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140B1 - 피부 외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외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140B1
KR102103140B1 KR1020190122962A KR20190122962A KR102103140B1 KR 102103140 B1 KR102103140 B1 KR 102103140B1 KR 1020190122962 A KR1020190122962 A KR 1020190122962A KR 20190122962 A KR20190122962 A KR 20190122962A KR 102103140 B1 KR102103140 B1 KR 102103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olive oil
ester
external preparation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정
김진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닥터제이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닥터제이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닥터제이코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 박피를 위한 유효 성분으로서 올리브 오일 피이지 에스터 및 올리브 오일 글리세레스 에스터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올리브 오일 에스터; 및 코코넛 지방산 알칼리금속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피부 부작용 없이 각질 용해가 가능하여 화학 박피 시술 후의 홍반, 색소 침착, 흉터 등의 부작용 없이 잔주름 개선 및 피부에 탄력성을 회복시키면서 기미, 잡티 등의 색소 침착 및 거무칙칙함을 없애 주어 피부가 맑고 투명해질 수 있도록 도와주며, 여드름 흉터 등의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외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 외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화학 박피용 피부 외용제에 유효 성분으로 함유되는 글리콜산(glycolic acid), 젖산(lactic acid), 사과산(mal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과 같은 α-하이드록시산 (AHA: α-hydroxy acid)은 pH가 2 내지 3의 범위여야 생리 활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범위의 pH는 피부에 매우 강한 자극 즉, 타는 듯한 느낌, 붉어짐, 건조 등의 피부 부작용을 수반한다. 이와 같은 부작용을 해소하는 방안으로서 이들 산을 아르기닌으로 중화하여 자극을 최소화한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51069), 글루콘산과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함유시켜 자극 등의 부작용을 줄이고, 각질 제거 능력을 갖도록 한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22675)이 제공되었다.
한편, 살리실산과 같은 β-하이드록시산 (BHA: β-hydroxy Acid)은 에탄올, 에테르 등의 유기 용매에는 용해되지만 물에는 용해되지 않고 결정 상태로 침전되기 때문에 극소량으로 함유시켜야 하고, 피부 자극이 있으며, AHA에 비해 피부 보습, 세포 재생, 주름 개선 등의 효과가 낮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63621는 이러한 문제를 보완한 화장수 조성물을 제공하였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00735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살리실산으로 이루어진 화학 박피제가 피지 중에 고농도로 침투하지 않고 각층 내에 머물기 때문에 전신적인 부작용을 일으킬 위험성이 없고, 각질만을 강력하게 박리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 외에 의학적 치료로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페놀 등의 다양한 농도의 수용액을 적당한 시간 동안 피부에 도포하여 화학적인 화상 (부식)을 만들고, 그 후에 세포를 재생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시술 후의 홍반, 색소 침착, 흉터 등의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있어 사용에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피부의 주름, 기미, 잡티 등의 색소 침착 및 거무칙칙함을 제거함과 동시에 여드름 흉터의 치료, 지성 피부의 개선 등과 같은 피부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피부 외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화학 박피를 위한 유효 성분으로서 포화 지방산인 라우르산 (lauric acid)이 풍부한 코코넛 오일로부터 얻어지는 코코넛 지방산 알칼리금속염; 및 불포화 지방산인 올레산 (oleic acid)이 풍부한 올리브 오일로부터 얻어지는 올리브 오일 피이지(PEG) 에스터, 올리브 오일 글리세레스(Glycereth) 에스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올리브 오일 에스터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는 피부 부작용 없이 각질을 용해시킬 수 있어 시술 후의 홍반, 색소 침착, 흉터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잔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성을 회복시키고, 기미, 잡티 등의 거무칙칙함을 없애주어 피부가 맑고 투명해질 수 있도록 도와주며, 여드름 흉터 등의 개선에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은 다음과 같다.
1. 올리브 오일 피이지 에스터, 올리브 오일 글리세레스 에스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올리브 오일 에스터; 및 코코넛 지방산 알칼리금속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2. 올리브 오일 PEG-7 에스터, 올리브 오일 PEG-8 에스터, 올리브 오일 글리세레스-8 에스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올리브 오일 에스터를 함유하는 것인 상기 1의 피부 외용제.
3. 코코넛 지방산의 포타슘염, 소듐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코코넛 지방산 알칼리금속염을 함유하는 것인 상기 1의 피부 외용제.
