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721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721B1
KR102099721B1 KR1020197005647A KR20197005647A KR102099721B1 KR 102099721 B1 KR102099721 B1 KR 102099721B1 KR 1020197005647 A KR1020197005647 A KR 1020197005647A KR 20197005647 A KR20197005647 A KR 20197005647A KR 102099721 B1 KR102099721 B1 KR 102099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lass support
housing
glass
cover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9733A (ko
Inventor
신충환
김성환
김아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29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04M1/0252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by means of a snap-on mechan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04M1/0269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mounted in a fixed curved configuration, e.g. display curved around the edges of the telephone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전면을 향해 개방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고 상기 내부 공간의 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커버 글라스; 상기 커버 글라스의 변에 인접하여 상기 커버 글라스의 후면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 글라스에 고정되는 글라스 서포트; 상기 커버 글라스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에서 상기 프레임 본체의 후방으로 굽어진 제1 프레임 연장부,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 연장부에서 벤딩되어 상기 글라스 서포트와 결합하는 제2 프레임 연장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커버 글라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프레임 연장부에 인접한 엣지 영역은 상기 글라스 서포트와 상기 제1 프레임 연장부의 사이에 배치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단부가 측면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의 베젤 영역 폭이 좁게 형성되는 기술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발명은 디스플레이의 단부가 측면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면을 향해 개방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고 상기 내부 공간의 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커버 글라스; 상기 커버 글라스의 변에 인접하여 상기 커버 글라스의 후면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 글라스에 고정되는 글라스 서포트; 상기 커버 글라스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에서 상기 프레임 본체의 후방으로 굽어진 제1 프레임 연장부,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 연장부에서 벤딩되어 상기 제1 프레임 연장부와 상기 글라스 서포트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글라스 서포트와 결합하는 제2 프레임 연장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커버 글라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프레임 연장부에 인접한 엣지 영역은 상기 글라스 서포트와 상기 제1 프레임 연장부의 사이에 배치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글라스 서포트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 연장부에서 상기 글라스 서포트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1 개구부에 끼워지는 프레임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프레임 연장부는, 상기 제1 프레임 연장부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 돌출부는, 상기 제2 프레임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향해 경사진 제2 경사면; 그리고 상기 제2 경사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프레임 연장부를 향해 경사진 제1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 연장부와 상기 글라스 서포트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 글라스에서 상기 제2 프레임 연장부를 향하여 깊이를 가지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엣지 영역을 수용하는 트렌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글라스 서포트는, 상기 커버 글라스에 고정되는 제1 글라스 서포트; 그리고 상기 제1 글라스 서포트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며 상기 제1 글라스 서포트와 이질의 소재로 구성된 제2 글라스 서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글라스 서포트는, 플라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글라스 서포트와 상기 프레임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텀 하우징; 그리고 상기 바텀 하우징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결합하는 사이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글라스 서포트는,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하우징은, 상기 글라스 서포트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2 개구부에 끼워지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글라스 서포트는,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사이드 하우징에 연결되되 상기 사이드 하우징과 이격되어 상기 제2 개구부에 끼워지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글라스 서포트는,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개구부; 그리고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사이드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개구부에 비하여 상기 커버 글라스에 인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 글라스는, 플레이트 형상의 플랫 커버 글라스; 그리고 상기 플랫 커버 글라스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을 향해 굽어지고 볼록한 형상의 커브드 커버 글라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플랫 커버 글라스의 후면과 마주하는 플랫 디스플레이 패널; 그리고 상기 플랫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연장되되 상기 커브드 커버 글라스의 후면과 마주하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글라스 서포트는, 상기 커브드 커버 글라스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형성된 베젤의 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이동 단말기의 내부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유닛이 하우징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커브드 디스플레이가 이동 단말기의 내부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단면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내지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하우징과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의 전면이 보여진다. 이동 단말기(10)의 전면에, 제1 카메라(121a), 제1 음향출력부(152a), 그리고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관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하우징(102)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전면 카메라(121a)라 칭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음향출력부(152a)는,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음향출력부(152a)는, 통화음, 알람 신호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이동 단말기(1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이미지 또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터치 센서(touch sensor,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터치 입력(touch input)을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이미지 또는 영상을 표시하는 LCD 또는 OLED를 포함할 수 있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는, 기존의 LCD에 비하여 얇으며 플렉시블(flexible)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OLED의 장착 구조가 고려될 수 있다.
