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877B1 - 3차원 입체 센싱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입체 센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877B1
KR102101877B1 KR1020190129931A KR20190129931A KR102101877B1 KR 102101877 B1 KR102101877 B1 KR 102101877B1 KR 1020190129931 A KR1020190129931 A KR 1020190129931A KR 20190129931 A KR20190129931 A KR 20190129931A KR 102101877 B1 KR102101877 B1 KR 102101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unit
measurement case
sens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훈
박철
Original Assignee
(주)패스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패스넷 filed Critical (주)패스넷
Priority to KR1020190129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11/24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using a plurality of fixed, simultaneously operating transduc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공간에서 좌측벽면에서 우측벽면까지의 거리와 전방벽면에서 후방벽면까지의 거리 및 바닥에서 천정까지의 높이를 산출하여 표시하고, 산출된 거리 및 높이를 이용하여 실내공간의 면적 및 부피를 산출하며, 벽면에 액자나 시계와 같은 장식물을 설치하기 위한 위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천정에 조명을 설치하기 위한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3차원 입체 센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지면에 위치되는 측정케이스(100)와, 측정케이스(100)의 좌측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에서 좌측 벽을 센싱하는 좌측센싱부(110)와, 측정케이스(100)의 우측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에서 우측 벽을 센싱하는 우측센싱부(120)와, 측정케이스(100)의 전방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에서 전방 벽을 센싱하는 전방센싱부(130)와, 측정케이스(100)의 후방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에서 후방 벽을 센싱하는 후방센싱부(140)와, 측정케이스(100)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에서 천정까지의 높이를 센싱하는 천정센싱부(150)와, 좌측센싱부(110), 우측센싱부(120), 전방센싱부(130), 후방센싱부(140), 천정센싱부(150)를 제어하면서, 각각 센싱된 벽까지의 거리들을 산출하고 센싱된 천정까지의 높이를 산출하는 제어부(200)와,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되어 산출된 거리 및 높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차원 입체 센싱장치{3D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실내공간에서 좌측벽면에서 우측벽면까지의 거리와 전방벽면에서 후방벽면까지의 거리 및 바닥에서 천정까지의 높이를 산출하여 표시하고, 산출된 거리 및 높이를 이용하여 실내공간의 면적 및 부피를 산출하며, 벽면에 액자나 시계와 같은 장식물을 설치하기 위한 위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천정에 조명을 설치하기 위한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3차원 입체 센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요성(flexible)이 있는 측정 테이프를 케이스 내에 포함하고 있는 줄자는 케이스 내의 와인딩 드럼(winding drum)에 감겨 있다. 와인딩 드럼에는 인장 스프링이 붙어 있고, 그리고 상기 측정 테이프를 꺼낼 경우에 이 스프링은 응축되고 탄성력을 저장한다. 사용자가 상기 꺼낸 측정 테이프로부터 손을 떼면 그것은 스프링의 힘으로 인해 자동으로 상기 케이스 속으로 감기게 된다. 하지만, 그보다 더 먼 거리를 측정하려고 하면 여간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른 거리측정기구를 사용하거나 두 명 이상이 먼 거리를 측정하는 번거로움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줄자는 야간에 어두운 곳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손이 닿기 힘든 부분이나 높은 천장과 사람이 직접 측정하기 어려운 거리로는 잴 수가 없다. 이런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공개특허공보 10-2011-0135997호(공개일2011.12.21.)