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054B1 -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054B1
KR102100054B1 KR1020180123683A KR20180123683A KR102100054B1 KR 102100054 B1 KR102100054 B1 KR 102100054B1 KR 1020180123683 A KR1020180123683 A KR 1020180123683A KR 20180123683 A KR20180123683 A KR 20180123683A KR 102100054 B1 KR102100054 B1 KR 102100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continuous
wate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3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5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non-sealed systems
    • B65G69/188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non-sealed systems with spraying means
    • B08B1/0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6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는: 연속하역기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며 물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이 외측과 연통되는 통로인 개구부를 구비하는 저장부와, 개구부로 삽입되는 연결관로를 통해 저장부의 물을 연속하역기로 이송시키는 배송부와, 저장부에 고정되며 개구부를 커버하는 개폐커버부 및 배송부에 연결되어 배송부와 함께 이동되며 연결관로와 마주하는 개폐커버부를 개방시키는 개폐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WATER SUPPLY DEVICE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본 발명은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되는 연속하역기에 연속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적재된 연료와 원료 등의 적재물을 지상의 벨트컨베이어로 이송하는 설비로 연속하역기(CONTINUOUS SHIP UNLOADER)를 사용하며, 벨트컨베이어를 포함한 굴삭부 등에 분진 방지를 위한 살수 작업이 요구되므로, 급수전에서 연장된 살수호스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0-0020731호(2000.04.15 공개, 발명의 명칭: 버켓 엘리베이터 형식의 연속식 하역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되는 연속하역기에 연속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는: 연속하역기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며 물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이 외측과 연통되는 통로인 개구부를 구비하는 저장부와, 개구부로 삽입되는 연결관로를 통해 저장부의 물을 연속하역기로 이송시키는 배송부와, 저장부에 고정되며 개구부를 커버하는 개폐커버부 및 배송부에 연결되어 배송부와 함께 이동되며 연결관로와 마주하는 개폐커버부를 개방시키는 개폐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커버부는, 저장부의 일측 상부를 커버하는 제1커버부재와, 제1커버부재와 마주하며 저장부의 타측 상부를 커버하는 제2커버부재 및 마주하는 제1커버부재와 제2커버부재의 단부를 따라 설치되며 개폐유도부의 이동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치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유도부는, 연결관로의 양측에 고정되며 연결관로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며 치형부재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유도부는, 한 쌍의 치형부재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관로의 양측에 고정되며 치형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크리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는, 지퍼 형태로 설치된 개폐커버부가 개폐유도부의 좌우 이동에 연동하여 개방되어 연결관로가 위치된 부분을 제외하고 개구부를 차폐하므로,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하역기의 이동경로를 따라서 물이 저장된 저장부를 설치하고, 연결관로가 개구부를 통해 저장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속하역기와 같이 이동되므로, 연속하역기에 연속적인 급수가 가능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크리너부가 이동하며 개폐커버부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이물질이 개구부를 통해 저장부의 내측으로 낙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1)는, 연속하역기(10)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며 물(36)이 저장되는 내부공간(34)이 외측과 연통되는 통로인 개구부(32)를 구비하는 저장부(30)와, 개구부(32)로 삽입되는 연결관로(42)를 통해 저장부(30)의 물(36)을 연속하역기(10)로 이송시키는 배송부(40)와, 저장부(30)에 고정되며 개구부(32)를 커버하는 개폐커버부(50) 및 배송부(40)에 연결되어 배송부(40)와 함께 이동되며 연결관로(42)와 마주하는 개폐커버부(50)를 개방시키는 개폐유도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안부두(20)에 설치되는 연속하역기(10)는, 선박(25)의 내측에 적재된 운송물(36)을 퍼서 벨트컨베이어로 이송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연속하역기(10)의 본체부(12)는 접안부두(20)에 깔린 레일(16)을 따라 이송되며, 레일(16)의 상측에 위치한 연속하역기(10)의 본체부(12)에는 지지패널(14)이 연결된다. 지지패널(14)은 본체부(12)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판 형상이다.