하우징(102)은,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102)은,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02)의 내부 공간은, 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하우징(102)의 전면에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위치함으로써, 하우징(102)의 내부 공간은 밀폐될 수 있다.
하우징(102)은, 유니바디(unibody)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2)의 측면과 배면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2)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2)이 금속으로 구성되는 경우, 하우징(102)은, 주조(cast) 또는/및 프레스 가공 또는/및 NC 가공 등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금속의 유니바디로 형성된 하우징(102)은, 방수(waterproof) 및 방진(dustproof)의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금속으로 구성된 하우징(102)은, 금속의 성질에 의하여, 강도(strength) 및 내구성(durability)의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를 A-A를 따라 자른 단면사시도이다.
하우징(102)의 내부 공간에 복수 개의 전자 부품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121a), 제1 음향출력부(152a), 배터리(191), 그리고 메인 회로기판(181)이 하우징(102)에 안착될 수 있다.
메인 회로기판(181)은, 제1 카메라(121a), 제1 음향출력부(152a), 배터리(191), 그리고 디스플레이 유닛(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회로기판(181)은, 배터리(19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메인 회로기판(181)은, 제1 음향출력부(152a)에 음향신호를 제공하고 디스플레이 유닛(200)에 영상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메인 회로기판(181)은, 디스플레이 유닛(200)으로부터 터치 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하우징(102)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적어도 일부는 비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비금속의 LCD 또는 OLED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2)이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200)과 하우징(102)의 결합 구조가 고려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하우징(200)에 장착되기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하우징(200)에서 분리되기 용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의 수리 등이 용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B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하우징(102)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02)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2)은, 바텀 하우징(102b)과 사이드 하우징(102s)를 포함할 수 잇다. 바텀 하우징(102b)과 사이드 하우징(102s)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텀 하우징(102b)은 하우징(102)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하우징(102s)은, 하우징(102)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02)은 결합돌기(104)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104)는, 하우징(102)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돌기(104)는, 사이드 하우징(102s)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04)는 하우징(10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일부는, 결합돌기(104)에 대응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결합돌기(104)에 결합될 수 있다.
글라스 서포트(230)는, 결합돌기(104)에 결합될 수 있다. 글라스 서포트(23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글라스 서포트(230)의 일부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결합돌기(104)에 결합할 수 있다. 글라스 서포트(230)는 커버 글라스(210)를 고정할 수 있다. 글라스 서포트(230)는, 제1 글라스 서포트(232)와 제2 글라스 서포트(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글라스 서포트(232)는 커버 글라스(2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글라스 서포트(242)는 하우징(10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글라스 서포트(232)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글라스 서포트(242)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글라스 서포트(242)는, 제1 글라스 서포트(232)와 이질적인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글라스 서포트(232)는, 제1 글라스 서포트(232)를 제2 글라스 서포트(242)와 함께 사출성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커버 글라스(210)는 글라스 서포트(2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커버 글라스(210)는 제1 글라스 서포트(232)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 글라스(210)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수 있다.
