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225B1 - 호스 펌프 - Google Patents

호스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225B1
KR102100225B1 KR1020190092739A KR20190092739A KR102100225B1 KR 102100225 B1 KR102100225 B1 KR 102100225B1 KR 1020190092739 A KR1020190092739 A KR 1020190092739A KR 20190092739 A KR20190092739 A KR 20190092739A KR 102100225 B1 KR102100225 B1 KR 102100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roller
cam
cam plat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연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이수연
이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연, 이정훈 filed Critical 이수연
Priority to KR1020190092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225B1/ko
Priority to PCT/KR2020/008791 priority patent/WO202102075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1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 F04B43/1253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by using two or more rollers as squeezing elements, the rollers moving on an arc of a circle during squ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6Casings; Cylinders; Cylinder liners o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상부 영역의 내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스가 배치되며, 상기 호스의 상부에 개방 가능한 상부커버를 구비한 케이싱; 상기 호스가 압착되지 않는 구간인 제1 구간과 상기 호스가 압착되는 구간인 제2 구간을 포함하는 캠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호스의 배치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 양측에 상기 캠홈이 대향되도록 결합되는 제1 캠판 및 제2 캠판; 상기 제1 캠판과 상기 제2 캠판 사이의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중심축이 구동축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외부로 방사하는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포함하는 제1 구동휠 및 제2 구동휠; 및 상기 제1 구동휠과 상기 제2 구동휠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구동휠의 슬롯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구동휠의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축, 상기 롤러축의 양단에 형성되며 각각 상기 제1 캠판의 캠홈과 상기 제2 캠판의 캠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캠베어링, 및 상기 롤러축에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착롤러;를 포함하는 호스 펌프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호스 펌프{HOSE PUMP}
본 발명은 호스 펌프에 관한 것으로, 호스를 직선의 형태로 배치하여 압착되도록 하여 호스의 변형을 감소시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호스의 교환 및 청소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압착롤러의 압착 속도가 가변되도록 하여 호스의 압착을 해제시 발생하는 맥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호스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호스 펌프는 하우징 내 호스의 압축, 변경 후 원상태로 복원되는 복원력을 활용하여 펌핑하는 정량 펌프로, 하우징 내부에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가 구비되고, 상기 로터의 양단에 슈 또는 롤러가 장착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로터가 회전하면서 로터 끝단에 장착된 슈 또는 롤러가 하우징 내 호스를 압축하여 호스내의 내용물을 상기 로터의 회전 방향으로 밀어내는 작업을 반복하게 됨으로 펌핑이 이루어진다.
다만, 이와 같은 종래의 호스 펌프는 호스가 케이싱 내부에 U자 형태로 위치하여 호스 교체시 호스의 플랜지 연결부를 제거한 후 케이싱의 측면을 개방하고 슈를 조정한 후 호스펌프를 서서히 회전시키며 호스를 잡아 빼내야 하고, 조립시도 펌프를 회전시키면서 호스를 안쪽 끝에서 밀어 넣은 후 플랜지를 연결하는 등의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됨으로 인하여 유지관리 측면에서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호스가 U자형으로 변형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압착되어 호스가 받는 스트레스가 크고, 호스의 한 방향만 압착이 반복되어 호스의 피로도가 크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압착롤러가 등속운동을 하여 펌핑이 없는 구간이 발생함으로 맥동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호스를 일자형으로 배치하고, 상부커버를 구비함으로써 호스의 교체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커버 개방후 호스의 방향을 일정 각도만큼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스의 한 부분이 지속적으로 압착되어 호스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압착롤러가 호스를 직선형으로 압착함으로써 U자형 곡율에 의한 변형을 제거하여 호스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압착롤러가 일정한 가감속 운동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압착롤러가 호스에서 압착이 해제될 시에 발생하는 맥동을 감소시키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부 