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962B1 - 순 적심기 - Google Patents

순 적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962B1
KR102098962B1 KR1020190175527A KR20190175527A KR102098962B1 KR 102098962 B1 KR102098962 B1 KR 102098962B1 KR 1020190175527 A KR1020190175527 A KR 1020190175527A KR 20190175527 A KR20190175527 A KR 20190175527A KR 102098962 B1 KR102098962 B1 KR 102098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cutting
cutting blade
gea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수웅
Original Assignee
황수웅
주식회사 보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수웅, 주식회사 보트텍 filed Critical 황수웅
Priority to KR1020190175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1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 A01C23/003Distributing devices, e.g. for rotating, throw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 적심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바퀴부를 포함하여 이동이 가능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순을 절단할 수 있는 순 절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순 절단부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해 동작하여 양측에 위치하는 순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날부를 포함하는 순 적심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순 적심기{Sprout pinching machine}
본 발명은 순 적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생육을 촉진하고 수확량 증가를 위해 순을 제거하는 순 적심기로, 하나의 구동부에 의해 대칭되게 형성된 절단날을 구동시켜 양측 순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게가 가볍고 작업성이 향상된 순 적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농작물을 경작함에 있어서 보다 충실한 수확을 위해서는 필요없는 순을 잘라 주어야 생육이 촉진되고 수확량을 늘릴 수 있다.
콩의 경우는 꽃이 피기 전에 순을 잘라줘야 콩 줄기가 웃자라 넘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가지가 더 많이 생성되 콩의 수확량을 늘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순을 제거하기 위해 한 손으로 순을 잡고 가위나 낫으로 순을 잘라주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허리를 굽어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허리에 무리가 오고 작업속도가 느린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 나온 순 절단기는 엔진을 이용해 한쪽 방향으로만 순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 경우 한쪽 방향에 대한 순만 제거할 수 있어 다른 한쪽의 순을 제거하기 위해 같은 경로를 왕복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33588호(발명의 명칭: 콩작물의 절단기능 및 유도기능을 갖는 예취기)가 공개되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 엔진 2개를 이용하여 양쪽 작업이 가능한 제품이 출시되었으나, 엔진 2개를 이용하기 때문에 무게가 무겁고 엔진에서 배출되는 매연 때문에 작업에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종래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0873182호(발명의 명칭: 비닐 하우스용 작물 순 절단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따라서, 양측 순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무게가 가볍고 작업성이 우수한 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생육을 촉진하고 수확량 증가를 위해 순을 제거하는 순 적심기로, 하나의 구동부에 의해 대칭되게 형성된 절단날을 구동시켜 양측 순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게가 가볍고 작업성이 향상된 순 적심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순 적심기는 바퀴부를 포함하여 이동이 가능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순을 절단할 수 있는 순 절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순 절단부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해 동작하여 양측에 위치하는 순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날부를 포함하는 순 적심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단날부는 절단날프레임;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중심기어; 상기 중심기어 양측에 대칭되게 연결되는 기어연동부 및 상기 기어연동부에 각각 연결되어 순을 절단하는 절단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연동부는 상기 중심기어 양측에 대칭되게 연결되는 연동기어; 상기 연동기어 일면에 상기 연동기어의 축 중심으로 편심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편심원판 및 상기 편심원판에 설치되고 상기 절단날과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심원판은 2개가 연동기어의 축 중심으로 대칭되되,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절단날은 상기 연결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좌우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날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홀을 포함하여, 상기 절단날과 다른 절단날의 가이드홀에 가이드부재가 설치되는 것으로 서로 연결되되, 좌우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약액을 분사하는 약액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순 적심기의 상기 순 절단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에 연결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판; 상기 구동부 및 절단날부가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판에 경사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경사조절판 및 상기 경사조절판에 연결되어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 절단부에 의해 절단되는 순을 앞쪽에서 받쳐 줄 수 있는 절단보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보조부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부 및 수평부를 포함하는 받침바; 상기 받침바 후단에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실린더 및 상기 전후실린더를 회동시켜, 상기 받침바의 수직부가 외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날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날을 상하측에서 가압하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날이격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이격방지부는 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단날프레임에 결합되는 방지프레임; 상기 방지프레임 내부 상면과 하면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판; 상기 가압판과 방지프레임이 연결되는 회동축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 