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738B1 - 궐련 - Google Patents

궐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738B1
KR102104738B1 KR1020187033696A KR20187033696A KR102104738B1 KR 102104738 B1 KR102104738 B1 KR 102104738B1 KR 1020187033696 A KR1020187033696 A KR 1020187033696A KR 20187033696 A KR20187033696 A KR 20187033696A KR 102104738 B1 KR102104738 B1 KR 102104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igarette
paper
resin lay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7544A (ko
Inventor
카즈히로 노다
테츠야 모토다마리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17911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0473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7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61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containing additives entrapped within capsules, sponge-like material or the like, for further release upon smok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02Cigars; Cigarettes with additives, e.g. for flavou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204Preliminary operations before the filter rod forming process, e.g. crimping, blooming
    • A24D3/0212Applying additives to filter materials
    • A24D3/0216Applying additives to filter materials the additive being in the form of capsules, bea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24D3/048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containing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필터 내에 함유되는 향료 캡슐의 파쇄 용이성을 향상시킨 궐련을 제공하는 것이다.
궐련은, 담배 충전재 및 그 담배 충전재의 주위에 감긴 권지를 포함하는 담배 로드와, 여재를 포함하는 필터 플러그와, 복수의 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필터 플러그의 주위에 감긴 복수의 시트형상 부재와, 필터 내에 위치하며 내용액을 피막으로 피복하여 유지하는 캡슐을 포함하는 필터와, 상기 담배 로드와 상기 필터를 접속하도록 그 담배 로드 및 그 필터 위에 감긴 팁 페이퍼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형상 부재는, 0.5~1.0g/cm3의 밀도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층을 형성한 상기 복수의 시트형상 부재의 합계의 두께 A는, 100~250㎛이다.

Description

궐련{CIGARETTE}
본 발명은, 필터 내에 함유되는 향료 캡슐의 파쇄 용이성을 향상시킨 궐련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궐련용 필터에 향료 캡슐을 조립하여, 사용시에 향료 캡슐을 손가락으로 파쇄하고, 흡연시에 내용액의 향기를 즐기거나, 소화(消火) 후의 담배꽁초의 냄새를 마스킹하거나 하는 일이 행해지고 있다(특허 문헌 1 및 2). 향료 캡슐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3에 기재되어 있다.
향료 캡슐은, 필터를 구성하는 여재(濾材)에 직접 매입되거나, 복수의 필터 플러그간에 형성된 중공부에 배치되거나 한다. 어느 경우도, 향료 캡슐은, 필터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필터를 포장하는 종이(권취지(卷取紙) 또는 성형지(成形紙))와 팁 페이퍼의 위에서 손가락으로 눌러 파쇄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특개평 7-250665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특표 2007-520204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특표 2008-546400호 공보
본 발명은, 필터 내에 함유되는 향료 캡슐의 파쇄 용이성을 향상시킨 궐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궐련은, 담배 충전재 및 그 담배 충전재의 주위에 감긴 권지(卷紙)를 포함하는 담배 로드와, 여재를 포함하는 필터 플러그와, 복수의 층을 형성하듯이 상기 필터 플러그의 주위에 감긴 복수의 시트형상 부재와, 필터 내에 위치하며 내용액을 피막으로 피복하여 유지하는 캡슐을 포함하는 필터와, 상기 담배 로드와 상기 필터를 접속하듯이 그 담배 로드 및 그 필터 위에 감긴 팁 페이퍼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형상 부재는, 0.5~1.0g/cm3의 밀도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층을 형성한 상기 복수의 시트형상 부재의 합계의 두께는, 100~250㎛이다.
본 발명의 궐련에 의하면, 작은 힘과 짧은 삽입 거리로, 향료 캡슐을 파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궐련은, 향료 캡슐을 파쇄할 때에, 손가락에 걸리는 압력을 보다 넓은 접촉면에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손가락에 걸리는 부담이 작다고 하는 이점을 가진다.
[도 1] 참고 형태의 제1 태양(態樣)에 관한 궐련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
[도 2] 참고 형태의 제2 태양에 관한 궐련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
[도 3] 각 시험지의 특성을 나타낸 표.
[도 4] 레오미터를 이용한 측정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
[도 5] 향료 캡슐의 삽입 거리와 하중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 동일한 하중을 걸었을 때의 시험지의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
[도 7] 종이의 두께와 향료 캡슐에의 힘의 전달 용이성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 시험지에 가해진 압력 분포를 나타내는 도.[도 9] 동일한 하중을 걸었을 때의 시험지의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
[도 10] 홑겹 말이 또는 이중 말이 한 시트형상 부재와 진원(眞圓)성과의 관계를 나타낸 표.
[도 11] 제1 실시 형태의 궐련을 나타낸 측면도.
[도 12] 제1 실시 형태의 제3 태양에 관한 궐련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
[도 13] 제1 실시 형태의 제4 태양에 관한 궐련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
[도 14]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궐련의 F14-F14선에 따른 단면도.
[도 15] 깰 때의 느낌과 점수의 관계를 나타낸 표.
[도 16] 깰 때의 느낌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 표.[도 17] 도 16의 평가 결과에 대한 통계적인 검정 결과를 나타낸 표.
[도 18] 제2 실시 형태의 궐련의 필터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따른 단면도.
[도 19] 제3 실시 형태의 궐련의 필터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따른 단면도.
[도 20] 제4 실시 형태의 궐련의 필터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따른 단면도.
[도 21] 제5 실시 형태의 궐련의 필터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따른 단면도.
[참고 형태]
이하에 궐련의 참고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참고 형태에서는, 향료 캡슐은, 필터를 구성하는 여재에 직접 삽입되어 있어도 되고(제1 태양), 복수의 필터 플러그간에 형성된 중공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제2 태양).
도 1에 나타내듯이, 참고 형태의 제1 태양에 관한 궐련(11)은, 담배 충전재(12)(조각잎, 연초) 및 그 담배 충전재(12)의 주위를 감은 권지(13)를 포함하는 담배 로드(14)와, 담배 로드(14)에 인접해서 설치된 필터(15)와, 담배 로드(14) 및 필터(15)에 걸쳐 이것들을 연결하듯이 담배 로드(14) 및 필터(15) 위에 감긴 팁 페이퍼(16)를 포함하고 있다.
필터(15)는, 단일의 필터 플러그(17)와, 필터 플러그(17)의 주위에 감긴 필터 포장지(21)와, 필터(15) 내(필터 플러그(17) 내)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피막(22) 내에 향료를 포함하는 내용액을 유지하는 향료 캡슐(23)을 포함하고 있다. 제1 태양에서는, 필터 포장지(21) 및 팁 페이퍼(16)의 적어도 한편의 종이가, 0.5~1.0g/cm3의 밀도 및 100~250㎛의 두께를 가진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참고 형태의 제2 태양에 관한 궐련(11)은, 담배 충전재(12) 및 담배 충전재(12)의 주위에 감긴 권지(13)를 포함하는 담배 로드(14)와, 필터(15)와, 담배 로드(14) 및 필터(15)에 걸쳐 이들을 접속하듯이 담배 로드(14) 및 필터(15) 위에 감긴 팁 페이퍼(16)를 가진다.
필터(15)는, 서로 이간(離間)하여 중공부(24)를 통하여 배치된 2개의 필터 플러그(17)와, 2개의 필터 플러그(17)에 걸쳐 필터 플러그(17) 간에 중공부(24)를 형성하듯이 2개의 필터 플러그(17)의 주위에 감긴 필터 포장지(21)와, 중공부(24) 내에 위치하여 피막(22) 내에 향료를 포함하는 내용액을 유지하는 향료 캡슐(23)을 포함하고 있다.
제2 태양에서는, 필터 포장지(21) 및 팁 페이퍼(16)의 적어도 한편의 종이가, 0.5~1.0g/cm3의 밀도 및 100~250㎛의 두께를 가진다.
이하는, 특히 명시하지 않는 한, 상술의 2개의 태양에 관한 설명이다.
