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330B1 - 보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장치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보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장치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330B1
KR102104330B1 KR1020190079873A KR20190079873A KR102104330B1 KR 102104330 B1 KR102104330 B1 KR 102104330B1 KR 1020190079873 A KR1020190079873 A KR 1020190079873A KR 20190079873 A KR20190079873 A KR 20190079873A KR 102104330 B1 KR102104330 B1 KR 102104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security
function
unit
reali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진남
정경신
이준석
안승도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9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보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장치의 구동 방법이 개시된다.
증강현실 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보안 설정부가 자동 실행되는 단계; 및 자동 실행된 상기 보안 설정부가, 보안 정책에 따라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기능, USB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기능, 무선랜 통신부를 통한 통신 기능이 차단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보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장치의 구동 방법{DRIVING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APPARATUS HAVING SECURITY FUNCTION}
본 발명은 보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정된 장소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로, 사용자가 좀 더 직관적인 정보 획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술이다.
정보기술의 발달로 증강현실은 게임, 마케팅, 의료, 교육, 군사, 방위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군사, 방위산업 분야에서는 장비의 운용 및 정비에 대한 효율적인 교육을 위하여, 증강현실을 활용한 교육 컨텐츠를 개발하여 교육에 활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증강현실 장치를 군사, 방위산업 분야에서 활용함에 있어 정보 유출 등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 설정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증강현실 장치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증강현실 장치에 카메라 기능을 중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카메라 기능을 중지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실행 또는 실행 종료되며, 실행되는 동안에는 카메라 촬영 기능을 강제적으로 차단시키고, 실행되지 않는 동안에는 카메라 촬영 기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카메라 기능을 중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증강현실 장치에 설치하여 정보 유출을 차단하는데,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동안에만 카메라 촬영 기능이 중지되고, 카메라 기능을 중지시키는 것 만으로는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으므로, 보안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3203호(공개일 2015.02.04.)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한된 장소에서만 증강현실 장치가 운용되도록 하며, 전원 인가시 보안 어플리케이션이 자동 실행되어 영상 저장, 데이터 전송 등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장치의 구동 방법은, 증강현실 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보안 설정부가 자동 실행되는 단계; 및 자동 실행된 상기 보안 설정부가, 보안 정책에 따라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기능, USB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기능, 무선랜 통신부를 통한 통신 기능이 차단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안 설정부가, 상기 보안 정책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한 통신 기능이 차단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안 설정부가, 상기 보안 정책에 따라 화면 미러링부를 통한 미러링 기능이 차단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GPS 수신부가 자동 실행되어 증강현실 장치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증강현실 장치가 허가된 지역을 벗어나면, 증강현실 장치를 잠금 상태로 자동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한된 장소에서만 증강현실 장치가 운용되도록 하며, 전원 인가시 보안 어플리케이션이 자동 실행되어 영상 저장, 데이터 전송 등을 차단함으로써, 증강현실 장치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장치(100)는 카메라부(110), 증강현실부(115), 디스플레이부(120), 메모리부(125), USB 인터페이스부(130), 이동 통신부(135), 무선랜 통신부(140), 근거리 무선 통신부(145), 화면 미러링부(150), GPS 수신부(155), 자이로 센서부(160), 전원 인가부(165), 보안 설정부(17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부(110)는 실사 영상(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한다.
증강현실부(115)는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에 대응하여 검색된 부가 정보를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중첩시켜 증강 영상을 생성한다.
여기서 부가 정보는 장비의 운용 및 정비 교육에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증강현실부(115)에서 생성된 증강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s), OLED(Organic 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 센서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부(125)는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한다.
메모리부(125)는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 또는 데이터, 각각의 객체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저장한다.
USB 인터페이스부(130)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통해 접속된 단말 또는 저장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동 통신부(135)는 3G, 4G(LTE), 5G 등의 이동 통신망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랜 통신부(140)는 무선랜 통신 방식에 따라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랜 통신부(140)는 WIFI 모듈, WLAN 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45)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45)는 지그비(Zigbee)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Z-웨이브 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화면 미러링부(150)는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화면과 동일한 미러링 화면을 싱크되어 있는 장치로 전송한다.
GPS 수신부(155)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측위 정보를 수신하여 증강현실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추적한다.
자이로 센서부(160)는 자세 측위 장치로서 증강현실 장치(100)의 자세 정보를 측정한다.