및 상기 가압판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날과 접할 수 있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서 상기 순 절단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순을 일측에서 지지할 수 있는 순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 적심기는 생육을 촉진하고 수확량 증가를 위해 순을 제거하는 순 적심기로, 하나의 구동부에 의해 대칭되게 형성된 절단날을 구동시켜 양측 순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게가 가볍고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생하는 매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순 적심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순 적심기의 절단날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의 (a) 및 (b)는 도 2의 절단날부의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을 제거하여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절단날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의 절단날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저면사시도.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순 적심기의 절단날부가 구동부에 의해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순 적심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의 (a) 내지 (c)는 도 7의 절단보조부가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9의 (a) 및 (b)는 도 2의 날이격방지부가 결합/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a)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정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 적심기는 하나의 구동부에 의해 대칭되게 형성된 절단날을 구동시켜 양측 순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장치의 무게를 감소시키고 작업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순 적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순 적심기의 절단날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의 (a) 및 (b)는 도 2의 절단날부의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을 제거하여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절단날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절단날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저면사시도이며,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순 적심기의 절단날부가 구동부에 의해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순 적심기(1)는 본체(10), 순 절단부(20) 및 약액분사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체(10)는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순 절단부(20), 약액분사부(30) 등이 설치되는 것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바퀴부(11)는 본체(10) 하측에 하나 이상이 형성된 바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동 주행이 가능하도록 바퀴를 회전시키는 주행모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체(10)는 손잡이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2)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순 적심기(1)가 이동하는 방향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위치고정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고정부(13)는 본체(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순 적심기(1)를 사용하지 않을 시 위치고정부(13)를 통해 지면에 고정시켜 순 적심기(1)가 이동하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순 절단부(20)는 본체(10)에 설치되어 순을 절단하는 부분으로, 구동부(21) 및 절단날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1)는 본체(10)에 설치되어 절단날부(22)에 동력을 절단하는 것으로, 구동부(21)의 축이 절단날부(22)의 중심기어(221)에 연결되어 절단날부(22)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21)는 모터, 엔진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절단날부(22)는 구동부(21)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함으로써, 양측에 위치하는 순을 절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절단날부(22)는 절단날프레임(220), 중심기어(221), 기어연동부(222) 및 절단날(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절단날프레임(220)은 중심기어(221), 기어연동부(222) 및 절단날(223) 등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프레임(2200) 및 하부프레임(2201)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내부에 중심기어(221), 기어연동부(222) 및 절단날(223) 등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2200)은 하부프레임(2201)과 결합하여 절단날프레임(22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측 중심에 축홀이 형성되어 구동부(21)의 축이 관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단날프레임(220) 내부에 설치된 중심기어(221)에 구동부(21)의 축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2200)은 중심기어(221), 기어연동부(222)가 설치될 수 있는 기어홈, 절단날(223)이 설치되고 이동할 수 있도록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 상부이동홈 및 상부이동홈의 내부 상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되,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측에 위치하는 절단날(223)의 핀돌기가 삽입 이동되는 상부핀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2200)은 내부에 하나 이상의 베어링을 포함하여, 중심기어(221)에 연결되는 구동부(21)의 축, 연동기어(2220)의 축이 베어링에 연결되어 설치되게 함으로써, 기어들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하부프레임(2201)은 상부프레임(2200)과 결합하여 절단날프레임(2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프레임(2201) 또한 내부에 하나 이상의 베어링을 포함하여, 중심기어(221)에 연결되는 구동부(21)의 축, 연동기어(2220)의 축이 베어링에 연결되어 설치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부프레임(2201)은 상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되,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하측에 위치하는 절단날(223)의 핀돌기가 삽입 이동되는 하부핀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기어(221)는 절단날프레임(220) 내부에 설치되되, 구동부(21)의 축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중심기어(221)는 기어연동부(222)의 연동기어(2220)와 맞물려 있어 회전에 의해 연동기어(22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기어연동부(222)를 통해 절단날(223)로 동력이 전달되어 절단날(223)이 순을 절단시킬 수 있다.
