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848B1 - 배터리 안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안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848B1
KR102101848B1 KR1020180148745A KR20180148745A KR102101848B1 KR 102101848 B1 KR102101848 B1 KR 102101848B1 KR 1020180148745 A KR1020180148745 A KR 1020180148745A KR 20180148745 A KR20180148745 A KR 20180148745A KR 102101848 B1 KR102101848 B1 KR 102101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eriod
air conditioning
current
energy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렬
한규호
임한균
진영규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8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01M10/63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algorithms, flow charts, software detail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7Stationary installation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6Heat-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the cells and other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or fuel cells
    • H01M10/663Heat-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the cells and other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or fuel cells the system being an air-conditioner or an engi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저장 장치의 교류측 3상 전압 및 전류, 배터리 시스템의 배터리 모듈 온도, 그리고 공조 시스템의 공조 설비 입력전압 및 입력전류를 계측하는 계측부; 상기 배터리 모듈 온도를 이용하여 배터리 최적동작 온도범위를 벗어난 제1기간과 배터리 흡열량을 연산하고, 상기 공조 설비 입력전압 및 입력전류를 이용하여 공조설비 흡열량을 연산하고, 상기 제1기간과 배터리 최적온도 복귀 목표 기간인 제2기간동안의 상기 배터리 흡열량과 상기 공조설비 흡열량을 비교하여 안정화 피상 전력을 연산하는 연산부; 및 전력 변환 장치(PCS)로 상기 안정화 피상 전력에 따른 동작 지령을 출력하는 지령부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배터리 열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안정화 장치{APPARATUS FOR STABLING OF BATTERY}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배터리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 계통의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적용되는 배터리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원의 측면에서 전력계통에 연계되는 신재생 에너지원(분산형 전원)의 수가 많아지고 규모가 커짐에 따라 이로부터 발생되는 전력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원의 효율 극대화를 위하여 에너지 저장 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의 보급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계통적인 측면에서 선간전압 22.9kV인 배전계통 간선의 대략적인 용량은 10MVA~15MVA인데, 현재 사용하는 부하의 양이 배전계통 간선 용량을 초과하는 선로가 다수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선로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확대 적용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이유로, 계통내에서 에너지 저장 장치의 비중이 증대하고 있으나 근래 에너지 저장 장치의 불안정한 운전상태 및 내부 고장으로 인한 화재와 폭발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현재 에너지 저장 장치는 배터리의 온도를 계측하는 기능과 배터리로부터 과전류가 흐를 시, 이를 차단하는 차단 기능만 존재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 에너지 저장 장치의 설비와 운전방식 하에서, 타임 스케쥴 기반으로 출력을 세팅하여 운전하는 경우 또는 배터리의 최대출력으로 방전하는 경우, 에너지 저장 장치 내부의 배터리가 과열되어 수명(충·방전 사이클)이 급감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배터리 내부 열에너지 축적으로 인한 열적손상이 사고를 유발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터리의 최적 운전 온도범위에서 에너지 저장 장치를 운전할 수 있는 배터리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배터리의 과열로 인한 수명단축이나 화재·폭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배터리의 열을 관리하면서 공조 설비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배터리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자체 소비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배터리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저장 장치의 교류측 3상 전압 및 전류, 배터리 시스템의 배터리 모듈 온도, 그리고 공조 시스템의 공조 설비 입력전압 및 입력전류를 계측하는 계측부; 상기 배터리 모듈 온도를 이용하여 배터리 최적동작 온도범위를 벗어난 제1기간과 배터리 흡열량을 연산하고, 상기 공조 설비 입력전압 및 입력전류를 이용하여 공조설비 흡열량을 연산하고, 상기 제1기간과 배터리 최적온도 복귀 목표 기간인 제2기간동안의 상기 배터리 흡열량과 상기 공조설비 흡열량을 비교하여 안정화 피상 전력을 연산하는 연산부; 및 전력 변환 장치(PCS)로 상기 안정화 피상 전력에 따른 동작 지령을 출력하는 지령부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배터리 열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연산부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교류측 3상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제1기간과 기 설정된 배터리 최적온도 복귀 목표 기간인 제2기간동안의 상기 배터리 흡열량을 연산하여 상기 공조설비 흡열량과의 차이에 따라 안정화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상기 안정화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8118462016-pat00001
(t: 제1기간(seconds), t': 제2기간(seconds), Iavg _t: 제1기간 동안 에너지 저장 장치 교류측의 rms 평균전류[A], Istb: 제2기간 동안 안정화 전류[A], R: 안정화 전류 연산시 배터리 저항값[Ω], ηHVAC: 공조 설비 효율(%), ηPCS: 전력 변환 장치(PCS)효율(%), VHVAC: 공조 설비별 입력전압[V], IHVAC: 공조 설비별 입력전류[A],
