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893B1 - 시설물의 붕괴와 낙하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시설물의 붕괴와 낙하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893B1
KR102101893B1 KR1020180112699A KR20180112699A KR102101893B1 KR 102101893 B1 KR102101893 B1 KR 102101893B1 KR 1020180112699 A KR1020180112699 A KR 1020180112699A KR 20180112699 A KR20180112699 A KR 20180112699A KR 102101893 B1 KR102101893 B1 KR 102101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case
collapse
power supply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4049A (ko
Inventor
김영아
이경민
김익환
김태엽
복석영
황현태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12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893B1/ko
Publication of KR20200034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an emergency event, e.g. a fal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2Generating a prealarm to the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물의 붕괴와 낙하를 감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시설물에 장치를 부착하여 기울임과 회전등의 설치상태를 측정하고, 측정값이 위험범위에 포함되면 연결된 스피커를 통해 설치장소에 위험을 알려 시설물로 접근을 차단하고 동시에 관리자에게 통보해 신속한 시설점겅이 이루어지게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시설물의 붕괴 및 낙하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설물의 붕괴와 낙하 감지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THE COLLAPSE AND FALL OF FACILITIES}
본 발명은 시설물의 붕괴와 낙하를 감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시설물에 장치를 부착하여 기울임과 회전등의 설치상태를 측정하고, 측정값이 위험범위에 포함되면 연결된 스피커를 통해 설치장소에 위험을 알려 접근을 차단하고 동시에 관리자에게 통보해 신속한 시설점겅이 이루어지게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시설물의 붕괴 및 낙하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력에 의해 붕괴위험이 큰 시설물로는 도로인근에 설치되는 도로시설물과, 전기등을 송전하기 위한 전기통신시설물 및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간판등이 대표적이다.
상기 도로시설물은 도로에 설치하여 길을 잘 찾아 가도록 운전자나 보행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가로등, 신호등, 안내표지판 등이 있으며, 전기통신시설물은 생산된 전기를 이송하는 송전탑이나 전신주 및 통신중계탑이 있다.
상기 도로시설물은 일반 보행도로나 차도측에 설치되어 보행이나 자동차 운전이 안전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특히 차도에 설치되는 도로시설물의 경우에는 개방된 형태이므로 강풍에 의해 피로도가 누적되어 피로파괴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전기통신시설물은 전신주의 경우 인구밀집지역에 설치되어 각종 전력선연결이나 통신선 연결이 이루어지나 인근지역의 건물신축이나 토목공사 또는 자연적인 요인에 의해 지반이동이 이루어져 기울어져 쓰러질 수 있고, 통신중계탑과 송전탑의 경우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저항없이 강풍에 노출되어 피로도 누적에 의한 피로파괴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간판은, 건물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강풍 발생시 외력이 집중되어 전달되기 때문에 피로누적에 의한 파손이 빈번히 발생되었다. 근래에는 간판설치 방식에 대해 법제화하여 규제를 하고 있으나, 강풍에 의한 외력집중에 의한 피로파괴에 대한 근본원인은 해소할 수 없었다. 특히 간판이 파손되면 지면으로 낙하하기 때문에 인근지역을 이동하는 사람에게 상해를 가하거나 안치된 물건을 파손시키는 위험성이 내재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92356호(2012.10.11.등록; 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에서는 도로시설물 감시시스템을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1은 가로등, 신호등, 도로 표지판을 포함하는 도로 시설물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도로 시설물의 기울어짐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획득 및 판단한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로등의 기울기가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것이 감지되고, 그 상태가 일정시간 유지될 경우 상기 가로등이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선행문헌1은 도로시설물의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한 다음 관리서버의 신호를 확인하여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발생과 대응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5~10초 사이의 단시간에 기울어짐과 파손이 발생될 경우 특히 강풍에 의한 시설물 쓰러짐 또는 간판 낙하시에는 인근지역을 이동하는 보행자들에게 전혀 도움을 제공할 수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68979호(2016.10.18.등록; 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에는 가로등 및 이를 위한 관제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2는 가로등에 통신부, 자이로센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가로등의 파손여부와 함께 파손된 가로등이 도로로 침범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후속조치를 신속하게 처리하게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문헌2도 관리자에게만 정보를 제공할 뿐 인근 지역을 이동하는 보행자에게는 위험성을 알리는 수단을 구비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시설물에 설치되어 붕괴나 낙하위험이 발생될 때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인근지역의 보행자에게도 위험성을 알려 대피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92356호(2012.10.11.등록) : 도로시설물 감시시스템 한국등록특허 제10-1668979호(2016.10.18.등록) : 가로등 및 이를 위한 관제 시스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설물의 붕괴 및 낙하 감지장치는,