기어연동부(222)는 중심기어(221) 양측에 대칭되게 연결되어, 중심기어(221)를 통해 전달받은 동력을 절단날(223)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어연동부(222)는 연동기어(2220), 편심원판(2221) 및 연결부재(2222)를 포함할 수 있다.
연동기어(2220)는 절단날프레임(220) 내부에서 중심기어(221)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어, 중심기어(221)와 맞물려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중심기어(221)가 회전함에 따라 같이 회전할 수 있다.
편심원판(2221)은 연동기어(2220) 일면(상면 또는 하면)에 연동기어(2220)의 축 중심으로 편심되게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편심원판(2221)에는 연결부재(2222)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심원판(2221)이 연동기어(2220)의 축 중심으로 편심되게 형성되고, 연결부재(2222)에 의해 절단날(223)이 연결됨으로써, 연동기어(2220)가 회전함에 따라 편심원판(2221)이 이동되어 연결부재(2222)가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고, 이에 절단날(223)이 좌우방향으로 왕복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편심원판(2221)은 적층되어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하기에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편심원판(2221)은 2개가 형성될 경우, 2개가 연동기어(2220)의 축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2222)에 각각 연결된 2개의 절단날(223)이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되, 서로 엇갈리게 이동됨으로써, 2개의 절단날(223)의 이가 서로 어긋나는 반경이 커져 순의 절단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연결부재(2222)는 일단이 편심원판(2221)에 설치되고 타단이 절단날(223)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편심원판(2221)이 이동함에 따라 이동하여, 각각의 절단날(223)이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2222)는 제1 링(2222a), 직선바(2222b) 및 제2 링(222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2222a)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편심원판(2221)에 끼워 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내주면이 편심원판(2221)의 외주면과 상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직선바(2222b)는 일단이 제1 링에 연결되고 타단에 제2 링(2222c)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링(2222c)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직선바(2222b)의 타단에 연력되어, 절단날(223)의 핀돌기에 끼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내주면이 핀돌기의 외주면과 상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제1 링(2222a)과 제2 링(2222c)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편심원판(2221)과 절단날(223)의 핀돌기와 연결됨으로써, 연동기어(2220)의 회전이 절단날(223)의 좌우방향으로의 왕복 이동(직선운동)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링(2222c)이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단날(223)과 연결될 수도 있다.
절단날(223)은 절단날프레임(220)에 양측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되, 기어연동부(222)의 연결부재(2222)에 각각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함으로써 순을 절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절단날(223)은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정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단날(223)은 내측 끝단에 핀돌기가 형성되어, 연결부재(2222)의 제2 링(2222c)이 끼워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절단날(223)은 편심원판(2221)이 두개가 형성될 경우, 연결부재(2222)에 의해 각각 연결됨에 따라 양측에 각각 두 개가 구비되고, 같은 방향에 위치하는 두개의 절단날은 상하방향으로 평행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절단날(223)은 좌우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이동될 수 있는데, 절단날(223)간에 어긋남, 벌어짐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이드홀(223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홀(2230)은 절단날(223)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나의 절단날(223)과 다른 절단날(223)의 가이드홀(2230)에 가이드부재(미도시)를 설치하여,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는 절단날(223)끼리 연결시켜주되 이동은 가능하게 해줌으로써, 절단날(223)간의 평행이 어긋나거나 절단날(223)간의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순 절단이 보다 더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절단날부(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기어(221)가 구동부(21)에 의해 회전되면 편심원판(2221)이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절단날(223)이 서로 다른방향으로 좌우 이동하게 된다.