0.5~1.0g/cm3의 밀도 및 100~250㎛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는, 필터 포장지(21)나 팁 페이퍼(16)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이와 비교하여, 밀도 및 두께가 크고, 이러한 밀도와 두께에 의해 높은 캡슐 파쇄성능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종이의 밀도는, 궐련 작성의 원료가 되는 종이의 평량(坪量) 및 두께를, 각각 JIS P 8124 및 JIS P 8118에 규정된 방법에 의해 측정하고, 얻어진 값을 하기식에 적용시킴으로써 구한 값을 가리킨다. 즉, "밀도(g/cm3)=평량(g/m2)/두께(mm)×1000 … (식 2)"이다.
또한, 필터 포장지(21)로서 0.5~1.0g/cm3의 밀도 및 100~250㎛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를 사용한 경우, 팁 페이퍼(16)는, 0.5~1.0g/cm3의 밀도 및 100~250㎛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를 사용해도 되고, 일반적으로 팁 페이퍼(16)로서 사용되는 통상의 밀도와 두께를 가지는 종이를 사용해도 된다. 동일하게, 팁 페이퍼(16)로서 0.5~1.0g/cm3의 밀도 및 100~250㎛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를 사용한 경우, 필터 포장지(21)는, 0.5~1.0g/cm3의 밀도 및 100~250㎛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를 사용해도 되고, 일반적으로 필터 포장지(21)로서 사용되는 통상의 밀도와 두께를 가지는 종이를 사용해도 된다.
본 참고 형태에서는, 필터 포장지(21) 및 팁 페이퍼(16)의 적어도 한편의 종이가, 0.5~1.0g/cm3의 밀도 및 100~250㎛의 두께를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0.7~1.0g/cm3의 밀도 및 180~250㎛의 두께를 가지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1.0g/cm3의 밀도 및 240~250㎛의 두께를 가진다.
종이의 두께가 100~250㎛의 범위 내라고 해도, 밀도가 0.5g/cm3보다 작으면, 향료 캡슐(23)의 파쇄시에, 종이가 변형되어 꺾이기 쉽고, 손가락에 걸리는 압력이 국소에 집중하기 때문에, 향료 캡슐(23)을 파쇄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밀도가 1.0g/cm3보다 크면, 종이의 제조 코스트가 비싸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종이의 밀도는, 캡슐 내용액이 배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0.5~1.0g/cm3의 범위 내에서 큰 것이 바람직하다.
종이의 밀도가 0.5~1.0g/cm3의 범위 내라고 해도, 두께가 100㎛보다 작으면, 향료 캡슐(23)의 파쇄시에, 종이가 변형되어 꺾이기 쉽고, 손가락에 걸리는 압력이 국소에 집중하기 때문에, 향료 캡슐(23)을 파쇄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두께가 250㎛보다 크면, 궐련 제조의 감기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어려워짐과 동시에, 향료 캡슐(23)을 깬 감촉을 얻기 어려워진다.
제1 태양에 있어서의 필터 포장지(21)는, 권취지(卷取紙)라고도 불리며, 동일하게, 권취지에 0.5~1.0g/cm3의 밀도 및 100~250㎛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를 채용한 경우, 평량은 50~250g/m2, 통기도(通氣度)는 0~30000CU로 할 수 있다. 제1 태양에 있어서, 향료 캡슐(23) 내의 액체가 궐련(11) 외부로 배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필터 포장지(21)의 통기도를 0으로 할 수 있다.
제2 태양에 있어서의 필터 포장지(21)는, 성형지(成形紙)라고도 불린다. 0.5~1.0g/cm3의 밀도 및 100~250㎛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를 필터 포장지(21)로 채용한 경우, 일반적으로, 평량은 50~250g/m2, 통기도는 0~30000CU로 할 수 있다. 제2 태양에서는, 향료 캡슐(23)이 필터(15)의 중공부(24)에 위치하기 때문에, 향료 캡슐(23) 내의 액체가 궐련(11) 밖으로 배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필터 포장지(21)의 통기도를 0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0.5~1.0g/cm3의 밀도 및 100~250㎛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를 필터 포장지(21)로 채용한 경우, 팁 페이퍼(16)는, 일반적으로 팁 페이퍼(16)로서 사용되는 통상의 밀도와 두께를 가지는 종이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팁 페이퍼(16)의 평량을 예를 들면, 20~60g/m2로 하고, 그 두께를 예를 들면, 20~60㎛로 할 수 있다.
본 참고 형태의 제1 태양에서는, 향료 캡슐(23)은, 필터 플러그(17) 내에 매입되어 있고, 제2 태양에서는, 향료 캡슐(23)은, 필터 플러그(17) 간의 중공부(24)에 수용되어 있다. 향료 캡슐(23)은, 필터(15) 내에 1개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복수개(예를 들면 2~10개)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향료 캡슐(23)이 중공부(24)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 중공부(24) 하나 당 1개의 향료 캡슐(23)이 수용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개(예를 들면 2~10개)의 향료 캡슐(23)이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향료 캡슐(23)은, 피막(22)과 향료를 함유하는 내용액(25)으로 구성된다. 피막(22)에는, 예를 들면 전분, 덱스트린, 다당류, 한천, 젤란검, 젤라틴, 각종 천연 겔화제, 글리세린, 솔비톨, 염화칼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향료나 착색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향료 캡슐(23)은, 불투명도를 가지는 필터 포장지(21)나 팁 페이퍼(16)에 둘러싸여 있어도 향료 캡슐(23)을 파쇄할 때에 흡연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착색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피막(22)에 착색료, 예를 들면 청색 1호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용액(25)의 향료로서는, 예를 들면 멘솔, 식물 정유 등의 흡연 물품에 이용되는 임의의 향료를 사용할 수 있다. 주된 향료로서는, 멘솔, 잎담배 추출 엑기스, 천연 식물성 향료(예를 들면, 시나몬, 세이지, 허브, 카모밀, 갈초(葛草), 감차(甘茶), 클로브, 라벤더, 카다몬, 정향, 육두구, 베르가못, 제라늄, 벌꿀 엣센스, 장미유, 레몬, 오렌지, 계피, 캐러웨이, 쟈스민, 생강, 코리안더, 바닐라 엑기스, 스피아민트, 페퍼민트, 카시아, 커피, 샐러리, 카스카릴라, 샌들우드, 코코아, 일랑일랑, 펜넬, 아니스, 리코리스, 세인트존스브레드, 자두 엑기스, 복숭아 엑기스 등), 당류(예를 들면,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이성화당, 캬라멜 등), 코코아류(파우더, 엑기스 등),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아세트산이소아밀, 아세트산 리나릴, 프로피온산이소아밀, 부틸산리나릴 등), 케톤류(예를 들면, 멘톤, 이오논, 다마세논, 에틸말톨 등), 알코올류(예를 들면, 게라니올, 리나롤, 아네톨, 오이게놀 등), 알데히드류(예를 들면, 바닐린, 벤즈알데히드, 아니스알데히드 등), 락톤류(예를 들면, γ-운데카락톤, γ-노나락톤 등), 동물성 향료(예를 들면, 머스크, 엠버그리스, 시벳, 카스트리움 등), 탄화수소류(예를 들면, 리모넨, 피넨 등)를 들 수 있다. 이들 향료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내용액(25)의 용매로서는, 향료에 적합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중쇄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MCT)(구체적으로는, 트리카프릴/카프린산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물, 에탄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내용액(25)은, 다른 용매, 색소, 유화제, 증점제 등의 다른 첨가제를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향료 캡슐(23)의 제조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적하법(滴下法)을 사용하면 심리스인 피막(22)를 가지는 향료 캡슐(23)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이중 노즐을 사용하여, 내측 노즐로부터 내용액(25)을, 외측 노즐로부터 액상의 피막 물질을 동시에 토출시킴으로써, 피막액이, 이음매를 가지는 일 없이 내용액을 감쌀 수 있다.
