정 영역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커버(1)에는 대류홀(11)이 개구되고; 상기 기포 막이부(2)에는 액체 유입홀(23)이 개구되며; 상기 대류홀(11)과 상기 액체 유입홀(23) 사이에는 배리어가 배치되고, 측정될 용액은 상기 대류홀(11)로부터 상기 배리어를 에돌아 상기 액체 유입홀(23)에 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커버(1)에는 두 개의 대류홀(11)이 개구되고, 상기 배리어는 두 개의 분리판을 포함하며, 상기 액체 유입홀(23) 및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은 모두 상기 기포 막이부(2)에 배치되며, 상기 액체 유입홀(23)은 두 개의 상기 분리판 사이에 개구되고, 두 개의 상기 대류홀(11)은 각각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의 외측에 배치된다.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외부 커버(1)의 내벽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커버(1)는 개구단과 밀봉단을 구비하며, 상기 대류홀(11)은 상기 외부 커버(1)의 밀봉단의 둘레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포 막이부(2)는 개방단과 폐쇄단을 구비하며, 상기 배리어와 액체 유입홀(23)은 모두 상기 기포 막이부(2)의 폐쇄단에 배치되고, 상기 기포 막이부(2)의 폐쇄단과 상기 외부 커버(1)의 밀봉단 사이에는 기포 분리 챔버가 형성된다.
두 개의 상기 대류홀(11)을 배치하여 외부 커버(1)의 내측 및 외측을 효과적으로 대류 유통시켜, 측정될 용액이 상기 외부 커버(1) 내의 기포 분리 챔버로 신속하게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을 배치하고, 측정될 용액이 분리판을 에돌아야만 액체 유입홀(23)에 도달하도록 상기 액체 유입홀(23)을 두 개의 상기 분리판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를 액체와 효과적으로 분리시켜 측정 영역에 진입한 측정 용액에 기포가 없도록 확보한다. 두 개의 상기 대류홀(11)을 각각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의 외측에 배치하여 상기 분리판이 상기 대류홀(11) 및 상기 액체 유입홀(23)을 효과적으로 이격시키도록 함으로써,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가 더 효과적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은 평행된 간격으로 분포되고,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은 각각 제1분리판(21)과 제2분리판(22)이며, 상기 액체 유입홀(23)과 상기 제1분리판(21) 사이의 거리는 상기 액체 유입홀(23)과 상기 제2분리판(22) 사이의 거리와 같다.
여기서, 상기 외부 커버(1)는 비투광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상기 기포 막이부(2)는 비투광 탄성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탄성소재를 사용하여 기포 막이부(2)를 제조함으로써 결빙으로 인한 측정 용액의 작용력을 완충하여, 측정 용액의 결빙으로 인한 작용력이 제품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포 막이부(2)는 러버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커버(1)에는 제1배기홀(12)이 개구되고, 상기 기포 막이부(2)에는 제2배기홀(24)이 개구 되며, 상기 제1배기홀(12)과 상기 제2배기홀(24)은 연통된다. 연통되는 상기 제1배기홀(12)과 상기 제2배기홀(24)을 개구함으로써 측정 영역이 외부와의 공기 대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측정될 용액이 측정 영역으로 진입하도록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배기홀(12)과 상기 제2배기홀(24)은 엇갈리게 배치되고, 덕트를 통해 상기 제1배기홀(12)과 상기 제2배기홀(24) 사이를 연결한다.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는 기공 막이판(7)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공 막이판(7)은 상기 제1배기홀(12)을 가리며, 상기 기공 막이판(7)과 상기 제1배기홀(12)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한다. 제1배기홀(12)의 외측에 기공 막이판(7)을 배치함으로써 측정될 용액이 제1배기홀(12)로부터 측정 영역에 직접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먼지 등 오염물이 제1배기홀(12)로부터 측정 영역 내로 진입하여 측정 결과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므로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공 막이판(7)은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3)에 고정된다.
광학 농도 측정 장치는 상기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 및 센서 본체(8)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본체(8)는 상기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 본체(8)에는 수평방향으로 개구된 측정 갭(81)이 배치된다. 센서 본체(8)의 수평측 벽에 측정 갭(81)을 배치함으로써,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가 측정 갭(81)을 따라 더 용이하게 부상 및 배출될 수 있으며,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를 제거하여 측정 결과의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본체(8)는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3) 내에 장착된다. 상기 측정 갭(81)은 전체적으로 반원형을 나타낸다. 상기 센서 본체(8)의 상기 측정 갭(81)의 개구 방향은 수평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측정 갭(81)의 측벽은 경사진다. 만일 측정될 용액에 제거되지 않은 기포가 아직 남아있으면, 해당 기포는 상기 측정 갭(81)의 측벽을 따라 부상되어 상기 제2배기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는 제거된다.
