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746B1 -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746B1
KR102102746B1 KR1020180090669A KR20180090669A KR102102746B1 KR 102102746 B1 KR102102746 B1 KR 102102746B1 KR 1020180090669 A KR1020180090669 A KR 1020180090669A KR 20180090669 A KR20180090669 A KR 20180090669A KR 102102746 B1 KR102102746 B1 KR 102102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transparent display
image display
display devic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5189A (ko
Inventor
김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to KR1020180090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746B1/ko
Priority to US17/264,850 priority patent/US11627304B2/en
Priority to PCT/KR2019/009419 priority patent/WO2020027527A1/ko
Publication of KR20200015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88Volumetric displays, i.e. systems where the image is built up from picture elements distributed through a volume
    • H04N13/393Volumetric displays, i.e. systems where the image is built up from picture elements distributed through a volume the volume being generated by a moving, e.g. vibrating or rotating, su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88Volumetric displays, i.e. systems where the image is built up from picture elements distributed through a volume
    • H04N13/395Volumetric displays, i.e. systems where the image is built up from picture elements distributed through a volume with depth sampling, i.e. the volume being constructed from a stack or sequence of 2D image pla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1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chain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34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ight sources co-operating with movable members, e.g. with shutters to cover or uncover the light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25Stereoscopic displays; 3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2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with colour-mixing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1Constructional or mechanic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가 배열된 영상표시바, 및 상기 영상표시바를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운동시키고, 상기 발광소자의 운동에 의한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바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전체 표시면적을 A라하고, 영상표시바의 면적을 B라 할 때, 투명도(%)= ((A-B)/A)*100의 계산식에 의해 설정된다. 따라서, 미사용시에는 투과도에 영향을 주지 않아 영상의 시인성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투과도를 설정하여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a 3D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전기신호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지만, 디스플레이장치의 뒷면은 투과되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영상을 표시하는 용도 외에는 활용도가 높지 않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96708호의 "합성영상 표시 장치"가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합성영상 표시장치는 투명디스플레이패널을 스크린의 전방에 설치하여 투명디스플레이패널에서 표시되는 영상과 스크린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합쳐져 보임으로써, 영상의 입체감을 높일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합성영상 표시장치는 전면에 투명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기 때문에 투명디스플레이패널에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더라도 빛의 투과도가 낮아져 후방에 위치되는 스크린의 영상을 선명히 관람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투명디스플레이패널의 투과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디스플레이패널의 미사용시 투과도에 따른 영상의 시인성이 하락됨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과도를 설정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가 배열된 영상표시바, 및 상기 영상표시바를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운동시키고, 상기 발광소자의 운동에 의한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바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전체 표시면적을 A라하고, 영상표시바의 면적을 B라 할 때, 투명도(%)= ((A-B)/A)*100의 계산식에 의해 설정된다.
상기 바구동부는 상기 영상표시바가 고정되고, 상기 영상표시바를 직선운동 및 상기 직선운동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운동을 연속적으로 수행시키는 구동벨트, 및 상기 구동벨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상기 영상표시바가 상기 직선운동함에 따라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디스플레이이다.
상기 영상표시바는 상기 구동벨트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구동부는 상기 영상표시바를 직선왕복운동시키는 리니어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구동부는 상기 영상표시바를 원운동 또는 원호운동시키는 원형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바는 상기 발광소자가 서로 대향되도록 상기 바구동부에 한 쌍이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영상표시바의 사이에는 상호 간의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빛을 차단하는 차단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가 배열된 영상표시바, 및 상기 발광소자의 이동에 따른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도록 상기 영상표시바를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운동시키는 바구동부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영상표시바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후방에서 불투명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불투명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장치의 투명도는 상기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전체 표시면적을 A라하고, 영상표시바의 면적을 B라 할 때, 투명도(%)= ((A-B)/A)*100의 계산식에 의해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구동부는 상기 영상표시바를 직선운동과 상기 직선운동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운동을 회전에 의해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구동벨트, 및 상기 구동벨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바는 상기 구동벨트에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구동부는 상기 영상표시바를 직선왕복운동시키는 리니어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구동부는 상기 영상표시바를 원운동 또는 원호운동시키는 원형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바는 상기 발광소자가 서로 대향되도록 상기 바구동부에 한 쌍이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영상표시바의 사이에는 상호 간의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빛을 차단하는 차단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가 배열된 영상표시바, 및 상기 발광소자에 의해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를 표시하도록 상기 영상표시바를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운동시키는 바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는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전체 표시면적을 A라하고, 영상표시바의 면적을 B라 할 때, 투명도(%)= ((A-B)/A)*100의 계산식에 의해 설정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 개의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가 겹쳐 보이도록 복수 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장치의 바구동부는 각각 상기 영상표시바를 서로 동일한 운동을 시켜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를 표시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은 다른 운동을 시켜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표시바가 운동할 때에만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를 표시하기 때문에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완전히 투명한 상태로 만들어 투과도의 하락에 따른 영상의 시인성 하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1에 의해 투과도를 설정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곡면 또는 양면 디스플레이장치의 형태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표시바(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영상표시바(110)는 시각적인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영상표시바(110)에는 잔상을 표시하기 위해 발광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111)가 배열될 수 있다.
