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017U - 다른 직경의 파이프들을 연결하는 관연결구 - Google Patents

다른 직경의 파이프들을 연결하는 관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017U
KR19990033017U KR2019980020192U KR19980020192U KR19990033017U KR 19990033017 U KR19990033017 U KR 19990033017U KR 2019980020192 U KR2019980020192 U KR 2019980020192U KR 19980020192 U KR19980020192 U KR 19980020192U KR 19990033017 U KR19990033017 U KR 199900330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tip portions
pipes
different diameters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택
김철
Original Assignee
유인택
주식회사 정우카프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택, 주식회사 정우카프링 filed Critical 유인택
Priority to KR2019980020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3017U/ko
Publication of KR199900330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017U/ko

Links

Landscapes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경이 서로 다른 파이프들을 연결하는 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울드(2a,2b)에 의해 체결되는 케이싱(3) 내부에 공간부(4a,4b)들과 이에 연통되는 물구멍(5a,5b)들을 갖춘 팩킹(6)이 상기 케이싱(3)의 단부들에 설치된 그립들(7a ,7b )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파이프들을 서로 연결하는 공지의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팩킹(6)의 양쪽 선단부들(6a,6b)의 두께들(T1,T2)을 다르게 형성시키고, 이 선단부들(6a,6b)의 크기도 다르게 형성시키며, 이 팩킹(6)의 양쪽 선단부들(6a,6b)을 보유지지하는 그립들(7a,7b)은 각각 이들에 접하는 선단부들(6a,6b)의 저면부까지 동일하게 경사져 연장되어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다른 직경의 파이프들을 연결하는 관연결구
본 고안은 파이프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공지의 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경이 다른 파이프들을 연결하는 다른 직경 파이프들을 연결하는 관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2개의 파이프들을 서로 연결할 때 이용되는 관연결구는 기히 공지된 바, 그 중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89-2181호와, 특허공고 제90-6814호 및, 실용신안공고 제89-2676호와 실용신안공고 제89-2677호들은 직경이 동일한 파이프들을 이들의 양쪽선단부에서 서로 연결시키는 관연결구들임을 알 수 있다.
이같은 종래 관연결구들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직경의 파이프들을 서로 연결시킬 때 그 기능과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나, 직경이 다른 파이프들을 서로 연결시킬 때에는 이용할 수가 없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직경이 다른 2개의 파이프들의 선단들을 감축소켓트와 같은 리듀서(Reducer)와 별도의 밀봉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된 다중직경의 파이프들을 연결하는 관연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관연결구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연결구의 부분작용상태 확대단면도이다.
1a,1b - 파이프, 2a,2b - 보울트,
3 - 케이싱, 4a,4b - 공간부,
5a,5b - 물구멍, 6 - 팩킹,
6a,6b - 선단부, 7a,7b - 그립,
T1,T2 - 팩킹의 두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케이싱 내부에 공간부와 이에 연통되는 물구멍들을 갖춘 팩킹이 이 하우징 단부들에 설치된 양쪽그립들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이루어진 공지의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팩킹의 양쪽 선단부의 두께를 다르게 형성시키고, 이 선단부들에 형성된 공간부의 크기도 다르게 형성될 뿐만 아니라, 이 팩킹의 양쪽 선단부들을 보유지지하는 두가지 형태의 그립들은 각각 이들에 접하는 선단부들의 저면부와 동일하게 경사져 연장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다층직경들을 갖춘 2개의 파이프들(1a,1b)을 서로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공지의 보울트(2a,2b)에 의해 체결되는 케이싱(3) 내부에 공간부(4a,4b)들과 이에 연통되는 물구멍(5a,5b)들을 갖춘 팩킹(6)이 상기 케이싱(3)의 단부들에 설치된 두가지 형태의 그립들(7a,7b)에 의해 보유지지되되, 상기 팩킹(6)의 양쪽 선단부들(6a,6b)의 두께들(T1,T2)을 다르게 형성시키고, 이 선단부들(6a, 6b)의 크기도 다르게 형성시키며, 이 팩킹(6)이 양쪽 선단부들(6a, 6b)을 보유지지하는 두가지 형태의 그립들(7a, 7b)은 각각 이들에 접하는 선단부들(6a,6b)의 저면부까지 동일하게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상기 팩킹(6)의 양쪽 선단부들(6a, 6b)이 서로 다른 두께(T1,T2)로 형성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선단부(6a)의 두께(T1)는 다른쪽 선단부(6b)의 두께(T2)에 비해 얇게 되어 있다. 즉, T1T2인 관계로 얇은 두께(T1)를 갖춘 팩킹(6) 부위는 두꺼운 두께(T2)를 갖춘 팩킹(6) 부위가 접하는 파이프(1b) 보다 직경이 큰 파이프(1a)에 접하여 고착되어 진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관연결구가 직경이 다른 2개의 파이프들(1a,1b)에 설치되었을 때, 유체압의 각각의 물구멍들(5a,5b)을 통해 화살표 방향으로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작용하게 되어 공간부(4a,4b)에서 동일한 압력으로 팩킹(6)을 외부로 밀어내어 유체누수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파이프(1b)에 접하는 팩킹(6)의 공간부(4b) 체적은 큰 직경파이프(1a)에 접하고 팩킹(6)의 공간부(4a) 체적보다 크게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 공간부들(4a,4b) 체적차이는 대응하는 팩킹(6)의 양쪽 선단부(6a,6b)의 두께 등을 감안하여 적절하게 조절함은 물론, 큰 직경의 파이프(1a)에서 작은 직경의 파이프(2b)로 유체압 진행시 발생될 수 있는 와류 및 충격현상에도 안정성이 유지되도록 공간부(4a)보다 공간부(4b)를 크게 하여 더욱 확실한 밀착효과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직경을 달리하는 2개의 파이프들을 서로 연결할 때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면서 직경이 다른 파이프들이 연결되어진 후 유체누수현상도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기존의 리듀서 관이음쇠를 이용한 공사방법에 비해 좋은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해지고 무용접에 의거 작업시간은 단축되며 부품수 절약등으로 공사비 절감에 많은 효과를 갖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보울트(2a,2b)에 의해 체결되는 케이싱(3) 내부에 공간부(4a,4b)들과 이에 연통되는 물구멍(5a,5b)들을 갖춘 팩킹(6)이 상기 케이싱(3)의 단부들에 설치된 그립들(7a,7b)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파이프들을 서로 연결하는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팩킹(6)의 양쪽 선단부들(6a,6b)의 두께들(T1,T2)을 다르게 형성시키고, 이 선단부들(6a,6b)의 크기도 다르게 형성시키며, 이 팩킹(6)의 양쪽 선단부들(6a,6b)을 보유지지하는 두가지 형태의 그립들(7a,7b)은 각각 이들에 접하는 선단부들(6a,6b)의 저면부까지 동일하게 경사져 연장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직경의 파이프들을 연결하는 관연결구.
KR2019980020192U 1998-10-22 1998-10-22 다른 직경의 파이프들을 연결하는 관연결구 KR199900330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192U KR19990033017U (ko) 1998-10-22 1998-10-22 다른 직경의 파이프들을 연결하는 관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192U KR19990033017U (ko) 1998-10-22 1998-10-22 다른 직경의 파이프들을 연결하는 관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017U true KR19990033017U (ko) 1999-08-05