측정 과정에서 측정될 용액은 상기 대류홀(11)로부터 상기 기포 분리 챔버로 진입할 수 있으나, 상기 기포 분리 챔버 내에서 상기 분리판의 저해로 인해 강제적으로 유동 방향이 변경되어 상기 액체 유입홀(23)에 직접 진입할 수 없으며, 상기 분리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분리판의 단부에 도달한 후, 상기 분리판의 저해를 벗어나 상기 액체 유입홀(23)의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기포 밀도가 작으므로, 이때 측정될 용액에 섞인 기포는 부상하여 측정 용액을 이탈하고, 기포가 제거된 측정될 용액은 상기 액체 유입홀(23)로부터 상기 측정 영역에 진입하며, 센서 본체(8)를 통해 측정될 용액에 대한 측정를 진행한다.
실시예 3: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는 외부 커버(1) 및 상기 외부 커버(1)의 내측에 감입 장착된 기포 막이부(2)를 포함하고; 중간 고정 프레임(3), 상부 고정 브래킷(4), 하부 고정 브래킷(5) 및 고정 링(6)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3)의 일단에는 상기 외부 커버(1)와 기포 막이부(2)가 장착되고,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3)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 링(6)이 장착되며,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3)의 외측에는 상기 상부 고정 브래킷(4)과 상기 하부 고정 브래킷(5)이 슬리빙 된다. 상기 기포 막이부(2)와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3)의 내부 공간에는 측정될 용액의 측정 영역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커버(1)에는 대류홀(11)이 개구되고; 상기 기포 막이부(2)에는 액체 유입홀(23)이 개구되며; 상기 대류홀(11)과 상기 액체 유입홀(23) 사이에는 배리어가 배치되고, 측정될 용액은 상기 대류홀(11)로부터 상기 배리어를 에돌아 상기 액체 유입홀(23)에 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커버(1)에는 두 개의 대류홀(11)이 개구되고, 상기 배리어는 두 개의 분리판을 포함하며, 상기 액체 유입홀(23) 및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은 모두 상기 기포 막이부(2)에 배치되며, 상기 액체 유입홀(23)은 두 개의 상기 분리판 사이에 개구되고, 두 개의 상기 대류홀(11)은 각각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의 외측에 배치된다.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외부 커버(1)의 내벽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커버(1)는 개구단과 밀봉단을 구비하며, 상기 대류홀(11)은 상기 외부 커버(1)의 밀봉단의 둘레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포 막이부(2)는 개방단과 폐쇄단을 구비하며, 상기 배리어와 액체 유입홀(23)은 모두 상기 기포 막이부(2)의 폐쇄단에 배치되고, 상기 기포 막이부(2)의 폐쇄단과 상기 외부 커버(1)의 밀봉단 사이에는 기포 분리 챔버가 형성된다.
