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039B1 - 사료 저장통과 사료 이송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블럭 - Google Patents

사료 저장통과 사료 이송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039B1
KR102102039B1 KR1020180086673A KR20180086673A KR102102039B1 KR 102102039 B1 KR102102039 B1 KR 102102039B1 KR 1020180086673 A KR1020180086673 A KR 1020180086673A KR 20180086673 A KR20180086673 A KR 20180086673A KR 102102039 B1 KR102102039 B1 KR 102102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connection block
transport pipe
shut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1785A (ko
Inventor
이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합축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to KR1020180086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039B1/ko
Publication of KR20200011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 이송배관의 직경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한 직경으로 제작된 사료 이송배관을 하나의 규격화된 사료 저장통의 상단에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사료 저장통과 사료 이송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블럭을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료저장통의 상단에 형성되며 중앙으로는 구멍이 관통 형성된 홈, 상기 홈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며 상단은 개방시켜 구성하고 내부에는 상기 사료이송배관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연결블럭, 상기 연결블럭의 수용공간 바닥면에 형성되는 통과구멍, 상기 연결블럭의 상단 양측 내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사료이송배관의 외경에 밀착되며 상기 사료이송배관을 고정하는 보강대, 상기 연결블럭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셔터통과부에 전, 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셔터, 상기 셔터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셔터의 이동에 따라 상기 사료이송배관의 배출구멍과 상기 연결블럭의 통과구멍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멍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사료 저장통과 사료 이송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블럭{CONNECTION BLOCK installed between feed storage and feed pipe}
본 발명은 사료 이송배관에 연결되는 사료 저장통 커버부재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료 이송배관의 직경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한 직경으로 제작된 사료 이송배관을 하나의 규격화된 사료 저장통의 상단에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사료 저장통과 사료 이송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 소, 개 등과 같은 가축은 각 개체별로 사료를 먹는 양이 다르고 또, 체격조건이나 체중 등, 성장시기에 따라 사료의 급여량이 다르며, 이에상응하도록 적정량의 사료를 급여하게 된다. 특히, 돼지의 경우 임신 초기 내지는 중기, 말기, 분만 전/후, 비유기, 비유말기, 임신대기기간 등에 따라 사료의 급여량이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에, 연령별, 산차별, 임신 기간별로 체중을 조절함으로서 건강한 새끼 돼지를 많이 생산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위해, 적정량의 사료 및 식수를 인위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한편, 가축에게 사료를 정량 공급하는 장치와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6-0120902 호(명칭: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바닥면에 설치된 사료 받침대로 사료를 설정된 양만큼 정확히 공급하는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 하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사료를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된 사료저장통, 상기 사료저장통의 개방된 하단에 끼워지며 내부에는 통로부가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상기 통로부를 통과한 사료를 상기 사료 받침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부캡, 상기 하부캡의 외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정해진 시간동안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캡의 통로부를 수평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경에 결합되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의 외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통로부 내면에 끝단이 접혀지거나 혹은 끝단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하부캡의 통로부를 개방시켜 사료를 통과시키는 블레이드로 구성한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블레이드는 휨이 자유로운 탄성 재질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선행기술의 사료저장통 위에는 사료를 이송하는 사료이송배관(즉, 사료공급관)이 연결되는 데, 이를 위해 사료저장통의 상단은 사료이송배관의 파이프 형상에 대응하도록 반원 형상의 안착부가 함몰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사료저장통의 상단에 형성된 안착부에 사료이송배관을 올려놓은 다음, 브라켓과 같은 고정기구로 사료이송배관을 사료저장통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사료이송배관은 축사의 가축 보유수에 따라 사료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배관의 직경이 다양하게 제작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이 다양한 직경으로 제작된 사료이송배관에 규격화되게 제작된 사료저장통을 설치하기가 불가능하여, 각 사료이송배관의 직경에 맞추어 사료저장통을 따로 제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필요이상의 