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949B1 -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949B1
KR102103949B1 KR1020180096196A KR20180096196A KR102103949B1 KR 102103949 B1 KR102103949 B1 KR 102103949B1 KR 1020180096196 A KR1020180096196 A KR 1020180096196A KR 20180096196 A KR20180096196 A KR 20180096196A KR 102103949 B1 KR102103949 B1 KR 102103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electrode
wafer
capacitance value
control uni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458A (ko
Inventor
이동석
조승래
Original Assignee
(주)제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디 filed Critical (주)제이디
Priority to KR1020180096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949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10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 H01L22/14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lectrical parameters, e.g. resistance, deep-levels, CV, diffusions by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05Measuring capacit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009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plasma specially adapted for examination or treatment of objects, e.g. plasma sources
    • H01J37/32082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공정 모니터링을 위한 상태 측정 장치에 있어서, 특히 챔버 내에서 플라즈마나 기체 등의 상태를 메탈전극을 이용하여 정전용량 방식으로 측정하는 상태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웨이퍼에 형성된 트렌치의 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메탈전극과 제2메탈전극; 상기 제1메탈전극과 상기 제2메탈전극에 공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제1메탈전극과 상기 제2메탈전극 간에 유도된 정전용량 값을 조정하는 제1캐패시터; 상기 제1메탈전극에 기준주파수의 여기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하는 신호생성부; 상기 제2메탈전극에서 출력되는 방전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그리고 상기 디지털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제1캐패시터에 의해 조정된 정전용량 값을 산출하고, 상기 조정된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발명이다.

Description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status in capacitive using contactless metal electrode}
본 발명은 반도체공정 모니터링을 위한 상태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챔버 내에서 플라즈마나 기체 등의 상태를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여 정전용량 방식으로 측정하는 상태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공정으로는 이온주입공정, 성장 및 증착공정, 노광공정, 그리고 식각공정 등이 있는데, 이러한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챔버 내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그에 따라 챔버 내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기술이 계속 연구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진공 상태의 챔버 내에 플라즈마를 형성하고 반응가스를 주입하여 물질막을 증착하거나 식각하는 공정에 플라즈마 장비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플라즈마를 비롯하여 챔버 내부의 물질이나 기체(가스)가 어떤 상태이고 어떤 상황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는지 정확하게 측정하고자 하는 요구가 많다.
랑뮈어 프로브(Langmuir probe)는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이용되는 플라즈마의 전자밀도나 이온밀도를 측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기술이다.
랑뮈어 프로브는 외부에서 챔버 내에 탐침을 삽입시키고 그 탐침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가변하여 플라즈마 특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탐침에 음전위가 인가되면 플라즈마의 양이온이 탐침으로 포집되어 이온에 의한 전류가 발생하며, 반대로 탐침에 양전위가 인가되면 플라즈마의 전자들이 탐침으로 포집되어 전자에 의한 전류가 발생한다. 이때, 이온 또는 전자에 의해 발생된 전류를 측정한 후에 탐침에 인가된 전압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플라즈마 밀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랑뮈어 프로브는 챔버 내에 탐침을 삽입하여 플라즈마의 밀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실시간으로 플라즈마의 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측정을 위해 탐침을 챔버 내에 삽입해야 하기 때문에 증착공정 시에는 증착물질에 의해 탐침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식각공정 시에는 탐침이 식각되어 마모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에 따라 실제 양산공정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그외에 플라즈마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들로서, 플라즈마 오실레이션 탐침이나 플라즈마 흡수 탐침 등이 개발되었지만 플라즈마 오실레이션 탐침은 높은 압력에서 열선이 견디는 동작조건에서만 측정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으며 플라즈마 흡수 탐침은 측정 전에 교정과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과 복잡한 계산과정이 수반되는 단점이 있었다. 결국, 이러한 개량된 기술도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탐침 오염이나 마모와 같은 물리적인 손실 없이 보다 간단하면서도 보다 정확하게 챔버 내의 플라즈마나 기체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탐침을 플라즈마나 기체에 노출시키기 않으면서 챔버 내에서 직접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센싱 기술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부합되는 기술로는 온도 센싱을 위해 개발된 SOW(Sensor On Wafer) 기술이 있다.
