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609B1 - Cargo loading ship - Google Patents

Cargo loading sh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609B1
KR102098609B1 KR1020150155542A KR20150155542A KR102098609B1 KR 102098609 B1 KR102098609 B1 KR 102098609B1 KR 1020150155542 A KR1020150155542 A KR 1020150155542A KR 20150155542 A KR20150155542 A KR 20150155542A KR 102098609 B1 KR102098609 B1 KR 102098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cargo loading
residence
cargo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5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53267A (en
Inventor
장청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5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609B1/en
Publication of KR20170053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2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6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적재 선박에 관한 것으로, 선박 선체, 상기 선체의 상단에 배치되고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적재부, 상기 선체의 선수에 배치되는 조타실 및 상기 선체의 종격벽 내부에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 통로(Passage Way)를 포함한다. 따라서, 선박 선체의 상단에 적재되는 화물 적재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loading vessel, the ship hull, a cargo loading unit disposed on the top of the hull and capable of loading cargo, a steering wheel disposed at the bow of the hull, and the length of the hull inside the longitudinal bulkhead of the hull It includes a passage way formed in the direction (Passage Wa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argo load loaded on the top of the ship hull.

Description

화물 적재 선박{CARGO LOADING SHIP}Cargo Loading Ship {CARGO LOADING SHIP}

본 발명은 화물 적재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화물 적재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loading vess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go loading vessel capable of maximizing the cargo loading capacity of the vessel.

거주구(Accommodation)는 장기간 항해하는 선원들을 위해 각종 생활 설비가 갖추어져 있는 구조물로서, 최하층의 메인 데크(Main deck)로부터 최상층의 탑 데크(Top deck)까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선원들이 거주할 수 있는 선실, 조타실, 제어실, 기타 편의시설 등을 포함할 수 있다.Accommodation is a structure with various living facilities for sailors sailing for a long time. It consists of a number of floors, from the main deck on the lowest floor to the top deck on the top floor. It may include a cabin, steering room, control room, and other convenient facilities.

따라서, 거주구(Accommodation)는 모든 선박의 필수 구성 요소에 해당하며, 거주구를 제작하기 위하여 많은 재료를 필요로 하고, 거주구의 높이로 인하여 운항 시 바람의 저항을 많이 받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선체는 선수와 선미 사이의 길이(또는 선박의 길이)가 매우 길기 때문에 선수 및 선체 전방의 시야 확보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거주구의 높이가 높아질 수밖에 없으며, 화물 적재 시에도 시야 확보를 위하여 거주구 전면의 화물 적재 공간에는 화물을 최고 층까지 선적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erefore, the accommodation (Accommodation) corresponds to the essential components of all ships, requires a lot of materials to manufacture the residence,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wind resistance during operation due to the height of the residence occurs. In particular, the hull of a large container ship has a very long length (or the length of the ship) between the bow and the stern, so the height of the residence is inevitably increased to secure the field of view in front of the bow and the hull.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argo cannot be shipped up to the top floor in the cargo loading space at the front of the residence.

한국등록특허 제10-1110685호는 거주구와 조향추진체가 선수에 구비된 선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선체 상부에 거주구가 구비되고, 상기 거주구 하부의 엔진룸이 선체에 내장된 선박에 적용하기 위하여, 상기 거주구 및 엔진룸은 선체의 선수부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룸 하부측에는 엔진으로부터 추진력을 발생하며 엔진룸의 보조 전력으로 조향력을 발생시키는 조향추진체가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선체의 시야를 확보하고 바람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조향과 추진이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거주구와 조향추진체가 선수에 구비된 선박에 관한 것이다.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10685 relates to a vessel provided with a residence and a steering propulsion body in a bow, and more specifically, a residence is provided above the hull, and an engine room below the residence is applied to a vessel embedded in the hull. In order to do this, the accommodation and the engine room are arranged at the bow portion of the hull, and on the lower side of the engine room, there is provided a steering propulsion body that generates propulsion from the engine and generates steering power with auxiliary power of the engine room. It relates to a vessel equipped with a residence and a steering propulsion body that ensures visibility and minimizes wind resistance and that steering and propulsion are integral.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6888호는 거주구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되, 거주구의 좌우측이 좌현으로부터 우현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거주구의 전측이 선수의 끝단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선박의 거주구 구조를 개시한다.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6888 consists of a number of floors of residence, bu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sidence are installed to extend from port to starboard, and the structure of the vessel's residence is installed so that the front of the residence extends to the tip of the bow. Disclosed.