두 개의 상기 대류홀(11)을 배치하여 외부 커버(1)의 내측 및 외측을 효과적으로 대류 유통시켜, 측정될 용액이 상기 외부 커버(1) 내의 기포 분리 챔버로 신속하게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을 배치하여 측정될 용액이 분리판을 에돌아야만 액체 유입홀(23)에 도달하도록 상기 액체 유입홀(23)을 두 개의 상기 분리판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를 액체와 효과적으로 분리시켜 측정 영역에 진입한 측정 용액에 기포가 없도록 확보한다. 두 개의 상기 대류홀(11)을 각각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의 외측에 배치하여 상기 분리판이 상기 대류홀(11) 및 상기 액체 유입홀(23)을 효과적으로 이격시키도록 함으로써,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가 더 효과적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은 평행된 간격으로 분포되고,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은 각각 제1분리판(21)과 제2분리판(22)이며, 상기 액체 유입홀(23)은 상기 제2분리판(22)에 근접되게 배치되며, 즉 상기 액체 유입홀(23)과 상기 제1분리판(21) 사이의 거리는 상기 액체 유입홀(23)과 상기 제2분리판(22)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작동 상태에서 상기 제1분리판(21)은 상기 제2분리판(22)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기술방안은 상기 액체 유입홀(23)을 상기 제2분리판(22)에 근접한 위치, 즉 상기 액체 유입홀(23)을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하여,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가 상기 액체 유입홀(23)로부터 측정 영역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커버(1)는 비투광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상기 기포 막이부(2)는 비투광 탄성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탄성소재를 사용하여 기포 막이부(2)를 제조함으로써 결빙으로 인한 측정 용액의 작용력을 완충하여, 측정 용액의 결빙으로 인한 작용력이 제품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포 막이부(2)는 러버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커버(1)에는 제1배기홀(12)이 개구되고, 상기 기포 막이부(2)에는 제2배기홀(24)이 개구 되며, 상기 제1배기홀(12)과 상기 제2배기홀(24)은 연통된다. 연통되는 상기 제1배기홀(12)과 상기 제2배기홀(24)을 개구함으로써 측정 영역이 외부와의 공기 대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측정될 용액이 측정 영역으로 진입하도록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배기홀(12)의 중심 축선과 상기 제2배기홀(24)의 중심 축선은 동일한 직선이다.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는 기공 막이판(7)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공 막이판(7)은 상기 제1배기홀(12)을 가리며, 상기 기공 막이판(7)과 상기 제1배기홀(12)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한다. 제1배기홀(12)의 외측에 기공 막이판(7)을 배치함으로써 측정될 용액이 제1배기홀(12)로부터 측정 영역에 직접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먼지 등 오염물이 제1배기홀(12)로부터 측정 영역 내로 진입하여 측정 결과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므로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공 막이판(7)은 상기 외부 커버(1)에 고정된다.
광학 농도 측정 장치는 상기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 및 센서 본체(8)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본체(8)는 상기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 본체(8)에는 수평방향으로 개구된 측정 갭(81)이 배치된다. 센서 본체(8)의 수평측 벽에 측정 갭(81)을 배치함으로써,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가 측정 갭(81)을 따라 더 용이하게 부상 및 배출될 수 있으며,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를 제거하여 측정 결과의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본체(8)는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3) 내에 장착된다. 상기 측정 갭(81)은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모양을 나타낸다. 상기 센서 본체(8)의 상기 측정 갭(81)의 개구 방향은 수평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측정 갭(81)의 측벽은 경사진다. 만일 측정될 용액에 제거되지 않은 기포가 아직 남아있으면, 해당 기포는 상기 측정 갭(81)의 측벽을 따라 부상되어 상기 제2배기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는 제거된다.
측정 과정에서 측정될 용액은 상기 대류홀(11)로부터 상기 기포 분리 챔버로 진입할 수 있으나, 상기 기포 분리 챔버 내에서 상기 분리판의 저해로 인해 강제적으로 유동 방향이 변경되어 상기 액체 유입홀(23)에 직접 진입할 수 없으며, 상기 분리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분리판의 단부에 도달한 후, 상기 분리판의 저해를 벗어나 상기 액체 유입홀(23)의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기포 밀도가 작으므로, 이때 측정될 용액에 섞인 기포는 부상하여 측정 용액을 이탈하고, 기포가 제거된 측정될 용액은 상기 액체 유입홀(23)로부터 상기 측정 영역에 진입하며, 센서 본체(8)을 통해 측정될 용액에 대한 측정를 진행한다.
실시예 4: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는 외부 커버(1) 및 상기 외부 커버(1)의 내측에 감입 장착된 기포 막이부(2)를 포함하고; 중간 고정 프레임(3), 상부 고정 브래킷(4), 하부 고정 브래킷(5) 및 고정 링(6)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3)의 일단에는 상기 외부 커버(1)와 기포 막이부(2)가 장착되고,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3)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 링(6)이 장착되며,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3)의 외측에는 상기 상부 고정 브래킷(4)과 상기 하부 고정 브래킷(5)이 슬리빙 된다. 상기 기포 막이부(2)와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3)의 내부 공간에는 측정될 용액의 측정 영역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커버(1)에는 대류홀(11)이 개구되고; 상기 기포 막이부(2)에는 액체 유입홀(23)이 개구되며; 상기 대류홀(11)과 상기 액체 유입홀(23) 사이에는 배리어가 배치되고, 측정될 용액은 상기 대류홀(11)로부터 상기 배리어를 에돌아 상기 액체 유입홀(23)에 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커버(1)에는 두 개의 대류홀(11)이 개구되고, 상기 배리어는 두 개의 분리판을 포함하며, 상기 액체 유입홀(23) 및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은 모두 상기 기포 막이부(2)에 배치되며, 상기 액체 유입홀(23)은 두 개의 상기 분리판 사이에 개구되고, 두 개의 상기 대류홀(11)은 각각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의 외측에 배치된다.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외부 커버(1)의 내벽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커버(1)는 개구단과 밀봉단을 구비하며, 상기 대류홀(11)은 상기 외부 커버(1)의 밀봉단의 둘레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포 막이부(2)는 개방단과 폐쇄단을 구비하며, 상기 배리어와 액체 유입홀(23)은 모두 상기 기포 막이부(2)의 폐쇄단에 배치되고, 상기 기포 막이부(2)의 폐쇄단과 상기 외부 커버(1)의 밀봉단 사이에는 기포 분리 챔버가 형성된다.