프레임(270)은, 글라스 서포트(23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270)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70)은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70)은, 프레임 본체(272)와 제1 프레임 연장부(27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70)은, 하우징(102)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270)은, 글라스 서포트(230)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270)은, 하우징(102)에 형성된 내부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프레임(270)은 하우징(102)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270)과 하우징(102) 사이에 다수의 전자 부품이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 본체(272)는, 커버 글라스(2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 본체(272)는, 커버 글라스(2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 본체(272)는,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프레임 연장부(274)는, 프레임 본체(272)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연장부(274)는, 프레임 본체(272)의 일부가 굽어져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연장부(274)는, 제2 글라스 서포트(242)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연장부(274)와 제2 글라스 서포트(242)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연장부(274)와 제2 글라스 서포트(242)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은, 트렌치라 칭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연장부(276)는, 제1 프레임 연장부(274)의 일부가 벤딩(bend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연장부(276)는, 제1 프레임 연장부(274)와 제2 글라스 서포트(24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연장부(276)는, 제2 글라스 서포트(242)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연장부(276)는, 제1 프레임 연장부(274)에서 연장되어 폴딩(folding)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프레임 연장부(276)는, 프레임(270)에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연장부(276)는, 제1 프레임 연장부(27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연장부(276)와 제1 프레임 연장부(274) 사이에 벤딩부(BP)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연장부(276)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 연장부(276)는, 제1 프레임 연장부(274)에서 제2 글라스 서포트(242)를 향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제2 프레임 연장부(276)가 탄성력을 가지면, 제2 프레임 연장부(276)는 제2 글라스 서포트(242)에 용이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는, 프레임(270)에 안착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는, 프레임(270)과 커버 글라스(2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는, 커버 글라스(210)에 부착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의 일부는 트렌치에 삽입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의 적어도 일부는 플렉시블(flexible)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는, 디스플레이 패널(262)과 디스플레이 FPCB(26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62)은, 커버 글라스(21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62)은, 커버 글라스(210)에 부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62)은, 결합 부재(FM)에 의해 커버 글라스(210)에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62)은, LCD 또는 OLE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262)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62)은, 터치 센서(touch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FPCB(264)는, 디스플레이 패널(262)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FPCB(264)는 디스플레이 패널(26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FPCB(264)는, 터치 센서에 연결된 FPCB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FPCB(264)는, 프레임(270)에 안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FPCB(264)의 일부(266)는 트렌치에 삽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FPCB(264)의 단부(266)가 트렌치에 삽입됨으로써, 디스플레이 FPCB(264)는 프레임(27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이동 단말기(1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측면은, 사이드 하우징(102s)과 디스플레이 유닛(2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글라스(210)는, 전체적으로 평평한 형상이되 단부에서 굽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 글라스(210)는, 플랫 커버 글라스(210f)와 커브드 커버 글라스(210c)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 커버 글라스(210f)는, 평평한 형상일 수 있다. 플랫 커버 글라스(210f)는, 플레이트(plate)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브드 커버 글라스(210c)는, 플랫 커버 글라스(210f)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브드 커버 글라스(210c)는, 플랫 커버 글라스(210f)의 단부에서 플랫 커버 글라스(210f)의 후방을 향해 또는 하우징(102)을 향해 굽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브드 커버 글라스(210c)는, 외부를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글라스 서포트(230)는, 커버 글라스(210)의 단부에 인접하며 커버 글라스(210)에 고정될 수 있다. 글라스 서포트(230)는, 커버 글라스(210)를 지지할 수 있다. 글라스 서포트(230)는, 커버 글라스(210)와 하우징(10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글라스 서포트(230)의 일부는, 커버 글라스(210)의 단부와 사이드 하우징(102s)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글라스 서포트(230)는, 제1 글라스 서포트(232)와 제2 글라스 서포트(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글라스 서포트(232)는 커브드 커버 글라스(210c)와 사이드 하우징(102s)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글라스 서포트(232)는, 커버 글라스(210)와 하우징(102)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제1 글라스 서포트(232)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글라스 서포트(232)의 일부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제2 글라스 서포트(242)는, 제1 글라스 서포트(232)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글라스 서포트(242)는, 제1 글라스 서포트(232)의 일측에 연결되고 하우징(10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글라스 서포트(242)는, 하우징(102)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글라스 서포트(242)는, 사이드 하우징(102s)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글라스 서포트(242)는, 예를 들어 사이드 하우징(102s)의 내측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2 글라스 서포트(242)는, 다른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이드 하우징(102s)의 내측에 형성된 구성과 물리적인 결합을 할 수 있다. 제2 글라스 서포트(242)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글라스 서포트(242)는, 사이드 하우징(102s)과 제2 프레임 연장부(27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270)은, 제2 글라스 서포트(242)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연장부(276)는, 제2 글라스 서포트(242)에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연장부(276)는, 제2 글라스 서포트(242)와 제1 프레임 연장부(27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연장부(274)는, 제2 프레임 연장부(276)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연장부(274)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제2 프레임 연장부(276)에 비하여 길 수 있다. 여기서 전후 방향은, 커버 글라스(210)에서 바텀 하우징(102b)을 연결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연장부(274)는 프레임 본체(272)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연장부(276)와 제1 프레임 연장부(274) 사이에 벤딩부(BP)가 형성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는, 프레임(270)에 안착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는, 프레임(270)과 커버 글라스(2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의 일부는, 프레임(270)과 글라스 서포트(230)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는, 커버 글라스(21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는, 예를 들어 결합 부재(FM)에 의해 커버 글라스(210)에 부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62)은, 커버 글라스(210)에 부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62)은, 커버 글라스(210)의 후면에 위치하며 커버 글라스(210)의 형상에 대응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62)은, 플랫 디스플레이 패널(262f)과 커브드 디스플레이 패널(262c)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 디스플레이 패널(262f)은, 플랫 커버 글라스(210f)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커브드 디스플레이 패널(262c)은, 커브드 커버 글라스(210c)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커브드 디스플레이 패널(262c)은, 플랫 디스플레이 패널(262f)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브드 디스플레이 패널(262c)은, 플랫 디스플레이 패널(262f)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62)은, 플렉시블(flexible)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62)은, 커버 글라스(210)의 후면에 부착됨에 따라, 커버 글라스(210)의 영역에 대응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262)은, 플랫 커버 글라스(210f)에 대응된 영역과 커브드 커버 글라스(210c)에 대응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플랫 디스플레이 패널(262f)은, 디스플레이 패널(262)의 영역 중 플랫 커버 글라스(210f)에 대응된 영역일 수 있다. 커브드 디스플레이 패널(262c)은, 디스플레이 패널(262)의 영역 중 커브드 커버 글라스(210c)에 대응된 영역일 수 있다.
