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632B1 - 배낭 - Google Patents

배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632B1
KR102104632B1 KR1020190066124A KR20190066124A KR102104632B1 KR 102104632 B1 KR102104632 B1 KR 102104632B1 KR 1020190066124 A KR1020190066124 A KR 1020190066124A KR 20190066124 A KR20190066124 A KR 20190066124A KR 102104632 B1 KR102104632 B1 KR 102104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backpack
storage
space
p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부경
Original Assignee
성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부경 filed Critical 성부경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632B1/ko
Priority to CN202080007804.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3286927A/zh
Priority to PCT/KR2020/005691 priority patent/WO202023105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45Rigid or semi-rigid luggage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ble elements which can be us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 A45C7/0086Flexible luggage; Hand bag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ble elements which can be us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21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to the bel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6Holding hats or other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01Flexible materials therefor
    • A45C2003/002Mesh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2003/045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and one additional strap around the waist

Landscapes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낭은 한 쌍의 어깨끈이 배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물건을 담는 제1공간을 형성한 제1수납부; 상기 제1수납부 전면 외측 상부에 내부에 물건을 담는 제2공간을 형성한 제2수납부;로 구성하되,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의 입구는 제1수납부와 제2수납부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고, 제2수납부 내부에 상기 제2수납부에서 외측으로 꺼내어 펼쳐서 내부에 물건을 담을 수 있는 제3수납부가 연결되어 담긴 것으로 구성한다.

Description

배낭{backpack}
본 발명은 배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가장 큰 수납부인 제1 수납부에 더 이상 물건을 담을 수 없는 경우, 본체 수납부에 담겨 있는 보조 수납부인 제3수납부를 본체에 연결하여 설치하는 배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은 그 형태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및 명칭으로 호칭되고 있으며 가방의 형태에 따른 분류를 보면 상자형 모양으로 제작되는 트렁크, 트케이스, 아타셰케이스 등이 있으며 가방의 휴대방법 및 용도에 따라 스포츠가방, 배낭, 여행용가방, 학생용가방, 숄더백, 핸드백 등으로 호칭된다.
상기와 같이 가방은 다양한 종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물건을 넣어서 들고 다닐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그리고 모자는 패션소품 및 스포츠 레져 활동시에 추위나 뜨거운 햇볕으로부터 두부와 안면부을 보호하기 위하여 모자를 착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가방은 단순히 물건을 넣고 운반하는 기능만을 목적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종래 가방의 사용 목적에 따라 대형의 여행용 가방에는 가방의 하측에 바퀴를 장치하여 이동이 편리하게 하는 등 그 기능이 많이 개선되고 있으며 가방의 용도 또한 전문화되고 있다.
즉 가방은 상기에서 구분한 바와 같이 그 사용목적에 따라 그 기능이 보완 개선되어 왔으며 본 고안은 주로 배낭과 같은 스포츠 레져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포츠 레져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준비물이 필요로 하게 되고 이 준비물은 가방에 담아서 보관 및 운반하게 된다.
그러나, 배낭의 가장 큰 수납부인 제1수납부에 물건을 담을 수 없게 된 경우,
보조배낭을 배낭에 연결한 후 보조배낭을 배낭위에서 아래로 펼쳐지게 설치해야 할 경우,
배낭의 수납부에서 비노출로 담겨 있는 보조배낭을 찾아, 보조배낭을 배낭에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첫째, 종래의 배낭에는 상기 보조배낭이 상기 보조배낭을 찾기 쉬운 전용공간이 아닌, 상기 배낭에서 가방 큰 수납부인 제1수납부 내부에 담겨 있음으로서, 제1수납부의 커버를 연 후 수십가지의 물건과 같이 섞이어 있는 제1수납부 내에서 상기 보조배낭을 찾아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둘째, 찾아낸 보조배낭을 상기 배낭에 연결해야 함에 따라, 상기 보조배낭을 상기 배낭에 설치할 때, 상기 보조배낭이 상기 배낭에 미리 연결되어 있었을 때 보다 더 시간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셋째, 상기 보조배낭이 상기 배낭에 미리 연결이 되었다하더라도, 상기 미리 연결된 위치가 상기 배낭의 상부 위치가 아닐 경우, 즉, 상기 보조배낭이 담기는 상기 전용공간이 상기 배낭의 상부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 상기 보조배낭이 상기 배낭을 덮어서 펼쳐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포츠레져 용도 이외의 물품 즉 운천시를 대비한 우의나 모자 등은 준비하기가 번거롭고 불편하여 쉽게 잃어 버리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부가적으로 준비하여야 하는 우의 등은 가방의 내,외측에 결합하여 항시 휴대할 수 있게 하는 가방 등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지 않고, 가방 사용 목적에 맞추어진 다양한 포켓 방식이 채용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배낭이외에 파우치 형태의 가방을 동시에 휴대할 경우 이러한 파우치에 생수병, 우산 등 소지품을 보관하였으나, 이러한 물품을 인출 또는 수납하기 위하여는 가방을 내려놓은 상태에서 사용한 후 재차 등에 메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지갑, 시계, 선그라스 등과 같은 귀중품을 상기 파우치에 보관할 경우, 가방이 등 뒤에 위치되는 특성상 보안에 무방비 상태가 되므로 혼잡한 지역에서는 범죄의 표적이 되는 바 사용자 입장에서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스포츠레져 용도 이외의 물품 즉 운천시를 대비한 우의나 모자 등은 준비하기가 번거롭고 불편하여 쉽게 잊어 버리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부가적으로 준비하여야 하는 우의 등은 가방의 내,외측에 결합하여 항시 휴대할 수 있게 하는 가방 등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가방에 모자가 결합되어 있는 것은 종래에도 제안되지 않고 있다.
