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274B1 - accessories - Google Patents

accessor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274B1
KR102103274B1 KR1020187020770A KR20187020770A KR102103274B1 KR 102103274 B1 KR102103274 B1 KR 102103274B1 KR 1020187020770 A KR1020187020770 A KR 1020187020770A KR 20187020770 A KR20187020770 A KR 20187020770A KR 102103274 B1 KR102103274 B1 KR 102103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nament
locking tool
magnet
tube
magn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7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95908A (en
Inventor
카즈오 오카무라
Original Assignee
호우진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우진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호우진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80095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9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2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루프로 된 링 형으로 간단하고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도난 등에 대한 안전성을 높임과 동시에, 사용자의 장착이 쉽고, 그에 더해 사용자 자신에 의한 장착 및 풀기 조작이 양호한 장착구를 제공한다. 유연성 재료에 의해서 형성된 튜브12와, 튜브12의 내부에 삽입된 자석과, 튜브12의 양단부를 폐쇄하는 캡16, 17과, 튜브12가 삽입되는 유연성이 있는 외피25와, 외피25의 양단부를 폐쇄하는 외캡26, 27을 갖추고 있다. 자석의 흡자력에 의해서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서로 흡착되는 것에 의해 전체가 링 형을 이루게 된다. It is possible to fix it simply and reliably with a ring-shaped loop, and it increases the safety against theft, and at the same time, it is easy for the user to mount, and in addition, it provides a mounting mechanism that is easy to mount and unload by the user himself. The tube 12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he magnet inserted inside the tube 12, the caps 16 and 17 closing both ends of the tube 12, the flexible sheath 25 into which the tube 12 is inserted, and both ends of the sheath 25 are closed. There are 26 and 27 outer caps. The whole of the ring shape is formed by the adsorption force of the magnets so th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adsorbed to each other.

Description

장신구accessories

본 고안은 신체에 둘러 감아서 사용하는 목걸이 등의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ornaments such as necklaces used around the body.

일반적으로 목걸이 등의 장신구는 끈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단에는 서로 짝을 이루어 착탈 가능하게 계지할 수 있는 1쌍의 후크 등으로 이루어지는 멈춤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장신구를 신체의 목 등에 장착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장신구의 양단을 손에 들고, 장신구의 중간 부분을 목의 후방에 배치한 후, 양단을 목의 전방으로 돌려서 두르고, 그 후에 장신구의 양단에 마련된 후크 등의 멈춤구를 계지한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가 목 주변에 링형으로 감겨 닫힌 상태가 된다.In general, ornaments such as necklaces are formed in a string shape, and at both ends there is a stopper formed of a pair of hooks and the like that can be detachably held in pairs. When mounting such ornaments on the neck of the body, the user holds both ends of the ornament in hand, places the middle portion of the ornament on the back of the neck, turns both ends in front of the neck, and then wraps it around both ends of the ornament. Stop the stopper such as the provided hook. Thereby, the ornament is wound around the neck in a ring shape and is closed.

장신구의 멈춤구에는 다양한 구조의 것이 있어, 예를 들어 장신구의 일단측에 출몰할 수 있는 핀을 마련하는 한편, 타단측에 고리를 마련하고, 이 고리에 핀을 통과시켜 양자를 계지시키는 구조의 것, 혹은 장신구의 일단측에 개폐할 수 있는 고리를 마련하고, 이 고리에 장신구의 타단측을 삽입 통과시켜 임의의 지름인 링형으로 해서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한 것 등이 있다.There are various structures in the stopper of the ornament, for example, to provide a pin that can appear on one side of the ornament, while providing a ring on the other end, and passing the pin through the ring to stop both. There may be a structure in which a ring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s provided on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is inserted through the ring to be mounted in a ring shape having an arbitrary diameter.

통상, 이들 멈춤구는 장신구 장식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소형 구성, 예를 들어 손가락으로 겨우 잡을 수 있을 정도의 작은 구성으로 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멈춤구의 경우, 젊은 사람이나 고시력자, 손가락의 감각이 양호한 사람 등에 대해서는 장신구를 장착하거나 떼는 조작 등에 지장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고령자나 저시력자, 손가락 감각이 좋지 않은 사람 등에 대해서는 장신구를 장착하거나 떼는 등의 조작에 어려움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Usually, these stops are often made in a compact configuration, for example, small enough to be held with a finger so as not to affect the ornament decoration effect. In the case of such a stopper, it is often difficult to install or remove ornaments for a young person, a high visual acuity, or a person with a good finger sensation, but for an elderly person, a low visual acuity, a person with a poor finger sensation, etc. Difficulties may arise in operations such as removal.

이것에 대하여, 종래에는 장신구의 장착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목걸이 등의 잠금 수단으로 자석을 채용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끈 형태의 재료에 자석 분말을 혼입하고, 사출 성형이나 삽출 성형으로 플라스틱 마그넷, 혹은 고무 자석으로 구성한 것이 제안되었다(예, 특허 문헌 1, 2 등 참조).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ly, there is a structure in which a magnet is used as a locking means such as a necklace so as to facilitate the attachment operation of the ornament. For example, it has been proposed that a magnetic powder is mixed with a string-like material and composed of a plastic magnet or a rubber magnet by injection molding or injection molding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1 and 2).

특허문헌1: 특개 2002-119313호 공보Patent Document 1: Publication No. 2002-119313 특허문헌2: 특개평 10-165211호 공보Patent Document 2: Publication No. 10-165211

특허 문헌 1,2 등에 기재된 플라스틱 마그넷이나 고무 자석은 자석 재료를 함유하는 양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흡자력이 300가우스 정도로 약하다. 이 때문에, 장신구의 잠금 수단에 적용했을 경우에 강력하게 고정할 수가 없으며, 인력에 의한 인장 작용으로 쉽게 풀린다. 따라서, 이렇게 풀리기 쉬운 장신구를 예를 들면 노인 등이 장착하고 있을 경우, 다른 사람이 장착자에게서 장신구를 떼어내는 도난의 피해가 증가하는 경향에 있다.The plastic magnets and rubber magnet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1 and 2 are limited in the amount containing the magnetic material, and thus the obtained magnetic attraction force is weak, about 300 Gauss. For this reason, when it is applied to the locking means of ornaments, it cannot be strongly fixed, and is easily released by a tensile action by a manpower. Therefore, when an accessory that is easy to loosen is worn, for example, by an elderly person, there is a tendency to increase the damage of theft by someone else removing the ornament from the wearer.

한편, 장신구의 잠금 수단으로 흡자력이 높은 금속 자석을 사용한 잠금 도구를 장신구의 본체 부분과 별도로 만들어, 이 금속 자석을 사용한 잠금 도구를 외부에서 본체 부분에 포함하는 구성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자석의 흡자력이 과도하게 강해져, 이용자 자신이 장신구를 풀기 어려워지는 등 사용 상 불편이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lso known a configuration in which a locking tool using a high-suction metal magnet as a locking means for an accessory is made separately from the body portion of the ornament, and the locking tool using the metal magnet is included in the body portion from the outside. However, in this case, the magnetic attraction force of the magnet becomes excessively strong, and thus the user himself may be uncomfortable in use, such as difficulty in loosening ornaments.

본 고안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루프로 된 링형으로 간단하고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도난 등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는 동시에, 사용자 장착성이 좋고, 나아가 사용자 자신에 의한 장착 및 풀기가 양호한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in view of such circumstances, and it is possible to fix it simply and reliably with a ring-shaped loop, while improving safety against theft, and having good user fit, and furthermore, good accessories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by the user himself. It aims to provide.

본 고안의 장신구는 유연성 재료로 형성된 튜브와 상기 튜브의 내부에 삽입된 자석과 상기 튜브의 양단부를 폐쇄하는 캡과 상기 튜브가 삽입되는 유연성 외피와 상기 외피의 양단부를 폐쇄하는 외캡을 구비하고, 상기 자석의 흡자력에 의해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서로 흡착되는 것에 의해 전체가 링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rna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 magnet inserted inside the tube, a cap closing both ends of the tube, a flexible sheath into which the tube is inserted, and an outer cap closing both ends of the sheat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hole of the ring-shaped by the adsorption force of the magnet is adsorbed to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장신구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자석은 상기 튜브 길이 방향의 전체 범위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에 더해서 비자성 재료 또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가 상기 튜브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자석은 적어도 상기 튜브 내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ornament, the plurality of magnet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 the entire range of the tube length direction. Further, in addition to the magnet, a spacer made of a non-magnetic material or a magnetic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tube, and the plurality of magnets are arranged at least at both ends in the tube.

상기 자석은 상기 튜브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신구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평행하게 하는 잠금 도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gne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e inside the tube. 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ocking tool for parallel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rnament.

또한, 본 고안의 장신구는 심선이 링형의 무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심선이 복수의 장식 부재를 삽입 연통하여 장식 부재가 연주형으로 되어 있는 장신구이며, 상기 심선은 30도 전후 이상에서 링형으로 복원하는 형상 기억 합금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rna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rnament in which the core wire is formed in a ring-shaped endless shape, and the core wire is inserted into and communicated with a plurality of decorative members, such that the decorative member is a playing type, and the core wire is in a ring shape at about 30 degrees or mor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of a shape memory alloy to be restored.

본 고안에 따르면, 유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튜브에 삽입된 자석의 흡자력에 의해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서로 흡착되어 전체가 링형이 되기 때문에, 간단하고 확실하게 링형으로 할 수 있고, 도난 등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는 동시에, 사용자 장착성이 좋고, 나아가 사용자 자신에 의한 장착 및 풀기가 양호한 장신구라고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adsorbed to each other by the suction force of the magnet inserted into the tu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whole becomes a ring shape, which can be easily and reliably made into a ring shape, and increases safety against theft At the same time, it can be said that the user wearability is good, and furthermore, the user himself / herself can wear and loosen.

(도1) 본 고안의 제1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 본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 제1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 본체를 나타내는 전체 단면도이다.
(도3) 제1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전체 부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4) 제1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 도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6) 도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7) 본 고안의 제1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장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8) 도7의 C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9) 본 고안의 제1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 장착 상태의 별도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0) 도9의 D부를 확대하여, 장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11) 본 고안의 제1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잠금 도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2) 도11에 나타낸 잠금 도구를 채용한 장착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3) 도11에 나타낸 잠금 도구를 채용한 장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 도이다.
(도14) 도11에 나타낸 잠금 도구를 채용한 장착 과정의 별도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5) 도11에 나타낸 잠금 도구를 채용한 장착 상태의 별도예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16) 본 고안의 제1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잠금 도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는 사시도이다.
(도17) 도16에 나타낸 잠금 도구를 채용한 장착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8) 도16에 나타낸 잠금 도구를 채용한 장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19) 도16에 나타낸 잠금 도구를 채용한 장착 과정의 별도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0) 도16에 나타낸 잠금 도구를 채용한 장착 상태의 별도예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21) 본 고안의 제2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본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2) 제2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본체를 나타내는 전체 단면도이다.
(도23) 본 고안의 제3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본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4) 제3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본체를 나타내는 전체 단면도이다.
(도25) 본 고안의 제4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본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6) 제4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본체를 나타내는 전체 단면도이다.
(도27) 본 고안의 제5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를 가리키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28) 본 고안에서 적용하는 자석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29) 도28에 나타낸 복수 개의 자석을 직렬로 배치했을 경우 배열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30) 본 고안에서 적용하는 자석의 흡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31) 도29에 나타낸 자석의 흡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32) 제1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3) 제1 예의 잠금 도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34) 제1 예의 잠금 도구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35) 제1 예의 잠금 도구의 장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인 (도36) 제1 예의 잠금 도구의 잠금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37) 제2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8) 제3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9) 제3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40) 제4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1) 제5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2) 제5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43) 제6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4) 제6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45) 제7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6) 제7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47) 제8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8) 제8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49) 제9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0) 제9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51) 제10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2) 제10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53) 제11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4) 제11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5) 제12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6) 제12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7) 제13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8) 제13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이다.
(도59) 제14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0) 제14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61) 제15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2) (a), (b)는 제16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부품 설명도이다.
(도63) 제16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64) 제17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5) 제17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66) 제18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7) 제18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68) 제19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9) 제19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70) 본 고안의 제6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정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dy of an ornament through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t is an entire sectional view showing the ornament body through the first embodiment.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ll parts of the ornament through the first embodiment.
(Fig. 4)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ornament through the first embodim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A-A in FIG. 4.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4;
(Fig. 7)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tate of attachment of the ornament throug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C of FIG. 7.
(Fig. 9)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eparate example of the state in which the ornament is mounted throug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nlarging the portion D of FIG. 9 and explaining a mounting process.
(Fig. 11)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locking tool for ornaments throug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ounting process employing the locking tool shown in Fig. 11;
(Fig. 13)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ounting state in which the locking tool shown in Fig. 11 is employed.
Fig. 1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ounting process employing the locking tool shown in Fig. 11;
Fig. 1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ounting state in which the locking tool shown in Fig. 11 is employed.
(Fig. 16)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locking tool for ornaments throug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ounting process employing the locking tool shown in Fig. 16. [Fig.
(Fig. 18)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ounting state in which the locking tool shown in Fig. 16 is employed.
Fig. 19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ounting process employing the locking tool shown in Fig. 16;
(Fig. 20) An enlarged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ounting state employing the locking tool shown in Fig. 16.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body of the ornament through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t is an entire sectional view showing the body of the ornament through the second embodiment.
(Fig. 23)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dy of an ornament through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 It is an entire sectional view showing the body of the ornament through the third embodiment.
(Fig. 25)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body of the ornament through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n overal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ody of the ornament through the fourth embodiment.
(Fig. 27)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rnament through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8)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gnet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29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state when a plurality of magnets shown in Fig. 28 are arranged in series.
(Fig. 30) A diagram showing the adsorption state of a magnet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31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before adsorption of the magnet shown in Fig. 29.
(Fig. 32)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ing tool of the first example.
(Fig. 33) It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locking tool of the first example.
(Fig. 34) It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tool of the first example.
(Fig. 35)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cking structure of the locking tool of the first example (Fig. 36), which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mounting state of the locking tool of the first example.
(Fig. 37)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xample of the locking tool.
(Fig. 38)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xample of the locking tool.
(Fig. 39)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xample of the locking tool.
(Fig. 40)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xample of the locking tool.
(Fig. 41)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fth example of the locking tool.
(Fig. 42)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fifth example of the locking tool.
(Fig. 43)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xth example locking tool.
(Fig. 44)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ixth example locking tool.
(Fig. 45)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venth example locking tool.
(Fig. 46)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eventh example locking tool.
(Fig. 47)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ighth example locking tool.
(Fig. 48) A side view showing the eighth example locking tool.
(Fig. 49)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inth example locking tool.
(Fig. 50)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ninth example locking tool.
Fig. 5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nth example locking tool.
(Fig. 52)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tenth example locking tool.
(Fig. 53)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leventh example locking tool.
(FIG. 54) It is a side view showing the 11th example locking tool.
(Fig. 55)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welfth example locking tool.
(Fig. 56) A side view showing the twelfth example locking tool.
Fig. 5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teenth example of a locking tool.
Fig. 58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teenth example locking tool.
(Fig. 59)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ing tool of the 14th example.
(Fig. 60)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locking tool of Example 14.
(Fig. 61)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fteenth example of the locking tool.
(Fig. 62) (a) and (b) are perspective views and part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a sixteenth example of a locking tool.
(Fig. 63)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ixteenth example locking tool.
(Fig. 64)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venteenth example locking tool.
(Fig. 65)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eventeenth example of a locking tool.
(Fig. 66)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ighteenth example locking tool.
(Fig. 67) A side view showing the eighteenth example locking tool.
(Fig. 68)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tool of the 19th example.
(Fig. 69)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locking tool of Example 19.
(Fig. 70) A front view of ornaments through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에 관련된 장신구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대응시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고안의 장신구를 목걸이에 적용했을 경우를 예로 하였으나, 목걸이 외의 장신구, 예를 들면 팔찌, 벨트, 그 밖의 각종의 장신구로서 적용할 수 있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 of the ornament related to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In each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members, and overlapping explanations are omitted. On the other han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case where the orna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necklace is exemplified, but it can be applied as other accessories such as a necklace, a bracelet, a belt, and various other ornaments.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기본 구성 부분인 장신구 본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장신구 본체(11)는 양단이 개구하는 1개의 끈형 튜브(12)와 이 튜브(12) 내에 삽입되는 여러 개의 자석(13‥, 14‥, 15‥)과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를 가로막는 일단측 캡(166)과 튜브(12)의 타단측 개구부(19)를 막는 타단측 캡(17)로 구성되어 있다. (First Embodiment)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body of an ornament which is a basic structural part of an ornament throug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nament body 11 includes a string tube 12 opened at both ends, a plurality of magnets 13, 14, 15, 15 inserted in the tube 12, and an opening 18 on one side of the tube 12 ) Is composed of a cap 166 on one side and a cap 17 on the other side that blocks the opening 19 on the other end of the tube 12.

튜브(12)는 장신구 본체(11)를 장착하는 사용자의 목 주변에 장착할 수 있는 소정의 길이로 설정되어 있고, 유연성이 있는 합성 수지 또는 고무질 등의 유연성 재료로 원관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튜브(12)는 길이 방향으로 따른 양단부 사이에서 축심 주변에 상대적으로 180° 이상, 용이하게 비틀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의 목 주변을 따라 둘러 용이하게 만곡할 수 있고, 링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튜브(12)의 인장 강도는 인력에 의해 용이하게 파탄되지 않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튜브(12)는 예를 들면 투명체, 반투명체 또는 착색체 등 다양한 장식적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ube 12 is set to a predetermined length that can be mounted around the neck of a user who mounts the ornament body 11,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flexible synthetic resin or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By this configuration, the tube 12 can be easily twisted at least 180 ° around the axial center between both 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can be easily curved around the user's neck and in a ring shape. can do. It is preferable that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ube 12 is such that it is not easily broken by an attractive forc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ube 12 can achieve various decorative effects such as, for example, a transparent body, a translucent body, or a colored body.

자석(13‥)은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 내에 삽입되는 복수의 일단측 자석이다. 일단측 자석(13‥)은 지름 및 길이가 동일한 원주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 내에 삽입될 경우에는, 튜브(12)의 원관 중심부와 일단측 자석(13‥)의 중심부가 일치하는 상태가 된다. 각 일단측 자석(13‥)은 튜브(12)의 길이 방향에 따라, 축 방향 단부가 각각 마주보는 직렬 배치로 삽입된다. 이들 일단측 자석(13‥)은 강력한 흡자력(예를 들면 2000가우스)이 있는 금속 자석, 예를 들어 페라이트 자석이 사용된다. The magnet 13... Is a plurality of one-side magnets inserted into one end opening 18 of the tube 12. The one-sided magnet 13...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shape having the same diameter and length, and when inserted into the one-side opening 18 of the tube 12, the center of the circular tube of the tube 12 and the one-sided magnet 13 ‥) is in the same state. Each one-side magnet 13... Is inserted in a series arrangement with axial ends facing each other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tube 12. These one-side magnets 13... Are metal magnets having a strong suction force (for example, 2000 gauss), for example, ferrite magnets.

자석(14‥)은 튜브(12)에 있어서의 일단측 자석(13‥)이 삽입된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 즉 튜브(12)의 타단측 개구부(19) 내에 삽입되는 복수의 타단측 자석이다. 타단측 자석(14‥)도 일단측 자석(13‥)과 같이, 지름 및 길이가 동일한 원주형의 것이고, 튜브(12) 내의 길이 방향에 따라, 축 방향 단부가 각각 마주하는 직렬배치로 삽입된다. 이들 타단측 자석(14‥)도 일단측 자석(13‥)과 같이, 강력한 흡자력(예를 들면 2000가우스)이 있는 금속 자석, 예를 들어 페라이트 자석이 사용된다.The magnet 14... Is a plurality of other end-side magnets inserted into the other end-side opening 19 of the tube 12, ie the end opposite to the end where the one-side magnet 13... In the tube 12 is inserted. . The other end-side magnet 14 ‥ is a cylindrical shape having the same diameter and length as the one-side magnet 13 ‥, and is inserted in a series arrangement in which the axial ends face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tube 12. . As for the other end-side magnet 14 ‥, like the one-side magnet 13 ‥, a metal magnet having a strong absorption force (for example, 2000 gauss), for example, a ferrite magnet, is used.

일단측 자석(13‥) 및 타단측 자석(14‥)은 튜브(12)를 사용자의 목 주변에 두른 상태에 있어서,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와 타단측 개구부(19)가 중합 또는 교차하는 부분에서 서로 흡자력을 발생한다. One end of the magnet (13 ‥) and the other end of the magnet (14 ‥) is in a state in which the tube 12 is wrapped around the neck of the user, the one end opening 18 and the other opening 19 of the tube 12 are At the point of polymerization or crossing, a mutually absorbing force is generated.

자석(15‥)은 튜브(12) 내에 있어서의 일단측 자석(13‥) 및 타단측 자석(14‥)이 삽입되는 부분 외의 부분, 즉 튜브(12) 내의 중간 부분에 삽입되는 복수의 중간측 자석이다. 이들 중간측 자석(15‥)도 일단측 자석(13‥) 및 타단측 자석(14‥)과 같이, 지름 및 길이가 동일한 원주형이고, 튜브(12) 내의 길이 방향에 따라, 축 방향 단부가 각각 마주하는 직렬 배치로 삽입된다. 중간측 자석(15‥)이 사용자의 목 주변에 단순히 배치되어, 튜브(12)가 잠금 수단으로서 기능하지 않는 부분일 경우에는, 반드시 강력한 흡자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단, 사용 상태에 따라 튜브(12)가 잠금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이 될 경우에는, 일단측 자석(13‥) 및 타단측 자석(14‥)과 같이, 페라이트 자석 등의 강력한 흡자력(예를 들면 2000가우스)이 있는 금속 자석을 채용할 수 있다.The magnet 15 ‥ is a part other than the part in which the one end magnet 13 ‥ and the other end magnet 14 ‥ in the tube 12 are inserted, that is, a plurality of intermediate sides inserted in the middle part in the tube 12. It is a magnet. These intermediate-side magnets 15 ‥ are also of the same diameter and length as the one-end magnets 13 ‥ and the other end-side magnets 14 ‥, and have axial ends along the length in the tube 12. Each is inserted in a series arrangement facing each other. When the middle magnet 15... Is simply arranged around the user's neck and the tube 12 is a part that does not function as a locking means, it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a strong suction force. However, depending on the state of use, when the tube 12 becomes a part that functions as a locking means, strong absorbing forces such as ferrite magnets (for example, one end magnet 13 ‥) and the other end magnet 14 ‥, for example For example, a metal magnet with 2000 gauss) can be employed.

일단측 캡(16)은 튜브(12)의 외경과 동일한 지름의 반구형 캡 본체부(20)와 튜브(12)의 구멍 지름과 동일한 지름으로 캡 본체부(20)의 평탄면에서 돌출하는 원주형의 삽입부(21)로 구성되어 있다. 일단측 캡(16)의 원주형 삽입부(21)를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에 삽입하여, 이 일단측 개구부(18)를 캡 본체부(20)에 의해 폐쇄한다. 타단측 캡(17)은 튜브(12)의 외경과 동일 지름의 반구형 캡 본체부(22)와 튜브(12)의 구멍 지름과 동일 지름으로 캡 본체부(22)의 평탄면에서 돌출하는 원주형의 삽입부(23)로 구성되어 있다. 타단측 캡(17)의 원주형의 삽입부(23)를 튜브(12)의 타단측 개구부(19)에 삽입하여, 이 타단측 개구부(19)를 캡 본체부(22)에 의해 폐쇄한다. The one end side cap 16 is a circumferential type protruding from the flat surface of the cap body portion 20 with the same diameter as the bore diameter of the hemispherical cap body portion 20 and the tube 12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tube 12 It is composed of an insertion portion (21). The cylindrical insert 21 of the one end side cap 16 is inserted into the one end opening 18 of the tube 12, and the one end opening 18 is closed by the cap body 20. The other end-side cap 17 has a circumferential shape protruding from the flat surface of the cap body portion 22 with the same diameter as the bore diameter of the hemispherical cap body portion 22 and the tube 12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tube 12. It is composed of an insertion portion (23). The circumferential insertion portion 23 of the other end-side cap 17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side opening 19 of the tube 12, and the other end-side opening 19 is closed by the cap body 22.

도2는 도1에 나타낸 부품을 장신구 본체(11)로서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단면도이다. 도2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 내에는 여러 개의 일단측 자석(13)이 직렬 배치로 삽입되는 동시에, 튜브(12)의 타단측 개구부(19) 내에는 여러 개의 타단측 자석(14)이 직렬 배치로 삽입되어. 튜브(12) 내에 있어서의 자석(13,14)이 삽입된 일단측 개구부(18)와 타단측 개구부(19) 와의 부분, 즉 중간 부분에는 여러 개의 중간측 자석(15)이 직렬 배치로 삽입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일단측 자석(13), 타단측 자석(14) 및 중간측 자석(15)이 튜브(12)의 길이 방향 전체 범위에 배치된다. FIG. 2 is an overal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assembled as the ornament body 11. As indicated in FIG. 2, several end-side magnets 13 are inserted in series in one end opening 18 of the tube 12, and several in the other end opening 19 of the tube 12. The other end magnet 14 is inserted in a series arrangement. A plurality of intermediate magnets 15 are inserted in series in the portion of the tube 12 in which the magnets 13 and 14 are inserted, one end 18 and the other end 19, that is, in the middle. have. In this way, the one-side magnet 13, the other-side magnet 14, and the middle-side magnet 15 are arranged in the entire r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12.

일단측 자석(13), 타단측 자석(14) 및 중간측 자석(15)의 축 방향 단면이 서로 밀접 상태로 삽입되면, 이들 단면이 기우는 공간적 여유가 없고, 나아가서는 튜브(12)를 만곡시킬 수 없다. 그래서 각 일단측 자석(13) 상호 사이, 각각 타단측 자석(14) 상호 사이 및 이들과 중간측 자석(15) 사이 및 중간측 자석(15) 상호 사이에는 각각 소정의 틈이 확보되어, 이것에 의해 일단측 자석(13), 타단측 자석(14) 및 중간측 자석(15)이 서로 기울어질 수 있고, 나아가서는 튜브(12)를 만곡시킬 수 있게 된다. When the axial cross-sections of the one-side magnet 13, the other-side magnet 14 and the middle-side magnet 15 are inserted close to each other, there is no spatial margin in which these cross sections tilt, and furthermore, the tube 12 is curved. Can't. Therefore, a predetermined gap is secured between each of the magnets of one end side 13, each of the magnets of the other end 14, and between the magnets 15 and the intermediate magnets 15, respectively. Thereby, the magnet 13 at one end, the magnet 14 at the other end, and the magnet 15 at the intermediate end can be inclined with each other, and furthermore, the tube 12 can be bent.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와 타단측 개구부(19)는 일단측 캡(16)과 타단측 캡(17)에 의해 각각 막아져, 접착 또는 나사 구조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튜브(12)의 일단측 캡(16) 및 타단측 캡(17)으로부터 일단측 자석(13) 및 타단측 자석(14) 등이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The one end opening 18 and the other opening 19 of the tube 12 are respectively blocked by the one end cap 16 and the other end cap 17, and are fixed by an adhesive or a screw structure or the like. This prevents the one end magnet 13, the other end magnet 14, and the like from falling off from the one end cap 16 and the other end cap 17 of the tube 12.

도3은 장신구 본체(11)의 외주면에 외피(25)를 마련한 장신구(24)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외피(25)는 예를 들면 금, 은, 플라티나, 그 밖의 귀금속, 또는 장식 효과를 한 가소성의 각종 선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편조해서 구성한 원통형의 메쉬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외피(25)는 장신구 본체(11)의 튜브(12)의 거의 전체를 피복하는 크기로 구성되어 있고, 축 방향 일단측에 일단측 개구부(29)가 형성되는 동시에, 타단측에는 타단측 개구부(30)가 형성되어 있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ornament 24 provided with an outer shell 25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rnament body 11. The shell 25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cylindrical mesh member formed by braiding fibers composed of gold, silver, platinum, other precious metals, or plastic wires having a decorative effect. The sheath 25 is configured to cover almost the entire tube 12 of the ornament body 11, and one end opening 29 is formed at one end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opening 3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 Is formed.

외피(25)의 일단측 개구부(29) 및 타단측 개구부(30)에 대하여, 이것들을 폐쇄하는 수단으로서, 일단측 개구부(29)를 막는 일단측 외캡(26)과 타단측 개구부(30)를 막는 타단측 외캡(27)이 구비되어 있다. 일단측 외캡(26)은 외피(25)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는 내경을 가지는 일단 폐쇄의 단원통형을 이루고 있고, 타단의 개구부(31)를 외피(25) 일단측 개구부(29)의 외주측에 감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타단측 외캡(27)도 외피(25)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는 내경을 가지는 일단 폐쇄의 단원통형을 이루고 있고, 타단에 있는 개구부(32)를 외피(25)의 타단측 개구부(30)의 외주측에 감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With respect to one end opening 29 and the other end opening 30 of the sheath 25, as a means for closing them, the one end outer cap 26 and the other end opening 30 blocking the one end opening 29 are provided. The other end side outer cap 27 is provided. The one-sided outer cap 26 has a single-cylindrical cylindrical shape with an inner diameter almost identic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er shell 25, and the opening 31 of the other en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one-side opening 29 of the outer shell 25. It is structured to fit. The other end-side outer cap 27 also has a single-cylindrical cylindrical shape with an inner diameter almost identic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er shell 25, and the opening 32 at the other end i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ther end-side opening 30 of the outer shell 25. It is structured to fit on the side.