영상표시바(110)는 잔상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기에 설명될 바구동부(120)에 의해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표시바(110)에 설치되는 발광소자(111)는 표시할 전체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의 수평라인 또는 수직라인의 픽셀과 대응되는 개수로 배열될 수 있으며, 복수의 수평라인 또는 수직라인을 표시하도록 복수 개의 열 또는 행으로 배열될 수 있다.
물론, 영상표시바(110)에 배열되는 발광소자(111)의 열 또는 행의 개수는 전체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의 수평라인 또는 수직라인의 픽셀의 개수보다 작은 개수 일 수 있다.
그리고, 영상표시바(110)에 설치되는 발광소자(111)는 R,G,B 소자가 하나의 픽셀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색의 혼합에 따른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표시바(110)는 잔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HI)를 제공하기 위해 영상표시바(110)을 제어하는 타이밍컨트롤러(115)을 포함할 수 있다.
타미밍컨트롤러(115)는 영상표시바(110)의 운동하는 위치에 따라 발광소자(111)의 발광을 제어하여 잔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HI)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타이밍컨트롤러(115)는 영상표시바(110)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하로 직선운동하도록 구성된 경우, 잔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HI)의 전체 영역에서 표시될 영상의 각 수평라인과 대응되는 위치에 영상표시바(110)가 지날 때, 위치되는 수평라인과 대응되는 픽셀의 발광소자(111)를 순간적으로 발광시켜 잔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HI)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타이밍컨트롤러(115)는 영상표시바(110)가 이동하는 속도가 미리 설정되어 이동하는 속도를 기초로 수평라인의 위치를 파악하여 발광소자(111)를 발광시키거나, 하기에 설명될 바구동부(120)에서 영상표시바(110)가 이동하는 속도를 제공받아 발광소자(111)를 발광시키는 타이밍을 조절하여 잔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HI)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바구동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바구동부(120)는 영상표시바(110)가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을 표시하도록 영상표시바(110)를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운동시킬 수 있다.
제1 실시예서 바구동부(120)는 직선운동과 방향전환운동을 연속하여 병행하도록 구성하였다.
바구동부(120)는 구동벨트(12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벨트(121)는 영상표시바(110)가 결합되어 구동벨트(121)의 회전방향을 따라 영상표시바(1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구동벨트(121)는 영상표시바(110)에 의해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를 평면적으로 표시하도록 회전에 의해 영상표시바(110)를 직선운동과 직선운동하는 끝단에서 연속하여 반대방향의 직선운동으로 운동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운동을 연속하여 병행할 수 있다.
이때, 구동벨트(121)는 구동벨트(121)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한 쌍의 롤러(123)가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구동벨트(121)가 이격된 롤러(123)에 걸쳐져 롤러(123)의 이격된 사이에서 직선운동하고, 롤러(123)가 설치된 부분에서 방향전환운동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벨트(121)는 영상표시바(11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 구동벨트(121)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영상표시바(110)를 상 또는 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영상표시바(110)를 좌 또는 우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구동벨트(121)는 구동모터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지만, 직선운동하는 부분에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정회전과 역회전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투명도를 설정하여 제작될 수 있다.
