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813B1 -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813B1
KR102098813B1 KR1020180073932A KR20180073932A KR102098813B1 KR 102098813 B1 KR102098813 B1 KR 102098813B1 KR 1020180073932 A KR1020180073932 A KR 1020180073932A KR 20180073932 A KR20180073932 A KR 20180073932A KR 102098813 B1 KR102098813 B1 KR 102098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hole
units
unit
valv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228A (ko
Inventor
이전한
이상봉
Original Assignee
(주)이쿨
이전한
이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쿨, 이전한, 이상봉 filed Critical (주)이쿨
Priority to KR1020180073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81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 F16L37/3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16L37/3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with two lift valves being actuated to initiate the flow through the coupling after the two coupling parts are locked against withdraw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9/00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hooks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라,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을 포함하고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대형배관 밸브 장치에 있어서, 제1 유닛은: 내부에 제1 내부홀이 형성된 제1 몸체; 제1 내부홀 내에서 전후진하며 제1 내부홀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체부; 및 제1 몸체의 둘레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키는 체결고정부를 포함하고, 제2 유닛은: 내부에 제2 내부홀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 시 제1 몸체와 밀착되는 제2 몸체; 제2 내부홀에서 탄성지지되고 제2 몸체의 분리 시 제2 내부홀을 차단하고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 시 맞닿는 제1 밸브체부의 전진에 따라 밀리며 제2 내부홀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2 밸브체부; 제2 몸체의 전방에 결합되며 제1 및 제2 몸체가 밀착되도록 제1 몸체의 전방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체결고정부에 의한 결합상태 고정이 이루어지는 플랜지부; 및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 시 제2 몸체와 플랜지부의 결합을 고정시키되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상태의 비상 중단 시 플랜지부가 제2 몸체로부터 분리되며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제2 몸체와 플랜지부의 결합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고정 브레이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가 제안된다.

Description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EMERGENCY-SEPARABLE LARGE PIPE VALVE APPARATUS}
본 발명은 분리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정상적인 상황이 아닌 상황에서 비상 분리할 수 있는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유체가 흐르는 통로이다. 배관은 유체를 사용하는 다양한 설비 또는 시스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통상 가스나 액체 등을 하나의 설비에서 다른 설비로 이송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대형배관의 경우 각 설비측에 연결된 배관 사이의 연결이 필요하다. 이때, 대형배관 밸브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예컨대, 육상 기지 내지 탱크와 해상의 선박 탱크간에 유체를 이송하거나 육상 기지 내지 탱크와 이동가능한 대형차량 내지 열차의 탱크 간에 유체를 이송하는 경우 등 하나의 설비에서 다른 설비로 가스나 액체 등의 유체를 이송하는 경우 대형배관 밸브장치로 배관 연결부위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두 지점 간의 예기치 못하거나 불규칙한 상황에 따라 상대적인 요동 내지 이동이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예기치 못하거나 불규칙한 상황에 따른 상대적인 요동 내지 이동은 배관 연결부위에 스트레스나 손상을 주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방법들이 제기되고 있다. 예컨대 요동을 저감시키는 기술을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대적인 요동 내지 이동이 배관 연결부위에 설정범위 이상의 스트레스나 손상을 가할 우려가 있는 경우 신속히 배관을 분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6148호(2009. 06. 03.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1449호(2017. 04. 24.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관연결 상대방 사이에서 정상적이 아닌 상황, 예컨대 설정범위 이상의 상대적인 요동 내지 이동이 생기는 경우 배관연결부위를 신속히 비상 분리할 수 있는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을 포함하고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대형배관 밸브 장치에 있어서, 제1 유닛은: 내부에 제1 내부홀이 형성된 제1 몸체; 제1 내부홀 내에서 전후진하며 제1 내부홀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체부; 및 제1 몸체의 둘레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키는 체결고정부를 포함하고, 제2 유닛은: 내부에 제2 내부홀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 시 제1 몸체와 밀착되는 제2 몸체; 제2 내부홀에서 탄성지지되고 제2 몸체의 분리 시 제2 내부홀을 차단하고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 시 맞닿는 제1 밸브체부의 전진에 따라 밀리며 제2 내부홀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2 밸브체부; 제2 몸체의 전방에 결합되며 제1 및 제2 몸체가 밀착되도록 제1 몸체의 전방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체결고정부에 의한 결합상태 고정이 이루어지는 플랜지부; 및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 시 제2 몸체와 플랜지부의 결합을 고정시키되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상태의 비상 중단 시 플랜지부가 제2 몸체로부터 분리되며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제2 몸체와 플랜지부의 결합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고정 브레이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
하나의 예에서, 고정 브레이크부는, 일측이 제2 몸체의 전방부 둘레 또는 플랜지부의 둘레에 힌지 고정되고 타측에 형성된 고정턱이 플랜지부 또는 제2 몸체의 전방부에 걸리며 제2 몸체와 플랜지부의 결합을 고정시키는 고정걸이부, 고정걸이부에 장착되며 탄성에 의해 고정걸이부를 힌지 회전시켜 고정턱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고정해제부, 및 힌지축을 기준으로 고정걸이부의 타측 반대측인 일측 단부 측을 지지하며 고정해제부에 의한 힌지 회전을 막고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상태의 비상 중단 시 일측 단부의 지지상태를 해제하며 고정해제부에 의한 힌지 회전을 허용하는 브레이크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고정걸이부 및 고정해제부는 각각 다수 구비되고, 고정걸이부 각각은 고정턱이 둘레중심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이고 고정턱 이전 부위에 고정해제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구비되고, 고정해제부 각각은 수용홈에 설치된 해제스프링 및 해제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둘레중심방향으로 돌출되는 해제핀을 구비하고, 해제핀은 고정턱에 의해 걸리는 플랜지부 또는 제2 몸체의 전방부의 외측 둘레면을 누르며 고정걸이부를 힌지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유도부는 링형상으로 고정걸이부의 일측 단부 측 내측면을 지지하며 해제핀에 의한 고정걸이부의 힌지 회전을 막는 지지링 및 일단이 지지링에 연결되고 타단 측이 고정걸이부의 일측 단부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유닛 또는 제1 유닛과의 연결되는 설비에 결합되는 와이어를 구비하고, 와이어는 제1 유닛과 연결되는 설비와 제2 유닛과 연결되는설비 사이의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의 상대적 요동에 따라 지지링을 당겨 고정걸이부의 일측 단부 측 내측면에 대한 지지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고정 브레이크부는, 고정걸이부가 제2 몸체의 전방부 둘레에 힌지 고정된 경우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 시 고정턱에 의한 플랜지부의 전방면 걸림을 해제하며 플랜지부가 제1 유닛과 일체로 분리되도록 하고, 고정걸이부가 플랜지부의 둘레에 힌지 고정된 경우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 시 고정턱에 의한 제2 몸체의 전방둘레 돌출부위의 후방면 걸림을 해제하며 플랜지부와 일체로 제1 유닛과 함께 제2 유닛의 분리 부분과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체결고정부는 다수 구비되되, 체결고정부 각각은, 제1 몸체의 둘레에 장착되며 전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중심에서 멀어지는 가이드를 구비한 프레임, 프레임에 힌지 결합된 실린더 및 실린더의 전방에 결합되며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체결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체결걸이는,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 시 실린더 구동에 의한 후퇴에 따라 플랜지부의 제2 몸체 측 후방면에 걸리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키고, 제1 및 제2 유닛의 정상 분리 시 실린더 구동에 의한 전진에 따라 플랜지부에 대한 걸림상태를 해제하고,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 시 플랜지부에 대한 걸림상태를 유지하며 플랜지부가 제1 유닛과 일체로 제2 유닛의 분리 부분과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1 유닛은 내부 관통되며 제1 내부홀의 내주면을 따라 탄성지지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고, 슬라이딩부는,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 시 전방 단부가 제2 몸체의 전방 단부에 밀착되고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 시 탄성력에 의해 제1 내부홀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본체 및 일단이 슬라이딩 본체를 탄성 지지하고 타단이 제1 내부홀 내에 지지되는 제1 스프링을 구비하고, 제1 밸브체부는 제1 내부홀 내에서 슬라이딩 본체를 관통하여 전후진하며 슬라이딩 본체의 전방 측을 개폐하여 유로를 개폐하고, 슬라이딩 본체는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 시 제1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 전진하여 전방부가 제1 밸브체부와 밀착되며 제1 내부홀의 유로를 차단하고, 제2 밸브체부는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제2 내부홀의 유로를 차단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제1 몸체는 둘레 일측에서 제1 내부홀로 관통하는 캠홀을 구비하고, 제1 유닛은: 제1 내부홀 내에 고정 설치되며 제1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제1 가이드; 및 캠홀을 관통하는 캠샤프트, 제1 몸체 외부의 캠샤프트 상단부에 형성된 조작레버 및 제1 내부홀 내의 캠샤프트 둘레에 형성된 캠을 포함하는 조작캠부를 더 포함하고, 제1 밸브체부는 제1 가이드홀을 관통하며 캠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하며 슬라이딩 본체의 전방 측을 개폐하여 유로를 개폐하고, 제2 유닛은 제2 밸브체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홀을 구비하고 제2 내부홀 내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제1 및 제2 내부홀의 연결유로 차단은,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상태에서 캠 돌출부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1 밸브체부가 후퇴하며 슬라이딩 본체의 전방부에 제1 밸브체부의 전방부 측이 밀착되어 차단되고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에 따라 슬라이딩 본체가 전진하며 제1 밸브체부와 밀착되며 차단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캠은 캠 돌출부의 반대측에서 수직 돌출된 돌출걸이를 구비하고, 캠과 결합되는 제1 밸브체부의 후방부는 캠 결합부를 형성하고, 캠 결합부는 제1 밸브체부 전방측으로 호형으로 오목한 플레이트 후방 오목단부에서 수직 돌출되어 돌출걸이에 의해 당겨지는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캠 돌출부의 후방측으로의 회전 시 캠 돌출부의 반대측이 캠 결합부에 체결되며,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캠이 제1 밸브체부를 당기며 후퇴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 각각은 제1 내지 제2 가이드홀의 주위로 유로를 형성시키고, 슬라이딩 본체의 전방부는 내주면 상에서 전방단부보다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며 제1 밸브체부의 전방부와 밀착되는 안착부를 형성하고, 제2 몸체는 전방 측 제2 내부홀의 내주면 상에 전방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게 형성된 밸브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밸브체부는, 제2 가이드 내지 제2 내부홀에 일단이 지지되며 제2 몸체의 분리 시 제2 내부홀의 유로를 차단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 제2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제2 샤프트부, 제2 샤프트부의 전방에 형성되어 제2 밸브체부의 전방부를 형성하고 제2 내부홀의 내주면 방향으로 밸브안착부의 최소내경보다 크게 확대된 제2 밸브부, 및 제2 밸브부의 둘레에 설치되며 제2 몸체의 분리 시 밸브안착부와 제2 밸브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2 실링부를 포함하고, 제2 스프링은 제2 샤프트부의 둘레 주위에 설치되며 타단이 제2 밸브부의 후방 측 내지 제2 샤프트부의 전방 단턱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 제1 밸브체부는, 제1 가이드 내지 제1 내부홀에 일단이 지지되며 캠 돌출부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1 및 제2 유닛의 정상 분리 시 후퇴용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 스프링, 제1 가이드홀을 관통하는 제1 샤프트부, 제1 샤프트부의 전방에 형성되어 제1 밸브체부의 전방부를 형성하고 제2 몸체의 밸브안착부의 최소내경보다 작게 그리고 슬라이딩 본체 전방부의 최소직경보다 크게 확대된 제1 밸브부, 및 제1 밸브부의 둘레에 설치되며 제1 내부홀의 유로차단 시 슬라이딩 본체의 안착부와 제1 밸브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1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또 하나의 예에서, 제1 유닛은, 제1 내부홀의 전방 결합측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링홈에 설치되며 제1 내부홀의 내주면과 슬라이딩 본체의 외주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내부홀 실링링, 제1 몸체의 전방 단면에 형성된 링홈에 설치되며 제1 및 제2 몸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몸체 실링링 및 캠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링홈에 설치되며 캠홀의 내주면과 캠샤프트의 외주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캠홀 실링링을 포함하는 다수의 실링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는 전방 단부면 상에서 돌출된 다수 체결돌기를 구비하여 제2 몸체의 전방 단부와 결합되는 플랜지부의 후방면에 형성된 다수의 홈에 체결되고, 제1 밸브부의 전방 단면과 제2 밸브부의 전방 단면 각각의 사이즈는 서로 매칭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유닛 중 하나는 육상의 고정 설비 측 연결배관과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해상의 선박 상의 설비 또는 육상의 대형차량 내지 열차 상의 설비 측 연결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배관연결 상대방 사이에서 정상적이 아닌 상황, 예컨대 설정범위 이상의 상대적인 요동 내지 이동이 생기는 경우 배관연결부위를 신속히 