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141B1 - Tray apparatus for carrying food and packaging automatic system of processed fo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ray apparatus for carrying food and packaging automatic system of processed fo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141B1
KR102101141B1 KR1020200018195A KR20200018195A KR102101141B1 KR 102101141 B1 KR102101141 B1 KR 102101141B1 KR 1020200018195 A KR1020200018195 A KR 1020200018195A KR 20200018195 A KR20200018195 A KR 20200018195A KR 102101141 B1 KR102101141 B1 KR 102101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food
packaging
uni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1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성일
Original Assignee
(주)이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디티 filed Critical (주)이디티
Priority to KR1020200018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1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1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apparatus for transporting food and an automated system for packing processed fo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y apparatus for transporting food comprises: a cylindrical body (21); a support plate (23); a slide plate (29)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hole (29a) and an operation hole (29b); a guide bar (28)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a bottom plate (22) of the body (21); a stopper block (25)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guide bar (28); and a stopper (2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mass production of processed food and to greatly improve production efficiency by establishing an automated system for all processes.

Description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TRAY APPARATUS FOR CARRYING FOOD AND PACKAGING AUTOMATIC SYSTEM OF PROCESSED FOOD USING THE SAME}TRAY APPARATUS FOR CARRYING FOOD AND PACKAGING AUTOMATIC SYSTEM OF PROCESSED FO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를 통해 순환하면서 일정 무게의 식품을 운반하여 포장봉투 속으로 배출한 후 다시 식품 투입 위치로 이동하는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device for carrying food and an automated system for packaging processed foods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food that moves through a conveyor while being transported to a food input position after transporting a certain weight of food and discharging it into a packaging bag. It relates to a tray device for transportation and an automated system for packaging processed foods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상부에 호퍼 형상을 가진 원통형 몸체의 내부에 일정 무게의 식품을 투입하고 하부의 슬라이드판을 개방하여 아래의 배출구로 식품을 배출하는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y device for carrying food to discharge food into a lower outlet by injecting a certain weight of food into the inside of a cylindrical body having a hopper shape at the top and opening a slide plate at the bottom, and an automated system for processing food packaging using th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절임식품(Salting food)은 소금을 첨가하여 저장성을 높인 식품으로써, 김치, 단무지, 짠지, 오이지 등이 있으며, 이중 김치가 대표적인 식품이다.In general, salted foods are foods with increased storage by adding salt, and include kimchi, sweet radish, salty paper, and cucumber, and kimchi is a typical food.

이 중에서, 포기김치를 제조하는 방법은 여러겹으로 감싸져 있는 통배추를 가지고 절임과 세척이 용이하도록 2분절 또는 4분절로 절단한다. 이와 같이 절단한 배추는 염도가 조절된 염수에 일정시간 담가 절임 작업을 한 다음, 적당히 간이 배이면 연수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깨끗한 물에 세척한다. 이렇게 세척이 완료된 배추는 바구니 등에 담아 물기를 제거한 다음, 갖가지 양념과 채소로 버무려진 김치 속을 넣은 다음 포기김치를 완성한 후 포장하거나 숙성을 위해 보관한다.Among them,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kimchi is cut into two or four segments to facilitate pickling and washing with the whole cabbage wrapped in multiple layers. The cut cabbage is soaked in brine with a controlled salinit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pickled, then washed with clean water to remove soft water and debris if properly marinated. The washed cabbage is removed by putting it in a basket, etc., and then putting kimchi mixed with various seasonings and vegetables. After completing the abandoned kimchi, wrap it or store it for aging.

포기김치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김치속은 무를 일정한 크기의 채로 썰어 준비하고, 그외 다양한 채소와 고추가루, 다진 마늘, 새우젖 등 다양한 양념을 혼합하여 제조한다.The kimchi genus used when preparing forage kimchi is prepared by cutting the radish into a certain size, and mixing various vegetables and various spices such as chilli powder, minced garlic, and shrimp milk.

이같이 제조한 김치속은 다량의 포기김치를 제조하는 경우, 큰 탱크에 보관해두고 소정 크기의 용기에 옮겨 담아 작업자에게 공급되고, 작업자는 용기에서 적당 량의 김치속을 손으로 꺼집어 내어 배추 속에 넣고 골고루 혼합하는 과정을 통하여 포기김치를 완성하게 된다.When manufacturing a large amount of abandoned kimchi, the kimchi so prepared is stored in a large tank, transferred to a container of a predetermined size, and supplied to the worker, and the worker takes out an appropriate amount of kimchi from the container by hand and puts it in the cabbage evenly The kimchi is completed through the mixing process.

그러나, 종래에는 작업자가 눈대중으로 김치속을 손으로 집어서 배추 속에 넣어 김치를 제조하기 때문에, 매번 김치속의 량이 달라서 김치의 맛이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에 따라서도 김치속의 량이 제각기 달라 맛과 간이 다르고, 김치속을 배추 속에 균일하게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worker picks up the kimchi by hand and puts it in the cabbage to manufacture kimchi,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aste of kimchi is different because the amount of kimchi is different each time. In addition, the amount of kimchi varies depending on the operator, so the taste and liver are differen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kimchi can not be uniformly supplied into the cabbag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김치속을 일정하게 공급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출시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conventionally, a device for supplying kimchi constantly has been developed and released.

그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3096호(등록일자: 2012.06.29.)는 김치속 공급용 김치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에 대해 개재하고 있다.As an example,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163096 (Registration Date: June 29, 2012) discloses a kimchi manufacturing apparatus for supplying kimchi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상기 김치속 공급용 김치 제조장치는, 내부에 설치된 김치속 교반 스크류(102)로 김치속을 교반하는 김치속 저장탱크(100)와, 상기 저장탱크(100)의 김치속을 이송배관(130)을 통해 공급하는 모노펌프(110)와, 상기 이송배관(130)을 통해 공급된 김치속을 교반모터(310)에 회전하는 교반날개(330)로 교반하여 하측의 배출구(370)로 배출하는 김치속 호퍼(300)와, 상기 김치속 호퍼(300)의 하측에 설치되며 김치속을 정량 흡입하는 피스톤(420)과 연결된 실린더(410)로 이루어진 김치속 투입기(400)와, 제어밸브(430)에 의해 배출구(370)와 피스톤(420)이 개방되면 상기 피스톤(420) 내부의 김치속을 노즐 실린더(510)에 의해 노즐구멍(530)을 통해 배출하는 김치속 노즐(500)을 포함하고 있다.The kimchi manufacturing apparatus for supplying kimchi, mono kimchi to supply the kimchi speed storage tank 100 for stirring the kimchi speed with the kimchi speed stirring screw 102 installed therein, and the kimchi speed of the storage tank 100 through the transfer pipe 130 A pump 110 and a kimchi speed hopper 300 that agitates the kimchi speed supplied through the transport pipe 130 with a stirring blade 330 rotating on the stirring motor 310 and discharges it to the lower outlet 370.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kimchi speed hopper 300 and comprises a kimchi speed injector 400 made of a cylinder 410 connected to a piston 420 for quantitatively inhaling kimchi speed, and an outlet 370 and a piston 420 by a control valve 430 ) Is opened, it includes a kimchi speed nozzle 500 that discharges the kimchi speed inside the piston 420 through the nozzle hole 530 by the nozzle cylinder 510.

상기 김치속 공급용 김치 제조장치는, 실린더(410) 축의 후진 동작으로 피스톤(420) 내부로 김치속을 흡입한 다음 상기 실린더(410) 축의 전진 동작으로 피스톤(420) 내부의 김치속을 김치속 노즐(500)로 이동시키고, 노즐 실린더(510)의 작동으로 노즐구멍(530)을 통해 수직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kimchi manufacturing apparatus for supplying the kimchi speed sucks the kimchi speed inside the piston 420 by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cylinder 410 axis, and then the kimchi speed nozzle 500 of the kimchi speed inside the piston 420 by the forward movement of the cylinder 410 axis It is configured to move to and discharge vertically through the nozzle hole 530 by the operation of the nozzle cylinder 510.

그러나, 종래의 김치속 공급용 김치 제조장치는, 노즐구멍(530)을 통해 김치속을 배출하기 때문에 김치속이 잘게 부서지는 문제가 있고, 김치속을 흡입 및 배출하는 과정에서 김치속이 여러번 절단되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kimchi manufacturing apparatus for supplying kimchi has a problem in that the kimchi is finely broken because the kimchi is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hole 530, and the kimchi is cut and discharged several times in the process of inhaling and discharging the kimchi. have.

또한, 김치속의 량을 제어하는 구성이 없어 배출되는 김치속의 량이 제각기 다른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configuration to control the amount of kimchi,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kimchi that is discharged is different.

