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168B1 - A Cable Tray Assembly Capable of being Easily Installed and Extended - Google Patents

A Cable Tray Assembly Capable of being Easily Installed and Extend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168B1
KR102101168B1 KR1020190163743A KR20190163743A KR102101168B1 KR 102101168 B1 KR102101168 B1 KR 102101168B1 KR 1020190163743 A KR1020190163743 A KR 1020190163743A KR 20190163743 A KR20190163743 A KR 20190163743A KR 102101168 B1 KR102101168 B1 KR 102101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upport
fixing
fixe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7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영준
Original Assignee
송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준 filed Critical 송영준
Priority to KR1020190163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16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1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tray assembly.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tray assembly capable of being easily installed and extended, which fixes an accommodation frame to a side frame fixed to a wall or a ceiling and covers the accommodation frame with a fixing cover to be coupled thereto so as to perform fixation of a cable by a resilient force generated by elasticity, thereby quickly and easily enabling fixation work of the cable.

Description

용이한 설치 및 확장이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A Cable Tray Assembly Capable of being Easily Installed and Extended}A Cable Tray Assembly Capable of being Easily Installed and Extended}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사하게는 벽체 또는 천정에 고정된 사이드프레임에 수용프레임을 고정시키고, 수용프레임을 고정덮개로 덮어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케이블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한 케이블의 고정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용이한 설치 및 확장이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tray assembly, and more similarly, fixing a receiving frame to a side frame fixed to a wall or ceiling, and fixing the cable by restoring force due to elasticity only by bonding the receiving frame with a fixing cover. By being made, it relates to a cable tray assembly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extended to enable fast and easy fixing of cables.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이나 선박에 배선되는 전원공급용 케이블 및 통신선을 보호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다수의 케이블을 수용·지지하면서 통로역할을 하도록 금속제의 불연성 소재로 제작된 케이블 트레이를 제작하여 천정이나 벽에 고정되게 시공하는 방법이 보편화되어 있다.In general, as a structure for protecting power supply cables and communication lines that are wired to large buildings or ships, cable trays made of a non-combustible material made of metal are manufactured to accommodate and support multiple cables and act as passages. The method of construction to be fixed is common.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서로 마주보며 대칭을 이루는 양측 사이드 프레임의 사이에 렁(Rung)로 지칭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을 적당 간격으로 배치되게 고정하여 하나의 유닛을 형성한 후 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한 동선을 따라 각 유닛을 길이방향으로 잇대어지도록 연결한 집합체로 구성하여 천정이나 벽에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다량의 케이블을 가로대 위에 안착되게 배선한 구조이다.The cable tray faces each other and forms a single unit by fixing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which are referred to as rungs, at appropriate intervals between the symmetrical sides of the side frames. It is a structure in which each unit is composed of aggregates that are connected so that they ar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arge amount of cables are laid on the crossbar while fixed to the ceiling or wall.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는 지지프레임 상에 안착된 케이블이 다양한 방향(수평/수직) 방향으로 설치됨에 따라 지지프레임 안착면으로부터 케이블의 이격을 방지함과 동시에 다수의 케이블을 서로 구별되도록 하고, 외관상 보기 좋은 미관을 제공하기 위해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케이블 타이로 결속하도록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도 1 참조)This cable tray prevents the separation of cables from the support frame seating surface as the cables seated on the support frame are installed in various directions (horizontal / vertical), and at the same time allows multiple cables to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looks beautiful in appearance. In order to provide the most, it is mostly to bind with a cable tie as in the patent document below. (See Figure 1)

그러나, 케이블 타이를 이용한 지지프레임과 케이블의 고정은 그 과정에 있어서, 작업자가 케이블 하나하나 또는 묶음으로 순수 인력에 의해 고정해야 함에 따라 상당한 작업시간이 요구되고 작업자가 사다리나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여 올라가 한참 동안 작업을 해야 하므로 항상 추락사고의 위험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ocess of fixing the support frame and the cable using a cable tie, considerable work time is required as the worker must fix the cable one by one or a bundle by pure manpower, and the worker uses a ladder or a separate devic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re was always a risk of a crash because you had to go up and work for a while.

또한, 실제 시공 현장에 케이블을 결속한 이후 케이블 타이의 불필요한 부분의 추가적인 절단가공을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라 도 1(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당히 어수선하고 지저분한 상태로 시공이 마무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it is common not to additionally cut unnecessary portions of the cable tie after binding the cable to the actual construction si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struction is finished in a fairly messy and dirty state as shown in FIG. 1 (b).

더욱이, 케이블 포설을 위한 케이블 트레이는 제작 비용 및 설치 공간을 고려하여 포설될 케이블의 전체 폭, 두께 등의 수치를 파악하여 케이블이 수평방향 1열이 되도록 비교적 타이트한 규격(폭)로 제작 및 시공된다. 그러나, 포설될 케이블의 정확한 수치계산의 착오, 케이블 트레이의 시공 완료 이후 전력 또는 통신 장비의 추가, 건물 증축이나 확장에 따른 상황에 의해 케이블의 추가 포설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케이블 트레이를 다시 제작하거나, 추가로 시공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이로 인한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Moreover, the cable tray for cable laying is manufactured and constructed in a relatively tight standard (width) so that the cables become one r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grasping values such as the overall width and thickness of the cable to be laid in consideration of the production cost and installation space. . However, if the cable is to be laid incorrectly, errors in the calculation of the cabl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of the cable tray, or additional power or communication equipment, or additional installation of the cable due to the situation due to the expansion or expansion of the cable, rebuild or add the cable tray. There was a problem that had to be constructed as a furnace,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a considerable cost was required.

또한, 추가로 포설되는 케이블은 기존 설치된 케이블 상에 설치되는 만큼 구분 및 고정이 더욱 어려우며 깔끔한 고정도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the cables to be additionally installed are more difficult to classify and fix as they are installed on the existing installed cable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leanly fix them.

따라서, 작업시간의 단축과 시공성 향상,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추가 케이블의 포설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cable tray assembly that shortens work time, improves workability, promotes worker safety, and can easily install additional cables.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등록특허공보 제10-1561048호(2015.10.12. 등록)"케이블 트레이"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61048 (Registered on October 12, 2015) "Cable tra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벽체 또는 천정에 고정된 사이드프레임에 수용프레임을 고정시키고, 수용프레임을 고정덮개로 덮어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케이블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한 케이블의 고정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the receiving frame to the side frame fixed to the wall or ceiling, and covers the receiving frame with a fixing cover so that the cable can be fixed by the restoring force due to elasticity, thereby quickly and easily fixing the cabl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cable tray assembly that enables operation.