비상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유닛 간 비상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부위의 스트레스 내지 손상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및 변형 예들에 포함되는 구성 내지 다양한 구성들의 특징으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의 이해 범위 내에서 다양한 특징적 효과가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3/4 절개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분리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유로 개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1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유로 차단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고정 브레이킹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고정 브레이킹에 따라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고정 브레이킹에 따라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외형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분리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외형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5a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고정 브레이킹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고정 브레이킹에 따라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캠 온-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캠 오프-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도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의 관계에서 연결 내지 결합 등의 결합관계 등을 형성하는 경우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적인' 결합관계 등의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관계됨으로써 매개체에 의한 결합관계 등의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에', '상측에', '하부에', '하측에' 등의 '접촉'의 의미를 내포할 수 있는 용어들이 포함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게다가, '일단'과 '타단', '일측'과 '타측'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들은 서로 다른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고, '전방'과 '후방'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기준이 되는 요소에 대한 상대적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비록 단수로 표현된 구성일지라도,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들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등의 단어 및 그들로부터 파생된 용어의 기재는 본래의 요소 내지 요소들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부가, 조합 내지 결합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으며, 나아가, '구비하다', '구성되다' 등의 의미를 갖는 단어 및 그들로부터 파생된 용어의 기재도 본래의 요소 내지 요소들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부가, 조합 내지 결합에 의하여 본래의 요소 내지 요소들이 자신의 특징, 기능 및/또는 성질이 상실되지 않는 경우라면 그러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부가 내지 결합 가능성이 배제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써, 모양, 크기, 두께 등은 기술적 특징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거나 축소되게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에서 실시예의 구성들 중의 일부는 발명 전체의 이해 내지 나머지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생략되거나 또는 설명만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른 대형배관 밸브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참조되는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에서의 도면부호일 수 있다. 이때, 각 도면에 개시된 구성들은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고, 각 도면에서는 발명의 필수적 구성이라고 할지라도 다른 구성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생략되어 설명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3/4 절개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절단면 해칭은 생략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분리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a는 도 1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유로 개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1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유로 차단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a는 도 1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고정 브레이킹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고정 브레이킹에 따라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c는 도 4a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고정 브레이킹에 따라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외형도이다. 또한, 도 5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분리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외형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a는 도 5a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고정 브레이킹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고정 브레이킹에 따라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7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캠 온-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캠 오프-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도이다. 도 7a 및 7b에서 절개면에 대한 해칭이 생략되어 있다.
도 1 내지 6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대형배관 밸브 장치는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을 포함하고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이 분리되는 경우 각각은 유로를 차단하게 된다. 예컨대,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은 각각 일측이 배관측에 결합되며,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체결에 따라 배관이 연결되게 된다. 배관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을 분리시키면 배관이 분리되며 분리된 배관의 유로가 차단된다. 정상적인 분리뿐만 아니라 비상 상황에서의 배관분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비상 상황에서 비상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대형배관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때, 도 1 내지 6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제1 유닛(100)은 제1 몸체(110), 제1 밸브체부(130) 및 체결고정부(150)를 포함하고, 제2 유닛(200)은 제2 몸체(210), 제2 밸브체부(230), 플랜지부(250) 및 고정 브레이크부(27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체결에 따라 배관이 연결되는 경우 제1 몸체(110) 내의 제1 내부홀(110a) 및 제2 몸체(210) 내의 제2 내부홀(210a)의 유로가 소통된다. 제1 몸체(110)는 내부에 제1 내부홀(110a)이 형성되고, 제1 밸브체부(130)는 제1 내부홀(110a) 내에서 전후진하며 제1 내부홀(110a)의 유로를 개폐한다. 제1 유닛(100)의 체결고정부(150)는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킨다. 제2 유닛(200)의 제2 몸체(210)는 내부에 제2 내부홀(210a)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시 제1 몸체(110)와 밀착되고, 제2 밸브체부(230)는 제2 내부홀(210a)에서 탄성지지되고 제2 몸체(210)의 분리 시 제2 내부홀(210a)을 차단하고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시 맞닿는 제1 밸브체부(130)의 전진에 따라 밀리며 제2 내부홀(210a)의 유로를 개방시킨다. 플랜지부(250)는 제2 몸체(210)의 전방에 결합되며 제1 및 제2 몸체(110, 210)가 밀착되도록 제1 몸체(110)의 전방부가 삽입되는 관통홀(250a)이 형성되고 체결고정부(150)에 의한 결합상태 고정이 이루어진다. 제2 유닛(200)의 고정 브레이크부(270)는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시 제2 몸체(210)와 플랜지부(250)의 결합을 고정시키나,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상태의 비상 중단 시에는 플랜지부(250)가 제2 몸체(210)로부터 분리되며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비상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제2 몸체(210)와 플랜지부(250)의 결합 고정상태를 해제시킨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라 비상 상황에서 제1 및 제2 유닛(100, 200) 간에 정상적인 분리가 아닌 비상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부위의 설정범위 이상의 상대적인 요동 내지 이동에 의한 스트레스 내지 손상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1 유닛(100)은 슬라이딩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제1 유닛(100)은 제1 가이드(120) 및 조작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닛(200)은 제2 가이드(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제1 유닛(100)은 관통홀 실링링(181), 몸체 실링링(182) 및 캠홀 실링링(183)을 포함하는 실링링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대형배관 밸브 장치는 육상의 고정 설비와 해상의 선박 상의 설비 간의 유체 이송을 위한 배관연결 시 또는 육상의 고정 설비와 육상의 대형차량 내지 열차 상의 설비 간의 유체 이송을 위한 배관연결 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유닛(100, 200) 중 하나는 육상의 고정 설비 측 연결배관과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해상의 선박 상의 설비 또는 육상의 대형차량 내지 열차 상의 설비 측 연결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 따른 대형배관 밸브 장치는 유체 누설이 거의 없는 점에서 유체가 액체나 기체에 모두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액화가스 배관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유닛(100)의 구성들과 제2 유닛(200)의 구성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에 앞서, 제1 유닛(100)의 구성들에 대한 설명에서 '전방' 및 '후방'은 제2 유닛(200)과의 결합 측을 '전방'으로 한 개념이고, '전진' 및 '후퇴'는 제2 유닛(200)과의 결합 측인 '전방'을 향하여 나아가는 경우와 '전방' 반대 방향으로 물러나는 경우를 의미한다. 반면, 제2 유닛(200)의 구성들에 대한 설명에서, '전방', '후방', '전진', '후퇴' 등은 제1 유닛(100)과의 결합 측을 '전방'으로 한 개념으로, 제1 유닛(100)에서의 개념과 상대적이고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시 서로 방향이 반대가 된다. 즉, 제1 및 제2 유닛(100, 200)에서 세부 구성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방'은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측을 의미하고 '후방'은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측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제1 유닛(100)의 구성들과 제2 유닛(200)의 구성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세부구성들 간의 조합에 의한 실시예들이 하나씩 설명되지 않더라도,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세부구성들 간의 다양한 조합의 결과가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거나 세부구성들 각각의 설명에 모순되지 않는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해함에 있어 세부적으로 설명되는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구성들의 통상의 조합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연히 구현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제1 유닛(100)]
도 1 내지 6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유닛(100)은 제1 몸체(110), 제1 밸브체부(130) 및 체결고정부(150)를 포함한다. 이때, 체결고정부(150)는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킨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1 유닛(100)은 슬라이딩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제1 유닛(100)은 조작캠부(160) 및 제1 가이드(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제1 유닛(100)은 관통홀 실링링(181), 몸체 실링링(182) 및 캠홀 실링링(183)을 포함하는 실링링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유닛(100, 200) 중 하나는 육상의 고정 설비 측 연결배관과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해상의 선박 상의 설비 또는 육상의 대형차량 내지 열차 상의 설비 측 연결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제1 유닛(100)은 유체가 공급되는 배관측에 연결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제1 유닛(100)은 분리 후 유체압력이 높아지는 배관측에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유닛(100)의 세부구성들을 제1 몸체(110), 제1 밸브체부(130) 및 체결고정부(150) 순으로 먼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후에 슬라이딩부(140)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제1 가이드(120) 및 조작캠부(160)를 더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실링링들을 더 살펴볼 것이다. 이때, 제1 유닛(100)의 세부구성들의 다양한 구현 예들의 조합을 통하여 제1 유닛(100)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제1 몸체(110)
도 1, 2, 3a, 3b, 4a, 4b, 5b, 6a 및/또는 6b를 참조하면, 제1 몸체(110)는 내부에 제1 내부홀(110a)이 형성된다. 제1 내부홀(110a)은 유체가 흐르는 유로이고, 제1 내부홀(110a)에는 후술되는 제1 밸브체부(130)가 설치된다. 또한, 제1 몸체(110)의 둘레에는 후술되는 체결고정부(150)가 형성된다.
제1 몸체(110)의 제1 내부홀(110a)을 먼저 살펴본다. 제1 내부홀(110a)에는 제1 내부홀(110a)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체부(130)가 설치된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제1 몸체(110)의 제1 내부홀(110a)에는 슬라이딩부(140)가 설치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제1 몸체(110)의 제1 내부홀(110a)에는 제1 가이드(12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1, 2, 3a, 3b, 4a, 4b, 5b, 6a 및/또는 6b를 참조하여, 제1 내부홀(110a)의 내주면을 더 살펴본다. 예컨대, 제1 내부홀(110a)의 전방측 내주면에 링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링홈들에 관통홀 실링링들(181)이 설치되어 내주면과 슬라이딩부(140), 예컨대 슬라이딩 본체(141)의 외주면과 사이에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다. 링홈들의 위치는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이나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비상분리 시에도 내주면과 슬라이딩 본체(141)의 외주면과 사이에 관통홀 실링링들(181)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배치된다.
