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505B1 - 구인 구직 관리 시스템 및 구인 구직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구인 구직 관리 시스템 및 구인 구직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505B1
KR102100505B1 KR1020180059585A KR20180059585A KR102100505B1 KR 102100505 B1 KR102100505 B1 KR 102100505B1 KR 1020180059585 A KR1020180059585 A KR 1020180059585A KR 20180059585 A KR20180059585 A KR 20180059585A KR 102100505 B1 KR102100505 B1 KR 102100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information
seekers
off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4218A (ko
Inventor
박민엽
Original Assignee
박민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엽 filed Critical 박민엽
Priority to KR1020180059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505B1/ko
Publication of KR20190134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인글에 대한 정보를 구인 업체로부터 입력받아 등록하고 관리하도록 형성된 구인 정보 제어부, 상기 구인 정보 제어부를 통해 취급된 구인글을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된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 상기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구인글에 대하여 구직자가 지원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직 지원 제어부, 상기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한 하나 이상의 구직자들에 대하여 선택을 하도록 형성된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부 및 상기 구인글에 대한 상기 구인 업체의 유지 또는 취소 여부 및 상기 구인 업체가 선택한 상기 일 구직자의 유지 또는 취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최종 판단 결정부를 포함하는 구인 구직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구인 구직 관리 시스템 및 구인 구직 관리 방법{Managing system for job offer-job search and method for managing for job offer-job search}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인 구직 시스템 및 구인 구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자들은 다양한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텍스트 또는 그래픽 형태로 취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들은 단말기의 화면을 통하여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는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근래에는 사용자들은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통하여 종전보다 증가된 많은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있다.
예를들면 이러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인을 위한 업체들 및 구직을 위한 구직자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기술 발전으로 인하여 다양한 종류의 업무가 발생하고, 이러한 업무를 제공하는 업체는 다양한 인력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하고 복잡한 업무에 대응하는 구인 업체와 구직자들간의 효율적인 연결을 진행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채용공고를 검색하고 구직자가 지원하는 온라인 구인 구직 방법등의 내용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2433호등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인 업체 및 구직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구인 업체 및 구직자 간의 연결의 효율성을 향상하는 구인 구직 시스템 및 구인 구직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인글에 대한 정보를 구인 업체로부터 입력받아 등록하고 관리하도록 형성된 구인 정보 제어부, 상기 구인 정보 제어부를 통해 취급된 구인글을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된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 상기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구인글에 대하여 구직자가 지원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직 지원 제어부, 상기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한 하나 이상의 구직자들에 대하여 선택을 하도록 형성된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부 및 상기 구인글에 대한 상기 구인 업체의 유지 또는 취소 여부 및 상기 구인 업체가 선택한 상기 일 구직자의 유지 또는 취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최종 판단 결정부를 포함하는 구인 구직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구인글에 대한 각각의 실시간의 변동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최종 판단 결정부에서 상기 구인 업체 또는 구직자의 취소 동작을 인식한 경우 상기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구인글의 실시간 변동 상태를 변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최종 판단 결정부에서 상기 구인 업체 또는 구직자의 취소 동작을 인식한 경우 상기 구인 업체 또는 상기 구직자에 대한 이용 조건을 축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구인 업체용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구직자용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구인글에 대한 정보를 구인 업체로부터 입력받아 등록하고 관리하도록 수행하는 구인 정보 제어 단계, 상기 구인 정보 제어 단계를 통해 취급된 구인글을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수행하는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 상기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구인글에 대하여 구직자가 지원할 수 있도록 수행하는 구직 지원 제어 단계, 상기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한 하나 이상의 구직자들에 대하여 선택을 하도록 수행하는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 단계 및 상기 구인글에 대한 상기 구인 업체의 유지 또는 취소 여부 및 상기 구인 업체가 선택한 상기 일 구직자의 유지 또는 취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최종 판단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구인 구직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상기 구인글에 대한 각각의 실시간의 변동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최종 판단 결정 단계에서 상기 구인 업체 또는 구직자의 취소 동작을 인식한 경우 상기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를 통하여 상기 구인글의 실시간 변동 상태를 변화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최종 판단 결정 단계에서 상기 구인 업체 또는 구직자의 취소 동작을 인식한 경우 상기 구인 업체 또는 상기 구직자에 대한 이용 조건을 축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상기 구인 업체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구직자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구인 구직 관리 시스템 및 구인 구직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편의성,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하면서 용이하게 구매를 유도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인 구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구인 구직 시스템의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구인 구직 시스템의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구인 구직 시스템의 구직 지원 제어부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구직자 선택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일 구성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구인 구직 시스템이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인 구직 시스템과 사용자의 네트워크 연결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인 구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구인 구직 방법의 순서도 중 단계(S30)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구인 구직 방법의 순서도 중 단계(S30)의 선택적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2의 구인 구직 방법의 순서도 중 단계(S40)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2의 구인 구직 방법의 순서도 중 단계(S50)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2의 구인 구직 방법이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인 구직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0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인 구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인 구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인 구직 시스템(100)은 구인 정보 제어부(110),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130), 구직 지원 제어부(140),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부(150) 및 최종 판단 결정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인 구직 시스템(100)은 복수의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인을 위한 복수의 업체들이 이용할 수 있고, 또한 구직을 위한 복수의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인 구직 시스템(100)은 예를들면 구인을 하려는 구인 업체가 구인글을 올리고 이러한 구인글에 대하여 구직자들이 용이하게 지원을 할 수 있게 하고, 구인 업체들은 이러한 지원한 구직자들 중 원하는 구직자를 선택하도록 하여 구인 업체와 구직자간의 원활한 매칭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인 구직 시스템(100)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구인 정보 제어부(110)는 구인을 하는 구인 업체들이 구인글을 올릴 경우 이러한 구인글을 취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인 정보 제어부(110)는 구인 업체들이 하나 이상의 구인글을 입력 후 올릴 수 있도록 구인 정보 입력세트를 제공할 수 있고, 예를들면 구인 업체들의 단말기의 화면에 구인 정보 입력세트를 디스플레이하고, 구인 업체들이 입력할 경우 이러한 입력 정보를 인식한 후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인 정보 제어부(110)가 제공하는 구인 정보 입력 세트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업무 종류, 출근 날짜, 출근 시간, 근무 시간, 공사 지속 일자, 필요 인원, 근무지, 기타 필요 장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각 구인 업체들은 필요한 각각의 구인글을 각 항목별로 세분화하여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130)는 상기 구인 정보 제어부(110)를 통하여 취급된 구인글을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1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구인 업체들의 하나 이상의 구인글은 사용자, 예를들면 구직자들 각각의 단말기의 화면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구인 업체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구인글을 확인할 수 있다.