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747B1 - 향미 흡인기 - Google Patents

향미 흡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747B1
KR102105747B1 KR1020177029447A KR20177029447A KR102105747B1 KR 102105747 B1 KR102105747 B1 KR 102105747B1 KR 1020177029447 A KR1020177029447 A KR 1020177029447A KR 20177029447 A KR20177029447 A KR 20177029447A KR 102105747 B1 KR102105747 B1 KR 102105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irator
housing
flow path
flavor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9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8492A (ko
Inventor
아키히코 스즈키
마나부 다케우치
타쿠마 나카노
마나부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8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24F42/20Devices without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24F42/10Devices with chem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24F42/60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Abstract

향미 흡인기는, 인렛에서 아웃렛까지 연속하는 공기 유로를 갖는 하우징과, 에어로졸 원의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상기 에어로졸 원을 무화하는 무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무화부에서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유로인 에어로졸 유로이며, 상기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은 25mmAq 이하이다.

Description

향미 흡인기{FLAVOR INHALER}
본 발명은 에어로졸 원(源)을 무화(霧化)하는 무화부를 갖는 향미 흡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향미를 흡인하기 위한 향미 흡인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향미 흡인기는, 인렛에서 아웃렛까지 연속하는 공기 유로(流路)와, 공기 유로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에어로졸 원을 무화하는 무화부를 갖는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특허문헌 1: WO2014/085719 특허문헌 2: WO2014/130772
제1의 특징은, 향미 흡인기로서, 인렛에서 아웃렛까지 연속하는 공기 유로를 갖는 하우징과, 에어로졸 원의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상기 에어로졸 원을 무화하는 무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무화부에서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유로인 에어로졸 유로이며, 상기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通氣) 저항은, 25mmAq 이하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2의 특징은, 제1의 특징에 있어서, 유저(user)가 흡인 동작을 행하지 않을 때에 상기 무화부에 대해서 전원 출력을 공급하지 않고, 유저가 흡인 동작을 행할 때에 상기 무화부에 대해서 전원 출력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를 향미 흡인기가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3의 특징은, 제2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유저의 흡인 동작에 따라 변화하는 응답값을 출력하는 센서를 향미 흡인기가 구비한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응답값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4의 특징은, 제3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무화부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무화부에 공급하는 전력을 축적하는 전원을 수용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전원보다도 상기 제1 하우징 측에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5의 특징은, 제4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인렛은, 상기 센서와 상기 무화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6의 특징은, 제3의 특징 내지 제5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센서보다도 상기 인렛 및 상기 아웃렛과 동일한 측에 설치되는 제1 공동 및 상기 센서보다도 상기 인렛 및 상기 아웃렛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제2 공동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1 공동 및 상기 제2 공동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서로 연통하지 않도록 구획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7의 특징은, 제3의 특징 내지 제6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에 대하여 전원 출력을 공급하지 않도록 상기 스위치를 동작시킬 것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상기 응답값과 비교되는 종료 임계값은, 상기 무화부에 대하여 전원 출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동작시킬 것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상기 응답값과 비교되는 시작 임계값보다도 큰 것을 요지로 한다.
제8의 특징은, 제2의 특징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향미 흡인기가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에 대한 조작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9의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8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은, 15mmAq 이하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0의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9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은, 2mmAq 이상 8mmAq 이하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1의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0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로는, 상기 무화부를 통하는 제1 공기 유로와, 상기 무화부를 통하지 않는 제2 공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인렛은, 상기 제1 공기 유로에 공기를 도입하는 제1 인렛과, 상기 제2 공기 유로에 공기를 도입하는 제2 인렛을 포함하고, 상기 아웃렛은, 상기 제1 공기 유로에서 공기를 도출하는 제1 아웃렛과, 상기 제2 공기 유로에서 공기를 도출하는 제2 아웃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인렛은, 상기 제1 인렛과 상이하고, 상기 제2 인렛은, 상기 무화부보다도 상기 제1 아웃렛 측에 상기 에어로졸 유로에 연통가능하게 구성되는, 또는, 상기 에어로졸 유로에 연통하지 않고 상기 제2 아웃렛에 연통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2의 특징은, 제1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2 인렛에서 유입하는 공기의 양은, 상기 아웃렛으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의 양의 50% 이상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3의 특징은, 제11의 특징 또는 제12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무화부를 적어도 수용하는 흡인기 하우징과, 상기 무화부보다도 상기 제1 아웃렛 측에 설치되는 향미원을 적어도 수용하는 카트리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흡인기 하우징은, 상기 무화부보다도 상기 제1 아웃렛 측에 상기 에어로졸 유로에 연통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인렛을 갖고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은, 상기 제2 공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4의 특징은, 제13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은, 상기 흡인기 하우징에 소정 방향을 따라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은, 상기 흡인기 하우징과 인접하는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 요홈 부분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1 요홈 부분은,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인렛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소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환상으로 연속하고 있으며, 상기 제2 공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5의 특징은, 제11의 특징 또는 제12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무화부를 적어도 수용하는 흡인기 하우징과, 상기 무화부보다도 상기 제1 아웃렛 측에 설치되는 향미원을 적어도 수용하는 카트리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흡인기 하우징은, 상기 에어로졸 유로에 연통하지 않고 상기 제2 아웃렛에 연통하는 제2 인렛을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6의 특징은, 제15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은, 상기 흡인기 하우징에 소정 방향을 따라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은, 상기 흡인기 하우징과 인접한 외측면에 형성된 제2 요홈 부분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2 요홈 부분은,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인렛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소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환상으로 연속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7의 특징은, 제11의 특징 또는 제12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무화부를 적어도 수용하는 흡인기 하우징과, 상기 무화부보다도 상기 제1 아웃렛 측에 설치되는 향미원을 적어도 수용하는 카트리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인렛은,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이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인기 하우징보다도 상기 제1 아웃렛 측에 연장되는 카트리지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카트리지 돌출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혹은, 상기 흡인기 하우징이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보다도 상기 제1 아웃렛 측에 연장되는 흡인기 돌출 부분을 갖는 경우에, 상기 흡인기 돌출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8의 특징은, 제11의 특징 내지 제17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보다도 상기 제1 아웃렛 측에 설치되는 향미원을 향미 흡인기가 구비하고, 상기 제2 인렛은, 상기 향미원보다도 상기 제2 아웃렛 측에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9의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8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보다도 상기 아웃렛 측에 설치되는 향미원을 향미 흡인기가 구비하고, 상기 에어로졸 유로는, 상기 향미원을 통해서 상기 아웃렛 측에 에어로졸을 유도하는 제1 에어로졸 유로와, 상기 제1 에어로졸 유로와는 상이한 제2 에어로졸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에어로졸 유로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의 저감률은, 상기 제1 에어로졸 유로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의 저감률보다도 작은 것을 요지로 한다.
제20의 특징은, 제19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2 에어로졸 유로는, 상기 향미 원을 통하지 않고 상기 아웃렛 측에 에어로졸을 유도하는 유로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21의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20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보다도 상기 아웃렛 측에 설치되는 향미원을 갖는 향미원 유닛을 향미 흡인기가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소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갖고 있으며, 상기 향미원 유닛은, 상기 인렛 측의 제1 공간과 상기 아웃렛 측의 제2 공간에 상기 에어로졸 유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노출하는 상기 향미원 유닛의 면적은, 상기 소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內周)에 의해 규정되는 단면적보다도 큰 것을 요지로 한다.
제22의 특징은, 제 2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향미원 유닛은,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을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 구획하고 있으며, 상기 향미원 유닛은,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에 노출되는 제1 벽체와, 상기 제1 벽체에 연속하는 제2 벽체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1 벽체는, 통기성을 갖는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벽체의 외면의 면적은, 상기 제2 벽체의 외면의 면적보다 큰 것을 요지로 한다.
제23의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22의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향미 흡인기가 상기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을 25mmAq 이하로 가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상술한 특징에 있어서, 상기 인렛과 상기 센서 사이의 거리는, 20mm 이하이어도 된다. 상기 인렛과 상기 센서 사이의 거리는, 1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비 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무화 유닛(11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비 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변경 예 1에 관계되는 무화 유닛(111) 및 카트리지(1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변경 예 2에 관계되는 무화 유닛(111) 및 카트리지(1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변경 예 2에 관계되는 무화 유닛(111) 및 카트리지(1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변경 예 3에 관계되는 무화 유닛(111) 및 카트리지(1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변경 예 3에 관계되는 무화 유닛(111) 및 카트리지(1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변경 예 3에 관계되는 무화 유닛(111) 및 카트리지(1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변경 예 4에 관계되는 무화 유닛(111) 및 카트리지(1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변경 예 6에 관계되는 무화 유닛(111) 및 카트리지(1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변경 예 7에 관계되는 무화 유닛(111) 및 카트리지(1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변경 예 8에 관계되는 센서(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변경 예 9에 관계되는 카트리지(1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변경 예 9에 관계되는 카트리지(1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변경 예 9에 관계되는 무화 유닛(111) 및 카트리지(1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변경 예 10에 관계되는 무화 유닛(111) 및 카트리지(1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변경 예 10에 관계되는 무화 유닛(111) 및 카트리지(1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실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실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실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고,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른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형태의 개요]
상술한 배경 기술하에서,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 결과, 유저가 구강 내에서 에어로졸을 체류시키는 퍼프 흡인에 있어서, 구강 내에 체류하는 에어로졸에서 구강 밖으로 새어 버리는, 에어로졸 원의 손실 및 에어로졸 원의 무화에 필요한 에너지의 손실(이하, 이러한 현상을 통합하여 에어로졸 손실이라 칭함)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 결과, 유저가 퍼프 흡인을 하는 요인이 공기 유로의 통기 저항임을 발견했다.
실시 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는, 인렛에서 아웃렛까지 연속하는 공기 유로를 갖는 하우징과, 에어로졸 원의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상기 에어로졸 원을 무화하는 무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무화부에서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유로인 에어로졸 유로이며, 상기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은, 25mmAq 이하이다.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이 25mmAq 이하이기 때문에, 유저가 구강 내에서 에어로졸을 체류시키는 퍼프 흡인이 행해지지 어렵고, 직접적인 흡인 동작(이하, 직접 흡인)이 행해지기 쉽다. 따라서, 에어로졸의 손실을 저감함으로써, 향끽미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향미 흡인기)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비 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 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향끽미 성분을 흡인하기 위한 기구이며, 비 흡구단에서 흡구단으로 향하는 방향인 소정 방향(A)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화 유닛(11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비 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단순히 향미 흡인기(100)라고 칭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00)는, 흡인기 본체(110)와, 카트리지(130)를 갖는다.
