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696B1 - 중추신경 및 말초 신경에 대한 복합자극을 이용한 뇌신경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중추신경 및 말초 신경에 대한 복합자극을 이용한 뇌신경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696B1
KR102100696B1 KR1020190141441A KR20190141441A KR102100696B1 KR 102100696 B1 KR102100696 B1 KR 102100696B1 KR 1020190141441 A KR1020190141441 A KR 1020190141441A KR 20190141441 A KR20190141441 A KR 20190141441A KR 102100696 B1 KR102100696 B1 KR 102100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mulation
stimulator
transcranial current
functional
infrared spectrosco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0696B9 (ko
KR20190128129A (ko
Inventor
정호춘
이현희
이상세
김명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6358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50319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Priority to KR1020190141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696B1/ko
Publication of KR20190128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696B1/ko
Publication of KR10210069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69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61B5/047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5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spectroscopy, i.e. measuring spectra, e.g. Raman spectroscopy,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6Measuring blood flow
    • A61B5/0261Measuring blood flow using optical means, e.g. infrared light
    • A61B5/0401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eu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추신경 및 말초 신경에 대한 복합자극을 이용한 뇌신경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의 머리에 씌워진 고글; 환자에게 말초신경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기능적 전기 자극기; 환자에게 중추신경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경두개 전류 자극기와, 상기 기능적 전기 자극기 및 상기 경두개 전류 자극기에 따른 복합자극에 의한 환자의 뇌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 측정모듈을 갖는 경두개 전류자극기 겸용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측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모듈가이드; 상기 기능적 전기 자극기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적 전기 자극기 컨트롤러; 상기 경두개 전류 자극기 겸용 근적외선 분광 측정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경두개 전류자극 겸용 근적외선 분광측정 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경두개 전류자극 겸용 근적외선 분광측정 컨트롤러와 상기 기능적 전기 자극기 컨트롤러에 동시에 연결되어 뇌 활성도를 모니터링함과 동시에 상기 경두개 전류 자극기로 경두개 전류자극 제어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기능적 전기 자극기로 기능적 전기자극 제어신호를 피드백하는 시뮬레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추신경 및 말초 신경에 대한 복합자극을 이용한 뇌신경 조절장치{A CRANIAL NERVE ADJUSTIFING APPARATUS USING COMPLEX STIMULATION OF CENTRAL AND PERIPHERIAL NERVES}
본 발명은 뇌신경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추신경 및 말초신경에 대한 복합자극을 이용하여 뇌신경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중추신경 및 말초신경에 대한 복합자극을 이용한 뇌신경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와 같이, 뇌 속에 전극을 삽입하여 자극을 주는 침습적 뇌심부자극술은 수전증, 파킨슨병, 근긴장 이상증 등에 치료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수술 부작용이나 의도치 않은 간질 발작과 같은 부작용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침습적 뇌심부자극술은 특정 중증 질환에 매우 탁월한 치료효과를 보이지만, 시술의 위험성 및 작동의 복잡성이 높아, 많은 질환의 치료에 대양하게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7-0042084(공개일: 2017.04.18, 발명의 명칭: 치료용 뇌 자극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구조적, 기능적으로 복잡한 뇌인지 정보를 실시간 검출을 통해 사용자의 뇌 기능적 활성화를 자동으로 이해하고, 뇌의 기능적 전기 자극을 수행하는 기술로서, 인간의 윤택한 삶을 위한 편리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획기적으로 뇌질환을 치료하도록 중추신경 및 말초 신경에 대한 복합자극을 이용한 뇌신경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 뇌 신호와 뇌 전기 자극 피드백 응용 기술로, 사람이 뇌 환부를 타켓팅하지 않고 인간의 뇌활성 상태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전기 자극을 제어하도록 한 중추신경 및 말초 신경에 대한 복합자극을 이용한 뇌신경 조절장치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뇌신경 조절장치는 환자의 머리에 씌워진 고글; 환자에게 말초신경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기능적 전기 자극기; 환자에게 중추신경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경두개 전류 자극기와, 상기 기능적 전기 자극기 및 상기 경두개 전류 자극기에 따른 복합자극에 의한 환자의 뇌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 측정모듈을 갖는 경두개 전류자극기 겸용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측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모듈가이드; 상기 기능적 전기 자극기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적 전기 자극기 컨트롤러; 상기 경두개 전류 자극기 겸용 근적외선 분광 측정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경두개 전류자극 겸용 근적외선 분광측정 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경두개 전류자극 겸용 근적외선 분광측정 컨트롤러와 상기 기능적 전기 자극기 컨트롤러에 동시에 연결되어 뇌 활성도를 모니터링함과 동시에 상기 경두개 전류 자극기로 경두개 전류자극 제어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기능적 전기 자극기로 기능적 전기자극 제어신호를 피드백하는 시뮬레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에는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에 의한 혈류 모니터링 소프트웨어와 경두개 전류자극 해석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기능적 전기자극과 경두개 전류자극에 의한 뇌활성 상태를 바탕으로 상기 경두개 전류자극기의 전극에 대한 위치 및 전류세기가 조정되어 피드백되면서 환자의 뇌환부 이외의 부분이 자극되도록 한다.
