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401B1 - 샌드 팩터 - Google Patents

샌드 팩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401B1
KR102103401B1 KR1020180063022A KR20180063022A KR102103401B1 KR 102103401 B1 KR102103401 B1 KR 102103401B1 KR 1020180063022 A KR1020180063022 A KR 1020180063022A KR 20180063022 A KR20180063022 A KR 20180063022A KR 102103401 B1 KR102103401 B1 KR 102103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input
centrifugal force
rotor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6837A (ko
Inventor
이종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산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산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산기공
Priority to KR1020180063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401B1/ko
Publication of KR20190136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투입호퍼에 공급된 골재를 적정량으로 투입시켜 파쇄 효율성을 높이도록 함과 아울러 투입호퍼에 과잉공급되어 오버플로우 되는 골재 또한 파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샌드 팩터의 투입호퍼의 투입구에 골재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투입구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되는 투입량 조절부; 및 상기 투입호퍼에는 골재의 과잉공급시 골재의 배출과 함께 하부 측의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되는 골재 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샌드 팩터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샌드 팩터에서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되어 파쇄되는 골재는 물론 과잉공급에 의해 배출되는 골재의 우수한 파쇄 효율성으로 인한 파쇄하고자 하는 골재의 전체적인 파쇄 효율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샌드 팩터{Sandpactor}
본 발명은 샌드 팩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투입호퍼에 공급된 골재를 적정량으로 투입시켜 파쇄 효율성을 높이도록 함과 아울러 투입호퍼에 과잉공급되어 오버플로우 되는 골재 또한 파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샌드 팩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샌드 팩터는 자갈을 포함하는 골재를 투입하여 파쇄로터에 의해 파쇄함으로써, 골재의 크기나 모양을 개선하거나 모래를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샌드 팩터는 기대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 사이의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상기 모터로부터 벨트를 통하여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이 세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상측에는 로터가 구비되고, 이 로터의 내측에는 투입호퍼의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골재를 받아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하는 분사콘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로터의 외측에는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던져진 골재가 부딪치면서 파쇄되는 복수의 파쇄실이 구비된다.
그에 따라 투입구를 거쳐 골재가 투입되면 회전되는 로터의 내측으로 낙하된 골재가 분사콘에 충돌하여 부딪힌 후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던져지듯이 배출되면서 외측에 위치한 파쇄실에 부딪치게 됨에 따라 골재는 그 크기나 형상이 변하여 하측으로 낙하 된다.
그러나 투입호퍼에 형성된 투입구는 소정 직경을 가지는 관통된 형태이므로 항시 일정량이 하부로 배출됨으로써, 경우에 따라 로터와 분사콘으로 투입량의 조절이 요구될 때, 투입량을 조절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다. 즉 파쇄량에 비하여 투입량이 부족하거나 과다할 경우 오히려 파쇄 성능을 저해하는 단점을 가진다.
아울러, 투입호퍼에 공급되는 골재가 과잉으로 공급될 경우, 그 투입호퍼의 상부로 넘쳐 샌드 팩터의 부품이나 기기를 손상시키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골재를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하여 분쇄하는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295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5-188771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1089호에 게시된 바 있다(이하 '선행기술문헌들'이라 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295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5-18877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1089호
그러나 선생기술문헌들 또한 공급되는 골재를 파쇄하고자 하부로 투입시 투입량을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진다.