시설물에 부착하여 외력에 의해 기울어짐을 측정하여 위험여부를 판단하고, 붕괴 또는 낙하 위험이 발생되면 외부에 위험 알림음을 발산하여 인근 보행자에게 대피 및 접근을 차단시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 일측의 알림음 방출부분에 확장형 통공을 다수 형성하여 발생된 알림음을 확성하여 방출시킬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설물의 붕괴 및 낙하 감지장치는,
시설물에 장착되는 감지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를 덮어 폐구시키는 덮개로 구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시설물의 위치변화량을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설정값과 대비하여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인지 이하인지 판단하여 판단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판단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판단정보에서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이면 제어부로부터 작동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위험알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일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동일한 간격의 측면과 바닥면에 동일한 크기의 결합통공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결합통공에는 일축방향으로 내부에서 외부로 확장된 확성통공이 형성되고, 확성통공과 동축상으로 스피커가 장착되는 확성부재가 더 장착되되, 상기 확성부재는 복수의 결합통공 중 어느 한 부분으로 삽입되어 스피커에서 출력된 알림음을 외부로 확산시켜 방출하고, 확성부재의 측면은 다른 결합통공을 폐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을 형성하여 전원부를 분리배치시키되 전선만 격벽을 통과하여 배선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부가 안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부분에는 개폐도어를 형성하여 전원부의 배터리를 교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케이스 외면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하고, 케이스 수용공간에는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생산된 전기를 축전시키는 축전기, 축전된 전기를 사용전기로 변환시키는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측면에 장착날개를 돌출시켜 장착날개를 통해 시설물에 나사결합 또는 볼트결합 또는 접착제를 통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스피커가 장착된 면에 통공을 형성하여 스피커에서 출력된 알림음을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되, 상기 통공은 내부에서 외부로 확장된 하나 또는 다수개의 확성통공으로 형성하여 방출되는 알림음이 확성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6축자이로센서이고, 제어부는 아두이노이고, 스피커는 피에조스피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시설물의 붕괴 및 낙하 감지장치는,
기존 시설물이나 신규시설물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시설물의 위치변화량 측정에 의해 붕괴 및 낙하 이전에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관리자에게 신속한 시설물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동시에 시설물의 인근지역으로 위험알림음을 즉시 출력하여 보행자에게도 시설물의 위험성을 알림으로서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설물의 관리안전성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를 도시한 구성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확성통공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확성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도어 또는 태양전지판이 형성된 감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붕괴 및 낙하 감지장치(10)는 시설물에 설치되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내에 안치되는 센서부(30), 제어부(40), 송신부(50), 스피커(60) 및 전원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0)는 도 2a를 참조한 바와같이 내부에 수용공간(22)이 형성된 본체(21)와,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면을 덮어 폐구시키는 덮개(23)로 구성된다. 상기 덮개(23)는 본체와 접하는 면에 단턱(231)을 형성하여 덮개 내측부분은 본체 수용공간으로 내입되고, 가장자리부분은 본체 단부와 접하여 결합시켜 덮개와 본체 결합시 덮개 또는 본체의 결합면이 측면으로 비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와 덮개의 결합은 단턱(231)을 이용한 억지끼움 또는 나사결합 등 다양하게 공지된 결합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0)는 시설물에 접촉되는 면에는 측면으로 장착날개(25)를 더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장착날개(25)를 통해서 시설물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케이스(20)는 덮개(23)가 시설물에 접촉되는 예로 도시된 것으로, 상기 덮개에는 측면으로 장착날개가 연장형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장착날개(25)에는 결합공을 형성하여 나사의 몸체를 관통하여 시설물에 결합시켜 시설물과 케이스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물론 접착제를 이용하여 케이스의 본체나 덮개 중 일측을 시설물에 부착시킬 경우에는 장착날개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케이스(20)는 내부에 격벽(24)을 형성하여 수용공간(22)을 다양하게 구획할 수 있다. 