영역의 내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스가 배치되며, 상기 호스의 상부에 개방 가능한 상부커버를 구비한 케이싱; 상기 호스가 압착되지 않는 구간인 제1 구간과 상기 호스가 압착되는 구간인 제2 구간을 포함하는 캠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호스의 배치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 양측에 상기 캠홈이 대향되도록 결합되는 제1 캠판 및 제2 캠판; 상기 제1 캠판과 상기 제2 캠판 사이의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중심축이 구동축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외부로 방사하는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포함하는 제1 구동휠 및 제2 구동휠; 및 상기 제1 구동휠과 상기 제2 구동휠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구동휠의 슬롯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구동휠의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축, 상기 롤러축의 양단에 형성되며 각각 상기 제1 캠판의 캠홈과 상기 제2 캠판의 캠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캠베어링, 및 상기 롤러축에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착롤러;를 포함하는 호스 펌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호스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커버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호스를 지지하며, 상기 호스와 상기 상부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에 의해 상기 호스로 압착력을 제공하여 주는 압착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펌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압착판의 일측단이 상기 상부커버의 일측단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고정스페이서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압착판의 타측단이 상기 상부커버 타측단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고정스페이서에 핀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의 일측단이 상기 압착판의 상기 타측단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측단이 상기 상부커버를 관통한 홀에 형성되어 위치 이동되는 조절 레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펌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압착롤러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구간에서는 회전 운동을 하고, 상기 호스와 접착되는 영역인 상기 제2 구간에서는 직선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펌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제2 구간은 직선형, 볼록형 및 오목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펌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호스는 제1 분기 호스 내지 제n 분기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롤러는 상기 제1 분기 호스에 대응되는 제1 압착롤러 내지 상기 제n 분기 호스에 대응되는 제n 압착롤러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압착롤러 내지 상기 제n 압착롤러의 세트가 k배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펌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압착롤러들은, 상기 제2 구간에서는 상기 호스를 압착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휠의 내측으로 상기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되고, 상기 캠홈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하여 상기 호스 내의 이송물질을 압착하여 상기 직선 운동 방향으로 토출시키며, 상기 제1 구간에서는 상기 호스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휠의 외측으로 상기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되고, 상기 캠홈을 따라 회전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펌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제1 압착롤러 내지 상기 제n 압착롤러가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분기 호스 내지 상기 제n 분기 호스를 순차적으로 압착하여 상기 제1 분기 호스 내지 상기 제n 분기 호스 내의 이송물질이 하나의 토출구로 순차적으로 토출되도록 하여 상기 이송물질이 토출되면서 발생하는 맥동을 최소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펌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호스가 관통하는 상기 케이싱의 양측면에 각각 상기 호스를 고정하는 호스 고정구 및 이를 조절하는 고정조절장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펌프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호스를 일자형으로 배치하고, 상부커버를 구비함으로써 호스의 교체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커버 개방후 호스의 방향을 일정 각도만큼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스의 한 부분이 지속적으로 압착되어 호스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착롤러가 호스를 직선형으로 압착함으로써 U자형 곡율에 의한 변형을 제거하여 호스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착롤러가 일정한 가감속 운동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압착롤러가 호스에서 압착이 해제될 시에 발생하는 