N: 공조 설비 개수)
상기 연산부는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상기 안정화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안정화 피상 전력을 연산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8118462016-pat00002
(Pa_stb: 제2기간 동안 안정화 피상 전력[VA], Istb: 제2기간 동안 안정화 전류[A], Vac: 에너지 저장 장치 교류측 전압[V])
본 발명인 배터리 안정화 장치는 배터리의 최적 운전 온도범위에서 에너지 저장 장치를 운전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과열로 인한 수명단축이나 화재·폭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열을 관리하면서 공조 설비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자체 소비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안정화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안정화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안정화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에너지 저장 장치(1)는 분산 전원(미도시)에서 발전한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하고, 발전한 전력을 계통(미도시)으로 보낼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저장 장치(1)는 배터리 시스템(2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계통으로 전달하거나, 계통에서 공급된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저장 장치(1)는 이상 상황, 예를 들면 계통의 정전 발생 시에는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동작을 수행하여 피더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계통이 정상인 상태에서도 분산 전원이 발전한 전력이나 배터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력을 피더로 공급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1)는 예를 들어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나 커패시터 등으로 구성되며, 계통에 대한 전력 공급을 담당한다. 에너지 저장 장치(1)의 배터리는 수많은 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셀이 모여 모듈(module)이 되고 모듈이 모여 팩(pack)이되며, 팩이 모이면 랙(RACK)을 구성한다. 최종적으로 에너지 저장 장치(1)의 배터리는 랙이 여러 개 모인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전력 변환 장치(PCS, Power Convert System)(30)는 에너지 저장 장치(1)내에서 전력을 입력받아 배터리에 저장하거나 계통에 방출하기 위해 전기의 특성(주파수, 전압, AC/DC)을 변환할 수 있다.
공조 시스템(40)은 에너지 저장 장치(1)의 온도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공조 시스템(40)은 배터리의 수명과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항온항습설비를 의미할 수 있다.
배터리 안정화 장치(10)는 에너지 저장 장치(1) 내부에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의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에너지 저장 장치(1) 내부에 배터리 안정화 장치(10)가 구현된 것을 예시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안정화 장치(10)는 계측부(11), 연산부(12) 및 지령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계측부(11)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교류측 3상 전압 및 전류, 배터리 시스템(20)의 배터리 모듈 온도, 그리고 공조 시스템(40)의 공조 설비 입력전압 및 입력전류를 계측할 수 있다.
연산부(12)는 배터리 모듈 온도를 이용하여 배터리 최적동작 온도범위를 벗어난 제1기간과 배터리 흡열량을 연산하고, 공조 설비(40) 입력전압 및 입력전류를 이용하여 공조설비 흡열량을 연산하고, 제1기간과 배터리 최적온도 복귀 목표 기간인 제2기간동안의 배터리 흡열량과 공조설비(40) 흡열량을 비교하여 안정화 피상 전력을 연산할 수 있다.
연산부(12)는 안정화 피상 전력을 연산하기 위하여 안정화 전류 및 배터리 저항값을 연산할 수 있다.
연산부(12)는 안정화 전류 연산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Nr개 샘플을 사용하여 각 샘플링 시점의 배터리 단자 전압, 안정화 전류 연산 시점과 샘플링 시점간의 시차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 장치의 방전 운전시의 배터리 저항값(Rn) 또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전 운전시의 배터리 저항값(R'n)을 연산한다. 최종 배터리 저항값(R)은 Nr개의 샘플 저항들의 평균값으로 산출된다.
연산부(12)는 예를 들면, 하기 수학식 1 내지 6에 따라 배터리 저항값을 연산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8118462016-pat00003
(방전 운전시)
Figure 112018118462016-pat00004
(충전 운전시)
Figure 112018118462016-pat00005
(방전 운전시)
Figure 112018118462016-pat00006
(충전 운전시)
Figure 112018118462016-pat00007
(방전 운전에서 충전 운전으로 전환하는 경우)
Figure 112018118462016-pat00008
(충전 운전에서 방전 운전으로 전환하는 경우)
수학식 1에서 Rn[Ω]은 에너지 저장 장치의 방전 운전시 n 시점에서의 배터리 저항값이고, R'n[Ω]은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전 운전시 n 시점에서의 배터리 저항값이고, R[Ω]은 안정화 전류(Istb) 연산시 배터리 저항값이고, Nr은 배터리 저항값 연산 샘플(Sample) 개수이고, Nc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방전 운전모드 변경 시 순시 샘플 개수이고, C[F]는 배터리의 전기적 정전 용량이고, tt는 안정화 전류(Istb) 연산 시점이고, tn는 tt 시점 이전 n-sampling 시간 시점이고, Vn[V]은 n-sampling 시점에서의 배터리 시스템 단자 전압이고, Vt[V]는 안정화 전류(Istb) 연산시점에서의 배터리 시스템 단자 전압이다. 수학식 1에서, 배터리 저항값 연산 샘플 개수는 에너지 저장 장치(1)의 현장 환경과 설비 규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연산부(12)는 에너지 저장 장치(1)의 교류측 3상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여 제1기간과 기 설정된 배터리 최적온도 복귀 목표 기간인 제2기간동안의 배터리 흡열량을 연산하여 공조설비 흡열량과의 차이에 따라 안정화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 배터리 최적 온도는 배터리 운전 최적온도 상한치와 배터리 운전 최적온도 하한치 사이의 범위로 결정될 수 있다. 배터리 운전 최적온도 상한치와 배터리 운전 최적온도 하한치는 기 설정되는 값일 수 있다.