비용이 발생될 수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6-0120902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직경으로 제작된 사료 이송배관을 하나의 규격화된 사료 저장통의 상단에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사료 저장통과 사료 이송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블럭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료저장통과 사료이송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블럭에 있어서, 사료저장통의 상단에 형성되며 중앙으로는 구멍이 관통 형성된 홈, 상기 홈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며 상단은 개방시켜 구성하고 내부에는 상기 사료이송배관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연결블럭, 상기 연결블럭의 수용공간 바닥면에 형성되는 통과구멍, 상기 연결블럭의 상단 양측 내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사료이송배관의 외경에 밀착되며 상기 사료이송배관을 고정하는 보강대, 상기 연결블럭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셔터통과부에 전, 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셔터, 상기 셔터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셔터의 이동에 따라 상기 사료이송배관의 배출구멍과 상기 연결블럭의 통과구멍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멍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대의 두께는 상기 연결블럭의 수용공간에 끼워지는 상기 사료이송배관의 직경에 맞추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축사에 설치되어 있는 사료이송배관에 사료저장통을 연결 설치할 때, 각 사료이송배관의 직경에 맞추어 사료저장통을 제작할 필요없이 다양한 두께의 보강대를 가진 연결블럭을 다수개 사출 성형한 상태에서 사료이송배관의 직경에 맞는 보강대를 가진 연결블럭을 끼워 연결 구성함으로서 사료저장통을 규격화되게 하나만 대량 생산하더라도 다양한 직경으로 축사에 설치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사료이송배관에 용이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료 저장통과 사료 이송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블럭의 전체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연결블럭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4와 도 5는 사료이송배관의 직경에 따른 연결블럭과의 결합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6과 도 7은 셔터의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하나의 실시 예를 대표하여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료 저장통과 사료 이송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블럭의 전체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연결블럭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료저장통(10)은 원통 혹은 사각형이나 다각형의 형태로 상단에는 사료이송배관이 연결되기 위한 연결구(20)가 마련되고 그 하단은 개방시켜 구성하고 내부에는 사료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사료저장통(10)의 개방된 하단에는 사료공급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사료공급수단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사료저장통의 하단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켜 사료를 사료받침대로 정량 공급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수단인 바, 이러한 사료공급수단의 상세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임에 따라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사료저장통(10)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구(20)는 사료이송배관(70)을 타고 이송된 사료를 상기 사료저장통(10)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사료이송배관(70)에 사료저장통(10)을 연결 설치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수단이다.
상기 연결구(20)는 중앙으로 홈(22)이 함몰 형성되고 그 양측 상단에는 후술하는 커버(80)와 볼트(82) 체결되기 위한 체결구(24)가 상대적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연결구(20)에 형성된 홈(22)의 바닥면에는 구멍(26)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구멍(26)은 셔터(50)의 개폐 동작에 따라 사료이송배관(70)으로 이송된 사료를 사료저장통(10)으로 공급 및 공급 차단하게 된다.
상기 홈(22)의 앞쪽 및 뒤쪽에는 끼움홈(28)이 더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28)에는 연결블럭(30)의 끼움돌기(42)가 끼워진다.
상기 사료저장통(10)의 연결구(20)에는 연결블럭(30) 및 셔터(50)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블럭(30)은 사료이송배관(70)의 직경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한 직경 크기로 제작된 사료이송배관(70)에 하나의 규격화되게 제작된 사료저장통(10)의 연결구(20)를 설치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수단이다.
상기 연결블럭(30)은 연결구(20)의 홈(22)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단은 개방(32)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사료이송배관(70)이 끼워지기 위한 수용공간(34)이 구비되도록 사출 성형되며, 상기 연결블럭(30)의 수용공간 바닥면에는 통과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그 양측 내면에는 보강대(38)가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연결블럭(30)의 양측 내면에 돌출 형성된 보강대(38)는 상기 수용공간(34)에 사료이송배관(70)이 끼워지고 나면 상기 사료이송배관(70)의 외경에 밀착되며 사료이송배관(70)을 수용공간(34)에 유동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보강대(38)는 연결블럭(30)을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사료이송배관(70)의 직경에 맞추어 다양한 두께를 가지도록 제작한다. 