가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기술을 이용하면 건설현장이나 건물의 실내와 같은 거리측정이 필요한 곳에서 혼자서 먼 거리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천장이나 손이 닿지 않는 벽과의 거리를 측정할 때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양측벽까지의 거리 및 천정까지의 높이를 동시에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내공간에서 좌측벽면에서 우측벽면까지의 거리와 전방벽면에서 후방벽면까지의 거리 및 바닥에서 천정까지의 높이를 산출하여 표시하고, 산출된 거리 및 높이를 이용하여 실내공간의 면적 및 부피를 산출하며, 벽면에 액자나 시계와 같은 장식물을 설치하기 위한 위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천정에 조명을 설치하기 위한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3차원 입체 센싱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 센싱장치는, 지면에 위치되는 측정케이스(100)와, 측정케이스(100)의 좌측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에서 좌측 벽을 센싱하는 좌측센싱부(110)와, 측정케이스(100)의 우측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에서 우측 벽을 센싱하는 우측센싱부(120)와, 측정케이스(100)의 전방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에서 전방 벽을 센싱하는 전방센싱부(130)와, 측정케이스(100)의 후방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에서 후방 벽을 센싱하는 후방센싱부(140)와, 측정케이스(100)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에서 천정까지의 높이를 센싱하는 천정센싱부(150)와, 좌측센싱부(110), 우측센싱부(120), 전방센싱부(130), 후방센싱부(140), 천정센싱부(150)를 제어하면서, 각각 센싱된 벽까지의 거리들을 산출하고 센싱된 천정까지의 높이를 산출하는 제어부(200)와,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되어 산출된 거리 및 높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측정케이스(100)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로 천정에 천정표적을 표시하는 천정표적부(400)와, 측정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된 상태로 벽면에 벽면표적을 표시하는 벽면표적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천정표적부(400)는 청전표적을 표시하기 위해 빛을 조사하는 천정레이저포인터(410)와, 천정레이저포인터(410)에서 조사되는 빛을 다각형으로 변형하는 천정변형프레임(420)을 포함하고, 벽면표적부(500)는 벽면표적을 표시하기 위해 빛을 조사하는 벽면레이저포인터(510)와, 벽면레이저포인터(510)에서 조사되는 빛을 일직선형태나 다각형으로 변형하는 벽면변형프레임(5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측정케이스(100)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의 기울어진 상태 및 수평상태를 표시하는 수평표시기(600)와, 측정케이스(100)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조절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수평표시기(600)는 공기방울을 형성시키기 위한 액체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액체통(610)과, 액체통(610)의 상부를 폐쇄하고 공기방울이 외부에 보이는 투명창(620)과, 투명창(620)에 형성되어 공기방울의 위치를 표시하는 수평표시부(630)를 포함하고, 수평조절부(700)는 측정케이스(100)의 전후좌우에서 각각 구비되며 암나사산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너트(710)와, 너트(710)에 나사결합 되도록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헤드가 지면에 지지되는 나사다리(7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측정케이스(100)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의 기울어진 상태를 센싱하는 기울기센서(900)를 포함하고, 제어부(200)는 좌측센싱부(110), 우측센싱부(120), 전방센싱부(130), 후방센싱부(140)에서 센싱되는 각각의 시간들을 근거로 측정케이스(100)에서 벽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산출부(210)와, 천정센싱부(150)에서 센싱되는 시간을 근거로 측정케이스(100)에서 천정까지의 높이를 산출하는 높이산출부(230)와, 산출된 거리, 높이를 디스플레이(300)로 제공하는 정보제공부(260)와, 방향센서(800)의 센싱에 따라 측정케이스(100)가 기울어진 방향을 확인하고 측정케이스(100)가 기울어진 방향을 정보제공부(260)로 제공하는 방향확인부(270)와, 정보제공부(260)로 제공하기 위해 기울기센서(900)의 센싱에 따라 측정케이스(100)의 수평상태나 기울어진 각도를 인식하여 기울어진 각도를 정보제공부(260)로 제공하는 각도인식부(280)와, 각도인식부(280)에서 측정케이스(100)의 기울어진 상태가 인식되면 거리 및 높이에 대한 정보제공이 정지되도록 정보제공부(260)를 조작하는 정보제공조작부(290)를 조작하는 정보제공조작부(2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내공간에서 좌측벽면에서 우측벽면까지의 거리와 전방벽면에서 후방벽면까지의 거리 및 바닥에서 천정까지의 높이를 산출하여 표시하고, 산출된 거리 및 높이를 이용하여 실내공간의 면적 및 부피를 산출하며, 벽면에 액자나 시계와 같은 장식물을 설치하기 위한 위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천정에 조명을 설치하기 위한 위치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연료의 계량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 센싱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부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면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어부를 보인 블록도.
