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541B1 -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 - Google Patents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541B1
KR102098541B1 KR1020190110407A KR20190110407A KR102098541B1 KR 102098541 B1 KR102098541 B1 KR 102098541B1 KR 1020190110407 A KR1020190110407 A KR 1020190110407A KR 20190110407 A KR20190110407 A KR 20190110407A KR 102098541 B1 KR102098541 B1 KR 102098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lock panel
coupling means
open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교민
Original Assignee
김교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교민 filed Critical 김교민
Priority to KR1020190110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4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of mineral material which is not further specifi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42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with a fire retardant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9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 E06B2003/7051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of layered construction involving differ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락패널은 강도가 우수하고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타 재질의 패널을 대신하여 사용되고 있지만, 반면에 락패널의 재질 특성상 다른 구성품이 결합되거나 체결되는 경우 파손이 쉽게 이루어져 다른 구성품과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된 락패널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ROCK PANEL APPARATUS IMPROVEMENT FOR PINNING-FORCE OF OPEN AND SHUT MEANS}
본 발명은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락패널은 강도가 우수하고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타 재질의 패널을 대신하여 사용되고 있지만, 반면에 락패널의 재질 특성상 다른 구성품이 결합되거나 체결되는 경우 파손이 쉽게 이루어져 다른 구성품과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된 락패널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출물의 외장재도 종류가 다양하지만, 정작 화재에 견딜 수 있는 판넬은 그리 많지 않다. 이러한 건축물의 화재로 인해 건축법도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보통 건축법시행령에 따르면, 건축물의 마감재료는 6층 이상 건물에는 마감재료를 사용하고 그 이하는 난연재를 사용해도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2019년 04월 10일에 배포된 국토교통부의 보도자료를 보면 건축외장에 불연재는 당연한 수순인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화재에 잘 견디는 순서로 나열하면, 불연재 > 준불연재 > 난연재 > 가연재로 구분되고, 특히, 불연재는 난연 1등급으로 불에 타지 않는 성질을 가진 재료로 750℃에서 20분간 가열하였을 때, 온도가 50℃를 초과하여 상승하지 않는 재료로, 350℃에서 10분간 가열 종료 후에도 30초 이상 잔류 불꽃이 없으면서 불에 타지 않는 재료를 의미한다.
일전에는, 건축물에 사용되는 패널에 대하여 불연 등의 난연등급에 크게 관여하지 않았지만, 근래 건축물 화재가 이슈가 된 이후로는 난연등급에 매우 민감하다.
예로부터 목재를 주요 건축자재로 사용하던 한국에서, 목재는 너무 불에 잘타는 재질이기 때문에, 고밀도 목재를 난연2등급(준불연재)으로 10여년 동안 사용하고 있었는데, 최근에 이르러 새로운 불연소재와 목재 무늬 도장이 접목된 불연재가 탄생하였고, 그 것이 바로 락패널(Rock Panel)이다.
이러한 락패널은 다양한 무늬와의 접목도 가능하기 때문에 건축 외장재로 불연재를 요구하는 현 시대에 맞춰 빠르게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4085호에는 방화문 및 이의 시공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방화문의 내부에 충전재를 충전하고, 외부에 불연조성물을 도포하여 자중이 가벼우면서도 불연시간을 최대한으로 지연시키도록 한 방화문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기술의 방화문은 문틀과, 상기 문틀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경첩과; 상기 경첩을 매개로 문틀에 고정 설치되는 문짝과, 상기 문짝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도어락으로 구성되고, 이들 구성이 전부 방화처리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술에 따른 방화문 시공방법은 문틀과, 상기 문틀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경첩과; 상기 경첩을 매개로 문틀에 고정 설치되는 문짝과, 상기 문짝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도어락으로 구성되고, 이들 구성이 전부 방화처리된 방화문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문짝에 도어락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 구조물에 문틀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문틀에 경첩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경첩에 도어락이 부착된 문짝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4085호(2017.06.09.)