향료 캡슐(23)은, 예를 들면, 구체 또는 원통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구체는, 단면이 거의 원인 구체 및 단면이 타원인 타원체의 어느 쪽도 포함한다. 향료 캡슐(23)은, 바람직하게는, 단면이 거의 원인 구체의 형상을 가진다. 향료 캡슐(23)은, 단면이 거의 원인 구체의 경우, 예를 들면 직경 1.0~8.0mm로 할 수 있고, 타원체의 경우, 예를 들면 최대 직경 1.0~7.0mm, 최소 직경 1.0~7.0mm로 할 수 있고, 원통체의 경우, 원의 직경 1.0~7.0mm, 높이 1.0~7.0mm로 할 수 있다. 후술의 예 3으로부터, 향료 캡슐(23)의 사이즈가, 너무 작으면, 향료 캡슐(23) 파쇄시의 삽입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구체의 경우, 직경이 3.0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타원체의 경우, 최소 직경이 3.0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원통체의 경우, 원의 직경이 3.0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향료 캡슐(23)은, 그 자체, 약 10~35[N]의 강도에서 파괴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0.5~1.0g/cm3의 밀도 및 100~250㎛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를 사용하면, 비교적 단단한 캡슐, 예를 들면 약 25[N]보다 높고, 약 30[N] 이하의 강도에서 파괴될 수 있는 캡슐 등도, 작은 힘과 짧은 삽입 거리에서 파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단단한 캡슐은, 캡슐 함유 궐련(11)이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나 반송될 때에 깨지기 어렵다는 이점을 가진다.
후술의 참고 실시예로 실증되는 바와 같이, 약 30[N]의 강도에서 파괴될 수 있는 캡슐을, 직접 손가락으로 파쇄했을 경우나 성형지(50NFB) 위로부터 파쇄한 경우, 국소적인 지압을 느끼지만, 0.5~1.0g/cm3의 밀도 및 100~250㎛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 위에서 파쇄했을 경우, 국소적인 지압을 느끼는 일 없이, 향료 캡슐을 용이하게 파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 형태의 제1 태양 및 제2 태양에 있어서, 필터 플러그(17)는, 통상의 필터 부착 궐련과 동일하게, 아세테이트 토우의 여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필터 플러그(17)는, 여재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여재와 그 주위에 감긴 플러그 권취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필터(15)가 복수의 필터 플러그(17)를 포함하는 경우, 담배살측의 필터 플러그(17)와 흡구측의 필터 플러그(17)는, 동일 소재 및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다른 소재 및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아세테이트 토우는, 예를 들면, 단사 섬도 1.9~12.0(g/9000m), 총섬도 10000~44000(g/9000m), 섬유 갯수 830~23500(개), 통기 저항 100~600(mmH2O/120mm)으로 할 수 있다. 아세테이트 토우에, 트리아세틴 등의 가소제를 첨가해도 되고, 가소제는, 아세테이트 토우의 중량에 대하여 6~10 중량%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고, 아세테이트 토우에 활성탄을 첨가한 경우, 가소제는, 아세테이트 토우의 중량에 대하여 2~20 중량%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여재가 너무 단단하면, 향료 캡슐 함유 필터를 손가락으로 파쇄할 때의 필터 플러그(17)에 의한 반발력이 커지기 때문에, 단사 섬도는 3.0(g/9000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총섬도는 35000(g/9000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필터(15)는, 예를 들면, 약 14~26mm의 원주를 가지며, 길이는, 통상의 필터와 동일하게, 예를 들면 17~31mm일 수 있다. 제1 태양의 필터(15)에 있어서, 중공부(24)의 길이는, 향료 캡슐(23)의 사이즈 이상이면 되고, 예를 들면 3~7mm이며, 각 필터 플러그(17)의 길이는, 5~20mm일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제2 태양의 궐련(11)에서는, 2개의 필터 플러그(17)가 1개의 중공부(24)를 통하여 배치되어 있지만, n개(n는 2 이상의 정수)의 필터 플러그(17)가 (n-1)개의 중공부(24)를 통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n는 2~4이며, 바람직하게는 n는 2~3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n는 2이다.
본 참고 형태의 태양에 있어서, 담배 로드(14)는, 통상의 궐련(11)과 동일하게, 담배 충전재(12)와 그 주위를 감싸는 담배 권지(13)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약 14~26mm의 원주 및 53~67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참고 실시예]
예 1:향료 캡슐을 파쇄할 때의 삽입 거리에 대한 종이의 두께 및 밀도의 효과
본례에서는, 이하의 6 타입의 시험지를 사용했다(괄호안은 각 시험지의 입수처). 각 시험지의 특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각 시험지는, 2 cm 사방의 크기로 실험에 사용했다.
(1) 50NFB(니혼세이시 파피리아 가부시키가이샤)
(2) HS(신도모에가와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3) AT(신도모에가와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4) HS120(신도모에가와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5) S80(니혼세이시 파피리아 가부시키가이샤)
(6) 저항지(니혼세이시 파피리아 가부시키가이샤)
도 3에 있어서, "파괴 강도"는, 향료 캡슐이 파괴되었을 때에 향료 캡슐에 가해진 하중 [N]을 나타내고, "이동거리"는, 향료 캡슐이 파괴되었을 때의 삽입 거리 [mm]를 나타낸다. 또한, 50NFB의 평량은, 50.0g/m2이다.
향료 캡슐(23)은, 피막 물질(15 중량%)과 내용액(25)(85 중량%)을 혼합하고, 적하법에 의해 조제했다. 향료 캡슐(23)을 구성하는 피막 물질 및 내용액의 주요 성분은, 각각 하기와 같이 했다.
(i) 피막 물질
젤라틴, 젤란검, 전분, 글리세린, 및 솔비톨
(ii) 내용액
중쇠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트리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린)(83 중량%)
조제된 향료 캡슐(23)은, 직경 약 4.5mm의 구체였다. 또한, 향료 캡슐(23)의 경도는, 약 30N이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향료 캡슐(23)의 내용액(25)은 용매만으로부터 구성되고, 향료를 함유하지 않지만, 향료의 유무가, 캡슐의 파쇄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은 실증(實證)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측정계(26)를 사용하여, 향료 캡슐(23)을 파쇄할 때의 삽입 거리와 하중과의 관계를 조사했다. 즉, 탄성 고무 위에 놓여진 시험지 위에, 향료 캡슐을 놓고, 위쪽부터 레오미터의 감압축에 의해 압력을 가하여 향료 캡슐을 파쇄했다. 그 때의 삽입 거리(mm)(이동거리라고도 한다)와 하중(N)을 측정했다. 측정은, Sun RHEO METER CR3000EX(가부시키가이샤 선가가쿠)를 이용하여 실시했다.
측정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에 있어서, (1)는 50NFB, (2)는 HS, (3)는 AT, (4)는 HS120, (5)는 S80, (6)는 저항지를 나타낸다.
도 5의 결과로부터, HS, AT, HS120 및 S80는, 시험지 50NFB와 비교해서, 동일한 하중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삽입 거리(이동거리)가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저항지는, 50NFB와 비교해서, 동일한 하중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삽입 거리(이동거리)가 크다. 50NFB, 저항지, S80에 동일한 하중을 걸었을 때의 모습을 도 6에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은, 소정의 밀도와 두께를 가지는 종이, 예를 들면 S80 등을 사용하면, 보다 작은 삽입 거리에서 향료 캡슐(23)에 동일한 하중을 줄 수 있고, 또한 하중을 걸었을 때에 종이가 꺽이기 어렵기 때문에, 향료 캡슐(23)을 파쇄할 때의 압력을, 보다 넓은 접촉면으로 분산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한편, 도 6에서는, 밀도가 작은 종이(저항지)나 두께가 작은 종이(50NFB)를 사용하면, 소정의 하중을 주는데 필요한 삽입 거리가 크고, 또한 하중을 걸었을 때에 종이가 꺾이기 쉽기 때문에, 향료 캡슐(23)을 파쇄할 때의 압력이 일점에 집중되기 쉬운 것을 나타낸다.