도 6(a)(b)(c)은 본 발명의 천정표적부이나 벽면표적부의 다양한 형태를 보인 도면.
도 7(a)(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천정표적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벽면표적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평표시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면에 위치되는 측정케이스(100)와, 측정케이스(100)의 좌측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에서 좌측 벽을 센싱하는 좌측센싱부(110)와, 측정케이스(100)의 우측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에서 우측 벽을 센싱하는 우측센싱부(120)와, 측정케이스(100)의 전방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에서 전방 벽을 센싱하는 전방센싱부(130)와, 측정케이스(100)의 후방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에서 후방 벽을 센싱하는 후방센싱부(140)와, 측정케이스(100)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에서 천정까지의 높이를 센싱하는 천정센싱부(150)와, 좌측센싱부(110), 우측센싱부(120), 전방센싱부(130), 후방센싱부(140), 천정센싱부(150)를 제어하면서, 각각 센싱된 벽까지의 거리들을 산출하고 센싱된 천정까지의 높이를 산출하는 제어부(200)와,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되어 산출된 거리 및 높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00)를 포함한다.
측정케이스(100)는 사각의 형태로 형성되면서 제어부(200)가 내장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좌측센싱부(110), 우측센싱부(120), 전방센싱부(130), 후방센싱부(140)와, 천정센싱부(150)는 각각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발광부에서 조사되어서 반사되는 빛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수광부에 수신되는 시간을 근거로 측정케이스(100)에서 벽면까지의 거리 및 측정케이스(100)에서 천정까지의 높이를 센싱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측정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내장되는 것으로, 좌측센싱부(110), 우측센싱부(120), 전방센싱부(130), 후방센싱부(140)에서 센싱되는 각각의 시간들을 근거로 측정케이스(100)에서 벽면까지의 좌측거리, 우측거리, 전방거리, 후방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산출부(210)와, 좌측거리 및 우측거리를 합산하는 좌우합산거리에서 좌우중간거리를 산출하고, 전방거리 및 후방거리를 합산한 전후합산거리에서 전후중간거리를 산출하는 중간거리산출부(220)와, 천정센싱부(150)에서 센싱되는 시간을 근거로 측정케이스(100)에서 천정까지의 높이를 산출하는 높이산출부(230)와, 산출된 좌우측거리 및 전후거리를 이용하여 면적을 산출하는 면적산출부(240)와, 산출된 면적 및 높이를 이용하여 체적을 산출하는 체적산출부(250)와, 산출된 거리, 높이, 면적, 체적을 디스플레이(300)로 제공하는 정보제공부(260)와, 방향센서(800)의 센싱에 따라 측정케이스(100)가 기울어진 방향을 확인하고 측정케이스(100)가 기울어진 방향을 정보제공부(260)로 제공하는 방향확인부(270)와, 정보제공부(260)로 제공하기 위해 기울기센서(900)의 센싱에 따라 측정케이스(100)의 수평상태나 기울어진 각도를 인식하여 기울어진 각도를 정보제공부(260)로 제공하는 각도인식부(280)와, 각도인식부(280)에서 측정케이스(100)의 기울어진 상태가 인식되면 거리 및 높이에 대한 정보제공이 정지되도록 정보제공부(260)를 조작하는 정보제공조작부(29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200)에 의해 산출된 거리, 높이, 면적, 체적은 디스플레이(300)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좌우합산거리에 측정케이스(100)의 좌우길이를 더하고, 전후합산거리에 측정케이스(100)의 전후길이를 더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300)는 측정케이스(100)에 설치된 상태로 제어부(200)에서 제공되는 거리, 높이, 면적, 체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300)에서 표시되는 거리, 높이, 면적, 체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300)를 통해 표시되는 좌우중간거리를 확인하여 측정케이스(100)를 이동시켜서 좌우중간거리에 위치시킬 수 있다. 물론, 전후중간거리를 확인하는 경우에도 측정케이스(100)를 이동시켜서 전후중간거리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측정케이스(100)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로 천정에 천정표적을 표시하는 천정표적부(400)와, 측정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된 상태로 벽면에 벽면표적을 표시하는 벽면표적부(50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표적이나 벽면표적은 도 6(a)와 같이 직선형태, 도 6(b)와 같이 사각형태, 도 6(c)와 같이 원형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천정표적부(400)는 청전표적을 표시하기 위해 빛을 조사하는 천정레이저포인터(410)와, 천정레이저포인터(410)에서 조사되는 빛을 다각형으로 변형하는 천정변형프레임(420)과, 천정레이저포인터(410)의 각도를 조절하는 천정각도조절부(430)를 포함한다.
