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155B1 -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155B1
KR102106155B1 KR1020190056171A KR20190056171A KR102106155B1 KR 102106155 B1 KR102106155 B1 KR 102106155B1 KR 1020190056171 A KR1020190056171 A KR 1020190056171A KR 20190056171 A KR20190056171 A KR 20190056171A KR 102106155 B1 KR102106155 B1 KR 102106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machine
image
interface screen
network equipment
topolo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희
이진영
권종현
송용주
Original Assignee
아토리서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토리서치(주) filed Critical 아토리서치(주)
Priority to KR1020190056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1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is a virtual computing platform, e.g. logically partitioned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머신의 토폴로지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상머신에 연결된 네트워크 장비를 이미지로 표시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으로 가상머신의 토폴로지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 가상머신의 토폴로지 정보-상기 토폴로지 정보는 상기 제1 가상머신, 네트워크 장비의 링크 상태 정보를 포함함-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토폴로지 정보에 기반하여, 제1 가상머신 그룹-상기 제1 가상머신 그룹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2 가상머신을 포함함-, 네트워크 장비 각각에 대응되는 이미지와, 상기 제1 가상머신 그룹과 상기 네트워크 장비 간 링크를 나타내는 제1 링크선으로 제1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제1 이미지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에 연결된 제2 이미지를 강조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2 가상머신 그룹 및 네트워크 장비의 토폴로지 정보로 제2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오버랩핑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THE METHOD OF MONITORING VIRTUAL MACHINE TOPOLOGY STATUS AND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가상머신의 토폴로지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가상머신의 토폴로지 상태의 조회 및 제어 등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상머신(Virtual Machine, VM)은 컴퓨팅 환경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한 것으로 가상머신 상에서 운영 체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다. 가상머신은 네트워크 기능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네트워크의 구성원으로써 역할을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가상머신은 보안 상의 문제로 인하여 기능(목적) 별로 상이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는 일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가상머신을 구성한 이후, 가상머신의 토폴로지 상태, 즉 가상머신이 연결된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통신을 위하여 네트워크와 연결된 라우터의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필요가 있다.
가상머신의 토폴로지 상태를 확인하는 프로그램으로는 오픈스택(OpenStack)의 Neutron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가상머신 각각에 대한 링크를 모두 표시하기 때문에 가상머신의 수가 증가할수록 직관적으로 가상머신의 토폴로지 상태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상머신에 연결된 네트워크 장비를 이미지로 표시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으로 가상머신의 토폴로지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네트워크 장비에 연결된 가상머신을 그룹핑하여 가상머신 그룹을 생성하고, 각 가상머신 그룹과 네트워크 장비의 링크를 표시하여 토폴로지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토폴로지 상태를 표시한 UI 화면에 버튼을 포함하여 화면의 전환 없이 가상머신 또는 네트워크 장비를 추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버가 가상머신의 토폴로지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가상머신의 토폴로지 정보-상기 토폴로지 정보는 상기 제1 가상머신, 네트워크 장비의 링크 상태 정보를 포함함-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토폴로지 정보에 기반하여, 제1 가상머신 그룹-상기 제1 가상머신 그룹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2 가상머신을 포함함-, 네트워크 장비 각각에 대응되는 이미지와, 상기 제1 가상머신 그룹과 상기 네트워크 장비 간 링크를 나타내는 제1 링크선으로 제1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제1 이미지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에 연결된 제2 이미지를 강조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2 가상머신 그룹 및 네트워크 장비의 토폴로지 정보로 제2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오버랩핑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머신의 토폴로지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가상머신의 토폴로지 정보-상기 토폴로지 정보는 상기 제1 가상머신, 네트워크 장비의 링크 상태 정보를 포함함-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토폴로지 정보에 기반하여, 제1 가상머신 그룹-상기 제1 가상머신 