본 발명은 이격단에 의해 수용프레임을 복수의 단위수용부로 구획하고 각 단위수용부를 고정덮개로 덮도록 하며, 각 단위수용부에 복수의 케이블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을 구역별, 기능별로 구분하여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케이블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receiving frame into a plurality of unit accommodation units by a spaced end, covers each unit accommodation unit with a fixed cover, and allows a plurality of cables to be inserted and supported in each unit reception unit, thereby separating cables into sections and function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le tray assembly that can be inserted separately and enables stable support for cables.

본 발명은 각 단위수용부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좌우 방향에서 탄성에 의해 압착·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개수 및 크기에 관계없이 좌우 방향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le tray assembly that enables fix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gardless of the number and size of cables by allowing the cables to be inserted into each unit receiving portion to be compressed and supported by elasticit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본 발명은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케이블에 밀착되는 밀착판이 전후 방향에 형성되는 삽입돌기에 의해 지지단의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밀착판의 안정적인 좌우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able tray that enables stable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ontact plate by moving the contact pl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cabl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long the guide groove of the support end by the insertion protrusion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aim is to provide an assembly.

본 발명은 밀착판이 고정덮개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돌출단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더욱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le tray assembly that enables a more stable fixing of a cable by allowing the contact plate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in a space between protruding end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cover.

본 발명은 고정덮개의 덮개판 하부면에 케이블을 누르는 상하고정수단이 형성되도록 하여 케이블의 상하 방향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le tray assembly that allows the cable to be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llowing the upper and lower fixing means to press the cabl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of the fixing cover.

본 발명은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눌리는 누름부재에 의해 케이블을 누르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크기에 상관없이 케이블을 밀착·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le tray assembly that enables the cable to be adhered to and support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cable by pressing the cable with a pressing member pressed in the downward direc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body.

본 발명은 사이드프레임의 내측으로 복수의 다층지지판이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하고, 각각의 다층지지판에는 수용프레임이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다층으로 케이블을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케이블의 확장 및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plurality of multi-layer support plates to be formed protruding inside the side frame, and the multi-layer support plates are seated and fixed to each multi-layer support plate so that cables can be received and supported in multiple layers, and the cable can be expanded and changed.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cable tray assembly that can be easily made.

본 발명은 다층지지판에 안착되는 수용프레임이 하층의 고정덮개 상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고정지지체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le tray assembly that enables stable support of a fixed support by allowing a receiving frame mounted on a multilayer support plate to be seated and supported on a fixed cover of a lower layer.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는 벽체 또는 천장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따라 설치되며, 한 쌍이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사이드프레임 사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고정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지지체는 사이드프레임과 결합하여 고정되며, 케이블을 수용하는 수용프레임과; 상기 수용프레임과 결합하여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고정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프레임 및 고정덮개는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케이블을 압착·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le tra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a wall or ceiling and is installed along a cable, and a side fram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air; It is formed to be fixed between the side frame to support the cable; includes, the fixed support is fixed to be coupled to the side frame, the receiving frame for receiving the cable; Includes; and a fixing cover for fixing the cable in combination with the receiving frame, the receiving frame and the fixing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ble is compressed and supported by a resilient force by elasticit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수용프레임은 전후 한 쌍으로 형성되어 사이드프레임에 안착되고,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단과; 상기 지지단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지지단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수용프레임 내의 공간을 구획하는 이격단과; 상기 이격단에 의해 구획되어 개별적으로 복수의 케이블을 수용하는 단위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덮개는 이격단에 의해 구획되는 단위수용부 각각을 덮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ble tra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frame is formed in a pair of front and rear seated on the side frame, a support end for supporting the cable; A spaced end formed vertically between the support ends and a plurality of spaced intervals along the support end to divide the space in the receiving frame; It includes a unit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cables individually partitioned by the separation end; includes, the fixing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ormed to cover each of the unit receiving portion partitioned by the separation en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수용프레임은 상기 단위수용부 각각에 형성되어 단위수용부에 수용되는 케이블을 좌우 방향에서 압착·지지하는 좌우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고정수단은, 케이블의 일측에 밀착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며, 상기 지지단 내측에 지지되어 전후로 이동하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과 이격단 사이에 형성되어 밀착단에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밀착판의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어 지지단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와; 지지단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며,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ble tra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frame is formed on each of the unit receiving portion, the left and right fixing means for pressing and supporting the cable accommodated in the unit receiving por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cluding, and the left and right fixing means, the contact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cable to support the cable, is supported inside the support end and moves back and forth; An elastic member formed between the contact plate and the spaced end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contact end; An insertion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ontact plate and inserted into a support e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embedded in a certain depth into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 end, and is formed in a certain length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guide groove into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 is inser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고정덮개는 상기 이격단 상에 안착되어 단위수용부의 상부를 덮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모서리를 따라 하측으로 돌출되어 수용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판은 하부면에서 하측으로 수직·돌출되며,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는 돌출단;을 포함하여, 수용프레임에 대한 고정덮개의 결합 후 상기 밀착판이 돌출단 사이의 공간에 삽입·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ble tra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cover is seated on the separation end and the cover plate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unit receiving portion, and downward along the edge of the cover plate Including a fixed leg that protrudes and is coupled to the receiving frame, the cover plate is vertically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to the lower side, a plurality of protruding end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cluding, for the receiving frame After the fixing cover is combined, the contact plate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space between the protruding end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고정덮개는 상기 덮개판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케이블을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압착·지지하는 상하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고정수단은 케이블과 밀착되어 케이블을 누르는 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와 덮개판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ble tra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cover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and includes upper and lower fixing means for compressing and supporting the cable by a resilient force by elasticity. And, the upper fix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the cable in close contact with the cable, and an elastic body formed between the pressing member and the cover plate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by elasticit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누름부재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ble tra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long the pressing me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상하고정수단은 상기 덮개판의 전후측에 한 쌍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단과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ble tra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fixing means is formed in a pair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ove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face the support en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고정다리는 하부 내측으로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걸림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단은 전후 방향의 외측에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고리가 삽입·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ble tra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leg includes a locking ring formed to protrude upwardly toward the lower inner side, the support end is on the outs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is formed to be embedded in a predetermined depth,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hook is inserted and fix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용프레임을 하측에서 지지하며,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는 다층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프레임은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다층지지판 상에 지지되는 거치단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다층지지판 상에 복수의 수용프레임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ble tra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frame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to support the receiving frame from below, an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plurality The multi-layer support plate; including, the receiving frame is protru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including a mounting end supported on the multi-layer support plat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eceiving frames can be seated on the plurality of multi-layer support plates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수용프레임은 상기 다층지지판 상에 지지되면서 하층의 고정덮개 상에 안착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ble tra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frame is supported on the multi-layer support plate while being seated on the fixed cover of the lower layer, characterized in that stable support is possible do.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and use relationship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은 벽체 또는 천정에 고정된 사이드프레임에 수용프레임을 고정시키고, 수용프레임을 고정덮개로 덮어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케이블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한 케이블의 고정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the receiving frame to the side frame fixed to the wall or ceiling, and covers the receiving frame with a fixing cover so that the cable can be fixed by the restoring force due to elasticity, thereby quickly and easily fixing the cable. It has the effect of making work possible.