약액분사부(30)는 본체(10)에 설치되어 순을 절단함과 동시에 약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약액은 영양제, 농약, 비료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콩 농사에 필요한 다양한 약액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순 적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의 (a) 내지 (c)는 도 7의 절단보조부가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9의 (a) 및 (b)는 도 2의 날이격방지부가 결합/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a)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순 적심기(1)는 절단보조부(40), 날이격방지부(50) 및 순가이드부(60)를 더 포함하고, 순 절단부(20)는 센서부(미도시), 높이조절부(23), 높이조절판(24), 경사조절판(25) 및 경사모터(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절단보조부(40), 날이격방지부(50), 순가이드부(60), 센서부, 높이조절부(23), 높이조절판(24), 경사조절판(25) 및 경사모터(26)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순 적심기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순 적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절단보조부(40), 날이격방지부(50), 순가이드부(60), 센서부, 높이조절부(23), 높이조절판(24), 경사조절판(25) 및 경사모터(26)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순 절단부(20)는 센서부, 높이조절부(23), 높이조절판(24), 경사조절판(25) 및 경사모터(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절단날부(22)에 양측에 설치되어 지면에 대한 양측 절단날(223)의 높이를 각각 측정하는 센서 및 센서로부터 측정된 높이에 따라 높이조절부(23) 및 경사모터(26)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면이 균일하지 않은 곳에서도 순을 동일한 높이로 절단하도록 할 수 있으며, 양측 절단날(223)의 높이를 각각 측정하여 양측 절단날(223)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양측 지면이 균일하지 않은 곳에서도 순을 동일한 높이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23)는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상단이 높이조절판(24)의 하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부(23)는 실린더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인입 및 인출에 따라 높이조절판(24)의 높이를 조절하여 절단날(22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터 및 체인 등 다른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높이조절판(24)은 높이조절부(23)에 연결되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높이조절판(24)은 양단의 높이가 높이조절부(23)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높이조절판(24)은 전후방향으로 대칭되게 두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높이조절판(24) 사이에 경사조절판(25)이 위치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경사조절판(25)은 구동부(21) 및 절단날부(22)가 설치되고, 높이조절판(24)에 경사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경사조절판(25)은 전단 및 후단에 경사조절축을 포함할 수 있고, 경사조절축은 높이조절판(24)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조절축에 경사모터(26)가 연결되어, 경사모터(26)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경사조절판(25)을 회동시켜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경사조절판(25)에 설치된 절단날부(22)의 절단날(223)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더욱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경사모터(26)는 경사조절판(25)의 경사조절축에 연결되어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경사모터(26)는 센서로부터 측정된 높이에 따라 제어부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절단보조부(40)는 순 절단부(20)에 의해 절단되는 순을 앞쪽에서 받쳐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단보조부(40)는 받침바(41), 전후실린더(42) 및 회동모터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바(41)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부 및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바(41)는 수평부에 전후실린더(42)가 연결되어 전후실린더(42)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수직부와 절단날(223)간의 거리가 연장되거나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받침바(41)는 회동모터부(43)에 의해 회동되어, 수직부가 외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외측으로 회동됨에 따라 수직부가 지면에 대해 수직 또는 경사를 갖는 상태였다가 수평상태로 될 수 있다. 또한 회동모터부(43)에 의해 회동되어 원 상태로 복구될 수도 있다.
전후실린더(42)는 받침바(41)의 수평부 후단에 연결되어 인입 및 인출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회동모터부(43)는 전후실린더(42)를 회동시켜 받침바(41)의 수직부가 외측으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동모터부(43)는 전후실린더(42)에 연결된 제1 회동기어, 제1 회동기어에 맞물리는 제2 회동기어 및 제2 회동기어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회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회동모터부(43)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절단보조부(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실린더(42)가 인출된 상태로 받침바(41)의 수직부와 절단날(223)간의 거리가 최대가 될 수 있다(도 8의 (a)).
그 상태에서 회동모터부(43)에 의해 전후실린더(42)가 회동됨에 따라 받침바(41)의 수직부가 외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도 8의 (b)). 이에 따라 받침바(41)의 수직부가 순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절단날(223)과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되면서 절단날(223)에 의해 절단되는 순을 앞쪽에서 받쳐 주게 된다.
또한, 절단날(223)이 순을 제거하면서 앞으로 나아감에 따라 수직부는 앞쪽에서 일정하게 순을 받쳐주도록 전후실린더(42)가 인입되어 받침바(41)의 수직부와 절단날(223)간의 거리가 점점 좁혀 질 수 있다(도 8의 (c)).
