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347B1 -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347B1
KR102099347B1 KR1020190078658A KR20190078658A KR102099347B1 KR 102099347 B1 KR102099347 B1 KR 102099347B1 KR 1020190078658 A KR1020190078658 A KR 1020190078658A KR 20190078658 A KR20190078658 A KR 20190078658A KR 102099347 B1 KR102099347 B1 KR 102099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artition wall
storage space
cleaning tool
dry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병옥
한종문
홍창균
송민형
하태상
문성욱
서장석
이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에스자산관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에스자산관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에스자산관리
Priority to KR1020190078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3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5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3/00Accessorie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bility for machines or apparatus f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 공간을 가열하는 건조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 공간에 적외선을 발산하는 살균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STERILIZING AND DRYING DEVICE FOR CLEANING TOOLS}
본 발명은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도구 보관이 용이하고, 청소도구의 살균 및 건조 기능이 향상된 살균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를 할 때 다양한 청소도구가 사용된다. 이러한 청소도구는 청소 대상구역의 오물 등을 청소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청소 후 청소도구에는 각종 세균이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세균을 방치하는 경우 세균이 증식하여 위생 및 감염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병원과 같이 세균과 병원균의 전파가 민감한 장소에서 사용되는 청소도구의 경우, 청소도구에 남아 있는 병원균 및 세균의 처리가 중요하다. 이에 더하여, 세균 및 병원균이 남아있는 청소도구를 사용하여 재차 청소를 하게 되는 경우, 청소도구에서 증식된 세균 및 병원균이 도처에 퍼지게 되어 감염 관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도구의 보관이 용이하고 보관 중 청소도구에 남아있는 세균 및 병원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청소도구 보관이 용이하고, 청소도구 보관중 청소도구에 남아있는 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 공간을 가열하는 건조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 공간에 오존을 발산하는 오존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부는, 상기 수납 공간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덕트; 전기를 인가받아 가열되는 히팅 코일; 및 상기 히팅 코일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덕트를 통해 상기 수납 공간으로 안내하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하측에는 상기 수납 공간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수용되는 유체함이 구비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유체함과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건조부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덕트를 통해 상기 유체함으로 가열된 공기가 공급되고, 상기 수납 공간의 내면은 비전도성 도포제로 코팅되고, 상기 건조부는 상기 비전도성 도포제의 내면에 열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수납 공간으로 살균액을 분사하는 살균 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에서 상기 격벽은,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본체의 상측 내면 및 하측 내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폭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1 격벽 및 상기 제1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 중 어느 한 공간에 배치되고,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제1 격벽의 외면 및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높이 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에서 상기 제1 격벽이 구획하는 상기 본체 내부 공간 중 상기 제2 격벽이 배치되지 않은 다른 한 공간에 구비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봉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 장치 및 상기 하우징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댐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에서 상기 제2 격벽의 일면에는 제1 행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행거는, 상기 제2 격벽의 일면에 결합되는 가이드 커버 및 상기 가이드 커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커버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 고정부가 구비된 제1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에서 상기 제2 격벽의 하측에는 제2 행거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행거는, 상기 제2 격벽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수납 공간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평행 고정부가 구비된 제2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에서 상기 송풍팬은 무소음 팬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에서 상기 건조부 및 상기 오존 램프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건조부 및 상기 오존 램프의 구동이 완료된 경우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부 및 오존 램프는 상기 타이머에 의해 구동시간이 조절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는 청소도구의 보관이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청소도구를 살균 및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는 전력을 적게 사용하고 소음이 적으면서도 청소도구를 효과적으로 살균 및 건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에서 건조부의 변경 구성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내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10)는 격벽(140)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수납 공간(S)을 구비하는 본체(100), 본체(100)에 구비되어 수납 공간(S)을 가열하는 건조부(200) 및 본체(100)에 구비되어 수납 공간(S)에 적외선을 발산하는 살균 램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10)의 외형을 구성할 수 있다. 