예컨대, 제1 몸체(110)는 제1 내부홀(110a)의 내주면에 단턱부(111)를 구비할 수 있다. 단턱부(111)는 제1 내부홀(110a)의 직경이 슬라이딩 본체(141)의 외경보다 작고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111)는 예컨대 슬라이딩부(140)의 제1 스프링(143)을 지지 또는/및 슬라이딩 본체(141)의 후퇴를 한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단턱부(111)의 후방측에 제1 가이드(120)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몸체(110)는 제1 내부홀(110a)의 내주면 상에 지지홈(11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지홈(112)은 후술되는 캠홀(110b)과 마주하는 제1 내부홀(110a)의 내주면 상에 형성되어 후술되는 캠샤프트(161)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조작캠부(160)의 회전 조작 시 지지홈(112)에 캠샤프트(161)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예컨대 캠홀(110b) 내에 설치되는 후술되는 캠홀 실링링(183)에 의한 캠홀(110b) 내주면과 캠샤프트(161) 사이의 간극에 따른 조작캠부(160)의 흔들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6b를 참조하면, 제1 몸체(110)의 둘레를 살펴본다. 제1 몸체(110)의 둘레에는 후술되는 체결고정부(150)가 형성된다. 체결고정부(150)는 제1 몸체(110)의 둘레를 따라 다수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고정부(150)는 후술되는 제2 유닛(200)의 고정 브레이크부(270)와 번갈아 제1 및 제2 유닛(100, 200) 결합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몸체(110)의 전방측 둘레에는 둘레를 따라 돌출된 둘레돌기(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몸체(110)의 둘레돌기(113)의 돌출 후방면에 체결고정부(150)의 일측이 지지되고 또한 후술되는 고정 브레이크부(270)의 고정턱(271a)이 지지되며, 제1 및 제2 유닛(100, 200) 간 결합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둘레돌기(113)의 위치는 제1 몸체(110)의 전방부가 후술되는 제2 유닛(200)의 플랜지부(250)의 관통홀(250a)에 삽입되는 거리만큼 지난 지점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둘레돌기(113)의 전방면은 플랜지부(250)의 전방면과 접하고, 둘레돌기(113)의 후방면은 체결고정부(150)의 일측과 고정 브레이크부(270)의 고정턱(271a)에 의해 지지되며 제1 몸체(110)와 플랜지부(250) 사이의 결합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6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몸체(110)는 둘레 일측에서 제1 내부홀(110a)로 관통하는 캠홀(110b)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이때, 제1 내부홀(110a) 내에 조작캠부(160)의 캠샤프트(161)의 일부와 캠(162)이 위치된다. 캠홀(110b)은 조작캠부(160)의 캠샤프트(161)에 의해 관통된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캠홀(110b)의 내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링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캠홀(110b)에 형성된 링홈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캠홀 실링링(183)에 의해 캠샤프트(161)와 캠홀(110b) 내주면 사이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캠홀(110b)은 제1 몸체(110)의 둘레에서 주위보다 돌출된 부위에서 제1 내부홀(110a)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주위보다 돌출된 부위를 관통하는 캠샤프트(161)의 단부측에 후술되는 조작레버(163)가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주위보다 돌출된 캠홀(110b)의 돌출부위에는 스토퍼(114)를 구비하여 조작레버(163)의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편(163a)의 회전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캠부(160)의 캠(162)의 캠돌출부(162a)가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그리고 그 반대 범위로 회전하게 된다.
예컨대, 제1 몸체(110)의 전방 단부면에는 링홈이 형성되고, 링홈에 삽입되는 몸체 실링링(182)에 의해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210)의 결합면 사이에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몸체(110)의 후방부는 배관측과 연결되도록 직경이 작아지며 예컨대 플랜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몸체(110) 및 후술되는 제2 몸체(210)의 재질은 철이나 스테인레스, 철합금 등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밸브체부(130)
도 1 내지 6b를 참조하면, 제1 유닛(100)의 제1 밸브체부(130)는 제1 몸체(110)의 제1 내부홀(110a) 내에서 전후진하며 제1 내부홀(110a)의 유로를 개폐한다. 예컨대, 제1 밸브체부(130)는 후술되는 조작캠부(160)의 조작에 따라 제1 내부홀(110a) 내에서 전후진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1 밸브체부(130)는 조작캠부(160)의 조작 및 제3 스프링(134)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내부홀(110a) 내에서 전후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밸브체부(130)의 전후진에 따라 제1 밸브체부(130)의 전방부가 후술되는 슬라이딩부(140)의 전방 측, 예컨대 슬라이딩 본체(141)의 전방 측 안착부(141a)에서 탈착 및 안착되며 제1 내부홀(110a)의 유로가 개폐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밸브체부(130)는 제1 내부홀(110a) 내에서 슬라이딩 본체(141)를 관통하여 전후진하며 슬라이딩 본체(141)의 전방 측을 개폐하여 유로를 개폐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제1 밸브체부(130)는 후술되는 제1 가이드(120)의 제1 가이드홀(121)을 관통하며 후술되는 조작캠부(160)의 캠(162) 회전에 따라 제1 내부홀(110a) 내에서 전진 및 후퇴하며 슬라이딩 본체(141)의 전방 측을 개폐하여 유로를 개폐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시, 제1 밸브체부(130)는 제1 가이드홀(121)을 통한 전진 슬라이딩하며 슬라이딩부(140)의 전방 측, 예컨대 슬라이딩 본체(141)의 전방 측 안착부(141a)에서 떨어지며 제1 내부홀(110a)의 유로를 개방하고, 제1 가이드홀(121)을 통한 후퇴 슬라이딩하며 슬라이딩부(140)의 전방 측, 예컨대 슬라이딩 본체(141)의 전방 측 안착부(141a)에 밀착되며 제1 내부홀(110a)의 유로를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2, 3a, 3b, 4a, 4b, 5b, 6a, 6b, 7a 및/또는 7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밸브체부(130)의 후방부는 캠(162)과 접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제1 밸브체부(130)의 후방부가 캠(162)에 접하는 경우 캠돌출부(162a)의 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1 밸브체부(130)의 후방부가 전방으로 푸싱되고 캠돌출부(162a)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3 스프링(134)에 의해 후방으로 후퇴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밸브체부(130)의 후방부가 캠(162)에 결합되는 경우, 캠돌출부(162a)의 전방측 회전에 따라 제1 밸브체부(130)는 전방으로 푸싱되고, 캠돌출부(162a)의 후방측 회전에 따라 제1 밸브체부(130)는 후방으로 후퇴될 수 있다.
도 1, 2, 3a, 3b, 4a, 4b, 5b, 6a, 6b, 7a 및/또는 7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밸브체부(130)의 후방부는 캠(162)과 결합되는 캠결합부(135)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캠돌출부(162a)의 후방측으로의 회전 시 캠돌출부(162a)의 반대측이 캠결합부(135)에 체결되며, 캠돌출부(162a)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캠(162)에 의해 제1 밸브체부(130)가 당겨지며 후방으로 후퇴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2, 3a, 3b, 4a, 4b, 5b, 6a, 6b, 7a 및/또는 7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캠(162)은 캠돌출부(162a)의 반대측에서 수직돌출된 돌출걸이(162b)를 구비할 수 있고, 이때, 캠결합부(135)는 돌출걸이(162b)에 의해 걸려 캠돌출부(162a)의 후방측으로의 회전 시 캠(162)에 의해 당겨지며 후퇴될 수 있다. 도 7a 내지 7b를 참조하면, 예컨대, 캠결합부(135)는 제1 밸브체부(130) 전방측으로 호형으로 오목한 플레이트 후방 오목단부(135a)에서 수직 돌출되어 돌출걸이(162b)에 의해 당겨지는 걸림돌기(135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캠 돌출부(162a)의 후방측으로의 회전 시 캠 돌출부(162a)의 반대측, 예컨대 돌출걸이(162b)가 캠 결합부(135), 예컨대 걸림돌기(135b)에 체결되며,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캠(162)이 캠결합부(135)를 당기며 제1 밸브체부(130)를 후퇴시킬 수 있다. 예컨대, 캠결합부(135)의 플레이트 후방 오목단부(135a) 및 걸림돌기(135b)가 형성된 캠결합부(135)의 플레이트는 하나 또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한 쌍의 경우 상하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캠결합부(135)의 걸림돌기(135b)는 돌출걸이(162b)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돌출걸이(162b)가 전방측으로 위치된 경우 돌출걸이(162b)에 의해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캠결합부(135)를 형성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는 체결핀(135c)에 의해 후술되는 제1 샤프트부(131)의 후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제1 밸브체부(130)는 제1 샤프트부(131), 제1 밸브부(132), 제1 실링부(133) 및 제3 스프링(1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샤프트부(131), 제1 밸브부(132) 및 제1 실링부(133)를 살펴보고, 나중에 제3 스프링(134)을 살펴본다. 제1 샤프트부(131)는 제1 가이드(120)의 제1 가이드홀(121)을 관통한다. 예컨대, 제1 샤프트부(131)의 후단부에는 캠결합부(135)가 형성되거나 실시예에 따라 캠(162)이 접촉될 수도 있다. 제1 밸브부(132)는 제1 샤프트부(131)의 전방에 형성되며 제1 밸브체부(130)의 전방부를 형성한다. 예컨대, 제1 밸브부(132)는 제1 샤프트부(131)의 전방부에 일체로 연결되거나 또는 제1 샤프트(131)의 전단에 형성된 체결홈(131a)에 체결되며 결합될 수 있다. 제1 밸브부(132)의 전방 단면과 제2 밸브체부(232)의 전방 단면 각각의 사이즈는 서로 매칭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밸브체부(230)와 맞닿는 제1 밸브부(132)의 전방 단면의 직경은 제1 실링부(133)가 설치되는 제1 밸브부(132) 부위의 직경보다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제1 밸브부(132)는 제2 몸체(210)의 밸브안착부(211)의 최소내경보다 작게 그리고 슬라이딩 본체(141) 전방부의 최소직경보다 크게 확대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링부(133)는 제1 밸브부(132)의 둘레에 설치되며 제1 내부홀(110a)의 유로차단 시 슬라이딩 본체(141)의 안착부(141a)와 제1 밸브부(132) 사이의 기밀을 유지을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실링부(133)는 제1 밸브부(132)의 둘레에 형성된 링홈에 설치되는 실링링일 수 있다. 이때, 제1 밸브부(132)의 둘레는 슬라이딩 본체(141)에 형성된 안착부(141a)의 경사면 내지 곡면과 나란하거나 마주하도록 형성되며 제1 실링부(133)가 잘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밸브체부(130)의 제3 스프링(134)은 제1 가이드(120) 내지 제1 내부홀(110a)에 일단이 지지되며 캠 돌출부(162a)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정상 분리 시 후퇴용 탄성력을 제공한다. 예컨대, 제3 스프링(134)은 제1 샤프트부(131)의 둘레 주위에 설치되며 일단이 제1 밸브체부(130)의 후방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1 가이드(120)에 또는 제1 내부홀(110a)의 내면에 지지된다. 제3 스프링(134)은 캠돌출부(162a)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1 밸브체부(130)의 후퇴용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스프링(134)의 일단은 제1 밸브체부(130)의 후방부인 캠결합부(135)의 후방면측에 지지되며 제1 밸브체부(130)의 후퇴용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스프링(134)의 타단은 제1 가이드(120)의 후방면측에 지지되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스프링(134)의 탄성계수는 제1 스프링(143)의 탄성계수보다 클 수 있다.