상기 복수 개의 모듈가이드 각각은, 상기 고글에 천공된 복수개의 천공부에 세워지는 원통형부재; 상기 원통형부재에 삽입되되, 하부는 개구되고 상부는 폐쇄되며, 내부에 상기 경두개 전류자극기 겸용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측정모듈이 배치되는 모듈케이스; 상기 모듈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경두개 전류자극기 겸용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측정모듈의 상부면을 하부로 미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두개 전류자극기 겸용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측정모듈에 구비된 경두개 전류자극기는 스틸관과, 상기 스틸관을 감싸는 스폰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추신경 및 말초 신경에 대한 복합자극을 이용한 뇌신경 조절장치에 의하면, 구조적, 기능적으로 복잡한 뇌인지 정보를 실시간 검출을 통해 사용자의 뇌 기능적 활성화를 자동으로 이해하고, 인공지능 기반 뇌 신호와 뇌 전기 자극 피드백 응용 기술로, 사람의 뇌 환부를 타켓팅하지 않고 인간의 뇌활성 상태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전기 자극을 제어하도록 한 실시간 뇌 활성도 변화에 따라 모니터링 함으로써 인간의 윤택한 삶을 위한 편리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획기적으로 뇌질환을 치료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뇌속에 전극을 삽입하여 자극을 주는 침습적 뇌심부자극술을 도시한 사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중추신경 및 말초 신경에 대한 복합자극을 이용한 뇌신경 조절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중추신경 및 말초 신경에 대한 복합자극을 이용한 뇌신경 조절장치를 도시한 세부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채널 경두개전류자극 및 2채널 FES 자극기 결합과 뇌활성도 측정용 모듈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중추신경 및 말초 신경에 대한 복합자극을 이용한 뇌신경 조절장치를 실시간으로 제어하기 위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처리과정에 대한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경두개 전류자극 및 뇌활성도 측정용 고글 연결구의 모듈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경두개 전류자극 및 뇌활성도 측정용 고글 연결구성 및 모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경두개 전류자극 및 뇌활성도 측정용 고글을 착용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추신경 및 말초 신경에 대한 복합자극을 이용한 뇌신경 조절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중추신경 및 말초 신경에 대한 복합자극이란, 경두개전류자극tCS = tACS(Transcranial alternate Current Stimulation) + tDCS(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과 말초신경 자극을 위한 기능적 전기자극(FES: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을 합한 자극을 말하는 것이다.
여기서, 경두개전류자극tCS = tACS(Transcranial alternate Current Stimulation) + tDCS(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장치, 즉 경두개 전류 자극기는 환자에게 중추신경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기능적 전기자극(FES: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장치, 즉 기능적 전기 자극기는 환자에게 말초신경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fNIRS)에 따른 뇌활성도 측정 모듈 장치, 즉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 측정모듈(도 6 의 fNIRS 측정모듈 참조)는 복합자극에 따른 뇌활성도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다시 말하면,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 측정모듈은 상기 기능적 전기 자극기 및 상기 경두개 전류 자극기에 따른 복합자극에 의한 환자의 뇌활성도를 측정하기 장치이다.
중추 및 말초 신경 복합자극이란, 경두개전류자극{tCS = tACS(Transcranial alternate Current Stimulation) + tDCS(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과 말초신경 자극을 위한 기능적 전기자극(FES: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을 말하는 것이다.
삭제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뇌신경 조절장치는 상기 중추신경 및 말초 신경 의 복합자극을 부여함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뇌기능을 모니터링하게 된다.