4. 올리브 오일 에스터를 전체 중량에 대해 10 내지 3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인 상기 1의 피부 외용제.
5. 코코넛 지방산의 알칼리금속염을 전체 중량에 대해 2 내지 1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인 상기 1의 피부 외용제.
6. 올리브 오일 에스터와 코코넛 지방산 알칼리금속염 사이의 혼합 비율이 중량비로 3:1 내지 5:1인 상기 1의 피부 외용제.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피부 외용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에 따라 올리브 오일 피이지 에스터, 올리브 오일 글리세레스 에스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올리브 오일 에스터; 및 코코넛 지방산 알칼리금속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피부 부작용 없이 각질 용해가 가능하여 기존 화학 박피용 피부 외용제의 단점인 시술 후의 홍반, 색소 침착, 흉터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도 기미, 잡티 등의 색소 침착을 없애주어 피부가 맑고 투명해질 수 있도록 도와주며, 여드름 흉터 개선 등으로 피부 질환 개선용으로 적용 가능하여 색소 침착과 주름이 많은 노화된 피부를 보다 젊고 건강하게 회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피부 외용제의 각질 용해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좌: 시험 전, 우: 시험 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피부 외용제의 각질 용해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좌: 시험 전, 우: 시험 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피부 외용제의 각질 용해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좌: 시험 전, 우: 시험 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피부 외용제의 각질 용해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좌: 시험 전, 우: 시험 후).
도 5는 비교예 1의 피부 외용제의 각질 용해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좌: 시험 전, 우: 시험 후).
도 6은 비교예 2의 피부 외용제의 각질 용해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좌: 시험 전, 우: 시험 후).
도 7은 비교예 3의 피부 외용제의 각질 용해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좌: 시험 전, 우: 시험 후).
도 8은 비교예 4의 피부 외용제의 각질 용해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좌: 시험 전, 우: 시험 후).
도 9는 비교예 5의 피부 외용제의 각질 용해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좌: 시험 전, 우: 시험 후).
도 10은 비교예 6의 피부 외용제의 각질 용해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좌: 시험 전, 우: 시험 후).
도 11은 비교예 7의 피부 외용제의 각질 용해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좌: 시험 전, 우: 시험 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2, 4, 비교예 3 내지 5 및 7의 피부 외용제의 멜라닌 용해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7의 피부 외용제로 각각 도트 필링 시술한 직후의 다운 타임을 비교한 사진이다 (좌: 실시예 1, 우: 비교예 7)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피부 외용제를 사용하여 도트 필링 시술을 한 경우의 색소 침착 및 흉터 개선 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피부의 주름, 기미, 잡티 등의 색소 침착 및 거무칙칙함을 제거함과 동시에 여드름의 치료 및 지성 피부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으로서, 화학 박피를 위한 유효 성분으로서 올리브 오일 피이지 에스터, 올리브 오일 글리세레스 에스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올리브 오일 에스터; 및 코코넛 지방산 알칼리금속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피부 외용제에 화학 박피를 위한 유효 성분으로서 올리브 오일 에스터 및 코코넛 지방산의 알칼리금속염을 포함시킴으로써, 기존 화학 박피제의 가장 큰 단점인 시술 후의 홍반, 색소 침착, 흉터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올리브 오일 피이지(PEG) 에스터는 모노 불포화 지방산인 올레산이 풍부한 올리브 오일을 PEG화(pegilation)한 것이고, 올리브 오일 글리세레스 에스터는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트랜스에스테르화(transestrification)한 것이다. 화학 박피를 위한 유효 성분으로서 올리브 오일 에스터가 함유됨으로써 수분산성이 부여되어 물에 대한 용해도가 향상되고, 유연감(refatting)을 부여하면서 각질 용해성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한다. 