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999B1 - 이중 연결을 위한 업링크 시그널링 - Google Patents

이중 연결을 위한 업링크 시그널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999B1
KR102105999B1 KR1020177036085A KR20177036085A KR102105999B1 KR 102105999 B1 KR102105999 B1 KR 102105999B1 KR 1020177036085 A KR1020177036085 A KR 1020177036085A KR 20177036085 A KR20177036085 A KR 20177036085A KR 102105999 B1 KR102105999 B1 KR 102105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mode
network
wireless device
delete delete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8657A (ko
Inventor
야리 비크베르그
군나르 밀드
요한 루네
이카로 엘. 제이. 다 실바
폰투스 발렌틴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180008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제1 및 제2 무선 링크를 통해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연결된다. 이 방법은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 중에서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1810)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은, 제1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제2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및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결정된 전송 모드에 따라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1820)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네트워크 요소에서 수행되는 대응하는 방법, 및 대응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연결을 위한 업링크 시그널링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에 관한 것이고, 특히 무선 디바이스가 적어도 2개의 무선 링크를 통해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연결될 때 무선 디바이스가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EPS(Evolved Packet System)는 진화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패킷 교환 도메인이다. EPS는 EPC(Evolved Packet Core), 및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을 포함한다. 도 1은 비-로밍 컨텍스트 하에서의 EPC 아키텍처의 개요를 보여주는데, 이 아키텍처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acket Data Network: PDN) 게이트웨이(PGW),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및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라고도 불리는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E-UTRAN은 하나 이상의 eNB(eNodeB)들로 구성된다.
도 2는 전반적 E-UTRAN 아키텍처를 보여주고 eNB들을 포함하여, UE를 향하는 E-UTRAN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들을 제공한다. 사용자 평면 제어 종단들은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LC(Radio Link Control), MAC(Medium Access Control), 및 PHY(Physical Layer)를 포함한다. 제어 평면 종단들은 리스팅된 사용자 평면 제어 종단들에 더하여 RRC(Radio Resource Control)를 포함한다. eNB들은 X2 인터페이스에 의해 서로 상호연결된다. eNB들은 S1 인터페이스에 의해 EPC에 또한 연결되는데, 더 특정하게는 S1-MME 인터페이스에 의해 MME에 그리고 S1-U 인터페이스에 의해 SGW에 연결된다.
EPC 제어 평면 및 사용자 평면 아키텍처들의 주요부들이 제각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다.
LTE(Long Term Evolution) 개요
LTE는 DL(Downlink)에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이용하고 UL(Uplink)에서 DFT(Direct Fourier Transform) 확산 OFDM을 이용한다. 따라서 기본 LTE DL 물리적 자원은 도 5에 도시된 대로 시간-주파수 그리드로서 보일 수 있는데, 여기서 각각의 자원 요소는 하나의 OFDM 심볼 구간 동안의 하나의 OFDM 부반송파에 대응한다.
시간 도메인에서, LTE DL 전송들은 10 ms의 라디오 프레임들로 조직되는데, 각각의 라디오 프레임은 길이 Tframe = 1 ms 중의 10개의 동등 크기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도 6 참조). 더욱이, LTE에서의 자원 할당은 전형적으로 자원 블록들(RB) 관점에서 기술되는데, 여기서 RB는 시간 도메인에서의 하나의 슬롯(0.5 ms)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12개의 연속 부반송파에 대응한다. 시간 방향(1.0 ms)에서의 한 쌍의 2개의 인접한 RB는 RB 쌍으로서 알려져 있다. RB들은, 시스템 대역폭의 한 쪽으로부터 0으로 시작하여, 주파수 도메인에서 번호가 매겨진다. 가상 RB들(VRB) 및 물리적 RB들(PRB)의 개념이 LTE에서 도입되었다. UE에의 실제 자원 할당은 VRB 쌍들의 관점에서 이루어진다. 2개 타입의 자원 할당, 즉 로컬형(localized) 및 분산형(distributed)이 있다. 로컬형 자원 할당에서, VRB 쌍은 직접으로 PRB 쌍에 매핑되고, 따라서 2개의 연속적이고 로컬형인 VRB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연속적 PRB들로서 또한 배치된다. 반면에, 분산형 VRB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연속적 PRB들에 매핑되지 않고; 그에 의해 이들 분산형 VRB들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 채널에 대한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제공한다.
DL 전송들은 동적으로 스케줄링되는데, 즉 각각의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은 데이터가 어느 단말기들에 전송될지에 관한 및 이 데이터가 어느 RB들 상에서 현재 DL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될지에 관한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이 제어 시그널링은 각각의 서브프레임에서 처음의 1, 2, 3 또는 4 OFDM 심볼에서 전형적으로 전송되고 번호 n=1, 2, 3 또는 4는 CFI(Control Format Indicator)로서 알려져 있다. DL 서브프레임은 수신기에 알려져 있고 또한 예를 들어 제어 정보의 코히어런트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CRS(Common Reference Symbols)를 또한 포함한다. CFI=3을 가진 DL 시스템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LTE 제어 및 사용자 평면 아키텍처
eNB측에서의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강조하고 있는 종래의 제어 및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아키텍처들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다. 제어 및 사용자 평면은 하기 프로토콜 계층들 및 주 기능성으로 구성된다:
- RRC(Radio Resource Control)(제어 평면만)
● NAS(Non-access stratum) 및 AS(Access stratum) 양쪽을 위한 시스템 정보의 브로드캐스트
● 페이징
● RRC 연결 핸들링
● UE를 위한 일시적 식별자들의 할당
● RRC 연결을 위한 시그널링 라디오 베어러(들)의 구성
● 라디오 베어러들의 핸들링
● QoS 관리 기능들
● 키 관리를 포함하는 보안 기능들
● 하기를 포함하는 이동성 기능들:
○ UE 측정 보고 및 보고의 제어
○ 핸드오버
○ UE 셀 선택 및 재선택과 셀 선택 및 재선택의 제어
● UE에의/로부터의 NAS 직접 메시지 전송
-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 UE에 대해 각각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하나의 PDCP가 존재한다. PDCP는 제어 평면(RRC) 및 사용자 평면 둘 모두에 대해 이용된다.
● 제어 평면 주 기능들은 암호화/암호 해제(ciphering/deciphering) 및 무결성 보호를 포함함.
● 사용자 평면 주 기능들은 암호화/암호 해제, ROHC(Robust Header Compression)를 이용하는 헤더 압축 및 압축 해제, 및 인 시퀀스(in-sequence) 전달, 중복 검출(duplicate detection) 및 재전송(주로 핸드오버 동안에 이용됨)을 포함함.
- RLC(Radio Link Control)
● RLC 계층은 PDCP 계층을 위한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UE에 대해 각각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하나의 RLC 엔티티가 존재함
● 제어 및 사용자 평면 둘 모두를 위한 주 기능들은 세그먼테이션 또는 연쇄, 재전송 핸들링(ARQ(Automatic Repeat Request)를 이용함), 중복 검출 및 더 높은 계층들로의 인 시퀀스 전달을 포함함.
- MAC(Medium Access Control)
● MAC는 논리적 채널들의 형태로 RLC 계층에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이들 논리적 채널들과 전송 채널들 간의 매핑을 실행함.
● 주 기능들은 다음과 같다: UL 및 DL 스케줄링, 스케줄링 정보 보고, 하이브리드-ARQ 재전송들 및 반송파 집성을 위한 다중 성분 반송파들에 걸친 멀티플렉싱/디멀티플렉싱.
- PHY(Physical Layer)
● PHY는 전송 채널들의 형태로 MAC 계층에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물리적 채널들에의 전송 채널들의 매핑을 핸들링한다.
● eNB(OFDM)에 의해 수행되는 DL에 대한 주 기능들은 다음과 같다:
○ DL 기준 신호들의 송신
○ 상세한 단계들("상위로부터 하위"로): CRC(Cyclic Redundancy Check) 삽입; 코드 블록 세그먼테이션 및 코드 블록당 CRC 삽입; 채널 코딩(터보 코딩); 레이트 매칭 및 물리적 계층 하이브리드-ARQ 처리; 비트 레벨 스크램블링; 데이터 변조(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또는 64QAM); 안테나 매핑 및 다중 안테나 처리;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포함하여 때때로 IQ 데이터 또는 디지털화된 RF(Radio Frequency) 데이터로 지칭되는 시간 도메인 데이터라는 결과를 낳는 OFDM 처리; 디지털 대 아날로그 변환; 전력 증폭기; 및 안테나에의 송신.
● eNB(DFT-확산 OFDM)에 의해 수행되는 UL에 대한 주 기능들은 다음과 같다:
○ 랜덤 액세스 지원
○ 상세한 단계들("상위로부터 하위"로): CRC 제거, 코드 블록 디세그먼테이션, 채널 디코딩, 레이트 매칭 및 물리적-계층 하이브리드-ARQ 처리; 비트 레벨 디스크램블링; 데이터 복조; IDFT(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안테나 매핑 및 다중 안테나 처리; FFT(Fast Fourier Transform) 및 CP 제거를 포함하는 OFDM 처리; 아날로그 대 디지털 변환; 전력 증폭기; 및 안테나로부터의 수신.