이들 결과를 바탕으로, 종이의 두께와 향료 캡슐(23)에의 힘의 전달 용이성과의 관계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에 있어서, 가로축은, 종이의 두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파괴 강도[N]/이동거리[mm]를 나타낸다. 여기서 "파괴 강도"는, 향료 캡슐(23)이 파괴되었을 때에 향료 캡슐(23)에 가해진 하중 [N]을 의미하고, "이동거리"는, 향료 캡슐(23)이 파괴되었을 때의 삽입 거리 [mm]를 의미한다. 파괴 강도[N]/이동거리[mm]가 큰 것은, 작은 삽입 거리에서 향료 캡슐(23)에 큰 하중을 줄 수 있는 것, 즉 작은 삽입 거리에서 향료 캡슐(23)에 힘을 전하기 쉬운 것을 의미한다. 도 7에 있어서, (1)는 50NFB, (2)는 HS, (3)는 AT, (4)는 HS120, (5)는 S80, (6)은 저항지를 나타낸다. 또한, 도 7의 그래프는, 각 시험지에 대하여, 20개의 샘플을 준비하여 삽입 거리(mm)와 하중(N)을 측정하고, 얻어진 데이터의 평균치를 플롯한 것이며, 상술의 도 5의 그래프는, 20개의 샘플로 얻어진 데이터 가운데, 전형적인 일례를 선택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7로부터, 0.5~1.0g/cm3의 밀도를 가지는 종이, 즉 50NFB, HS, AT, HS120, S80의 경우, 종이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파괴 강도[N]/이동거리[mm]의 값은 증대하고, 작은 삽입 거리로 향료 캡슐에 힘을 전하기 쉬워진다. 단, 종이의 두께가 약 250㎛가 되면, 파괴 강도[N]/이동거리[mm]는 한계점에 도달되어 있다. 한편, 430㎛의 두께를 가지지만 0.27g/cm3의 밀도를 가지는 저항지는, 파괴 강도[N]/이동거리[mm]의 값은 작고, 향료 캡슐에 힘을 전하기 어렵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0.5~1.0g/cm3의 밀도를 가지고, 또한 100㎛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를 사용하면, 보다 작은 삽입 거리로, 향료 캡슐을 파쇄하는데 필요한 하중이 주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0.5~1.0g/cm3의 밀도를 가지고, 또한 100㎛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를 사용한 경우, 손가락에 걸리는 압력이 작은 데에, 작은 힘으로 향료 캡슐(23)을 파쇄하기 쉽다는 감촉을 얻었다. 한편, 0.5g/cm3 미만의 밀도를 가지는 종이나, 100㎛ 미만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를 사용하면, 향료 캡슐을 파쇄하는데 필요한 하중을 주기 위해서는 큰 삽입 거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0.5g/cm3 미만의 밀도를 가지는 종이나, 100㎛ 미만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를 사용한 경우, 손가락에 걸리는 압력이 큰 데다가, 종이가 변형하거나 꺾이기 쉽다거나 하여, 향료 캡슐(23)을 파쇄하기 어렵다는 감촉을 얻었다.
또한, 도 5에서 관찰되는 하중의 최대 도달점의 차이는, 향료 캡슐(23)의 경도의 편차에 의한 것이다.
예 2. 향료 캡슐을 파쇄할 때의 압력 분포에 대한 종이의 두께의 효과
예 1과 동일한 수법으로, 탄성 고무 위에 놓여진 각 시험지 위에, 향료 캡슐(23)을 놓고, 위쪽부터 레오미터의 감압축에 의해 압력을 가해 향료 캡슐(23)을 파쇄했다. 캡슐이 붕괴한 시점에 있어서, 시험지에 가해진 압력 분포를 측정했다. 압력 분포의 측정은, 도 4에 나타내는 측정계 및 이너스토머(가부시키가이샤 이나바고무)를 사용하여 실시했다. 시험지로서, 예 1에서 사용한 50NFB 및 S80를 사용했다.
측정 결과를 도 8에 나타낸다.
도 8은, 압력 분포의 중심부일수록 압력이 높고,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동심원(同心圓)상으로 순차로 압력이 저하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8에 있어서, 시험지 50NFB에서 관찰되는 중심부(검은 칠 부분)가 가장 압력이 높고, 그 다음으로 굵은 사선의 해칭을 형성한 부분의 압력이 높고, 그 다음으로 가는 사선의 해칭을 형성한 부분의 압력이 높다.
도 8의 결과는, S80가, 50NFB와 비교해서, 가압 면적이 전체적으로 크고, 중심부의 압력이 낮은 것을 나타낸다. 이것은, 소정의 밀도와 두께를 가지는 시험지 S80의 쪽이, 향료 캡슐을 파쇄할 때에, 손가락에 걸리는 압력이 국소에 집중하기 어렵고, 보다 넓은 접촉면으로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손가락에 걸리는 부담이 작은 것을 나타낸다. 이 상태, 즉 시험지에 동일한 하중을 걸었을 때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 9에 나타낸다. 도 9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지 않은 시험지 50NFB가, 손가락에 걸리는 압력이 국소에 집중하기 쉽고, 중심부에서 높고, 시험지 S80의 쪽이 손가락에 걸리는 압력이 넓은 접촉면에 분산하기 쉽고, 중심부에서 낮은 것을 나타낸다.
[제1 실시 형태]
발명자들은, 참고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 플러그(17)의 주위에 다양한 두께의 종이를 감았을 경우, 종이의 두께에 의해서 필터(15)의 진원(眞圓)성에 차이가 나는 것을 예상했다. 이 때문에, 발명자들은, 궐련(11)의 진원성에 대해서 검토했다.
도 10에는, 50NFB와 S2000를 사용했을 경우의, 궐련(11)의 진원성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진원성(mm)은, 궐련(11)의 필터(15) 부근의 장경(長徑)과 단경(短徑)을 측정하고, "진원성=장경-단경… (식 1)"에 의해 계산한다. 완전한 진원에서는, 장경과 단경은 동일하고, 진원성의 값은 제로가 된다. 타원이 될수록, 장경과 단경의 차는 커지고, 진원성의 값도 커진다. 장경 및 단경의 측정에는, 영국 Cerulean사제 QTM 측정기를 이용했다.
도 10에서는, N는 샘플수(샘플로서 조사한 궐련의 수)를 나타내고, Ave는 진원성의 평균치를 나타낸다. SD는 표준 편차를 나타내고, Min는 최소치(mm)를 나타내고, Max는 최대치(mm)를 나타낸다. 홑겹 말이는, 필터 플러그(17)의 주위에 50NFB 또는 S2000의 층을 1층 설치한 궐련(11)을 나타낸다. 이중 말이는, 필터 플러그(17)의 주위에 50NFB의 층을 2층 설치한 궐련(11)을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난 50NFB의 홑겹 말이와, 50NFB의 이중 말이와, S2000의 홑겹 말이의 사이에서 진원성에 관하여 평균치의 차의 검정(2군의 모평균의 차의 검정)을 실시했다. 그 결과, 50NFB의 홑겹 말이와, 50NFB의 이중 말이의 사이에서는, 진원성의 평균치에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한편, 50NFB의 홑겹 말이 및 50NFB의 이중 말이와, S2000의 홑겹 말이의 사이에서는, 유의(有意) 수준 1%에서 진원성의 평균치에 유의차가 있었다. 이 검정 결과로부터, 50NFB의 홑겹 말이 및 50NFB의 이중 말이는, S2000의 홑겹 말이보다도 진원성이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1에서 도 17을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궐련(11)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 플러그(17)의 주위에 감긴 시트형상 부재(필터 포장지(21))를 2중 말이(2층)로 하여, 참고 형태보다도 궐련(11)의 진원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주로 참고 형태와 상이한 부분에 관하여 설명하고, 참고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관하여서는 설명 혹은 도시를 생략한다.