맥동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펌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펌프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펌프의 캠판, 구동휠, 압착롤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롤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펌프의 캠판에 형성되는 캠홈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펌프의 내부에 복수의 호스가 배치되는 경우 구동휠 및 압착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펌프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펌프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호스 펌프는 케이싱(110), 제1 캠판(120), 제2 캠판(130), 구동축(140), 제1 구동휠(150a), 제2 구동휠(150b) 및 적어도 하나의 압착롤러(160a, 160b, 160c, 160d)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호스 펌프 전체를 지지하는 케이싱(110)의 상부 영역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스(20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호스(200)는 케이싱(110)의 상부 영역 내부를 직선형태로 관통하면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케이싱(110)은 호스(200) 상부에 개방 가능한 상부커버(170)를 구비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부커버(170)가 케이싱(110)과 결합되도록 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장치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호스(200)가 관통하는 케이싱(110)의 양측면에는 각각 호스(200)를 고정하는 호스 고정구(211a, 211b) 및 이를 조절하는 고정조절장치(210a, 21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커버(170)와 호스(200) 사이에는, 상부커버(170) 하부에 형성되어 호스(200)를 지지하며, 호스(200)와 상부커버(170)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83)에 의해 호스(200)로 압착력을 제공하여 주는 압착판(19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압착판(190)은, 압착판(190)의 일측단이 상부커버(170)의 일측단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고정스페이서(180b)에 힌지 결합되고, 압착판(190)의 타측단이 상부커버(170) 타측단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고정스페이서(180a)에 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압착판(190)은, 압착판(190)의 타측단의 상부면에 스프링(183)의 일측단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183)의 타측단은 상부커버(170)를 관통한 홀에 형성되어 위치 이동되는 조절 레버(182)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절 레버(182)를 통해 스프링(18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압착판(190)을 통해 호스(200)로 제공되는 압착력을 조절함으로써 호스 펌프의 최대 압력을 셋팅할 수 있게 되어 과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커버(170)를 고정의 해제함으로써 호스(200)에 가해진 압착력을 제거하여 용이하게 호스(200)의 압착방향을 변경하거나 호스(200)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제1 캠판(120) 및 제2 캠판(130)은 호스(200)의 배치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케이싱(110)의 내부 양측에 대향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캠판(120)과 제2 캠판(130)을 각각 케이싱(110)의 내부 양측에 대향되도록 결합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케이싱(110)의 내부 양측을 각각 제1 캠판(120)과 제2 캠판(130)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제1 캠판(120) 및 제2 캠판(130) 각각에는 호스(200)가 압착되지 않는 구간인 제1 구간과 호스(200)가 압착되는 구간인 제2 구간을 포함하는 캠홈(1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싱(110) 내부 양측에 각각의 캠홈(131)이 대향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구간은 호스(200)에 대한 펌핑이 없는 구간이며, 제2 구간은 호스(200)에 대한 펌핑이 이루어지는 구간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캠판(120)과 제2 캠판(130) 사이의 케이싱(100) 내부에는 구동축(14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축(140)은 제1 캠판(120) 및 제2 캠판(130) 각각의 중심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구동축(140)은 일단이 제1 캠판(120) 및 제2 캠판(130) 중 하나를 관통하여 회동되도록 형성된 형태일 수 있고, 관통한 일단이 구동모터(100)의 모터 구동축에 연결됨으로써 구동모터(10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구동축(140)은 구동모터(100)의 모터 구동축과 커플링(101)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구동모터(100)의 운동에너지를 전달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커플링(101) 이외에도 일반적인 결합 장치들이 구동축(140)과 모터 구동축의 연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별도의 연결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모터 구동축을 구동축(140)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1 구동휠(150a) 및 제2 구동휠(150b) 각각은 제1 캠판(120)과 제2 캠판(130) 사이의 케이싱(110) 내부에서 중심축이 구동축(1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제1 