기술된 eNB 기능성은 상이한 방식들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예에서, 모든 프로토콜 계층들 및 관계된 기능성은 안테나를 포함하여 동일 물리적 노드에 배치된다. 이것의 한 예는 피코 또는 펨토 eNodeB이다. 또 다른 배치 예는 이른바 주-원격 분할(Main-Remote split)이다. 이 경우에, eNodeB는 제각기 DU(Digital Unit) 및 RRU(Remote Radio Unit)라고도 불리는 주 유닛 및 원격 유닛으로 분할된다. 주 유닛 또는 DU는, 대신에 원격 유닛 또는 RRU에 배치되는 PHY 계층의 하위 부분들을 제외하고, 모든 프로토콜 계층들을 포함한다. PHY 계층에서의 분할은 시간 도메인 데이터 레벨(IQ 데이터, 즉 IFFT/FFT 및 CP 삽입/제거 전/후)에 있다. IQ 데이터는, 고속의 낮은 레이턴시 데이터 인터페이스인 이른바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상에서 주 유닛으로부터 원격 유닛에 포워딩된다. 원격 유닛은 이후 필요한 디지털 대 아날로그 변환을 실행하여 아날로그 RF 데이터를 생성하고, 아날로그 RF 데이터를 전력 증폭하고, 이 아날로그 RF 데이터를 안테나에 포워딩한다. 또 다른 배치 옵션에서, RRU 및 안테나는 함께 위치되어, 이른바 AIR(Antenna Integrated Radio)을 생성하게 된다.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LTE Rel-10 사양은 표준화되었고, 최대 LTE Rel-8 반송파 대역폭인 20 MHz까지의 CC(Component Carrier) 대역폭들을 지원한다. 20 MHz보다 넓은 LTE Rel-10 동작이 가능하고 LTE Rel-10 단말기에 대한 LTE CC들의 수로서 등장한다. 20 MHz보다 넓은 대역폭들을 획득하는 단순한 방식은 CA(Carrier Aggregation)에 의한 것이다. CA는 LTE Rel-10 단말기가 다중 CC를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함의하는데, 여기서 CC들은 Rel-8 반송파와 동일한 구조를 갖거나, 또는 이 구조를 가질 가능성을 적어도 갖는다. CA는 도 9에 도시된다. Rel-10 표준은 5개까지의 집성된 CC를 지원하는데, 여기서 각각의 CC는 6개의 대역폭 중 하나, 즉 제각기 1.4, 3, 5, 10, 15, 및 20 MHz에 대응하는 6, 15, 25, 50, 75 또는 100 RB를 갖도록 RF 사양에서 제한된다. 집성된 CC들의 수뿐만 아니라 개개의 CC들의 대역폭은 UL 및 DL에 대해 다를 수 있다. 대칭 구성은 DL 및 UL에서의 CC들의 수가 동일한 경우를 지칭하는 반면, 비대칭 구성은 CC들의 수가 DL 및 UL에서 다른 경우를 지칭한다. 네트워크에서 구성되는 CC들의 수가 단말기에서 보이는 CC들의 수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말기는, 네트워크가 동일한 수의 UL 및 DL CC들을 제공한다 하더라도, 예를 들어 UL CC들보다 더 많은 DL CC들을 지원할 수 있다.
CC들은 또한 셀들 또는 서빙 셀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더 특정하게는, LTE 네트워크에서, 단말기에 의해 집성되는 셀들은 PCell(primary Serving Cell), 및 SCell(secondary Serving Cell)로 표시된다. 용어 서빙 셀은 PCell 및 하나 이상의 SCell들 양쪽을 포함한다. 모든 UE들은 하나의 PCell을 갖는다. 어느 셀이 UE의 PCell인지는 단말기 특정적이다. 이러한 PCell은 "더 중요한" 것으로 여겨지는데, 즉 필수적 제어 시그널링 및 다른 중요 시그널링은 전형적으로 PCell을 통해 다루어진다. UL 제어 시그널링은 항상 UE의 PCell 상에서 보내진다. PCell로서 구성되는 성분 반송파는 주 CC인 반면, 모든 다른 CC들은 SCell들이다. UE는 PCell 및 SCell들의 양쪽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스케줄링 명령들과 같은 제어 시그널링은 PCell 상에서만 전송되고 수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명령들은 SCell에 대해서도 유효하며, 이 명령들은 PCell 및 SCell들의 양쪽 상에서 전송되고 수신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동작 모드에 관계없이, UE는 PCC(Primary Component Carrier)에 대한 시스템 정보 파라미터들을 획득하기 위해서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판독할 필요만이 있을 것이다. SCC(Secondary Component Carrier(s))에 관련된 시스템 정보는 전용 RRC 메시지들에서 UE에 제공될 수 있다. 초기 액세스 동안, LTE Rel-10 단말기는 LTE Rel-8 단말기와 유사하게 행동한다. 그러나, 네트워크에의 성공적 연결 시에, Rel-10 단말기는 그 자신의 능력 및 네트워크에 의존하여 UL 및 DL에서의 추가적 서빙 셀들로 구성될 수 있다. 구성은 RRC에 기초한다. RRC 시그널링의 과중한 시그널링과 다소 느린 속도 때문에, 단말기가 다중 서빙 셀들 모두가 현재 이용되는 것은 아니더라도 다중 서빙 셀들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요약하면, LTE CA는 다중 반송파의 효율적 이용을 지원하여, 데이터가 모든 반송파들 상에서 송신되고 수신되는 것을 허용한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이 지원되어, UE가 항상 모든 반송파-스케줄링 채널들을 청취할 필요를 회피하게 한다. 솔루션은 반송파들 사이의 엄격한 시간 동기화에 의존한다.
LTE Rel-12 이중 연결
DC(Dual Connectivity)는 다수의 반송파들에 연결하는 UE들이 다수의 반송파들 상에서 동시에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3GPP에 의해 현재 표준화되는 솔루션이다. 이하는 현재 3GPP 표준에 기초하는 DC의 개요 설명이다. E-UTRAN은 DC 동작을 지원하고, 이에 의하면, RRC_CONNECTED 모드에 있는, 다수의 수신기들 및 송신기들을 갖는 UE는, X2 위에서 비-이상적인(non-ideal) 백홀(backhaul)을 통해 상호연결되는 2개의 eNB들에 위치되는, 2개의 별개의 스케줄러들에 의해 제공되는 라디오 자원들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UE에 대해 DC에 수반되는 eNB들은 2개의 상이한 역할들을 맡을 수 있다. eNB는 MeNB(Master eNB)로서 역할을 하거나, SeNB(Secondary eNB)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DC에서, UE는 하나의 MeNB 및 하나의 SeNB에 연결된다. 특정 베어러가 사용하는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베어러가 어떻게 셋업되는지에 의존한다. 3개의 대안들이 존재한다: MCG(Master Cell Group) 베어러, SCG(Secondary Cell Group) 베어러, 및 분할 베어러. 이러한 3개의 대안들이 도 10에 도시된다. SRB들(Signal Radio Bearers)은, 항상 MCG 베어러와 연관되고, 따라서 MeNB에 의해 제공되는 라디오 자원들만 사용한다. DC는 또한 SeNB에 의해 제공되는 라디오 자원들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를 갖는 것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DC를 위한 eNB간(inter-eNB) 제어 평면 시그널링은 X2 인터페이스 시그널링에 의해 수행된다. MME를 향하는 제어 평면 시그널링은 S1 인터페이스 시그널링에 의해 수행된다. MeNB와 MME 사이에는 UE당 하나의 S1-MME 연결만이 존재한다. 각각의 eNB는 독립적으로 UE들을 취급할 수 있어야 한다, 즉, SCG를 위한 SCell(들)을 다른 것들에 제공하면서 PCell을 일부 UE들에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특정 UE에 대해 DC에 수반되는 각각의 eNB는, 자신의 라디오 자원들을 소유하며, 자신의 셀들의 라디오 자원들을 할당하는 것을 주로 담당한다. MeNB와 SeNB 사이의 협력(coordination)은 X2 인터페이스 시그널링에 의해 수행된다. 도 11은 특정 UE에 대해 DC에 수반되는 eNB들의 C-평면(Control Plane) 연결을 도시한다. MeNB는 S1-MME를 통해 MME에 연결되는 C-평면이고, MeNB 및 SeNB는 X2-C를 통해 상호연결된다. 도 12는 특정 UE에 대해 DC에 수반되는 eNB들의 U-평면(User Plane) 연결을 도시한다. U-평면 연결은 구성되는 베어러 옵션에 의존한다. MCG 베어러들에 대해, MeNB는 S1-U를 통해 S-GW에 연결되는 U-평면이고, SeNB는 사용자 평면 데이터의 전송에 수반되지 않는다. 분할 베어러들에 대해, MeNB는 S1-U를 통해 S-GW에 연결되는 U-평면이고, 또한, MeNB 및 SeNB는 X2-U를 통해 상호연결된다. SCG 베어러들에 대해, SeNB는 S1-U를 통해 S-GW와 직접 연결된다.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E-UTRAN) 기능성의 집중화
현재 RAN(Radio Access Network) 아키텍처의 가능한 미래 발전이 논의되었다. 매크로 사이트 기반의 토폴로지의 기점으로부터, 저전력 셀들의 도입, 상이한 라디오 기지국 사이트들 사이의 전송 네트워크의 발전, 라디오 기지국 하드웨어 발전, 및 일부 예들을 제공하기 위해 전력을 처리할 증가된 필요성은 새로운 도전들 및 기회들을 발생시켰다. RAN 아키텍처에 대해 여러 전략들이 제안되어, 때때로 상이한 방향들을 유도한다. 협력의 이득들, 하드웨어 풀링(pooling) 이득들, 에너지 절약 이득들 및 백홀/프론트홀 네트워크의 발전과 같은, 일부 전략들은 더 집중화된 배치를 위해 작용하고 있다. 동시에, 다른 전략들은, 일부 5G 사용 경우들, 예를 들어, 미션 크리티컬(mission critical)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매우 낮은 레이턴시 요건들과 같은, 비집중화(de-centralization)를 향해 작용하고 있다. 프론트홀 및 백홀이라는 용어들은 기지국에 관련하여 사용된다. 프론트홀에 대한 통상적인 정의는 기저대역 메인 유닛(Main Unit)과 원격 유닛(Remote Unit) 사이의 CPRI 기반의 파이버 링크(fiber link)이다. 백홀은 S1/X2-인터페이스들에 대해 사용되는 전송 네트워크를 지칭한다.