[특허 문헌 001]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4-0054626호,(2014.05.0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낭은 첫 번째로 배낭의 가장 큰 수납부인 제1수납부에 물건을 담을 수 없게 된 경우, 상기 제1수납부에 비노출로 담겨 있는 제3수납부를 찾아내야 하고, 상기 제3수납부를 배낭에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도록 할 뿐 만 아니라, 제3수납부가 배낭위에서 아래로 펼쳐지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첫째, 상기 배낭 상부에 상기 제3수납부를 담는 상기 제1수납부와는 입구가 서로 다른 별도의 공간에 설치된 제2수납부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제3수납부를 찾아야 할 때, 상기 제1수납부를 열지 않고도 상기 제2수납부에서 상기 제3수납부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두 번째, 제2수납부 내부에 제3수납부가 미리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3수납부를 상기 배낭에 상기 연결하여 설치할 때, 상기 연결이 되어 있지 않았을 때 보다 상기 설치에 따른 시간이 더 단축되도록 한다.
세 번째, 상기 제2수납부가 상기 배낭의 상부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제2수납부에서 상기 제3수납부를 꺼내어 놓기만 하면, 자중에 의해 상기 제3수납부가 상기 배낭을 덮어서 펼쳐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인 수납 기능을 하는 제1수납부와 서브 수납기능을 하는 제2수납부로 이루어져 물건을 나누어 보고나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제2수납부의 제2공간에 제3수납부가 말려진 상태로 보관되어 제2공간에서 완전 노출되면 하부 방향으로 자유 낙하하여 펼쳐지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적인 수납 기능을 하는 제2수납부를 제1수납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목적이 뚜렷하여 구분된 수납방식이 요구될 때 물품을 나누어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배낭을 멜 경우 사용자의 골반에 벨트가 거치되도록 하는 동시에 벨트의 측면에 카라비너가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카리비너에 모자 또는 그물망으로 적용되는 등산 용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도보시 발생하는 인체의 전후방 흔들림에도 거치한 용품이 크게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시선에서 벗어난 부위인 허리 부근에 물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도보 동작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물품의 흔들리는 상황을 거의 인지 하지 못하도록 하여 도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우치 내부에 개인용품 이외에 빛을 발생시킬 수 있는 휴대폰 또는 손전등을 등을 탑재시켜 파우치의 투명창을 통해 빛을 전방으로 흔들림 없이 안전하게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낭은 한 쌍의 어깨끈이 배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물건을 담는 제1공간을 형성한 제1수납부; 상기 제1수납부 외측에 설치되어 제1공간과 구분되어 물건을 담는 제2공간을 형성한 제2수납부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2수납부 내부에 물건을 담는 제3공간을 형성한 제3수납부가 설치되되, 상기 제3수납부는 제2수납부에서 꺼내질 경우 제2수납부 전면에 하부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하고, 상기 제2공간 내부와 상기 제3수납부 상부가 결합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펼쳐진 제3수납부가 이동시 흔들거리지 않게 고정되도록, 상기 어깨끈 및 제2수납부 외측 전면 상부 및 하부 밑면에 설치한 결합부를 통해 제3수납부가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와 제3수납부의 결합은 버클을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와 제3수납부의 결합은 단추와 단추구멍에 의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수납부는 메쉬 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허리에 매도록 상기 배낭 배면 하부에 벨트를 설치하되, 상기 벨트에 관통된 구멍이 형성된 고리가 설치되고, 상기 고리에 결합되는 카라비너가 마련되고, 상기 카라비너를 통해 물건 또는 그물망을 걸어두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허리에 매도록 상기 배낭 배면 하부에 벨트를 설치하여, 상기 벨트에 이동 가능하게 파우치를 설치하되, 상기 파우치 전면은 투명창이 설치되어 파우치 내부에 수납한 손전등 또는 핸드폰의 조명이 외부로 발광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파우치는 눌러도 압축되지 않는 딱딱한 재질로 적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수납부는 상기 제1수납부와 제2수납부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수납부의 상부에는 손잡이공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낭에는 