본 발명은 이격단에 의해 수용프레임을 복수의 단위수용부로 구획하고 각 단위수용부를 고정덮개로 덮도록 하며, 각 단위수용부에 복수의 케이블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을 구역별, 기능별로 구분하여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케이블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receiving frame into a plurality of unit accommodation units by a spaced end, covers each unit accommodation unit with a fixed cover, and allows a plurality of cables to be inserted and supported in each unit reception unit, thereby separating cables into sections and functions.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it to be inserted separately and enabling stable support for the cable.

본 발명은 각 단위수용부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좌우 방향에서 탄성에 의해 압착·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개수 및 크기에 관계없이 좌우 방향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ixing the cabl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gardless of the number and size of the cables by pressing and supporting the cables inserted in each unit receiving section by elasticit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본 발명은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케이블에 밀착되는 밀착판이 전후 방향에 형성되는 삽입돌기에 의해 지지단의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밀착판의 안정적인 좌우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stable movement of the contact plate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 by moving the contact pl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cabl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long the guide groove of the support end by the insertion protrusion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have.

본 발명은 밀착판이 고정덮개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돌출단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더욱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nabling a more stable fixing of the cable by allowing the contact plate to be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protruding end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cover.

본 발명은 고정덮개의 덮개판 하부면에 케이블을 누르는 상하고정수단이 형성되도록 하여 케이블의 상하 방향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llowing the cable to be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llowing the upper and lower fixing means to press the cabl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of the fixing cover.

본 발명은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눌리는 누름부재에 의해 케이블을 누르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크기에 상관없이 케이블을 밀착·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llowing the cable to be closely adhered to and support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cable by pressing the cable by the pressing member pressed downward in the downward direc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body.

본 발명은 사이드프레임의 내측으로 복수의 다층지지판이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하고, 각각의 다층지지판에는 수용프레임이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다층으로 케이블을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케이블의 확장 및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plurality of multi-layer support plates to be formed protruding inside the side frame, and the multi-layer support plates are seated and fixed to each multi-layer support plate so that cables can be received and supported in multiple layers, and the cable can be expanded and chang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made.

본 발명은 다층지지판에 안착되는 수용프레임이 하층의 고정덮개 상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고정지지체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nabling stable support of the fixed support by allowing the receiving frame seated on the multi-layer support plate to be seated and supported on the fixed cover of the lower layer.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 트레이의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사이드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고정지지체의 분해사시도
도 5은 케이블이 좌우고정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삽입돌기가 가이드홈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고정덮개의 하측사시도
도 8은 케이블이 상하고정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사이드프레임에 다층의 고정지지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typical cable tray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ble tra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ide frame of Figure 2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xed support of Figure 2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ble is supported by the left and right fixing means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cover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ble is supported by the upper and lower fixing means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ulti-layer fixed support is installed on the side fram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용이한 설치 및 확장이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cable tray assembly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exten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이한 설치 및 확장이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는 벽체 또는 천장에 고정되어 케이블(C)을 따라 설치되며, 한 쌍이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사이드프레임(1)과; 상기 사이드프레임(1) 사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케이블(C)을 지지하는 고정지지체(3);를 포함한다. When explaining the cable tray assembly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exten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the cable tray assembly is fixed to a wall or a ceiling and is installed along the cable C, A side frame 1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air; It is formed to be fixed between the side frame (1) to support the cable (C) (3).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는 종래 케이블을 케이블 타이로 묶어 고정시키던 방식에서 벗어나 사이드프레임(1)에 고정지지체(3)를 고정시키고 고정지지체(3)의 수용프레임(31)에 고정덮개(33)를 덮어 고정시키는 것만으로 설치가 완료되도록 하여 쉽고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cable tra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the fixing support 3 to the side frame 1 and moves away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of tying and fixing the cable with a cable tie, and the fixing cover 33 to the receiving frame 31 of the fixing support 3 ) To ensure that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simply by covering and fixing.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케이블(C)을 수용하도록 하면서 고정지지체(3)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구획별로 케이블(C)의 수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역별, 기능별로 케이블(C)을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각 구획의 케이블(C)들을 상하좌우 방향에서 밀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이블(C)들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케이블(C)에 대한 상하좌우 방향에서의 지지는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작업 없이도 케이블(C)에 대한 밀착·지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각 구획에 수용되는 케이블(C)의 개수나 크기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able C for each zone and function by dividing the fixed support 3 into a plurality of regions while allowing the plurality of cables C to be accommodated so that the cable C can be accommodated for each section. It can be accommodated separately, and it is possible to stably fix the cables (C) by allowing the cables (C) of each section to be supported in close, vertical, and left-right directions. At this time, the support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able (C) can be achieved by the restoring force due to elasticity, so that it is possible to adhere and support the cable (C) without additional work, and also the cables accommodated in each section ( It is possible to stably fix regardless of the number or size of C).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사이드프레임(1)에 복수의 고정지지체(3)를 층별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C)의 확장이나 추가시 손쉬운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한번에 다수의 케이블(C)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plurality of fixed supports (3) to be accommodated on a side-frame (1) layer by layer,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work when expanding or adding cables (C), and multiple cables (C) at a time. So that it can be fixed.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C,D,E,F 방향을 상하좌우전후 방향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s shown in FIG. 2, A, B, C, D, E, and F directions are defined as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사이드프레임(1)은 벽체 또는 천장에 고정되어 케이블(C)을 따라 설치되며 한 쌍이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고정지지체(3), 더욱 정확하게는 수용프레임(31)의 좌우 양단을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1) 상에는 고정지지체(3)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케이블(C)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상하 방향으로도 다층의 고정지지체(3)가 설치되어 다수의 케이블(C)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케이블(C)의 추가, 확장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사이드프레임(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다층지지판(11)과, 다층지지판(11) 상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고정지지체(3)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홀(1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ide frame (1) is fixed to the wall or ceiling is installed along the cable (C) is configured to be a pair of spaced apart, to support the fixed support (3), more precisely,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ceiving frame (31) do. On the side frame 1, a fixed support 3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to support the cable C. In particular, a multi-layered fixed support 3 is also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ultiple cables C are provided. While allowing to accommodate, it is possible to easily add, expand the cable (C). To this end, the side frame 1 is formed to penetrate a plurality of multi-layer support plates 11 and a multi-layer support plate 11 formed to protrude inwardly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FIG. 3. It may include a fixing hole 13 to be coupled to the fixing support (3).

