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607B1 - 발전기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멀티콥터 - Google Patents

발전기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멀티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607B1
KR102102607B1 KR1020180113343A KR20180113343A KR102102607B1 KR 102102607 B1 KR102102607 B1 KR 102102607B1 KR 1020180113343 A KR1020180113343 A KR 1020180113343A KR 20180113343 A KR20180113343 A KR 20180113343A KR 102102607 B1 KR102102607 B1 KR 102102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engine
propeller
multicopter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4092A (ko
Inventor
정운규
Original Assignee
(주)화인코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인코왁 filed Critical (주)화인코왁
Priority to KR1020180113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6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34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64D27/4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3/00Arrangements in aircraft of power plant parts or auxilia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33/08Arrangements in aircraft of power plant parts or auxilia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power plant coo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5/00Transmitting power from power plant to propellers or rotors; Arrangements of trans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4In-flight charging
    • B64C2201/042
    • B64C2201/066
    • B64C2201/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thereby
    • B64D27/26Aircraf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of power-plant mounting
    • B64D2027/262Engine support arrangement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1/00Power install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 B64D2041/002Mounting arrangements for auxiliary power units (AP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컨트롤러 및 배터리를 보관하는 몸체(200), 상기 몸체(200)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지지봉(210), 상기 복수의 지지봉 각각의 단부에 연결된 모터(220) 및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프로펠러(230)를 포함하는 멀티 콥터에 있어서, 상기 몸체(200)의 하부에는 엔진(10), 상기 엔진의 출력축과 동축으로 회전하는 발전기(40) 및 상기 엔진과 발전기와 동축의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엔진과 발전기 사이에 위치하는 냉각용 프로펠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엔진의 출력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냉각용 프로펠러 및 발전기가 회전하고 이로 인하여 발전기에서 전기 에너지가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전기에는 외부 출력 단자가 연결될 수 있어 멀티 콥터의 외부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발전기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멀티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전기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멀티콥터{A hybrid multi copter which can be used for a generator }
본 발명은 멀티 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과 전기 배터리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을 구비하여 비상시 발전기로 사용될 수 있는 멀티 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으로 알려진 멀티 콥터는 사람이 탑승하는 조종실이 없는 항공기이다. 멀티 콥터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나 멀티콥터에 장착된 제어 장치에 의하여 조정된다.
멀티 콥터는 운반용 또는 여객용 항공기와 달리 일반적으로 따분하고, 위험하고, 더러운 작업에서 사람을 대신하여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군사적인 목적에서 기원하고 있다. 그러나, 근래에는 상업적, 과학적, 엔터테인먼트용, 농업용, 경찰, 감시용, 제품 배달, 항공 사진, 드론 레이싱, 재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군사용 목적보다는 다른 목적으로의 사용양이 급속도록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 콥터에서는 전원 공급장치로 전기 배터리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까지 개발된 멀티 콥터는 배터리의 소모량이 큰 단점이 있기 때문에, 사용중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이 단시간에 방전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중 또는 지상에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왔으나, 이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다.
또한, 장시간 멀티 콥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대용량의 배터리를 설치하게 되면 부피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엔진과 배터리를 함께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배터리에 비하여 에너지 효율이 높은 엔진을 사용하다 엔진에서 공급되는 에너지가 부족하게 되면 보조적으로 배터리의 에너지원을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멀티 콥터에 장착된 엔진으로부터의 출력을 발전기로 사용할 수 있어 오지에서의 정전, 전시에서의 응급 상황, 조난 상황, 재난 상황 또는 차량 방전 상황과 같이 긴급하게 전력이 필요한 상황에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멀티 콥터의 배터리 소모양이 큰 단점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등록 특허 10-1705838-0000호, 공개 특허 10-2017-0030843호 등이 있으나, 이러한 특허들은 기존 배터리의 교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과 같이 멀티콥터 에너지원으로 엔진과 배터리를 모두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에 관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멀티 콥터에 장시간 에너지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보다 효율이 높은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추진 시스템의 엔진이 멀티콥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경우 엔진의 작동 온도가 증가하므로 엔진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엔진을 냉각시키는 방법으로 수냉 및 공냉식을 채택하도록 한다.