우천 시 상기 배낭을 덮는 보호 커버가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커버를 길이방향으로 반으로 접어 서로 마주보는 좌우 양 끝단 서로를 체결하여 상기 보호커버를 상기 제3수납부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배낭은 한 쌍의 어깨끈이 배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물건을 담는 제1공간을 형성한 제1수납부; 상기 제1수납부 외측에 설치되어 제1공간과 구분되어 물건을 담는 제2공간을 형성한 제2수납부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2수납부 내부에 물건을 담는 제3공간을 형성한 제3수납부가 설치되되, 상기 제3수납부는 제2수납부에서 꺼내질 경우 제2수납부 전면에 하부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하고, 상기 제2공간 내부와 상기 제3수납부 상부가 결합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이를 통해, 배낭의 가장 큰 수납부인 제1수납부에 물건이 차서 상기 배낭의 보조 배낭인 제3수납부를 상기 배낭에 설치해야 할 경우, 첫 번째, 상기 배낭 상부에 상기 제3수납부를 담는 상기 제1수납부와는 입구가 서로 다른 별도의 공간에 설치된 제2수납부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제3수납부를 찾아야 할 때, 상기 제1수납부를 열지 않고도 상기 제2수납부에서 상기 제3수납부를 쉽게 찾을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두 번째, 제2수납부 내부에 제3수납부가 미리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3수납부를 상기 배낭에 상기 연결하여 설치할 때, 상기 연결이 되어 있지 않았을 때 보다 상기 설치에 따른 시간이 더 단축되도록 한 효과가 있다.
세 번째, 상기 제2수납부가 상기 배낭의 상부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제2수납부에서 상기 제3수납부를 꺼내어 놓기만 하면, 자중에 의해 상기 제3수납부가 상기 배낭을 덮어서 펼쳐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연결은 버클을 통해 연결되어 있음으로서, 원터치로 상기 연결을 체결하거나 원터치로 상기 연결을 해지 할 수 있고, 연결된 암버클 방향과 숫버클 방향에서 서로를 당겨도 연결이 해지 되지 않는다.
또한, 본체를 어께에 매고 이동시, 상기 제2수납부에서 꺼내어져서 상기 결합부에 매달린 제3수납부가 상하 또는 좌우로 흔들거리는 것이 억제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상부 및 하부와 상기 제3수납부 상부 및 하부 서로를 연결하는 결합부가 설치되어 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제3수납부를 상기 결합부로 결합하면, 이동시 상기 제3수납부가 상기 흔들리지 않게 본체에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연결은 버클을 통해 연결되어 있음으로서, 원터치로 상기 연결을 체결하거나 원터치로 상기 연결을 해지 할 수 있고, 상기 연결된 암버클 방향과 숫버클 방향에서 서로를 당겨도 상기 연결이 해지 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3수납부는 메쉬 형태임으로서, 제3수납부의 제3공간 내부에 수납한 물건을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거나, 외부 공기와 통기성을 확보함에 따라 젖은 상태의 옷가지가 냄새 없이 신속히 건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허리에 매도록 상기 배낭 배면 하부에 벨트를 설치하되, 상기 벨트에 관통된 구멍이 형성된 고리가 설치되고, 상기 고리에 결합되는 카라비너가 마련되고, 상기 카라비너를 통해 물건 또는 그물망을 걸어두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시선에서 벗어난 부위인 허리 부근에 물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도보 동작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물품의 흔들리는 상황을 거의 인지 하지 못하도록 하여 도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외부 공기와 통기성을 확보함에 따라 젖은 상태의 손수건, 양말 등이 냄새 없이 신속히 건조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허리에 매도록 상기 배낭 배면 하부에 벨트를 설치하여 상기 벨트에 이동 가능하게 파우치를 설치하되, 상기 파우치 전면은 투명창이 설치되어 파우치 내부에 수납한 손전등 또는 핸드폰의 조명이 외부로 발광되도록 함으로서,사용자의 시선에서 벗어난 부위인 허리 부근에 물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도보 동작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물품의 흔들리는 상황을 거의 인지 하지 못하도록 하여 도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휴대폰 또는 손전등을 등을 탑재시켜 손에 휴대폰이나 손전등을 들지 않고도, 파우치의 투명창을 통해 빛을 전방 좌우 중앙으로 흔들림 없이 안전하게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야간 산행 시에도 손으로 스틱을 파지한 상태로 전방 좌우 중앙에 빛을 흔들림 없이 조사할 수 있어 안전한 야간 산행을 돕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는 눌러도 압축되지 않는 딱딱한 재질로 적용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파우치에 썬글라스와 같은 물건을 파손되지 않게 보관 할 수 있으며, 허리띠에 연결된 파우치를 