위와 같이 락패널은, 강도가 우수하고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타 재질의 패널을 대신하여 사용되고 있지만, 반면에 락패널의 재질 특성상 다른 구성품이 결합되거나 체결되는 경우 파손이 쉽게 이루어져 다른 구성품과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한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은,
락패널(10)과, 상기 락패널(10)에 결합되어 개폐수단의 고정력이 증가하도록 하는 몰드(20)를 포함하는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몰드(20)는,
(a) 내측에 중공(21)이 형성된 형태의 사각프레임 또는 (b) 일자 형태의 일자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락패널(10)과 몰드(20) 중 어느 하나의 것에는 결합수단(30)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몰드(20)가 사각프레임인 경우,
상기 몰드(20)에 결합수단(30)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수단(30)은 몰드(20)의 마주하는 4면의 일측 각각에 중공(21)을 향해 연장된 결합수단(30)이 판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락패널(10)은 상기 결합수단(30)에 안착되어 몰드(20)의 중공(21) 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몰드(20)가 사각프레임인 경우,
상기 락패널(10)에 결합수단(30)이 형성되되, 상기 락패널(10)의 4면을 따라 홈의 형태로 결합수단(30)이 형성되고,
상기 몰드(20)가 결합수단(3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몰드(20)가 일자프레임인 경우,
상기 락패널(10)에 결합수단(30)이 형성되되, 상기 락패널(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홈의 형태로 결합수단(30)이 형성되고,
상기 몰드(20)가 결합수단(3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예로서, 상기 개폐수단은 경첩으로 구성되어 경첩의 일단이 몰드(20) 또는 락패널(10)과 몰드(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예로서, 상기 개폐수단은 힌지로 구성되어 몰드(20) 또는 락패널(10)의 높이방향을 따라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강도가 우수하고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타 재질의 패널을 대신하여 사용되고 있지만, 반면에 락패널의 재질 특성상 다른 구성품이 결합되거나 체결되는 경우 파손이 쉽게 이루어지는 락패널의 다른 구성품과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한 단점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결합수단이 락패널 구조물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 락패널과 몰드를 분리시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실시예를 상/하측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락패널은 강도가 우수하고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타 재질의 패널을 대신하여 사용되고 있지만, 반면에 락패널의 재질 특성상 다른 구성품이 결합되거나 체결되는 경우 파손이 쉽게 이루어져 다른 구성품과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된 락패널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 락패널과 몰드를 분리시켜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락패널(10)과, 상기 락패널(10)의 외관에 결합되는 내측에 중공(21)을 갖는 사각프레임 형태를 갖는 몰드(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락패널(10)과 몰드(20)는 결합수단(30)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는데, 도 2와 같이, 몰드(20)는 4면이 마주하는 각 4면에 중공(21)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수단(30)이 각각 연장되고, 상기 결합수단(30)과 락패널(10)의 가장자리면이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2에 따른 결합수단(30)은 몰드(20)의 각 4면의 어느 한 단부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각 4면의 어느 한 단부측이 아닌, 양 단부측으로 구성되어 결합수단(30)의 형태가 'ㄷ'자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고, 락패널(10)이 삽입되어 접착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ㄷ'자 형상의 결합수단(30)은 어느 한 측의 연장된 길이가 다른 한측의 연장된 길이보다 짧게 구성됨으로써, 락패널(1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결합수단(30)의 락패널(10)의 일면이 맞닿는 어느 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단면 형태가 '^'의 형상을 갖는 요철돌기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철돌기는 락패널(10)의 일면이 맞닿고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경우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결합시의 마찰력 증가를 통한 락패널(10)의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요철돌기로 인해 접착제가 오목한 요(凹)부에 몰림으로써 더 강한 접착력이 발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반대로, 락패널(10)의 결합수단(30)이 맞닿는 가장자리 일측에 요철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개폐수단이 구성되는 경우, 금속 등의 재질을 갖는 몰드(20)의 일측으로 개폐수단을 결합함으로써, 종래 락패널의 고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이때, 개폐수단은 도어 구조물의 개폐를 돕는 수단으로써, 예를 들면 경첩이나 힌지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예측될 수 있는 개폐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다만, 전술된 구조의 경우, 몰드(20)가 노출됨에 따라 외관상의 재질 표현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첨부된 도면의 도 3 및 도 4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실시예를 상/하측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3 및 도 4의 경우에는 상기 결합수단(30)이 락패널(10)의 외측벽 4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 또는 최대 4개의 면에 홈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결합수단(30)에 전술된 바와 같이 사각프레임인 몰드(2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몰드(20)에는 전술된 결합수단(30)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결합수단(30)이 락패널(10)의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경우 몰드(20)는 일자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락패널(10)의 높이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결합수단을 경첩으로써 경첩의 결합을 위한 볼트 또는 나사가 락패널(10) -> 몰드(20)의 순서로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고, 결합수단을 힌지로서 힌지의 축이 몰드(20)의 높이방향으로 관통되어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결합수단이 락패널 구조물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몰드(20)가 락패널(10)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누름수단(도면에 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누름수단은 판부 구성에 대하여 양단 중 어느 한단 또는 양단에 2회 절곡됨에 따라 '
Figure 112019091833952-pat00001
'의 형태를 갖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누름수단은, '
Figure 112019091833952-pat00002
' 또는 '
Figure 112019091833952-pat00003
'의 형태를 갖는 것이다.
