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659B1 -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가진 유모차 커버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가진 유모차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659B1
KR102105659B1 KR1020180140463A KR20180140463A KR102105659B1 KR 102105659 B1 KR102105659 B1 KR 102105659B1 KR 1020180140463 A KR1020180140463 A KR 1020180140463A KR 20180140463 A KR20180140463 A KR 20180140463A KR 102105659 B1 KR102105659 B1 KR 102105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troller
fine dust
opening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영식
Original Assignee
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영식 filed Critical 변영식
Priority to KR1020180140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6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2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by flexible canopies, covers or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501/00Manufacturing; Constructional features
    • B62B2501/06Materials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가진 유모차 커버에 관한 것으로, 미세먼지로부터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유모차 내부에 미세먼지가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유모차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모차의 좌석부분을 씌우는 커버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미세먼지와 같은 유해물질을 차단하도록 커버의 일부가 필터커버로 형성됨으로써 통기성은 유지하면서 유아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으며, 유모차 커버가 유모차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유해물질이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부모가 안심하고 유아를 유모차에 태워 밖에 나올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가진 유모차 커버{Stroller cover with fine dust blocking function}
본 발명은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가진 유모차 커버에 관한 것으로, 미세먼지로부터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유모차 내부에 미세먼지가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유모차 커버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 커버는 바람, 햇빛, 눈비, 모기, 벌레 따위를 막기 위해 유모차에 덮거나 싸는 물건으로, 유모차는 바람, 햇빛 등의 이유로 커버가 유모차와는 별도로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다.
특히 최근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면서 유아가 유모차를 타고 외출할 때,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미세먼지를 차단하고자 유모차에 유모차 커버를 씌우고 외출을 한다. 하지만 유모차 커버로 유모차를 씌우더라도 기존의 유모차커버는 모기장과 방풍 및 레인커버 제품으로 모기와 비바람을 위한 대비용으로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없으며, 유모차와 유모차 커버의 틈사이로 외부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없는 실정이며, 미세먼지에 특히 취약한 유아들의 호흡기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유모차에 미세먼지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해결책이 마련 될 것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40985호 (2011.06.07) 한국출원특허 제10-2012-0098561호 (2012.09.06)
본 발명은 유모차의 좌석부분을 씌우는 커버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미세먼지와 같은 유해물질을 차단하도록 미세먼지필터커버로 형성함으로써 유아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모차 커버가 미세먼지는 차단하고 공기의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조되어 유모차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유해물질이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모차의 시트에 앉은 유아의 주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측에 위치한 개방구(101)를 통하여 유모차에 씌워지는 커버부(100)와, 상기 커버부(100)에 구비되고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가 외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투시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100)는 미세먼지가 차단되는 소재로 형성되되 유모차(10)의 전방을 커버하기 위한 제1커버부(110)와, 미세먼지가 차단되는 소재로 형성되되 유모차(10)의 양측을 커버하기 위한 제2커버부(120)와, 미세먼지가 차단되는 소재로 형성되되 유모차(10)의 상측을 커버하기 위한 제3커버부(130)와, 미세먼지가 차단되는 소재로 형성되되 유모차(10)의 하부를 커버하기 위한 제4커버부(140)와, 상기 제1커버부(110)와 제2커버부(120) 사이에 형성되어 시트에 앉은 유아의 전방을 개폐시키기 위한 제1개폐수단(150)과, 상기 제4커버부(140)의 하단에 일측에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개폐수단(16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가진 유모차 커버와,
상기 제1커버부(110)는 사람의 손과 손목이 투입되기 위한 것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손투입지퍼부(111a)와, 일단이 상기 손투입지퍼부(111a)와 연결되되 제1커버(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손투입부(111b)와, 손투입지퍼부(111a)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하되는 차단커버(111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가진 유모차 커버와,
상기 투시부(200)의 상부를 덮기 위해 커버부(1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햇빛가림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가진 유모차 커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모차의 좌석부분을 씌우는 커버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미세먼지와 같은 유해물질을 차단하도록 커버의 일부가 필터커버로 형성됨으로써 통기성은 유지하면서 유아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으며, 유모차 커버가 유모차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유해물질이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부모가 안심하고 유아를 유모차에 태워 밖에 나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가진 유모차 커버를 씌운 유모차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가진 유모차 커버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가진 유모차 커버의 전방개폐수단(111)을 자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가진 유모차 커버의 전방개폐수단(111)에 손을 넣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가진 유모차 커버의 햇빛가림부(300)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가진 유모차 커버의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유모차커버(이하, 유모차커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모차커버(1000)는 유모차의 시트에 앉은 유아의 주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도록 유모차에 씌워지는 커버로써, 도 1과 같이 손잡이와 바퀴가 구비되며 유아가 앉을 수 있는 시트가 구비된 유모차(10)에 유모차커버(1000)가 씌워지는 것이다.