등 뒤 부분에 위치하게 하여 등과 배낭 사이를 이격시켜 등의 땀이나 더운 열기가 외부로 빠져 나가게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3수납부는 본체 전면 면적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제3수납부가 상기 본체 면적 크기 전체를 덮을 수 없을 때 보다 더 큰 크기의 물체도 담을 수 있는 편의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3수납부의 상부에는 손잡이공을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제2수납부에서 분리된 제3수납부의 휴대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함으로서, 상기 제2수납부에서 분리된 제3수납부를 쇼핑백으로 사용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배낭에는 우천 시 상기 배낭을 덮는 보호커버가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커버를 길이방향으로 반으로 접었을 때, 서로 마주보는 좌우 양 끝단 서로에 서로를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서로를 체결할 경우 보호커버 내부에 상기 제3공간이 형성됨으로 상기 보호커버에 제1,2 결합부를 설치하면 상기 보호커버를 상기 제3수납부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배낭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배낭에 적용된 보호커버를 나타낸 정면도.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배낭에 카라비너를 통하여 다양한 물품을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배낭에 파우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배낭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배낭에 적용된 보호커버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배낭에 카라비너를 통하여 다양한 물품을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배낭에 파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낭 100은 한 쌍의 어깨끈 103이 배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물건을 담는 제1공간 111을 형성한 제1수납부 110; 전면 상부 외측에 내부에 물건을 담는 상기 제1공간 111 이외의 공간인 제2공간 121을 형성한 제2수납부 120;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공간 111은 본체 내에서 가장 큰 공간이고, 제2수납부 120 내부에 물건을 담는 제3공간 131을 형성한 제3수납부 130이 담긴다.
상기 제3수납부 130은 상기 제2수납부 120에서 꺼내어져 내부에 물건을 담을 수 있도록, 전면에 펼쳐져 설치되고, 상기 펼쳐서 설치될 때, 상기 제3수납부 130이 상기 제2수납부 120 내부에 미리 연결되어 있도록 상기 제2수납부 120 내부와 상기 제3 수납부 상부 서로를 연결하는 결합부 140이 설치된다.
즉, 메인 수납기능을 수행하는 제1수납부 110에 대하여 보조 수납기능을 수행하는 제3수납부 130이 제2수납부 120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비노출 되게 담긴 구조로, 제3수납부 130이 가 비노출로 수납되어 있다가 필요할 때 노출 상태로 전환되어 보조적인 수납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3수납부 130은 상기 제2수납부 120에서 꺼내어져 내부에 물건을 담을 수 있도록, 전면에 펼쳐져 설치된다.
또한, 제3수납부 130이 상기 펼쳐져 사용될 때는 상기 제2수납부 120 입구는 오픈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연결은 상기 펼쳐서 설치할 때, 상기 제3수납부 130이 상기 제2수납부 120 내부에 미리 연결되어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3수납부 130에는 내부에 물건을 담는 제3공간 1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수납부 110과 상기 제2수납부 120은 서로 구별되는 공간과 입구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공간 111과 제2공간 121 및 제3공간 131의 입구는 제1수납부 110과 제2수납부 120 및 제3수납부 130의 상부에 각각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2수납부 120은 상기 제3수납부 130과 별개 공간을 구성함으로 제3수납부 130을 찾기 위해서는 번거롭게 제3수납부 130을 개폐할 필요가 없고, 제2수납부 120 내부에 제3수납부 130이 미리 연결되어 있어 제3수납부 130 사용이 필요할 경우, 제3수납부 130을 본체에 연결할 필요가 없어 본체에 제3수납부 130이 신속히 연결되는 효과가 있으며, 제2수납부 120이 본체 상부에 설치되어 있어, 제2수납부 120을 열어 제3수납부 130을 꺼내어 놓으면 제3수납부 130이 자중에 의해 아래로 펼쳐져 제3수납부 130을 하부 방향으로 펼치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제3수납부 130은 가볍고 부피가 큰 패딩을 담을 수 있도록 배낭 100 전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공간 121에서 상기 제3수납부 130을 꺼내어 펼쳤을 때, 상기 제3수납부 130의 입구가 열린 상태로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제2공간 121 내부와 상기 제3수납부 130 상부에는 서로를 결합시키는 결합부 140이 설치된다.