또한, 골재가 과잉공급될 때, 이 또한 과잉 공급된 골재의 넘침으로 인한 문제점인 샌드 팩터의 부품이나 기기를 손상시키는 단점을 그대로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투입호퍼에 공급된 골재를 적정량으로 투입시켜 파쇄 효율성을 높이도록 함과 아울러 투입호퍼에 과잉공급되어 오버플로우 되는 골재 또한 파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샌드 팩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투입호퍼로부터 오버플로우 되는 골재의 파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수단은 밑면에 공급된 골재를 파쇄하기 위해 투입되도록 투입구가 형성되는 투입호퍼와, 상기 투입호퍼의 하부에 회전축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내부에 투입된 골재를 받아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하는 분사콘과, 상기 로터의 외측에 마련된 셀(Shell)의 내측에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된 골재가 부딪쳐서 파쇄되는 복수의 파쇄실을 포함하는 샌드 팩터로서, 상기 투입호퍼의 투입구에 골재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투입구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되는 투입량 조절부; 및 상기 투입호퍼에는 골재의 과잉공급시 골재의 배출과 함께 하부 측의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되는 골재 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량 조절부는 투입구의 밑면에 구동수단에 의해 양측에 마련되는 가이드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투입구의 폭을 조절하는 조절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플레이트는 투입구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투입구의 폭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플레이트는 양 분할되어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투입구의 폭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투입호퍼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배출공, 상기 배출공이 형성된 투입호퍼의 외측면에 그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골재를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되는 골재 측으로 안내하도록 장착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배출공 측으로부터 로터와 분사콘으로부터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되는 골재의 반대 방향 측으로 안내하도록 유선형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샌드 팩터의 투입호퍼에 공급된 골재를 적정량으로 투입시켜 파쇄 효율성을 높이도록 함과 아울러 투입호퍼에 과잉공급되어 오버플로우 되는 골재 또한 파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샌드 팩터에서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되어 파쇄되는 골재는 물론 과잉공급에 의해 배출되는 골재의 우수한 파쇄 효율성으로 인한 파쇄하고자 하는 골재의 전체적인 파쇄 효율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투입호퍼로부터 오버플로우 되는 골재의 파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즉 파쇄를 위해 로터 및 분사콘에서 방사상으로 분사되는 골재와 오버플로우 되는 골재를 반대 방향으로 공급함에 따른 골재 간의 파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샌드 팩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단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샌드 팩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샌드 팩터(100)는 공지된 방식에 의해 투입되는 골재를 파쇄하여 그 골재의 크기나 모양을 개선하거나 모래를 생산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통상적인 샌드 팩터(100)는 기대(110)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모터(120)와, 상기 모터(120) 사이의 셀(130)의 내부 중앙에 상기 모터(120)로부터 벨트 등을 통하여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40)이 세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40)의 상측에는 로터(142)가 구비되고, 이 로터(142)의 내측에는 상부로부터 투입되는 골재를 받아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하는 분사콘(14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로터(142)의 상부에는 공지된 방식에 의해 공급되는 골재가 수용된 후 밑면에 하부의 로터 측으로 골재를 투입하는 투입구(152)가 형성된 투입호퍼(15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투입호퍼(150)는 통상적인 프레임에 의해 로터(142)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호퍼(150)의 보호와 함께 후술하는 투입호퍼(150)에 과잉공급되어 오버플로우 되는 골재가 외부로 비산되지 않고 로터(142) 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셀(130)의 상부에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구비되는 외측 투입호퍼(150A)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로터(142)의 외측에는, 즉 셀(130)의 내측에는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던져진 골재가 부딪치면서 파쇄되는 복수의 파쇄실(146)이 구비된다.
그에 따라 투입호퍼의 투입구를 거쳐 골재가 투입되면 회전되는 로터의 내측으로 낙하 된 골재가 분사콘에 충돌하여 부딪힌 후 원심력에 의해 로터를 거쳐 외측으로 던져지듯이 배출되어 외측에 위치한 파쇄실에 부딪치게 됨에 따라 골재는 그 크기나 형상이 변하여 하측으로 낙하 된다.
그러나 로터 측으로 골재가 투입되는 투입호퍼에 형성된 투입구는 투입량을 조절할 수 없는 관계로, 즉 파쇄량에 비하여 투입량이 부족하거나 과다할 경우 오히려 파쇄 성능을 저해하는 단점을 가진다.
또, 투입호퍼에 과잉 공급된 골재의 넘침으로 인한 문제점인 샌드 팩터의 부품이나 기기를 손상시키는 단점도 가진다.
본 발명은 투입호퍼에 공급된 골재를 적정량으로 투입시켜 파쇄 효율성을 높이도록 함과 아울러 투입호퍼에 과잉공급되어 오버플로우 되는 골재 또한 파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재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것은 상기 투입호퍼(150)의 투입구(152)에 하부의 로터(142)에 골재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투입구(152)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되는 투입량 조절부(1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파쇄하고자 투입호퍼에 공급된 골재를 상기 투입량 조절부에 의해 로터의 투입량을 조절함으로써, 파쇄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투입구의 하부 측에서 투입구를 거쳐 투입된 골재를 로터와 분사콘이 회전되면서 그 투입된 골재를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시켜 파쇄실과 충돌시켜 파쇄하는 과정에서 투입량이 과다할 경우,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키는 골재와 상부에서 투입되는 골재와의 간섭이나 충돌에 의해 원활하게 분사시키지 못함으로 인한 파쇄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투입량이 적을 경우,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시켜 파쇄 효율성은 높일 수 있으나, 파쇄량이 적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에 따라 투입량 조절부를 통하여 투입구의 폭을 조절하여 골재가 적정량으로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하부의 로터와 분사콘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시키는 효율성은 물론 그로 인한 파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조건을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투입호퍼(150)에는 골재의 과잉공급시 골재의 배출과 함께 하부 측의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되는 골재 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2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골재의 과잉공급시 투입호퍼의 상부로 넘치는 것이 아니라 하부 측의 파쇄를 위해 방사상으로 분사되는 골재 측으로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함에 따라 분사콘과 로터의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되는 골재와 충돌되어 파쇄되거나 혹은 그 원심력에 의해 분사되는 골재와 함께 파쇄실 측으로 분사되어 파쇄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로 인해 과잉공급되어 투입호퍼로부터 떨어지는 골재 또한 파쇄됨으로 인한 파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된다.