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130)는 복수의 구인글이 있는 경우 일정한 조건으로 정렬할 수 있고, 예를들면 구인글 등록 시점을 기준으로 최신순으로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130)는 각 구인글에 대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130)는 실시간으로 구직자의 지원여부, 구인 업체의 확정 여부, 모집 기간 도래 등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상태 표시로서, 모집중, 모집 완료, 만료, 취소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직 지원 제어부(140)는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구인글에 대하여 구직자가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정보를 취급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직자들은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구인글 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지원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직자들은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구인글 각각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서 확인하면서 각 구인글의 상세 정보 페이지의 일 영역, 예를들면 하단에 선택 입력 영역(예를들면 지원 버튼)을 이용하여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직 지원 제어부(140)는 구직자가 복수의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할 경우, 필요에 따라 지원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직자가 이미 지원한 구인글의 출근 날짜 또는 공사 지속 일자와 중복되는 다른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경우 구직 지원 제어부(140)는 이러한 구직자의 지원을 제한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직 지원 제어부(140)는 지원 불가 메시지를 구직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구직 지원 제어부(140)는 지원 불가의 원인이 되는 구인글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해당 구인글의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부(150)는 구직 지원 제어부를 통하여 취급된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한 하나 이상의 구직자들에 대한 선택 판단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구인글을 입력하여 구인글을 올린 구인 업체에 대하여, 상기 구직 지원 제어부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구직자가 지원을 실행한 경우 상기 구인글을 올린 구인 업체는 상기 구인글에 대하여 지원을 한 하나 이상의 구직자에 대하여 선택 확정을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구인글에 대하여 구직자가 지원을 실행한 경우 상기 구인 업체에게 푸쉬 등의 형태로 고지를 할 수 있는 고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부(150)는 상기 구인 업체가 올린 구인글에 대한 지원자가 있는 경우 상기 구인글의 관련 영역으로서 지원자 정보 영역을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부(150)는 이러한 지원자 정보 영역에 지원자 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부(150)는 구직자의 세부 정보를 구인 업체가 확인할 수 있도록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이러한 세부 정보 디스플레이와 동시에 구인 업체가 상기 세부 정보에 대응하는 구직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 입력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구인 업체의 구인글에 대한 복수의 지원자가 있을 경우에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부(150)를 통하여 구인 업체가 하나의 지원자를 선택한 경우, 다른 지원자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구인 업체가 확인할 수 없도록 감춤 처리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그림자 처리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구인 업체에 대한 불필요한 구직자 개인 정보 공개를 감소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인 업체의 선택 후 구인 업체 또는 해당 구직자의 취소 처리가 있을 경우에는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부(150)를 통하여 전체 지원자들에 대한 정보를 다시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추가적인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 때 구직자가 취소한 경우에는 취소한 구직자만 제외하고 모든 구직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최종 판단 결정부(170)는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부(150)를 통하여 구인 업체가 특정 구직자에 대한 선택을 완료한 후에 구인 업체나 상기 특정 구직자의 유지 또는 취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구인 업체가 구인글을 올리고 나서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한 구직자에 대한 선택을 한 후에도 상기 구인 업체는 취소 결정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취소 결정이 있으면 상기 구인글에 대한 상태 표시로서 취소 결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구인자들은 더 이상 지원을 할 수 없도록 지원 불가 액션을 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구인 업체가 구인글을 올리고 나서 구인글에 대한 지원이 존재하지 않거나 지원을 한 구직자에 대한 구인 업체의 선택이 있기 전에 상기 구인 업체는 취소 결정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취소 결정이 있으면 상기 구인글에 대한 상태 표시로서 취소 결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구인자들은 더 이상 지원을 할 수 없도록 지원 불가 액션을 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구인 업체가 구인글을 올리고 나서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한 구직자에 대한 구인 업체의 선택이 있기 전에 상기 구직자는 취소 결정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구직자의 취소 결정이 있으면 상기 구인글에 대한 상태 표시로서 계속 모집중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취소한 구직자에 대한 이용 조건을 차감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이용 기간을 축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구인 업체가 구인글을 올리고 나서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한 구직자에 대한 구인 업체의 선택이 있은 후에도 상기 구직자는 취소 결정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취소 결정이 있으면 상기 구인글에 대한 상태 표시로서 취소 결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구인자들은 더 이상 지원을 할 수 없도록 지원 불가 액션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취소한 구직자에 대한 이용 조건을 차감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이용 기간을 축소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구인 구직 시스템의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130')는 상태 변화 디스플레이부(132') 및 시간 판단 제어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130')가 상태 변화 디스플레이부(132') 및 시간 판단 제어부(134')를 포함하나 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태 변화 디스플레이부(132')는 하나 이상의 구인 업체들이 올린 하나 이상의 구인글에 대하여 모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태 변화 디스플레이부(132')는 실시간으로 구인글에 대하여 모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태 변화 디스플레이부(132')는 실시간으로 구직자의 지원여부, 구인 업체의 확정 여부, 모집 기간 도래 등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상태 표시로서, 모집중, 모집 완료, 만료, 취소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태 변화 디스플레이부(132')는 구인글에 대한 지원한 구직자가 존재하지 않거나, 지원자에 대한 구인 업체의 선택이 아직 진행되지 않은 경우에 "모집중" 정보를 해당 구인글에 표시할 수 있고, 예를들면 구인글의 요약 정보에 인접하도록 단말기의 화면에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태 변화 디스플레이부(132')는 구인글에 대한 지원한 구직자가 존재하고 이러한 지원한 구직자에 대한 구인 업체의 선택이 진행된 경우에 "모집 완료" 정보를 해당 구인글에 표시할 수 있고, 예를들면 구인글의 요약 정보에 인접하도록 단말기의 화면에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태 변화 디스플레이부(132')는 구인글에 대한 지원한 구직자가 존재하고 이러한 지원한 구직자에 대한 구인 업체의 선택이 진행되고 나서 상기 구직자가 취소하거나, 구직자의 지원과 상관없이 구인 업체의 취소 입력이 있는 경우에 "취소" 정보를 해당 구인글에 표시할 수 있고, 예를들면 구인글의 요약 정보에 인접하도록 단말기의 화면에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시간 판단 제어부(134')는 실시간으로 현재의 시각과 구인글에 올려진 구인 관련 시간 정보, 예를들면 출근일자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를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현재 시각이 구인 관련 시간 정보, 예를들면 출근일자 정보와 동일하거나 이를 도과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시간 판단 제어부(134')에서 판단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태 변화 디스플레이부(132')는 구인글에 대한 지원한 구직자가 존재하지 않거나 지원한 구직자에 대한 구인 업체의 선택이 없는 경우, 즉 상기 "모집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 실시간으로 현재 시각이 구인 관련 시간 정보, 예를들면 출근일자 정보와 동일하거나 이를 도과한 경우에 "만료" 정보를 해당 구인글에 표시할 수 있고, 예를들면 구인글의 요약 정보에 인접하도록 단말기의 화면에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구인글에 대한 구직자의 지원 동작이 불가하도록 불가 액션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만료"후에는 상기 구인글에 대한 지원자가 존재한 경우에 구인 업체가 확인할 수 없도록 지원한 구직자에 대한 감춤 처리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그림자 처리 할 수도 있다. 또한 지원 정보 삭제 처리도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구인 업체에 대한 불필요한 구직자 개인 정보 공개를 감소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구인 구직 시스템의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130")는 구인 업체용 디스플레이부(133") 및 구직자용 디스플레이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130")는 구인 업체용 디스플레이부(133") 및 구직자용 디스플레이부(135") 중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인 업체용 디스플레이부(133")는 하나 이상의 구인 업체가 구인글을 올린 경우에 각 구인 업체가 올린 구인글에 대한 실시간 동적 상태, 예를들면 상기 "모집중", "모집 완료", "만료" 및 "취소"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이는 상기 구인 업체만 확인할 수 있도록 로그인 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직자용 디스플레이부(135")는 하나 이상의 구인 업체가 구인글을 올린 경우에 각 구인 업체가 올린 구인글에 대하여 일 구직자가 하나 이상의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한 경우에 지원을 한 각 구인글에 대한 실시간 동적 상태, 예를들면 상기 "모집중", "모집 완료", "만료" 및 "취소"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이는 상기 구직자만 확인할 수 있도록 로그인 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구직자들은 복수의 구인 업체들이 올린 구인글을 확인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자기가 지원한 구인글만 모아서 확인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구인 구직 시스템의 구직 지원 제어부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구직 지원 제어부(140')는 선택 제어부(142'), 선택 정보 조사부(144') 및 시간 정보 조사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직 지원 제어부(140')는 선택 제어부(142'), 선택 정보 조사부(144') 및 시간 정보 조사부(146')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 제어부(142')는 하나 이상의 구인글에 대하여 구직자가 선택하여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들면 각 구인글에 대하여 지원 선택 입력부(구체적인 예로서 지원 버튼)를 이용하여 구직자의 입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선택 제어부(142')는 일 구인글에 대한 복수의 구직자가 선택 지원을 할 경우 이러한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구인글을 올린 구인 업체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일 구직자가 복수의 구인글에 대한 지원 선택을 할 경우 이를 가능케 하고 이러한 지원 정보를 구직자가 확인하도록 정렬할 수 있다.
선택 정보 조사부(144')는 일 구인글에 대한 복수의 구직자가 선택 지원을 한 경우 이러한 복수의 지원한 구직자의 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구직자의 정보 중 구인글에 대응되지 않는 정보, 예를들면 출근 일자가 구직자가 올린 자기의 근무 가능 일자와 부합하지 않는 경우 복수의 구직자 중 선별하여 별도로 표시 또는 후순위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구직자에게 이러한 정보를 푸쉬로 고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선택 정보 조사부(144')는 일 구인글에 대한 복수의 구직자가 선택 지원을 한 경우 이러한 복수의 지원한 구직자의 정보를 조사하여, 개별적으로 지원한 복수의 구직자를 하나의 글에 매칭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인글이 복수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고, 작업 종류를 특정한 경우에 구직자 들 중 상기 특정 작업 종류에 매칭되는 구직자 정보를 취득하고, 복수의 구직자를 일 구인글에 매칭하여 구인 업체가 동시에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구인 업체가 구인글이 업무 종류로서 "용접", 필요 인원으로서 "4명"을 기재한 경우 제1 구직자가 "2명"의 일꾼을 보유하고 "용접 장비"를 보유함을 기재하고, 다른 제2 구직자가 "2명"의 일꾼을 보유하고 "용접 장비"를 기재한 경우, 선택 정보 조사부(144')는 이를 상기 일 구인글에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구인글을 올린 제1 구인 업체, 상기 제1 구직자 및 다른 제2 구직자에게 이러한 정보를 푸쉬하여 하나의 구인글에 복수의 구직자를 용이하게 매칭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구직자의 정보 중 구인글에 대응되지 않는 정보, 예를들면 출근 일자가 구직자가 올린 자기의 근무 가능 일자와 부합하지 않는 경우 복수의 구직자 중 선별하여 별도로 표시 또는 후순위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구직자에게 이러한 정보를 푸쉬로 고지할 수 있다.