SOW는 센싱을 위한 센서와 회로가 웨이퍼에 내장되어 있어서 SOW를 챔버 내부에 로딩하여 직접 챔버 내부에서 원하는 센싱 작업을 수행하도록 해준다. 그러나 SOW가 온도 이외에 플라즈마와 같이 고주파 전력을 인가하여 발생시키는 대상을 센싱하기 위해서는 고주파 전력이 인가될 시에 발생하는 고주파 성분으로 인해 내부 센서나 회로가 오작동하거나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메탈전극에 정전용량을 형성하고 챔버 내에서 특정 물질의 물리량이 변화함에 따른 정전용량 값이나 그의 변화를 산출하여 챔버 내에서 플라즈마나 기체 등의 상태를 측정하도록 해주는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의 특징은, 웨이퍼에 형성된 트렌치의 저면에 일단이 형성되는 제1메탈전극; 일단이 상기 제1메탈전극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트렌치의 저면에 형성되며 타단이 접지되는 제2메탈전극; 상기 제1메탈전극과 비접촉으로 상기 제1메탈전극의 일부 양측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3메탈전극; 상기 제3메탈전극에 기준주파수의 여기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하는 신호생성부; 상기 제1메탈전극의 타단에서 출력되는 방전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그리고 상기 디지털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제1메탈전극과 상기 제2메탈전극 간에 유도된 정전용량 값을 산출하고, 상기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메탈전극과 상기 제3메탈전극에 공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정전용량 값을 조정하는 제1캐패시터와, 상기 제1메탈전극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1캐패시터에 의해 조정된 정전용량 값의 범위를 상기 제어부에서 측정 가능한 값의 범위로 조정하는 제2캐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캐패시터는 상기 정전용량 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용량 값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상기 정전용량 값과 상기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메탈전극과 상기 제2메탈전극과 상기 제3메탈전극과 상기 신호생성부와 상기 변환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통신부는 상기 웨이퍼 내부에 격리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트렌치의 저면에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메탈전극의 일단과 상기 제2메탈전극의 일단을 제외하고 상기 신호생성부와 상기 변환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통신부는 상기 웨이퍼에 형성된 메탈층으로 커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이퍼가 로딩된 챔버 내에서 특정 물질의 물리량이 변화함에 따라 상기 제1메탈전극과 상기 제2메탈전극 간에 유도된 정전용량의 방전량 변화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기 여기신호의 기준주파수를 조절하도록 상기 신호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질은 상기 챔버의 내부에 공급된 플라즈마 또는 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메탈전극과 상기 제3메탈전극 사이에 상기 비접촉을 위한 절연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탈전극은 물론 전체 회로를 웨이퍼에 격리되게 구성하기 때문에 탐침으로 사용되는 메탈전극의 오염이나 마모와 같은 물리적인 손실이 없다.