투입량 조절부(10)는 투입구(152)의 밑면에 통상적인 실린더 또는 모터와 동력전달수단이 연결되는 구동수단(12)에 의해 양측에 마련되는 가이드레일(14) 상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투입구(152)의 폭을 조절하는 조절플레이트(16)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플레이트(16)는 투입구(152)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투입구(152)를 폭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수단과 조절플레이트는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조절플레이트 또는 구동수단의 이상 시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투입구의 폭 조절은 구동수단에 의해 조절플레이트를 가이드레일 상에서 슬라이딩시켜 조절하되, 하부의 로터와 분사콘의 회전에 따른 처리 정도를 사전에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를 통하여 투입구의 폭을 조절한다.
그에 따라 투입호퍼에 공급되는 골재를 투입량 조절부인 구동수단과 조절플레이트에 의해 투입구의 폭을 조절하여 하부의 로터와 분사콘으로의 투입을 적정하게 투입시킴으로써, 즉 너무 과하거나 부족하지 않게 적정하게 투입시킴에 따라 골재의 파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투입구의 폭을 조절하는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플레이트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절플레이트의 슬라이딩 폭을 도 3에서와같이 최소화된 상태로도 투입구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구동수단(12)에 의해 가이드레일(14) 상에서 슬라이딩 되는 상기 조절플레이트(16)는 양 분할되어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투입구(152)의 폭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 분할된 조절플레에는 각각의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구동수단에 의해 통상적인 동력전달방식에 의해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로 인해 투입구의 폭 조절을 양 분할된 조절플레이트에 의하여 최소한의 슬라이딩 폭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조절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도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가이드부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을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이드부(20)는 투입호퍼의(150) 측면에 과잉공급된 골재가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배출공(22)과, 상기 배출공(22)이 형성된 투입호퍼(150)의 외측면에 그 배출공(22)을 통하여 배출되는 골재를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되는 골재 측으로 안내하도록 장착되는 가이드 부재(24)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과잉공급에 의해 골재가 투입호퍼의 상부로 넘치는 것이 아니라 그 투입호퍼의 측면에 형성되는 배출공을 통하여 하부 측의 로터와 분사콘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되는 골재 측으로 안내함에 따라 그 방사상으로 분사되는 골재와 충돌되어 파쇄되거나 혹은 그 원심력에 의해 분사되는 골재와 함께 앤빌 측으로 분사되어 파쇄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로 인해 과잉공급되어 투입호퍼로부터 떨어지는 골재 또한 파쇄됨으로 인한 파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 부재를 통하여 하부로 떨어지는 골재를 방사상으로 분사되는 골재와의 충돌력을 높여 파쇄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 또한 제공한다.
가이드 부재(24)는 배출공(22) 측으로부터 로터와 분사콘으로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되는 골재의 반대 방향 측으로 안내하도록 유선형 형태로 형성된다.
즉, 로터와 분사콘의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되는 골재가 정방향일 경우, 상기 가이드 부재는 그 반대 측인 역방향으로 위치하여 과잉공급되어 배출공을 거쳐 가이드 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골재는 상기 정방향의 방사상으로부터 분사되는 골재와 반대 방향에서 충돌이 발생함으로써, 그 충돌력을 더 크게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그에 따라 골재 간의 충돌력이 커짐으로 인한 파쇄력 또한 증대되어 파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이는, 과잉공급되어 배출되는 골재를 별도의 충돌력을 부가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원리에 의해, 즉 로터와 분사콘의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되는 골재와 반대 방향으로 과잉공급되어 배출되는 골재를 공급함으로써, 골재 간의 충돌력을 높여 파쇄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그로 인해 로터와 분사콘의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되는 골재는 물론 과잉공급되어 배출되는 골재 또한 높은 파쇄 효율성을 가짐은 물론 원심력에 의해 분사되는 골재와 함께 앤빌 측으로 분사되어 파쇄되는 효율성도 극대화된다.