흡인기 본체(110)는, 향미 흡인기(100)의 본체를 구성하고 있으며, 카트리지(130)를 접속가능한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흡인기 본체(110)는, 흡인기 하우징(110X)을 가지고 있으며, 카트리지(130)는, 흡인기 하우징(110X)의 흡구측단에 접속된다. 흡인기 본체(110)는 에어로졸 원의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 원을 무화하도록 구성된 무화 유닛(111)과, 전장(電裝) 유닛(112)을 갖는다. 무화 유닛(111) 및 전장 유닛(112)은, 흡인기 하우징(110X)에 수용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무화 유닛(111)은, 흡인기 하우징(110X)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통체(筒體)(111X)(즉, 제1 하우징)를 갖는다. 무화 유닛(111)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저브(111P)와, 위크(wick; 111Q)와, 무화부(111R)를 갖는다. 리저브(111P), 위크(111Q) 및 무화부(111R)는, 제1 통체(111X)에 수용된다. 제1 통체(111X)는, 소정 방향(A)을 따라 연장되는 통상 형상(예를 들면, 원통 형상)을 갖는다. 리저브(111P)는, 에어로졸 원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리저브(111P)는 수지 웹 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공질체(孔質體)이다. 위크(111Q)는, 리저브(111P)에 유지되는 에어로졸 원을 빨아올리는 에어로졸 흡인부의 일례이다. 예를 들어, 위크(111Q)는, 유리 섬유에 의해 구성된다. 무화부(111R)는, 위크(111Q) 의해 빨아 올려진 에어로졸 원을 무화한다. 무화부(111R)는, 예를 들어, 위크(111Q)에 소정 피치로 권회되는 발열 저항체(예를 들어, 전열선)에 의해 구성된다.
에어로졸 원은,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액체이다. 에어로졸 원은,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지 웹 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공질체에 의해 유지된다. 공질체는 비 담배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담배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에어로졸 원은, 니코틴 성분 등을 함유하는 향미원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에어로졸 원은, 니코틴 성분 등을 함유하는 향미원을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에어로졸 원은, 니코틴 성분 이외의 성분을 포함하는 향미원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에어로졸 원은, 니코틴 성분 이외의 성분을 포함하는 향미원을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무화 유닛(111)으로서, 가열에 의해 에어로졸 원을 무화하는 가열 타입의 유닛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무화 유닛(111)은, 에어로졸 원을 무화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면 되고, 초음파에 의해 에어로졸 원을 무화하는 초음파 타입의 유닛이어도 된다.
전장 유닛(112)은, 흡인기 하우징(110X)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통체(112X)(즉, 제2 하우징)를 갖는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장 유닛(112)은, 인렛(112A)을 갖는다. 인렛(112A)에서 유입하는 공기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화 유닛(111)(무화부(111R))에 유도된다. 상세하게는, 전장 유닛(112)은, 전원(10)과, 센서(20)와, 누름 버튼(30)과, 제어 회로(50)를 갖는다. 전원(10), 센서(20), 누름 버튼(30) 및 제어 회로(50)는, 제2 통체(112X)에 수용된다. 제2 통체(112X)는, 소정 방향(A)을 따라 연장되는 통상 형상(예를 들면, 원통 형상)을 갖는다.
전원(10)은,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전지이다. 전원(10)은,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축적한다. 예를 들면, 전원(10)은, 센서(20) 및 제어 회로(50)에 공급하는 전력을 축적한다. 또한, 전원(10)은, 무화 유닛(111)(무화부(111R))에 공급하는 전력을 축적한다.
센서(20)는, 유저의 흡인 동작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흡인 센서, 유량 센서, 압력 센서 등)이다. 센서(20)는, 비 흡구단에서 흡구단으로 향해 흡인되는 공기(즉, 유저의 흡인 동작)에 의해 변화하는 응답값을 출력한다.
누름 버튼(30)은, 향미 흡인기(100) 외측에서 내측으로 압입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누름 버튼(30)은, 향미 흡인기(100)의 비 흡구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비 흡구단에서 흡구단으로 향하는 방향(즉, 소정 방향(A))에 압입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누름 버튼(30)이 소정 회수에 걸쳐 연속적으로 압입된 경우에, 향미 흡인기(100)의 전원이 투입된다. 또한, 향미 흡인기(100)의 전원은 흡인 동작이 행해지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절단된다.
제어 회로(50)는,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회로(50)는, 무화 유닛(111)(무화부(111R))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제어한다.
카트리지(130)는 향미 흡인기(100)를 구성하는 흡인기 본체(110)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된다. 카트리지(130)는, 인렛(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인렛(112A))에서 아웃렛(제1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아웃렛(130A))까지 연속하는 공기 유로 상에 있어서 무화 유닛(111)보다도 아웃렛(흡구) 측에 설치된다. 환언하면, 카트리지(130)는, 반드시 물리 공간적으로 무화 유닛(111)보다도 아웃렛(흡구) 측에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공기 유로 상에 있어서 무화 유닛(111)보다도 아웃렛(흡구) 측에 설치돼 있으면 된다. 즉, 제1 실시 형태에서, 「아웃렛(흡구) 측」은 흡인 동작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의「하류」와 동의(同義)라고 생각해도 되고, 「비 흡구측」은, 흡인 동작에 있어서의 공기 흐름의 「상류」와 동의라고 생각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카트리지(130)는, 카트리지 하우징(131)과, 향미원(132)과, 메쉬(mesh; 133A)와, 필터(133B)를 갖는다. 또한 카트리지(130)는, 흡구에 설치되는 아웃렛(130A)을 갖는다.
카트리지 하우징(131)은 소정 방향(A)을 따라 연장되는 통상 형상(예를 들면, 원통 형상)을 갖는다. 카트리지 하우징(131)은 향미원(132)을 수용한다. 여기서는, 카트리지 하우징(131)은, 흡인기 하우징(110X)에 소정 방향(A)에 따라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향미원(132)은, 인렛(112A)에서 아웃렛(130A)까지 연속하는 공기 유로에 있어서 무화 유닛(111)보다도 아웃렛(130)(흡구) 측에 설치된다. 향미원(132)은, 에어로졸 원에서 발생하는 에어로졸에 향끽미 성분을 부여한다. 환언하면, 향미원(132)에 의해 에어로졸에 부여되는 향끽미 성분은, 아웃렛(130A)(흡구)으로 옮겨진다.
제1 실시 형태에서, 향미원(132)은, 무화 유닛(111)에서 발생하는 에어로졸에 향끽미 성분을 부여하는 원료 편(片)에 의해 구성된다. 원료 편의 크기는, 0.2mm 이상 1.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료 편의 크기는, 0.2mm 이상 0.7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 편의 크기가 작을수록 비 표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 편에서 향끽미 성분이 릴리즈되기 쉽다. 따라서, 원하는 양의 향끽미 성분을 에어로졸에 부여함에 있어서, 원료 편의 양을 억제할 수 있다.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 편으로서는, 살담배, 담배 원료를 입상으로 성형한 성형체를 사용할 수 있다. 단, 향미원(132)은, 담배 원료를 시트 형상으로 성형한 성형체이어도 된다. 또한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 편은, 담배 이외의 식물(예를 들어, 민트, 허브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향미원(132)에는, 멘톨 등의 향료가 부여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 편은, 예를 들어, JIS Z 8801에 준거한 스테인레스 체를 이용하여, JIS Z 8815에 준거하는 체(篩) 분류에 의해 얻어진다. 예를 들어, 0.71mm의 목개(目開)를 갖는 스테인리스 체를 이용하여, 건조식 또는 기계식 진탕 법에 의해 20분에 걸쳐 원료 편을 체로 분류하여, 0.71mm의 목개를 갖는 스테인리스 체를 통과하는 원료 편을 얻는다. 이어서 0.212mm의 목개를 갖는 스테인리스 체를 이용하여, 건조식 또는 기계식 진탕 법에 의해 20분에 걸쳐 원료 편을 체로 분류하여, 0.212mm의 목개를 갖는 스테인리스 체를 통과하는 원료 편을 취출 제거한다. 즉,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 편은, 상한을 규정하는 스테인리스 체(목개 = 0.71mm)를 통과하고, 하한을 규정하는 스테인리스 체(목개 = 0.212mm)를 통과하지 않는 원료 편이다. 따라서, 실시 형태에서는,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 편의 크기의 하한은, 하한을 규정하는 스테인리스 체의 목개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 편의 크기 상한은, 상한을 규정하는 스테인리스 체의 목개에 의해 정의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향미원(132)은, 알칼리성의 pH를 갖는 담배 원(源)이다. 담배 원의 pH는, 7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8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H를 7보다 크게 함으로써, 담배 원에서 발생하는 향끽미 성분을 에어로졸에 의해 효율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소망량의 향끽미 성분을 에어로졸에 부여함에 있어서, 담배 원의 양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담배 원의 pH는, 1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H를 14 이하로 함으로써, 향미 흡인기(100)(예를 들어, 카트리지(130) 또는 흡인기 본체(110))에 대한 손상(부식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향미원(132)에서 발생하는 향끽미 성분은 에어로졸에 의해 반송되고 있으며, 향미원(132) 자체를 가열할 필요는 없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망목(網目; 133A)은, 향미원(132)에 대해서 비 흡구측에서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개구를 막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필터(133B)는, 향미원(132)에 대해서 흡구측에 있어서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개구를 막도록 설치되어 있다. 망목(133A)은,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 편이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거칠기를 갖는다. 망목(133A)의 거칠기는, 예를 들어, 0.077mm 이상 0.198mm 이하의 목개를 갖는다. 필터(133B)는, 통기성을 갖는 물질로 구성된다. 필터(133B)는, 예를 들어, 아세테이트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133B)는,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 편이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거칠기를 갖는다.
제1 실시 형태에서, 흡인기 본체(110)의 흡인기 하우징(110X) 및 카트리지 하우징(131)은, 인렛(112A)에서 아웃렛(130A)까지 연속하는 공기 유로를 갖는 하우징을 구성한다. 공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즉, 도 2에 도시한 무화부(111R)의 하류 측의 유로)는, 무화 유닛(111)에서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유로인 에어로졸 유로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은, 25mmAq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은, 15mmAq 이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은, 2mmAq 이상 8mmAq 이하이다. 통기 저항이 작으면 작을수록, 유저가 구강 내에서 에어로졸을 체류시키는 퍼프 흡인이 행해지기 어렵고, 직접적인 흡인 동작(직접 흡인)이 행해지기 쉽다. 또한, 1mmAq는, 9.80665Pa에 해당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통기 저항은, ISO 6565-1997 Draw resistance of cigarettes and pressure drop of filter rods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통기 저항은, 공기 유로의 상류 측으로부터 향미 흡인기(100), 차압계, 매스 플로 컨트롤러, 진공 펌프의 순서로 각 장치를 접속함과 동시에, 진공 펌프로 1050ml/min로 흡인했을 때의 압력 손실로서 정의된다.
또한,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은 0.5mmAq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은, 상술한 센서(20)가 흡인 동작을 검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값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 구성)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의 블록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0)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회로(50)는, 흡인 스위치(51)와, 전원 스위치(52)와, 제어부(53)를 갖는다.