본체(100)의 일측, 예를 들어, 본체(100)의 전방은 개방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일측에는 본체(10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도어(12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120)는 윈도우(121)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21)는 투명한 유리 또는 수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윈도우(121)를 통해 본체(100) 내부 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본체(100)에는 제어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후술할 건조부(200), 살균램프(300), 거치대(400) 등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10)의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제어부(130)를 조작하여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10)의 구동을 조작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일 예로서, 패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신호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건조부(200) 및 살균 램프(300)의 구동이 완료되는 경우 신호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동작종료를 알릴 수 있다. 더하여, 제어부(130)는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조부(200) 및 살균 램프(300)는 타이머에 의해 구동시간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0)는 청소도구가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체(100)의 내부 공간은 격벽(140)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청소도구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격벽(140)은 다양한 종류의 청소도구 보관이 용이하게 본체(100) 내부 공간을 적절히 구획하여 복수의 수납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벽(140)은 양측 단부가 본체(100)의 상측 내면 및 하측 내면에 각각 연결되어 본체의 내부 공간을 폭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1 격벽(141) 및 제1 격벽(141)에 의해 구획되는 본체(100)의 내부 공간 중 어느 한 공간에 배치되고, 양측 단부가 각각 제1 격벽(141)의 외면 및 본체(100)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본체의 내부 공간을 높이 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격벽(14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폭 방향이란 본체(100)의 좌우 방향 다시 말해, 도 1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높이 방향이란 본체(100)의 상하 방향 다시 말해, 도 1을 기준으로 z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격벽(140)을 구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손 걸레, 고무 장갑 등은 제2 격벽(142)에 의해 구획되는 수납 공간(S) 에 수납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대걸레 등은 제2 격벽(142)이 배치되지 않은 수납 공간(S)에 수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격벽(142)이 배치되지 않은 수납 공간(S)을 제1 수납 공간(S1)이라 하고, 제2 격벽(142)에 의해 구획되는 수납 공간(S)을 제2 수납 공간(S2)이라 한다.
제1 격벽(141)이 구획하는 본체(100) 내부 공간 중 다른 한 공간에는 거치대(400)가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체(100)의 제1 수납 공간(S1)에는 청소도구의 거치를 위한 거치대(400)가 구비될 수 있다. 거치대(400)는 예를 들어, 봉 형상의 하우징(410), 상기 하우징(410)에 결합되어 하우징(410)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 장치(420) 및 하우징(41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댐퍼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 장치(420)는 진동 모터로 구비될 수 있으며, 댐퍼부(430)는 벨로우즈관으로 구비되어 하우징(410) 진동 시 본체(100)와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다만, 댐퍼부(430)는 스폰지, 폼 부재 등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대체 가능하다.
거치대(400)를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10)는 청소도구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도구의 살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거치대(400)에 청소도구가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어부(130)를 통해 거치대(400)를 구동시키면, 거치대(400)의 진동 장치(420)에 의해 하우징(410)이 진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410)에 거치된 청소도구가 진동하게 되고 청소도구에 남아있는 먼지, 세균 등 오염 물질이 물리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청소도구에 남아있는 오염 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한 후 살균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청소도구의 살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수납 공간(S2)에는 제1 행거(500) 및 제2 행거(60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행거(500)는 고무 장갑, 솔, 타월, 작업용 장갑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청소도구를 거치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행거(500)는 제2 격벽(142)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행거(500)는, 예를 들어, 제2 격벽(142)의 일면에 결합되는 가이드 커버(510) 및 가이드 커버(51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가이드 커버(510)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 고정부(521)가 구비된 제1 트레이(5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트레이(520)의 파지부(522)를 파지한 상태에서 제1 트레이(520)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돌출 고정부(521)에 고무 장갑 등과 같은 청소도구를 거치할 수 있다. 제1 트레이(520)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경우 제1 트레이(520)의 상부 공간에는 장애물이 없으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청소도구를 돌출 고정부(521)에 거치할 수 있다.