또한, 노즐구멍(530)이 김치속의 양념으로 막히는 단점이 있고, 김치속을 흡입하는 과정에서 양념의 국물이 노즐구멍(530)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도록 노즐구멍(530)을 차단하는 노즐축(520)이 배출구(370) 내부에 구성되어 있어 배출구(370)를 막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nozzle hole 530 is clogged with seasoning of kimchi, and the nozzle shaft 520 that blocks the nozzle hole 530 to prevent the soup of seasoning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hole 530 in the process of inhaling kimchi. Since it is configured inside the outlet 37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utlet 370 is blocked.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97196호(공개일자: 2018.08.31.)에는 가공 식자재 및 가공상품 포장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97196 (published date: August 31, 2018) discloses a system for packaging processed food materials and processed products.

상기 가공 식자재 및 가공상품 포장 시스템은, 음식 래시피에 따른 알맞은 양의 래시피 가공 식자재를 포장할 수 있는 가공 식자재 및 가공상품 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기체(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포장지(WP)를 공급하는 포장지 공급유닛(110)과, 상기 포장지(WP)의 입구를 벌릴 수 있도록 포장지(WP)의 양측면을 흡착하여 전후진되는 흡착패드(122)와, 상기 흡착패드(12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양측에 설치되어 입구가 벌어진 포장지(WP)를 투입호퍼(134)의 하부에 고정 지지하는 작동링크(124)가 구비된 복수개의 포장지 고정유닛(120)과, 상기 포장지 고정유닛(120)들이 하부에 각각 설치되도록 포장지 공급유닛(110)에 대응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작업판(132)과, 상기 작업판(132)에 상하로 관통되게 설치되어 포장지(WP)의 내부에 래시피 가공 식자재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호퍼(134)가 구비된 복수개의 포장 작업유닛(130)과, 상기 기체(100)에 설치된 컨베이어유닛(140)과, 상기 컨베이어유닛(140)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150)과, 상기 구동유닛(150)에 의해 포장 작업유닛(130)을 회전 이송시키는 회전 이송유닛(160)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processed foodstuff and processed goods packaging system is a processed foodstuff and processed goods packaging system capable of packaging an appropriate amount of recipe processed foodstuff according to a food recipe,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se 100 to supply a wrapping paper (WP)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dsorption pad 122 and the adsorption pad 122 to adsorb and move back and forth by adsorbing both sides of the packaging paper WP so as to open the inlet of the packaging paper WP. A plurality of wrapping paper fixing units 120 equipped with operating links 124 installed on both sides to fix and support the opening of the wrapping paper WP at the lower portion of the input hopper 134, and the wrapping paper fixing units 120 are lowered A plurality of working plates 132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packaging paper supply unit 110 so as to be respectively installed in, and installed on the working plate 132 so as to penetrate vertically, and can insert recipe-processed food ingredients into the packaging paper WP. there is A plurality of packaging work units 130 equipped with an input hopper 134, a conveyor unit 140 installed in the base 100, a driving unit 150 for driving the conveyor unit 140, and the driving It is composed of a rotating transfer unit 160 for rotating the packaging operation unit 130 by the unit 150.

그러나, 상기 가공 식자재 및 가공상품 포장 시스템은, 포장지 공급유닛(110), 포장지 고정유닛(120), 포장 작업유닛(130) 등을 기계화하여 1회용 또는 간편식으로 생산된 가공 식자재를 포장지에 포장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지만, 1회용 또는 간편식으로 생산된 가공 식자재에만 한정되고 김치 등과 같은 가공식품을 포장할 수는 없다. However, the processed food materials and processed goods packaging system, by packaging the packaging paper supply unit 110, the packaging paper fixing unit 120, the packaging work unit 130, etc. It provides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working time and improving the working efficiency, but it is limited to processed food materials produced as disposable or convenient foods, and cannot process processed foods such as kimchi.

또한, 상기 가공 식자재 및 가공상품 포장 시스템을 포함한 선행기술문헌에는, 식품의 가공에서부터 포장 단계까지 전공정을 자동화 한 시스템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In addition, prior art documents, including the processed food materials and processed product packaging systems, do not disclose a system for automating the entire process from processing of food to packaging.

따라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김치 등의 식품을 저울에 달아서 무게를 측정한 다음 포장지에 담아서 포장하였다. 이렇게 수작업으로 식품을 포장하다보니 식품마다 무게가 약간씩 차이가 나고, 많은 노동력과 오랜 작업 시간으로 생산 효율이 떨어지고 식품 단가의 상승 요인이 되고 있다.Therefore, in the past, the worker weighed food such as kimchi on a scale, and then packed it in a wrapping paper. When packaging food by hand, the weight of each food varies slightly, and the production efficiency decreases due to a lot of work force and long working hours, which is a factor in the increase in food cost.

또한, 수작업으로는 수요에 따른 공급량과 소비자 가격을 맞추기가 어려운 실정이어서, 식품의 가공에서부터 포장까지 전공정의 자동화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In addition, since it is difficult to manually match the supply amount and the consumer price according to demand by hand, an automation system for the entire process from food processing to packaging is urgently requir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97196호(공개일자: 2018.08.31.)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97196 (Publication date: 2018.08.31.)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컨베이어를 통해 순환하면서 일정 무게의 식품을 운반하여 포장봉투 속으로 배출한 후 다시 식품 투입 위치로 이동하는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is to transport the food of a certain weight while circulating through the conveyor and discharging it into the packaging bag, and then moving the food to the food input position again, and processing using the tray device for transporting the food The purpose is to present a food packaging automation system.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부에 호퍼 형상을 가진 원통형 몸체의 내부에 일정 무게의 식품을 투입하고 하부의 슬라이드판을 개방하여 아래의 배출구로 식품을 배출하는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od transport tray device for discharging food to a lower outlet by injecting food of a certain weight into the inside of a cylindrical body having a hopper shape at the top and opening a slide plate at the bottom. The purpose is to present an automated system for packaging processed foods using this.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공식품의 식자재 공급에서부터 포장 단계까지 전공정을 자동화 한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sent an automated food transport tray device from the food material supply to the packaging step of the processed food and the automated packaging process system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절임배추 속에 김치속 양념을 채워 넣고 일정한 무게로 포장봉투에 자동으로 담아서 포장하는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y device for carrying food and automatically packaging a processed food packaging system using the same, which is filled with seasoning of kimchi in pickled cabbage and automatically packed in a packaging bag with a constant weight. There is this.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식품이 투입된 트레이의 무게를 로드셀로 측정하여 식품의 무게가 부족한 트레이를 자동 분리하고 부족한 식품의 무게를 보충한 후 포장 단계로 이송하는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by measuring the weight of the tray into which the food is loaded with a load cell, automatically separates the tray that lacks the weight of the food, replenishes the weight of the insufficient food, and transports the tray for food transportation to the packaging stage. The purpose is to present an automatic packaging system for processed food using the device and the same.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부에 호퍼 형상을 가진 원통형의 트레이 속에 정해진 무게의 식품을 투입하여 식품 투입구로 이동시키고, 식품 투입구에 트레이가 도착하면 트레이의 슬라이드판을 개방시키고 푸쉬봉으로 밀어서 트레이에 담긴 식품을 아래의 식품 투입구를 통해 포장봉투 속으로 배출하는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ve the food into the food inlet by inserting food of a predetermined weight into a cylindrical tray having a hopper shape on the top, and when the tray arrives at the food inlet, open the slide plate of the tray. The purpose of this is to present a tray device for carrying food that discharges food from a tray into a packaging bag by pushing it with a push rod into a packaging bag through the following food inlet, and an automated system for packaging processed foods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식품 투입구의 하부에 투입 호퍼를 설치하고 투입 호퍼의 하부에 작동링크를 설치하여, 작동링크가 아래의 포장봉투 속으로 들어가 벌어지면서 식품투입을 가이드하는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feed hopper at the bottom of the food inlet and install the working link at the bottom of the feed hopper to guide the food input as the working link enters into the packaging bag below and open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s to present a tray device for carrying food and an automated system for packaging processed foods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작동링크의 하부에 포장봉투를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포장봉투의 양측면을 흡착기로 벌려서 포장봉투의 입구를 벌리고, 포장봉투의 내부에 식품이 투입되면 흡착기를 원위치하여 벌어진 포장봉투를 닫고 회전에 의해 포장봉투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quentially inject the packaging ba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perating link, open both sides of the packaging bag with an adsorber to open the opening of the packaging bag, and when food is put inside the packaging ba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sent a tray device for carrying food and an automated system for packaging processed foods using the same, which closes the opened packaging bag by rotating the adsorber and moves the packaging bag sequentially by rotation.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는,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호퍼(21a) 형상을 가지며 하단 바깥쪽으로 사각형의 바닥판(22)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21); 상기 몸체(21)의 바닥판(22) 하부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원통형의 몸체(21) 내부와 통하는 배출구(23c)가 중앙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받침판(23); 상기 받침판(23) 상부에 형성된 슬라이딩홈(23b)에 설치되어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배출구(23c)를 개폐하며, 개폐구멍(29a)과 동작구멍(29b)이 형성된 슬라이드판(29); 상기 몸체(21)의 바닥판(22)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바(28); 상기 가이드바(28)의 일측에 설치된 스토퍼블록(25); 및 상기 가이드바(28)에 설치된 회전축(27)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블록(25)의 내측구멍(25a)에서 타측이 상기 회전축(27)을 중심으로 상하로 움직이면서 하단의 돌출부(26a)가 상기 슬라이드판(29)의 개폐구멍(29a)에 삽입 또는 이탈되면서 상기 슬라이드판(29)을 개폐하는 스토퍼(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tray device for transporting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ray device for transporting food, has a hopper (21a) shape on the top and a rectangular bottom plate 22 is formed on the bottom outward Body 21 of; Support plate 23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22 of the body 21, the outlet 23c through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body 21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up and down; A slide plate 29 installed in the sliding groove 23b formed on the support plate 23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23c by sliding, and have opening and closing holes 29a and operation holes 29b formed therein; A guide bar 28 installed above the bottom plate 22 of the body 21; A stopper block 25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guide bar 28; And one side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 27 installed in the guide bar 28, and the other side moves up and down around the rotation shaft 27 in the inner hole 25a of the stopper block 25, thereby protruding the lower por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26a is a stopper 2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lide plate 29 while being inserted or removed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holes 29a of the slide plate 29.