구동휠(150a) 및 제2 구동휠(150b) 각각은 구동축(14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외부로 방사하는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슬롯(151)이 포함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슬롯(151)은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슬롯(151)의 개수는 호스 펌프에서 형성하고자 하는 압착롤러(160)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다음으로, 압착롤러(160)는 제1 구동휠(150a)과 제2 구동휠(150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3 및 도 4를 참조하면, 압착롤러(160)는 캠베어링(161a, 161b), 슬라이더(162a, 162b), 롤러(163) 및 롤러축(1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캠베어링(161a, 161b)은 압착롤러(160)의 롤러축(164)의 양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캠베어링(161a, 161b) 각각은 제1 캠판(120)의 캠홈과 제2 캠판(130)의 캠홈(1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롤러(163)는 롤러축(164)의 중심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롤러축(164)은 제1 구동휠(150a)의 슬롯(151)과 이에 대응되는 제2 구동휠(150b)의 슬롯(1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슬롯(151)과 결합되는 롤러축(164)에는 슬라이더(162a, 162b)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펌프의 압착롤러(160)는 구동축(140)의 회전에 대응하여 의 제1 구간에서는 회전 운동을 하고, 호스(200)와 접착되는 영역인 제2 구간에서는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모터(100)의 구동에 따라 구동축(140)이 회전하면, 구동축(140)의 회전에 의해 압착롤러(160)는, 제1 구간에서는 호스(200)와 이격된 상태에서 구동휠(150)의 외측으로 슬롯(151)을 따라 슬라이딩 되고, 캠홈(131)을 따라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제1 구간의 형태는 단일 중심 반경을 가지는 단일 원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복수의 중심 반경을 가지는 복수의 원이 조합된 형태일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구동축(140)의 회전에 의해 압착롤러(160)는, 제2 구간에서는 호스(200)를 압착한 상태에서 구동휠(150)의 내측으로 슬롯(151)을 따라 슬라이딩 되고, 캠홈(131)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즉, 제2 구간에서는 압착롤러(160)의 운동 중심이 구동휠의 중심을 벗어난 상태에서 호스(200)를 압착하여 펌핑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간에서 압착롤러(160)는 일정한 가감속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맥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제2 구간에서 압착롤러(160)는 구동휠의 회전에 따른 각속도가 동일하므로 호스(200)와 압착이 시작되는 위치에서부터 서서히 이동 속도가 감소하게 되며, 중심 영역을 통과한 이후부터는 이동 속도가 증가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구간 제2 구간의 형태를 다르게 함으로써 압착롤러(160)가 구동축(140)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속도는 변동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제2 구간은 직선형, 볼록형 및 오목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형성되는 제2 구간의 형태에 따라 압착롤러(160)가 호스(200)를 압착하는 압착구간의 길이가 다를 수 있을 것이다. 즉, 캠홈의 제2 구간의 형태를 이용하여 제2 구간에서의 압착롤러(160)의 이동 속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펌프의 호스(200)에는 제1 분기 호스 내지 제n 분기 호스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1 분기 호스 내지 제n 분기 호스는 이송물질이 흡입되는 하나의 흡입구 및 이송물질이 토출되는 하나의 토출구 사이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제1 분기 호스에 대응되는 제1 압착롤러 내지 제n 분기 호스에 대응되는 제n 압착롤러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순차적이라 함은 구동휠(150)의 회전에 따라 호스(200)와 접착하는 압착롤러의 순서가 제1 압착롤러, 제2 압착롤러, 제3 압착롤러, ···, 제n 압착롤러 순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또한, 제1 압착롤러 내지 제n 압착롤러는 제1 압착롤러 내지 제n 압착롤러를 하나의 세트로 하여 k배수 개의 압착롤러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k는 양의 정수일 것이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호스 펌프의 호스(200)가 제1 분기 호스(200a) 및 제2 분기 호스(200b)로 구성될 경우, 압착롤러(160)는 제1 분기 호스(200a)에 대응되는 제1 압착롤러(160a) 및 제2 분기 호스(200b)에 대응되는 제2 압착롤러(160a´)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압착롤러(160a) 및 제2 압착롤러(160a´) 2개를 하나의 세트로 하여 4배수인 8개의 압착롤러(160)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압착롤러들은 구동축(140)의 회전에 의해 제2 구간에서는 각각 대응되는 호스를 압착한 상태에서 구동휠(150)의 내측으로 슬롯(151)을 따라 슬라이딩 되고, 캠홈(131)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하여 호스 내의 이송물질을 압착하여 직선 운동 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압착롤러들은 구동축(140)의 회전에 의해 제1 구간에서는 각각 대응되는 호스와 이격된 상태에서 구동휠(150)의 외측으로 슬롯(151)을 따라 슬라이딩 되고, 캠홈(131)을 따라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압착롤러 내지 제n 압착롤러는 구동축(140)의 회전에 의해 제1 압착롤러 내지 제n 압착롤러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분기 호스 내지 제n 분기 호스를 순차적으로 압착하여 제1 분기 호스 내지 제n 분기 호스 내의 이송물질이 하나의 토출구로 순차적으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이송물질이 토출되면서 발생하는 맥동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구동모터