백홀/프론트홀 기술들에서의 최근의 발전은, 종종 C-RAN이라 하는, 기저대역을 집중화하는 가능성을 사실상 열었다. C-RAN은 다른 방식들로 해석될 수 있는 용어이다. 기저대역 유닛들 사이에 견고한 연결 및 데이터의 빠른 교환이 없더라도, 일부에 대해 이는, 많은 사이트들로부터의 기저대역들이 중앙 사이트에 함께 놓이는 솔루션들과 같은 "기저대역 호텔(baseband hotel)"을 의미한다. C-RAN의 가장 흔한 해석은, 아마도 기저대역들 사이에 적어도 일부 종류의 협력이 존재하는 "집중화된 RAN(Centralized RAN)"이다. 잠재적으로 매력적인 솔루션은, 매크로 기지국에 기초하는 더 작게 집중화된 RAN 및 이에 의해 커버되는 저전력 노드들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매크로와 저전력 노드들 사이의 긴밀한 협력(tight coordination)은 종종 상당한 이득들을 줄 수 있다. "협력된 RAN(Coordinated RAN)"이란 용어는 집중화의 협력 이득들에 초점을 맞추는 C-RAN의 종종 사용되는 해석이다. C-RAN의 다른 더 많은 초현대적 해석들은, 라디오 네트워크 기능성이 범용 프로세서들과 같은, 그리고 가능하게는 가상 머신들과 같은, 일반적 하드웨어 상에 지원되는, "클라우드(cloud)" 기반의 및 "가상화된(virtualized)" RAN 솔루션들을 포함한다.
집중화된 배치는, 예를 들어, 유지관리, 업그레이드 및 사이트들이 덜 필요함의 가능한 용이성뿐만 아니라 협력 이득들의 수확과 같은, 하나 또는 여러 힘들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흔한 오해는 집중화에 의해 행해질 큰 풀링 이득 및 대응하는 하드웨어 절약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풀링 이득은 풀링된 셀들의 제1 수보다 크지만 그리고 나서 급격히 감소한다. 함께 위치되고 상호연결되는 다수의 사이트들로부터 기저대역을 갖는 하나의 주요한 이점은 이것이 허용하는 긴밀한 협력이다. 이러한 것들의 예들은, UL CoMP(Coordinated Multi-Point), 및 여러 섹터들 및/또는 반송파들을 한 셀에 조합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의 이득들은, 예를 들어, 기저대역의 공동-배치(co-location) 없이 표준 인터페이스들(X2)에 대해 행해질 수 있는 eICIC(enhanced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와 같은, 보다 덜 긴밀한 협력 방식들의 이득들에 비해 종종 현저할 수 있다.
협력 이득 관점으로부터 매력적인 C-RAN 배치는, 고속 상호연결에 대해 매크로에 견고하게 통합되는, 매크로 사이트에 의해 커버되는, 몇몇 주파수 대역들, 및 다수의 보다 낮은 전력 라디오들을 일반적으로 갖는, 더 큰 매크로 사이트 주변에 설정되는 C-RAN이다. 경기장들 및 시장들에 대해서와 같은 배치 시나리오들에서 최대 이득들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임의의 C-RAN 배치에 대한 중요한 고려사항은, 프론트홀을 통한 전송, 즉, 종종 "퍼스트 마일(the first mile)"이라 하는, 집중화된 기저대역 부분과 라디오들 사이의 연결이다. 시장들 사이에서 오히려 크게 변하는 프론트홀의 비용은 이익들에 대해 균형화될 필요가 있다.
도 10에 도시되고 배경 섹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를 갖는 DC RAN 아키텍처에 연결된 UE에 대해,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공지된 절차가 없다. 무선 디바이스가 둘 이상의 무선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무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할 링크를 알 필요가 있다.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 중 하나 이상을 경감시키거나 적어도 감소시키는 것이고, 다중 연결 시나리오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독립 청구항들에 따른 방법들, 무선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그리고 종속 청구항들에 따른 실시예들에 의해 달성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행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제1 및 제2 무선 링크를 통해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연결된다. 이 방법은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 중에서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은, 제1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제2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및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결정된 전송 모드에 따라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제1 네트워크 요소에서 수행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제1 및 제2 무선 링크에서 제1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연결된다. 이 방법은 제1 네트워크 요소에서 수행된다. 이 방법은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은, 제1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제2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및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결정하는 것은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에 기초한다. 이 방법은 또한 무선 디바이스가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모드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정보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의 표시를 포함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제1 및 제2 무선 링크를 통해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연결가능하다. 무선 디바이스는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 중에서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은, 제1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제2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및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결정된 전송 모드에 따라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제1 네트워크 요소가 제공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제1 및 제2 무선 링크를 통해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연결가능하다. 제1 네트워크 요소는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은, 제1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제2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및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결정하는 것은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에 기초한다. 제1 네트워크 요소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가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모드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이 정보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의 표시를 포함한다.
추가의 양태들에 따르면, 상기의 양태에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이 제공된다.
실시예들의 하나의 이점은 다중 연결 시나리오에서 무선 디바이스가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어떻게 전송하는지에 대한 절차가 제공된다는 것이다. 다른 이점은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모드가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의 능력 또는 부하 상황과 같은 현재의 상황에 적응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들, 이점들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 및 청구항들과 관련하여 고려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될 것이다.
특정 특징들 및 이점들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양태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로부터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3GPP 액세스들을 위한 비-로밍 EPC 아키텍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E-UTRAN 전체 아키텍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EPC 제어 평면 프로토콜 아키텍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EPC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아키텍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기본 LTE DL 물리적 자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LTE 시간-도메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DL 서브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a 및 8b는 종래의 eNB 라디오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어 및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계층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5개의 CC의 CA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DC를 위한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DC에 수반되는 eNB들의 C-평면 연결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DC에 수반되는 eNB들의 U-평면 연결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네트워크 요소들 사이에 기능 분할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a 및 14b는 eNB-a와 eNB-s로의 eNB 분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설정된 기능 분할을 갖는 DC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은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설정된 다중-RAT DC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은 실시예들에 따라 UE와 네트워크 사이의 시그널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시그널링 도면이다.
도 18a 내지 도 18e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를 위한 방법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들이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요소를 위한 방법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들이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요소들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들이다.
이하에서, 상이한 양태들은 소정의 실시예들 및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상이한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특정의 시나리오들 및 기술들 등과 같은 구체적인 세부 사항들이, 제한이 아닌 설명을 목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들에서 벗어나는 기타 실시예들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상이한 포럼들에서 무선 산업에서 진행 중인 논의들은, 5G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의 기능적 아키텍처가 상이한 하드웨어 플랫폼들에서 그리고 가능하게는 네트워크의 상이한 사이트들에서 배치되기에 충분히 융통성 있게 설계되어야 하는 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능 분할이 제안되어 있다. 이 예에서, RAN 기능들은 동기식 기능들(SF: Synchronous Functions) 및 비동기식 기능들(AF: Asynchronous Functions)로 분류된다. 비동기식 기능들은 느슨한 타이밍 제약조건들을 갖는 기능들이고, 동기식 기능들은 통상적으로 시간 임계적 기능성을 실행하고 있다. 동기식 네트워크 기능들은,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라디오 링크의 타이밍에 엄격하게 의존하는 처리 타이밍에 대한 요건들을 갖는다. 엄격하게 의존한다는 것은 동기식 네트워크 기능들이 의도한 대로 작동하기 위해 라디오 링크의 타이밍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비동기식 네트워크 기능들은, 라디오 링크의 타이밍에 엄격하게 의존하지 않는, 또는 심지어 라디오 링크의 타이밍에 독립적인 처리 타이밍에 대한 요건들을 갖는다. 동기식 기능들은 eNB-s라고 하는 논리적 노드에 위치될 수 있고, 비동기식 기능들은 eNB-a라고 하는 논리적 노드에 위치될 수 있다. eNB-s에 연관되는 기능들, 즉 동기식 기능들의 인스턴스들은 에어 인터페이스에 가까운 네트워크 요소에 배치될 수 있다. 동기식 기능들은 SFG(Synchronous Function Group)라는 것을 형성할 것이다. eNB-a에 연관되는 비동기식 기능들의 인스턴스들은, 에어 인터페이스에 가까운 네트워크 요소에서, 즉 eNB-s 기능들과 같은 동일한 네트워크 요소에서 또는 FNN들(Fixed Network Nodes)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 요소들에서 융통성 있게 인스턴스화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이 E-UTRAN 기능들이라고 가정되면, 기능들의 분할은 도 14a와 14b에 도시되는 제어 평면 및 사용자 평면에 대한 기능적 아키텍처로 이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는 하나의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필요할 것이다.
집성된 데이터 레이트들을 위한 사용자 평면 집성, 또는 예를 들어 신뢰성 및 고속 패킷 스위칭을 위한 제어/사용자 평면 다이버시티와 같은, DC 또는 다중-연결 특징들을 지원하기 위해, 비동기식 기능들의 인스턴스들은 동기식 기능들의 다수의 인스턴스에 공통되게 될 수 있다. 달리 말해서, eNB-a와 연관된 기능의 동일한 인스턴스는 eNB-s와 연관된 기능의 다수의 인스턴스를 제어할 수 있다. 현재 LTE 기능성(위 섹션 "LTE 제어 및 사용자 평면 아키텍처" 참조)의 경우에, 이것은 RLC/MAC/PHY의 N개의 다수의 인스턴스에 연관되는 RRC 및 PDCP 기능들에 대해 공통 인스턴스들로 이어질 수 있다. N은 UE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는 링크들의 수이다. UE가 네트워크 요소 eNB-s1과 네트워크 요소 eNB-s2 양자 모두를 통해 2개의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 요소 eNB-a에 연결되는 도 15에서의 일례의 시나리오가 도시된다. 네트워크 요소 eNB-a는 일반적으로 비동기식 기능들, 즉, 제어 평면(RRC 및 PDCP) 및 사용자 평면(PDCP) 양자 모두에 대해 공통인 프로토콜들을 포함한다.