천정레이저포인터(410)는 내부에 빛을 발산하는 광원(411)과, 광원(411)에서 발산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렌즈(412)와, 광원(411) 및 렌즈(412)가 내장되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고 렌즈(412)에서 확산되는 빛이 반사되는 반사면이 형성되는 몸체(413)를 포함한다.
천정변형프레임(420)은 천정레이저포인터(410)가 삽입되도록 내부공간이 하방으로 개방되면서 단부에 빛이 투과되도록 직선이나 원형 또는 사각형태의 광원홀(5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천정레이저포인터(410)가 천정변형프레임(42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천정레이저포인터(410)가 광원에서 멀어지면 광원의 빛이 광원홀(521)을 통과하면서 작은 크기의 천정표적이 천정에 형성된다. 이와 반대로, 천정레이저포인터(410)가 광원에 가까워지면 광원의 빛이 광원홀(521)을 통과하면서 큰 크기의 천정표적이 형성된다.
여기서, 광원홀(521)이 사각형태이면 사각형태의 천정표적이 형성되고 광원홀(521)이 직선형태이면 직선형태의 천정표적이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천정에 형성되는 천정표적을 확인하여 실내에 광을 제공하기 위한 조명을 천정에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천정레이저포인터(410)가 원통형태로 형성되면서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천정변형프레임(420)이 캡형태로 형성되면서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됨에 따라, 천정레이저포인터(410)에 천정변형프레임(420)을 나사결합시킬 수 있으면서 천정변형프레임(420)을 풀거나 조여서 천정변형프레임(420)을 천정레이저포인터(410)에 멀어지게 하거나 가까워지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광원의 빛이 광원홀(521)을 통과함에 따라 형성되는 천정표적의 크기를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다.
천정각도조절부(430)는 측정케이스(100) 및 천정표적부(400)에 각각 고정되는 브래킷들과, 브래킷들을 관통하는 볼트 및 볼트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볼트를 완전히 조이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케이스(100)를 중심으로 천정표적부(400)를 회전시킨 후에 볼트를 조여서 천정표적부(400)의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즉, 천정표적부(400)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 형성되는 천정표적이 천정의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다.
벽면표적부(500)는 벽면표적을 표시하기 위해 빛을 조사하는 벽면레이저포인터(510)와, 벽면레이저포인터(510)에서 조사되는 빛을 일직선형태나 다각형으로 변형하는 벽면변형프레임(520)과, 벽면레이저포인터(510)의 각도를 조절하는 벽면각도조절부(5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벽면표적부(500)는 천정표적부(40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측정케이스(100)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의 기울어진 상태 및 수평상태를 표시하는 수평표시기(600)와, 측정케이스(100)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조절부(700)를 포함한다.
