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648B1 - safety apparatus for work of heavy machinery - Google Patents

safety apparatus for work of heavy machin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648B1
KR102104648B1 KR1020180066081A KR20180066081A KR102104648B1 KR 102104648 B1 KR102104648 B1 KR 102104648B1 KR 1020180066081 A KR1020180066081 A KR 1020180066081A KR 20180066081 A KR20180066081 A KR 20180066081A KR 102104648 B1 KR102104648 B1 KR 102104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avy equipment
sensing
case
sw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0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39512A (en
Inventor
양칠송
마영숙
Original Assignee
양칠송
마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칠송, 마영숙 filed Critical 양칠송
Priority to KR1020180066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648B1/en
Publication of KR20190139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5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6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장비의 작업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게차, 굴삭기, 덤프트럭, 페이로더, 크레인 등과 같은 중장비의 작업시 중장비 주위로 접근하는 작업자나 보행자를 감지하여 중장비의 운전자 등에게 경고신호를 보내서 작업자나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중장비의 작업 안전장치는 중장비의 작동시 상기 중장비 주위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작업영역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영역표시부와, 작업영역으로 접근하는 감지대상을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와, 중장비의 운전자에게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경고부와, 센싱부를 통해 상기 감지대상을 감지할 경우 상기 센싱부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경고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safety device for heavy equipment, and more specifically, to detect the worker or pedestrian approaching the heavy equipment when working with heavy equipment such as forklifts, excavators, dump trucks, payloaders, cranes, etc. It relates to a safety device that can protect a worker or a pedestrian by sending a signal.
The work safety device of the heavy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gion display unit for visually expressing a working area by irradiating a laser around the heavy equipment when the heavy equipment is in operation,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detection target approaching the work area, and a heavy equipment. It has a warning unit for outputting a warning signal to the driv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rning unit by a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sensing unit when sensing the detection target through the sensing unit.

Description

중장비의 작업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for work of heavy machinery}Safety apparatus for work of heavy machinery

본 발명은 중장비의 작업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게차, 굴삭기, 덤프트럭, 페이로더, 크레인 등과 같은 중장비의 작업시 중장비 주위로 접근하는 작업자나 보행자를 감지하여 중장비의 운전자 등에게 경고신호를 보내서 작업자나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safety device for heavy equipment, and more specifically, to detect a worker or pedestrian approaching the heavy equipment when working with heavy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excavator, dump truck, payloader, crane, etc. It relates to a safety device that can protect a worker or a pedestrian by sending a signal.

일반적으로 지게차, 굴삭기, 덤프트럭, 페이로더, 크레인 등과 같은 중장비를 운용하는 작업현장에서는 높은 소음이 발생하므로 중장비의 운전자는 중장비 주위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다른 작업자나 보행자들을 감지하지 못하고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고, 이에 따라 작업자나 보행자가 중장비에 상해를 당하는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Generally, heavy noise occurs at the work site where heavy equipment such as forklifts, excavators, dump trucks, payloaders, cranes, etc. are operated, so the operator of the heavy equipment can work without detecting other workers or pedestrians working around the heavy equipment. There are many cases, and accordingly, safety accidents frequently occur in which workers or pedestrians are injured by heavy equipment.

일 예로 굴삭기나 이동식 크레인은 360도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다른 작업자가 굴삭기 또는 이동식 크레인의 작업반경 안에서 작업을 하고 있을 때 굴삭기나 크레인이 갑작스럽게 회전하면, 이로 인해 작업자가 굴삭기나 크레인에 부딪혀 부상을 입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As an example, an excavator or a mobile crane has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360 degrees, so if an excavator or crane suddenly rotates while another worker is working within the working radius of the excavator or mobile crane, this causes the operator to move the excavator or crane. Situations that can result in injuries can result.

중장비 운전자는 앞쪽에 달린 후면거울에만 의존하여 후방을 관찰할 뿐이므로 중장비의 후면과 측면에는 사각지대가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다른 작업자가 사각지대에 있어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로 중장비를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키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사각지대에 있던 작업자가 이를 피하지 못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한다. As heavy equipment operators only rely on the rear mirror attached to the front to observe the rear, blind spots are generated on the rear and side surfaces of heavy equipment, so other workers are in the blind spot and rotate the heavy equipment without the driver's knowledge. If there is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is moved or moved, a safety accident occurs because the worker in the blind spot cannot avoid it.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카메라를 후면에 설치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고 있지만, 카메라는 상하 또는 좌우로 밖에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사각지대를 완전히 촬영하여 이를 운전자에게 모니터로 제공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installing the camera on the rear side has been proposed, but since the camera can only mov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there is a limit to providing a driver with a monitor by photographing a blind spot completely.