한국등록특허 제10-1110685호 (2012.01.20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10685 (2012.01.20 registered)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476888호 (2015.04.06 등록)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0476888 (Registered on Apr. 2015)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박 선체의 상단에 적재되는 화물 적재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go loading vessel capable of maximizing the cargo loading on the top of the ship hull.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타실 및 거주구의 위치를 변경하여 추가 화물 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go loading vessel that can secure an additional cargo loading space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teering room and the reside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타실 및 거주구의 위치를 변경하여 화물을 풀 티어(최대 적재 높이)까지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go loading vessel capable of loading cargo to a full tier (maximum loading height)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steering room and the reside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체 종격벽 내부의 이동 통로 공간 중 일부를 거주구로 활용하여 선체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화물 적재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go loading vessel capable of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hull and maximizing the cargo load by utilizing a part of the moving passage space inside the hull bulkhead as a residence.

실시예들 중에서, 화물 적재 선박은 선박 선체; 상기 선체의 상단에 배치되고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적재부; 상기 선체의 선수에 배치되는 조타실; 상기 선체의 종격벽 내부에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 통로(Passage Way); 및 상기 이동 통로의 상부와 상기 선체의 상갑판(Upper Deck) 사이에 상기 이동 통로를 따라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거주구를 포함한다.In embodiments, the cargo loading vessel is a ship hull; A cargo loading part disposed on the top of the hull and capable of loading cargo; A steering wheel disposed at the bow of the hull; A passageway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inside the longitudinal bulkhead of the hull; And a residenc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along the movement passage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ement passage and the upper deck of the hull.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물 적재부는 상기 조타실이 상기 선체의 선수에 배치되고, 상기 거주구가 상기 종격벽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형성되는 추가 화물 적재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rgo loading unit may include an additional cargo loading space formed by the steering chamber being disposed at the bow of the hull, and the residence being disposed inside the longitudinal partition.

상기 거주구는 상기 선체의 상갑판(Upper Deck), 상기 종격벽의 외판, 상기 종격벽의 내판 및 상기 이동 통로의 상면을 통해 둘러싸이고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 적재 선박은 상기 거주구와 상기 선체의 상갑판 사이에 또는 상기 거주구와 상기 이동 통로 사이에 배치되는 승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sidence may be formed through the upper deck of the hull, the outer plate of the longitudinal bulkhead, the inner plate of the longitudinal bulkhea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vement passage, and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In one embodiment, the cargo loading vessel may further include a lifting means disposed between the residence and the upper deck of the hull or between the residence and the moving passage.

상기 거주구는 그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선체의 상갑판과 연결되는 출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타실은 상기 화물 적재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물 적재부는 상기 선체의 선수에서 화물을 풀 티어(또는 최대 적재 높이)까지 적재할 수 있다.
The residence may include an entrance disposed on the upper end and connected to the upper deck of the hull. The steering room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cargo loading unit to secure a field of view. In one embodiment, the cargo loading unit may load cargo from the bow of the hull to a full tier (or maximum loading heigh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선박 선체의 상단에 적재되는 화물 적재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cargo load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cargo loading amount loaded on the top of the ship hul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조타실 및 거주구의 위치를 변경하여 추가 화물 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Cargo load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additional cargo loading space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teering room and the reside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조타실 및 거주구의 위치를 변경하여 화물을 풀 티어(최대 적재 높이)까지 적재할 수 있다.The cargo load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load cargo to a full tier (maximum loading height)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steering room and the reside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선체 종격벽 내부의 이동 통로 공간 중 일부를 거주구로 활용하여 선체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화물 적재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In the cargo load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moving passage space inside the hull bulkhead may be used as a residence to improve space utilization of the hull and maximize cargo load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있는 조타실 및 거주구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3a 및 도 3b는 종래 기술의 화물 적재 선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argo load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ositions of the steering room and the residence in FIG. 1.
3A and 3B ar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cargo loading vessel.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argo load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화물 적재 선박(100)은 무어링데크(Mooring Deck)(110), 조타실(Wheel House)(120), 화물 적재부(130), 이동 통로(Passage Way)(140), 거주구(150), 보선스토어(160) 및 선체(1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cargo loading vessel 100 is a Moored Deck (Mooring Deck) 110, a wheelhouse (Wheel House) 120, a cargo loading unit 130, a passage (Passage Way) 140, It includes a residence 150, a boat store 160 and a hull 170.