5G 라디오 액세스들이 다수의 에어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에어 인터페이스 변형들 또는 상이한 RAT들에 대한 에어 인터페이스들에 의해 구성될 것이라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다수의 에어 인터페이스는 견고하게 통합될 수 있고, 이는 다수의 에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공통 기능 인스턴스들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의미한다. 5G 시나리오에서의 에어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LTE-호환가능형, 예를 들어 LTE의 발전일 수 있는 반면, 다른 하나는 LTE-호환불가형이라는 것으로 또한 생각된다. 따라서, 이러한 다중-RAT 통합된 아키텍처를 다루기 위해, 다중-연결 시나리오는 상이한 액세스 기술들로부터의 네트워크 요소들 또는 논리 노드들을 지원하여야 한다. LTE-호환불가형 네트워크 요소들은, 예를 들어 고 주파수들- 5G 네트워크가 고 주파수들에서 동작될 것으로 추정됨- 및 처리될 필요가 있는 새로운 사용 사례들로 인해, LTE-호환가능형 네트워크 요소들이 지원하는 것보다 더 낮은 상이한 계층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LTE와 새로운 5G 라디오 액세스들 사이에 표준화된 CA가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표준화된 DC 솔루션은 사용자 평면 집성의 상이한 레벨들을 포함하지만 2개의 상이한 LTE-반송파들 사이에 또는 LTE-호환가능형과 LTE-호환불가형 반송파들 사이의 이중 제어 평면(Dual Contral Plane)을 위한 수단은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eNB-a와 eNB-s 사이의 앞서 설명된 기능 분할은 비동기식 기능들의 동일한 인스턴스가 다수의 에어 인터페이스에 대해 정의되도록 확장될 수 있으며, 여기서 UE는 동시에 또는 이동성 절차들 동안 다수의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수의 에어 인터페이스는 그리고 나서, 예를 들어 5G 라디오 액세스의 호환가능형-LTE 및 호환불가형-LTE 부분들에 대해, 에어 인터페이스당 상이한 동기식 기능적 그룹들을 가질 것이다.
도 13에 도시되는 분할은 상이한 RAT들, 예를 들어 하나는 LTE RAT이고 하나는 5G RAT 사이의 DC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eNB-a는 비동기식 기능들을 위해 제어 및 사용자 평면 양자 모두에 대해 공통 지원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RAT에 대한 eNB-s는 동기식 기능들을 포함하고, 따라서 동기식 기능들이 RAT-특정인, 예를 들어 LTE RAT와 5G RAT에 대해 상이한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시나리오는, 각각, eNB-a가 "5G 및 LTE eNB-a"으로 불리우고, eNB-s가 "LTE eNB-s1" 및 "5G eNB-s2"로 불리우는 도 16에 도시된다.
도 15 및 16을 참조하여 위에 설명되는 것과 같은 기능 분할 및 RAN 아키텍처, 또는 기능들의 그룹들이 상이한 네트워크 요소들에 인스턴스화되는 임의의 다른 RAN 기능 분할은, 다수의 네트워크 요소 및/또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수인 에어 인터페이스로부터의 링크들에 연관되는 공통 기능 인스턴스(들)를 가질 가능성을 암시한다.
실시예들은 도 15에 도시된 예시적인 시나리오에서 UE에 의한 측정 보고-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임 -의 전송과 관련하여 비 제한적인 일반적인 문맥으로 설명된다. UE는 제1 및 제2 무선 링크를 통해 eNB-a에 연결된다.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UE를 서빙하는 네트워크 기능들은 본 예시적인 시나리오에서 각각 제1 네트워크 요소 및 제2 네트워크 요소로서 지칭될 수 있는 eNB-a 및 eNB-s1 사이에서 분할된다. 제2 무선 링크를 통해 UE를 서빙하는 네트워크 기능들은 eNB-a와 eNB-s2 사이에서 분할되고, 여기서 eNB-s2는 제3 네트워크 요소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요소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동일한 물리적 네트워크 노드의 일부일 수 있거나, 그것들은 각각 개별 물리적 네트워크 요소들일 수 있다. 네트워크 기능들은 예시적인 시나리오에서 그것들이 비동기식인지 동기식인지에 기초하여 eNB-a와 eNB-s1/e-NB-s2 사이에서 분할된다. 비동기식 기능들 eNB-a의 동일한 인스턴스는 다수의 에어 인터페이스에 대해 정의될 수 있으며, 여기서 UE는 동시에 2개의 무선 링크에 대응하는 다수의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수의 에어 인터페이스는 그 후 에어 인터페이스당 상이한 동기식 기능 그룹들과 연관될 것이다. 도 15의 eNB-s1과 eNB-s2는 동일한 RAT로부터의 것일 수 있고, 동일한 운영자에 의해 또는 상이한 운영자들에 의해 소유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eNB-s1 및 eNB-s2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각기 상이한 RAT들, 예를 들어 LTE-호환가능형과 LTE-호환불가형 5G 액세스들로부터의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2 경우에서 그들은 동일한 운영자에 의해 또는 상이한 운영자들에 의해 소유될 수 있다. 여기서 기술된 실시예들은 다수의 RAT, 예를 들어 LTE 및 5G RAT들과 관련하여 주로 주어진다. 그러나, 기술된 실시예들은, 단일 RAT 경우들에, 특히 단일 RAT가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 사용될 수 있는 경우들에서와 같이, 단일 eNB-s가 다수의 상이한 운영자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의 경우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 시나리오의 기능들이 이들이 동기식일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구별될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네트워크 기능들이 그 기능들이 동기식일지의 여부에 의한 것보다 몇몇 다른 기준에 기초하여 2개의 네트워크 요소로 분할되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 기능 아키텍처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한 예는 이들이 다수의 RAT에 공통적인지 RAT들 중 하나에 특정한지에 기초하여 다중-RAT 시나리오에서 기능들을 분할하는 것이다.
또한, 설명된 실시예들은 2개의 네트워크 요소에서 네트워크 기능들의 분할 없이 순수 DC 시나리오에 대해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디바이스는 제2 및 제3 네트워크 요소를 수반하지 않고 2개의 링크를 통해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한, 실시예들이 DC 시나리오에 관련하여 기술되어도, 실시예들은 또한 UE가 다중-연결에 진입하는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다중"은 다른 링크들과 상이한 액세스 계층 또는 RAT로부터의 것일 수 있거나 다른 링크들과 동일한 액세스 계층 또는 RAT로부터의 것일 수 있는 또 다른 링크를 추가하는 것에 의해, 이중 초과, 즉 2개 초과를 암시한다. 다중 연결 시나리오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전송하는 절차는 전술한 DC 시나리오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들의 전송과 유사하고,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중 연결 시나리오에 용이하게 적용가능할 수 있다.
전송 모드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예시적인 시나리오에서와 같이 분할 기능성을 갖는 DC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로 측정 보고들을 전송하기 위한 존재하지 않는 절차들의 문제점은 UE가 측정 보고를 전송할 무선 링크 또는 링크들을 UE가 결정하는 솔루션에 의해 해결된다. UE는 측정 보고를 전송하기 위한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 중에서 전송 모드를 결정한다. 대안적인 전송 모드는 다음을 포함한다:
- 제1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 제2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전송하는 것.
결정된 전송 모드는 그 후 측정 보고를 전송할 때 사용된다.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전송하기 위한 전송 모드는 한 번 전송될 측정 보고들 및/또는 이벤트-트리거(event-triggered) 측정 보고들과 같이 손실되지 않아야 하는 측정 보고들에 특히 유용하다. 또한, 확인응답되지 않은 업링크 시그널링 절차들이 도입되면,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전송하기 위한 전송 모드는 확인응답되지 않은 측정 보고에 적합할 수 있다. 한편, 무선 링크들 중 하나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전송 모드는 주기적 측정 보고들에 특히 유용하다. 이 전송 모드는 측정 보고 전송들의 양을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추가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어떤 무선 링크가 선택되는지는 상이한 방식들로, 예컨대 미리 결정된 규칙 또는 스킴을 사용하는 것, 예를 들어, 채널 상태들, 시그널링 절차의 성질, 예상 레이턴시, 필요한 전송 전력 및 사용자 특정 또는 UE 특정 정책들과 같은 양태들을 고려하는 것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례에서, 전송에 대한 무선 링크의 선택은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 또는 측정 보고의 타입에 기초한다. 다른 예에서, 측정 보고가 전송될 때마다, UE는 예를 들어, 라운드-로빈(round-robin) 규칙에 기초하여 또는 랜덤하게 하나의 링크를 자율적으로 선택한다.
실시예들에서, UE는 또한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것의 일부로서 재전송들을 수행하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E는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측정 보고를 전송하도록 결정한다. 또한, UE는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측정 보고를 반복적으로 재전송하도록 결정하고, 링크들 중 하나에서 네트워크에 의해 측정 보고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하는 응답 또는 확인응답(ACK)을 얻을 때 재전송을 중지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E는 무선 링크들 중 하나에서 측정 보고를 전송하고, ACK 또는 응답이 없을 때 UE는 측정 보고를 다른 무선 링크에서 재전송한다. 이들 실시예들은 UE에 의해 전송된 측정 보고들에 대한 다이버시티를 도입하는 것에 의해 측정 보고에 대한 견고성을 증가시킨다.