체결고정부(150)
도 1 내지 6b를 참조하면, 제1 유닛(100)의 체결고정부(150)는 제1 몸체(110)의 둘레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킨다. 예컨대, 체결고정부(150)는 일단측이 제1 몸체(110) 둘레에 돌출 형성된 둘레돌기(113)의 후방면을 지지하고 타단측, 예컨대 체결걸이(155)가 플랜지부(250)의 후방면을 지지함으로써 제1 몸체(110)와 플랜지부(250)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체결고정부(150)는 제1 몸체(110)의 둘레를 따라 다수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고정부(150) 각각은 프레임(151), 실린더(153) 및 체결걸이(15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51)은 제1 몸체(110)의 둘레에 장착되며 전방으로 돌출형성된다. 프레임(151) 상에 전방측으로 갈수록 중심에서 멀어지게 형성된 가이드(151a)가 구비된다. 프레임(151) 상의 가이드(151a)는 실린더(153)에 의한 체결걸이(155)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실린더(153)는 프레임(151)에 힌지 결합되며 체결걸이(155)를 이동시킨다. 예컨대, 실린더(153)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예컨대, 실린더(153)는 일단이 제1 몸체(110)의 둘레에서 수직하게 세워진 한 쌍의 플레이트 프레임에 형성된 힌지축(151b)에 결합되고 타단이 체결걸이(155)에 결합됨으로써 체결걸이(155)가 프레임(151) 상의 가이드(151a)를 따라 둘레 중심에서 점차 멀어지지거나 점차 둘레 중심에 가까워지게 이동될 수 있다. 체결걸이(155)는 실린더(153)의 전방에 결합되며 실린더(153)의 구동에 따라 가이드(151a)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체결걸이(155)는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시 실린더(153) 구동에 의한 후퇴에 따라 플랜지부(250)의 제2 몸체(210) 측 후방면에 걸리며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걸이(155)는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정상 분리 시 실린더 구동에 의한 전진에 따라 플랜지부(250)에 대한 걸림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게다가, 체결걸이(155)는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비상 분리 시 플랜지부(250)에 대한 걸림상태를 유지하며 플랜지부(250)가 제1 유닛(100)과 일체로 제2 유닛(200)의 분리 부분과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140)
도 1, 2, 3a, 3b, 4a, 4b, 5b, 6a 및/또는 6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유닛(100)은 슬라이딩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140)는 내부 관통되며 제1 내부홀(110a)의 내주면을 따라 탄성지지되어 슬라이딩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비상 분리 시 제1 몸체(110)로부터 제2 몸체(210)가 멀어짐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부(140), 예컨대 슬라이딩 본체(141)가 제1 몸체(110)의 전방측으로 제1 내부홀(110a)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제1 밸브체부(130)의 전방부와 사이에 기밀을 유지시켜 유로를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슬라이딩부(140)는 슬라이딩 본체(141) 및 제1 스프링(143)을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딩 본체(141)는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시 전방 단부가 제2 몸체(210)의 전방 단부에 밀착된다. 또한, 슬라이딩 본체(141)는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비상 분리 시 탄성력에 의해 제1 내부홀(110a)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예컨대,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비상 분리 시 제1 몸체(110)로부터 제2 몸체(210)가 멀어짐에 따라, 제2 몸체(210)의 전방 단부에 맞닿아 있는 슬라이딩 본체(141)는 제1 스프링(143)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 전진하여 전방부가 제1 밸브체부(130)와 밀착되며 제1 내부홀(110a)의 유로를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슬라이딩 본체(141)는 외형이 원통형 구조이고 내측에 유로가 형성되며 전방부 내주면 상에 제1 밸브체부(130)의 제1 실링부(133)가 안착되는 안착부(141a)가 내측으로 돌출되며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슬라이딩 본체(141)의 전방부에 형성되는 안착부(141a)는 슬라이딩 본체(141)의 내주면 상에서 전방단부보다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며 형성되고, 안착부(141a)는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시 제1 밸브체부(130)의 후퇴에 따라 그리고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비상 분리 시 슬라이딩 본체(141)의 전진에 따라 제1 밸브체부(130)의 전방부와 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이때, 제1 밸브체부(130)의 제1 실링부(133)가 안착되는 안착부(141a)의 안착면은 경사면이거나 곡면일 수 있다.
예컨대, 도 7b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본체(141)는 원통형 둘레에 유로홀(141b)을 구비하여 제1 내부홀(110a) 내주면과 슬라이딩 본체(141) 외주면 사이의 공간과 슬라이딩 본체(141) 내부 유로 사이를 관통시켜 제1 내부홀(110a) 내주면과 슬라이딩 본체(141) 외주면 사이의 공간에 스며드는 유체를 슬라이딩 본체(141) 내부 유로로 빠져나올 수 있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슬라이딩부(140)의 제1 스프링(143)은 일단이 슬라이딩 본체(141)를 탄성 지지하고 타단이 제1 내부홀(110a) 내에 지지된다. 예컨대, 제1 스프링(143)은 제1 내부홀(110a) 내에 형성된 단턱부(111)에 타단이 지지되되, 슬라이딩본체(141)의 외측 둘레에 설치된 경우 일단이 슬라이딩본체(141)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단턱을 탄성 지지하고, 슬라이딩 본체(141)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경우 일단이 슬라이딩 본체(141)의 내주면 상에 형성된 단턱을 탄성지지하며, 슬라이딩 본체(141)를 전방측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제1 가이드(120)
도 1, 2, 3a, 3b, 4a, 4b, 5b, 6a 및/또는 6b를 참조하면, 제1 유닛(100)은 제1 가이드(120) 또는/및 조작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유닛(100)의 제1 가이드(120)를 살펴본다. 제1 가이드(120)는 제1 가이드홀(121)을 구비하며 제1 내부홀(110a) 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이드(120)는 대형배관 밸브 장치의 제작의 편의성 면에서는 별도로 제작되어 제1 내부홀(110a) 내에 나사결합방식 등으로 고정 체결될 수 있다. 제1 가이드(120)는 제1 가이드홀(121)을 관통하는 제1 밸브체부(130)의 전진과 후진 슬라이딩을 가이드한다. 예컨대, 제1 가이드(120)는 제1 밸브체부(130)의 가이드와 함께 제1 가이드(120)의 후방면측에서 제1 밸브체부(130)의 제3 스프링(134)을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이드(120)의 제1 내부홀(110a) 내주면과의 결합부위에서 슬라이딩부(140)의 제1 스프링(143)을 지지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가이드(120)는 제1 가이드홀(121)의 주위로 유로를 형성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이드(120)는 제1 가이드홀(121) 주위에서 삼발이 등과 같이 방사상으로 다수의 가지가 형성된 구조로 형성되어 각 가지부의 말단이 제1 내부홀(110a)의 내주면과 나사결합될 수 있고, 이때, 각 가지부 사이의 공간은 제1 가이드홀(121) 주위의 유로가 된다. 또는 제1 가이드(120)는 평면상 원판 구조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제1 가이드홀(121)이 형성되고 그 주위에 다수의 유로홀이 형성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조작캠부(160)
도 1, 2, 3a, 3b, 4a, 4b, 5b, 6a, 6b, 7a 및/또는 7b를 참조하면, 제1 유닛(100)은 조작캠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캠부(160)는 캠샤프트(161), 캠(162) 및 조작레버(163)을 포함할 수 있다. 캠샤프트(161)는 제1 몸체(110)의 캠홀(110b)을 관통한다. 예컨대, 캠홀(110b) 내주면과 캠샤프트(161) 외주면 사이에는 캠홀 실링링(183)에 의해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조작레버(163)는 제1 몸체(110) 외부의 캠샤프트(161) 상단부에 형성된다. 캠(162)은 제1 내부홀(110a) 내에 캠샤프트(161) 둘레에 형성된다. 조작캠부(160)은 캠(162)을 구비하여 제1 밸브체부(130)를 전방으로 전진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캠부(160)의 회전에 따라 제1 밸브체부(130)가 후방으로 후퇴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몸체(110) 내의 제1 내부홀(110a) 및 제2 몸체(210) 내의 제2 내부홀(210a)의 유로 소통은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후 캠(162)의 회전, 예컨대 캠돌출부(162a)의 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1 밸브체부(130)가 전진하며 슬라이딩 본체(141)의 전방 측으로부터 제1 밸브체부(130)의 전방부가 떨어지며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내부홀(110a, 210a)의 연결유로 차단은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상태에서 캠 돌출부(162a)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1 밸브체부(130)가 후퇴하며 슬라이딩 본체(141)의 전방부에 제1 밸브체부(130)의 전방부 측이 밀착되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연결유로 차단은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비상 분리에 따라 슬라이딩 본체(141)가 전진하며 제1 밸브체부(130)와 밀착되며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내부홀(110a)의 중심축 부위에서 캠샤프트(161) 둘레에 캠(162)이 형성될 수 있다. 캠샤프트(161)의 하단부는 제1 내부홀(110a) 내에서 캠홀(110b)과 마주하는 내주면 상에 형성된 지지홈(112)에 지지될 수 있다. 캠샤프트(161)의 캠 체결부위 하단 또는/및 상단에는 스냅링을 체결하여 캠(162)이 캠샤프트(161)에서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고, 캠샤프트(161)의 캠홀(110b) 삽입부위에도 스냅링을 체결하여 캠홀(110b)에서 캠샤프트(161)가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있다.
도 7a 내지 7b를 참조하면, 캠(162)은 제1 내부홀(110a)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도록 캠샤프트(161)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캠샤프트(161)의 회전에 의한 캠(162)의 회전에 따라 캠돌출부(162a), 소위 캠노즈(Cam Nose)가 전방측으로 회전하며 제1 밸브체부(130)를 전방측으로 푸싱할 수 있다. 캠돌출부(162a)가 후방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밸브체부(130)가 후방으로 후퇴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캠(162)은 캠돌출부(162a)의 반대측에서 수직 돌출된 돌출걸이(162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캠 돌출부(162a)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즉, 돌출걸이(162b)의 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캠 돌출부(162a)의 반대측인 돌출걸이(162b)는 제1 밸브체부(130) 후방부인 캠결합부(135), 예컨대 결림돌기(135b)에 체결될 수 있다. 이후, 돌출걸이(162b)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캠(162)은 돌출걸이(162b)에 의해 제1 밸브체부(130)를 당기며 제1 밸브체부(130)를 후퇴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조작레버(163)는 조작캠부(160)의 수동조작을 위해 제1 몸체(110) 외부의 캠샤프트(161)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을 참조하면, 조작레버(163)의 캠샤프트(161) 연결부위에는 걸림편(163a)이 형성되어 캠홀(110b) 상단부에 형성된 스토퍼(114)에 걸려 조작레버(163)의 회전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각종 실링링
도 1 내지 6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유닛(100)은 기밀유지를 위한 다수의 실링링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다수 실링링 중 내부홀 실링링(181)은 제1 내부홀(110a)의 전방 결합측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링홈에 설치되며 제1 내부홀(110a)의 내주면과 슬라이딩 본체(141)의 외주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고, 몸체 실링링(182)은 제1 몸체(110)의 전방 단면에 형성된 링홈에 설치되며 제1 및 제2 몸체(110, 210)의 결합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고, 캠홀 실링링(183)은 캠홀(110b)의 내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링홈에 설치되며 캠홀(110b)의 내주면과 캠샤프트(161)의 외주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실링링들은 고무나 다른 수지재질일 수 있다.