즉, 보강대(38)의 두께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사료이송배관(70)의 직경에 맞는 두께를 가진 보강대(38)를 구비한 연결블럭(30)을 사료저장통(10)의 홈(22)에 끼워넣음으로서 사료이송배관(70)의 직경에 맞는 사료저장통(10)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 없이 사료저장통(10)을 규격화되게 하나만 제작하더라도 해당 사료이송배관(70)의 직경에 맞는 보강대(38)를 가진 연결블럭(30)을 사료저장통(10)의 홈(22)에 끼워넣는 것만으로 다양한 직경을 가진 사료이송배관(70)에 사료저장통(10)을 유동없이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예로, 도 4에서와 같이 사료이송배관(70)의 직경이 클 경우에는 이에 맞추어 보강대(38)의 두께가 얇게 성형된 연결블럭(30)을 사료저장통(10)의 홈(22)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커버(80)와 볼트(82) 체결시켜 사료이송배관(70)에 사료저장통(10)을 연결할 수 있으며,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사료이송배관(70)의 직경이 작을 경우에는 이에 맞추어 보강대(38)의 두께가 두껍게 성형된 연결블럭(30)을 사료저장통(10)의 홈(22)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커버(80)와 볼트(82) 체결시켜 사료이송배관(70)에 사료저장통(10)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블럭(30)의 내부 수용공간(34)의 하단에는 상기 보강대(38)가 가진 두께를 통해 셔터통과부(40)가 형성되고, 상기 셔터통과부(40)로 셔터(50)가 전, 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연결블럭(30)의 하단 전, 후방에는 끼움돌기(4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42)는 상기 사료저장통(10)의 홈(22)에 상기 연결블럭(30)이 끼워지고 나면 상기 홈(22)의 전, 후방에 형성된 끼움홈(28)에 끼워지며 연결블럭(30)을 유동없이 홈(22)에 걸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셔터(50)는 상기 연결블럭(30)의 셔터통과부(40)에 전, 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연결블럭(30)의 통과구멍(36)을 개폐시켜 사료이송배관(70)을 타고 이송된 사료를 공급 및 차단시키게 된다.
상기 셔터(50)의 바닥면에는 연결구멍(5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멍(52)은 상기 셔터(50)의 전, 후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사료이송배관(70)의 배출구멍(72)과 연결블럭(30)의 통과구멍(36)을 각각 선택적으로 연결시켜 사료이송배관(70)의 사료를 사료저장통(1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셔터(50)의 길이는 상기 연결블럭(30)의 길이 보다 더 길게 제작하여 상기 연결블럭(30)의 셔터통과부(40)에 셔터(50)가 끼워지더라도 상기 셔터(50)의 양측은 상기 연결블럭(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연결블럭(3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셔터(50)의 양측 하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셔터(50)를 움직일 수 있도록 그립편(54)을 돌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료저장통(10)을 사료이송배관(70)에 조립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사료이송배관(70)의 직경에 맞는 두께의 보강대(38)를 가진 연결블럭(30)을 선택한 후, 해당 연결블럭(30)을 사료저장통(10)의 연결구(20) 홈에 끼워넣도록 한다.
다음, 연결블럭(30)의 내부 수용공간(34) 하단에 마련된 셔터통과부(40)에 셔터(50)를 올려놓은 후, 사료이송배관(70)이 연결블럭(30)의 보강대(38) 내측면에 수용되도록 조립한 다음, 수용공간(34)에 수용되도록 연결블럭(30)을 사료이송배관(70)에 조립한 다음, 커버(80)와 볼트(82) 체결시켜 사료저장통(10)을 사료이송배관(70)에 조립 완료한다.
즉, 본 발명은 축사에 설치되어 있는 사료이송배관(70)에 사료저장통(10)을 연결 설치할 때, 각 사료이송배관(70)의 직경에 맞추어 사료저장통(10)을 제작할 필요없이 다양한 두께의 보강대(38)를 가진 연결블럭(30)을 다수개 사출 성형한 상태에서 사료이송배관(70)의 직경에 맞는 보강대(38)를 가진 연결블럭(30)을 끼워 연결 구성함으로서 사료저장통(10)을 규격화되게 하나만 대량 생산하더라도 다양한 직경으로 축사에 설치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사료이송배관(70)에 용이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10: 사료저장통 20: 연결구
22: 홈 26: 구멍
30: 연결블럭 34: 수용공간
36: 통과구멍 38: 보강대
40: 셔터통과부 50: 셔터
52: 연결구멍 70: 사료이송배관
80: 커버

Claims (2)

  1. 다양한 직경 크기로 제작된 사료이송배관(70)에 하나의 규격화되게 제작된 사료저장통(10)의 연결구(2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사료저장통(10)과 사료이송배관(70)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블럭(30)에 있어서,
    사료저장통(10)의 상단에 형성되며 중앙으로는 구멍(26)이 관통 형성된 홈(22);
    상기 홈(22)의 전, 후방에 형성된 끼움홈(28);
    상기 끼움홈(28)에 끼워지는 끼움돌기(42)가 하단 전,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홈(22)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단은 개방시켜 구성하고 내부에는 상기 사료이송배관(7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34)이 형성된 연결블럭(30);
    상기 연결블럭(30)의 수용공간(34) 바닥면에 형성되는 통과구멍(36);
    상기 연결블럭(30)의 상단 양측 내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블럭의 수용공간(34)에 수용된 상기 사료이송배관(70)의 외경에 밀착되며 상기 사료이송배관(70)을 고정하는 보강대(38) ;
    상기 연결블럭(30)의 내부 수용공간(34)의 하단에 상기 보강대(38)가 가진 두께에 의해 형성되는 셔터통과부(40);
    상기 셔터통과부(40)에 전, 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셔터(50);
    상기 셔터(50)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셔터(5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사료이송배관(70)의 배출구멍(72)과 상기 연결블럭(30)의 통과구멍(36)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멍(52)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연결블럭(30)은 상기 보강대(38)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하여 다수개의 연결블럭(30)들을 사출 성형한 상태에서 상기 사료이송배관(70)의 직경에 맞는 보강대(38)의 두께를 가진 연결블럭(30)을 상기 사료저장통(10)의 홈(22)에 끼워넣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저장통과 사료이송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블럭.