투명도는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가 표시되는 전체 표시면적(IA)을 A라하고, 영상표시바(110)의 면적을 B라고 할 때, 하기의 수학식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투명도(%)=((A-B)/A)*100
예컨대, 전체 표시면적(IA)이 1800cm2 이고, 투명도를 50(%)로 설정할 경우에는 상기한 수학식 1에 따라 영상표시바(110)의 면적을 900cm2 으로 설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면적의 가로 또는 세로 길이를 알고 있을 경우, 영상표시바(110)의 가로 또는 세로길이는 표시면적과 동일하므로 영상표시바(110)의 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수학식을 이용하면, 투명도를 미리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바구동부(120)의 변형예로서는 구동벨트(121)에 복수 개의 영상표시바(1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복수 개의 영상표시바(110)는 구동벨트(121)에 일정간격 또는 상호 대향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동일한 직선운동 구간에서 동일한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를 표시하여 선명한 잔산영상을 제공하거나, 서로 대향된 직선운동 구간에서 서로 다른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를 표시하여 마치 양면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표시바(110)가 서로 대향된 직선구간에서 서로 다른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경우에는 롤러(123)가 설치되는 구동벨트(121)의 중앙부분에 양측에 위치된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끼리 상호간의 빛을 차단하여 선명한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을 관람하도록 차단판(150)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바구동부(120)의 다른 변형예로는 구동벨트(121)에 복수 개의 영상표시바(110)가 설치되며, 각 영상표시바(110)에는 발광소자(111)가 영상표시바(110)의 양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벨트(121)에 설치된 복수 개의 영상표시바(110)는 구동벨트(121)의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 설치되어 어느 하나가 구동벨트(121)의 전방에 위치되면, 다른 하나는 구동벨트(121)의 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구동벨트(121)의 전방에 위치되는 영상표시바(110)의 전방에 위치되는 발광소자(111)에서 발광하는 경우, 구동벨트(121)의 후방에 위치되는 영상표시바(110)는 영상표시바(110)의 후면에 위치 즉, 전방에 위치되는 영상표시바(110)의 발광소자(111)가 발광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발광소자(111)가 발광하여 롤러(123)의 직경만큼 이격된 전방에 위치되는 영상표시바(110)와 후방에 위치되는 영상표시바(110) 둘 모두에서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를 표시하여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의 겹침에 따른 입체적인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의 투명도를 설정하기 위해 수학식 1에 의해 전체 표시면적(IA)에 대한 영상표시바(110)의 면적을 설정한다.
영상표시바(110)의 면적이 설정되면, 영상표시바(110)를 구동벨트(121)에 설치한다.
이때, 구동벨트(121)는 수직축에 대해 회전하거나, 수평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구동벨트(121)는 이격된 한 쌍의 롤러(123)에 걸쳐지고, 롤러(123)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한다.
그리고, 구동모터에 롤러(123)가 회전하면, 구동벨트(121)가 회전하면서, 영상표시바(110)를 회전시키는 데, 영상표시바(110)는 구동벨트(121)의 양단이 걸쳐지는 롤러(123)의 사이인 직선운동하는 구간을 지날 때에 발광소자(111)가 발광하여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호 운동방향이 다른 양측의 직선운동 구간에서 발광소자(111)가 모두 발광할 때에는 롤러(123)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를 표시하여 양면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양측의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의 영상이 서로 겹쳐 보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벨트(121)의 중앙부분에는 차단판(15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벨트(121)에 복수 개의 영상표시바(110)가 설치될 경우에는 복수 개의 겹쳐지는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를 표시하거나, 하나의 잔상 영상을 복수 개의 영상표시바(110)가 표시하여 선명한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영상표시바(110)의 양면에 발광소자(111)가 설치될 경우에는 전방에 위치되는 영상표시바(110)에서 표시되는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와 후방에 위치되는 영상표시바(110)에서 표시되는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를 겹쳐 입체적인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표시면적에 따른 영상표시바(110)의 면적에 의해 투명도를 설정하여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바(110)의 운동에 따라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를 표시하여 필요에 따라 잔상에 따른 영상 보거나, 투명 디스플레이(HI) 자체가 보이지 않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서의 모든 구성은 동일하고, 다만 바구동부(130)의 차이가 있다.
제2 실시예에서 바구동부(130)는 영상표시바(110)를 직선왕복운동시킬 수 있다.
바구동부(130)는 직선왕복 이동할 수 있는 리니어모터(131)로 구현되고, 리니어모터(131)의 이동체(133)에 영상표시바(110)를 설치하여 직선왕복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의 바구동부(130)는 영상표시바(110)를 리니어모터(131)에 의해 직선왕복운동시킴으로써,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의 표시주기를 단축시켜 선명한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을 표시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바구동부(130)가 영상표시바(110)를 상하로 이동시켜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을 표시하도록 도시되었지만, 좌우로 이동시켜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영상표시바(110)의 양면에 발광소자(111)가 설치되어 양면에서 서로 같거나 다른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을 표시하여 양면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은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때, 영상표시바(110)에 양면에 설치되는 발광소자(111)는 서로 같은 배열을 갖거나, 시각적인 차이가 발생하도록 서로 다른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변형예는 바구동부(130)가 직선왕복운동하는 것이 아니라 곡선왕복운동하도록 구성하였다.