무어링데크(110)는 화물 적재 선박(100)의 선수에 배치되고, 조타실(1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어링데크(110)는 승용차와 화물트럭을 함께 운반하는 겸용운반선(PCTC; Pure Car Truck Carrier)과 같이 클로즈 타입(Close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mooring deck 110 may be disposed at the bow of the cargo loading vessel 100 and may be disposed under the steering chamber 120. In one embodiment, the mooring deck 110 may be implemented as a closed type (Close Type), such as a PCTC (Pure Car Truck Carrier) that carries a passenger car and a cargo truck together.

조타실(120)은 무어링 데크(110)의 상부 및 화물 적재부(130)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타실(120)은 화물 적재부(130)의 전단에 배치됨으로써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조타실(120)은 화물 적재부(130)에 의한 시야의 제한을 받지 않을 수 있다.The steering chamber 120 may be disposed above the mooring deck 110 and at the front end of the cargo loading unit 130. In one embodiment, the steering chamber 120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cargo loading unit 130 to ensure visibility. That is, the steering room 120 may not be limited by the field of view by the cargo loading unit 130.

화물 적재부(130)는 선체(170)의 상단 및 조타실(120)의 후단에 배치되며, 선체(170)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복수의 화물 적재 공간들을 구획하는 래싱 브리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래싱 브리지(132)는 화물을 고정시켜 안정적인 화물 적재를 수행할 수 있고, 화물 적재 공간을 구획하여 화물 적재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cargo loading unit 130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hull 170 and the rear end of the steering chamber 120, and may be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70. The cargo loading unit 130 may include a lashing bridge 132 partitioning a plurality of cargo loading spaces. The lashing bridge 132 can fix the cargo to perform stable cargo loading, and divide the cargo loading space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cargo loading.

일 실시예에서, 화물 적재부(130)는 조타실(120)이 선체(170)의 선수에 배치되고, 거주구(150)가 선체 종격벽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형성되는 추가 화물 적재 공간(1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추가 화물 적재 공간(134)은 종래 기술의 화물 적재 선박에서 거주구 및 조타실이 배치되었던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화물 적재 선박(100)은 조타실(120) 및 거주구(150)의 위치를 변경하여 추가 화물 적재 공간(134)을 확보하고, 화물 적재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rgo loading unit 130 is an additional cargo loading space 134 formed by the steering chamber 120 being disposed at the bow of the hull 170 and the residence 150 being disposed inside the hull bulkhead. It may further include. Here, the additional cargo loading space 134 may correspond to the space in which the residence and the steering room were arranged in the cargo loading vessel of the prior art. Therefore, the cargo loading vessel 100 can secure the additional cargo loading space 134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steering chamber 120 and the residence 150, and maximize the cargo loading.

이동 통로(Passage Way)(140)는 선체 종격벽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 통로(14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14,000 TEU(Twenty-foot Equivalent Units) 컨테이너 선박을 기준으로 높이가 약 9.4 미터, 길이는 선체(170)의 길이에 상응하는 공간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Passage Way 140 may be disposed on the hull bulkhead. In one embodiment, the movement passage 14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but is about 9.4 meters in height based on a 14,000 Twenty-foot Equivalent Units (TEU) container ship, the length of which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hull 170 Can be implemented as

거주구(150)는 이동 통로(14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선체의 상갑판(Upper Deck), 선체 종격벽 및 이동 통로(140)의 상면을 통해 둘러싸일 수 있다. 화물 적재 선박(100)은 거주구(150)를 이동 통로(140)의 상부 공간 중 일부에 배치하여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residence 15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assage 140, and may be surrounded through the upper deck of the hull, the vertical bulkhead of the hul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passage 140. The cargo loading vessel 100 may improve the space utilization by arranging the residence 150 in a part of the upper space of the moving passage 140.