또한, 비접촉식 메탈전극에 신호를 인가하고 그에 따라 한 쌍의 메탈전극에서 형성되는 정전용량의 값 또는 그의 변화 특히, 방전량의 변화를 산출하여 챔버 내에서의 물리량 변화(플라즈마 밀도 변화나 기체 밀도 변화나 진공 상태 변화 등)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간단하면서도 보다 정확한 모니터링이 가능해 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챔버 내에서 직접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SOW(Sensor On Wafer) 기술에 적용하여 웨이퍼 내부에 격리시키면서도 고주파 성분에 취약한 센서나 회로들은 메탈층으로 커버하기 때문에, 내부 센서나 회로가 오작동하거나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에서 정전용량이 유도되는 메탈전극이 웨이퍼 내부에 구비되는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에서 신호 인가를 위한 비접촉식 메탈전극이 웨이퍼 내부에 구비되는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에서 정전용량이 유도되는 메탈전극과 신호 인가를 위한 비접촉식 메탈전극이 웨이퍼 내부에 구비되는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에서 다수 개의 메탈전극 쌍이 웨이퍼에 배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개의 메탈전극 쌍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에서 정전용량이 유도되는 메탈전극이 웨이퍼 내부에 구비되는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에서 신호 인가를 위한 비접촉식 메탈전극이 웨이퍼 내부에 구비되는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에서 정전용량이 유도되는 메탈전극과 신호 인가를 위한 비접촉식 메탈전극이 웨이퍼 내부에 구비되는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정전용량이 유도되는 메탈전극(30,31)과 신호 인가를 위한 비접촉식 메탈전극(32)을 구비하며, 신호생성부(40)와 변환부(50)와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탈전극(30,31)과 비접촉식 메탈전극(32)은 도 3과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탑재웨이퍼 내부에 격리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를 위한 센서탑재웨이퍼는 제1웨이퍼(10)와 제2웨이퍼(20)가 진공 분위기에서 본딩되어 내부가 외부로부터 차폐된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센서탑재웨이퍼는 내부가 차폐되어 진공 상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센서탑재웨이퍼를 구성하는 제1웨이퍼(10)나 제2웨이퍼(20)는 절연성과 견고성과 열전도성 좋은 실리콘 계열 웨이퍼 또는 세라믹 계열 웨이퍼일 수 있다.
특히, 센서탑재웨이퍼는 소정 깊이의 요부를 형성하는 트렌치(trench)(11)를 구비하며, 메탈전극(30,31)의 일단이 트렌치(11)의 내부에 형성된다. 특히, 트렌치(11)의 저면에 메탈전극(30,31)의 일단이 형성된다.
메탈전극(30,31)은 하나의 쌍을 이루는 제1메탈전극(30)과 제2메탈전극(31)으로 구성된다. 제1메탈전극(30)과 제2메탈전극(31)은 센서탑재웨이퍼를 구성하는 제1웨이퍼(10)나 제2웨이퍼(2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웨이퍼(10)나 제2웨이퍼(2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트렌치(11)의 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메탈전극(30)의 일단이 트렌치(11)의 저면에 형성되며, 제2메탈전극(31)의 일단이 트렌치(11)의 저면에 형성된다. 트렌치(11)의 저면에 형성되는 두 메탈전극(30,31)의 일단은 일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트렌치의 저면에 형성된다.
제2메탈전극(31)의 타단은 접지된다.
제3메탈전극(3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메탈전극(30)과 비접촉으로 형성되며, 제1메탈전극(30)의 일부에서 양측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1메탈전극(30)과 제3메탈전극(32)의 사이에는 절연층(17)이 구비되어 제1메탈전극(30)과 제3메탈전극(32) 간의 비접촉을 구성한다.
한편, 메탈전극(30,31) 및 제3메탈전극(32)과 센서탑재웨이퍼 사이에는 절연막(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센서탑재웨이퍼를 구성하는 웨이퍼들 중에서 상부 웨이퍼에 해당하는 제1웨이퍼(10)에 트렌치(11)를 먼저 형성한다. 그 트렌치(11)의 바닥면에 절연막(미도시)을 형성한 후에 그 절연막(미도시) 상에 서로 이격되게 메탈전극(30,31)을 형성하고 또한 그 절연막(미도시) 상에 제1메탈전극(30)의 양측에 인접하게 제3메탈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절연막은 실리콘산화막(SiO2)이나 실리콘질화막(SiNx)일 수 있다.