여기서, 제3수납부 130 상하부에는 연결끈 132이 더 형성되고 상기 연결끈 132 끝단에 결합부 1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 140은 대상물체에 탈부착이 되게 연결되는 단추 142와 단추구멍 142a 또는 숫 버클 141과 암 버클 141로 적용된다.
또한, 숫 버클 141과 암 버클 141로 구성된 버클 141은 원터치로 체결되거나 상기 체결이 원터치로 해지 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버클 141은 상기 숫버클 141a 방향과 상기 암 버클 141 방향인 서로 다른 방향에서 당겨도 상기 체결이 해지 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3수납부 130은 결합부 140에 의해 제2수납부 120 내에 결합된다.
복수의 결합부 140 중 어느 한 개소 이상의 결합부 140에 선택적으로 탈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 140은 단추 142와 단추 142 구멍 또는 숫 버클 141과 암 버클 141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낭 100은 배낭 100의 가장 큰 수납부인 제1수납부 110에 물건이 꽉차서 상기 배낭 100의 보조 배낭 100인 제3수납부 130을 상기 배낭 100에 설치해야 할 경우, 첫째, 상기 배낭 100 상부에 상기 제3수납부 130을 담는 상기 제1수납부 110과는 입구가 서로 다른 별도의 공간에 설치된 제2수납부 120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제3수납부 130을 찾아야 할 때, 상기 제1수납부 110을 열지 않고도 상기 제2수납부 120에서 상기 제3수납부 130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한 효과가 있고, 둘째, 제2수납부 120 내부에 제3수납부 130이 미리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3수납부 130을 상기 배낭 100에 상기 연결하여 설치할 때, 상기 연결이 되어 있지 않았을 때 보다 상기 설치에 따른 시간이 더 단축되도록 한 효과가 있으며, 셋째, 상기 제2수납부 120이 상기 배낭 100의 상부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제2수납부 120에서 상기 제3수납부 130을 꺼내어 놓기만 하면, 자중에 의해 상기 제3수납부 130이 상기 배낭 100을 덮어서 펼쳐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 140의 연결은 버클 141을 통해 연결되어 있음으로서, 원터치로 상기 연결을 체결하거나 원터치로 상기 연결을 해지 할 수 있고, 상기 연결된 암버클 141b 방향과 숫버클 141a 방향에서 서로를 당겨도 상기 연결이 해지 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의 배낭 100은, 본체를 어께에 매고 이동시, 상기 제2수납부 120에서 꺼내어져서 상기 결합부 140에 매달린 제3수납부 130이 상하 또는 좌우로 흔들거리는 것이 억제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상부 및 하부와 상기 제3수납부 130 상부 및 하부 서로를 연결하는 결합부 140이 설치되어 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제3수납부 130을 상기 결합부 140로 결합하면, 상기 이동시 상기 제3수납부 130이 상기 흔들리지 않게 본체에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 140은 대상물체에 탈부착이 되게 연결되는 단추 142와 단추구멍 142a 또는 숫 버클 141과 암 버클 141로 적용된다.
또한, 숫 버클 141과 암 버클 141로 구성된 버클 141은 원터치로 체결되거나 상기 체결이 원터치로 해지 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버클 141은 상기 숫버클 141a 방향과 상기 암 버클 141 방향인 서로 다른 방향에서 당겨도 상기 체결이 해지 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본체의 상부 및 어깨끈 103과 제3수납부 130의 상부 및 하부 서로에 결합부 140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3수납부 130은 결합부 140에 의해 제2수납부 120 내에 결합된다.