궐련(11)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향료 캡슐(23)은, 도 12에 나타내듯이 필터(15)를 구성하는 여재(필터 플러그(17))에 직접 매입되어 있어도 되고(제3 태양), 도 13에 나타내듯이 복수의 필터 플러그(17)간에 형성된 중공부(24)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제4 태양).
도 12에 나타내듯이, 제3 태양에 관한 궐련(11)은, 담배 충전재(12)(조각잎, 연초) 및 그 담배 충전재(12)의 주위를 감은 권지(13)를 포함하는 담배 로드(14)와, 담배 로드(14)에 인접해서 설치된 필터(15)와, 담배 로드(14) 및 필터(15)에 걸쳐 이들을 연결하듯이 담배 로드(14) 및 필터(15) 위에 감긴 팁 페이퍼(16)를 포함하고 있다.
필터(15)는, 2개의 필터 플러그(17)와, 각 필터 플러그(17)의 주위에 감긴 2개의 제1 필터 포장지(21A)와, 2개의 필터 플러그(17)에 걸치듯이 제1 필터 포장지(21A)의 주위에 감긴 1개의 제2 필터 포장지(21B)와, 필터(15) 내에 매입되어 위치하고, 피막(22) 내에 향료를 포함하는 내용액(25)을 유지하는 향료 캡슐(23)을 포함하고 있다.
제3 태양에서는, 제1 필터 포장지(21A)는, 0.5~1.0g/cm3의 밀도 및 50~125㎛의 두께를 가진다. 제1 필터 포장지(21A)는, 예를 들면, 상기한 50NFB로 구성되어 있다. 제2 필터 포장지(21B)는, 0.5~1.0g/cm3의 밀도 및 50~125㎛의 두께를 가진다. 제1 필터 포장지(21A) 및 제2 필터 포장지(21B)는, 시트형상 부재의 일례이다.
도 13에 나타내듯이, 제4 태양에 관한 궐련(11)은, 담배 충전재(12) 및 담배 충전재(12)의 주위에 감긴 권지(13)를 포함하는 담배 로드(14)와, 필터(15)와, 담배 로드(14) 및 필터(15)에 걸쳐 이들을 접속하듯이 담배 로드(14) 및 필터(15) 위에 감긴 팁 페이퍼(16)를 가진다.
필터(15)는, 서로 이간하여 중공부(24)를 통하여 배치된 2개의 필터 플러그(17)와, 2개의 필터 플러그(17)에 걸쳐 필터 플러그(17) 간에 중공부(24)를 형성하듯이 2개의 필터 플러그(17)의 주위에 감긴 1개의 제1 필터 포장지(21A)와, 제1 필터 포장지(21A)의 위쪽에 감긴 1개의 제2 필터 포장지(21B)와, 중공부(24) 내에 위치하며 피막(22) 내에 향료를 포함하는 내용액(25)을 유지하는 향료 캡슐(23)을 포함하고 있다.
제4의 태양에서는, 제1 필터 포장지(21A)는, 0.5~1.0g/cm3의 밀도 및 50~125㎛의 두께를 가진다. 제1 필터 포장지(21A)는, 예를 들면, 상기한 50NFB로 구성되어 있다. 제2 필터 포장지(21B)는, 0.5~1.0g/cm3의 밀도 및 50~125㎛의 두께를 가진다. 제2 필터 포장지(21B)는, 예를 들면, 상기한 50NFB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필터 포장지(21A) 및 제2 필터 포장지(21B)는, 시트형상 부재의 일례이다.
제3 태양과 제4 태양의 궐련(11)은, 대체로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진다. 도 14에 도 12 및 도 13 중의 F14-F14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는, 특히 명시하지 않는 한, 상술한 2개의 태양에 관한 설명이다.
2개의 필터 플러그(17)는, 아세테이트 토우의 여재에 의해 구성되지만, 서로 동일한 성질을 가지게 하여도 되고, 혹은 서로 상이한 성질을 가지게 하여도 된다. 2개의 필터 플러그(17)의 성질을 상이하게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한편의 필터 플러그(17)를 통상의 아세테이트 토우의 여재로 구성하고, 다른 한편의 필터 플러그(17)를 활성탄 포함 아세테이트 토우의 여재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내듯이, 복수의 층(2층)을 형성하고 있는 제1 필터 포장지(21A) 및 제2 필터 포장지(21B)의 합계의 두께 A는, 100~250㎛이다.
도 14에 나타내듯이, 필터 플러그(17)와 제1 필터 포장지(21A)는, 필터 플러그(17)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1개소에서, 예를 들면 풀(제1의 풀(3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동일하게, 제1 필터 포장지(21A)와 제2 필터 포장지(21B)는, 필터 플러그(17)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1개소에서, 예를 들면 풀(제2의 풀(32))로 고정되어 있다. 제2 필터 포장지(21B)와 팁 페이퍼(16)는, 필터 플러그(17)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1개소에서, 예를 들면 풀(제3의 풀(33))로 고정되어 있다. 제1의 풀(31)에서 제3의 풀(33)의 각각은, 예를 들면, 궐련(1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필터(15)의 전장(全長)에 걸치도록, 직선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제1 실시 형태(제3 태양)의 궐련(11)에 있어서, 깰 때의 느낌에 대해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는, 남성 6명 및 여성 6명, 합계 12명의 평가자에게 궐련(11)의 내부에 있는 향료 캡슐(23)을 깨게 하여, 깨기 쉬움(깨기 어려움)을 점수로 나타내게 하는 방법으로 실시했다. 이 평가에서는, 평가자는, 제1 실시 형태의 제3 태양에 상당하는 실시예의 샘플 및 비교예의 샘플에 관하여, 향료 캡슐(23)을 깨는 작업을 실시하고, 각각 점수로 평가를 실시했다. 도 15에 나타내듯이, "상당히 깨기 어렵다"부터 "상당히 깨기 쉽다"까지의 각 평가 결과에는, 1점에서 7점의 점수를 할당했다. 비교예의 궐련에서는, 제2 필터 포장지(21B)가 예를 들면 50NFB이고, 제1 필터 포장지(21A)는 예를 들면 LPWSOLL이다. LPWSOLL은, 필터 포장지로서 일반적인 것이며, 50NFB보다 두께가 얇다.
도 16에 평가 결과(질문 결과)를 나타낸다. 비교예의 궐련의 깰 때의 느낌의 점수의 평균점은, 3.08이며, 표준 편차는 1.83이었다. 실시예의 궐련(11)의 깰 때의 느낌의 점수의 평균점은, 4.25이며, 표준 편차는 1.42였다.
이어서, 비교예 및 실시예의 평균점에 관하여, 2군의 모평균의 차의 검정(t검정)을 실시했다. 이 경우, 비교예 및 실시예에 관하여 동일한 평가자가 깰 때의 느낌을 평가하고 있으므로, "대응이 있음" 경우의 검정이 된다. 이 경우, 귀무가설(歸無假說)은, "비교예와 실시예의 향료 캡슐의 깰 때의 느낌에 차가 없다."이다. 또한, 대립 가설은, "비교예의 평균점 m1<실시예의 평균점 m2인 경우, 실시예는 비교예보다도 향료 캡슐의 깰 때의 느낌이 좋다."이다. P값은, 표준 정규 분포에 있어서의 통계량 t에 대한 확률을 말한다. 또한 이 경우의 t검정은, 대립 가설 "m1<m2"이기 때문에, 편측(片側) 검정이 된다.
t검정의 검정 결과에서는, 편측 P값이 5%의 유의 수준보다 작은 0.04184가 되었다. 이 때문에, 실시예와 비교예의 깰 때의 느낌에는 유의차가 있고, "실시예는 비교예보다도 향료 캡슐의 깰 때의 느낌이 좋다"고 하는 대립 가설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제4 태양의 궐련(11)에서는, 중공부(24) 내에 향료 캡슐(23)이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제4 태양에서는, 향료 캡슐(23)에 하중을 가했을 때에 필터 플러그(17)의 반발력이 손에 작용하는 일이 없고, 필터 플러그(17) 내에 매입된 제3 태양의 궐련(11)보다도 향료 캡슐(23)의 깰 때의 느낌이 저하되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제4 태양의 궐련(11)에서도 동일하게, 비교예보다도 향료 캡슐(23)의 깰 때의 느낌이 양호하게 되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궐련(11)은, 담배 충전재(12) 및 그 담배 충전재(12)의 주위에 감긴 권지(13)를 포함하는 담배 로드(14)와, 여재를 포함하는 필터 플러그(17)와, 복수의 층을 형성하도록 필터 플러그(17)의 주위에 감긴 복수의 시트형상 부재와, 필터(15) 내에 위치하며 내용액(25)을 피막(22)으로 피복하여 유지하는 캡슐을 포함하는 필터(15)와, 담배 로드(14)와 필터(15)를 접속하도록 그 담배 로드(14) 및 그 필터(15) 위에 감긴 팁 페이퍼(16)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형상 부재는, 0.5~1.0g/cm3의 밀도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층을 형성한 상기 복수의 시트형상 부재의 합계의 두께 A는, 100~250㎛이다.