메탈전극(30,31)은 트렌치(11)가 형성된 트렌치영역(30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며, 제3메탈전극(32)에 신호를 인가하면 비접촉이라도 신호에 의한 전자기파의 영향으로 제1메탈전극(30)과 제2메탈전극(31) 간에 이격된 영역인 트렌치영역(300)에서 정전용량(Cv)이 유도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그 제1메탈전극(30)과 제2메탈전극(31) 간에 유도된 정전용량 값과 그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측정하여 센서탑재웨이퍼가 로딩된 챔버 내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특히, 본 발명의 장치는 센서탑재웨이퍼가 로딩된 챔버 내에서 특정 물질(챔버의 내부에 공급된 플라즈마 또는 기체를 포함)의 물리량이 변화함에 따라 제1메탈전극(30)과 제2메탈전극(31) 간에 유도된 정전용량 값과 그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센서탑재웨이퍼가 로딩된 챔버 내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본 발명의 장치가 제3메탈전극(32)에 신호를 인가함에 따라 제1메탈전극(30)과 제2메탈전극(31) 간에 유도된 정전용량(Cv) 값과 그의 변화를 측정한다는 것은 제1메탈전극(30)과 제2메탈전극(31) 간에 유도된 정전용량의 방전량과 그 방전량 변화를 산출한다는 것과 동일하게 이해될 수 있다.
신호생성부(40)는 트렌치영역(300)에서 정전용량(Cv)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3메탈전극(32)에 기준주파수의 여기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한다. 특히, 신호생성부(40)는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인가하는 여기신호의 기준주파수를 조절한다. 즉, 신호생성부(40)는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의 여기신호를 제3메탈전극(32)에 인가한다. 제어부(60)는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여기신호의 기준주파수를 조절하도록 제어하여 신호생성부(40)가 물질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의 여기신호를 제3메탈전극(32)에 인가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60)는 플라즈마나 특정 기체가 반응하는 최적의 주파수로 기준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제어부(60)는 센서탑재웨이퍼(100)가 챔버에 로딩될 때 어떤 공정에 사용되는지에 따라 신호생성부(40)의 기준주파수를 조절하고, 그에 따라 신호생성부(40)는 제어부(60)에 의해 조절된 주파수의 여기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여기신호는 사인파, 구형파, 삼각파 등의 교류파형일 수 있으며, 신호생성부(40)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변환부(50)는 제1메탈전극(30)의 타단에서 출력되는 방전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부(50)는 방전신호를 소정 비트열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제어부(60)는 변환부(5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신호를 사용하여 제1메탈전극(30)과 제2메탈전극(31) 간에 유도된 정전용량(Cv) 값과 그의 변화량을 산출한다. 여기서, 제어부(60)는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방전정보를 사용하므로 센서탑재웨이퍼가 로딩된 챔버 내에서 특정 물질의 물리량이 변화함에 따라 제1메탈전극(30)과 제2메탈전극(31) 간에 유도된 정전용량의 방전량과 그 방전량의 변화를 산출할 수 있다.
변환부(50)와 제어부(60)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connect) 버스나 I2C(Inter-Integrated Circuit) 버스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60)는 센서탑재웨이퍼(100)가 로딩된 공간(챔버 내부)에서 특정 물질의 물리량이 변화함에 따라 메탈전극(30,31) 간에 형성된 정전용량의 방전량 변화를 산출한다. 여기서, 물질은 공간(챔버 내부)에 공급된 플라즈마 또는 기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메탈전극(30)과 제2메탈전극(31) 간에 유도된 정전용량(Cv) 값과 그의 변화량을 산출할 시에, 정전용량(Cv) 값을 조정하고 정전용량(Cv) 값의 측정 범위를 조정하기 위한 구성이 요구된다. 이는 온도나 유전율 등의 원인으로 인해 음의 정전용량 값이 산출될 수 있고 또한 챔버 내의 물질에 따라 제어부(60)에서 산출할 수 없는 범위의 정전용량이 유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제1메탈전극(30)과 제2메탈전극(31) 간에 유도된 정전용량(Cv) 값을 조정하기 위한 제1캐패시터(Cd)와 제2캐패시터(Cr)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캐패시터(Cd)는 Rx단(수신단)에 해당하는 제1메탈전극(30)과 Tx단(송신단)에 해당하는 제3메탈전극(32)에 공통되게 연결되어 제1메탈전극(30)과 제2메탈전극(31) 간에 유도된 정전용량(Cv) 값을 조정한다. 특히 제1캐패시터(Cd)는 제1메탈전극(30)과 제2메탈전극(31) 간에 유도된 정전용량(Cv) 값이 음의 값으로 산출되지 않도록, 제1메탈전극(30)과 제2메탈전극(31) 간에 유도되는 정전용량 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용량 값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60)는 제1캐패시터(Cd)에 의해 조정된 정전용량 값을 산출하고 또한 그 조정된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산출할 수 있다.