장신구 본체(11)와 외피(25)를 조합시킬 경우에는, 도3에 화살표로 가리키는 것처럼, 장신구 본체(11)의 일단측을 외피(25) 내에 타단측 개구부(30)측에서 삽입한 후,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장신구 본체(11)의 일단측을 외피(25)의 일단측 개구부(29)의 단부 위치에 일치시킨다. 그 후, 외피(25)의 일단측 개구부(29)에 일단측 외캡(26)을 씌워서 접착 등으로 고정하는 동시에, 외피(25)의 타단측에도 타단측 외캡(27)을 씌워서 접착 등으로 고정한다. When combining the ornament body 11 and the sheath 25,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3, after inserting the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body 11 into the sheath 25 from the other end side opening 30 side, The slide is moved to match one end of the ornament body 11 to the end position of the one end opening 29 of the sheath 25. Then, one end of the outer cap 26 is covered with the one end outer cap 26 on the opening 29 of the outer shell 25,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outer shell 25 is covered with the other end 27, and then fixed with adhesive or the like. .

도4는 이상의 조작으로 조립이 완성된 장신구(24)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장신구(24)는 장신구 본체(11)의 튜브(12)의 외주측에 통형의 메쉬 부재인 외피(25)를 피복한 구조로 되고, 외피(25)의 메쉬 부분의 틈으로부터 장신구 본체(11)의 튜브(12)의 외주면이 보이게 되어 있다. 장신구 본체(11) 및 외피(25)의 일단측은 일단측 외캡(26)의 개구부(31) 내에 삽입되어 외측에서 덮어진 상태가 되고, 장신구 본체(11) 및 외피(25)의 타단측은 타단측 외캡(27)의 개구부(32) 내에 삽입되어 외측에서 덮어진 상태가 된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ornament 24, which has been assembled by the above operation. The ornament 24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tube 12 of the ornament body 11 is covered with a shell 25 of a cylindrical mesh member, and the ornament body 11 is opened from the gap between the mesh portions of the jacket 25.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12 is visible.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body 11 and the sheath 25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31 of the one end side outer cap 26 to be covered from the outside,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body 11 and the sheath 25 is the other end side It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32 of the outer cap 27 and is covered from the outside.

도5는 도4의 A-A선 단면도(장신구(24)의 축 방향 임의 위치에서의 축직각 단면도)이다. 이 도5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장신구(24)의 지름 방향 중심 위치에는 장신구 본체(11)의 일단측 자석(13), 타단측 자석(14) 및 중간측 자석(15)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들의 일단측 자석(13), 타단측 자석(14) 및 중간측 자석(15)의 외주측에 장신구 본체(11)의 튜브(12)가 배치되고, 튜브(12)의 외주측에는 외피(25)가 배치된다.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4 (a axially perpendicular cross-sectional view at any positio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ornament 24). As shown in Fig. 5, one end magnet 13, the other end magnet 14 and the middle magnet 15 of the ornament body 11 are arranged at the center of the ornament 24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tube 12 of the ornament body 11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se one end magnet 13, the other end magnet 14, and the intermediate side magnet 15,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tube 12 is 25) is placed.

이러한 구성에서는, 최외주에 배치된 외피(25)의 메쉬 부분의 틈 또는 장신구 본체(11)의 튜브(12)의 외주면이 보여, 나아가 장신구 본체(11)의 튜브(12), 일단측 자석(13), 타단측 자석(14) 및 중간측 자석(15)을 포함하는 장신구(24)가 일체적으로 만곡할 수 있다. In this configuration, a gap in the mesh portion of the sheath 25 disposed on the outermost circumference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12 of the ornament body 11 is seen, and furthermore, the tube 12 of the ornament body 11, the magnet on one side ( 13), the ornament 24 including the other end side magnet 14 and the middle side magnet 15 can be integrally curved.

도6은 도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6에 가리키는 것처럼, 장신구(24)의 축 방향일단측에 있어서는, 지름 방향 중심 위치에 장신구 본체(11)의 일단측 자석(13)이 배치되어, 이것들의 일단측 자석(13)의 외주측에, 튜브(12), 외피(25) 및 일단측 외캡(26)이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24)의 축 방향 일단측에서는 일단측 외캡(26)에 의해 일단측 자석(13), 튜브(12), 외피(25) 및 일단측 외캡(26)이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B in FIG. 4. As shown in Fig. 6, at one e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ornament 24, one end magnet 13 of the ornament main body 11 is arranged at a central position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se one end magnet 13 In, the tube 12, the sheath 25, and the one end side outer cap 26 are arranged. Thereby, the one end side magnet 13, the tube 12, the sheath 25, and the one end side outer cap 26 are fixed integrally by the one end side outer cap 26 at one e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ornament 24.

한편,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장신구(24)의 축 방향 타단측의 구성에 있어서도 도6과 같이, 지름 방향 중심 위치에 장신구 본체(11)의 타단측 자석(14)이 배치되고, 이 타단측 자석(14)의 외주측에 외피(25) 및 타단측 외캡(27)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장신구(24)의 축 방향 타단측에서도 타단측 외캡(27)에 의해 타단측 자석(14), 외피(25) 및 타단측 외캡(27)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n the configuration of the other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ornament 24, as shown in Fig. 6, the other end side magnet 14 of the ornament main body 11 is disposed at the central position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is other end sid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magnet 14, an outer shell 25 and an outer cap 27 on the other end are disposed. In addition, the other end side magnet 14, the sheath 25, and the other end side outer cap 27 are fixed integrally by the other end side outer cap 27 also on the other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ornament 24.

도7은 장신구(24)의 장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7에서는 장신구(24)를 장착자(33)의 목(34) 주변에 장착하고,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을 목(34)의 후방에서 중합시켜서 자력으로 계지하는 장착에 대해서 설명한다. 7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ornament 24 is mounted. In Fig. 7, the ornament 24 is mounted around the neck 34 of the wearer 33, and the one end 36 and the other end 37 of the ornament 24 are polymerized from the rear of the neck 34, and thus magnetic force. It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mounting.

우선 장착자(33)가 한쪽 손(오른손)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36)을 파지하고, 다른쪽 손(왼손)으로 장신구(24)의 타단측(37)을 파지한다. 그리고 장신구(24)를 장착자(33)의 목(34) 앞측 아래 방향(턱 밑)에서부터 위쪽으로 서서히 들어 올려, 장신구(24)의 양단을 어깨(35)의 위쪽을 통해 목(34)의 후방으로 돌린다. 이 다음,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을 중합시키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은 서로 일정 거리 접근한 위치로 이동되자마자, 흡자력에 의해 즉시 흡착 상태가 된다. 즉, 장착자(33)가 목(34)의 후방에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을 가까이 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또한 강력한 자력에 의해 흡착된다. First, the wearer 33 grips one end 36 of the ornament 24 with one hand (right hand), and the other end 37 of the ornament 24 with the other hand (left hand). Then, the ornaments 24 are gradually lifted upward from the front side downward direction (under the chin) of the neck 34 of the wearer 33, and both ends of the ornaments 24 are passed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shoulder 35 of the neck 34. Turn backward. Next, one end 36 and the other end 37 of the ornament 24 are polymerized. As a result, as soon as the one end 36 and the other end 37 of the ornament 24 are moved to a position approaching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they are immediately absorbed by the suction force. That is, the wearer 33 is easily and quickly adsorbed by strong magnetic force only by bringing the one end 36 and the other end 37 of the ornament 24 closer to the rear of the neck 34.

도8은 이 흡자력에 의한 흡착을 나타낸다. 도8은 도7의 C부, 즉,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과의 목(34)의 뒤측에 있어서의 중합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며,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에 있어서의 장신구본체(11) 내의 자석 구조 및 흡착 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Fig. 8 shows adsorption by this suction force. Fig. 8 is an enlarged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 portion of Fig. 7, that is, a polymerized portion on the back side of the neck 34 of one end 36 and the other end 37 of the ornament 24, and the ornament 24 ) Shows the magnet structure and adsorption action in the ornament body 11 on the one end side 36 and the other end side 37.

도8에 가리키는 것처럼,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과의 중합부에 있어서, 일단측(36)의 장신구 본체(11) 내에는, 일단측 외캡(26) 측에서, 예를 들면, 4개의 일단측 자석(13(13a, 13b, 13c, 13d))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자석(13(13a, 13b, 13c, 13d))은 상술한 것처럼, 각각 원주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자석(13(13a, 13b, 13c, 13d))의 N극(N)과 S극(S)은 원주의 서로 반대측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자석(13(13a, 13b, 13c, 13d))의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의 N극(N)과 S극(S)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신구(24)의 일단측 외캡(26) 측에 가장 접근한 단부측 배치의 일단측 자석(13a)의 N극(N)이 하향, S극(S)이 상향으로 되어 있다. 그 다음에, 이 일단측 자석(13a)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2번째에 배치된 일단측 자석(13b)의 N극(N)은 상향, S극(S)은 하향으로 되어 있다. 이 일단측 자석(13b)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3번째의 일단측 자석(13c)은 또한 2번째의 일단측 자석(13b)과 반대로 N극(N)이 하향, S극(S)이 상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일단측 자석(13c)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4번째에 배치된 일단측 자석(13d)은 3번째의 일단측 자석(13c)과 반대로, N극(N)이 상향, S극(S)이 하향으로 되어 있다. 이 다음에 이어지는 중간측 자석(15)도 상기한 것과 같이, N극(N)과 S극(S)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8, in the polymerization section of one end 36 of the ornament 24 and the other end 37, in the ornament body 11 of the one end 36, one end of the outer cap 26 side In, for example, four end-side magnets 13 (13a, 13b, 13c, 13d) are arranged in series. As described above, these magnets 13 (13a, 13b, 13c, 13d) are each formed in a columnar shape, and the N-pole N and S-pole of each magnet 13 (13a, 13b, 13c, 13d) (S) is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n the opposite sides of the circumference. Then, the N-pole N and the S-pole S between the magnets 13 (13a, 13b, 13c, 13d) adjacent to each other ar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Specifically, the N-pole N of the one-side magnet 13a of the end-side arrangement closest to the one-side outer cap 26 side of the ornament 24 is downward, and the S-pole S is upward. Then, the N-pole N of the one-side magnet 13b arranged second from the end side adjacent to this one-side magnet 13a is upward, and the S-pole S is downward. The third one-sided magnet 13c at the end side adjacent to the one-sided magnet 13b also has an N-pole N downward and an S-pole S upward as opposed to the second one-side magnet 13b. It is made. In addition, the one-sided magnet 13d disposed fourth at the end side adjacent to the one-sided magnet 13c, as opposed to the third one-sided magnet 13c, the N-pole N is upward and the S-pole ( S) is downward. As described above, the intermediate-side magnet 15 that follows this is also arranged with N-poles N and S-poles S in different directions.

한편,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과의 중합부에 있어서, 타단측(37)의 장신구 본체(11) 내에는, 타단측 외캡(27) 측에서, 예를 들면, 4개의 타단측 자석(14(14a, 14b, 14c, 14d))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자석(14(14a, 14b, 14c, 14d))도 상술한 것과 같이, 각각 원주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자석(14(14a, 14b, 14c, 14d))의 N극(N)과 S극(S)은 원주의 서로 반대측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자석(14(14a, 14b, 14c, 14d))의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는 N극(N)과 S극(S)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olymerization part of the one end side 36 and the other end side 37 of the ornament 24, in the other end side 37 in the ornament body 11, the other end side outer cap 27 side, for example For example, four other end-side magnets 14 (14a, 14b, 14c, 14d) are arranged in series. As described above, these magnets 14 (14a, 14b, 14c, 14d) are each formed in a columnar shape, and the N poles N and S of each of the magnets 14 (14a, 14b, 14c, 14d) The poles S are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pposite to each other of the circumference. The N poles N and S poles S are disposed in different directions between the magnets 14 (14a, 14b, 14c, 14d) adjacent to each other.

구체적으로는, 장신구(24)의 타단측 외캡(27) 측에 가장 접근해서 배치된 단부측 배치의 타단측 자석(14a)의 N극(N)이 상향, S극(S)이 하향으로 되어 있다. 그 다음에, 이 타단측 자석(14a)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2번째에 배치된 타단측 자석(14b)은 상기한 것과 반대로, N극(N)이 하향, S극(S)이 상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타단측 자석(14b)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3번째에 배치된 타단측 자석(14c)은 2번째의 타단측 자석(14b)과 반대로, N극(N)이 상향, S극(S)이 하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타단측 자석(14c)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4번째에 배치된 타단측 자석(14d)은 3번째의 타단측 자석(14c)과 반대로, N극(N)이 하향, S극(S)이 상향으로 되어 있다. 이 다음에 이어지는 중간측 자석(15)에 대해서도, 상기한 것과 같이, N극(N)과 S극(S)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Specifically, the N-pole N of the other end-side magnet 14a of the end-side arrangement disposed closest to the other end-side outer cap 27 side of the ornament 24 is upward, and the S-pole S is downward. have. Then, the other end side magnet 14b disposed second from the end side adjacent to the other end side magnet 14a, as opposed to the above, the N pole N is downward and the S pole S is upward. It is done. In addition, the other end-side magnet 14c disposed in the third from the end side adjacent to the other end-side magnet 14b is opposite to the second other end-side magnet 14b, with the N pole N being upward and the S pole ( S) is downward. In addition, the other end-side magnet 14d disposed at the fourth from the end side adjacent to the other end-side magnet 14c, as opposed to the third other end-side magnet 14c, has an N-pole N downward and an S-pole ( S) is upward. As for the intermediate magnet 15 following this, as described above, the N-pole N and the S-pole S ar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이상의 내용에 따르면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과의 중합부에서는 4개의 일단측 자석(13(13a, 13b, 13c, 13d))의 N극(N)과 S극(S)이 4개의 타단측 자석(14(14a, 14b, 14c, 14d))의 S극(S)과 N극(N)이 각각 대향하는 배치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자기 흡착한다. 여기에서 각 자석은 금속 자석이므로 강력하게 자기 흡착하고, 용이하게 풀릴 일이 없다. According to the above, in the polymerization section between the one end 36 and the other end 37 of the ornament 24, the N poles N and S of the four end magnets 13 (13a, 13b, 13c, 13d) The poles S are magnetically adsorbed to each other because the S-poles S and N-poles N of the four other magnets 14 (14a, 14b, 14c, and 14d) face each other. Since each magnet is a metal magnet, it is strongly magnetically adsorbed and is not easily released.

또한, 장신구 본체(11)의 튜브(12)는 상술한 것과 같이, 길이 방향으로 따르는 양단부 사이에 있어서 축 중심 주변에 상대적으로 180° 이상 용이하게 비틀 수 있기 때문에, 장착자의 목에 두른 직후에 N극(N)끼리, 또는 S극히(S)끼리가 대향하는 상태였다고 하더라도, 각 자석의 흡자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N극(N)과 S극(S)이 마주 향하는 도8의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장착자가 인위적으로 장신구 본체(11)를 회전 조작할 필요가 없고, 목 주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ube 12 of the ornament body 11 can be easily twisted more than 180 ° around the center of the shaft between both 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N immediately after being put on the neck of the wearer Even if the poles N or S poles (S) face each other, the state of FIG. 8 in which the N poles N and S poles S face each other naturally by the attraction force of each magnet. For this reason, it is not necessary for the wearer to artificially rotate the ornament body 11, and it can be easily mounted around the neck.

도9는 장신구(24)의 장착 상태의 별도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9에서는 장신구(24)를 장착자(33)의 목(34) 주변에 장착하고,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을 목(34)의 전방에서 하향으로 평행 상태로서 좌우 방향의 자력에 의해 계지하는 장착을 실시한다. 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ounting state of the ornament 24. In Fig. 9, the ornament 24 is mounted around the neck 34 of the wearer 33, and the one end 36 and the other end 37 of the ornament 24 are parallel to the neck 34 from the front downward. As a state, mounting is carried out by a magnetic for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우선 장착자(33)가 한 쪽 손(왼손)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36)을 파지하고, 다른 쪽 손(오른손)으로 장신구(24)의 타단측(37)을 파지한다. 그리고 장신구(24)를 장착자(33)의 목(34)의 후방에서 양 옆으로 내려서 장신구(24)의 양단을 어깨(35)의 전방에서 평행하게 가지런히 하고,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을 중합시킨다. 그러면,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은 서로 일정 거리 접근한 위치에 이동되자마자, 흡자력에 의해 즉시 흡착 상태가 된다. 즉, 장착자(33)가 목(34)의 전방에서 아래로 향하여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을 가까이 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나아가 강력한 자력에 의해 흡착된다. First, the wearer 33 grips one end 36 of the ornament 24 with one hand (left hand) and the other end 37 of the ornament 24 with the other hand (right hand). Then, the ornaments 24 are lowered to the sides from the rear of the neck 34 of the wearer 33, so that both ends of the ornaments 24 are parallel to the front of the shoulder 35, and one end of the ornaments 24 (36) and the other end side (37) are polymerized. Then, as soon as the one end 36 and the other end 37 of the ornament 24 are moved to a position approaching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they are immediately absorbed by the suction force. That is, the wearer 33 simply and quickly closes one end 36 and the other end 37 of the ornament 24 from the front of the neck 34 to the bottom, and furthermore, it is adsorbed by strong magnetic force. do.

이 흡자력에 의한 흡착 작용을 도10으로 설명한다. 도10은 도9의 D부, 즉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과의 목(34) 전방 아래 쪽에 있어서의 중합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로,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에 있어서의 장신구 본체(11) 내의 자석 구조 및 흡착 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The adsorption action by this suction force will be described in FIG. Fig.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the D portion of Fig. 9, that is, a polymer part at the front and bottom of the neck 34 of one end 36 and the other end 37 of the ornament 24, and the ornament 24 The magnet structure and adsorption action in the ornament body 11 on the one end side 36 and the other end side 37 are shown.

도10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과의 중합부에 있어서, 일단측(36)의 장신구 본체(11) 내에는 일단측 외캡(26)측에서, 예를 들면, 4개의 일단측 자석(13(13a, 13b, 13c, 13d))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자석(13(13a, 13b, 13c, 13d))은 상술한 것처럼, 각각 원주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자석(13(13a, 13b, 13c, 13d))의 N극(N)과 S극(S)은 원주의 서로 반대측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각 자석(13(13a, 13b, 13c, 13d))의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의 N극(N)과 S극(S)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10의 오른쪽에 나와 있는 장신구(24)의 일단측 외캡(26)측에 가장 접근한 단부측 배치의 일단측 자석(13a)의 N극(N)이 좌향, S극(S)이 우향으로 되어 있다. 이 일단측 자석(13a)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2번째에 배치된 일단측 자석(13b)의 N극(N)은 우향, S극(S)은 좌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일단측 자석(13b)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3번째의 일단측 자석(13c)은 2번째의 일단측 자석(13b)과 반대로 N극(N)이 좌향, S극(S)이 우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일단측 자석(13c)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4번째에 배치된 일단측 자석(13d)은 3번째의 일단측 자석(13c)과 반대로, N극(N)이 우향, S극(S)이 좌향으로 되어 있다. 이 다음에 이어지는 중간측 자석(15)도 상기 내용과 같이, N극(N)과 S극(S)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0, in the polymerization portion of the one end 36 and the other end 37 of the ornament 24, in the ornament main body 11 of the one end 36, from the one end outer cap 26 side , For example, four end-side magnets 13 (13a, 13b, 13c, 13d) are arranged in series. As described above, these magnets 13 (13a, 13b, 13c, 13d) are each formed in a columnar shape, and the N-pole N and S-pole of each magnet 13 (13a, 13b, 13c, 13d) (S) is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n the opposite sides of the circumference. The N poles N and S poles S of the magnets 13 (13a, 13b, 13c, 13d) adjacent to each other ar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Specifically, the N-pole N of the one-side magnet 13a of the end-side arrangement closest to the one-sided outer cap 26 side of the ornament 24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10 is turned to the left, and the S-pole (S ) Is on the right. The N pole N of the one end magnet 13b arranged 2nd from the end side adjacent to this one end magnet 13a is turned to the right, and the S pole S is turned to the left. In addition, the third one-sided magnet 13c at the end side adjacent to the one-sided magnet 13b has an N-pole N leftward and an S-pole S opposite to the second one-sided magnet 13b. It is facing right. In addition, the one-sided magnet 13d disposed in the fourth from the end side adjacent to the one-sided magnet 13c is opposite to the third one-sided magnet 13c, with the N pole N facing to the right and the S pole ( S) is turned to the left. As described above, the intermediate-side magnet 15 following this is also arranged with N-poles N and S-poles S in different directions.

한편,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과의 중합부에 있어서, 타단측(37)의 장신구 본체(11) 내에는 타단측 외캡(27)측에서, 예를 들면, 4개의 타단측 자석(14(14a, 14b, 14c, 14d))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자석(14(14a, 14b, 14c, 14d))도 상술한 것처럼, 각각 원주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자석(14(14a, 14b, 14c, 14d))의 N극(N)과 S극(S)은 원주의 서로 반대측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자석(14(14a, 14b, 14c, 14d))의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는 N극(N)과 S극(S)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olymerization part of the one end side 36 and the other end side 37 of the ornament 24, in the other end side 37 inside the ornament body 11, the other end side outer cap 27 side, for example , Four other end-side magnets 14 (14a, 14b, 14c, 14d) are arranged in series. As described above, these magnets 14 (14a, 14b, 14c, 14d) are each formed in a columnar shape, and the N-pole N and S-pole of each magnet 14 (14a, 14b, 14c, 14d) (S) is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n the opposite sides of the circumference. The N poles N and S poles S are disposed in different directions between the magnets 14 (14a, 14b, 14c, 14d) adjacent to each other.

구체적으로는, 장신구(24)의 타단측 외캡(27)측에 가장 접근해서 배치된 단부측 배치의 타단측 자석(14a)의 N극(N)이 좌향, S극(S)이 우향으로 되어 있다. 이 타단측 자석(14a)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2번째에 배치된 타단측 자석(14b)은 상기 내용과 반대로, N극(N)이 우향, S극(S)이 좌향으로 되어 있다. 이 타단측 자석(14b)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3번째에 배치된 타단측 자석(14c)은 2번째의 타단측 자석(14b)과 반대로, N극(N)이 좌향, S극(S)이 우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타단측 자석(14c)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4번째에 배치된 타단측 자석(14d)은 3번째의 타단측 자석(14c)과 반대로, N극(N)이 우향, S극(S)이 좌향으로 되어 있다. 이 다음에 이어지는 중간측 자석(15)에 대해서도, 상기 내용과 같이, N극(N)과 S극(S)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Specifically, the N-pole N of the other end-side magnet 14a of the end-side arrangement disposed closest to the other end-side outer cap 27 side of the ornament 24 is turned to the left, and the S-pole S is turned to the right. have. Contrary to the above, the N-pole N is turned to the right and the S-pole S is turned to the left of the other-end magnet 14b disposed second from the end side adjacent to the other-end magnet 14a. The other end-side magnet 14c disposed in the third position from the end side adjacent to the other end-side magnet 14b is opposite to the second other end-side magnet 14b, with the N pole N being leftward and the S pole S It has this right. In addition, the other end-side magnet 14d disposed at the fourth from the end side adjacent to the other end-side magnet 14c is opposite to the third other end-side magnet 14c, with the N-pole N facing to the right and the S-pole ( S) is turned to the left. As for the intermediate magnet 15 following this, as described above, the N pole N and the S pole S ar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따라서,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과의 중합부에서는 4개의 일단측 자석(13(13a, 13b, 13c, 13d))의 N극(N)과 S극(S)이 4개의 타단측 자석(14(14a, 14b, 14c, 14d))의 S극(S)과 N극(N)이 각각 대향하는 배치가 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자기 흡착한다. 그리고 각 자석은 금속 자석이므로 강력하게 자기 흡착하여, 용이하게 풀릴 일이 없다. Therefore, the N-pole and N-pole (N) and S-pole of the four end-side magnets 13 (13a, 13b, 13c, 13d) in the polymerization section of the one end 36 and the other end 37 of the ornament 24 Since S) are arranged so that the S poles S and N poles N of the four other end magnets 14 (14a, 14b, 14c, 14d) face each other, they are magnetically attra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since each magnet is a metal magnet, it is strongly magnetically adsorbed and is not easily released.

또한, 장신구 본체(11)의 튜브(12)는 상술한 것처럼, 길이 방향으로 따르는 양단부 사이에 있어서 축 중심 주변에 대향적으로 180° 이상 용이하게 비틀 수 있기 때문에, 장착자의 목에 두른 직후에 N극(N)끼리, 또는 S극(S)끼리 대향하는 상태였다고 하더라도, 각 자석의 흡자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N극(N)과 S극(S)이 마주 향하는 도10의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장착자가 인위적으로 장신구 본체(11)를 회전 조작할 필요 없이, 목 주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ube 12 of the ornament body 11 can be easily twisted more than 180 ° around the center of the shaft between both 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N immediately after being put on the neck of the wearer Even if the poles N or the S poles S face each other, the state of FIG. 10 in which the N poles N and S poles S face each other naturally by the attraction force of each magnet. For this reason, the wearer can easily mount around the neck without having to artificially rotate the ornament body 11.

도11은 본 실시 형태에서 채용하는 잠금 도구(41)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잠금 도구(4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서 형성형 또는 굽힘 가공한 것으로, 측면에서 볼 때 거의 S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이 잠금 도구(41)의 중앙부(42)는 거의 직선형이며, 일단부(43)가 상술한 장신구(24)의 외경보다도 조금 큰 내경으로 원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 잠금 도구(41)의 직선형의 중앙부(42)와 일단부(43)의 선단 사이에는 장신구(24)의 외경보다도 작은 틈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잠금 도구(41)의 만곡된 일단부(43) 내의 원 형상 공간 부분은 장신구(24)의 선단을 통할 수 있는 한 쪽의 통과부(45)가 된다.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locking tool 41 employ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cking tool 41 is formed of metal or resin or the like as a material or is bent, and is substantially S-shaped when viewed from the side. In other words, the central portion 42 of the locking tool 41 is almost straight, and the one end portion 43 is curved in a circular shape with an inner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ornament 24 described above. A gap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ornament 24 is formed between the linear central portion 42 of the locking tool 41 and the distal end of the one end portion 43. Thereby, the circular space portion in the curved one end portion 43 of the locking tool 41 becomes one passage portion 45 that can pass through the tip of the ornament 24.

또한, 잠금 도구(41)의 타단부(44)는 일단부(43)와 반대의 방향으로 원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이 만곡 부분의 내경도 상술한 장신구(24)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으로 되어 있다. 이 잠금 도구(41)의 직선형의 중앙부(42)와 타단부(43)의 선단 사이에도, 장신구(24)의 외경보다도 작은 틈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잠금 도구(41)의 만곡된 타단부(44) 내의 원 형상 공간 부분은 장신구(24)의 선단을 통할 수 있는 다른 쪽의 통과부(46)가 된다. In addition, the other end 44 of the locking tool 41 is curved in a circular shap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end 43,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curved portion is also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above-mentioned ornament 24. It is done. A gap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ornament 24 is also formed between the straight center portion 42 of the locking tool 41 and the tip of the other end portion 43. Thereby, the circular space portion in the curved other end portion 44 of the locking tool 41 becomes the other passage portion 46 that can pass through the tip of the ornament 24.

도12는 도11에서 나타내는 잠금 도구(41)를 채용한 장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상술한 도7의 장착, 즉 장신구(24)를 장착자(33)의 목(34) 주변에 장착하고,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을 목(34)의 후방에서 중합시켜서 자력에 의해 계지하는 장착에 대하여, 잠금 도구(41)를 사용하여 장신구(24)를 목 주변에 더욱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2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unting employing the locking tool 41 shown in FIG. 11. The above-described mounting of FIG. 7, that is, the ornament 24 is mounted around the neck 34 of the wearer 33, and the one end 36 and the other end 37 of the ornament 24 are attached to the neck 34. For mounting that is polymerized from the rear and held by magnetic force, the locking tool 41 can be used to more securely fix the ornament 24 around the neck.

도12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장착자는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을 파지하고, 장신구(24)를 목 앞쪽 아래 방향에서 위쪽으로 들어 올리고, 장신구(24)의 양단을 어깨의 위쪽을 통해서 목의 후방으로 돌려 잠근다. 그리고 장신구(24)의 일단측(36)을 좌향 화살표로 가리키는 것처럼, S자형을 한 잠금 도구(41)의 한 쪽 통과부(45)에 통과시킨다. 또한, 장신구(24)의 타단측(36)을 우향 화살표로 가리키는 것처럼, S자형을 한 잠금 도구(41)의 다른 쪽의 통과부(46)에 통과시킨다. As indicated in FIG. 12, the wearer grips one end 36 and the other end 37 of the ornament 24, lifts the ornament 24 upward from the lower front of the neck, and lifts both ends of the ornament 24 Lock it by turning it to the rear of the neck through the top of the shoulder. Then, as indicated by the left arrow on one end 36 of the ornament 24, the S-shape is passed through one passage 45 of the locking tool 41. Further, as indicated by the right arrow pointing to the other end side 36 of the ornament 24, the S-shape is passed through the other passage portion 46 of the locking tool 41.

도13은 도12에 이어서 잠금 도구(41)를 채용한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S자형을 한 잠금 도구(41)의 한 쪽 통과부(45)에 통과시킨 장신구(24)의 일단측(36)은 잠금 도구(41)의 직선형의 중앙부(42)와 일단부(43)의 선단에 의해 주위로부터 유지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일단측(36)은 측방으로 풀릴 일이 없다. 또한, S자형을 한 잠금 도구(41)의 다른 쪽의 통과부(46)에 통과시킨 장신구(24)의 타단측(37)은 잠금 도구(41)의 직선형의 중앙부(42)와 타단부(44)의 선단에 의해 주위로부터 유지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타단측(37)도 측방으로 풀릴 일이 없다. FIG. 1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in which the locking tool 41 is employed following FIG. 12. The one end side 36 of the ornament 24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one passing portion 45 of the S-shaped locking tool 41 is a straight central portion 42 and one end 43 of the locking tool 41. It is maintained from the surroundings by the tip. Therefore, the one end side 36 of the ornament 24 will not be released laterally. In addition, the other end side 37 of the ornament 24 passed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through-pass 46 of the S-shaped locking tool 41 is a straight central portion 42 and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tool 41 ( It is maintained from the surroundings by the tip of 44). Therefore, the other end side 37 of the ornament 24 is also not loosened laterally.

