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593B1 -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 - Google Patents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593B1
KR102100593B1 KR1020190110565A KR20190110565A KR102100593B1 KR 102100593 B1 KR102100593 B1 KR 102100593B1 KR 1020190110565 A KR1020190110565 A KR 1020190110565A KR 20190110565 A KR20190110565 A KR 20190110565A KR 102100593 B1 KR102100593 B1 KR 102100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guide rail
base frame
seat
sof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현
Original Assignee
박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현 filed Critical 박광현
Priority to KR1020190110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593B1/ko
Priority to CN202080062494.XA priority patent/CN114423319A/zh
Priority to PCT/KR2020/010663 priority patent/WO20210454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20/023Arm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시트,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몸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 상기 시트 및 등받이의 연결부위에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시트의 너비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며 배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팔걸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Sofa with Removable Armrest}
본 발명은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사용양태 또는 보조 소파의 결합 방향 등에 따라 팔걸이를 슬라이드 이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소파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 시키기 위한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에 관한 것이다.
소파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생활 필수품으로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소파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 및 사용자가 등을 기대는 등받이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소파의 시트의 양측 종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고정식으로 설치되는 팔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는 그 형태가 일정하게 제작되기 때문에 용도가 한정적이다. 즉, 사용자는 팔걸이가 구비된 시트의 측면에 앉는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팔걸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소파의 중심부에 착석이 불가능하다.
또한, 너비가 넓은 소파의 측면에 보조 소파 등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보조 소파의 배치 위치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팔걸이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소파 및 보조 소파의 배치를 변경하고자 하더라도 많은 불편이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설치 장소의 면적 및 분위기, 소파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팔걸이를 제거하거나, 시트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양측 호환이 가능한 팔걸이 등이 개시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소파는 팔걸이가 등받이 양측 종단부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소파는 양측 종단부에 팔걸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여전히 팔걸이의 위치가 소파의 양측 종단부에 한정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팔걸이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등받이 또는 시트부에 형성된 홈이 비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함이 있거나, 이러한 공간을 채우기 위한 별도의 부재가 필요하며, 이러한 별도의 부재를 보관이 어렵거나, 사용하지 않는 경우 분실의 위험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KR0329552 20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사용양태 또는 보조 소파의 결합 방향 등에 따라 팔걸이를 슬라이드 이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소파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 시키기 위한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시트,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몸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 상기 시트 및 등받이의 연결부위에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시트의 너비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며 배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팔걸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팔걸이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시트 및 등받이의 외부로 소정길이 노출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 일측에 결합되는 쿠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 돌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가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의 후면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 또는 팔걸이부의 수리 또는 점검을 위한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부가 구비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면 일측에는 상기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팔걸이의 위치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양측 또는 어느 하나의 팔걸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옮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팔걸이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좌측형 소파 또는 우측형 소파와 다르게 보조 소파를 사용자가 소파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소파의 분위기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사용자가 앉거나 눕는 경우 사용자의 체형에 알맞게 선택적으로 팔걸이의 위치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형과 상관 없이 최적의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팔걸이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누구나 팔걸이의 배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섯째,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레일에 결합된 팔걸이의 결합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점검이 용이하고, 고장이 발생한 경우 개방부를 통해 고장 발생 부위를 확인하고 해당 부분의 시트 또는 등받이만 제거하여 점검 및 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팔걸이 및 가이드 레일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의 후면 사시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팔걸이의 사용양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팔걸이의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소파를 제공한다. 이러한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팔걸이 및 가이드 레일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 프레임(100), 시트(200), 등받이(300), 가이드 레일(400) 및 팔걸이(500)로 구성된다.
베이스 프레임(100)은 소파(10)의 전체적인 크기 및 형상을 결정하고, 시트(200) 및 등받이(30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100)은 사용자의 사용 시 사용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목재 또는 철재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취향 및 사용양태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300)와 시트(200) 부분이 일체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100)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등받이 부분이 분리되거나, 등받이 부분이 구비되지 않는 베이스 프레임(10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베이스 프레임(100)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동일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의 후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100)의 후면 일측에는 소파(10)의 시트(200) 및 등받이(300)를 분리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가이드 레일(400) 및 가이드 레일(400)에 결합되는 팔걸이(500)의 결합상태 등을 점검 및 보수 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방부(110)의 크기는 소파(1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방부(110)를 통해 외부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방부(110)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는 접철식 또는 슬라이드식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개방부(110)를 개폐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시트(20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때, 시트(200)는 가이드 레일(400)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베이스 프레임(100)의 등받이(300)가 결합되는 일측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시트(200)는 사용자의 착석 시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쿠션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등받이(300)는 시트(200)가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등을 기댈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착석 시 등을 기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등받이(30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가이드 레일(400)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등받이(300)는 사용자가 등을 기대는 경우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쿠션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시트(200) 및 등받이(300)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이드 레일(400)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시트(200) 및 등받이(300)가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 베이스 프레임(100)의 너비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도록 구비되어 팔걸이(500)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400)은 팔걸이(5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팔걸이(500)가 소파(10)의 너비 방향을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임의의 위치로 변경 가능하도록 소파(10)의 너비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것이 좋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400)은 팔걸이(500)의 결합 방법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단면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예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상면 일측이 개방된 중공인 파이프 형상의 레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사용양태로는 'T'자 또는 '+' 형상의 단면을 갖는 레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변경한 위치에 팔걸이(5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내부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팔걸이(500)는 위치 변경을 위하여 일단이 가이드 레일(40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시트(20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시트(200)의 안착 시 팔을 거치하거나,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시트(200)에 누운 상태에서 머리 또는 발을 거치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팔걸이(500)는 크게 결합부(510), 연결부(520) 및 쿠션부(530)로 구성된다.