[제2 유닛(200)]
다음으로, 도 1 내지 6b를 참조하여, 제2 유닛(200)을 살펴본다. 예컨대, 제2 유닛(200)은 제1 유닛(10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나의 예에서, 제2 유닛(200)은 제2 몸체(210), 제2 밸브체부(230), 플랜지부(250) 및 고정 브레이크부(270)를 포함한다. 이때, 고정 브레이크부(270)는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시 제2 몸체(210)와 플랜지부(250)의 결합을 고정시키나,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상태의 비상 중단 시에는 플랜지부(250)가 제2 몸체(210)로부터 분리되며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비상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제2 몸체(210)와 플랜지부(250)의 결합 고정상태를 해제시킨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제2 유닛(200)은 제2 가이드(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200)의 세부구성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제2 유닛(200)의 세부구성들의 다양한 구현 예들의 조합을 통하여 제2 유닛(200)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제2 몸체(210)
도 1 내지 6b를 참조하면, 제2 몸체(210)는 내부에 제2 내부홀(210a)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시 제1 몸체(110)와 밀착된다. 제2 내부홀(210a)에는 제2 밸브체부(230)가 구비된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제2 내부홀(210a)에는 제2 밸브체부(2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2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제2 몸체(210)의 전방측 둘레에는 후술되는 고정 브레이크부(270)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몸체(110) 내의 제1 내부홀(110a) 및 제2 몸체(210) 내의 제2 내부홀(210a)의 유로 소통은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상태에서 제1 밸브체부(130)가 전진하며 제2 밸브체부(230)를 후방으로 밀며 이루어진다. 제2 내부홀(210a)의 유로차단은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상태에서 제1 밸브체부(130)가 후퇴하며 제2 밸브체부(230)가 탄성지지되며 전방으로 복귀하는 경우 또는/및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비상 분리 시 제1 몸체(110)로부터 제2 몸체(210)가 떨어지며 제1 밸브체부(130)의 전방 단면과 맞닿아 있던 제2 밸브체부(230)가 탄성지지되며 전방으로 복귀하는 경우에 이루어진다.
예컨대, 제2 몸체(210)는 전방 측 제2 내부홀(210a)의 내주면 상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며 형성된 밸브안착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밸브안착부(211)에는 전방으로 전진된 제2 밸브체부(230), 예컨대 제2 밸브체부(230)의 제2 실링부(233)가 안착되며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다. 예컨대, 밸브안착부(211)는 하나의 경사면 또는 순차로 단차지며 형성되는 다수의 경사면 또는 곡면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이때, 밸브안착부(211)의 최소내경은 제1 밸브체부(130)의 전방부 최대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시 제1 밸브체부(130)의 전방부가 제2 밸브체부(230)를 후방으로 밀며 제1 및 제2 내부홀(110a, 210a) 간의 유로가 개방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몸체(210)의 제2 내부홀(210a)의 후방 측에는 제2 가이드(220)가 제2 내부홀(210a)에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거나 제2 내부홀(210a)의 후방측에 형성된 단턱에 제2 가이드(220)가 안착되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몸체(210)는 전방 단부 둘레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방둘레돌기(2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210)의 전방둘레돌기(213)의 전방면은 제2 몸체(210)의 전방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전방둘레돌기(213)의 둘레 상에 후술되는 고정 브레이크부(270)의 고정걸이부(271)가 힌지결합되거나, 또는 다른 예에서 플랜지부(250) 둘레에 힌지결합된 고정걸이부(271)의 타단측 고정턱(271a)이 전방둘레돌기(213)의 후방면에 지지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걸이부(271)의 힌지결합측이 전방둘레돌기(213)의 둘레 상에 결합되거나 또는 도 5a 내지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걸이부(271)의 고정턱(271a)이 전방둘레돌기(213)의 후방면에 지지되며, 제2 몸체(210)와 플랜지부(250)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킨다. 예컨대, 도 5a 내지 6b에서와 같이 고정걸이부(271)의 고정턱(271a)이 전방둘레돌기(213)의 후방면에 지지되는 경우,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비상 분리 시 고정 브레이크부(270)의 고정해제부(273), 예컨대 해제핀(273b)이 전방둘레돌기(213)의 둘레를 누르며 고정걸이부(271)의 고정턱(271a)에 의한 전방둘레돌기(213)의 후방면 지지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a 내지 6b에서, 고정 브레이크부(270)의 고정턱(271a)이 제2 몸체(210)의 전방둘레돌기(213)의 후방면에 지지하고 고정해제부(273), 예컨대 해제핀(273b)이 전방둘레돌기(213)의 둘레를 누르는 경우, 전방둘레돌기(213)의 둘레 상에 추가 돌출된 돌기(213b)가 형성되고 추가 돌출된 돌기(213b)의 후방면을 고정턱(271a)이 지지하고 최외측면을 고정해제부(273), 예컨대 해제핀(273b)이 누룰 수 있다.
예컨대, 제2 몸체(210)의 전방둘레돌기(213)의 기본 둘레 직경은 제1 몸체(110)의 둘레돌기(113)의 둘레 직경 내지 플랜지부(250)의 기본 둘레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체결고정부(150)의 체결걸이(155)에 의한 체결 및 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4c를 참조하면, 제2 몸체(210)의 전방둘레돌기(213)에 고정 브레이크부(270)의 고정걸이부(271)가 힌지결합되는 경우 제2 몸체(210)의 전방둘레돌기(213) 기본 둘레에서 힌지프레임(213a)이 돌출되고 힌지프레임(213a)의 힌지축(271c)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예에서, 도 5a 내지 6b를 참조하면 고정 브레이크부(270)의 고정걸이부(271)가 플랜지부(250)의 기본 둘레에서 돌출된 힌지프레임(250c)에 힌지결합되어 고정걸이부(271)의 고정턱(271a)이 제2 몸체(210)의 전방둘레돌기(213)의 후방면을 지지하는 경우 전방둘레돌기(213)의 기본 둘레에서 추가돌출된 돌기(213b)의 후방면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제2 몸체(210)는 전방 단부면 상에서 돌출된 다수 체결돌기(21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몸체(210)의 체결돌기(212)는 제2 몸체(210)의 전방 단부와 결합되는 플랜지부(250)의 후방면에 형성된 다수의 홈(250b)에 체결된다.
예컨대, 제2 몸체(210)의 후방에 플랜지관 커넥터(290)가 플랜지 결합될 수 있고, 이때, 제2 몸체(210)의 후방 단면과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부재(291)가 플랜지 결합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밸브체부(230)
도 1, 2, 3a, 3b, 4a, 4b, 5b, 6a 및/또는 6b를 참조하면, 참조하면, 제2 밸브체부(230)는 제2 몸체(210)의 제2 내부홀(210a) 내에서 탄성 지지된다. 제2 밸브체부(230)는 제2 몸체(210)의 분리 시 제2 내부홀(210a)과 밀착되며 제2 내부홀(210a)을 차단한다. 또한,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시 제2 밸브체부(230)는 맞닿는 제1 밸브체부(130)의 전진에 따라 후방으로 밀리며 제2 내부홀(210a)의 유로를 개방시킨다. 예컨대, 제2 밸브체부(230)는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상태에서 제1 밸브체부(130)의 후퇴에 따라 전방으로 탄성력에 의해 복귀하며 제2 내부홀(210a)의 유로를 차단할 수 있다. 게다가, 제2 밸브체부(230)는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비상 분리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제2 내부홀(210a)의 유로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 2, 3a, 3b, 4a, 4b, 5b, 6a 및/또는 6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2 밸브체부(230)는 제2 샤프트부(231), 제2 밸브부(232), 제2 실링부(233) 및 제2 스프링(2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샤프트부(231)는 제2 가이드(220)의 제2 가이드홀(22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2 밸브부(232)는 제2 샤프트부(231)의 전방에 형성되어 제2 밸브체부(230)의 전방부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상태에서 제2 밸브부(232)는 제1 밸브체부(130)의 제1 밸브부(132)와 맞닿는다. 제2 밸브부(232)의 직경은 제2 내부홀(210a)의 내주면 방향으로 밸브안착부(211)의 최소내경보다 크게 확대된다. 이에 따라, 제2 내부홀(210a) 내에서 제2 밸브체부(230)가 후퇴 및 전진 복귀하며 제2 내부홀(210a)의 유로가 개폐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밸브부(232)는 밸브안착부(211)의 경사 내지 곡면 등의 구조에 나란하거나 또는 마주보도록 제2 실링부(233)가 설치되는 설치면을 구비하고, 설치면 상에 제2 실링부(233)가 설치되는 링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링부(233)는 제2 밸브부(232)의 둘레에 설치되며 제2 몸체(210)의 분리 시 밸브안착부(211)와 제2 밸브부(232)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예컨대, 제2 실링부(233)는 밸브안착부(211)의 경사 내지 곡면 등의 구조에 나란하거나 또는 마주보는 제2 밸브부(232) 둘레 상에 형성된 링홈에 설치되며 밸브안착부(211)와 제2 밸브부(232)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켜 제2 내부홀(210a)의 유로를 차단시킨다. 예컨대, 제2 실링부(233)는 고무 또는 수지재질의 실링링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밸브체부(230)의 제2 스프링(234)은 제2 가이드(220) 내지 제2 내부홀(210a)에 일단이 지지되며 제2 몸체(210)의 분리 시 제2 내부홀(210a)의 유로를 차단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예컨대, 제2 스프링(234)은 제2 샤프트부(231)의 둘레 주위에 설치되며, 제2 스프링(234)의 타측은 제2 샤프트부(231)의 전방측 돌출단턱 또는 제2 밸브부(232)의 후방면측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제2 스프링(234)은 제2 몸체(210)의 분리 시 제2 밸브부(232)에 의해 제2 내부홀(210a)의 유로가 차단되도록 제2 밸브체부(23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연결유로 개방 시 제1 밸브부(132)에 의해 제2 밸브부(232)가 밀리며 제2 스프링(234)이 수축하고, 연결유로 차단 시 제2 스프링(234)이 탄성력을 제공하며 제2 밸브부(232)가 제2 내부홀(210a)을 차단하도록 한다.
예컨대, 제1 밸브부(132)의 전방 단면과 제2 밸브부(232)의 전방 단면 각각의 사이즈는 서로 매칭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내부홀(210a)의 유로 차단 시 전방측에서 노출되는 제2 밸브부(232)의 전방 단면은 평면이고 예컨대 제1 밸브부(132)의 전방면과 동일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매칭되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정상 분리 시 연결유로 차단 시까지 제2 밸브부(232)의 전방면과 제1 밸브부(132)의 전방면이 맞닿도록 하여 유체의 누설이 없도록 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플랜지부(250)
도 1 내지 6b를 참조하면, 제2 유닛(200)의 플랜지부(250)는 제2 몸체(210)의 전방에 결합되며 제1 및 제2 몸체(110, 210)가 밀착되도록 제1 몸체(110)의 전방부가 삽입되는 관통홀(250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플랜지부(250)의 관통홀(250a)에 삽입된 제1 몸체(110)의 전방부는 전방면이 제2 몸체(210)의 전방 단면에 밀착된다. 예컨대, 제2 몸체(210)의 전방 단면과 밀착되는 제1 몸체(110)의 전방면 상에 링홈이 형성되고 링홈에 몸체 실링링(182)을 설치하여 제1 및 제2 몸체(110, 210)의 전방면 사이에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플랜지부(250)는 체결고정부(150)에 의한 결합상태 고정이 이루어진다. 예컨대, 제1 몸체(110)의 둘레에 형성된 체결고정부(150)의 체결걸이(155)가 플랜지부(250)의 후방면을 지지하며 제1 몸체(110)와 플랜지부(250)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킨다.
