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342B1 - 배관 설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관 설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342B1
KR102105342B1 KR1020190180083A KR20190180083A KR102105342B1 KR 102105342 B1 KR102105342 B1 KR 102105342B1 KR 1020190180083 A KR1020190180083 A KR 1020190180083A KR 20190180083 A KR20190180083 A KR 20190180083A KR 102105342 B1 KR102105342 B1 KR 102105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partition
inner spac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80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주
Original Assignee
최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주 filed Critical 최종주
Priority to KR1020190180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 F16L3/223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each pipe being supported by a common element fastened to the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천정이나 벽을 따라 배관 설치 작업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배관 설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천정을 따라 설치되는 배관을 체결하여 거치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 설치 시스템{PLUMBING INSTALLATION SYSTEM}
본 발명은 배관 설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천정이나 벽을 따라 배관 설치 작업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하고, 개별적으로 배관이나 덕트 등을 체결하던 기존의 방식과 달리,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 바아의 상측 공간에 배관이나 덕트 등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도록 구현한 배관 설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스나 전기 등이 건물 내로 공급되기 위하여 배관시설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배관시설은 건물의 벽이나 천정에 배관설치용 행거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배관설치용 행거는 건물의 벽이나 천정에 연결된 앵커볼트와 체결되면서, 동시에 배관을 고정시킬 수 있는 형태로서, 다수의 부품이 볼트와 너트 형태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형태의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배관용 체결 행거의 경우, 볼트와 너트 및 클램프부재와 지지부재가 모두 따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체결 작업도중에 볼트나 너트를 분실할 소지가 많고, 이러한 분실은 불필요한 자재의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지연시키는 등 시공상의 작업효율을 떨어뜨리는 등과 같은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작업시 작업자는 각각의 부품들을 별도로 소지해야 하는 등의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44507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9155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건물의 천정이나 벽을 따라 배관 설치 작업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배관 설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개별적으로 배관이나 덕트 등을 체결하던 기존의 방식과 달리,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 바아의 상측 공간에 배관이나 덕트 등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도록 구현한 배관 설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 시스템은, 천정을 따라 설치되는 배관을 체결하여 거치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는,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편; 상기 제1 고정편과 이격되어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편; 상기 제1 고정편의 일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지지편; 상기 제2 고정편의 일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지지편과 대향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지지편; 및 상기 제1 지지편과 상기 제2 지지편의 하측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측에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안착 바아의 상측을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안착 바아의 상측에 안착되는 배관을 다른 배관과 분리시켜 주는 다수 개의 파티션; 및 상기 파티션과 다른 파티션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파티션과 다른 파티션 사이에 거치되는 파티션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파티션은, 배관을 다른 배관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구획 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딩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돌기; 및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일측면 또는 따른 일측면에서 지지 스프링에 의해 지지 설치되며, 배관의 형태에 대응하여 외측에 형성되는 거치홈이 상기 안착 바아의 상측에 안착되는 배관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으로 밀착되어 배관을 체결하는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편은, 상기 제1 고정편의 일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하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유체를 수용하여 두며, 상하 방향으로 압축됨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탱크; 상기 유체 공급 탱크가 설치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승함에 따라 상기 유체 공급 탱크를 압축시켜 주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 바아의 일측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 공급 탱크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면 좌우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구획 플레이트를 배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주는 구동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정편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플레이트; 및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제1 지지편 방향으로 절곡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절곡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외측면에 상기 절곡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보조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보조 플레이트와 상기 절곡 플레이트를 함께 관통하고 삽입된 볼트가 회전하여 상기 보조 플레이트와 상기 절곡 플레이트의 간격이 줄어듬에 따라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 시스템은, 배관 설치 공사를 수행하기 위해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임시적으로 제작되는 가설 비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설 비계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직 프레임; 상기 다수 개의 수직 프레임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다수 