상기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는, 상기 바닥판(22) 상부에 돌출 형성된 고정대(30)에 트레이 이동 장치부의 이송삽입부를 삽입하여, 상기 트레이 장치가 이동하는 컨베이어의 진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트레이 장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ood transport tray device, by inserting the feed insertion portion of the tray moving device portion to the fixing plate 30 protruding above the bottom plate 22, the tray devi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onveyor to move the tray device It can be configured to move.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은, 가공식품이 담긴 트레이(20)를 컨베이어를 통해 공급하는 트레이공급 컨베이어 장치부(410); 상기 트레이(20)를 전달받아 식품 투입구에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식품 투입구에서 가공식품이 배출된 트레이(20)를 반대편으로 이동시키는 트레이 이동 장치부(750); 상기 식품 투입구를 통해 배출된 가공식품을 포장봉투(40) 속으로 투입시킨 후 상기 포장봉투(40)를 회전축(731)을 중심으로 한 단계씩 회전하고 상기 포장봉투(40)의 입구를 밀봉하여 배출하는 식품 입수 및 포장 장치부(700); 및 상기 트레이 이동 장치부(750)로부터 트레이(20)를 전달받아 이동시키는 트레이배출 컨베이어 장치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processed food packaging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y supply conveyor unit 410 for supplying a tray 20 containing processed food through a conveyor; A tray moving unit 750 receiving the tray 20 and sequentially moving it to a food inlet, and at the same time moving the tray 20 from which the processed food is discharged from the food inlet to the opposite side; After the processed food discharged through the food inlet is introduced into the packaging bag 40, the packaging bag 40 is rotated one step around the rotation shaft 731 and the opening of the packaging bag 40 is sealed. Food dispensing and packaging device 700 to discharge; And a tray discharging conveyor device 420 that receives and moves the tray 20 from the tray moving device unit 750.

여기서, 상기 트레이(20)는, 상부에 호퍼(21a) 형상을 가지며 하단 바깥쪽으로 사각형의 바닥판(22)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21); 상기 몸체(21)의 바닥판(22) 하부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원통형의 몸체(21) 내부와 통하는 배출구(23c)가 중앙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받침판(23); 상기 받침판(23) 상부에 형성된 슬라이딩홈(23b)에 설치되어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배출구(23c)를 개폐하며, 개폐구멍(29a)과 동작구멍(29b)이 형성된 슬라이드판(29); 상기 몸체(21)의 바닥판(22)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바(28); 상기 가이드바(28)의 일측에 설치된 스토퍼블록(25); 및 상기 가이드바(28)에 설치된 회전축(27)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블록(25)의 내측구멍(25a)에서 타측이 상기 회전축(27)을 중심으로 상하로 움직이면서 하단의 돌출부(26a)가 상기 슬라이드판(29)의 개폐구멍(29a)에 삽입 또는 이탈되면서 상기 슬라이드판(29)을 개폐하는 스토퍼(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tray 20, a cylindrical body 21 having a hopper 21a shape on the upper side and a rectangular bottom plate 22 formed outwardly at the bottom; Support plate 23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22 of the body 21, the outlet 23c through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body 21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up and down; A slide plate 29 installed in the sliding groove 23b formed on the support plate 23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23c by sliding, and have opening and closing holes 29a and operation holes 29b formed therein; A guide bar 28 installed above the bottom plate 22 of the body 21; A stopper block 25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guide bar 28; And one side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 27 installed in the guide bar 28, and the other side moves up and down around the rotation shaft 27 in the inner hole 25a of the stopper block 25, thereby protruding the lower por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26a is a stopper 2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lide plate 29 while being inserted or removed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holes 29a of the slide plate 29.

상기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은, 식재료를 혼합하여 정해진 량으로 자동 배출하고 배출된 식재료로 식품을 가공하여 정해진 무게로 컨베이어를 통해 배출하는 식품 정량공급 파트부(100); 상기 식품 정량공급 파트부(100)로부터 배출된 가공식품을 컨베이어로 이송하여 호퍼(220)를 통해 트레이(20)에 투입하는 식품 이송 및 투입 장치부(200); 및 상기 가공식품이 담긴 트레이(20)와 속이 빈 트레이(20)를 동시에 이동하여 상기 호퍼(220) 아래에 속이 빈 트레이(20)를 이동시키고 상기 가공식품이 담긴 트레이(20)를 상기 트레이공급 컨베이어 장치부(410)로 이동시키는 식품투입 트레이 이동 장치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ed food packaging automation system includes a food quantitative supply part 100 for mixing food ingredients, automatically discharging them in a predetermined amount, processing food with the discharged food ingredients, and discharging them through a conveyor at a predetermined weight; A food transfer and input device unit 200 for transferring the processed food discharged from the food quantitative supply part unit 100 to a conveyor and inserting it into the tray 20 through a hopper 220; And simultaneously moving the tray 20 containing the processed food and the hollow tray 20 to move the hollow tray 20 under the hopper 220 and supplying the tray 20 containing the processed food to the tray.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ood input tray moving device 300 for moving to the conveyor device 410.

본 발명에 따르면, 김치 등의 가공식품을 공급에서부터 포장 단계까지 전공정의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생산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ructing an automated system of the entire process from supply of food, such as kimchi to the packaging stage, there is an effect that mass production is possible and production efficiency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절임배추 속에 김치속 양념을 채워 넣고 일정한 무게로 포장봉투에 자동으로 담아서 포장함으로써, 포기김치의 대량 제조 생산 및 자동화 공정을 구축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illing the pickled cabbage with seasoning of kimchi and automatically packing it in a packaging bag with a certain weight, it is possible to build a mass production and automation process of abandoned kimchi.

또한, 절임 배추 속에 채워 넣을 김치속 양념을 내부의 손상없이 일정한 양으로 자동 공급함으로써, 포기김치의 맛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포기김치의 생산 공정을 반자동 또는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utomatically supplying the seasoning of kimchi to be filled into the pickled cabbage in a constant amount without damaging the inside, the taste of abandoned kimchi can be kept constant, and the production process of abandoned kimchi can be semi-automatically or automatically implement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은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8은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의 제품 예의 사진이다.
도 9 내지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를 이용한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9는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10은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의 측면 구성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의 평면 구성도이고,
도 13 내지 도 18은 식품 운반 트레이(20)의 이동 모습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9는 식품 운반 트레이(20)의 이동 모습을 나타낸 제품 사진이고,
도 20은 트레이공급 리프트 장치부(600), 식품 입수 및 포장 장치부(700)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1 및 도 22는 식품 입수 및 포장 장치부(700)의 측면 및 평면 구성도이고,
도 23은 식품 푸쉬 장치부(760)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4 및 도 25는 포장 인덱스(index) 장치부(730)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6 및 도 27은 포장 인덱스(index) 장치부(730), 투입 호퍼(770), 개봉투입가이드 장치(780)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8은 식품 투입 트레이 이동 장치부(300)의 제품 사진이다.
1 to 8 is a view showing a tray device for carrying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ray device for carrying food,
2 to 8 are pictures of a product example of a food tray device.
9 to 28 are views showing an automated system for packaging processed foods using a tray device for transporting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of a processed food packaging automation system,
10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a processed food packaging automation system,
11 and 12 are a plan view of a processed food packaging automation system,
13 to 1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oving state of the food transport tray 20,
19 is a product picture showing the moving state of the food transport tray 20,
20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tray supply lift device part 600, a food intake and packaging device part 700,
21 and 22 are side and plan views of the food intake and packaging unit 700,
2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food push device unit 760,
24 and 2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packaging index (index) device unit 730,
26 and 2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packaging index (index) device unit 730, the input hopper 770, the opening and closing guide device 780,
28 is a product picture of the food input tray moving unit 300.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have been omitted, and similar par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ke par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pecific technical content to be carried out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의 실시예Example of a tray device for carrying food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은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8은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의 제품 예의 사진이다.1 to 8 is a view showing a tray device for food trans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ood transport tray device, Figures 2 to 8 is a photograph of a product example of a food transport tray device.