도 17은 UE가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측정 보고를 반복적으로 전송하고, 링크들 중 하나에서 ACK를 얻을 때 전송을 중지하는 실시예에서의 UE(1750)와 네트워크 사이의 시그널링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그널링 도면이다. S1a 및 S1b에서, UE(1750)는 링크들 각각에서 측정 보고를 전송한다. 이 메시지들은 양자 모두 손실된다(파선 신호 화살표들로 도시됨), 즉 네트워크가 측정 보고를 결코 수신하지 않는다. S2a 및 S2b에서, UE(1750)는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측정 보고들을 재전송한다. 측정 보고의 재전송 S2a는 제1 링크를 통해 LTE eNB-s1(1720)에 의해 수신되고, S2c에서 5G 및 LTE eNB-a1(1700)에 의해 포워딩되고 수신된다. 5G 및 LTE eNB-a1(1700)은 이어서 S3a 및 S3b에서 2개의 링크를 통해 측정 보고 ACK를 UE(1750)로 전송한다. 이 예에서, 5G eNB-s2(1730)에 의해 제2 링크를 통해 전송된 측정 보고 ACK만이 S3d에서 UE(1750)에 의해 수신된다. S3c의 제1 링크를 통해 전송된 측정 보고 ACK가 손실된다. UE(1750)가 S3d에서 측정 보고 ACK를 수신하기 전에, UE(1750)는 측정 보고의 제2 재전송(도시되지 않음)을 이미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UE(1750)가 5G eNB-s2(1730)를 통해 측정 보고 ACK 메시지(S3d)를 수신하면, UE(1750)는 171에서 재전송을 중지한다. 재전송들을 갖는 전술된 전송 모드는, 측정 보고가 수신된 측정 보고에 응답하여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되는, 이 예에서의 측정 보고 ACK와 같은 적합한 다운링크 확인응답 메시지를 가질 것을 요구한다. 재전송들을 갖는 이 전송 모드는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 대해 채널 상태들이 불량한 상황들에서 특히 유용하다.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것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송 모드의 결정은 UE에 의해 자율적으로 수행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결정하는 것은 네트워크에 의해 수행되고, 네트워크는 후속하여, 예를 들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와 같은 구성 메시지를 사용하여 UE의 구성을 통해 결정된 전송 모드를 UE에 알린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전송 모드의 결정은 2개의 이전 실시예의 조합이며, 여기서 네트워크가 가능한 전송 모드들의 세트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UE에 알리거나 이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UE는 어떤 전송 모드를 사용할지에 관해 최종 결정을 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측정 보고가 생성된 후에 전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반대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전송 모드가 결정된 후에 측정 보고가 생성된다. 전송 모드는 예를 들어, 업링크 승인 메시지 또는 스케줄링 명령에서 UE에 대해 네트워크에 의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서, 매 측정 보고를 생성하기 전에 전송 모드를 시그널링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UE는 UE가 전송 모드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RRC 메시지의 일부로서 구성 규칙들을 수신할 수 있고, 따라서 전송 모드는 측정 보고의 생성 전에 UE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측정 보고는 예를 들어, RRC 계층에 의해 생성되고 하위 계층들에 의해 큐잉되고, 그 후 하위 계층들은 측정 보고가 전달되기 직전에 전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전송 모드의 결정은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준에 기초할 수 있다. 기준들은 아래에 나열된다. UE가 자율적으로 전송 모드를 결정할 때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따라서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이용하는 것은 UE이다.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것이 네트워크일 때, 네트워크는 이에 대응하여 결정을 위한 기준을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및 UE 양자 모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기준일 수 있는 기준들을 사용한다. 네트워크 및 UE에 의해 각각 사용된 기준은 네트워크 및 UE가 동일한 정보에 대한 액세스를 갖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다를 수 있다. 아래의 기준 목록에서, 각각의 기준은 달리 명시되지 않은 경우 UE와 네트워크 양자 모두에 적용가능하다.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목록
채널 품질
그를 통해 UE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무선 링크들의 채널 품질은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UE 및/또는 네트워크는 무선 링크들의 서브세트 또는 무선 링크들 전부의 채널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가 채널 품질을 측정하고 있는 경우, UE는 네트워크로부터 채널 품질의 보고들 또는 표시들을 수신할 수 있다. UE 또는 네트워크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채널 품질을 사용하고, 이에 의해 전송된 측정 보고가 네트워크에 도달할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E는 제1 무선 링크의 채널 품질이 제2 무선 링크의 채널 품질보다 양호한 경우, 그리고 제1 무선 링크의 채널 품질이 품질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 무선 링크에서 측정 보고를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UE는 제1 무선 링크의 채널 품질이 제2 무선 링크의 채널 품질과 유사한 경우, 그리고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의 채널 품질이 품질 임계값과 같거나 그보다 낮은 경우, 제1 및 제2 무선 링크 양자 모두에 대한 측정 보고를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채널 품질은, 예를 들어, 채널 품질 차이가 주어진 값보다 작은 경우 유사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 후자의 실시예에서, UE는, 링크들 중 어느 하나에서 네트워크로부터 확인응답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측정 보고가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재전송되어야 하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전송하기 위한 측정 보고가 "중요"로서 카테고리화될 때 결정될 수 있고, 이는 측정 보고 타입 및 상황(예를 들어, 아래의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 타입" 하에서 기준 목록 참조)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중요" 측정 보고의 예는 아마도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의 불량한 채널 품질 때문에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할 것이고 따라서 성능과 관련하여 중요한 이벤트 트리거 측정 보고이다.
부하
그를 통해 UE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무선 링크들에서의 부하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UE 및/또는 네트워크는 전송 모드를 선택할 때 링크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의 부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측정 보고들을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상의 부하 영향을 감소시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주어진 링크의 부하는 예를 들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된 신호 전력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케줄링 큐들의 처리량 또는 크기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부하가 획득될 수 있다.
UE 능력
UE 능력은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UE는 예를 들어, 제1 무선 링크를 사용가능하지만 제2 무선 링크는 사용가능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제1 무선 링크에서만 측정 보고를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이것은 UE가 단지 LTE 가능하고, 2개의 링크가 2개의 상이한 RAT, 예컨대 하나의 LTE 호환가능형 및 하나의 LTE 호환불가형 RAT 각각에 대응할 때의 경우일 수 있다.
복원성 / 중복성 / 강건성
복원성, 중복성 또는 강건성 요건들은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UE는 예를 들어, 링크들 중 하나에서 측정 보고를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고, 그 후 확인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다른 링크에서 측정 보고를 재전송하도록, 강건성을 이유로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요건 / QoS
RAN이 서비스 요건들을 인식하는 유일한 방법일 수 있는 베어러의 QoS 또는 활성 서비스의 요건들은 전송 모드의 결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건성 및/또는 낮은 레이턴시가 서비스에 의해 요구되고, 따라서 재전송이 회피되어야 하는 경우,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동일한 패킷들을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예는 상이한 무선 링크들에서 상이한 패킷들을 전송하여 처리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구체적으로 상이한 UE들의 시그널링 베어러들에 대해 상이한 QoS가 시그널링될 수 있을 때의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레이턴시
그를 통해 UE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무선 링크들의 레이턴시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례에서, 측정 보고는 가장 낮은 레이턴시를 갖는 무선 링크에서 전송된다. 링크의 레이턴시를 획득하기 위해, UE는 일례에서 2개의 링크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IPv4) 핑을 전송하고 핑 응답들을 비교할 수 있다. 링크들에 대한 레이턴시 값을 획득하는 방법의 다른 예는, 2개의 링크들이 상이한 RAT들을 각각 사용하는 경우에, 상이한 링크들에 대해 가정된 레이턴시 랭킹 순위의 미리 구성된(예를 들어, 하드 코딩된) 값들을 사용하는 것이다.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의 타입
전송될/수신될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의 타입은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입력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례에서, 측정 보고에 대한 전송 모드는 무선 링크들 중 하나에서 전송할 것으로 결정되는 반면, 모든 다른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들에 대한 전송 모드는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전송할 것으로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전송 모드의 선택은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의 중요성 또는 긴급성에 의존할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은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에 대한 확인응답이 예상되는지 여부에 의존할 수 있다.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가 측정 보고인 경우, 전송 모드는 측정 보고의 타입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례에서, 주기적 측정 보고에 대한 전송 모드는 링크들 중 하나에서 전송할 것으로 결정되는 반면, 이벤트-트리거 측정 보고에 대한 전송 모드는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전송할 것으로 결정된다.
대응하는 다운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의 전송 모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가 다운링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경우, 다운링크에 사용되는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를 통해 다운링크 메시지가 수신되었던 것과 동일한 무선 링크 또는 링크들에서 업링크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를 통해 다운링크 메시지가 수신되었던 링크와는 다른 특정 링크에서, UE가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업링크-다운링크 분리). 네트워크는 다운링크 시그널링 메시지가 전송될 때 전송 모드를 결정할 수 있고, 주어진 무선 링크에서 다운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 암시적으로 전송 모드로 UE를 구성할 수 있다.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의 확인응답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는,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가 지정된 시그널링 프로토콜에 따라 네트워크의 수신기에 의해 확인응답되거나 응답되는지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UE는 하나의 무선 링크에서 확인응답될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지만, 확인응답이 예상되지 않는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는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전송된다.
캐리어 집성(CA)
무선 링크들 각각의 업링크 사용은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할 기준일 수 있다. 업링크 사용은 예를 들어, 그것이 LTE 및 5G CA 또는 이중 연결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TE-측에서 CA가 적용되면, LTE와 5G 사이의 이중 연결에 더하여, LTE를 통해서만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CA는 LTE 링크의 성능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LTE 링크가 바람직하다.
백홀 품질
5G eNB-s2에서 eNB-a1로의 백홀 품질 및 LTE eNB-s1에서 eNB-a1로의 백홀 품질은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원리는 더 양호한 품질을 갖는 백홀이 더 낮은 품질을 갖는 백홀보다 우선 순위가 부여된다는 것이다. eNB-a1은 상이한 eNB-s1 및 eNB-s2에 대한 링크들을 측정할 수 있고, UE는 특정 링크의 백홀 품질에 대해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통지받을 수 있다.