  2. 삭제
KR1020180086673A 2018-07-25 2018-07-25 사료 저장통과 사료 이송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블럭 KR102102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673A KR102102039B1 (ko) 2018-07-25 2018-07-25 사료 저장통과 사료 이송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673A KR102102039B1 (ko) 2018-07-25 2018-07-25 사료 저장통과 사료 이송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785A KR20200011785A (ko) 2020-02-04
KR102102039B1 true KR102102039B1 (ko) 2020-05-29

Family

ID=69571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673A KR102102039B1 (ko) 2018-07-25 2018-07-25 사료 저장통과 사료 이송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0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332Y1 (ko) * 2005-07-28 2005-10-12 박수연 가축 사료 제한 급이기의 급이기 연결구
JP2015047112A (ja) 2013-08-30 2015-03-16 株式会社中嶋製作所 飼料貯蔵タンクと搬送パイプとの接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04149C2 (nl) * 1996-09-30 1998-03-31 Roxell Nv Voederinstallatie, en klep bestemd voor gebruik in een dergelijke installatie.
KR19990033017U (ko) * 1998-10-22 1999-08-05 유인택 다른 직경의 파이프들을 연결하는 관연결구
KR200450205Y1 (ko) * 2008-02-15 2010-09-10 진은정 양계용 사료 공급기의 사료통 고정장치
KR101794667B1 (ko) 2015-04-09 2017-11-07 이창현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332Y1 (ko) * 2005-07-28 2005-10-12 박수연 가축 사료 제한 급이기의 급이기 연결구
JP2015047112A (ja) 2013-08-30 2015-03-16 株式会社中嶋製作所 飼料貯蔵タンクと搬送パイプとの接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785A (ko) 202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7284B1 (ko) 중량센서를 이용하는 사료량 측정장치
US7699025B2 (en) Structure of feeder for supplying water and pet food
KR20200079185A (ko) 반려동물 사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사료공급방법
KR20220017225A (ko) 반려동물용 사료 자동 공급기
CN212260116U (zh) 一种用于畜牧养殖用的喂食装置
US20110132266A1 (en) Pet activated feeder system
KR102102039B1 (ko) 사료 저장통과 사료 이송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블럭
US8161907B2 (en) Livestock waterer
KR200337595Y1 (ko) 액상대용유 자동급이 시스템
US3180318A (en) Adjustable quantity discharge animal feeding apparatus
KR102131499B1 (ko) 사료이송배관에 사료저장통을 연결하는 커버
KR101735009B1 (ko)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US3727584A (en) Animal food supplement dispenser and feeder
WO2018059634A1 (en) An automatic dry feeder
KR101630603B1 (ko) 모돈급이기
US3515099A (en) Mechanical feeders for livestock
KR20130135678A (ko) 양계용 사료 공급기
KR20030048639A (ko) 사료 자동급이기의 적량 공급장치
KR20170075217A (ko)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KR20170002650U (ko) 축산용 자동 급이기
KR102624008B1 (ko) 사료 저장량 조절장치
KR20160075043A (ko) 웹 프로그램을 이용한 모돈용 tmr 자동 급이 시스템 및 급이 방법
EP3346829B1 (en) An animal drinker
KR101427557B1 (ko) 모돈 자유 급이기
WO2020185062A1 (es) Dispensador de alimento para anima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