상기 트레이 장치(20)는 내부 공간에 가공식품을 담아서 컨베이어를 통해 운반하는 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21), 호퍼(21a), 바닥판(22), 받침판(23), 스토퍼블록(25), 스토퍼(stopper; 26), 슬라이드판(29), 고정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ray device 20 is a device for storing processed food in an interior space and transporting it through a conveyor. As shown in FIGS. 1 to 8, the body 21, hopper 21a, bottom plate 22, and base plate ( 23), a stopper block 25, a stopper (stopper; 26), a slide plate 29, and comprises a fixture (30).

여기서, 상기 몸체(2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호퍼(21a) 형상을 가지며 하단 바깥쪽으로 사각형의 바닥판(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21)의 바닥판(22) 하부에는 상기 받침판(23)이 체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받침판(23)에는 중앙에 배출구(23c)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배출구(23c)는 상기 원통형의 몸체(21) 내부와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Here, the body 2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s a shape of a hopper 21a at the top, and a rectangular bottom plate 22 is formed outward at the bottom. The support plate 23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22 of the body 21. The support plate 23 has a discharge port 23c formed vertically through the center, and the discharge port 23c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body 21.

상기 몸체(21)의 바닥판(22)과 상기 받침판(23) 사이에는 슬라이드판(2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판(29)은 상기 받침판(23) 상부에 형성된 슬라이딩홈(23b)에 설치되어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배출구(23c)를 개폐하게 되며, 개폐구멍(29a)과 동작구멍(29b)이 형성되어 있다.A slide plate 29 is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plate 22 of the body 21 and the base plate 23. The slide plate 29 is installed in a sliding groove 23b formed on the support plate 23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23c by sliding, and an opening and closing hole 29a and an operation hole 29b are formed. have.

상기 몸체(21)의 바닥판(22) 상부에는 가이드바(28)가 상기 슬라이드판(29)의 개폐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바(28)는 일측에 설치된 스토퍼블록(25)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블록(25)에는 하부에 내측으로 내측구멍(25a)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구멍(25a)에 스토퍼(26)가 설치되어 있다. A guide bar 28 is installed above the bottom plate 22 of the body 2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the slide plate 29. The guide bar 28 is fixed to the stopper block 25 installed on one side. Further, the stopper block 25 has an inner hole 25a vertically formed inward at the lower portion, and a stopper 26 is provided in the inner hole 25a.

상기 스토퍼(26)는 상기 가이드바(28)에 설치된 회전축(27)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27)을 중심으로 상기 스토퍼블록(25)의 내측구멍(25a)에서 타측이 상하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The stopper 26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27 installed on the guide bar 28, the other side of the inner hole 25a of the stopper block 25 around the rotating shaft 27 It is supposed to move up and down.

한편, 상기 스토퍼(26)의 하단에는 돌출부(26a)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스토퍼(26)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돌출부(26a)가 상기 슬라이드판(29)의 개폐구멍(29a)에 삽입 또는 이탈되면서 상기 슬라이드판(29)을 개폐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protrusion 26a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topper 26. The protrusion 26a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opening / closing hole 29a of the slide plate 29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topper 26. As it is, the slide plate 29 is opened and closed.

상기 구성을 갖는 트레이 장치(20)는 내부 공간에 가공식품을 담아서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며, 상기 스토퍼(26)의 돌출부(26a)가 상기 슬라이드판(29)의 개폐구멍(29a)에서 이탈되고 상기 슬라이드판(29)이 열리게 되면 내부에 담긴 가공식품이 상기 받침판(23)의 배출구(23c)를 통해 아래로 배출되게 된다.The tray device 2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contains processed food in an interior space and moves through a conveyor, and the protrusion 26a of the stopper 26 is separated from the opening / closing hole 29a of the slide plate 29 and the When the slide plate 29 is opened, the processed food contained therein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outlet 23c of the support plate 23.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의 실시 예Example of an automated processing food packaging system

도 9 내지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를 이용한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9는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10은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의 측면 구성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의 평면 구성도이고, 도 13 내지 도 18은 식품 운반 트레이(20)의 이동 모습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9는 식품 운반 트레이(20)의 이동 모습을 나타낸 제품 사진이고, 도 20은 트레이공급 리프트 장치부(600), 식품 입수 및 포장 장치부(700)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1 및 도 22는 식품 입수 및 포장 장치부(700)의 측면 및 평면 구성도이고, 도 23은 식품 푸쉬 장치부(760)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4 및 도 25는 포장 인덱스(index) 장치부(730)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6 및 도 27은 포장 인덱스(index) 장치부(730), 투입 호퍼(770), 개봉투입가이드 장치(780)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8은 식품 투입 트레이 이동 장치부(300)의 제품 사진이다.9 to 28 are views showing an automated system for packaging processed foods using a tray device for carrying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ed system for packaging processed foods, and FIG. 10 is a side view of an automated system for packaging processed foods. 11 and 12 is a plan view of a processed food packaging automation system, FIGS. 13 to 18 are diagrams showing a moving state of the food transport tray 20, and FIG. 19 is a food transport tray 20 ) Is a product picture showing a moving state, and FIG. 20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tray supply lift device part 600, a food intake and packaging device part 700, and FIGS. 21 and 22 are a food intake and packaging device part ( 700) is a side view and a plan view of the configuration, FIG. 2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food push device unit 760, FIGS. 24 and 25 are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packaging index (index) device unit 730, and FIG. And Figure 27 is the packaging Scan the product images (index) device 730, input hopper 770, and the guide opening, In the configuration shown the apparatus 780, Fig, 28 is a mobile food tray input unit (300).

본 발명에 의한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은 도 9 내지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품 정량공급 파트부(100), 식품 이송 및 투입 장치부(200), 식품 투입 트레이 이동 장치부(300), 트레이공급 컨베이어 장치부(410), 중량보정 파트부(500), 트레이공급 리프트 장치부(600), 트레이공급 컨베이어 장치부(741), 트레이 이동 장치부(750), 식품 푸쉬 장치부(760), 식품투입가이드 장치부(780), 식품 입수 및 포장 장치부(700), 트레이배출 컨베이어 장치부(742), 트레이배출 리프트 장치부(800), 트레이배출 컨베이어 장치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Processed food packaging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9 to 28, food quantitative supply part 100, food transfer and input device 200, food input tray moving device 300, tray Supply conveyor unit 410, weight correction part unit 500, tray supply lift unit 600, tray supply conveyor unit 741, tray moving unit unit 750, food push unit 760, It comprises a food input guide device portion 780, food intake and packaging device portion 700, tray discharge conveyor device portion 742, tray discharge lift device portion 800, tray discharge conveyor device portion 420 .

상기 식품 정량공급 파트부(100)는, 혼합한 식재료를, 또는 식재료를 혼합하여 정해진 량으로 자동으로 공급하고, 공급된 식재료로 식품을 가공하여 컨베이어(도 27 참조)를 통해 일정 무게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The food quantitative supply part unit 100 automatically feeds the mixed food ingredients, or by mixing food ingredients, in a predetermined amount, processes food with the supplied food ingredients, and discharges them at a constant weight through a conveyor (see FIG. 27). Device.

예를 들어, 상기 식품 정량공급 파트부(100)는, 여러 가지를 한데에 뒤섞은 김치속 양념을, 또는 절임배추 속에 채워 넣을 김치속 양념을 버무려서 일정한 양으로 자동 공급하고, 공급된 김치속 양념을 절임배추 속에 채워 넣어 컨베이어를 통해 일정 무게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ood quantitative supply part 100, the kimchi seasoning mixed with a variety of things in one place, or by mixing kimchi seasoning to be filled into pickled cabbage, automatically supplies in a constant amount, and pickled kimchi seasoning It can be configured to fill in and discharge to a certain weight through a conveyor.