연속하역기(10)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저장부(30)는, 물(36)이 저장되는 내부공간(34)을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30)는, 연속하역기(1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16)과 나란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저장부(30)의 상측에는, 연속하역기(10)가 이동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부(32)가 형성된다. 개구부(32)는, 내부공간(34)이 외측과 연통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32)는, 연속하역기(10)의 이동경로를 따라 저장부(30)의 상측에 장공 형상으로 설치되며, 배송부(40)의 연결관로(42)가 개구부(32)를 통해 내부공간(34)으로 삽입된다.
저장부(30)에는 물(36)을 공급하는 급수배관(38)이 연결되며, 저장부(30)의 내측에는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80)가 설치된다. 수위센서(80)는 저장부(30)의 수위를 측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플로트(Float) 방식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80)는 제어부(82)와 연결되므로, 배송펌프(44) 및 급수배관(38)과 연결된 동력부재의 운전을 제어한다.
개구부(32)로 삽입되는 연결관로(42)를 통해 저장부(30)의 물(36)을 연속하역기(10)로 이송시키는 배송부(40)는, 지지패널(14)의 상측에 설치되는 배송펌프(44)와, 배송펌프(44)에 연결되며 개구부(32)를 통해 저장부(30)의 내측에 삽입된 연결관로(42)를 포함한다.
연결관로(42)가 삽입되는 개구부(32)는, 저장부(30)의 상측에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외부의 이물질이 개구부(32)를 통해 저장부(3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개폐커버부(50)가 저장부(30)에 설치된다.
개폐커버부(50)는 저장부(30)에 고정되며, 배송부(40)의 연결관로(42)가 이동되는 동작에 연동하여 개구부(32)를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커버부(50)는 제1커버부재(52)와 제2커버부재(54)와 치형부재(56)를 포함한다.
제1커버부재(52)는 저장부(30)의 일측 상부를 커버하며, 제2커버부재(54)는 제1커버부재(52)와 마주하며 저장부(30)의 타측 상부를 커버한다. 제1커버부재(52)와 제2커버부재(54)는 고무, 천, 합성수지 등 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성형된다. 또한 제1커버부재(52)와 제2커버부재(54)는 저장부(30)의 상측에 설치되며, 제1커버부재(52)와 제2커버부재(54)의 단부는 개구부(32)의 상측에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저장부(30)의 상측과 마주하는 제1커버부재(52)와 제2커버부재(54)는 저장부(30)에 고정된다.
치형부재(56)는 마주하는 제1커버부재(52)와 제2커버부재(54)의 단부를 따라 설치되며, 개폐유도부(60)의 이동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된다. 치형부재(56)는 지퍼의 이와 같은 형상이며, 개폐유도부(60)의 이동으로 서로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된다.
개폐유도부(60)는 배송부(40)에 연결되어 배송부(40)와 함께 이동되며, 연결관로(42)와 마주하는 개폐커버부(50)를 개방시키며, 연결관로(42)와 멀어지는 치형부재(56)를 결속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유도부(60)는 연결관로(42)의 양측에 고정되며, 연결관로(42)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치형부재(56)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킨다. 개폐유도부(60)는 한 쌍의 치형부재(56)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개폐유도부(60)의 일측은 폭이 좁고 타측은 폭이 넓게 형성된다. 연결관로(42)의 양측에 개폐유도부(60)가 설치되며, 폭이 넓은 부분이 연결관로(42)를 향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연결관로(42)가 이동할 때 연결관로(42)의 일측에 설치된 개폐유도부(60)가 치형부재(56)의 연결을 해제하며, 연결관로(42)의 타측에 설치된 개폐유도부(60)가 다시 치형부재(56)를 연결시킨다. 치형부재(56)와 개폐유도부(60)의 상세 구성과 동작은 지퍼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이에 따른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크리너부(70)는 연결관로(42)의 양측에 고정되며 치형부재(56)의 상측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너부(70)는, 연결관로(42)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프레임부재(72)와, 프레임부재(72)의 단부에 설치되며, 개폐커버부(50)의 상측에 있는 이물질을 밀어내는 판 형상의 판형크리너(74)와, 판형크리너(74)와 개폐유도부(60)의 사이에 설치되며, 개폐커버부(50)의 상측에 있는 이물질을 털어내는 브러쉬 형상의 브러쉬부(76)를 포함한다.