흡인 스위치(51)는, 유저가 흡인 동작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온 상태로 전환하고, 유저가 흡인 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스위치이다. 구체적으로는 흡인 스위치(51)는, 유저의 흡인 동작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20)에 접속되어 있으며,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응답값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즉, 흡인 스위치(51)는, 응답값이 흡인 동작을 행하고 있는 취지를 나타내는 경우에 온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흡인 스위치(51)는, 응답값이 흡인 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은 취지를 나타내는 경우에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전원 스위치(52)는, 비 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전원이 투입되는 경우에 온 상태로 전환되고, 비 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전원이 단절되는 경우에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는, 전원 스위치(52)는, 누름 버튼(30)에 접속되어 있으며, 누름 버튼(30)이 소정 회수에 걸쳐 연속적으로 눌려진 경우에 온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전원 스위치(52)는, 타이머를 가지고 있으며, 흡인 동작이 행해지고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 한 경우에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제어부(53)는, 비 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전원이 투입된 상태에서, 비 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3)는, 무화부(111R)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제어한다. 제어부(53)는, 유저가 흡인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즉, 흡인 스위치(51)가 온 상태인 경우에, 무화부(111R)에 전원 출력을 공급한다. 한편, 제어부(53)는, 유저가 흡인 동작을 하지 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 즉 흡인 스위치(51)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 무화부(111R)에 전원 출력을 공급하지 않는다. 즉, 흡인 스위치(51)는, 유저가 흡인 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을 때에 무화부(111R)에 전원 출력을 공급하지 않고, 유저가 흡인 동작을 행하고 있는 때에 무화부(111R)에 대해서 전원 출력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여기서, 전원 출력의 크기는, 무화부(111R)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무화부(111R)에 대해서 인가되는 전압의 값으로 정의된다. 한편, 전원 출력의 크기는, 무화부(111R)에 대해서 단속적으로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펄스 제어)에 있어서는, 무화부(111R)에 인가되는 전압 값, 펄스 폭 및 펄스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라미터에 의해 정의된다.
여기서 종료 임계값은 개시 임계값보다 크다. 종료 임계값은 무화부(111R)에 전원 출력을 공급하지 않도록 흡인 스위치(51)를 동작시킬 것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응답값과 비교되는 임계값, 즉, 흡인 스위치(51)를 오프시킬지를 판정하기 위해 응답값과 비교되는 임계값이다. 한편, 개시 임계값은, 무화부(111R)에 전원 출력을 공급하도록 흡인 스위치(51)를 동작시킬 것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응답값과 비교되는 임계값, 즉, 흡인 스위치(51)를 온으로 할지를 판정하기 위해 응답값과 비교되는 임계값이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종료 임계값이 개시 임계값보다 크기 때문에, 무화부(111R)에 대한 전원 출력의 공급이 정지한 후에 있어서도, 실제의 실제 흡인 동작을 계속하기 위해, 에어로졸 유로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의 체류나 응축이 억제되고, 에어로졸의 손실이 억제된다. 한편, 개시 임계값이 종료 임계값보다 작기 때문에, 실제의 흡인 동작이 시작된 후에 있어서, 무화부(111R)에 대한 전원 출력의 공급이 즉시 시작된다.
(작용 및 효과)
제1 실시 형태에서,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이 25mmAq 이하이기 때문에, 유저가 구강 내에서 에어로졸을 체류시키는 퍼프 흡인이 행해지기 어렵고, 직접적인 흡인 동작(직접 흡인)이 행해지기 쉽다. 따라서, 에어로졸의 손실을 저감함으로써, 향끽미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변경 예 1]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변경 예 1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음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변경 예 1에 있어서, 공기 유로는, 무화부(111R)를 통하는 제1 공기 유로와, 무화부(111R)를 통하지 않는 제2 공기 유로를 포함한다. 인렛은, 제1 공기 유로에 공기를 도입하는 인렛(112A)(제1 인렛)과, 제2 공기 유로에 공기를 도입하는 인렛(80)(제2 인렛)을 포함한다. 아웃렛은, 제1 공기 유로에서 공기를 도출하는 아웃렛(130A)(제1 아웃렛)과, 제2 공기 유로에서 공기를 도출하는 아웃렛(130A)(제2 아웃렛)을 포함한다. 인렛(80)(제2 인렛)은, 인렛(112A)(제1 인렛)과 다르다. 또한, 에어로졸 유로는, 제1 공기 유로의 일부이다.
구체적으로는, 카트리지 하우징(131)은, 흡인기 하우징(110X)에 소정 방향(A)에 따라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흡인기 하우징(110X)은, 도 4와 같이, 소정 방향(A)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흡인기 하우징(110X)을 관통하는 흡인기 관통공(110B)을 가지고 있으며, 카트리지 하우징(131)은, 소정 방향(A)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카트리지 하우징(131)을 관통하는 카트리지 관통공(130B)을 갖는다. 흡인기 관통공(110B) 및 카트리지 관통공(130B)은, 인렛(80)(제2 인렛)을 구성하고 있으며,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내측 공간에 연통한다.
여기서, 흡인기 관통공(110B)은, 무화부(111R)보다도 아웃렛(130A) 측에서 에어로졸 유로에 연통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연통 가능」이란, 카트리지 하우징(131)을 흡인기 하우징(110X)에 올바르게 삽입함으로써, 흡인기 관통공(110B)이 공기 유로에 연통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카트리지 하우징(131)을 흡인기 하우징(110X)에 삽입하는 태양에 따라서는, 흡인기 관통공(110B)이 공기 유로에 연통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단, 「연통 가능」이란, 후술하는 변경 예 2, 3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흡인기 관통공(110B)이 공기 유로에 반드시 연통하는 태양을 포함 것에도 유의해야 한다.
변경 예 1에 있어서, 인렛(80)은, 인렛(112A)과는 별도로 설치된다. 인렛(80)은, 공기 유로의 상류/하류와 관계없는 공간적 배치의 의미로, 무화부(111R)보다도 흡구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웃렛(130A)은, 제1 공기 유로에서 공기를 도출하는 제1 아웃렛 및 제2 공기 유로에서 공기를 도출하는 제2 아웃렛 모두를 구성한다.
또한, 변경 예 1에 있어서, 제2 공기 유로는, 인렛(80)(흡인기 관통공(110B) 및 카트리지 관통공(130B)), 에어로졸 유로의 일부(카트리지 하우징(131)의 내부 공간) 및 아웃렛(130A)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카트리지 관통공(130B)은,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 편이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1 이상의 구멍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카트리지 관통공(130B)은,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 편이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거칠기를 갖는 메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 편이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는, 예를 들어, 0.077mm 이상 0.198mm 이하이며, 원료 편이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거칠기는, 예를 들어, 0.077mm 이상 0.198mm 이하의 목개이다.
여기서, 인렛(80)(흡인기 관통공(110B) 및 카트리지 관통공(130B))에서 유입하는 공기의 양은, 아웃렛(130A)에서 유출되는 공기의 양의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흡인기 관통공(110B)에서 유입하는 공기의 양은, 인렛(112A)에서 유입하는 공기의 양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렛(80)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아웃렛(130A)에서 유출되는 공기의 양의 60% 이상이다. 이에 의해, 인렛(112A)에서 유입하는 공기가 무화부(111R)를 통하는 경우에도,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을 25mmAq 이하로 억제하기 쉽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소정 방향(A)에 있어서 공기 유로를 갖는 하우징의 흡구단(여기서는,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흡구단)과 인렛(80)(제2 인렛) 사이의 거리(L)는, 1.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리(L)는, 3.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거리(L)는, 8.0mm 이상이다. 이것에 의해서, 유저가 향미 흡인기(100)를 물었을 때에, 흡인기 관통공(110B)이 유저의 입술로 막히거나, 흡인기 관통공(110B)이 유저의 구강 내에 도달하거나 하는 현상이 억제된다.
한편, 거리(L)는, 소정 방향(A)에서 공기 유로를 갖는 하우징의 흡구단(여기서는,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흡구단)과 인렛(112A)(제1 인렛)과의 거리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거리(L)는, 소정 방향에 있어서의 카트리지(130)의 전체 길이보다도 작아도 된다. 카트리지(130)의 전체 길이는, 5mm 이상 3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mm 이상 25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카트리지(130)의 전체 길이보다 작은 것을 전제로 해서, 예를 들면, 거리(L)는, 25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리(L)는, 20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5mm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거리(L)는, 10mm 미만이다. 이것에 의해서,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을 25mmAq 이하로 억제하기 쉽다.
또한, 하우징에 설치되는 흡인기 관통공(110B)은, 하나이어도 되고, 2 이상 이어도 된다. 즉, 흡인기 관통공(110B)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작용 및 효과)
변경 예 1에서는, 비 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무화부(111R)를 통하는 제1 공기 유로에 더하여, 무화부(111R)를 통하지 않는 제2 공기 유로를 갖는다. 따라서, 인렛(112A)에서 유입되는 공기 무화부(111R)를 통하는 경우에도,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을 25mmAq 이하로 억제하기 쉽다.
변경 예 1에서는, 인렛(80)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아웃렛(130A)에서 유출되는 공기의 양의 50% 이상이다. 따라서, 인렛(112A)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무화부(111R)를 통하는 경우에도,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을 25mmAq 이하로 억제하기 쉽다.
[변경 예 2]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변경 예 2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변경 예 1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변경 예 1에서는, 인렛(80)은, 흡인기 관통공(110B) 및 카트리지 관통공(130B)에 의해 구성된다. 이에 대해서, 변경 예 2에서는, 제2 인렛(80)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인기 관통공(110B),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1) 및 카트리지 관통공(130B2)에 의해 구성된다.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1)은, 소정 방향(A)에 대한 직교하는 단면에서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 관통공(130B2)은,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1)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6은, 도 5에 도시된 F-F 단면(즉, 소정 방향(A)에 대한 직교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트리지 하우징(131)은, 흡인기 하우징(110X)에 소정 방향(A)에 따라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카트리지 하우징(131)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인기 하우징(110X)과 인접한 외측면에 형성된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1)(제1 요홈 부분)과, 소정 방향(A)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1)을 관통하는 카트리지 관통공(130B2)을 갖는다.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1)(제1 요홈 부분)은, 소정 방향(A)에 있어서 흡인기 관통공(110B)이 설치되는 위치에서, 소정 방향(A)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환상으로 연속한다.
여기서,「환상(環狀)으로 연속하는」이란, 소정 방향(A)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소정 방향(A)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의 전체(360 °)에 걸쳐 연속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1)은, 둘레 방향에서 불연속적인 부분에 의해 구획되어 있어도 된다. 단, 둘레 방향에 있어서, 불연속적인 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1)의 각각의 폭은, 서로 인접하는 흡인기 관통공(110B)의 간격(가장 가까운 간격)보다도 크면 된다. 혹은, 둘레 방향에서 흡인기 관통공(110B)의 폭은, 불연속 부분의 폭보다도 크면 된다.