그룹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2 가상머신을 포함함-, 네트워크 장비 각각에 대응되는 이미지와, 상기 제1 가상머신 그룹과 상기 네트워크 장비 간 링크를 나타내는 제1 링크선으로 제1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제1 UI 생성부, 상기 제1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제1 이미지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에 연결된 제2 이미지를 강조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2 가상머신 그룹 및 네트워크 장비의 토폴로지 정보로 제2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제2 UI 생성부, 및 상기 제1 인터페이스 화면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상머신에 연결된 네트워크 장비를 이미지로 표시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으로 가상머신의 토폴로지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네트워크 장비에 연결된 가상머신을 그룹핑하여 가상머신 그룹을 생성하고, 각 가상머신 그룹과 네트워크 장비의 링크를 표시하여 토폴로지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토폴로지 상태를 표시한 UI 화면에 버튼을 포함하여 화면의 전환 없이 가상머신 또는 네트워크 장비를 추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1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1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버튼을 더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2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2 및 제3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되며,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모든 조합은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식으로 규정하지 않는 한, 단수에 대한 언급은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단수 표현에 대한 언급은 또한 복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예시적 실시 예들을 설명할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한정할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단수적 표현들은 또한, 해당 문장에서 명확하게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 용어 "및/또는," "그리고/또는"은 그 관련되어 나열되는 항목들의 모든 조합들 및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포함하고 있는", "구비하는", "갖는", "가지고 있는" 등은 내포적 의미를 갖는 바, 이에 따라 이러한 용어들은 그 기재된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컴포넌트를 특정하며,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컴포넌트,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혹은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의 단계들, 프로세스들, 동작들은, 구체적으로 그 수행 순서가 확정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이들의 수행을 논의된 혹은 예시된 그러한 특정 순서로 반드시 해야 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추가적인 혹은 대안적인 단계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는 각각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위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위 구성요소들이 서로 조합되어 복수 개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가상머신의 토폴로지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가상머신의 토폴로지 정보 모니터링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가상머신의 토폴로지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상머신과 가상머신이 연결된 네트워크를 이미지로 표시하여 가상머신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를 직관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상머신의 토폴로지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100), 토폴로지 정보에 기반하여 가상머신과 네트워크 장비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1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제1 UI 생성부(200), 가상머신과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토폴로지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인터페이스 화면 및 제3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제2 UI 생성부(300), 가상머신과 네트워크 장비를 추가하기 위한 제4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제3 UI 생성부(400), 그리고 제1 내지 제4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100)는 하나 이상의 제1 가상머신에 대한 토폴로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100)는 제어 서버나 제어 서버와 연결된 별도의 저장소로부터 토폴로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가상머신의 토폴로지 정보는 제1 가상머신의 설정 이름, 식별 ID, 활성 상태, 링크 정보, 제1 가상머신이 링크된 네트워크 장비의 호스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나열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UI 생성부(200)와 제2 UI 생성부(200)를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제1 가상머신과 링크된 네트워크 장비는 두 종류(제1 네트워크 장비, 제2 네트워크 장비)를 사용하고, 제1 네트워크 장비로 네트워크 스위치를, 제2 네트워크 장비로 라우터를 사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가상머신과 링크된 네트워크 장비는 위 두 종류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네트워크 