UE의 이동성/속도
UE의 이동성 또는 속도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의 속도가 지정된 한도를 초과하여 측정될 때 또는 UE가 특정 이동성 상태에 있는 것으로 식별될 때 UE가 빠르게 움직이고 있으면, 상이한 링크들의 가장 넓은 커버리지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링크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LTE 링크는 LTE가 5G 링크의 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배치될 때의 경우에 바람직할 수 있다.
QoS
상이한 링크들에서의 합의된 또는 예상된 QoS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이한 링크들은 명시적 시그널링을 통해 상이한 QoS와 연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QoS는 상이한 링크들에 대해 측정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규칙
라운드-로빈 규칙과 같은 미리 결정된 규칙이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규칙의 일례는 UE가 제1 무선 링크에서 모든 제2 측정 보고 및 제2 무선 링크에서 모든 다른 제2 측정 보고를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것이다.
랜덤 선택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은 측정 보고의 전송을 위해 이용 가능한 무선 링크들 사이에서 하나의 무선 링크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e 및 도 19를 참조하여 기술된 방법들의 실시예들
도 18a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제1 및 제2 무선 링크를 통해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연결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UE, 이동 단말기, 센서, 또는 랩톱과 같은 임의의 종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행되고 다음을 포함한다:
- 1810: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 사이에서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것.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은, 제1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제2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및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이한 전송 모드들의 이점들은 위의 "전송 모드들"에서 더 설명한다. 실시예들에서, 전송 모드의 결정은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에 기초한다.
- 1820: 결정된 전송 모드에 따라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
위의 "전송 모드들을 결정" 섹션에서, 결정이 행해질 수 있는 방법과 관련된 다른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결정하는 것은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자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거나, 그 후 그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를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네트워크에 의해서만 수행될 수 있거나, 결정은 네트워크 및 무선 디바이스 양자 모두에 의한 조합된 결정일 수 있다. 네트워크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특정 기준의 무선 디바이스보다 더 나은 지식을 가질 수 있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도 18b 내지 도 18c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실시예들은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들 중 일부를 설명한다.
도 18b는 디바이스가 일부 기준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정보를 네트워크가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2개의 전송 모드의 표시를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고, 무선 디바이스는 그 후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일부 기준에 기초하여 표시된 전송 모드들 중 하나를 결정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이 실시예에서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1800: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 제1 네트워크 요소가 정보의 무선 디바이스로의 전송에 수반되지만, 정보의 기원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 1810: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것. 실시예들에서, 전송 모드의 결정은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에 기초한다. 기준은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채널 품질일 수 있다.
- 1820: 결정된 전송 모드에 따라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
도 18c는 네트워크가 전송 모드 표시들 및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들 양자 모두를 전송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것은 무선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2개의 대안적인 전송 모드뿐만 아니라 2개의 링크에 대한 부하 값들을 전송할 수 있고, 그 후 무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의 타입을 고려하여 최상의 전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1800: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
- 1805: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수신하는 것.
- 1810: 수신된 정보 및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수신된 기준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것. 결정하는 것은 또한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의 타입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알려진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에 기초할 수 있다.
- 1820: 결정된 전송 모드에 따라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
위의 "전송 모드들" 섹션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것은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재전송할 링크를 결정하는 것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도 18d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과 조합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의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전송 모드의 결정(1810)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1811: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것.
- 1812: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의 확인응답이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수신될 때까지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재전송하도록 결정하는 것.
또한, 이 방법은 결정된 전송 모드- 즉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제1 전송 및 그 후 확인응답이 제1 전송에 대해 수신되지 않으면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재전송 -에 따른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의 전송(18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e는 도 18a 내지 도 18c를 참조하여 기술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과 조합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의 다른 이러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전송 모드의 결정(1810)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1815: 제1 무선 링크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것.
- 1816: 제1 무선 링크에서 전송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에 대한 확인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제2 무선 링크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재전송하도록 결정하는 것.
또한, 이 방법은 결정된 전송 모드- 즉 하나의 링크에서 제1 전송 및 확인응답이 제1 전송에 대해 수신되지 않으면 다른 링크에서 재전송 -에 따른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의 전송(18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e를 참조하여 기술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의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서,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될 수 있다:
●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링크의 채널 품질;
●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부하;
●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무선 디바이스 능력;
●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와 연관된 베어러의 서비스 품질;
●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링크의 레이턴시;
●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의 타입;
●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가 응답인 다운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의 전송 모드;
●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가 확인응답인지 여부;
●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캐리어 집성의 사용;
● 무선 디바이스의 속도;
●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서비스 품질;
●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규칙;
●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링크의 랜덤 선택.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전송 모드의 결정(1810)은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링크의 채널 품질을 획득하는 것 및 획득된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 품질의 획득은 채널 품질을 측정하는 것 및 제1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채널 품질을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의 채널 품질이 획득된다. 그 후 획득된 채널 품질에 기초한 전송 모드의 결정(1810)은 가장 높은 획득된 채널 품질이 임계값과 같거나 그보다 높은 경우, 가장 높은 획득된 채널 품질을 갖는 무선 링크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에, 가장 높은 획득된 채널 품질이 임계값 아래인 경우, 전송 모드의 결정(1810)은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무선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제1 및 제2 무선 링크를 통해 제1 네트워크 요소에 연결된다. 이 방법은 제1 네트워크 요소에서 수행되고 다음을 포함한다:
- 1910: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것.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은, 제1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제2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및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의 결정은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에 기초한다.
- 1920: 무선 디바이스가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모드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 이 정보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의 표시를 포함함 -. 전송된 정보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실시예들에서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 중 하나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될 수 있다:
●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링크의 채널 품질;
●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부하;
●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무선 디바이스 능력;
●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와 연관된 베어러의 서비스 품질;
●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링크의 레이턴시;
●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의 타입;
●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가 응답인 다운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의 전송 모드;
●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가 확인응답인지 여부;
●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캐리어 집성의 사용;
● 무선 디바이스의 속도;
●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서비스 품질;
●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규칙;
●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링크의 랜덤 선택.
전술한 바와 같이,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서 측정 보고일 수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은 양자 모두가 하나의 RAT와 연관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이 제각기 상이한 RAT들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된 기능성 분할이 또한 실시예들에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를 서빙하는 네트워크 기능들은 제1 네트워크 요소와 제2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서 분할된다. 제2 무선 링크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를 서빙하는 네트워크 기능들은 제1 네트워크 요소와 제3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서 분할된다. 도 15 및 도 16의 예시적인 시나리오에서, 제1 네트워크 요소는 eNB-a에 대응하고, 제2 네트워크 요소는 eNB-s1에 대응하고, 제3 네트워크 요소는 eNB-s2에 대응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네트워크 요소의 네트워크 기능들은 비동기식 네트워크 기능들일 수 있고, 제2 및 제3 네트워크 요소들의 네트워크 기능들은 동기식 네트워크 기능들일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요소의 동기식 네트워크 기능들은 제1 무선 링크의 타이밍에 엄격하게 의존하는 처리 타이밍에 대한 요건들을 가질 수 있다. 제3 네트워크 요소의 동기식 네트워크 기능들은 제2 무선 링크의 타이밍에 엄격하게 의존하는 처리 타이밍에 대한 요건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비동기식 네트워크 기능들은 제1 또는 제2 무선 링크들 중 임의의 무선 링크의 타이밍에 엄격하게 의존하지 않는 처리 타이밍에 대한 요건들을 가질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c를 참조하여 기술된 장치의 실시예들
무선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2050)의 실시예는 도 20a에서의 블록도에 개략적으로 예시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디바이스(2050)는 적어도 제1 및 제2 무선 링크를 통해 제1 네트워크 요소(2000)에 연결가능하다. 무선 디바이스(2050)는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 중에서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은, 제1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제2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및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2050)는 또한 결정된 전송 모드에 따라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050)는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정보를 제1 네트워크 요소(20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50)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옵션으로서, 무선 디바이스(2050)는 제1 네트워크 요소(2000)로부터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050)는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링크의 채널 품질을 획득하고, 획득된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해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획득하는 것은 채널 품질을 측정하는 것 및 제1 네트워크 요소(2000)로부터 채널 품질을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050)는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의 채널 품질을 획득하고, 가장 높은 획득된 채널 품질이 임계값과 같거나 그보다 높은 경우 가장 높은 획득된 채널 품질을 갖는 무선 링크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해, 획득된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가장 높은 획득된 채널 품질이 임계값 아래인 경우, 무선 디바이스(2050)는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해, 획득된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050)는,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의 확인응답이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수신될 때까지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재전송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해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무선 디바이스(2050)는 제1 무선 링크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제1 무선 링크에서 전송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에 대한 확인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제2 무선 링크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해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는 측정 보고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은 양자 모두가 하나의 RAT와 연관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이 제각기 상이한 RAT들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된 기능성 분할이 또한 실시예들에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를 서빙하는 네트워크 기능들은 제1 네트워크 요소와 제2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서 분할된다. 제2 무선 링크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를 서빙하는 네트워크 기능들은 제1 네트워크 요소와 제3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서 분할된다. 도 15 및 도 16의 예시적인 시나리오에서, 제1 네트워크 요소는 eNB-a에 대응하고, 제2 네트워크 요소는 eNB-s1에 대응하고, 제3 네트워크 요소는 eNB-s2에 대응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네트워크 요소의 네트워크 기능들은 비동기식 네트워크 기능들일 수 있고, 제2 및 제3 네트워크 요소들의 네트워크 기능들은 동기식 네트워크 기능들일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요소의 동기식 네트워크 기능들은 제1 무선 링크의 타이밍에 엄격하게 의존하는 처리 타이밍에 대한 요건들을 가질 수 있다. 제3 네트워크 요소의 동기식 네트워크 기능들은 제2 무선 링크의 타이밍에 엄격하게 의존하는 처리 타이밍에 대한 요건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비동기식 네트워크 기능들은 제1 또는 제2 무선 링크들 중 임의의 무선 링크의 타이밍에 엄격하게 의존하지 않는 처리 타이밍에 대한 요건들을 가질 수 있다.