복수의 결합부 140 중 어느 한 개소 이상의 결합부 140에 선택적으로 탈착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 140은 단추 142와 단추 142 구멍 또는 숫 버클 141과 암 버클 141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 140의 연결은 버클 141을 통해 연결되어 있음으로서, 원터치로 상기 연결을 체결하거나 원터치로 상기 연결을 해지 할 수 있고, 상기 연결된 암버클 141b 방향과 숫버클 141a 방향에서 서로를 당겨도 상기 연결이 해지 되지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제3수납부 130은 메쉬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는, 제3수납부 130의 제3공간 131 내부에 수납한 물건을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있거나, 외부 공기와 통기성을 확보함에 따라 젖은 상태의 옷가지가 냄새 없이 신속히 건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제3수납부 130의 상부에는 손잡이공 125를 형성하여 제2수납부 120에서 분리된 제3수납부 130의 휴대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한다.
이때, 제2수납부 120에서 분리된 제3수납부 130을 쇼핑백으로 사용 할 경우에는 상기 제1,2 결합부 140이 외측에 덜렁대지 않고 제3수납부 130 내부에 담기도록 제3수납부 130을 뒤집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3수납부 130은 본체 전면 면적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본체 면적 크기를 덮을 수 없을 때 보다 더 큰 크기의 물체도 담을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배낭 100에는 사용자의 허리에 매도록 상기 배낭 100 배면 하부에 벨트 104가 설치된다.
도 8 내지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벨트 104에 카라비너 160을 통하여 다양한 물품을 거치할 수 있다.
이를 가능하도록 상기 벨트 104의 끝단에는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버클 141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벨트 104에는 고리 161이 설치되어 상기 카라비너 160을 결합한다.
또는 상기 카라비너 160을 통해 주머니 또는 그물망 162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배낭 100에는 다양한 등산 용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카라비너 160이 설치되는데, 통상적으로 상기 카라비너 160은 어깨끈 103에 설치되어 물을 음용할 수 있는 용도의 컵 또는 시계 또는 모자 등을 거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도보로 진행시 흔들림이 발생하면서 카라비너 160을 이용하여 거치된 물품등이 흔들려 사용자에 몸에 반복적으로 부딪히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흔들리는 물건이 시야에 노출되어 도보의 불편함을 가중시키고 도보 동작에 집중력을 흐트리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상체에 해당되는 어깨끈 103에 카라비너 160을 통해 물품을 거치할 경우 도보 특성상 상체의 흔들림이 제일 많게 됨에 따라 물품의 흔들림을 가중시키게 되었다.
이로써, 물품이 무게가 나가는 경우 사용자의 허리에 부하를 발생시켜 도보 동작에 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시야에서 벗어난 위치인 사용자의 허리 부분의 벨트 104에 카라비너 160 를 설치하여 물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의 시선에서 벗어난 부위인 허리 부근에 물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도보 동작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물품의 흔들리는 상황을 거의 인지 하지 못하도록 하여 도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본 발명의 경우 상체와 하체의 중간 부위인 허리 또는 골반 부위에 위치한 벨트 104에 카라비너 160을 이용하여 물품을 거치함으로서, 물품 등을 거치하더라도 벨트 104가 골반에 걸쳐져 배낭 100의 무게가 분산되는 동시에 물품의 무게도 분산시켜 보다 효율적인 도보 동작을 돕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카라비너 160을 이용하여 상기 모자 또는 그물망 162을 거치할 경우 도보 동작에서 발생하는 흔들림에도 모자 또는 그물망 162 등의 물품이 크게 요동치는 현상이 감소된다.
그 이유는, 도보 동작 시 상체와 하체의 동작 범위보다 골반 및 허리의 움직임이 작기 때문에 벨트 104에 거치한 물품의 흔들림은 최소화 상태로 거치 될 수 있다.
특히, 카라비너 160에 걸어두는 용도로 그물망 162이 더 포함된다.
상기 그물망 162을 적용시키는 이유는, 물기나 땀에 젖은 수건, 옷 등의 옷가지 등을 수납하여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젖은 상태의 옷가지가 그물망 162에 담겨진 상태에서 벨트 104에 거치됨으로서, 외부 공기와 통기성을 확보함에 따라 젖은 상태의 옷가지가 냄새 없이 신속히 건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국, 모자 또는 젖은 옷가지 등을 벨트 104에 카라비너 160을 이용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배낭 100 내부에 수납하지 않고 보관이 가능한 동시에 벨트 104를 통한 외부 거치를 가능하도록 하여 통기력을 향상시켜 신속하게 젖은 모자 또는 옷가지 등이 건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3 내지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벨트 104에 파우치 15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허리에 매도록 상기 배낭 100 배면 하부에 벨트 104를 설치하되, 상기 벨트 104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파우치 150의 내부공간에는 자주 사용되는 개인 용품 즉, 휴대폰, 열쇠, 현금, 카드 등 자주 사용되는 용품들을 보관하여 편리하게 외부로의 반출을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조명을 발휘할 수 있는 손전등 또는 휴대폰 등을 수납할 경우 야간산행을 위한 조명 거치 효과를 갖을 수 있다.