판형크리너(74)와 브러쉬부(76)는 연결관로(4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브러쉬부(76)는 개폐커버부(50)의 폭방향으로 브러쉬가 설치된다. 또한 판형크리너(74)는 고무판이나 우레탄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 판재도 판형크리너(74)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판형크리너(74)는 연결관로(42)와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뾰쪽한 부분이 설치되는 삼각형 형상이므로, 개폐커버부(50)의 상측에 있는 이물질을 개폐커버부(50)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급수배관(38)을 통해 저장부(30)의 내측에 물(36)이 공급되어 적정 수위에 도달하면, 수위센서(8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82)로 측정값을 전달하므로 물(36)의 급수를 중단시킨다.
연속하역기(10)에 설치된 펌프부(30)가 작동되면, 저장부(30)에 저장된 물(36)은 연결관로(42)를 통해 배송부(40)의 배송펌프(44)로 전달되어 연속하역기(10)로 공급된다.
연속하역기(10)가 레일(16)을 따라 이동하면, 연결관로(42)는 캐폐커버부를 통해 저장부(30)에 일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개구부(32)를 따라 이동된다. 연속하역기(10)가 레일(16)을 따라 이동하면, 연속하역기(10)에 설치된 배송부(40)도 연속하역기(10)와 함께 이동되며, 배송부(40)의 양측에 설치된 개폐유도부(60)와 크리너부(70)도 배송부(40)의 연결관로(42)와 함께 이동한다.
개폐유도부(60)가 이동하면서 치형부재(56)의 결합을 해제하므로 형성된 공간을 통해 연결관로(42)가 하측으로 연장되어 저장부(30)의 내측에 있는 물(36) 속으로 연장된다. 또한 연결관로(42)의 타측에 위치한 개폐유도부(60)는 치형부재(56)를 다시 결속하므로 연결관로(42)가 지나간 경로에 위치한 치형부재(56)는 다시 결속된다.
그리고 연결관로(42)의 양측에 설치된 브러쉬부(76)와 판형크리너(74)가 개폐커버부(50)의 상측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이물질이 저장부(30)의 내측으로 낙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연속하역기(10)의 이동에 따라 연결관로(42)와 배송펌프(44)와 개폐유도부(60)와 크리너부(70)도 이동되며, 배송부(40)의 연결관로(42)는 저장부(30)의 내측과 연결되어 물(36)을 지속적으로 공급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퍼 형태로 설치된 개폐커버부(50)가 개폐유도부(60)의 좌우 이동에 연동하여 개방되어 연결관로(42)가 위치된 부분을 제외하고 개구부(32)를 차폐하므로, 저장부(30)에 저장된 물(36)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속하역기(10)의 이동경로를 따라서 물(36)이 저장된 저장부(30)를 설치하고, 연결관로(42)가 개구부(32)를 통해 저장부(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속하역기(10)와 같이 이동되므로, 연속하역기(10)에 연속적인 급수가 가능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크리너부(70)가 이동하며 개폐커버부(50)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이물질이 개구부(32)를 통해 저장부(30)의 내측으로 낙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
10: 연속하역기 12: 본체부 14: 지지패널 16: 레일
20: 접안부두 25: 선박
30: 저장부 32: 개구부 34: 내부공간 36: 물 38: 급수배관
40: 배송부 42: 연결관로 44: 배송펌프
50: 개폐커버부 52: 제1커버부재 54: 제2커버부재 56: 치형부재
60: 개폐유도부
70: 크리너부 72: 프레임부재 74: 판형크리너 76: 브러쉬부
80: 수위센서 82: 제어부

Claims (5)

  1. 연속하역기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며, 물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이 외측과 연통되는 통로인 개구부를 구비하는 저장부;
    상기 개구부로 삽입되는 연결관로를 통해 상기 저장부의 물을 상기 연속하역기로 이송시키는 배송부;
    상기 저장부에 고정되며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개폐커버부; 및
    상기 배송부에 연결되어 상기 배송부와 함께 이동되며, 상기 연결관로와 마주하는 상기 개폐커버부를 개방시키는 개폐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커버부는,
    상기 저장부의 일측 상부를 커버하는 제1커버부재;
    상기 제1커버부재와 마주하며 상기 저장부의 타측 상부를 커버하는 제2커버부재; 및
    마주하는 상기 제1커버부재와 상기 제2커버부재의 단부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개폐유도부의 이동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치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유도부는,
    일측은 폭이 좁고 타측은 폭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로의 양측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관로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치형부재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고,
    상기 연결관로의 양측에 고정되며, 상기 치형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크리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리너부는, 상기 연결관로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커버부의 상측에 있는 이물질을 밀어내는 판 형상의 판형크리너; 및