제2캐패시터(Cr)는 제1캐패시터(Cd)의 후단에서 제1메탈전극(30)에 직렬로 연결되어 제1캐패시터(Cd)에 의해 조정된 정전용량 값의 범위를 제어부(60)에서 측정 가능한 값의 범위로 조정한다. 제어부(60)는 제1메탈전극(30)과 제2메탈전극(31) 간에 유도된 정전용량(Cv) 값이 상당히 큰 값일 경우 산출이 불가능할 수 있다. 제2캐패시터(Cr)는 제1메탈전극(30)과 제2메탈전극(31) 간에 유도된 정전용량(Cv) 값의 크기에 상관없이 제어부(60)가 정전용량을 산출하도록 해준다.
이와 같이 제어부(60)가 정전용량 값과 그의 변화량을 산출함에 따라 챔버 내에 존재하는 물질의 물리량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제어부(60)와 연동하여 제어부(60)에서 산출된 결과 즉, 제어부(60)에서 산출된 정전용량 값과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플라즈마의 경우, 플라즈마를 형성하기 위한 고주파 전력이 인가됨에 따라 챔버 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데, 그 전기장의 변화를 측정하면 플라즈마의 상태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주파 전력에 의해 일정 수준의 전기장이 챔버 내에 형성되는데, 그 상태에서 제3메탈전극(32)에 인가된 신호에 의해 트렌치영역(300)에 유도된 정전용량(Cv)은 균일한 속도로 충방전을 반복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챔버 내에 전기장의 변화가 발생하면 트렌치영역(300)에 유도된 정전용량(Cv)은 방전속도(방전량)가 변화한다. 전기장의 변화에 따른 방전속도(방전량)의 변화를 산출함으로써 챔버 내의 플라즈마 상태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 즉, 제1메탈전극(30)과 제2메탈전극(31)과 제3메탈전극(32)과 제1캐패시터(Cd)와 제2캐패시터(Cr)와 신호생성부(40)와 변환부(50)와 제어부(60)와 통신부(60)는 센서탑재웨이퍼의 내부에 격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플라즈마의 형성을 위한 고주파 전력이 인가됨에 따라 발생하는 고주파 성분이 내부 회로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 쌍의 메탈전극(30,31)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고주파 성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메탈층(1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트렌치(11)의 저면에서 서로 대향하는 제1메탈전극(30)의 일단과 제2메탈전극(31)의 일단을 제외하고 신호생성부(40)와 변환부(50)와 제어부(60)와 통신부(70)는 센서탑재웨이퍼에 형성된 메탈층(15)으로 커버될 수 있다. 또한, 메탈층(15)은 신호 인가를 위한 제3메탈전극(32)을 더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주파 성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메탈층(15)은 제1웨이퍼(10)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일예로 제1웨이퍼(10)의 하면에만 메탈층이 형성될 수도 있고, 제1웨이퍼(10)의 상면에만 메탈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1웨이퍼(10)의 상면에만 메탈층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메탈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미도시)을 제1웨이퍼(10)의 전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보호막은 산화막 계열일 수 있다. 또한, 제1웨이퍼(10)의 하면에 메탈층이 형성될 경우에는 메탈전극(30,31)과 메탈층 사이에 절연막(16)을 구비할 수 있다.