101: 커플링
110: 케이싱
120: 제1 캠판
130: 제2 캠판
131: 캠홈
140: 구동축
150a: 제1 구동휠
150b: 제2 구동휠
151: 슬롯
160a, 160b, 160a': 압착롤러
161a, 161b: 캠베어링
162a, 162b: 슬라이더
163: 롤러
164: 롤러축
170: 상부커버
180a: 제2 고정스페이서
180b: 제1 고정스페이서
182: 조절 레버
183: 스프링
190: 압착판
200: 호스
210a, 210b: 고정조절장치
211a, 211b: 호스 고정구

Claims (9)

  1. 상부 영역의 내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스가 배치되며, 상기 호스의 상부에 개방 가능한 상부커버를 구비한 케이싱;
    상기 호스가 압착되지 않는 구간인 제1 구간과 상기 호스가 압착되는 구간인 제2 구간을 포함하는 캠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호스의 배치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 양측에 상기 캠홈이 대향되도록 결합되는 제1 캠판 및 제2 캠판;
    상기 제1 캠판과 상기 제2 캠판 사이의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중심축이 구동축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외부로 방사하는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포함하는 제1 구동휠 및 제2 구동휠; 및
    상기 제1 구동휠과 상기 제2 구동휠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구동휠의 슬롯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구동휠의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축, 상기 롤러축의 양단에 형성되며 각각 상기 제1 캠판의 캠홈과 상기 제2 캠판의 캠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캠베어링, 및 상기 롤러축에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착롤러;
    를 포함하는 호스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호스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커버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호스를 지지하며, 상기 호스와 상기 상부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에 의해 상기 호스로 압착력을 제공하여 주는 압착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의 일측단이 상기 상부커버의 일측단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고정스페이서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압착판의 타측단이 상기 상부커버 타측단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고정스페이서에 핀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의 일측단이 상기 압착판의 상기 타측단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측단이 상기 상부커버를 관통한 홀에 형성되어 위치 이동되는 조절 레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롤러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구간에서는 회전 운동을 하고, 상기 호스와 접착되는 영역인 상기 제2 구간에서는 직선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펌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간은 직선형, 볼록형 및 오목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펌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는 제1 분기 호스 내지 제n 분기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롤러는 상기 제1 분기 호스에 대응되는 제1 압착롤러 내지 상기 제n 분기 호스에 대응되는 제n 압착롤러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압착롤러 내지 상기 제n 압착롤러의 세트가 k배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펌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압착롤러들은, 상기 제2 구간에서는 상기 호스를 압착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휠의 내측으로 상기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되고, 상기 캠홈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하여 상기 호스 내의 이송물질을 압착하여 상기 직선 운동 방향으로 토출시키며, 상기 제1 구간에서는 상기 호스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휠의 외측으로 상기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되고, 상기 캠홈을 따라 회전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펌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롤러 내지 상기 제n 압착롤러가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분기 호스 내지 상기 제n 분기 호스를 순차적으로 압착하여 상기 제1 분기 호스 내지 상기 제n 분기 호스 내의 이송물질이 하나의 토출구로 순차적으로 토출되도록 하여 상기 이송물질이 토출되면서 발생하는 맥동을 최소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펌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가 관통하는 상기 케이싱의 양측면에 각각 상기 호스를 고정하는 호스 고정구 및 이를 조절하는 고정조절장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펌프.