도 20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205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2051) 및 메모리(2052)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50)는 또한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을 통해 제1 네트워크 요소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205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2053)는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적응된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52)는 상기의 처리 회로(2051)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무선 디바이스(20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 중에서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50)는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2053)를 통해, 결정된 전송 모드에 따라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기능성 분할 실시예가 도 20b에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2050)를 서빙하는 네트워크 기능들은 제1 네트워크 요소(2000)와 제2 네트워크 요소(2020) 사이에서 분할된다. 제2 무선 링크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2050)를 서빙하는 네트워크 기능들은 제1 네트워크 요소(2000)와 제3 네트워크 요소(2030) 사이에서 분할된다. 또한, 도 20b는 제1, 제2 및 제3 네트워크 요소들(2000, 2020, 2030)이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 노드(2040)의 일부일 수 있음을 예시한다. 그러나, 네트워크 요소들의 임의의 다른 물리적 배치 또는 그룹화가 가능하다. 네트워크 요소들은 예를 들어, 모두 별개의 물리적 노드들일 수 있거나, 제2 및 제3 네트워크 요소는 제1 네트워크 요소와 별개이지만 동일한 물리적 네트워크 노드의 일부일 수 있다.
도 20c에 도시된, 도 20a에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대안적인 방식에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2050)는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 중에서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적응된 결정 모듈(2055)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은, 제1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제2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및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2050)는 또한 결정된 전송 모드에 따라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적응된 전송 모듈(2056)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050)는 또한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표시하는 정보를 제1 네트워크 요소(2000)로부터 수신하도록 적응된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정 모듈(2055)은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결정 모듈(2055)은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다른 옵션으로서, 수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 요소(2000)로부터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수신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결정 모듈(2055)은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링크의 채널 품질을 획득하는 것에 의해, 그리고 획득된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획득하는 것은 채널 품질을 측정하는 것 및 제1 네트워크 요소(2000)로부터 채널 품질을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050)는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의 채널 품질을 획득하도록 적응된 획득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결정 모듈(2055)은 가장 높은 획득된 채널 품질이 임계값과 같거나 그보다 높은 경우 가장 높은 획득된 채널 품질을 갖는 무선 링크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것에 의해, 획득된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가장 높은 획득된 채널 품질이 임계값 아래인 경우, 결정 모듈(2055)은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것에 의해, 획득된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결정 모듈(2055)은,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것에 의해, 그리고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의 확인응답이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수신될 때까지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재전송하도록 결정하는 것에 의해,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결정 모듈(2055)은, 제1 무선 링크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것에 의해, 그리고 제1 무선 링크에서 전송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에 대한 확인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제2 무선 링크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재전송하도록 결정하는 것에 의해,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는 측정 보고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은 양자 모두가 하나의 RAT와 연관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이 제각기 상이한 RAT들과 연관될 수 있다.
전술한 모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는 기능적 유닛들이다. 일 실시예에서, 모듈들은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된다.
도 20a에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대안적인 방식에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2050)는 단일의 유닛 또는 복수의 유닛일 수 있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디바이스(2050)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또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형태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PP)을 포함할 수 있다. CPP는, 무선 디바이스(2050)의 CPU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무선 디바이스(2050)로 하여금 도 18a 내지 도 18e와 관련하여 전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게 하는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의 코드 수단은 CPU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그것들은 도 20a에서의 무선 디바이스(2050)의 처리 회로(2051)에 대응한다.
네트워크 요소
제1 네트워크 요소(2000)의 실시예가 도 20a의 블록도에 개략적으로 예시된다. 제1 네트워크 요소(2000)는, 무선 디바이스(2050)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제1 네트워크 요소(2000)는 실시예들에서 LTE 네트워크의 eNodeB에 포함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50)는 적어도 제1 및 제2 무선 링크를 통해 제1 네트워크 요소(2000)에 연결가능하다. 제1 네트워크 요소(2000)는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은, 제1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제2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및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결정하는 것은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에 기초한다. 제1 네트워크 요소(2000)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2050)가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모드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205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정보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의 표시를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 요소(2000)는 실시예들에서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더 포함하는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205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네트워크 요소(2000)는 실시예들에서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 중 하나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2050)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는 측정 보고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은 양자 모두가 하나의 RAT와 연관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이 제각기 상이한 RAT들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된 기능성 분할이 또한 실시예들에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를 서빙하는 네트워크 기능들은 제1 네트워크 요소와 제2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서 분할된다. 제2 무선 링크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를 서빙하는 네트워크 기능들은 제1 네트워크 요소와 제3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서 분할된다. 도 15 및 도 16의 예시적인 시나리오에서, 제1 네트워크 요소는 eNB-a에 대응하고, 제2 네트워크 요소는 eNB-s1에 대응하고, 제3 네트워크 요소는 eNB-s2에 대응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네트워크 요소의 네트워크 기능들은 비동기식 네트워크 기능들일 수 있고, 제2 및 제3 네트워크 요소들의 네트워크 기능들은 동기식 네트워크 기능들일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요소의 동기식 네트워크 기능들은 제1 무선 링크의 타이밍에 엄격하게 의존하는 처리 타이밍에 대한 요건들을 가질 수 있다. 제3 네트워크 요소의 동기식 네트워크 기능들은 제2 무선 링크의 타이밍에 엄격하게 의존하는 처리 타이밍에 대한 요건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비동기식 네트워크 기능들은 제1 또는 제2 무선 링크들 중 임의의 무선 링크의 타이밍에 엄격하게 의존하지 않는 처리 타이밍에 대한 요건들을 가질 수 있다.
도 20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네트워크 요소(200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2001) 및 메모리(20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요소(2000)는 또한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205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200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2003)는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050)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적응된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02)는 상기의 처리 회로(2001)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 네트워크 요소(2000)는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은, 제1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제2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및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결정하는 것은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에 기초한다.
제1 네트워크 요소(2000)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2050)가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모드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2050)로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정보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의 표시를 포함한다.
도 20c에 도시된, 제1 네트워크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대안적인 방식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요소(2000)는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적응된 결정 모듈(2005)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은, 제1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제2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및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결정하는 것은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에 기초한다. 제1 네트워크 요소(2000)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2050)가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모드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2050)로 전송하도록 적응된 전송 모듈(2006)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의 표시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전송 모듈(2006)은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더 포함하는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2050)로 전송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서, 업링크 시그널링 메시지는 측정 보고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은 양자 모두가 하나의 RAT와 연관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이 제각기 상이한 RAT들과 연관될 수 있다.
전술한 모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는 기능적 유닛들이다. 일 실시예에서, 모듈들은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된다.
도 20a에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대안적인 방식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요소(2000)는 단일의 유닛 또는 복수의 유닛일 수 있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네트워크 요소(2000)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또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형태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PP)을 포함할 수 있다. CPP는, 제1 네트워크 요소(2000)의 CPU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제1 네트워크 요소(2000)로 하여금 도 19와 관련하여 전술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의 코드 수단은 CPU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그것들은 도 20a에서의 제1 네트워크 요소(2000)의 처리 회로(2001)에 대응한다.
상기에 언급되고 설명된 실시예들은 단지 비 제한적인 예들로서 제공된다.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다른 솔루션들, 사용들, 목적들 및 기능들이 가능할 수 있다.

Claims (35)

  1. 무선 이중 연결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제1 및 제2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무선 디바이스(2050)에서 수행되고, 상기 방법은,
    -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업링크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1800) - 상기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을 표시하고, 상기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은 상기 제1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상기 제2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및 상기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함 -;
    - 상기 수신된 정보와 측정 보고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1810);

    - 상기 결정된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업링크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1820)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을 표시하는,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상기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통해 수신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1810)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에도 더 기초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상기 기준을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1805)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상기 기준은,
    - 상기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품질;
    - 상기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부하;
    - 상기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무선 디바이스 능력;
    - 상기 업링크 측정 보고 메시지와 연관된 베어러의 서비스 품질;
    - 상기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링크의 레이턴시;
    - 상기 업링크 측정 보고 메시지가 응답인 다운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의 전송 모드;
    - 상기 업링크 측정 보고 메시지가 확인응답되는지 여부;
    - 상기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캐리어 집성의 사용;
    - 상기 무선 디바이스(2050)의 속도;
    - 상기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서비스 품질;
    - 상기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규칙; 및
    - 상기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랜덤 선택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방법.