또한, 변경 예 2에서, 제2 공기 유로는, 인렛(80)(흡인기 관통공(110B),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1), 카트리지 관통공(130B2)), 에어로졸 유로의 일부(카트리지 하우징(131)의 내부 공간) 및 아웃렛(130A)에 의해 구성된다.
변경 예 2에 있어서,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1)은,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변경 예 2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1)은, 흡인기 하우징(110X)의 내측면과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외측면 사이에 공극(空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두께가 일정하며, 카트리지 하우징(131)이 소정 방향(A)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내측으로 오목한 요홈 부분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요홈 부분이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1)이어도 된다.
(작용 및 효과)
변경 예 2는, 인렛(80)은, 소정 방향(A)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환상으로 연속하는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1)을 포함한다. 따라서, 변경 예 1과 동일한 효과에 더해서,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카트리지 하우징(131)과 흡인기 하우징(110X)과의 상대 위치에 관계없이 카트리지 하우징(131)을 흡인기 하우징(110X) 삽입한다고 해도, 흡인기 관통공(110B)이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1)과 연통하기 때문에, 제2 공기 유로를 항상 형성할 수 있다.
[변경 예 3]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변경 예 3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변경 예 1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변경 예 1에서는, 제2 공기 유로는, 에어로졸 유로의 일부(카트리지 하우징(131)의 내부 공간)를 포함한다. 환언하면, 변경 예 1에서는, 흡인기 관통공(110B) 및 카트리지 관통공(130B)은, 인렛(80)(제2 인렛)을 구성하고 있으며,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내부 공간에 연통한다. 이에 대해서, 변경 예 3에서는, 제2 공기 유로는, 에어로졸 유로의 일부(카트리지 하우징(131)의 내부 공간)를 포함하지 않는다. 환언하면, 변경 예 3에서는, 흡인기 관통공(110B)이 인렛(80)(제2 인렛)을 구성하고 있으며, 에어로졸 유로에 연통하지 않고 아웃렛(130A1)(제2 아웃렛)에 연통한다.
변경 예 3에서, 인렛(80)은, 인렛(112A)과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인렛(80)은, 공기 유로의 상류/하류와 관계없는 공간적인 배치의 의미에서, 무화부(111R)보다도 흡구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웃렛(130A)은, 제1 공기 유로에서 공기를 도출하는 제1 아웃렛을 구성하고 있으며, 아웃렛(130A1)은, 아웃렛(130A)과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으며, 제2 공기 유로에서 공기를 도출하는 제2 아웃렛을 구성한다. 아웃렛(130A1) 및 아웃렛(130A)은 흡구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카트리지 하우징(131)은, 흡인기 하우징(110X)에 소정 방향(A)에 따라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카트리지 하우징(131)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로졸 유로와 공통되는 유로를 갖고 있지 않은 제2 공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카트리지 하우징(131)은, 흡인기 하우징(110X)과 인접하는 외측면에 형성된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3)(제2 요홈 부분)을 갖는다.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3)은, 소정 방향(A)에 따라 흡인기 관통공(110B)(제2 인렛)에서 아웃렛(130A1)(제2 아웃렛)까지 연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3)은, 제2 공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3)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인기 관통공(110B)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8에서는, 4개의 흡인기 관통공(110B)이 예시되어 있으며, 이들 흡인기 관통공(110B)과 대응하는 위치에 4개의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3)이 설치되어 있다. 소정 방향(A)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소정 방향(A)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3)의 전체 길이는, 흡인기 관통공(110B)의 폭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은, 도 7에 나타낸 H-H 단면(소정 방향(A)에 대한 직교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혹은,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3)은, 도 9와 같이, 소정 방향(A)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환상으로 연속하고 있어도 된다. 즉, 흡인기 관통공(110B)에서 아웃렛(130A1) 사이에서,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외경이 다른 부분보다 작아도 된다. 또한, 도 9는, 도 7에 나타낸 H-H 단면(소정 방향(A)에 대한 직교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환상으로 연속하는」이란, 소정 방향(A)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소정 방향(A)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의 전체(360 °)에 걸쳐 연속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3)은, 둘레 방향에서 불연속적인 부분에 의해 구획되어 있어도 된다. 단, 둘레 방향에 있어서, 불연속적인 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3)의 각각의 폭은, 서로 인접하는 흡인기 관통공(110B)의 간격(가장 가까운 거리)보다도 크면 된다. 혹은, 둘레 방향에서, 흡인기 관통공(110B)의 폭은, 불연속 부분의 폭보다 크면 된다.
또한,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3)은, 소정 방향(A)에서 흡인기 관통공(110B)이 설치되는 위치(즉, H-H 단면)에서, 도 9와 같이, 환상으로 연속하는 형상을 갖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3)은, 소정 방향(A)에 있어서 흡인기 관통공(110B)이 설치되는 위치보다도 하류의 위치(예를 들면, G-G 단면)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낸 단면(단, 흡인기 관통공(110B)이 존재하지 않고, 흡인기 본체(110)가 환상으로 연속하고 있는 태양)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서,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카트리지 하우징(131)과 흡인기 하우징(110X)과의 상대 위치에 관계없이 제2 공기 유로를 항상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흡인기 하우징(110X)이 가요성을 갖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소정 방향(A)에서 흡인기 관통공(110B)이 설치되는 위치보다 하류의 위치(예를 들면, G-G 단면)에 있어서 유저가 흡인기 하우징(110X)을 눌렀을 때에 흡인기 하우징(110X)이 찌부러지기 어렵다.
또한, 변경 예 3에 있어서, 제2 공기 유로는, 인렛(80)(흡인기 관통공(110B))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3) 및 아웃렛(130A1)으로 구성된다. 즉, 제2 공기 유로는, 에어로졸 유로(카트리지 하우징(131)의 내부 공간)를 포함한다.
변경 예 3에 있어서,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3)은,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변경 예 3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3)은, 흡인기 하우징(110X)의 내측면과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외측면 사이에 공극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두께가 일정하며, 카트리지 하우징(131)이 소정 방향(A)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내측으로 오목한 요홈 부분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요홈 부분이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3)이어도 된다.
변경 예 3에서는, 인렛(80)(흡인기 관통공(110B))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아웃렛(아웃렛(130A) 및 아웃렛(130A1)으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의 양의 50% 이상이다. 따라서, 인렛(112A)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무화부(111R)를 통하는 경우에도,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을 25mmAq 이하로 억제하기 쉽다.
(작용 및 효과)
변경 예 3에서는, 제2 공기 유로는, 공기 유로의 일부(카트리지 하우징(131)의 내부 공간)를 포함하지 않는다. 환언하면, 제2 공기 유로 내에 향미원(132)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을 25mmAq 이하로 더욱 억제하기 쉽다.
변경 예 3에 있어서,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3)이 소정 방향(A)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환상으로 연속하여 있으면,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카트리지 하우징(131)과 흡인기 하우징(110X)과의 상대 위치에 관계없이 카트리지 하우징(131)을 흡인기 하우징(110X)에 삽입한다고 해도, 흡인기 관통 공(110B)이 카트리지 요홈 부분(130B3)과 연통하기 때문에, 제2 공기 유로를 항상 형성할 수 있다.
[변경 예 4]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변경 예 4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변경 예 1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변경 예 1에서는, 인렛(80)(제2 인렛)은, 흡인기 하우징(110X) 및 카트리지 하우징(131)이 중첩하는 위치에 있어서, 흡인기 하우징(110X)에 설치된다. 이에 대해, 변경 예 4에서는, 인렛(80)(제2 인렛)은, 흡인기 하우징(110X) 및 카트리지 하우징(131)이 중첩하지 않는 위치에서, 카트리지 하우징(131)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카트리지 하우징(131)은, 흡인기 하우징(110X)에 소정 방향(A)에 따라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카트리지 하우징(131)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리지 하우징(131)을 관통하는 카트리지 관통공(130B4)을 갖는다. 카트리지 관통공(130B4)은, 흡인기 하우징(110X)에서 노출하는 노출 부분에 설치된다. 카트리지 관통공(130B4)은, 인렛(80)(제2 인렛)을 구성한다. 환언하면, 카트리지 하우징(131)은, 소정 방향(A)에 있어서 흡인기 하우징(110X)보다도 아웃렛(130A) 측에 연장되고 있는 카트리지 돌출 부분(노출 부분)을 포함한다. 카트리지 관통공(130B4)(제2 인렛)은,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카트리지 돌출 부분(노출 부분)에 설치된다.
또한, 변경 예 4에서는, 카트리지 하우징(131)은, 소정 방향(A)에 있어서 흡인기 하우징(110X)보다도 아웃렛(130A) 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돌출 부분을 포함하지만, 변경 예 4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흡인기 하우징(110X)은, 소정 방향(A)에 있어서 카트리지 하우징(131)보다도 아웃렛(130A) 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흡인기 돌출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상술한 인렛(80)은, 흡인기 하우징(110X)의 흡인기 돌출 부분에 설치되어도 된다.
(작용 및 효과)
변경 예 4에서는, 카트리지 하우징(131)은, 흡인기 하우징(110X)에서 노출되는 노출 부분에 인렛(80)(제2 인렛)을 갖는다. 따라서, 변경 예 1과 동일한 효과에 더해서,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카트리지 하우징(131)과 흡인기 하우징(110X)과의 상대 위치에 관계없이 카트리지 하우징(131)을 흡인기 하우징(110X)에 삽입했다고 해도, 제2 공기 유로를 항상 형성할 수 있다.
[변경 예 5]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변경 예 5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흡인 스위치(51)는, 센서(20)에 접속되어 있으며,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응답값에 따라 동작한다. 변경 예 5에서는, 흡인 스위치(51)는, 흡인 버튼(예를 들어, 누름 버튼(30))에 접속되어 있으며, 흡인 버튼에 대한 조작에 따라 동작한다. 흡인 버튼은,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인터페이스의 일례이다. 변경 예 5에서는, 상술한 센서(20)는 불필요하다.
변경 예 5에 있어서, 흡인 버튼은, 유저가 흡인 동작을 행할 때에 누르도록 구성된 조작 인터페이스이다. 즉, 흡인 스위치(51)는, 흡인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 온 상태로 전환되고, 흡인 버튼이 눌려 있지 않은 경우에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흡인 버튼(예를 들면, 누름 버튼(30))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인기 하우징(110X)의 비 흡구단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흡인기 하우징(110X)(예를 들면, 전장 유닛(112)의 제2 통체(112X))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변경 예 6]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변경 예 6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변경 예 4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변경 예 4에 있어서, 카트리지 관통공(130B4)은, 인렛(80)(제2 인렛)을 구성하고 있으며, 필터(133B)보다도 망목(133A) 측에 설치된다. 이에 대해서, 변경 예 6에서는, 카트리지 관통공(130B4)은, 인렛(80)(제2 인렛)을 구성하고 있으며, 향미원(132)보다도 아웃렛(130A) 측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카트리지 하우징(131)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리지 하우징(131)을 관통하는 카트리지 관통공(130B4)을 갖는다. 카트리지 관통공(130B4)은, 향미원(132)보다도 아웃렛(130A) 측에 설치된다. 카트리지 관통공(130B4)은, 필터(133B)보다도 아웃렛(130A) 측에 설치된다. 카트리지 관통공(130B4)은, 필터(133B) 중첩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변경 예 6에서는, 향미원(132)보다도 아웃렛(130A) 측에 설치되는 인렛(80)(제2 인렛)으로서 카트리지 관통공(130B4)을 예시했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위치에 설치되는 인렛(80)(제2 인렛)은, 흡인기 본체(110)에 설치되는 흡인기 관통공(110B)이어도 된다. 혹은, 상술한 위치에 설치되는 인렛(80)(제2 인렛)은, 흡인기 관통공(110B) 및 카트리지 관통공(130B)이어도 된다.