올리브 오일의 피이지 에스터와 글리세레스 에스터는 동등한 정도의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올리브 오일 에스터 성분으로서 이들 각각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올리브 오일 에스터의 예로는 올리브 오일 피이지-8 에스터, 올리브 오일 글리세레스-8 에스터 (예컨대, RES PHARMA사에서 구입 가능한 "Resplanta® OLEA"), 올리브 오일 피이지-7 에스터 (예컨대, HALLSTAR사에서 구입 가능한 "Olivem® 300")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올리브 오일의 피이지 에스터 및 글리세레스 에스터 중 어떤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코넛 지방산의 알칼리금속염은 짧은 탄소 사슬의 포화 지방산인 라우르산이 풍부한 코코넛 오일로부터 얻어지는 코코넛 지방산의 알칼리금속염이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에서 코코넛 지방산의 알칼리금속염은 수분산성을 부여하여 물에 대한 용해도를 향상시키고, 기포 발생(foaming) 효과를 부여하면서 각질 용해성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코코넛 지방산 알칼리금속염은 코코넛 지방산의 포타슘염, 소듐염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시판 코코넛 지방산 알칼리금속염의 예로는 포타슘 코코에이트 (예컨대, Lubrizol사에서 구입 가능한 "Potassium Cocoate Soap"), 소듐 코코에이트(예컨대, TGSC사에서 구입 가능한 Sodium cocoate)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코넛 지방산의 알칼리금속염인 한 어떤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올리브 오일 에스터는 피부 외용제의 총 중량에 대해 10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코코넛 지방산의 알칼리금속염은 피부 외용제의 총 중량에 대해 2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피부 외용제 중의 올리브 오일 에스터와 코코넛 지방산의 알칼리금속염 사이의 혼합 비율은 중량비로 3:1 내지 5: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색소 침착 및 흉터 치료 목적의 화학 박피용 제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홈 케어용으로서 각질 정돈 및 박피(peeling) 효과를 위한 토너, 화장수, 크림, 클렌저, 팩 등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사용 목적에 따라 상이한 pH 범위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과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피부 외용제의 경우 강력한 박피 효과가 요구되므로 pH 9 이상의 알칼리 베이스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홈 케어용 화장품과 같이 피부 각질 정돈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pH를 4 내지 9 미만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피부 외용제의 사용 목적에 따른 pH 범위를 맞추는 데에 적당한 양의 중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화제의 예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L-아르기닌, 트리에틸아민(TEA)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화학 박피를 위한 유효 성분 이외에, 본 발명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제, 부형제 등의 추가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을 이들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의 피부 외용제의 제조
상온에서 균일 혼합된 A상에, 올리브 오일 에스터 및 코코넛 지방산 알칼리금속염을 함유하는 B상 (화학 박피를 위한 유효 성분)을 혼합하고, 에탄올 (용제), 폴리머 (첨가제) 및 pH 조절을 위한 중화제 (염기)를 함유하는 C상을 투입하여 완전 교반한 후, 탈포 및 여과하여 피부 외용제를 얻었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의 피부 외용제의 구성 성분 및 각 성분의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구성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A상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EDTA-2Na 0.10 0.10 0.10 0.10 0.10 0.10
1,3-부틸렌글라이콜 5.00 5.00 5.00 5.00 5.00 5.00
글리세린 5.00 5.00 5.00 5.00 5.00 5.00
헥산디올 2.00 2.00 2.00 2.00 2.00 2.00
B상 올리브 오일 피이지-8 또는 글리세레스-8 에스터 30.00 - 10.00 30.00 50.00 -
올리브 오일
피이지-7 에스터
- 20.00 - - - -
포타슘 코코에이트 10.00 - - 10.00 - 50.00
소듐 코코에이트 - 5.00 2.00 - - -
C상 에탄올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카보머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KOH (pH≥9) 적량 적량 적량 - 적량 적량
KOH (4≤pH<9) - - - 적량 - -
제조예 2. 비교예 3-7의 피부 외용제의 제조
상온에서 균일 혼합된 A상에, 화학 박피를 위한 유효 성분으로서 B상을 혼합하고, 용제 에탄올, 첨가제 폴리머 및 pH 조절을 위한 중화제 (염기)를 함유하는 C상을 투입하여 완전 교반한 후, 탈포 및 여과하여 비교예의 피부 외용제를 얻었다.
하기 표 2는 비교예 3-7의 피부 외용제의 구성 성분 및 각 성분의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표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비교예 3-5 및 7은 케미칼 필링제의 구성 성분이 본 발명 실시예 1-4와 상이하며, 비교예 6의 경우 실시예 1과 구성 성분이 동일하지만 그 함량이 상이하다.