상기 유모차커버(1000)는 커버부(100), 투시부(200), 햇빛가림부(300), 고정부(400)로 구성되며,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유모차커버(1000)의 구성요소를 각각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커버부(100)는 유모차의 시트에 앉은 유아의 주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측에 위치한 개방구(101)를 통하여 유모차에 씌워지는 것이다.
상기 개방구(101)는 시보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모차(10)에 유모차커버(1000)가 씌워질 때 밀착되어 씌워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부(100)를 형성하는 나노섬유는 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PVDF)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통해 미세먼지, 세균 등과 같은 유해물질입자크기보다 더 촘촘하게 구성되어 유해물질이 유아가 있는 내부공간으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PVDF)은 나노섬유 전체 총대비 0.1~5%가 들어가며 바람직하게는 약 2%가 들어감으로써 커버부(100)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100)는 화학섬유계의 극세사로 조밀하게 형성한 극세사섬유를 활용하여, 커버부(100)의 대부분 구성의 1차 포집과 흡착면을 구성하여 황사나 미세먼지 등 입자(10㎛규격)성의 유해물질이 1차구성의 포집과 흡착면을 통과하면서 효율적으로 포집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기능의 우수한 소재를 활용하여 포집과 흡착면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00)는 촘촘히 구성되어 있는 나노섬유가 필터의 역할을 하며 필터의 성능은 1군 발암물질로 WHO산하 국제암연구소 발표처럼 오염물질인 석탄발화시 생기는 황산화물과 디젤차에서 생기는 질소산화물, 담배와 음식조리시 태울 때 생기는 벤젠피렌 화합물, 휘발성 유기화합물, 미세먼지(2.5~10마이크로미터)와 초미세먼지(0~2.5마이크로미터), 곰팡이균, 박테리아, 일부 바이러스, 꽃가루, 타액 등 유해물질이 유모차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아주 미세하여 인체유입이 염려스러운 초초미세먼지, 전염성 바이러스 등 기타 유해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부(100)는 제1커버부(110), 제2커버부(120), 제3커버부(130), 제4커버부(140), 제5커버부(170), 제1개폐수단(150), 제2개폐수단(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커버부(110)는 유모차(10)의 전방을 커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커버부(110)는 일측에 전방개폐수단(111)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하단 일측에 전방개폐수단(111)이 형성된다.
도 3은 전방개폐수단(111)의 구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전방개폐수단(111)은 유모차 내부로 손을 집어넣기 위해 형성되되, 손투입지퍼부(111a), 손투입부(111b), 차단커버(11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손투입지퍼부(111a)는 사람의 손과 손목이 투입되기 위한 것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일반 사람들의 손과 손목이 투입되기에 적절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투입부(111b)는 일단이 상기 손투입지퍼부(111a)와 연결되되 유모차커버(1000)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손투입부(111b)의 타단은 신축성을 가진 시보리(111b``)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투입부(111b)는 손투입지퍼부(111a)에 연결된 부분(111b`)에서 시보리(111b``)가 형성된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게 형성되며, 도 4와 같이 시보리 부분은 손과 손목과 같은 신체부위가 시보리(111b``)를 통해 유모차커버의 내부로 투입됐을 때 시보리가 투입된 신체부위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외부공기가 유모차커버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손투입지퍼부(111a)를 열고 나서 손과 손목(1)을 손투입지퍼부(111a)로 넣으면 압축되어 있던 시보리(111b``)가 손목의 모양에 따라 팽창하여 손목에 딱 밀착되어 끼이도록 형성된다. 상기 손투입지퍼부(111a)는 유모차 내부로 물 등의 액체 이물질과 미세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방수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커버(111c)는 손투입지퍼부(111a)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손투입지퍼부(111a)의 빈틈으로 미세먼지 등 유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방수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다.