일 실시예에서, 거주구(150)는 선체(17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거주구(150)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화물 적재 선박(100)은 화물 적재부(130)의 일부에 거주구(150)를 배치하지 않으므로, 화물 적재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 적재 선박(100)은 추가 화물 적재 공간(134)에 약 500 TEU의 컨테이너를 추가 선적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sidence 150 may be implemented with a plurality of residences 150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70. Therefore, since the cargo loading vessel 100 does not arrange the residence 150 in a part of the cargo loading unit 130, the cargo loading amount can be maximized. For example, the cargo loading vessel 100 may additionally load a container of about 500 TEU into the additional cargo loading space 134.

보선스토어(160)는 무어링데크(110)의 하단에 위치하고, 보선스토어(160)의 일부는 거주구(150)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선스토어(160)는 프로비전 챔버(Provision Chamber), 스토어(Store) 또는 메스룸(Messroom)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보선스토어(160)는 무어링데크 (110)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boat store 16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ooring deck 110, and a part of the boat store 160 may be used as a residence 150. In one embodiment, the line store 160 may be implemented as a provision chamber, a store, or a messroom. The boat store 160 can facilitate access to the mooring deck 110.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있는 조타실 및 거주구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도 1에 있는 조타실(120)의 위치를 설명하는 선박 선수부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1에 있는 거주구(150)의 위치를 설명하는 선체(170)의 단면도이다.2A and 2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ositions of the steering room and the residence in FIG. 1. More specifically, FIG. 2A is a plan view of the bow portion of the ship explaining the position of the steering wheel 120 in FIG. 1, and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ull 170 explaining the position of the residence 150 in FIG. 1. .

도 2a에서, 조타실(120)은 선체(170)의 선수에 설치될 수 있다. 조타실(120)은 선박의 양 측면을 관찰하기 위하여 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조타실(120)은 선체(170)의 선수에 배치됨으로써 화물 적재부(130)의 화물 적재 여부에 관계 없이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화물 적재부(130)는 선체(170)의 선수에서 화물을 풀 티어(또는 최대 적재 높이)까지 적재할 수 있다.In FIG. 2A, the steering chamber 120 may be installed at the bow of the hull 170. The steering chamber 120 can be extended in the lateral direction to observe both sides of the ship. The steering room 120 is disposed at the bow of the hull 170 to ensure visibility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cargo loading unit 130 loads the cargo. In addition, the cargo loading unit 130 may load cargo from the bow of the hull 170 to a full tier (or maximum loading height).

도 2b에서, 선체(170)는 그 양 측면에 형성되어 선체의 상갑판을 지지하는 선체 종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로(140)는 선체 종격벽의 상부에 형성되고, 거주구(150)는 이동 통로(14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거주구(150)는 선체의 상갑판, 선체 종격벽의 외판(30), 선체 종격벽의 내판(40) 및 이동 통로(140)의 상면을 통해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주구(150)는 이동 통로(140)의 상부 공간 중 높이 3미터 내지 4미터의 공간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FIG. 2B, the hull 170 may include a hull longitudinal bulkhead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to support the upper deck of the hull. The moving passage 140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ull partition wall, and the residence 150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assage 140. The residence 150 may be surround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deck of the hull, the outer plate 30 of the hull longitudinal bulkhead, the inner plate 40 of the hull longitudinal bulkhead, and the moving passage 140. For example, the residence 150 may be implemented as a space of 3 to 4 meters in height among the upper space of the movement passage 140.

일 실시예에서, 거주구(150)는 창문(151), 승강 수단(152-1) 및 출입구(153)를 포함할 수 있다. 거주구(150)는 일 측면에 창문(151)을 구비하고, 거주구(150)와 상갑판 사이 또는 거주구(150)와 이동 통로(140) 사이에 승강 수단(152-1, 152-2)을 형성할 수 있다. 선원은 승강 수단(152-1, 152-2)을 통해 거주구(150)와 상갑판 또는 거주구(150)와 이동 통로(140) 간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sidence 150 may include a window 151, lifting means 152-1 and an entrance 153. The residence 150 has a window 151 on one side, and elevating means 152-1, 152-2 between the residence 150 and the upper deck or between the residence 150 and the moving passage 140. Can form. Sailors can easily move between the residence 150 and the upper deck or the residence 150 and the moving passage 140 through the lifting means 152-1, 152-2.