한편, 제2 행거(600)는 걸레와 같이 널을 수 있는 청소도구를 거치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행거(600)는 제2 격벽(142)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격벽(142)의 하측에 형성된 제2 수납 공간(S2)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610) 및 가이드 레일(610)에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평행 고정부(621)가 구비된 제2 트레이(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행거(500)와 유사하게, 제2 트레이(620)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시키는 경우 제2 트레이(620)의 상부 공간에는 장애물이 없으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청소도구를 평행 고정부(621)에 거치할 수 있다.
본체(100)에는 수납 공간(S)을 가열하는 건조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건조부(200)는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본체(100) 내부의 수납 공간(S)에 열풍을 공급하여 수납 공간(S)에 배치된 청소도구를 건조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건조부(200)는 예를 들어, 수납 공간(S)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덕트(210), 전기를 인가 받아 가열되는 히팅 코일(220) 및 히팅 코일(22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덕트(210)를 통해 수납 공간으로 안내하는 송풍팬(23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어부(130)를 통해 건조부(200)를 구동하는 경우, 히팅 코일(220)은 전기를 인가받아 주변의 공기를 가열시키게 되고, 가열된 공기는 송풍팬(230)에 의해 덕트(210)를 따라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수납 공간(S)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 공간(S)에 배치된 청소도구는 건조될 수 있다. 이때, 송풍팬(230)은 무소음 송풍팬으로 구비되어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체(100)의 하측에는 수용 공간(S)에서 배출되는 물, 살균액 등의 유체가 수용되는 유체함(15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건조부(200)의 덕트(210)는 유체함(150)과 연통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부(200)가 구동하는 경우 가열된 공기의 일부는 덕트(210)를 통해 유체함(150)으로 공급되어 유체함(150)을 건조시킬 수 있다. 유체함(150)에 유체가 장시간 방치되는 경우, 세균이 증식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도구 살균 장치(10)는 유체함(150)에도 열풍을 공급하여 유체함(150)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한편, 건조부(200)의 구성은 변경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건조부(200)는 수납 공간(S)의 내면에 코팅되고 세라믹 성분을 포함하는 비전도성 도포제(242) 및 수납 공간(S)의 내면에 구비되는 열선(2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건조부(200)는 수용 공간(S)중 적어도 일부의 공간을 가열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송풍팬을 포함하는 건조부와 병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건조부(200)가 열선(241)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10)의 제작 단가를 절감하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체(100)에는 수납 공간(S)에 적외선을 발산하는 살균 램프(300)가 구비될 수 있다. 살균 램프(300)는 본체(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적외선을 발산하여 청소도구를 살균할 수 있다. 이때, 본체의 상측에는 오존 램프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오전 램프는 오존을 발산하여 수납 공간(S)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0)의 일측에는 수용 공간(S)으로 살균액을 분사하는 살균 노즐(700)이 구비될 수 있다. 살균 노즐(700)은 당업계에 통용되는 살균액을 분사함으로써, 청소도구를 살균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 둔다.
10: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 100: 본체
120: 도어 130: 제어부
140: 격벽 150: 유체함
200: 건조부 210: 덕트
220: 히팅 코일 230: 송풍팬
300: 살균 램프 400: 거치대
410: 하우징 420: 진동 장치
430: 댐퍼부 500: 제1 행거
510: 가이드 커버 520: 제1 트레이
600: 제2 행거 610: 가이드 레일
620: 제2 트레이 700: 살균 노즐

Claims (12)

  1.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 공간을 가열하는 건조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 공간에 오존을 발산하는 오존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부는,
    상기 수납 공간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덕트;
    전기를 인가받아 가열되는 히팅 코일; 및
    상기 히팅 코일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덕트를 통해 상기 수납 공간으로 안내하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하측에는 상기 수납 공간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수용되는 유체함이 구비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유체함과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건조부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덕트를 통해 상기 유체함으로 가열된 공기가 공급되고,
    상기 수납 공간의 내면은 비전도성 도포제로 코팅되고,
    상기 건조부는 상기 비전도성 도포제의 내면에 열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수납 공간으로 살균액을 분사하는 살균 노즐이 구비되는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본체의 상측 내면 및 하측 내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폭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1 격벽 및
    상기 제1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 중 어느 한 공간에 배치되고,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제1 격벽의 외면 및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높이 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격벽
    을 포함하는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이 구획하는 상기 본체 내부 공간 중 상기 제2 격벽이 배치되지 않은 다른 한 공간에 구비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봉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 장치 및
    상기 하우징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댐퍼부
    를 포함하는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벽의 일면에는 제1 행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행거는,
    상기 제2 격벽의 일면에 결합되는 가이드 커버 및
    상기 가이드 커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커버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 고정부가 구비된 제1 트레이
    를 포함하는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벽의 하측에는 제2 행거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행거는,
    상기 제2 격벽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수납 공간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평행 고정부가 구비된 제2 트레이
    를 포함하는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무소음 팬으로 구비되는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 및 상기 오존 램프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건조부 및 상기 오존 램프의 구동이 완료된 경우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부 및 오존 램프는 상기 타이머에 의해 구동시간이 조절되는 살균 건조 장치.