  6. 무선 이중 연결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2050)로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2050)는 적어도 제1 및 제2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가능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2050)는,
    -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업링크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 상기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을 표시하고, 상기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은 상기 제1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상기 제2 무선 링크에서 전송하는 것; 및 상기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양자 모두에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함 -;
    - 상기 수신된 정보와 측정 보고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모드를 결정하고;
    - 상기 결정된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업링크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대안적인 전송 모드들을 표시하는,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상기 정보는 RRC 메시지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디바이스.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2050)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2050)는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상기 기준을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2050)는,
    - 상기 제1 및 제2 무선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링크의 채널 품질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하는 것은 상기 채널 품질을 측정하는 것 및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채널 품질을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상기 획득된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11. 무선 디바이스(2050)에서 실행될 때 상기 무선 디바이스(2050)로 하여금 제1항 또는 제2항에 청구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제11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KR1020177036085A 2015-08-26 2015-08-26 이중 연결을 위한 업링크 시그널링 KR102105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SE2015/050900 WO2017034449A1 (en) 2015-08-26 2015-08-26 Uplink signaling for dual connectiv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657A KR20180008657A (ko) 2018-01-24
KR102105999B1 true KR102105999B1 (ko) 2020-05-04

Family

ID=54207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085A KR102105999B1 (ko) 2015-08-26 2015-08-26 이중 연결을 위한 업링크 시그널링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4) US10263729B2 (ko)
EP (4) EP3425830B1 (ko)
JP (1) JP6639663B2 (ko)
KR (1) KR102105999B1 (ko)
CN (2) CN107852267B (ko)
DK (2) DK3425830T3 (ko)
ES (4) ES2946070T3 (ko)
HK (1) HK1247466A1 (ko)
HU (2) HUE040362T2 (ko)
IL (1) IL255040B (ko)
MX (1) MX368091B (ko)
PL (3) PL3425830T3 (ko)
PT (2) PT3917047T (ko)
RU (1) RU2697933C1 (ko)
WO (1) WO2017034449A1 (ko)
ZA (1) ZA2017073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2267B (zh) 2015-08-26 2020-12-04 瑞典爱立信有限公司 传输上行链路信令消息的方法、无线设备、网络元件和计算机可读介质
EP4125303A1 (en) * 2016-01-27 2023-02-0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split measurement configuration for different connections
CN107046714B (zh) * 2016-02-05 2020-08-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和系统
US10966270B2 (en) * 2016-05-11 2021-03-30 Ntt Docomo, Inc.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PT3457722T (pt) * 2016-05-12 2023-04-17 Ntt Docomo Inc Sistema de comunicação em sem fios e dispositivo de utilizador
US10849178B2 (en) * 2016-09-22 2020-11-24 Lg Electronics Inc. Handling of conflict configuration in dual connectivity
US11082946B2 (en) * 2016-10-13 2021-08-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reless device, a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optimizing paging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10716157B2 (en) 2017-02-09 2020-07-14 Apple Inc. 5G/LTE dual connectivity
CN108633032B (zh) * 2017-03-24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rrc消息的方法、装置、终端设备和接入网设备
US10660114B2 (en) * 2017-06-15 2020-05-19 Apple Inc. FDM transmission for inter-RAT dual connectivity UE
WO2019009772A1 (en) * 2017-07-05 2019-01-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FFICIENT MANAGEMENT OF REDUNDANT PACKET COPI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9392124A (zh) * 2017-08-10 2019-02-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连接通信的指示方法和执行方法、及对应装置和系统
CN109587705B (zh) * 2017-09-28 2021-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和系统
CN111316755B (zh) 2017-11-09 2023-11-28 谷歌有限责任公司 使能同时使用多种蜂窝网络技术
US11356860B2 (en) * 2017-11-10 2022-06-07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for measuring crosslink interference between devices
US11044773B2 (en) 2017-11-30 2021-06-2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ual session packet data network connection
US10681593B2 (en) 2017-11-30 2020-06-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ession transfer for packet data network connection
KR102486453B1 (ko) 2017-12-08 2023-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576081B2 (en) 2018-07-02 2023-02-07 Huawei Technolgoies Co., Ltd. Link quality-based offloading method and device in dual connectivity
CN110798869B (zh) 2018-08-02 2022-08-09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切换方法、电子设备以及芯片子系统
CN109890086B (zh) * 2018-11-12 2022-11-29 中国科学院上海高等研究院 链路通信模式的选择方法、系统、计算机存储介质、设备
US11895578B2 (en) 2018-12-10 2024-02-06 Google Llc User equipment dual connectivity with a terrestrial base station and a satellite or a high-altitude platform
CN111404633B (zh) * 2019-01-03 2021-10-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选择传输模式的方法及设备
CN112333768A (zh) * 2019-08-05 2021-02-05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多链路设备之间的数据包重传的装置和方法
FI20195887A1 (en) * 2019-10-15 2021-04-16 Nokia Technologies Oy Selective transmissions on a wireless device
CN114731577A (zh) 2019-11-15 2022-07-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策略确定的方法、系统及装置
US11265944B1 (en) * 2020-01-07 2022-03-0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imultaneous wireless data communication over fifth generation new radio (5GNR) and long term evolution (LTE)
US11689763B2 (en) * 2020-09-28 2023-06-27 T-Mobile Usa, Inc. Cross-party diagnostic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92785A1 (en) * 2012-09-28 2014-04-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Further L1 Enhancements in LTE Heterogeneous Networks
US20140369242A1 (en) * 2013-06-18 2014-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ul tdm for inter-enodeb carrier aggregation
US20150043479A1 (en) * 2013-08-08 2015-02-1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allocating user equipment processing capability among multiple access nod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2035B2 (en) * 2000-09-19 2004-10-05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dynamically optimizing a transmission mode of wirelessly transmitted information
WO2007047297A2 (en) 2005-10-13 2007-04-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d signaling a preferred link among a plurality of maintained wireless communications links
CN101588633B (zh) * 2008-05-19 2011-12-21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消息传输方法、装置及通信系统
CN102088662B (zh) * 2009-12-03 2013-03-27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实现宽带数字集群组内多媒体业务实时传送的方法
US9681482B2 (en) 2013-01-07 2017-06-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s with a value indicated by a TPC command being accumulated for all parameter sets
EP2944133B1 (en) * 2013-01-10 2022-09-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user equipment and a method for power control of uplink transmissions
JP6348517B2 (ja) 2013-02-12 2018-06-27 アルティオスター ネットワ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ロングタームエボリューション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
EP2816853A1 (en) * 2013-06-21 2014-12-2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Uplink switching of communication links for mobile stations in dual connectivity
WO2015021318A2 (en) * 2013-08-07 2015-02-1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overage enhancements of low cost mtc devices in uplink/downlink decoupled scenario
CN105144830B (zh) * 2013-10-28 2019-07-05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异构网络中执行双重连接的方法和装置
CN105850204A (zh) * 2013-11-01 2016-08-10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在具有双连接的情况下处理缓冲器状态报告和调度请求的方法和装置
US10039086B2 (en) * 2013-11-11 2018-07-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network environment where terminal may have dual connectivity to multiple base stations
EP3092864B1 (en) 2014-01-08 2019-08-21 LG Electronics Inc. C-rnti collision in dual connectivity
BR112017012744A2 (pt) 2014-12-17 2018-03-13 Ericsson Telefon Ab L M atribuição flexível de funções de rede para acesso via rádio
WO2016130061A1 (en) 2015-02-13 2016-08-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stablishment of dual connectivity
CN107852267B (zh) 2015-08-26 2020-12-04 瑞典爱立信有限公司 传输上行链路信令消息的方法、无线设备、网络元件和计算机可读介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92785A1 (en) * 2012-09-28 2014-04-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Further L1 Enhancements in LTE Heterogeneous Networks
US20140369242A1 (en) * 2013-06-18 2014-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ul tdm for inter-enodeb carrier aggregation
US20150043479A1 (en) * 2013-08-08 2015-02-1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allocating user equipment processing capability among multiple access no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99466A1 (en) 2019-06-27
CN107852267B (zh) 2020-12-04
HK1247466A1 (zh) 2018-09-21
DK3614596T3 (da) 2021-05-03
EP3425830B1 (en) 2019-11-06
BR112017025659A2 (pt) 2018-08-07
ES2875945T3 (es) 2021-11-11
MX368091B (es) 2019-09-19
PT3614596T (pt) 2021-04-21
EP3251240A1 (en) 2017-12-06
EP3425830A1 (en) 2019-01-09
DK3425830T3 (da) 2020-02-03
WO2017034449A1 (en) 2017-03-02
US20200235845A1 (en) 2020-07-23
JP2018521607A (ja) 2018-08-02
ZA201707332B (en) 2019-02-27
MX2017013710A (es) 2018-03-02
EP3251240B1 (en) 2018-10-03
HUE062238T2 (hu) 2023-10-28
PL3917047T3 (pl) 2023-07-24
CN112398583A (zh) 2021-02-23
PL3425830T3 (pl) 2020-05-18
ES2773425T3 (es) 2020-07-13
US20220329347A1 (en) 2022-10-13
KR20180008657A (ko) 2018-01-24
PL3251240T3 (pl) 2019-02-28
EP3614596B1 (en) 2021-03-17
HUE040362T2 (hu) 2019-03-28
EP3917047A1 (en) 2021-12-01
IL255040B (en) 2019-05-30
EP3614596A1 (en) 2020-02-26
CN107852267A (zh) 2018-03-27
US20170257183A1 (en) 2017-09-07
ES2704737T3 (es) 2019-03-19
EP3917047B1 (en) 2023-03-15
IL255040A0 (en) 2017-12-31
US11902017B2 (en) 2024-02-13
US10651964B2 (en) 2020-05-12
RU2697933C1 (ru) 2019-08-21
US10263729B2 (en) 2019-04-16
PT3917047T (pt) 2023-05-10
US11431436B2 (en) 2022-08-30
JP6639663B2 (ja) 2020-02-05
ES2946070T3 (es) 202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2017B2 (en) Uplink signaling for dual connectivity
JP6100829B2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CN107211419B (zh) 用户终端、无线基站及无线通信方法
CA2915850C (en) Establishment of dual connectivity
US10313208B2 (en) Flexible assignment of network functions for radio access
CN111742526A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JP6235174B2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JP6326160B2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JP2020182253A (ja) 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6871354B2 (ja) デュアルコネクティビティのためのアップリンクシグナリング
JP6517978B2 (ja) ユーザ端末及び基地局
OA18696A (en) Uplink signaling for dual connectivity
BR112017025659B1 (pt) Dispositivo sem fio configurado para transmitir uma mensagem de sinalização de uplink, primeiro elemento de rede configurado para permitir que um dispositivo sem fio transmita uma mensagem de sinalização de uplink, métodos relacionados e meios de armazenamento legíveis por computad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