개의 수직 프레임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수평 프레임; 상기 다수 개의 수직 프레임 사이에 경사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다수 개의 수직 프레임을 지지하는 경사 지지대; 상기 수평 프레임에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체결되어 거치되며,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발판; 및 이동을 위해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 바디; 상기 프레임 바디의 전단 하부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납홈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바퀴에 의한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가 상기 제1 수납홈으로부터 회동되어 바닥면까지 이동되어 바닥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대; 및 상기 프레임 바디의 후단 하부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납홈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바퀴에 의한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가 상기 제2 수납홈으로부터 회동되어 바닥면까지 이동되어 바닥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대는, 상부가 상기 제1 수납홈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 바아;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측으로부터 바닥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2 지지 바아; 및 상기 제2 지지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며, 하측면이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바디의 일측 하부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안착홈에 삽입되며,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하강된 후 바닥면을 지지하는 보조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지지부는, 상기 안착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아;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전단 하측에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이 바닥면 방향으로 회동되어 바닥면과 밀착되는 전단 지지대; 및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후단 하측에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이 바닥면 방향으로 회동되어 바닥면과 밀착되는 후단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 바아는, 일측 하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수납 공간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수납되며, 상부가 바닥면 방향으로 회동하여 바닥면에 밀착된 상기 전단 지지대의 상측을 체결하여 상기 전단 지지대를 지지하는 간격 지지대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어 바닥면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의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간격 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 유지부는, 일측이 상기 제1 지지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바아;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지지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바아; 및 상기 제1 바아와 상기 제2 바아 사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바아와 상기 제2 바아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건물의 천정이나 벽을 따라 배관 설치 작업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개별적으로 배관이나 덕트 등을 체결하던 기존의 방식과 달리,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 바아의 상측 공간에 배관이나 덕트 등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배관이나 덕트 등의 형태 또는 개수에 구애됨이 없이 많은 수의 배관이나 덕트를 안착시켜 시공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체결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체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비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수직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수직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수직 프레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제1 바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 시스템(1)은, 체결부(10)을 포함한다.
체결부(10, 10a)는, 천정을 따라 설치되는 배관(P) 또는 덕트(D) 등을 체결하여 거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P) 또는 덕트(D)를 체결할 수 있는 구조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 시스템(1)은, 건물의 천정이나 벽을 따라 배관 설치 작업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체결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10)는, 제1 고정편(100), 제2 고정편(200), 제1 지지편(300), 제2 지지편(400) 및 안착 바아(500)를 포함한다.
제1 고정편(100)은, 제2 고정편(200)과 이격되어 천정에 볼트(B1) 등의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된다.
제2 고정편(200)은, 제1 고정편(100)과 이격되어 천정에 볼트(B2) 등의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된다.
제1 지지편(300)은, 제1 고정편(100)의 일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지지편(400)은, 제2 고정편(200)의 일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 지지편(300)과 대향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안착 바아(500)는, 제1 지지편(300)과 제2 지지편(400)의 하측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측에 배관이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10)는, 개별적으로 배관이나 덕트 등을 체결하던 기존의 방식과 달리,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 바아(500)의 상측 공간에 배관이나 덕트 등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배관이나 덕트 등의 형태 또는 개수에 구애됨이 없이 많은 수의 배관이나 덕트를 안착시켜 시공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체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20)는, 제1 고정편(100), 제2 고정편(200), 제1 지지편(300), 제2 지지편(400), 안착 바아(500), 다수 개의 파티션(600) 및 파티션 지지대(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고정편(100), 제2 고정편(200), 제1 지지편(300), 제2 지지편(400) 및 안착 바아(500)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파티션(600)은, 안착 바아(500)의 상측을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딩홈(510)에 연결 설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안착 바아(500)의 상측에 안착되는 배관(P)을 다른 배관(P)과 분리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파티션(600)은, 구획 플레이트(610), 슬라이딩 돌기(620) 및 거치대(6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 플레이트(610)는, 배관을 다른 배관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거치대(630)가 설치되고, 하측에 슬라이딩 돌기(620)가 형성된다.
