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145B1 -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 - Google Patents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145B1
KR102100145B1 KR1020180040565A KR20180040565A KR102100145B1 KR 102100145 B1 KR102100145 B1 KR 102100145B1 KR 1020180040565 A KR1020180040565 A KR 1020180040565A KR 20180040565 A KR20180040565 A KR 20180040565A KR 102100145 B1 KR102100145 B1 KR 102100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unit
sprout
module
sprout vege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7274A (ko
Inventor
석현철
Original Assignee
석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현철 filed Critical 석현철
Priority to KR1020180040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145B1/ko
Publication of KR20190117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5Adjustabl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operation, e.g. by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02P60/21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Hydroponic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에 조명을 공급하여 새싹채소의 성장을 촉진하며, 은물 및 수소수를 활용함으로써 새싹채소의 발아율을 향상시키고 성장촉진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신선한 채소를 재배하는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는 용수공급부, 식물성장부, 조명공급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수공급부는 상기 새싹채소를 재배하기 위한 용수가 공급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수공급부는 은물생성모듈과 수소수생성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은물생성모듈은 상기 용수공급부의 소정영역에서 은물을 생성하여 상기 용수공급부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소수생성모듈은 상기 용수공급부의 소정영역에서 수소수를 생성하여 상기 용수공급부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장부는 상기 새싹채소의 씨앗이 위치하여 발아되고 성장하며, 상기 새싹채소의 성장에 따라 상기 용수공급부로부터 상기 용수가 상기 새싹채소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조명공급부는 상기 새싹채소의 성장에 따라 기설정된 파장 대역의 LED 광을 상기 새싹채소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수공급부 및 조명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는 성장촉진제와 비료 및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새싹채소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Sprout vegetable grower using hydrogenated water}
본 발명은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에 조명을 공급하여 새싹채소의 성장을 촉진하며, 은물 및 수소수를 활용함으로써 새싹채소의 발아율을 향상시키고 성장촉진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신선한 채소를 재배하는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소는 무색, 무취, 무미의 가스이며, 우주 질량의 75% 이상을 차지하는 가장 풍부한 원소이고, 인체 구성에서도 가장 많은 요소로 알려지고 있다. 수소에 대한 효능은 오랫동안 주목을 받지 못하였으나 2007년 일본 의과 대학의 과학자들이 자연 의학에서 수소의 의학적 보호 효과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면서 관심을 받게 되었다.
이후, 전세계의 수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수소의 다양한 의학적 및 생물학적 영향이 발표되었다. 수소의 식물 영향에 관한 최근의 연구는 수소가 식물 호르몬의 신호 전달 경로에 관여하고, 가뭄, 염분, 냉기 및 중금속과 같은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수소수의 사용은 질병 및 해충에 대한 작물의 저항성을 향상시켜 살충제를 대체하거나 살충제의 사용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연구에 의하면 수소는 식물의 종자 발아율을 향상시키고, 식물의 개화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수소수의 사용으로 야채 및 과일과 같은 작물의 품질을 향상시켜 훨씬 더 맛있는 수확물을 얻을 수 있고, 식물 호르몬의 영향을 조절하여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수소수의 사용은 식물의 수확 후 숙성과 노화를 지연시켜 농산물의 보존 기간을 증대 시킬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3891호(2014년 03월 12일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단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새싹채소의 발아율을 향상시키고 성장촉진제 및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신선한 채소를 재배하며,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품질 좋은 수확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유아용, 초년용, 중년용, 장년용 및 노인용 등 필요와 기호에 맞는 새싹채소를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는 용수공급부, 식물성장부, 조명공급부, 제어부, 측정부, 저장부 및 타이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수공급부는 용수공급모듈, 용수저장모듈, 은물생성모듈, 수소수생성모듈, 영양제공급모듈 및 순환펌프구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수공급모듈은 새싹채소를 재배하기 위해 필요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용수저장모듈은 용수공급모듈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용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은물생성모듈은 용수공급부의 소정영역에 구비되고, 은물을 생성하여 