상기 다층지지판(11)은 사이드프레임(1)의 내측으로 수직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고정지지체(3)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고정지지체(3)의 수용프레임(31)이 안착되도록 한다. 더욱 정확하게 상기 다층지지판(11) 상에는 수용프레임(31)의 거치단(315)이 안착되도도록 할 수 있으며, 다층지지판(11) 상의 고정홀(13)과 거치단(315)의 관통홀(315a)이 연통되도록 하여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다층지지판(11)은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다층지지판(11)에 고정지지체(3)가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다층의 케이블(C)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는 한 번에 다수의 케이블(C)을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C)의 추가나 확장시에도 추가로 고정지지체(3)를 적층하여 케이블(C)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그 설치가 매우 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설치 후의 외관도 깔끔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The multi-layer support plate 11 is formed to protrude vertically to the inside of the side frame 1 to support the fixed support 3, so that the receiving frame 31 of the fixed support 3 is seated. More precisely, the mounting end 315 of the receiving frame 31 may be seated on the multi-layer support plate 11, and the through hole 315a of the fixing hole 13 and the mounting end 315 on the multi-layer support plate 11 may be seated. ) To be in communication so that it is fixed by a separate fixing means (not shown). The multi-layer support plate 11 may be formed by being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s shown in FIG. 9, the multi-layer cable ( C) should be acceptable. Therefore, the cable tray assembly can fix a plurality of cables (C) at a time as well as fix the cable (C) by stacking additional fixing supports (3) even when adding or expanding the cable (C). Therefore, the installation can be done very easily, and the appearance after installation can be kept neat.

상기 고정홀(13)은 다층지지판(11) 상에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수용프레임(31)의 관통홀(315a)과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홀(13)은 고정지지체(3)가 사이드프레임(1)에 설치되는 지점마다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볼트와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이 삽입되어 사이드프레임(1)과 고정지지체(3)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e fixing hole 13 is configured to penetrate vertically on the multi-layer support plate 11, and is formed at a posi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through hole 315a of the receiving frame 31. The fixing hole 13 may be formed as a pair at each point where the fixing support 3 is installed on the side frame 1, and a separate fixing means (not shown) such as a bolt is inserted to the side frame 1 And the fixing support 3 to be fixed.

상기 고정지지체(3)는 사이드프레임(1) 사이에 형성되어 케이블(C)을 지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사이드프레임(1)의 다층지지판(11)에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지지체(3)는 사이드프레임(1)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며, 케이블(C)을 복수의 지점에서 지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지지체(3)는 사이드프레임(1)과 결합하여 고정되며, 케이블(C)을 수용하는 수용프레임(31)과; 상기 수용프레임(31)과 결합하여 케이블(C)을 고정시키는 고정덮개(33);를 포함한다. The fixing support 3 is formed between the side frames 1 to support the cable C, and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multi-layer support plate 11 of the side frame 1. The fixed support 3 i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side frame 1 to form a plurality, and supports the cable C at multiple points to be fixed. The fixing support 3 is fixed by being coupled to the side frame 1, the receiving frame 31 for receiving the cable (C); It includes a; a fixing cover (33) for fixing the cable (C) in combination with the receiving frame (31).

상기 수용프레임(31)은 사이드프레임(1) 사이에 고정되어 케이블(C)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양단이 사이드프레임(1)의 다층지지판(11) 상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수용프레임(31)은 사각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후 양 끝단에는 지지단(311)이 좌우 방향으로 수직 돌출되어 형성되고, 지지단(311) 사이에는 복수의 이격단(312)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용프레임(31) 내를 복수의 단위수용부(313)로 나누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단위수용부(313) 각각에는 복수의 케이블(C)이 수용되어 고정되며, 좌우고정수단(314)에 의해 수용된 케이블(C)을 좌우 방향에서 밀착·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용프레임(31)의 좌우 끝단에는 거치단(315)이 돌출 형성되어 다층지지판(11) 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receiving frame 31 is fixed between the side frames 1 to support the cable (C), both ends are seated on the multi-layer support plate 11 of the side frame 1 is fixed. The receiving frame 3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the support ends 311 are formed by protruding vertical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both front and rear ends, and a plurality of spaced ends 312 between the support ends 311. It is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inside of the receiving frame 3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t receiving portions 313. In addition, a plurality of cables (C) are accommodated and fixed to each of the unit accommodating portions 313, and the cables C accommodated by the left and right fixing means 314 are adhered and suppor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ceiving frame 31 is formed with a protruding end 315 to be seated on the multi-layer support plate 11.

상기 지지단(311)은 수용프레임(31)의 전후 양 끝단에 상방으로 수직 돌출되어 형성되며, 좌우 방향으로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단(311)은 상기 수용프레임(31) 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여 후술할 밀착판(314a)이 지지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지지단(311) 상에는 케이블(C)이 안착된다. 또한, 상기 지지단(311)의 외측으로는 고정홈(311a)이 함입되어 형성되며, 고정덮개(33)의 후술할 걸림고리(332a)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지지단(311)의 내측으로는 좌우고정수단(314)의 후술할 가이드홈(314d)이 좌우 방향을 따라 함입 형성되어 밀착판(314a)이 지지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upport end 311 is formed to protrude upwardly at both ends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receiving frame 31, and is formed to have a certain wid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refore, the support end 311 forms a certain space in the receiving frame 31 so that the contact plate 314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move in a supported state, and the cable C is seated on the support end 311. do. In addition, the outer side of the support end 311 is formed by the fixing groove 311a is embedded, the locking ring 332a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fixing cover 33 can be inserted and fixed, the support end 311 Inside, the guide groove 314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f the left and right fixing means 314 is embed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move the contact plate 314a in a supported state.