두 개의 상기 대류홀(11)을 배치하여 외부 커버(1)의 내측 및 외측을 효과적으로 대류 유통시켜, 측정될 용액이 상기 외부 커버(1) 내의 기포 분리 챔버로 신속하게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을 배치하여 측정될 용액이 분리판을 에돌아야만 액체 유입홀(23)에 도달하도록 상기 액체 유입홀(23)을 두 개의 상기 분리판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를 액체와 효과적으로 분리시켜 측정 영역에 진입한 측정 용액에 기포가 없도록 확보한다. 두 개의 상기 대류홀(11)을 각각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의 외측에 배치하여 상기 분리판이 상기 대류홀(11) 및 상기 액체 유입홀(23)을 효과적으로 이격시키도록 함으로써,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가 더 효과적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은 "八" 자형으로 분포된다. 상기 분리판을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가 상기 분리판을 따라 더 용이하게 부상 및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은 각각 제1분리판(21)과 제2분리판(22)이며, 상기 액체 유입홀(23)은 상기 제1분리판(21)과 상기 제2분리판(22) 사이의 거리가 큰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액체 유입홀(23)과 상기 제1분리판(21) 사이의 거리는 상기 액체 유입홀(23)과 상기 제2분리판(22) 사이의 거리와 같다.
여기서, 상기 외부 커버(1)는 비투광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상기 기포 막이부(2)는 비투광 탄성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탄성소재를 사용하여 기포 막이부(2)를 제조함으로써 결빙으로 인한 측정 용액의 작용력을 완충하여, 측정 용액의 결빙으로 인한 작용력이 제품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포 막이부(2)은 러버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커버(1)에는 제1배기홀(12)이 개구되고, 상기 기포 막이부(2)에는 제2배기홀(24)이 개구 되며, 상기 제1배기홀(12)과 상기 제2배기홀(24)은 연통된다. 연통되는 상기 제1배기홀(12)과 상기 제2배기홀(24)을 개구함으로써 측정 영역이 외부와의 공기 대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측정될 용액이 측정 영역으로 진입하도록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배기홀(12)의 중심 축선과 상기 제2배기홀(24)의 중심 축선은 동일한 직선이다.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는 기공 막이판(7)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공 막이판(7)은 상기 제1배기홀(12)을 가리며, 상기 기공 막이판(7)과 상기 제1배기홀(12)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한다. 제1배기홀(12)의 외측에 기공 막이판(7)을 배치함으로써 측정될 용액이 제1배기홀(12)로부터 측정 영역에 직접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먼지 등 오염물이 제1배기홀(12)로부터 측정 영역 내로 진입하여 측정 결과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므로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공 막이판(7)은 상기 상부 고정 브래킷(4)에 고정된다.
광학 농도 측정 장치는 상기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 및 센서 본체(8)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본체(8)는 상기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 본체(8)에는 수평방향으로 개구된 측정 갭(81)이 배치된다. 센서 본체(8)의 수평측 벽에 측정 갭(81)을 배치함으로써,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가 측정 갭(81)을 따라 더 용이하게 부상 및 배출될 수 있으며,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를 제거하여 측정 결과의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본체(8)는 상기 중간 고정 프레임(3) 내에 장착된다. 상기 측정 갭(81)은 전체적으로 "V" 자형을 나타낸다. 상기 센서 본체(8)의 상기 측정 갭(81)의 개구 방향은 수평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측정 갭(81)의 측벽은 경사진다. 만일 측정될 용액에 제거되지 않은 기포가 아직 남아있으면, 해당 기포는 상기 측정 갭(81)의 측벽을 따라 부상되어 상기 제2배기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측정될 용액 중의 기포는 제거된다.