용수저장모듈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수소수생성모듈은 용수공급부의 소정영역에 구비되어 수소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수소수를 용수저장모듈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펌프구동모듈은 상기 은물 및 수소수와 영양제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된 영양제 및 배양액이 용수에 골고루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장부는 상기 새싹채소의 씨앗을 위치시키며 상기 새싹채소의 성장에 따라 상기 용수공급부로부터 용수가 상기 새싹채소에 지속적으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조명공급부는 LED 발광모듈, 적외선모듈 및 상하위치조절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 발광모듈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새싹채소의 성장에 따라 기설정된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모듈은 상기 새싹채소에 적외선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상하위치조절모듈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조명공급부를 상하방향으로 구동시켜 조명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수온조절모듈, 순환펌프제어모듈, 조명제어모듈, 타이머제어모듈, 은물제어모듈 및 수소수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제어모듈은 LED 발광모듈 및 적외선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새싹채소의 성장에 따라 기설정된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은물제어모듈은 은물생성모듈을 제어하여 은물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수소수제어모듈은 상기 수소수생성모듈을 제어하여 수소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는 성장촉진제와 비료 및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새싹채소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식감 및 기호에 따라 원하는 새싹채소를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LED 광을 이용하여 새싹채소를 재배함으로써 새싹채소에 24시간 내내 광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여 수확시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명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의 배출이 증대되어 상기 조명 장치에 의한 과열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제어부 및 용수공급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제어부 및 조명공급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제어부 및 측정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2에서 제어부 및 저장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은물 및 수소수를 활용하여 새싹채소를 재배함으로써 새싹채소의 발아율을 향상시키고, 성장촉진제 및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신선하고 품질 좋은 새싹채소를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한, 도 3은 상기 도 2에서 제어부(400) 및 용수공급부(100)를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10)는 용수공급부(100), 식물성장부(200), 조명공급부(300), 제어부(400), 측정부(500), 저장부(600) 및 타이머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공급부(100)는 용수공급모듈(110), 용수저장모듈(120), 은물생성모듈(130), 수소수생성모듈(140), 영양제공급모듈(150) 및 순환펌프구동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용수공급모듈(110)은 새싹채소를 재배하기 위해 필요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용수공급모듈(110)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용수는 정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수공급모듈(110)은 통상적으로 시판되는 미네랄 생수통을 포함할 수 있다.
용수저장모듈(120)은 용수공급모듈(110)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용수를 저장할 수 있다. 용수저장모듈(120)에 저장되는 용수가 식물성장부(200)에 위치하는 새싹채소의 성장을 위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용수공급모듈(110)을 통해 용수저장모듈(120)에 공급되는 상기 용수가 정수가 아닌 경우에 용수공급부(100)는 상기 용수를 필터링하여 정화하는 정수필터링모듈(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은물생성모듈(130)은 용수공급부(100)의 소정영역에 구비되고, 은물을 생성하여 용수저장모듈(120)에 공급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공급부(100) 내에 은봉(131)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일반수에서의 새싹채소 발아율이 60~70% 일 경우, 은물을 통해 새싹채소의 발아율을 90% 이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은물을 통해 용수를 살균할 수 있다.
수소수생성모듈(140)은 용수공급부(100)의 소정영역에 구비되어 수소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수소수를 용수저장모듈(120)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소수생성모듈(140)은 백금과 티타늄 전극을 촉매로 상기 용수를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용수와 마그네슘 촉매를 반응하여 수소를 생성할 수 있다.
영양제공급모듈(150)은 용수공급부(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식물 성장을 위해 필요한 영양제 및 배양액을 용수저장모듈(120)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양제공급모듈(150)은 식물에 영양제를 공급하는 영양제 공급통을 포함할 수 있다. 순환펌프구동모듈(160)은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용수저장모듈(120)에 저장된 용수가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순환펌프구동모듈(160)은 상기 은물 및 수소수와 영양제공급모듈(150)로부터 공급된 영양제 및 배양액이 용수에 골고루 혼합되도록 상기 용수를 유동시킬 수 있다.