상기 고정홈(311a)은 지지단(311)의 외측 일 지점에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며, 걸림고리(332a)가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일정 공간, 특히 상측으로 일정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홈(311a)에 삽입되는 걸림고리(332a)는 고정홈(311a)의 상단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홈(311a)은 상기 고정덮개(33)의 고정다리(332)가 지지단(311)의 외측과 접촉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다리(332)는 고정덮개(33)의 네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홈(311a)은 단위수용부(313) 마다 4개씩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그 위치는 이격단(312)의 하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xing groove 311a is formed to be indented at a certain depth at a point outside the support end 311, and is formed to have a certain space in which the locking ring 332a is accommodated and fixed, in particular, a certain space toward the upper side. Therefore, the locking ring 332a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311a is hung at the top of the fixing groove 311a to maintain a fixed state. The fixing groove 311a may be formed at a point where the fixing leg 332 of the fixing cover 33 is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support end 311, and the fixing leg 332 is four of the fixing cover 33. Since it may be formed at the corner, the fixing groove 311a may be formed four per unit accommodation portion 313, and the position thereof may be formed below the separation end 312.

상기 이격단(312)은 지지단(311)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복수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이격단(312)은 수용프레임(31)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고정덮개(33)가 수용프레임(31)을 덮어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덮개(33)의 덮개판(331)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격단(312)은 수용프레임(31) 내부의 공간이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되도록 하고 각 영역은 복수의 케이블(C)을 수용하는 단위수용부(313)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복수의 단위수용부(313)에는 각각의 고정덮개(33)가 결합하도록 하며, 이를 위해 이격단(312) 상에는 양측 단위수용부(313)를 덮는 고정덮개(33)가 밀착되어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격단(312)의 일측으로는 좌우고정수단(314)의 후술할 탄성부재(314b)가 고정되어 밀착판(314a)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eparation end 312 is configured to be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between the supporting ends 311, and a plurality of spaced apart ends are formed. The separation end 312 is formed to have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receiving frame 31 and the cover plate 331 of the fixing cover 33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cover 33 covers the receiving frame 31 and is coupled. Make sure to be in close contact. In addition, the separation end 312 allows the space inside the receiving frame 31 to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each region forms a unit accommodating portion 313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cables C. Each of the fixing cover 33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unit accommodating portions 313, and for this purpose, the fixing cover 33 covering both unit accommodating portions 313 is securely seated on the separation end 312. . 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314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f the left and right fixing means 314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eparation end 312 to support the contact plate 314a.

상기 단위수용부(313)는 이격단(312)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프레임(31) 내의 케이블(C) 수용 공간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수용부(313) 각각에는 복수의 케이블(C)이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설치환경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케이블(C)이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위수용부(313)는 구역별, 기능별로 케이블(C)을 구분하여 수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이블(C)의 구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복수의 단위수용부(313) 각각에는 좌우고정수단(314)이 형성되어 단위수용부(313)에 수용되는 케이블(C)을 좌우 방향에서 압착·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수용프레임(31)이 복수의 단위수용부(313)로 구분되어 형성되도록 함에 따라 케이블(C)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The unit accommodating portion 313 is a cable (C) accommodation space in the accommodation frame 31 formed by the separation end 312 and may be formed in three regions 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cables C may be accommodated and fixed to each of the unit accommodating parts 313, and various numbers of cables C may be accommoda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Therefore, the unit accommodating unit 313 allows the cable C to be classified and accommodated by zone and function so that the cable C can be easily distinguished.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fixing means 314 are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accommodating portions 313 so that the cable C accommodated in the unit accommodating portion 313 can be compressed and suppor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receiving frame 31 ) Is formed by be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t accommodating parts 313 to support the cable C more stably.

상기 좌우고정수단(314)은 단위수용부(313) 각각에 형성되어 단위수용부(313)에 수용되는 케이블(C)을 좌우 방향에서 압착·지지하는 구성으로,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케이블(C)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좌우고정수단(314)은 케이블(C)의 개수, 크기에 상관없이 케이블(C)을 압착·지지할 수 있으며, 케이블(C)을 단위수용부(313)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고정이 이루어지므로 쉽고 신속한 설치가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좌우고정수단(314)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판(314a), 탄성부재(314b), 삽입돌기(314c), 가이드홈(314d)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eft and right fixing means 314 is formed in each of the unit accommodating portion 313, and the cable C accommodated in the unit accommodating portion 313 is compressed and suppor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 should be supported. Therefore, the left and right fixing means 314 can compress and support the cable C regardless of the number and size of the cables C, and are fixed only by inserting the cable C into the unit receiving portion 313. As this is achieved, an easy and quick installation is possible. To this end, the left and right fixing means 314 may include an adhesive plate 314a, an elastic member 314b, an insertion protrusion 314c, and a guide groove 314d as shown in FIGS. 4 to 5.

상기 밀착판(314a)은 케이블(C)의 측면 방향에서 케이블(C)을 밀착·지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탄성부재(314b)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케이블(C)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밀착판(314a)은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는 삽입돌기(314c)에 의해 지지단(311)에 지지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케이블(C)이 삽입된 후, 케이블(C)의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케이블(C)을 압착·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밀착판(314a)은 이격단(312)에 상응하는 높이록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덮개(33)의 결합 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판(331)의 돌출단(331a)에 의해 형성되는 끼움홈(331a-1)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C)을 안정적인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e contact plate 314a is configured to closely adhere and support the cable C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able C,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ble C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14b. The contact plate 314a is formed to be able to move freely in the left-right direction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 end 311 by the insertion protrusion 314c protru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fter the cable C is inserted, the cable ( The cable C is crimped and suppor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ity of C). The contact plate 314a may be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paced end 312, and after the fixing cover 33 is coupled, to the protruding end 331a of the cover plate 331 as shown in FIG. By being fitted and fixed to the fitting groove 331a-1 formed by the cable C, the cable C can be fixed in a stable state.

상기 탄성부재(314b)는 밀착판(314a)과 이격단(312)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밀착판(314a)을 눌러 케이블(C)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밀착판(314a)이 탄성부재(314b)에 연결되어 자유롭게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케이블(C)을 누르는 구조를 취함에 따라 수용프레임(31)에 대한 케이블(C)의 삽입과 고정이 매우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기 밀착판(314a)은 고정덮개(33)의 결합과 함께 끼움홈(331a-1)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케이블(C)에 밀착된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 elastic member 314b is formed between the contact plate 314a and the spaced end 312 so as to support the cable C by pressing the contact plate 314a by restoring force due to elasticity. Therefore, as the contact plate 314a is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314b and moves free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cable C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receiving frame 31 as it takes the structure of pressing the cable C. It can be made very easily and quickly,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act plate 314a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tting groove 331a-1 together with the fastening of the fixing cover 33, so that the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cable C is further improved. It can be kept stable.