시간 정보 조사부(146')는 일 구직자가 복수의 구인글에 대한 지원 선택을 할 경우 지원한 복수의 구인글의 출근 일자 및 근무 일자 등에 대한 근무 시간 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시간 정보 조사부(146')는 이러한 근무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구직자가 이미 지원한 구인글의 근무 시간 정보와 중첩되는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하려는 경우 중복 근무 불가 메시지를 고지할 수 있다. 또한, 선지원한 구인글의 근무 시간 정보와 중첩되는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원천적으로 불가하도록 지원 불능 액션 처리를 진행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불가 액션 처리를 진행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의 구직자 선택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일 구성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부(150')는 지원자 정보 취급부(152'), 지원 구직자 정보 디스플레이부(154'), 선택 제어부(156') 및 디스플레이 제한부(158')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부(150')는 구인글 정보 취급부(152'), 지원 구직자 정보 디스플레이부(154'), 선택 제어부(156') 및 디스플레이 제한부(158')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구인글 정보 취급부(152')는 각 구인글에 대하여 지원한 구직자들의 정보를 취급 및 저장할 수 있고, 이를 원하는 때 및 원하는 영역에 사용할 수 있다.
지원 구직자 정보 디스플레이부(154')는 각 구인글에 대응하는 구직자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보안을 위하여 해당 구인글을 올린 구인 업체만 해당 구인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구직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지원 구직자 정보 디스플레이부(154')는 일 구인글에 대한 복수의 구직자가 지원한 경우에 구직자 수 정보 영역, 즉 지원한 구직자가 몇 명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순차적으로 또는 병렬적으로 복수의 구직자 각각에 대한 세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 제어부(156')는 상기 구직자에 대하여 상기 구인글을 올린 구인 업체가 구직자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인글을 입력하여 구인글을 올린 구인 업체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구직자가 지원을 실행한 경우 상기 구인글을 올린 구인 업체는 상기 구인글에 대하여 지원을 한 하나 이상의 구직자에 대하여 선택 확정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한부(158')는 상기 구인 업체의 구인글에 대한 복수의 지원자가 있을 경우에 구인 업체가 제1 지원자를 선택한 경우, 복수의 지원자들 중 상기 제1 지원자를 제외한 다른 지원자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구인 업체가 확인할 수 없도록 디스플레이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들면 디스플레이 제한부(158')는 상기 복수의 지원자들 중 상기 제1 지원자를 제외한 다른 지원자들에 대한 정보는 감춤 처리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그림자 처리 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회색 영역으로 표시하여 다른 지원자의 존재 여부는 확인할 수 있으나 지원자의 세부 정보는 확인할 수 없도록 하여 취소 여부를 재고하고, 구직자 개인 정보 공개를 감소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일 구성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의 디스플레이 제한부(158")는 표시 불가 처리부(158a") 또는 변형 처리부(158b")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불가 처리부(158a")는 상기 복수의 지원자들 중 상기 제1 지원자를 제외한 다른 지원자들의 존재 유무를 전혀 알 수 없도록 해당 업체에게 다른 지원자와 관련된 정보를 전혀 디스플레이 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변형 처리부(158b")는 상기 복수의 지원자들 중 상기 제1 지원자를 제외한 다른 지원자들의 존재 유무는 알 수 있고, 지원자의 세부 정보는 확인할 수 없도록 표시하고, 예를들면 다른 지원자들의 목록을 표시할 때 각 세부 목록을 빈칸 또는 지움 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다른 지원자들의 항목을 모두 어두원 색 예를들면 회색 처리하여 정보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구인 구직 시스템이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인력 매칭부(180)를 도시하고 있다.
즉,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구인 구직 시스템(100)은 인력 매칭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력 매칭부(180)는 구인 세부 정보 조사부(182), 구직자 세부 정보 조사부(184) 및 매칭부(18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인 세부 정보 조사부(182)는 각 구인글의 세부 정보를 조사 시 구인 조건, 예를들면 출근 일자, 근무 일자, 업무 종료 또는 필요 장비를 조사할 수 있다.
구직자 세부 정보 조사부(184)는 각 구직자들이 미리 등록한 자기 정보, 예를들면 출근 가능 일자, 근무 가능 일자 또는 보유 장비를 조사할 수 있고, 구직자들이 팀을 갖고 있는 경우 팀의 보유 인력 현황을 조사할 수 있다.
매칭부(186)는 상기 구인 세부 정보 조사부(182)에서 조사한 내용과 구직자 세부 정보 조사부(184)에서 조사한 내용을 이용하여 각 구인글에 필요한 구직자를 매칭하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매칭 결과를 설정 조건에 따라 구인 업체 및 구직자에게 고지할 수 있고, 예를들면 푸시 형태로 알려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인 세부 정보 조사부(182)는 각 구인글의 정보 중 업무 종류를 파악하고, 구직자 세부 정보 조사부(184)는 각 구직자의 팀 보유 현황 및 장비 보유 현황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매칭부(186)는 종전 매칭 결과를 데이터로 갖고 있고,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구인글의 정보 중 업무 종류에 필요한 장비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구직자를 매칭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매칭부(186)는 종전에 제1 업무 종류를 수행한 구직자의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제1 업무 종류를 수행한 종전 구직자들의 제1 장비 보유 정보를 저장 및 이용하여, 현재 구인글에 포함된 제1 업무 종류를 수행할 수 있는 제1 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구직자를 매칭할 수 있다.
또한, 매칭부(186)는 종전 매칭 결과를 데이터로 갖고 있고,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구인글의 정보 중 업무 종류에 필요한 업무 인원수 정보를 획득하고 구직자 각각의 팀 보유 현황 등을 확인하여 일 구직자 또는 복수의 구직자를 조인트 방식으로 매칭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매칭부는 종전 매칭 결과를 데이터로 갖고 있고,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구인글의 정보 중 업무 종류에 필요한 업무 인원수 정보 및 필요 장비 정보를 획득하고 구직자 각각의 팀 보유 현황 등을 확인하여 일 구직자 또는 복수의 구직자를 조인트 방식으로 매칭할 수도 있다.
즉, 해당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1 장비 보유 필요 및 5인의 작업 인력 필요"의 정보를 종전 매칭 결과의 데이터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고, 현재의 구직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장비를 보유하고 있고 2명의 팀을 보유한 제1 구직자 및 상기 제1 장비를 보유하고 3명의 팀을 보유한 제2 구직자를 조인트 할 수 있도록 제1 구직자 및 제2 구직자에게 이러한 매칭 결과를 푸쉬 형태로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를 해당 구인 업체에도 푸쉬 형태로 알려주어 제1 구직자 및 제2 구직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용 제한 제어부(190)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구인 구직 시스템(100)은 이용 제한 제어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용 제한 제어부(190)는 구인 업체 이용 제한 제어부(192), 구직자 이용 제한 제어부(194) 및 이용 가능 부여부(198)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용 제한 제어부(190)는 구인 업체 이용 제한 제어부(192), 구직자 이용 제한 제어부(194) 및 이용 가능 부여부(198)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구인 업체 이용 제한 제어부(192)는 구인 업체들 각각이 본 실시예의 구인 구직 시스템(100)의 이용을 제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인 업체 이용 제한 제어부(192)는 일정 기간 동안 이용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회원 가입 또는 일회권 구매 시 일정 기간, 구체적으로 90일 동안 이용하는 이용권을 부여할 수 있다.
구인 업체 이용 제한 제어부(192)는 실시간으로 현재 시간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이용권에 기초한 기간 도과를 조사하여 기간 도과 여부를 구인 업체에 알려줄 수 있고, 기간 도과 시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인 업체 이용 제한 제어부(192)는 최초 이용 가능 시간을 축소 또는 연장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인 업체가 지원자를 선택, 예를들면 상술한 "모집 완료"를 한 후에 취소 선택을 한 경우 신뢰성 하락 원인으로 이용 기간을 축소할 수 있다.