커브드 디스플레이 패널(262c)은, 커브드 커버 글라스(210c)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브드 디스플레이 패널(262c)은, 플랫 디스플레이 패널(262f)의 단부에서 바텀 하우징(102b)를 향해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브드 디스플레이 패널(262c)은, 외부를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브드 디스플레이 패널(262c)은, 이동 단말기(10)의 측면에 이미지 또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SDU1)과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SDU2)이 보여진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SDU1)과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SDU2)이 서로 결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200)과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SDU2)으로 모듈화될 수 있다.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SDU1)은, 커버 글라스(210)와 글라스 서포트(230)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글라스(210)는 플랫(flat)한 형상일 수 있다. 커버 글라스(210)는 단부에서 굽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 글라스(210)는 투명한 영역 또는/및 불투명한 영역 또는/및 반투명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글라스 서포트(230)는, 커버 글라스(2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라스 서포트(230)는, 커버 글라스(210)의 나란한 두 장변에 결합할 수 잇다. 글라스 서포트(230)는, 커버 글라스(21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글라스 서포트(230)는, 복수 개의 개구부(opening)를 형성할 수 있다. 글라스 서포트(230)에 형성된 개구부의 일부는, 프레임(270)에 끼워질 수 있다. 글라스 서포트(230)에 형성된 개구부의 다른 일부는, 하우징(102, 도 3 참조)에 끼워질 수 있다.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SDU2)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와 프레임(27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는 프레임(270)의 전면에 안착될 수 있다. 프레임(270)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SDU1)과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SDU2)은, 결합할 수 있다.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SDU1)의 글라스 서포트(232)와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SDU2)의 프레임(270)은,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SDU1)과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SDU2)이 결합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는, 커버 글라스(210)와 프레임(270) 사이에 위치하며 커버 글라스(21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글라스 서포트(232)와 프레임(270)이 결합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의 일부는, 글라스 서포트(232)와 프레임(270)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의 일부가 글라스 서포트(232)와 프레임(270)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가 안정적으로 프레임(270)에 안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단면이 분해도로 표시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262)은,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262)은, 상층 디스플레이 패널(262s)과 하층 디스플레이 패널(262d)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층 디스플레이 패널(262d)은, 예를 들어 O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층 디스플레이 패널(262s)은, 예를 들어 터치 센서(touch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층 디스플레이 패널(262s)과 하층 디스플레이 패널(262d)은, 적층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FM2)는, 상층 디스플레이 패널(262s)과 하층 디스플레이 패널(262d)를 결합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FM2)는, 예를 들어 OCA(optical clear adhesive)로 구성될 수 있다. 상층 디스플레이 패널(262s)은, 커버 글라스(210)에 부착될 수 있다. 하층 디스플레이 패널(262d)은, 디스플레이 FPCB(264)에 적층될 수 있다. 하층 디스플레이 패널(263d)은, 디스플레이 FPCB(264)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FPCB(264)는, 상층 디스플레이 패널(262s)에 연결된 FPCB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전후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글라스(210), 제1 결합부재(FM1), 상층 디스플레이 패널(262s), 제2 결합부재(FM2), 하층 디스플레이 패널(262d), 디스플레이 FPCB(264), 그리고 프레임(272)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횡방향으로 살펴볼 수 있다. 여기서 횡방향은, 도 6에서 좌우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글라스 서포트(242), 제2 프레임 연장부(276), 그리고 제1 프레임 연장부(274)가 차례대로 위치할 수 있다. 다른 높이에서 살펴보면, 제2 글라스 서포트(252), 디스플레이 FPCB의 일부(266), 그리고 제1 프레임 연장부(274)가 차례대로 위치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연장부(276)와 제1 프레임 연장부(274) 사이에 벤딩부(BP)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FPCB의 일부(266)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의 엣지 영역(266)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엣지 영역(266)은, 제1 프레임 연장부(274)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관찰된다. 외관상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가 나타날 수 있다. 글라스 서포트(230)와 프레임(270)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글라스 서포트(230)의 개구부 중 일부는, 프레임(270)에 끼워질 수 있다.