전원 인가부(165)는 증강현실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110, 115, …, 160, 170)에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보안 설정부(170)는 전원이 인가되면 자동 실행되어 보안 정책에 따라,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메모리부(125)에 저장되는 기능, USB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기능, 무선랜 통신부(140)를 통한 통신 기능, 근거리 무선 통신부(145)를 통한 통신 기능, 화면 미러링부(150)를 통한 미러링 기능 등이 차단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보안 설정부(170)는 GPS 수신부(155)를 통해 실시간 측정되는 증강현실 장치(100)의 현재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증강현실 장치(100)가 허가된 지역을 벗어나면, 증강현실 장치(100)를 잠금 상태(예를 들어, 화면 잠금 등)로 자동 전환하여. 증강현실 장치(100)의 기능을 전면적으로 사용할 수 없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보안 설정부(170)는 H/W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구현되어 보안 설정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보안 설정 기능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여 증강현실 장치(100)에 탑재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기본(default) 어플리케이션으로 탑재하여 사용자로부터 삭제 요구나 공장 초기화 요구가 있더라도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지 않고 계속 실행되어 보안 설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안 설정 기능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증강현실 장치(100)에 관리자 모드로 접근하여 별도의 보안 키(key)를 입력해야 해제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관리자 모드를 통해 보안 키가 입력되면, 보안 설정부(170)는 보안 설정 기능이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안 키의 키 값에 따라 보안 기능 중에서 일부 기능만 수행되도록 보안 설정 기능이 제어될 수도 있다.
관리자 모드는 운용자(사용자)가 아닌 컨텐츠(예를 들어, 군 교육용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 개발업체에서 컨텐츠 업그레이드 및 보안 어플 최신화 등을 위해 사용되는 모드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구성의 증강현실 장치(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이다.
우선, 증강현실 장치(100)를 구동시키고자 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이 온(ON)되면, 전원 인가부(165)는 증강현실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110, 115, …, 160, 170)에 전원을 인가한다(S10).
상기한 단계 S10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보안 설정부(170)는 자동 실행되고, GPS 수신부(155)는 자동 실행되어 증강현실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한다(S20).
상기한 단계 S20을 통해 자동 실행된 보안 설정부(170)는 GPS 수신부(155)와 실시간 연동하여 보안 정책을 수행하되, GPS 수신부(155)를 통해 실시간 측정되는 증강현실 장치(100)의 현재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증강현실 장치(100)가 허가된 지역 즉, 보안 구역 내에서 운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S30).
상기한 단계 S20을 통해 자동 실행되는 보안 설정부(170)는 자동 실행될 때, 보안 기능을 해제시키기 위한 별도의 보안 키(key)가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여 별도의 보안 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보안 설정 기능이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안 키의 키 값에 따라 보안 기능 중에서 일부 기능만 수행되도록 보안 설정 기능이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한 단계 S30의 확인결과 증강현실 장치(100)가 허가된 지역 즉, 보안 구역을 벗어난 경우에는, 증강현실 장치(100)를 잠금 상태(예를 들어, 화면 잠금 상태)로 자동 전환하여 허가된 지역 즉, 보안 구역 외에서는 사용할 수 없도록 한다(S4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증강현실 장치(100)가 허가된 지역 즉, 보안 구역을 벗어난 경우, 증강현실 장치(100)를 잠금 상태로 자동 전환하도록 구현하였으나, 이를 허가된 지역 즉, 보안 구역을 벗어난 경우에는 자동으로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UI(User Interface)를 통한 입력이 차단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단계 S30의 확인결과 증강현실 장치(100)가 허가된 지역 즉, 보안 구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보안 설정부(170)가 보안 정책에 따라 보안 기능을 수행한다(S50).