식물성장부(200)는 상기 새싹채소의 씨앗을 위치시키며 상기 새싹채소의 성장에 따라 용수공급부(100)로부터 물이 상기 새싹채소에 지속적으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식물성장부(200)는 상기 새싹채소의 씨앗이 위치하는 부직포 또는 배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도 2에서 제어부(400) 및 조명공급부(300)를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조명공급부(300)는 상기 새싹채소의 성장에 따라 대응되는 파장 대역의 광을 상기 새싹채소에 조사할 수 있다. 조명공급부(300)는 LED 발광모듈(310), 적외선모듈(320) 및 상하위치조절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LED 발광모듈(310)은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새싹채소의 성장에 따라 기설정된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LED 발광모듈(310)은 청색광을 조사하는 청색광 LED와 적색광을 조사하는 적색광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청색광 LED는 420~470nm의 파장을 갖는 청색광의 LED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적색광 LED는 650~700nm의 파장을 갖는 적색광의 LED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적외선모듈(320)은 상기 새싹채소에 적외선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외선 광은 식물을 성장시키는 작용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하위치조절모듈(330)은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조명공급부(300)를 상하방향으로 구동시켜 조명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용수공급부(100), 식물성장부(200) 및 조명공급부(300)는 수직으로 배치되고, 용수공급부(100), 식물성장부(200) 및 조명공급부(300)가 각각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복층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용수공급부(100)의 각 상단에는 식물성장부(200)가 구성되고, 식물성장부(200)의 각 상단에는 조명공급부(300)가 구성되어 각각 대응되는 하단의 식물성장부(200)에 LED 광 또는 적외선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용수공급부(100)는 조명공급부(300)의 상단에 인접되게 구성되어 조명공급부(3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용수공급부(100)로 전도되도록 함으로써 발열을 통해 조명공급부(30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수온조절모듈(410), 순환펌프제어모듈(420), 조명제어모듈(430), 타이머제어모듈(440), 은물제어모듈(450) 및 수소수제어모듈(46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온조절모듈(410)은 용수의 수온을 측정하고, 수온이 기설정된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용수공급부(100)를 제어하여 상기 용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조명공급부(300)에서 발생되는 열이 용수공급부(100)로 전도되어 수온이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 수온조절모듈(410)은 용수공급모듈(110)을 제어하여 새로운 용수를 공급하고, 순환펌프제어모듈(420)에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순환펌프제어모듈(420)은 순환펌프구동모듈(150)을 제어하여 용수저장모듈(110)에 저장된 용수가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조명제어모듈(430)은 조명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조명제어모듈(430)은 LED 발광모듈(310) 및 적외선모듈(320)을 제어하여 상기 새싹채소의 성장에 따라 기설정된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조명제어모듈(430)은 상하위치조절모듈(330)을 제어하여 조명공급부(300)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은물제어모듈(450)은 은물생성모듈(130)을 제어하여 은물을 생성할 수 있고, 수소수제어모듈(460)은 수소수생성모듈(140)을 제어하여 수소수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도 2에서 제어부(400) 및 측정부(50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2에서 제어부(400) 및 저장부(600)를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측정부(500)는 수온측정모듈(510), 조도측정모듈(520) 및 수위측정모듈(53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온측정모듈(510)은 용수공급부(100)에 저장되어 있는 용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조도측정모듈(520)은 상기 새싹채소에 조사되는 광의 조도를 검출할 수 있다. 수위측정모듈(530)은 용수저장모듈(120)에 저장되어 있는 용수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600)는 성장 정보를 저장하는 성장정보저장모듈(610)과 기호 정보를 저장하는 기호정보저장모듈(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장 정보는 기설정된 새싹채소의 성장에 따라 요구되는 LED 광의 파장 대역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호 정보는 사용자별로 선호하는 새싹채소 리스트(list)와 상기 새싹채소 수확물의 크기 및 단단함, 상기 새싹채소 수확물의 성장 정도, 엽육의 견고도, 식감 및 안토시아닌 발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는 기설정된 상기 성장 정보 및 기호 정보를 토대로 새싹채소의 성장 단계별로 요구되는 파장 대역의 LED 광을 기설정된 시간과 강도로 상기 새싹채소에 조사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새싹채소를 재배할 수 있다.