결합부(510)는 가이드 레일(400)에 결합되어 팔걸이(500)를 가이드 레일(400)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결합부(510)는 가이드 레일(400)의 구성 및 결합 방법에 따라 다양한 구성 및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가이드 레일(400)이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상부가 개방된 중공인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가이드 레일(40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외주면을 갖는 육면체 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양측 벽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회전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롤러가 회전하며 가이드 레일(400)을 따라 원활하고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 가이드 레일(400)이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하부가 개방된 중공인 육면체 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내측 벽면에 회전 롤러를 구비하여 가이드 레일(4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가이드 레일(400)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하부가 개방된 중공인 육면체 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내측면에 상호 이격된 이층 구조의 회전 롤러를 구비하여 가이드 레일(4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처럼 결합부(5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롤러 외에도 가이드 롤러를 따라 부드럽고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장치가 있다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만약, 전술한 가이드 레일(400) 내부에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회전 롤러가 기준치 이상의 힘을 가하지 않는 경우에는 걸림 돌기에 걸려 위치가 변경되지 않아 임의로 팔걸이(50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회전 롤러의 직경은 가이드 레일(400)의 내부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고, 회전 롤러와 대응되는 가이드 레일(400)의 하부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렇게 걸림 돌기가 형성되면 기준치 이상의 힘이 발생하면 회전 롤러는 걸림 돌기를 넘어가며 위치가 변경되고, 기준치 이하의 힘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회전 롤러가 걸림 돌기를 넘어가지 못하기 때문에 임의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부(520)는 일단이 결합부(5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결합부(510) 몸체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시트(200) 및 등받이(300) 사이를 통해 외부로 소정길이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연결부(520)는 금속재와 같이 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시트(200) 및 등받이(300)의 형상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되거나, 굴곡진 평판, 파이프 또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사용자가 팔걸이(500)의 어느 부위를 잡고 이동하더라도 그 힘을 결합부(510)로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부(520)가 팔걸이(50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팔걸이(500)의 길이 및 두께 등을 고려하여 노출되는 길이는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쿠션부(530)는 연결부(520)의 일단에 구비되어 등받이(300) 및 시트(200)의 형상, 팔걸이(500)의 높이 및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쿠션부(530)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팔걸이(500)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의 사용양태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10)의 사용양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팔걸이의 사용양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시트(200)의 양측 종단부에 착석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착석 후 팔걸이(500)를 사용하고자 하면 팔걸이(500)를 이동시켜 이용이 가능하다.