구직자 이용 제한 제어부(194)는 구직자들 각각이 본 실시예의 구인 구직 시스템(100)의 이용을 제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직자 이용 제한 제어부(194)는 일정 기간 동안 이용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회원 가입 또는 일회권 구매 시 일정 기간, 구체적으로 90일 동안 이용하는 이용권을 부여할 수 있다.
구직자 이용 제한 제어부(194)는 실시간으로 현재 시간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이용권에 기초한 기간 도과를 조사하여 기간 도과 여부를 구인 업체에 알려줄 수 있고, 기간 도과 시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직자 이용 제한 제어부(194)는 최초 이용 가능 시간을 축소 또는 연장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인 업체가 지원자를 선택, 예를들면 상술한 "모집 완료"를 한 후에 구직자가 취소 선택을 한 경우 신뢰성 하락 원인으로 이용 기간을 축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인 업체 및 구직자의 신뢰성 있는 구인 및 구직 활동 확보 가능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다.
이용 가능 부여부(198)는 구인 업체 및 구직자에게 이용 가능 기간 또는 조건을 증가하게 하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일정 금액을 주고 이용권을 구매한 구인 업체 또는 구직자에게 최초 이용 가능 기간에서 일정 기간을 연장하여 줄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용 가능 부여부(198)는 구인 업체 또는 구직자의 신뢰성 활동에 대하여 일정 점수를 주고 이에 대하여 구인 업체 또는 구직자에게 최초 이용 가능 기간에서 일정 기간을 연장하여 줄 수 있다.
예를들면 이용 가능 부여부(198)는 일정 기간 동안 구인 업체가 취소 선택을 하지 않고 신뢰성을 일정 기간 유지한 경우 취소 선택 여부 및 취소 미선택 유지 기간을 파악하여 이러한 이용 가능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예를들면 이용 가능 부여부(198)는 일정 기간 동안 구직자가 취소 선택을 하지 않고 신뢰성을 일정 기간 유지한 경우 취소 선택 여부 및 취소 미선택 유지 기간을 파악하여 이러한 이용 가능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인 구직 시스템과 사용자의 네트워크 연결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실시예의 구인 구직 시스템(100)은 다양한 형태로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구인 구직 시스템(100)은 네트워크에 의하여 복수의 사용자의 각각의 단말기(T1, T2, T3,…, Tn)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술한 구인 구직 시스템(100) 또는 그 변형예의 구성은 사용자의 단말기와 구별되고 사용자의 단말기와 분리된 채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구인 업체 또는 구직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구인 구직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단말기(T1)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내에 본 실시예의 구인 구직 시스템(100)이 포함되도록 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들 각각이 단말기내에 구인 구직 시스템(100)을 설치하여 단말기내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구인 구직 시스템(100)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구인 업체 또는 구직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구인 구직 시스템(100)의 일부분(100A)은 사용자의 단말기(T1)내에 포함되고, 다른 일부분(100B)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T1)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구인 업체 또는 구직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부 제어부의 적어도 일부 또는 구인 정보 제어부의 일부의 구성이 사용자의 단말기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구인 구직 시스템(100)의 다른 부재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사용자의 단말기 내에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포함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들 각각이 단말기내에 구인 구직 시스템(100)을 설치하여 단말기내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구인 구직 시스템(100)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인 구직 시스템은 구인 정보 제어부를 통하여 구인 업체들이 다양한 구인글을 올리도록 하고 이러한 구인글 정보를 체계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인글이 구인 정보 입력 세트를 통하여 입력되도록 하여 각 항목별로 세분화하여 카테고리화할 수 있다.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이러한 구인글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이러한 구인글 각각에 대하여 구직자는 용이하게 지원을 하고, 이러한 지원자에 대하여 해당 구인 업체는 선택을 통하여 모집 완료를 진행할 수 있다.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실시간으로 각 구인글에 대한 상태, 예를들면 모집중인지 또는 모집 완료인지 등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직자들이 복수의 구인글에 대한 지원이 가능하게 하고, 자기가 선지원한 구인글의 정보를 분석하여 출근 일자등과 같은 근무 시간의 중복을 감지한 경우 후지원하는 구인글에 대한 지원 제한을 하게 하거나 이를 고지하여 구직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구인글을 올린 복수의 구인 업체들이 불필요하게 허수의 구직자를 확인하는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인 업체들은 해당 구인글에 대한 복수의 구직자의 지원이 있을 경우 이미 선택한 구직자가 있을 경우 다른 구직자에 대한 선택의 제한을 하여 구직자들의 불필요한 수고를 경감하고 구인 업체에 대한 구직자들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이미 선택한 구직자가 있을 경우 다른 구직자에 대한 확인을 제한하도록 구직자들에 대한 불필요한 정보 공개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구직자 및 구인 업체들은 각각 취소를 가능하도록 하여 자유로운 선택의 최종 결정을 진행하도록 하고, 대신에 이러한 취소 시 발생하는 신뢰도 및 시간적 소비 문제를 해결하도록 이용 조건, 예를들면 이용 가능 기간을 설정 조건에 따라 자동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인 구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인 구직 방법은 구인 정보 제어 단계(S10),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0), 구직 지원 제어 단계(S40),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 단계(S50) 및 최종 판단 결정 단계(S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인 구직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인을 위한 복수의 업체들이 이용할 수 있고, 또한 구직을 위한 복수의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인 구직 방법은 예를들면 구인을 하려는 구인 업체가 구인글을 올리고 이러한 구인글에 대하여 구직자들이 용이하게 지원을 할 수 있게 하고, 구인 업체들은 이러한 지원한 구직자들 중 원하는 구직자를 선택하도록 하여 구인 업체와 구직자간의 원활한 매칭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인 구직 방법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구인 정보 제어 단계(S10)는 구인을 하는 구인 업체들이 구인글을 올릴 경우 이러한 구인글을 취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인 정보 제어 단계(S10)는 구인 업체들이 하나 이상의 구인글을 입력 후 올릴 수 있도록 구인 정보 입력세트를 제공할 수 있고, 예를들면 구인 업체들의 단말기의 화면에 구인 정보 입력세트를 디스플레이하고, 구인 업체들이 입력할 경우 이러한 입력 정보를 인식한 후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인 정보 제어 단계(S10)에서 제공하는 구인 정보 입력 세트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업무 종류, 출근 날짜, 출근 시간, 근무 시간, 공사 지속 일자, 필요 인원, 근무지, 기타 필요 장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각 구인 업체들은 필요한 각각의 구인글을 각 항목별로 세분화하여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0)는 상기 구인 정보 제어 단계(S10)를 통하여 취급된 구인글을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구인 업체들의 하나 이상의 구인글은 사용자, 예를들면 구직자들 각각의 단말기의 화면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구인 업체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구인글을 확인할 수 있다.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0)는 복수의 구인글이 있는 경우 일정한 조건으로 정렬할 수 있고, 예를들면 구인글 등록 시점을 기준으로 최신순으로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0)는 각 구인글에 대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0)는 실시간으로 구직자의 지원여부, 구인 업체의 확정 여부, 모집 기간 도래 등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상태 표시로서, 모집중, 모집 완료, 만료, 취소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직 지원 제어 단계(S40)는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구인글에 대하여 구직자가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정보를 취급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직자들은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구인글 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지원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직자들은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구인글 각각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서 확인하면서 각 구인글의 상세 정보 페이지의 일 영역, 예를들면 하단에 선택 입력 영역(예를들면 지원 버튼)을 이용하여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직 지원 제어 단계(S40)는 구직자가 복수의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할 경우, 필요에 따라 지원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직자가 이미 지원한 구인글의 출근 날짜 또는 공사 지속 일자와 중복되는 다른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경우 구직 지원 제어 단계(S40)에서 이러한 구직자의 지원을 제한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직 지원 제어 단계(S40)는 지원 불가 메시지를 구직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구직 지원 제어 단계(S40)는 지원 불가의 원인이 되는 구인글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해당 구인글의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 단계(S50)는 구직 지원 제어 단계를 통하여 취급된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한 하나 이상의 구직자들에 대한 선택 판단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구인글을 입력하여 구인글을 올린 구인 업체에 대하여, 상기 구직 지원 제어 단계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구직자가 지원을 실행한 경우 상기 구인글을 올린 구인 업체는 상기 