바구동부(130)가 곡선왕복운동할 경우에는 영상표시바(110)가 곡선으로 이동하여 곡면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이 곡면으로 표시되는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바구동부(130)도 리니어모터(131)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에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의 바구동부(130)는 한 쌍의 영상표시바(1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영상표시바(110)는 리니어모터(131)의 이동체(133)에 발광소자(111)가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호 간격이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영상표시바(110)의 사이에는 차단판(150)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바구동부(130)에 의해 영상표시바(110)가 직선 왕복운동하면, 차단판(15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가 표시되어 양면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바구동부(130)를 직선왕복운동시키거나, 곡선왕복운동시켜 제1 실시예보다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의 표시주기를 단축시켜 선명한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서의 모든 구성은 동일하고, 다만 바구동부(140)의 차이가 있다.
재3 실시예에 바구동부(140)는 영상표시바(110)를 원운동시키거나, 원호운동시켜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을 표시할 수 있다.
바구동부(14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운동시키도록 영상표시바(110)를 회전축에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원형가이드(141)와, 원형가이드(14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원형가이드(141)의 외측면에 영상표시바(110)가 설치되어 구동모터가 원형가이드(14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형태로 원운동시키거나, 미리 설정된 원호만큼만 반복적으로 회전시키는 형태로 원호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원형가이드(141)은 수직축 또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형가이드(141)에 의해 원운동 또는 원호운동하는 영상표시바(110)에 의해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이 표시되는 경우, 원형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이 전체 둘레에서 영상을 표시하거나, 미리 설정된 원호에서만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을 표시하여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이 볼록한 곡면으로 휘어져 표시되는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원형가이드(141)의 내측면에 영상표시바(110)가 설치되는 경우,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이 오목한 곡면으로 휘어져 표시되는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을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제3 실시예에서도 영상표시바(110)의 양면에 발광소자(111)가 설치되어 내측과 외측에서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의 관람이 가능한 양면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표시바(110)를 원운동 또는 원호운동시킴으로써, 곡면 형태로 휘어진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300)를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상기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적용될 수 있으며,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300)는 디스플레이패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디스플레이패널(200)은 잔상이 아닌 실질적으로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불투명 디스플레이(RI)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패널(200)은 OLED, LCD, Eink, 또는 PDP 등의 패널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패널(200)은 시각적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제1 실시예의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적용한 것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300)는 디스플레이패널(2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200)은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와 관련된 불투명 디스플레이(RI)의 영상을 표시하거나,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와 관련되지 않은 불투명 디스플레이(RI)의 영상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패널(200)은 영상표시바(110)에 의해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와 불투명 디스플레이(RI)가 겹쳐 보이도록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패널(200)을 구동벨트(121)의 전방에서 영상표시바(110)에 의해 잔상에 의한 영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구동벨트(121)의 중앙에서 구동벨트(121)를 양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123)의 사이에 배치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300)는 구동벨트(121)의 회전에 따라 영상표시바(110)가 구동벨트(121)를 따라 이동하며, 영상표시바(110)에 의해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를 제공하고, 디스플레이패널(200)에서는 불투명 디스플레이(RI)를 표시하여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의 영상과 불투명 디스플레이(RI)의 영상이 겹쳐지는 형태의 입체영상을 관람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동벨트(121)의 회전이 정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패널(200)의 전면에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패널(200)에서 표시되는 불투명 디스플레이(RI)만을 관람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300)는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의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패널(200)에서 제공되는 불투명 디스플레이(RI)의 영상을 합성하여 입체적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동이 정지되는 경우,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는 전혀 보이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패널(200)에서 선명한 불투명 디스플레이(RI)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제2 실시예의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적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패널(2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패널(200)은 영상표시바(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패널(200)에서 불투명 디스플레이(RI)를 제공하는 면은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300)는 바구동부(140)가 영상표시바(110)를 왕복운동시키면, 영상표시바(110)의 발광소자(111)가 발광하면서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를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디스플레이패널(200)에서 불투명 디스플레이(RI)를 표시하면, 불투명 디스플레이(RI)의 전방에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가 표시되어 둘의 영상이 겹쳐져 보이므로 입체적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동이 정지되는 경우,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는 전혀 보이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패널(200)에서 선명한 불투명 디스플레이(RI)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300)는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와 함께 디스플레이패널(200)에서 제공되는 불투명 디스플레이(RI)을 합성하여 입체적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동이 정지되는 경우,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이 전혀 보이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패널(200)에서 선명한 불투명 디스플레이(RI)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바(110)의 왕복운동에 따라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의 표시주기를 단축시켜 선명한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제3 실시예의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적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패널(2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패널(200)은 영상표시바(11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패널(200)에서 불투명 디스플레이(RI)이 표시되는 면은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를 형성하는 영상표시바(110)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선 디스플레이패널(200)을 평면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원운동 또는 원호운동시키는 바구동부(140)와 동심원상의 곡면형태의 디스플레이패널(200)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300)는 바구동부(140)가 원형가이드(141)를 원운동 또는 원호운동시키면, 바구동부(140)가 영상표시바(110)를 원운동 또는 원호운동시키면서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를 제공한다.