측정 과정에서 측정될 용액은 상기 대류홀(11)로부터 상기 기포 분리 챔버로 진입할 수 있으나, 상기 기포 분리 챔버 내에서 상기 분리판의 저해로 인해 강제적으로 유동 방향이 변경되어 상기 액체 유입홀(23)에 직접 진입할 수 없으며, 상기 분리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분리판의 단부에 도달한 후, 상기 분리판의 저해를 벗어나 상기 액체 유입홀(23)의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기포 밀도가 작으므로, 이때 측정될 용액에 섞인 기포는 부상하여 측정 용액을 이탈하고, 기포가 제거된 측정 용액은 상기 액체 유입홀(23)로부터 상기 측정 영역에 진입하며, 센서 본체(8)을 통해 측정 용액에 대한 측정를 진행한다.
본문에서의 "제1", "제2"는 단지 설명상의 구별을 위한 것이며,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
상기 기술방안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서 개시된 기술범위 내에서 본 분야 당업자가 쉽게 생각해 낼 수 있는 변경 또는 교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은 외부 커버 및 상기 외부 커버의 내측에 감입 장착된 기포 막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커버에는 대류홀이 개구되고; 상기 기포 막이부에는 액체 유입홀이 개구되는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를 개시한다. 본 출원은 상기 보호케이스를 포함하는 광학 농도 측정 장치를 더 개시한다. 보호케이스를 배치하여 센서 본체를 보호함으로써, 한 방면으로는 센서 본체가 충돌 또는 압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센서 본체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고, 다른 한 방면으로는 보호케이스 내측의 측정될 용액을 정지에 접근하다록 하여 측정 결과의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외부 커버의 외측에 기공 막이판을 배치함으로써 측정될 용액이 주입 과정에서 측정 영역에 직접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먼지 등 오염물이 측정 영역 내로 진입하여 측정 결과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므로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도 1 내지 도 12에서:
1. 외부 커버; 11. 대류홀; 12. 제1배기홀;
2. 기포 막이부; 21. 제1분리판; 22. 제2분리판; 23. 액체 유입홀; 24. 제2배기홀;
3. 중간 고정 프레임; 4. 상부 고정 브래킷; 5. 하부 고정 브래킷; 6. 고정 링; 7. 기공 막이판;
8. 센서 본체; 81. 측정 갭(gap).

Claims (10)

  1. 외부 커버;
    상기 외부 커버의 내측에 감입 장착되는 기포 막이부; 및
    상기 외부 커버에 설치되어 측정 영역이 외부와 공기 대류를 진행하도록 하는 제1 배기홀을 가리되, 상기 제1 배기홀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는 기공 막이판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커버의 양측에는 대류홀이 대향되게 개구되고;
    상기 기포 막이부에는 액체 유입홀이 개구되는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막이부에는 제2배기홀이 개구되고, 상기 제1배기홀과 상기 제2배기홀은 연통되는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류홀과 상기 액체 유입홀 사이에는 배리어가 배치되고, 측정될 용액은 상기 대류홀로부터 상기 배리어를 에돌아 상기 액체 유입홀에 도달하는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에는 두 개의 상기 대류홀이 개구되고, 상기 배리어는 두 개의 분리판을 포함하며, 상기 액체 유입홀은 두 개의 상기 분리판 사이에 개구되고, 두 개의 상기 대류홀은 각각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은 "八" 자형으로 분포되는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분리판은 각각 제1분리판과 제2분리판이며, 상기 액체 유입홀은 상기 제1분리판과 상기 제2분리판 사이의 거리가 큰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액체 유입홀은 상기 제2분리판에 근접하는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막이부는 탄성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를 포함하는 광학 농도 측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센서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 본체에는 수평방향으로 개구된 측정 갭이 배치되는 광학 농도 측정 장치.