날이격방지부(50)는 절단날프레임(220)에 설치되어 절단날(223)을 상하측에서 가압하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날이격방지부(50)는 방지프레임(51), 가압판(52), 토션스프링(53) 및 롤러(54)를 포함할 수 있다.
방지프레임(51)은 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절단날프레임(2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방지프레임(51)은 절단날프레임(2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 일측에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는 절단날프레임(220)의 상부프레임(2200) 및 하부프레임(2201)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어 방지프레임(51)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가압판(52)은 방지프레임(51) 내부 상면과 하면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토션스프링(53)은 가압판(52)과 방지프레임(51)이 연결되는 회동축에 설치되어, 가압판(52)이 방지프레임(51)의 내측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롤러(54)는 가압판(52) 끝단에 설치되어 절단날(223)과 접할 수 있다. 즉, 롤러(54)는 가압판(52)에 의해 힘을 받아 절단날(223)에 힘을 가하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절단날(223) 끼리 벌어지거나 절단날(223) 쳐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순가이드부(60)는 본체(10)에서 순 절단부(20)의 하측에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순과 순 사이에 끼워지는 것으로 순을 일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순이 절단날(223)을 따라 이동하거나 쓰러짐, 기울어짐 등을 방지하여 순 절단부(20)에 의해 순이 더욱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순가이드부는 갈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 적심기는 생육을 촉진하고 수확량 증가를 위해 순을 제거하는 순 적심기로, 하나의 구동부에 의해 대칭되게 형성된 절단날을 구동시켜 양측 순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게가 가볍고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생하는 매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 적심기를 제1 및 제2 실시예로 나누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성 및 이해가 쉽도록 하기 위해 실시예를 나눠 설명한 것으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구성은 설계 변경하여 서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순 적심기
10: 본체
11: 바퀴부
12: 손잡이부
13: 위치고정부
20: 순 절단부
21: 구동부
22: 절단날부
220: 절단날프레임
2200: 상부프레임
2201: 하부프레임
221: 중심기어
222: 기어연동부
2220: 연동기어
2221: 편심원판
2222: 연결부재
2222a: 제1 링
2222b: 직선바
2222c: 제2 링
223: 절단날
2230: 가이드홀
23: 높이조절부
24: 높이조절판
25: 경사조절판
26: 경사모터
30: 약액분사부
40: 절단보조부
41: 받침바
42: 전후실린더
43: 회동모터부
50: 날이격방지부
51: 방지프레임
52: 가압판
53: 토션스프링
54: 롤러
60: 순가이드부

Claims (11)

  1. 바퀴부를 포함하여 이동이 가능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순을 절단할 수 있는 순 절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순 절단부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해 동작하여 양측에 위치하는 순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날부는,
    절단날프레임;
    상기 구동부의 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중심기어;
    상기 중심기어 양측에 대칭되게 연결되는 기어연동부 및
    상기 기어연동부에 각각 연결되어 순을 절단하는 절단날을 포함하며,
    상기 기어연동부는,
    상기 중심기어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어, 각각 상기 중심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연동기어;
    상기 연동기어 일면에 상기 연동기어의 축 중심으로 편심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편심원판 및
    상기 편심원판에 설치되고 상기 절단날과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순 적심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원판은,
    2개가 연동기어의 축 중심으로 대칭되되,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절단날은,
    상기 연결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좌우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 적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홀을 포함하여,
    상기 절단날과 다른 절단날의 가이드홀에 가이드부재가 설치되는 것으로 서로 연결되되, 좌우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 적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약액을 분사하는 약액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순 적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 절단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에 연결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판;
    상기 구동부 및 절단날부가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판에 경사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경사조절판 및
    상기 경사조절판에 연결되어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모터를 더 포함하는 순 적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 절단부에 의해 절단되는 순을 앞쪽에서 받쳐 줄 수 있는 절단보조부를 더 포함하는 순 적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보조부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부 및 수평부를 포함하는 받침바;
    상기 받침바 후단에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실린더 및
    상기 전후실린더를 회동시켜, 상기 받침바의 수직부가 외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모터부를 포함하는 순 적심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날을 상하측에서 가압하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날이격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순 적심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날이격방지부는,
    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단날프레임에 결합되는 방지프레임;
    상기 방지프레임 내부 상면과 하면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판;
    상기 가압판과 방지프레임이 연결되는 회동축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 및
    상기 가압판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날과 접할 수 있는 롤러를 포함하는 순 적심기.