예컨대,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비상 분리 시, 플랜지부(250)는 체결고정부(150)에 의해 제1 몸체(110)와의 결합상태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 몸체(210)와 분리되며 제1 유닛(100)과 함께 일체로 제2 유닛(200)의 분리 부분과 분리된다. 제2 몸체(210)와 분리된 플랜지부(250)의 후방면은 제1 몸체(110)의 전방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평면을 이루며,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비상 분리에 따라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부위에 대한 스트레스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도 5a 내지 6b를 참조하면, 플랜지부(250)의 둘레 상에 후술되는 고정 브레이크부(270)의 고정걸이부(271)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걸이부(271)는 플랜지부(250)의 둘레 상에서 돌출된 힌지프레임(250c)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걸이부(271)의 고정턱(271a)은 제2 몸체(210)의 전단부 둘레돌기(213)의 후방면을 지지하며 플랜지부(250)와 제2 몸체(210) 사이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는, 도 1 내지 4c를 참조하면 다른 하나의 예에서, 고정 브레이크부(270)의 고정걸이부(271)가 제2 몸체(210)의 전단부 둘레돌기(213) 상에, 예컨대 제2 몸체(210)의 전단부 둘레돌기(213)에서 돌출형성된 힌지프레임(213a)에, 힌지결합되는 경우 고정걸이부(271)의 고정턱(271a)은 플랜지부(250)의 전방면, 예컨대 플랜지부(250) 둘레에서 돌출된 돌기(253)의 전방면을 지지하며 제2 몸체(210)와 플랜지부(250) 사이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이때, 고정턱(271a)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플랜지부(250) 둘레에서 돌출된 돌기(253)의 외측 둘레면 상에 고정 브레이크부(270)의 고정해제부(273), 예컨대 해제핀(273b)이 탄성적으로 누르고, 만일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비상 분리 시 고정 브레이크부(270)의 브레이크 유도부(275), 예컨대 지지링(275a)이 빠짐에 따라 플랜지부(250) 둘레에서 돌출된 돌기(253)의 외측 둘레면 상을 누르고 있던 고정해제부(273)의 해제핀(273b)에 의해 고정걸이부(271)가 힌지 회전하며 플랜지부(250)에 대한 고정턱(271a)의 고정 지지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예컨대, 플랜지부(250)의 기본 둘레 직경은 제1 몸체(110)의 둘레돌기(113)의 둘레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체결고정부(150)의 프레임(151)의 돌출부의 내측면에 제1 몸체(110)의 둘레돌기(113)의 최외각면과 플랜지부(250)의 기본 둘레면이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51)의 가이드(151a)는 플랜지부(250)의 둘레면을 지난 지점부터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고정부(150)의 실린더 타단에 결합된 체결걸이(155)가 실린더(153) 로드의 신장에 따라 경사진 가이드(151a)에 의해 바깥쪽으로 이동하며 제1 유닛(100)에 제2 몸체(210)의 체결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이때, 제2 몸체(210)의 전방단부 둘레돌기(213)의 외곽 직경은 플랜지부(250)의 기본 둘레 직경과 제1 몸체(110)의 둘레돌기(113)의 둘레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체결고정부(150)의 체결걸이(155)에 의해 체결 및 해제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플랜지부(250)는 제2 몸체(210)의 전방면과 결합되는 후방면에 다수의 홈(250b)이 형성되고, 홈(250b)에 제2 몸체(210)의 전방면 상의 체결돌기(212)가 체결되며 제2 몸체(210)와 플랜지부(250)가 결합된다.
예컨대, 플랜지부(250)는 동 또는 동합금 재질일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 브레이크부(270)
도 1 내지 6b를 참조하면, 제2 유닛(200)의 고정 브레이브부(270)는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시 제2 몸체(210)와 플랜지부(250)의 결합을 고정시킨다. 하지만, 고정 브레이브부(270)는,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상태의 비상 중단 시 플랜지부(250)가 제2 몸체(210)로부터 분리되며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비상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제2 몸체(210)와 플랜지부(250)의 결합 고정상태를 해제시킨다. 본 발명에서 고정 브레이크부(270)는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고정상태를 중단(브레이크, Break)시켜 결합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비상 상황에서 제1 및 제2 유닛(100, 200) 간에 정상적인 분리가 아닌 비상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부위의 분리로 인한 스트레스 내지 손상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유닛(100) 측에 연결되는 배관 또는 시설측과 제2 유닛(200) 측에 연결되는 배관 또는 시설측 간에 상대적인 요동 내지 이동에 따라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연결부위에 스트레스 내지 손상이 생길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스트레스 내지 손상은 커진다. 하지만,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와 같이, 고정 브레이크부(270)를 구비하여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상태에서 비상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인 요동 내지 이동에 따른 연결부위의 스트레스 내지 손상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도 1 내지 6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고정 브레이크부(270)는 고정걸이부(271), 고정해제부(273) 및 브레이크 유도부(27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걸이부(271)는 일측이 제2 몸체(210)의 전방부 둘레 또는 플랜지부(250)의 둘레에 힌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4c를 참조하면, 고정걸이부(271)는 제2 몸체(210)의 전방부 둘레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예컨대, 제2 몸체(210)의 전방단부 둘레돌기(213)에서 돌출된 힌지프레임(213a)에 힌지축(271c)이 구비되고 고정걸이부(271)의 일단이 힌지축(271c)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에서, 도 5a 내지 6b를 참조하면, 고정걸이부(271)는 플랜지부(250)의 둘레에 힌지 고정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플랜지부(250)의 둘레에서 도 4c에 도시된 구조와 유사하게 힌지프레임(250c)이 돌출되고 힌지프레임(250c)에 힌지축(271c)이 구비되고 고정걸이부(271)의 일단이 힌지축(271c)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한편, 고정걸이부(271)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턱(271a)은 플랜지부(250) 또는 제2 몸체(210)의 전방부에 걸리며 제2 몸체(210)와 플랜지부(250)의 결합을 고정시킨다. 예컨대, 도 1 내지 4c를 참조하면 고정걸이부(271)의 고정턱(271a)은 플랜지부(250)의 전방면에 걸리며 제2 몸체(210)와 플랜지부(250)의 결합을 고정시킬 수 있고, 도 5a 내지 6b를 참조하면 고정턱(271a)은 제2 몸체(210)의 전방부에 걸리며 제2 몸체(210)와 플랜지부(250)의 결합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고정걸이부(271)는 각각 다수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고정걸이부(271)는 제2 몸체(210)의 둘레 또는 플랜지부(25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고정걸이부(271) 각각은 고정턱(271a)이 둘레중심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이고 고정턱(271a) 이전 부위에 고정해제부(273)를 수용하는 수용홈(271b)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수용홈(271b)은 힌지 결합되는 고정걸이부(271)의 일단측과 둘레중심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턱(271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수용홈(271b)은 둘레중심방향측인 바닥면에 브레이크 유도부(275)의 해제핀(275b)이 돌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도 1 내지 4c를 참조하면, 고정 브레이크부(270)는, 고정걸이부(271)가 제2 몸체(210)의 전방부 둘레에 힌지 고정결합되고 타측 고정턱(271a)이 플랜지부(250)의 전방면에 걸려 제2 몸체(210)와 플랜지부(250)의 결합을 고정시키는 경우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비상 분리 시 고정턱(271a)에 의한 플랜지부(250)의 전방면 걸림을 해제하며 플랜지부(250)가 제1 유닛(100)과 일체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고정걸이부(271)는 제2 유닛(200)의 분리부분으로 남아 제1 유닛(100)과 결합고정되어 있는 플랜지부(250)과 결합해제되며 분리될 수 있다. 또는, 도 5a 내지 6b를 참조하면, 고정걸이부(271)가 플랜지부(250)의 둘레에 힌지 고정결합되고 타측 고정턱(271a)이 제2 몸체(210)의 전방부에 걸려 플랜지부(250)와 제2 몸체(210)의 결합을 고정시키는 경우, 고정 브레이크부(270)는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비상 분리 시 고정턱(271a)에 의한 제2 몸체(210)의 전방둘레 돌출부위의 후방면 걸림을 해제하며 플랜지부(250)와 일체로 제1 유닛(100)과 함께 제2 유닛(200)의 분리 부분과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고정걸이부(271)는 플랜지부(250)이 제1 유닛(100)과 결합 고정되어 있으므로 플랜지부(250)와 함께 제1 유닛(100)과 일체로 제2 유닛(200)의 분리부분과 비상 분리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 내지 6b를 참조하면, 고정해제부(273)는 고정걸이부(271)에 장착되며 탄성에 의해 고정걸이부(271)를 힌지 회전시켜 고정턱(271a)의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다. 예컨대, 고정해제부(273)는 브레이크 유도부(275)에 의해 힌지축을 기준으로 고정턱(271a) 반대편인 고정걸이부(271)의 일측 단부측에 대한 떠받침상태를 해제시켜 고정걸이부(271)의 일단이 힌지회전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고정턱(271a)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고정해제부(273)는 각 고정걸이부(271)과 세트로 형성되며 다수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해제부(273)는 고정걸이부(271)의 수용홈(271b)에 설치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고정해제부(273) 각각은 해제스프링(273a) 및 해제핀(273b)을 구비할 수 있다. 해제스프링(273a)은 고정걸이부(271)의 수용홈(271b)에 지지되며 설치된다. 해제핀(273b)은 해제스프링(273a)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둘레중심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해제핀(273b)은 고정턱(271a)에 의해 걸리는 플랜지부(250) 또는 제2 몸체(210)의 전방부의 외측 둘레면을 누르며 고정걸이부(271)를 힌지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4c를 참조하면, 수용홈(271b)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해제핀(273b)은 정상상태에서 고정턱(271a)에 의해 걸려 제2 몸체(210)와의 결합상태가 고정되는 플랜지부(250)의 둘레면 내지 둘레에서 돌출된 돌기면을 해제스프링(273a)의 수축상태로 누르고 있다. 도 1 내지 4c에서,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비상 분리 시 해제핀(273b)은 브레이크 유도부(275)의 지지해제에 따라 플랜지부(250)의 둘레면 내지 둘레에서 돌출된 돌기면을 누르며 해제스프링(273a)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걸이부(271)를 힌지회전시키며 고정턱(271a)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또는, 도 5a 내지 6b를 참조하면, 해제핀(273b)은 정상상태에서 고정턱(271a)에 의해 걸려 결합상태가 고정되는 제2 몸체(210)의 전방단부 둘레돌기(213) 둘레면 내지 추가 돌출된 돌기면을 해제스프링(273a)의 수축상태로 누르고 있다가, 비상 분리 시 해제핀(273b)은 브레이크 유도부(275)의 지지해제에 따라 제2 몸체(210)의 전방단부 둘레돌기(213) 둘레면 내지 추가 돌출된 돌기면을 누르며 해제스프링(273a)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걸이부(271)를 힌지회전시키며 고정턱(271a)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 내지 6b를 참조하여 브레이크 유도부(275)를 살펴본다. 도 1 내지 3b, 5a 및 5b를 참조하면, 브레이크 유도부(275)는 고정걸이부(271)가 힌지결합하는 힌지축을 기준으로 고정걸이부(271)의 타측 반대측인 일측 단부 측을 지지하며 고정해제부(273)에 의한 힌지 회전을 막고 있다. 또한, 도 4a 내지 4c, 6a 및 6b를 참조하면, 브레이크 유도부(275)는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상태의 비상 중단 시 고정걸이부(271)의 일측 단부에 대한 지지상태를 해제하며 고정해제부(273)에 의한 힌지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예컨대, 브레이크 유도부(275)는 지지링(275a) 및 와이어(275b)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링(275a)은 기본 링 상에서 돌출된 돌기부(1275a)를 구비하여 돌기부가 고정걸이부(271)의 힌지축 반대쪽인 일측 단부 내측면을 떠 받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275b)는 비상 분리 상황에서 고정걸이부(271)의 일측 단부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링(275a)을 당기는 역할을 하고, 받침대 역할을 하던 지지링(275a)이 빠짐에 따라 고정걸이부(271)가 힌지 회전하게 된다. 도 1 내지 3b, 5a 및 5b를 참조하면, 지지링(275a)은 링형상으로 고정걸이부(271)의 일측 단부 측 내측면을 지지하며 해제핀(273b)에 의한 고정걸이부(271)의 힌지 회전을 막는다. 또한, 도 4a 내지 4c, 6a 및 6b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상태의 비상 중단 시 지지링(275a)에 의한 고정걸이부(271)의 일측 단부 측 내측면 지지상태가 해제되고, 이에 따라 해제핀(273b)에 의한 고정걸이부(271)의 힌지 회전이 이루어지며 고정턱(271a)의 걸림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와이어(275b)는 일단이 지지링(275a)에 연결되고 타단 측이 고정걸이부(271)의 일측 단부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유닛(200) 또는 제1 유닛(100)과의 연결되는 설비 내지 시설에 결합된다. 이때, 와이어(275b)는 제1 유닛(100)과 연결되는 설비와 제2 유닛(200)과 연결되는설비 사이의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의 상대적 요동에 따라 지지링(275a)을 당겨 고정걸이부(271)의 일측 단부 측 내측면에 대한 지지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즉, 와이어(275b)의 타단 측이 제1 및 제2 유닛(100, 200) 중 어느 일측에 연결되는 설비 측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유닛(100) 측에 연결된 시설측과 제2 유닛(200)에 연결된 시설측 간의 설정이상의 상대적인 요동 내지 이동에 따라 와이어(275b)가 일단에 연결된 지지링(275a)을 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지링(275a)에 의한 고정걸이부(271)의 일측 단부 측 내측면 지지상태가 해제되며 고정걸이부(271)가 힌지회전하며 고정턱(271a)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제1 및 제2 유닛(100, 200) 간의 비상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3b, 5a 및 5b의 경우와 같이 고정걸이부(271)가 제2 몸체(210) 전방단부 둘레에 힌지결합하고 지지링(275a)이 제2 몸체(210) 둘레에 설치되는 경우 와이어(275b) 타단은 고정걸이부(271)와 지지링(275a)이 결합된 제2 유닛(200)과 연결되는 시설측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전 와이어(275b)의 타단을 제2 유닛(200)과 연결되는 시설측에 체결시킬 수 있으나, 도 4a 내지 4c, 6a 및 6b의 경우에는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후 와이어(275b)의 타단을 제1 유닛(100)과 연결되는 시설측에 체결시킬 수 있다.