장비는 게이트웨이 장비, 네트워크 스위치, 라우터 등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장비를 두 종류로 사용함에 따라 네트워크 장비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1 인터페이스 화면은 가상머신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1 영역, 제1 네트워크 장비가 표시되는 제2 영역, 제2 네트워크 장비가 표시되는 제3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제1 UI 생성부(200)는 데이터 수신부(100)가 수신한 제1 가상머신의 토폴로지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UI 생성부(200)는 제1 가상머신, 제1 가상머신과 링크된 제1 네트워크 장비 및 제2 네트워크 장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1 인터페이스 화면은 제1 가상머신, 제1 네트워크 장비, 그리고 제2 네트워크 장비 간의 링크 상태를 나타내는 제1 링크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도 1의 제1 UI 생성부(200)에서 생성된 제1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제1 UI 생성부(200)는 제1 가상머신에 대응되는 제1 가상머신 이미지(15)가 표시되는 제1 영역(10), 제1 네트워크 장비에 대응되는 제1 네트워크 장비 이미지(25)가 표시되는 제2 영역(20), 그리고 제2 네트워크 장비에 대응되는 제2 네트워크 장비 이미지(35)가 표시되는 제3 영역(30)을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 화면(1)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UI 생성부(200)는 제1 내지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1 링크선 이미지(40)를 더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 화면(1)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 화면(1)은 제1 가상머신 이미지(15), 제1 네트워크 장비 이미지(25), 그리고 제2 네트워크 장비 이미지(35)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제1 UI 생성부(200)는 제1 가상머신 이미지(15), 제1 네트워크 장비 이미지(25), 제2 네트워크 장비 이미지(35)로 그래픽화 된 2D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3D 이미지, 임의의 이미지, 아이콘, 버튼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UI 생성부(200)는 제1 가상머신 이미지(15), 제1 네트워크 장비 이미지(25), 제2 네트워크 장비 이미지(35)에 토폴로지 정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UI 생성부(200)는 제1 가상머신 이미지(15)에 제1 가상머신의 설정 이름과 링크된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고, 제1 네트워크 이미지(25)와 제2 네트워크 이미지(35)에 네트워크의 연결 위치에 따라 구분된 네트워크의 분류 정보(공용 네트워크-Public Network, 개인 네트워크-Private Network), 네트워크의 설정 이름, 그리고 대역 정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제1 UI 생성부(200)는 제1 가상머신 이미지(15)가 표시되는 제1 영역(10)에 있어서, 동일한 제1 네트워크 장비에 링크된 하나 이상의 제2 가상머신을 포함하는 제1 가상머신 그룹(50)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머신 A와 C가 제1 네트워크 장비 A에 링크되어 있고, 가상머신 B가 제1 네트워크 장비 B에 링크된 경우 제1 UI 생성부(200)는 가상머신 A와 C를 포함하는 제1 가상머신 그룹, 가상머신 B를 포함하는 제1 가상머신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가상머신 D와 E가 제1 네트워크 장비 A, C에 링크된 경우 제1 UI 생성부(200)는 가상머신 D와 E를 포함하는 제1 가상머신 그룹을 더 생성할 수 있다. 가상머신 A와 C는 제1 네트워크 장비 A에만 링크되어 있기 때문에 가상머신 A와 C가 포함된 제1 가상머신 그룹과 가상머신 D와 E가 포함된 제1 가상머신 그룹은 상이하다. 다시 말해서, 제1 UI 생성부(200)는 하나 이상의 제1 네트워크 장비 모두에 동일하게 연결된 제2 가상머신을 포함하는 제1 가상머신 그룹(50)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UI 생성부(200)는 제1 가상머신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가상머신 그룹, 제1 네트워크 장비, 그리고 제2 네트워크 장비 간의 링크 여부를 나타내는 제1 링크선(40)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에서 제1 링크선은 선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점선 등의 다양한 선 형태 뿐 아니라 임의의 이미지, 아이콘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UI 생성부(200)는 제1 링크선(40)의 색상을 제1 링크선(40)이 연결된 제1 네트워크 장비 이미지에 대응되는 색상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1 UI 생성부(200)는 제1 영역(10) 내지 제3 영역(30) 각각에 표시될 별도의 제1 버튼을 더 생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영역에 표시되는 제1 버튼은 가상머신과 네트워크 장비를 추가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제1 버튼이 위치한 영역에 포함된 가상머신이나 네트워크 장비를 추가하기 위함이다. 제1 UI 생성부(200)는 제1 영역에 제1 가상머신 그룹을 추가 가능한 다른 제2 버튼을 더 생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영역에 포함된 제1 및 제2 버튼은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1 UI 생성부(200)에서 생성된 제1 가상머신 이미지(15), 제1 네트워크 장비 이미지(25), 제2 네트워크 장비 이미지(35), 제1 버튼(13, 23, 33), 제2 버튼(53), 그리고 제1 링크선(4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대화형 객체, 또는 이들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대상으로 입력 동작을 수행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는 검출된 입력에 응답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 동작은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통상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선택 또는 마우스 오버하는 행위, 또는 줌-인/아웃(zoom-in/out)하는 행위 등을 의미한다.