[변경 예 7]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변경 예 7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변경 예 1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변경 예 1에 있어서, 향미 흡인기(100)는, 카트리지(130)를 갖는다. 이에 대해서, 변경 예 7에서는, 향미 흡인기(100)는, 카트리지(130)를 갖고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향미 흡인기(100)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리지(130)를 갖고 있지 않다. 흡인기 하우징(110X)은, 변경 예 1과 동일하게, 인렛(80)(제2 인렛)을 구성하는 흡인기 관통공(110B)을 갖고 있어도 된다. 즉, 비 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무화부(111R)를 통하는 제1 공기 유로에 더하여, 무화부(111R)를 통하지 않는 제2 공기 유로를 갖고 있어도 된다.
단, 변경 예 7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인기 하우징(110X)은, 인렛(80)(제2 인렛)을 구성하는 흡인기 관통공(110B)을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즉, 비 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무화부(111R)를 통하지 않는 제2 공기 유로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변경 예 8]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변경 예 8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변경 예 8에서는, 유저의 흡인 동작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20)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인기 하우징(110X)은, 무화부(111R)를 수용하는 제1 통체(111X)(제1 하우징)와, 제1 통체(111X)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전원(10)을 수용하는 제2 통체(112X)(제2 하우징)를 갖는다. 센서(20)는, 제2 통체(112X)에 수용됨과 동시에, 전원(10)보다도 제1 통체(111X) 측에 설치된다. 즉, 센서(20)는, 제2 통체(112X)가 제1 통체(111X)에 접속되는 부위(변경 예 8에서는, 인렛(112A))의 근방에 설치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인기 하우징(110X)(여기서는, 제2 통체 112X)은, 센서(20)보다도 인렛(112A) 및 아웃렛(130A)과 동일한 측에 설치되는 제1 공동(105) 및 센서보다도 인렛(112A) 및 아웃렛(130A)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제2 공동(106)을 갖는다.
이러한 전제하에 있어서, 센서(20)는, 예를 들면, 콘덴서를 갖는 센서이며, 제1 공동(105)의 내압과 제2 공동(106)의 내압과의 차압에 따른 콘덴서의 전기 용량을 나타내는 응답값(예를 들면, 전압 값)을 출력한다. 센서(20)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21)와, 기판(22)과, 전극 막(23)과, 고정 전극(24)과, 제어 회로(25)와, 개구(26)와, 개구(27)를 갖는다. 커버(21)와 흡인기 하우징(110X)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지 않고, 제1 공동(105) 및 제2 공동(106)은, 흡인기 하우징(110X) 내에서 서로 연통하지 않도록 센서(20)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기판(22)에는, 고정 전극(24) 및 제어 회로(25)가 설치된다. 전극 막(23)은, 제1 공동(105)의 내압과 제2 공동(106)의 압력과의 차압의 변화에 따라 변형된다. 고정 전극(24)은, 전극 막(23) 콘덴서를 형성한다. 콘덴서의 전기 용량은, 전극 막(23)의 변형에 의해 변화한다. 제어 회로(25)는, 전극 막(23)의 변형에 의해 변화하는 전기 용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기 용량의 변화에 따른 응답값을 출력한다. 개구(26)는, 제1 공동(105)에 연통한다. 따라서, 흡인 동작에 의해 제1 공동(105)의 내압이 변화함과 동시에 전극 막(23)이 변형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흡인 동작을 행한 경우, 제1 공동(105)의 내압이 저하하는 반면, 제2 공동(106)의 내압은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고, 대기압과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센서(20)는 제1 공동(105)에 있어서의 압력 변화를 검출한다. 또한, 예를 들어, 취입 동작을 행한 경우, 제1 공동(105)의 내압이 상승하는 반면, 제2 공동(106)의 압력은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고, 대기압과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센서(20)는 제1 공동(105)의 압력 변화를 검출한다.
또한, 변경 예 8에 있어서, 인렛(112A)은, 센서(20)와 무화부(111R)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인렛(112A) 및 센서(20) 사이의 거리는, 20mm 이하이어도 된다. 인렛(112A) 및 센서(20) 사이의 거리는, 1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2 공동은, 대기에 개방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 공동은, 전원(10)과 제2 통체(112X) 사이의 간극을 통해 제2 통체(112X)의 비 흡구단의 개구에 연통 있어도 되고, 제2 통체(112X)의 측면에 설치되는 구멍에 연통하고 있어도 된다.
(작용 및 효과)
변경 예 8에서는, 센서(20)는, 제2 통체(112X)에 수용됨과 동시에, 전원(10)보다도 제1 통체(111X) 측에 설치된다. 즉, 센서(20)는, 제2 통체(112X)가 제1 통체(111X)에 접속되는 부위(변경 예 8에서는, 인렛(112A))의 근방에 설치된다. 따라서,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이 25mmAq 이하로 낮아져도, 흡인 동작의 검출 정밀도가 향상된다.
변경 예 8에서는, 제1 공동(105) 및 제2 공동(106)은, 흡인기 하우징(110X) 내에서 서로 연통하지 않도록 센서(20)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흡인 동작에 따라 제1 공동(105)의 내압이 높아지기 쉽고,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이 25mmAq 이하로 낮아져도, 흡인 동작의 검출 정밀도가 향상된다.
[변경 예 9]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변경 예 9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변경 예 9에서는, 상술한 무화 유닛(111) 및 카트리지(130)의 변경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변경 예 9에 관련되는 카트리지(130)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변경 예 9에 관련되는 카트리지(130)를 흡구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6은, 흡인기 하우징(110X)에 카트리지(130)가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의 향미 흡인기(1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변경 예 9에서는, 공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에어로졸 유로는, 향미원(132)을 통해서 아웃렛(130A) 측에 에어로졸을 유도하는 제1 에어로졸 유로(140A)와, 제1 에어로졸 유로(140A)와는 상이한 제2 에어로졸 유로(140B)를 포함한다. 제2 에어로졸 유로(140B)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의 저감률은, 제1 에어로졸 유로(140A)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의 저감률보다도 작다. 또한, 제2 에어로졸 유로(140B)를 통해서 흡구측에 유도되는 에어로졸 양은, 제1 에어로졸 유로(140A)를 통해서 흡구측에 유도되는 에어로졸 양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저감률」이란, 「유로로 유입하는 에어로졸 양(유입량)」에 대한 「유로에서 손실한 에어로졸 양(유입량 - 유출량)」의 비율(즉, (유입량 - 유출 양)/유입량)이다.
여기서, 제1 에어로졸 유로(140A) 및 제2 에어로졸 유로(140B) 모두가 카트리지 하우징(131) 내에 형성된다. 환언하면, 카트리지 하우징(131)에 형성되는 제1 에어로졸 유로(140A) 및 카트리지 하우징(131)에 형성되는 제2 에어로졸 유로(140B)는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 에어로졸 유로(140B)는, 향미원(132)을 통하지 않고 아웃렛(130A) 측에 에어로졸을 유도하는 유로이다.
상세하게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리지(130)는, 상술한 카트리지 하우징(131)으로서, 내체(內體; 134), 외체(外體; 135) 및 리브(136)를 갖는다. 또한, 도 14에서는, 상술한 향미원(132)이 생략되어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내체(134)는, 소정 방향(A)을 따라 연장되는 통상(筒狀) 형상을 갖는다. 내체(134)는, 향미원(132)을 수용한다. 내체(134)의 비 흡구측에 망목(133A)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체(134)의 흡구측에는 필터(133B)가 설치된다.
외체(135)는, 소정 방향(A)을 따라 연장되는 통상 형상을 갖는다. 외체(135)는, 내체(134)를 수용한다. 외체(135)는, 소정 방향(A)을 따라 연장되는 리브(136)에 의해 내체(134)에 고정된다.
변경 예 9에서는, 외체(135)는, 4개의 리브(136)에 의해 내체(134)에 고정되어 있으며, 서로 인접한 리브(136) 사이에는, 소정 방향(A)을 따라 연장되는 공극(137)이 형성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 예 9에 관련되는 카트리지(130)를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에어로졸 유로(140A)는, 내체(134)의 내측을 통하는 유로이며, 상술한 제2 에어로졸 유로(140B)는, 공극(137)을 통하는 유로이다.
변경 예 9에 있어서는, 내체(134), 외체(135) 및 리브(136)에 의해 카트리지 하우징(131)이 구성된 경우에 대해 예시했다. 그러나, 변경 예 9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에어로졸 유로(140A) 및 제2 에어로졸 유로(140B) 모두가 카트리지 하우징(131)에 형성되는 태양이라면,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에 유의해야한다.
변경 예 9에 있어서는, 제1 에어로졸 유로(140A) 및 제2 에어로졸 유로(140B) 모두가 주로 카트리지 하우징(131)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에어로졸 유로(140A) 및 제2 에어로졸 유로(140B)의 분기 부분(145)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카트리지 하우징(131) 외부에 설치된다.
또한, 제1 에어로졸 유로(140A) 및 제2 에어로졸 유로(140B)는, 서로 공통하는 공통 유로를 갖고 있다. 상술한 분기 부분(145)은, 무화 유닛(111)과 카트리지(13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통 유로에 설치된다. 또한, 공통 부분은, 2개소 이상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환언하면, 제1 에어로졸 유로(140A) 및 제2 에어로졸 유로(140B)는, 2개소 이상에서 합류 또는 분기하고 있어도 된다.
변경 예 9에서는, 제1 에어로졸 유로(140A)의 적어도 일부는, 흡인기 하우징(110X) 및 카트리지 하우징(131)에 의해 형성된다. 제2 에어로졸 유로(140B)의 적어도 일부는, 흡인기 하우징(110X) 및 카트리지 하우징(131)에 의해 형성된다.