글라스 서포트(270)는, 프레임(270)에 끼워지지 않은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글라스 서포트(270)의 개구부 중에서 프레임(270)에 끼워지지 않은 개구부는, 하우징(102, 도 3 참조)에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라스 서포트(270)의 개구부 중에서 프레임(270)에 끼워지지 않은 개구부는, 하우징(102, 도 3 참조)의 내측에 돌출된 돌기에 끼워질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C를 나타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 돌출부(276P)는 제2 프레임 연장부(276)에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돌출부(276P)는, 제2 프레임 연장부(276)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돌출부(276P)는, 제2 프레임 연장부(276)에서 제2 글라스 서포트(242)를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 돌출부(276P)는, 제2 글라스 서포트(242)에 형성된 개구부에 끼워질 수 있다.
프레임 돌출부(276P)는, 경사진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돌출부(276P)는, 제1 경사부(SLP1)와 제2 경사부(SL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부(SLP1)와 제2 경사부(SLP2)는, 프레임 돌출부(276P)를 제2 글라스 서포트(242)에서 가이드(guide)할 수 있다.
도 9 및 10은, 글라스 서포트와 프레임의 결합 및 분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글라스 서포트(242)와 프레임(270)이 분리된 상태에서, 프레임 돌출부(276P)가 글라스 서포트(242)에 접근할 수 있다. 도 9에서 글라스 서포트(242)와 프레임(270)의 결합은, 글라스 서포트(242)를 기준으로 하는 프레임(270)의 이동으로 설명될 수 있다. 제1 방향은, 글라스 서포트(242)와 프레임(270)이 분리된 상태에서, 프레임 돌출부(276)가 글라스 서포트(242)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은, 도 9에서 화살표 방향일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프레임 돌출부(276P)가 글라스 서포트(242)에 더 접근하게 되면, 제1 경사부(SLP1)는, 글라스 서포트(242)에 접하며 제1 프레임 연장부(274)를 향해 압력을 받을 수 있다. 제1 경사부(SLP1)가 제1 프레임 연장부(274)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받으면, 프레임 돌출부(276P)는, 제1 프레임 연장부(274)에 접근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연장부(276)는, 제1 프레임 연장부(274)에 대하여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 프레임 연장부(276)는, 제1 프레임 연장부(274)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더라도 원래의 위치로 복위하려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 돌출부(276P)가 제1 프레임 연장부(274)에 접근하면, 제2 프레임 연장부(276)에 형성된 프레임 돌출부(276P)는 원래의 위치로 복위하려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 돌출부(276P)가 제1 방향으로 더 이동하게 되면, 프레임 돌출부(276)는 글라스 서포트(242)와 제1 프레임 연장부(27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 돌출부(276P)가 제1 방향으로 더 이동하게 되면, 프레임 돌출부(276P)는, 탄성력에 의해 글라스 서포트(242)에 형성된 개구부(OPN)에 끼워질 수 있다. 프레임(276, 276P)은, 글라스 서포트(242)와 후크 결합(hook coupling)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연장부(276)와 제1 프레임 연장부(274) 사이에 벤딩부(BP)가 형성될 수 있다. 벤딩부(BP)를 중심으로 프레임(270)과 글라스 서포트(242)의 결합을 살펴볼 수 있다. 프레임 돌출부(276P)가 글라스 서포트(242)에 접근하여 압력을 받으면, 벤딩부(BP)는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벤딩부(BP)가 변형되는 방향은 제1 프레임 연장부(274)와 제2 프레임 연장부(276) 사이일 수 있다. 프레임 돌출부(276P)가 제1 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프레임 돌출부(276P)가 개구부(OPN)에 끼워져서, 벤딩부(BP)는 원래 형상으로 돌아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글라스 서포트(242)와 프레임(270)이 결합된 상태에서, 프레임 돌출부(276P)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0에서 글라스 서포트(242)와 프레임(270)의 분리는, 글라스 서포트(242)를 기준으로 하는 프레임(270)의 이동으로 설명될 수 있다. 제2 방향은, 도 10에서 화살표 방향일 수 있다.