본 발명의 중추신경 및 말초 신경에 대한 복합자극을 이용한 뇌신경 조절장치는 환자의 뇌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환자의 머리에 씌워진 고글과, 상기 고글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천공된 천공부에 각각 결착된 모듈가이드와, 상기 모듈가이드의 모듈에 각각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는 32채널fNIRS+32채널tCS Controller와, 환자의 팔목에 부착된 2개의 말초신경자극기(즉, 기능적 전기자극기)에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는 2채널FES Controller와, 상기 32채널fNIRS+32채널tCS Controller와 상기 2채널FES Controller에 동시에 연결되어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fNIRS)에 의한 뇌활성도 측정신호, 경두개전류자극(tCS) 제어신호 및, 기능적 전기자극(FES) 제어신호를 송신받아 모니터링하는 시뮬레이션장치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2채널FES Controller, 즉 기능적 전기 자극기 컨트롤러는 상기 기능적 전기 자극기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32채널fNIRS+32채널tCS Controller, 즉 경두개 전류자극 겸용 근적외선 분광측정 컨트롤러는 경두개 전류 자극기 겸용 근적외선 분광 측정모듈(도 6의 tCS+fNIRS모듈 참조)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2, 도3 및 도 5를 참조하면, 시뮬레이션 장치는 경두개 전류자극 겸용 근적외선 분광측정 컨트롤러(도 2의 32채널fNIRS+32채널tCS Controller)와 상기 기능적 전기 자극기 컨트롤러(도 2의 2채널FES Controller)에 동시에 연결되어 뇌 활성도를 모니터링함과 동시에 상기 경두개 전류 자극기로 경두개 전류자극 제어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기능적 전기 자극기로 기능적 전기자극 제어신호를 피드백하게 된다.
상기 시뮬레이션장치는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fNIRS)에 의한 혈류 역학 모니터링 소프트웨어와 경두개 전류자극(tCS) 해석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으며, 기능적 전기자극과 경두개 전류자극에 의한 뇌활성 상태를 바탕으로 상기 경두개 전류자극기의 전극에 대한 위치 및 전류세기가 조정되어 피드백되면서 환자의 뇌환부 이외의 부분이 자극되도록 한다.
상기 모듈가이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글의 천공부에 각각 세워진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원통형 부재(①)와, 상기 원통형 부재(①)에 삽입되는 하부는 개구되고 상부는 폐쇄된 실린더 형상의 모듈케이스(④)와, 상기 모듈케이스(④) 내에서 상하 이동되는 피스톤 형상의 부재로서, 하단이 두피에 접촉되도록 스틸관으로 된 tCS+fNIRS모듈(⑤)과, 상기 tCS+fNIRS모듈(⑤)의 상부면을 모듈케이스(④) 내에서 하부로 미는 스프링(⑨)으로 이루어진다.
즉, 모듈가이드는 고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고, 복수 개의 모듈가이드 각각은, 상기 고글에 천공된 복수개의 천공부에 세워지는 원통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모듈가이드는 상기 원통형부재에 삽입되되, 하부는 개구되고 상부는 폐쇄되며, 내부에 상기 경두개 전류자극기 겸용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측정모듈(tCS+fNIRS모듈)이 배치되는 모듈케이스와, 상기 모듈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경두개 전류자극기 겸용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측정모듈(tCS+fNIRS모듈)의 상부면을 하부로 미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경두개 전류자극기 겸용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측정모듈(tCS+fNIRS모듈)의 경두개 전류자극기는 스틸관과, 상기 스틸관을 감싸는 스폰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중추신경 및 말초 신경에 대한 복합자극을 이용한 뇌신경 조절장치는, 정상 성인과 일부 뇌졸중 환자의 집중력 향상, 기억력향상, 운동 정확도 향상, 언어기능 향상, 삼킴기능 향상 등에 효과가 있다.
상기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fNIRS)에 의한 뇌활성도 측정 모니터링 기술은 두가지 주요한 성질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데 첫째, 생체 조직이 근적외선(near infrared)영역의 파장을 가진 빛을 상대적으로 잘 투과시키며 둘째, 조직에는 산화상태에 따라 빛의 흡수가 달라지는 색 함유물질 즉, chromophore들이 소수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모니터링으로 뇌조직에 존재하는 chromophore는 oxyhemoglobin(HbO2), deoxyhemoglobin(Hb), oxidized Cytochromeaa3(CytO2)이며, 상기 Cytochromeaa3은 세포내 mitochondria막 안쪽에 존재하며 세포내 에너지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fNIRS)으로 이들 chromophores의 농도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혈액내의 산소화 정도뿐 아니라 세포내의 산소화 정도 또한 측정 가능하며 뇌혈류량(cerebral bloodflow), 뇌혈액량(cerabralbloodvolume), 뇌혈류량의 자동 조정 기능(autoregulation)등을 계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능적 전기자극(FES: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은 상부 운동신경원 손상으로 운동 조절이 어려운 환자에게 전기자극을 가하여 기능적으로 유용한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행위로 정의하고 있다. 즉, 척수손상, 두부외상, 뇌졸중, 뇌성마비 등 중추신경장애 환자에서 마비근의 근력강화, 보행장애의 상태개선과 보행훈련 및 보조기의 역할로서 이용되고 있다.