이렇게 S자형의 잠금 도구(41)를 사용하여 고정되는 장신구(24)는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가 되어 있는 것에 더해, 잠금 도구(41)의 유지력에 의해 주위 방향으로의 이탈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 외부로부터 벗겨지는 등의 일로 풀리는 일이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장착자가 신체로부터 장신구(24)를 풀 경우에는 장신구(24)를 잠금 도구(41)의 통과부(45,46)로부터 장신구(24)의 일단측(36) 또는 타단측(36)을 축 방향으로 뽑는 것만으로 간단히 장신구(24)를 푸는 것이 가능하다.The ornament 24 fixed by using the S-shaped locking tool 41 is in an adsorbed state by the suction force by the magnet, and the separ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urther ensured by the holding force of the locking tool 41 Is prevented.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loss due to inadvertent drop-out, etc., and it is not released by such things as being peeled off from the outside of the wearer, so that theft and the like can be reliably preven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wearer loosens the ornament 24 from the body, the ornament 24 is removed from the one end 36 or the other end 36 of the ornament 24 from the passages 45 and 46 of the locking tool 41. It is possible to loosen the ornament 24 simply by pulling in the axial direction.

도14는 도11에서 나타낸 잠금 도구(41)를 채용한 장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장착은 상술한 도9의 장착 방법, 즉 장신구(24)를 장착자(33)의 목(34)의 후방에서 앞쪽 아래 방향으로 늘어지도록 해서 장착하고,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을 목(34)의 전방에서 세로 상태로 해서 좌우 방향에서 중합시켜 자력에 의해 계지하는 장착에 대하여, 잠금 도구(41)를 사용하여 장신구(24)를 목 주변에 더욱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Fig. 1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mounting employing the locking tool 41 shown in Fig. 11. This mounting is carried out by mounting the above-described mounting method of Fig. 9, that is, the ornaments 24 are stretched from the rear of the neck 34 of the wearer 33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one end 36 of the ornament 24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which is held by the magnetic force by polymeriz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with the other end 37 in the vertical state from the front of the neck 34, the ornament 24 is more securely around the neck by using the locking tool 41 It is to be fixed.

도14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장착자는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을 파지하고, 장신구(24)를 목의 후방에서 양쪽으로 돌려 감고, 장신구(24)의 양단을 어깨의 위쪽을 통해서 목의 전방으로 돌려 잠근다. 그리고, 장신구(24)의 일단측(36)을 하향 화살표로 가리킨 것처럼, 가로방향을 한 S자형의 잠금 도구(41)의 한쪽 통과부(45)에 통과시킨다. 또한, 장신구(24)의 타단측(37)을 하향 화살표로 가리킨 것처럼, 가로방향을 한 S자형의 잠금 도구(41)의 다른 쪽의 통과부(46)에 통과시킨다. As shown in Fig. 14, the wearer grips one end 36 and the other end 37 of the ornament 24, turns the ornament 24 from the back of the neck to both sides, and wraps both ends of the ornament 24 on the shoulder. Lock it by turning it through the top of the neck toward the front of the neck. Then, as indicated by the downward arrow on the one end side 36 of the ornament 24, it passes through one passage portion 45 of the S-shaped locking tool 4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as indicated by the downward arrow on the other end side 37 of the ornament 24, it is passed through the other passage portion 46 of the S-shaped locking tool 4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15는 도14에 이어서 잠금 도구(41)를 채용한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가로 방향으로 한 S자형의 잠금 도구(41)의 한 쪽 통과부(45)에 위쪽에서 통과시킨 장신구(24)의 일단측(36)은 잠금 도구(41)의 직선형의 중앙부(42)와 일단부(43)의 선단에 의해 주위로부터 유지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일단측(36)은 측방으로 풀릴 일이 없다. 또한, 가로 방향으로 한 S자형의 잠금 도구(41)의 다른 쪽의 통과부(46)에 위쪽에서 통과시킨 장신구(24)의 타단측(37)은 잠금 도구(41)의 직선형의 중앙부(42)와 타단부(44)의 선단에 의해 주위로부터 유지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타단측(37)도 측방으로 풀릴 일이 없다. Fig. 1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in which the locking tool 41 is employed, subsequent to Fig. 14. The one end side 36 of the ornament 24 pass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one passing portion 45 of the S-shaped locking tool 4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one end with the straight central portion 42 of the locking tool 41. It is held from the circumference by the tip of the portion 43. Therefore, the one end side 36 of the ornament 24 will not be released laterally. In addition, the other end side 37 of the ornament 24 pass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other side passing portion 46 of the S-shaped locking tool 4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a straight central portion 42 of the locking tool 41 ) And the other end portion 44 are held from the surroundings. Therefore, the other end side 37 of the ornament 24 is also not loosened laterally.

이 예에 있어서도, S자형의 잠금 도구(41)를 사용하여 고정된 장신구(24)는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가 되어 있는 것에 더해, 잠금 도구(41)의 유지력에 의해 주위 방향으로의 이탈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 외부로부터 벗겨지는 등의 일로 풀리는 일이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장착자가 신체에서 장신구(24)를 풀 경우에는, 장신구(24)를 잠금 도구(41)의 통과부(45, 46)로부터 장신구(24)의 일단측(36) 또는 타단측(37)을 위쪽 방향으로 뽑는 것만으로 간단히 장신구(24)를 푸는 것이 가능하다. Also in this example, the ornaments 24 fixed using the S-shaped locking tool 41 are in an adsorbed state by the suction force by the magnet, and in addition, the holding tool 41 retains the locking tool 4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eviation is more reliably prevented.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loss due to inadvertent drop-out, etc., and it is not released by such things as being peeled off from the outside of the wearer, so that theft can also be reliably preven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wearer loosens the ornament 24 from the body, the ornament 24 is passed from the passages 45 and 46 of the locking tool 41 to one end 36 or the other end 37 of the ornament 24 It is possible to simply loosen the ornaments 24 simply by pulling upwards.

도16은 본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24)의 잠금 도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6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이 잠금 도구(5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서 형성한 것으로, 측면에서 볼 때 거의 안경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이 잠금 도구(51)의 틀체(52)는 「8」자형이며, 일단측 틀부(53)가 상술한 장신구(24)의 외경보다도 조금 큰 내경으로 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것에 의해, 잠금 도구(51)의 일단측 틀부(53) 내의 원 형상 공간 부분은 장신구(24)의 선단을 통과할 수 있는 한 쪽의 통과부(55)로 되어 있다.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locking tool of the ornament 24 through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6, this locking tool 51 is formed of a metal or resin or the like as a material, and is substantially glasses-shaped when viewed from the side. In other words, the frame 52 of the locking tool 51 has an "8" shape, and the one end frame 53 has a circular shape with an inner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above-mentioned ornament 24. As a result, the circular space portion in the frame portion 53 at one end of the locking tool 51 serves as a passage portion 55 that can pass through the tip of the ornament 24.

잠금 도구(51)의 타단측 틀부(54)에는 일단측 테두리부(53)와 같은 원 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부의 내경도 상술한 장신구(24)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잠금 도구(51)의 만곡된 타단측 틀부(54) 내의 원 형상 공간 부분은 장신구(24)의 선단을 통과할 수 있는 다른 쪽의 통과부(56)로 되어 있다. The other end side frame portion 54 of the locking tool 51 is formed with a circular space portion such as the one end side edge portion 53, and the inner diameter of this space portion is also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above-mentioned ornament 24. have. As a result, the circular space portion in the curved other end side frame portion 54 of the locking tool 51 serves as a passing portion 56 on the other side that can pass through the tip of the ornament 24.

도17은 도16에서 나타낸 잠금 도구(51)를 채용한 장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장착은, 상술한 도7의 장착에 대하여, 잠금 도구(51)를 사용하여 장신구(24)를 목 주변에 더욱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17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장착자는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을 파지하고, 장신구(24)를 목 앞 아래에서 위쪽으로 들어 올리고, 장신구(24)의 양단을 어깨의 위쪽을 통해서 목의 후방으로 돌린다. 그리고 장신구(24)의 일단측(36)을 좌향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51)의 한 쪽 통과부(55)에 통과시킨다. 또한, 장신구(24)의 타단측(36)을 우향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51)의 다른 쪽의 통과부(56)에 통과시킨다. Fig. 17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mounting employing the locking tool 51 shown in Fig. 16; This mounting is to make it possible to more securely fix the ornament 24 around the neck by using the locking tool 51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of FIG. 7 described above. As indicated in FIG. 17, the wearer grips one end 36 and the other end 37 of the ornament 24, lifts the ornament 24 upward from the front and bottom of the neck, and shoulders both ends of the ornament 24 Turn to the rear of the neck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Then, as shown by the left arrow on one end 36 of the ornament 24, the spectacles are passed through one pass portion 55 of the locking tool 51. Further, as shown by the right arrow on the other end side 36 of the ornament 24, the spectacle is passed through the other passage portion 56 of the locking tool 51.

도18은 도17에 이어서 잠금 도구(51)를 채용한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51)의 한 쪽 통과부(55)에 통과시킨 장신구(24)의 일단측(36)은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51)의 일단측 틀부(53)의 통과부(55)에 의해 주위로부터 유지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일단측(36)은 측방으로 풀릴 일이 없다. 또한,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51)의 다른 쪽의 통과부(56)에 통과시킨 장신구(24)의 타단측(37)은 잠금 도구(51)의 틀체(52)의 다른 쪽의 통과부(56)에 의해 주위로부터 유지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타단측(37)도 측방으로 풀릴 일이 없다. 1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in which the locking tool 51 is employed, subsequent to FIG. The one end side 36 of the ornament 24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one passing portion 55 of the spectacle-shaped locking tool 51 is the passing portion 55 of the one end frame 53 of the spectacle-type locking tool 51. ). Therefore, the one end side 36 of the ornament 24 will not be released laterally. In addition, the other end side 37 of the ornament 24 passed through the other passage portion 56 of the eyeglass-shaped locking tool 51 is the other passing portion of the frame 52 of the locking tool 51 ( 56). Therefore, the other end side 37 of the ornament 24 is also not loosened laterally.

이와 같이 안경형의 잠금 도구(51)를 사용하여 고정된 장신구(24)는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가 되어 있는 것에 더하여,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51)의 유지력에 의해, 도11에 나타낸 잠금 도구(41)보다도 더욱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 외부로부터 벗겨지는 등의 일로 풀리는 일이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장착자가 신체에서 장신구(24)를 풀 경우에는, 장신구(24)를 잠금 도구(51)의 통과부(55,56)로부터 장신구(24)의 일단측(36) 또는 타단측(37)을 축 방향으로 뽑는 것만으로 간단히 장신구(24)를 푸는 것이 가능하다. The ornaments 24 fixed using the eyeglass-shaped locking tool 51 are in an adsorbed state due to the attraction force of the magnet, and the holding force of the eyewear-shaped locking tool 51 is shown in FIG. 11. More reliably than the locking tool 41, departure in the peripheral direction is prevented.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loss due to inadvertent drop-out, etc., and it is not released by such things as being peeled off from the outside of the wearer, so that theft and the like can be reliably preven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wearer loosens the ornament 24 from the body, the ornament 24 is passed from the passages 55 and 56 of the locking tool 51 to one end 36 or the other end 37 of the ornament 24 It is possible to loosen the ornament 24 simply by pulling in the axial direction.

도19는 도16에 나타낸 안경형의 잠금 도구(51)를 채용한 장착을 나타내는 설명 도이다. 이 장착 과정은 상술한 도9의 장착에 대하여, 안경형의 잠금 도구(51)를 사용하여 장신구(24)를 목 주변에 더욱 확실하게 잠글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Fig. 19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mounting employing the eyeglass-shaped locking tool 51 shown in Fig. 16. This mounting process is to allow the accessory 24 to be more securely locked around the neck by using the eyeglass-type locking tool 51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mounting of FIG. 9.

도19에 가리키는 것 같이, 장착자는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을 파지하고, 장신구(24)를 목의 후방에서 양측으로 감고, 장신구(24)의 양단을 어깨의 위쪽을 통해서 목의 전방으로 돌린다. 그리고 장신구(24)의 일단측(36)을 하향 화살표로 가리키는 것처럼, 가로 방향으로 한 안경형의 잠금 도구(51)의 한 쪽 통과부(55)에 통과시킨다. 또한, 장신구(24)의 타단측(36)을 하향 화살표로 가리키는 것처럼, 가로 방향으로 한 안경형의 잠금 도구(51)의 다른 쪽의 통과부(56)에 통과시킨다. 19, the wearer grips one end 36 and the other end 37 of the ornament 24, winds the ornament 24 from both sides of the neck to both sides, and shoulders both ends of the ornament 24 Turn the front of the neck through the top of the. Then, as indicated by the downward arrow on one end 36 of the ornament 24, it is passed through one passage portion 55 of the spectacle-shaped locking tool 5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urther, as indicated by the downward arrow on the other end side 36 of the ornament 24, it is passed through the other passage portion 56 of the eyeglass-shaped locking tool 5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20은 도19에 이어서 안경형의 잠금 도구(51)를 채용한 장착을 나타내는 확대 도이다. 가로 방향을 한 안경형의 잠금 도구(51)의 한 쪽 통과부(55)에 위쪽에서 통과시킨 장신구(24)의 일단측(36)은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51)의 한 쪽 통과부(55)에 의해 주위로부터 유지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일단측(36)은 측방으로 풀릴 일이 없다. 또한, 가로 방향으로 한 안경형의 잠금 도구(51)의 다른 쪽의 통과부(56)에 위쪽에서 통과시킨 장신구(24)의 타단측(37)은 잠금 도구(51)의 다른 쪽의 통과부(56)에 의해 주위로부터 유지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타단측(37)도 측방으로 풀릴 일이 없다. FIG. 20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mounting employing the eyeglass type locking tool 51 following FIG. 19. The one side 36 of the ornament 24 pass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one passing portion 55 of the eyeglass-shaped locking tool 5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one passing portion 55 of the eyewear-like locking tool 51 ). Therefore, the one end side 36 of the ornament 24 will not be released laterally. In addition, the other end side 37 of the ornament 24 pass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other side passing portion 56 of the spectacle-type locking tool 5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the other side passing portion of the locking tool 51 ( 56). Therefore, the other end side 37 of the ornament 24 is also not loosened laterally.

이 예에 있어서도, 안경형의 잠금 도구(51)를 채용해서 고정된 장신구(24)는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가 되어 있는 것에 더해, 안경형의 잠금 도구(51)의 유지력에 의해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한층 확실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 외부로부터 벗겨지는 등의 일로 풀리는 일이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장착자가 신체에서 장신구(24)를 풀 경우에는, 장신구(24)를 잠금 도구(51)의 통과부(55,56)로부터 장신구(24)의 일단측(36) 또는 타단측(36)을 위쪽 방향으로 뽑는 것 만으로 간단히 장신구(24)를 푸는 것이 가능하다. Also in this example, the ornament 24 fixed by employing the eyeglass-shaped locking tool 51 is in an adsorbed state due to the attraction force of the magnet, and in addition, the holding accessory 51 is hel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holding force of the eyeglass-shaped locking tool 51. Deviation of is further prevented.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loss due to inadvertent drop-out, etc., and it is not released by such things as being peeled off from the outside of the wearer, so that theft and the like can be reliably preven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wearer loosens the ornament 24 from the body, the ornament 24 is passed from the passages 55 and 56 of the locking tool 51 to one end 36 or the other end 36 of the ornament 24 It is possible to simply loosen the ornaments 24 simply by pulling upwards.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피(25)를 튜브(12)와 별개의 독립된 구성으로 했으나, 외피(25)는 튜브(12)의 표면 부분 자체를 가공하거나, 튜브(12)의 표면 부분에 매설하거나, 접착하는 것 등을 통해 일체 구조로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shell 25 is a separate structure from the tube 12, but the outer shell 25 processes the surface portion of the tube 12 itself, or is embedded in the surface portion of the tube 12, or , It can be made into an integral structure through gluing.

또한, 복수의 자석(13,14,15)은 튜브(12)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자석(13,14,15)의 외경에 대하여, 튜브(12)의 내경을 얼마 정도 크게 하는 것으로 가능해진다. 이렇게 자석(13,14,15)이 튜브(12)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에서는 튜브(12)의 양단부를 포갰을 때에 마주 보는 자석이 N극과 N극의 동극이 되어 있어도, 동극 사이에서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자석이 회전한다. 이렇게 회전하여 대향하고 있는 자석이 다른 극끼리가 되어서 흡자력이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본체(11)이 링형이 되기 때문에, 신체에 대한 장착이 가능해 진다. Also, the plurality of magnets 13, 14, and 15 can be rotatable inside the tube 12. This makes it possible to increase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e 12 to some extent with respect to the outer diameters of the magnets 13, 14, and 15. In such a structure in which the magnets 13, 14, and 15 are rotatable inside the tube 12, even when the opposing magnets are the same poles of the N and N poles when covering both ends of the tube 12, they act between the copper poles. The magnet rotates by the repulsive force. In this way, the magnets facing each other become different poles, and the suction force acts. Since the ornament main body 11 becomes a ring shape by this, attachment to a body is attained.

(제2 실시 형태) 도2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 본체의 부품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장신구 본체(11)는 양단이 개구하는 1개의 끈형 튜브(12)와 튜브(12) 내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자석(63‥)과 튜브(12) 내에 자석(63‥)과 교대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65‥)와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68)를 막는 일단측 캡(16)과 튜브(12)의 타단측 개구부(19)를 막는 타단측 캡(17)으로 구성되어 있다. (Second embodiment) Fig.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onent configuration of an ornament body throug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nament body 11 includes a plurality of magnets 63. Inserted into one thong tube 12 and tube 12 opened at both ends, and a plurality of magnets 63 alternately inserted into the tube 12. It consists of a spacer (65 ‥) and one end cap (16) blocking the opening (68) at one end of the tube (12) and the other end cap (17) closing the other opening (19) of the tube (12).

자석(63‥)은 지름 및 길이가 동일한 원주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튜브(12) 내의 길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삽입된다. 자석(63‥)이 튜브(12) 내에 삽입될 경우에는 튜브(12)의 원통의 중심부와 일단측 자석(63‥)의 중심부가 일치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각 일단측 자석(63‥)은 튜브(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축 방향 단부가 각각 마주하는 직렬 배치로 삽입된다. 자석(63‥)은 강력한 흡자력(예를 들면 2000가우스)이 있는 금속 자석, 예를 들면 페라이트 자석이 사용된다. 이들 자석(63‥)은 튜브(12)를 사용자의 목 주변에 두른 상태에서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68)와 타단측 개구부(69)가 중합 또는 교차하는 부분에서 서로 흡인력을 발생하는 것이 된다. The magnet 63.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shape having the same diameter and length, and is insert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tube 12. When the magnet 63 ‥ is inserted into the tube 12, the center of the cylinder of the tube 12 and the center of one end of the magnet 63 ‥ coincide. In addition, each one end side magnet 63. Is inserted in a series arrangement in which the axial ends face each other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tube 12. As the magnet 63., A metal magnet having a strong absorption force (for example, 2000 gauss), for example, a ferrite magnet, is used. These magnets 63 ‥ generate a suction force from each other at the part where the opening 68 on one side and the opening 69 on the other side of the tube 12 are polymerized or intersect while the tube 12 is placed around the neck of the user. It becomes.

한편, 튜브(12)의 중간 부분으로, 자석(63‥)이 사용자의 목 주변에 단순 배치되어, 튜브(12)가 잠금 수단으로서 기능하지 않는 부분일 경우에는, 반드시 강력한 흡자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as the middle part of the tube 12, if the magnet 63 is simply arranged around the user's neck and the tube 12 does not function as a locking means, it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a strong suction force. Does not.

스페이서(65‥)는 예를 들면 자석(63‥)과 1개씩 교대로 튜브12에 삽입되고, 이들 스페이서(65‥)도 자석(63‥)과 같이, 지름 및 길이가 동일한 원주형이고, 튜브(12) 내의 길이 방향에 따라, 축 방향 단부가 각각 마주하는 직렬 배치로 삽입된다. The spacers 65 ‥ are inserted into the tube 12 alternately with the magnets 63 ‥ one by one, for example, and these spacers 65 ‥ are cylindrical, having the same diameter and length as the magnets 63 ‥, and the tubes According to the lengthwise direction in (12), the axial ends are inserted in series arrangements facing each other.

스페이서(65‥)에는 자성 재료 및 비자성 재료 등의 다양한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65‥)의 재질로는, 철, 스테인레스강 등 기타 철계 금속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자석(63‥)의 길이 방향으로의 자력선 통과가 좋아진다. 또한, 스페이서(65‥)의 재질로는, 철계 금속 외의 비철금속, 예를 들면 티탄늄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스페이서(65‥)에는 금, 은 등의 귀금속을 적용할 수 있다. 이들 귀금속을 적용했을 경우에는, 호화성, 중량감 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헤마타이트 등의 귀석류를 적용할 수도 있다. 귀석류를 적용했을 경우에는, 사용감을 높일 수 있다. Various materials such as magnetic materials and non-magnetic materials can be applied to the spacer 65. For example, as the material of the spacer 65, other iron-based metals such as iron and stainless steel can be applied. In this case, the passage of the magnetic force lin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gnet 63 is improved. In addition, as the material of the spacer 65., Non-ferrous metals other than iron-based metals, for example, titanium, or the like can also be applied. In addition, noble metals such as gold and silver can be applied to the spacer 65. When these precious metals are applied, luxury properties, weight, and the like can be obtained. Also, for example, precious stones such as hematite can be used. When precious stones are applied, the feeling of use can be enhanced.

도22는 도21에 나타낸 부품을 장신구 본체(61)로서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단면도이다. 도22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 내에는 복수 개의 일단측의 자석(63‥)과 스페이서(65‥)가 1개씩 교대로 직렬 배치로 삽입되는 동시에, 튜브(12)의 타단측 개구부(19) 내에도 복수 개의 타단측의 자석(63‥)과 스페이서(65‥)가 1개씩 교대로 직렬 배치로 삽입되어 있다. 또한, 튜브(12) 내에 있어서의 자석(63‥)과 스페이서(65‥)가 삽입된 일단측 개구부(18)와 타단측 개구부(19) 이외의 부분, 즉 중간 부분에도 복수 개의 중간측의 자석(63‥)과 스페이서(65‥)가 1개씩 교대로 직렬 배치로 삽입되어 있다. 이렇게, 자석(63‥)과 스페이서(65‥)가 튜브(12)의 길이 방향 전체 범위에 걸쳐서 1개씩 교대로 직렬 배치되어 있다. 단, 자석(63‥)과 스페이서(65‥)는 반드시 1개씩 교대로 직렬 배치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자석(63‥)을 2개, 스페이서(65‥)를 1개씩 교대로 배치하거나, 그 밖의 임의 수마다 배열할 수도 있다. 22 is an overal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1 are assembled as the ornament body 61. As shown in FIG. 22, in the one end opening 18 of the tube 12, a plurality of magnets 63 ‥ and spacers 65 ‥ at one end side are alternately inserted one by one in series arrangement, and at the same time, the tube 12 ) In the other end-side opening 19, a plurality of magnets 63 ‥ and spacers 65 ‥ of the other ends are alternately inserted in series. In addition, a plurality of intermediate magnets in portions other than the one end opening 18 and the other end opening 19 in which the magnets 63... And spacers 65. (63 ‥) and spacers (65 ‥) are alternately inserted one by one in series arrangement. In this way, the magnets 63 ... and spacers 65 ... are alternately arranged one by one over the entire r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12. However, it is not always necessary to alternately arrange the magnets 63 ‥ and the spacers 65 ‥ one by one, for example, two magnets 63 ‥ and one spacer 65 ‥ alternately or , It can be arranged every other number.

한편, 일단측의 자석(63‥), 타단측의 자석(63‥) 및 중간측의 자석(63‥)의 축 방향 단면이 서로 밀접 상태로 삽입되면, 이들 단면이 기우는 공간적 여유가 없고, 나아가서는 튜브(12)를 만곡시킬 수 없다. 그래서 각 일단측의 자석(63‥) 상호 사이, 각각 타단측의 자석(63‥) 상호 사이 및 이들과 중간측의 자석(63‥)과의 사이 및 중간측의 자석(63‥) 상호 사이에는 각각 소정의 틈이 확보되어, 이것으로 의해 일단측의 자석(63‥), 타단측의 자석(63‥) 및 중간측의 자석(63‥)이 서로 기울 수 있고, 나아가서는 튜브(12)를 만곡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xial cross-sections of the magnet 63 ‥ at one end, the magnet 63 ‥ at the other end, and the magnet 63 ‥ at the other end are closely inserted into each other, there is no spatial margin in which these sections lean, Furthermore, the tube 12 cannot be bent. Therefore, between the magnets 63 ‥ of each one end, between the magnets 63 of each other, and between them and the magnets 63 of the middle, and between the magnets 63 of the middle. A predetermined gap is secured, respectively, so that the magnet 63 ‥ at one end, the magnet 63 ‥ at the other end, and the magnet 63 ‥ at the intermediate side can tilt each other, and furthermore, the tube 12 is It can be bent.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와 타단측 개구부(19)는 일단측 캡(16)과 타단측 캡(17)에 의해 각각 막아져, 접착 또는 나사 구조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튜브(12)의 일단측 캡(16) 및 타단측 캡(17)으로부터 일단측의 자석(63‥) 및 타단측의 자석(63‥) 등이 탈락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The one end opening 18 and the other opening 19 of the tube 12 are respectively blocked by the one end cap 16 and the other end cap 17, and are fixed by an adhesive or a screw structure or the like. Thereby, it is prevented that the magnet 63 ‥ on one end and the magnet 63 ‥ on the other end fall off from the one end cap 16 and the other end cap 17 of the tube 12.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페이서(65‥)를 자석(63‥)과 교대로 튜브(12)에 삽입하는 구성으로 하여, 다양한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상술 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65‥)에 철, 스테인레스강 등 기타 철계 금속을 적용했을 경우에는, 자석(63‥)의 길이 방향으로의 자력선 통과가 좋아 질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65‥)의 재질로 철계 금속 외의 비철금속, 예를 들면 티탄늄 등을 적용했을 경우에는 고급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65‥)에 금, 은 등의 귀금속을 적용했을 경우에는, 호화성, 중량감 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헤마타이트 등의 귀석류를 적용했을 경우에는, 사용감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various functions can be obtained by setting the spacer 65... Into the tube 12 alternately with the magnet 63. In other words, as described above, when other iron-based metals such as iron and stainless steel are applied to the spacer 65 ‥, the magnetic force line pass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gnet 63 ‥ may be improved. Further, when a non-ferrous metal other than an iron-based metal, for example, titanium, i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spacer 65. In addition, when noble metals such as gold and silver are applied to the spacer 65., Luxury properties and a feeling of weight can be obtained. Moreover, when a precious stone such as hematite is applied, for example, the feeling of use can be enhanced.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자석(63)을 튜브(12)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자석(63)이 튜브(12)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에서는, 튜(12)의 양단부를 포갰을 때에 대향한 자석이 N극과 N극의 동극이 되어 있어도, 동극 간에서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자석이 회전한다. 이렇게 회전하여 대향하고 있는 자석이 다른 극끼리가 되어서 흡자력이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본체(11)가 링형이 되기 때문에, 신체에 대한 장착이 가능해 진다. 이 경우, 스페이서(65)를 튜브(12)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Also in this embodiment, the magnet 63 can be made rotatable inside the tube 12. In this structure in which the magnet 63 is rotatable inside the tube 12, even when the opposing magnet becomes the same pole of the N-pole and the N-pole when covering both ends of the tub 12, the repulsive force acts between the same pole The magnet rotates. In this way, the magnets facing each other become different poles, and the suction force acts. Since the ornament main body 11 becomes a ring shape by this, attachment to a body is attained.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spacer 65 rotatable within the tube 12.

(제3 실시 형태) 도2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 본체의 부품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장신구 본체(11)는 양단이 개구하는 1개의 끈형의 튜브(12)와 이 튜브(12) 내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자석(63‥)과 튜브(12) 내의 단부 외의 중간 부분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65‥)와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를 막는 일단측 캡(16)과 튜브(12)의 타단측 개구부(19)를 막는 타단측 캡(17)으로 구성되어 있다. (Third embodiment) Fig. 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onent configuration of a jewelry body through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nament body 1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one string-shaped tube 12 opened at both ends, and a plurality of magnets 63... And tubes 12 inserted in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tube 12. A plurality of spacers 65... Inserted in the middle portion other than the end and one end cap 16 blocking the one end opening 18 of the tube 12 and the other end side blocking the other end opening 19 of the tube 12 It consists of a cap 17.

자석(63‥)은 지름 및 길이가 동일한 원주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튜브(12) 내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소정 수 인접해서 배치되는 것이라고 하고 있다. 이들 자석(63)이 ‥튜브(12) 내에 삽입될 경우에는, 튜브(12)의 원관의 중심부와 자석(63‥)의 중심부가 일치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자석(63‥)은 튜브(12)의 길이 방향에 따라, 축 방향 단부가 각각 마주하는 직렬 배치로 삽입된다. It is said that the magnet 63... Is made of a columnar shape having the same diameter and length, and is arranged adjacent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tube 12. When these magnets 63 are inserted into the tube 12, the center of the circular tube of the tube 12 and the center of the magnet 63 ... coincide. In addition, the magnets 63... Are inserted in series arrangement with the axial ends facing each other,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tube 12.

스페이서(65‥)는 튜브(12) 내에 있어서의 자석(63‥)이 배치된 부분 이외, 즉 일단측과 타단측을 제외하는 중간 부분에 배치되게 되어 있다. 이들 스페이서(65‥)도 자석(63‥)과 같이, 지름 및 길이가 동일한 원주형의 것이고, 튜브(12) 내의 길이 방향에 따라, 축 방향 단부가 각각 마주하는 직렬 배치로 삽입된다. 스페이서(65‥)에는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자성 재료 및 비자성 재료 등 각종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65‥)의 재질로는 철, 스테인레스강 등 기타 철계 금속, 티탄늄 등의 비철금속, 금, 은 등의 귀금속, 나아가 헤마타이트 등의 귀석류를 적용할 수도 있다. The spacer 65... Is arranged in a portion other than the portion in which the magnet 63 in the tube 12 is disposed, that is, in the middle portion exclud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The spacers 65... Are of the same cylindrical shape and the same diameter and length as the magnet 63. The axial ends are inser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tube 12. Various materials such as a magnetic material and a non-magnetic material similar to those of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the spacer 65. Therefore, as the material of the spacer 65., Other iron-based metals such as iron and stainless steel, non-ferrous metals such as titanium, precious metals such as gold and silver, and precious stones such as hematite may be applied.