제2커버부(120)는 유모차(10)의 양측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커버부(110)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3커버부(130)는 유모차(10)의 상측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커버부(110)와 제2커버부(120)의 상단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제3커버부(130)는 제1조임부(131)와 제2조임부(132)가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제1조임부(131)와 제2조임부(132)는 다양한 유모차(10)에 본 발명의 유모차커버(1000)를 씌우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즉, 다양한 유모차(10)의 크기에 따라 유모차커버(1000)의 크기를 조절하여 유모차에 알맞게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조임부(131)는 제1조임끈(131a)과 제1고정수단(131b)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고정수단(131b)을 이용하여 조임끈(131a)의 길이를 조절함으로 제3커버부(130)를 조일 수 있으며, 제2조임부(132)도 제2조임끈(132b)과 제2고정수단(132b)을 이용하여 제3커버부(130)를 조일 수 있다.
제1조임부(131)와 제2조임부(132)는 제1커버부(110)에서부터 유모차(10)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제1조임부(131)와 제2조임부(132) 중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안정적으로 제3커버부(130)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둘 다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커버부(140)는 유모차(10)의 하부를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유모차 시트에 앉은 유아의 다리가 위치하는 곳이다. 상기 제4커버부(140)는 2겹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겹은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한 나노섬유로 형성되며, 나머지 1겹은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커버부(140)가 2겹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아이가 다리를 움직여서 유모차커버를 차는 등 자극을 많이 줄 경우에도 훼손을 줄이기 위함이다.
제5커버부(170)는 유모차(10)의 후방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제5커버부(170)는 방수가 가능하며 스판소재의 천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개폐수단(150)은 상기 제1커버부(110)와 제2커버부(120) 사이에 형성되어 시트에 앉은 유아의 전방을 개폐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개폐수단(150)은 산성비에 의해 코팅이 벗겨지지 않고 미세먼지가 투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방수재질의 지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제1개폐수단(150)을 통해 제1커버부(110)를 개방하여 유아를 유모차에 앉히거나 빼낼 수 있다.
제2개폐수단(160)은 상기 제4커버부(140)의 하단에 일측에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유모차 내부의 이물질을 빼내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2개폐수단(160)을 통해 제4커버부(140)의 하부를 개방하여 유아의 발이 위치한 부분에 형성되어 유아의 신발에서 나오는 이물질을 바닥으로 빼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버부(100)는 제1커버부(110), 제2커버부(120), 제3커버부(130), 제4커버부(140)는 필터가 반투시성과 자외선 차단 및 차광력이 있는 것으로 미세먼지가 유입되지 않고 방수까지 가능한 나노섬유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나노섬유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미세먼지, 세균 등과 같은 유해물질입자크기보다 더 촘촘하게 구성되어 유해물질이 유아가 있는 내부공간으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통기성도 향상되어 유아가 답답해하지 않고 유모차에 앉아 있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1,2,3,4커버부(110,120,130,140)의 일부만 나노섬유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커버부(100)의 전체부분이 나노섬유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투시부(200)는 상기 커버부(100)에 구비되고 유모차(10)에 탑승한 유아가 외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투시부(200)는 유모차(10)에 탑승한 유아에게 외부를 투시하기 위한 개방된 시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투시부(200)이 폭과 높이는 유모차(10)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크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시부(200)는 커버부(100)의 제1커버부(11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아가 투시부(200)를 통해 정면으로 응시할 수 있다.