또한, 작업 중인 중장비 근처를 지나가는 작업자 또는 보행자는 이동식 중장비의 작업영역을 전혀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스스로 위험을 회피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orkers or pedestrians passing near heavy equipment in operation have difficulty in avoiding danger by themselves because they cannot grasp the working area of mobile heavy equipment at all.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21971호에는 건설장비의 작업반경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21971 discloses a working radius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method of construction equipment.

상기 공개특허는 건설장비에 설치되어 레이저를 발생시킴으로써 건설장비의 작업반경을 지면에 표시하는 빔 발생기, 상기 빔 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여 건설장비가 ON 되면 빔 발생기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건설장비가 OFF 되면 빔 발생기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disclosed patent is installed on the construction equipment to generate a laser beam generator that displays the working radius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on the ground,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to the beam generator, and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to generate a beam generator when the construction equipment is ON It includes a control unit to supply power to the power supply and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beam generator when the construction equipment is turned off.

상기 공개특허는 지면에 동심원 형태의 작업반경이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 또는 건설현장을 지나가는 보행자들이 작업반경 내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경고할 수 있으며, 작업자나 보행자 역시 시각적으로 확인되는 건설장비의 작업반경을 피해 이동할 수 있어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The disclosed patent can warn workers or pedestrians passing through the construction site from entering the working radius by visually displaying the working radius in the form of concentric circles on the ground, and also avoiding the working radius of construction equipment that is visually confirmed by the worker or pedestria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ve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하지만 중장비를 운전하는 운전자나 관리자에게는 위험상황을 인지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dangerous situation cannot be recognized by a driver or a manager driving heavy equipment.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21971호: 건설장비의 작업반경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21971: Construction equipment working radius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지게차, 굴삭기, 덤프트럭, 페이로더, 크레인 등과 같은 중장비의 작업시 중장비 주위로 접근하는 작업자나 보행자를 감지하여 중장비의 운전자 등에게 경고신호를 보내서 중장비 주위의 작업자나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detects workers or pedestrians approaching around heavy equipment when working with heavy equipment such as forklifts, excavators, dump trucks, payloaders, cranes, etc., and sends warning signals to drivers of heavy equipment. The aim is to provide a safety device that can protect workers or pedestrians around heavy equipmen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중장비의 작업 안전장치는 중장비의 작동시 상기 중장비 주위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작업영역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영역표시부와; 상기 작업영역으로 접근하는 감지대상을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와; 상기 중장비의 운전자에게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경고부와; 상기 센싱부를 통해 상기 감지대상을 감지할 경우 상기 센싱부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경고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The work safety device of the heavy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area display unit for visually expressing a working area by irradiating a laser around the heavy equipment when the heavy equipment is operated;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sensing target approaching the work area; A warning unit which outputs a warning signal to the driver of the heavy equipmen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warning unit by a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sensing unit when sensing the sensing target through the sensing unit.

상기 센싱부의 감지신호 출력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감지대상에게 위험신호를 출력하는 위험알림부;를 더 구비한다.And a danger notification unit outputting a danger signal to the detection target by the control unit when the sensing signal is output from the sensing unit.

상기 센싱부의 감지신호 출력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중장비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비상정지수단;을 더 구비한다.It further comprises an emergency stop means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heavy equipment by the control unit when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is output.