KR1020190175527A 2019-12-26 2019-12-26 순 적심기 KR102098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527A KR102098962B1 (ko) 2019-12-26 2019-12-26 순 적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527A KR102098962B1 (ko) 2019-12-26 2019-12-26 순 적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962B1 true KR102098962B1 (ko) 2020-04-08

Family

ID=70275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527A KR102098962B1 (ko) 2019-12-26 2019-12-26 순 적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9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613B1 (ko) 2020-09-09 2021-04-22 노정현 양방향 동시절단이 가능한 양날형 순 적심기
KR20240021617A (ko) 2022-08-10 2024-02-19 노정현 절단높이와 절단방향 및 절단각도가 조절되는 순 적심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434U (ja) * 1992-08-14 1994-03-08 株式会社共立 バリカン形刈払機
KR100447788B1 (ko) * 2001-12-11 2004-09-13 김명수 콤바인용 예취날 고정장치
JP2011244749A (ja) * 2010-05-27 2011-12-08 Iseki & Co Ltd 乗用型作業車両
JP2016182056A (ja) * 2015-03-25 2016-10-20 ニューデルタ工業株式会社 歩行型刈取機
US20190191625A1 (en) * 2017-12-22 2019-06-27 Cnh Industrial America Llc Center knife drive for an agricultural harvest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434U (ja) * 1992-08-14 1994-03-08 株式会社共立 バリカン形刈払機
KR100447788B1 (ko) * 2001-12-11 2004-09-13 김명수 콤바인용 예취날 고정장치
JP2011244749A (ja) * 2010-05-27 2011-12-08 Iseki & Co Ltd 乗用型作業車両
JP2016182056A (ja) * 2015-03-25 2016-10-20 ニューデルタ工業株式会社 歩行型刈取機
US20190191625A1 (en) * 2017-12-22 2019-06-27 Cnh Industrial America Llc Center knife drive for an agricultural harves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613B1 (ko) 2020-09-09 2021-04-22 노정현 양방향 동시절단이 가능한 양날형 순 적심기
KR20240021617A (ko) 2022-08-10 2024-02-19 노정현 절단높이와 절단방향 및 절단각도가 조절되는 순 적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3612B1 (en) Walk aerator with ground following coring head
KR102098962B1 (ko) 순 적심기
CN108738638A (zh) 一种果园割草机
US3773112A (en) Motor operated hand hoe
JPH07147831A (ja) 芝刈り機
CN208191325U (zh) 一种可调节动刀组高度的农田除草机
US8955610B1 (en) Turf aerators and tine assemblies for same
JP6759092B2 (ja) 移植作業機
JP2017063708A (ja) 移植作業機
CN111656889A (zh) 一种用于果园果树根部附近的除草装置
KR101905964B1 (ko) 이식 깊이 조절이 가능한 이식기
KR101374886B1 (ko) 농산물 수확기
CN210840575U (zh) 一种果园林地树下避让式打草松土机
JP2004024077A (ja) 除草作業機
CN102823345B (zh) 中耕除草机
JP2017063704A (ja) 移植作業機
KR200451023Y1 (ko) 잔디 채취장치
KR101721375B1 (ko) 마늘 수확기
KR101905965B1 (ko) 이식 깊이 조절 및 조간 조절이 가능한 이식기
CN215935470U (zh) 一种农业机械耕种机
CN221082052U (zh) 一种不会损伤农作物的除草机
CN209527180U (zh) 一种割草机
JPH0125532Y2 (ko)
JP3677624B2 (ja) 作業機
CN206821275U (zh) 一种带有收割机械的田园管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