고주파 성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메탈층(15)은 한 쌍의 메탈전극(30,31)이 이격되게 형성된 트렌치영역(300)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어, 제1웨이퍼(10)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전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메탈전극(30,31)이 이격되게 형성된 트렌치영역(300)에서는 오픈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5에서는 한 쌍의 메탈전극(30,31)과 하나의 비접촉식 메탈전극(32)이 구비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장치는 쌍을 이루는 다수의 메탈전극들과 다수의 비접촉식 메탈전극들을 센서탑재웨이퍼에 배치하여 반도체 공정 중에 챔버 내에 존재하는 물질의 물리량 변화는 물론 균일도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에서 다수 개의 메탈전극 쌍이 웨이퍼에 배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개의 메탈전극 쌍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쌍을 이루는 다수의 메탈전극들을 센서탑재웨이퍼에 배치하여 플라즈마 상태 변화, 플라즈마 균일도, 기체 상태 변화, 기체 균일도, 진공 상태 변화 등의 공정 조건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들어, 플라즈마 균일도를 모니터링하는 경우, 도 6에서와 같이 균일한 이격거리로 배치된 트렌치영역(300,310)에 다수의 메탈전극 쌍들이 구비된다. 그 트렌치영역(300,310)에 형성된 메탈전극 쌍들에서 측정되는 플라즈마 상태 변화에서 오차가 발생하는 지의 여부로부터 균일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쌍을 이루는 메탈전극(30,31)은 센서탑재웨이퍼(100)의 다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메탈전극(30,31)의 배치에 대응되게 트렌치영역(300,310)이 다수 영역에 배치된다. 쌍을 이루는 메탈전극(30,31)이 형성되는 트렌치영역(300,310)의 배치 형태는 균일한 이격거리를 갖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쌍을 이루는 메탈전극(30,31)이 센서탑재웨이퍼(100)의 다수 영역에 배치됨에 따라, 먹스(80,81)가 신호생성부(40)의 출력단과 변환부(50)의 입력단에 구비된다.
제1먹스(80)는 다수 트렌치영역(300,310)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비접촉식 메탈전극(32)으로 신호생성부(40)에서 생성된 여기신호를 병렬 출력한다.
제2먹스(81)는 다수 트렌치영역(300,310)에 구비된 메탈전극들로부터 출력되는 방전신호가 병렬 출력됨에 따라, 그 메탈전극별 방전신호를 직렬신호로 변환하여 변환부(50)로 출력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60)는 다수 트렌치영역의 메탈전극에 유도된 정전용량과 그 정전용량의 방전량 변화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장치는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배터리의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충전회로, 제어부에서 산출된 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제1웨이퍼
11: 트렌치
15: 메탈층
20: 제2웨이퍼
30,31,32: 메탈전극
40: 신호생성부
50: 변환부
60: 제어부
70: 통신부
100: 센서탑재웨이퍼
300, 310: 트렌치영역
80,81: 먹스(MUX)

Claims (10)

  1. 웨이퍼에 형성된 트렌치의 저면에 일단이 형성되는 제1메탈전극;
    일단이 상기 제1메탈전극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트렌치의 저면에 형성되며 타단이 접지되는 제2메탈전극;
    상기 제1메탈전극과 비접촉으로 상기 제1메탈전극의 일부 양측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3메탈전극;
    상기 제3메탈전극에 기준주파수의 여기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하는 신호생성부;
    상기 제1메탈전극의 타단에서 출력되는 방전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그리고
    상기 디지털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제1메탈전극과 상기 제2메탈전극 간에 유도된 정전용량 값을 산출하고, 상기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메탈전극과 상기 제3메탈전극에 공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정전용량 값을 조정하는 제1캐패시터와,
    상기 제1메탈전극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1캐패시터에 의해 조정된 정전용량 값의 범위를 상기 제어부에서 측정 가능한 값의 범위로 조정하는 제2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패시터는 상기 정전용량 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용량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상기 정전용량 값과 상기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탈전극과 상기 제2메탈전극과 상기 제3메탈전극과 상기 신호생성부와 상기 변환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통신부는 상기 웨이퍼 내부에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의 저면에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메탈전극의 일단과 상기 제2메탈전극의 일단을 제외하고 상기 신호생성부와 상기 변환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통신부는 상기 웨이퍼에 형성된 메탈층으로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이퍼가 로딩된 챔버 내에서 특정 물질의 물리량이 변화함에 따라 상기 제1메탈전극과 상기 제2메탈전극 간에 유도된 정전용량의 방전량 변화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기 여기신호의 기준주파수를 조절하도록 상기 신호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상기 챔버의 내부에 공급된 플라즈마 또는 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탈전극과 상기 제3메탈전극 사이에 상기 비접촉을 위한 절연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