상기 식품 이송 및 투입 장치부(200)는, 상기 식품 정량공급 파트부(100)로부터 배출된 가공식품(예, 양념을 버무린 절임배추)을 컨베이어(210)로 이송하여 호퍼(220)를 통해 아래로 투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210)는 다단으로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도 10, 도 11, 도 13 참조). 도 11에서 도면부호 211은 상기 컨베이어(210)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이다.The food transfer and input device 200 transfers the processed food (eg, pickled cabbage with seasoning) discharged from the food quantitative supply part 100 to the conveyor 210 and moves through the hopper 220 below. It can be configured to be injected. At this time, the conveyor 210 may be installed and configured in multiple stages (see FIGS. 10, 11, and 13). 11, reference numeral 211 denotes a driving motor that drives the conveyor 210.

상기 식품 투입 트레이 이동 장치부(300)는, 상기 식품 이송 및 투입 장치부(200)의 호퍼(220)로부터 가공식품이 트레이(20)에 투입되면 다음 트레이(20)에 식품이 투입되도록 트레이(20)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The food input tray moving device 300, when the processed food is input from the hopper 220 of the food transfer and input device 200 to the tray 20, the tray so that food is input to the next tray 20 ( It is a device to move 20) sequentially.

상기 식품투입 트레이 이동 장치부(300)는, 상기 가공식품이 담긴 트레이(20)와 속이 빈 트레이(20)를 동시에 이동하여 상기 호퍼(220) 아래에 속이 빈 트레이(20)를 이동시키고 상기 가공식품이 담긴 트레이(20)를 다음 단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food input tray moving device 300 moves the empty tray 20 under the hopper 220 by simultaneously moving the empty tray 20 and the tray 20 containing the processed food. It serves to move the tray 20 containing food to the next level.

예로서, 상기 식품 투입 트레이 이동 장치부(300)는, 상기 트레이배출 컨베이어 장치부(420)와 상기 트레이공급 컨베이어 장치부(410)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된 이동축(330)과, 상기 이동축(330)을 따라 움직이며, 상기 트레이배출 컨베이어 장치부(420)로부터 공급된 트레이(20)를 상기 투입 호퍼(220) 아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투입 호퍼(220)에서 가공식품이 투입된 트레이(20)를 상기 트레이공급 컨베이어 장치부(410)로 이동시키는 트레이 이동 장치부(310)와, 상기 트레이 이동 장치부(310)에 접었다폈다 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 이동 장치부(310)의 움직임을 따라 상기 트레이(20)를 밀어서 이동시키는 트레이 이동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11, 도 12, 도 28 참조).For example, the food input tray moving unit 300, a moving shaft 330 disposed vertically between the tray discharge conveyor unit 420 and the tray supply conveyor unit 410, and the moving shaft Moving along 330, the tray 20 supplied from the tray discharging conveyor unit 420 is sequentially moved under the input hopper 220, and the tray into which the processed food is fed from the input hopper 220 A tray moving unit 310 moving the 20 to the tray supply conveyor unit 410, and rotatably installed so as to be folded and folded in the tray moving unit 310, the tray moving unit 310 )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tray moving table 320 for pushing and moving the tray 20 along the movement of the tray (see FIGS. 11, 12, and 28).

상기 트레이공급 컨베이어 장치부(410)는, 상기 식품 투입 트레이 이동 장치부(300)로부터 가공식품이 담긴 트레이(20)를 공급받아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트레이공급 리프트 장치부(600)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The tray supply conveyor unit 410 receives the tray 20 containing processed food from the food input tray moving unit 300 to sequentially move the tray supply lift unit 600 through the conveyor. do.

상기 트레이공급 컨베이어 장치부(410)의 컨베이어 중간에는 상기 중량보정 파트부(5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량보정 파트부(500)는, 상기 트레이공급 컨베이어 장치부(410)에서 이동 중인 트레이(20)의 무게를 로드셀(520)로 측정하여 가공식품의 무게가 부족한 트레이(20)를 선별 분리하고, 부족한 가공식품의 무게를 보충한 후 상기 트레이공급 컨베이어 장치부(410)로 이동시키게 된다.The weight correction part 500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conveyor of the tray supply conveyor unit 410. The weight correction part unit 500 measures the weight of the tray 20 moving in the tray supply conveyor unit 410 with a load cell 520 and sorts and separates the tray 20 having insufficient weight of processed food, , After replenishing the weight of insufficient processed food, it is moved to the tray supply conveyor unit 410.

상기 중량보정 파트부(500)는, 상기 로드셀(520)의 측정에 의해 가공식품의 무게가 부족한 트레이(20)를 상기 트레이공급 컨베이어 장치부(410)의 컨베이어에서 선별하여 분리하는 트레이 이동 장치부(5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30 및 도 31 참조). 여기서, 상기 트레이 이동 장치부(510)는 에어 실린더(511), 이동파이프(512), 트레이 이동대(514), 로드셀(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weight compensating part part 500 is a tray moving device part for sorting and separating the tray 20 lacking the weight of processed food from the conveyor of the tray supply conveyor device part 410 by measurement of the load cell 520. It comprises a 510 (see Figure 30 and Figure 31). Here, the tray moving device unit 5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ir cylinder 511, a moving pipe 512, a tray moving table 514, a load cell 520.

상기 트레이 이동대(514)는 상기 트레이공급 컨베이어 장치부(410)의 진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이동파이프(512)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로드셀(520)의 측정에 의해 가공식품의 무게가 부족한 트레이(20)를 선별하여 분리해 내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트레이 이동대(514)는 가공식품의 무게가 부족한 트레이(20)의 고정대(30)에 이송삽입부(513)를 걸어서 상기 트레이공급 컨베이어 장치부(410)로부터 분리하여 이동시키게 된다.The tray moving table 514 moves along the moving pipe 512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y supply conveyor unit 410, and the weight of processed food is measured by the measurement of the load cell 520. It serves to sort out and separate the insufficient tray (20). That is, the tray moving table 514 is separated from the tray supply conveyor device 410 by hanging the transfer insert 513 on the fixing table 30 of the tray 20 where the weight of processed food is insufficient.

상기 에어 실린더(511)는 상기 트레이 이동대(514)를 상기 이동파이프(512)를 따라 움직이도록 구동하는 장치이고, 상기 로드셀(520)은 상기 트레이공급 컨베이어 장치부(410)를 통해 이동하는 트레이(20)의 무게를 측정하여 상기 가공식품의 량을 측정함으로써, 가공식품의 무게가 부족한 트레이(20)를 선별하는 센서이다.The air cylinder 511 is a device that drives the tray moving table 514 to move along the moving pipe 512, and the load cell 520 is a tray moving through the tray supply conveyor unit 410 By measuring the weight of the (20) to measure the amount of the processed food, it is a sensor for sorting the tray (20) lacking the weight of the processed food.

또한, 상기 중량보정 파트부(500)는 디지털 표시기, 전자저울, 작업 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표시기는 상기 트레이 이동 장치부(510)에 의해 분리 이동된 트레이(20)의 무게와 부족한 가공식품의 무게를 표시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디지털 표시기에 표시된 부족한 가공식품의 무게를 확인한 후 가공식품을 전자저울에 재어서 부족한 량을 트레이(20)에 보충하여 넣게 된다. 이때, 상기 작업 테이블에는 투입구를 형성하여 아래의 트레이로 부족한 가공식품을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eight correction part unit 5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igital indicator, an electronic balance, a work table. The digital indicator displays the weight of the tray 20 separated and moved by the tray moving unit 510 and the weight of the processed food that is insufficient. Accordingly, the operator checks the weight of the insufficiently processed food displayed on the digital display, and then measures the processed food on an electronic scale to replenish the tray 20 with the insufficient amount. At this time, the work table can be configured to form an inlet so that the processed food that is lacking in the tray below can be introduced, thereby facilitating the convenience of work.

상기 트레이 이동 장치부(510)는 트레이(20)에 부족한 가공식품의 량이 채워지면 상기 트레이공급 컨베이어 장치부(410)의 컨베이어로 트레이(20)를 이동시키게 된다.The tray moving unit 510 moves the tray 20 to the conveyor of the tray supply conveyor unit 410 when the amount of the processed food is insufficient in the tray 20.

계속해서, 상기 트레이공급 리프트 장치부(600)는, 상기 트레이공급 컨베이어 장치부(410)로부터 정해진 수(예를 들어, 3개)의 트레이(20)가 이송되면, 리프트를 이용하여 소정의 높이로 운반한 후 자체의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트레이공급 컨베이어 장치부(741)로 일렬로 이동시키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tray 20 of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three) is transferred from the tray supply conveyor device 410, the tray supply lift device unit 600 uses a lift to set a predetermined height. After being transported to, it is moved in line to the tray supply conveyor device 741 through its own conveyor.