구분 구성 성분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A상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EDTA-2Na 0.10 0.10 0.10 0.10 0.10
1,3-부틸렌글라이콜 5.00 5.00 5.00 5.00 5.00
글리세린 5.00 5.00 5.00 5.00 5.00
헥산디올 2.00 2.00 2.00 2.00 2.00
B상 Glycolic Acid (AHA) - 10.00 - - -
Caprylic Salicylic Acid (BHA) - - 10.00 - -
올리브 오일 피이지-8 또는 글리세레스-8 에스터 - - - 3.00 -
포타슘 코코에이트 - - - 1.00 -
Trichloroacetic Acid - - - - 10.00
C상 에탄올 10.00 10.00 10.00 10.00 10.00
카보머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KOH (pH≥9) - - - 적량
KOH (4≤pH<9) 적량 적량 적량 - 적량
실험예 1. 피부 각질 용해성 시험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7의 피부 외용제에 대해 피부 각질 용해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스카치 테이프를 이용하여 인체 하박의 각질을 테이프 박리(tape stripping)하여, 시험 전에 각질의 상태를 사진 촬영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피부 외용제를 각각 7㎕씩 로딩한 다음, 라텍스 장갑을 착용한 손가락 끝으로 20회씩 롤링(rolling)하고, 24 시간 경과 후 각 용액이 완전히 건조되었을 때 다시 사진을 촬영하여 시험 전후의 상태를 비교하였다.
도 1 내지 1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올리브 오일 에스터와 코코넛 지방산 알칼리금속염의 함량이 증가하면서, 올리브 오일 에스터와 코코넛 지방산 알칼리금속염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 및 2에 비해 각질 용해 정도가 확연히 높아진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올리브 오일 에스터와 코코넛 지방산 알칼리금속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양으로 함유하지만 4≤pH<9로 조정한 경우 (실시예 4)에 비해 pH≥9로 조정한 경우 (실시예 1)에서 각질 용해 정도가 확연하게 높았다.
실험예 2. 멜라닌 용해성 시험
실시예 1, 2, 4, 비교예 2 내지 5 및 7의 피부 외용제에 대해 멜라닌 용해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멜라닌은 시그마코리아 (melanin, M8631)에서 구입하였다. 멜라닌 3mg을 각각 1.5ml 튜브에 담은 후 비교예 및 실시예의 피부 외용제를 각각 1ml씩 넣고 5분에 한번씩 와류(vortexing)하여 30분 동안 잘 녹여 주고, 24시간 후 멜라닌 용해도를 확인하였다.
도 1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실시예 1 및 2에서는 멜라닌 용해 효과가 매우 높았고, 실시예 4에서도 완전하지는 않지만 용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교예 비교예 2 내지 5 및 7에서는 멜라닌 펠릿(melanin pellet)이 녹지 않은 상태로 침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피부 안전성 시험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3 내지 7의 피부 외용제에 대해 피부 안전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검자 20명을 대상으로 상박에 피부 첩포 시험(closed 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첩포는 24시간 동안 도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에는 마킹 펜(marking pen)으로 시험 부위를 표시하고, 각각 24시간 및 48시간 후에 시험 부위를 관찰하였다. 첩포 제거 24시간 및 48시간 후에, 하기 표 3의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ICDRG)의 규정에 따라 피부 반응을 판정하고, 2회 시험에서 얻어진 결과의 최대값을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본 발명 실시예의 피부 외용제는 모두 피부 자극도가 미자극 수준이었다.