구인글에 대하여 지원을 한 하나 이상의 구직자에 대하여 선택 확정을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구인글에 대하여 구직자가 지원을 실행한 경우 상기 구인 업체에게 푸쉬 등의 형태로 고지를 할 수 있는 고지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 단계(S50)는 상기 구인 업체가 올린 구인글에 대한 지원자가 있는 경우 상기 구인글의 관련 영역으로서 지원자 정보 영역을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 단계(S50)는 이러한 지원자 정보 영역에 지원자 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 단계(S50)는 구직자의 세부 정보를 구인 업체가 확인할 수 있도록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이러한 세부 정보 디스플레이와 동시에 구인 업체가 상기 세부 정보에 대응하는 구직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 입력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구인 업체의 구인글에 대한 복수의 지원자가 있을 경우에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 단계(S50)를 통하여 구인 업체가 하나의 지원자를 선택한 경우, 다른 지원자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구인 업체가 확인할 수 없도록 감춤 처리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그림자 처리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구인 업체에 대한 불필요한 구직자 개인 정보 공개를 감소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인 업체의 선택 후 구인 업체 또는 해당 구직자의 취소 처리가 있을 경우에는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 단계(S50)를 통하여 전체 지원자들에 대한 정보를 다시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추가적인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 때 구직자가 취소한 경우에는 취소한 구직자만 제외하고 모든 구직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최종 판단 결정 단계(S70)는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 단계(S50)를 통하여 구인 업체가 특정 구직자에 대한 선택을 완료한 후에 구인 업체나 상기 특정 구직자의 유지 또는 취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구인 업체가 구인글을 올리고 나서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한 구직자에 대한 선택을 한 후에도 상기 구인 업체는 취소 결정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취소 결정이 있으면 상기 구인글에 대한 상태 표시로서 취소 결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구인자들은 더 이상 지원을 할 수 없도록 지원 불가 액션을 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구인 업체가 구인글을 올리고 나서 구인글에 대한 지원이 존재하지 않거나 지원을 한 구직자에 대한 구인 업체의 선택이 있기 전에 상기 구인 업체는 취소 결정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취소 결정이 있으면 상기 구인글에 대한 상태 표시로서 취소 결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구인자들은 더 이상 지원을 할 수 없도록 지원 불가 액션을 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구인 업체가 구인글을 올리고 나서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한 구직자에 대한 구인 업체의 선택이 있기 전에 상기 구직자는 취소 결정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구직자의 취소 결정이 있으면 상기 구인글에 대한 상태 표시로서 계속 모집중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취소를 진행한 구직자에 대한 이용 조건을 차감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이용 기간을 축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구인 업체가 구인글을 올리고 나서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한 구직자에 대한 구인 업체의 선택이 있은 후에도 상기 구직자는 취소 결정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취소 결정이 있으면 상기 구인글에 대한 상태 표시로서 취소 결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구인자들은 더 이상 지원을 할 수 없도록 지원 불가 액션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취소한 구직자에 대한 이용 조건을 차감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이용 기간을 축소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구인 구직 방법의 순서도 중 단계(S30)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0')는 상태 변화 디스플레이 단계(S32') 및 시간 판단 제어 단계(S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는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0')가 상태 변화 디스플레이 단계(S32') 및 시간 판단 제어 단계(S34')를 포함하나 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동적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S32')는 하나 이상의 구인 업체들이 올린 하나 이상의 구인글에 대하여 모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동적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S32')는 실시간으로 구인글에 대하여 모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동적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S32')는 실시간으로 구직자의 지원여부, 구인 업체의 확정 여부, 모집 기간 도래 등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상태 표시로서, 모집중, 모집 완료, 만료, 취소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적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S32')는 구인글에 대한 지원한 구직자가 존재하지 않거나, 지원자에 대한 구인 업체의 선택이 아직 진행되지 않은 경우에 "모집중" 정보를 해당 구인글에 표시할 수 있고, 예를들면 구인글의 요약 정보에 인접하도록 단말기의 화면에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동적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S32')는 구인글에 대한 지원한 구직자가 존재하고 이러한 지원한 구직자에 대한 구인 업체의 선택이 진행된 경우에 "모집 완료" 정보를 해당 구인글에 표시할 수 있고, 예를들면 구인글의 요약 정보에 인접하도록 단말기의 화면에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동적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S32')는 구인글에 대한 지원한 구직자가 존재하고 이러한 지원한 구직자에 대한 구인 업체의 선택이 진행되고 나서 상기 구직자가 취소하거나, 구직자의 지원과 상관없이 구인 업체의 취소 입력이 있는 경우에 "취소" 정보를 해당 구인글에 표시할 수 있고, 예를들면 구인글의 요약 정보에 인접하도록 단말기의 화면에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시간 판단 제어 단계(S34')는 실시간으로 현재의 시각과 구인글에 올려진 구인 관련 시간 정보, 예를들면 출근일자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를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현재 시각이 구인 관련 시간 정보, 예를들면 출근일자 정보와 동일하거나 이를 도과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시간 판단 제어 단계(S34')에서 판단한 정보를 이용하여 동적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S32')는 구인글에 대한 지원한 구직자가 존재하지 않거나 지원한 구직자에 대한 구인 업체의 선택이 없는 경우, 즉 상기 "모집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 실시간으로 현재 시각이 구인 관련 시간 정보, 예를들면 출근일자 정보와 동일하거나 이를 도과한 경우에 "만료" 정보를 해당 구인글에 표시할 수 있고, 예를들면 구인글의 요약 정보에 인접하도록 단말기의 화면에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구인글에 대한 구직자의 지원 동작이 불가하도록 불가 액션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만료"후에는 상기 구인글에 대한 지원자가 존재한 경우에 구인 업체가 확인할 수 없도록 지원한 구직자에 대한 감춤 처리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그림자 처리 할 수도 있다. 또한 지원 정보 삭제 처리도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구인 업체에 대한 불필요한 구직자 개인 정보 공개를 감소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2의 구인 구직 방법의 순서도 중 단계(S30)의 선택적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0")는 구인 업체용 디스플레이 단계(S33") 및 구직자용 디스플레이 단계(S35")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0")는 구인 업체용 디스플레이 단계(S33") 및 구직자용 디스플레이 단계(S35") 중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인 업체용 디스플레이 단계(S33")는 하나 이상의 구인 업체가 구인글을 올린 경우에 각 구인 업체가 올린 구인글에 대한 실시간 동적 상태, 예를들면 상기 "모집중", "모집 완료", "만료" 및 "취소"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이는 상기 구인 업체만 확인할 수 있도록 로그인 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직자용 디스플레이 단계(S35")는 하나 이상의 구인 업체가 구인글을 올린 경우에 각 구인 업체가 올린 구인글에 대하여 일 구직자가 하나 이상의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한 경우에 지원을 한 각 구인글에 대한 실시간 동적 상태, 예를들면 상기 "모집중", "모집 완료", "만료" 및 "취소"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이는 상기 구직자만 확인할 수 있도록 로그인 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구직자들은 복수의 구인 업체들이 올린 구인글을 확인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자기가 지원한 구인글만 모아서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구인 업체는 복수의 구인 업체들이 올린 구인글을 확인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자기가 올린 구인글만 모아서 확인할 수도 있다.
도 15는 도 12의 구인 구직 방법의 순서도 중 단계(S40)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구직 지원 제어 단계(S40')는 선택 제어 단계(S42'), 선택 정보 조사 단계(S44') 및 시간 정보 조사 단계(S46')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직 지원 제어 단계(S40')는 선택 제어 단계(S42'), 선택 정보 조사 단계(S44') 및 시간 정보 조사 단계(S46')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 제어 단계(S42')는 하나 이상의 구인글에 대하여 구직자가 선택하여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들면 각 구인글에 대하여 지원 선택 입력부(구체적인 예로서 지원 버튼)를 이용하여 구직자의 입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선택 제어 단계(S42')는 일 구인글에 대한 복수의 구직자가 선택 지원을 할 경우 이러한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구인글을 올린 구인 업체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일 구직자가 복수의 구인글에 대한 지원 선택을 할 경우 이를 가능케 하고 이러한 지원 정보를 구직자가 확인하도록 정렬할 수 있다.