(작용 및 효과)
변경 예 9에서는, 제1 에어로졸 유로(140A)와는 별도로 제2 에어로졸 유로(140B)를 설치함으로써,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을 25mmAq 이하로 억제하기 쉽다. 제2 에어로졸 유로(140B)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의 저감률은, 제1 에어로졸 유로(140A)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의 저감률보다도 작기 때문에, 에어로졸이 향미원(132)에 의해 여과되는 영향이 작고, 에어로졸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제2 에어로졸 유로(140B)가 향미원(132)을 통하지 않고 아웃렛(130A) 측에 에어로졸을 유도하는 유로이므로, 에어로졸이 향미원(132)에 의해 여과되지 않고, 에어로졸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변경 예 9에서는, 제1 에어로졸 유로(140A) 및 제2 에어로졸 유로(140B)는, 카트리지 하우징(131) 내에 형성된다. 따라서, 흡인기 본체(110)의 설계를 변경하지 않고도, 제2 에어로졸 유로(140B)를 형성할 수 있다.
[변경 예 10]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변경 예 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변경 예 10에서는, 상술한 무화 유닛(111) 및 카트리지(130)의 변경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00)는, 무화부(111R)보다도 아웃렛(130A) 측에 설치되는 향미원(132)을 갖는 카트리지(130)(향미원 유닛)를 갖는다. 흡인기 하우징(110X)은, 소정 방향(A)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갖고 있으며, 카트리지(130)를 유지하는 벽체(201), 벽체 유지체(202), 규제부(208) 및 규제부(209)를 갖는다. 또한, 도 17(B)은, 도 17(A)에 나타내는 P측에서 향미 흡인기(100)를 본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7(B)은, 도 17(A)의 Q-Q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동일하게, 도 18(B)은, 도 18(A)에 나타내는 P측에서 향미 흡인기(100)를 본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8(B)은, 도 18(A)의 Q-Q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리지(130)는, 소정 방향(A)에 따라 흡인기 하우징(110X)에 설치되는 삽입구(206)에 삽입된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리지(130)는, 흡인기 하우징(110X)에 의해 유지된다.
여기서, 벽체(201)는, 카트리지(130)의 삽입 길이를 규제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벽체(202)는, 제1 공간(204)을 구획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규제부(208)는, 소정 방향(A)에 따라 벽체(202)측으로부터 벽체(201)까지 연속하고 있으며, 카트리지(130)의 하면(벽체(211B))을 지지한다. 규제부(209)는, 소정 방향(A)에 따라 벽체(202)측으로부터 벽체(201)까지 연속하고, 카트리지(130)의 상면(벽체 211A)을 지지한다. 이와 같이, 도 18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카트리지(130)의 움직임이 규제부(208) 및 규제부(209)에 의해 제한된다.
여기서, 카트리지(130)는, 인렛(112A) 측의 제1 공간(204)과 아웃렛(130A) 측의 제2 공간(205)에 무화부(111R)에서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유로인 에어로졸 유로를 구획하도록 흡인기 하우징(110X) 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카트리지(130)는, 제1 공간(204) 및 제2공간(205)을 소정 방향(A)에 따라 구획한다.
변경 예 10에 있어서, 제1 공간(204) 및 제2 공간(205)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노출되는 카트리지(130)의 면적은, 소정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흡인기 하우징(110X)의 내주에 의해서 규정되는 단면적보다도 크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130)는, 제1 공간(204) 및 제2 공간(205)에 노출되는 제1 벽체(211A 및 211B)와, 제1 벽체(211A 및 211B)와 연속하는 제2 벽체(212A ~ 212D)를 갖는다. 제1 벽체(211A 및 211B)는, 곡선 부분을 포함해도 되고, 제2 벽체(212A ~ 212D)는, 곡선 부분을 포함해도 된다. 제2 벽체(212A ~ 212D)는, 제1 공간(204) 및 제2 공간(205)이 모두 노출하지 않아도 된다.
제1 벽체(211A 및 211B)는, 통기성을 갖는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제1 벽체(211A 및 211B)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망목 또는 필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부직포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벽체(211A 및 211B)의 외면의 면적은, 제2 벽체(212A ~ 212D)의 외면의 면적보다도 크다.
무화부(111R)에서 발생하는 에어로졸은, 제1 공간(204)에서 제1 벽체(211A)를 통해서 카트리지(130) 내로 유도되고, 카트리지(130) 내로 유도된 에어로졸은, 제1 벽체(211B)를 통해서 제2 공간(205)으로 유도된다.
(작용 및 효과)
변경 예 10에서는, 한 쌍의 제1 벽체(211A 및 211B) 외면의 면적은, 한 쌍의 제2 벽체(212A 및 212B)의 외면의 면적보다 크다. 따라서, 향미원(132) 전체에 걸쳐 에어로졸을 통기시키기 쉽고, 또한,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을 25mmAq 이하로 억제하기 쉽다. 또한, 에어로졸이 향미원(132)을 통과하는 거리가 단축되기 때문에, 에어로졸이 향미원(132)에 의해 여과되는 영향이 작고, 에어로졸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라 설명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 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다루고 있지 않지만, 카트리지(130)를 흡인기 본체(110)에 접속할 때,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카트리지 하우징(131)과 흡인기 하우징(110X)과의 상대 위치를 신경 쓰지 않는다면, 인렛(80)을 형성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한다(예를 들어, 도 4나 도 8을 참조).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카트리지(130) 및 흡인기 본체(110)의 적어도 한쪽은, 인렛(80)을 형성하기 위한 위치 결정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치 결정 기능의 예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예를 들어, 흡인기 본체(110)를 구성하는 흡인기 하우징(110X)이 원통 형상을 갖고 있으며, 카트리지(130)가 원주(圓柱) 형상을 갖는 경우를 생각한다. 즉, 흡인기 하우징(110X) 내에 카트리지(130)를 삽입할 때에, 소정 방향(A)을 따라 연장되는 카트리지(13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해서 카트리지(130)가 회전 가능하다.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흡인기 본체(110)와 카트리지(130)의 상대 위치를 일의(一意)로 특정하기 위해, 흡인기 하우징(110X)의 내면에 가이드 리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외부에 가이드 홈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반대로, 흡인기 하우징(110X)의 내면에 가이드 홈이 설치되어 있고,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외면에 가이드 리브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리브는, 소정 방향(A)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흡인기 본체(110)를 구성하는 흡인기 하우징(110X)이 다각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의 공동(空洞)을 갖고 있으며, 카트리지(130)가 다각 기둥 형상 또는 타원 기둥 형상을 갖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흡인기 하우징(110X) 및 카트리지(130)는, 카트리지(130)와 흡인기 본체(110)와의 상대 위치가 일의로 특정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흡인기 본체(110) 및 카트리지(130)는, 소정 방향(A)에 대한 직교 방향에 있어서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외주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 흡인기 본체(110)와 카트리지(130)와의 상대 위치를 일의로 특정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나 가이드 홈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혹은, 흡인기 본체(110) 및 카트리지(130)는, 흡인기 본체(110)와 카트리지(130)의 상대 위치를 일의로 특정하기 위한 표식을 갖고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카트리지 하우징(131)과 흡인기 하우징(110X)과의 상대 위치를 일의로 식별하는 점에 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소정 방향(A)에 있어서 카트리지 하우징(131)과 흡인기 하우징(110X)과의 상대 위치는 일의로 특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흡인기 하우징(110X)은, 흡인기 하우징(110X)에 대한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삽입 깊이를 규정하는 스페이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인기 하우징(110X)에 대한 카트리지 하우징(131)의 삽입 깊이가 스페이서에 의해 규정되기 때문에, 소정 방향(A)에 있어서 카트리지 하우징(131)과 흡인기 하우징(110X)과의 상대 위치를 일의로 특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다루고 있지 않지만, 제어부(53)는, 무화부(111R)에 대한 전원 출력의 출력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 흡인 동작이 계속하고 있어도, 무화부(111R)에 대한 전원 출력의 출력을 정지해도 된다. 소정 기간은, 유저의 퍼프 기간의 통계로부터 도출되는 표준 퍼프 기간의 상한값보다 짧다. 환언하면, 흡인 동작의 종료 후에 있어서 에어로졸 유로 내에 에어로졸이 체류나 응축하는 사태를 억제하기 위해, 흡인 동작을 행하고 있는 사이에 무화부(111R)에 대한 전원 출력의 출력을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서, 에어로졸의 손실이 억제된다.
또한, 표준 퍼프 기간이란, 유저의 퍼프 기간의 통계에서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복수의 유저의 퍼프 기간 중의 하한값과 복수의 유저 퍼프 기간 중의 상한값 사이의 기간이다. 하한값 및 상한값은, 유저의 퍼프 기간 데이터의 분포에 기초해서 도출된다. 예를 들면, 평균값의 95% 신뢰 구간의 하한값 및 상한값이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도출되어도 되고, m ± nσ(여기서 m은 평균값, σ는 표준 편차, n은 양의 실수)가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 도출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소정 기간은, 1초 이상 3초 이하이다. 소정 기간이 1초 이상인 것에 의하여, 무화부에 대한 통전 시간이 퍼프 기간에 비해 짧게 되는 것에 불과하여, 유저에게 주는 위화감이 경감된다. 한편, 소정 기간이 3초 이하인 것에 의하여, 무화부에 대한 통전 시간이 소정 기간으로 고정되는 퍼프 동작을 일정 수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소정 기간은, 1.5초 이상 2.5초 이하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서, 유저에게 주는 위화감이 더욱 경감되고, 무화부에 대한 통전 시간이 소정 기간으로 고정되는 퍼프 동작을 늘릴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카트리지(130)는 무화 유닛(111)을 포함하지만,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130)는, 무화 유닛(111)과 함께 하나의 유닛을 구성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다루고 있지 않지만, 무화 유닛(111)은, 흡인기 본체(110)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전력을 이용하여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 원을 무화하는 무화부를 갖는 비 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향미 흡인기의 일례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에어로졸 원의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 원을 무화할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무화부로서는, 탄소 열원의 연소열, 화학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열, 혹은, 진동 등 열 이외의 수단에 의해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누름 버튼(30)이 설치되어 있지만, 누름 버튼(30)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전원 스위치(52)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즉, 전원(10)에서 센서(20) 및 제어 회로(50)에 전원이 항상 공급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카트리지(130)가 설치되어 있지만, 카트리지(130)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에어로졸 원은, 향미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에서는, 향미원 유닛은, 카트리지 하우징(131), 망목(133A) 및 필터(133B)에 의해 구성되는 공간 내에 향미원(132)을 갖는 카트리지(130)이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향미원 유닛은, 살담배 또는 입상의 담배 원료를 주머니 형상의 부재에 수용하는 형태의 유닛(파우치 등)이어도 된다. 또한, 향미원 유닛은, 입상의 담배 원료 및 바인더를 부직포에 의해 끼워 넣는 형태의 유닛(시트 형상 부재)이어도 된다. 부직포는 열 용착에 의해 시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다루고 있지 않지만, 향미 흡인기(100)는, 상기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을 25mmAq 이하로 가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이 가변이다」이란, 통기 저항이 25mmAq보다도 큰 상태에서 25mmAq 이하의 상태로의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해도 되고, 그 반대의 변화도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해도 된다.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이 가변이다」이란, 통기 저항이 25mmAq 이하인 조건에서 통기 저항이 가변이다는 것을 의미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도 4의 경우에 있어서, 흡인기 본체(110) 내에 있어서 카트리지 하우징(131)을 회동하는 것에 따라 흡인기 관통공(110B)과 카트리지 관통공(130B)과의 중복 면적을 변경함으로써,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이 변경되어도 된다. 혹은, 카트리지 관통공(130B)의 크기가 상이한 카트리지(130)의 용도에 따라,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이 변경되어도 된다. 카트리지 관통공(130B)을 갖는 카트리지(130)와 카트리지 관통공(130B)을 갖지 않는 카트리지(130)의 용도에 따라,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이 변경되어도 된다. 혹은, 향미 흡인기(100)의 하우징이 흡구를 다른 부재로서 갖는 경우에는, 흡구의 용도에 따라,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이 변경되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전원(10)으로부터 무화부(111R)에 3초간에 걸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 무화부(111R)에서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양은 10m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흡인기 하우징(110X)의 외경은, 18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전원(10)을 구성하는 전지의 용량은, 1000mA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mAh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다루고 있지 않지만, 무화 유닛(111)에 설치되는 에어로졸 유로의 직경(즉, 리저브(111P)에 끼워지는 유로의 직경)는 3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 결과]
실험에서는, 폴리프로필렌(PP) 제의 튜브에 아세테이트 필터를 삽입한 흡구 샘플을 준비함과 동시에, 10명의 피험자(성인 남성 흡연자)가 샘플을 이용하여 흡인 동작을 실시했다. 구체적으로는, 샘플로서, 통기 저항이 2mmAq 샘플(실시예 1), 통기 저항이 8mmAq 샘플(실시예 2), 통기 저항이 15mmAq 샘플(실시예 3), 통기 저항이 25mmAq 샘플(실시예 4), 통기 저항이 40mmAq 샘플(비교 예 1) 샘플을 준비했다. 각 샘플의 통기 저항은 아세테이트 필터의 길이에 따라 조정했다.