도24는 도21에 나타낸 부품을 장신구 본체(81)로서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단면도이다. 도24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 내에는 복수 개의 일단측의 자석(63‥)이 직렬 배치로 삽입되는 동시에, 튜브(12)의 타단측 개구부(19) 내에도 복수 개의 자석(63‥)이 직렬 배치로 삽입되어 있다. 또한, 튜브(12) 내에 있어서의 자석(63)이 삽입된 일단측 개구부(18)와 타단측 개구부(19) 외의 부분, 즉 중간 부분에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65‥)가 직렬 배치로 삽입되어 있다. Fig. 24 is an overal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1 are assembled as the ornament body 81. As shown in Fig. 24, a plurality of one end magnets 63 are inserted in series in the one end opening 18 of the tube 12, and also in the other end opening 19 of the tube 12. A plurality of magnets 63 ... are inserted in series. In addition, a plurality of spacers 65... Are inserted in series in a portion other than the one end opening 18 and the other end opening 19 in which the magnet 63 is inserted in the tube 12, that is, the middle portion. .

한편, 일단측의 자석(63‥), 타단측의 자석(63‥) 및 중간측의 스페이서(65‥)의 축 방향 단면이 서로 밀접 상태로 삽입되면, 이것들의 단면이 기우는 공간적 여유가 없어, 튜브(12)를 만곡시킬 수 없다. 그래서 각 일단측의 자석(63‥) 상호 사이, 각각 타단측의 자석(63‥) 상호 사이 및 이들과 중간측의 스페이서(65‥)와의 사이 및 중간측의 스페이서(65‥) 상호 사이에는 각각 소정의 틈이 확보되어, 이것으로 의해 일단측의 자석(63‥), 타단측의 자석(63‥) 및 중간측의 스페이서(65‥)가 서로 기울 수 있고, 나아가서는 튜브(12)를 만곡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axial cross-sections of the magnet 63 ‥ at one end, the magnet 63 ‥ at the other end, and the spacer 65 ‥ at the intermediate side are insert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 is no spatial margin in which these sections lean. , The tube 12 cannot be bent. Therefore, each of the magnets 63 ‥ at one end side, each of the magnets 63 ‥ at the other end, and between them and the spacers 65 ‥ at the intermediate side and between the spacers 65 ‥ at the intermediate side, respectively A predetermined gap is secured, whereby the magnet 63 ‥ at one end, the magnet 63 ‥ at the other end, and the spacer 65 ‥ at the intermediate side can be inclined with each other, further bending the tube 12 It is made possible.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튜브(12)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소정 수의 자석(63‥)을 배치했으므로, 튜브(12)의 각 단부끼리를 서로 자기 흡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a predetermined number of magnets 63... Are disposed on one end side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tube 12, each end portion of the tube 12 can be magnetically adsorbed to each other.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자석(63)을 튜브(12)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자석(63)이 튜브(12)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에서는, 튜(12)의 양단부를 포갰을 때에 대향한 자석이 N극과 N극의 동극이 되어 있어도, 동극 간에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자석이 회전한다. 이렇게 회전하여, 대향하고 있는 자석이 다른 극끼리가 되어서 흡자력이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본체(11)가 링형이 되기 때문에, 신체에 대한 장착이 가능해 진다. 한편, 자석(63)에 더해서 스페이서(65)도 튜브(112)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magnet 63 can be made to be rotatable inside the tube 12. In this structure in which the magnet 63 is rotatable inside the tube 12, even if the opposing magnets are the same poles of the N and N poles when covering both ends of the tub 12, the repulsive force acts between the copper poles. The magnet rotates. By rotating in this way, the magnets facing each other become different poles, and the suction force acts. Since the ornament main body 11 becomes a ring shape by this, attachment to a body is attained.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magnet 63, the spacer 65 can also be rotatable within the tube 112.

(제4 실시 형태) 도2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 본체의 부품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장신구 본체(11)는 양단이 개구하는 1개의 끈형의 튜브(12)와 이 튜브(12) 내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자석(63‥)과 이들 자석(63) 사이에 교대로 배치되는 스페이(65‥)와 튜브(12) 내의 단부 외의 중간 부분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65‥)와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를 막는 일단측 캡(16)과 튜브(12)의 타단측 개구부(19)를 막는 타단측 캡(17)으로 구성되어 있다. (Fourth Embodiment) Fig. 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onent configuration of a jewelry body through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nament body 1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one string-shaped tube 12 opened at both ends and a plurality of magnets 63... Inserted into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tube 12, and these magnets 63 A spacer (65 ‥) which is alternately disposed between and a plurality of spacers (65 ‥) inserted into an intermediate portion other than the end portion in the tube (12) and one end cap (16) blocking the opening (18) at one end of the tube (12) ) And the other end-side cap 17 that closes the other end-side opening 19 of the tube 12.

자석(63‥)은 지름 및 길이가 동일한 원주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튜브(12) 내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소정 수 배치되는 것이라 하고 있다. 이들 각 자석(63‥)의 상호 간에는 스페이서(65‥)가 1개씩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각 자석(63‥) 및 스페이서(65‥)가 튜브(12) 내에 삽입될 경우에는, 튜브(12)의 원관의 중심부와 자석(63‥) 및 스페이서(65‥)의 중심부가 일치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자석(63‥) 및 스페이서(65‥)는 튜브(12)의 길이 방향에 따라, 축 방향 단부가 각각 마주하는 직렬 배치로 삽입된다. It is said that the magnets 63 ... are formed in a columnar shape having the same diameter and length, and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number on one end side and the other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tube 12. One spacer 65 ... is alternately arranged between each of the magnets 63. When each of these magnets 63 ‥ and spacers 65 ‥ is inserted into the tube 12, the center of the original tube of the tube 12 and the center of the magnets 63 ‥ and spacers 65 ‥ coincide. Becomes In addition, the magnets 63... And spacers 65... Are inserted in a series arrangement with the axial ends facing each other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tube 12.

각 자석(63‥)은 강력한 흡자력(예를 들면 2000가우스)이 있는 금속 자석, 예를 들면 페라이트 자석이 사용된다. 그리고 이들 자석(63‥)은 튜브(12)를 사용자의 목 주변에 두른 상태에서,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와 타단측 개구부(19)가 중합 또는 교차하는 부분에서 서로 흡인력을 발생하는 것이 된다. 스페이서(65‥)는 튜브(12) 내에 있어서의 자석(63‥)이 배치된 부분 외, 즉 일단측과 타단측을 제외한 중간 부분에도 배치된다. 이들 스페이서(65‥)도 자석(63‥)과 같이, 지름 및 길이가 동일한 원주형의 것이고, 튜브(12) 내의 길이 방향에 따라, 축 방향 단부가 각각 마주하는 직렬 배치로 삽입된다. For each magnet 63., A metal magnet having a strong absorption force (for example, 2000 gauss), for example, a ferrite magnet, is used. And these magnets (63 ‥) in a state where the tube (12) is placed around the neck of the user, one end opening (18) of the tube (12) and the other end opening (19) are polymerized or cross each other to attract suction force from each other. It happens. The spacer 65... Is disposed outside the portion where the magnet 63... In the tube 12 is disposed, that is, in the middle portion except for one end and the other end. The spacers 65... Are of the same cylindrical shape and the same diameter and length as the magnet 63. The axial ends are inser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tube 12.

도26은 도25에 나타낸 부품을 장신구 본체(101)로서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단면도이다.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 내에는 복수 개의 일단측의 자석(63‥)과 스페이서(65‥)가 1개씩 교대로 직렬 배치로 삽입되는 동시에, 튜브(12)의 타단측 개구부(19) 내에도 복수 개의 자석(63‥)과 스페이서(65‥)가 1개씩 교대로 직렬 배치로 삽입되어 있다. 또한, 튜브(12) 내에 있어서의 자석(63‥)과 스페이서(65‥)가 삽입된 일단측(18)과 타단측 개구부(19) 외의 부분, 즉 중간부분에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65‥)가 직렬 배치로 삽입되어 있다. Fig. 26 is an overal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5 are assembled as the ornament body 101. In the one end opening 18 of the tube 12, a plurality of one end magnets 63 ‥ and spacers 65 ‥ are alternately inserted one by one at the same time, and the other end opening of the tube 12 ( 19) A plurality of magnets 63 ‥ and spacers 65 ‥ are also alternately inserted in series one by one. In addition, a plurality of spacers 65... In a part other than the one end 18 and the other end opening 19 in which the magnet 63 .. and spacer 65. It is inserted in a serial arrangement.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튜브(12)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소정 수의 자석(63‥)과 스페이서(65‥)를 교대로 배치했으므로, 튜브(12)의 각 단부끼리를 서로 자기 접착할 수 있는 동시에, 스페이서(65‥)에 의한 여러 가지 기능을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a predetermined number of magnets 63 ‥ and spacers 65 ‥ are alternately arranged on one end side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tube 12, each end of the tube 12 is self-adhering to each other. At the same time, various functions can be obtained by the spacer 65.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자석(63)을 튜브(12)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자석(63)이 튜브(12)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에서는 튜브(12)의 양단부를 포갰을 때 대향한 자석이 N극과 N극의 동극이 되어 있어도, 동극 간에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자석이 회전한다. 이렇게 회전하여 대향하고 있는 자석이 다른 극끼리가 되어서 흡자력이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본체(11)가 링형이 되기 때문에, 신체에 대한 장착이 가능해 진다. 한편, 자석(63)에 더해서 스페이서(65)도 튜브(112)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Also in this embodiment, the magnet 63 can be made to be rotatable inside the tube 12. In this structure in which the magnet 63 is rotatable inside the tube 12, even when the opposing magnet becomes the same pole of the N-pole and the N-pole when enclosing both ends of the tube 12, the magnet is caused by the repulsive force acting between the same poles. This rotates. In this way, the magnets facing each other become different poles, and the suction force acts. Since the ornament main body 11 becomes a ring shape by this, attachment to a body is attained. Meanwhile, in addition to the magnet 63, the spacer 65 may also be rotatable within the tube 112.

(제5 실시 형태) 도27은 본 고안의 제5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27에 나타낸 것처럼, 본 실시 형태의 장신구 본체(11)에서는 튜브(12)의 일단측(18)과 타단측(19)과의 중합부에서 튜브(12) 내에 복수의 자석(63a, 63b)이 배치되어 있다. (Fifth embodiment) Fig. 2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rnaments through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7, in the ornament body 11 of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magnets 63a, 63b in the tube 12 at the polymerization portion between the one end 18 and the other end 19 of the tube 12 Is placed.

튜브(12)의 일단측(18) 내에는 일정한 흡자력이 있는 복수의 자석(63b)과 이들 자석(63b) 보다도 흡자력이 강한 1개의 자석(63a)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튜브(12)의 일단측 외캡(16)으로부터 3개째까지는 일정한 흡자력이 있는 자석(63b)이 배치되고, 일단측 외캡(16)으로부터 4개째에 흡자력이 강한 1개의 자석(63b)이 배치되어 있다. 일단측 외캡(16)으로부터 5개째 등에는 일정한 흡자력이 있는 자석(63b)이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복수 개의 자석(63b) 중에 흡자력이 강한 1개의 자석(63a)이 끼워져 있는 배치로 튜브(12) 내에 형성되어 있다. In one end 18 of the tube 12, a plurality of magnets 63b having a constant suction force and one magnet 63a having a stronger suction force than these magnets 63b are arranged in series. Specifically, a magnet 63b having a constant suction force is disposed from the one end outer cap 16 of the tube 12 to the third, and one magnet having a strong suction force from the one end outer cap 16 to the fourth ( 63b). A magnet 63b having a constant suction force is disposed on the fifth or the like from the one end side outer cap 16. In this way, one magnet 63a having a strong suction force among the plurality of magnets 63b is placed in the tube 12 in a batch.

또한, 튜브(12)의 타단측(19) 내에 있어서도, 일정한 흡자력이 있는 복수의 자석(63b)과 이들 자석(63b) 보다도 흡자력이 강한 1개의 자석(63a)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튜브(12)의 타단측 외캡(17)으로부터 1개째는 일정한 흡자력이 있는 자석(63b)이 배치되고, 타단측 외캡(17)으로부터 2개째에 흡자력이 강한 1개의 자석(63a)가 배치되어 있다. 타단측 외캡(17)로부터 3개째 등에는 일정한 흡자력이 있는 자석(64b)이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복수 개의 자석(64b) 중에 흡자력이 강한 1개의 자석(63a)이 끼워져 있는 배치로 튜브(12) 내에 형성되어 있다. 단, 그림에 나와 있는 구성은 하나의 예이며, 흡자력이 강한 자석(113)의 수, 배치 등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흡자력을 몇 단계로 나누어도 된다. Further, in the other end side 19 of the tube 12, a plurality of magnets 63b having a constant suction force and one magnet 63a having a stronger suction force than these magnets 63b are arranged in series. Specifically, a magnet 63b having a constant suction force is disposed on the first from the outer cap 17 on the other end of the tube 12, and a magnet having a strong suction force on the second from the outer cap 17 on the other end ( 63a). A magnet 64b having a constant suction force is disposed on the third back from the other end side outer cap 17. In this way, a plurality of magnets 64 Pa is formed in the tube 12 in an arrangement in which one magnet 63a having a strong suction force is fitted. However,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figure is only one example, and the number, arrangement, etc. of the magnet 113 having strong suction force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he absorption force may be divided into several steps.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장신구 본체(11)의 특정 개소를 강한 흡자력으로 접착 고정할 수 있으며, 목적 및 용도 등에 따라서 임의의 접착 강도의 장신구로 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a specific point of the ornament main body 11 can be adhesively fixed with a strong suction force, if necessary, and an ornament of arbitrary adhesive strength can be used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use.

도28은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적용하는 자석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28에 나타낸 자석(74)은 원주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N극(N)과 S극(S)은 원주의 서로 반대측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Fig. 2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gnet applied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magnet 74 shown in Fig. 28 is formed in a columnar shape, and the N pole N and the S pole S are arranged o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pposite to each other.

도29는 도28에 나타낸 자석(74)을 복수 개 직렬로 배치했을 경우의 배열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복수의 원주형의 자석(74), 즉 제1의 자석(74a), 제2의 자석(74b), 제3의 자석(74c) 및 제4의 자석(74d)이 축 방향 단면을 서로 대향하는 배치로 수평 방향으로 1열로 직렬 배치되어 있다. 제1의 자석(74a)에서는 N극(N)이 하향, S극(S)이 상향으로 되어 있다. 이 제1의 자석(74a)에 인접하는 제2의 자석(74b)의 N극(N)은 상향, S극(S)은 하향으로 되어 있다. 이 제2의 자석(74b)에 인접하는 제3의 자석(74c)에서는 제2의 자석(74c)과 반대로 N극(N)이 하향, S극(S)이 상향으로 되어 있다. 이 제3의 자석(74c)에 인접하는 제4의 자석(74d)은 제3자석(74c)과 반대로 N극(N)이 상향, S극(S)이 하향으로 되어 있다. Fig. 2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when a plurality of magnets 74 shown in Fig. 28 are arranged in series. A plurality of columnar magnets 74, i.e., the first magnet 74a, the second magnet 74b, the third magnet 74c, and the fourth magnet 74d face each other in the axial section. It is arranged in a row in a r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irst magnet 74a, the N pole N is downward and the S pole S is upward. The N-pole N of the second magnet 74b adjacent to the first magnet 74a is upward and the S-pole S is downward. In the third magnet 74c adjacent to the second magnet 74b, as opposed to the second magnet 74c, the N pole N is downward and the S pole S is upward. In contrast to the third magnet 74c, the fourth magnet 74d adjacent to the third magnet 74c has the N pole N up and the S pole S downward.

도30은 도29에 나타낸 배열의 자석(74a∼74d)을 튜브(12)의 일단측에 삽입하는 동시에, 타단측에도 동일한 배열로 자석(74e∼74h)을 삽입한 장신구의 흡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튜브(12)의 일단측을 상측에 배치하고, 튜브의 타단측을 하측에 배치하고, 자석(74a∼74d)과 자석(74e∼74h)을 주면이 마주하도록 해서 접근했을 경우, 자석(74a∼74d)의 N극(N) 및 S극(S)과 자석(74e∼74h)의 N극(N) 및 S극(S)과는 각각 다른 자극끼리가 마주 향해서 흡자력이 발휘된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작용이 이루어져 양단이 접착된다. Fig. 30 is a view showing the state before adsorption of the ornaments in which the magnets 74a to 74h of the arrangement shown in Fig. 29 are inserted into one end side of the tube 12 and the magnets 74e to 74h are inserted in the same arrangement in the other end side. It is. When one end side of the tube 12 is placed on the upper side, the other end side of the tube is placed on the lower side, and the magnets 74a to 74a to 74d and the magnets 74e to 74h face each other with the main surfaces facing each other. The suction force is exerted toward the opposite poles of the N poles N and S poles S of 74d and the N poles N and S poles S of the magnets 74e to 74h, respectively. Thereby, the operation | movement demonstrated in each embodiment mentioned above is made and both ends are adhered.

이것에 대하여, 1개의 튜브 내에 상기 동일한 자석을 삽입해서 링형으로 만곡시켰을 경우, 반드시 도30에 나타낸 것과 같은 튜브 양단의 자석이 다른 극끼리가 직접 마주하는 상태가 된다고는 할 수 없다. 도31은 이렇게 튜브 양단의 자석이 다른 극끼리가 직접 마주하는 상태가 되지 않고, 동극이 대향하는 상태가 되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ame magnet is inserted into one tube and curved in a ring shape, the magnets at both ends of the tube as shown in Fig. 30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in a state where different poles directly face each other. Fig. 31 shows a case where the magnets at both ends of the tube are not in a state in which the poles of different poles directly face each other, and the copper poles face each other.

다시 말해, 도31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예를 들면 튜브(12)를 만곡시켜서 링형으로 하고, 양단을 중합 상태로 했을 경우, 튜브(12)의 일단측에 상기 동일한 배열로 삽입한 자석(74i, 74j, 74k, 74l)의 N극(N) 및 S극(S)과 튜브(12)의 타단측에 상기 동일한 배열로 삽입한 자석(74m, 74n, 74o, 74p)의 N극(N) 및 S극(S)이 각각 동극끼리 대향하는 상태가 될 경우가 있다.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31, for example, when the tube 12 is curved to form a ring, and when both ends are polymerized, magnets 74i, 74j inserted into the same arrangement at one end side of the tube 12 , N poles (N) and S poles (S) of 74k, 74l and N poles (N) and S of magnets (74m, 74n, 74o, 74p) inserted in the same arrangement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tube 12 The poles S may be in a state where the copper poles face each other.

이러한 경우에도, 상술한 각 실시 형태의 구성에 있어서는, 자석을 금속 자석으로 하는 동시에, 튜브가 유연성이 있는 합성 수지 또는 고무질 등의 유연성 재료에 의해 원관형으로 구성하고, 이 구성에 의해, 튜브가 길이 방향에 따르는 양단부 간에 있어서 축 중심 주변에 상대적으로 180° 이상 용이하게 비틀 수 있으므로, 튜브(12)의 일단측의 자석(74i, 74j, 74k, 74l)의 N극(N) 및 S극(S)과 튜브(12)의 타단측의 자석(74m, 74n, 74o, 74p)의 N극(N) 및 S극(S)이 다른 극끼리 끌어 당겨, 도31에 회전 화살표로 가리킨 것처럼 튜브(12)가 회전한다. 이 결과, 도30에서 가리킨 것처럼 각 자석의 다른 극끼리가 대향하고, 튜브(12)의 양단측끼리가 강력하게 접착되어, 확실하게 링형이 될 수 있다. Even in such a case, in the configuration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le the magnet is a metal magnet, the tub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y a flexible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or rubber, which is flexible, and by this configuration, the tube is The N-pole and N-pole (N) and S-pole of the magnets 74i, 74j, 74k, and 74l on one side of the tube 12 can be easily twisted more than 180 ° around the center of the axis between both 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 and the N-pole (N) and S-pole (S) of the magnets 74m, 74n, 74o, and 74p on the other end of the tube 12 pull the other poles together, as shown by the rotating arrows in Fig. 31. 12) rotates. As a result, as shown in Fig. 30, different poles of each magnet face each other, and both ends of the tube 12 are strongly adhered to each other, so that it can be reliably ring-shaped.

(제6 실시 형태) 도70은 본 고안의 제6실시 형태의 장신구(70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 장신구(700)는 심선(720)이 링형의 무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심선(720)이 복수의 장식 부재(710)를 삽입 통과하는 것에 의해 연주형으로 되어 있다. 장식 부재(710)는 심미성을 갖는 재료, 형상, 외관, 상태 등을 갖추고 있는데, 예를 들면 원형의 펄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석이 사용된다. (Sixth Embodiment) Fig. 70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rnament 700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rnament 700, the core wire 720 is formed in a ring-shaped endless shape, and the core wire 720 is formed into a musical shape by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decorative members 710. The decorative member 710 is provided with a material, a shape, an appearance, and a state having aesthetic properties, for example, a jewelry made of circular pearls or the like is used.

복수의 장식 부재(710)를 삽입 통과하는 심선(720)은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심선(720)의 선 지름(굵기)은 장식 부재(710)의 크기에 맞춰서 변경되는 것이며, 예를 들면, 0.3∼2.0mm의 범위에서 선정된다. 심선(720)에 사용되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는 Ni-Ti계 합금, Cu-Zn-Al계 합금, Cu-Zn-Si계 합금, 그 밖의 합금이 선택된다.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심선(720)은 장착자의 체온(약 35도)을 변태점의 기준으로 하여 초탄성을 발휘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심선(720)은 30도 온도 이상이 되는 것에 의해 링형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열처리가 되어 있다. 다시 말해, 30도 미만의 환경에서는, 심선(720)은 초탄성을 발휘하지 않고, 외력에 맞춰서 임의의 형태로 랜덤으로 변형하나, 30도 이상이 되면, 심선(720)은 둥근 링형으로 복원되고, 이 형상을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700)의 전체가 도70에 나타낸 것처럼 루프로 된 무단 링형이 되고, 장착자의 목 등의 신체 부위에 대한 장착 상태가 된다. A shape memory alloy may be used as the core wire 720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decorative members 710 are inserted. The line diameter (thickness) of the core wire 72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ecorative member 710, and is selected, for example, in a range of 0.3 to 2.0 mm. As the shape memory alloy used for the core wire 720, a Ni-Ti-based alloy, a Cu-Zn-Al-based alloy, a Cu-Zn-Si-based alloy, or other alloys are selected. The core wire 720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can be used that exhibits superelasticity based on the body temperature (about 35 degrees) of the wearer as a reference point of transform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re wire 720 is heat treated so that it can be restored to a ring shape by being at a temperature of 30 degrees or more. In other words, in an environment of less than 30 degrees, the core wire 720 does not exhibit superelasticity, and is randomly deformed into an arbitrary shape according to an external force, but when it is 30 degrees or more, the core wire 720 is restored to a round ring shape. , Keep this shape. As a result, the whole of the ornament 700 becomes a looped endless ring shape as shown in Fig. 70, and is put on a body part such as a neck of the wearer.

이러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30도를 초과함으로써 루프로 된 링형이 되는 심선(720)을 장식 부재(710)에 삽입 통과하였기 때문에, 장착자의 신체에 장착하고, 장착자의 체온이 전달되어 30도가 넘으면 장신구(700) 전체가 자동적으로 루프로 된 링형이 된다. 이 때문에, 루프로 된 링형으로 간단하고 확실하게 잠글 수 있어, 도난 등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는 동시에, 사용자에 대한 장착성이 좋고, 나아가 사용자 자신에 의한 탈장착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잠금 도구가 없어도 일정한 온도 환경 하에서는, 장착자의 신체 부위에 대한 장착 상태가 되므로, 잠금 도구에 대한 번거로운 조작이 불필요해지는 동시에, 사용자에 대한 장착성이 향상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ore wire 720, which becomes a ring-shaped loop by exceeding 30 degrees, has been inserted into the decorative member 710, it is mounted on the body of the wearer, and the body temperature of the wearer is transmitted, so that the ornament is over 30 degrees. (700) The entire ring is automatically looped. For this reason, it can be locked simply and reliably with a ring-shaped loop, which increases safety against theft and the like, and also has good attachability to the user, and furthermore, good detachability by the user himself. In addition, under a constant temperature environment even without the locking tool, the mounting state is attached to the body part of the wearer, so that cumbersome manipulation of the locking tool is unnecessary, and the user mounting is improved.

이상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본 고안의 장신구는 더욱 잠금 도구를 갖추는 것이며, 이하, 잠금 도구의 각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With respect to the above embodiment, the orna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equipped with a locking tool, and each example of the locking too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잠금 도구의 제1예) 도32는 본 고안의 장신구(24)에 사용될 수 있는 제1예의 잠금 도구(540)를 나타낸다. 잠금 도구(540)는 금구 클립형을 이루는 것으로, 한 쌍의 끼움편(541) 및 끼움편(542)을 힌지 축(543)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 쪽 끼움편(541)은 일정 폭의 만곡편으로 되어 있고, 이 한 쪽의 끼움편(541)은 장신구(24)(장신구 본체(11)도 동일)의 일단측의 외주면의 약 절반을 외측에서 눌러서 잠그기 위한 반원호판형의 일단측 잠금부(539)와 장신구(24)의 타단측의 약 절반을 외측에서 눌러서 잠그기 위한 반원호판형의 타단측 잠금부(544)가 인접하는 일체의 만곡판으로 되어 있다. 일단측 잠금부(539)의 외측 단부의 일측부에는 판폭 방향에 따르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힌지 통(54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일단측 잠금부(539)의 외측 단부의 타측부에는 판폭 방향에 따르는 관통공이 형성된 다른 힌지 통(547)이 힌지 통(546)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동일 축 상에 연설되어 있다. 일단측 잠금부(539)의 요면측과 타단측 잠금부(544)의 요면측 사이에는 평탄면형의 중간 개폐부(548)가 형성되어 있다. 타단측 잠금부(544)의 외측 단부에는 평판형의 개폐측 단부(54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개폐측 단부(545)에는 핀 축(550)이 돌설되어 있고, 핀 축(550)의 선단에는 대경두부(551)가 형성되어 있다. (First Example of Locking Tool) FIG. 32 shows a locking tool 540 of the first example that can be used for the ornament 24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tool 540 is formed of a metal clip, and a pair of fitting pieces 541 and fitting pieces 542 are connect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hinge shaft 543. One fitting piece 541 is a curved piece of a certain width, and this one fitting piece 541 is about half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the same as the ornament body 11). A semi-circular plate-shaped one end locking portion 539 and a half-circular plate-shaped other end side locking portion 544 for locking by pressing from the outside about half of the other curved plate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made. One side of the outer end of the one-side locking portion 539 is integrally formed with a hinge cylinder 546 having a through-hole along the plate width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outer end of the one-side locking portion 539 is plate-width direction. Another hinge barrel 547 with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is spoken on the same axis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hinge barrel 546. An intermediate opening / closing portion 548 having a flat surface shape is formed between the concave side of the one-side locking portion 539 and the concave side of the other end-side locking portion 544. At the outer end of the other end-side locking portion 544, a plate-shaped opening and closing end 545 is integrally formed. A pin shaft 550 is protruded at the end portion 545 of the opening and closing side, and a large-diameter head 551 is formed at the tip of the pin shaft 550.

다른 쪽의 끼움편(542)은 한 쪽 끼움편(541)과 거의 같은 형상을 하고 있고, 일정 폭의 만곡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다른 쪽의 끼움편(542)은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주면의 약 절반을 외측에서 눌러서 잠그기 위한 반원호판형의 일단측 잠금부(552)와 장신구(24)의 타단측의 약 절반을 외측에서 눌러서 잠그기 위한 반원호판형의 타단측 잠금부(553)가 인접하는 일체의 만곡판으로 되어 있다. 일단측 잠금부(552)의 외측 단부의 일측부에는 판폭 방향에 따르는 관통공이 형성된 힌지 통(55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힌지 통(555)은 한 쪽 끼움편(541)의 힌지 통(546)과 힌지 통(547) 사이에 동일한 축에서 배치되어 있다. 이들 힌지 통(546), 힌지 통(555) 및 힌지 통(547)에는 1개의 힌지 축(546)이 통과되어 있고, 이 힌지 축(546)을 중심으로 하여, 한 쪽 끼움편(541)과 다른 쪽의 끼움편(542)이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The fitting piece 542 on the other side has almost the same shape as the fitting piece 541 on the other side, and is composed of a curved piec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he other side of the fitting piece 542 is about half of the other end side of the semi-circular plate-shaped one end locking portion 552 and the other side of the ornament 24 for locking by pressing about half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ornament 24 from the outside. The other end-side locking portion 553 in the form of a semicircular arc plate for pressing and locking from the outside is formed as an integral curved plate. One side of the outer end of the one-side locking portion 552 is formed with a hinge barrel 555 integrally formed with a through hole along the plate width direction, and the hinge barrel 555 is a hinge barrel of one fitting piece 541 It is disposed on the same axis between 546 and hinge barrel 547. One hinge shaft 546 is passed through the hinge cylinder 546, the hinge cylinder 555, and the hinge cylinder 547, and with respect to the hinge shaft 546, one fitting piece 541 and The fitting piece 542 on the other side can rotate.