수평표시기(600)는 공기방울을 형성시키기 위한 액체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액체통(610)과, 액체통(610)의 상부를 폐쇄하고 공기방울이 외부에 보이는 투명창(620)과, 투명창(620)에 형성되어 공기방울의 위치를 표시하는 수평표시부(6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액체통(610)에 채워진 액체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방울이 원형이나 십자형태로 형성되는 수평표시부(630)에 위치되면 측정케이스(100)가 수평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조절부(700)는 측정케이스(100)의 전후좌우에서 각각 구비되며 암나사산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너트(710)와, 너트(710)에 나사결합 되도록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헤드가 지면에 지지되는 나사다리(7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평조절부(700)는 3~4개로 구성되어 측정케이스(100)의 외측에 분산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너트(710)에 나사결합되면서 지면에 헤드가 지지된 나사다리(720)를 회전시켜서 측정케이스(100)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측정케이스(100)의 전후좌우방향을 센싱하는 방향센서(800)와, 측정케이스(100)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의 기울어진 상태를 센싱하는 기울기센서(900)를 포함한다.
방향센서(800)는 측정케이스(100)에 설치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센서케이스와, 센서케이스에서 이동되는 볼과 센서케이스에서 측정케이스(100)의 전후좌우방향으로 분산되게 배치되어 이동하는 볼을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는 압전센서나 접촉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측정케이스(100)가 전방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볼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전방에 위치된 센서가 이동된 볼을 센싱한다. 즉, 측정케이스(100)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이다.
기울기센서(900)는 자이로센서로 구성되어 측정케이스(100)에 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각도인식부(280)가 기울기센서(900)의 센싱에 따라 측정케이스(100)의 기울어진 상태를 인식하면 정보제공조작부(290)가 정보제공부(260)를 조작하여 정보제공이 정지된다. 그리고, 방향센서(800)가 측정케이스(100)의 방향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임을 센싱하면 방향확인부(270)가 기울어진 방향을 정보제공부(260)가 디스플레이(300)에 표시되게 한다. 사용자가 측정케이스(100)의 기울어진 방향을 육안으로 확인한다.
또한, 디스플레이(300)를 통해 정보가 표시되지 않으면서 측정케이스(100)의 기울어진 방향이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기울어진 방향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각도인식부(280)가 측정케이스(100)가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인식하므로 정보제공부(260)에 의해 디스플레이(300)를 통해 기울어진 각도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측정케이스(100)의 기울어진 방향 및 각도를 확인하여 수평조절부(700)를 조작하여 측정케이스(100)가 수평되게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측정케이스(100)가 수평된 상태이면 디스플레이(300)를 통해 정보가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거리 및 높이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공간에서 좌측벽면에서 우측벽면까지의 거리와 전방벽면에서 후방벽면까지의 거리 및 바닥에서 천정까지의 높이를 산출하여 표시하고, 산출된 거리 및 높이를 이용하여 실내공간의 면적 및 부피를 산출하며, 벽면에 액자나 시계와 같은 장식물을 설치하기 위한 위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천정에 조명을 설치하기 위한 위치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3차원 입체 센싱장치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측정케이스 110 : 좌측센싱부
120 : 우측센싱부 130 : 전방센싱부
140 : 후방센싱부 150 : 천정센싱부
200 : 제어부 210 : 거리산출부
220 : 중간거리산출부 230 : 높이산출부
230 : 높이산출부 240 : 면적산출부
250 : 체적산출부 260 : 정보제공부
270 : 방향확인부 280 : 각도인식부
290 : 정보제공조작부 300 : 디스플레이
400 : 천정표적부 410 : 천정레이저포인터
411 : 광원 412 : 렌즈
413 : 몸체 420 : 천정변형프레임