상기 경고부는 상기 운전자에게 진동을 가하는 진동유닛이다.The warning unit is a vibration unit that applies vibration to the driver.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운전자가 앉는 의자의 좌석부 또는 등받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좌석부 또는 상기 등받이부를 진동시킨다.The vibration unit is installed in the seat or backrest of the chair in which the driver sits to vibrate the seat or the backrest.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운전자가 착용하는 안전모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모를 진동시키고,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안전모에 장착되며 전면에 출입홀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출입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외부를 드나들 수 있는 스윙바와, 상기 스윙바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전모를 타격하는 타격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윙바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상기 스윙바의 하부에 반복적으로 접촉 및 분리되면서 상기 스윙바를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반원 형상의 편심부재를 구비한다. The vibration unit is installed on a helmet worn by the driver to vibrate the helmet, and the vibration unit is mounted on the helmet and has an entrance hol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 fixed shaft installed inside the case, and the fixed shaft 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wing bar on one side to enter and exi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ase through the access hole, a hitting part formed on the top of the swing bar to strike the helmet, and installed inside the case An elastic member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swing bar, a motor installed inside the case, and a semicircular shape that is eccentrically couple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and rotates the swing bar forward and backward while being repeatedly contacted and separat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wing bar. It is provided with an eccentric memb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장비의 주위에 중장비의 작업영역을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작업자나 보행자 스스로 중장비의 작업영역을 피해 이동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visually displays the working area of the heavy equipment around the heavy equipment, so that the worker or the pedestrian himself can move away from the working region of the heavy equipment.

또한, 본 발명은 중장비의 작업영역을 미처 인지하지 못하고 작업자나 보행자가 접근시 중장비의 운전자에게 경고신호를 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나 보행자에게도 위험신호를 미리 보낼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recognizes the working area of the heavy equipment, but also can send a warning signal to the driver of the heavy equipment when the worker or pedestrian approaches, and can also send a danger signal to the operator or the pedestrian in advanc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You ca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굴삭기에 설치되어 굴삭기 주위에 작업영역을 표시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본 발명의 중장비의 작업 안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요부인 경고부가 의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요부인 경고부가 안전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에 적용된 경고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stalled on an excavator and displaying a work area around the excavato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ork safety device of the heavy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rning unit which is an essentia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chair,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rning part which is an essentia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helmet,
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warning unit applied to FIG. 5.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중장비의 작업 안전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working safety device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중장비의 작업 안전장치는 중장비(1) 주위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작업영역(5)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영역표시부(20)와, 작업영역(5)으로 접근하는 감지대상을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10)와, 중장비(1)의 운전자에게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경고부(40)와, 센싱부(10)를 통해 감지대상을 감지할 경우 경고부(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5)를 구비한다. 1 to 3, the work safety device of the heavy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gion display unit 20 and a work area 5 for visually expressing the work area 5 by irradiating a laser around the heavy machinery 1 ), A sensing unit 10 for detecting a sensing target approaching, a warning unit 40 for outputting a warning signal to a driver of heavy equipment 1, and a warning when detecting a sensing target through the sensing unit 10 A control unit 15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it 40 is provided.

영역표시부(20)는 중장비(1)에 설치될 수 있다. 중장비(1)는 지게차, 굴삭기, 덤프트럭, 페이로더, 크레인 등과 같이 건설, 토목, 물류, 운송 등의 다양한 산업현장에 사용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중장비(1)의 일 예로 굴삭기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The area display unit 20 may be installed on the heavy equipment 1. The heavy equipment 1 is used in various industrial sites such as construction, civil engineering, logistics, transportation, such as forklifts, excavators, dump trucks, payloaders, and cranes. In the illustrated example, an example of the heavy equipment 1 is shown.

영역표시부(20)는 중장비(1)의 작동시 중장비(1) 주위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작업영역(5)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다. The area display unit 20 visually expresses the working area 5 by irradiating a laser around the heavy machinery 1 when the heavy machinery 1 is operated.

가령, 중장비(1)를 중심으로 일정한 크기의 작업영역(5)을 지면에 설정하고, 작업영역(5)의 가장자리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작업영역(5)을 라인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보행자나 주위의 작업자들에게 중장비(1)의 작업영역(5)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For example, a work area 5 of a certain size may be set on the ground centering on the heavy equipment 1, and a laser beam may be irradiated to the edge of the work area 5 to display the work area 5 as a lin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visually show the work area 5 of the heavy equipment 1 to pedestrians or nearby workers.