다른 쪽의 끼움편(542)에 있어서도 한 쪽 끼움편(541)과 같이, 일단측 잠금부(552)의 요면측과 타단측 잠금부(553)의 요면측 사이에 평탄면형 중간 개폐부(556)가 형성되어 있다. 타단측 잠금부(553)의 외측 단부에는 평판형의 개폐측 단부(55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개폐측 단부(554)에는 핀 축(550)과 계합할 수 있는 핀받이(557)가 돌설되어 있다. 이 핀받이(557)는 서로 대향하는 원호형의 한쪽 핀 축 유지편(558)과 다른 쪽의 핀 축 유지편(559)이 있고, 이들 한 쪽 핀 축 유지편(558)과 다른 쪽의 핀 축 유지편(559)의 선단부 사이에는 개구부(560)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한쪽 핀 축 유지편(558)과 다른 쪽의 핀 축 유지편(559)은 탄성을 가지고 있고, 힌지 축(543)을 중심으로 해서 한 쪽 끼움편(541)과 다른 쪽의 끼움편(542)을 닫듯이 회전시켰을 경우에 핀 축(550)의 선단의 대경두부(551)가 삽입 통과되어 감합할 수 있고, 이 끼움편(541, 542)과 핀 축(550)의 감합에 의해, 일정 이상의 인장력이 부여되지 않는 한, 양 끼움편(541, 542)이 감착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되어 있다. In the other fitting piece 542, like the one fitting piece 541, the flat-surface intermediate opening / closing part 556 between the concave side of the one end locking portion 552 and the concave side of the other end locking portion 553 Is formed. At the outer end of the other end-side locking portion 553, a flat-type opening and closing end 554 is integrally formed. A pin receiver 557 that can engage with the pin shaft 550 is protruded at the opening and closing end 554. The pin receiver 557 has an arc-shaped one-pin shaft holding piece 558 and the other pin-shaft holding piece 559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se one pin shaft holding piece 558 and the other pin. An opening 560 is formed between the front ends of the shaft holding pieces 559. These one pin shaft retaining piece 558 and the other pin shaft retaining piece 559 have elasticity, and one fitting piece 541 and the other fitting piece 542 are centered on the hinge axis 543. ), When rotated to close, the large-diameter head 551 of the tip of the pin shaft 550 can be inserted and fitted, and the fitting shafts 541 and 542 and the pin shaft 550 fit, thereby making it constant. As long as the above tensile force is not applied, both fitting pieces 541 and 542 can be kept in a calm state.

도33은 장신구(24)를 잠금 도구(540)로 잠글 경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도33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장신구(24)를 U자형으로 만곡시켜, 잠금 도구(540)에 대하여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서로 접근시킨다. 한편,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선단에는 외캡(27)이 있고, 타단측의 선단에는 외캡(26)이 있다.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은 잠금 도구(540)의 끼움편(541)의 요면측에 통과된다. 또한, 장신구(24)의 타단측 및 외캡(26)은 잠금 도구(540)의 타단측 잠금부(544)의 요면측에 통과된다. 그리고 힌지 축(543)을 중심으로 하고, 개폐부(554) 측을 개폐측 단부(545)를 향해서 회전하고, 잠금 핀(549)에 핀받이(557)를 감합시킨다. 3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use state when the jewelry 24 is locked with the locking tool 540. As shown in FIG. 33, the ornament 24 is curved in a U-shape, so that one end side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are approached with respect to the locking tool 540. On the other hand, an outer cap 27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ornament 24 and an outer cap 26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The one end side and the outer cap of the ornament 24 pass through the concave side of the fitting piece 541 of the locking tool 540. Further, the other end side and the outer cap 26 of the ornament 24 are passed through the concave side of the other end side locking portion 544 of the locking tool 540. Then, the hinge shaft 543 is centered,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554 is rotated toward the opening / closing side end 545, and the pin receiver 557 is fitted to the locking pin 549.

도34는 장신구의 잠금 상태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캡(27)과 타단측의 외캡(26)은 일단측과 타단측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평행하게 가지런히 정돈한 상태로 접근하여, 중합 상태가 된다. 그리고 잠금 도구(540)는 힌지 축(543)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서로 닫고, 잠금 핀(549)과 핀받이(557)가 결합하고, 대경두부(551)에 의해 계지된다.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은 일단측 잠금부(552)와 타단측 잠금부(553)에 의해 각각 유지된다. Fig. 3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locked state of the ornament enlarged. The outer cap 27 on one side and the outer cap 26 on the other side of the ornament 24 are brought into a state in which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parallel and align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are in a polymerization state. Then, the locking tool 540 is rotated around the hinge shaft 543 to close each other, and the locking pin 549 and the pin receiver 557 are engaged, and are held by the large diameter head 551. The one end side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are held by the one end locking portion 552 and the other end locking portion 553, respectively.

도35는 잠금 도구(54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장신구(24)를 장착자(33)의 목(34) 주변에 장착하고,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목(34)의 후방에서 중합시켜서 자력으로 계지한다. 3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use state of the locking tool 540. The ornament 24 is mounted around the neck 34 of the wearer 33,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ornament 24 are polymerized from the rear of the neck 34 to be held by magnetic force.

우선 장착자(33)가 한 쪽 손(오른손)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을 파지하고, 다른 쪽의 손(왼손)으로 장신구(24)의 타단측을 파지한다. 그리고 장신구(24)를 장착자(33)의 목(34) 앞쪽 하방(턱 아래)에서부터 위쪽으로 서서히 들어 올려, 장신구(24)의 양단을 어깨(35)의 위쪽을 통해서 목(34)의 후방으로 두른다. 이 다음,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중합시키도록 한다. First, the wearer 33 grips one side of the ornament 24 with one hand (right hand),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with the other hand (left hand). Then, the ornaments 24 are gradually lifted upward from the lower side (under the chin) in front of the neck 34 of the wearer 33, and both ends of the ornaments 24 are rearward of the neck 34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shoulder 35. With Nex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ornament 24 are polymerized.

그러면,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은 서로 일정 거리 접근한 위치에 이동되자마자, 흡자력에 의해 즉시 흡착 상태가 된다. 즉, 장착자(33)가 목(34)의 후방에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가까이 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나아가 강력한 자력에 의해 장착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도10에서 가리킨 것처럼, 잠금 도구(540)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착탈 가능한 잠금 도구(40)에 의해 장신구(24)를 용이하게 장착 고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장착 상태는 견고해지고, 뜯겨서 풀릴 우려 등은 없다. Then, as soon as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ornament 24 are moved to a position approaching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they are immediately adsorbed by the suction force. In other words, the mounter 33 is easily and quickly mounted and fixed by strong magnetic force only by bring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ornament 24 closer to the rear of the neck 34. In this state, as indicated in Fig. 10,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ornament 24 are fixed by the locking tool 540. Thereby, the ornament 24 can be easily mounted and fixed by the detachable locking tool 40, and furthermore, the mounting state is sturdy, and there is no fear of tearing off.

도36은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과의 목(34)의 뒤측에 있어서의 중합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과의 중합부에 있어서, 일단측의 장신구 본체(11) 내에는, 일단측 외캡(26) 측에서 예를 들면 4개의 일단측 자석(13(13a, 13b, 13c, 13d))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자석(13(13a, 13b, 13c, 13d))은 상술한 것처럼, 각각 원주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자석(13(13a, 13b, 13c, 13d))의 N극(N)과 S극(S)은 원주의 서로 반대측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자석(13(13a, 13b, 13c, 13d))의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의 N극(N)과 S극(S)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신구(24)의 일단측 외캡(26)측에 가장 접근한 단부측 배치의 일단측 자석(13a)의 N극(N)이 하향, S극(S)이 상향으로 되어 있다. 이 일단측 자석(13a)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2번째로 배치된 일단측 자석(13b)의 N극(N)은 상향, S극(S)은 하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일단측 자석(13b)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3번째의 일단측 자석(13c)은 2번째의 일단측 자석(13b)과 반대로 N극(N)이 하향, S극(S)이 상향으로 되어 있다. 이 일단측 자석(13c)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4번째에 배치된 일단측 자석(13d)은 3번째의 일단측 자석(13c)과 반대로, N극(N)이 상향, S극(S)이 하향으로 되어 있다. 이 다음에 이어지는 중간측 자석(15)도 상기 내용과 같이, N극(N)과 S극(S)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3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polymerized portion on the back side of the neck 34 with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and the other end side. In the polymerization part between the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and the other end, in the one end side ornament body 11, for example, four one end magnets 13 (13a, 13b) from the one end outer cap 26 side , 13c, 13d)) are arranged in series. As described above, these magnets 13 (13a, 13b, 13c, 13d) are each formed in a columnar shape, and the N-pole N and S-pole of each magnet 13 (13a, 13b, 13c, 13d) (S) is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n the opposite sides of the circumference. Then, the N poles N and S poles S of the magnets 13 (13a, 13b, 13c, 13d) adjacent to each other ar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Specifically, the N pole N of the one end magnet 13a of the end-side arrangement closest to the one end side outer cap 26 side of the ornament 24 is downward, and the S pole S is upward. The N-pole N of the one-side magnet 13b arranged second from the end side adjacent to the one-side magnet 13a is upward, and the S-pole S is downward. In addition, in the third end magnet 13c at the end side adjacent to the one end magnet 13b, the N pole N is downward and the S pole S is opposite to the second one end magnet 13b. It is upward. The one-sided magnet 13d disposed fourth at the end side adjacent to the one-sided magnet 13c, as opposed to the third one-sided magnet 13c, has an N-pole N up and an S-pole S This is downward. As described above, the intermediate-side magnet 15 following this is also arranged with N-poles N and S-poles S in different directions.

한편,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과의 중합부에 있어서, 타단측의 장신구 본체(11)내에는, 타단측 외캡(27)측에서 예를 들면 4개의 타단측 자석(14(14a, 14b, 14c, 14d))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자석(14(14a, 14b, 14c, 14d))도 상술한 것처럼, 각각 원주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자석(14(14a, 14b, 14c, 14d))의 N극(N)과 S극(S)은 원주의 서로 반대측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자석(14(14a, 14b, 14c, 14d))의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는 N극(N)과 S극(S)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olymerization part between the one end side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in the other end side ornament body 11, for example, four other end side magnets 14 (14a) from the other end side outer cap 27 side , 14b, 14c, 14d)) are arranged in series. As described above, these magnets 14 (14a, 14b, 14c, 14d) are each formed in a columnar shape, and the N-pole N and S-pole of each magnet 14 (14a, 14b, 14c, 14d) (S) is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n the opposite sides of the circumference. The N poles N and S poles S are disposed in different directions between the magnets 14 (14a, 14b, 14c, 14d) adjacent to each other.

구체적으로는 장신구(24)의 타단측 외캡(27)측에 가장 접근해서 배치된 단부측 배치의 타단측 자석(14a)의 N극(N)이 상향이고, S극(S)이 하향으로 되어 있다. 이타단측 자석(14a)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2번째로 배치된 타단측 자석(14b)은 상기와 반대로, N극(N)이 하향, S극(S)이 상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타단측 자석(14b)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3번째로 배치된 타단측 자석(14c)은 2번째의 타단측 자석(14b)과 반대로, N극(N)이 상향, S극(S)이 하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타단측 자석(14c)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4번째로 배치된 타단측 자석(14d)은 3번째의 타단측 자석(14c)과 반대로, N극(N)이 하향, S극(S)이 상향으로 되어 있다. 이 다음에 이어지는 중간측 자석(15)에 대해서도, 상기한 바와 같이, N극(N)과 S극(S)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Specifically, the N-pole N of the other end-side magnet 14a of the end-side arrangement disposed closest to the other end-side outer cap 27 side of the ornament 24 is upward, and the S-pole S is downward. have. In contrast to the above, the N-pole N is downward and the S-pole S is upward in the other end-side magnet 14b disposed second from the end side adjacent to the other end-side magnet 14a. In addition, the other end-side magnet 14c arranged thirdly from the end side adjacent to the other end-side magnet 14b is opposite to the second other end-side magnet 14b, with the N pole N being upward and the S pole ( S) is downward. In addition, the other end-side magnet 14d disposed 4th from the end side adjacent to the other end-side magnet 14c is opposite to the third other end-side magnet 14c, with the N pole N being downward and the S pole ( S) is upward. As for the intermediate magnet 15 following this, as described above, the N-pole N and the S-pole S ar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따라서, 장신구 24의 일단측과 타단측과의 중합부에서는 4개의 일단측 자석 13(13a, 13b, 13c, 13d)의 N극(N)과 S극(S), 4개의 타단측 자석 14(14a, 14b, 14c, 14d) S극(S)과 N극(N)이 각각 대향하는 배치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자기 흡착하게 된다. 그리고 각 자석은 금속 자석이기 때문에 강력하게 자기 흡착하고, 쉽게 풀릴 일이 없다. Therefore, in the polymerization section between the one end side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the N-pole (N) and S-pole (S) of the four end-side magnets 13 (13a, 13b, 13c, 13d), and the other four-side magnet 14 ( 14a, 14b, 14c, 14d) Since the S-pole S and the N-pole N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hey are magnetically adsorbed to each other. And since each magnet is a metal magnet, it is strongly magnetically adsorbed and is not easily released.

또한, 장신구 본체(11)의 튜브(12)는 상술한 것처럼, 길이 방향에 따르는 양단부 간에 있어서 축심 주변에 대향적으로 180° 이상 용이하게 비틀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장착자의 목에 두른 직후에 N극 (N)끼리, 또는 S극 (S)끼리가 대향하는 상태였다고 하더라도, 각 자석의 흡자력에 의해 자연히 N극(N)과 S극(S)이 마주 향하는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장착자가 인위적으로 장신구(24)를 회전 조작할 필요 없이, 목 주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ube 12 of the ornament body 11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asily twist more than 180 ° opposite to the axial center between the two 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immediately after being put on the neck of the wearer Even if the N-poles (N) or S-poles (S) face each other, the N-poles (N) and S-poles (S) naturally face each other by the attraction force of each magnet. For this reason, the wearer can easily mount around the neck without having to artificially rotate the ornament 24.

(잠금 도구의 제2예) 도37은 제2예의 잠금 도구(570)이다. 제2예의 잠금 도구(570)은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 또는 굽힘 가공한 것으로, 측면에서 볼 때 거의 S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이 잠금 도구(570)의 중앙부(571)은 거의 직선형이며, 일단부(572)가 장신구(24)의 외경보다도 조금 큰 내경으로 원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 잠금 도구(570)의 직선형의 중앙부(571)와 일단부(572)의 선단과의 사이에는 장신구(24)의 외경보다도 작은 틈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잠금 도구(570)의 만곡된 일단부(572) 내의 원 형상 공간부분은 장신구(24)의 선단을 통할 수 있는 한 쪽의 통과부(575)로 되어 있다.(Second Example of Locking Tool) Fig. 37 is a locking tool 570 of the second example. The locking tool 570 of the second example is molded or bent from a metal or a resin, and is substantially S-shaped when viewed from the side. In other words, the central portion 571 of the locking tool 570 is almost straight, and one end portion 572 is curved in a circular shape with an inner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ornament 24. A gap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ornament 24 is formed between the linear central portion 571 of the locking tool 570 and the distal end of the one end 572. As a result, the circular space portion in the curved one end portion 572 of the locking tool 570 serves as a passage portion 575 that can pass through the tip of the ornament 24.

잠금 도구(570)의 타단부(573)는 일단부(572)와 반대 방향으로 원 형상으로 만곡되어, 이 만곡 부분의 내경도 상술한 장신구(24)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으로 되어 있다. 이 잠금 도구(570)의 직선형 중앙부(571)와 타단부(543)의 선단 사이에도, 장신구(24)의 외경보다도 작은 틈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잠금 도구(570)의 만곡된 타단부(573) 내의 원 형상 공간 부분은 장신구(24)의 선단을 통할 수 있는 다른 쪽의 통과부(546)로 되어 있다.The other end 573 of the locking tool 570 is curved in a circular shap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end 572,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curved portion is also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above-mentioned ornament 24. A gap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ornament 24 is also formed between the straight center portion 571 of the locking tool 570 and the tip of the other end portion 543. As a result, the circular space portion in the curved other end portion 573 of the locking tool 570 serves as the other passage portion 546 that can pass through the tip of the ornament 24.

또한, 잠금 도구(570)의 일단측(572)에는 자석(576)이 형성되어, 이 자석(576)의 자력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을 흡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잠금 도구(570)의 타단측에도 자석(577)이 형성되어, 이 자석(577)의 자력에 의해 장신구(24)의 타단측을 흡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In addition, a magnet 576 is formed on one end 572 of the locking tool 570, so that one end of the ornament 24 can be adsorb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576. In addition, a magnet 577 is also form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locking tool 570, so that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can be adsorb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577.

이 잠금 도구(570)에서는 장신구(24)를 장착자(33)의 목(34) 주변에 장착하고,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목(34)의 후방에서 중합시켜 자력으로 계지하는 것에 의해 장신구(24)를 목 주변에 더욱 확실하게 잠글 수 있다. In this locking tool (570), the ornament (24) is mounted around the neck (34) of the wearer (33),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ornament (24) are polymerized from the rear of the neck (34) and held by magnetic force. By doing this, the ornaments 24 can be reliably locked around the neck.

즉, 장착자는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파지하고, 장신구(24)를 목 앞쪽 아래 방향에서 위쪽 방향으로 들어 올리고, 장신구(24)의 양단을 어깨의 위쪽을 통해서 목의 후방으로 두른다. 그리고 장신구(24)의 일단측을 S자형을 한 잠금 도구(570)의 한쪽 통과부(574)에 통과시킨다. 또한, 장신구(24)의 타단측을 우측방향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S자형을 한 잠금 도구(570)의 다른 쪽의 통과부(575)에 통과시킨다. 이렇게 S자형을 한 한 쪽의 통과부(575)에 통과시킨 장신구(24)의 일단측은 잠금 도구(570)의 직선형 중앙부(571)와 일단부(572)의 선단에 의해 주위으로부터 유지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일단측은 측방으로 풀릴 일이 없다. 또한, S자형을 한 잠금 도구(570)의 다른 쪽의 통과부(575)에 통과시킨 장신구(24)의 타단측은 잠금 도구(570)의 직선형 중앙부(571)와 타단부(573)의 선단에 의해 주위로부터 유지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타단측도 측방으로 풀릴 일이 없다.That is, the wearer grips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ornament 24, lifts the ornament 24 upward from the front and bottom of the neck, and lifts both ends of the ornament 24 toward the rear of the neck through the top of the shoulder. Wear. Then, one end of the ornament 24 is passed through one pass portion 574 of the S-shaped locking tool 570. In addition, as shown by the right arrow on the other end of the ornament 24, the S-shape is passed through the other through portion 575 of the locking tool 570. Thus, one end of the ornament 24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shape on one side of the passing portion 575 is maintained from the circumference by the front end of the straight center portion 571 and the end portion 572 of the locking tool 570. Therefore,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is not loosened laterally. In addition,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passed through the other pass portion 575 of the S-shaped locking tool 570 is at the front end of the straight central portion 571 and the other end 573 of the locking tool 570. Is maintained from around. Therefore,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is also not loosened laterally.

이렇게 S자형의 잠금 도구(570)를 사용하여 잠긴 장신구(24)는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가 된 뒤, 잠금 도구(570)의 유지력에 의해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지는 등의 이유로 풀릴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장착자가 신체로부터 장신구(24)를 풀 경우에는, 장신구(24)를 잠금 도구(570)의 통과부(574, 575)로부터 장신구(24)의 일단측 또는 타단측을 축 방향으로 뽑는 것만으로 간단히 장신구(24)를 푸는 것이 가능하다. The ornament 24 locked using the S-shaped locking tool 570 is in an adsorbed state due to the suction force by the magnet, and then the departur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more reliably prevented by the holding force of the locking tool 570. .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loss due to inadvertent dropout, etc., and there is no possibility of being released due to being removed from the outside of the wearer, so that theft and the like can be reliably preven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wearer loosens the ornament 24 from the body, only pull the ornament 24 from the passing portion 574, 575 of the locking tool 570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end of the ornament 24 in the axi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imply loosen the ornaments (24).

(잠금 도구의 제3예) 도38은 제3예의 잠금 도구(8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3예의 잠금 도구(8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측면에서 볼 때 거의 안경형(「8」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잠금 도구(81)는 원통형의 일단부(83)와 타단부(84)를 몸체(82)를 통해서 일체 연결되어, 안경형의 외곽선을 구성하고 있다. (Third Example of Locking Tool) Fig. 3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ing tool 81 of the third example. The locking tool 81 of the third example is molded from a metal or resin or the like, and is generally formed in a spectacle shape (" 8 "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That is, the locking tool 81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end portion 83 and the other end portion 84 through the body 82, thereby forming an eyeglass-shaped outline.

원통형의 일단부(83)의 내부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6)을 통과하는 한쪽의 공간(통과부)(85)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쪽 공간(85)의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6)보다도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원통형의 일단부(83)의 내부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또한, 원통형의 타단부(84)의 공간(86)도 일단부(83)와 거의 같은 지름으로 되어 있다. Inside the cylindrical end portion 83, one space (passing portion) 85 passing through the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and the outer cap 26 is formed, and the diameter of the one space 85 is the ornament It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one end side of 24 and the outer cap 26. Thereby,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can be freely inserted or removed inside the cylindrical one end portion 83. In addition, the space 86 of the other end portion 84 of the cylindrical shape is also approximately the same diameter as the one end portion 83.

그리고 잠금 도구(81)의 원통형의 일단부(83)의 내부에는, 내부 링(91)이 삽입되어 있다. 이 내부 링(91)은 원통형의 일단부(83)의 내부에서 장신구(24)끼리 겹쳐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원통형의 일단부(83)에 설치된 나사공(93) 내에 삽입한 누름 나사(92)에 의해, 장신구끼리 겹치는 방향으로 압동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원통형의 타단부(84)의 공간(86)의 내부에도 내부 링(94)이 삽입되어 있다. 이 내부 링(94)도 원통형의 타단부(84)의 내부에서 장신구끼리 겹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원통형의 타단부(84)에 설치된 나사공(96) 내에 삽입한 누름 나사(95)에 의해 압동되어 장신구끼리 겹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들 내부 링(91, 94)의 사이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97)이 개재되어 있고, 이 압축 코일 스프링(9)에 의해 통상 시에는 내부 링(91, 94)이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탄성에 의해 이간하게 되어 있다. Then, an inner ring 91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end portion 83 of the locking tool 81. The inner ring 91 is capable of moving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ornaments 24 overlap within the cylindrical one end portion 83, and is inserted into the screw hole 93 installed in the cylindrical one end portion 83. The screw 92 is push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rnaments overlap and can be moved. In addition, an inner ring 94 is also inserted into the space 86 of the other end portion 84 of the cylindrical shape. The inner ring 94 is also movabl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rnaments overlap within the cylindrical other end portion 84, and the pressing screw 95 inserted into the screw hole 96 installed in the other end portion 84 of the cylindrical shape By being pushed by, it is made to be able to move in the direction where the ornaments overlap. A compression coil spring 97 i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rings 91 and 94, and the compression ring spring 9 normally causes elasticity of the inner rings 91 and 94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It is supposed to be separated.

내부 링(91, 94)의 내면(98,99)은 장신구 본체(24)의 일단측(61) 및 외캡(26) 등의 누름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내부 링(91, 94)의 내면(98, 99)의 지름도 장신구(24)의 일단측, 타단측 및 외캡(26, 27)보다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내부 링(91, 94)의 내부에 있어서도,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The inner surfaces 98 and 99 of the inner rings 91 and 94 are the pressing surfaces of the one end 61 and the outer cap 26 of the ornament body 24. In addition, the diameters of the inner surfaces 98 and 99 of the inner rings 91 and 94 are also larger than the one end, the other end, and the outer caps 26 and 27 of the ornament 24. Thereby, even inside the inner rings 91 and 94,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can be freely inserted or removed.

도39는 도38에 표시한 잠금 도구(81)의 축직각 단면도이다. 내부 링(91)과 내부 링(94)은 압축 코일 스프링(97)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바깥 방향(도39의 상하 방향)에 부착되어,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은 내부 링(91)과 내부 링(94)에 의해 내측에서 바깥 방향으로 압압된다. 이 압압되는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외주측의 면은 각각 잠금 도구 본체(81)의 원통형의 일단부(83)과 타단부(84)의 내주면에 압접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은 잠금 도구(81) 내에 고정된다. 39 is an axially perpendicular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cking tool 81 shown in FIG. 38. The inner ring 91 and the inner ring 94 are attached to each other in the outward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of Fig. 39)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97, so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ornament 24 are inner ring 91 ) And the inner ring 94 is pressed from inside to outside. The faces of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ressed ornament 24 are pressed agains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cylindrical end portion 83 and the other end portion 84 of the locking tool body 81, respectively. Therefore, one end side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are fixed in the locking tool 81.

고정을 풀 경우에는, 누름 나사(92)와 누름 나사(95)를 서로 마주 향하는 방향으로 누름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원통형의 일단부(83)와 타단부(84)의 내면으로의 당접력을 약화시키고,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으로의 압접력을 해제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본체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고정시켜 도구(81)에 삽입하거나 이탈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releasing the fixing, by pressing the push screw 92 and the push screw 95 in directions facing each other,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ornament 24 are struck with the cylindrical end 83. The contact forc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84 may be weakened, and the pressing force to the one end side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may be released. Thereby, the one end side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body can be fixed and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tool 81.

이렇게 안경형의 잠금 도구(81)를 사용하여 잠긴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가 된 뒤,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8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등의 이유로 빠질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장착자가 신체로부터 장신구(24)를 풀 경우에는, 누름 나사(92, 95)를 느슨하게 하여 장신구(24)를 잠금 도구(81)의 내면에서 장신구(24)의 일단측 또는 타단측을 축 방향으로 뽑는 것만으로, 간단히 장신구(24)를 푸는 것이 가능하다. The ornaments 24 locked using the eyeglass-shaped locking tool 81 are adsorbed by the suction force by the magnet inside, and then reliab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holding force of the eyeglass-shaped locking tool 81. Deviation is prevented.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loss due to inadvertent drop-out, etc., and it is not likely to fall out due to pulling off from the outside of the wearer, so that theft and the like can be further reliably preven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wearer loosens the ornament 24 from the body, loosens the pressing screws 92 and 95 to shaft the ornament 24 from one side or the other end of the ornament 24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tool 81. It is possible to simply loosen the ornament 24 simply by pulling in the direction.

(잠금 도구의 제4예) 도40은 제4예의 잠금 도구(10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잠금 도구(10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2개의 만곡부를 가지는 만곡판형의 잠금 도구 본체(102)와 이것과 짝을 이루는 염주형 유체 (103)로 구성되어 있다. (Fourth Example of Locking Tool) Fig. 4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ing tool 101 of the fourth example. The locking tool 101 is a metal or resin molded material, and is composed of a curved plate-shaped locking tool body 102 having two curved portions and a beaded fluid 103 paired with the locking tool body 102.

잠금 도구 본체(102)는 2개의 원호판형의 만곡편(102a, 104)이 중간 닫힘부(102b)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형상을 하고 있고, 잠금 도구 본체(102)의 일단부(105)에는 원환상 외측 잠금링(10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잠금 도구 본체(102)의 타단부(106)에도 원환상 외측 잠금링(10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만곡편(102a, 104)의 중간 닫힘부(102b)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내측 잠금링(117, 118)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 잠금링(107, 108) 및 내측 잠금링(117, 118)의 내경은 거의 동일한 지름으로 되어 있다. The locking tool body 102 has a shape in which two arc-shaped curved pieces 102a and 104 are integrally connected by an intermediate closing portion 102b, and one end 105 of the locking tool body 102 has a circular shape. An annular outer locking ring 107 is formed. In addition, an annular outer locking ring 108 is formed on the other end 106 of the locking tool body 102. In addition, the inner locking rings 117 and 118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intermediate closing portions 102b of the curved pieces 102a and 104. The inner diameters of the outer locking rings 107 and 108 and the inner locking rings 117 and 118 are almost the same diameter.

염주형 유체(103)는 일단측에 있어서 가요성의 끈(109)의 일단측에 일정 간격으로 옥(110)을 장착하는 동시에, 타단측에 있어서 가요성의 끈(112)의 일단측에 일정 간격으로 옥(113)을 장착한 구조로 되어 있다. 옥(110, 113)은 예를 들면 탄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외측 잠금링(107, 108) 및 내측 잠금링(117, 118)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일정 이상의 힘으로 잡아 당겼을 경우 외측 잠금링(107, 108) 및 내측 잠금링(117,118)을 통과할 수 있고, 일체 이하의 힘으로는 외측 잠금링(107, 108) 및 내측 잠금링(117, 118)으로부터 빠지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염주형 유체(103)의 일단에는 외측 잠금링(107) 및 내측 잠금링(117)의 내경보다도 큰 지름의 단판(111)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측에도 외측 잠금링(108) 및 내측 잠금링(118)의 내경보다도 큰 지름의 단판(1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끈(109, 112)의 중간 부분이 외측 잠금링(107, 108) 및 내측 잠금링(117, 118)에 통과되어, 끈(109, 112)의 선단부의 각 단판(111, 114)이 각각 외측 잠금링(107, 108)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염주형 유체(103)는 잠금 도구 본체(102)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되어 있다. The beaded fluid 103 mounts the jade 110 at a regular interval on one end side of the flexible string 109 on one end, and at a constant interval on one end side of the flexible string 112 on the other end. It has a structure in which jade 113 is mounted. Jade (110, 113) is made of, for example,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has an outer diameter almost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er locking rings (107, 108) and the inner locking rings (117, 118), and is held by a force greater than a certain level. When pulled, it can pass through the outer locking rings 107, 108 and the inner locking rings 117, 118, and does not come off the outer locking rings 107, 108 and the inner locking rings 117, 118 with any sub-force. It is composed. In addition, an end plate 111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er locking ring 107 and the inner locking ring 117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ead-type fluid 103, and the outer locking ring 108 and the inner locking are also provided at the other end. An end plate 114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ing 118 is formed.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string (109, 112) is passed through the outer locking ring (107, 108) and the inner locking ring (117, 118), each end plate (111, 114) of the tip of the string (109, 112) They are disposed outside the outer locking rings 107 and 108, respectively. Thereby, the bead-like fluid 103 does not deviate from the locking tool body 102.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장신구(24)에 잠금 도구(101)를 장착할 경우에는, 염주형 유체(103)의 내, 외측 잠금링(107)과 내측 잠금링(117)과의 사이 및 외측 잠금링(108)과 내측 잠금링(118)과의 사이의 부분을 장신구(24)의 외경보다도 크게 개구하도록 만곡시켜 둔다. In this structure, when the locking tool 101 is mounted on the ornament 24, the inner and outer locking rings 107 and the inner locking ring 117 of the beaded fluid 103, and the outer locking ring The portion between 108 and the inner locking ring 118 is curved to open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ornament 24.