선택 정보 조사 단계(S44')는 일 구인글에 대한 복수의 구직자가 선택 지원을 한 경우 이러한 복수의 지원한 구직자의 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구직자의 정보 중 구인글에 대응되지 않는 정보, 예를들면 출근 일자가 구직자가 올린 자기의 근무 가능 일자와 부합하지 않는 경우 복수의 구직자 중 선별하여 별도로 표시 또는 후순위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구직자에게 이러한 정보를 푸쉬로 고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선택 정보 조사 단계(S44')는 일 구인글에 대한 복수의 구직자가 선택 지원을 한 경우 이러한 복수의 지원한 구직자의 정보를 조사하여, 개별적으로 지원한 복수의 구직자를 하나의 글에 매칭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인글이 복수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고, 작업 종류를 특정한 경우에 구직자 들 중 상기 특정 작업 종류에 매칭되는 구직자 정보를 취득하고, 복수의 구직자를 일 구인글에 매칭하여 구인 업체가 동시에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구인 업체가 구인글이 업무 종류로서 "용접", 필요 인원으로서 "4명"을 기재한 경우 제1 구직자가 "2명"의 일꾼을 보유하고 "용접 장비"를 보유함을 기재하고, 다른 제2 구직자가 "2명"의 일꾼을 보유하고 "용접 장비"를 기재한 경우, 선택 정보 조사 단계(S44')는 이를 상기 일 구인글에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구인글을 올린 제1 구인 업체, 상기 제1 구직자 및 다른 제2 구직자에게 이러한 정보를 푸쉬하여 하나의 구인글에 복수의 구직자를 용이하게 매칭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구직자의 정보 중 구인글에 대응되지 않는 정보, 예를들면 출근 일자가 구직자가 올린 자기의 근무 가능 일자와 부합하지 않는 경우 복수의 구직자 중 선별하여 별도로 표시 또는 후순위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구직자에게 이러한 정보를 푸쉬로 고지할 수 있다.
시간 정보 조사 단계(S46')는 일 구직자가 복수의 구인글에 대한 지원 선택을 할 경우 지원한 복수의 구인글의 출근 일자 및 근무 일자 등에 대한 근무 시간 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시간 정보 조사 단계(S46')는 이러한 근무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구직자가 이미 지원한 구인글의 근무 시간 정보와 중첩되는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하려는 경우 중복 근무 불가 메시지를 고지할 수 있다. 또한, 선지원한 구인글의 근무 시간 정보와 중첩되는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원천적으로 불가하도록 지원 불능 액션 처리를 진행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불가 액션 처리를 진행할 수도 있다.
도 16은 도 12의 구인 구직 방법의 순서도 중 단계(S50)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 단계(S50')는 지원자 정보 취급 단계(S52'), 지원 구직자 정보 디스플레이 단계(S54'), 선택 제어 단계(S56') 및 디스플레이 제한 단계(S58')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 단계(S50')는 구인글 정보 취급 단계(S52'), 지원 구직자 정보 디스플레이 단계(S54'), 선택 제어 단계(S56') 및 디스플레이 제한 단계(S58')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구인글 정보 취급 단계(S52')는 각 구인글에 대하여 지원한 구직자들의 정보를 취급 및 저장할 수 있고, 이를 원하는 때 및 원하는 영역에 사용할 수 있다.
지원 구직자 정보 디스플레이 단계(S54')는 각 구인글에 대응하는 구직자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보안을 위하여 해당 구인글을 올린 구인 업체만 해당 구인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구직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지원 구직자 정보 디스플레이 단계(S54')는 일 구인글에 대한 복수의 구직자가 지원한 경우에 구직자 수 정보 영역, 즉 지원한 구직자가 몇 명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순차적으로 또는 병렬적으로 복수의 구직자 각각에 대한 세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 제어 단계(S56')는 상기 구직자에 대하여 상기 구인글을 올린 구인 업체가 구직자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인글을 입력하여 구인글을 올린 구인 업체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구직자가 지원을 실행한 경우 상기 구인글을 올린 구인 업체는 상기 구인글에 대하여 지원을 한 하나 이상의 구직자에 대하여 선택 확정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한 단계(S58')는 상기 구인 업체의 구인글에 대한 복수의 지원자가 있을 경우에 구인 업체가 제1 지원자를 선택한 경우, 복수의 지원자들 중 상기 제1 지원자를 제외한 다른 지원자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구인 업체가 확인할 수 없도록 디스플레이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들면 디스플레이 제한 단계(S58')는 상기 복수의 지원자들 중 상기 제1 지원자를 제외한 다른 지원자들에 대한 정보는 감춤 처리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그림자 처리 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회색 영역으로 표시하여 다른 지원자의 존재 여부는 확인할 수 있으나 지원자의 세부 정보는 확인할 수 없도록 하여 취소 여부를 재고하고, 구직자 개인 정보 공개를 감소 또는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변형예로서 디스플레이 제한 단계(S58')는 표시 불가 처리 단계 또는 변형 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불가 처리 단계는 상기 복수의 지원자들 중 상기 제1 지원자를 제외한 다른 지원자들의 존재 유무를 전혀 알 수 없도록 해당 업체에게 다른 지원자와 관련된 정보를 전혀 디스플레이 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변형 처리 단계는 상기 복수의 지원자들 중 상기 제1 지원자를 제외한 다른 지원자들의 존재 유무는 알 수 있고, 지원자의 세부 정보는 확인할 수 없도록 표시하고, 예를들면 다른 지원자들의 목록을 표시할 때 각 세부 목록을 빈칸 또는 지움 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다른 지원자들의 항목을 모두 어두원 색 예를들면 회색 처리하여 정보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2의 구인 구직 방법이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인력 매칭 단계(S80)를 도시하고 있다.
즉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구인 구직 방법은 인력 매칭 단계(S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력 매칭 단계(S80)는 구인 세부 정보 조사 단계(S82), 구직자 세부 정보 조사 단계(S84) 및 고지 단계(S8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인 세부 정보 조사 단계(S82)는 각 구인글의 세부 정보를 조사 시 구인 조건, 예를들면 출근 일자, 근무 일자, 업무 종료 또는 필요 장비를 조사할 수 있다.
구직자 세부 정보 조사 단계(S84)는 각 구직자들이 미리 등록한 자기 정보, 예를들면 출근 가능 일자, 근무 가능 일자 또는 보유 장비를 조사할 수 있고, 구직자들이 팀을 갖고 있는 경우 팀의 보유 인력 현황을 조사할 수 있다.
매칭 단계(S86)는 상기 구인 세부 정보 조사 단계(S82)에서 조사한 내용과 구직자 세부 정보 조사 단계(S84)에서 조사한 내용을 이용하여 각 구인글에 필요한 구직자를 매칭하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매칭 결과를 설정 조건에 따라 구인 업체 및 구직자에게 고지할 수 있고, 예를들면 푸시 형태로 알려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인 세부 정보 조사 단계(S82)는 각 구인글의 정보 중 업무 종류를 파악하고, 구직자 세부 정보 조사 단계(S84)는 각 구직자의 팀 보유 현황 및 장비 보유 현황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매칭 단계(S86)는 종전 매칭 결과를 데이터로 갖고 있고,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구인글의 정보 중 업무 종류에 필요한 장비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구직자를 매칭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매칭 단계(S86)는 종전에 제1 업무 종류를 수행한 구직자의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제1 업무 종류를 수행한 종전 구직자들의 제1 장비 보유 정보를 저장 및 이용하여, 현재 구인글에 포함된 제1 업무 종류를 수행할 수 있는 제1 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구직자를 매칭할 수 있다.
또한, 매칭 단계(S86)는 종전 매칭 결과를 데이터로 갖고 있고,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구인글의 정보 중 업무 종류에 필요한 업무 인원수 정보를 획득하고 구직자 각각의 팀 보유 현황 등을 확인하여 일 구직자 또는 복수의 구직자를 조인트 방식으로 매칭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매칭 단계는 종전 매칭 결과를 이용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구인글의 정보 중 업무 종류에 필요한 업무 인원수 정보 및 필요 장비 정보를 획득하고 구직자 각각의 팀 보유 현황 등을 확인하여 일 구직자 또는 복수의 구직자를 조인트 방식으로 매칭할 수도 있다.
즉, 해당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1 장비 보유 필요 및 5인의 작업 인력 필요"의 정보를 종전 매칭 결과의 데이터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고, 현재의 구직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장비를 보유하고 있고 2명의 팀을 보유한 제1 구직자 및 상기 제1 장비를 보유하고 3명의 팀을 보유한 제2 구직자를 조인트 할 수 있도록 제1 구직자 및 제2 구직자에게 이러한 매칭 결과를 푸쉬 형태로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를 해당 구인 업체에도 푸쉬 형태로 알려주어 제1 구직자 및 제2 구직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이용 제한 제어 단계(S90)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구인 구직 방법은 이용 제한 제어 단계(S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용 제한 제어 단계(S90)는 구인 업체 이용 제한 제어 단계(S92), 구직자 이용 제한 제어 단계(S94) 및 이용 가능 부여 단계(S98)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용 제한 제어 단계(S90)는 구인 업체 이용 제한 제어 단계(S92), 구직자 이용 제한 제어 단계(S94) 및 이용 가능 부여 단계(S98)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구인 업체 이용 제한 제어 단계(S92)는 구인 업체들 각각이 본 실시예의 구인 구직 방법의 이용을 제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인 업체 이용 제한 제어 단계(S92)는 일정 기간 동안 이용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회원 가입 또는 일회권 구매 시 일정 기간, 구체적으로 90일 동안 이용하는 이용권을 부여할 수 있다.