영역표시부(20)는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빔 발생기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빔 발생기는 중장비에 다수가 설치되어 360도 방향으로 지면에 레이저 빔을 발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빔 발생기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빔에 의해 지면에 작업영역(5)이 표시되면 작업자 또는 보행자는 중장비(1)의 작업영역(5)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area display unit 2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beam generators that generate a laser beam. A large number of beam generators are installed in the heavy equipment, and configured to fire a laser beam on the ground in a 360-degree direction. When the work area 5 is displayed on the ground by the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beam generator, a worker or a pedestrian can visually check the work area 5 of the heavy equipment 1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센싱부(10)는 작업영역(5)으로 접근하는 감지대상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15)로 출력한다. 여기서 감지대상은 중장비(1)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대상으로서, 중장비(1) 주위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나 중장비 주위를 지나가는 보행자일 수 있다. 또한, 감지대상은 중장비 주위를 지나가는 차량이나 다른 중장비일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0 detects a detection target approaching the work area 5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5. Here, the detection target is an object for protecting from the heavy equipment 1, and may be an operator working around the heavy equipment 1 or a pedestrian passing around the heavy equipment. In addition, the detection target may be a vehicle passing through the heavy equipment or other heavy equipment.

센싱부(10)는 작업영역(5)으로 접근하는 감지대상을 감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가령, 센싱부(10)로 통상적인 적외선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는 중장비(1)의 전후좌우 사방에 다수가 설치되어 작업영역(5)으로 접근하는 감지대상을 감지한다. The sensing unit 10 may use various types of sensors as long as it is a structure capable of detecting a sensing target approaching the work area 5. For example, a conventional infrared sensor may be used as the sensing unit 10. Infrared sensors are installed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eavy equipment 1 to detect the detection target approaching the work area 5.

센싱부(10)가 작업영역(5)으로 접근하는 감지대상을 감지할 경우 제어부(15)는 센싱부(1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경고부(40)의 작동을 제어한다. When the sensing unit 10 detects a sensing target approaching the work area 5, the control unit 15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arning unit 40 by a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sensing unit 10.

센싱부(10)로부터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제어부(15)는 작동신호를 송신부(30)를 통해 수신부(35)로 송신한다. When a sensing signal is output from the sensing unit 10, the control unit 15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reception unit 35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30.

제어부(15)는 통상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스, 각종 구동회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로 MCU(Micro Controller Unit)를 사용할 수 있다. MCU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주는 것은 물론, MCU에 연결된 주변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시간에 따라 생성되는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부피가 작아 소형화하는데 적합하다. The control unit 15 may be formed of a conventional micro process, various driving circuits, and the like. A micro controller unit (MCU) can be used as the control unit. The MCU can convert analog signals into digital signals, control peripheral devices connected to the MCU, and store signals generated over time. It is also suitable for miniaturization due to its small volume.

송신부(30)는 제어부(15)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부(35)로 송출한다. 송신부(30)에서 수신부(35)로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은 전력소비가 낮은 근거리 무선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선통신방식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고주파(RF-module), UWB NFC(Ultra Wide band Near Field Communication)방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transmitter 30 transmit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5 to the receiver 35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method of transmitting a signal from the transmitter 30 to the receiver 35 is preferably a short-range wireless method with low power consump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may be any one of Zigbee, Bluetooth, RF-module, and UWB NFC (Ultra Wide Band Near Field Communication).

수신부(35)는 송신부(30)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부(35)가 신호를 수신하면 경고부(40)가 작동한다. The reception unit 35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unit 30. When the receiving unit 35 receives a signal, the warning unit 40 operates.

경고부(40)는 수신부(35)를 통해 신호가 수신되면 중장비(1)의 운전자에게 경고신호를 출력한다. The warning unit 40 outputs a warning signal to the driver of the heavy equipment 1 when a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unit 35.

경고부(40)의 일 예로 운전자에게 진동을 가하는 진동유닛(50)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유닛(50)으로 통상적인 진동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As an example of the warning unit 40, a vibration unit 50 that applies vibration to the driver may be used. A conventional vibration motor can be used as the vibration unit 50.

진동유닛(50)은 운전자가 앉는 의자(6)에 설치될 수 있다. 가령, 진동유닛(50)은 의자(6)의 좌석부(7) 또는 등받이부(8)에 다수가 내장될 수 있다. 의자(6)에 설치된 진동유닛(50)은 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좌석부 또는 등받이부를 진동시킨다. 따라서 주위의 소음에도 불구하고 중장비(1)의 운전자는 작업영역(5) 내의 위험요소를 바로 인식할 수 있다. The vibration unit 50 may be installed on the chair 6 on which the driver sits. For example, a plurality of vibration units 50 may be built in the seat 7 or the back 8 of the chair 6. The vibration unit 50 installed on the chair 6 vibrates the seat portion or the backrest por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 Therefore, despite the ambient noise, the driver of the heavy equipment 1 can immediately recognize the hazards in the work area 5.