프레임 돌출부(276P)가 글라스 서포트(242)에서 제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 경사부(SLP2)는 글라스 서포트(242)에 의하여 제1 프레임 연장부(274)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받을 수 있다. 제2 경사부(SLP2)가 제1 프레임 연장부(274)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받으면, 프레임 돌출부(276P)는, 제1 프레임 연장부(274)에 접근할 수 있다.
프레임 돌출부(276P)가 제2 방향으로 더 이동하게 되면, 프레임 돌출부(276P)는 제1 프레임 연장부(274)에 접근하면서 개구부(OPN)에서 벗어나 글라스 서포트(242)와 제1 프레임 연장부(27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 돌출부(276P)가 제2 방향으로 더 이동하게 되면, 프레임 돌출부(276P)는 글라스 서포트(242)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11은, 도 7의 D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글라스 서포트(242)는 제1 개구부(OPN1)와 제2 개구부(OPN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부(OPN1)는, 프레임 돌출부(270P)가 위치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N1)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프레임 돌출부(270P)는, 제1 개구부(OPN1)의 개수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부(OPN2)는, 제1 개구부(OPN1)에 비하여 제1 글라스 서포트(242) 또는 커버 글라스(210)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개구부(OPN2)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연장부(276)는, 제1 개구부(OPN1)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제2 개구부(OPN2)의 인접 영역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 단차부(STP)가 제2 개구부(OPN2)에 인접하여 프레임(274, 276)에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단차부(STP)는, 인접한 영역에 비하여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 단차부(STP)는, 제2 개구부(OPN2)가 하우징(102, 도 3 참조)에 결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 단차부(STP)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2는, 도 7의 E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가 없는 상태가 고려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가 없는 상태의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관찰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가 없는 상태에서, 글라스 서포트(242)와 프레임(274) 사이에 빈 공간으로서 트렌치(DPR)가 형성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가 없는 상태에서, 커버 글라스(210)와 프레임(272) 사이에 빈 공간으로서 간층(ITL)이 형성될 수 있다. 트렌치(DPR)는 간층(ITL)과 연통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가 간층(ITL)과 트렌치(DPR)에 위치하는 상태의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관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62)은, 간층(ITL)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FPCB(264)는 간층(ITL)에 위치하며 프레임 본체(272)에 안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FPCB의 단부(266)는, 트렌치(DPR)에 삽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FPCB의 단부(266)는, 제1 프레임 연장부(274)에 안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FPCB의 단부(266)가 트렌치(DPR)에 삽입됨으로써, 디스플레이 FPCB(264)는 프레임(272, 274)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242)은 하우징(104)과 후크 결합(hook coupling)할 수 있다. 사이드 하우징(102s)에 형성된 결합돌기(104)는, 제2 글라스 서포트(242)에 형성된 개구부에 끼워질 수 있다. 사이드 하우징(102s)과 바텀 하우징(102b)은, 탄성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돌기(104)가 제2 글라스 서포트(242)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과정에서, 사이드 하우징(102s)은 바텀 하우징(102b)에 대하여 일시적을 벌어질 수 있다. 사이드 하우징(102s)이 바텀 하우징(102b)에 대하여 일시적을 벌어지더라도, 사이드 하우징(102s)은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FPCB의 단부(266)는, 결합돌기(104)에 마주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FPCB의 단부(266)는, 이동 단말기(10)에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해 결합돌기(104)로부터 손상받을 우려가 있다. 제2 프레임 연장부(276)는, 디스플레이 FPCB의 단부(266)를 보호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연장부(276)의 일부는 횡방향으로 결합돌기(104)와 오버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 연장부(276)는 결합돌기와 횡방향으로 높이 h1의 거리만큼 오버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연장부(276)가 결합돌기(104)와 오버랩됨으로써, 결합돌기(104)에 의한 디스플레이 FPCB의 단부(266)의 손상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4 및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과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측면에 개구부(OPN2)가 형성될 수 있다. 래치(L)는,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래치(L)는, 글라스 서포트(242)에 형성될 수 있다. 래치(L)는, 개구부(OPN2)에 인접할 수 있다. 개구부(OPN2)는, 제1 글라스 서포트(232)와 래치(L)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이드 하우징(102s)의 내측면에 하우징 오목부(HDP)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오목부(HDP)를 사이에 두고, 보스(BS)가 위치할 수 있다. 보스(BS)는, 사이드 하우징(102s)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보스(BS)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바(SB)는, 양 보스(BS)를 연결할 수 있다. 사이드바(SB)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바(SB)에 후크(HK)가 연결될 수 있다. 후크(HK)는, 하우징 오목부(HDP)와 사이드바(S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후크(HK)의 일부는, 하우징 오목부(HDP)에 수용될 수 있다. 후크(HK)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HK)는, 제1 경사면(SLP1)과 제2 경사면(SLP2)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HK)의 제1 경사면(SLP1)은, 후크(HK)가 디스플레이 유닛(200)에 결합될 때 후크(HK)를 개구부(OPN2)로 가이드할 수 있다. 후크(HK)의 제2 경사면(SLP2)은, 후크(HK)가 디스플레이 유닛(200)에서 분리될 때, 후크(HK)를 개구부(OPN2)의 외부로 가이드할 수 있다.