즉, 야간산행 등 외부의 조명 환경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 손전등을 이용하게 된다.
하지만, 산행에 필요한 손전등을 손에 파지하여 사용할 경우 등산용 스틱을 사용하지 못하거나, 다른 용품을 추가로 손에 파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은 도보 동작시 신체에서 제일 흔들림이 작은 허리 위치에 파우치 150을 배치시키고, 상기 파우치 150 내부에 휴대폰 또는 손전등을 등을 탑재시켜 빛을 전방으로 흔들림 없이 안전하게 조사할 수 있다.
이는, 야간 도보 동작시 흔들림이 작은 상태로 조명을 전방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한 도보 동작을 가능하도록 길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상체와 하체의 중간 부위인 허리 또는 골반 부위에 위치한 벨트 104에 걸이대를 이용하여 파우치 150을 거치함으로서, 벨트 104가 골반에 걸쳐져 배낭 100의 무게 뿐만 아니라 파우치 150의 무게를 분산시켜 보다 효율적인 도보 동작을 돕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파우치 150은 눌러도 압축되지 않는 딱딱한 재질로 적용하여
상기 파우치 150에 썬글라스와 같은 파손되기 쉬운 물건을 파손되지 않게 보관 할 수 있으며, 또한, 허리띠에 연결된 파우치 150을 등 뒤 부분에 위치시킬 경우 인체의 등과 배낭 100의 배면 사이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밀착에 의한 땀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배낭 100은, 배낭 100에 설치한 벨트 104를 통해 상체와 하체의 중간 부위인 허리 또는 골반 부위에 위치하도록 하여 벨트 104에 결합시킨 카라비너 160을 이용하여 다양한 물품 또는 그물망 162을 거치함으로서, 벨트 104가 골반에 걸쳐져 배낭 100의 무게가 분산되는 동시에 물품의 무게도 분산시켜 보다 효율적인 도보 동작을 돕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파우치 150 내부에 개인용품 이외에 빛을 발생시킬 수 있는 휴대폰 또는 손전등을 등을 탑재시켜 파우치 150의 투명창 151을 통해 빛을 전방으로 흔들림 없이 안전하게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야간 산행 시에도 손으로 스틱을 파지한 상태로 전방 좌우 중앙에 빛을 흔들림 없이 조사할 수 있어 안전한 야간 산행을 돕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낭 100에는 우천시 배낭 100을 덮어 배낭 100을 보호하는 보호커버 170이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 170을 길이방향으로 반으로 접은 좌우 양 측에는 상기 양측 서로를 체결하는 체결부재 171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보호커버 170을 길이방향으로 반으로 접었을 때, 서로 마주보는 좌우 양 끝단 서로에 서로를 체결하는 체결부재 171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서로를 체결할 경우 보호커버 170 내부에 상기 제3공간 131이 형성됨으로 상기 보호커버 170에 제1,2 결합부 140을 설치하면 상기 보호커버 170을 상기 제3수납부 130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 171은 단추 142와 단추 142 구멍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배낭 103 : 어깨끈
104 : 벨트 110 : 제1수납부
111 : 제1공간 120 : 제2수납부
121 : 제2공간 125 : 손잡이공
130 : 제3수납부 131 : 제3공간
132 : 연결끈 140 : 결합부
141 : 버클 141a : 숫버클
141b : 암버클 142 : 단추
142a : 단추구멍 150 : 파우치
151 : 투명창 160 : 카라비너
161 : 고리 162 : 그물망
170 : 보호커버 171 : 체결부재

Claims (11)

  1. 한 쌍의 어깨끈이 배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물건을 담는 제1공간을 형성한 제1수납부;
    상기 제1수납부 외측에 설치되어 제1공간과 구분되어 물건을 담는 제2공간을 형성한 제2수납부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2수납부 내부에 물건을 담는 제3공간을 형성한 제3수납부가 설치되되,
    상기 제3수납부는 제2수납부에서 꺼내질 경우 제2수납부 전면에 하부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하고,
    상기 제2공간 내부와 상기 제3수납부 상부가 결합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제1수납부, 제2수납부 및 제3수납부에 각각 형성된 제1공간, 제2공간 및 제3공간에 물건을 담을 수 있도록 각각 입구가 형성되되,
    상기 제3수납부가 상기 전면 상부에서 하부까지를 덮을 수 있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1수납부와 제2수납부 및 제3수납부 입구가 전면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제3수납부가 상기 전면 상부에서 하부까지를 덮을 수 있게 설치되도록 하는 동시에 펼쳐진 제3수납부가 이동시 흔들거리지 않게 고정되도록 펼쳐진 제3수납부가 이동시 흔들거리지 않게 고정되도록 어깨끈 및 제2수납부 외측 전면 상부 및 하부 밑면에 설치한 결합부를 통해 제3수납부가 연결되며,
    상기 결합부와 제3수납부의 결합은 버클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허리에 매도록 상기 배낭 배면 하부에 벨트를 설치하여,
    상기 벨트에 이동 가능하게 파우치를 설치하되,
    상기 파우치 전면은 투명창이 설치되어 파우치 내부에 수납한 손전등 또는 핸드폰의 조명이 외부로 발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는 눌러도 압축되지 않는 딱딱한 재질로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066124A 2019-05-10 2019-06-04 배낭 KR102104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07804.8A CN113286927A (zh) 2019-05-10 2020-04-29 背包旅行睡眠用品、背囊