상기 격벽(24)은 수용공간에 장착하는 부품을 서로 분리하여 장착되게 하거나 부품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별도의 고정수단없이 격벽이 구획한 공간으로 부품을 끼워넣는 방식만으로도 부품고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 사이즈의 일예로는 가로*세로*높이를 120mm * 110mm * 50~60mm 로 제조하고, 외벽두께는 5mm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고, 장착날개(25)는 일측면에서 80mm의 폭으로 20~30mm 연장되도록 구성하여 최소화된 크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30)는, 케이스의 수용공간(22)에 설치되는 것으로, 위치변화량을 측정하여 시설물의 상태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위치변화량으로는 기울기의 변화량 또는 회전량 일 수 있다. 상기 센서부(30)는 일반적인 기울기센서인 3축 가속도센서를 사용하거나, 3축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6축 자이로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MPU-6050(Arduino 제품명)를 사용하여 가속도와 각속도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제공한다. 상기 센서부는 현재의 위치로부터 일정시간단위로 위치량의 변화값을 측정해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센서부(30)에서 전달받은 측정값을 기 설정된 설정값과 대비하여 설정값보다 이상인지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판단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판단정보는 상기 기설정된 설정값과의 대비로 생성하거나, 일정시간 동안의 측정된 측정값의 변화량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별도의 관리단말기나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 입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고, 감지장치 내부의 각 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신호를 전달하는 각종 제어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40)로는 아두이노를 사용하여 각종 센서나 부품과의 연결이 이루어지기 하면서 제조된 프로그램을 적용시켜 제어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30)를 통한 측정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이상현상이 발생되었을 때 또는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선택적인 측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조건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송신부(50)는 제어부(40)와 연결되어 관리단말기 또는 관리서버로 각종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기기이다. 상기 송신부(50)는 근거리통신 방식을 적용하거나, LTE망 등 무선통신망을 통해 정보송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센서부에서 제어부로 판단정보를 제공하며, 제어부는 송신부를 통해 판단정보를 관리단말기 또는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측정데이터를 누적저장하면서 관리단말기 또는 관리서버가 변화량 변동량등에 의한 이상유무확인으로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송신부를 통해 송신되는 판단정보에 위치정보 또는 감지장치의 고유식별전호를 부여하여 송신함으로써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피커(60)는 센서부의 측정값이 설정값 또는 허용변동량 이상이면 제어부(40)로부터 작동신호를 전달받아 위험알림음을 출력한다. 상기 스피커(60)는 대표적으로 피에조스피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 다양한 음출력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60)는 케이스(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스피커(60)의 음출력방향에 위치하는 케이스(20) 면에는 통공을 형성하여 스피커에서 출력된 알림음을 외부로 방출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통공은 일반적인 원통형통공 형태 이외에 도 3a을 참조한 바와같이 다수개의 확성통공(27)으로 형성하여 발생된 알림음이 확성되어 외부로 방출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확성통공(27)은 케이스 내부측 직경보다 외부측 직경이 더 큰 원뿔형태로 형성하여 확성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스(20)에는 스피커가 고정되는 부분의 벽체 두께를 증가시키고, 증가된 두께부분에 확성통공(27)을 단독으로 형성하여 확성기 기능을 제공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두꺼운 케이스 두께에 의해 확성통공이 길게 형성되므로 도 3a의 형태보다는 음의 확성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확성통공(27)은 시설물에 감지장치 설치시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하여 우수나 오염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케이스(20)는 직육면체로 형성하고, 일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측면과 바닥면에 동일한 크기의 결합통공(28)을 형성하되 기준이 되는 모서리와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배치하고, 상기 케이스의 결합통공에는 확성통공(27)을 갖고 확성통공과 동축상으로 스피커(60)가 장착되는 확성부재(29)를 장착하되 상기 확성부재(29)는 복수의 결합통공 중 어느 한 부분에 삽입되면 확성부재(29)의 측면이 다른 결합통공(28)을 폐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같이 케이스(20)에 결합통공(28)을 2개 또는 3개가 서로 3축상으로 교차되는 점을 중심으로 각각의 축상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면 도 4b와 같이 감지장치(10)를 시설물의 측면에 설치하거나 도 4c와 같이 시설물의 바닥면에 설치할 때 하부로 향하는 결합통공으로 확성부재(29)를 장착하여 항상 확성통공(27)이 하부를 향하게 할 수 있다.