후크(HK)는, 홀더(H)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H)는, 제2 경사면(SLP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홀더(H)는, 래치(L)에 대응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크(HK)가 디스플레이 유닛(200)에 결합되면, 홀더(H)는 래치(L)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홀더(H)는, 사이드바(S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면(SLP1)과 제2 경사면(SLP2)은, 홀더(H)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면(SLP1)과 제2 경사면(SLP2)은, 홀더(H)에 대하여 탄성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경사면(SLP1)과 제2 경사면(SLP2)은, 홀더(H)에 대하여 일시적으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더라도 원위치로 되돌아가려는 복원력 또는 탄성력을 구비할 수 있다.
후크(HK)가 디스플레이 유닛(200)에 결합하거나 분리되는 과정은, 프레임(270, 도 9 및 10 참조)이 글라스 서포트(242, 도 9 및 10 참조)에 결합하거나 분리되는 과정과 유사하다.
도 1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하우징(102)에 결합된 모습이 나타난다. 도 15에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면 처리되었다. 후크(HK)는, 제2 글라스 서포트(242)에 형성된 개구부(OPN2)에 끼워질 수 있다. 제2 글라스 서포트(242)에 형성된 개구부(OPN2)는, 후크(HK)의 제1 경사면(SLP1)과 제2 경사면(SLP2)을 수용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후크(HK)의 홀더(H)는, 글라스 서포트(242)의 래치(L)와 결합할 수 있다. 후크(HK)의 홀더(H)는, 글라스 서포트(242)의 래치(L)를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FPCB의 단부(266)는, 홀더(H)에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전면을 향해 개방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고 상기 내부 공간의 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커버 글라스;
    상기 커버 글라스의 변에 인접하여 상기 커버 글라스의 후면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 글라스에 고정되는 글라스 서포트;
    상기 커버 글라스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에서 상기 프레임 본체의 후방으로 굽어진 제1 프레임 연장부,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 연장부에서 벤딩되어 상기 제1 프레임 연장부와 상기 글라스 서포트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글라스 서포트와 결합하는 제2 프레임 연장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커버 글라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프레임 연장부에 인접한 엣지 영역은 상기 글라스 서포트와 상기 제1 프레임 연장부의 사이에 배치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서포트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 연장부에서 상기 글라스 서포트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1 개구부에 끼워지는 프레임 돌출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 연장부는, 상기 제1 프레임 연장부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이동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돌출부는,
    상기 제2 프레임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향해 경사진 제2 경사면; 그리고
    상기 제2 경사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프레임 연장부를 향해 경사진 제1 경사면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 연장부와 상기 글라스 서포트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 글라스에서 상기 제2 프레임 연장부를 향하여 깊이를 가지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엣지 영역을 수용하는 트렌치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서포트는,
    상기 커버 글라스에 고정되는 제1 글라스 서포트; 그리고
    상기 제1 글라스 서포트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며 상기 제1 글라스 서포트와 이질의 소재로 구성된 제2 글라스 서포트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라스 서포트는, 플라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글라스 서포트와 상기 프레임은, 금속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텀 하우징; 그리고
    상기 바텀 하우징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결합하는 사이드 하우징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서포트는,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하우징은, 상기 글라스 서포트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2 개구부에 끼워지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서포트는,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사이드 하우징에 연결되되 상기 사이드 하우징과 이격되어 상기 제2 개구부에 끼워지는 후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서포트는,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개구부; 그리고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사이드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개구부에 비하여 상기 커버 글라스에 인접한, 이동 단말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글라스는,
    플레이트 형상의 플랫 커버 글라스; 그리고
    상기 플랫 커버 글라스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을 향해 굽어지고 볼록한 형상의 커브드 커버 글라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플랫 커버 글라스의 후면과 마주하는 플랫 디스플레이 패널; 그리고
    상기 플랫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연장되되 상기 커브드 커버 글라스의 후면과 마주하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서포트는,
    상기 커브드 커버 글라스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이동 단말기.