제1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제2 UI 생성부(300)는 제1 이미지에 대응하는 토폴로지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인터페이스 화면 및 제3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와 도 5를 이용하여 제2 인터페이스 화면과 제3 인터페이스 화면 각각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도 1의 제2 UI 생성부(300)에서 생성된 제2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도 1의 제2 UI 생성부(300)에서 생성된 제2 인터페이스 화면과 제3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 UI 생성부(300)는 제1 이미지가 제1 가상머신 그룹에 포함된 제2 가상머신일 경우에 제2 인터페이스 화면(2)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 화면(2)은 제2 가상머신에 대한 토폴로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인터페이스 화면(2)은 제2 가상머신의 설정 이름, 식별 ID, 활성 상태, 'Learn More', 그리고 콘솔 창을 불러오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UI 생성부(300)는 Learn More 버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Learn More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제2 가상머신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다른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은 제2 가상머신의 설정 이름, 설명, 식별 ID, 활성 상태, 잠금 상태, 가용 구역, 생성 일자, 호스트, 사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제2 가상머신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제2 UI 생성부(300)는 제2 인터페이스 화면에 콘솔 창을 불러오는 버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2 가상머신의 콘솔 화면을 이용하여 제2 가상머신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제2 UI 생성부(300)는 제1 이미지가 네트워크 장비일 경우에 제3 인터페이스 화면(3)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인터페이스 화면은 네트워크 장비의 토폴로지 정보 즉, 설정 이름, 식별 ID, 활성 상태, 그리고 Interface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UI 생성부(300)는 Interface 영역에 NIC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데, NIC 정보는 호스트에서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제3 UI 생성부(400)는 제1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가상머신, 제1 네트워크 장비 또는 제2 네트워크 장비를 추가하기 위한 제4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제4 인터페이스 화면은 추가하고자 하는 가상머신 또는 네트워크 장비의 설정 이름, 식별 ID, 링크 정보 및 호스트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사용되는 필드는 텍스트 필드, 드롭 다운, 체크 상자, 라디오 버튼, 데이터 피커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제3 UI 생성부(400)는 사용자가 제2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제4 인터페이스 화면에, 선택된 제2 버튼에 대응되는 제1 가상머신 그룹의 설정 데이터를 승계 받기 때문에, 추가될 가상머신의 설정 이름과 식별 ID에 대한 입력 필드만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 출력을 표시할 수 있다. 시각적 출력이란 텍스트, 그래픽, 비디오 및 이들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시각적 출력의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시각적 출력은 제1 내지 제4 인터페이스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500)는 제1 UI 생성부(200), 제2 UI 생성부(300), 제3 UI 생성부(400)가 생성한 제1 내지 제4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0)는 제1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제1 UI 생성부(200)로부터 생성된 제1 가상머신 그룹을 그룹 별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영역에 표시된 제1 가상머신 그룹이 그룹 별로 구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제1 가상머신 그룹에 대응되는 이미지는 별도의 이미지로 표시되지 않고, 제1 가상머신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2 가상머신에 대응되는 제2 가상머신 이미지를 모아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0)는 사용자가 제1 이미지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제2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제3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이미지가 제2 가상머신이면, 디스플레이부(500)는 제2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제2 이미지가 제1 네트워크 장비 또는 제2 네트워크 장비이면 디스플레이부(500)는 제2 인터페이스 화면과 제3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이미지가 네트워크 장비일 때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제3 인터페이스 화면과 더불어 가상머신에 대한 인터페이스 화면인 제2 인터페이스 화면도 표시함에 따라, 네트워크 장비에 연결된 제2 가상머신을 보다 직관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디스플레이부(500)는 사용자가 제1 이미지를 선택한 입력을 수신하면, 제2 인터페이스 화면과 제3 인터페이스 화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선택된 제1 이미지와 제1 이미지에 링크된 가상머신 또는 네트워크 장비인 제2 이미지, 그리고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 간의 제2 링크선을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500)는 