Family

ID=69710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192U KR19990033017U (ko) 1998-10-22 1998-10-22 다른 직경의 파이프들을 연결하는 관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301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785A (ko) * 2018-07-25 2020-02-04 주식회사 연합축산 사료 저장통과 사료 이송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블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785A (ko) * 2018-07-25 2020-02-04 주식회사 연합축산 사료 저장통과 사료 이송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1654B1 (ko) 배관이음용커플링
US5997045A (en) Pipe joint
CN111322470B (zh) 一种锁扩式管道连接件
KR19990033017U (ko) 다른 직경의 파이프들을 연결하는 관연결구
JPH07317153A (ja) 角形鋼管柱の接合構造
CA2196572C (en) Pipe joint
SE9901163L (sv) Rörskarv samt sätt att tillverka en rörskarv
CN216112744U (zh) 一种承插式pe给水管的连接结构
CN216242886U (zh) 不锈钢90°m型卡包对接头
CN211951721U (zh) 管路连接装置及挖掘机
KR200295997Y1 (ko) 수도꼭지 연결장치
CN216952069U (zh) 一种耐冲击的汽车软管直通接头
KR200158042Y1 (ko) 동관 접속장치
CN210565539U (zh) 一种金属管材的快速连接件
KR20190091172A (ko) 파이프 배관용 2단 플랜지
KR100951054B1 (ko) 지하수 관정으로 삽입되는 수중 펌프의 토출 배관용 관연결구
CN213839923U (zh) 一种交错口密封液压管接头
CN220910733U (zh) 一种防脱落球墨铸铁套筒连接结构
CN219432658U (zh) 一种高强度的焊管
CN215596655U (zh) 一种刚性直管总成
CN216279995U (zh) 一种高强度具有导水性能的再生混凝土管
KR200464849Y1 (ko) 맞춤형 벌크헤드 유니온
KR100655173B1 (ko) 배관이음용 커플링
KR200220053Y1 (ko) 관 연결구
KR0136379Y1 (ko) 지하수 개발을 위한 관정용의 관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