일반적으로, 참고 형태(참고 실시예)에 나타내는 종이는, 강성이 높기(유연성이 낮기)때문에 꺾이기 쉽고, 필터(15)(궐련(11))의 진원으로 감아올리는 것이 곤란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궐련(11)의 진원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흡연자가 캡슐을 깰 때에 그 느낌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시트형상 부재의 1매당의 두께를 저감시킬 수 있어, 1매의 두꺼운 필터 포장지(21)를 사용하는 상기 참고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기존의 담배 권상기(券上機) 혹은 필터 제조기에 대한 적합성이 높은 궐련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조 코스트면에서, 본 실시 형태의 궐련(11)이 종래형의 궐련으로부터 극단적으로 비교적 고가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도 18을 참조하여, 궐련(11)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 플러그(17)의 주위에 감긴 시트형상 부재가 2중 말이(2층)인 점은 동일하지만, 시트형상 부재의 구성이 상이하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주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부분에 관하여 설명하고,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관하여서는 설명 혹은 도시를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의 궐련(11)은, 궐련(11)의 길이 방향에 관해서, 제1 실시 형태의 제3 태양(도 12) 및 제4 태양(도 13)과 대체로 동일한 배치를 가진다.
도 18에, 도 12 및 도 13 중의 F14-F14선에 대응하는, 제2 실시 형태의 궐련(1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 도 13, 도 18에 나타내듯이, 궐련(11)은, 담배 충전재(12)(조각잎, 연초) 및 그 담배 충전재(12)의 주위를 감은 권지(13)를 포함하는 담배 로드(14)와, 담배 로드(14)에 인접해서 설치된 필터(15)와, 담배 로드(14) 및 필터(15)에 걸쳐 이들을 연결하듯이 담배 로드(14) 및 필터(15) 위에 감긴 팁 페이퍼(16)를 포함하고 있다.
필터(15)는, 필터 플러그(17)와, 필터 플러그(17)의 주위에 감긴 필터 포장지(21)와, 필터 포장지(21)와 필터 플러그(17)의 사이에 개재된 수지층(35)과, 제3 태양(도 12) 또는 제4 태양(도 13)처럼 배치된 향료 캡슐(23)을 포함하고 있다.
필터 포장지(21)는, 0.5~1.0g/cm3의 밀도 및 50~125㎛의 두께를 가진다. 필터 포장지(21)는, 시트형상 부재의 일례이며, 예를 들면, 상기한 50NFB로 구성된다.
수지층(35)은, 필터 플러그(17)의 주위를 덮듯이 원통형을 이루고 있고, 길이 방향에 있어서 필터 플러그(17)의 전장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수지층(35)은, 0.5~1.0g/cm3의 밀도 및 50~125㎛의 두께를 가진다. 수지층(35)은, 시트형상 부재의 일례이며, 예를 들면, 핫멜트계의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지층(35)은, 핫멜트계의 접착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전분, 폴리비닐 알코올,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등을 원료로 한 풀 등의 다른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복수의 층(2층)을 형성하고 있는 필터 포장지(21) 및 수지층(35)의 합계의 두께 A는, 100~250㎛의 두께이다.
제2 필터 포장지(21A)와 팁 페이퍼(16)는, 필터 플러그(17)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1개소에서, 예를 들면 풀(제1의 풀(31))로 고정되어 있다. 제1의 풀(31)은, 예를 들면, 궐련(1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필터(15)의 전장에 걸치듯이, 직선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2개의 시트형상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는, 필터 포장지(21)이며, 2개의 시트형상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는, 수지층(35)으로 형성된다. 수지층(35)은, 접착제로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시트형상 부재가 수지층(35)(접착제)으로 구성되는 경우이어도, 궐련(11)의 진원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흡연자가 캡슐을 깰 때에 그 느낌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층(35)을 시트형상 부재로서 사용함으로써, 캡슐의 내용액(25)이 시트형상 부재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배어 나오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이어서, 도 19를 참조하여, 궐련(11)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 플러그(17)의 주위에 감긴 시트형상 부재가 3중 말이(3층)인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는 구성이 상이하다. 이 때문에,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주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부분에 관하여 설명하고,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관하여서는 설명 혹은 도시를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의 궐련(11)은, 궐련(11)의 길이 방향에 관해서, 시트형상 부재(필터 포장지)의 매수가 상이하지만, 제1 실시 형태의 제3 태양(도 12) 및 제4 태양(도 13)과 대체로 동일한 배치를 가진다.
도 19에, 도 12 및 도 13 중의 F14-F14선에 대응하는, 제3 실시 형태의 궐련(1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 도 13, 도 19에 나타내듯이, 궐련(11)은, 담배 충전재(12)(조각잎, 연초) 및 그 담배 충전재(12)의 주위를 감은 권지(13)를 포함하는 담배 로드(14)와, 담배 로드(14)에 인접해서 설치된 필터(15)와, 담배 로드(14) 및 필터(15)에 걸쳐 이들을 연결하듯이 담배 로드(14) 및 필터(15) 위에 감긴 팁 페이퍼(16)를 포함하고 있다.
필터(15)는, 필터 플러그(17)와, 필터 플러그(17)의 주위에 감긴 제1 필터 포장지(21A)와, 제1 필터 포장지(21A)의 주위에 감긴 제2 필터 포장지(21B)와, 제2 필터 포장지(21B)의 주위에 감긴 제3 필터 포장지(21C)와, 제3 태양(도 12) 또는 제4 태양(도 13)처럼 배치된 향료 캡슐(23)을 포함하고 있다.
제1 필터 포장지(21A)에서 제3 필터 포장지(21C)의 각각은, 0.5~1.0g/cm3의 밀도 및 50~125㎛의 두께를 가진다. 제1 필터 포장지(21A)에서 제3 필터 포장지(21C)는, 복수의 시트형상 부재의 일례이다. 제1 필터 포장지(21A)에서 제3 필터 포장지(21C)의 각각은, 예를 들면, 상기한 50NFB로 구성된다. 복수의 층(3층)을 형성하고 있는 필터 포장지(21A, 21B, 21C)의 합계의 두께 A는, 100~250㎛의 두께이다.