국제 접촉피부염연구회 판정 기준
기호 판정 기준 자극도 평균 점수
Negative 무자극 0
± Doubtful or slight reaction and erythema 미자극 0 ~ 0.9
Erythema + Induration 경자극 1.0 ~ 2.9
++ Erythema + Induration + Vesicle 중자극 3.0 ~ 4.9
+++ Erythema + Induration + Bullae 강자극 5.0 이상
피부 안전성 시험 결과
구 분 평균 점수 자극도
실시예 1 0.8 미자극
실시예 2 0.8 미자극
실시예 3 0.6 미자극
비교예 3 0.4 미자극
비교예 4 4.6 중자극
비교예 5 3.4 중자극
비교예 6 0.6 미자극
비교예 7 5.4 강자극
실험예 4. 피부 보습 개선 시험
실시예 1 및 비교예 4의 피부 외용제에 대해 피부 보습 개선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검자 10명을 대상으로 피부 외용제 사용 전 및 사용 1주 후 시험 부위(볼 부위)의 보습량을 Corneometer CM825 (Courage and Khazaka, Germany)로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보습량이 높으면 측정값이 높아지고 낮으면 측정값이 낮아진다. 피부 보습 개선율을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구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112019101455583-pat00001
표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피부 보습력 시험 결과, 실시예 1의 경우 기존의 케미컬 필링용 피부 외용제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피부 보습도가 1.58배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구 분 사용 전 사용 1주 후 개선율 (%)
실시예 1 49.32 56.22 13.99
비교예 4 50.78 55.34 8.98
실험예 5. 피부 밝기 개선 시험
실시예 1 및 비교예 4의 피부 외용제에 대해 피부 밝기 개선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검자 10명을 대상으로 피부 외용제 사용 전, 사용 1주후 시험 부위 (볼 부위)의 피부 밝기를 Chromameter CR-400을 이용하여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Chromameter는 사람에 의해서 인지되는 색들을 세가지 인자로 구성된 디지털코드로 전환하는 장비로 피부색 측정을 위해 널리 사용된다. L*, a* 및 b* 값은 각각 다음과 같은 인자(parameter)를 나타낸다.
L*: 밝기(luminosity), a*: 붉은기(green-to-red spectrum), b*: 황색기(blue-to-yellow spectrum)
이때 a*와 b*는 색채 인자(chrominance parameters)이고, L*는 명도 인자 (luminance parameter)이다. 피부 밝기 개선율을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구하고,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피부 밝기 개선 시험 결과, 실시예 1에서는 비교예 4 대비 피부 밝기가 1.78배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구 분 사용 전 사용 1주 후 개선율 (%)
실시예 1 62.68 63.16 0.77
비교예 4 62.75 63.02 0.43
실험예 6. 도트 필링을 이용한 색소 침착 (기미, 잡티 등) 및 흉터 개선 시험
실시예 1 및 비교예 7의 피부 외용제에 대해 색소 침착 및 여드름 흉터와 같은 피부 흉터 자국의 개선이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 목봉을 이용한 도트 필링 시험을 실시하였다. 색소 침착과 피부 흉터 자국이 있는 피검자 5명을 대상으로 시술 직후 다운 타임을 확인하여 시험 기간을 설정하였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7의 피부 외용제로 도트 필링 시술을 실시한 직후 다운 타임을 비교한 것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피부 외용제로 도트 필링 시술을 한 경우 색소 침착 및 흉터 개선 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좌: 실시예 1, 우: 비교예 7).
도 13에서 보는 것과 같이, 비교예 7의 경우 시술 후 시술 부위에 하얗게 짓물이 발생하고, 그 회복 기간이 3주 이상 필요하여 반복 시술이 불가는 하였다. 이에 비해, 도 14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본 발명 실시예 1의 피부 외용제로 1주에 1회씩 도트 필링하고 1개월 후 사진 촬영을 한 결과, 색소 침착 및 흉터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다.
화장료 제형 제조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를 사용하여 제조 가능한 화장료 제형을 예시한다.
제형 1. 각질 정돈 화장수(스킨로션)
하기 표 7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적인 제조방법에 따라 각질 정돈 화장수를 제조한다.
Figure 112019101455583-pat00002
제형 2. 브라이트닝 에센스(밀크로션)
하기 표 8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적인 제조방법에 따라 브라이트닝 에센스를 제조한다.
Figure 112019101455583-pat00003
제형 3. 미백 크림 (농축 크림)
하기 표 9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적인 제조방법에 따라 미백 크림(농축 크림)을 제조한다.
Figure 112019101455583-pat00004
제형 4. 클렌징 크림
하기 표 10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적인 제조방법에 따라 클렌징 크림을 제조한다.
Figure 112019101455583-pat00005
제형 5. 각질 정돈 마스크 팩
하기 표 11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적인 제조방법에 따라 각질 정돈 마스크팩을 제조한다.
Figure 112019101455583-pat00006

Claims (7)

  1. 올리브 오일 피이지 에스터, 올리브 오일 글리세레스 에스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올리브 오일 에스터; 및 코코넛 지방산 알칼리금속염을 함유하는 피부 각질 제거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브 오일 에스터는 올리브 오일의 PEG-8 에스터, PEG-7 에스터, 글리세레스-8 에스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피부 각질 제거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코넛 지방산 알칼리금속염은 코코넛 지방산의 포타슘염, 소듐염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피부 각질 제거제.