구체적으로 상기한 단계 S50에서 보안 설정부(170)는 보안 정책에 따라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메모리부(125)에 저장되는 기능이 차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은 오직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고, 객체를 인식하는 데에만 활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단계 S50에서 보안 설정부(170)는 보안 정책에 따라 USB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입출력) 기능이 차단되도록 설정하고, 무선랜 통신부(140)를 통한 통신 기능(예를 들어, WIFI)이 차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단계 S50에서 보안 설정부(170)는 보안 정책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부(145)를 통한 통신 기능(예를 들어, 지그비, 블루투스, RFID, NFC, Z-웨이브 등)이 차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단계 S50에서 보안 설정부(170)는 보안 정책에 따라 화면 미러링부(150)를 통한 미러링 기능(화면전송 기능)이 차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한 단계 S50을 통해 보안 설정부(170)가 보안 정책에 따라 보안 기능이 설정된 후, 증강현실 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증강현실 기능을 수행한다(S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보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장치의 구동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카메라부, 115. 증강현실부,
120. 디스플레이부, 125. 메모리부,
130. USB 인터페이스부, 135. 이동 통신부,
140. 무선랜 통신부, 145. 근거리 무선 통신부,
150. 화면 미러링부, 155. GPS 수신부,
160. 자이로 센서부, 165. 전원 인가부,
170. 보안 설정부

Claims (4)

  1. 증강현실 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보안 설정부가 자동 실행되는 단계;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GPS 수신부가 자동 실행되어 증강현실 장치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자동 실행된 상기 보안 설정부가, 상기 GPS 수신부를 통해 실시간 측정되는 증강현실 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증강현실 장치가 허가된 지역인 보안 구역 내에서 운용되고 있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결과 증강현실 장치가 허가된 지역인 보안 구역을 벗어난 경우에는, 증강현실 장치를 잠금 상태로 자동 전환하여 허가된 지역 외에서는 사용할 수 없게 하는 단계;
    상기 확인결과 증강현실 장치가 허가된 지역인 보안 구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보안 정책에 따라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에만 표시되고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기능이 차단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USB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기능, 무선랜 통신부를 통한 통신 기능,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한 통신 기능, 화면 미러링부를 통한 미러링 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차단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보안 설정부가 자동 실행될 때, 보안 기능을 해제시키기 위한 별도의 보안 키가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여, 별도의 보안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보안 설정 기능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보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장치의 구동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79873A 2019-07-03 2019-07-03 보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104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873A KR102104330B1 (ko) 2019-07-03 2019-07-03 보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장치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873A KR102104330B1 (ko) 2019-07-03 2019-07-03 보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장치의 구동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741 Division 2019-06-28 2019-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4330B1 true KR102104330B1 (ko) 2020-04-27

Family

ID=7046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873A KR102104330B1 (ko) 2019-07-03 2019-07-03 보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장치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33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2296A (ko) * 2004-06-24 2005-12-29 이상근 이동단말 보안기능 자동 설정 장치
KR20140141859A (ko) * 2013-05-31 2014-12-11 대한민국(국방부 공군제83정보통신정비창장) 스마트폰 통제방법
KR20150013203A (ko) 2012-07-13 2015-02-04 인텔 코오퍼레이션 보안 증강 현실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컨텍스트 기반 관리
KR101774877B1 (ko) * 2016-09-09 2017-09-05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력설비 증강현실 제공 시스템
KR101949934B1 (ko) * 2017-11-30 2019-02-19 주식회사 위즈커뮤니케이션즈 증강현실 이미지를 이용한 설비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2296A (ko) * 2004-06-24 2005-12-29 이상근 이동단말 보안기능 자동 설정 장치
KR20150013203A (ko) 2012-07-13 2015-02-04 인텔 코오퍼레이션 보안 증강 현실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컨텍스트 기반 관리
KR20140141859A (ko) * 2013-05-31 2014-12-11 대한민국(국방부 공군제83정보통신정비창장) 스마트폰 통제방법
KR101774877B1 (ko) * 2016-09-09 2017-09-05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력설비 증강현실 제공 시스템
KR101949934B1 (ko) * 2017-11-30 2019-02-19 주식회사 위즈커뮤니케이션즈 증강현실 이미지를 이용한 설비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3487B2 (en) Mobile device security system
JP4334602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0043314B2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10356586B2 (en) Projector and control method
US10187606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system that may restrict or permit image pickup or storage
US20150135163A1 (en) Server providing cloud service, terminal for developer and method for supporting application development using the same
KR102164801B1 (ko) 액세스 포인트 연결 시스템, 방법 및 장치
EP3285505B1 (en) Device mark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KR20150047707A (ko) 전자 장치의 운영체제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KR102126563B1 (ko) 보안 확인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6026939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US20110246903A1 (en) Terminal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collaboration among a plurality of devices
US1017217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display device
KR20130073678A (ko)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9158986A (ja) 電子機器、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電子機器の制御方法、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6569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volume management
JP6547335B2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102104330B1 (ko) 보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장치의 구동 방법
US9632604B2 (en) Input components of a device
CN107924433B (zh) 由受控制的加密密钥管理保护的软件模块的安全进入和退出
US10402562B2 (en) Method and device for encrypting application
KR102364562B1 (ko) 보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장치
KR20160099193A (ko)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기반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6378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ertificate based authentication for tethering
KR20160076565A (ko) 전자 장치 간의 상호 작용을 위한 능동 알림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