일 실시예에서, 승강 수단(152-1, 152-2)은 스파이럴 래더(Spiral Ladder)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스파이럴 래더는 거주구(150)와 상갑판 또는 거주구(150)와 이동 통로(140) 간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fting means (152-1, 152-2)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spiral ladder (Spiral Ladder). The spiral ladder may improve accessibility between the residence 150 and the upper deck or the residence 150 and the moving passage 140.

일 실시예에서, 출입구(153)는 거주구(150)의 상단에서 상갑판과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구(153)는 두 개의 거주구(150)마다 하나씩 구비될 수 있고, 쉘터(Shelter)로 구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ntrance 153 may be arranged to connect with the upper deck at the top of the residence 150. For example, the entrance 153 may be provided one for each of the two residences 150,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helter.

도 3a 및 도 3b는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선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선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b는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선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3A and 3B are views showing a container ship of the prior art. More specifically, 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tainer ship of the prior art, Figure 3b is a side view showing a container ship of the prior art.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선박은 선체(10)의 중간(또는 화물 적재 공간의 일부)에 조타실 및 거주구(20)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선박은 선체(10)의 길이가 긴 대형 선박으로 구현되어, 선체(10)의 중간에 거주구(20)를 배치할 수 있다. 거주구(20)는 선박 전방의 시야 확보를 위해 화물 적재 높이보다 높게 설치될 수 있고, 거주구(20)의 전방에 배치되는 화물들은 시야 확보를 위하여 최고 높이까지 적재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Referring to Figures 3a and 3b, the container ship of the prior art can form a steering chamber and a residence 20 in the middle of the hull 10 (or part of the cargo loading space). More specifically, the container ship of the prior art is embodied as a large ship with a long hull 10, so that the residence 20 can be arranged in the middle of the hull 10. The residence 20 may be installed higher than the cargo loading height to ensure visibility in front of the ship, and cargoes disposed in front of the accommodation 20 may not be loaded up to the highest height to secure visibility. .

따라서, 본 발명의 화물 적재 선박(100)은 선박 선체의 상단에 적재되는 화물 적재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물 적재 선박(100)은 조타실(120)을 선체(170)의 선수에 배치하고 거주구(150)를 선체 종격벽의 내부에 배치하여, 추가 화물 적재 공간(134) 및 선박의 전방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화물 적재 선박(100)은 추가 화물 적재 공간(134) 및 시야 확보를 통해 화물 적재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refore, the cargo loading vesse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cargo loading amount loaded on the top of the ship hull. More specifically, the cargo loading vessel 100 arranges the steering chamber 120 at the bow of the hull 170 and arranges the residence 150 inside the hull bulkhead, so that the additional cargo loading space 134 and the ship's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field of view to the front. The cargo loading vessel 100 may maximize cargo loading through securing additional cargo loading space 134 and visibility.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applica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can understand that you can.

100: 화물 적재 선박
110: 무어링데크 120: 조타실
130: 화물 적재부 132: 래싱 브리지
134: 추가 화물 적재 공간 140: 이동 통로
150: 거주구 151: 창문
152-1, 152-2: 승강 수단 153: 출입구
160: 보선스토어 170: 선체
100: cargo ship
110: Moored deck 120: Steering wheel
130: cargo loading section 132: lashing bridge
134: additional cargo space 140: moving passage
150: residence 151: window
152-1, 152-2: Lifting means 153: Entrance
160: boat store 170: hull

Claims (8)