상기 삽입돌기(314c)는 상기 밀착판(314a)의 전후 끝단 일 지점에서 전후 방향으로 수직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단(311)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314d)에 삽입되며,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314d)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삽입돌기(314c)는 밀착판(314a)이 지지단(311)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밀착판(314a)이 수용프레임(3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블(C)에 대한 안정적인 고정과 함께 편리한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insertion protrusion 314c is configured to be vertically projec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a point before and after the end of the contact plate 314a, as shown in FIG. 6, the guide groove formed inside the support end 311 ( 314d), and can be mov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long the guide groove 314d form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refore, the insertion protrusion 314c allows the contact plate 314a to be s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end 311 and move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prevents the contact plate 314a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receiving frame 31, Stable fixing to the cable (C) and convenient use can be achieved.

상기 가이드홈(314d)은 지지단(311)의 내측에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314c)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단(312) 사이에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홈(314d)은 삽입돌기(314c)가 좌우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밀착판(314a)의 안정적인 좌우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guide groove 314d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upport end 311 at a certain depth so that the insertion protrusion 314c is inserted to be formed between the spaced ends 312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refore, the guide groove 314d allows the insertion protrusion 314c to stably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reby enabling stable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ontact plate 314a.

상기 거치단(315)은 수용프레임(31)의 좌우 양단의 이격단(312)에서 좌우 방향으로 수직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다층지지판(11) 상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거치단(315)은 수용프레임(31)이 사이드프레임(1)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사이드프레임(1)에 다층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거치단(315) 상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315a)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층지지판(11)의 고정홀(13)과 연통되는 위치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mounting end 315 is configured to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spaced ends 312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ceiving frame 3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is mounted on the multilayer support plate 11. Therefore, the mounting end 315 allows the receiving frame 31 to be fixed on the side frame 1 and inserted into the side frame 1 in multiple layers to be fixed. On the mounting end 315, a through-hole 315a may be formed that penet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formed in a pair in a posi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fixing hole 13 of the multi-layer support plate 11, so that separate fixing means (not shown) Can be fixed.

상기 고정덮개(33)는 상기 수용프레임(31)의 상측에 결합하여 수용프레임(31)에 수용된 케이블(C)을 상측에서 덮어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단위수용부(313) 각각에 별개로 형성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덮개(33)는 각 단위수용부(313)에 수용된 케이블(C)을 상측에서 눌러 고정시키도록 하며, 탄성에 의한 압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케이블(C)의 크기에 상관없이 케이블(C)을 눌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덮개(33)는 덮개판(331), 고정다리(332), 상하고정수단(33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xing cover 33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frame 31 to cover and fix the cable C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frame 31 from the upper side, and is separately formed in each of the unit receiving portions 313 So that they can be combined. In addition, the fixing cover 33 is to press and fix the cable (C) accommodated in each unit receiving portion 313 from the upper side, and by pressing the elastic by the cable (C)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cable ( Press C) to fix. To this end, the fixing cover 33 may include a cover plate 331, a fixed leg 332, the upper and lower fixing means 333.

상기 덮개판(331)은 각 단위수용부(313)의 상부를 덮는 구성으로, 사각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판(331)의 하부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단(331a)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돌출단(331a)은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돌출단(331a)의 사이에는 끼움홈(331a-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끼움홈(331a-1)에는 상기 밀착판(314a)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용프레임(31)에 대한 고정덮개(33)의 결합에 의해 밀착판(314a)은 끼움홈(331a-1)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케이블(C)에 대한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덮개판(331)은 수용프레임(31)이 다층으로 형성되어 사이드프레임(1)에 고정되는 경우, 상층의 수용프레임(31)을 지지하도록 하며 수용프레임(31)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덮개판(331)은 네 모서리에 고정다리(332)를 형성하여 수용프레임(31)에 대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 cover plate 331 is configur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each unit receiving portion 313, may be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material. 7, a protrusion 331a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331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ends 331a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eft-right direction. To form. Therefore, a fitting groove 331a-1 may be formed between the protruding ends 331a, and the contact plate 314a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tting groove 331a-1.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plate 314a can be stably fixed by the fitting groove 331a-1 by the coupling of the fixing cover 33 to the receiving frame 31, and through this, the cable Stable fixing to (C) becomes possible. In addition, the cover plate 331, when the receiving frame 31 is formed of a multi-layer is fixed to the side frame (1), to support the receiving frame 31 of the upper layer and stable fixing of the receiving frame 31 is possible Do it. In addition, the cover plate 331 forms a fixed leg 332 at four corners so that the coupling to the receiving frame 31 can be made.

상기 고정다리(332)는 덮개판(331)의 네 모서리에서 하측으로 수직 돌출되어 수용프레임(31)에 결합하는 구성으로, 이격단(312)의 전후 방향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다리(332)는 하부 내측으로 걸림고리(332a)가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걸림고리(332a)는 지지단(311)의 외측에 형성되는 고정홈(311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고리(332a)는 상방으로 기울어지게 돌출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고, 고정홈(311a)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덮개(33)는 걸림고리(332a)를 고정홈(311a)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수용프레임(31)에 대한 결합이 완료되도록 할 수 있고, 결합의 완료와 함께 고정지지체(3) 내의 케이블(C)은 좌우고정수단(314) 및 상하고정수단(333)에 의해 밀착·고정되므로 그 설치가 매우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xed leg 332 is vertically protruding from the four corners of the cover plate 331 to be coupled to the receiving frame 31,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eparation end (312). The fixing leg 332 may be formed by protruding the locking ring 332a in the lower inner side, the locking ring 332a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311a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upport end 311 to be fixed Make it possible. The engaging ring 332a protrudes inclined upward, and may be formed to have a narrower width toward the upper side, and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fixing groove 311a to be fixed. Therefore, the fixing cover 33 can be engaged with the receiving frame 31 only by inserting the locking ring 332a into the fixing groove 311a, and the fixing support 3 is completed with the completion of the coupling. Since the inner cable C is closely and fixed by the left and right fixing means 314 and the top and bottom fixing means 333, the installation can be made very easily and quickly.