그리고 외측 잠금링(107)과 내측 잠금링(117)과의 사이의 개구 부분에 장신구의 일단측 및 타단측 외캡(26)을 통하는 동시에, 외측 잠금링(108)과 내측 잠금링(118)과의 사이의 개구 부분에 장신구의 타단측 및 타단측 외캡(27)을 통한다. 그 후, 염주형 유체(103)를 양단측에 소정의 힘으로 잡아당겨, 장신구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외주측에서 누르도록 한다. And through the outer cap 26 of one side and the other end of the ornament in the opening portion between the outer locking ring 107 and the inner locking ring 117, and at the same time, the outer locking ring 108 and the inner locking ring 118 Through the opening portion between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and the other end side outer cap (27). Thereafter, the bead-like fluid 103 is pulled with a predetermined force on both ends, so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ornament are pressed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반대로 잠금 도구 본체(102)로부터 장신구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뗄 경우에는, 염주형 유체(103)의 내, 외측 잠금링(107)과 내측 잠금링(117)과의 사이 및 외측잠금 링(108)과 내측 잠금링(118)과의 사이의 부분을 장신구(24)의 외경보다도 크게 개구하도록 다시 만곡시켜, 장신구 본체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빼 내면 된다. Conversely, wh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ornament are pulled from the locking tool body 102, the inner and outer locking rings 107 and the inner locking ring 117 of the beaded fluid 103 and the outer locking ring ( The portion between 108) and the inner locking ring 118 is bent again so as to open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ornament 24,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ornament body may be removed.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염주형 유체(103)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잠금 도구 본체(102)에 장착하거나, 떼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잠금 도구(101)를 사용하여 잠긴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가 된 뒤,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10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어 풀리는 등의 이유로 빠질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ttach or remove the one end side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to the locking tool body 102 only by operating the beaded fluid 103. The ornament 24 locked using the locking tool 101 is adsorbed by the suction force by the magnet inside, and then, by the holding force of the locking tool 101 having a spectacle shape, it is reliably prevented from deviating to the peripheral direction. do.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loss due to inadvertent dropout, etc., and it does not fall out due to being pulled out from the outside of the wearer, so that theft can be further reliably prevented.

(잠금 도구의 제5예) 도41은 제5예의 잠금 도구(12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잠금 도구(12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측면에서 볼 때 거의 안경형(「8」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잠금 도구(121)는 몸체(122)를 통해서 서로 평행하게 연결된 통형의 일단부(123)와 통형의 타단부(124)를 가진다. 통형의 일단부(123) 내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삽통할 수 있는 동시에, 통형의 타단부(124) 내에는, 장신구(24)의 타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Fifth example of locking tool) Fig. 4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fth example of the locking tool 121. The locking tool 121 is molded from a metal or resin or the like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pectacle shape (" 8 "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locking tool 121 has a cylindrical one end 123 and a cylindrical other end 124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hrough the body 122. In one end portion 123 of the cylindrical shape,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can be detachably inserted, while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is detachably inserted in the other end portion 124 of the cylindrical shape. It is made possible.

통형의 일단부(123)의 내부에는 한쪽 공간(통과부)(125)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쪽 공간(125)의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일단측 외캡(26)보다도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통형의 일단부(123)의 내부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한편, 통형의 타단부(124)의 다른 쪽의 공간(126)은 통형의 일단부(123)의 한쪽 공간(125)과 거의 같은 지름으로 되어 있으며, 다른 쪽의 공간(126)의 지름은 장신구(24)의 타단측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통형의 타단부(124) 내에는 장신구(24)의 타단측 및 타단측 외캡(27)이 착탈 가능하게 삽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통형의 타단부(124)의 다른 쪽의 공간(126) 내에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삽통할 수 있고, 통형의 일단부(123)의 한쪽 공간(125)에는 장신구(24)의 타단측 외캡(26)이 삽입하고, 뺄 수 있는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통형의 일단부(123)의 내부에는, 스프링 부재(131)가 수납되어 있고, 또 통형의 타단부(124)의 내부에도 마찬가지로 스프링 부재(141)가 수납되어 있다. Inside the cylindrical one end 123, one space (passage) 125 is formed, and the diameter of the one space 125 is larger than the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and the one side outer cap 26. It is made. Thereby,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can be freely inserted or removed inside the cylindrical one end 123. On the other hand, the other space 126 of the other end 124 of the tubular shape is almost the same diameter as one space 125 of the one end 123 of the tubular shape, and the diameter of the other space 126 is ornaments. The outer diameter on the other end of (24) is almost identical. In the other end portion 124 of the cylindrical shape, the other end side and the other end side outer cap 27 of the ornament 24 can be detachably inserted. In other words, one end of the ornament 24 and the outer cap 27 can be inserted into the other space 126 of the other end 124 of the cylindrical shape, and one space 125 of the one end 123 of the cylindrical shape In the outer cap 26 of the other end of the ornament 24 is inserted, can b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removable state. And the spring member 131 is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one end part 123, and the spring member 141 is also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other end part 124 of a cylindrical shape.

도41은 도40의 잠금 도구(121)의 축직각 단면도이다. 통형의 일단부(123)의 지름과 통형의 타단부(124)의 지름은 서로 거의 동일하다. 이 잠금 도구(121)의 통형의 일단부(123)에 있어서의 내주면에는 상술한 스프링 부재(131)가 수납되어 있다. 이 스프링 부재(131)는 평판부(132)에 산형의 스프링판(133)을 마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통형의 타단부(124)에 있어서의 내주면에도 상술한 스프링 부재(141)가 수납되어 있다. 이 스프링 부재(141)는 평판부(142)에 계곡형의 스프링판(143)을 마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41 is a cross-sectional view at right angles to the locking tool 121 of FIG. 40. The diameter of the one end 123 of the cylindrical shape and the diameter of the other end 124 of the cylindrical shape are almost the same. The spring member 131 mentioned above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ing tool 121 at one end 123 of a cylindrical shape. The spring member 131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flat spring portion 132 is provided with a mountain-shaped spring plate 133. In addition, the spring member 141 described above is also stor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portion 124 of the cylindrical shape. The spring member 141 has a structure in which a flat plate 142 is provided with a valley-shaped spring plate 143.

이러한 구성의 스프링 부재(131)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을 통형의 일단부(123)의 내부에 삽입시켰을 경우에, 스프링판(133)의 탄성력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임의의 길이만 통형의 일단부(123)의 내부에 압압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통형의 타단부(124)에 장신구(24)의 타단측을 삽입시켰을 경우에, 스프링판(143)의 탄성력에 의해 장신구(24)의 타단측을 임의의 길이만 통형의 타단부(124)의 내부에 압압 유지할 수 있다. When the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one end 123 by the spring member 131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plate 133 It is possible to keep the pressure in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end portion 123 only an arbitrary length. In addition, when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portion 124 of the tubular shape,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ornament 24 only has an arbitrary length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plate 143. ) Can be kept under pressure.

이러한 구조에서는, 아무런 특별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장신구(24)를 잠금 도구(121) 내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는 것만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고정시켜 도구(121)에 장착하거나, 떼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도구(121)을 사용하여 잠긴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접착 상태가 된 뒤,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12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어 풀리는 등의 이유로 빠질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In such a structure, no special operation is required, and the accessory 24 is fix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ornament 24 simply by removably inserting the ornament 24 into the locking tool 121. It is easy to mount or remove. In addition, the ornaments 24 locked using the locking tool 121 are adhered to the suction force by the magnet inside, and then reliably detached in the peripheral direction by the holding force of the eyewear-shaped locking tool 121 This is prevented.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loss due to inadvertent dropout, etc., and it does not fall out due to being pulled out from the outside of the wearer, so that theft can be further reliably prevented.

(잠금 도구의 제6예) 도43은 제6예의 잠금 도구(151)를 가리키는 사시도이다. 잠금 도구(15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잠금 도구 본체(150)가 측면에서 볼 때 거의 안경형(「8」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잠금 도구 본체(150)는 몸통부(152)를 통해서 서로 평행하게 연결된 통형의 일단부(153)와 통형의 타단부(154)를 가진다. 통형의 일단부(153) 내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삽통할 수 있는 동시에, 통형의 타단부(154) 내에는, 장신구(24)의 타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Sixth Example of Locking Tool) Fig. 4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tool 151 of the sixth example. The locking tool 151 is molded from a metal or resin, etc., and the locking tool body 150 is formed in an almost spectacle shape (" 8 "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locking tool body 150 has a cylindrical one end 153 and a cylindrical other end 154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hrough the body 152. The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can b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one end portion 153 of the cylindrical shape,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other end portion 154 of the cylindrical shape. It is made possible.

통형의 일단부(153)의 내부에는 한쪽 공간(통과부)(155)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쪽 공간(155)의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일단측 외캡(26)보다도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통형의 일단부(153)의 내부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또한, 통형의 타단부(154)의 다른 쪽의 공간(156)은 통형의 일단부(153)의 한쪽 공간(155)과 거의 같은 지름으로 되어 있고, 이 다른 쪽의 공간(156)의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One space (passing part) 155 is formed inside the cylindrical one end 153, and the diameter of the one space 155 is larger than the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and the one side outer cap 26. It is made. Thereby,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can be freely inserted or removed inside the cylindrical one end 153. In addition, the other space 156 of the other end portion 154 of the cylindrical shape is substantially the same diameter as one space 155 of the one end portion 153 of the cylindrical shape, and the diameter of the other space 156 of the other side is It almost coincides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그리고, 통형의 타단부(154) 내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착탈 가능하게 삽통할 수 있다. 즉, 잠금 도구(151)에서는, 통형의 타단부(154)의 다른 쪽의 공간(156) 내에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삽통할 수 있고, 통형의 일단부(153)의 한쪽 공간(155)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 외캡(26)이 삽입 및 제거 가능한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통형의 일단부(153)의 측벽에는 나사공(157)이 열려 있고, 통형의 타단부(154)의 측벽에도 나사공(158)이 평행하게 열려 있다. Further,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and the outer cap 27 can be inserted and detached into the other end portion 154 of the cylindrical shape. That is, in the locking tool 151, the one end side and the outer cap 27 of the ornament 24 can be inserted into the other space 156 of the other end portion 154 of the cylindrical shape, and the cylindrical one end portion 153 In one space 155 of the one end of the ornament 24, the outer cap 26 is inserted and removable so that it can be detachably inserted. In addition, the threaded hole 157 is open on the side wall of the one end 153 of the cylindrical shape, and the threaded hole 158 is also opened in parallel on the side wall of the other end portion 154 of the cylindrical shape.

이 구성에서 통형의 일단부(153)의 나사공(157)에는 조임 나사(171)가 측방에서부터 비틀어 넣어져 있다. 즉, 조임 나사(171)는 큰 지름의 두부(172)와 그 중심에서 돌출하는 나사부(173)를 가지고, 두부(172)를 사람의 손으로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비틀어 넣거나 뺄 수 있다. 또한, 통형의 타단부(154)의 나사 구멍(158)에도 조임 나사(181)가 측방에서부터 비틀어 넣어져 있다. 다시 말해, 조임 나사(181)는 큰 지름의 두부(182)와 그 중심에서 돌출하는 나사부(183)를 가지고, 두부(182)를 사람의 손으로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비틀어 넣거나 뺄 수 있다. In this configuration, the fastening screw 171 is twisted in the screw hole 157 of the cylindrical one end 153 from the side. That is, the tightening screw 171 has a large diameter head 172 and a screw portion 173 protruding from its center, and can be twisted or removed by rotating the head 172 with a human hand. In addition, the tightening screw 181 is also twisted from the side in the screw hole 158 of the other end portion 154 of the cylindrical shape. In other words, the tightening screw 181 has a large diameter head 182 and a screw portion 183 protruding from its center, and can be twisted or removed by rotating the head 182 with a human hand.

도44는 도43에 나타낸 잠금 도구(151)의 축직각 단면도이다. 잠금 도구(151)에 있어서의 통형의 일단부(153)의 지름과 통형의 타단부(154)의 지름은 서로 거의 동일하다. 이 잠금 도구(151)의 통형의 일단부(153)에 있어서의 내주면측에는 상술의 조임 나사(171)의 나사부(173)가 돌입되어 있다. 이 조임 나사(171)의 나사부(173)의 선단에는 광폭 누름판(17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누름판(174)은 장신구 본체(24)를 눌러서 잠금 도구 본체(150)의 내면에 압접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잠금 도구(151)의 통형의 타단부(154)에 있어서의 내주면측에는 상술한 다른 쪽의 조임 나사(181)의 나사부(183)가 돌입되어 있다. 이 조임 나사(171)의 나사부(183) 선단에도 광폭 누름판(184)이 마련되어 있다. 이 누름판(184)은 장신구 본체(24)를 눌러서 잠금 도구 본체(150)의 내면에 압접시킬 수 있다. 44 is an axially perpendicular sectional view of the locking tool 151 shown in FIG. 43. The diameter of the one end 153 of the cylindrical shape in the locking tool 151 and the diameter of the other end 154 of the cylindrical shape are almost the same. The screw 173 of the tightening screw 171 described above is protru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cylindrical end portion 153 of the locking tool 151. A wide pressing plate 174 is formed at the tip of the screw portion 173 of the tightening screw 171. The pressing plate 174 can be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tool body 150 by pressing the ornament body 24. Further,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other end portion 154 of the cylindrical shape of the locking tool 151, the screw portion 183 of the other tightening screw 181 described above is protruded. A wide pressing plate 184 is also provided at the tip of the screw portion 183 of the tightening screw 171. The pressing plate 184 can be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tool body 150 by pressing the ornament body 24.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장신구(24)를 잠금 도구(151) 내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고, 조임 나사(171, 181)를 회전 조작하는 것만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고정시켜 도구(151)에 장착하거나, 떼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도구(151)를 사용하여 잠긴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로 한 뒤,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15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어 풀리는 일 등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ornament 24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locking tool 151, and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are fixed by simply rotating the tightening screws 171 and 181 to fix the tool ( 151). In addition, the ornaments 24 locked using the locking tool 151 are absorbed by the suction force by the magnet inside, and then reliably deviated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holding force of the glasses-shaped locking tool 151. This is prevented.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loss due to inadvertent dropout, and there is no possibility of being pulled out from the outside of the wearer, so that theft and the like can be further reliably prevented.

(잠금 도구의 제7예) 도45는 제7예의 잠금 도구(19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잠금 도구(19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양측 개구의 거의 구형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잠금 도구(191)의 잠금 도구 본체(190)는 도20에 있어서, 위편(192), 측편(좌측편)(193), 하편(194) 및 측편(우측편)(195)을 가진다. 잠금 도구(191)의 내부는 공간(통과부)(196)으로 되어 있고, 이 공간(통과부)(196)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가로로 나란히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Seventh Example of Locking Tool) Fig. 4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ing tool 191 of the seventh example. The locking tool 191 is formed of a metal or resin material,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pherical cylindrical shape of both openings. The locking tool body 190 of the locking tool 191 has a top piece 192, a side piece (left side) 193, a bottom piece 194, and a side piece (right side) 195 in FIG. The interior of the locking tool 191 is a space (passing portion) 196, and in this space (passing portion) 196,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ornament 24 can be inserted side by side to be detachable. It is supposed to.

그리고 잠금 도구 본체(190)의 서로 대향하는 측편(좌측편)(193)과 측편(우측편)(195)에는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공(197, 198)이 열려 있다. 그리고 경사공(197)과 경사공(198)에는 1개의 잠금 핀(201)이 삽통되어 있다. 이 잠금 핀(201)은 경사공(197)과 경사공(198)에 삽통되는 길이의 축부(202)를 가지고, 이 축부(202)의 각 선단은 각각 측편(좌측편)(193)과 측편(우측편)(195)의 외측에 돌출되어 있다. 이 축부(202)의 각 끝의 돌출 부분에 큰 지름의 두부(203)와 두부(20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공(197)과 경사공(198)은 대상 형상의 장공이며, 이 구멍의 높이, 길이 및 경사각은 모두 동일하게 되어 있다. Then, the inclined holes 197 and 198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re opened on the side pieces (left side pieces) 193 and side pieces (right side pieces) 195 facing each other of the locking tool body 190. In addition, one locking pin 201 is inserted into the inclined hole 197 and the inclined hole 198. The locking pin 201 has an inclined hole 197 and a shaft portion 202 of a length that is inserted into the inclined hole 198, and each tip of the shaft portion 202 has a side piece (left side) 193 and a side piece, respectively. (Right side) It protrudes to the outside of 195. A large diameter head 203 and a head 204 are integrally formed at the protruding portion of each end of the shaft portion 202. The inclined hole 197 and the inclined hole 198 are long holes of a target shape, and the height, length, and inclination angle of these holes are all the same.

도46은 도45에 나타낸 잠금 도구(191)의 축직각 단면도이다. 경사공(197)과 경사공(198)의 낮은 쪽의 단부의 높이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의 정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사공(197)과 경사공(198)의 높은 쪽의 단부의 높이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의 정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 시에는 도46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장신구(24)의 일단측을 경사공(197)과 경사공(198)의 낮은 쪽에서 높은 쪽(도46의 좌측)을 향해 삽입하면 두부(203)가 밀어 올려져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다. 한편, 반대로 장신구(24)의 일단측을 경사공(197)과 경사공(198)의 높은 쪽에서 낮은 쪽(도46의 우측)을 향해 당기면, 두부(203)가 마찰력으로 낮은 쪽으로 연동되기 ?문에, 두부(203)가 장신구(24)의 일단측을 하방으로 압압하게 되어, 장신구(2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46 is a cross-sectional view at right angle to the locking tool 191 shown in FIG. 45. The heights of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inclined hole 197 and the inclined hole 198 are formed at positions lower than the top and bottom ends of the ornament 24. In addition, the heights of the inclined holes 197 and the higher end portions of the inclined holes 198 are formed at positions lower than the top and bottom ends of the ornament 24. Therefore, in use, the head 203 is pushed by inserting one end of the ornament 24 toward the higher side (left side in FIG. 46) from the lower side of the inclined hole 197 and the inclined hole 198 as indicated in FIG. It can be raised and inserted smoothly. On the other hand, on the contrary, if one end of the ornament 24 is pulled from the higher side of the inclined hole 197 and the inclined hole 198 toward the lower side (right side in FIG. 46), the head 203 is interlocked to the lower side by frictional force. In this case, the head 203 pushes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downwar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rnament 24 from coming off.

이러한 구조에서는, 장신구(24)를 잠금 도구(191) 내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는 것만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고정시켜 도구(191)에 장착하거나, 떼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도구(191)를 사용하여 잠긴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로 된 뒤, 잠금 도구(19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것 등으로는 풀릴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In such a structure, only by inserting the ornament 24 detachably into the locking tool 191,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ornament 24 can be fixed to facilitate mounting or removal of the tool 191. have. In addition, the ornaments 24 locked using the locking tool 191 are in an adsorbed state by the suction force by the magnet inside, and then, by the holding force of the locking tool 191, departure to the peripheral direction is reliably prevented. .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loss due to inadvertent drop-out, etc., and it cannot be solved by pulling it out from the outside of the wearer, so that theft and the like can be further reliably prevented.

(잠금 도구의 제8예) 도47은 제8예의 잠금 도구(21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잠금 도구(211)는 악어의 입 클립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한 쌍의 끼움편인 잠금 도구 본체(212) 및 닫힘판(221)을 힌지 축(228)으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Eighth example of locking tool) Fig. 4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ighth example locking tool 211. The locking tool 211 forms a mouth clip shape of a crocodile, and is connected to a pair of fitting pieces, a locking tool body 212 and a closing plate 221,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hinge shaft 228.

잠금 도구 본체(212)는 일정 폭의 만곡편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잠금 도구 본체(212)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주면의 약 절반을 외측에서 눌러서 잠그기 위한 반원호판형의 만곡편(213)과 장신구(24)의 타단측의 약 절반을 외측에서 눌러서 잠그기 위한 반원호판형의 만곡편(214)이 인접하는 일체의 만곡판으로 되어 있다. 만곡편(213)의 외측 단부의 일측부에는 판폭 방향에 따르는 관통공이형성된 힌지 통(21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만곡편(213)의 외측 단부의 타측부에는 판폭 방향에 따르는 관통공이 형성된 다른 힌지 통(217)이 힌지 통(213)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동일 축 상에 설치되어 있다. The locking tool body 212 is composed of a curved piece of a certain width, and the locking tool body 212 is a semicircular plate-shaped curved piece for locking by pressing about half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ornament 24 from the outside ( 213) and the semi-circular arc-shaped curved piece 214 for locking by pressing from the outside about half of the other end of the ornament 24 is formed as a contiguous integral curved plate. One side of the outer end of the curved piece 213 is integrally formed with a hinge cylinder 216 having a through hole along the plate width direction, and a through hole along the plate width direc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end of the curved piece 213. Another hinge cylinder 217 is provided on the same axis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hinge cylinder 213.

만곡편(213)의 요면측과 만곡편(214)의 요면측과의 사이에는, 평탄면 형상의 중간 닫힘부(218)가 형성되어 있다. 만곡편(212)의 일단부(215)는 유지부로 깊은 굽힘이 형성되어 있다. Between the concave surface side of the curved piece 213 and the concave surface side of the curved piece 214, an intermediate closed portion 218 having a flat surface shape is formed. One end 215 of the curved piece 212 is formed with a deep bending as the holding portion.

닫힘판(221)은 평탄한 판형상을 이루고 있고, 잠금 도구 본체(211)와 거의 동일폭을 가지고 있다. 이 닫힘판(221)은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주면의 약 절반을 외측에서 눌러서 잠그기 위해서 일단측에 반원호판형의 계지조(223)를 가지는 동시에, 타단측에는 힌지 통(2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힌지 통(224)은 잠금 도구 본체(212)의 힌지 통(216)과 힌지 통(217)과의 사이에 동일 축에서 배치되어 있다. 이들 힌지 통(216), 힌지 통(217) 및 힌지 통(224)에는 1개의 힌지 축(228)이 통과되어, 이 힌지 축(228)을 중심으로 하여, 잠금 도구 본체(212)와 닫힘판(221)이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closing plate 221 has a flat plate shape and has almost the same width as the locking tool body 211. The closing plate 221 has a semicircular plate-shaped locking 223 on one side to lock about half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ornament 24 from the outside, and a hinge barrel 224 is formed on the other side. It is done. The hinge barrel 224 is disposed on the same axis between the hinge barrel 216 and the hinge barrel 217 of the locking tool body 212. One hinge shaft 228 passes through the hinge cylinder 216, the hinge cylinder 217, and the hinge cylinder 224, with the hinge shaft 228 as the center, the locking tool body 212 and the closing plate 221 is allowed to rotate.

도48은 잠금 도구(21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닫힘판(221)을 잠금 도구 본체(212)에 대하여 힌지 축(228)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시키고, 잠금 도구 본체(212)를 닫힌 상태로 하면, 닫힘판(221)의 계지조(223)가 만곡편(212)의 일단부(215)에 탄성적으로 감합된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부 및 타단측을 압압 유지할 수 있다. 48 is a sid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locking tool 211. When the closing plate 221 is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228 with respect to the locking tool body 212, and the locking tool body 212 is closed, the locking bar 223 of the closing plate 221 is It is elastically fitted to one end 215 of the curved piece 212. Thereby, the one end part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can be held under pressure.

이 구조에 따르면, 장신구(24)를 잠금 도구(211)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하는 것만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고정시켜 도구(211)에 장착하거나, 푸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도구(211)를 사용하여 잠근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로 된 뒤, 잠금 도구(21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것 등에 따라 풀릴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only by inserting the ornament 24 so as to b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locking tool 211,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are fixed to facilitate mounting or loosening on the tool 211. You can. In addition, the ornaments 24 locked using the locking tool 211 are adsorbed by the suction force by the magnet inside, and then, the holding force of the locking tool 211 is surely prevented from depar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loss due to inadvertent dropout, and there is no possibility of being released by pulling it out of the wearer, so that theft and the like can be further reliably prevented.

(잠금 도구의 제9예) 도49는 제9예의 잠금 도구(23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잠금 도구(23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양측 개구의 거의 구형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잠금 도구(231)의 잠금 도구 본체(230)는 위편(232), 측편(좌측편)(233), 하편(234) 및 측편(우측편)(235)을 소유하고 있다. 잠금 도구(231)의 내부는 공간(통과부)(236)으로 되어 있고, 이 공간(통과부)(236)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가로로 나란히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Ninth Example of Locking Tool) FIG. 4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ing tool 231 of the ninth example. The locking tool 231 is molded from a material such as metal or resin,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pherical cylindrical shape of both openings. The locking tool body 230 of the locking tool 231 owns the upper piece 232, the side piece (left side) 233, the lower piece 234, and the side piece (right side) 235. The interior of the locking tool 231 is a space (passing portion) 236, and in this space (passing portion) 236,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ornament 24 can be inserted side-by-side to be detachable. It is supposed to.

이 구조에 있어서, 위편(232)에 둔 나사공(237)에 조임 나사(241) 상측 방향에서부터 비틀어 넣어져 있다. 즉, 조임 나사(241)는 큰 지름의 두부(244)와 그 중심에서 돌출하는 나사부(243)이 있고, 두부(244)를 사람의 손으로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비틀어 넣거나 뺄 수 있다. In this structure, the screw hole 237 placed on the upper piece 232 is twisted from the upper direction of the tightening screw 241. That is, the tightening screw 241 has a large diameter head portion 244 and a thread portion 243 protruding from its center, and can be twisted or pulled out by rotating the head 244 with a human hand.

도50은 도49에 나타낸 잠금 도구(231)의 축직각 단면도이다. 조임 나사(241)의 나사부(243)의 선단에는 광폭 누름판(24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누름판(245)은 장신구 본체(24)를 눌러서 잠금 도구 본체(230)의 내면에 압접시킬 수 있다. Fig. 50 is an axial right angle sectional view of the locking tool 231 shown in Fig. 49. A wide pressing plate 245 is formed at the tip of the screw portion 243 of the tightening screw 241. The pressing plate 245 may be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tool body 230 by pressing the ornament body 24.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장신구(24)를 잠금 도구(231) 내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고, 조임 나사(241)를 회전 조작하는 것만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고정시켜 도구(231)에 장착하거나, 푸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도구(231)를 사용하여 잠긴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로 된 뒤,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23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것 등으로는 풀릴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ornament 24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locking tool 231, and only the tightening screw 241 is rotated to fix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ornament 24 so that the tool 231 is fixed. ) Can be easily mounted or unpacked. In addition, the ornaments 24 locked using the locking tool 231 are adsorbed by the suction force by the magnet inside, and then reliably deviated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holding force of the glasses-type locking tool 231. This is prevented.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loss due to inadvertent drop-out, etc., and it cannot be solved by pulling it out from the outside of the wearer, so that theft and the like can be further reliably prevented.

(잠금 도구의 제10예) 도51은 제10예의 잠금 도구(25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잠금 도구(25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측면에서 볼 때 거의 안경형(「8」자형)으로 형성된 잠금 도구 본체(250)를 가지고 있다. 이 잠금 도구 본체(250)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삽통하는 통형의 일단부(253)와 장신구(24)의 타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삽통하는 통형의 타단부(254)를 몸체(252)를 통해서 서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일체 구성의 안경형의 틀체를 형성하고 있다. 통형의 일단부(253)의 내부에는 한쪽 공간(통과부)(255)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편의 공간(255)의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6)이 삽통할 수 있는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통형의 일단부(253)의 내부에는 장신구의 일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한편, 통형의 타단부(254)의 다른 쪽의 공간(256)의 지름도 장신구(24)의 타단측 및 외캡(27)이 삽통할 수 있는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통형의 일단부(253)의 내부에는, 장신구의 타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Tenth example of locking tool) Fig. 5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ing tool 251 of the tenth example. The locking tool 251 is molded of metal or resin, etc., and is almost spectacle when viewed from the side ('8 '' Shaped). The locking tool body 250 includes a tubular one end 253 for detachably inserting one end of the ornament 24 and a tubular other end 254 for detachably inserting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By connecting to each other through the body 252, an integrally formed spectacle frame is formed. One space (passing part) 255 is formed inside the cylindrical one end 253, and the diameter of the space 255 on the other hand can be inserted by the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and the outer cap 26. It has a diameter. Thus,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can be freely inserted or removed inside the cylindrical one end 253. On the other hand, the diameter of the other space 256 of the other end portion 254 of the cylindrical shape is also a diameter that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and the outer cap 27 can insert. Thus,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can be freely inserted or removed inside the cylindrical one end 253.

이 잠금 도구(251)에서는 통형의 타단부(254)의 다른 쪽의 공간(256) 내에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6)이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통형의 일단부(253)의 한쪽 공간(255)에는 장신구(24)의 타단측 및 외캡(27)이 삽입 및 뺄 수 있는 상태에서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통형의 일단부(253)의 내부에는 주변 방향에 등간격으로 3개의 볼, 즉, 볼(261, 262, 263)이 수납되어 있다. 또한, 통형의 타단부(254)의 내부에도, 주변 방향에 등간격으로 3개의 볼, 즉, 볼(264, 265, 266)이 수납되어 있다. In this locking tool 251,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and the outer cap 26 can be inserted into the other space 256 of the other end portion 254 of the cylindrical shape, and likewise, the cylindrical one end portion 253 ),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and the outer cap 27 can be inserted and inserted into the space 255 of the ornament. Then, three balls, i.e., balls 261, 262, and 263, are spaced at equal intervals in the peripheral direction inside the cylindrical one end 253. In addition, three balls, i.e., balls 264, 265, and 266, are spaced at equal intervals in the peripheral direction also inside the other end portion 254 of the cylindrical shape.

