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782B1 - 온수 공급용 안전 코크 - Google Patents

온수 공급용 안전 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782B1
KR102101782B1 KR1020190153224A KR20190153224A KR102101782B1 KR 102101782 B1 KR102101782 B1 KR 102101782B1 KR 1020190153224 A KR1020190153224 A KR 1020190153224A KR 20190153224 A KR20190153224 A KR 20190153224A KR 102101782 B1 KR102101782 B1 KR 102101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hot water
discharge pipe
safety cock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낙원
Original Assignee
정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낙원 filed Critical 정낙원
Priority to KR1020190153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7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2Liquid-dispensing valves having operating members arranged to be pressed upwards, e.g. by the rims of receptacles held below the delivery orif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2Dispensing valves entirely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67D1/145Control taps comprising a valve shutter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alv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정수기에 사용되는 온수 공급용 안전 코크에 관한 것이다. 이 안전 코크는 밸브 스템을 승강시켜 배출관을 개폐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전을 제어하는 레버 록-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록-수단은 상기 배출관을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레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록-수단의 승강에 따라 상기 레버가 상기 본체에 록킹(rocking) 또는 록킹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도하지 않은 온수 출력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각별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수 공급용 안전 코크 {Safety cock for hot water dispenser}
본 발명은 안전 코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수를 공급하는 정수기 등에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온수 공급용 안전 코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반적인 식생활에서 음용수는 정수기를 통하여 공급되고 있다. 통상 정수기는 정수된 물을 냉수와 온수로 구분하여 공급하는데, 사용자는 정수기 전방 측에 구비되는 냉수 또는 온수 코크 또는 밸브를 이용하여 필요한 상태의 물을 공급받아 음용할 수 있다. 다만, 이때 온수는 90° 이상의 고온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상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는 사용상의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코크가 요구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수기용 코크가 전통적으로 취수 레버를 밀거나 당김으로 간단하게 open/close 되는 구조로 된 것과 달리, 최근의 정수기용 코크(110)는 레버(111) 이외에 전방에 구비된 푸시 버튼(112)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 코크(110)는 상기 푸시 버튼(112)과 레버(111)가 순서적으로 또는 순서에 상관없이 적어도 동시 작동되어 있어야 open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여기에서 상기 푸시 버튼(112)은 본체(113) 내부 밸브 스템(미도시)의 승강에 의한 개방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는, 상기 버튼(112)을 누르지 않으면 상기 레버(111)가 회전하여도 배출구(114)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 코크 구조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03626호에서 등록특허공보 제1091367호, 제1399454호 등에 이르기까지 많은 문헌에 개시된바, 단지 레버만 구비된 이전의 것에 비하여 온수 사용에 의한 사용자의 안전사고 방지에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 상기 푸시 버튼(112)의 조작이 지나치게 간단하다는데 문제가 있다. 즉, 상기 레버(111)나 푸시 버튼(112)은 모두 전방에서 간단하게 눌러 조작되는 것이어서, 어린이나 유아의 가벼운 장난 또는 의도적이지 않은 터치 등에도 뜨거운 물이 분출되어 실제로 놀라거나 화상을 입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상기 푸시 버튼(112) 자체의 동작 압력을 세게 하는 방안들이 제안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오히려 코크의 사용을 어렵게 하는 한편, 문제의 해결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되지도 못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03626호
등록특허공보 제1091367호
등록특허공보 제1303923호
등록특허공보 제1399454호
본 발명은 종래 안전 코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레버 자체를 록킹/해제(rocking/release)할 수 있도록 설계된 레버 록-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상 부주의 등으로 인한 불의의 사고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온수 공급용 안전 코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안전 코크는:
일체로 형성된 온수 공급관과 배출관 및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 측으로 연장된 밸브 스템을 포함하는 본체, 가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스템을 승강시켜 배출관을 개폐하는 레버, 선택적으로는 상기 스템의 승강을 제어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통상의 안전 코크를 기반으로 하며,
기술적으로는,
상기 레버의 회전을 제어하는 레버 록-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록-수단은, 상기 본체의 배출관을 둘러싸는 형태의 록킹용 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록-수단의 승강에 따라 상기 링부가 배출관의 단부로부터 끼워지거나 분리됨으로써, 상기 레버가 상기 본체에 록킹(rocking) 또는 록킹 해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록-수단은:
사용자의 해제 압력이 제공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상기 록킹용 링부,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와 접촉하는 가이드 레일,
삭제
상기 몸체와 레버 사이에, 상기 사용자의 압력이 제공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탄성 스프링,