또한, 엔진을 냉각 시키기 위한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부피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부피로 효과적으로 엔진을 냉각시키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엔진의 출력을 이용하여 발전기에 의해 전력을 발생하도록 하여 긴급한 상황에서 멀티콥터가 날라가 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컨트롤러 및 배터리를 보관하는 몸체(200), 상기 몸체(200)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지지봉(210), 상기 복수의 지지봉 각각의 단부에 연결된 모터(220) 및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프로펠러(230)를 포함하는 멀티 콥터에 있어서, 상기 몸체(200)의 하부에는 엔진(10), 상기 엔진의 출력축과 동축으로 회전하는 발전기(40) 및 상기 엔진과 발전기와 동축의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엔진과 발전기 사이에 위치하는 냉각용 프로펠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엔진의 출력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냉각용 프로펠러 및 발전기가 회전하고 이로 인하여 발전기에서 전기 에너지가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전기에는 외부 출력 단자가 연결될 수 있어 멀티 콥터의 외부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발전기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멀티콥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엔진(10)과 발전기(40) 사이에 냉각용 프로펠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엔진의 출력축, 냉각용 프로펠러의 회전축 및 발전기의 회전축은 모두 동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냉각용 프로펠러와 상기 발전기 사이에는 시동기 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냉각용 프로펠러의 회전축, 시동기 기어의 회전축 및 발전기 회전축은 모두 동축이며, 상기 시동기 기어(71)를 회전시키는 시동기(70)는 상기 시동기 기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시동기는 발전기에 내장되어 즉 발전기가 처음에는 시동기로 작동하고 시동이 걸리면 발전기로 작동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냉각용 프로펠러와 상기 엔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덕트(20)가 설치되어 냉각용 프로펠러에서 발생하는 바람이 엔진을 향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엔진의 출력축과 연결되는 프로펠러의 회전축은 베어링(32)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베어링(32)는 브라켓(34)에 의하여 지지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엔진을 지지하는 브라켓(14)과 상기 발전기를 지지하는 브라켓(42)이 설치된 받침대(50)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50)의 일부에는 회전하는 프로펠러(30)의 날개가 지나갈 수 있는 홈(54)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엔진을 지지하는 브라켓(14)과 상기 발전기를 지지하는 브라켓(42)이 설치된 제1받침대(51)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받침대(51)의 하부에는 연료 탱크(90)가 설치된 제2받침대(52)가 설치되어 제1받침대를 지지하고, 상기 제2받침대의 하부에는 제3받침대(53)가 제2받침대(52)를 지지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받침대는 방진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엔진(10)의 배기구에는 머플러(80)가 연결되어 엔진 배기 가스의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엔진(1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수냉식 실린더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엔진(10)의 출력부는 양쪽 단부의 각각에서 클러치(111)와 테이퍼진 부분(112)을 포함하는 플라이휠, 클러치 벨 및 테이퍼 축 조립체(1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축 조립체(100)는 발전기 쪽의 회전축(140)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140)의 끝단에는 축 조립체(100)의 테이퍼진 부분(112)을 수용하는 외형이 테이퍼진 부분(141)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140)은 상기 테이퍼진 부분(141) 바로 앞에서 베어링(12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멀티 콥터에서는 에너지 효율이 높은 엔진과 발전기를 주전원으로 사용하여 시스템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보조전원으로 배터리를 사용하여 버스 전압 유지 및 발전 전력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엔진과 발전기를 연결하는 회전축 사이에 냉각 프로 펠러를 장착하여 프로 펠러에 의해 엔진을 냉각할 수 있게 하였으며, 추가로 프로펠러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엔진으로 향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덕트를 설치하여 냉각 효과를 증대 시켰다.