PCT/KR2020/005691 WO2020231050A1 (ko) 2019-05-10 2020-04-29 백패킹 취침용품, 배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706 2019-05-10
KR20190054706 2019-05-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4632B1 true KR102104632B1 (ko) 2020-04-24

Family

ID=70465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124A KR102104632B1 (ko) 2019-05-10 2019-06-04 배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6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1050A1 (ko) * 2019-05-10 2020-11-19 부경 백패킹 취침용품, 배낭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0952B1 (en) * 1999-10-15 2001-05-15 Jay Arthur Jupiter Sundry pouch for backpacks
KR200404894Y1 (ko) * 2005-10-06 2005-12-29 허영완 우의가 부착된 배낭
KR20080011250A (ko) * 2006-07-29 2008-02-01 박종병 농업용 다목적 배낭
KR20140054626A (ko) 2012-10-29 2014-05-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US9119448B1 (en) * 2005-10-03 2015-09-01 Jr286 Technologies, Inc. Carrying bags and backpacks with expandable retainer to contain and securely carry large objects
JP3214597U (ja) * 2017-11-08 2018-01-25 サンスター文具株式会社 バッ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0952B1 (en) * 1999-10-15 2001-05-15 Jay Arthur Jupiter Sundry pouch for backpacks
US9119448B1 (en) * 2005-10-03 2015-09-01 Jr286 Technologies, Inc. Carrying bags and backpacks with expandable retainer to contain and securely carry large objects
KR200404894Y1 (ko) * 2005-10-06 2005-12-29 허영완 우의가 부착된 배낭
KR20080011250A (ko) * 2006-07-29 2008-02-01 박종병 농업용 다목적 배낭
KR20140054626A (ko) 2012-10-29 2014-05-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JP3214597U (ja) * 2017-11-08 2018-01-25 サンスター文具株式会社 バッ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1050A1 (ko) * 2019-05-10 2020-11-19 부경 백패킹 취침용품, 배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9153A (en) Mens purse
US4563777A (en) Combination cargo pack
US6923352B2 (en) Luggage container with concealed carrying means
US5887770A (en) Convertible waist pack, day backpack and shoulder bag
US10973309B2 (en) Jacket and combination backpack
US6112961A (en) Multiple purpose ankle pouch
US20070108240A1 (en) Utilitarian object collapsible on itself
EP2826399A1 (en) Pocket system to combine the functionality of a bag and apparel
US20200107594A1 (en) Packable Garment Convertible to a Carry-On Bag
US20170280793A1 (en) Convertible garment bag
US20050133558A1 (en) Multiple-use cover with see through carrying article
US4164308A (en) Lady's handbag
US20120031935A1 (en) Personal Item Carrier With Seating Cushion
KR102104632B1 (ko) 배낭
US20210368951A1 (en) Pouch
US20040206791A1 (en) Backpack-shaped wrist pack
US9770085B2 (en) Backpack with electronic device storage and umbrella compartment
US10182632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nd protecting keys and personal accessories
US20110315285A1 (en) Configurable purse to be worn around a leg, sustained at a waist belt or hanging from a shoulder strap
US20090220177A1 (en) Gym Buddy
US20170143104A1 (en) Inline skate sling convertible shoe backpack
KR101495703B1 (ko) 여행용 가방
US11406170B1 (en) Fully-featured minimalist backpack
US20200022432A1 (en) Mobile Pocket Glove and Non-gender Hand Wallet
US20150173476A1 (en) Cross-body hand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