상기 상하고정수단(333)은 각 단위수용부(313) 내에 수용된 케이블(C)을 상측에서 눌러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케이블(C)을 누르도록 하여 케이블(C)의 크기에 상관없는 밀착·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상하고정수단(33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판(331)의 하부면에 전후 양측으로 한 쌍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지지단(311)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밀착판(314a)과의 간섭없이 케이블(C)에 대한 누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상하고정수단(333)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재(333a)와 탄성체(333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and lower fixing means 333 is configured to press and fix the cable C accommodated in each unit receiving portion 313 from the upper side, so that the cable C is pressed by the resilient force of elasticity, there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cable C. It should be possible to make close contact and fixation irrespective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means 333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331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as shown in FIG. 7, and formed in a position facing the support end 311 so that the contact plate ( 314a)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cable (C). To this end, the upper fixing means 333 may include a pressing member 333a and an elastic body 333b as shown in FIG. 8.

상기 누름부재(333a)는 케이블(C)을 눌러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탄성체(333b)의 복원력에 의해 누르는 힘을 제공받도록 한다. 상기 누름부재(333a)는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덮개판(331)의 전후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The pressing member 333a is configured to press and fix the cable C, and is provided with a pressing forc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body 333b. The pressing member 333a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pair may be formed on both sides before and after the cover plate 331.

상기 탄성체(333b)는 덮개판(331)과 누름부재(333a) 사이에 형성되어 누름부재(333a)에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체(333b)는 누름부재(333a)에 대한 균형적인 복원력의 제공이 가능하며, 케이블(C)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누름부재(333a)는 탄성체(333b)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케이블(C)을 누르도록 하므로, 별도의 작업 없이도 고정덮개(33)를 덮는 것만으로 케이블(C)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elastic body 333b is formed between the cover plate 331 and the pressing member 333a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due to elasticity to the pressing member 333a. You can. Therefore, the elastic body 333b can provide a balanced restoring force to the pressing member 333a, and enables the cable C to be stably supported. Since the pressing member 333a presses the cable C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body 333b, it is possible to fix the cable C simply by covering the fixing cover 33 without additional work. have.

도 9는 고정지지체(3)가 다층을 형성하면서 사이드프레임(1)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이드프레임(1)의 다층지지판(11)에 의해 형성되는 각 층에 고정지지체(3)가 설치되어 다층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지지체(3)는 사이드프레임(1)의 하측부터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케이블(C)의 설치가 필요한 경우 고정지지체(3)를 상측으로 쌓아가면서 케이블(C)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는 고정덮개(33)만을 분리하여 언제든지 각 단위수용부(313)에 케이블(C)의 추가 설치가 가능하고, 사이드프레임(1)에 고정된 고정지지체(3)도 쉽게 분리하여 하층의 고정지지체(3)에도 추가적인 케이블(C)의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는 케이블(C)의 손쉬운 고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확장, 변경, 해체시에도 그 작업이 매우 쉽게 이루어지고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며, 외관상 깔끔한 정리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ed support 3 is installed on the side frame 1 while forming a multi-layer, the cable tra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multi-layer support plate 11 of the side frame 1 as described above A fixed support 3 may be installed on each layer formed by the multi-layer formation. At this time, the fixed support 3 may be install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side frame 1, and if additional cable C is required to be installed, the fixed support 3 is stacked upward, and the cable C is Fixing can be done. In addition, the cable tray assembly can be installed at any time by additionally installing the cable (C) in each unit receiving part 313 by removing only the fixing cover 33, and the fixed support 3 fixed to the side frame 1 is also easy. Separately, an additional cable (C) can be installed on the lower support (3). Therefore, the cable tray assembly can not only easily fix the cable (C), but also can be easily fixed and stable during the expansion, change, and disassembly, and can also be arranged neatly.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the applicant has 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embodiments are only one embodiment of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modification o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1: 사이드프레임
11: 다층지지판 13: 고정홀
3: 고정지지체
31: 수용프레임 311: 지지단 311a: 고정홈
312: 이격단 313: 단위수용부 314: 좌우고정수단
314a: 밀착판 314b: 탄성부재 314c: 삽입돌기
314d: 가이드홈 315: 거치단 315a: 관통홀
33: 고정덮개 331: 덮개판 331a: 돌출단
331a-1: 끼움홈 332: 고정단리 332a: 걸림고리
333: 상하고정수단 333a: 누름부재 333b: 탄성체
1: Side frame
11: Multi-layer support plate 13: Fixing hole
3: Fixed support
31: receiving frame 311: support end 311a: fixing groove
312: separation 313: unit accommodation unit 314: left and right fixing means
314a: contact plate 314b: elastic member 314c: insertion protrusion
314d: Guide groove 315: Mounting end 315a: Through hole
33: fixing cover 331: cover plate 331a: protruding end
331a-1: Fitting groove 332: Fixed isolation 332a: Hook
333: upper fixing means 333a: pressing member 333b: elastic body

Claims (6)