상기 기능적 전기자극(FES)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에게 있어서는 손 기능을 잡는 기능으로 향상시키거나 견관절의 탈구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현재 임상에서 통상적으로 FES를 적용할 때는 주로 상지의 근육에서는 40~50Hz를 이용하고 있으며, 하지 근육에서는 20~30Hz를 이용하고 있다.
뇌졸중 환자의 만성 장애는 상지의 원위부인 손에서 현저하게 나타나고, 특히 손가락을 펴는 동작은 회복이 가장 지연되는 움직임으로 적극적인 재활 훈련이 필요하며, 손가락 폄 동작은 기능적 전기자극의 주요 적용 대상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Claims (3)

  1. 환자의 머리에 씌워진 고글;
    환자에게 말초신경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기능적 전기 자극기;
    환자에게 중추신경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경두개 전류 자극기와, 상기 기능적 전기 자극기 및 상기 경두개 전류 자극기에 따른 복합자극에 의한 환자의 뇌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 측정모듈을 갖는 경두개 전류자극기 겸용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측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모듈가이드;
    상기 기능적 전기 자극기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적 전기 자극기 컨트롤러;
    상기 경두개 전류 자극기 겸용 근적외선 분광 측정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경두개 전류자극 겸용 근적외선 분광측정 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경두개 전류자극 겸용 근적외선 분광측정 컨트롤러와 상기 기능적 전기 자극기 컨트롤러에 동시에 연결되어 뇌 활성도를 모니터링함과 동시에 상기 경두개 전류 자극기로 경두개 전류자극 제어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기능적 전기 자극기로 기능적 전기자극 제어신호를 피드백하는 시뮬레이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에는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에 의한 혈류 모니터링 소프트웨어와 경두개 전류자극 해석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기능적 전기자극과 경두개 전류자극에 의한 뇌활성 상태를 바탕으로 상기 경두개 전류자극기의 전극에 대한 위치 및 전류세기가 조정되어 피드백되면서 환자의 뇌환부 이외의 부분이 자극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 및 말초신경에 대한 복합자극을 이용한 뇌신경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모듈가이드 각각은,
    상기 고글에 천공된 복수개의 천공부에 세워지는 원통형부재;
    상기 원통형부재에 삽입되되, 하부는 개구되고 상부는 폐쇄되며, 내부에 상기 경두개 전류자극기 겸용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측정모듈이 배치되는 모듈케이스;
    상기 모듈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경두개 전류자극기 겸용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측정모듈의 상부면을 하부로 미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 및 말초신경에 대한 복합자극을 이용한 뇌신경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두개 전류자극기 겸용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측정모듈의 경두개 전류자극기는 스틸관과, 상기 스틸관을 감싸는 스폰지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 및 말초신경에 대한 복합자극을 이용한 뇌신경 조절장치.