제2 가이드(220)
도 1, 2, 3a, 3b, 4a, 4b, 5b, 6a 및/또는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서, 제2 유닛(200)은 제2 가이드(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220)는 제2 밸브체부(2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홀(221)을 구비한다. 제2 가이드(220)는 제2 내부홀(210a) 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가이드(220)는 제2 몸체(210)의 후방측에서 삽입시켜 나사결합시키거나 삽입후 회전시켜 고정설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가이드(220)는 제1 가이드(120)와 동일 또는 유사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가이드(220)는 제2 가이드홀(221)의 주위로 유로를 형성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 가이드(220)는 제2 가이드홀(221) 주위에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가지들이 돌출되어 예컨대 삼발이 등과 같은 형상을 이루며 최외각 부분이 제2 내부홀(210a)의 내면에 설치되며 체결될 수 있고, 이때, 다수의 가지들과 제2 내부홀(210a)의 내주면과 사이의 빈 공간이 유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가이드홀(221) 주위의 원판 플레이트에 다수의 관통형 유로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2 가이드(220)의 제2 가이드홀(221) 주위의 방사상 가지들 내지 원형 플레이트 상에 제2 스프링(234)의 타단이 지지될 수 있다.
플랜지관 커넥터(290)
도 1 내지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서, 제2 유닛(200)은 플랜지관 커넥터(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플랜지관 커넥터(290)는 제2 몸체(210)의 후방 측과 플랜지 결합되며 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몸체(210)의 후방면과 플랜지관 커넥터(290)의 전방면 연결부위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부재(291)가 결합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 예들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이때,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라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라 다양한 변형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전술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 실시 예들을 포함하고 있다.
100: 제1 유닛 110: 제1 몸체
110a: 제1 내부홀 110b: 캠홀
111: 단턱부 112: 지지홈
120: 제1 가이드 121: 제1 가이드홀
130: 제1 밸브체부 131: 제1 샤프트부
132: 제1 밸브부 133: 제1 실링부
134: 제3 스프링 135: 캠결합부
135a: 플레이트 후방 오목단부 135b: 걸림돌기
140: 슬라이딩부 141: 슬라이딩 본체
141a: 안착부 143: 제1 스프링
150: 체결고정부 151: 프레임
151a: 가이드 153: 실린더
155: 체결걸이 160: 조작캠부
161: 캠샤프트 162: 캠
162a: 캠 돌출부 162b: 돌출걸이
181: 관통홀 실링링 182: 몸체 실링링
183: 캠홀 실링링 200: 제2 유닛
210: 제2 몸체 210a: 제2 내부홀
211: 밸브안착부 220: 제2 가이드
221: 제2 가이드홀 230: 제2 밸브체부
231: 제2 샤프트부 232: 제2 밸브부
233: 제2 실링부 234: 제2 스프링
250: 플랜지부 250a: 관통홀
270: 고정 브레이크부 271: 고정걸이부
271a: 고정턱 273: 고정해제부
273a: 해제스프링 273b: 해제핀
275: 브레이크 유도부 275a: 지지링
275b: 와이어 290: 플랜지관 커넥터
291: 실링부재

Claims (11)

  1.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을 포함하고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대형배관 밸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내부에 제1 내부홀이 형성된 제1 몸체; 상기 제1 내부홀 내에서 전후진하며 상기 상기 제1 내부홀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체부; 및 상기 제1 몸체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키는 체결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닛은: 내부에 제2 내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 시 상기 제1 몸체와 밀착되는 제2 몸체; 상기 제2 내부홀에서 탄성지지되고 상기 제2 몸체의 분리 시 상기 제2 내부홀을 차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 시 맞닿는 상기 제1 밸브체부의 전진에 따라 밀리며 상기 제2 내부홀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2 밸브체부; 상기 제2 몸체의 전방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몸체가 밀착되도록 상기 제1 몸체의 전방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고정부에 의한 결합상태 고정이 이루어지는 플랜지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 시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플랜지부의 결합을 고정시키되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상태의 비상 중단 시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제2 몸체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플랜지부의 결합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고정 브레이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브레이크부는, 일측이 상기 제2 몸체의 전방부 둘레 또는 상기 플랜지부의 둘레에 힌지 고정되고 타측에 형성된 고정턱이 상기 플랜지부 또는 상기 제2 몸체의 전방부에 걸리며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플랜지부의 결합을 고정시키는 고정걸이부, 상기 고정걸이부에 장착되며 탄성에 의해 상기 고정걸이부를 힌지 회전시켜 상기 고정턱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고정해제부, 및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걸이부의 타측 반대측인 일측 단부 측을 지지하며 상기 고정해제부에 의한 힌지 회전을 막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상태의 비상 중단 시 상기 일측 단부의 지지상태를 해제하며 상기 고정해제부에 의한 힌지 회전을 허용하는 브레이크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걸이부 및 고정해제부는 각각 다수 구비되고,
    상기 고정걸이부 각각은 상기 고정턱이 둘레중심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이고 상기 고정턱 이전 부위에 상기 고정해제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해제부 각각은 상기 수용홈에 설치된 해제스프링 및 상기 해제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상기 둘레중심방향으로 돌출되는 해제핀을 구비하고, 상기 해제핀은 상기 고정턱에 의해 걸리는 상기 플랜지부 또는 상기 제2 몸체의 전방부의 외측 둘레면을 누르며 상기 고정걸이부를 힌지 회전시키고,
    상기 브레이크 유도부는 링형상으로 상기 고정걸이부의 상기 일측 단부 측 내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해제핀에 의한 상기 고정걸이부의 힌지 회전을 막는 지지링 및 일단이 상기 지지링에 연결되고 타단 측이 상기 고정걸이부의 상기 일측 단부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유닛 또는 제1 유닛과의 연결되는 설비에 결합되는 와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 유닛과 연결되는 설비와 상기 제2 유닛과 연결되는설비 사이의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의 상대적 요동에 따라 상기 지지링을 당겨 상기 고정걸이부의 상기 일측 단부 측 내측면에 대한 지지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
  2.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을 포함하고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대형배관 밸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내부에 제1 내부홀이 형성된 제1 몸체; 상기 제1 내부홀 내에서 전후진하며 상기 상기 제1 내부홀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체부; 및 상기 제1 몸체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키는 체결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닛은: 내부에 제2 내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 시 상기 제1 몸체와 밀착되는 제2 몸체; 상기 제2 내부홀에서 탄성지지되고 상기 제2 몸체의 분리 시 상기 제2 내부홀을 차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 시 맞닿는 상기 제1 밸브체부의 전진에 따라 밀리며 상기 제2 내부홀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2 밸브체부; 상기 제2 몸체의 전방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몸체가 밀착되도록 상기 제1 몸체의 전방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고정부에 의한 결합상태 고정이 이루어지는 플랜지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 시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플랜지부의 결합을 고정시키되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상태의 비상 중단 시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제2 몸체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플랜지부의 결합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고정 브레이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브레이크부는, 일측이 상기 제2 몸체의 전방부 둘레 또는 상기 플랜지부의 둘레에 힌지 고정되고 타측에 형성된 고정턱이 상기 플랜지부 또는 상기 제2 몸체의 전방부에 걸리며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플랜지부의 결합을 고정시키는 고정걸이부, 상기 고정걸이부에 장착되며 탄성에 의해 상기 고정걸이부를 힌지 회전시켜 상기 고정턱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고정해제부, 및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걸이부의 타측 반대측인 일측 단부 측을 지지하며 상기 고정해제부에 의한 힌지 회전을 막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상태의 비상 중단 시 상기 일측 단부의 지지상태를 해제하며 상기 고정해제부에 의한 힌지 회전을 허용하는 브레이크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브레이크부는, 상기 고정걸이부가 상기 제2 몸체의 전방부 둘레에 힌지 고정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 시 상기 고정턱에 의한 상기 플랜지부의 전방면 걸림을 해제하며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제1 유닛과 일체로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걸이부가 상기 플랜지부의 둘레에 힌지 고정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 시 상기 고정턱에 의한 상기 제2 몸체의 전방둘레 돌출부위의 후방면 걸림을 해제하며 상기 플랜지부와 일체로 상기 제1 유닛과 함께 상기 제2 유닛의 분리 부분과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
  3. 청구항 2에서,
    상기 제1 유닛은 내부 관통되며 상기 제1 내부홀의 내주면을 따라 탄성지지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 시 전방 단부가 상기 제2 몸체의 전방 단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 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내부홀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본체 및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 본체를 탄성 지지하고 타단이 상기 제1 내부홀 내에 지지되는 제1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밸브체부는 상기 제1 내부홀 내에서 상기 슬라이딩 본체를 관통하여 전후진하며 상기 슬라이딩 본체의 전방 측을 개폐하여 유로를 개폐하고,
    상기 슬라이딩 본체는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 시 상기 제1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 전진하여 전방부가 상기 제1 밸브체부와 밀착되며 상기 제1 내부홀의 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제2 밸브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내부홀의 유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
  4.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을 포함하고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대형배관 밸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내부에 제1 내부홀이 형성된 제1 몸체; 상기 제1 내부홀 내에서 전후진하며 상기 상기 제1 내부홀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체부; 및 상기 제1 몸체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키는 체결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닛은: 내부에 제2 내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 시 상기 제1 몸체와 밀착되는 제2 몸체; 상기 제2 내부홀에서 탄성지지되고 상기 제2 몸체의 분리 시 상기 제2 내부홀을 차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 시 맞닿는 상기 제1 밸브체부의 전진에 따라 밀리며 상기 제2 내부홀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2 밸브체부; 상기 제2 몸체의 전방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몸체가 밀착되도록 상기 제1 몸체의 전방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고정부에 의한 결합상태 고정이 이루어지는 플랜지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 시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플랜지부의 결합을 고정시키되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상태의 비상 중단 시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제2 몸체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플랜지부의 결합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고정 브레이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은 내부 관통되며 상기 제1 내부홀의 내주면을 따라 탄성지지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 시 전방 단부가 상기 제2 몸체의 전방 단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 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내부홀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본체 및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 본체를 탄성 지지하고 타단이 상기 제1 내부홀 내에 지지되는 제1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밸브체부는 상기 제1 내부홀 내에서 상기 슬라이딩 본체를 관통하여 전후진하며 상기 슬라이딩 본체의 전방 측을 개폐하여 유로를 개폐하고,