상기 트레이공급 컨베이어 장치부(741)는 상기 트레이공급 리프트 장치부(600)로부터 트레이(20)를 일렬로 공급받아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트레이 이동 장치부(750)로 이동시키게 된다.The tray supply conveyor unit 741 receives the tray 20 from the tray supply lift unit 600 in a line and moves it to the tray moving unit unit 750 through a conveyor.

상기 트레이 이동 장치부(750)는 상기 트레이공급 컨베이어 장치부(741)와 상기 트레이배출 컨베이어 장치부(742)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공급 컨베이어 장치부(741)로부터 트레이(20)를 공급받아 식품 투입구(미도시)에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식품 투입구에서 가공식품이 배출된 트레이(20)를 반대편으로 이동시키게 된다.The tray moving device portion 75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tray supply conveyor device portion 741 and the tray discharge conveyor device portion 742, the tray 20 from the tray supply conveyor device portion 741 In order to receive the sequential movement to the food inlet (not shown), at the same time, the tray 20 from which the processed food is discharged from the food inlet is moved to the opposite side.

상기 트레이 이동 장치부(750)는, 상기 트레이공급 컨베이어 장치부(741)와 상기 트레이배출 컨베이어 장치부(742)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이동축(752)을 따라 움직이며, 상기 트레이(20)를 트레이 이동대(751)로 밀어서 상기 식품 투입구로 이동시키게 된다(도 20 내지 도 22, 도 27 참조).The tray moving device portion 750 moves along a moving axis 752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tray supply conveyor device portion 741 and the tray discharge conveyor device portion 742, and the tray 20 Is pushed to the tray moving table 751 to move to the food inlet (see FIGS. 20 to 22 and 27).

상기 식품 푸쉬 장치부(760)는, 상기 식품 투입구 상부에서 상승 및 하강하는 푸쉬봉(761)과, 상기 푸쉬봉(761)을 구동하는 승하강 장치부(76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식품 푸쉬 장치부(760)는, 상기 식품 투입구에 트레이(20)가 이동되면 상기 트레이(20)의 슬라이드판(29)을 열어서 개방하고 상기 트레이(20)에 담긴 가공식품을 푸쉬봉(761)으로 밀어서 상기 식품 투입구를 통해 아래의 포장봉투 속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food push device unit 760 includes a push rod 761 that rises and falls from the top of the food inlet, and a lift unit unit 762 that drives the push rod 761. The food push device unit 760, when the tray 20 is moved to the food inlet, opens and opens the slide plate 29 of the tray 20 and pushes the processed food contained in the tray 20 into a push rod 761 ) Serves to discharge through the food inlet into the packaging bag below.

상기 식품 투입구의 하부에는 투입 호퍼(77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투입 호퍼(770) 하부에는 식품투입가이드 장치부(780)가 설치되어 있다.An input hopper 77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ood input port, and a food input guide device unit 780 is provided under the input hopper 770.

상기 식품투입가이드 장치부(780)는, 상기 투입 호퍼(770) 하부에서 상하로 이동하고 중앙을 중심으로 오므렸다폈다 하도록 구성된 작동링크(781)와, 상기 작동링크(78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장치(782)와, 상기 작동링크(781)를 오므렸다폈다 하도록 작동시키는 링크구동장치(78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22, 도 26, 도 27 참조).The food input guide device unit 780 moves vertically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input hopper 770 and vertically moves the operation link 781 configured to revolve around the center, and moves the operation link 781 up and dow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oving device 782 and a link driving device 783 that operates to close and retract the operating link 781 (see FIGS. 22, 26, and 27).

상기 식품투입가이드 장치부(780)는, 상기 작동링크(781)가 포장봉투(40) 속으로 하강하여 사방으로 벌어지면서 가공식품이 포장봉투(40) 속으로 들어가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포장봉투(40) 속으로 가공식품의 투입이 완료되면 사방으로 펼쳐진 작동링크(781)가 오므르지고 포장봉투(40) 밖으로 상승하여 원위치하게 된다.The food introduction guide device unit 780 serves to guide the processed food into the packaging bag 40 while the operation link 781 descends into the packaging bag 40 and spreads in all directions. Then, when the input of the processed food into the packaging bag 40 is completed, the operation link 781 spreading in all directions is closed and rises out of the packaging bag 40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상기 식품 입수 및 포장 장치부(700)는, 상기 식품투입가이드 장치부(780)의 하부에 설치되며, 회전축(731)을 중심으로 한 단계씩 회전하여 상기 작동링크(781)의 하부에 빈 포장봉투(40)를 위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포장봉투(40)의 양측면을 흡착기(733)로 벌려서 내부에 가공식품을 투입시킨 후 입구를 닫고 회전하여 한 단계씩 이동하고, 상기 포장봉투(40)의 입구를 밀봉하여 배출한다.The food intake and packaging device unit 70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ood input guide device unit 780, and rotates step by step around the rotation shaft 731 to empty the packaging under the operating link 781. The envelope 40 is placed. In addition, by spreading both sides of the packaging bag 40 with an adsorber 733, and then putting the processed food therein, the inlet is closed and rotated to move step by step, and the inlet of the packaging bag 40 is sealed and discharged.

상기 식품 입수 및 포장 장치부(700)는 포장봉투 공급 장치부(720)와 포장 인덱스 장치부(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ood intake and packaging device 700 includes a packaging bag supply device 720 and a packaging index device 730.

먼저, 상기 포장봉투 공급 장치부(720)는 포장봉투(40)를 한장씩 그리퍼(728)로 집어서 상기 포장 인덱스 장치부(73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First, the packaging bag supply unit 720 serves to pick up the packaging bags 40 one by one to the gripper 728 and transfer them to the packaging index device unit 730.

상기 포장봉투 공급 장치부(720)는, 상기 포장봉투(40)를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장치(721)와, 상기 컨베이어 장치(721)로부터 이동된 포장봉투(40)를 하나씩 전달하는 롤러(722)와, 상기 롤러(722)로부터 공급된 포장봉투(40)를 흡착기(725)로 흡착하여 수직으로 세우는 포장봉투 공급기(724)와, 상기 포장봉투 공급기(724)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포장봉투(40)를 집어서 상기 포장 인덱스 장치부(730)의 흡착기(733)로 이동하는 그리퍼(72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ackaging bag supply unit 720 includes a conveyor device 721 for moving the packaging bag 40 in one direction, and a roller for transferring the packaging bags 40 moved from the conveyor device 721 one by one ( 722), a packaging bag feeder 724 for vertically adsorbing the packaging bag 40 supplied from the roller 722 with an adsorber 725, and a packaging bag vertically placed by the packaging bag supplyer 724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ripper 728 to pick up 40 and move to the adsorber 733 of the packaging index device unit 730.

상기 포장 인덱스 장치부(730)는, 상기 포장봉투 공급 장치부(720)의 그리퍼(728)로 전달된 포장봉투(40)의 양측면을 흡착기(733)로 흡착하여 고정하고 회전축(73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식품투입가이드 장치(780)의 작동링크(781) 하부에 포장봉투(40)를 위치시키고, 상기 포장봉투(40)의 양측면을 상기 흡착기(733)로 벌려서 포장봉투의 입구를 벌리고, 상기 포장봉투(40)의 내부에 식품이 투입되면 상기 흡착기(733)를 원위치하여 벌어진 포장봉투(40)를 닫고 회전에 의해 상기 포장봉투(40)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식품이 들어있는 포장봉투(40)의 입구를 밀봉시킨 다음 상기 흡착기(733)를 벌려서 아래로 떨어뜨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ackaging index device unit 730 adsorbs and secures both sides of the packaging bag 40 delivered to the gripper 728 of the packaging bag supply unit 720 with an adsorber 733 and centers the rotating shaft 731 Rotate to place the packaging bag 40 under the operating link 781 of the food input guide device 780, and open both sides of the packaging bag 40 with the adsorber 733 to open the opening of the packaging bag. , When food is introduced into the packaging bag 40, the adsorber 733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o close the opened packaging bag 40, and the packaging bag 40 is sequentially moved by rotation, and contains the food. After sealing the inlet of the packaging bag 40, the adsorber 733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drop downward.

예를 들면, 상기 포장 인덱스 장치부(730)는, 상기 회전축(731)을 중심으로 상기 흡착기(733)가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흡착기(733)의 아래에 받침대(734)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734)의 선단에 2개의 가이드봉(736)이 수직으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734)에 완제품 배출홀(미도시)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avement indexing unit 730 includes a plurality of the adsorbers 733 centered on the rotating shaft 731, and a pedestal 734 is installed below the adsorbers 733, and Two guide rods 736 may be installed vertically and parallel to the front end of the pedestal 734, and a finished product discharge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pedestal 734.