제1 이미지가 선택되면, 제1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1 가상머신 그룹 이미지에 제1 가상머신 그룹에 포함된 제2 가상머신의 수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500)는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그리고 제2 링크선을 강조하기 위하여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그리고 제2 링크선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하이라이트 표시하거나, 또는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그리고 제2 링크선 외의 다른 이미지와 링크선의 채도를 낮추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제2 이미지는 제1 이미지가 가상머신이면 제1 이미지에 대응되는 가상머신에 링크된 모든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이미지를 의미하고, 제1 이미지가 네트워크 장비이면 제1 이미지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장비에 링크된 가상머신 그룹에 포함된 모든 가상머신 이미지와 다른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0)는 사용자가 제1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일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제4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0)는 제2 내지 제4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1 인터페이스 화면에 오버랩핑(Over-Lapping)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장치는 제2 내지 제4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1 인터페이스 화면에 오버랩핑 함으로써 페이지의 변환 없이 가상머신 또는 네트워크 장비를 추가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부(5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표시된 제1 인터페이스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한다.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장치와 중복되는 세부 실시 예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장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가상머신 상태 모니터링 방법의 수행 주체는 서버라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서버는 제1 가상머신의 토폴로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0). 서버가 수신하는 가상머신의 토폴로지 정보는 제1 가상머신의 설정 이름, 식별 ID, 활성 상태, 링크 정보, 제1 가상머신이 링크된 네트워크 장비의 호스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수신한 토폴로지 정보에 기반하여, 제1 가상머신, 제1 가상머신과 링크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생성하고, 제1 가상머신, 제1 네트워크 장비, 그리고 제2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링크를 나타내는 제1 링크선을 더 생성할 수 있다. 서버는 생성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와 링크선을 이용하여 제1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S200).
서버는 제1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제1 이미지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제1 이미지와 제1 이미지에 링크된 제2 이미지, 그리고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 사이에 위치한 링크선을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S300).
이와 동시에 서버는 제1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2 가상머신 그룹, 네트워크 장비의 토폴로지 정보로 제2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제1 인터페이스 화면에 오버랩핑하여 표시할 수 있다(S400).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3)

  1. 서버가 가상머신의 토폴로지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가상머신의 토폴로지 정보-상기 토폴로지 정보는 상기 제1 가상머신, 네트워크 장비의 링크 상태 정보를 포함함-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토폴로지 정보에 기반하여, 제1 가상머신 그룹-상기 제1 가상머신 그룹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2 가상머신을 포함함-, 네트워크 장비 각각에 대응되는 이미지와, 상기 제1 가상머신 그룹과 상기 네트워크 장비 간 링크를 나타내는 제1 링크선으로 제1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제1 이미지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에 연결된 제2 이미지를 강조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2 가상머신 그룹 및 네트워크 장비의 토폴로지 정보로 제2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오버랩핑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머신 그룹에 대응되는 이미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가상머신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를 강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제외한 제3 이미지의 채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제1 가상머신 그룹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의 일 부분에 제1 및 제2 버튼을 각각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포함된 영역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포함된 제1 가상머신 그룹에 대응되는 이미지의 일 부분에 제2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제3 가상머신 그룹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방법.