10 : 투입량 조절부
12 : 구동수단 14 : 가이드 레일
16 : 조절플레이트
20 : 가이드부
22 : 배출공 24 : 가이드 부재
100 : 샌드 팩터
110 : 기대 120 : 모터
130 : 셀 140 : 회전축
142 : 로터 144 : 분산콘
146 : 파쇄실 150 : 투입호퍼
150A : 외측 투입호퍼 152 : 투입구

Claims (6)

  1. 밑면에 공급된 골재를 파쇄하기 위해 투입되도록 투입구가 형성되는 투입호퍼와, 상기 투입호퍼의 하부에 회전축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내부에 투입된 골재를 받아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하는 분사콘과, 상기 로터의 외측에 마련된 셀의 내측에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된 골재가 부딪쳐서 파쇄되는 복수의 파쇄실을 포함하는 샌드 팩터로서,
    상기 투입호퍼의 투입구에 골재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투입구의 밑면에 구동수단에 의해 양측에 마련되는 가이드레일 상에서 양 분할되어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투입구의 폭을 조절하는 조절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투입량 조절부; 및
    상기 투입호퍼에는 골재의 과잉공급시 골재의 배출과 함께 하부 측의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되는 골재 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투입호퍼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 및 가이드 부재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과잉공급된 골재의 우회순환과 적정 투입되는 골재가 로터의 중앙으로 낙하시켜 파쇄 효율을 증대시키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배출공 측으로부터 로터와 분사콘으로부터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사되는 골재의 반대 방향 측으로 안내하여 골재 간의 충동력을 높여 파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유선형 형태로 형성되는 샌드 팩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63022A 2018-05-31 2018-05-31 샌드 팩터 KR102103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022A KR102103401B1 (ko) 2018-05-31 2018-05-31 샌드 팩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022A KR102103401B1 (ko) 2018-05-31 2018-05-31 샌드 팩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837A KR20190136837A (ko) 2019-12-10
KR102103401B1 true KR102103401B1 (ko) 2020-04-23

Family

ID=69003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022A KR102103401B1 (ko) 2018-05-31 2018-05-31 샌드 팩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4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871B1 (ko) 2020-12-21 2023-09-12 경상남도 호흡기 면역력 강화 도라지만두전골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883B1 (ko) * 2005-01-13 2005-08-26 오광기업(주) 샌드 크러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0350B1 (ko) * 1987-04-28 1992-11-27 닛데쯔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로울 파쇄기 및 로울 파쇄기를 사용한 파쇄방법
KR200442956Y1 (ko) 2007-05-03 2008-12-26 크라텍주식회사 수직형 임팩트 크라셔의 분사콘
JP2015188771A (ja) 2014-03-27 2015-11-02 株式会社栗本鐵工所 コーンクラッシャ用マントル
KR101651089B1 (ko) 2015-01-28 2016-08-25 김성회 샌드 크러셔용 로터의 분사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883B1 (ko) * 2005-01-13 2005-08-26 오광기업(주) 샌드 크러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837A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69133B (zh) 破碎机、矿物生产线及物料破碎方法
CN107635665B (zh) 包括转子系统的粉碎机和用于粉碎原料的方法
US10730054B2 (en) Method and device for fragmenting and/or weakening pourable material by means of high-voltage discharges
KR102103401B1 (ko) 샌드 팩터
US6431477B1 (en) Gas flow-type chipping machine
JP2008036599A (ja) 被粉砕物の粉砕装置
RU2385768C1 (ru) Способ измельчения материал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9012979B (zh) 除粉除尘立轴式冲击破碎机及除粉除尘方法
JP2004524133A (ja) 反転可能および非反転性の二次ハンマミルおよび三次ハンマミルにおける改良
CN107185646A (zh) 一种湿煤碎屑二次破碎机
CN220027274U (zh) 一种内部自回料循环型制砂机
CN104646151A (zh) 立轴式冲击破碎机
KR100510883B1 (ko) 샌드 크러셔
US6783092B1 (en) Rock crushers
CN216368313U (zh) 一种噪声小的冲击式破碎机
KR20130123733A (ko) 다중 타격 파쇄장치
WO201007460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льчения материала
KR101756896B1 (ko) 교반식 볼 분쇄장치
CN113578486A (zh) 一种机砂碎石比大范围可调的冲击式破碎装置
CN205435943U (zh) 制砂机
KR100577755B1 (ko) 에어 세퍼레이터
KR20110127542A (ko) 사출부품-연마석 분리장치
CN215612151U (zh) 一种机砂碎石比大范围可调的冲击式破碎装置
KR100698446B1 (ko) 조립기 및 그를 구비한 캔용 재료 처리 장치
CN214021344U (zh) 一种冲击式砂石废料破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