이와 동시에 디스플레이패널(200)에서 불투명 디스플레이(RI)을 제공하면, 불투명 디스플레이(RI)의 전방에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의 영상이 함께 표시되어 두 개의 영상이 겹쳐져 보이므로써, 입체적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300)는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의 영상와 함께 디스플레이패널(200)에서 제공되는 불투명 디스플레이(RI)의 영상을 합성하여 입체적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동이 정지되는 경우,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는 전혀 보이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패널(200)에서 선명한 불투명 디스플레이(R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구동부(140)가 영상표시바(110)를 원운동 또는 원호운동시켜 곡면형태의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를 제공하여 입체감을 높인 입체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제2 실시예의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적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300)는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서로 다른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을 표시하거나, 서로 다른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4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300)는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일렬로 배치되어 각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잔상에 다른 영상이 서로 겹쳐 보임으로써, 입체적인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패널(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디스플레이패널(200)은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가 아닌 직접적으로 눈에 보여지는 불투명 디스플레이(RI)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패널(200)은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가장 후방에 배치되어 불투명 디스플레이(RI)를 표시함으로써,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입체적으로 표시되는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의 영상과 함께 불투명 디스플레이(RI)의 영상을 함께 겹쳐 입체적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패널(200)을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가장 후방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디스플레이패널(200)이 빛이 투과되는 투명한 디스플레이패널(200)인 경우에는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들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300)는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의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패널(200)에서 제공되는 불투명 디스플레이(RI)의 영상을 합성하여 입체적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동이 정지되는 경우,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HI)가 전혀 보이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패널(200)에서 선명한 불투명 디스플레이(RI)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설치되기 때문에 입체감을 증대시킨 입체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110: 영상표시바 111: 발광소자
115: 타이밍컨트롤러 120,130,140: 바구동부
121: 구동벨트 123: 롤러
131: 리니어모터 133: 이동체
141: 원형가이드 150: 차단판
200: 디스플레이패널
300: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IA: 전체 표시면적(IA) HI: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
RI: 불투명 디스플레이

Claims (16)

  1. 복수 개의 발광소자가 배열된 영상표시바, 및
    상기 영상표시바를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운동시키고, 상기 발광소자의 운동에 의한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바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전체 표시면적을 A라하고, 영상표시바의 면적을 B라 할 때,
    투명도(%)= ((A-B)/A)*100
    의 계산식에 의해 설정되며,
    상기 영상표시바의 운동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의 발광을 제어하는 타이밍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바구동부는 상기 영상표시바를 직선왕복운동시키는 리니어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표시바는 상기 발광소자가 서로 대향되도록 상기 바구동부에 한 쌍이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영상표시바의 사이에는 상호 간의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빛을 차단하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구동부는
    상기 영상표시바가 고정되고, 상기 영상표시바를 직선운동 및 상기 직선운동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운동을 연속적으로 수행시키는 구동벨트, 및
    상기 구동벨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상기 영상표시바가 상기 직선운동함에 따라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디스플레이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바는
    상기 구동벨트에 복수 개가 설치되는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구동부는
    상기 영상표시바를 원운동 또는 원호운동시키는 원형가이드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8. 삭제
  9. 복수 개의 발광소자가 배열된 영상표시바, 및 상기 발광소자의 이동에 따른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도록 상기 영상표시바를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운동시키는 바구동부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영상표시바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후방에서 불투명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불투명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장치의 투명도는
    상기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전체 표시면적을 A라하고, 영상표시바의 면적을 B라 할 때,
    투명도(%)= ((A-B)/A)*100
    의 계산식에 의해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구동부는
    상기 영상표시바를 직선운동과 상기 직선운동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운동을 회전에 의해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구동벨트, 및