타이머부(700)는 용수공급부(100)에 용수를 공급하는 시간 설정과 조명공급부(300)를 제어하여 상기 새싹채소에 광을 조사하는 예약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예약 정보에 따라 용수공급부(100) 및 조명공급부(300)를 구동할 수 있다. 즉, 기설정되어 타이머부(700)에 저장된 예약 정보에 따라 용수공급부(100)에 기설정된 시간마다 용수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되어 타이머부(700)에 저장된 예약 정보에 따라 조명공급부(300)는 기설정된 시간에 구동되어 LED 광을 상기 새싹채소에 조사할 수 있다.
수위조절부(80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용수공급부(100)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용수저장모듈(120)에 저장되어 있는 용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기준수위 이하가 되면 제어부(400)는 수위조절부(800)를 제어하여 용수저장모듈(120)에 상기 기준수위까지 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10)가 수직 복층 구조로 배치되는 경우에 각층의 용수공급부(100)와 대응되는 상층의 용수공급부(100) 사이에는 용수공급관(미도시)이 구비되고, 최상층의 용수공급부(100)에 용수공급모듈(110)이 설치될 수 있다.
최상층의 용수저장모듈(120)에 용수공급모듈(110)을 통해 용수가 공급되고, 상기 공급된 용수는 용수저장모듈(120)에서 순환된 후 상기 용수공급관을 통해 연결된 하층의 용수저장모듈(120)에 공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용수공급관의 입구는 각 용수저장모듈(120)에서 기설정된 기준 수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용수의 수위를 기준 수위로 조절할 수 있다.
알람부(900)는 스피커(12)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음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정보는 새싹채소 재배기(10)의 동작에 따른 동작 안내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머부(700)를 구동하는 경우 설정되는 예약 시간을 음성 정보 안내를 통해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LED광조절버튼(431) 또는 적외선광조절버튼(432)을 동작시켜 수동으로 LED 발광모듈(310) 또는 적외선모듈(320)을 구동하는 경우 이와 관련된 음성 안내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알람부(900)는 은물생성모듈(130), 수소수생성모듈(140), 영양제공급모듈(150) 및 순환펌프구동모듈(160) 중 적어도 하나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1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수온조절버튼(411)을 통해 수온조절모듈(410)의 제어가 가능하고, 순환펌프구동버튼(421)을 통해 순환펌프구동모듈(160)을 제어하여 용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LED광조절버튼(431)을 통해 LED 발광모듈(310)을 제어하고, 적외선광조절버튼(432)을 통해 적외선모듈(320)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자동LUX조절버튼(433)을 이용하여 LED 발광모듈(310) 및 적외선모듈(320)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타이머버튼(441)을 통해 타이머부(700)의 제어가 가능하고, 은물제어버튼(451)을 통해 은물생성모듈(130)을 제어하여 은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수소수제어버튼(461)을 통해 수소수생성모듈(140)을 제어하여 수소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는 성장촉진제와 비료 및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품질 좋은 새싹채소의 재배가 가능하고, 사용자의 식감 및 기호에 따른 새싹채소를 수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 새싹채소 재배기 11 : 전원버튼
12 : 스피커 100 : 용수공급부
110 : 용수공급모듈 120 : 용수저장모듈
130 : 은물생성모듈 131 : 은봉
140 : 수소수생성모듈 150 : 영양제공급모듈
160 : 순환펌프구동모듈 170 : 정수필터링모듈
200 : 식물성장부 300 : 조명공급부
310 : LED 발광모듈 320 : 적외선모듈
330 : 상하위치조절모듈 400 : 제어부
410 : 수온조절모듈 411 : 수온조절버튼
420 : 순환펌프제어모듈 421 : 순환펌프구동버튼
430 : 조명제어모듈 431 : LED광조절버튼
432 : 적외선광조절버튼 433 : 자동LUX조절버튼
440 : 타이머제어모듈 441 : 타이머버튼
450 : 은물제어모듈 451 : 은물제어버튼
460 : 수소수제어모듈 461 : 수소수제어버튼
500 : 측정부 510 : 수온측정모듈
520 : 조도측정모듈 530 : 수위측정모듈