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록-수단은 상기 배출관을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며,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온수 공급용 안전 코크는, 레버 자체의 동작을 원천적으로 제어하는 레버 록-수단을 더 구비한다. 따라서 사용상 부주의 등으로 인한 불의의 사고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록-수단이 바람직하게 상기 레버와는 다른 방향 즉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동작하도록 설계됨으로써, 전반적으로는 의도하지 않은 임의의 행위가 안전 코크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안전 코크의 사용 및 취급시 사용자 안전이 충분히 담보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안전 코크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코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도.
도 4는 도 2에서 '록-수단'을 분리하여 보인 도면.
도 5는 도 2의 정면도.
도 6은 도 2의 작용도 1.
도 7은 도 2의 작용도 2.
이상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 '온수 공급용 안전 코크'(이하, '안전 코크'라 함)의 기술적 특징과 작용효과는,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 기재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2 이하의 도면에서 본 발명의 안전 코크가 부호 10으로 표시된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전 코크(10)는 일체로 형성된 온수 공급관(11)과 배출관(12) 및 하우징(13)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12)으로 연장된 밸브 스템(14)을 포함하는 본체(15), 가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스템(14)을 승강시켜 배출관(12)을 개폐하는 레버(16), 선택적으로는 상기 스템(14)의 승강을 제어하는 푸시 버튼(17)을 포함하는 통상의 안전 코크를 기반으로 한다.
상기 안전 코크(10) 구조에서 버튼(14)이 없는 경우 상기 레버(16)를 회전시키면 그 단부에 상단이 축 고정된 상기 스템(14)이 상승하면서 배출관(12)이 개방되고 이에 뜨거운 온수가 공급관(11) 및 배출관(12)을 통하여 배출될 것이다. 본 발명의 안전 코크(10)는 레버(16)의 회전 자체를 제어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이 경우에도 충분히 그리고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코크(10)는 전방에 형성된 버튼(17)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템(14)은 레버(16)에 의해 승강하는 제1 스템(14a)과 상기 버튼(17)에 의해 승강하는 밸브 부착 제2 스템(미도시)이 종-방향으로 상·하에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상기 레버(16)가 회전하여 제1 스템(14a)이 상승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버튼(17)이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배출관(12)이 개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레버(16)와 버튼(17)이 순서적으로 또는 순서에 상관없이 동시 동작하고 있어야 상기 배출관(12)이 개방되며, 전자의 구조에 비해 사용상 안전성의 측면에서는 더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전자이든 후자이든 안전 코크(10)에 있어서 상기한 구성(16,17)이 본 발명에서 특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안전 코크(10)는 특히, 상기 레버의 회전을 제어하는 레버 록-수단(18)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록-수단(18)은, 상기 본체(15)의 배출관(12)을 둘러싸는 형태의 록킹용 링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버(16)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다. 이에 상기 록-수단(18)의 승강에 따라 상기 레버(16)가 상기 본체(15)에 록킹(rocking) 또는 록킹 해제되는 것이다. 즉, 상기 록-수단(18)이 배출관(12)을 둘러싸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레버(16)는 본체(15)에 록킹되어 있으며, 상기 록-수단(18)이 하강하여 상기 레버(16)가 본체(15)로부터 해제되면, 레버(16)의 회전이 자유롭게 가능해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록-수단(18)은 사용자의 해제 압력이 제공되는 몸체(19), 상기 몸체(19)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12)을 둘러싸는 록킹용 링부(20), 상기 몸체(19)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16)와 접촉하는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21) 및 상기 몸체(19)와 레버(16) 사이에 상기 사용자의 압력이 제공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탄성 스프링(22)을 포함한다.
도 2와 같이 상기 링부(20)가 배출관(12)을 둘러싸는 형태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21)은 그 상단이 하우징(13)의 하단부에 걸려지게 된다. 부호 23은 상기 레버(16)의 하부에 끼워 고정되는 스프링 지지대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록-수단(18)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레버(16) 및 버튼(16)이 전방에서 푸시하여 동작하는 것인데 비하여 상기 록-수단(18)은 수직으로 동작하는 것인데, 이와 같이 이질적인 동작 방향을 갖는 것이므로 이들은 임의로라도 함께 동작하지 않으며 특히 록-수단(18)은 의식적으로 가압하지 않는 한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온수에 의한 불의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스프링(22) 역시 수직으로 설치되며, 몸체(19)의 배면 측에 설치함으로써 전방에서 보아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어떠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불사용 상태에서 상기 록-수단(18)은, 중앙 링부(20)가 상기 배출관(12)을 감싸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레버(16) 자체가 본체(15)에 록킹되어 회전을 할 수 없으며, 상기 배출관(12)도 개방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록-수단(18)이 하강하면 상기 링부(20)와 배출관(12)이 분리 및 이격되고 이때 상기 레버(16)가 록킹에서 해제됨으로써 회전 가능하고 배출관(12)의 개방 및 온수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상기 록-수단(18)의 몸체(19)를 눌러 하강시킨다(화살표 ①). 그러면 상기 록-수단(18)의 가이드 레일(21)이 레버(16)의 가장자리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링부(20)가 배출관(12)의 단부로부터 분리 및 이격되고, 그러면서 상기 레버(16)가 록킹에서 해제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레버(16)를 전방 또는 후방 측으로 회전시킨다(화살표 ②).
그러면 밸브 스템(14)이 상승하면서 배출관(12)이 개방되고 온수가 토출되어 음용 또는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전방에 상기한 푸시 버튼(17)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버튼(17)을 눌러 놓았거나 눌러야 할 것이다(화살표 ③). 그리고 다시 레버(16)를 원위치로 돌려 놓으면 상기 록-수단(18)이 상승하면서 중앙 링부(20)가 상기 배출관(12)의 단부로부터 끼워져 감싸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 안전 코크(10)의 안전한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며, 온수의 사용을 의도하지 않은 불의의 사고가 발생할 염려는 없다.
10. 안전 코크
11. 공급관
12. 배출관
13. 하우징
14. 스템
14a. 제1 스템
15. 본체
16. 레버
17. 버튼
18. 록-수단
19. 몸체
20. 링부
21. 가이드 레일
22. 스프링
23. 지지대