KR1020190141441A 2017-11-30 2019-11-07 중추신경 및 말초 신경에 대한 복합자극을 이용한 뇌신경 조절장치 KR102100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441A KR102100696B1 (ko) 2017-11-30 2019-11-07 중추신경 및 말초 신경에 대한 복합자극을 이용한 뇌신경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581A KR102050319B1 (ko) 2017-11-30 2017-11-30 실시간 뇌 활성도 변화에 따른 모니터링과 중추 및 말초 신경 복합자극을 통한 뇌신경 조절장치
KR1020190141441A KR102100696B1 (ko) 2017-11-30 2019-11-07 중추신경 및 말초 신경에 대한 복합자극을 이용한 뇌신경 조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581A Division KR102050319B1 (ko) 2017-11-30 2017-11-30 실시간 뇌 활성도 변화에 따른 모니터링과 중추 및 말초 신경 복합자극을 통한 뇌신경 조절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129A KR20190128129A (ko) 2019-11-15
KR102100696B1 true KR102100696B1 (ko) 2020-04-16
KR102100696B9 KR102100696B9 (ko) 2022-01-17

Family

ID=80113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441A KR102100696B1 (ko) 2017-11-30 2019-11-07 중추신경 및 말초 신경에 대한 복합자극을 이용한 뇌신경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6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595A (ko) 2021-02-15 2022-08-23 뉴로엔(주) 전극 밀착성 및 착용성이 향상된 비침습적 뇌자극 헬스케어 장치
KR20220116596A (ko) 2021-02-15 2022-08-23 뉴로엔(주) 피시술자의 긴장도를 완화시킬 수 있는 비침습적 뇌자극 헬스케어 시스템
US11931574B2 (en) 2021-02-22 2024-03-19 Neurode Pty Ltd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symptoms of neurological condi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726B1 (ko) * 2020-02-28 2023-04-19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뇌 기능 활성 모니터링을 이용한 뇌 자극 장치
KR102417585B1 (ko) 2020-11-24 2022-07-05 김경대 뇌혈류 속도 조절에 기반한 개인 건강 관리 장치
KR102585844B1 (ko) 2021-02-25 2023-10-26 주식회사 뉴로리햅 하드웨어 기반 다채널 전류 자극 장치
KR102538308B1 (ko) 2022-12-08 2023-05-31 주식회사 카티스 통합 경두개 직류전류 자극기(tDCS)-근적외선 분광기(fNIRS) 기반 착용 가능 휴대용 뇌기능 활성화 증진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용 클라우드 서버와 클라우드 서버 운용방법
KR102567515B1 (ko) 2022-12-08 2023-08-17 주식회사 카티스 통합 경두개 직류전류 자극기(tDCS)-근적외선 분광기(fNIRS) 기반 착용 가능 휴대용 뇌기능 활성화 증진 및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7590A (ja) 2002-09-11 2004-04-02 Shimadzu Corp 生体計測用プローブ、及び生体計測用プローブホルダー
JP2007175416A (ja) 2005-12-28 2007-07-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学センサ及びそのセンサ部
JP2008173140A (ja) 2007-01-16 2008-07-31 Hitachi Ltd 生体光計測装置および光検出モジュール
JP2010519003A (ja) 2007-02-27 2010-06-03 アクセラレイティド ケア プラス コーポレイション 神経障害の治療のための電気刺激装置と方法
JP2011500143A (ja) 2007-10-09 2011-01-06 イムセラ・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選択的刺激のための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3523274A (ja) 2010-03-30 2013-06-17 ザ チルドレンズ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ヒトの痛覚の測定の装置及び方法
KR101293293B1 (ko) 2012-02-06 2013-08-09 이정렬 경혈용 자극기 및 이를 구비하는 경혈자극장치
WO2014045774A1 (ja) 2012-09-24 2014-03-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生体センサ、及び、生体センサの製造方法
US20140288614A1 (en) 2010-01-06 2014-09-25 David W. Hagedorn Electrophysiology measurement and training and remote databased and data analysis measurement method and sytem
US20140343351A1 (en) 2011-10-24 2014-11-20 Teijin Pharma Limited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system
JP2016511651A (ja) 2013-01-21 2016-04-21 カラ ヘル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ala Health, Inc. 振戦を抑制する装置及び方法
US9532748B2 (en) 2013-04-22 2017-01-03 Personal Neuro Devic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brain activity monitoring supporting mental state development and training
US20170312517A1 (en) 2015-03-10 2017-11-02 Hrl Laborator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training and assessm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200B1 (ko) * 2010-03-18 2013-01-03 (주)락싸 인체 장착형 센서셋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063969A (ko) * 2011-12-07 2013-06-1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적외선 측정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뇌신호 측정장치
KR101430557B1 (ko) * 2012-10-25 2014-08-1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뇌 혈류 반응을 이용한 뇌 자극 시스템
KR101444800B1 (ko) * 2012-12-20 2014-09-26 (주)와이브레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
KR20170128232A (ko) * 2015-01-14 2017-11-22 뉴로트릭스 엘엘씨 뇌 자극에 대한 신경 혈관 반응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160041748A (ko) * 2015-07-03 2016-04-18 (주)와이브레인 P300 뇌파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장치
KR101733104B1 (ko) 2015-10-08 2017-05-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치료용 뇌 자극 장치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7590A (ja) 2002-09-11 2004-04-02 Shimadzu Corp 生体計測用プローブ、及び生体計測用プローブホルダー