    상기 슬라이딩 본체는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 시 상기 제1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 전진하여 전방부가 상기 제1 밸브체부와 밀착되며 상기 제1 내부홀의 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제2 밸브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내부홀의 유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
  5.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을 포함하고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대형배관 밸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내부에 제1 내부홀이 형성된 제1 몸체; 상기 제1 내부홀 내에서 전후진하며 상기 상기 제1 내부홀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체부; 및 상기 제1 몸체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키는 체결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닛은: 내부에 제2 내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 시 상기 제1 몸체와 밀착되는 제2 몸체; 상기 제2 내부홀에서 탄성지지되고 상기 제2 몸체의 분리 시 상기 제2 내부홀을 차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 시 맞닿는 상기 제1 밸브체부의 전진에 따라 밀리며 상기 제2 내부홀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2 밸브체부; 상기 제2 몸체의 전방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몸체가 밀착되도록 상기 제1 몸체의 전방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고정부에 의한 결합상태 고정이 이루어지는 플랜지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 시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플랜지부의 결합을 고정시키되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상태의 비상 중단 시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제2 몸체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플랜지부의 결합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고정 브레이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고정부는 다수 구비되되,
    상기 체결고정부 각각은, 상기 제1 몸체의 둘레에 장착되며 전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중심에서 멀어지는 가이드를 구비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힌지 결합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전방에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체결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걸이는,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 시 상기 실린더 구동에 의한 후퇴에 따라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제2 몸체 측 후방면에 걸리며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상태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정상 분리 시 상기 실린더 구동에 의한 전진에 따라 상기 플랜지부에 대한 걸림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 시 상기 플랜지부에 대한 걸림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제1 유닛과 일체로 상기 제2 유닛의 분리 부분과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
  6. 청구항 5에서,
    상기 제1 유닛은 내부 관통되며 상기 제1 내부홀의 내주면을 따라 탄성지지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 시 전방 단부가 상기 제2 몸체의 전방 단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 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내부홀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본체 및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 본체를 탄성 지지하고 타단이 상기 제1 내부홀 내에 지지되는 제1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밸브체부는 상기 제1 내부홀 내에서 상기 슬라이딩 본체를 관통하여 전후진하며 상기 슬라이딩 본체의 전방 측을 개폐하여 유로를 개폐하고,
    상기 슬라이딩 본체는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 시 상기 제1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 전진하여 전방부가 상기 제1 밸브체부와 밀착되며 상기 제1 내부홀의 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제2 밸브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내부홀의 유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
  7. 청구항 3, 4, 6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1 몸체는 둘레 일측에서 상기 제1 내부홀로 관통하는 캠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1 내부홀 내에 고정 설치되며 제1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제1 가이드; 및 상기 캠홀을 관통하는 캠샤프트, 상기 제1 몸체 외부의 상기 캠샤프트 상단부에 형성된 조작레버 및 상기 제1 내부홀 내의 상기 캠샤프트 둘레에 형성된 캠을 포함하는 조작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체부는 상기 제1 가이드홀을 관통하며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하며 상기 슬라이딩 본체의 전방 측을 개폐하여 유로를 개폐하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내부홀 내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내부홀의 연결유로 차단은,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결합상태에서 캠 돌출부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밸브체부가 후퇴하며 상기 슬라이딩 본체의 전방부에 상기 제1 밸브체부의 전방부 측이 밀착되어 차단되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비상 분리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본체가 전진하며 상기 제1 밸브체부와 밀착되며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
  8. 청구항 7에서,
    상기 캠은 상기 캠 돌출부의 반대측에서 수직 돌출된 돌출걸이를 구비하고,
    상기 캠과 결합되는 상기 제1 밸브체부의 후방부는 캠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캠 결합부는 상기 제1 밸브체부 전방측으로 호형으로 오목한 플레이트 후방 오목단부에서 수직 돌출되어 상기 돌출걸이에 의해 당겨지는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캠 돌출부의 후방측으로의 회전 시 상기 캠 돌출부의 반대측이 상기 캠 결합부에 체결되며,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캠이 상기 제1 밸브체부를 당기며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
  9. 청구항 7에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각각은 상기 제1 내지 제2 가이드홀의 주위로 유로를 형성시키고,
    상기 슬라이딩 본체의 전방부는 내주면 상에서 전방단부보다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며 상기 제1 밸브체부의 전방부와 밀착되는 안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전방 측 상기 제2 내부홀의 내주면 상에 전방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게 형성된 밸브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밸브체부는, 상기 제2 가이드 내지 상기 제2 내부홀에 일단이 지지되며 상기 제2 몸체의 분리 시 상기 제2 내부홀의 유로를 차단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 상기 제2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제2 샤프트부, 상기 제2 샤프트부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밸브체부의 전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내부홀의 내주면 방향으로 상기 밸브안착부의 최소내경보다 크게 확대된 제2 밸브부, 및 상기 제2 밸브부의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몸체의 분리 시 상기 밸브안착부와 상기 제2 밸브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2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프링은 상기 제2 샤프트부의 둘레 주위에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제2 밸브부의 후방 측 내지 상기 제2 샤프트부의 전방 단턱을 탄성지지하고,
    상기 제1 밸브체부는, 상기 제1 가이드 내지 상기 제1 내부홀에 일단이 지지되며 상기 캠 돌출부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정상 분리 시 후퇴용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 스프링, 상기 제1 가이드홀을 관통하는 제1 샤프트부, 상기 제1 샤프트부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밸브체부의 전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몸체의상기 밸브안착부의 최소내경보다 작게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본체 전방부의 최소직경보다 크게 확대된 제1 밸브부, 및 상기 제1 밸브부의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내부홀의 유로차단 시 상기 슬라이딩 본체의 상기 안착부와 상기 제1 밸브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1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
  10. 청구항 9에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1 내부홀의 전방 결합측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링홈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내부홀의 내주면과 상기 슬라이딩 본체의 외주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내부홀 실링링, 상기 제1 몸체의 전방 단면에 형성된 링홈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몸체 실링링 및 상기 캠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링홈에 설치되며 상기 캠홀의 내주면과 상기 캠샤프트의 외주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캠홀 실링링을 포함하는 다수의 실링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전방 단부면 상에서 돌출된 다수 체결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2 몸체의 전방 단부와 결합되는 상기 플랜지부의 후방면에 형성된 다수의 홈에 체결되고,
    상기 제1 밸브부의 전방 단면과 상기 제2 밸브부의 전방 단면 각각의 사이즈는 서로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
  11. 청구항 1 내지 6 중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1 및 제2 유닛 중 하나는 육상의 고정 설비 측 연결배관과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해상의 선박 상의 설비 또는 육상의 대형차량 내지 열차 상의 설비 측 연결배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
KR1020180073932A 2018-06-27 2018-06-27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 KR102098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932A KR102098813B1 (ko) 2018-06-27 2018-06-27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932A KR102098813B1 (ko) 2018-06-27 2018-06-27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228A KR20200001228A (ko) 2020-01-06
KR102098813B1 true KR102098813B1 (ko) 2020-04-08

Family

ID=69159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932A KR102098813B1 (ko) 2018-06-27 2018-06-27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8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17061A (ja) * 2012-03-23 2015-06-18 カイツ,アンドレアス フォン 流体導通ライン同士を接続するカップリン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6148A (ko)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성신모텍 퀵 커넥터
DE102013100483A1 (de) * 2013-01-17 2014-07-17 Andreas von Keitz Nottrennkupplung
KR200486028Y1 (ko) 2015-10-14 2018-03-23 주식회사 기하정밀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17061A (ja) * 2012-03-23 2015-06-18 カイツ,アンドレアス フォン 流体導通ライン同士を接続するカップリ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228A (ko) 202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1760A (en) Conduit coupling device with redundancy features
JP6082455B2 (ja) 流体導通ライン同士を接続するカップリング
CA2895873C (en) Inline connect breakaway hose coupler
US8317234B2 (en) Connector
US4802694A (en) Quick-disconnect coupling
KR20150107851A (ko) 비상 분리형 커플링
EP1766283B1 (en) Coupling assembly
BRPI0720369A2 (pt) Acoplamento submarino
US8360103B2 (en) Split valve
US8757589B2 (en) Coupling assembly with valves
JPH02146398A (ja) 迅速切離しホース継手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98813B1 (ko)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
KR20150010960A (ko) 유연성 호스의 분리가능한 연결부를 위한 실링 가스켓을 갖는 페탈 제어 밸브
US10767799B2 (en) Vapor coupler
JP2009505008A (ja) 流路用継手アセンブリ
RU2518317C2 (ru) Муфта
US20090008935A1 (en) Pipeline breakaway coupling
US20090261577A1 (en) Coupling assembly
RU2688088C2 (ru) Аварийный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WO1986004974A1 (en) Quick connect coupling safety clamp system
EP3500785B1 (en) Quick coupling with multi-piece elastomer seal
US4971096A (en) Wing fold frangible valve
EP3292338B1 (en) Axial metal seal retainer and sealing member for improved fatigue resistance
KR102029998B1 (ko)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GB2211258A (en) Cam-and-groove fluid transfer couplings with bayonet f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