도52는 도51에 나타낸 잠금 도구(251)의 축직각 단면도이다. 통형의 일단부(253)의 지름과 통형의 타단부(254)의 지름은 거의 비슷하다. 잠금 도구(251)의 통형의 일단부(253) 내주면에는 주변 방향에 등간격으로 볼(261, 262, 263)이 배치되어 있다. 볼(261)은 통형의 일단부(253)의 구멍 내에 수용되고,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61)에 의해 통형의 일단부(253)의 내주 측에 탄성을 통해서 압압되어 있다. 한편, 통형의 일단부(253) 내에서의 구멍의 내측 단부의 지름은 볼(261)의 지름보다도 작게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볼(451)은 통형의 일단부(253)의 안쪽 방향으로 탈락될 일은 없다. 구멍은 통형의 일단부(253)의 외주 측에서 폐쇄되어 있고, 이 폐쇄 공간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57)이 수납되어 볼(261)을 통형의 일단부(253)의 내부 방향으로 상시 압압하도록 되어 있다. 52 is an axially perpendicular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cking tool 251 shown in FIG. 51. The diameter of the one end 253 of the cylindrical shape and the diameter of the other end 254 of the cylindrical shape are almost the sam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end portion 253 of the locking tool 251, balls 261, 262, and 263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peripheral direction. The ball 261 is accommodated in the hole of the cylindrical one end 253, and is pressed by elasticity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ylindrical one end 253 by a spring (compression coil spring) 261. On the other hand, the diameter of the inner end of the hole in the cylindrical one end 253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261, whereby the ball 451 falls out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one end 253. There is nothing to be done. The hole is cl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ylindrical one end 253, and a spring (compressed coil spring) 257 is accommodated in this closed space so that the ball 261 is always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one end 253. It is supposed to be pressed.

마찬가지로, 볼(262)은 통형의 일단부(253)의 구멍 내에 수용되어 있고,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58)에 의해 통형의 일단부(253)의 내주측에 탄성을 통해 압압되어 있다. 한편, 통형의 일단부(253) 내에 있어서의 구멍의 내측 단부의 지름은 볼(262)의 지름보다도 작게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볼(262)은 통형의 일단부(253)의 안쪽 방향으로 탈락할 일은 없다. 구멍은 통형의 일단부(253)의 외주 측에서 폐쇄되어 있고, 이 폐쇄 공간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58)이 수납되어 볼(262)을 통형의 일단부(253)의 내부 방향으로 상시 압압하도록 되어 있다. Similarly, the ball 262 is accommodated in the hole of the cylindrical one end 253, and is pressed by elasticity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ylindrical one end 253 by a spring (compression coil spring) 258. On the other hand, the diameter of the inner end of the hole in the cylindrical one end 253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262, whereby the ball 262 is eliminat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one end 253. There is nothing to do. The hole is cl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ylindrical one end 253, and a spring (compressed coil spring) 258 is accommodated in this closed space so that the ball 262 is always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one end 253. It is supposed to be pressed.

또한, 볼(263)은 통형의 일단부(253)의 구멍 내에 수용되어 있고,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59)에 의해 통형의 일단부(253)의 내주측에 탄성을 통해서 압압되어 있다. 한편, 통형의 일단부(253) 내에 있어서의 구멍의 내측 단부의 지름은 볼(263)의 지름보다도 작게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볼(263)은 통형의 일단부(253)의 안쪽 방향으로 탈락할 일은 없다. 구멍은 통형의 일단부(253)의 외주측에서 폐쇄되어 있고, 이 폐쇄 공간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59)이 수납되어 볼(263)을 통형의 일단부(253)의 내부 방향으로 상시 압압하도록 되어 있다. Moreover, the ball 263 is accommodated in the hole of the cylindrical one end 253, and is pressed by elasticity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ylindrical one end 253 by a spring (compressed coil spring) 259. On the other hand, the diameter of the inner end of the hole in the cylindrical one end 253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263, whereby the ball 263 is eliminat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one end 253. There is nothing to do. The hole is cl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ylindrical one end 253, and a spring (compressed coil spring) 259 is stored in this closed space so that the ball 263 is always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one end 253. It is supposed to be pressed.

또한, 볼(264)은 통형의 타단부(254)의 구멍 내에 수용되어 있고,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67)에 의해 통형의 타단부(254)의 내주측에 탄성을 통해서 압압되어 있다. 한편, 통형의 타단부(254) 내에 있어서의 구멍의 내측 단부의 지름은 볼(264)의 지름보다도 작게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볼(264)은 통형의 타단부(254)의 안쪽 방향으로 탈락할 일은 없다. 구멍은 통형의 타단부(254)의 외주측에서 폐쇄되어 있고, 이 폐쇄 공간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67)이 수납되어 볼(264)을 통형의 타단부(254)의 내부에 상시 압압하도록 되어 있다. Further, the ball 264 is accommodated in the hole of the other end portion 254 of the cylindrical shape, and is pressed through the elasticity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other end portion 254 of the cylindrical shape by a spring (compression coil spring) 267. On the other hand, the diameter of the inner end of the hole in the other end 254 of the cylinder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264, whereby the ball 264 falls out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other end 254 of the cylinder. There is nothing to do. The hole is cl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other end portion 254 of the cylindrical shape, and a spring (compressed coil spring) 267 is stored in this closed space so that the ball 264 is constantly pressed into the other end portion 254 of the cylindrical shape. It is supposed to.

또한, 볼(265)은 통형의 타단부(254)의 구멍 내에 수용되어,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68)에 의해 통형의 타단부(254)의 내주측에 탄성을 통해서 압압되어 있다. 한편, 통형의 타단부(254) 내에 있어서의 구멍의 내측 단부의 지름은 볼(265)의 지름보다도 작게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볼(265)은 통형의 타단부(254)의 안쪽 방향으로 탈락할 일은 없다. 구멍은 통형의 타단부(254)의 외주측에서 폐쇄되어 있고, 이 폐쇄 공간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68)이 수납되어 볼(265)을 통형의 타단부(254)의 내부에 상시 압압하도록 되어 있다. Further, the ball 265 is accommodated in the hole of the other end portion 254 of the cylindrical shape, and is pressed through the elasticity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other end portion 254 of the cylindrical shape by a spring (compression coil spring) 268. On the other hand, the diameter of the inner end of the hole in the other end portion 254 of the cylinder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265, whereby the ball 265 falls out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other end portion 254 of the cylinder. There is nothing to do. The hole is closed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other end portion 254 of the cylindrical shape, and a spring (compression coil spring) 268 is stored in this closed space so that the ball 265 is constantly pressed inside the other end portion 254 of the cylindrical shape. It is supposed to.

또한, 볼(266)은 통형의 타단부(254)의 구멍 내에 수용되어,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69)에 의해 통형의 타단부(254)의 내주측에 탄성을 통해서 압압되어 있다. 한편, 통형의 타단부(254) 내에 있어서의 구멍의 내측 단부의 지름은 볼(266)의 지름보다도 작게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볼(266)은 통형의 타단부(254)의 안쪽 방향으로 탈락할 일은 없다. 구멍은 통형의 타단부(254)의 외주측에서 폐쇄되어 있고, 이 폐쇄 공간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69)이 수납되어 볼(266)을 통형의 타단부(254)의 내부에 상시 압압하도록 되어 있다. Further, the ball 266 is accommodated in the hole of the other end portion 254 of the cylindrical shape, and is pressed through the elasticity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other end portion 254 of the cylindrical shape by a spring (compression coil spring) 269. On the other hand, the diameter of the inner end of the hole in the other end portion 254 of the cylinder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266, whereby the ball 266 is eliminat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other end portion 254 of the cylinder. There is nothing to do. The hole is cl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other end portion 254 of the cylindrical shape, and a spring (compression coil spring) 269 is stored in this closed space to press the ball 266 into the other end portion 254 of the cylindrical shape at all times. It is supposed to.

이러한 볼(261, 262, 263)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을 통형의 일단부(253)의 내부에 삽입시켰을 경우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57, 258, 259)의 탄성력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임의의 길이만큼 통형의 일단부(253)의 내부에 삽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볼(264, 265, 266)에 의해, 장신구(24)의 타단측을 통형의 타단부(254)의 내부에 삽입시켰을 경우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67, 268, 269)의 탄성력에 의해 장신구(24)의 타단측을 임의의 길이만큼 통형의 타단부(254)의 내부에 삽통할 수 있다.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compressed coil spring) 257, 258, 259 when one end of the ornament 24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one end 253 by these balls 261, 262, 263 By this,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one end 253 by an arbitrary length. Similarly, when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other end portion 254 of the cylinder by the balls 264, 265, 266, the spring (compression coil spring) 267, 268, 269 By the elastic force,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can be inserted inside the other end part 254 of a cylindrical shape by an arbitrary length.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유연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비틀림 및 만곡이 생기는 끈형의 튜브 내에 복수의 원주형의 금속제 자석을 삽입하고, 이들 자석의 N극과 S극을 원주의 외주면에 교대로 배치한 장신구와 이 장신구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고정되어 해당 장신구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평행으로 가지런히 정돈한 상태에서 착탈할 수 있는 잠금 도구를 갖춘 구성으로 되어 있다. In such a structure, a plurality of columnar metal magnets are inserted into a string-shaped tu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torsional and curved. It is fix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is ornament, and has a structure equipped with a locking tool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in a state in which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ornament are arranged in parallel.

이러한 구조에서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고정 도구(251)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다. 게다가, 잠금 도구(251)를 사용하여 잠긴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로 된 뒤,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25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것 등으로는 풀릴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structure, the one end side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xing tool 251. In addition, the ornament 24 locked using the locking tool 251 is absorbed by the suction force by the magnet inside, and then reliably detach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holding force of the glasses-shaped locking tool 251 This is prevented.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loss due to inadvertent drop-out, etc., and it cannot be solved by pulling it out from the outside of the wearer, so that theft and the like can be further reliably prevented.

(잠금 도구의 제11예) 도53은 제11예의 잠금 도구(27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잠금 도구(27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측면에서 볼 때 거의 S자형으로 형성된 잠금 도구 본체(270)를 소유하고 있다. 잠금 도구 본체(270)는 중앙부(272)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 반원통형의 장신구 착탈용 통부(273)와 미리 장신구(24)의 일단측에 고정된 원통형의 고정 통부(274)로 구성되어 있다. (Eleventh example of locking tool) Fig. 5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tool 271 of the eleventh example. The locking tool 271 is formed of a metal or resin material, and is substantially S-shaped when viewed from the side. Owns the locking tool body 270. The locking tool body 270 is composed of a semi-cylindrical ornament detachable cylinder 273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entral portion 272 and a cylindrical fixed cylinder 274 previously fixed to one end of the ornament 24.

장신구 착탈용 통부(273)의 내부에는 한쪽 공간(통과부)(275)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쪽의 공간(275)의 곡률 반경은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일단측 외캡(26)보다도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착탈용 통부(273)의 내부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한편, 고정 통부(274)의 다른 쪽 공간(276)은 장신구 착탈용 통부(273)의 한쪽 공간(275)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고, 다른 쪽의 공간(276)의 지름은 장신구(24)의 타단측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그리고 고정 통부(274) 내에는 장신구(24)의 타단측(62) 및 외캡(27)이 미리 삽통되어 고정되어 있다. 즉, 이 잠금 도구(271)에서는 고정 통부(274)의 다른 쪽 공간(276) 내에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삽통되어 고정되어 있고, 장신구 착탈용 통부(273)의 한쪽 공간(275)에는 장신구(24)의 외캡(26)이 삽입 및 풀 수 있는 상태로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One space (passage part) 275 is formed inside the ornament attachment / detachment cylinder 273,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is one space 275 is greater than that of the one end and one end outer cap 26 of the ornament 24. It has a large diameter. Thereby,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can be inserted or removed freely inside the cylinder 27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On the other hand, the other space 276 of the fixed cylinder portion 274 has a smaller diameter than one space 275 of the cylinder portion 27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and the diameter of the other space 276 is of the ornament 24 Almost matches the outer diameter of the other end. In addition, the other end side 62 and the outer cap 27 of the ornament 24 are fixed in advance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xed cylinder portion 274. That is, in this locking tool 271, one end of the ornament 24 and the outer cap 27 are inserted and fixed in the other space 276 of the fixing cylinder 274, and one side of the cylinder 27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The outer cap 26 of the ornament 24 is inserted into the space 275 so that it can be inserted and inserted.

한편, 잠금 도구 271 위쪽 절반은 악어 입 클립 형상을 이루고, 끼움편으로서의 닫힘판(285)을 힌지 축(284)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273)는 일정 폭의 만곡편으로 구성되어 있고,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주면의 약 절반을 외측에서 눌러서 잠그기 위한 반원호판형으로 되어 있다. 한편, 닫힘판(285)은 장신구(24)의 타단측의 약 절반을 외측에서 눌러서 잠그기 위한 평판형의 닫힘판 본체(28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half of the locking tool 271 forms a clip shape of a crocodile mouth, and is connected to open and close the closing plate 285 as a fitting piece by the hinge shaft 284. The cylinder 27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rnaments is formed of a curved piece of a certain width, and is formed in a semicircular arc plate shape for locking by pressing about half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ornament 24 from the outside. On the other hand, the closing plate 285 is constituted by a plate-shaped closing plate main body 286 for pressing and locking about half of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from the outside.

장신구 착탈용 통부(273)의 외측 단부에는 대향하는 힌지 귀(282, 283)가 입설되어 있고, 힌지 축(284)이 지지되어 있다. 한편, 닫힘판(285)의 힌지 단(290)은 힌지 축(284)에 지지되어 있고, 이것과 반대측의 단부에는 핀축 유지편(287) 및 핀축 유지편(288)이 개구부(289)를 열어서 돌설되어 있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273)의 선단에는 핀축(277)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핀축(277)의 선단에는 대경두부(51)이 형성되어 있고, 핀축(277)의 외주에는 나사부(279)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부(279)가 장신구 착탈용 통부(273)의 선단의 나사공(280)에 비틀어서 넣어져 있다. Opposing hinge ears 282 and 283 are placed at the outer end of the tubular portion 27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rnaments, and the hinge shaft 284 is supported. On the other hand, the hinge end 290 of the closing plate 285 is supported by the hinge shaft 284, and the pin shaft holding piece 287 and the pin shaft holding piece 288 open the opening 289 at the opposite ends. Is rushing. A pin shaft 277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cylinder 27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rnaments. A large-diameter head 51 is formed at the tip of the pin shaft 277, and a threaded portion 279 is form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in shaft 277. The threaded portion 279 is twisted into the threaded hole 280 at the tip of the tubular portion 27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rnaments.

도54는 잠금 도구(27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장신구(24)를 잠금 도구(271)에 통과시키고, 닫힘판 본체(286)를 힌지 축(284)을 지점으로 회동하고, 핀축(277)에 핀 유지편(287, 288)을 계지시킨다. 5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use state of the locking tool 271. The ornament 24 is passed through the locking tool 271, the closing plate body 286 is rotated to the hinge axis 284 to a point, and the pin retaining pieces 287 and 288 are held on the pin shaft 277.

이러한 구조에서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고정 도구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다. 게다가, 잠금 도구(271)를 사용하여 잠긴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로 된 뒤, 잠금 도구(27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것 등으로는 풀릴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structure, the one end side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xing tool. In addition, the ornaments 24 locked using the locking tool 271 are adsorbed by an absorbing force by an internal magnet, and then, by the holding force of the locking tool 271, the departure to the peripheral direction is reliably prevented. .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loss due to inadvertent drop-out, etc., and it cannot be solved by pulling it out from the outside of the wearer, so that theft and the like can be further reliably prevented.

(잠금 도구의 제12예) 도55는 제12예의 잠금 도구(29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잠금 도구(29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측면에서 볼 때 거의 S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잠금 도구(291)는 중앙부(292)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 반원통형의 장신구 착탈용 통부(273)와 미리 장신구(24)의 일단측에 고정된 원통형의 고정 통부(294)로 구성되어 있다. (Twelfth Example of Locking Tool) FIG. 5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tool 291 of the twelfth example. The locking tool 291 is formed of a metal or resin material, and is substantially S-shaped when viewed from the side. This locking tool 291 is composed of a semi-cylindrical ornament detachable cylinder 273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entral portion 292 and a cylindrical fixed cylinder 294 previously fixed to one end of the ornament 24.

장신구 착탈용 통부(293)의 내부에는 한쪽 공간(통과부)(298)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쪽 공간(293)의 곡률 반경은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일단측 외캡(26)보다도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착탈용 통부(293)의 내부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한편, 고정 통부(294)의 다른 쪽 공간(298)은 장신구 착탈용 통부(293)의 한쪽 공간(297)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고, 다른 쪽 공간(298)의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One space (passage part) 298 is formed inside the ornament attachment / detachment cylinder 293,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is one space 293 is larger than the one end side and one end outer cap 26 of the ornament 24 It has a diameter. Thereby,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can be inserted or removed freely inside the cylinder 29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On the other hand, the other space 298 of the fixed cylinder 294 has a smaller diameter than one space 297 of the cylinder 29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and the diameter of the other space 298 is one end of the ornament 24 Almost matches the outer diameter of the side.

고정 통부(294) 내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미리 삽통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잠금 도구(291)에서는, 고정 통부(294)의 다른 쪽 공간(298) 내에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삽통되어 고정되어 있고, 장신구 착탈용 통부(273)의 한쪽 공간(297)에는 장신구(24)의 외캡(26)이 삽입 및 뺄 수 있는 상태로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잠금 도구(291)의 S자형의 위쪽 절반에는 자석 유지공(295)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자석 유지공(295)에는 자석(296)이 설치되어 있다. In the fixed cylinder 294,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and the outer cap 27 are previously inserted and fixed. In this locking tool 291, one end of the ornament 24 and the outer cap 27 are inserted and fixed in the other space 298 of the fixing cylinder 294, and one space of the cylinder 27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At 297, the outer cap 26 of the ornament 24 can be inserted and inserted in a state where it can be inserted and removed. On the other hand, a magnet holding hole 295 is formed in the upper half of the S-shape of the locking tool 291, and a magnet 296 is provided in the magnet holding hole 295.

도56은 도55의 잠금 도구(251)의 축직각 단면도이다. 잠금 도구(291) 위편 부분에 자석(296)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자석(295)의 자력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을 흡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56 is a cross-sectional view at right angle to the locking tool 251 of FIG. 55. A magnet 296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ocking tool 291, and the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can be adsorb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295.

이렇게 S자형을 한 잠금 도구(291)의 한쪽 통과부(297)에 통과시킨 장신구(24)의 일단측은 잠금 도구(291) 내에 주위로부터 유지되는 동시에, 자석(296)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일단측은 측방으로 풀릴 일이 없다. 또한, 장신구(24)의 내부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도 흡착 상태로 된 뒤, 잠금 도구 (291)의 유지력에 의해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것 등으로는 풀릴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장착자가 신체로부터 장신구(24)를 풀 경우에는, 장신구(24)를 잠금 도구 (291)의 통과부(297)로부터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축 방향으로 빼는 것만으로 간단히 풀 수 있다. The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passed through the one-pass portion 297 of the S-shaped locking tool 291 is held from the surroundings in the locking tool 291 and held by the magnet 296. Therefore,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is not loosened laterally. In addition, even after the adsorption force by the internal magnet of the ornament 24 is brought into the adsorption state, departure from the peripheral direction is more reliably prevented by the holding force of the locking tool 291.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loss due to inadvertent dropout, etc., and there is no possibility of loosening by pulling it out from the outside of the wearer, so that theft can also be reliably preven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wearer loosens the ornament 24 from the body, the ornament 24 can be simply released by simply pulling one end of the ornament 24 from the passage 297 of the locking tool 291 in the axial direction. .

(잠금 도구의 제13예)도57은 제13예의 잠금 도구(30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잠금 도구(30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측면에서 볼 때 거의 「8」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잠금 도구(301)의 잠금 도구 본체(300)는 중앙부(301a)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 반원통형의 장신구 착탈용 통부(302)와 미리 장신구(24)의 일단측에 고정된 원통형의 고정 통부(303)로 구성되어 있다. (13th example of the locking tool) Fig. 5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ing tool 301 of the 13th example. The locking tool 301 is a metal or resin molded material, and is almost "8" shaped when viewed from the side. It is formed of. The locking tool main body 300 of the locking tool 301 is a semi-cylindrical ornament attachment / detachment cylinder 302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entral portion 301a, and a cylindrical fixing cylinder 303 previously fixed to one side of the ornament 24 ).

장신구 착탈용 통부(302)의 내부에는 한쪽 공간(통과부)(304)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쪽 공간(304)의 곡률 반경은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일단측 외캡(26)보다도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착탈용 통부(302)의 내부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61)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한편, 고정 통부(303)의 다른 쪽 공간(305)은 장신구 착탈용 통부(302)의 한쪽 공간(304)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고, 다른 쪽 공간(305)의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62)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고정 통부(303) 내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미리 삽통되어 고정되어 있다. 즉, 이 잠금 도구(301)에서는 고정 통부(303)의 다른 쪽 공간(305) 내에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삽통되어 고정되어 있고, 장신구 착탈용 통부(302)의 한쪽 공간(304)에는 장신구(24)의 외캡(26)이 삽입 및 뺄 수 있는 상태로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잠금 도구(291)의 통형의 상부에는 나사공(306)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공(306)에는 누름 나사(307)가 장착되어 있다. A space (passage part) 304 is formed inside the cylinder part 302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is one space 304 is larger than the one end side and one end outer cap 26 of the ornament 24 It has a diameter. Thereby, one end 61 of the ornament 24 can be inserted or removed freely inside the cylinder portion 302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On the other hand, the other space 305 of the fixed cylinder 303 has a smaller diameter than one space 304 of the cylinder 302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and the diameter of the other space 305 is one end of the ornament 24 The outer diameter of the side 62 is almost the same. In the fixed cylinder part 303,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and the outer cap 27 are previously inserted and fixed. That is, in this locking tool 301, one end of the ornament 24 and the outer cap 27 are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other space 305 of the fixing cylinder 303, and one side of the cylinder 302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In the space 304, the outer cap 26 of the ornament 24 can be inserted and inserted in a state where it can be inserted and removed. On the other hand, a screw hole 306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shape of the locking tool 291, and a pressing screw 307 is attached to the screw hole 306.

도58은 잠금 도구(301)의 내부 사시도이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302) 내에는 내부 링(30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내부 링(308)은 하방으로 배치한 압축 코일 스프링(309)에 의해 상방으로 부세되는 것과 동시에, 상방 배치의 누름 나사(307)에 의해 하방으로 밀어 내려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내부 링(308)은 압축 코일 스프링(309)의 탄성력에 의해 외향(도33의 위쪽)으로 부세되어, 장신구(24)의 일단측은 내부 링(308)에 의해 내측에서 바깥 방향으로 압압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일단측은 잠금 도구(81) 내에 고정된다. 58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locking tool 301. The inner ring 308 is formed in the cylinder 302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rnaments. The inner ring 308 is pushed upward by the compression coil spring 309 arranged downward, and is capable of being pushed downward and moved by the pressing screw 307 of the upward placement. That is, the inner ring 308 is biased outward (above Fig. 33)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309, so that one end of the ornament 24 is press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by the inner ring 308. . Thus, one end of the ornament 24 is secured in the locking tool 81.

고정을 풀 경우에는, 누름 나사(307)을 하방으로으로 누르는 조작을 하는 것으로, 장신구(24) 일단측으로의 당접력을 약화시키고, 장신구(24)의 일단측으로의 압접력을 해제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을 고정 도구(301)에 삽입하거나 이탈할 수 있다. When releasing the fixing,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pressing screw 307 downward may weaken the contact force to one end of the ornament 24 and release the pressing force to the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Thereby,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can be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fixing tool 301.

이러한 잠금 도구(301)에서는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로 된 뒤, 잠금 도구(5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것 등으로는 풀릴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장착자가 신체로부터 장신구(24)를 풀 경우에는, 누름 나사(307)를 느슨하게 해서 잠금 도구(300)의 내면에서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축 방향으로 빼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풀 수 있다. In such a locking tool 301, the ornament 24 is adsorbed by the suction force by the magnet inside, and then, by the holding force of the locking tool 51, departure to the peripheral direction is reliably prevented.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loss due to inadvertent drop-out, etc., and it cannot be solved by pulling it out from the outside of the wearer, so that theft and the like can be further reliably preven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wearer loosens the ornament 24 from the body, it can be easily released simply by loosening the pressing screw 307 and pulling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tool 300 in the axial direction. .

(잠금 도구의 제14예) 도59는 제14예의 잠금 도구(32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잠금 도구(32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측면에서 볼 때 거의 「8」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잠금 도구(321)의 잠금 도구 본체(320)는 중앙부(322)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 반원통형의 장신구 착탈용 통부(323)와 미리 장신구(24)의 일단측에 고정된 원통형의 고정 통부(324)로 구성되어 있다. (Fourteenth Example of Locking Tool) Fig. 5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tool 321 of the 14th example. The locking tool 321 is molded of a metal or resin, etc., and is almost "8" shaped when viewed from the side. It is formed of. The locking tool body 320 of the locking tool 321 has a semi-cylindrical ornament detachable cylinder 323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entral portion 322 and a cylindrical fixed cylinder 324 previously fixed to one end of the ornament 24 ).

장신구 착탈용 통부(323)의 내부에는 한쪽 공간(통과부)(325)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편의 공간(325)의 곡률 반경은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일단측 외캡(26)보다도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착탈용 통부(323)의 내부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한편, 고정 통부(324)의 다른 쪽 공간(326)은 장신구 착탈용 통부(323)의 한쪽 공간(325)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고, 다른 쪽 공간(326)의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One space (passage part) 325 is formed inside the cylinder part 32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pace 325 on the other hand is greater than that of the one end and one end outer cap 26 of the ornament 24. It has a large diameter. Thereby,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can be freely inserted or removed inside the cylinder portion 32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On the other hand, the other space 326 of the fixed cylinder 324 has a smaller diameter than one space 325 of the cylinder 32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and the diameter of the other space 326 is one end of the ornament 24 Almost matches the outer diameter of the side.

그리고 장신구 착탈용 통부(323)에는 나사공(327)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 구멍(327)에는 조임 나사(331)가 측방에서 비틀어 넣어져 있다. 즉, 조임 나사(331)는 큰 지름의 두부(332)와 그 중심에서 돌출하는 나사부(333)를 소유하고, 두부(332)를 사람의 손으로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비틀어 넣거나 뺄 수 있다. And the screw hole 327 is formed in the cylinder part 32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n ornament, and the tightening screw 331 is twisted from the side in the screw hole 327. That is, the fastening screw 331 has a large diameter head 332 and a screw portion 333 protruding from its center, and can be twisted or pulled out by rotating the head 332 with a human hand.

도60은 도59에 나타낸 잠금 도구(151)의 축직각 단면도이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323)의 지름과 고정 통부(324)의 지름은 서로 거의 동일하다. 이 잠금 도구(321)의 고정 통부(324)의 내주면 측에는 상술한 조임 나사(331)의 나사부(333)가 돌입되어 있다. 이 조임 나사(331)의 나사부(333)의 선단에는 광폭 누름판이 마련되어 있다. 이 누름판(4)은 장신구(24)를 눌러서 장신구 착탈용 통부(323)의 내면에 압접시킬 수 있는다. 60 is a cross-sectional view at right angle to the locking tool 151 shown in FIG. 59. The diameter of the cylinder part 32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n ornament and the diameter of the fixed cylinder part 324 are almost the same. The screw 333 of the above-described tightening screw 331 is protru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fixing cylinder 324 of the locking tool 321. A wide pressing plate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screw portion 333 of the tightening screw 331. The pressing plate 4 can be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32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by pressing the ornament 24.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장신구(24)를 잠금 도구(151)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하고, 조임 나사(331)를 회전 조작하는 것만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을 고정 도구(321)에 장착하거나, 푸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도구(321)를 사용하여 잠긴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로 된 뒤,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32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것 등으로는 빠질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ornament 24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tool 151 so as to be detachable, and only the rotation screw 331 is rotated to mount one end of the ornament 24 to the fixing tool 321 or , It can facilitate unpacking. In addition, the ornaments 24 locked using the locking tool 321 are absorbed by the suction force by the magnet inside, and then reliably separated in the peripheral direction by the holding force of the glasses-shaped locking tool 321 This is prevented.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loss due to inadvertent dropout, etc., and there is no possibility of falling out by pulling it out of the wearer, so that theft and the like can be further reliably prevented.

(잠금 도구의 제15예) 도67은 제15예의 잠금 도구(36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잠금 도구(361)에서는 상술한 장신구 착탈용 통부로 바꿔서 염주형 유체(371)가 적용되어 있다. (Fifteenth Example of Locking Tool) Fig. 6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tool 361 of the 15th example. In the locking tool 361, the bead-like fluid 371 is applied by changing to the above-mentioned ornament attachment / detachment cylinder.

잠금 도구 본체(360)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하는 판형 부재를 상술한 고정 통부로서 형성하고, 장신구(24)의 단부에 링 형으로 둘러 감아져 있다. 이 잠금 도구 본체(360)에는 잠금 링(364)을 설치할 수 있고, 이 잠금 링(364)에 염주형 유체(371)가 장착되어 있다. 염주형 유체(371)는 일단측에 있어서 가요성의 끈(373)에 일정 간격으로 옥(372)을 장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옥(372)은 예를 들면 탄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잠금 링(364)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을 소유하고, 일정 이상의 힘으로 잡아 당겼을 경우에 잠금 링(364)을 통과할 수 있고, 일체 이하의 힘으로는 잠금 링(364)으로부터 풀리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염주형 유체(371)의 일단에는 잠금 링(364)의 내경보다도 큰 지름의 단판(374)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측은 잠금 링(364)에 고착되어 있다. The locking tool body 360 is formed of a plate-shaped member made of a metal or resin or the like as the above-described fixing cylinder, and is wound around the end of the ornament 24 in a ring shape. A locking ring 364 may be installed on the locking tool body 360, and a beaded fluid 371 is mounted on the locking ring 364. The bead-like fluid 371 has a structure in which jade 372 is attached to the flexible string 373 at regular intervals at one end side. The jade 372 is made of, for example, an elastic material, possesses an outer diameter almost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lock ring 364, and passes through the lock ring 364 when pulled with a predetermined force or higher. It can be, and is configured so as not to be released from the locking ring 364 with a force equal to or less than one. In addition, an end plate 374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locking ring 364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ead-like fluid 371, and the other end side is fixed to the locking ring 364.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장신구(24)에 잠금 도구(361)를 장착할 경우에는, 염주형 유체(371)를 장신구(24)의 외경보다도 크게 개구하도록 만곡시켜, 잠금 링(364)과의 사이의 개구 부분에 장신구의 일단측을 통과시키고, 염주형 유체(371)로 외주측에서 누르도록 한다. 장신구(24)의 일단측을 뗄 경우에는, 염주형 유체를 장신구의 외경보다도 크게 개구하도록 만곡시켜, 장신구의 일단측을 끌어 내면 된다. In this structure, when the locking tool 361 is attached to the ornament 24, the bead-like fluid 371 is curved to open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ornament 24, and between the locking ring 364 Pass one end of the ornament through the opening, and press it with the beaded fluid 371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When th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is stretched, the bead-like fluid may be curved to open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ornament, and the end side of the ornament may be pulled out.