JP2007175416A (ja) 2005-12-28 2007-07-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学センサ及びそのセンサ部
JP2008173140A (ja) 2007-01-16 2008-07-31 Hitachi Ltd 生体光計測装置および光検出モジュール
JP2010519003A (ja) 2007-02-27 2010-06-03 アクセラレイティド ケア プラス コーポレイション 神経障害の治療のための電気刺激装置と方法
JP2011500143A (ja) 2007-10-09 2011-01-06 イムセラ・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選択的刺激のための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40288614A1 (en) 2010-01-06 2014-09-25 David W. Hagedorn Electrophysiology measurement and training and remote databased and data analysis measurement method and sytem
JP2013523274A (ja) 2010-03-30 2013-06-17 ザ チルドレンズ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ヒトの痛覚の測定の装置及び方法
US20140343351A1 (en) 2011-10-24 2014-11-20 Teijin Pharma Limited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system
KR101293293B1 (ko) 2012-02-06 2013-08-09 이정렬 경혈용 자극기 및 이를 구비하는 경혈자극장치
WO2014045774A1 (ja) 2012-09-24 2014-03-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生体センサ、及び、生体センサの製造方法
JP2016511651A (ja) 2013-01-21 2016-04-21 カラ ヘル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ala Health, Inc. 振戦を抑制する装置及び方法
US9532748B2 (en) 2013-04-22 2017-01-03 Personal Neuro Devic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brain activity monitoring supporting mental state development and training
US20170312517A1 (en) 2015-03-10 2017-11-02 Hrl Laborator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training and assess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595A (ko) 2021-02-15 2022-08-23 뉴로엔(주) 전극 밀착성 및 착용성이 향상된 비침습적 뇌자극 헬스케어 장치
KR20220116596A (ko) 2021-02-15 2022-08-23 뉴로엔(주) 피시술자의 긴장도를 완화시킬 수 있는 비침습적 뇌자극 헬스케어 시스템
US11931574B2 (en) 2021-02-22 2024-03-19 Neurode Pty Ltd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symptoms of neurological cond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696B9 (ko) 2022-01-17
KR20190128129A (ko) 201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696B1 (ko) 중추신경 및 말초 신경에 대한 복합자극을 이용한 뇌신경 조절장치
KR102050319B1 (ko) 실시간 뇌 활성도 변화에 따른 모니터링과 중추 및 말초 신경 복합자극을 통한 뇌신경 조절장치
Belda-Lois et al. Rehabilitation of gait after stroke: a review towards a top-down approach
Jackson et al. Neural interfaces for the brain and spinal cord—restoring motor function
CN104888346B (zh) 对昏迷大脑进行神经刺激的方法及装置
KR101501524B1 (ko) 뇌신호와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장치
Cauraugh et al. Upper extremity improvements in chronic stroke: coupled bilateral load training
ATE537872T1 (de) Gerät zur behandlung von neurologischen störungen mit chronisch adaptiver gehirn-stimulation in abhängigkeit von lokalen biopotentialen
KR20160046887A (ko) 전기 자극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04047911A3 (en) Surface stimulation for tremor control
KR102144291B1 (ko) 거울신경세포의 활성화를 극대화하는 뇌 자극과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을 결합한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70162088A1 (en) Apparatus for stimulating muscular contraction and relaxation
KR102032620B1 (ko) 다채널 경두개 전류자극과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으로 뇌활성도를 측정하는 모듈장치
TWI573606B (zh) 經顱陣發型電刺激裝置及其應用
Shen et al. Research on the real-time control system of lower-limb gait movement based on motor imagery and central pattern generator
CN110908506A (zh) 仿生智能算法驱动的主被动一体化康复方法、装置、存储介质和设备
Watts et al. The effect of transcutaneous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laryngeal vestibule closure timing in swallowing
Ilves et al.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or facial pacing: Effects of waveforms on movement intensity and ratings of discomfort
Levitskaya et al. Brain-computer interface: the future in the present
Ushiba et al. A task-oriented brain-computer interface rehabilitation system for patients with stroke hemiplegia
Gutiérrez-Martínez Neuroprostheses: Significance in gait rehabilitation
Stipancic et al. The effects of continuous oromotor activity on speech motor learning: speech biomechanics and neurophysiologic correlates
Canny et al. Boosting brain–computer interfaces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potential applications in people with locked-in syndrome
RU274405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нарушений работы вестибулярного аппарата
WO2023134322A1 (zh) 用于传递可变脉冲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