500 : 벽면표적부 510 : 벽면레이저포인터
520 : 벽면변형프레임 521 : 광원홀
600 : 수평표시기 610 : 액체통
620 : 투명창 630 : 수평표시부
700 : 수평조절부 710 : 너트
720 : 나사다리 900 : 기울기센서

Claims (6)

  1. 지면에 위치되는 측정케이스(100)와,
    측정케이스(100)의 좌측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에서 좌측 벽을 센싱하는 좌측센싱부(110)와,
    측정케이스(100)의 우측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에서 우측 벽을 센싱하는 우측센싱부(120)와,
    측정케이스(100)의 전방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에서 전방 벽을 센싱하는 전방센싱부(130)와,
    측정케이스(100)의 후방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에서 후방 벽을 센싱하는 후방센싱부(140)와,
    측정케이스(100)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에서 천정까지의 높이를 센싱하는 천정센싱부(150)와,
    좌측센싱부(110), 우측센싱부(120), 전방센싱부(130), 후방센싱부(140), 천정센싱부(150)를 제어하면서, 각각 센싱된 벽까지의 거리들을 산출하고 센싱된 천정까지의 높이를 산출하는 제어부(200)와,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되어 산출된 거리 및 높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00)와,
    측정케이스(100)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로 천정에 천정표적을 표시하는 천정표적부(400)와,
    측정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된 상태로 벽면에 벽면표적을 표시하는 벽면표적부(500)와,
    측정케이스(100)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의 기울어진 상태 및 수평상태를 표시하는 수평표시기(600)와,
    측정케이스(100)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조절부(700)와,
    측정케이스(100)의 전후좌우방향을 센싱하는 방향센서(800)와,
    측정케이스(100)에 구비된 상태로 측정케이스(100)의 기울어진 상태를 센싱하는 기울기센서(900)를 포함하고,
    제어부(200)는
    좌측센싱부(110), 우측센싱부(120), 전방센싱부(130), 후방센싱부(140)에서 센싱되는 각각의 시간들을 근거로 측정케이스(100)에서 벽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산출부(210)와,
    좌측거리 및 우측거리를 합산하는 좌우합산거리에서 좌우중간거리를 산출하고, 전방거리 및 후방거리를 합산한 전후합산거리에서 전후중간거리를 산출하는 중간거리산출부(220)와,
    천정센싱부(150)에서 센싱되는 시간을 근거로 측정케이스(100)에서 천정까지의 높이를 산출하는 높이산출부(230)와,
    산출된 좌우측거리 및 전후거리를 이용하여 면적을 산출하는 면적산출부(240)와,
    산출된 면적 및 높이를 이용하여 체적을 산출하는 체적산출부(250)와,
    산출된 거리, 높이를 디스플레이(300)로 제공하는 정보제공부(260)와,
    방향센서(800)의 센싱에 따라 측정케이스(100)가 기울어진 방향을 확인하고 측정케이스(100)가 기울어진 방향을 정보제공부(260)로 제공하는 방향확인부(270)와,
    정보제공부(260)로 제공하기 위해 기울기센서(900)의 센싱에 따라 측정케이스(100)의 수평상태나 기울어진 각도를 인식하여 기울어진 각도를 정보제공부(260)로 제공하는 각도인식부(280)와,
    각도인식부(280)에서 측정케이스(100)의 기울어진 상태가 인식되면 거리 및 높이에 대한 정보제공이 정지되도록 정보제공부(260)를 조작하는 정보제공조작부(290)를 포함하면서, 좌우합산거리에 측정케이스(100)의 좌우길이를 더하고, 전후합산거리에 측정케이스(100)의 전후길이를 더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천정표적부(400)는
    청전표적을 표시하기 위해 빛을 조사하는 천정레이저포인터(410)와,
    천정레이저포인터(410)에서 조사되는 빛을 다각형으로 변형하는 천정변형프레임(420)과,
    천정레이저포인터(410)의 각도를 조절하는 천정각도조절부(430)를 포함하고,
    천정변형프레임(420)은 천정레이저포인터(410)가 삽입되도록 내부공간이 하방으로 개방되면서 단부에 빛이 투과되는 광원홀(521)이 형성되어, 천정레이저포인터(410)가 천정변형프레임(42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천정레이저포인터(410)가 광원에서 멀어지면 광원의 빛이 광원홀(521)을 통과하면서 작은 크기의 천정표적이 천정에 형성되고, 천정레이저포인터(410)가 광원에 가까워지면 광원의 빛이 광원홀(521)을 통과하면서 큰 크기의 천정표적이 천정에 형성되며,
    벽면표적부(500)는
    벽면표적을 표시하기 위해 빛을 조사하는 벽면레이저포인터(510)와,
    벽면레이저포인터(510)에서 조사되는 빛을 일직선형태나 다각형으로 변형하는 벽면변형프레임(520)과,
    벽면레이저포인터(510)의 각도를 조절하는 벽면각도조절부(530)를 포함하고,
    수평표시기(600)는
    공기방울을 형성시키기 위한 액체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액체통(610)과,