이러한 구조에서는, 염주형 유체(371)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을 고정시켜 도구 본체(360)에 장착하거나, 떼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도구(361)를 사용하여 잠긴 장신구 본체(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로 된 뒤,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36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것 등으로는 빠질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In such a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asily fix the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to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tool body 360 by simply operating the beaded fluid 371. In addition, the accessory body 24 locked using the locking tool 361 is adsorbed by the suction force by the internal magnet, and then reliably in the peripheral direction by the holding force of the glasses-shaped locking tool 361. Deviation is prevented.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loss due to inadvertent dropout, and there is no possibility of falling out by pulling it out of the wearer, so that theft and the like can be further reliably prevented.

(잠금 도구의 제16예) 도62 (a)는 제16예의 잠금 도구(381)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2(b)는 부품 설명도이다. 우선, 도62 (a)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잠금 도구(38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측면에서 볼 때 거의 「8」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잠금 도구(381)의 잠금 도구 본체(380)는 중앙부(383)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 원통형의 장신구 착탈용 통부(382)와 미리 장신구(24)의 일단측에 고정된 원통형의 고정 통부(384)로 구성되어 있다. (16th Example of Locking Tool) Fig. 62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ing tool 381 of the 16th example, and Fig. 62 (b) is a part explanatory diagram. First, as shown in Fig. 62 (a), the locking tool 381 is formed of a metal or resin or the like as a material, and is substantially "8" shaped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locking tool body 380 of the locking tool 381 has a cylindrical accessory 382 for attaching and detaching cylindrical orna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entral portion 383 and a cylindrical fixing cylinder 384 previously fixed to one end of the ornament 24. It consists of.

장신구 착탈용 통부(382)의 내부에는 한쪽 공간(통과부)(385)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편의 공간(385)의 곡률 반경은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일단측 외캡(26)보다도 대경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착탈용 통부(382)의 내부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한편, 고정 통부(384)의 다른 쪽 공간(356)은 장신구 착탈용 통부(382)의 한쪽 공간(385)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고, 다른 쪽 공간(386)의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고정 통부(384) 안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미리 삽통되어 있다. 한편, 장신구 착탈용 통부(382)의 내부에는 스프링 부재(390)가 마련되어 있다. One space (passage portion) 385 is formed inside the ornament-removable cylinder 382,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pace 385 on the other hand is greater than that of the one-side and one-side outer caps 26 of the ornament 24. It is made of large diameter. Thereby,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can be inserted or removed freely inside the cylinder part 382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On the other hand, the other space 356 of the fixed cylinder 384 has a smaller diameter than one space 385 of the cylinder 382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and the diameter of the other space 386 is one end of the ornament 24 Almost matches the outer diameter of the side. Inside the fixed cylinder 384, one end of the ornament 24 and the outer cap 27 are previously inserted. On the other hand, a spring member 390 is provided inside the cylinder 382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rnaments.

도62(b)은 스프링 부재(390)의 구성을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스프링 부재(390)는 평판(391)의 절발 가공 등에 의해 스프링판(393)을 형성하고 있고, 스프링판(393)을 노치공(392) 내에서 판 두께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Fig. 62 (b) shows an enlarged configuration of the spring member 390. The spring member 390 forms the spring plate 393 by cutting or the like of the flat plate 391, and allows the spring plate 393 to be bent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within the notch hole 392.

도63은 잠금 도구(381)의 축직각 단면도이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382)의 내주면에는 상술한 스프링 부재(131)가 수납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 부재(391)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장신구 착탈용 통부(382)의 내부에 삽입했을 경우에, 스프링판(393)의 탄성력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임의의 길이만큼 장신구 착탈용 통부(382)의 내부에 압압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장신구 착탈용 통부(382)에 장신구(24)의 타단측을 삽입시켰을 경우에, 스프링판(393)의 탄성력에 의해 장신구(24)의 타단측을 임의의 길이만큼 장신구 착탈용 통부(382)의 내부에 압압 유지할 수 있다. 63 is a cross-sectional view at right angle to the locking tool 381. The above-described spring member 131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essory 382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n ornament. When the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part 382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by the spring member 391, the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is arbitrary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plate 393 It is possible to keep the pressure inside the cylinder 382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rnaments by the length of the. Further, when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is inserted into the tubular portion 382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by an elastic force of the spring plate 393 by an arbitrary length, the cylinder portion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382 ) Can be kept under pressure.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아무런 특별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장신구(24)를 잠금 도구(381)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하는 것만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을 고정시켜 도구(381)에 장착하거나, 떼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도구(381)를 사용하여 잠근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로 된 뒤,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38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것 등으로는 빠질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no special operation is required, and the accessory 24 is fixed to one end of the ornament 24 by simply inserting it in the lock tool 381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tool 381 or , Can be easily removed. In addition, the ornaments 24 locked using the locking tool 381 are adsorbed by the suction force by the magnet inside, and then reliably deviated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holding force of the glasses-shaped locking tool 381. This is prevented.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loss due to inadvertent dropout, etc., and there is no possibility of falling out by pulling it out of the wearer, so that theft and the like can be further reliably prevented.

(잠금 도구의 제17예)도64는 제17예의 잠금 도구(40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잠금 도구(40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된 사각통형의 장신구 착탈용 통부(400)와 미리 장신구 본체(24)의 일단측(62)에 고정된 원통형의 고정 통부(407)로 구성되어 있다. (17th Example of Locking Tool) FIG. 6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ing tool 401 of the 17th example. Locking tool 401 is a cylindrical or cylindrical fixing cylinder 407 fixed to one end 62 of the ornament body 24 and the cylinder 400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molded from a metal or resin material. Consists of.

장신구 착탈용 통부(400)의 내부에는 한쪽 공간(통과부)(406)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쪽 공간(406)은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일단측 외캡(26)보다도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착탈용 통부(400)의 내부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한편, 고정 통부(407)의 다른 쪽의 공간(408)은 장신구 착탈용 통부(400)의 한쪽 공간(406)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고, 다른 쪽 공간(408)의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고정 통부(407) 내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미리 삽통되어 고정되어 있다. 즉, 이 잠금 도구(401)에서는 고정 통부(407)의 다른 쪽 공간(408) 내에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삽통되어 고정되어 있고, 장신구 착탈용 통부(400)의 한쪽 공간(406)에는 장신구(24)의 외캡(26)이 삽입 및 뺄 수 있는 상태로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One space (passage part) 406 is formed inside the ornament attachment / detachment cylinder 400, and this one space 406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one end side and one end outer cap 26 of the ornament 24 have. Thereby,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can be inserted or removed freely inside the cylinder 400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On the other hand, the space 408 on the other side of the fixed cylinder 407 has a smaller diameter than one space 406 of the cylinder 400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and the diameter of the other space 408 is on the ornament 24. It almost coincides with the outer diameter of one side. Inside the fixed cylinder 407,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and the outer cap 27 are previously inserted and fixed. That is, in this locking tool 401, one end of the ornament 24 and the outer cap 27 are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other space 408 of the fixing cylinder 407, and one side of the cylinder 400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The outer cap 26 of the ornament 24 is inserted into the space 406 so that it can be inserted and removed.

한편, 장신구 착탈용 통부(400)는 위편(402), 측편(좌측편)(403), 하편(404) 및 측편(우측편)(405)을 소유하고 있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400)의 내부는 공간(통과부)(406)으로 되어 있으며, 이 공간(통과부)(406)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장신구 착탈용 통부(400)의 서로 대향하는 측편(좌측편)(403)과 측편(우측편)(405)에는 소정 각도 기울어진 경사 구멍(409, 410)이 열려 있다. 그리고 경사 구멍(409)과 경사 구멍(410)에는 1개의 잠금 핀(411)이 삽통되어 있다. 이 잠금 핀(411)은 경사 구멍(409)과 경사 구멍(410)에 삽통되는 길이의 축부(413)를 가지고, 이 축부(413)의 각 선단은 각각 측편(좌측편)(403)과 측편(우측편)(405)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축부(413)의 각 단의 돌출 부분에 큰 지름의 두부(412)와 두부(4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 구멍(409)과 경사 구멍(410)은 대상 형상의 긴 구멍이며, 이 구멍의 높이, 길이 및 경사각은 모두 동일하게 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402, side piece (left side) 403, bottom piece 404, and side piece (right side) 405 are attached to the cylinder 400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rnaments. The interior of the cylinder 400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rnaments is a space (passing portion) 406, and the space (passing portion) 406 is inserted into and detachable from one end of the ornament 24. In addition, inclined holes 409 and 410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re opened in the side pieces (left side) 403 and side pieces (right side) 405 facing each other of the cylinder 400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rnaments. In addition, one locking pin 411 is inserted into the inclined hole 409 and the inclined hole 410. The locking pin 411 has an inclined hole 409 and a shaft portion 413 having a length that is inserted into the inclined hole 410, and each tip of the shaft portion 413 has a side piece (left side) 403 and a side piece, respectively. (Right side) It protrudes to the outside of 405. A large diameter head portion 412 and a head portion 414 are integrally formed at the protruding portion of each end of the shaft portion 413. The inclined hole 409 and the inclined hole 410 are elongated holes of a target shape, and the height, length, and inclination angle of these holes are all the same.

도65는 도64의 잠금 도구(401)의 축직각 단면도이다. 경사 구멍(409)과 경사 구멍(4108)의 낮은 쪽의 단부의 높이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정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사 구멍(409)과 경사 구멍(410)의 높은 쪽의 단부의 높이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정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 시에는 도65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장신구(24)의 일단측을 경사 구멍(409)과 경사 구멍(410)의 낮은 쪽에서부터 높은 쪽(도65의 왼쪽)을 향해 삽입하면 두부(412)가 밀어 올려져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다. 한편, 반대로 장신구(24)의 일단측을 경사 구멍(409)과 경사 구멍(410)의 높은 쪽에서부터 낮은 쪽(도65의 오른쪽)을 향해서 잡아 당기면, 두부(412)가 마찰력으로 낮은 쪽으로 연동되기 때문에, 두부(412)가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아래쪽으로 압압되게 되어, 장신구(24)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5 is a cross-sectional view at right angle to the locking tool 401 of FIG. 64.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hole 409 and the inclined hole 4108 is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top of the one end of the ornament 24.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inclined hole 409 and the higher end of the inclined hole 410 is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top of the one end of the ornament 24. Therefore, in use, the head 412 is pushed when the one end of the ornament 24 is inser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inclined hole 409 and the inclined hole 410 toward the higher side (left side in FIG. 65) as indicated in FIG. It can be raised and inserted smoothly. On the other hand, if the opposite side of the ornament 24 is pulled from the higher side of the inclined hole 409 and the inclined hole 410 toward the lower side (right side in FIG. 65), the head 412 is linked to the lower side by frictional force. Therefore, the head 412 is pressed down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rnament 24 from falling out.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장신구(24)를 잠금 도구(401)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하는 것만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을 고정 도구(401)에 장착하거나, 떼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잠금 도구(401)를 사용하여 잠근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로 된 뒤, 잠금 도구(40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에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것 등으로는 빠질 일이 없기 때문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asily attach or detach one end of the ornament 24 to the fixing tool 401 by simply inserting the ornament 24 into the locking tool 401 to be detachable. The ornament 24 locked using the locking tool 401 is in an adsorbed state with an absorbing force by an internal magnet, and then, by the holding force of the locking tool 401, departure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reliably prevented.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loss due to inadvertent drop-out, etc., and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ft and the like because it is not likely to fall out by pulling it out of the wearer.

(잠금 도구의 제18예) 도66은 제18예의 잠금 도구(42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잠금 도구(42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이다. 이 잠금 도구(421)의 잠금 도구 본체(420)는 측면에서 볼 때 거의 활형으로 형성된 장신구 본체 착탈용 통부(423)와 원통형으로 형성된 고정 통부(424)가 몸체(4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18th example of locking tool) FIG. 6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ing tool 421 of the 18th example. The locking tool 421 is a metal or resin molded material. The locking tool body 420 of the locking tool 421 has a cylindrical body 422 having a cylindrical body 422 and a cylindrical body 42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n ornament body formed in a substantially bow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장신구 착탈용 통부(423)의 요면측에는 한쪽 공간(통과부)(426)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쪽 공간(426)의 만곡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일단측 외캡(26)보다도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착탈용 통부(423)의 내부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한편, 고정 통부(424)의 공간(425)은 장신구 착탈용 통부(423)의 공간(426)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고, 이 공간(425)의 지름은 장신구 본체(24)의 일단측(62)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고정 통부(424) 내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미리 삽통되어 고정되어 있다. 즉, 이 잠금 도구(421)에서는 고정 통부(424)의 공간(425) 내에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삽통되어 고정되어 있고, 장신구 착탈용 통부(423)의 공간(426)에는 장신구(24)의 외캡(26)이 삽입 및 뺄 수 있는 상태로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장신구 착탈용 통부(423)의 선단부(427)에는 자석(427a)이 장착되어 있다. One space (passing part) 426 is formed on the concave side of the cylinder portion 42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and the curved diameter of the one space 426 is larger than the one end side and the one end outer cap 26 of the ornament 24 It has a diameter. Thereby,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can be inserted or removed freely inside the cylinder portion 42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On the other hand, the space 425 of the fixed cylinder portion 424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pace 426 of the cylinder portion 42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and the diameter of the space 425 is one side 62 of the ornament body 24 ). Inside the fixed cylinder part 424,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and the outer cap 27 are previously inserted and fixed. That is, in this locking tool 421, one end of the ornament 24 and the outer cap 27 are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space 425 of the fixed cylinder 424, and the space 426 of the cylinder 42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 The outer cap 26 of the ornament 24 can be inserted and inserted into a removable state. Further, a magnet 427a is attached to the tip portion 427 of the cylinder portion 42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rnaments.

장신구 착탈용 통부(423) 위쪽 절반은 악어의 입 클립 형상을 이루고, 끼움편으로서의 닫힙판(431)을 힌지 축(434)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한 구조로 되어 있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423)는 일정 폭의 만곡편으로 구성되어 있고,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주면의 약 절반을 외측에서 눌러서 고정하기 위한 반원호판형으로 되어 있다. 한편, 닫힘판(431)은 장신구(24)의 타단측의 약 절반을 외측에서 눌러서 잠그기 위한 평판형의 닫힘판 본체(435)로 구성되어 있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423)의 외측 단부에는 대향하는 힌지 귀(428, 429)가 설치되어 있고, 힌지 축(428)이 지지되어 있다. 한편, 닫힘판(431)의 힌지 단(434)은 힌지 축(430)에 지지되어 있고, 이것과 반대측의 회전 단부에는 자석(427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신구 착탈용 통부(423)의 선단부(427)에도 자석(427a)이 형성되어 있다. The upper half of the cylinder 42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rnaments has a structure in which a crocodile mouth clip shape is formed, and the closing hip plate 431 as a fitting piece is connect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hinge shaft 434. The cylinder 42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rnaments is composed of a curved piece of a certain width, and is formed in a semicircular arc plate shape for fixing by pressing about half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ornament 24 from the outside. On the other hand, the closing plate 431 is composed of a plate-shaped closing plate body 435 for locking by pressing about half of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from the outside. Opposite hinge ears 428 and 429 are provided at the outer end of the jewelry attaching and detaching cylinder 423, and the hinge shaft 428 is supported. On the other hand, the hinge end 434 of the closing plate 431 is supported by the hinge shaft 430, and a magnet 427b is formed at a rotation end opposite to this. In addition, a magnet 427a is formed in the tip portion 427 of the cylindrical portion 42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rnaments.

도67은 장신구(24)를 잠금 도구(421)에 의해 잠글 경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장신구(24)를 잠금 도구(421)에 통과시키고, 닫힘판 본체(435)를 힌지 축(430)을 지점으로서 회전하고, 자석(427a)과 자석(427b)을 흡착시킨다. 67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use state when the ornament 24 is locked by the locking tool 421. As shown in FIG. The ornament 24 is passed through the locking tool 421, the closing plate body 435 is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430 as a point, and the magnet 427a and the magnet 427b are adsorbed.

이러한 구조에서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고정 도구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다. 게다가, 잠금 도구(421)를 사용하여 잠근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로 된 뒤, 잠금 도구(42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것 등으로는 빠질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structure, the one end side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ornament 24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xing tool. In addition, after the ornament 24 locked by the locking tool 421 is adsorbed by the suction force by the magnet inside, the holding force of the locking tool 421 is surely prevented from departing in the peripheral direction. .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loss due to inadvertent dropout, etc., and there is no possibility of falling out by pulling it out of the wearer, so that theft and the like can be further reliably prevented.

(잠금 도구의 제19예) 도68은 제19예의 잠금 도구(44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잠금 도구(44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측면에서 볼 때 거의 안경형(「8」자형)으로 형성된 잠금 도구 본체(440)를 소유하고 있다. 이 잠금 도구 본체(440)는 몸체(442)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와 미리 장신구(24)의 일단측에 고정된 원통형의 고정 통부(444)에 의해, 일체 구성의 안경형 틀체를 형성하고 있다. (The 19th example of the locking tool) Fig. 6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ing tool 441 of the 19th example. The locking tool 441 is molded of metal or resin, etc., and is almost spectacle when viewed from the side. 8 ”shaped). The locking tool body 440 is formed by an integrally formed spectacle frame by a cylinder 44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rna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body 442 and a cylindrical fixing cylinder 444 previously fixed to one end of the ornament 24. Is forming.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내부에는 한쪽 공간(통과부)(445)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쪽 공간(445)의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일단측 외캡(26)보다도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내부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한편, 고정 통부(444)의 다른 쪽 공간(446)은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한쪽 공간(445)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고, 다른 쪽 공간(446)의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고정 통부(444) 내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미리 삽통되어 고정되어 있다. 즉, 이 잠금 도구(441)에서는 고정 통부(444)의 다른 쪽 공간(446) 내에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삽통되어 고정되어 있고,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한쪽 공간(445)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 외캡(26)이 삽입 및 뺄 수 있는 상태로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내부에는 주변 방향에 등간격으로 3개의 볼, 즉 볼(451), 볼(452) 및 볼(453)이 수납되어 있다. One space (passing part) 445 is formed inside the ornament-mountable cylinder 443, and the diameter of the one space 445 is larger than the one-side and one-side outer caps 26 of the ornament 24. It is made. Thereby,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can be inserted or removed freely inside the cylinder 44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On the other hand, the other space 446 of the fixed cylinder 444 has a smaller diameter than one space 445 of the cylinder 443 for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ornament, and the diameter of the other space 446 is one end of the ornament 24 Almost matches the outer diameter of the side. Inside the fixed cylinder 444,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and the outer cap 27 are previously inserted and fixed. That is, in this locking tool 441, the one end side and the outer cap 27 of the ornament 24 are inserted and fixed in the other space 446 of the fixing cylinder 444, and one side of the cylinder 44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The space 445 allows the outer cap 26 of one end of the ornament 24 to be inserted and inserted in a state where it can be inserted and removed. Three balls, ie, a ball 451, a ball 452, and a ball 453 are stor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side the ornament attachment / detachment cylinder 443.

도69는 도68에 나타낸 잠금 도구(441)의 축직각 단면도이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지름은 고정 통부(444)의 지름보다도 크다. 이 잠금 도구(441)의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 내주면에는 주변 방향에 등간격으로 볼(451, 452, 453)이 배치되어 있다. 볼(451)은 구멍(448) 내에 수용되어 있고,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461)에 의해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내주측에 탄성을 통해서 압압되어 있다. 한편,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 내에 있어서의 구멍(448)의 내측 단부의 지름은 볼(451)의 지름보다도 작게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볼(451)은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안쪽 방향으로 탈락할 일은 없다. 구멍(448)의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 외주측은 폐쇄되어 있고, 이 폐쇄 공간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461)이 수납되어 볼(451)을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안쪽 방향으로 상시 압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69 is an axially perpendicular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cking tool 441 shown in FIG. 68; The diameter of the cylinder part 44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n ornament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ed cylinder part 444. Balls 451, 452, and 453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peripher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44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rnaments of the locking tool 441. The ball 451 is accommodated in the hole 448, and is pressed by elasticity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ylinder 44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rnaments by a spring (compressed coil spring) 461. On the other hand, the diameter of the inner end of the hole 448 in the tubular portion 44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451, whereby the ball 451 is inside the tubular portion 44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There is no way out.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hole 448 for attaching / detaching the ornament is closed, and a spring (compressed coil spring) 461 is stored in this closed space to move the ball 451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ornament attaching / detaching tubing 443. It is designed to be able to always press down.

마찬가지로, 볼(452)은 구멍(448) 내에 수용되어 있고,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462)에 의해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내주측에 탄성을 통해서 압압되어 있다. 한편, 구멍(447)의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 내에 있어서의 단부의 지름도 볼(452)의 지름보다 작아져 있고, 이것에 의해 볼(452)은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안쪽 방향으로 탈락할 일은 없다. 구멍(447)의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 외주측은 폐쇄되어 있고, 이 폐쇄 공간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462)이 수납되어 볼(452)을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안쪽 방향으로 상시 압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Similarly, the ball 452 is accommodated in the hole 448, and is pressed by elasticity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ylinder 44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rnaments by a spring (compression coil spring) 462. On the other hand, the diameter of the end of the hole 447 in the tubular portion 44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is also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452, whereby the ball 452 is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tubular portion 44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There is nothing to be eliminated.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hole 447 for attaching / detaching the ornament is closed, and a spring (compressed coil spring) 462 is stored in this closed space to move the ball 452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ornament attaching / detaching tubing 443. It is designed to be able to always press down.

또한 마찬가지로, 볼(453)은 구멍(448) 내에 수용되어 있고,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463)에 의해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내주측에 탄성을 통해서 압압되어 있다. 한편, 구멍(449)의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 내에 있어서의 단부의 지름도 볼(453)의 지름보다 작게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볼(453)은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안쪽 방향으로 탈락할 일은 없다. 구멍(449)의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 외주측은 폐쇄되어 있고, 이 폐쇄 공간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463)이 수납되어 볼(453)을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안쪽 방향으로 상시 압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볼(451, 452, 453)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내부에 삽입시켰을 경우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461, 462, 463)의 탄성력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임의의 길이만큼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내부에 삽통하는것이가능하다.In addition, similarly, the ball 453 is accommodated in the hole 448, and is pressed by elasticity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ylinder 44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rnaments by a spring (compression coil spring) 463. On the other hand, the diameter of the end of the hole 449 in the tubular portion 44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is also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453, whereby the ball 453 is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tubular portion 44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rnaments. There is nothing to be eliminated.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hole 449 for attaching / detaching the ornament is closed, and a spring (compressed coil spring) 463 is stored in this closed space to move the ball 453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ornament attaching / detaching tubing 443. It is designed to be able to always press down.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compression coil spring) 461, 462, 463 when one end of the ornament 24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44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by these balls 451, 452, and 453 By this, it is possible to insert one end of the ornament 24 in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44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rnament by an arbitrary length.

한편,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에 몸체(442)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고정 통부(444)는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보다도 작은 지름이며,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경(65)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 통부(444)의 다른 쪽 공간(통과부)(446) 내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이 미리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xed cylinder portion 444 connected to the cylinder portion 44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rnaments is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cylinder portion 44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rnaments, and the outer diameter 65 of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Almost the same. Then, one end side of the ornament 24 is previously inserted and fixed in the other space (passing portion) 446 of the fixed cylinder portion 444.

이러한 구조에서는, 미리 장신구(24)의 일단측을 고정 통부(444) 내에 삽통 고정해 두고, 장신구 사용 시에는, 목 등에 둘러 감은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임의의 길이만큼 삽통하는 것에 의해, 장신구로서 소정 지름의 링으로 조정하고,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such a structure, one end of the ornament 24 is previously inserted and fixed in the fixed cylinder 444, and when using the ornament, by inserting one end of the ornament 24 around the neck or the like by an arbitrary length, As an ornament, it is possible to adjust and mount with a ring of a predetermined diameter.

11 : 장신구 본체 12 : 튜브 13,14,15,63,74 : 자석
16,17 : 캡 24 : 장신구 25 : 외피 26,27 : 외캡 65 : 스페이서
11: ornament body 12: tube 13,14,15,63,74: magnet
16, 17: cap 24: ornament 25: outer cover 26,27: outer cap 65: spacer

Claims (6)

유연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튜브와, 상기 튜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 원주형상의 복수의 자석과, 상기 튜브의 양단부를 폐쇄하는 캡과, 상기 튜브가 삽입되는 유연성이 있는 외피와, 상기 외피의 양단부를 폐쇄하는 외캡을 구비하고, 상기 자석에 더해서 비자성 재료 또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주 형상의 복수의 스페이서가 상기 튜브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자석은 적어도 상기 튜브의 양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의 자극이 상기 원주형상의 지름방향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석의 흡자력에 의해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서로 흡착되는 것에 의해 전체가 링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A tu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 plurality of cylindrical magnets rotatably inserted inside the tube, a cap that closes both ends of the tube, a flexible sheath into which the tube is inserted, and of the sheath An outer cap for closing both ends is provided, and in addition to the magnet, a plurality of columnar spacers made of a non-magnetic material or a magnetic material are inserted into the tube, and the plurality of magnets are disposed at least at both ends of the tube, An ornament characterized in that magnetic poles of the magnet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shape in the radial direction, and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adsorbed to each other by the suction force of the magne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에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평행으로 갖추는 잠금구를 더욱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According to claim 1,
The orna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ocking mechanism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parallel in the ornament.
삭제delete
KR1020187020770A 2016-05-02 2016-07-07 accessories KR10210327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16-002020 2016-05-02
JP2016002020U JP3205260U (en) 2016-05-02 2016-05-02 Jewelry
PCT/JP2016/070108 WO2017191692A1 (en) 2016-05-02 2016-07-07 Personal orna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908A KR20180095908A (en) 2018-08-28
KR102103274B1 true KR102103274B1 (en) 2020-04-22

Family

ID=56375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770A KR102103274B1 (en) 2016-05-02 2016-07-07 accessories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3205260U (en)
KR (1) KR102103274B1 (en)
CN (1) CN210120936U (en)
HK (1) HK1231674A2 (en)
TW (1) TWM549545U (en)
WO (1) WO201719169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61547A (en) * 2016-10-11 2018-04-19 株式会社大木工藝 Pearl accessory
JP6534696B2 (en) * 2017-04-14 2019-06-26 有限会社ダンテス Magnetic jewelry
KR101955518B1 (en) * 2019-01-21 2019-03-07 전해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esh type ornaments using noble metal fine lin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esh type ornaments
JP7365978B2 (en) 2020-07-30 2023-10-20 ピップ株式会社 magnetic therapy device
JP7289468B1 (en) 2022-02-15 2023-06-12 株式会社ドリームファクトリー Neck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2748B2 (en) * 1991-08-16 2001-05-08 株式会社リコー Key telephone equipment
KR200424740Y1 (en) * 2006-06-05 2006-08-25 이묘화 Rosary Using Memory Wire
JP4851785B2 (en) * 2005-11-30 2012-01-11 株式会社トリプル・エー Jewelr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5211B1 (en) 1995-09-29 1998-12-15 김광호 Apparatus for drawing optical fiber
JP2002119313A (en) 2000-10-18 2002-04-23 Towarie:Kk Accessory such as necklace, etc.
JP3662493B2 (en) * 2000-12-27 2005-06-22 株式会社ペルラ太田 Jewel end locking structure
JP2011078524A (en) * 2009-10-06 2011-04-21 Ikuko Uragami Body worn implement
JP3162748U (en) * 2010-07-02 2010-09-16 マグメディカ株式会社 Magnetic r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2748B2 (en) * 1991-08-16 2001-05-08 株式会社リコー Key telephone equipment
JP4851785B2 (en) * 2005-11-30 2012-01-11 株式会社トリプル・エー Jewelry
KR200424740Y1 (en) * 2006-06-05 2006-08-25 이묘화 Rosary Using Memory W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908A (en) 2018-08-28
HK1231674A2 (en) 2017-12-22
WO2017191692A1 (en) 2017-11-09
CN210120936U (en) 2020-03-03
JP3205260U (en) 2016-07-14
TWM549545U (en) 2017-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274B1 (en) accessories
US7690220B2 (en) Personal ornament
EP1980170B1 (en) Personal ornament
US7503101B2 (en) Loop/lariat spectacle holder
US20130305782A1 (en) Jewelry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MX2010012200A (en) Eyewear retention device.
US8590341B2 (en) Multifunctional jewelry
US20100257898A1 (en) Magnetic Jewelry Clasp and Interchangeable Pendant System
US9289035B2 (en) Self-adjustable jewelry clasp
JP4851785B2 (en) Jewelry
US20160066661A1 (en) Magnetic jewelry connectors for forming a jewelry piece
CN106174925A (en) It is prone to the ornaments coupling apparatus linked
JP4851780B2 (en) Jewelry
US20230421944A1 (en) Ear-fitting headphone attachment apparatu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KR102069703B1 (en) Glasses frame assembly with improved fit
US20020092323A1 (en) Decorative bead for bracelets, necklaces and the like
US9439481B1 (en) Jewelry and method of wearing
US6108878A (en) Wire connection system
CN101292798B (en) Personal ornament
KR200359259Y1 (en) Tether of glasses
US9010146B1 (en) Wearable decorative articles
JP3105237U (en) Health accessories set
CN209436422U (en) Composite structure of decoration
JP2018175469A (en) Magnetic accessory
TW200841837A (en) Personal orna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