  4. 제1항에 있어서, 올리브 오일 에스터를 10 내지 3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인 피부 각질 제거제.
  5. 제1항에 있어서, 코코넛 지방산의 알칼리금속염을 2 내지 1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인 피부 각질 제거제.
  6. 제1항에 있어서, 올리브 오일 에스터와 코코넛 지방산 알칼리금속염 사이의 혼합 비율이 중량비로 3:1 내지 5:1인 피부 각질 제거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22962A 2019-02-20 2019-10-04 피부 외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3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19682 2019-02-20
KR1020190019682 2019-0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140B1 true KR102103140B1 (ko) 2020-04-21

Family

ID=70456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962A KR102103140B1 (ko) 2019-02-20 2019-10-04 피부 외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14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783A (ko) * 2009-04-01 2010-10-11 주식회사 비앤원 클랜징 및 각질제거, 보습용 천연화장품의 조성물
KR20130038984A (ko) * 2011-10-11 2013-04-19 지준홍 아밀알코올 또는 그 이성질체와 천연 식물성 오일 지방산을 에스테르화 시킨 화장료 조성물
KR20180026844A (ko) * 2016-09-05 2018-03-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면도용 조성물
KR101895875B1 (ko) * 2017-10-13 2018-09-06 (주)씨아이티 고함량의 오일을 함유한 에멀젼 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33182B1 (ko) * 2017-11-30 2018-12-31 (주)코스포유 피부세정용 고형 비누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치즈 모양 비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783A (ko) * 2009-04-01 2010-10-11 주식회사 비앤원 클랜징 및 각질제거, 보습용 천연화장품의 조성물
KR20130038984A (ko) * 2011-10-11 2013-04-19 지준홍 아밀알코올 또는 그 이성질체와 천연 식물성 오일 지방산을 에스테르화 시킨 화장료 조성물
KR20180026844A (ko) * 2016-09-05 2018-03-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면도용 조성물
KR101895875B1 (ko) * 2017-10-13 2018-09-06 (주)씨아이티 고함량의 오일을 함유한 에멀젼 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33182B1 (ko) * 2017-11-30 2018-12-31 (주)코스포유 피부세정용 고형 비누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치즈 모양 비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8783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hair growth
US20070212431A1 (en) Cream for treatment of skin injured by the sun
JP5572318B2 (ja) 局所投与用アルギニンヘテロマー
JP4723899B2 (ja) 皮膚外用組成物
EP3842030A2 (en) Semi-solid, oil-bas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pirfenidone for application in tissue repair
AU2002318699A1 (en) Cream for treatment of skin injured by the sun
CN113332160A (zh) 一种用于调理毛周角化肌肤的化妆品组合物
US20080102089A1 (en) Topical and transdermal treatments using urea formulations
KR102103140B1 (ko) 피부 외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781152B1 (en) Topical formulations comprising strontium and methylsulfonylmethane (msm) and their use for skin treatment
JP2006298796A (ja) 小じわ改善用皮膚外用剤
CN114306107B (zh) 功效型皮肤用产品及其制备方法
CN111840307A (zh) 一种具有镇痛止痒和去湿疹功效的组合物
DE102006040450B3 (de) Verwendung einer Zusammensetzung für die Hautbehandlung nach Röntgenbestrahlung
JPS63270614A (ja) 透明ゲル基剤
KR101661694B1 (ko) 히드로퀴논을 포함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292143B1 (ko) 글리콜산과 비타민c를 함유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2632098B1 (ko) 세라마이드 담지력을 가진 베지클과 하이드록시데실유비퀴논을 포함하는 자극이 낮고 피부 장벽 회복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2992A (ko) 우레아와 가용화 살리실산을 이용한 각질 제거용 조성물
CN110876742A (zh) 一种修复皮肤损伤的药物组合物及其用途
JPH03118312A (ja) 肌あれ防止用外用剤
KR20040024213A (ko) 홍삼 조사포닌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부직포 팩
CN115836984A (zh) 一种抗衰老组合物及其应用
KR20210140973A (ko) 비수계 제형에 안정화시킨 서브틸리신을 포함하는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29884B1 (ko) 피하지방 제거용 피부 마사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