도 19에 나타내듯이, 필터 플러그(17)와 제1 필터 포장지(21A)는, 필터 플러그(17)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1개소에서, 예를 들면 풀(제1의 풀(31))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동일하게, 제1 필터 포장지(21A)와 제2 필터 포장지(21B)는, 필터 플러그(17)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1개소에서, 예를 들면 풀(제2의 풀(32))로 고정되어 있다. 제2 필터 포장지(21B)와 제3 필터 포장지(21C)는, 필터 플러그(17)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1개소에서, 예를 들면 풀(제3의 풀(33))로 고정되어 있다. 제3 필터 포장지(21C)와 팁 페이퍼(16)는, 필터 플러그(17)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1개소에서, 예를 들면 풀(제4의 풀(34))로 고정되어 있다. 제1의 풀(31)에서 제4의 풀(34)의 각각은, 궐련(1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필터(15)의 전장에 걸치듯이, 직선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시트형상 부재가 3층으로 구성되는 경우이어도, 궐련(11)의 진원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흡연자가 캡슐을 깰 때에 그 느낌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이어서, 도 20을 참조하여, 궐련(11)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 플러그(17)의 주위에 감긴 시트형상 부재(필터 포장지, 수지층)의 구성이 상이한 점에서, 제3 실시 형태와는 구성이 상이하다. 이 때문에,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주로 제3 실시 형태와 상이한 부분에 관하여 설명하고, 제3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관하여서는 설명 혹은 도시를 생략한다.
제4 실시 형태의 궐련(11)은, 궐련(11)의 길이 방향에 관해서, 시트형상 부재(필터 포장지, 수지층)의 매수가 상이하지만, 제1 실시 형태의 제3 태양(도 12) 및 제4 태양(도 13)과 대체로 동일한 배치를 가진다.
도 20에, 도 12 및 도 13 중의 F14-F14선에 대응하는, 제4 실시 형태의 궐련(1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0에 나타내듯이, 궐련(11)은, 담배 충전재(12)(조각잎, 연초) 및 그 담배 충전재(12)의 주위를 감은 권지를 포함하는 담배 로드(14)와, 담배 로드(14)에 인접해서 설치된 필터(15)와, 담배 로드(14) 및 필터(15)에 걸쳐 이들을 연결하도록 담배 로드(14) 및 필터(15) 위에 감긴 팁 페이퍼(16)를 포함하고 있다.
필터(15)는, 필터 플러그(17)와 필터 플러그(17)의 주위에 감긴 제1 필터 포장지(21A)와, 제1 필터 포장지(21A)의 주위에 감긴 제2 필터 포장지(21B)와, 필터 플러그(17)와 제1 필터 포장지(21A)의 사이에 개재된 수지층(35)과, 제3 태양(도 12) 또는 제4 태양(도 13)처럼 배치된 향료 캡슐(23)을 포함하고 있다.
제1 필터 포장지(21A) 및 제2 필터 포장지(21B)의 각각은, 0.5~1.0g/cm3의 밀도 및 50~125㎛의 두께를 가진다. 제1 필터 포장지(21A) 및 제2 필터 포장지(21B)는, 복수의 시트형상 부재의 일례이다. 제1 필터 포장지(21A) 및 제2 필터 포장지(21B)의 각각은, 예를 들면, 상기한 50NFB로 구성된다.
수지층(35)은, 필터 플러그(17)의 주위를 덮듯이 원통형을 이루고 있고, 길이 방향에 있어서 필터 플러그(17)의 전장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수지층(35)은, 0.5~1.0g/cm3의 밀도를 가진다. 수지층(35)은, 시트형상 부재의 일례이며, 예를 들면, 핫멜트계의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지층(35)은, 핫멜트계의 접착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전분, 폴리비닐알코올,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을 원료로 한 풀 등의 다른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복수의 층(3층)을 형성하고 있는 제1 필터 포장지(21A), 제2 필터 포장지(21B), 및 수지층(35)의 합계의 두께 A는, 100~250㎛의 두께이다.
도 20에 나타내듯이, 제1 필터 포장지(21A)와 제2 필터 포장지(21B)는, 필터 플러그(17)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1개소에서, 예를 들면 풀(제1의 풀(31))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제2 필터 포장지(21B)와 팁 페이퍼(16)는, 필터 플러그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1개소에서, 예를 들면 풀(제2의 풀(32))로 고정되어 있다. 제1의 풀(31) 및 제2의 풀(32)의 각각은, 궐련(1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필터(15)의 전장에 걸치듯이 직선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시트형상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는, 필터 포장지(21)이며, 상기 복수의 시트형상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는, 수지층(35)으로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시트형상 부재 중 1개가 수지층(35)으로 구성되는 경우이어도, 궐련(11)의 진원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흡연자가 캡슐을 깰 때에 그 느낌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층(35)을 시트형상 부재로서 사용함으로써, 캡슐의 내용액(25)이 시트형상 부재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배어나오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이어서, 도 21을 참조하여, 궐련(11)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5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 플러그(17)의 주위에 감긴 시트형상 부재의 구성이 상이한 점에서, 제3 실시 형태와는 구성이 상이하다. 이 때문에,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주로 제3 실시 형태와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3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하여서는 설명 혹은 도시를 생략한다.
제5 실시 형태의 궐련(11)은, 궐련(11)의 길이 방향에 관해서, 시트형상 부재(필터 포장지, 수지층)의 매수가 상이하지만, 제1 실시 형태의 제3 태양(도 12) 및 제4 태양(도 13)과 대체로 동일한 배치를 가진다.
도 21에, 도 12 및 도 13 중의 F14-F14선에 대응하는, 제5 실시 형태의 궐련(1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1에 나타내듯이, 궐련(11)은, 담배 충전재(12)(조각잎, 연초) 및 그 담배 충전재(12)의 주위를 감은 권지를 포함하는 담배 로드(14)와, 담배 로드(14)에 인접해서 설치된 필터(15)와, 담배 로드(14) 및 필터(15)에 걸쳐 이들을 연결하듯이 담배 로드(14) 및 필터(15) 위에 감긴 팁 페이퍼(16)를 포함하고 있다.
필터(15)는, 필터 플러그(17)와, 필터 플러그(17)의 주위에 감긴 필터 포장지(21)와, 필터 포장지(21)와 필터 플러그(17)의 사이에 개재된 제1 수지층(35A)와, 필터 포장지(21)와 팁 페이퍼(16)의 사이에 개재된 제2 수지층(35B)와, 제3 태양(도 12) 또는 제4 태양(도 13)처럼 배치된 향료 캡슐(23)을 포함하고 있다.
필터 포장지(21)는, 시트형상 부재의 일례이며, 예를 들면, 상기한 50NFB로 구성된다. 필터 포장지(21)는, 0.5~1.0g/cm3의 밀도 및 50~125㎛의 두께를 가진다.
제1 수지층(35A) 및 제2 수지층(35B)의 각각은, 원통형을 이루고 있고, 길이 방향에 있어서 필터 플러그(17)의 전장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제1 수지층(35A) 및 제2 수지층(35B)의 각각은, 0.5~1.0g/cm3의 밀도를 가진다. 제1 수지층(35A) 및 제2 수지층(35B)의 각각은, 시트형상 부재의 일례이며, 예를 들면, 핫멜트계의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수지층(35A) 및 제2 수지층(35B)의 각각은, 접착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전분, 폴리비닐알코올,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을 원료로 한 풀 등의 다른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복수의 층(3층)을 형성하고 있는 필터 포장지(21), 제1 수지층(35A), 및 제2 수지층(35B)의 합계의 두께 A는, 100~250㎛의 두께이다.
제5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시트형상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는, 필터 포장지(21)이며, 상기 복수의 시트형상 부재중의 적어도 하나는, 수지층(35)으로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시트형상 부재 중 1개가 수지층(35)으로 구성되는 경우이어도, 궐련(11)의 진원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흡연자가 캡슐을 깰 때에 그 느낌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층(35)을 시트형상 부재로서 사용함으로써, 캡슐의 내용액(25)이 시트형상 부재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배어 나오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궐련(11)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요소를 변형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형상 부재의 일례로서 필터 포장지(21)를 사용하고 있으나, 시트형상 부재로서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시트형상 부재의 매수(층수)는, 2층, 3층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4층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 나타나는 전 구성요소로부터 몇 개의 구성요소를 삭제해도 되고, 상이한 실시 형태에 걸쳐 구성요소를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해도 된다.