또한, 시동기에 연결된 시동기 기어를 상기 엔진과 발전기 사이에서 엔진 출력축 및 발전기 회전축과 동축에 설치하도록 하여 엔진을 시동할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시동기 기어 아래에 시동기를 설치하고 시동기 회전축이 시동기 기어를 회전시키도록 하여 시스템의 공간 효율을 증대시켰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의 출력축, 냉각 프로펠러 회전축, 시동기 기어 회전축 및 발전기 회전축을 동축에 설치하도록 하여 공간 효율을 증대 시킬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추진 시스템은 드론의 몸체(200)의 하부에 개방된 상태로 설치되어 비행중에 공기에 의하여 냉각 효과를 가질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엔진의 출력을 이용하여 발전기에 의해 전력을 발생하도록 하여 긴급한 상황에서 멀티콥터가 날라가 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 멀티 콥터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평면도이다.
도 2c는 도 2b의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3b는 도 3a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3c는 도 3a 시스템의 후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측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평면도이다.
도 4d는 도 4a의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멀티 콥터를 도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멀티 콥터는 컨트롤러 및 배터리등을 보관하고 있는 몸체(200)와 몸체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지지봉(21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지지봉(210) 각각의 단부에는 모터(220)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23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전, 후, 좌, 우, 상, 하의 방향으로 멀티 콥터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지지봉(210)의 내부를 통해 전력과 컨트롤러로 부터의 신호가 모터로 공급된다.
상기 몸체(200)의 바닥에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추진 시스템(100)이 연결된다. 이는 도 4a~4b의 브라켓(96)이 몸체의 바닥에 연결되거나, 도 2a 및 도 2c의 받침대(50)가 몸체의 바닥을 형성하는 식으로 몸체 바닥에 추진 시스템(10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200)에는 랜딩 기어 (240)가 연결되고 랜딩 기어 (240)에는 연료 탱크(250)가 설치되어 상기 추진 시스템(100)에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추진 시스템(100)은 도 1에서 는 외부에 개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개방된 상태일 필요는 없고 냉각을 위한 흡기구 및 배기구만 있는 형태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a는 본 발명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이며 도 2b는 도 2a의 평면도이고 도 2c는 도 2b의 측면도이다.
엔진(10)의 출력부(크랭크 회전축)는 커플링(33)에 의하여 프로펠러의 제1회전축(31)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회전축(31)은 브라켓(34)안에 설치된 베어링(32)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브라켓(34)은 받침대(50) 상면에 설치된다.
프로펠러(30)는 엔진을 향하는 쪽의 제1회전축(31)과 발전기(40)쪽을 향하는 제2회전축(35)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2회전축은 커플링(42)에 의하여 발전기 회전축(41)과 연결된다.
따라서, 엔진(10)의 출력부는 프로펠러의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을 통해 발전기의 회전축(41)과 연결되어 엔진에서 출력되는 회전 에너지가 발전기(40)에 전달되고 발전기는 전기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발전기의 전기 에너지는 도 1의 몸체(200)안에 설치된 컨트롤러, 배터리 및 모터(220) 등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오지에서의 정전, 전시에서의 응급 상황, 조난 상황, 재난 상황 또는 차량 방전 상황과 같이 긴급하게 전력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본 발명의 멀티 콥터는 상기 발전기에 외부 단자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필요한 곳에 긴급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엔진(10)의 출력부와 발전기(40)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펠러(30)는 엔진의 출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엔진쪽으로 바람을 생성하여 작동중의 고온 엔진을 냉각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프로펠러(30)에서 생성된 바람이 엔진쪽으로 향하는 것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덕트(2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과 같이 멀티 콥터의 몸체(200)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추진 시스템(100)의 엔진(10)을 냉각하기 위해서는 바람을 가이드 하는 덕트(20)가 프로펠러와 엔진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엔진(10)은 냉각핀(13)이 설치되어 있어서 프로펠러(30)로부터 불어오는 바람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냉각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a에는 엔진을 지지하는 브라켓(14)과 발전기를 지지하는 브라켓(42)이 장착되는 받침대(50)가 도시되어 있으며, 냉각 프로펠러(30)의 날개의 크기가 큰 경우 받침대(50)에는 프로펠러가 지나갈 수 있는 홈(54)이 형성되어 있다.