물론 확성부재를 케이스에 힌지결합하여 원하는 방향으로의 음출력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70)는 각 부품으로의 전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전원부(70)는 케이스(20) 내부에 고정형태로 설치되거나 교체가능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교체형으로 적용시에는 도 5a를 참조한 바와같이 케이스(20) 내부에 격벽(24)을 형성하여 수용공간을 구획하고, 구획된 공간에 전원부를 분리배치시키고 전선만 격벽을 통과하여 배선이 이루어지게 하고,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벽체는 착탈가능한 개폐도어(26)로 형성하여 케이스 덮개를 분리하지 않아도 외부로부터 전원부의 배터리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5b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전원부(70)는 케이스(20) 외면에 태양전지판(71)을 설치하여 자가발전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판(71)은 케이스 외면중 상부로 측에 설치하여 태양광 입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케이스 내부의 전원부에는 태양전지판에서 생산된 전기를 축전시키는 축전기와, 축전된 전기를 사용전기로 변환시키는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미도시되었지만 전원부의 구성을 압전소자와 풍압에 의해 압전소자를 가압하는 가압판 및 축전기로 구성하여 전원 축전 및 공급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설물의 붕괴 및 낙하 감지장치(10)는,
기존 시설물이나 신규시설물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센서부(30)에서 실시간 또는 이상시 측정값을 제어부(40)로 전송한다. 제어부(40)는 측정값에 의해 판단정보를 생성하고, 고유식별번호 및/또는 위치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송신부(50)를 통해 관리서버나 관리단말기로 전송하여, 관리자로부터 시설 상태 정보를 제공해 정상여부를 확인하거나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센서부(30)의 측정값 분석에서 이상이라 판단되면 스피커(60)를 통해 위험알림음을 시설물 인근지역으로 출력하여 인근지역 시설물과 근접한 영역을 통과하는 사람에게 위험성을 알려 시설물로의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특히 감지장치의 케이스(20)에 형성된 확성통공(27)에 의해 스피커에서 발생된 음을 확성시킬 수 있으므로 인근영역 통과자들한테 위험 알림음의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시설물의 붕괴나 낙하 이전 시점을 즉시 감지하여 인근영역으로 경고음을 발송시킴으로써 관리자에 의한 시설점검이 이루어지는 시점 사이에 시설물의 붕괴나 낙하로 인한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10 : 감지장치
20 : 케이스
21 : 본체 22 : 수용공간
23 : 덮개 24 : 격벽
25 : 장착날개 26 : 개폐도어
27 : 확성통공 28 : 결합통공
29 : 확성부재 231 : 단턱
30 : 센서부
40 : 제어부
50 : 송신부
60 : 스피커
70 : 전원부
71 : 태양전지판

Claims (6)

  1. 시설물에 장착되는 감지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22)이 형성된 본체(21)와, 본체를 덮어 폐구시키는 덮개(23)로 구성된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시설물의 위치변화량을 측정하는 센서부(30)와;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설정값과 대비하여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인지 이하인지 판단하여 판단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의 판단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송신부(50)와; 상기 판단정보에서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이면 제어부로부터 작동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위험알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60)와;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20)는 일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동일한 간격의 측면과 바닥면에 동일한 크기의 결합통공(28)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결합통공에는 일축방향으로 내부에서 외부로 확장된 확성통공(27)이 형성되고, 확성통공과 동축상으로 스피커(60)가 장착되는 직육면체의 확성부재(29)가 더 장착되되,
    상기 확성부재(29)는 복수의 결합통공(28) 중 어느 한 부분으로 삽입되어 스피커에서 출력된 알림음을 외부로 확산시켜 방출하고, 확성부재의 측면은 다른 결합통공을 폐구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의 붕괴 및 낙하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는 내부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격벽(24)을 형성하여 전원부(70)를 분리배치시키되 전선만 격벽을 통과하여 배선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부가 안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부분에는 개폐도어(26)를 형성하여 전원부의 배터리를 교체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의 붕괴 및 낙하 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70)는,
    케이스(20) 외면에 태양전지판(71)을 설치하고, 케이스 수용공간에는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생산된 전기를 축전시키는 축전기, 축전된 전기를 사용전기로 변환시키는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의 붕괴 및 낙하 감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는,
    측면에 장착날개(25)를 돌출시켜 장착날개를 통해 시설물에 나사결합 또는 볼트결합 또는 접착제를 통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의 붕괴 및 낙하 감지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0)는 6축자이로센서이고, 제어부(40)는 아두이노이고, 스피커(60)는 피에조스피커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의 붕괴 및 낙하 감지장치.