상기 트레이배출 컨베이어 장치부(742)는, 상기 트레이 이동 장치부(750)로부터 가공식품이 배출된 빈 트레이(20)를 전달받아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트레이배출 리프트 장치부(800)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The tray discharging conveyor unit 742 receives the empty tray 20 from which the processed food is discharged from the tray moving unit 750 to sequentially move the tray discharging lift unit 800 through the conveyor. do.

상기 트레이배출 리프트 장치부(800)는, 상기 트레이배출 컨베이어 장치부(742)로부터 정해진 수(예를 들어, 3개)의 트레이(20)가 이송되면, 리프트를 이용하여 하강 운반한 후 자체의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트레이배출 컨베이어 장치부(420)로 일렬로 이동시키게 된다.When the tray 20 of a predetermined number (e.g., three) is transferred from the tray discharge conveyor unit 742, the tray discharge lift unit 800 is moved down by using a lift and It is moved in line to the tray discharge conveyor device 420 through the conveyor.

상기 트레이배출 컨베이어 장치부(420)는, 상기 트레이배출 리프트 장치부(800)로부터 트레이(20)를 전달받아 상기 식품 투입 트레이 이동 장치부(300)로 일렬로 이동시키게 된다.The tray discharging conveyor device 420 receives the tray 20 from the tray discharging lift device 800 and moves it in line to the food input tray moving device 3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은, 상부에 호퍼 형상을 가진 원통형 몸체의 내부에 일정 무게의 식품을 투입하고 하부의 슬라이드판을 개방하여 아래의 배출구로 식품을 배출하는 트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컨베이어를 통해 순환시키면서 일정 무게의 식품을 운반하여 포장봉투 속으로 배출한 후 다시 식품 투입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가공식품의 공급 및 포장의 전공정을 자동화 시스템으로 구축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food transport tr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ocessed food packaging automation system using the same, put food of a certain weight into the inside of a cylindrical body having a hopper shape at the top, and open the slide plate at the bottom to Automated the entire process of supplying and packaging processed foods by using a tray device that discharges food to the outlet, transporting food of a certain weight while circulating through a conveyor, discharging it into a packaging bag, and then moving it back to the food input position. It was built as a system.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skilled person)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dditions, etc.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possible,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following claims.

10 :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
20 : 식품 운반용 트레이(tray) 장치 또는 트레이(tray)
21 : 몸체 21a : 호퍼
22 : 바닥판 23 : 받침판
23a : 홈 23b : 슬라이딩홈
23c : 배출구 24 : 볼트 또는 스크류
25 : 스토퍼블록 25a : 내측구멍
26 : 스토퍼(stopper) 26a : 돌출부
27 : 회전축 28 : 가이드바
29 : 슬라이드판 29a : 잠금구멍
29b : 동작구멍 30 : 고정대
40 : 포장봉투
100 : 식품 정량공급 파트부
200 : 식품 이송 및 투입 장치부
210 : 컨베이어(conveyor) 211 : 구동모터
220 : 투입 호퍼(hopper)
300 : 식품 투입 트레이 이동 장치부
310 : 트레이 이동 장치부 320 : 트레이 이동대
330 : 이동축
400 : 트레이 공급 및 배출 컨베이어 시스템
410 : 트레이 공급 컨베이어(conveyor)
420 : 트레이 배출 컨베이어(conveyor)
500 : 중량보정 파트(part)부
510 : 트레이 이동 장치부 511 : 에어 실린더
512 : 이동파이프 513 : 이송삽입부
514 : 트레이 이동대 520 : 로드셀(무게 측정)
600 : 트레이공급 리프트(lift) 장치부
610 : 컨베이어 리프트
700 : 식품 입수 및 포장 장치부
710 : 메인 프레임
720 : 포장봉투 공급 장치부 721 : 컨베이어 장치
722 : 롤러 723 : 롤러 구동장치
724 : 포장봉투 공급기 725 : 흡착기
726 : 승하강 레일
727 : 포장봉투 가이드 장치 728 : 그리퍼(gripper)
730 : 포장 인덱스(index) 장치부 731 : 회전축
732 : 구동장치 733 : 흡착기
734 : 받침대 736 : 가이드봉
740 : 트레이 공급 및 배출 컨베이어 장치부
741 : 트레이 공급 컨베이어(conveyor)
742 : 트레이 배출 컨베이어(conveyor)
750 : 트레이 이동 장치부 751 : 트레이 이동대
752 : 이동축 760 : 식품 푸쉬 장치부
761 : 푸쉬봉 762 : 승하강 장치부
770 : 투입 호퍼(hopper)
780 : 식품투입가이드 장치부 781 : 작동링크
782 : 상하이동장치 783 : 링크구동장치
800 : 트레이배출 리프트(lift) 장치부 810 : 컨베이어 리프트
10: Processed food packaging automation system
20: tray device or tray for carrying food
21: body 21a: hopper
22: bottom plate 23: base plate
23a: groove 23b: sliding groove
23c: outlet 24: bolt or screw
25: stopper block 25a: inner hole
26: stopper (stopper) 26a: protrusion
27: rotating shaft 28: guide bar
29: slide plate 29a: lock hole
29b: operating hole 30: fixture
40: packaging bag
100: food quantitative supply parts
200: food transfer and input device
210: conveyor 211: drive motor
220: input hopper
300: food input tray moving device unit
310: tray moving unit 320: tray moving table
330: moving axis
400: tray supply and discharge conveyor system
410: tray supply conveyor (conveyor)
420: tray discharge conveyor (conveyor)
500: weight correction part (part)
510: tray moving unit 511: air cylinder
512: moving pipe 513: transfer insert
514: Tray moving table 520: Load cell (weight measurement)
600: tray supply lift device unit
610: conveyor lift
700: food acquisition and packaging device
710: main frame
720: packaging bag supply unit 721: conveyor device
722: roller 723: roller drive
724: packaging bag feeder 725: adsorber
726: elevating rail
727: Packaging bag guide device 728: Gripper
730: packing index device unit 731: rotating shaft
732: drive 733: adsorber
734: base 736: guide rod
740: Tray supply and discharge conveyor unit
741: Tray supply conveyor
742: tray discharge conveyor (conveyor)
750: Tray moving unit 751: Tray moving table
752: moving shaft 760: food push device unit
761: Push rod 762: lifting device unit
770: input hopper
780: Food input guide device unit 781: operation link
782: Shanghai East 783: Link drive
800: tray discharge lift device unit 810: conveyor lift