슬라이딩 돌기(620)는, 슬라이딩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획 플레이트(610)의 하측에 형성되며,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홈(510)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거치대(630)는, 구획 플레이트(610)의 일측면 또는 따른 일측면에서 지지 스프링(64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 설치되며, 배관의 형태에 대응하여 외측에 형성되는 거치홈(631)이 안착 바아(500)의 상측에 안착되는 배관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으로 밀착되어 배관을 체결한다.
즉, 거치대(6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를 공급받은 구동 실린더(340)로부터 신장되는 피스톤(341)에 의해 밀려 배관(P)과 밀착될 수 있다.
파티션 지지대(700)는, 파티션(600)과 다른 파티션(600)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파티션(600)과 다른 파티션(600) 사이에 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20)에서 제1 지지편(300)은, 상부 플레이트(310), 유체 공급 탱크(320), 하부 플레이트(330) 및 구동 실린더(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310)는, 제1 고정편(100)의 일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하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유체 공급 탱크(320)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유체 공급 탱크(320)는, 상부 플레이트(3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유체를 수용하여 두며, 하부 플레이트(330)가 승강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둔 유체를 유체 공급 라인(L1)을 통해 구동 실린더(340)로 공급한다.
하부 플레이트(330)는, 유체 공급 탱크(320)가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310)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삽입되며, 상부 플레이트(31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승함에 따라 유체 공급 탱크(320)를 압축시켜 준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330)는, 외측면에 절곡 플레이트(130)와 대향하는 보조 플레이트(331)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 실린더(340)는, 안착 바아(500)의 일측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유체 공급 탱크(320)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면 내부에 연결 설치되는 피스톤(341)이 좌우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어 구획 플레이트(610)를 배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고정편(100)은, 고정 플레이트(110), 수직 플레이트(120) 및 절곡 플레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10)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천정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에 상부 플레이트(310)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수직 플레이트(120)가 절곡 형성된다.
수직 플레이트(120)는, 고정 플레이트(110)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측으로부터 제1 지지편(300) 방향으로 절곡 플레이트(130)가 절곡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절곡 플레이트(130)는, 수직 플레이트(120)의 하측으로부터 제1 지지편(300) 방향으로 절곡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플레이트(330)는, 외측면에 절곡 플레이트(130)와 대향하는 보조 플레이트(331)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플레이트(330)는, 보조 플레이트(331)와 절곡 플레이트(130)를 함께 관통하고 삽입된 볼트(B3)가 회전하여 보조 플레이트(331)와 절곡 플레이트(130)의 간격이 줄어듬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31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승할 수 있다.
상술한 바아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체결부(10)는, 가설 비계(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설 비계(800)는, 배관 설치 공사를 수행하기 위해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임시적으로 제작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비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설 비계(800)는, 다수 개의 수직 프레임(810), 다수 개의 수평 프레임(820), 경사 지지대(830), 발판(840) 및 바퀴(850)를 포함한다.
수직 프레임(810)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다른 수직 프레임(810)과의 사이에 설치된 수평 프레임(820) 및 경사 지지대(830)에 의하여 그 외형이 지지된다.
수평 프레임(820)은, 다수 개의 수직 프레임(810)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다수 개의 수직 프레임(810)을 지지한다.
경사 지지대(830)는, 다수 개의 수직 프레임(810) 사이에 경사 방향으로 설치되어 다수 개의 수직 프레임(810)을 지지한다.
발판(840)은, 수평 프레임(820)에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체결되어 거치되며,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바퀴(850)는, 이동을 위해 수직 프레임(810)의 하측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설 비계(800)는, 천정 등과 같이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장소에 본 발명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가 탑승하도록 함으로써, 시공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수직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프레임(900)은, 프레임 바디(910), 제1 지지대(920) 및 제2 지지대(930)를 포함한다.
프레임 바디(910)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며, 전단에 제1 지지대(920)가 연결 설치되고, 후단에 제2 지지대(930)가 연결 설치된다.