햇빛가림부(300)는 상기 투시부(200)의 상부를 덮기 위해 커버부(1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다.
즉 평소에는 도 2와 같이 햇빛가림부(300)가 제3커버부(130) 쪽으로 넘겨져 있는 상태에서 유아가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6과 같이 햇빛가림부가 투시부(200)의 일부가 덮히도록 한다. 상기 햇빛가림부(300)는 자외선이 차단될 수 있는 어떠한 소재로 사용해도 무방하다.
도 7을 참고하면, 고정부(400)는 상기 커버부(100)의 개방구(101)의 양측에 형성되는 소정 갯수의 고정고리(41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고정고리(410)는 잠그고 열 수 있는 것으로 개방구(10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며, 유모차커버(1000)가 유모차(1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하는 것이다. 고정고리(410)는 도면과 같이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3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의 갯수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400)는 보조지지부(4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지지부(420)는 개방구(10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고 양측에 형성된 보조지지부(420)에 고정고리(410)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지지부(420)는 개방구(101) 부분이 유모차(10)의 후방면에 씌어질때 밀착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개방구(101)의 양측에 보조지지부가 2열로 총 4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유모차
1000 유모차커버
100 커버부
101 개방부
110 제1커버부
120 제2커버부
130 제3커버부
131 제1조임부
132 제2조임부
140 제4커버부
150 제1개폐수단
160 제2개폐수단
170 제5커버부
200 투시부
300 햇빛가림부
400 고정부
410 고정고리
420 보조지지부

Claims (3)

  1. 유모차(10)의 시트에 앉은 유아의 주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측에 위치한 개방구(101)를 통하여 유모차(10)에 씌워지는 커버부(100)와,
    상기 커버부(100)에 구비되고 유모차(10)에 탑승한 유아가 외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투시부(200)와,
    상기 투시부(200)의 상부를 덮기 위해 커버부(1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햇빛가림부(300)와,
    상기 개방구(101)의 양측에 형성되는 고정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100)는
    미세먼지가 차단되는 소재로 형성되되 유모차(10)의 전방을 커버하기 위한 제1커버부(110)와,
    미세먼지가 차단되는 소재로 형성되되 유모차(10)의 양측을 커버하기 위한 제2커버부(120)와,
    미세먼지가 차단되는 소재로 형성되되 유모차(10)의 상측을 커버하기 위한 제3커버부(130)와,
    미세먼지가 차단되는 소재로 형성되되 유모차(10)의 하부를 커버하기 위한 제4커버부(140)와,
    상기 제1커버부(110)와 제2커버부(120) 사이에 형성되어 시트에 앉은 유아의 전방을 개폐시키기 위한 제1개폐수단(150)과,
    상기 제4커버부(140)의 하단에 일측에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개폐수단(160)과,
    미세먼지가 차단되는 소재로 형성되되 유모차(10)의 후방을 커버하기 위한 제5커버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부(110)는
    사람의 손과 손목이 투입되기 위한 것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방수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손투입지퍼부(111a)와,
    일단이 상기 손투입지퍼부(111a)와 연결되고 제1커버(100)의 내부에 위치하며 타단은 신축성을 가진 시보리(111b``)로 형성되되, 손투입지퍼부(111a)에 연결된 부분(111b`)에서 시보리(111b``)가 형성된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게 형성되는 손투입부(111b)와,
    손투입지퍼부(111a)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되, 방수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차단커버(111c)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개방구(10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되, 유모차커버(1000)를 유모차(10)에 고정시키는 고정고리(410)와,
    상기 개방구(10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되, 개방구(101) 부분이 유모차(10)의 후방면에 씌어질때 밀착되도록 보조하는 보조지지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가진 유모차 커버.