    상기 구동벨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바는
    상기 구동벨트에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구동부는
    상기 영상표시바를 직선왕복운동시키는 리니어모터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구동부는
    상기 영상표시바를 원운동 또는 원호운동시키는 원형가이드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바는
    상기 발광소자가 서로 대향되도록 상기 바구동부에 한 쌍이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영상표시바의 사이에는 상호 간의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빛을 차단하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16. 복수 개의 발광소자가 배열된 영상표시바, 및 상기 발광소자에 의해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를 표시하도록 상기 영상표시바를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운동시키는 바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는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전체 표시면적을 A라하고, 영상표시바의 면적을 B라 할 때, 투명도(%)= ((A-B)/A)*100의 계산식에 의해 설정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 개의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가 겹쳐 보이도록 복수 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장치의 바구동부는 각각
    상기 영상표시바를 서로 동일한 운동을 시켜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를 표시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은 다른 운동을 시켜 잔상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80090669A 2018-08-03 2018-08-03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KR102102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669A KR102102746B1 (ko) 2018-08-03 2018-08-03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US17/264,850 US11627304B2 (en) 2018-08-03 2019-07-29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same
PCT/KR2019/009419 WO2020027527A1 (ko) 2018-08-03 2019-07-29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669A KR102102746B1 (ko) 2018-08-03 2018-08-03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189A KR20200015189A (ko) 2020-02-12
KR102102746B1 true KR102102746B1 (ko) 2020-04-23

Family

ID=69231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669A KR102102746B1 (ko) 2018-08-03 2018-08-03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27304B2 (ko)
KR (1) KR102102746B1 (ko)
WO (1) WO20200275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936A (ko) * 1996-05-18 1997-12-10 남일 내구력이 향상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847A (ko) * 2021-06-29 2023-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2590A (ja) * 2000-12-15 2002-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ed表示器
JP2008511034A (ja) * 2004-08-26 2008-04-10 ライトロジック リミテッド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4846B2 (ja) 2002-12-06 2009-12-02 豊丸産業株式会社 遊技機
KR100903888B1 (ko) * 2007-12-31 2009-06-19 경남도립남해대학 산학협력단 잔상 표시장치
KR101445976B1 (ko) * 2013-07-01 2014-10-01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후면 표시부 및 전면 투명 표시부가 적층된 디스플레이
TWM526704U (zh) * 2016-04-25 2016-08-01 Coremate Technical Co Ltd 可調控投影幕透明度之投影裝置
KR101796708B1 (ko) 2016-05-12 2017-11-10 주식회사 토비스 합성영상 표시 장치
US10672311B2 (en) * 2017-05-04 2020-06-02 Pure Depth, Inc. Head tracking based depth fus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2590A (ja) * 2000-12-15 2002-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ed表示器
JP2008511034A (ja) * 2004-08-26 2008-04-10 ライトロジック リミテッド 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936A (ko) * 1996-05-18 1997-12-10 남일 내구력이 향상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27304B2 (en) 2023-04-11
US20210235069A1 (en) 2021-07-29
KR20200015189A (ko) 2020-02-12
WO2020027527A1 (ko)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7793B2 (en) Three dimensional video display device
TWI529679B (zh) 自動立體顯示裝置
CN104965308B (zh) 三维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US8587639B2 (en) Method of improved three dimensional display technique
TWI493527B (zh) 具有循序驅動架構的顯示器
KR20140070596A (ko) 입체 화상을 상영하는 방법 및 디스플레이
WO2012047830A4 (en) 3d display system with active shutter plate
JP6058388B2 (ja) 3次元画像表示装置
WO2017092453A1 (zh) 三维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2102746B1 (ko)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US20130249896A1 (en) Method of displaying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and display apparatus performing the method
CN102625114A (zh) 显示3d图像的方法和设备以及区分3d图像的设备和方法
JP2017138498A (ja) 表示装置
JP2010282090A (ja) 立体表示装置
JP2013088685A (ja) 表示装置
JP2015084079A (ja) 画像表示装置
KR20130024782A (ko)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JP3569522B2 (ja) 表示装置
KR100938481B1 (ko) 패럴렉스 배리어 및 이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JP6411257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2123325A (ja) 立体画像表示装置
KR20130062556A (ko)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US8953108B2 (en)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lens
JP2012203111A (ja) 立体画像表示装置
TWI426485B (zh) 多視角之立體顯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