이때, 누름수단의 고정부의 'ㄷ'자로 형성된 고정영역은 도 1 및 도 2에 실시형태에 따른 결합수단의 단부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고, 판부의 일면은 몰드(20)의 중공(21)을 향한 내측면에 면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누름수단의 위 형태들에 대하여 몰드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결합수단의 형태가 일측으로만 연장된 것인지 또는 'ㄷ'자 형태로 연장된 것인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인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누름수단의 고정부의 길이는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누름수단의 판부의 고정부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 방향 일면에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의 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누름수단의 판부에서부터 상기 층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누름수단이 락패널(10)을 눌러주어 락패널(10)이 수축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형태에서 락패널(10)을 몰드(20)의 중공(21)에 삽입하려는 경우, 층에 의한 소정의 탄성으로 인해 결합이 용이해지는 장점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따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와 같이 락패널(10)에 홈 형태로 형성된 결합수단(30)의 단부 내측으로 누름수단의 판부가 삽입되고, 누름수단의 고정부는 락패널(10)의 일측에 고정영역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누름수단은 락패널(10)의 결합수단(30)이 형성됨 홈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결합수단(30)에 삽입된 몰드(20)를 눌러주어 결합이 견고하게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술된 요철돌기가 결합수단(30)이 형성됨으로 인해 형성된 락패널(10)의 홈 영역의 일측면에도 높이 방향으로 혹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몰드(20)의 삽입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따른 실시형태에서 힌지를 개폐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누름수단의 판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힌지를 관통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된 구조에 있어서, 설계 조건에 따라서 상기 층의 구조를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판부에 면접촉되는 제1 판과 상기 제1 판에 인접하여 밀찰되는 제2 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판과 제2 판은 결합시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2 판의 제1 판에 대하여 수직되는 면은 다소 외측으로 경사진 방향을 갖고, 또한, 상기 제1 판의 양측 단부는 평면 단면 기준으로 내협외광의 경사방향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판과 제2 판 사이에는 관통홀을 피하는 위치에 1개 이상의 스프링이 구성되어, 스프링의 단부가 제1 판의 외측에 결합되고, 다른 단부가 제2 판 내측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탄력을 더욱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 : 락패널
20 : 몰드
21 : 중공
30 : 결합수단

Claims (6)

  1. 락패널(10)과, 상기 락패널(10)에 결합되어 개폐수단의 고정력이 증가하도록 하는 몰드(20)와, 상기 락패널(10)과 몰드(2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는 누름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몰드(20)는,
    (a) 내측에 중공(21)이 형성된 형태의 사각프레임 또는 (b) 일자 형태의 일자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락패널(10)과 몰드(20) 중 어느 하나의 것에는 결합수단(30)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에 있어서,
    (a) 상기 몰드(20)가 사각프레임인 경우,
    (a-1) 상기 몰드(20)에 결합수단(30)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수단(30)은 몰드(20)의 마주하는 4면의 일측 각각에 중공(21)을 향해 연장된 결합수단(30)이 판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락패널(10)은 상기 결합수단(30)에 안착되어 몰드(20)의 중공(21) 상에 결합되고,
    (b) 상기 몰드(20)가 일자프레임인 경우
    (b-1) 상기 락패널(10)에 결합수단(30)이 형성되되, 상기 락패널(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홈의 형태로 결합수단(30)이 형성되고, 상기 몰드(20)가 결합수단(30)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누름수단은,
    판부와, 상기 판부 구성에 대하여 양단 중 어느 한단 또는 양단에 2회 절곡됨에 따라 '
    Figure 112019135623273-pat00008
    '의 형태를 갖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
    Figure 112019135623273-pat00009