  10. 삭제
KR1020187027737A 2016-02-26 2016-02-26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 및 광학 농도 측정 장치 KR102106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74697 WO2017143590A1 (zh) 2016-02-26 2016-02-26 光学浓度传感器保护罩及光学浓度测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395A KR20180116395A (ko) 2018-10-24
KR102106564B1 true KR102106564B1 (ko) 2020-05-07

Family

ID=59684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737A KR102106564B1 (ko) 2016-02-26 2016-02-26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 및 광학 농도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70516B2 (ko)
EP (1) EP3428617A4 (ko)
KR (1) KR102106564B1 (ko)
WO (1) WO20171435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5153B (zh) * 2021-03-31 2021-12-24 浙江焜腾红外科技有限公司 一种远距离红外气体的成像传感器及其检测机构
CN114460008B (zh) * 2022-02-16 2023-11-21 西南石油大学 一种井口泡沫检测装置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110139U (zh) * 2011-05-31 2012-01-11 中国农业大学 水下光学溶解氧传感器
CN102803932A (zh) * 2010-03-31 2012-11-28 埃科莱布美国股份有限公司 手持式光学测量装置和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17739B (da) * 1968-07-10 1970-05-25 Inst Produktudvikling Bolbleudskillende gennemstrømningskuvette.
SE370454B (ko) * 1970-01-30 1974-10-14 Nordstjernan Rederi Ab
US3849002A (en) 1973-05-11 1974-11-19 Hach Chemical Co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air during fluid turbidity measurement
US5831727A (en) * 1997-04-29 1998-11-03 Hach Company Bubble elimination from liquid
JP5221053B2 (ja) * 2007-04-09 2013-06-26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尿素濃度検出装置
US8663562B2 (en) * 2011-09-13 2014-03-04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Flow cell for measur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absorption spectra in a continuously flowing immiscible liquid(s) or liquids with entrained gas phases
KR101221880B1 (ko) * 2012-04-30 2013-01-16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탁도 측정 용기가 구비된 수질 측정 센서용 보호캡 및 탁도 측정 용기가 구비된 수질 측정 장치
KR101732039B1 (ko) * 2014-04-18 2017-06-05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안정적인 해수 유출입을 위한 수질 측정 장치
CN204214768U (zh) * 2014-11-24 2015-03-18 安徽芯核防务装备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浊度和溶解氧传感器的消泡遮光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03932A (zh) * 2010-03-31 2012-11-28 埃科莱布美国股份有限公司 手持式光学测量装置和使用方法
CN202110139U (zh) * 2011-05-31 2012-01-11 中国农业大学 水下光学溶解氧传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395A (ko) 2018-10-24
EP3428617A1 (en) 2019-01-16
US20190072480A1 (en) 2019-03-07
US10670516B2 (en) 2020-06-02
EP3428617A4 (en) 2019-11-20
WO2017143590A1 (zh)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38284A (zh) 光学浓度传感器保护罩及光学浓度测试装置
US8056671B2 (en) Exhaust-gas purification device disposition structure of vehicle
EP2628911B1 (en) Scr reduction agent maritime supply system
KR102106564B1 (ko) 광학 농도 센서 보호케이스 및 광학 농도 측정 장치
KR101509746B1 (ko)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용 요소수 주입 장치
KR101353906B1 (ko) 배출관 케이스가 결합된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감지장치
US9550137B2 (en) Filter element interface for an oil filter of an engine
CN109789366B (zh) 防尘和防溅过滤器
US10494965B2 (en) Oil filter systems
JP6197097B2 (ja) 流動する流動媒体の湿度を検知するためのセンサ装置
WO2019016774A1 (en) DEVICE FOR REDUCING EMISSIONS OF MOTOR VEHICLES
CN202116284U (zh) 用于机动车的燃油注入器系统
CN205404384U (zh) 光学浓度传感器保护罩及光学浓度测试装置
KR20140062622A (ko) 배터리 케이스
KR20130114914A (ko) 캐니스터의 수분유입방지장치
KR101822268B1 (ko) 입자상물질 및 질소산화물 통합감지센서
KR101315705B1 (ko) 차량용 가스감지장치
US4529674A (en) Explosion proof battery
CN111964983A (zh) 带u形三通管的烟尘烟气采样检测设备
KR101354897B1 (ko) 다중 필터를 구비하는 차량용 가스감지장치
CN217873055U (zh) 碳罐总成及车辆
KR20130138537A (ko) 선박 연료탱크용 에어벤트 조립체
KR20150033925A (ko) 자동차용 압력센서
CN108223198B (zh) 使用可封闭的路径结构的用于减少燃料蒸发气体的装置
CN107064000B (zh) 防紊流降垢结构及光学液体浓度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