KR1020190078658A 2019-07-01 2019-07-01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 KR102099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658A KR102099347B1 (ko) 2019-07-01 2019-07-01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658A KR102099347B1 (ko) 2019-07-01 2019-07-01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347B1 true KR102099347B1 (ko) 2020-04-13

Family

ID=7022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658A KR102099347B1 (ko) 2019-07-01 2019-07-01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3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434U (ja) * 1992-10-20 1994-05-17 株式会社東洋高圧 殺菌装置付きスリッパ箱
KR20030007305A (ko) * 2002-12-09 2003-01-23 권영훈 청소용구함
KR100863348B1 (ko) * 2007-07-24 2008-10-15 홍지언 청소용품 보관함
KR20100106876A (ko) * 2009-03-24 2010-10-04 김종석 청소도구 건조-살균기
KR20150004095U (ko) * 2014-04-30 2015-11-09 장규환 옷장 내부에 먼지떨이 기능을 갖는 옷걸이 봉을 갖는 옷장.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434U (ja) * 1992-10-20 1994-05-17 株式会社東洋高圧 殺菌装置付きスリッパ箱
KR20030007305A (ko) * 2002-12-09 2003-01-23 권영훈 청소용구함
KR100863348B1 (ko) * 2007-07-24 2008-10-15 홍지언 청소용품 보관함
KR20100106876A (ko) * 2009-03-24 2010-10-04 김종석 청소도구 건조-살균기
KR20150004095U (ko) * 2014-04-30 2015-11-09 장규환 옷장 내부에 먼지떨이 기능을 갖는 옷걸이 봉을 갖는 옷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7302B2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US20210220496A1 (en) Shoe management device
KR20180058884A (ko) 도마 살균기
KR20160076548A (ko) 화장용 붓 세척 및 살균건조기
KR20100041060A (ko) 화장용 도구 자외선 살균기
KR102099347B1 (ko) 청소도구 살균 건조 장치
CN108838114B (zh) 一种用于医疗的多功能器械清洗装置
KR20100106876A (ko) 청소도구 건조-살균기
KR20200001925U (ko) 물걸레 청소기 거치 장치
JP3104086U (ja) 光電子殺菌機能付き掃除機
KR200315254Y1 (ko)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칫솔 살균기
US20060261285A1 (en) Toothbrush sterilizer
KR20160001539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10063702A (ko) 칫솔 살균기
KR20210141899A (ko) 다목적 자외선 살균기
KR20070066675A (ko) 자외선 살균 밀대식 청소기
KR101554349B1 (ko) 수저살균기
JP2018000398A (ja) 除菌装置
KR20200138998A (ko) 욕실용 건조 및 살균기
KR20080050174A (ko) 공기청정 기능이 있는 자외선 살균기
CN201253364Y (zh) 牙刷消毒器
KR101038201B1 (ko) 침구류 살균 장치 및 침구류의 살균이 가능한 가구
TWM530118U (zh) 牙刷消毒裝置
KR200315255Y1 (ko) 칫솔 살균 및 건조기
JP2004242970A (ja) 歯ブラシ除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