11…궐련, 12…담배 충전재, 13…권지, 14…담배 로드, 15…필터, 16…팁 페이퍼, 17…필터 플러그, 21…필터 포장지, 23…향료 캡슐, 24…중공부, 35…수지층

Claims (7)

  1. 담배 충전재 및 그 담배 충전재의 주위에 감긴 권지를 포함하는 담배 로드와,
    여재를 포함하는 필터 플러그와,
    상기 필터 플러그의 주위에 감긴 필터 포장지와,
    상기 필터 포장지와 상기 필터 플러그 사이에 개재된 제1 수지층과,
    상기 필터 포장지의 외측에 설치된 원통형상(筒狀)의 제2 수지층
    을 가지는 시트 형상 부재와,
    필터 내에 위치하며 내용액을 피막으로 피복하여 유지하는 캡슐
    을 포함하는 필터와,
    상기 담배 로드와 상기 필터를 접속하도록 그 담배 로드 및 그 필터 위에 감긴 팁 페이퍼,
    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포장지,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을 포함하는 상기 시트 형상 부재는, 0.5~1.0g/cm3의 밀도를 가지며,
    상기 필터 포장지,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의 합계의 두께는, 100~250㎛이고,
    상기 여재는, 아세테이트 토우이고,
    단사 섬도가 3.0(g/9000m) 이상이고,
    총섬도가 35000(g/9000m) 이하이며,
    상기 아세테이트 토우의 중량에 대하여 6~10중량%의 양으로 상기 아세테이트 토우에 가소제가 첨가된 궐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은, 접착제로 구성된 궐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포장지는, 50~125㎛의 두께를 가지는 궐련.
KR1020187033696A 2013-11-21 2013-11-21 궐련 KR1021047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81450 WO2015075804A1 (ja) 2013-11-21 2013-11-21 シガレッ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772A Division KR20160081970A (ko) 2013-11-21 2013-11-21 궐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544A KR20180127544A (ko) 2018-11-28
KR102104738B1 true KR102104738B1 (ko) 2020-04-24

Family

ID=531791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772A KR20160081970A (ko) 2013-11-21 2013-11-21 궐련
KR1020187033696A KR102104738B1 (ko) 2013-11-21 2013-11-21 궐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772A KR20160081970A (ko) 2013-11-21 2013-11-21 궐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072404B1 (ko)
JP (1) JP6078657B2 (ko)
KR (2) KR20160081970A (ko)
MY (1) MY181551A (ko)
RU (1) RU2642398C2 (ko)
WO (1) WO2015075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372A (ko) * 2015-08-28 2018-05-02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흡연 물품
US11224251B2 (en) 2016-12-29 2022-01-18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comprising a liquid delivery element
GB201717567D0 (en) 2017-10-25 2017-12-0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 filter for a smoking article or an aerosol generating product
CN111491525B (zh) * 2017-12-27 2022-04-26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吸烟物品
GB201803328D0 (en) * 2018-03-01 2018-04-18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 gel composition and tobacco industry products including the same
DE102018104823A1 (de) * 2018-03-02 2019-09-05 Delfortgroup Ag Rauchartikel mit steifem umühllungsmaterial
EP4256982A1 (en) 2020-12-03 2023-10-11 Japan Tobacco Inc. Filter segment and tobacco product
WO2022118417A1 (ja) 2020-12-03 2022-06-0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フィルター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WO2022118419A1 (ja) 2020-12-03 2022-06-0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フィルターセグメント及びたばこ製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9717A (ja) 2005-05-03 2008-11-20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圧搾可能香味カプセルを備えたシガレット及びフィルタサブアセンブリ及び製造方法
JP2008546400A (ja) 2005-06-21 2008-12-25 ヴェ. マヌ フィル 崩壊可能なカプセルを組み込んだ喫煙器具、崩壊可能なカプセル、及び前記カプセルの製造方法
WO2013042609A1 (ja) * 2011-09-20 2013-03-2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シガレット
US20130081644A1 (en) * 2010-05-31 2013-04-04 Japan Tobacco Inc. Cigarette filter and cigarett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4443B2 (ja) 1988-08-12 1997-07-23 松下電工株式会社 モニタ付きインターホン装置
US6631722B2 (en) 1993-09-30 2003-10-14 British-American Tobacco Company Limited Tobacco smoke filter elements
JP3181248B2 (ja) * 1997-10-06 2001-07-0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フィルター付きシガレットおよびシガレット用フィルター
CA2416144C (en) 2000-07-12 2008-07-08 Philip Morris Products S.A. Recess filter and smokeable article containing a recess filter
US6929013B2 (en) 2001-08-14 2005-08-16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Wrapping materials for smoking articles
US7836895B2 (en) 2003-06-23 2010-11-23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Filtered cigarette incorporating a breakable capsule
KR100588056B1 (ko) * 2004-10-07 2006-06-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담배 필터
CN101896082B (zh) 2007-12-14 2013-10-02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香烟过滤嘴及带有过滤嘴的香烟
US8470215B2 (en) * 2008-01-25 2013-06-25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Process for manufacturing breakable capsules useful in tobacco products
KR101409665B1 (ko) 2010-03-25 2014-06-18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시가렛 필터 및 이것을 이용한 캡슐 필터 시가렛
US8671951B2 (en) * 2010-03-26 2014-03-18 Philip Morris Usa Inc. Methods of manufacturing cigarettes and filter subassemblies with squeezable flavor capsule
CN201722562U (zh) 2010-06-23 2011-01-26 大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抗皱透气滤棒成型纸
GB201104475D0 (en) 2011-03-16 2011-04-27 Filtrona Filter Prod Dev Co Tobacco smoke filter
JP6012291B2 (ja) * 2011-06-30 2016-10-25 森下仁丹株式会社 シガレット用フィルター及びそれを用いたシガレット
KR101395953B1 (ko) 2011-09-30 2014-06-1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필터권지 및 그에 의해 감싸지는 담배 필터, 그리고 그 필터권지의 제조 방법
EP3794966A1 (en) 2013-07-16 2021-03-24 Philip Morris Products S.a.s. Radially firm smoking article fil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9717A (ja) 2005-05-03 2008-11-20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圧搾可能香味カプセルを備えたシガレット及びフィルタサブアセンブリ及び製造方法
JP2008546400A (ja) 2005-06-21 2008-12-25 ヴェ. マヌ フィル 崩壊可能なカプセルを組み込んだ喫煙器具、崩壊可能なカプセル、及び前記カプセルの製造方法
US20130081644A1 (en) * 2010-05-31 2013-04-04 Japan Tobacco Inc. Cigarette filter and cigarette
WO2013042609A1 (ja) * 2011-09-20 2013-03-2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シガレ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72404A4 (en) 2017-06-28
JP6078657B2 (ja) 2017-02-08
RU2642398C2 (ru) 2018-01-24
JPWO2015075804A1 (ja) 2017-03-16
KR20180127544A (ko) 2018-11-28
RU2016124286A (ru) 2017-12-26
KR20160081970A (ko) 2016-07-08
EP3072404B1 (en) 2018-08-15
WO2015075804A1 (ja) 2015-05-28
EP3072404A1 (en) 2016-09-28
MY181551A (en) 2020-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4738B1 (ko) 궐련
TW201402025A (zh) 香煙
PH12014502839B1 (en) Method of forming smoking articles with mouth end cavities
CN104363779A (zh) 香烟及包装部件
TWI508671B (zh) 香煙
JP6236408B2 (ja) シガレット
IL293722A (en) A component for an item for use in a spray delivery system
TW201521606A (zh) 香煙
EP3748079B1 (en) Packing material for coupling multiple segments constituting smoking product
US20240148051A1 (en) A component for an article for use in an aerosol provision system
US20240090565A1 (en) An article for use in a non-combustible aerosol provision system
WO2022195273A1 (en) A component for an article for use in an aerosol provision system
EP4353092A1 (en) Flavor source-containing rod comprising cap member at tip end
WO2023111553A1 (en) A component for an article for use in or as an aerosol provision system
CN117561005A (zh) 用于在气溶胶供应系统中使用的制品的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