도 3a 또한 본 발명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의 측면도이고, 도 3b는 도 3a 시스템의 평면도이며 도 3c는 도 3a 시스템의 후면도이다.
도 3a~3c에는 머플러(80)가 엔진의 배기구에 장착되어 있으며, 엔진(10)과 발전기(40)는 제1 받침대(51)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제1 받침대(51)의 플레이트의 한쪽 모서리 부근에는 쓰로틀 입력부(6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쓰로틀 입력부(62)는 쓰로틀 서보(61)에 의하여 제어되어 공기를 엔진(10)의 흡입구(11)에 공급하고, 연료 탱크(90)의 연료는 호스에 의하여 흡입구(11)에 공급되며 흡입구(11)에 공급된 연료와 공기는 기화기(12)에서 혼합된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는 연료 탱크(90)가 제1 받침대와 제2받침대 사이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지상에서 시험을 하기 위한 구조) 실제 멀티콥터에 추진 시스템을 부착할때에는 도 1의 연료 탱크(250)로 대체되므로 연료 탱크(90)는 필요 없게 된다.
도 3a를 보면, 제2받침대 하부에는 제3받침대(53)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내지 제3 받침대에는 방진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여 엔진에서의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도 3a내지 도 3c에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시동기(70)와 시동기 회전축에 연결된 시동기 기어(71)가 도시되어 있으며, 시동기 기어(71)는 냉각 팬(36)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냉각 팬(36)의 회전축은 엔진의 크랭크 회전축과 연결되어 있어, 시동기에서 시동기 기어를 회전시켜 엔진이 처음 작동하게 한다.
상기 냉각 팬(36)은 냉각 프로펠러(30)로 교체 가능하다.
또한, 시동기 기어(71)의 회전축은 냉각팬 반대쪽에서, 발전기(40)의 회전축(41)과 연결되어 있다.
즉, 엔진의 크랭크 회전축, 냉각팬(36)의 회전축, 시동기 기어(71)의 회전축 및 발전기(40) 회전축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냉각팬(36)에서 생성되는 바람이 엔진(10) 쪽으로 향하도록 덕트(20)가 엔진(10)과 냉각팬(36)을 덮고 있어 냉각팬(36)에서 생성되는 공기를 엔진쪽으로 가이드한다.
도 3a 내지 도 3c의 추진 시스템을 도 1과 같이 멀티 콥터의 몸체(200)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제3받침대(53)를 몸체(200)의 바닥으로 형성하여 추진 시스템을 몸체(200)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연료 탱크(250)가 랜딩 기어(240)에 부착되므로 도 3a 및 3c의 연료 탱크(90)는 필요 없게 될 것이다.
도 4a는 수냉식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이며 도 4b는 도 4a의 측면도, 도 4c는 도 4a의 평면도이고 도 4d는 도 4a의 후면도이다.
도 4a에는 수냉식 실린더(95)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어서 엔진 주위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엔진을 냉각시킬 수 있다.
도 4a내지 도 4d에 공개된 수냉식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에서는 냉각팬(36)을 엔진의 크랭크 회전축과 발전기 회전축의 동축선상에 배치하지 않고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브라켓(34)의 상부에 설치하였다.
상기 추진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몸체(20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멀티 콥터의 몸체(200)에 내장된 컨트롤러, 배터리 및 지지봉(210) 단부의 모터(22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엔진(10)의 출력부(15)는 양쪽 단부의 각각에서 클러치(111)와 테이퍼진 부분(112)을 포함하는 플라이휠, 클러치 벨 및 테이퍼 축 조립체(110)와 연결된다.
이와 같이 엔진(10)의 축력부가 플라이 휠의 기능을 구비한 축 조립체(110)와 연결되면 플라이휠의 회전에 의해 적절한 관성 모멘트가 부여되어 엔진의 불규칙한 출력이 있는 경우에도 회전 안성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 조립체(110)의 테이퍼진 부분(112)은 발전기 쪽의 회전축(140)과 연결된다.
상기 회전축(140)은 도 2a 내지 도 2c의 냉각 프로펠러 회전축(31)일 수 있으며, 냉각 프로펠러가 없는 경우 발전기 회전축 또는 시동기 기어 축일수 있다.