KR1020180096196A 2018-08-17 2018-08-17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 KR102103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196A KR102103949B1 (ko) 2018-08-17 2018-08-17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196A KR102103949B1 (ko) 2018-08-17 2018-08-17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458A KR20200020458A (ko) 2020-02-26
KR102103949B1 true KR102103949B1 (ko) 2020-04-23

Family

ID=69637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196A KR102103949B1 (ko) 2018-08-17 2018-08-17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9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2141A (ja) * 2013-12-20 2015-07-0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静電容量センサ電極
KR101807492B1 (ko) * 2017-04-28 2017-12-11 (주)에스엔텍 센서 탑재 웨이퍼
KR101833762B1 (ko) 2016-08-30 2018-03-02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즈마 공정용 챔버 내부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2141A (ja) * 2013-12-20 2015-07-0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静電容量センサ電極
KR101833762B1 (ko) 2016-08-30 2018-03-02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즈마 공정용 챔버 내부 관리 시스템
KR101807492B1 (ko) * 2017-04-28 2017-12-11 (주)에스엔텍 센서 탑재 웨이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458A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7393B2 (en) Process condition sensing device and method for plasma chamber
US6716301B2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semiconductor wafer using plasma, and wafer voltage probe
KR101366470B1 (ko) 플라즈마 처리 챔버 내에서 언컨파인먼트를 감지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060827A (ko) 웨이퍼 바이어스 전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20232817A1 (en) Sensor for measuring plasma parameters
US8872525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C bias in a plasma processing chamber
KR102121877B1 (ko) 센서탑재웨이퍼를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
KR20200038440A (ko) 플라즈마 측정용 웨이퍼
JP2001338917A (ja) 半導体製造装置および処理方法、およびウエハ電位プローブ
KR102103949B1 (ko) 비접촉식 메탈전극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
KR102137414B1 (ko)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
KR102103947B1 (ko) 정전용량을 이용하는 상태 측정 장치
WO2021149842A1 (ko)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
KR20190130864A (ko) 플라즈마 측정용 웨이퍼
WO2021006999A1 (en) Process control enabled vdc sensor for plasma process
KR20190130858A (ko) 플라즈마 측정용 웨이퍼
JPH1074481A (ja) イオンエネルギー測定方法及び装置
JP2005142582A (ja) 半導体製造装置および処理方法
WO2021157750A1 (ko) 센서탑재웨이퍼를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상태 측정 장치
KR102056085B1 (ko) 플라즈마 측정용 웨이퍼
KR20200038900A (ko) 플라즈마 측정용 웨이퍼
US20240118328A1 (en) In-situ electric field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200038441A (ko) 플라즈마 측정용 웨이퍼
US200600490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control and monitor of deposition processes
KR102632552B1 (ko) 플라즈마 진단기능 및 유전체 두께 측정기능을 갖는 센서, 이를 구비하는 공정장치 및 공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