600 : 저장부 610 : 성장정보저장모듈
620 : 기호정보저장모듈 700 : 타이머부
800 : 수위조절부 900 : 알람부

Claims (9)

  1. LED 광을 공급하여 새싹채소를 재배하는 새싹채소 재배기에 있어서,
    상기 새싹채소를 재배하기 위한 용수가 공급되어 저장되는 용수공급부;
    상기 새싹채소의 씨앗이 위치하여 발아되고 성장하며, 상기 새싹채소의 성장에 따라 상기 용수공급부로부터 상기 용수가 상기 새싹채소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하는 식물성장부;
    상기 새싹채소의 성장에 따라 기설정된 파장 대역의 LED 광을 상기 새싹채소에 공급하는 조명공급부;
    상기 용수공급부 및 조명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사용자가 선호하는 새싹채소의 성장 단계별로 요구되는 파장 대역의 LED광을 기설정된 시간과 강도로 조사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새싹채소를 재배할 수 있도록 상기 새싹채소의 성장 정보와 사용자의 기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 되어 용수공급부 용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기준수위 이하가 되면 상기 기준수위까지 용수를 공급하여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용수공급부는
    상기 용수공급부의 소정영역에서 은물을 생성하여 상기 용수공급부에 공급하는 은물생성모듈과, 상기 용수공급부의 소정영역에서 수소수를 생성하여 상기 용수공급부에 공급하는 수소수생성모듈과, 상기 새싹채소를 재배하기 위해 필요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모듈과, 상기 용수공급모듈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를 저장하는 용수저장모듈과, 상기 용수저장모듈에 공급되는 용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기준 수위로 조절되도록 기설정된 기준수위에 위치하여 상층의 용수저장모듈 용수가 하층의 용수저장모듈로 공급되도록 배치되는 용수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성장 정보는 기설정된 새싹채소의 성장에 따라 요구되는 LED 광의 파장 대역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기호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새싹채소 리스트(list)와 상기 새싹채소 수확물의 크기 및 단단함, 상기 새싹채소 수확물의 성장 정도, 엽육의 견고도, 식감 및 안토시아닌 발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공급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용수공급부에 공급되는 은물과 수소수가 상기 용수에 혼합될 수 있도록 상기 용수를 유동시키는 순환펌프구동모듈을 더 포함하는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공급부는
    상기 새싹채소의 성장에 따라 기설정된 파장 대역의 LED 광을 새싹채소에 조사하는 LED 발광모듈; 및
    상기 새싹채소에 적외선 광을 조사하는 적외선모듈을 포함하는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공급부는
    상기 조명공급부를 상하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LED 발광모듈 및 적외선모듈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는 상하위치조절모듈을 더 포함하는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공급부, 식물성장부 및 조명공급부는 복수의 층이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용수공급부의 각 상단에는 식물성장부가 구성되고, 상기 식물성장부의 각 상단에는 조명공급부가 구성되어 각각 대응되는 하단의 식물성장부에 LED 광 또는 적외선 광을 조사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공급부는 조명공급부의 상단에 인접되게 구성되어 상기 조명공급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상기 용수공급부로 전도되어 발열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공급부에 용수를 공급하는 예약 시간의 설정과 상기 조명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새싹채소에 LED 광을 조사하는 예약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부를 더 포함하는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
KR1020180040565A 2018-04-06 2018-04-06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 KR102100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565A KR102100145B1 (ko) 2018-04-06 2018-04-06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565A KR102100145B1 (ko) 2018-04-06 2018-04-06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274A KR20190117274A (ko) 2019-10-16