또한, 프로펠러 회전축(31), 발전기 회전축 및 시동기 기어축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회전축(140)은 상기 일체형 축일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단부쪽에서 외형이 테이퍼진 부분(141)을 구비하고, 상기 외형이 테이퍼진 부분(141)에 상기 테이퍼진 부분(112)이 삽입되며 연결되어 상기 실시예에서의 커플링(32)을 대체할 수 있고 상기 회전축(140)은 상기 외형이 테이퍼진 부분(141) 바로 앞에서 베어링(120)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는 축과 축의 연결을 테이퍼된 축으로 연결하여 축 사이에서의 편심, 편각 및 앤드 플레이에 의한 진동을 보완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전축(140)은 시동기(170)와 연결되고 시동기는 추력시스템의 시작시에 엔진(1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냉각 프로펠러(30) 및 시동기(70) 구조는 도 5의 회전축(140)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실행방안은 교체 가능하며, 또한 실시예는 다만 본 발명의 우선 실시예에 대한 설명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아니한다.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 10: 엔진
11: 흡입구 12: 기화기 (carburetor)
13: 냉각 핀 20: 덕트
30: 냉각 프로펠러 31,35: 프로펠러 회전축
32: 커플링 33: 베어링
34: 브라켓 40: 발전기
41: 발전기 회전축 42: 커플링
50: 받침대 61: 스로틀 서보
62: 스로틀 입력 70: 시동기
71: 시동기 기어 80: 머플러
90: 연료 탱크 95: 수냉식 실린더 헤드

Claims (10)

  1. 컨트롤러 및 배터리를 보관하는 몸체(200), 상기 몸체(200)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지지봉(210), 상기 복수의 지지봉 각각의 단부에 연결된 모터(220) 및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프로펠러(230)를 포함하는 멀티 콥터에 있어서,
    상기 몸체(200)의 하부에는 엔진(10), 상기 엔진의 출력축과 동축으로 회전하는 발전기(40) 및 상기 엔진과 발전기와 동축의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엔진과 발전기 사이에 위치하는 냉각용 프로펠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엔진의 출력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냉각용 프로펠러 및 발전기가 회전하고 이로 인하여 발전기에서 전기 에너지가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전기에는 외부 출력 단자가 연결될 수 있어 멀티 콥터의 외부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고,
    상기 냉각용 프로펠러와 상기 발전기 사이에는 시동기 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냉각용 프로펠러의 회전축, 시동기 기어의 회전축 및 발전기 회전축은 모두 동축이며,
    상기 시동기 기어(71)를 회전시키는 시동기(70)의 회전축은 상기 시동기 기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냉각용 프로펠러와 상기 엔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덕트가 설치되어 냉각용 프로펠러에서 생성되는 바람이 엔진을 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멀티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을 지지하는 브라켓(14)과 상기 발전기를 지지하는 브라켓(42)이 설치된 받침대(50)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50)의 일부에는 회전하는 프로펠러(30)의 날개가 지나갈 수 있는 홈(54)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멀티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을 지지하는 브라켓(14)과 상기 발전기를 지지하는 브라켓(42)이 설치된 제1받침대(51)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받침대(51)의 하부에는 연료 탱크(90)가 설치된 제2받침대(52)가 설치되어 제1받침대를 지지하고,
    상기 제2받침대의 하부에는 제3받침대(53)가 제2받침대(52)를 지지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받침대는 방진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멀티콥터.
  4. 제3항에 있어서,
    엔진의 출력축과 연결되는 프로펠러의 회전축은 베어링(32)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베어링(32)은 브라켓(34)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멀티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10)의 배기구에는 머플러(80)가 연결되어 엔진 배기 가스의 소음을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멀티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1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수냉식 실린더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멀티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10)의 출력부는 양쪽 단부의 각각에서 클러치(111)와 테이퍼진 부분(112)을 포함하는 플라이휠, 클러치 벨 및 테이퍼 축 조립체(11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멀티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축 조립체(110)는 발전기 쪽의 회전축(140)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140)의 끝단에는 축 조립체(110)의 테이퍼진 부분(112)을 수용하는 외형이 테이퍼진 부분(141)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140)은 상기 테이퍼진 부분(141) 바로 앞에서 베어링(120)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멀티콥터.