구인 업체 이용 제한 제어 단계(S92)는 실시간으로 현재 시간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이용권에 기초한 기간 도과를 조사하여 기간 도과 여부를 구인 업체에 알려줄 수 있고, 기간 도과 시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인 업체 이용 제한 제어 단계(S92)는 최초 이용 가능 시간을 축소 또는 연장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인 업체가 지원자를 선택, 예를들면 상술한 "모집 완료"를 한 후에 취소 선택을 한 경우 신뢰성 하락 원인으로 이용 기간을 축소할 수 있다.
구직자 이용 제한 제어 단계(S94)는 구직자들 각각이 본 실시예의 구인 구직 방법의 이용을 제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직자 이용 제한 제어 단계(S94)는 일정 기간 동안 이용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회원 가입 또는 일회권 구매 시 일정 기간, 구체적으로 90일 동안 이용하는 이용권을 부여할 수 있다.
구직자 이용 제한 제어 단계(S94)는 실시간으로 현재 시간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이용권에 기초한 기간 도과를 조사하여 기간 도과 여부를 구인 업체에 알려줄 수 있고, 기간 도과 시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직자 이용 제한 제어 단계(S94)는 최초 이용 가능 시간을 축소 또는 연장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인 업체가 지원자를 선택, 예를들면 상술한 "모집 완료"를 한 후에 구직자가 취소 선택을 한 경우 신뢰성 하락 원인으로 이용 기간을 축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인 업체 및 구직자의 신뢰성 있는 구인 및 구직 활동 확보 가능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다.
이용 가능 부여 단계(S98)는 구인 업체 및 구직자에게 이용 가능 기간 또는 조건을 증가하게 하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일정 금액을 주고 이용권을 구매한 구인 업체 또는 구직자에게 최초 이용 가능 기간에서 일정 기간을 연장하여 줄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용 가능 부여 단계(S98)는 구인 업체 또는 구직자의 신뢰성 활동에 대하여 일정 점수를 주고 이에 대하여 구인 업체 또는 구직자에게 최초 이용 가능 기간에서 일정 기간을 연장하여 줄 수 있다.
예를들면 이용 가능 부여 단계(S98)는 일정 기간 동안 구인 업체가 취소 선택을 하지 않고 신뢰성을 일정 기간 유지한 경우 취소 선택 여부 및 취소 미선택 유지 기간을 파악하여 이러한 이용 가능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예를들면 이용 가능 부여 단계(S98)는 일정 기간 동안 구직자가 취소 선택을 하지 않고 신뢰성을 일정 기간 유지한 경우 취소 선택 여부 및 취소 미선택 유지 기간을 파악하여 이러한 이용 가능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인 구직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구인 업체는 구인글을 등록할 수 있다.
구인글을 등록하면 구인글은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현 상태로서 "모집중"이라는 표시가 부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인글을 보고 구직자는 지원을 할 수 있다.
구직자의 지원 전에 구인 업체는 취소를 진행할 수 있고, 이 경우 구인들의 상태는 "취소"로 변할 수 있다. 이 경우 구직자들의 지원을 불가하도록 지원 불가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대로 구인글에 다양한 구인 정보가 포함되도록 하고, 예를들면 출근 날짜 또는 근무 개시일자 등이 포함되어 이러한 출근 날짜 도래여부를 판단하여 도래하면 구인글의 상태를 "마감" 또는 "만료"로 변경하여 사용자들의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구직자가 구인글에 대한 지원이 있는 경우에 구인 업체가 상기 지원자를 선택하기 전에 구직자는 지원 의사를 변경하여 취소할 수 있고, 이 경우 구인글은 계속 "모집중"이라는 표시를 할 수 있다.
또한, 구인글에 대한 지원이 있는 경우에 구인 업체가 상기 지원자를 선택하기 전에 구인 업체는 구인 의사를 변경하여 취소할 수 있고, 이 경우 구인글은 "취소"라는 표시를 할 수 있다. 이 경우 구직자들의 지원을 불가하도록 지원 불가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만일 구인글에 대한 지원이 있는 경우 구인 업체가 상기 지원자를 선택하면 구인글은 "모집 완료"의 상태로 변경되고 다른 구직자들의 지원 불가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집 완료"후에도 구인 업체 또는 구직자는 취소할 수 있고, 이 경우 구인글은 "취소"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 변경과 취소의 내용, 또한 취소 시 이용 제한 부여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도 20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인 구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구인글을 올리기 위한 준비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TD)에 구인글을 올리기 위한 구인 정보 입력 페이지를 도시하고 있고, 예를들면 이는 일 구인 업체(예, AA 건설사)가 구인 정보를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구인 정보 입력세트를 디스플레이한 것일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출근날짜, 근무 시간, 필요 인원, 업무의 구체적 내용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구인 정보 입력 세트를 도시하고 구인 업체는 이러한 입력 세트의 각 항목에 기재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구인 업체(예, AA 건설사)가 구인글을 올려 화면(TD)에 구인글이 업로딩되어 디스플레이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화면(TD)은 사용자, 예를들면 구인 업체 또는 구직자들 모두 볼 수 있는 화면일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다양한 구인 업체에서 업로딩한 구인글이 디스플레이 되고, 각각에 대응되는 상태 표시 영역(RDA)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예를들면 도 21에는 상태 표시 영역(RDA)이 모두 "모집중"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모집중"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근 날짜와 같은 각 업무의 시간 정보의 조건에 부합하고, 구직자들이 아직 지원하지 않거나 구직자의 지원 후 구인 업체가 선택하지 않은 상태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모집중"의 상태 표시는 실시간으로 변할 수 있고, 구직자의 지원 및 구인 업체의 선택, 취소 여부 또는 시간 도래 여부 등을 이유로 변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도 21의 구인글들 중 특정 구인 업체(예, AA 건설사)의 구인글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구직자들이 도 21의 구인글의 정보 중 지원에 대한 관심을 갖는 구인 업체(예, AA 건설사)의 구인글에 대한 선택(클릭, 터치 등)을 진행한 상태를 도시한 것일 수 있다.
구직자는 이러한 도 22의 화면에 도시된 구인글을 확인하면서 이와 동시에 지원을 진행할 수 있고, 예를들면 도 22에 도시된 지원하기 버튼을 선택하여 특정 구인 업체(예, AA 건설사)에 대한 지원을 진행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일 구직자가 지원한 목록을 화면에 도시하고 있고, 예를들면 도 22에 도시된 특정 구인 업체(예, AA 건설사)를 포함한 복수의 구인 업체에 대한 지원을 한 구직자의 지원 목록을 화면(TD)에 디스플레이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태 표시 영역(RDA)이 "모집중"인 구인 업체(예, AA 건설사, EE건설사)가 있고, 이는 아직 구인 업체들이 선택을 하지 않은 경우일 수 있다.
상태 표시 영역(RDA)이 "모집완료"인 구인 업체(예, BB 건설사)가 있고, 이는 구인 업체가 상기 구직자를 선택한 경우이다.
상태 표시 영역(RDA)이 "만료"는 구인 업체(예, CC 건설사)의 경우에는 구인 업체가 선택하지 않은 채 출근 날짜등과 같은 업무 관련 시기를 도과한 것일 수 있다.