    상기 판형크리너와 상기 개폐유도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커버부의 상측에 있는 이물질을 털어내는 브러쉬 형상의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도부는,
    한 쌍의 상기 치형부재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
  5. 삭제
KR1020180123683A 2018-10-17 2018-10-17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 KR102100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683A KR102100054B1 (ko) 2018-10-17 2018-10-17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683A KR102100054B1 (ko) 2018-10-17 2018-10-17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054B1 true KR102100054B1 (ko) 2020-04-10

Family

ID=70292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683A KR102100054B1 (ko) 2018-10-17 2018-10-17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0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94644A (zh) * 2021-12-28 2022-03-18 武昌理工学院 一种危化品存储腔的上盖结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834Y1 (ko) * 2004-11-22 2005-03-11 강희인 에어튜브 단수물통
KR20110047036A (ko) * 2009-10-29 2011-05-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기의 급수장치
KR20110047038A (ko) * 2009-10-29 2011-05-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20130013632A (ko) * 2011-07-28 2013-02-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
KR101562145B1 (ko) * 2014-09-25 2015-10-20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용 오탁수처리장치
KR20160150202A (ko) * 2015-06-19 2016-12-29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분진 비산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834Y1 (ko) * 2004-11-22 2005-03-11 강희인 에어튜브 단수물통
KR20110047036A (ko) * 2009-10-29 2011-05-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기의 급수장치
KR20110047038A (ko) * 2009-10-29 2011-05-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20130013632A (ko) * 2011-07-28 2013-02-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
KR101562145B1 (ko) * 2014-09-25 2015-10-20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용 오탁수처리장치
KR20160150202A (ko) * 2015-06-19 2016-12-29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분진 비산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94644A (zh) * 2021-12-28 2022-03-18 武昌理工学院 一种危化品存储腔的上盖结构
CN114194644B (zh) * 2021-12-28 2023-05-12 武昌理工学院 一种危化品存储腔的上盖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054B1 (ko)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
WO2016073749A1 (en) Material transport and distribution consist with controlled gated hopper cars and conveyor systems
CN108726103B (zh) 输送机系统上的张紧系统和驱动器定位
US4844336A (en) Heated roll-off container
KR101246321B1 (ko)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
KR101388008B1 (ko) 이송물 투입장치
KR101176005B1 (ko) 연속하역기의 급수장치
CN216186422U (zh) 装袋机构及作业机械
US20190194896A1 (en) Dry-bulk tanker, conveying system for a dry-bulk tanker, as well as work train
KR101572371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1277496B1 (ko) 스태커 리크레이머용 급수장치
JP4051642B2 (ja) ばら物運搬船
KR102336754B1 (ko) 연속식 하역기
KR101368263B1 (ko) 연속식 하역장치
JP2021004127A (ja) 屋内貯炭設備及びその運転方法
KR102109494B1 (ko) 하역기용 살수 시스템
KR20200134394A (ko) 연속식하역기용 급수장치
KR20130121425A (ko) 벨트 컨베이어의 스커트 장치
KR102133114B1 (ko) 슈트부의 분진비산방지장치
JP6056034B2 (ja) 揚荷装置
KR20180136756A (ko) 일체형 구조를 포함하는 슈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장치
JP6484211B2 (ja) 揚荷装置
KR101424466B1 (ko) 연속하역장비용 낙광 제거장치
JP2530905Y2 (ja) コンベヤ荷役装置
JP2021017922A (ja) エアシリン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計量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