KR1020197005647A 2016-09-21 2016-09-21 이동 단말기 KR102099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10544 WO2018056476A1 (ko) 2016-09-21 2016-09-21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733A KR20190029733A (ko) 2019-03-20
KR102099721B1 true KR102099721B1 (ko) 2020-04-10

Family

ID=61690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647A KR102099721B1 (ko) 2016-09-21 2016-09-21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42788B2 (ko)
KR (1) KR102099721B1 (ko)
WO (1) WO20180564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397B1 (ko) * 2018-08-20 2023-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제조방법
CN109890158B (zh) * 2019-03-29 2020-08-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和电子设备
WO2022155804A1 (zh) * 2021-01-20 2022-07-28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交互智能平板
US11782483B2 (en) * 2021-08-25 2023-10-10 Google Llc Uniformly narrow display bezels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7543B2 (en) * 2008-04-11 2013-09-17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using structures
JP2010134139A (ja) * 2008-12-04 2010-06-17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JP5477103B2 (ja) * 2010-03-26 2014-04-23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の製造方法
JP5522732B2 (ja) * 2010-08-25 2014-06-18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ディスプレイの支持構造及び電子機器
KR101320385B1 (ko) *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8723824B2 (en) * 2011-09-27 2014-05-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US10088863B2 (en) * 2011-09-30 2018-10-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over layers mounted to displays
US9864403B2 (en) * 2011-12-02 2018-01-09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tructural glass members
KR101951416B1 (ko) * 2012-01-12 2019-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918987B1 (ko) * 2012-02-08 2018-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5531753B (zh) * 2014-09-02 2019-05-03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显示模组及具有该显示模组的电子装置
US9379355B1 (en) * 2014-12-15 2016-06-28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support layer with rounded edge
KR102296846B1 (ko) 2015-02-06 2021-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버튼 어셈블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10549B1 (ko) * 2015-04-09 2022-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베젤리스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28948A1 (en) 2020-01-23
KR20190029733A (ko) 2019-03-20
US10742788B2 (en) 2020-08-11
WO2018056476A1 (ko)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189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ide speaker hole
KR102099721B1 (ko) 이동 단말기
US8947882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10491728B2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key module
KR101900282B1 (ko) 전자 장치를 위한 마이크로폰 장치
US10446913B2 (en) Mobile terminal
US9877389B2 (en) Mobile terminal
KR20180001670A (ko)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06242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71262A (ko) 이동 단말기
US10558833B2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9641658B2 (en) Mobile terminal comprising edge mounted LCD display module and window
CN109274787B (zh) 电子装置
CN109120752B (zh) 电子装置
KR20160122514A (ko) 이동 단말기
EP2629147B1 (en) Window for preventing camera distortion in an electronic device
US9049280B2 (en) Display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display unit
US9270923B2 (en) Television receiver and electronic device
KR101629267B1 (ko) 슬라이드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KR102166834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014293A (ko) 이동 단말기
CN210137344U (zh) 一种电子设备
US940232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t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50106209A (ko) 이동단말기
KR20140045641A (ko)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내부 프레임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