KR1020190092739A 2019-07-30 2019-07-30 호스 펌프 KR102100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739A KR102100225B1 (ko) 2019-07-30 2019-07-30 호스 펌프
PCT/KR2020/008791 WO2021020755A1 (ko) 2019-07-30 2020-07-06 호스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739A KR102100225B1 (ko) 2019-07-30 2019-07-30 호스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225B1 true KR102100225B1 (ko) 2020-05-26

Family

ID=70914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739A KR102100225B1 (ko) 2019-07-30 2019-07-30 호스 펌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0225B1 (ko)
WO (1) WO202102075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755A1 (ko) * 2019-07-30 2021-02-04 주식회사 퍼시오 호스 펌프
WO2023286965A1 (ko) * 2021-07-14 2023-01-19 주식회사 테크로스 유체 정량 이송 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28182A1 (de) * 2022-10-25 2024-04-25 EAR Ritterbach GmbH & Co. KG Fördereinrichtung zur gerichteten Förderung pulverförmiger Stoffe sowie zugehöriges Verfahr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4075A1 (en) * 2009-07-15 2011-01-20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Hose system
KR20170068775A (ko) * 2015-12-10 2017-06-20 권순남 호스펌프
JP2018040344A (ja) * 2016-07-05 2018-03-15 プッツマイスター エンジニアリング ゲーエムベーハー ロータホースポンプ
KR101994070B1 (ko) * 2019-02-11 2019-06-27 전은수 호스 롤러 펌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225B1 (ko) * 2019-07-30 2020-05-26 이수연 호스 펌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4075A1 (en) * 2009-07-15 2011-01-20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Hose system
KR20170068775A (ko) * 2015-12-10 2017-06-20 권순남 호스펌프
JP2018040344A (ja) * 2016-07-05 2018-03-15 プッツマイスター エンジニアリング ゲーエムベーハー ロータホースポンプ
KR101994070B1 (ko) * 2019-02-11 2019-06-27 전은수 호스 롤러 펌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755A1 (ko) * 2019-07-30 2021-02-04 주식회사 퍼시오 호스 펌프
WO2023286965A1 (ko) * 2021-07-14 2023-01-19 주식회사 테크로스 유체 정량 이송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0755A1 (ko)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225B1 (ko) 호스 펌프
US5575631A (en) Curvilinear peristaltic pump
US3249059A (en) Peristaltic-type pump
US4604038A (en) Remotely operable peristaltic pump
CN100445565C (zh) 可变容旋转压缩机
US20070243088A1 (en) Marked Tube For A Peristaltic Pump
CN209800192U (zh) 一种旋转气缸压缩机
US5037274A (en) Peristaltic apparatus and method for pumping and/or metering fluids
CN105041594A (zh) 具有带变形区域的缸座的紧凑型径向活塞液压机
EP0053631A1 (en) Variable positive displacement fluid motor/pump apparatus
US3227091A (en) Compressible tube pump
GB2138511A (en) Peristaltic pump and pumphead therefor
US2621852A (en) Spherical rotary compressor
RU2650227C2 (ru) Насосная или компрессорная установка
US20170268509A1 (en) Vane Pump Assembly
KR101881150B1 (ko) 파손방지 및 복원력 향상을 위한 호스펌프용 호스와 이를 이용한 호스펌프
US2841091A (en) Apparatus for conveying gases or liquids
US8196506B2 (en) Variable stroke compressor design
KR20220051770A (ko) 호스펌프
JPS6211198B2 (ko)
US5161962A (en) Fluid pump comprised by blades
US20080213114A1 (en) Pump
US4017220A (en) Reversible pump with positive valving
KR101352157B1 (ko) 하우징롤러가 구비된 호스펌프
GB2075128A (en) A peristaltic p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