  2. 삭제
  3. 삭제
KR1020180140463A 2018-11-15 2018-11-15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가진 유모차 커버 KR102105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463A KR102105659B1 (ko) 2018-11-15 2018-11-15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가진 유모차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463A KR102105659B1 (ko) 2018-11-15 2018-11-15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가진 유모차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659B1 true KR102105659B1 (ko) 2020-04-28

Family

ID=70456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463A KR102105659B1 (ko) 2018-11-15 2018-11-15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가진 유모차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6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405B1 (ko) * 2019-10-31 2021-04-12 우송정보대학 산학협력단 공기청정기능 및 보조동력을 구비한 친환경 유모차
GB2589047A (en) * 2019-03-29 2021-05-26 Richards Stephen Cover for pushchair, carry cot or child's car sea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985B1 (ko) 2009-06-19 2011-06-16 주식회사 와이케이비앤씨 유모차 커버
KR20120002716U (ko) * 2010-10-12 2012-04-20 주식회사 토탈키즈 분리 가능한 유모차 보호 덮개
KR20120002831U (ko) * 2010-10-15 2012-04-25 (주)보브코리아 탈착 가능한 차양부를 구비한 유모차 보호덮개
KR20120098561A (ko) 2012-07-23 2012-09-05 주식회사 두산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0471591Y1 (ko) * 2012-03-29 2014-03-04 김경혜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
KR20140032115A (ko) * 2012-09-06 2014-03-14 권대한 유모차 커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985B1 (ko) 2009-06-19 2011-06-16 주식회사 와이케이비앤씨 유모차 커버
KR20120002716U (ko) * 2010-10-12 2012-04-20 주식회사 토탈키즈 분리 가능한 유모차 보호 덮개
KR20120002831U (ko) * 2010-10-15 2012-04-25 (주)보브코리아 탈착 가능한 차양부를 구비한 유모차 보호덮개
KR200471591Y1 (ko) * 2012-03-29 2014-03-04 김경혜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
KR20120098561A (ko) 2012-07-23 2012-09-05 주식회사 두산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40032115A (ko) * 2012-09-06 2014-03-14 권대한 유모차 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9047A (en) * 2019-03-29 2021-05-26 Richards Stephen Cover for pushchair, carry cot or child's car seat
KR102239405B1 (ko) * 2019-10-31 2021-04-12 우송정보대학 산학협력단 공기청정기능 및 보조동력을 구비한 친환경 유모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659B1 (ko)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가진 유모차 커버
KR101627973B1 (ko) 다용도 마스크
CA2538924C (en) Multipurpose mask
US6012184A (en) Child seat cover
KR20200086150A (ko) 필터 교체형 마스크
CA2561849A1 (en) Thermally insulated cover for baby stroller
JP3181129U (ja) 抗汚染性、抗菌性、防水性ベビーカバー
JP5628383B1 (ja) 座席シートカバー
US7000625B2 (en) Sunshade attachment for strollers, car seats, carriages and joggers
US20210392965A1 (en) Face covering
GB2561659A (en) Multipurpose cover for shielding a child from environmental elements and method of using same
CN205512835U (zh) 折叠式可穿戴雾霾防护装置
US20060284456A1 (en) Sun cover for an infants
KR200453145Y1 (ko) 차양막부가 설치된 유모차 커버
KR200471591Y1 (ko) 황사 등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춘 유모차용 보호덮개
WO2019156577A1 (en) Filtration cover, anti-dust protection for a pram
KR101534065B1 (ko) 마스크 겸용 손수건
WO1986004508A1 (en) Life equipment intended to the survival of a person in toxic atmosphere
US20220296012A1 (en) Blanket for Filtering Airborne Pathogens
CN205866058U (zh) 一种防雾霾保健口罩
FR2904195A1 (fr) Dispositif prophylactique de protection contre des contaminations d'homme a homme par des virus
KR20210071399A (ko) 초미세먼지 제거 유모차 커버
KR20210041938A (ko)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유아용 시트부
KR102273318B1 (ko) 비말방지용 보안면 착탈이 용이한 복합 마스크
CN212065755U (zh) 可调节大小的纯中药抗瘟抑菌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