제1 지지대(920)는, 프레임 바디(910)의 전단 하부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납홈(911)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바퀴(850)에 의한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가 제1 수납홈(911)으로부터 회동되어 바닥면까지 이동되어 바닥면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대(920)는, 제1 지지 바아(921), 제2 지지 바아(922) 및 지지 패드(9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바아(921)는, 상부가 제1 수납홈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지지 바아(922)는, 제1 지지 바아(921)의 하측으로부터 바닥면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10 내지 20° 등)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지지 패드(923)는, 제2 지지 바아(922)의 하측에 설치되며, 하측면이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바닥면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패드(923)는, 바닥면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측면에 못 형태의 스파이크(924)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지지대(930)는, 프레임 바디(910)의 후단 하부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납홈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바퀴(850)에 의한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가 제2 수납홈으로부터 회동되어 바닥면까지 이동되어 바닥면을 지지한다.
여기서 제2 지지대(930)는, 제1 지지대(920)와 대칭 구조로서 그 구성요소와 동일한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6의 수직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 프레임(900)은, 프레임 바디(910), 제1 지지대(920), 제2 지지대(930) 및 보조 지지부(9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 바디(910), 제1 지지대(920) 및 제2 지지대(930)는, 도 8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보조 지지부(940)는, 프레임 바디(910)의 일측 하부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안착홈(912)에 삽입되며, 안착홈(912)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하강된 후 바닥면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지지부(940)는, 슬라이딩 바아(941), 전단 지지대(942) 및 후단 지지대(943)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바아(941)는, 안착홈(91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전단 지지대(942)는, 슬라이딩 바아(941)의 전단 하측(H)에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이 바닥면 방향으로 회동되어 바닥면과 밀착된다.
후단 지지대(943)는, 슬라이딩 바아(941)의 후단 하측에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이 바닥면 방향으로 회동되어 바닥면과 밀착된다.
여기서, 전단 지지대(942) 및 후단 지지대(943)는, 각 바닥면과의 대향면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스파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 바아(921)는, 일측 하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수납 공간(9212)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수납되며, 상부가 바닥면 방향으로 회동하여 바닥면에 밀착된 전단 지지대(942)의 상측을 체결하여 전단 지지대(942)를 지지하는 간격 지지대(9211)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는 도 6의 수직 프레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 프레임(900)은, 프레임 바디(910), 제1 지지대(920), 제2 지지대(930), 보조 지지부(940) 및 간격 유지부(95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 바디(910), 제1 지지대(920) 및 제2 지지대(930)는, 도 8 및 도 9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간격 유지부(950)는, 제1 지지대(920)와 제2 지지대(930) 사이에 설치되어 바닥면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의 제1 지지대(920)와 제2 지지대(93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간격 유지부(950)는, 제1 바아(951), 제2 바아(952) 및 탄성 스프링(953)을 포함한다.
제1 바아(951)는, 일측이 제1 지지대(9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에 탄성 스프링(953)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바아(95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바아(9511), 제1 바아(9511)의 단부에 설치되는 체결바아(9512), 및 체결바아(9512)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9414)이 형성되는 연결바아(95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바아(952)는, 다른 일측이 제2 지지대(93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일측에 탄성 스프링(953)가 설치된다.