  9. 삭제
  10. 삭제
KR1020180113343A 2018-09-21 2018-09-21 발전기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멀티콥터 KR102102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343A KR102102607B1 (ko) 2018-09-21 2018-09-21 발전기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멀티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343A KR102102607B1 (ko) 2018-09-21 2018-09-21 발전기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멀티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092A KR20200034092A (ko) 2020-03-31
KR102102607B1 true KR102102607B1 (ko) 2020-05-29

Family

ID=70002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343A KR102102607B1 (ko) 2018-09-21 2018-09-21 발전기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멀티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6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384B1 (ko) 2022-05-26 2022-08-29 주식회사 숨비 체중에 따른 무게중심 조절 기능이 구비된 멀티콥터
KR102437385B1 (ko) 2022-05-26 2022-08-29 주식회사 숨비 연료량에 따른 무게중심 조절 기능이 구비된 멀티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0063A1 (ja) * 2020-04-14 2021-10-2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マルチコプタ
KR102330687B1 (ko) * 2021-02-17 2021-12-02 정동훈 하이브리드 엔진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드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84637A1 (en) * 2013-12-27 2015-07-02 Google Inc. Power Generation using Rotor Speed Control for an Aerial Vehicle
KR101863631B1 (ko) * 2016-12-29 2018-06-01 (주)지이에스 하이브리드 드론
KR101876346B1 (ko) * 2018-01-24 2018-07-10 (주) 에이티디랩 무인 비행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624B1 (ko) * 2009-04-01 2011-05-24 원신 스카이텍 주식회사 무인헬기의 엔진 냉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84637A1 (en) * 2013-12-27 2015-07-02 Google Inc. Power Generation using Rotor Speed Control for an Aerial Vehicle
KR101863631B1 (ko) * 2016-12-29 2018-06-01 (주)지이에스 하이브리드 드론
KR101876346B1 (ko) * 2018-01-24 2018-07-10 (주) 에이티디랩 무인 비행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384B1 (ko) 2022-05-26 2022-08-29 주식회사 숨비 체중에 따른 무게중심 조절 기능이 구비된 멀티콥터
KR102437385B1 (ko) 2022-05-26 2022-08-29 주식회사 숨비 연료량에 따른 무게중심 조절 기능이 구비된 멀티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092A (ko)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2607B1 (ko) 발전기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멀티콥터
US20220176900A1 (en) Low pressure generator for gas turbine engine
JP6879866B2 (ja) 垂直離着陸機
EP3473547B1 (en) Integrated heat management for hybrid propulsion
US20170137137A1 (en) Aircraft with a propulsion unit comprising a fan at the rear of the fuselage
CN207029543U (zh) 无人机及其旋翼组件
KR102029318B1 (ko)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을 구비한 멀티 콥터
JP2011502847A (ja) 航空機用の自律ローターシステム
JP2020183210A (ja) マルチコプタ
CN108533398A (zh) 一种对置式发电模块及包含该对置式发电模块的无人机
JP7032290B2 (ja) 電源装置及び飛行体
CN105952539A (zh) 一种微型涡喷发动机
CN216424758U (zh) 物流无人机
CN110259579A (zh) 燃气涡轮发电装置及飞行器
JP7033052B2 (ja) 電源装置、および飛行体
JP7028754B2 (ja) 電源装置
CA1143352A (en) Thrusters for airship control
JP7032289B2 (ja) 電源装置、および飛行体
CN208564750U (zh) 一种对置式发电模块及包含该对置式发电模块的无人机
CN105952537A (zh) 一种微型涡喷发动机
CN101304917A (zh) 用于船艇的发电机设备
JP2020083063A (ja) 電源装置及び飛行体
CN220701360U (zh) 一种油电混合多旋翼无人机
JP7479163B2 (ja) 電源装置
JP7231791B2 (ja) 飛行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