    액체통(610)의 상부를 폐쇄하고 공기방울이 외부에 보이는 투명창(620)과,
    투명창(620)에 형성되어 공기방울의 위치를 표시하는 수평표시부(630)를 포함하며,
    수평조절부(700)는
    측정케이스(100)의 전후좌우에서 각각 구비되며 암나사산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너트(710)와,
    너트(710)에 나사결합 되도록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헤드가 지면에 지지되는 나사다리(7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 센싱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29931A 2019-10-18 2019-10-18 3차원 입체 센싱장치 KR102101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931A KR102101877B1 (ko) 2019-10-18 2019-10-18 3차원 입체 센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931A KR102101877B1 (ko) 2019-10-18 2019-10-18 3차원 입체 센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877B1 true KR102101877B1 (ko) 2020-04-17

Family

ID=70460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931A KR102101877B1 (ko) 2019-10-18 2019-10-18 3차원 입체 센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8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4448A (zh) * 2021-08-26 2021-11-16 上海景煜装饰设计有限公司 一种装饰工程室内设计面积测量方法及装置
KR102435695B1 (ko) * 2021-08-18 2022-08-24 정진현 스마트 피트니스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4610A (ja) * 2009-09-18 2011-03-31 Mitsutoyo Corp 追尾式レーザ干渉測長計
KR20150071324A (ko) * 2013-12-18 2015-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레이저 거리 측정 장치 및 제어방법
KR20160039893A (ko) * 2014-10-02 2016-04-12 이준범 정밀 슬라이딩 각도 절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4610A (ja) * 2009-09-18 2011-03-31 Mitsutoyo Corp 追尾式レーザ干渉測長計
KR20150071324A (ko) * 2013-12-18 2015-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레이저 거리 측정 장치 및 제어방법
KR20160039893A (ko) * 2014-10-02 2016-04-12 이준범 정밀 슬라이딩 각도 절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695B1 (ko) * 2021-08-18 2022-08-24 정진현 스마트 피트니스 장치 및 방법
CN113654448A (zh) * 2021-08-26 2021-11-16 上海景煜装饰设计有限公司 一种装饰工程室内设计面积测量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877B1 (ko) 3차원 입체 센싱장치
CN103201590B (zh) 测量和标记沿水平延伸的轮廓线的空间点的装置
JP6963936B2 (ja) 測量システム
JP6771994B2 (ja) 測定方法及びレーザスキャナ
CN102564405B (zh) 具有铅垂点自动搜寻功能的建筑测量仪及其铅垂点搜寻方法
WO2018136319A1 (en) Point layout system using single laser transmitter
US20080174429A1 (en) Motion sensor with LED aiming aid
CN107110972B (zh) 激光反射靶
JP6775342B2 (ja) レーザ遠隔測長器
JPH06506297A (ja) 空間位置決めシステム
JP2018524628A (ja) マルチビュー建築照明システム
US11435182B2 (en) Laser receiver and target with lighted indicators
US20140240228A1 (en) User interface display device
CN109239722A (zh) 距离测定装置以及其角度调整方法
US6742269B2 (en) Verticality/horizon indicator for construction
US8848180B1 (en) Reference systems for indicating slope and alignment and rel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20240036353A1 (en) Aerial imaging using retroreflection
CN102346020B (zh) 用于互动介面的三维信息产生装置与三维信息产生方法
KR101650631B1 (ko) 신장 측정 거울
JP2018146965A5 (ja) 表示装置
US20220141448A1 (en) Method for Operating a 3D Body Scanner
KR200426316Y1 (ko) 비상 조명 장치
JPH02228517A (ja) 建築又は土木現場用三次元位置測定装置及び方法
JP2021067615A (ja) スキャナシステムおよびスキャン方法
CN215893619U (zh) 投线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