또한, 진동유닛은 운전자가 착용하는 안전모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유닛은 별도의 고정도구를 이용하여 안전모의 내측이나 외측에 장착될 수 있다. 진동유닛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안전모를 진동시켜 운전자가 위험요소를 바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vibration unit may be installed on the helmet worn by the driver. In this case, the vibration unit may be mounted inside or outside the helmet using a separate fixing tool. The vibration unit vibrates the helme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driver can immediately recognize the hazard.

또한, 진동유닛은 중장비 주위의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모에 설치될 수 있다. 가령, 작업영역 내로 보행자가 접근하면 센싱부를 이를 감지하고, 센싱부의 감지신호에 의해 제어부는 무선신호를 송출하여 작업자의 안전모에 설치된 진동유닛을 진동시킨다. 이에 따라 중장비 주위에서 작업을 하는 적어도 1인 이상의 작업자들은 위험상황을 바로 인식하여 보행자의 접근을 저지하거나 보행자에게 위험을 경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brating unit may be installed on a hard hat worn by workers around heavy equipment. For example, when a pedestrian approaches the work area, the sensing unit senses it, and by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radio signal to vibrate the vibration unit installed in the worker's helmet. Accordingly, at least one or more workers who work around heavy equipment can immediately recognize the danger situation and deny pedestrian access or warn pedestrians of danger.

한편, 본 발명은 위험알림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anger notification unit.

위험알림부는 감지대상에게 위험신호를 출력한다. 가령, 작업영역 내로 보행자가 접근하면 센싱부를 이를 감지하고, 센싱부의 감지신호에 의해 제어부는 무선신호를 송출하여 위험알림부를 작동시킨다. The danger notification unit outputs a danger signal to the detection target. For example, when a pedestrian approaches the work area, the sensing unit senses it, and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radio signal to operate the danger notification unit.

위험알림부는 감지대상에게 다양한 신호로 위험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로 소리, 빛, 진동 등일 수 있다. 위험알림부의 일 예로 스피커일 수 있다. 또한, 위험알림부의 다른 예로 경광등일 수 있다. The danger notification unit can inform the detection target of various dangers. For example, the signal may be sound, light, or vibration. An example of the danger notification unit may be a speaker. In addition, another example of the danger notification unit may be a warning light.

위험알림부는 중장비에 설치되거나 작업영역의 바깥에 설치될 수 있다. The hazard notification unit can be installed on heavy equipment or outside the work area.

위험알림부를 통해 작업영역으로 접근하는 보행자나 작업자에게 위험을 인식시킴으로써 보행자나 작업자가 작업영역을 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Helps pedestrians or workers to avoid the work area by recognizing the danger to pedestrians or workers approaching the work area through the danger notification.

한편, 본 발명은 센싱부의 감지신호 출력시 제어부에 의해 중장비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비상정지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mergency stop means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heavy equipment by the control unit when the sensing signal output of the sensing unit.

비상정지수단으로 전원차단기를 이용할 수 있다. 전원차단기는 중장비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메인전원을 차단하여 중장비를 정지시킬 수 있다. A power breaker can be used as an emergency stop. The power circuit breaker can stop the heavy equipment by cutting off the main power of the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heavy equipment.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동유닛의 다른 예를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고 있다. Meanwhile, another example of the vibration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FIGS. 4 to 6.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진동유닛(60)은 중장비의 운전자가 착용하는 안전모(9)에 설치된다. 이러한 진동유닛(60)은 안전모(9)를 두드리는 방식으로 진동시킨다. 따라서 진동과 소리에 의해 안전모(9)의 착용자에게 경고신호를 보낼 수 있어 단순히 진동만을 가하는 것에 비해 효과적이다. 4 to 6, the vibration unit 60 is installed on the hard hat 9 worn by the driver of the heavy equipment. The vibration unit 60 vibrates by tapping the helmet 9.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nd a warning signal to the wearer of the helmet 9 by vibration and sound, which is more effective than simply applying vibration.