Claims (4)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호퍼(21a) 형상을 가지며 하단 바깥쪽으로 사각형의 바닥판(22)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21);
상기 몸체(21)의 바닥판(22) 하부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원통형의 몸체(21) 내부와 통하는 배출구(23c)가 중앙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받침판(23);
상기 받침판(23) 상부에 형성된 슬라이딩홈(23b)에 설치되어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배출구(23c)를 개폐하며, 개폐구멍(29a)과 동작구멍(29b)이 형성된 슬라이드판(29);
상기 몸체(21)의 바닥판(22)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바(28);
상기 가이드바(28)의 일측에 설치된 스토퍼블록(25); 및
상기 가이드바(28)에 설치된 회전축(27)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블록(25)의 내측구멍(25a)에서 타측이 상기 회전축(27)을 중심으로 상하로 움직이면서 하단의 돌출부(26a)가 상기 슬라이드판(29)의 개폐구멍(29a)에 삽입 또는 이탈되면서 상기 슬라이드판(29)을 개폐하는 스토퍼(26);
를 포함하는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
In the tray device for transporting food,
A cylindrical body 21 having a shape of a hopper 21a at an upper portion and having a rectangular bottom plate 22 at the lower outer side;
Support plate 23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22 of the body 21, the outlet 23c through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body 21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up and down;
A slide plate 29 installed in the sliding groove 23b formed on the support plate 23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23c by sliding, and have opening and closing holes 29a and operation holes 29b formed therein;
A guide bar 28 installed above the bottom plate 22 of the body 21;
A stopper block 25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guide bar 28; And
One side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27 installed on the guide bar 28, and the other side moves up and down around the rotating shaft 27 in the inner hole 25a of the stopper block 25, thereby protruding the lower portion ( A stopper 2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lide plate 29 as 26a) is inserted or removed from the opening / closing hole 29a of the slide plate 29;
Tray device for transporting food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는,
상기 바닥판(22) 상부에 돌출 형성된 고정대(30)에 트레이 이동 장치부의 이송삽입부를 삽입하여, 상기 트레이 장치가 이동하는 컨베이어의 진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트레이 장치를 이동시키는,
식품 운반용 트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ood transport tray device,
By inserting the feed insertion portion of the tray moving device portion to the fixing plate 30 protruding above the bottom plate 22, the tray device is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onveyor to which the tray device moves,
Food transport tray device.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가공식품이 담긴 트레이(20)를 컨베이어를 통해 공급하는 트레이공급 컨베이어 장치부(410);
상기 트레이(20)를 전달받아 식품 투입구에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식품 투입구에서 가공식품이 배출된 트레이(20)를 반대편으로 이동시키는 트레이 이동 장치부(750);
상기 식품 투입구를 통해 배출된 가공식품을 포장봉투(40) 속으로 투입시킨 후 상기 포장봉투(40)를 회전축(731)을 중심으로 한 단계씩 회전하고 상기 포장봉투(40)의 입구를 밀봉하여 배출하는 식품 입수 및 포장 장치부(700); 및
상기 트레이 이동 장치부(750)로부터 트레이(20)를 전달받아 이동시키는 트레이배출 컨베이어 장치부(420);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20)는,
상부에 호퍼(21a) 형상을 가지며 하단 바깥쪽으로 사각형의 바닥판(22)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21);
상기 몸체(21)의 바닥판(22) 하부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원통형의 몸체(21) 내부와 통하는 배출구(23c)가 중앙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받침판(23);
상기 받침판(23) 상부에 형성된 슬라이딩홈(23b)에 설치되어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배출구(23c)를 개폐하며, 개폐구멍(29a)과 동작구멍(29b)이 형성된 슬라이드판(29);
상기 몸체(21)의 바닥판(22)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바(28);
상기 가이드바(28)의 일측에 설치된 스토퍼블록(25); 및
상기 가이드바(28)에 설치된 회전축(27)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블록(25)의 내측구멍(25a)에서 타측이 상기 회전축(27)을 중심으로 상하로 움직이면서 하단의 돌출부(26a)가 상기 슬라이드판(29)의 개폐구멍(29a)에 삽입 또는 이탈되면서 상기 슬라이드판(29)을 개폐하는 스토퍼(26);
를 포함하는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
In the processed food packaging automation system,
Tray supply conveyor unit 410 for supplying the tray 20 containing the processed food through a conveyor;
A tray moving unit 750 receiving the tray 20 and sequentially moving it to a food inlet, and at the same time moving the tray 20 from which the processed food is discharged from the food inlet to the opposite side;
After the processed food discharged through the food inlet is introduced into the packaging bag 40, the packaging bag 40 is rotated one step around the rotating shaft 731, and the opening of the packaging bag 40 is sealed. Food dispensing and packaging device 700 to discharge; And
It includes; a tray discharge conveyor device 420 for receiving and moving the tray 20 from the tray moving device unit 750,
The tray 20,
A cylindrical body 21 having a shape of a hopper 21a at an upper portion and having a rectangular bottom plate 22 at the lower outer side;
Support plate 23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22 of the body 21, the outlet 23c through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body 21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up and down;
A slide plate 29 installed in the sliding groove 23b formed on the support plate 23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23c by sliding, and have opening and closing holes 29a and operation holes 29b formed therein;
A guide bar 28 installed above the bottom plate 22 of the body 21;
A stopper block 25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guide bar 28; And
One side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27 installed on the guide bar 28, and the other side moves up and down around the rotating shaft 27 in the inner hole 25a of the stopper block 25, thereby protruding the lower portion ( A stopper 2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lide plate 29 as 26a) is inserted or removed from the opening / closing hole 29a of the slide plate 29;
Processed food packaging automation system comprising 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은,
식재료를 혼합하여 정해진 량으로 자동 배출하고 배출된 식재료로 식품을 가공하여 정해진 무게로 컨베이어를 통해 배출하는 식품 정량공급 파트부(100);
상기 식품 정량공급 파트부(100)로부터 배출된 가공식품을 컨베이어로 이송하여 호퍼(220)를 통해 트레이(20)에 투입하는 식품 이송 및 투입 장치부(200); 및
상기 가공식품이 담긴 트레이(20)와 속이 빈 트레이(20)를 동시에 이동하여 상기 호퍼(220) 아래에 속이 빈 트레이(20)를 이동시키고 상기 가공식품이 담긴 트레이(20)를 상기 트레이공급 컨베이어 장치부(410)로 이동시키는 식품투입 트레이 이동 장치부(300);
를 더 포함하는 가공식품 포장 자동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cessed food packaging automation system,
A food supply part part 100 for automatically dispensing a predetermined amount by mixing food ingredients and processing food with the discharged food ingredients to discharge through a conveyor at a predetermined weight;
A food transfer and input device unit 200 for transferring the processed food discharged from the food quantitative supply part unit 100 to a conveyor and inserting it into the tray 20 through a hopper 220; And
The tray 20 containing the processed food and the hollow tray 20 are simultaneously moved to move the hollow tray 20 under the hopper 220 and the tray 20 containing the processed food is fed to the tray. Food input tray moving device unit 300 to move to the device unit 410;
Processed food packaging autom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KR1020200018195A 2020-02-14 2020-02-14 Tray apparatus for carrying food and packaging automatic system of processed food using the same KR1021011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195A KR102101141B1 (en) 2020-02-14 2020-02-14 Tray apparatus for carrying food and packaging automatic system of processed fo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195A KR102101141B1 (en) 2020-02-14 2020-02-14 Tray apparatus for carrying food and packaging automatic system of processed fo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141B1 true KR102101141B1 (en) 2020-04-14

Family

ID=70291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195A KR102101141B1 (en) 2020-02-14 2020-02-14 Tray apparatus for carrying food and packaging automatic system of processed fo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141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117A (en) * 2002-02-15 2002-03-09 김원철 Method for awlo motic product packing and device for it
JP2002240808A (en) * 2001-02-14 2002-08-28 Taiyo Kikai Kosakusho:Kk Automatic bagging device for food tray or the like
KR20110015830A (en) * 2009-08-10 2011-02-17 (주)라이스코리아 Weighing package auto apparatus
JP2016020248A (en) * 2014-07-14 2016-02-04 大和製衡株式会社 Hopper and combination balance equipped with hopper
WO2017025275A1 (en) * 2015-08-11 2017-02-16 Unilever N.V. Powder filling device and filling method
KR101731582B1 (en) * 2017-03-14 2017-04-28 홍성주 Rotary packaging machine
KR20180097196A (en) 2017-02-22 2018-08-31 주식회사 이엔푸드 Processed food and processed goods packaging system
KR20190007990A (en) * 2017-07-14 2019-01-23 한국농식품산업설비협동조합 Apparatus of packing agricultural product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0808A (en) * 2001-02-14 2002-08-28 Taiyo Kikai Kosakusho:Kk Automatic bagging device for food tray or the like
KR20020019117A (en) * 2002-02-15 2002-03-09 김원철 Method for awlo motic product packing and device for it
KR20110015830A (en) * 2009-08-10 2011-02-17 (주)라이스코리아 Weighing package auto apparatus
JP2016020248A (en) * 2014-07-14 2016-02-04 大和製衡株式会社 Hopper and combination balance equipped with hopper
WO2017025275A1 (en) * 2015-08-11 2017-02-16 Unilever N.V. Powder filling device and filling method
KR20180097196A (en) 2017-02-22 2018-08-31 주식회사 이엔푸드 Processed food and processed goods packaging system
KR101731582B1 (en) * 2017-03-14 2017-04-28 홍성주 Rotary packaging machine
KR20190007990A (en) * 2017-07-14 2019-01-23 한국농식품산업설비협동조합 Apparatus of packing agricultural produc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82573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ackaging loose product
RU2662771C2 (en) Food processing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of sorting, weighing, conveying and marinating solid food products
KR102140907B1 (en) Supplying and packaging automatic system of processed food
KR20110111791A (en) Packaging equipment of various kinds sauce of container
CN105235946A (en) Food packaging technology
CN109159968A (en) Multiple row automates finishing line
KR102110731B1 (en) Supplying and packaging automatic system of food
KR102101141B1 (en) Tray apparatus for carrying food and packaging automatic system of processed food using the same
KR101248847B1 (en) Manufacturing apparatus of blended food products
KR20220075017A (en) Automatic supply and fullfilling system for Kimchi
US6625961B1 (en) Multiple station bagging system
CN106347741A (en) Automatic poultry egg packaging device having gas-adjusted preservation function and packaging method
KR101579620B1 (en) A immersion type kimchi sauce stuffing device
US3091067A (en) Automatic tablet filler
JP3611914B2 (en) Weighing box packing equipment
CN208897427U (en) Multiple row automates finishing line
WO19950220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vision of pre-packaged components
KR102161082B1 (en) Beef boiled in soy food manufacturing equipment and packaging equipment
CN217348300U (en) Tea packing device
KR101248852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blended food products
KR102602718B1 (en) Stick Type Food Alignment Apparatus
US3513624A (en) Master container filling machine
KR101248849B1 (en) Manufacturing apparatus of food products
CN214029260U (en) Liquid seasoning package packing plant who facilitates use
JPH05123591A (en) Rice polis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