상태 표시 영역(RDA)이 "취소"인 구인 업체(예, DD 건설사)가 있고, 이는 구인 업체가 상기 구직자를 선택한 후 취소 또는 상기 구직자가 취소한 경우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선택적 실시예로서 화면(TD)은 도급 업체 또는 구인 관리 업체가 다양한 구인 업체의 하나 이상의 구인글을 업로딩하고 각각에 대한 관리를 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특정 구인 업체(예, AA 건설사)의 구인글에 대한 하나 이상의 구직자의 지원이 있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일 구인글의 하단에 구직자 요약 정보 영역(VAD)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예를들면 구직자 요약 정보 영역(VAD)은 해당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한 구직자의 수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요약 정보 영역(VAD)은 구인글에 대한 정보와 같은 페이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각 지원자의 개략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특정 구인 업체(예, AA 건설사)의 구인글에 대한 하나 이상의 구직자의 지원이 있는 경우에 구직자 세부 정보 영역(VADS)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예를들면 구직자 세부 정보 영역(VADS)은 지원을 한 제1 구직자 세부 정보 영역(VADS1) 및 제2 구직자 세부 정보 영역(VADS2)를 포함하고 있고, 각각에 대한 선택을 하도록 확정하기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구인 업체의 선택을 통하여 제1 구직자 세부 정보 영역(VADS1)에 대한 선택을 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제1 구직자 세부 정보 영역(VADS1)를 선택한 경우 제2 구직자 세부 정보 영역(VADS2)는 감춰지거나 삭제되어 상기 구인 업체(예, AA 건설사)가 볼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2 구직자 세부 정보 영역(VADS2)의 존재 여부는 알 수 있고 세부 정보 내역을 볼 수 없도록 특정 영역에 지움 처리 또는 가림 처리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전체 세부 정보 영역을 회색 등의 어두운 색으로 덧칠 처리할 수도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도 26의 구인 업체에 대한 구인글을 보고 지원을 한 구직자로서, 아직 도 27과 같은 구인 업체의 선택이 없는 경우로서 "모집중"이라는 기재가 표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지원한 구직자는 취소하기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27과 같은 구인 업체가 상기 구직자를 선택을 한 경우에도 상기 구직자는 취소하기를 진행할 수 있고, 또한 취소와 무관하게 평가하기를 선택하여 구체적 평가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구직자들이 정보를 입력하는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개인 신상 정보와 함께, 근무 경력 내용, 팀인 경우 보유 인원 및 보유 장비를 기재할 수 있다.
전술한 대로 이러한 팀의 인원 및 보유 장비는 구인 및 구직 사용자들간의 자체 연결에도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이를 이용하여 구직자 및 구인 업체의 매칭을 진행할 수 있고,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구직자들간 조인트 후 구인 업체와 매칭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방법들, 소프트웨어, 상기 방법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구인 구직 관리 시스템
110: 구인 정보 제어부
130: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
140: 구직 지원 제어부
150: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부
170: 최종 판단 결정부
180: 인력 매칭부
190: 이용 제한 제어부

Claims (11)

  1. 구인글에 대한 정보를 구인 업체로부터 입력받아 등록하고 관리하도록 형성된 구인 정보 제어부;
    상기 구인 정보 제어부를 통해 취급된 구인글을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된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
    상기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구인글에 대하여 구직자가 지원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직 지원 제어부;
    상기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한 하나 이상의 구직자들에 대하여 선택을 하도록 형성된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부; 및
    상기 구인글에 대한 상기 구인 업체의 유지 또는 취소 여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구직자 중 상기 구인 업체가 선택한 구직자의 유지 또는 취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최종 판단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인 정보 제어부를 통하여 입력받은 정보는 적어도 출근 날짜 및 공사 지속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구직 지원 제어부는 일 구직자가 복수의 구인글에 대하여 지원을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직 지원 제어부는 상기 일 구직자가 이미 지원한 구인글의 출근 날짜 또는 공사 지속 시간과 중첩되는 시간을 갖는 다른 구인글에 지원하는 경우 상기 일 구직자의 지원을 제한하거나 중복 지원의 정보를 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구인 구직 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구인글에 대한 각각의 실시간의 변동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구인 구직 관리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판단 결정부에서 상기 구인 업체 또는 구직자의 취소 동작을 인식한 경우 상기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구인글의 실시간 변동 상태를 변화하여 표시하는 구인 구직 관리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판단 결정부에서 상기 구인 업체 또는 구직자의 취소 동작을 인식한 경우 상기 구인 업체 또는 상기 구직자에 대한 이용 조건을 축소하는 구인 구직 관리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구인 업체를 위한 구인 업체용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구직자를 위한 구직자용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구인 구직 관리 시스템.
  6. 구인 정보 제어부를 통하여 구인글에 대한 정보를 구인 업체로부터 입력받아 등록하고 관리하도록 수행하는 구인 정보 제어 단계;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구인 정보 제어 단계를 통해 취급된 구인글을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수행하는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
    구직 지원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구인글에 대하여 구직자가 지원할 수 있도록 수행하는 구직 지원 제어 단계;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구인글에 대한 지원을 한 하나 이상의 구직자들에 대하여 선택을 하도록 수행하는 구직자 선택 판단 제어 단계; 및
    최종 판단 결정부를 통하여 상기 구인글에 대한 상기 구인 업체의 유지 또는 취소 여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구직자 중 상기 구인 업체가 선택한 구직자의 유지 또는 취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최종 판단 결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인 정보 제어부를 통하여 입력받은 정보는 적어도 출근 날짜 및 공사 지속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구직 지원 제어부는 일 구직자가 복수의 구인글에 대하여 지원을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직 지원 제어부는 상기 일 구직자가 이미 지원한 구인글의 출근 날짜 또는 공사 지속 시간과 중첩되는 시간을 갖는 다른 구인글에 지원하는 경우 상기 일 구직자의 지원을 제한하거나 중복 지원의 정보를 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구인 구직 관리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상기 구인글에 대한 각각의 실시간의 변동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인 구직 관리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판단 결정 단계에서 상기 구인 업체 또는 구직자의 취소 동작을 인식한 경우 상기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를 통하여 상기 구인글의 실시간 변동 상태를 변화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인 구직 관리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판단 결정 단계에서 상기 구인 업체 또는 구직자의 취소 동작을 인식한 경우 상기 구인 업체 또는 상기 구직자에 대한 이용 조건을 축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인 구직 관리 방법.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인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상기 구인 업체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구직자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인 구직 관리 방법.
  11. 제6 항 내지 제10 항 중에서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80059585A 2018-05-25 2018-05-25 구인 구직 관리 시스템 및 구인 구직 관리 방법 KR102100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585A KR102100505B1 (ko) 2018-05-25 2018-05-25 구인 구직 관리 시스템 및 구인 구직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585A KR102100505B1 (ko) 2018-05-25 2018-05-25 구인 구직 관리 시스템 및 구인 구직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218A KR20190134218A (ko) 2019-12-04
KR102100505B1 true KR102100505B1 (ko) 2020-04-13

Family

ID=69004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585A KR102100505B1 (ko) 2018-05-25 2018-05-25 구인 구직 관리 시스템 및 구인 구직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5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587B1 (ko) 2021-01-11 2022-01-04 엑슨모바일 주식회사 구인 구직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구인 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618B1 (ko) * 2021-04-07 2023-10-1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환경기반 비접촉식 바이오메트릭스 기술을 적용한 구인구직 중재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433A (ko) * 2014-09-16 2016-03-24 이남영 온라인을 이용한 구인 구직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32058A (ko) * 2016-03-03 2016-03-23 주식회사 달콤 유효기간 만료시 자동 지원 취소되는 온라인 구인 구직 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587B1 (ko) 2021-01-11 2022-01-04 엑슨모바일 주식회사 구인 구직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구인 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218A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06192A1 (en) Video-based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JP7102633B2 (ja) 一時労働者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インターフェース
Dong et al. Effects of safety and health training on work-related injury among construction laborers
Hart A Delphi study to determine baseline informatics competencies for nurse managers
KR102100505B1 (ko) 구인 구직 관리 시스템 및 구인 구직 관리 방법
WO2020060181A2 (ko) 인적 자원 정보 활용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Münch et al. What’s hot in product roadmapping? Key practices and success factors
KR20220072340A (ko) 일자리 매칭 시스템에서 블라인드 매칭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571718B1 (ko) 온라인상의 채용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518355B1 (ko) 협업 툴에 연계하여 동기화된 인사 평가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40372331A1 (en) Methods and apparatus having applicability to succession planning
Mohammed Investigating Role of Knowledge Auditing in Profile of the Business Unit-Information Technology& Computer Center (ITCC) University of Anbar
JP7277877B2 (ja) 看板基盤の業務処理装置及び業務処理方法
US20140372328A1 (en) Methods and apparatus having applicability to succession planning
JP200712219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20088798A (ko) 온라인 면접 서비스 제공방법
JP7276525B2 (ja) 情報処理装置、人事分析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Abudi Project Managing Business Process Improvement Initiatives
Elmore The future of fast food governance
WO2015162879A1 (ja) タスク特定装置、タスク特定方法および記録媒体
Haque et al. A Study of Developing Skill Matrix System for Ready Made Garments Industries of Bangladesh
Sachdeva et al. IBM TRIRIGA
Wilson What employers should know about the DOL's new joint employment standards
US20190035301A1 (en) Providing viable career paths to individuals
Novikov et al. Recruitment Web-Service Management System Using Competence-Based Approach for Manufacturing Enterpri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