도시된 진동유닛(60)은 안전모(9)에 장착되는 케이스(61)와, 케이스(61)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축(65)과, 고정축(65)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이 케이스(61)의 내부와 외부를 드나들 수 있는 스윙바(67)와, 스윙바(67)의 상부에 형성되어 안전모(9)를 타격하는 타격부(69)와, 케이스(61) 내부에 설치되어 스윙바(67)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81)와, 케이스(61)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71)와, 모터(71)의 구동축(73)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스윙바(67)의 하부에 반복적으로 접촉 및 분리되면서 스윙바(67)를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반원 형상의 편심부재(75)를 구비한다. The illustrated vibration unit 60 is coupled to the case 61 mounted to the helmet 9, the fixed shaft 65 installed inside the case 61, and the fixed shaft 65 so as to be rotatable and one side of the case The swing bar 67 that can go inside and outside of the 61, the hitting portion 69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wing bar 67 to strike the hard hat 9, and installed inside the case 61 The swing member 67 is eccentrically coupled to the elastic member 81 that applies elastic force to the swing bar 67, the motor 71 installed inside the case 61, and the drive shaft 73 of the motor 71. It is provided with an eccentric member 75 of a semi-circular shape to rotate and swing the swing bar 67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ile being repeatedly contacted and separated at the lower portion.

케이스(61)는 안전모(9)의 외측에 장착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케이스(61)는 별도의 고정도구를 이용하여 안전모(9)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케이스(61)를 안전모(9)의 외측에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case 61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helmet 9. Although not shown, the case 61 can be fixed to the hard hat 9 using a separate fixing tool. In addition, it is of course possible to secure the case 61 to the outside of the hard hat 9 using double-sided tape.

케이스(61)는 내부가 비어있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61)의 전면에는 타격부(69)가 드나들 수 있도록 출입홀(63)이 마련된다. 출입홀(63)이 마련된 케이스(61)의 전면은 안전모(9)의 외측면과 접촉된다. 따라서 케이스(61)의 전면은 안전모(9)에 접촉되는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se 61 is made of a hollow cylinder shape. An entrance hole 63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61 to allow the hitting portion 69 to enter and exit.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61 provided with the entrance hole 63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ard hat 9.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6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contacting the hard hat 9.

고정축(65)은 케이스(61) 내부에 설치된다. 고정축(65)의 양 단부는 케이스(61)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고정된다. The fixed shaft 65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61. Both ends of the fixing shaft 65 are fixed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se 61, respectively.

스윙바(67)는 고정축(65)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스윙바(67)의 상부는 출입홀(63)을 통해 케이스(61)의 내부와 외부를 드나들 수 있다.The swing bar 67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shaft 65. The upper portion of the swing bar 67 can go in and out of the case 61 through the entrance hole 63.

타격부(69)는 스윙바(67)의 상부에 형성된다. 타격부(69)는 스윙바(67)의 전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타격부(69)는 스윙바(67)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 안전모(9)를 타격하여 진동과 소리를 발생시킨다. Strike portion 69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wing bar (67). The striking portion 69 is formed to protrude convexly to the front of the swing bar 67. The striking portion 69 hits the hard hat 9 when the swing bar 67 rotat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 generate vibration and sound.

탄성부재(81)는 스윙바(67)에 탄성력을 가한다. 이러한 탄성부재(81)로 토션스프링을 이용할 수 있다. 토션스프링의 일단은 케이스(61)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83)에 지지되고, 타단은 스윙바(67)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져 스윙바(67)에 지지된다. 이러한 토션스프링은 스윙바(67)의 상부에 탄성력을 가해 타격부(69)를 출입홀(63) 방향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The elastic member 81 exerts an elastic force on the swing bar 67. A torsion spring can be used as the elastic member 81.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is supported by a fixing protrusion 83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61, and the other end is fitted into a fixing groove formed in the swing bar 67 and supported by the swing bar 67. The torsion spring serves to push the hitting portion 69 in the direction of the access hole 63 by applying elastic forc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wing bar 67.

모터(71)는 케이스(61) 내부에 설치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모터(71)는 케이스(61)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motor 71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61. Although not shown, the motor 7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attery installed inside the case 61.