첫째, 직접 흡인과 퍼프 흡인 중, 직접 흡인의 쪽이 자연스럽다고 회답한 피험자의 비율에 대해 조사했다. 실험 결과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40mmAq)에 관해서는, 직접 흡인의 쪽이 자연스럽다고 회답한 피험자의 비율은 0%였다. 이에 대해, 실시예 1(2mmAq), 실시예 2(8mmAq), 실시예 3(15mmAq), 실시예 4(25mmAq)에 관해서는, 직접 흡인의 쪽이 자연스럽다고 회답한 피험자가 존재하고 있으며, 통기 저항이 작을수록, 직접 흡인의 쪽이 자연스럽다고 회답한 피험자의 비율이 상승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직접 흡인을 시도한 경우에, 직접 흡인을 할 수 없다고 회답한 피험자의 비율에 대해 조사했다. 실험 결과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40mmAq)에 관하여는, 직접 흡인을 할 수 없다고 회답한 피험자의 비율이 70%였다. 이에 대해, 실시예 1(2mmAq), 실시예 2(8mmAq), 실시예 3(15mmAq), 실시예 4(25mmAq)에 관하여는, 직접 흡인을 할 수 없다고 회답한 피험자의 비율이 0%였다.
셋째, 직접 흡인을 시도한 경우에, 어느 정도 저항감을 느끼는지에 관하여 5단계의 평점으로 조사했다. 평점과 저항감과의 대응 관계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으며, 실험 결과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40mmAq)에 관하여는, 모든 피험자가 저항감이 매우 강하다(평점 5)고 평가했다. 이에 대해서, 실시예 1(2mmAq), 실시예 2(8mmAq), 실시예 3(15mmAq), 실시예 4(25mmAq) 대해서는, 통기 저항이 작을수록, 저항감이 약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실시예 1(2mmAq)에 대해서는, 저항감이 알맞다(평점 3)고 회답한 피험자가 50%이고, 나머지 50%의 피험자는, 다소 약하다(평점 2) 또는 약하다(평점 1)고 회답했다. 한편, 실시예 2(8mmAq)에 대해서는, 저항감이 알맞다(평점 3)고 회답한 피험자가 50%이고, 나머지 50%의 피험자는, 다소 강하다(평점 4)고 회답하고 있으며, 다소 약하다(평점 2) 또는 매우 약하다(평점 1)고 회답한 피험자는 존재하지 않았다.
이들 실험 결과로부터, 첫째, 통기 저항이 40mmAq 이상인 경우에, 70%의 피험자가 직접 흡인을 할 수 없다고 회답한 반면, 통기 저항이 25mmAq 이하인 경우에, 직접 흡인을 할 수 없다고 회답한 피험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20을 참조). 둘째, 통기 저항이 15mmAq 이하인 경우에, 직접 흡인의 쪽이 자연스럽다고 회답한 피험자의 비율이 50%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9를 참조). 셋째, 통기 저항이 2mmAq 이상 8mmAq 이하인 경우에, 저항감이 알맞다(평점 3)고 회답한 피험자가 50%이고, 통기 저항이 2mmAq인 경우에, 다소 약하다(평점 2) 또는 약하다(평점 1)고 회답한 피험자가 존재하는 한편으로, 통기 저항이 8mmAq인 경우에, 다소 약하다(평점 2) 또는 약하다(평점 1)고 회답한 피험자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은, 25mmAq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은, 15mmAq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은, 2mmAq 이상 8mmAq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에어로졸의 손실을 줄임으로써, 향끽미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향미 흡인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3)

  1. 인렛에서 아웃렛까지 연속하는 공기 유로를 갖는 하우징과,
    에어로졸 원의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상기 에어로졸 원을 무화하는 무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무화부를 적어도 수용하는 흡인기 하우징과, 상기 무화부보다도 상기 아웃렛 측에 설치되는 향미원을 적어도 수용하는 카트리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흡인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로의 단면적보다도 크고,
    상기 공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무화부에서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유로인 에어로졸 유로이며,
    상기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은, 25mmAq 이하이며,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은, 향미 흡인기에 진공 펌프를 접속한 상태에서 진공 펌프로 1050ml/min로 흡인했을 때의 압력 손실로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2. 제1항에 있어서,
    유저가 흡인 동작을 행하지 않을 때에 상기 무화부에 대해서 전원 출력을 공급하지 않고, 유저가 흡인 동작을 행할 때에 상기 무화부에 대해서 전원 출력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의 흡인 동작에 따라 변화하는 응답값을 출력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응답값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무화부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무화부에 공급하는 전력을 축적하는 전원을 수용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전원보다도 상기 제1 하우징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은, 상기 센서와 상기 무화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센서보다도 상기 인렛 및 상기 아웃렛과 동일한 측에 설치되는 제1 공동 및 상기 센서보다 상기 인렛 및 상기 아웃렛 반대측에 설치되는 제2 공동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1 공동 및 상기 제2 공동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서로 연통하지 않도록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에 대하여 전원 출력을 공급하지 않도록 상기 스위치를 동작시킬 것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상기 응답값과 비교되는 종료 임계값은, 상기 무화부에 대하여 전원 출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동작시킬 것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상기 응답값과 비교되는 시작 임계값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8. 제2항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에 대한 조작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은, 15mmAq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은, 2mmAq 이상 8mmAq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로는, 상기 무화부를 통하는 제1 공기 유로와, 상기 무화부를 통하지 않는 제2 공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인렛은, 상기 제1 공기 유로에 공기를 도입하는 제1 인렛과, 상기 제2 공기 유로에 공기를 도입하는 제2 인렛을 포함하고,
    상기 아웃렛은, 상기 제1 공기 유로에서 공기를 도출하는 제1 아웃렛과, 상기 제2 공기 유로에서 공기를 도출하는 제2 아웃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인렛은, 상기 제1 인렛과 상이하고,
    상기 제2 인렛은, 상기 무화부보다도 상기 제1 아웃렛 측에 상기 에어로졸 유로에 연통가능하게 구성되는, 또는, 상기 에어로졸 유로에 연통하지 않고 상기 제2 아웃렛에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렛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상기 아웃렛으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의 양의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기 하우징은, 상기 무화부보다도 상기 제1 아웃렛 측에 상기 에어로졸 유로에 연통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인렛을 갖고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은, 상기 제2 공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은, 상기 흡인기 하우징에 소정 방향을 따라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은, 상기 흡인기 하우징과 인접하는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 요홈 부분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1 요홈 부분은,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인렛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소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환상으로 연속하고 있으며, 상기 제2 공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기 하우징은, 상기 에어로졸 유로에 연통하지 않고 상기 제2 아웃렛에 연통하는 제2 인렛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은, 상기 흡인기 하우징에 소정 방향을 따라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은, 상기 흡인기 하우징과 인접한 외측면에 형성된 제2 요홈 부분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2 요홈 부분은,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인렛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소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환상으로 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은, 상기 흡인기 하우징에 소정 방향을 따라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인렛은,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이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인기 하우징보다도 상기 제1 아웃렛 측에 연장되는 카트리지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카트리지 돌출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혹은, 상기 흡인기 하우징이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보다도 상기 제1 아웃렛 측에 연장되는 흡인기 돌출 부분을 갖는 경우에, 상기 흡인기 돌출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보다도 상기 제1 아웃렛 측에 설치되는 향미원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인렛은, 상기 향미원보다도 상기 제2 아웃렛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보다도 상기 아웃렛 측에 설치되는 향미원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로졸 유로는, 상기 향미원을 통해서 상기 아웃렛 측에 에어로졸을 유도하는 제1 에어로졸 유로와, 상기 제1 에어로졸 유로와는 상이한 제2 에어로졸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에어로졸 유로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의 저감률은, 상기 제1 에어로졸 유로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의 저감률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어로졸 유로는, 상기 향미원을 통하지 않고 상기 아웃렛 측에 에어로졸을 유도하는 유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보다도 상기 아웃렛 측에 설치되는 향미원을 갖는 향미원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소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갖고 있으며,
    상기 향미원 유닛은, 상기 인렛 측의 제1 공간과 상기 아웃렛 측의 제2 공간에 상기 에어로졸 유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노출하는 상기 향미원 유닛의 면적은, 상기 소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에 의해 규정되는 단면적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원 유닛은,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을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 구획하고 있으며,
    상기 향미원 유닛은,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에 노출되는 제1 벽체와, 상기 제1 벽체에 연속하는 제2 벽체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1 벽체는, 통기성을 갖는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벽체의 외면의 면적은, 상기 제2 벽체의 외면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 흡인기는, 상기 공기 유로의 전체의 통기 저항을 25mmAq 이하로 가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KR1020177029447A 2015-04-02 2016-03-29 향미 흡인기 KR1021057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15/060493 2015-04-02
JP2015060493 2015-04-02
PCT/JP2016/060251 WO2016159013A1 (ja) 2015-04-02 2016-03-29 香味吸引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492A KR20170128492A (ko) 2017-11-22
KR102105747B1 true KR102105747B1 (ko) 2020-04-28

Family

ID=57005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447A KR102105747B1 (ko) 2015-04-02 2016-03-29 향미 흡인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881137B2 (ko)
EP (2) EP3275321B1 (ko)
JP (2) JP6637486B2 (ko)
KR (1) KR102105747B1 (ko)
CN (1) CN107404951B (ko)
AU (1) AU2016240554B2 (ko)
CA (1) CA2980426C (ko)
EA (1) EA036430B1 (ko)
HK (1) HK1245596A1 (ko)
MY (1) MY184410A (ko)
WO (1) WO20161590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A034513B1 (ru) * 2015-02-27 2020-02-14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Ароматизирующий ингалятор несгораемого типа
MY184410A (en) 2015-04-02 2021-04-01 Japan Tobacco Inc Flavor inhaler
US10500354B2 (en) * 2015-09-25 2019-12-10 Sanmin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tomizing and monitoring a drug cartridge during inhalation treatments
CA173518S (en) 2016-02-08 2017-09-01 Nicoventures Holdings Ltd Cartridge for an electronic cigarette