    ' 또는 '
    Figure 112019135623273-pat00010
    '의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누름수단의 판부의 고정부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 방향의 일면에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층이 형성되되,
    (a) 몰드(20)가 사각프레임인 경우,
    상기 누름수단의 일면에 형성된 층이 몰드(20)의 중공(21)을 향한 내측면에 면접촉되고, 고정부의 'ㄷ'자로 형성된 영역이 결합수단(30)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누름수단의 일면에 형성된 층이 락패널(10)을 눌러주고, 상기 층의 탄성에 의해 결합수단(30)으로 락패널(10)을 삽입할 때 용이하도록 하며,
    (b) 몰드(20)가 일자프레임인 경우,
    상기 누름수단의 일면에 형성된 층이, 락패널(10)에 홈으로 형성된 결합수단(30)에 삽입되고, 고정부의 'ㄷ'자로 형성된 영역이 홈으로 형성된 결합수단(30) 주변의 락패널(10)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상기 누름수단의 일면에 형성된 층이 몰드(20)를 눌러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개폐수단은 경첩으로 구성되어 경첩의 일단이 몰드(20) 또는 락패널(10)과 몰드(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개폐수단은 힌지로 구성되어 몰드(20) 또는 락패널(10)의 높이방향을 따라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
KR1020190110407A 2019-09-06 2019-09-06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 KR102098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407A KR102098541B1 (ko) 2019-09-06 2019-09-06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407A KR102098541B1 (ko) 2019-09-06 2019-09-06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541B1 true KR102098541B1 (ko) 2020-04-07

Family

ID=70291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407A KR102098541B1 (ko) 2019-09-06 2019-09-06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5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543A (ko) * 2005-01-27 2006-08-01 세왕이엠씨 주식회사 소음 방지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91935A (ko) * 2007-04-10 2008-10-15 (주)시원시앤에프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 및 그 제작방법
KR101400402B1 (ko) * 2011-10-04 2014-05-27 정종상 접이식 프레임을 구비한 투명방음패널
KR20170064085A (ko) 2015-11-30 2017-06-09 이영회 방화문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543A (ko) * 2005-01-27 2006-08-01 세왕이엠씨 주식회사 소음 방지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91935A (ko) * 2007-04-10 2008-10-15 (주)시원시앤에프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 및 그 제작방법
KR101400402B1 (ko) * 2011-10-04 2014-05-27 정종상 접이식 프레임을 구비한 투명방음패널
KR20170064085A (ko) 2015-11-30 2017-06-09 이영회 방화문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541B1 (ko) 개폐수단 고정력이 향상된 락패널 구조물
KR101839310B1 (ko) 전도차단재 및 방화문
KR101398423B1 (ko) 뒤틀림 방지 불연성 패널을 적용한 방화문
KR101826623B1 (ko) 방화문 장치
GB2391023A (en) A fire barrier which closes an opening in a panel
KR102255679B1 (ko) 패널 어셈블리
US2249590A (en) Fire retardant building material
RU2270311C2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ая дверь и ригель для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двери
JP2018009330A (ja) 戸体および建具
JP4547611B2 (ja) 耐火目地構造
JPH11159053A (ja) 建築用パネル
JP7075277B2 (ja) 改装ドア枠及び改装ドア
US827676A (en) Slat for constructing fireproof blinds.
KR20210041695A (ko) 단열, 내화, 결로 및 방음이 개선된 방화문 구조체
JP2004108082A (ja) 木製防火扉
US827677A (en) Slat for constructing fireproof blinds.
JP2020180447A (ja) 防火戸用の開閉体
JP2021123911A (ja) 建具
CN217783332U (zh) 隔音防火单开门
JP2878729B2 (ja) パネルの目地構造
EP2683900B1 (en) Assembly of a leaf and a frame adapted to rotatably receive the leaf
JP7197403B2 (ja) 防火ドア
TWM502081U (zh) 防火複合門框
GB2071743A (en) Panelled structures
JPH11270021A (ja) 建築用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