편심부재(75)는 모터(71)의 구동축(73)에 결합된다. 편심부재(7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모터(71)의 구동축(73)은 편심부재(75)의 중앙에서 벗어나 일측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결합된다. 따라서 모터(71)가 작동하면 편심부재(75)는 회전하면서 스윙바(67)의 하부에 반복적으로 접촉 및 분리된다. The eccentric member 75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73 of the motor 71. The eccentric member 75 is formed in a semicircle shape as shown. The drive shaft 73 of the motor 71 is coupled to a position biased to one side away from the center of the eccentric member 75. Therefore, when the motor 71 is operated, the eccentric member 75 rotates while being repeatedly contacted and separat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wing bar 67.

편심부재(7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도 5와 같이 편심부재(75)가 스윙바(67)의 하부에 접촉되면서 스윙바(67)의 하부를 케이스(61) 전면방향으로 밀어내므로 스윙바(67)의 상부는 케이스 후면 방향으로 이동한다. When the eccentric member 75 rotates counterclockwise, as shown in Figure 5, the eccentric member 75 contacts the lower portion of the swing bar 67 and pushes the lower portion of the swing bar 67 toward the front of the case 61 The upper portion of the swing bar 67 moves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case.

그리고 편심부재(75)가 더 회전하여 도 6과 같이 스윙바(67)의 하부로부터 편심부재(75)가 분리되면 탄성부재(67)에 의해 스윙바(67)의 상부는 케이스 전면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타격부가 출입홀의 바깥으로 나가 안전모를 타격한다. And when the eccentric member 75 is further rotated and the eccentric member 75 is separat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wing bar 67 as shown in FIG. 6, the upper portion of the swing bar 67 is moved toward the front of the case by the elastic member 67. do. Accordingly, the striking part goes out of the entrance hall and strikes the helmet.

이와 같이 편심부재(75)가 회전하면 도 5 및 도 6과 같은 작동이 반복되면서 스윙바(67)는 전후방향으로 회전을 반복하고, 이에 따라 스윙바(67)가 고정축(65)을 중심으로 스윙운동하면서 일정한 주기로 안전모를 타격한다. 안전모의 타격을 통해 안전모에 진동을 줌과 동시에 소리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진동과 소리로 운전자에게 경고신호를 보낼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어떠한 환경에서도 위험상황을 매우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When the eccentric member 75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operations as shown in FIGS. 5 and 6 are repeated, the swing bar 67 repeats rota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swing bar 67 centers on the fixed shaft 65. While swinging, hit the helmet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the hitting of the hard hat, it vibrates the hard hat and generates sound. Therefore, a warning signal can be sent to the driver by vibration and sound,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recognize the dangerous situation in any environment.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 중장비 5: 작업영역
10: 센싱부 15: 제어부
20: 영역표시부 30: 송신부
35: 수신부 40: 경고부
1: Heavy equipment 5: Work area
10: sensing unit 15: control unit
20: area display unit 30: transmission unit
35: receiver 40: warning

Claims (6)

중장비의 작동시 상기 중장비 주위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작업영역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영역표시부와;
상기 작업영역으로 접근하는 감지대상을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와;
상기 중장비의 운전자에게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경고부와;
상기 센싱부를 통해 상기 감지대상을 감지할 경우 상기 센싱부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경고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고부는 상기 운전자에게 진동을 가하는 진동유닛이며,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운전자가 착용하는 안전모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모를 진동시키고,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안전모에 장착되며 전면에 출입홀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출입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외부를 드나들 수 있는 스윙바와, 상기 스윙바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전모를 타격하는 타격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윙바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상기 스윙바의 하부에 반복적으로 접촉 및 분리되면서 상기 스윙바를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반원 형상의 편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작업 안전장치.
An area display unit for visually expressing a work area by irradiating a laser around the heavy machinery when the heavy machinery is operated;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sensing target approaching the work area;
A warning unit which outputs a warning signal to the driver of the heavy equipment;
When the sensing target is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rning unit by a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sensing unit;
The warning unit is a vibration unit that applies vibration to the driver,
The vibration unit is installed on the helmet worn by the driver to vibrate the helmet,
The vibrating unit is mounted on the helmet and has a case where an access hol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 fixed shaft installed inside the cas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shaft, one side of which is inside and outside the case through the access hole. A swing bar that can enter and exit, a striking port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wing bar to strike the helmet, an elastic member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apply elastic force to the swing bar, and a motor installed inside the case, It is eccentrically couple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while repeatedly contacting and separat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wing bar, a work safety device for heav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micircular eccentric member for rotating the swing bar in the front-rear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의 감지신호 출력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감지대상에게 위험신호를 출력하는 위험알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작업 안전장치. The safety devic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anger notification unit configured to output a danger signal to the detection target by the control unit when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의 감지신호 출력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중장비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비상정지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작업 안전장치. The safety devic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mergency stop means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heavy equipment by the control unit when a sensing signal is output from the sensing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66081A 2018-06-08 2018-06-08 safety apparatus for work of heavy machinery KR1021046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081A KR102104648B1 (en) 2018-06-08 2018-06-08 safety apparatus for work of heavy machin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081A KR102104648B1 (en) 2018-06-08 2018-06-08 safety apparatus for work of heavy machin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512A KR20190139512A (en) 2019-12-18
KR102104648B1 true KR102104648B1 (en) 2020-04-24