탄성 스프링(953)은, 제1 바아(951)와 제2 바아(952) 사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바아(951)와 제2 바아(952)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지지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배관 설치 시스템
10, 20: 체결부
100: 제1 고정편
200: 제2 고정편
300: 제1 지지편
400: 제2 지지편
500: 안착 바아
600: 파티션
700: 파티션 지지대
800: 가설 비계
900: 수직 프레임

Claims (2)

  1. 천정을 따라 설치되는 배관을 체결하여 거치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편; 상기 제1 고정편과 이격되어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편; 상기 제1 고정편의 일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지지편; 상기 제2 고정편의 일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지지편과 대향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지지편; 및 상기 제1 지지편과 상기 제2 지지편의 하측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측에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 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안착 바아의 상측을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안착 바아의 상측에 안착되는 배관을 다른 배관과 분리시켜 주는 다수 개의 파티션; 및 상기 파티션과 다른 파티션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파티션과 다른 파티션 사이에 거치되는 파티션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티션은, 배관을 다른 배관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구획 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딩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돌기; 및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일측면 또는 따른 일측면에서 지지 스프링에 의해 지지 설치되며, 배관의 형태에 대응하여 외측에 형성되는 거치홈이 상기 안착 바아의 상측에 안착되는 배관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으로 밀착되어 배관을 체결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편은, 상기 제1 고정편의 일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하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유체를 수용하여 두며, 상하 방향으로 압축됨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탱크; 상기 유체 공급 탱크가 설치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승함에 따라 상기 유체 공급 탱크를 압축시켜 주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 바아의 일측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 공급 탱크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면 좌우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구획 플레이트를 배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주는 구동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편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플레이트; 및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제1 지지편 방향으로 절곡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절곡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외측면에 상기 절곡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보조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보조 플레이트와 상기 절곡 플레이트를 함께 관통하고 삽입된 볼트가 회전하여 상기 보조 플레이트와 상기 절곡 플레이트의 간격이 줄어듬에 따라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승하는, 배관 설치 시스템.
  2. 삭제
KR1020190180083A 2019-12-31 2019-12-31 배관 설치 시스템 KR102105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80083A KR102105342B1 (ko) 2019-12-31 2019-12-31 배관 설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80083A KR102105342B1 (ko) 2019-12-31 2019-12-31 배관 설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342B1 true KR102105342B1 (ko) 2020-04-28

Family

ID=70456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80083A KR102105342B1 (ko) 2019-12-31 2019-12-31 배관 설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3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492Y1 (ko) * 2005-07-20 2005-10-25 한춘석 배관용 멀티 고정클램프
KR100644507B1 (ko) 2005-10-05 2006-11-10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주택내부 바닥의 결속 레일을 이용한 보일러 배관의설치구조
KR20080091554A (ko) 2007-04-09 2008-10-14 김태식 배관설치용 행거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492Y1 (ko) * 2005-07-20 2005-10-25 한춘석 배관용 멀티 고정클램프
KR100644507B1 (ko) 2005-10-05 2006-11-10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주택내부 바닥의 결속 레일을 이용한 보일러 배관의설치구조
KR20080091554A (ko) 2007-04-09 2008-10-14 김태식 배관설치용 행거 체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2776B2 (en) Suspended ceiling system, securing members, and process of installing a suspended ceiling system
AU2015251495B2 (en) A suspended ceiling clip
US8475014B2 (en) T-bar mounting system
AU2018276075B2 (en) A suspended ceiling hanger clip
US9206927B2 (en) Utility conduit suppor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1666118B1 (ko) 천장 마감 몰딩
CA2673245C (en) Acoustical mounting bracket for attaching ceiling suspension to floor joists
KR20180040222A (ko) 면진 기능을 구비한 천장마감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
US20060070967A1 (en) Overhead attachable storage shelf
KR102105342B1 (ko) 배관 설치 시스템
KR102105347B1 (ko) 가설 비계
KR101574463B1 (ko) 천장용 캐링찬넬 고정행거
KR20130138602A (ko) 천정마감장치
US20210180320A1 (en) Plenum support for demountable wall system
JP2023062637A (ja) 天井落下防止構造
JP2022107492A (ja) ボルト支持金具
KR20140014758A (ko) 천장 루버
JP6934775B2 (ja) 消火栓装置及び消火器箱
JP2006097250A (ja) 天井板吊持装置
JP3043452U (ja) エアコン室外機の吊下式据付架台
JP3025517U (ja) 家具転倒防止器具
JP2002276060A (ja) 建築物の内装パネル取付構造
JP2023050772A (ja) パネル設置構造
JP2023050774A (ja) パネル装置及びこれの設置構造
JP2023050775A (ja) パネ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