Claims (7)

  1. 일체로 형성된 온수 공급관(11)과 배출관(12) 및 하우징(13)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12) 측으로 연장된 밸브 스템(14)을 포함하는 본체(15), 가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스템(14)을 승강시켜 배출관(12)을 개폐하는 레버(16), 선택적으로 상기 스템(14)의 승강을 제어하는 버튼(17)을 포함하는 안전 코크에 있어서,
    상기 레버(16)의 회전을 제어하는 레버 록-수단(18)을 더 구비하며;
    상기 록-수단(18)은, 상기 본체(15)의 배출관(12)을 둘러싸는 형태의 록킹용 링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버(16)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록-수단(18)의 승강에 따라 상기 링부(20)가 배출관(12)의 단부로부터 끼워지거나 분리됨으로써, 상기 레버(16)가 상기 본체(15)에 록킹 또는 록킹 해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공급용 안전 코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수단(18)은:
    사용자의 해제 압력이 제공되는 몸체(19), 상기 몸체(19)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록킹용 링부(20), 상기 몸체(19)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16)와 접촉하는 가이드 레일(21), 상기 몸체(19)와 레버(16) 사이에 상기 사용자의 압력이 제공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탄성 스프링(22)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공급용 안전 코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수단(18)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공급용 안전 코크.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20)가 배출관(12)을 둘러싸는 형태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21)은 그 상단이 하우징(13)의 하단부에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공급용 안전 코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22)은 수직으로 설치되며, 몸체(19)의 배면 측에 설치되어 전방에서 보아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공급용 안전 코크.
  7. 삭제
KR1020190153224A 2019-11-26 2019-11-26 온수 공급용 안전 코크 KR102101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224A KR102101782B1 (ko) 2019-11-26 2019-11-26 온수 공급용 안전 코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224A KR102101782B1 (ko) 2019-11-26 2019-11-26 온수 공급용 안전 코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782B1 true KR102101782B1 (ko) 2020-04-17

Family

ID=70460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224A KR102101782B1 (ko) 2019-11-26 2019-11-26 온수 공급용 안전 코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7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052B1 (ko) * 2016-04-29 2016-12-13 주식회사 크로버 온수용 안전꼭지
KR101692527B1 (ko) * 2015-07-02 2017-01-04 주식회사 진텍 코크 안전장치
KR101741492B1 (ko) * 2015-11-24 2017-06-01 주식회사 진텍 안전 코크 어셈블리
KR20180055003A (ko) * 2016-11-15 2018-05-25 주식회사 진텍 코크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527B1 (ko) * 2015-07-02 2017-01-04 주식회사 진텍 코크 안전장치
KR101741492B1 (ko) * 2015-11-24 2017-06-01 주식회사 진텍 안전 코크 어셈블리
KR101686052B1 (ko) * 2016-04-29 2016-12-13 주식회사 크로버 온수용 안전꼭지
KR20180055003A (ko) * 2016-11-15 2018-05-25 주식회사 진텍 코크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782B1 (ko) 온수 공급용 안전 코크
JP6005240B1 (ja) 鍵付き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20120094750A (ko) 정수기용 온수밸브
KR20130001194U (ko) 정수기 출수장치 커버
CN201091513Y (zh) 饮水机的热水壶
JP2017074989A (ja) 鍵付き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100735913B1 (ko) 냉온수기의 밸브
CN202146219U (zh) 饮水机
US6893254B2 (en) Safety and force saving lighter
CN212616334U (zh) 一种安全童锁开关水龙头
KR101692527B1 (ko) 코크 안전장치
GB2411219A (en) Tap with safety lock
CN205781298U (zh) 一种防误开误关式手动球阀
CN108236373B (zh) 带钥匙的饮水机
CN202820916U (zh) 压力锅
KR101058255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수도꼭지
CN201468249U (zh) 推拉式下巢的定位结构
US6644512B2 (en) Faucet for a drinking-water dispenser
KR200298037Y1 (ko)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
KR20140033648A (ko) 냉온수기의 버튼식 콕구조
KR200145026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닫힘 물꼭지
KR200255974Y1 (ko) 냉온수기의 급수 자동차단구조
CN209585926U (zh) 一种坐垫开启装置
CN200984087Y (zh) 一种使用安全的电热壶
KR100588600B1 (ko) 안전 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