일예로, 양측의 팔걸이(500)를 모두 이동시켜 개인용 소파(10)와 같이 양측 팔을 모두 팔걸이(500)에 걸쳐놓을 수 있다. 다른 사용양태로 소파(10)의 중심부에 착석한 경우에 한쪽의 팔걸이(500)만 이동시켜 물건을 안착하거나, 사용자의 팔을 걸쳐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사용양태로는 사용자가 시트(200)에 누워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하나의 팔걸이(500)는 베개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의 팔걸이(500)는 다리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팔걸이(500)의 배치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사용양태 및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팔걸이(500)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팔걸이(500)는 결합부(510)를 통해 가이드 레일(400)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팔걸이(5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소파(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보조 소파(10) 등이 배치되는 경우에도 팔걸이(500)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좌측형 또는 우측형 소파(10)와는 다르게 사용자의 거실 또는 사무실 등에서 자유로운 가구 배치가 가능하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소파(10)를 변경하지 않더라도 자유로운 배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팔걸이(500)의 쿠션부(530)는 시트(200)와 밀착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 시 소정의 힘이 발생하더라도 쿠션부(530) 및 시트(200)가 상호 대면하는 일면에서 마찰이 발생하여 일정 이상의 힘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팔걸이(500)가 임의로 움직이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팔걸이(500)를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가이드 레일(400)의 내부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갖는 걸림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팔걸이(500)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팔걸이(500)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결합부(510)에 구비되는 회전 롤러가 기준치 이상의 힘을 전달 받는 경우에는 가이드 레일(400)의 걸림 돌기를 통과하며 팔걸이(5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팔걸이(500)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는 경우, 일예로, 사용 중 팔걸이와 충돌하는 등과 같이, 기준치 이하의 힘이 결합부(510)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결합부(510)로 충분한 힘이 전달되지 않아, 회전 롤러는 걸림 돌기에 걸려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자가 설정한 배치 위치에서 변경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팔걸이(500)의 쿠션부(530) 및 시트(200)에서 발생하는 마찰력 및 걸림 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팔걸이(500)가 임의로 배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팔걸이(500)의 배치 위치가 고정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팔걸이(500)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10)의 사용 중 레일에 걸림이 발생하거나, 레일 또는 팔걸이(500)의 결합부(510) 등을 점검 수리하는 경우 시트(200) 및 등받이(300)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후면에 형성된 개방부(110)를 통해 고장부위를 확인하거나, 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개방부(110)에는 개폐부가 구비되어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개방부(110)를 폐쇄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베이스 프레임(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한 번 설명하면, 본원발명의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는 베이스 프레임(1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시트(200);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몸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300); 상기 시트(200) 및 상기 등받이(300)의 연결부위에 대응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 시트(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시트(200)의 폭 방향의 상부 중앙부분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된 이동개방부(410)가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400); 상기 가이드 레일(400)에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며 배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팔걸이(500); 상기 등받이(300)가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후면 일측에는 가이드 레일(400) 또는 팔걸이부(500)의 수리 또는 점검을 위해 형성되는 개방부(110); 및 상기 개방부(110)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100)의 후면 일측에는 개방부(110)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팔걸이(500)는, 상기 가이드 레일(400)에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400)을 따라 이동하는 결합부(510); 상기 결합부(510)와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시트 및 등받이의 외부로 소정길이 노출되는 연결부(520); 상기 연결부(520)의 타단부 일측에 결합되며 시트(200)와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쿠션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510)는 상기 이동개방부에 위치되는 수평부재(511); 상기 수평부재(511)의 양단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사선부재(512); 양단의 사선부재(512)에서 외측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롤러 결합부재(513); 상기 롤러 결합부재(513)를 축으로 하여 상기 롤러 결합부재(513)와 각각 수직하게 결합되며 가이드 레일(400)의 내부 양측 벽면 및 하부면에 접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400) 내부의 하부면을 따라 회전하는 2개의 회전롤러(51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400) 내부의 하부면에는 가이드 레일(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걸림 돌기(미도시);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롤러(514)의 직경이 가이드 레일(400)의 내부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일정 이상 힘이 가해졌을 때 회전롤러(514)가 걸림돌기를 넘어가며 팔걸이(500)의 위치변경되고, 일정 이하 힘에는 팔걸이(500)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
100 : 베이스 프레임
110 : 개방부
200 : 시트
300 : 등받이
400 : 가이드 레일
500 : 팔걸이
510 : 결합부
520 : 연결부
530 : 쿠션부

Claims (5)

  1. 베이스 프레임(1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시트(2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몸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300);
    상기 시트(200) 및 상기 등받이(300)의 연결부위에 대응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 시트(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시트(200)의 폭 방향의 상부 중앙부분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된 이동개방부(410)가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400);