연산부(12)는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안정화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8118462016-pat00009
수학식 2에서, t[sec]는 제1기간, t'[sec]은 제2기간, Iavg _ t[A]은제1기간 동안 에너지 저장 장치 교류측의 rms 평균전류, Istb[A]은 제2기간 동안 안정화 전류, R[Ω]은 안정화 전류 연산시 배터리 저항값, ηHVAC은 공조 설비 효율(%), ηPCS(%)은 전력 변환 장치(PCS)효율, VHVAC[V]은 공조 설비별 입력전압, IHVAC[A]은 공조 설비별 입력전류, N은 공조 설비 개수이다.
수학식 2에서 제2기간, 공조설비 효율, 전력 변환 장치 효율, 공조설비 대수는 기 설정되는 값으로 에너지 저장 장치의 현장 환경과 설비 규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연산부(12)는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상기 안정화 전류를 이용하여 안정화 피상 전력을 연산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8118462016-pat00010
수학식 2에서 Pa_ stb[VA]은 제2기간 동안 안정화 피상 전력, Istb[A]은 제2기간 동안 안정화 전류, Vac[V]는 에너지 저장 장치 교류측 전압이다.
지령부(13)는 전력 변환 장치(PCS)로 상기 안정화 피상 전력에 따른 동작 지령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안정화 장치(10)는 배터리의 최적 동작 온도범위를 벗어난 시점으로부터 안정화 전류를 연산하는 순간까지의 시간차 동안 배터리로부터의 발열량(joule)과 공조 시스템(40)에 의한 흡열량(joule)을 고려하여, 배터리 최적온도 복귀 목표 시간 기간동안의 안정화 피상 전력을 연산하여 전력 변환 장치로 지령을 내림으로써 배터리의 온도를 최적온도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안정화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배터리 안정화 장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동작 여부를 확인한다(S301).
다음으로, 에너지 저장 장치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 계측부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교류측 3상 전압 및 전류, 배터리 시스템의 배터리 모듈 온도, 그리고 공조 시스템의 공조 설비 입력전압 및 입력전류를 계측한다(S302).
다음으로, 기 설정된 배터리 운전 최적온도 상한치와 배터리 운전 최적온도 하한치를 적용하여 배터리 모듈의 온도가 배터리 최적온도 범위내에 있는지 판단한다(S303).
다음으로, 배터리 모듈의 온도가 배터리 최적온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에너지 저장 장치의 교류측 3상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여, 제1기간과 기 설정된 배터리 최적온도 복귀 목표 기간인 제2기간동안의 배터리 흡열량을 연산하여 공조설비 흡열량과의 차이에 따라 안정화 전류를 연산한다(S304).
다음으로, 연산된 안정화 전류를 이용하여 안정화 피상전력을 연산한다(S305).
다음으로, 전력 변환 장치로 안정화 피상 전력에 따른 동작 지령을 출력한다(S306).
다음으로, 공조 시스템으로 동작 지령 또는 동작 지속 지령을 출력한다(S307).
S303단계에서, 배터리 모듈의 온도가 배터리 최적온도 범위 이내인 것으로 판단되면 에너지 저장 장치의 현 동작 상태를 유지하는 지령을 출력한다(S308).
S301단계에서, 에너지 저장 장치가 대기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배터리 시스템의 배터리 모듈 온도를 계측한다(S309).
다음으로, 배터리 모듈의 온도가 배터리 최적온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 공조 시스템으로 동작 지령 또는 동작 지속 지령을 출력한다(S310).