선박 선체;
상기 선체의 상단에 배치되고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적재부;
상기 선체의 선수에 배치되는 조타실;
상기 선체의 종격벽 내부에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 통로(Passage Way); 및
상기 이동 통로의 상부와 상기 선체의 상갑판(Upper Deck) 사이에 상기 이동 통로를 따라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거주구
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
Ship hull;
A cargo loading part disposed on the top of the hull and capable of loading cargo;
A steering wheel disposed at the bow of the hull;
A passageway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inside the longitudinal bulkhead of the hull; An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assage and the upper deck of the hull (Upper Deck) along the moving passage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Cargo loading vessel containing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적재부는
상기 조타실이 상기 선체의 선수에 배치되고, 상기 거주구가 상기 종격벽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형성되는 추가 화물 적재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According to claim 1, The cargo loading unit
A cargo load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ring chamber is disposed at the bow of the hull, and the residence is formed by being disposed inside the longitudinal bulkhe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는
상기 선체의 상갑판(Upper Deck), 상기 종격벽의 외판, 상기 종격벽의 내판 및 상기 이동 통로의 상면을 통해 둘러싸이고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sidence
The upper deck of the hull (Upper Deck), the outer plate of the longitudinal bulkhead, the inner plate of the longitudinal bulkhead an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movement passag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cargo shi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와 상기 선체의 상갑판 사이에 또는 상기 거주구와 상기 이동 통로 사이에 배치되는 승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According to claim 1,
And a lifting means disposed between the residence and the upper deck of the hull or between the residence and the moving pa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는
그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선체의 상갑판과 연결되는 출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sidence
It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cargo load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ntrance to the upper deck of the hu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타실은
상기 화물 적재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시야를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ering wheel
Cargo load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the front end of the cargo loading portion to secure the field of vie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적재부는
상기 선체의 선수에서 화물을 풀 티어(또는 최대 적재 높이)까지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According to claim 1, The cargo loading unit
A cargo load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cargo is loaded from the bow of the hull to a full tier (or maximum loading height).
KR1020150155542A 2015-11-06 2015-11-06 Cargo loading ship KR1020986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542A KR102098609B1 (en) 2015-11-06 2015-11-06 Cargo loading sh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542A KR102098609B1 (en) 2015-11-06 2015-11-06 Cargo loading shi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267A KR20170053267A (en) 2017-05-16
KR102098609B1 true KR102098609B1 (en) 2020-04-08

Family

ID=5903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542A KR102098609B1 (en) 2015-11-06 2015-11-06 Cargo loading shi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60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1101B (en) * 2019-03-29 2021-11-09 广船国际有限公司 Bow structure of ship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853B1 (en) * 2002-12-17 2005-08-17 허식 Self-propelling barg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9982A (en) * 2008-12-17 2010-06-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A container ship which is formed separately a deck house a engine room
KR101110685B1 (en) 2009-08-19 2012-02-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 ship with an accommodation and a steering and propelling device at the bow part
KR200476888Y1 (en) 2010-10-04 2015-04-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Structure of accommodation of ship
KR101595477B1 (en) * 2014-02-06 2016-02-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Residential structure of ship loading a carg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853B1 (en) * 2002-12-17 2005-08-17 허식 Self-propelling bar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267A (en) 201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9962B1 (en) A ship
KR100664915B1 (en) Ship of burden
KR20100092876A (en) Vessel
KR102098609B1 (en) Cargo loading ship
JP5982523B1 (en) Simultaneous cargo handling cargo ship with two types of cargo handling equipment
KR102447030B1 (en) Container Ship with slow speed and large full form
CN209535397U (en) Ship based on sunk type design
WO2022230752A1 (en) Cargo ship
KR20220132502A (en) Container ship
KR101660689B1 (en) Ship loading cargo and method of loading cargo
KR20150011511A (en) container ship
JP2009190717A (en) Container ship
WO2018099906A1 (en) Container ship with reinforced hull
KR101595477B1 (en) Residential structure of ship loading a cargo
JP3942562B2 (en) Marine crane post support structure
KR101642391B1 (en) Ship which load cargo
WO2013110822A1 (en) A combined reefer and container ship
KR101667572B1 (en) Ship which load cargo and method of loading cargo
KR101909518B1 (en) Ship which load cargo
KR20120002214A (en) Container ship having a liquefied fuel tank
WO2009109187A1 (en) A ship
JP5201804B2 (en) Trimaran structure ship
KR101668453B1 (en) Ship which load cargo
KR20220139802A (en) Lashing bridge structure and ship having the same
KR20150133101A (en) Ship which load cargo and method of loading carg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