    상기 가이드 레일(400)에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며 배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팔걸이(500);
    상기 등받이(300)가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후면 일측에는 가이드 레일(400) 또는 팔걸이부(500)의 수리 또는 점검을 위해 형성되는 개방부(110); 및
    상기 개방부(110)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100)의 후면 일측에는 개방부(110)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가 구비되며,
    상기 팔걸이(500)는,
    상기 가이드 레일(400)에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400)을 따라 이동하는 결합부(510);
    상기 결합부(510)와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시트 및 등받이의 외부로 소정길이 노출되는 연결부(520);
    상기 연결부(520)의 타단부 일측에 결합되며 시트(200)와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쿠션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510)는
    상기 이동개방부에 위치되는 수평부재(511);
    상기 수평부재(511)의 양단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사선부재(512);
    양단의 사선부재(512)에서 외측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롤러 결합부재(513);
    상기 롤러 결합부재(513)를 축으로 하여 상기 롤러 결합부재(513)와 각각 수직하게 결합되며 가이드 레일(400)의 내부 양측 벽면 및 하부면에 접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400) 내부의 하부면을 따라 회전하는 2개의 회전롤러(514);를 포함하고,
    가이드 레일(400) 내부의 하부면에는 가이드 레일(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걸림 돌기(미도시);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롤러(514)의 직경이 가이드 레일(400)의 내부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일정 이상 힘이 가해졌을 때 회전롤러(514)가 걸림돌기를 넘어가며 팔걸이(500)의 위치변경되고,
    일정 이하 힘에는 팔걸이(500)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10565A 2019-09-06 2019-09-06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 KR102100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565A KR102100593B1 (ko) 2019-09-06 2019-09-06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
CN202080062494.XA CN114423319A (zh) 2019-09-06 2020-08-12 具备移动式扶手的沙发
PCT/KR2020/010663 WO2021045403A1 (ko) 2019-09-06 2020-08-12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565A KR102100593B1 (ko) 2019-09-06 2019-09-06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593B1 true KR102100593B1 (ko) 2020-05-15

Family

ID=70678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565A KR102100593B1 (ko) 2019-09-06 2019-09-06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100593B1 (ko)
CN (1) CN114423319A (ko)
WO (1) WO202104540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403A1 (ko) * 2019-09-06 2021-03-11 박광현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
KR102232995B1 (ko) 2020-12-02 2021-03-26 송상민 소파용 팔걸이의 회전 장치
KR102301233B1 (ko) 2021-07-23 2021-09-09 김광근 소파용 팔걸이 회전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552Y1 (ko) 2003-07-25 2003-10-10 주식회사 리바트 기능성 소파
KR20070001926A (ko) * 2006-07-19 2007-01-04 데 세데 아게 소파베드
KR20110034071A (ko) * 2009-09-28 2011-04-05 (주)에몬스가구 이동식 팔걸이 및 이를 구비한 소파
KR101486004B1 (ko) * 2014-07-14 2015-01-26 주식회사 미래바이텍 안마기 내장 의자
CN107348731A (zh) * 2017-08-17 2017-11-17 浙江安吉忠鑫家具有限公司 一种可调排椅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799U (ko) * 2009-06-17 2010-12-27 김태선 스툴을 이용한 길이 연장형 소파
DE202011001463U1 (de) * 2011-01-13 2011-04-14 Steinhoff Germany Gmbh Sitzmöbel mit einer Armlehnenanordnung
CN205728848U (zh) * 2015-12-31 2016-11-30 北京天宇绿洲家具有限公司 沙发床
TWM557063U (zh) * 2017-12-13 2018-03-21 Hou ming chang 可兼具腳靠墊使用之沙發扶手結構
KR102100593B1 (ko) * 2019-09-06 2020-05-15 박광현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552Y1 (ko) 2003-07-25 2003-10-10 주식회사 리바트 기능성 소파
KR20070001926A (ko) * 2006-07-19 2007-01-04 데 세데 아게 소파베드
KR20110034071A (ko) * 2009-09-28 2011-04-05 (주)에몬스가구 이동식 팔걸이 및 이를 구비한 소파
KR101486004B1 (ko) * 2014-07-14 2015-01-26 주식회사 미래바이텍 안마기 내장 의자
CN107348731A (zh) * 2017-08-17 2017-11-17 浙江安吉忠鑫家具有限公司 一种可调排椅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403A1 (ko) * 2019-09-06 2021-03-11 박광현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
KR102232995B1 (ko) 2020-12-02 2021-03-26 송상민 소파용 팔걸이의 회전 장치
KR102301233B1 (ko) 2021-07-23 2021-09-09 김광근 소파용 팔걸이 회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5403A1 (ko) 2021-03-11
CN114423319A (zh)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593B1 (ko) 이동식 팔걸이를 구비한 소파
US3567280A (en) Recliner chair or similar article of furniture
US8622477B2 (en) Adjustable armrest for a seating unit
US7794016B1 (en) Nestable and stackable chair
CA2740680C (en) Reclining chair with resilient members
US8997274B2 (en) Adjustable furniture apparatus
KR101732755B1 (ko) 좌석 조립체
US20090146468A1 (en) Reclining Lounge Chair
JP2927712B2 (ja) 講義室用椅子
US20160331139A1 (en) Seating device having a height adjustment mechanism
WO2023061066A1 (zh) 一种座椅
KR200432394Y1 (ko) 절첩식 예배용 장의자
KR101009491B1 (ko) 틸팅거리 조절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US11160377B2 (en) Synchronous chair mechanism and chair having same
US20220378208A1 (en) Tilt chair
KR20120003573U (ko) 다기능 낚시의자
JP6777281B2 (ja) 椅子
JP2012527945A (ja) 背もたれ角度調整可能な椅子
KR100946664B1 (ko) 등받이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의자
KR101187011B1 (ko) 다기능 낚시의자
KR102249641B1 (ko) 스툴 이동식 소파
JP7400298B2 (ja) ソファ
KR102332557B1 (ko) 예배용 장의자
US11051621B2 (en) Actuator and backrest device, and piece of seating furniture having one such
CN220734895U (zh) 一种椅子及其靠件升降调节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