Family

ID=69052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081A KR102104648B1 (en) 2018-06-08 2018-06-08 safety apparatus for work of heavy machin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64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149B1 (en) 2020-10-28 2021-05-04 최종국 Apparatus for preventing accident of heavy equipment
KR102301427B1 (en) 2020-10-22 2021-09-14 방병주 heavy equipment control system through predition of object action patterns
KR102301425B1 (en) 2020-08-14 2021-09-14 방병주 heavy equipment control system through selective sensing of objec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189A (en) 2021-06-04 2022-12-13 이도전자(주) Implement texture alarms for wearable devicess using electrical resonance and Two-way risk recognition system for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434B1 (en) 2004-07-15 2011-12-26 황존규 Handy sensing for gas leakage
KR101547564B1 (en) 2015-07-03 2015-08-27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indicating safe distance for forklif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453A (en) * 1996-11-18 1998-08-05 박병재 Seat belt for getting off notice
KR20050014142A (en) * 2003-07-30 2005-02-07 박준석 vehicles obstacle sense and inside warning vibration alarm method
KR20110121971A (en) 2010-05-03 2011-11-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working area of construction equipment
KR101788689B1 (en) * 2016-01-19 2017-10-20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Safety warning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434B1 (en) 2004-07-15 2011-12-26 황존규 Handy sensing for gas leakage
KR101547564B1 (en) 2015-07-03 2015-08-27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indicating safe distance for forklif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425B1 (en) 2020-08-14 2021-09-14 방병주 heavy equipment control system through selective sensing of objects
KR102301427B1 (en) 2020-10-22 2021-09-14 방병주 heavy equipment control system through predition of object action patterns
KR102248149B1 (en) 2020-10-28 2021-05-04 최종국 Apparatus for preventing accident of heavy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512A (en) 201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4648B1 (en) safety apparatus for work of heavy machinery
US20210292148A1 (en) Anti-entrapment device for scissor lifts
US8810390B2 (en) Proximity warning system with silent zones
KR101788689B1 (en) Safety warning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ry
US9238573B2 (en) Protecting device for a user of an aerial lift and aerial lift comprising such a device
EP3403750B1 (en) Safety system for operations having a working field on an opposite side of a barrier from a device
KR101970188B1 (en) Satefy warning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ry
KR101778614B1 (en) Safety guide cone for preventing traffic accident
US20240046795A1 (en) A traffic risk management system
KR20150061822A (en) Accident Prevention System
KR101858995B1 (en) Safety accident prevention system
KR200478491Y1 (en) Danger alarm system and danger alarm apparatus for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JP3189644U (en) Emergency remote notification system
KR101937583B1 (en) A Device For Guiding Area Of Working Vehicle
KR101533614B1 (en) Collision alarm for heavy equipment
KR101193372B1 (en) The safety stick for the heavy vehicles
JP2020173565A (en) Vehicle jump-in warning device and warn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102497677B1 (en) Multi Sense Safety Helmet
KR102643530B1 (en) Construction site heavy equipment safety accident prevention system
KR102421272B1 (en) Collision protecting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 using intelligent sensing technology which be able to identify human body
WO2019071288A1 (en) Proximity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JP3170021U (en) Heavy equipment approach warning device
CN111915838A (en) Machine tool warning system
KR20160003024U (en) Overspeed and danger alarm apparatus for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KR20240141027A (en) System and Method for warning approach of wor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