GB201605100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Vapour provision system
GB201605101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GB201605102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Mechanical connector for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GB201605105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Vapour provision apparatus
RU2741664C2 (ru) 2016-07-22 2021-01-28 Никовенчерс Трейдинг Лимитед Футляр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пара
KR20180070452A (ko) *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CN111713750B (zh) 2016-12-16 2023-09-05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生成系统
RU2756642C2 (ru) * 2016-12-19 2021-10-04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содержащая картридж с боковым отверстием
CN109982587B (zh) * 2016-12-19 2022-06-24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包括多种气溶胶形成基质和液体传送元件的气溶胶生成系统
WO2018114261A1 (en) * 2016-12-19 2018-06-28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erosol-generating system having a cartridge and a bypass air inlet
US10820633B2 (en) * 2016-12-19 2020-11-03 Altria Client Services Llc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multiple aerosol-forming substrates and a transfer element
US10716333B2 (en) 2016-12-19 2020-07-21 Altria Client Services Llc Aerosol-generating system having a cartridge and a bypass air inlet
GB201700136D0 (en) 2017-01-05 2017-02-22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rticle
JP6854361B2 (ja) 2017-04-11 2021-04-07 ケーティー・アンド・ジー・コーポレーション 喫煙部材クリーニングデバイス及び喫煙部材システム
US11252999B2 (en) 2017-04-11 2022-02-22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US20200154772A1 (en) 2017-04-11 2020-05-21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on system of preheating heater
US11622582B2 (en) 2017-04-11 2023-04-11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daptive feedback through puff recognition
JP7180947B2 (ja) 2017-04-11 2022-11-30 ケーティー アンド 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エアロゾル生成装置で喫煙制限機能を提供する方法
KR20180114825A (ko) 2017-04-11 2018-10-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전자 담배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4766739A (zh) 2017-04-11 2022-07-22 韩国烟草人参公社 提供基于抽吸识别的适应性反馈的气溶胶生成设备及方法
GB201705888D0 (en) * 2017-04-12 2017-05-24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pparatus for volatilising smokable material and a smoking article
JP6680952B2 (ja) * 2017-04-24 2020-04-1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並びに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16139B1 (ko) * 2017-04-28 2021-02-1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 방법 및 장치
GB2562764A (en) * 2017-05-24 2018-11-28 Robert Hopps Jason Tobacco-containing consumable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KR102035313B1 (ko) 2017-05-26 2019-10-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6172276A (zh) 2017-08-09 2023-05-30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生成装置及气溶胶生成装置控制方法
CN110868874B (zh) 2017-08-09 2022-08-30 韩国烟草人参公社 电子烟控制方法及装置
JP6959429B2 (ja) 2017-09-06 2021-11-02 ケーティー・アンド・ジ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エアロゾル生成装置
WO2019088586A2 (ko)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GB201720338D0 (en) 2017-12-06 2018-01-17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Component for an aerosol-generating apparatus
US10786010B2 (en) * 2017-12-15 2020-09-29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multiple aerosol delivery pathways
US20190274354A1 (en) * 2018-03-09 2019-09-12 Rai Strategic Holdings, Inc. Electronically heated heat-not-burn smoking article
CN108158044B (zh) * 2018-03-12 2023-10-10 惠州市新泓威科技有限公司 具有双腔双气道雾化器的电子烟
GB201810994D0 (en) * 2018-07-04 2018-08-15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 consumable article for use with an apparatus for heating aersolisable material
US11432581B2 (en) 2018-09-07 2022-09-06 Altria Client Services Llc Capsule containing a matrix, device with the matrix, and method of forming the matrix
CN211672458U (zh) * 2019-03-31 2020-10-16 株式会社东亚产业 熏香芯用支承件和具有它的熏香芯
EP4230066A1 (en) * 2019-05-07 2023-08-23 Philip Morris Products S.A. Leakage prevention structure in a vaporizer device
KR102370535B1 (ko) 2019-11-14 2022-03-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혈관외피줄기세포 배양액 또는 사이클로필린 a를 포함하는 아셔만 증후군 치료용 조성물
US11744288B2 (en) 2020-06-30 2023-09-05 Altria Client Services Llc Capsules including internal filters,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and methods of generating an aerosol
KR102469765B1 (ko) * 2020-07-22 2022-11-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WO2022123649A1 (ko) * 2020-12-08 2022-06-16
US11789476B2 (en) 2021-01-18 2023-10-17 Altria Client Services Llc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including intra-draw heater control, and methods of controlling a heater
US11910826B2 (en) 2021-01-18 2024-02-27 Altria Client Services Llc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and capsules
CN115211587A (zh) * 2021-04-19 2022-10-21 中国烟草总公司郑州烟草研究院 一种可调制香味物质释放的气溶胶发生制品及其方法
CN114027566B (zh) * 2021-11-19 2023-12-22 深圳湃科锐锋科技有限公司 用于电子烟校准的作业设备
CN114128930A (zh) * 2021-11-26 2022-03-04 深圳市克莱鹏科技有限公司 一种液体增味过滤结构及电子烟
CN114128931A (zh) * 2021-11-26 2022-03-04 深圳市克莱鹏科技有限公司 一种液体增味电子烟
WO2023113644A1 (ru) * 2021-12-16 2023-06-22 Плонк Дмсс Одноразовая электронная сигарет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617B1 (ko) * 1996-06-17 2000-09-01 미즈노 마사루 향미생성물품
US20110226236A1 (en) 2008-10-23 2011-09-22 Helmut Buchberger Inhaler
WO2014060269A1 (en) * 2012-10-19 2014-04-24 Nicoventures Holdings Limited Electronic inhal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73410A (en) * 1958-11-11 1961-07-26 Frank T Bartolomeo Smoking simulating device
US4936920A (en) * 1988-03-09 1990-06-26 Philip Morris Incorporated High void volume/enhanced firmness tobacco rod and method of processing tobacco
US5095921A (en) 1990-11-19 1992-03-17 Philip Morris Incorporated Flavor generating article
US5479948A (en) * 1993-08-10 1996-01-02 Philip Morris Incorporated Electrical smoking article having continuous tobacco flavor web and flavor cassette therefor
CA2420623C (en) * 1993-08-10 2005-03-15 Philip Morris Products Inc. Electrical smoking article having continuous tobacco flavor web and flavor cassette therefor
JP2984657B2 (ja) * 1997-07-23 1999-11-2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発生装置
CN201067079Y (zh) * 2006-05-16 2008-06-04 韩力 仿真气溶胶吸入器
CA2719205C (en) 2008-03-27 2017-04-25 Mannkind Corporation A dry powder inhalation system
US9078473B2 (en) * 2011-08-09 2015-07-14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s and use thereof for yielding inhalation materials
CA2857996C (en) * 2011-12-08 2020-11-24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adjustable airflow
US9532603B2 (en) * 2012-01-03 2017-01-03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system with improved airflow
US9282772B2 (en) * 2012-01-31 2016-03-15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vaping device
GB201216621D0 (en) * 2012-09-18 2012-10-31 British American Tobacco Co Heading smokeable material
WO2014085719A1 (en) 2012-11-28 2014-06-05 E-Nicotine Technolog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compound delivery
US20150351456A1 (en) * 2013-01-08 2015-12-10 L. Perrigo Company Electronic cigarette
US9993023B2 (en) 2013-02-22 2018-06-12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smoking article
WO2014156537A1 (ja) * 2013-03-28 2014-10-0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加熱型香味吸引器
MY184410A (en) 2015-04-02 2021-04-01 Japan Tobacco Inc Flavor inhal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617B1 (ko) * 1996-06-17 2000-09-01 미즈노 마사루 향미생성물품
US20110226236A1 (en) 2008-10-23 2011-09-22 Helmut Buchberger Inhaler
WO2014060269A1 (en) * 2012-10-19 2014-04-24 Nicoventures Holdings Limited Electronic inhal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04951A (zh) 2017-11-28
MY184410A (en) 2021-04-01
US20180007960A1 (en) 2018-01-11
JP2020048574A (ja) 2020-04-02
EP3275321A4 (en) 2018-12-12
CA2980426A1 (en) 2016-10-06
KR20170128492A (ko) 2017-11-22
JPWO2016159013A1 (ja) 2017-08-03
JP6637486B2 (ja) 2020-01-29
EA201792196A1 (ru) 2018-02-28
CN107404951B (zh) 2020-03-03
HK1245596A1 (zh) 2018-08-31
EP4218465A2 (en) 2023-08-02
EA036430B1 (ru) 2020-11-10
JP6703638B2 (ja) 2020-06-03
EP4218465A3 (en) 2023-08-09
EP3275321A1 (en) 2018-01-31
AU2016240554B2 (en) 2019-09-19
WO2016159013A1 (ja) 2016-10-06
AU2016240554A1 (en) 2017-10-12
CA2980426C (en) 2020-09-15
US10881137B2 (en) 2021-01-05
EP3275321B1 (en)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747B1 (ko) 향미 흡인기
CN108433184B (zh) 非燃烧型香味吸取器
KR102231667B1 (ko)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
CN109661182B (zh) 非燃烧型香味吸取器
TWI631911B (zh) 非燃燒型香味吸嚐器
WO2017020275A1 (zh) 电子烟
US10569032B2 (en) Non-combustion type flavor inhaler
EP3787427A1 (en) Smoking substitute device having a liquid impermeable filter between the mouthpiece and the liquid tank
TWI581725B (zh) 香味吸嚐器
TWI689261B (zh) 加熱型香味吸嚐器
EP3714715A1 (en) Smoking substitute system
WO2020053388A1 (en) Consumable
TWI618493B (zh) 非燃燒型香味吸嚐器、香吸嚐味源單元及霧化單元
WO2020200653A1 (en) Consumable
RU2021128788A (ru) Аэрозольгенерирующая систе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