벽체 또는 천장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따라 설치되며, 한 쌍이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사이드프레임 사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고정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지지체는,
사이드프레임과 결합하여 고정되며, 케이블을 수용하는 수용프레임과; 상기 수용프레임과 결합하여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고정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프레임 및 고정덮개는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케이블을 압착·지지하도록 하며,
상기 수용프레임은,
전후 한 쌍으로 형성되어 사이드프레임에 안착되고,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단과; 상기 지지단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지지단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수용프레임 내의 공간을 구획하는 이격단과; 상기 이격단에 의해 구획되어 개별적으로 복수의 케이블을 수용하는 단위수용부와; 상기 단위수용부 각각에 형성되어 단위수용부에 수용되는 케이블을 좌우 방향에서 압착·지지하는 좌우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덮개는 이격단에 의해 구획되는 단위수용부 각각을 덮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좌우고정수단은,
케이블의 일측에 밀착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며, 상기 지지단 내측에 지지되어 전후로 이동하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과 이격단 사이에 형성되어 밀착단에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밀착판의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어 지지단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와; 지지단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며,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덮개는,
상기 이격단 상에 안착되어 단위수용부의 상부를 덮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모서리를 따라 하측으로 돌출되어 수용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판은,
하부면에서 하측으로 수직·돌출되며,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는 돌출단;을 포함하여, 수용프레임에 대한 고정덮개의 결합 후 상기 밀착판이 돌출단 사이의 공간에 삽입·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A side frame fixed to a wall or a ceiling and installed along a cable, the pair being spaced apart; It is formed to be fixed between the side frames to support the cable; includes,
The fixed support,
It is fixed in combination with the side frame, the receiving frame for receiving the cable; Includes; fixing cover for fixing the cable in combination with the receiving frame,
The receiving frame and the fixing cover are to be pressed and supported by the cable by the restoring force by elasticity,
The receiving frame,
It is formed in a pair of front and rear seated on the side frame, and a support end for supporting the cable; A spaced end formed vertically between the support ends and a plurality of spaced intervals along the support end to divide the space in the receiving frame; A unit accommodation unit partitioned by the spaced ends to individually accommodate a plurality of cables; Includes; left and right fixing means formed in each of the unit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nd pressing the cable accommodated in the unit receiving por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 plurality of the fixing cover is formed so as to cover each of the unit receiving portions partitioned by the separation end,
The left and right fixing means,
A contact plat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cable to support the cable, and is supported inside the support end and moves back and forth; An elastic member formed between the contact plate and the spaced end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contact end; An insertion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ontact plate and inserted into a support end; It is formed to be embedded in a certain depth into the inside of the support end, the guide groove is formed to a certain length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inserted; includes,
The fixing cover,
It includes a cover plate seated on the separation en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unit receiving portion, and a fixed leg protruding downward along the edge of the cover plate and coupled to the receiving frame,
The cover plate,
Protruding ends vertically and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and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cluding, after the fixing cover is attached to the receiving frame, the contact plate is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space between the protruding ends Cable tray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o b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덮개는
상기 덮개판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케이블을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압착·지지하는 상하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고정수단은,
케이블과 밀착되어 케이블을 누르는 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와 덮개판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cover
It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and includes an upper and lower fixing means for compressing and supporting the cabl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he upper and lower fixing means,
A cable tray assembly comprising a pressing member in close contact with the cable and pressing the cable, and an elastic body formed between the pressing member and the cover plate to provide resilience by elastic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용프레임을 하측에서 지지하며,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는 다층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프레임은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다층지지판 상에 지지되는 거치단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다층지지판 상에 복수의 수용프레임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de frame
It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ward to support the receiving frame from the lower side, and i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plurality of multi-layer support plates.
The receiving frame is protru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including a mounting end supported on the multi-layer support plate, a cable tray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eceiving frames can be seated on the multi-layer support plate.
KR1020190163743A 2019-12-10 2019-12-10 A Cable Tray Assembly Capable of being Easily Installed and Extended KR1021011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743A KR102101168B1 (en) 2019-12-10 2019-12-10 A Cable Tray Assembly Capable of being Easily Installed and Extend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743A KR102101168B1 (en) 2019-12-10 2019-12-10 A Cable Tray Assembly Capable of being Easily Installed and Extend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168B1 true KR102101168B1 (en) 2020-04-16

Family

ID=70454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743A KR102101168B1 (en) 2019-12-10 2019-12-10 A Cable Tray Assembly Capable of being Easily Installed and Extend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16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914B1 (en) * 2021-01-25 2021-11-18 이탁원 Cable tray
KR20220164264A (en) 2021-06-04 2022-12-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veying cable with air-pressur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891Y1 (en) * 1996-11-09 1999-06-15 이규운 Cable tray
KR100847877B1 (en) * 2008-04-02 2008-07-23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Cable tray having fixing device for elastically supporting cables
KR100865273B1 (en) * 2008-02-05 2008-10-24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Duct for protected multi-electric line of apartment house to being buried inwall
KR101199519B1 (en) * 2012-09-06 2012-11-09 (주)한신콘설탄트 Cable tray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drawing at substation
KR101499023B1 (en) * 2015-02-03 2015-03-05 (주)케이아이기술단 Apartment Distribution cable tray fire spread protection apparatus
KR101561048B1 (en) * 2015-04-23 2015-10-16 주식회사 서영산업 cable tray
KR101655231B1 (en) * 2016-03-25 2016-09-07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Electric cable tray for building
KR101997081B1 (en) * 2018-10-05 2019-07-05 송경영 Cable tray assembly capable of multi-layer cable laying and fixing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891Y1 (en) * 1996-11-09 1999-06-15 이규운 Cable tray
KR100865273B1 (en) * 2008-02-05 2008-10-24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Duct for protected multi-electric line of apartment house to being buried inwall
KR100847877B1 (en) * 2008-04-02 2008-07-23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Cable tray having fixing device for elastically supporting cables
KR101199519B1 (en) * 2012-09-06 2012-11-09 (주)한신콘설탄트 Cable tray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drawing at substation
KR101499023B1 (en) * 2015-02-03 2015-03-05 (주)케이아이기술단 Apartment Distribution cable tray fire spread protection apparatus
KR101561048B1 (en) * 2015-04-23 2015-10-16 주식회사 서영산업 cable tray
KR101655231B1 (en) * 2016-03-25 2016-09-07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Electric cable tray for building
KR101997081B1 (en) * 2018-10-05 2019-07-05 송경영 Cable tray assembly capable of multi-layer cable laying and fix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914B1 (en) * 2021-01-25 2021-11-18 이탁원 Cable tray
KR20220164264A (en) 2021-06-04 2022-12-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veying cable with air-press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168B1 (en) A Cable Tray Assembly Capable of being Easily Installed and Extended
KR100993138B1 (en) Structure for connecting cable tray
JP2017507634A (en) Switch base rack base assembly
RU2635854C2 (en) Means marking evacuation route, containing luminous band from photoluminescent material
KR102000228B1 (en) Ceiling finish panel assembly
JP7010717B2 (en) Vibration absorbing member, parti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equipped with it, and installation method of vibration absorbing member
KR101325301B1 (en) Insulating pane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MX2019011584A (en) Process for producing a recess in the base region of a wall construction, corresponding wall construction and system and construction element therefor.
KR101583552B1 (en) Wall module made of wood
KR101830354B1 (en) Block for constructing wall and construction wall thereof
RU2560032C1 (en) Flooring consisting of panels mechanically attached to each oth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panels, as well as method for their laying
US9169657B1 (en) Modular attic flooring assembly
CN211200799U (en) Sound insulation decorative wall for photo hall
JP6663744B2 (en) Frame
KR200488886Y1 (en) Cable tray
JP5796226B2 (en) Wall storage device
CN103306404A (en) Separating structure and system
JP6501387B2 (en) Connected structure of desktop panel, desk and desktop panel
JP6456775B2 (en) Thermal insulation panel
JP7094720B2 (en) Floor structure
JP7279927B2 (en) Ceiling structure and supporting members
KR20140002538U (en) an aluminum honeycomb grating panel
CN103306452B (en) Component for wall covering
JP7306816B2 (en) Scaffold board connector and scaffold board connection structure
CN217054146U (en) Assembled wallboard lamp area receives limit structure and wallboard lamp area installation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