또는 배터리 모듈의 온도가 배터리 최적온도 범위 이내인 것으로 판단되면 공조 시스템으로 정지 지령을 출력한다(S311).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에너지 저장 장치
10: 배터리 안정화 장치
11: 계측부
12: 연산부
13: 지령부
20: 배터리 시스템
30: 전력 변환 장치
40: 공조 시스템

Claims (4)

  1. 에너지 저장 장치의 교류측 3상 전압 및 전류, 배터리 시스템의 배터리 모듈 온도, 그리고 공조 시스템의 공조 설비 입력전압 및 입력전류를 계측하는 계측부;
    상기 배터리 모듈 온도를 이용하여 배터리 최적동작 온도범위를 벗어난 제1기간과 배터리 흡열량을 연산하고, 상기 공조 설비 입력전압 및 입력전류를 이용하여 공조설비 흡열량을 연산하고, 상기 제1기간과 배터리 최적온도 복귀 목표 기간인 제2기간동안의 상기 배터리 흡열량과 상기 공조설비 흡열량을 비교하여 안정화 피상 전력을 연산하는 연산부; 및
    전력 변환 장치(PCS)로 상기 안정화 피상 전력에 따른 동작 지령을 출력하는 지령부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배터리 열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교류측 3상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제1기간과 기 설정된 배터리 최적온도 복귀 목표 기간인 제2기간동안의 상기 배터리 흡열량을 연산하여 상기 공조설비 흡열량과의 차이에 따라 안정화 전류를 연산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배터리 열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상기 안정화 전류를 연산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배터리 열관리 장치.
    [수학식 1]
    Figure 112018118462016-pat00011

    (t: 제1기간(seconds), t': 제2기간(seconds), Iavg _t: 제1기간 동안 에너지 저장 장치 교류측의 rms 평균전류[A], Istb: 제2기간 동안 안정화 전류[A], R: 안정화 전류 연산시 배터리 저항값[Ω], ηHVAC: 공조 설비 효율(%), ηPCS: 전력 변환 장치(PCS)효율(%), VHVAC: 공조 설비별 입력전압[V], IHVAC: 공조 설비별 입력전류[A], N: 공조 설비 개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상기 안정화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안정화 피상 전력을 연산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배터리 열관리 장치.
    [수학식 2]
    Figure 112018118462016-pat00012
    [VA]
    (Pa_stb: 제2기간 동안 안정화 피상 전력[VA], Istb: 제2기간 동안 안정화 전류[A], Vac: 에너지 저장 장치 교류측 전압[V])
KR1020180148745A 2018-11-27 2018-11-27 배터리 안정화 장치 KR102101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745A KR102101848B1 (ko) 2018-11-27 2018-11-27 배터리 안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745A KR102101848B1 (ko) 2018-11-27 2018-11-27 배터리 안정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848B1 true KR102101848B1 (ko) 2020-04-17

Family

ID=70460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745A KR102101848B1 (ko) 2018-11-27 2018-11-27 배터리 안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8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5504A (ja) * 2001-12-20 2003-07-03 Nissan Motor Co Ltd 電池温度検出装置
JP6411318B2 (ja) * 2015-12-09 2018-10-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充電電流設定方法、充電方法、充電装置及びアクチュエ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5504A (ja) * 2001-12-20 2003-07-03 Nissan Motor Co Ltd 電池温度検出装置
JP6411318B2 (ja) * 2015-12-09 2018-10-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充電電流設定方法、充電方法、充電装置及びアクチュエー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239B1 (ko) 돌입 전류를 저감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및 그 방법
US10263436B2 (en) Electrical energy storage unit and control system and applications thereof
CN104701926B (zh) 电池系统和将电池连接到电池系统的方法
KR102415122B1 (ko) 배터리 시스템
US9257860B2 (en) Battery pack, cell balancing method of the same,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battery pack
JP5959561B2 (ja) 直列接続された複数の電池直流マイクログリッド充放電システム
US9406981B2 (en) Battery system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30066283A (ko) 배터리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
CN112005425A (zh) 数据中心的备用电源系统、备用电池架
US10243192B2 (en) Modular battery case for prismatic cells and portable off-grid power storage and delivery system
KR20150081731A (ko) 배터리 팩,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배터리 팩의 작동 방법
KR20130062894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5040725A1 (ja) 蓄電池システム
JP6174154B2 (ja) 蓄電池管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242842B (zh) 一种不同类型蓄电池组并联的管理装置及其方法
KR102061308B1 (ko) 배터리 관리를 위한 제어전원 공급시스템과 그 공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저장시스템
KR102064586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 관리 방법
JP5553622B2 (ja) 二次電池システムおよびその管理方法
KR102101848B1 (ko) 배터리 안정화 장치
JP6622380B2 (ja) 蓄電池装置及び方法
WO2019163008A1 (ja) 直流給電システム
US20130234517A1 (en) Power accumul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orage module
KR102500179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위험상황 조기 경보 방법 및 장치
US20240088688A1 (en) Storage battery management device, storage battery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16093057A (ja) 蓄電システム、蓄電制御方法、および蓄電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