KR102100145B1 true KR102100145B1 (ko) 2020-04-13

Family

ID=68421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565A KR102100145B1 (ko) 2018-04-06 2018-04-06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1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06546A1 (en) 2020-01-15 2021-07-15 Shenzhen Number Energy Saving Corporation Combined led grow lighting system
CN111246634A (zh) * 2020-01-15 2020-06-05 深圳市朗文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组合式led植物补光系统
KR102459660B1 (ko) * 2020-01-16 2022-10-27 김광기 땅콩나물 재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289B1 (ko) * 2011-12-29 2014-03-04 대한민국 식물재배용 스마트 led 조명장치
JP2016021879A (ja) * 2014-07-16 2016-02-08 荒城 慶作 植物工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231B1 (ko) * 2001-08-09 2008-04-10 박시영 은(銀) 이온수 순간제조장치
KR101227959B1 (ko) * 2010-08-12 2013-01-30 정관선 엘이디조명 일체형 식물공장용 수경재배장치
KR101373891B1 (ko) 2012-07-24 2014-03-12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Led 조합광원의 광질과 광도 조절이 가능한 식물 재배 장치
WO2016035288A1 (ja) * 2014-09-01 2016-03-10 株式会社日本トリム 農業用電解水生成装置および農業用電解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289B1 (ko) * 2011-12-29 2014-03-04 대한민국 식물재배용 스마트 led 조명장치
JP2016021879A (ja) * 2014-07-16 2016-02-08 荒城 慶作 植物工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274A (ko)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145B1 (ko)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
TWI424809B (zh) 植物病害防除用照明系統
EP3661348B1 (en) Wake up light optimization for plant growth
EP2923561A1 (en) Hydroponic indoor gardening method
JP6369827B2 (ja) 植物の栽培方法及び植物の栽培装置
JP5779604B2 (ja) 植物栽培方法
KR101287155B1 (ko) 멀티 수경 재배 장치
FI2893800T3 (fi) Järjestelmä ja menetelmä kasvin kasvattamiseksi ainakin osittain säädellyssä ympäristössä
Promratrak The effect of using LED lighting in the growth of crops hydroponics
JP5723903B2 (ja) 植物栽培方法
KR20190128753A (ko) 저칼륨 야채의 양액 재배 방법, 저칼륨 야채 및 재배 장치
KR20150004641U (ko) 식물재배장치
NL1023053C2 (nl) Werkwijze en kas voor het kweken van gewas.
Johkan et al. Improved light conditions at the fruit truss accelerate harvest time and enhance ascorbic acid concentration in a low-truss, high-density tomato production system
KR100570834B1 (ko) 씨감자묘 재배베드
JP2021145605A (ja) 植物の高密度栽培方法
KR20180051863A (ko) 식물 재배장치
JP2014131506A5 (ko)
US20230128621A1 (en) Red and far-red light ratio during growth of basil
KR101277301B1 (ko) 조명 스탠드
KR101561658B1 (ko) 녹색 두채류를 포함한 새싹 재배장치
US20220210981A1 (en) Method For Optimizing Growth Of Microgreens
Munir et al. Growth and flowering of Antirrhinum majus L. under varying temperatures
WO2020067266A1 (ja) ケールの栽培方法およびサラダ
KR20200138555A (ko) 실내설치 가능한 식물재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