KR1020180112699A 2018-09-20 2018-09-20 시설물의 붕괴와 낙하 감지장치 KR102101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699A KR102101893B1 (ko) 2018-09-20 2018-09-20 시설물의 붕괴와 낙하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699A KR102101893B1 (ko) 2018-09-20 2018-09-20 시설물의 붕괴와 낙하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049A KR20200034049A (ko) 2020-03-31
KR102101893B1 true KR102101893B1 (ko) 2020-04-20

Family

ID=70002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699A KR102101893B1 (ko) 2018-09-20 2018-09-20 시설물의 붕괴와 낙하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8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376B1 (ko) * 2023-07-10 2023-10-26 주식회사 주드 IoT 기반 완전 방수기능을 가진 밀폐형 간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367Y1 (ko) * 2015-06-11 2016-05-16 박석민 가설구조물용 붕괴 경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1534U (ja) * 2010-03-12 2010-08-05 株式会社ソキエ 支柱の傾き監視システム
KR101192356B1 (ko) 2010-08-06 2012-10-17 (주)한일에스티엠 도로 시설물 감시시스템
KR20170004206A (ko) * 2015-07-01 2017-01-11 주식회사 아르고테크놀리지 대상물 위험 알림 시스템
KR101668979B1 (ko) 2016-04-08 2016-11-09 주식회사 신일이앤씨 가로등 및 이를 위한 관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367Y1 (ko) * 2015-06-11 2016-05-16 박석민 가설구조물용 붕괴 경보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61534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049A (ko)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011B1 (ko) 충돌 감지 장치를 가지는 도로 펜스 장치
US11776376B2 (en) Flood monitoring unit and system
CN111989724A (zh) 用于监控道路、基础设施和交通的状况的装置
KR101225055B1 (ko) 항공장애등 점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공장애등 점검 시스템
IT201800007671A1 (it) Sistema e metodo di monitoraggio di rischio idrogeologico
KR102155529B1 (ko) 터널 선행침하 경보장치
CN105844859A (zh) 一种公路危岩无线监测预警系统
KR101967585B1 (ko) 결빙 감지용 표면멀티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결빙 감지 방법
KR101962961B1 (ko) 표면멀티센서를 이용하여 도로의 상황을 판단하는 시스템
KR102040807B1 (ko) 스마트 사면붕괴 경보장치
US11080994B2 (en) Smart road sensor
KR102101893B1 (ko) 시설물의 붕괴와 낙하 감지장치
CN109816912A (zh) 火灾疏散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08062845A (zh) 输电线路保护报警装置
CN105933416A (zh) 一种基于地面埋入式无线传感器网络系统及监控方法
JP2020501127A (ja) インテリジェント照明を介した洪水位置特定及び通知
KR101651836B1 (ko) 스마트 보행신호음성안내보조장치
KR100406187B1 (ko) 도로 통제 시스템
KR102020123B1 (ko)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006548B1 (ko)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외용 화염추적 시스템
CN110689729A (zh) 一种相邻行车道的故障应急处理系统和方法
IT201800003638A1 (it) Rivelatore di fumo ad infrarossi e metodo per il suo allineamento
KR101609746B1 (ko)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
KR102176027B1 (ko) 지능형 데리네이터 시스템
KR102053373B1 (ko) 초절전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단계별 실시간 현장 무선 재난경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