  7. 제1 가상머신의 토폴로지 정보-상기 토폴로지 정보는 상기 제1 가상머신, 네트워크 장비의 링크 상태 정보를 포함함-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토폴로지 정보에 기반하여, 제1 가상머신 그룹-상기 제1 가상머신 그룹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2 가상머신을 포함함-, 네트워크 장비 각각에 대응되는 이미지와, 상기 제1 가상머신 그룹과 상기 네트워크 장비 간 링크를 나타내는 제1 링크선으로 제1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제1 UI 생성부;
    상기 제1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제1 이미지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에 연결된 제2 이미지를 강조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2 가상머신 그룹 및 네트워크 장비의 토폴로지 정보로 제2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제2 UI 생성부; 및
    상기 제1 인터페이스 화면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머신 그룹에 대응되는 이미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가상머신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I 생성부는,
    상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제외한 제3 이미지의 채도를 조정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를 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제1 가상머신 그룹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I 생성부는,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의 일 부분에 제1 및 제2 버튼을 각각 표시하고, 상기 제1 및 제2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포함된 영역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포함된 제1 가상머신 그룹에 대응되는 이미지의 일 부분에 제2 버튼을 더 표시하고, 상기 제2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제3 가상머신 그룹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제1 인터페이스 화면에 오버랩핑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장치.
KR1020190056171A 2019-05-14 2019-05-14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2106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171A KR102106155B1 (ko) 2019-05-14 2019-05-14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171A KR102106155B1 (ko) 2019-05-14 2019-05-14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155B1 true KR102106155B1 (ko) 2020-04-29

Family

ID=70466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171A KR102106155B1 (ko) 2019-05-14 2019-05-14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1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9425A (ja) * 2007-07-23 2007-11-15 Ntt Data Corp 仮想マシン管理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20120106778A (ko) * 2009-11-25 2012-09-26 프레임호크, 인코포레이티드 라이트웨이트 클라이언트를 이용해서 네트워크를 거쳐 가상화 컴퓨팅 서비스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방법
KR20130120893A (ko) * 2012-04-26 2013-11-05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 머신을 이용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387971B1 (ko) * 2013-08-05 2014-04-22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가상 머신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가상 머신,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9425A (ja) * 2007-07-23 2007-11-15 Ntt Data Corp 仮想マシン管理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20120106778A (ko) * 2009-11-25 2012-09-26 프레임호크, 인코포레이티드 라이트웨이트 클라이언트를 이용해서 네트워크를 거쳐 가상화 컴퓨팅 서비스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방법
KR20130120893A (ko) * 2012-04-26 2013-11-05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 머신을 이용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387971B1 (ko) * 2013-08-05 2014-04-22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가상 머신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가상 머신,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417B1 (ko) 컴퓨터 시스템 보안 대시보드
US7657837B2 (en) Seamless windows functionality to remote desktop sessions regarding z-order
JP4758950B2 (ja) プラント監視装置およびプラントの運転監視方法
US2010016212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CA23780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uitively administering networked computer systems
US20060048077A1 (en) Method, system, program product and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 topology
EP3240231B1 (en) Cloud-configuration visualization system, cloud-configuration visualization method, and cloud-configuration visualization program
CN107908604B (zh) 报表图形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6155768B (zh) 分屏运行应用的方法及装置
US20150324068A1 (en) User interface structure (uis) fo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pplications
CN105867864A (zh) 一种kvm显示方法及装置
WO2019039255A1 (ja) 端末装置、ui拡張方法及びui拡張プログラム
CN113849112B (zh) 适用于电网调控的增强现实交互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7255636B2 (ja) 端末管理装置、端末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06155B1 (ko) 가상머신 토폴로지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US10289283B1 (en) Visual analysis for multi-dimensional data
JP6781107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1758333B1 (ko)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및 방법
CN110888787A (zh) 一种数据监测方法、装置及系统
CN112099643A (zh) 云端输入方法、系统、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Hansen Collaborative program comprehens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JP2016192175A (ja) コマンド生成プログラム、コマンド生成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11263231A (zh) 窗口设置方法、装置、系统和计算机可读介质
US1051170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thereof
JPWO2014162667A1 (ja) 端末装置、端末装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